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국 잘되는 아이들의 2가지 공통점!!(초등교육전문가 김선호)

  Рет қаралды 120,397

Solve all the curiosities of child education

Solve all the curiosities of child education

Жыл бұрын

사립초에서 상위 1% 아이들에게는 어떤 특징이 있을까요. 결국 잘되는 아이의 공통점에 대해 초등교육전문가 김선호 선생님께 들어봤습니다.
📢방종임 편집장 신간 '자녀교육 절대공식'
👉예스24 bit.ly/3GEb8xW
👉교보문고 bit.ly/3GD2907
👉알라딘 bit.ly/3i9jkgt
섭외 제보 및 문의 leo0521@naver.com
교육대기자TV 인스타그램 @daegizatv @bangjongim
#사립초 #상위1% #초격차

Пікірлер: 157
@daegizatv
@daegizatv Жыл бұрын
결국 잘되는 아이들의 특징에 대해 초등교육전문가 김선호 선생님께 들었습니다 📢교육대기자TV 인스타에서 만나기 instagram.com/daegizatv instagram.com/bangjongim 📢방종임 편집장 신간 '자녀교육 절대공식' 👉예스24 bit.ly/3GEb8xW 👉교보문고 bit.ly/3GD2907 👉알라딘 bit.ly/3i9jkgt
@agneshan1017
@agneshan1017 Жыл бұрын
ADHD아이들의 정서와 학습에 대한 이야기도 듣고싶어요ㅠㅠ 책으로만 찾아보려니 너무 힘드네요ㅠㅠ
@user-th1ry2vn8p
@user-th1ry2vn8p Жыл бұрын
부모와 대화 많이 하고 관계가 좋은 아이들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빛이 납니다. 중학교에서 공통으로 실시하는 가디언스 정서검사, 심리검사 등에서도 정확히 수치로 나와요. 불안도, 예민도, 우울성, 정서적안정감이 딱 수치로 나옵니다. 모든게 부모가 정성들인 딱 그만큼이에요. 뿌린대로 거두는거죠~ 뭐하나 잘하는 아이가 다 잘하는 것도 맞고요, 잘하는게 많은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이 아이들은 자존감, 안정감, 회복탄력성이 비교도 안될정도로 높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런 아이의 부모는 갈수록 편해집니다. 반대의 경우는 여러가지 이유로 갈수록 더 힘들어져요. 인정해야 합니다. 선생님말씀 틀린거 하나 없어요~
@sinaechong2209
@sinaechong2209 Жыл бұрын
맞아요….. 근데 ‘정성을 들이는 것’ 이…. 아이 위주가 되어야 할 것 같아요…. 아이의 욕구와 의사를 존중하고 배려하고…… 사춘기 부모로서….. 내 말이 아이에게 어떻게 들릴까 한번 더 생각하고…. 할말 안할말 가려하고.. 참고.. 하는 것이 참 쉽지 않더군요😅 제 자신이 세자매인데…. 저희 친정 어머니 말씀이… 온갖 정성을 들인 첫째인 저보다….. 욱체적으로 힘들어 그저 예뻐하기만 했던 … 손 제일 덜 탄 늦둥이 막내가.. 제일 잘 컸다고 (저도 동감^^ 학업적 성취도는 제가 제일 높았지만…. 전체적으로 볼 때 막내가 더 행복한 삶?😅) … 제가 첫째에게 온갖 공을 들이며 힘들어할 때 하셨던 말씀이 생각나요…… ㅎㅎ 또… 통역사 안현모님 이야기도 기억에 남는데 … 그 분이 기억하는 친정 엄마는 늘…. 가부좌를 틀고 앉아 명상하는 모습이었다고 ㅎㅎ 사람 하나 키우기 참 ….. 쉽지 않네요 ㅎㅎㅎ
@misookahn5398
@misookahn5398 Жыл бұрын
​@@sinaechong2209 그러게요. 정성을 들인다는것이 어떻게 얼만큼 그게 너무 어려워요. 부모입장에서 대부분 정성을 들일탠데 부작용도 많고....아이 눈높이에 맞는 정성..이게 모든 부모교육의 핵심이겠죠.
