대가들과 경쟁한 건축 공모전 PT, 이렇게 준비했습니다.

  Рет қаралды 179,307

셜록현준

셜록현준

23 күн бұрын

#건축 #건축가 #공모전
서리풀 보이는 수장고
건축 공모전 PT, 이렇게 준비했습니다.

Пікірлер: 413
@birdy9756
@birdy9756 22 күн бұрын
자기가 군생활했던 군부대 부지에 건축설계 공모 참여… 심지어 무려 서초동 정보사 ㅋㅋㅋ 낭만 미쳤다
@user-vm9pi7lw1n
@user-vm9pi7lw1n 22 күн бұрын
스토리텔링 미쳤는데 아쉽군요 ㅜㅜ
@calmit.8707
@calmit.8707 10 күн бұрын
와우 직속슨배님이셨구나...
@calmit.8707
@calmit.8707 10 күн бұрын
혹시 그때도 시크릿가든이 px였나요
@jfilm0112
@jfilm0112 2 күн бұрын
Kdic
@CHOOSANG
@CHOOSANG 22 күн бұрын
작가가 직접 전달하는 큐레이팅 이거 귀하거든요
@user-of4fc4ln8z
@user-of4fc4ln8z 21 күн бұрын
큐레이팅의 의미를 모르시는듯
@sgjludk
@sgjludk 20 күн бұрын
큐레이팅 아닙니다...ㅋㅋ 도슨트를 말하고 싶으셨던건지... 그냥 설명이죠
@aprilspringsnow4881
@aprilspringsnow4881 18 күн бұрын
Architecture Concept 이 낫지않을까요?
@selfmadedavinci8852
@selfmadedavinci8852 9 күн бұрын
본인 외 6가지 정보를 함께 수집해서 작가가 직접 본인 작품의 해석을 하는, 큐레이팅 한다는 의미로 봐도 되지 뭘 또 비꼬고있냐 ~
@sgjludk
@sgjludk 9 күн бұрын
@@selfmadedavinci8852 딱봐도 잘못 쓰고 있는걸 무슨
@Elimtube
@Elimtube 22 күн бұрын
볼 때마다 느끼는건데요 편집하시는 분의 노고가 엄청 느껴져요. 건축가님의 설명을 정말 이해하기 쉽게 시각화를 시켜줘요 ^^
@Culturephile0
@Culturephile0 19 күн бұрын
공감합니다
@hangyeoljang34
@hangyeoljang34 12 күн бұрын
저도 쭉 보면서 그래픽디자이너가 본인의 창의성 발휘해서 만드는 느낌이 들었어요. 좋은 분과 일하시는 것 같습니다
@FQRL1212
@FQRL1212 22 күн бұрын
영상 보면서... 저 많은 나무들이 하나하나 다 관리 포인트가 된다면... 담당자가 기피하겠다 생각했네요. 그래도 공간을 자연과 시민의 품으로 돌려주겠다는 멋지고 이상적인 설계안 같아 좋아보여요. 👍
@zerowing8272
@zerowing8272 21 күн бұрын
이거 때매 까였을 가능성 100% ㅋㅋㅋ
@user-ii5cl1hc2b
@user-ii5cl1hc2b 21 күн бұрын
저도 같은생각이에요 그 순간은 멋있겠지만 저 많은 나무들을 전지하고 방제하고 낙엽치우고 하는게 참.. 조감도만 봐서는 외줄타기부터 배우고 전지해야될거같은데말이죠
@Handol75
@Handol75 21 күн бұрын
갠적으로 식물로 쌓인 건물 컨셉 진짜 좋아라하는데 실제로는 여러 현실적 문제들로 관리 문제 부터 생각들더라구요. 근데 토심을 고려해서 나무를 넣어도 나무의 뿌리에 의해 화분이 되는 테라스가 무너질 염려는 없을까 의문이 드네여.
@user-lj7zo7so1k
@user-lj7zo7so1k 21 күн бұрын
저도 같은생각, 하지만 주변과의 조화가 가장 멋집니다.
@illliliililiilllillililliiilil
@illliliililiilllillililliiilil 21 күн бұрын
선정된건 너무 답답해보여요 그냥 아무 특색도 없어보임😢 교수님작품은 외부자연에 더 잘묻네요 하지만 관리 때문에 컷시킨거같아요
@user-nv8fn8rr3w
@user-nv8fn8rr3w 22 күн бұрын
자연이 있어야 할 자리에 다시 자연을 되돌려 놓는다, 옥상정원이 실천하고자 한 개념과 맥락을 같이 하네요. 특히 산책로가 있어야 할 자리에 건축물이 있기 때문에 막힌 공간이 되는 것이 아닌 지역민의 라이프스타일을 배려해 다시 산책로를 설계한 부분이 정말 좋았습니다.
@user-dh9ot5xt5g
@user-dh9ot5xt5g 20 күн бұрын
겸손과 상대에 대한 리스펙도 중요하고 영상에도 그렇게 보여주셨지만, 자기 의견을 정확하게 피력하고, 할 말은 하는 모습이 너무 보기 좋습니다. 사람들이 자신의 의견을 말할때 상대에 대한 존중을 너무 생각한 나머지 솔직한 이야기를 못하는 경우도 많은거 같습니다.
@FXXKHANDLE2
@FXXKHANDLE2 22 күн бұрын
쉽게 말하면 서울로7017을 입면으로 올린 거라고 볼 수 있는데 지금의 서울로7017을 보면 암담하죠. 기존 고가도로의 하중문제로 유효토심이 안되다보니 식물도, 그걸 보는 사람들도 모두 좋지 않은 공간인데 입면으로 올려서 화분을 만든다면..... 건축전문가가 아니라서 잘 모르겠지만 실현가능한 것인지 모르겠네요. 화분으로 각각의 개체들을 나누어 설계시공한다면 렌더링으로는 당연히 아름답게 보이겠지만, 실제로는 7017처럼 보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식견이 짧지만 개인적으로 어떤 공간에 자연을 품으려면 하이라인처럼 토지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강조하신 것처럼 연결성이 중요한데 화분으로 덮힌 공간은 식생이 생길 수가 없으니 자연을 품은 공간으로 보기가 어렵지 않을까 싶거든요. 그래도 정말 귀중한 큐레이팅 감사합니다 서리풀공원과 이어지는 미술관이 더 기대가 되는데 아쉽네요
@yeondubumental
@yeondubumental 22 күн бұрын
미술관에 자연광이 많이 들어오는 건 그리 적절하지 않은 수였을거 같아요. 전시라는 건 미술품 자체말고도 그 작품을 조명하는 여러 요소와 전시 이후의 감정들도 돌아보게 만들어요. 설치 미술의 경우 자연광이라는 메인 라운지가 좋은 활용 공간이 되었을 테지만, 작품들 중 어두운 조명이나 고요함을 필요로 하는 미술품의 경우, 감상 이후의 여운을 전부 느끼기 힘들 수 있을 것 같아요. 미술관, 특히 수장고의 본질을 생각할 때, 자연=원활한 소통 이라는 공식이 어느때나 맞지 않을 것 같다는 제 개인적인 감상 남깁니다! 수고많으셨습니다
@yeondubumental
@yeondubumental 22 күн бұрын
교수님께서 "땅의 기억"을 베이스로 좋은 의미를 건물에 부여하고 싶으신 것은 이해하였지만, 건물은 그 전에 본연의 역할을 다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교수님의 의견보단 헤르조그&드뫼롱쪽에 마음이 가는 것이, 수장고는 수장고의 역할을 더 우선시 해야할 것입니다. 땅과의 스토리텔링 물론 좋지만, 수장고의 역할은 개방적이기 보단 자연과는 폐쇄적이어야하며(교도소와 같은 폐쇄를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이 아닙니다), 교수님의 안은 커뮤니티적인 면을 지나치게 씌운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jang7528
@jang7528 21 күн бұрын
8:53 보시면, 그 내용을 고려해서 천창을 디자인하였습니다.
@chh6028
@chh6028 21 күн бұрын
자연채광을 이용한 오랑주리 미술관 건축 찾아보셔요!
@yeondubumental
@yeondubumental 21 күн бұрын
​@@chh6028 오랑주리는 모네가 전쟁 후 상처입은 시민들을 위로하기 위해 설계하고, 자신의 수련 연작들로 채운 작은 미술관이라는 점에서 일반적인 미술관과는 비교하기 힘들지 않나 싶습니다. 자연의 그림은 마땅히 자연과 비슷한 느낌의 조명이 필요하죠. 특히 사람의 상처를 보듬어주는 인상주의 전시라면 조명은 더욱 밝고 따스해야 하며, 미술관이라는 공간도 사람과 사람이 최대한 자주 맞딱뜨려 사람과 사람간에도 위로할 수 있도록 해야할 것입니다. 그러나 수장고라는 거대한 공간, 다양한 장르의 미술을 다루는 공간은 항상 밝아서는 안될 것입니다. 다양한 장르를 관람하며 다양한 여운을 느끼는데, 어두운 느낌의 전시를 보고 전시실에 나오니 "모든게 꿈이었다"로 사라지면 안되겠죠. 아무리 천장에서 자연채광을 조절할 수 있다지만 전시를 준비하는, 조명을 준비하는 입장에서는 이를 조절하는 것도 일이고 부담입니다. 관람객의 감정에 영향을 주는 하나의 복잡한 변수가 더해진 것인 셈이죠. 감사합니다!
@chh6028
@chh6028 21 күн бұрын
캬 지식 공유 감사합니다. 제 견문이 넓어졌네요!
@ychardiet
@ychardiet 22 күн бұрын
이번에 개념을 직접 짚어주면서 설명해주신 수장고같은 공간이 있다면, 미술 전시품을 마음먹고 보는게 아니라 일상 속에 더 녹여낼 수 있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1년에 52번 방문한다는 예시가 너무 와닿긴 했네요. 그런데 제가 세계의 많은 미술관을 다녀본 적은 없지만, 미국에서 살 때 다녀본 미술관은 거의 어두운 분위기에 사람보단 전시품 위주의 배치가 되어있는 것을 보았습니다. 지난 영상에 나왔던 두바이 미술관도 외관은 정말 신비로운데 내부는 어두웠죠. 게다가 수장고라는 특징 상 아무래도 많은 사람이 지나다니고 햇빛을 이용하는 교수님의 설계가 채택되기 힘들었다고 생각합니다. 내부 입면 배치 등을 통해 극복할 수 있겠지만, 아마 미술품 담당자들이 햇빛? 하면서 결사반대를 외치지 않았을까요. 실제로 채택된 안도 가장 폐쇄적인 설계가 반영된 것을 보면 담당자들의 입김이 크게 작용한듯 싶습니다. 다만 낙수장의 예시로 그 땅이 가진 에너지를 전부 보여준다는 말은 크게 와닿은 만큼, 아쉽지만 다시 좋은 장소에 멋진 건축물을 보여주시길 기대합니다.
@AnsenTube
@AnsenTube 15 күн бұрын
일단 건축적인 컨셉, 고민했던 설계의 흔적들이 모두 느껴지는 설명이어서 너무 좋습니다 3D모델에도 신경을 많이 쓴 티가 나네요 한 가지 프로그램이 아니라 여러개의 렌더링 프로그램을 썼다는 부분에서 사무소 직원분들 고생 정말 많이 하셨을거 같아요 현준 소장님의 설명 + 영상편집 + 시각 작업으로 한층 더 이해하기 쉽도록 잘 만드신거 같습니다! 멋집니다!!
@wjatco
@wjatco 21 күн бұрын
나무 관리는 힘들어보이지만 서리풀 공원과 연결성을 살린다는 점이 너무 좋아보여요
@seoktaekwon1802
@seoktaekwon1802 20 күн бұрын
처음으로 댓글남겨봅니다. 진심으로 기다리던 동영상이었기에 너무나도 감사드립니다. H&DM은 제가 현재 아프리카 케냐에서 진행하는 프로젝트 담당설계사인데, 한국에 당선된 미술관 스토리를 이제 좀 이해하게 되었네요. 저는 학교후배로서 유현준교수님 언제나 응원합니다! 아프리카에서도 언제나 즐길수 있는 소중한 영상들에 언제나 감사합니다.