@user-gb9up8qr1j
@user-gb9up8qr1j Жыл бұрын
틀린말씀은 하나 없지만 이런 영향력 있는 채널에서 말씀을 하실때는 부작용에 대한 염려와 대다수 아이들과 부모에 대한 입장, 대안들도 첨언을 해주실 필요도 있울 것 같네요. 친절한 어른으로서요.
@user-th1ry2vn8p
@user-th1ry2vn8p Жыл бұрын
​그러네요~ 제 생각이 짧았습니다. 친절한 어른이 아니었다는 반성이 듭니다. 덕분에 앞으로는 조금 더 책임감있는 답글을 써야겠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조언 진심으로 감사해요!
@user-hd8nl8lj4p
@user-hd8nl8lj4p Жыл бұрын
꼭 상위 1%로가 잘 되는것일까?라는 질문을 던지고 싶어요. 물론 그 1%안에 사회를 위해 기여하고 돕는사람도 있겠지만, 우린 사랑하는 자녀를 둔 부모로써 그 1%안에 들기위해 방법적으로 애쓰기보다는 작은 달란트를 지닌 아이일지라도 건강한 정서가 성장할수있도록 가정에서 사랑과 충분한 지지가 있어야 하는것 아닐까요? 우리가 모두 1%가 아니여도 또는 김선호선생님 영상을 통해 부모들이 선한영향을 줄수있는것처럼~
@user-kl2ut6hp2u
@user-kl2ut6hp2u Жыл бұрын
김선호 선생님 말씀 너무 공감되고 도움되는 부분 많은데 모든 아이들이 똑같지도 않고 책 많이 못 읽어준거, 여행 많이 못간거 등 너무 죄책감 갖진 말자구요. 저는 외동아들 6학년인데 어릴때 책 읽어준적 몇번 없어요. 다만 TV, 아이핸드폰 없고 토요일에 도서관에 자주 델고 다니고, 좋은책 빌려와서 여기저기 두면 자연스럽게 독서합디다. 독서보다 정서가 먼저에요. 사랑한다 이뿌다 기특하다하며 넘치게 안아주시고 소통 많이하세요, 폰 없어도 친구들과 잘놀고 자존감 뿜뿜입니다. 만화책도 좋아하지만 두꺼운 고전, 해리포터, 장편소설 다 섭렵하고 학교시험도 거의 백점이에요. 학습지도 4학년때부터 적당량 꾸준히 할수 있게 코치해주니 지금은 알아서 합니다,영어원서도 잘 읽구요. 미술은 너~~무 못하는데 다 잘할필요 없다고 얘기해줍니다. 아들 미술작품보면 둘이 같이 한바탕 웃고 쿨하게 넘어갑니다.무엇보다 엄마를 좋아하게 해야합니다. 엄마의 칭찬, 사랑이 젤 기분 좋다고 합니다. 키도 이제 저보다 큰놈이 매일 저한테 능글능글 사랑고백하고 뽀뽀해 줍니다
@user-sz1qk7hb9p
@user-sz1qk7hb9p Жыл бұрын
멎져요 유딩 엄마 배우고 갑니다❤
@user-by8bw8th8o
@user-by8bw8th8o 8 ай бұрын
멋지엄마세요❤
@sophiaandmom1208
@sophiaandmom1208 Жыл бұрын
친절한 도움을 주는 사람이 필요하다.(학원이든 부모든 누구든 해주어야 한다) 여태 들어본 근거중에 핵심단어 입니다. 아이가 하기 싫다고 말할때, 힘들다고 말할때 기다려주고 도와주는 친절한 도움을 주는 사람. 교육 전문가들이 부모들에게 계속 말하는게 친절이었네요!! 너무감사합니다. 너무 큰 깨달음입니다!
@Space-gw3yj
@Space-gw3yj Жыл бұрын
친절보다는 존중이라는 단어가 더 적합하다고 생각해요.