@Darkofnature
@Darkofnature 4 күн бұрын
한동안 안보이실길래 왜그런가 했는데, 공모전 참여하셨군요. 너무너무 애쓰신게 영상에서 가득 느껴집니다. 언젠가 공모전에 선정되서 그곳을 이용하는 이들에게 언제나 사랑받는 장소가 되길 기원합니다. 다시한번 너무너무 수고하셨습니다.
@user_evan0049k
@user_evan0049k 22 күн бұрын
교수님, 수고하셨습니다. 👏👏👏💐
@user-rv5jl5dw8k
@user-rv5jl5dw8k 19 күн бұрын
진짜 영상 하나하나 볼때마다 영감 8개정도는 얻고가는거 같습니다 유튜브 꾸준히 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loveisalllll
@loveisalllll 21 күн бұрын
예술가라면 욕을 먹더라도 자기 곤조가 확고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ㅋㅋㅋㅋ 늘 하시던대로 소신발언 잔뜩 해주시길
@user-jg7zo2jx2x
@user-jg7zo2jx2x 22 күн бұрын
"좋은 건축이란 무엇인가?"에 대해서 깊이 생각할 수 있었던 시간이었습니다. 결국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어떤 가치를 줄 수 있을 지 깊은 고민을 하신 게 보여서 좋았습니다. 채택되지 못한건 아쉽네요.
@user-lp6nj9rm9w
@user-lp6nj9rm9w 22 күн бұрын
너무 좋아요 ❤❤❤❤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교수님.. 학급 도서로 비치되어 있던 교수님의 공간의 미래를 읽고 고1때 진로를 확실히 결정해서 지금까지 이어오고 있습니다 ;) 항상 좋은 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HeraKang-st5dr
@HeraKang-st5dr 22 күн бұрын
셜록현준님의 빛나는 아이디어가 돋보이는 서리풀 수장고 디자인이 가장 마음에 들었습니다 ~^^ 👍 단연코 최고였어요 ^^ 🤗👏👍
@jinahong5671
@jinahong5671 22 күн бұрын
너무 좋은 아이디어 좋은 건축물인거같아요!!!👍👏👏
@yooonjeong6716
@yooonjeong6716 21 күн бұрын
수장고라는 건물의 본질에 대해 더 생각한 팀이 당선되었다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
@user-xi2qp1uj7x
@user-xi2qp1uj7x 18 күн бұрын
땅에 기억 너무 인상깊고 현준님 건축 디자인도 너무 좋았습니다!
@user-gj8kc6jj8n
@user-gj8kc6jj8n 21 күн бұрын
현준님은 자연을 엄청 좋아하시는거 같아요 잘보고있습니다
@jinchanhee
@jinchanhee 21 күн бұрын
정말 생각이란 무엇인가 하는걸 느끼게 해주는 영상이었습니다. 건축가분들이 집만 짓는 사람이 아니라 삶의 문화를 창조 해낼수 있는 사람이었구나, 정말 똑똑하고 신실한 사람이어야 겠다는 생각했습니다. 아울러 일상속에서 생각이란걸 많이 해야겠구나, 사고의 폭과 깊이를 늘려야겠다는 깨우침이 있는 귀한 영상이었습니다.
@user-eh4rw7kn5w
@user-eh4rw7kn5w 18 күн бұрын
컨셉과 아이디어가 참으로 훌륭하다고 생각합니다 덕분에 공간을 읽는 법에 대해 한수 배우고 숙고해봅니다
@lanakim2537
@lanakim2537 7 күн бұрын
요즘 출산률 이야기도 많고해서 인간의 행복에 가장 중요한게 무엇인가 라는 고민을 많이 하는거 같아요. 그 해답중 자연이 크게 다가오고, 특별히 매일 소소하게 만날수 있는 자연이 참 큰 영향을 미친다는 생각을 했는데, 현준님 디자인이 개인적으론 딱 그것의 해답에 너무도 적합하게 느껴졌어요. 한국에선 삐까뻔쩍하고 높은 빌딩들은 많지만, 그것들이 다 나와 관계 없는 그져 지나가는 빌딩이라 느껴지는데, 저렇게 모두를 환영하는 자연과 예술이 만날수 있는 곳이라면 정말 산첵만으로도 삶의 질이 올라갈것 같은 생각이 드네요. 채택되지 않은게 참 안타깝지만, 이런 사상으로, 인간의 행복 중심의 문제를 해결해주는 건축물들이 더 많이 생겨날수 있었으면 좋겠어요!
@alexkim969
@alexkim969 21 күн бұрын
벌써 123만이네요~ 잘보고 있습니다.
@user-sl309jd90
@user-sl309jd90 16 күн бұрын
교수님 소신발언 너무 재밌고 감사합니다. 역시 괜히 백만 구독자 채널이 아닙니다 ㅎㅎ
@sssy950
@sssy950 21 күн бұрын
역시나 선정된거는 보수적이고, 공무원스러운 걸로 됐네요 시장 업적용 존재감 드러나는 건축물+외국 유명 건축가, 부수적으로 관리비 적게 드는거 개인적으로 국내 건축가 세 분이 다 마음에 드는데
@user-df7dr8bi4g
@user-df7dr8bi4g 22 күн бұрын
정말 컨샙과 보기엔 제일 이쁘고 좋은데... 1000그루 나무의 관리가 어마어마 할 것 같아요 저게 1,2년 후에 부수는게 아니잖아요 10년 20년 그 이상도 가야하는건물인데 나무는 계속 자랄거고 커지면 하중과 관리가 감당이 안될듯합니다 ㅠㅠ
@user-bp6hd6yd6x
@user-bp6hd6yd6x 21 күн бұрын
수종 자체 물론 무거운 식생도 있어보이지만 관리에 용이하고 하중이 많이 안나가고 천근성 식물을 식재한걸로 보이기는 합니다.. 물론 관리는 어렵지만 이미 있던 수종들을 옮겨심는 상황에서는 어느정도 생장을 한 상태여서 10년 20년 안에는 커버가 가능하지 않을까 개인적으로 생각은 합니다.. 건축학과가 아니여서 잘은 모르지만 최소는 생각하고 설계하지 않았을까 생각이 듭니다!
@jinchanhee
@jinchanhee 21 күн бұрын
보통 사람들은 한번 만들고 나면 다시는 손을 안대도 되는걸 좋아하는데, 5년 키워서 무게나 높이가 맞지 않으면 베든지 뽑아서 기존의 사이즈로 변경하면 되죠. 그래봐야 5년에 한번 입니다. 대나무가 아닌이상 그렇게 어렵지는 않죠.
@getifucan
@getifucan 21 күн бұрын
건물에 나무... 말이쉽지... 물을 머금고있고 건물에 크랙이 조금만 가도 그 사이로 뿌리나 물이 들어갈텐데 그게 쉽나... 5년에 한번씩 교체...? 그 비용은 누가내는지... 자란나무는 이미 커져서 창문으로 옮기기도 힘드니까 크레인 설치해서 해야할텐데 그게 또 쉽나.... 땅에서도 나무 옮기기도 힘든데 무슨사고가 나고 그걸 언제다...? 말이쉽지 말이.... 교체할 나무는 또 어디서 사오고 교체될나무는 과연 식생이 잘 될지도 어떻게 아는지.... 이게 무슨... 실내나무는 그냥 화분수준으로해야지 건물자체에 심는건 정말 아닌거같음... 그리고 포장은 존경하고 참가한것만으로도 영광이고 한수배웠다고하시는데.... 그을쎄요.... 정작 내용은 다른작품 까고 본인작품 홍보라고밖에.....
@user-ft4so6vd2h
@user-ft4so6vd2h 20 күн бұрын
@@getifucan 근데 그런식으로 생각하면, 항상 평범한 건물만 보는거죠. 뛰어난 건물, 뛰어난 건축은 사람들의 편견을 깨고 만들어 지는 겁니다. 시도없이 만들어지는 대작은 없어요.
@mnm_nm
@mnm_nm 17 күн бұрын
근데 솔직히 건축하는 입장에서 나무 하중 생각 안하셨을리는 절대 없는데 그걸 어떻게 해결하려 하셨는지 말씀해주셨으면 이런 댓글 많이 안달렸을듯
@user-xy9ef4cm4u
@user-xy9ef4cm4u 16 күн бұрын
너무 재미있어요 다양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어서 너무 좋습니다
@user-bz2pk4er8s
@user-bz2pk4er8s 22 күн бұрын
확실히 건축가분들만의 개념과 관점에 따라 굉장히 다른 모델링이 나온다는 점이 인상깊었습니다.
@aki-dw8gx
@aki-dw8gx 22 күн бұрын
한국 국가 건물 특징 2가지가 있음 1. 유지보수가 편리해서 관리가 편하냐? / 2. 책임소재가 혹시라도 있는가? 이 두가지는 어떤 좋은 개념이 있어도 이길 수 없는 상위 개념임. 근데 교수님은 이 두가지를 못잡아서 안되신듯
@space_hiker_jay
@space_hiker_jay 20 күн бұрын
서리풀 공모전에 올라온 대가들의 작품과 함께 유교수님의 작품설명도 들을 수 있어서 뜻깊게 본 영상입니다. 욕들어 먹어도 소신발언 해야하면 해야죠. 저도 교수님 의견에 공감합니다. 화이팅.
@user-lcs0097
@user-lcs0097 22 күн бұрын
역시 허투루 넘어갈 거 하나도 없는 말씀입니다 무조건 보게 되는 최고의 채널.
@ParkMinCheol
@ParkMinCheol 22 күн бұрын
듣기 좋아라고 하는 말이 아니라 교수님의 안이 가장 좋네요. 제가 평소에 생각했던 이상적인 건축과도 유사하고 공간 특성에 대한 해석도 가장 훌륭하다고 생각합니다. 선정되지 않아서 아쉽네요.
@Amolang991
@Amolang991 3 күн бұрын
교수님 덕분에 건축에 관심 갖게 되고 노먼 포스터를 알게되어 노먼 포스터 전시회에 갖다왔습니다. 건축이라는 분야와는 1도 상관 없지만 덕분에 건축에 조금씩 관심을 갖게 되면서 평소에 아무런 감정 없이 걷던 길도 건축물을 보면서 가는 재미가 생겨 삶이 풍부해진것 같다 감사하다는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dororing0325
@dororing0325 10 күн бұрын
확실히 땅에 대한 이해와 조화가 되는 건물이 마음에 와닿네요~
@cheesechicken39
@cheesechicken39 22 күн бұрын
등교할때마다 맨날 보는 곳인데 저기에 이런 건물 생기면 너무 좋을듯 해요
@cheezpark
@cheezpark 21 күн бұрын
수많은 화분(?)관리와 벌레관리만 잘 처리되면 괜찮겠네요. 경험과 스토리가 탄탄해서 공감되는 내용이었습니다.
@user-un7nm3kb7h
@user-un7nm3kb7h 22 күн бұрын
식물을 유지관리하는 면에서 지속가능성이 낮다고 생각돼서 채택이 안된 거 아닐까요?? 저렇게 다 조각 나있는 곳에 식물을 다 심으면 각각 관수시설이니 배수시설이니 설치하는 게 가능한가 의문이 들어요
@user-ty3hz5vx6b
@user-ty3hz5vx6b 21 күн бұрын
나무에 대한 옵션은 벌레, 기후가 가장 큰 것 같습니다. 댓글에서 벌레를 말씀하셨고, 기후는 겨울도 있지만 나무로 인해 꽃가루가 날린다면 이 또한 문제가 될 것 같긴 해요. 앞으로 이와 비슷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컨텐츠를 미실 것 같긴 해서 조심스레 이에 대한 대응책을 강구해주셨음 합니다. 저는 너무 좋습니다. 대응책만 마련된다면요.