@user-ih9xl5kr2e
@user-ih9xl5kr2e Жыл бұрын
친절한 어른에서 저도 정말 뭉클하네요. 친절한 어른이 되도록 노력해야겠어요 감사합니다. 오늘 강의 너무 좋아요
@annalove2472
@annalove2472 11 ай бұрын
영상 두번 봤어요. 김선호 선생님 말씀들으면서 딱 우리 얘기다 하고 놀라고 또 뭉클했어요. 워킹맘이었고 부부가 책을 좋아해서 육아도 책으로 배웠어요. 임신중에 육아서적 50권쯤 읽었습니다. 대부분 책에서 공통된 건 책 많이 읽어주고 많이 부비부비하고 여행 많이 다녀라 정도였어요. 태교할 때부터 아빠가 매일 책 읽어 줬구요, 태어나서는 거실에 tv있어도 한번 틀지 않고 집안 여기저기 책 쌓아두고 가지고 놀게했어요. 많이 안아주고 아이가 뭘 모를때였지만 이것저것 많이 보여주려고 애셨습니다. 초보엄빠가 뭘 알아서 했다기보다 육아서에 적힌대로 실천하려고 노력했습니다. 저희가 책을 좋아도 하지만 아이앞에서 보는척도 많이 했습니다. 지금도요 ㅎㅎ 주말마다 계획세워서 여행다니고 여행안가는 주말은 공원에서 자전거 타고 도서관 갑니다. 책 많이 읽어주고 국내외 방방곡곡 여행 정말 많이 다녔구요. 양가 할아버지 할머니 사랑 듬뿍받고 아이 성향이 긍정적이고 인사도 잘해서 같은 아파트 같은 라인에서 엘베타는 다른 어르신들께서 오히려 저에게 아이가 어쩜 이렇게 예의가 바르냐며 항상 칭찬해주셨어요. 어릴때는 몬테소리 선생님께서 오실때마다 칭찬 듬뿍해주셨고 어떤 사교육을 하더라도 아이가 워낙 태도가 좋아서 배우는대로 쫙쫙 흡수하는 타입이었어요. 그만큼 칭찬도 많이 받았구요. 그리고 저희도 정말 사랑 많이 주면서 키웠구요. 친절한 어른이 있어야 한다는 이야기 듣고 너무 놀랬고 격하게 공감했습니다. 공부정서가 좋아서인지 배우고 도전하는거 정말 좋아합니다. 지금 초등5학년인데 6세부터 피아노, 미술, 수영, 태권도, 스키, 승마, 보드, 플라잉요가 등 뭐든지 시작해서 일정 수준이 될때까지 꾸준히 했습니다. 피아노는 체르니30, 스키 상급타고 요가도 2년 정도해서 집에 해먹설치해달라고 조르고 있어요.. 미술도 좋아해서 4년째 학원을 다닙니다. 영어는 유아때부터 영상은 안보여줬고 cd와 책으로 노출시키다가 7세부터 꾸준히 사교육 도움받았더니 영어도 잘하고 오히려 중국어나 일본어 추가로 배우고싶다고 합니다. 각종 글짓기대회 엽서쓰기 미술대회 과학실험캠프 영어캠프 등 아이가 하고싶어해서 시간내서 대부분 참가하고요, 학교자치회활동도 하고 있습니다. 아침에 6시30분에 스스로 일어나서 여유있게 등교준비 하고 영어영상이나 한국사 학습지 좀 보다가 7시50분에 나갑니다. 바로 집앞이 학교라서 저의 매일 1등으로 등교하는데 왜 이렇게 일찍 가냐고 하면 빨리 가면 30분은 책을 읽을 수 있어서 라고 해요. 공부정서가 좋은 아이가 맞는것 같습니다. 어느 순간부터 저희 부부는 공부해라 얘기안하고 잔소리도 하지 않습니다. 대신 저희가 책 보거나 보는 척 합니다. 공부 시키고 싶을땐 아이 교과서를 가져오게 해서 한 문단 씩 번갈아 읽습니다. tv도 다큐나 여행관련 프로그램 위주로 아이와 함께 시청해요. 성적은 항상 상위권이고 담임선생님께서 교우관계도 좋고 수업태도나 참여도 잘하고 부모님 걱정없겠다고 하십니다. 김선호선생님 영상에서 교육은 투자라고 시작은 어릴때부터 해서 오~래 하는 것이 좋다고 하셨는데 딱 저희가 그 케이스라는 생각이 들어서 처음으로 길게 댓글 남겨봅니다. 주변에서 어떻게 아이를 키웠냐고 물어보면 꼭 얘기했거든요. 어렷을때부터 공 들여 키웠다. tv 안켰고 워킹맘이었지만 피곤해도 책 읽어주고 매일 학원에서 배운내용 체크했고, 쉬고 싶었지만 주말마다 아이와 여행 다녔다. 영상보며 다시 한번 느꼈지만 어릴 때 투자해놓으니 지금 정말 편합니다. 영상 보시고 선생님 말씀대로 실천해보시면 정말 후회안하실거라고 확신합니다.