@sskim1882
@sskim1882 22 күн бұрын
너무 좋은 컨셉이셨든데... 탈락하셨더라도 응원합니다~~~
@sub.9112
@sub.9112 22 күн бұрын
해외 유명 건축가의 명성과 노하우도 좋지만.. 가장 한국의 지리적, 정서적, 문화적 이해도가 높은 국내 건축가가 선정되었으면 하는 아쉽기도 하네요. 그리고 교수님 출품작은 교수님께서 그동안 극찬했던 건축물들의 장점들이 녹아 들어간 작품 같았어요! 교수님의 프로젝트가 선정되었어야했는데 아쉽습니다😢 헤르조그 드뮈런 흰박스보다 훨씬 이뻐보이는데..
@whshshssjs4053
@whshshssjs4053 21 күн бұрын
정말 공감합니다. ㅎㅎㅎ
@babyji1013
@babyji1013 18 күн бұрын
퀄리티가 너무 충격적이라 유토피아 세상 같아요😍 공원 산책로 아이디어로 놀라운데 인공지능 아이디어까지 다채롭네요 팬심을 다 빼고 보더라도 교수님 사무소 아이디어와 디자인이 최고네요😍
@michaellee1627
@michaellee1627 22 күн бұрын
저정도 위치에 있는분이 저정도 겸손하기도 힘든데, 그게 이분이 계속 성장하는 이유인듯
@geniegenie7154
@geniegenie7154 21 күн бұрын
유현준 교수님의 겸손하신 모습이 더 큰 인물로 느껴집니다. 잘 보고 있습니다 ~~🎉
@user-qn7tc3jn6e
@user-qn7tc3jn6e 20 күн бұрын
유현준 교수의 특징이자 단점은 자연을 좋아한다는건데 사람들은 생각보다 자연도 좋아하지만 동상도 좋아하고 탑도 좋아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미켈란젤로의 다비드상이 아름답고 피라미드가 경외스러운것이죠 건축은 자연과 하나되는것도 중요하지만 결국엔 인공적으로 무언가를 만들어내는 과정이기에 너무 자연에 집착하시지는 않았으면 좋겠습니다ㅎㅎㅎ
@user-kate.k3850
@user-kate.k3850 20 күн бұрын
이파리 다~떨어진 겨울나무 마져 좋아하는 1인으로 또르륵ㅎㅎ 그렇네요..동상도 탑도 좋아하죠~~
@MulberryGarden1986
@MulberryGarden1986 21 күн бұрын
수장고라는 것이 결국엔 자연의 풍화로부터 미술품들을 보호하는 목적이라는 것을 생각해보면 식물로 둘러싸인 공중정원 컨셉은 잘 안맞는 것 같기도 합니다.
@lomica
@lomica 13 күн бұрын
그냥미술관이엇으면 뽑혓을듯요
@npyg760
@npyg760 21 күн бұрын
방구석에서 이런 고퀄리티 PT를 볼 수 있다니 감동입니다. 버티컬 아파트에 들어서게 되는 식생들 관리가 어려울거 같다는 생각이 들긴하네요ㅠ 고생하셨습니다!!
@misoonlee7029
@misoonlee7029 10 күн бұрын
훌륭한 기획입니다.
@x_x5497
@x_x5497 20 күн бұрын
오늘 영상 같이 건축물에 대한 영상들 더 많이 봤으면 좋겠네요!!
@user-du6dc9od7p
@user-du6dc9od7p 4 күн бұрын
거룩한 교만함이 느껴지네요. 너무 호감입니다.
@dffa1284
@dffa1284 22 күн бұрын
당선된 디자인은 공원에 언제 어떻게 누가 뭘 기념해서 이 부지를 조성했다는 기념비를 갖다 박는 느낌.. 침범하기 힘든 느낌, 수장고에 충실하게 단단하고 보안이 철저해 보입니다. 주변 개발된 곳에서 보면 수장고가 아니라 자산가치를 올려줄 거대하고 우아한 조형물처럼 보이겠습니다.
@yr4407
@yr4407 22 күн бұрын
개인적으로 제일 멋있어보이는데 너무 아쉽네요😂😂
@macchoi2
@macchoi2 21 күн бұрын
제일 마음에 들고 배운게 일상속 미술관 인것같아요. 돈을 내지않아도 산책로로 지나갈수있게끔 만들고 방문하면 사람들 호기심도생기고 굉장히 좋을것같네요. 일상 루틴중 산책 생활에 자연스레 미술관을 지나가게되니 이부분은 진짜 최고! 다만,식물 관리는 힘들겠다 싶었어요. 그거빼고는 아이디어들이 최곤거같습니다.
@daemokjoongna
@daemokjoongna 19 күн бұрын
근데 건축알못이지만 싱가폴 이런데도 나무 활용한 건물 많아서 아주 말이 안되는 소리는 아닌 거 같은데 아쉽네요!!! 이런 설명 너무 재밌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작업 많이 해주세요!!
@JJang_JJangss
@JJang_JJangss 21 күн бұрын
당선이 되고 실시 디테일로 풀게 된다면 조경업 입장에서 보면 현실성이 너무 떨어집니다 이미지 처럼 식생이 되지도 않을뿐더러 관수 및 병충해관리 자체가 어렵습니다 토심 확보도 안된 인공지반에서 수목은 겨울 한철 나기도 힘듭니다. 저 식재공간 마다 관수 및 드레인이 필요한데 가능할런지요. 저도 방송만보고 계획안들을 자세히 못봐서 챙겨봐야겠네요 영상 잘봤습니다
@user-sr8ch7qk1t
@user-sr8ch7qk1t 17 күн бұрын
동의합니다. 식생 관리자 비용(식생의 양이 많아 보임), 관리 동선이 영상에서는 잘 안보였습니다. 내부 관통은 정말 좋은 아이디어로 생각됩니다.
@user-jl5cf8vz4e
@user-jl5cf8vz4e 17 күн бұрын
그 땅과 시간 대한 소중함, 역사성이 느껴지는 디자인이네요. 얼마나 많은 애정을 들여서 디자인 하셨는지 느껴집니다.
@Menu-kn8xn
@Menu-kn8xn 13 күн бұрын
건축에 대해 공부를 한다는 생각으로 매일 보고 있습니다. 여러분야에 해박한 지식을 갖고 계서서 막힘이 없으시고 특히나 건축학은 숲을 보는 선구안이 있으신듯 합니다. 가만히 듣고 있으면 설명을 참 잘하셔서 타고난 천상 교육자라는 생각을 해봤습니다. 최재천 교수님과의 만남을 기대했었는데 두분이 각 분야에서 이미 승승장구하고 계셔서 아쉽씁니다. 두아이의 엄마로 곧 환갑인 나이에 유익한 강의를 들으며 배움의 여백을 잠시 나마 채울 수 있어서 마음이 동해서 용기내어 리플을 달아 봅니다. 교수님 항상 끝까지 지금의 자세로 있어 주시기를 부탁합니다. 늘 응원하고 있겠습니다.😊
@bmc.137
@bmc.137 14 күн бұрын
겨울 조경은 별볼일 없을 것 같이 생각하는 분들도 계신것 같아요~; 동양이든 서양이든, 겨울에도 아름다운 조경이 다른 계절에도 아름답게 보일 수 있다고 하죠~ 겨울에만 볼 수 있는, 낙엽 진 후 비로소 가지의 멋진 수형이라든지.. 그와중에 푸르른 상록 소나무등의 나무들이 있을 수도 있겠고요. 마른 사초류가 겨울바람에 흔들리는 모습, 씨송이가 맺힌 지피초화류 등등 아름다운 조경 디자인을 한다면 충분히 우리나라 계절에 아름다운 조경을 볼 수 있다고 생각해요. 교수님의 멋진 작품이 언젠가 꼭 실현되어 직접 보게 되는 날이 오길 바랍니다!:)🌿
@threelittlefriends7825
@threelittlefriends7825 21 күн бұрын
예전에 중국 아파트도 똑같이 나무와 함께하는 건물을 지었다가 벌레가 꼬여서 페허가 되었다는 걸 보았습니다. 두번째 안도 뉴욕 구겐하임이 생각나서요. 유니크한 느낌이 안 나서요. 기억의 땅이란 컨셉은 너무 멋지네요
@user-hj9og4sk7h
@user-hj9og4sk7h 21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는 셜록 현준님 보유국👍 좋은 설명 감사합니다
@user-im6ss8px5e
@user-im6ss8px5e 21 күн бұрын
아무래도 나무들의 관리나 유지보수, 벌레등이 꼬일 것 같은 문제들 때문에 아쉽게도 채택이 안됬던 것은 아닐까... 조심스럽게 생각해봅니다. 그럼에도 정말 훌륭한 아이디어의 수준높은 건축설계를 볼 수 있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 수고하셨습니다!
@JK-qo1iy
@JK-qo1iy 17 күн бұрын
채택되지 않은 것이 안타까울 만큼 너무 좋네요~!
@user-pb5qc1br2q
@user-pb5qc1br2q 22 күн бұрын
교수님, 제가 교수님의 말씀을 통해서 많은 영감을 얻고 있습니다. 항상 감사드립니다~♡ 23:43
@onesyong7056
@onesyong7056 20 күн бұрын
미술품 관람과 서리풀공원 산책로, 두마리 토끼를 다 잡고 싶다 하셨는데요. 산책 하시는 분들 중에는 사람이 적은, 조용하고 편안한 공간을 원하는 분들이 계십니다. 모두는 아니겠지만 몇몇은 미술관을 통해가는게 불편하다고 느꼈을겁니다. 그리고 강아지를 데리고 간다면 실내에선 안아서 가야하고, 혹시라도 짖으면 미술관내의 정적을 심히 깰거라 생각됩니다. 다만, 서양에서 숲과 연결된 미술관 공모전 이었으면 당선 확률이 더 높았을거라 생각됩니다. 자연을 기반한 설계 너무나 자연스러워 좋았습니다.
@Mcketchupinfilanternprolonged
@Mcketchupinfilanternprolonged 9 күн бұрын
외국에 잘하고 좋은 건축사무소가 많지만, 그래도 우리나라에 건축이 많이 발전해서 좋은 건축가와 건축사무소가 나올 수 있게 해야하는 이유가 드러나는 좋은 영상이네요.
@dlrudghk77
@dlrudghk77 21 күн бұрын
와 늘 신기한 건축의 세계에요 늘 신기하고 감사하게 보고 있는 애청자~~작년 로테르담에서 본 더폿 수장고 미술관 나와서 반가왔어요 한국에도 그와 같은 미술관 생긴다니 좋으네요. 아쉬운건 그땅을 정확하게 이해할수 없는데 그것이 참 많이 아쉽네요
@user-ij2qx7uw1c
@user-ij2qx7uw1c 22 күн бұрын
너무 좋은 아이디어인데.. 결국은 당선안을 보니 좀.. 쉽고 편한길을 선택했다 라는 부분으로 느껴져서 좀 아쉽긴하네요~! 수고많으셨습니다~!^^
@dexlee383
@dexlee383 22 күн бұрын
아무래도 건축가들 이름값 무시 못하겠죠.. 외국의 유명한 누구누구가 디자인했다더라
@user-iz7xn5px8j
@user-iz7xn5px8j 22 күн бұрын
@@gwp5938왜요
@zerowing8272
@zerowing8272 21 күн бұрын
다른 분들 아이디어도 좋았는데.... 당선안을 보니 그냥 아무도 안가는 흔하디 흔한 창고 건물 하나 만들거 같은 느낌이네요.
@hex-lf1lb
@hex-lf1lb 21 күн бұрын
저걸 관리하기 힘들어서 그런게 크겠죠 벌레도 관리해야하고 안 죽고 과하게 크지 않도록 관리도 해야하고
@YC-tv3ny
@YC-tv3ny 8 күн бұрын
안타깝게 낙선하셨지만, 훌륭한 생각과 아이디어였네요. 늘 노력하시는 모습을 배우고 갑니다!
@user-wp6ig1qp4x
@user-wp6ig1qp4x 19 күн бұрын
숲을 복구하려는 컨셉이 좋아요!! 관련업계 종사자로서 근무하고 싶은 곳이네요ㅠㅠㅜ이런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건축물이 좋아요!!
@ausmandkim3900
@ausmandkim3900 17 күн бұрын
연결성.. 이거에 엄청 공감했어요. 그 동선을 내가 즐길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싶었지요. 다만, '형태는 기능을 따른다'에 밀리셨던 게 아닐까 싶어요. 교수님의 착안과 당선작의 형태를 포개 놓으면 참 좋겠다는 생각을 해요. 수고 많으셨습니다.
@user-iv2ox2bc1z
@user-iv2ox2bc1z 22 күн бұрын
풀 관리하기 힘들어보이긴하는데 확실히 그거 빼면 내부 관통이라든지 공용공간이 많다든지 하는게 너무 매력적이네요. 7가중에 데이트할때 가장 가면 좋을거같은데 아쉽네요
@user-ne5ko8be4c
@user-ne5ko8be4c 22 күн бұрын
제가 학생일때 봤으면 더욱 좋았겠다는 생생하고 값진 행사였습니다❤ 현준교수님 컨셉 맘에 들었는데 자세히 들으니 더 좋네요. 다만 자연회복과 동선 컨셉이 어루러져 결과물로 보일때 사람들이 보고 아 이거다 해야하는데 그 제스쳐가 소극적이여서 아쉽다 느낌이긴했어요 감히 크리틱 ..
@chanik4419
@chanik4419 10 күн бұрын
너무 멋있는 건물이네요
@junghoonkim9316
@junghoonkim9316 22 күн бұрын
그냥 싸고 관리하기 쉬운 걸로 한 느낌. 실제 건축 비용은 모르겠지만요. 서울시민에게 그 공간을 되돌려 준다는 개념이라면 개인적으로는 유현준님이나 노먼 포스터의 안이 더 좋아보이네요
@user-hs2bo1dc4e
@user-hs2bo1dc4e 20 күн бұрын
미술관의 원래 목적보다 나무관리(벌레, 새똥, 전지)에 더 많은 신경을 써야한다는 점이 아쉽습니다.
@rose1004yu
@rose1004yu 22 күн бұрын
명강의를 들었습니다. 우리나라 프리츠커상 최초 수상자가 될 날을 기대합니다7~♡
@user-yf2us8be6y
@user-yf2us8be6y 22 күн бұрын
대단하십니다 교수님 정말..
@jumistyj4022
@jumistyj4022 13 күн бұрын
This is an amazing project.
@user-hl8gc1lx4x
@user-hl8gc1lx4x 21 күн бұрын
저도 셜록현준님의 안이 젤 마음에 드네요. 하지만 실무자는 나무관리 생각하니 귀챠니즘도 있었갰고 가운데 ... 비워진 공간이 아까왔울수도 있겠내요 전 가운데 뻥 뚫린게 참 마음에 드는데요 . 미술품 보관은 모르겠고 시민 입장에서 보자면 산책과 연계할 수 있어 젤 좋아보입니다
@RYP89
@RYP89 21 күн бұрын
저는 현준님 사무실의 제안건이 가장 적합하다고 봅니다😊 고생 많으셨습니다!
@rockhur3015
@rockhur3015 22 күн бұрын
기업 일을 해오다가 코로나시국부터 공공기관을 상대로 일을 하고 있습니다만, 눈높이나 인사이트가 너무 낮아요. 외부전문가들이 심사위원으로 포함되지만 여전히 공무원포션이 많고 개량화된 정성평가영역이 안쓰러운 수준입니다. 공정성을 염두에둔 평가설계이겠지만 크리에이티브의 변별력이 당락을 결정하지 못하는 구조입니다. 요즘은 바람을 고려해 오조준하는 양궁처럼 일부러 공공기관의 수준에 맞춰서 들어갈 정도입니다. 우습죠.
@sheena5432
@sheena5432 22 күн бұрын
와 놀라고 갑니다
@sonsooana
@sonsooana 18 күн бұрын
안타까워요, 이런 대형 프로젝트를 우리의 건축가들이 맡아 할 수 없다는 거. 모험을 하고, '같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모델로 만들 수도 있는 건데 말이죠. 좋고 아름답고 근사한 걸 함께 누릴 수 있도록 미술관을 관통하는 산책로를 만들 상상, 멋져요. 원래의 땅이 품고 있었던 식물을 저버리지 않는 바이오필리아적 자세도 따뜻하구요. 수고하셨습니다.
@griiim_
@griiim_ 21 күн бұрын
사람이 만든 예술과 자연이 만드는 예술을 동시에 경험할 수 있는 건축이라는게 더 큰 예술품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그곳에 작가님의 경험이 스며있으니 또 거대한 역사가 담겨있기도 하구요 멋진 스토리입니다 멋지디ㅡ
@griiim_
@griiim_ 21 күн бұрын
미술관을 관통하는 산책로가 작정하고 가는 사람들과 차려입지 않은 산책인들 모두 공유할 수 있게 한 아이디어가 진짜 시민들에게 주는 선물 같네요
@myboo4655
@myboo4655 19 күн бұрын
건축가 직접 말씀하시는거라 그런지 설득력이 엄청나네요 ㅎㅎ 한국 건축가에게 기회를 더 줬으면 인프라가 더 만들어졌을텐데하는 아쉬움이 있네요 다음엔 더 좋은 기회가 함께 할거라 믿습니다.
@sinko0202
@sinko0202 21 күн бұрын
편집팀이 일을 잘하네 여기는
@InCryptoWeTrust-df3ev
@InCryptoWeTrust-df3ev 22 күн бұрын
와 식물을 위한 아파트.. 상상하지도 못한 아이디어네요 식물의 종류와 토심까지 고려한 대단함에 감탄하고 갑니다. 일반인이 보기에 여러가지 요소를 다각도로 고려해서 건축안을 설계하신다는거 자체가 진짜 대단한 건축가 이시구나 라는 것을 다시한번 느낄수 있었습니다. 영상 내내 이것과 저것 연계성, 요소요소별로 아우를 수 있는 다각도로 계속 계속 생각이 꼬리를 물면서 어떻게든 모든 요소를 아우르려고 하신점이 인상깊었습니다. 예전에 영상 올리신거중에 어떤 외국 건물인데 건물 사이로 사람이 다닐수있는 길이 있었던 영상이 있었는데 공원으로 통하는 길을 만드신걸 보면서 그게 생각나네요.
@ParkMax
@ParkMax 22 күн бұрын
뉴욕 하이라인
@200223101
@200223101 22 күн бұрын
예전에 중국에서 저런 건물 지었다가 벌레가 엄청 나와서 아무도 입주를 안한다는 뉴스를 본 것 같은데 ㅋㅋ
@sunkoolee5424
@sunkoolee5424 22 күн бұрын
건물 외관에 나무를 심는 종류의 디자인을 볼때마다 궁금한건데 나무 관리는 어떻게 하는 건가요? 나무가 태풍에 꺽여서 떨어지거나 죽거나 혹은 너무 크게 자라면...벌레는? 가로수하곤 관리하는 난이도가 너무 차이날거 같은데요.
@rayoflight__9800
@rayoflight__9800 22 күн бұрын
​@@user-vm5xd1ej9j그 답변이 너무 별로였어요 내용도 태도도
@dexlee383
@dexlee383 22 күн бұрын
아이디어는 제일 좋은데 건축비도 유지비도 꽤나 비싸겠다는 생각은 들긴 했어요
@Ubermensch365
@Ubermensch365 22 күн бұрын
@@rayoflight__9800댓삭햇누
@rayoflight__9800
@rayoflight__9800 22 күн бұрын
​@@Ubermensch365???
@chichisong
@chichisong 22 күн бұрын
저도 비슷한 생각이 들었어요. 낙엽 관리를 봉사자나 다른 인력이 할 때 안전 설비가 없다면 자칫 위험할 수 있을 것 같아요. 낙하사고라도 난다면...후덜덜
@sower37
@sower37 22 күн бұрын
컨셉은 좋은데... 식생 관리 난이도가 너무 높은 것 같아요. 몇몇 이미지보면 사람이 갈 수 없는 위치에 식생이 심겨져있는데 그런 부분에 해답을 서울시에 떠넘겨버린 느낌이라 아쉽습니다.
@junseoksb
@junseoksb 18 күн бұрын
솔직해서 좋다
@user-ju7sj8ks4v
@user-ju7sj8ks4v 21 күн бұрын
와 정보사 출신이셨구나 반갑네요
@goodluck3269
@goodluck3269 21 күн бұрын
안녕하세요 ❤ 교수님 ❤ 군시절 너무 귀여워용 😊😅 교수님의 건축 철학에 대해서 더욱더 알게되었습니다 ❤ 끼다니요 ㅠㅠ 전세계최고의 건축가 감히 한분 유현준 교수님 ❤ 항상 감사합니다 ❤
@simple3971
@simple3971 20 күн бұрын
완벽하게 그 공간의 에너지를 활용하는 건축이 좋은 건축이다.
@sgjludk
@sgjludk 20 күн бұрын
혹시 조류충돌문제도 고려하셨는지 궁금합니다. 자료화면에 유리가 엄청나게 많은데 전부 조류충돌 위험이 높아보여요.(저렇게 공원과 가까우면 이동조류가 많아서 더 조류충돌이 많이 일어납니다) 조류가 충돌하는것 자체도 물론 문제고, 공공기관은 이제 유리창 조류충돌방지가 필수적이라서 나온 창에 전부 스티커가 붙거나 저감조치가 될지라 미관상으로도 달라질 가능성이 높아보여요.
@user-sp5qg6we9h
@user-sp5qg6we9h 22 күн бұрын
유현준 교수님! 외람되지만 영상에 입고나오신 네이비색 반팔티셔츠 정보를 좀 알 수 있을까요? 너무 잘 어울리세요^^
@amuge30303
@amuge30303 22 күн бұрын
젊으셨을때 인물이 꽤나 훌륭하셨군요
@user-ws1oh4di5u
@user-ws1oh4di5u 21 күн бұрын
개인적으로는 현준님 안이 가장 좋은거 같네요. 뭔가 스토리텔링적인 요소에서 강하게 끌린달까? 다른 건축물들이 외관적으로 봤을때는 더 나은 장점이 있을지 몰라도, 저라면 더 자주 가고 싶고 갈수 있는 미술관이라면 현준님 작품이였을거 같아요. 심사위원 평에도 나왔듯이 겨울이 되면 외관이 좀 쓸쓸해지는 경향이 있을듯 한데, 365일 화려해야 한다가 심사 포인트에 있어서 발탁이 안된거 아닌가 싶네요. 그래도 가장 재미있는 작품이였는데 저도 아쉽네요.
변호사 사무실을 위한 서초동 빌딩을 설계했습니다.
20:12
Bro be careful where you drop the ball  #learnfromkhaby  #comedy
00:19
Khaby. Lame
Рет қаралды 42 МЛН
КАРМАНЧИК 2 СЕЗОН 6 СЕРИЯ
21:57
Inter Production
Рет қаралды 404 М.
Can You Draw The PERFECT Circle?
00:57
Stokes Twins
Рет қаралды 97 МЛН
Como ela fez isso? 😲
00:12
Los Wagners
Рет қаралды 27 МЛН
건축거장들의 표현법 (배치도, 다이어그램, 컨셉)
14:17
건축가의 집 중 최고의 집을 뽑는다면
21:28
셜록현준
Рет қаралды 456 М.
바둑 세계1위 신진서 근황
34:28
슈카월드 코믹스
Рет қаралды 582 М.
Bro be careful where you drop the ball  #learnfromkhaby  #comedy
00:19
Khaby. Lame
Рет қаралды 42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