@jebae_2850
@jebae_2850 Жыл бұрын
친절한 어른이란 말이 너무 와닿네요...아무리 아이와 함께 해주는 시간의 질이 중요하다고 하지만 선생님이 말씀하신 '일정 시간' 친절한 어른이 되어주는 것의 무게도 꽤 큰것 같습니다.
@user-kv7uk8lx2l
@user-kv7uk8lx2l Жыл бұрын
이분은 사립초선생님이라 공립초에 대입하긴힘들더라 보통사립초는 연간학비가 1000이넘고 그만큼 아이들에게 투자할정도로 부모도 공립초보내는부모보다 관심이많지 애들도공부잘하고...
@benedicta8330
@benedicta8330 Жыл бұрын
친절한 어른은 사랑과 시간을 상냥하게 내어줄 수 있는 사람같습니다.
@laelsworld1116
@laelsworld1116 Жыл бұрын
독서도 여행도 결국 부모와의 정서적 연결이 좋은 거네요. 부모가 어릴적부터 선행을 시키는 것이 아니라 아이의 정서 함양에 기본이 되는 것들을 키워줄때 아이가 더 잘 될 수 밖에 없는거 같아요. 하고자 하는 의욕이 많은 애들이 공부나 운동이나 잘 하는건 많는거 같아요. 물론 예체능에서 두각을 드러내는 애들은 타고난 경우가 많고요. 그외에는 부모가 어떻게 해주느냐에 따라서 달라지는게 맞는거 같고 그게 독서와 여행인거 같네요. 이도 저도 안했는데 잘하는 애들은 오은영 교수가 하는 말이죠, 감사해야 하는 케이스라고요. 그런 애를 내가 만난거죠.
@user-fi6mi9di6v
@user-fi6mi9di6v Жыл бұрын
김선호 선생님 말씀에 동감해요, 아이에 대한 투자 첫번째는 독서!! 저도 저희 아이에게 독서를 꾸준히 같이 하고 있는데 고학년이 된 지금 빛을 발하고 있어요😊
@user-tg1mw5tl7z
@user-tg1mw5tl7z Жыл бұрын
항상 느끼는 건데, 질문 날카롭고 정확해서 좋아요. 오늘 내용도 너무 유용하고 임팩트 있네요. 많이 연구하시고 준비하시는 것 같아 감사드립니다
@daegizatv
@daegizatv Жыл бұрын
응원의 말씀 감사합니다. 많이 준비하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관심과 응원 부탁드려요^^
@LODD-wq6bl
@LODD-wq6bl Жыл бұрын
진짜 방편집장님 최고네요. 게스트 나오셔서 이야기해주시면 거기서 어떤점를 캐치해서 다시 물어보시고. 우수사례가 아닌 소외되거나 걱정되는 아이들 사례까지 염두해서 질문해주시고...인사이트 최고세요! 👍
@daegizatv
@daegizatv Жыл бұрын
과찬의 말씀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많은 응원 부탁드려요^^
@TKKo-sw8mq
@TKKo-sw8mq Жыл бұрын
와~ 선생님 말씀에 감탄했습니다. 귀한 말씀 감사합니다!
@behumble8818
@behumble8818 Жыл бұрын
선생님 말씀에 공감합니다 😅 저도 26년동안 아이들 가르치고 있는데 공부정서가 정말 유전적 또는 유아기 기간까지 어느정도 정해지는 것 같더라구요
@user-gm2fe2ux6b
@user-gm2fe2ux6b Жыл бұрын
너무 현실적인 강의^^너무 도움됩니다~ 감사합니다.
@freefree-oc4jx
@freefree-oc4jx Жыл бұрын
오늘 너무나 좋은강의 감사해요~~^^진짜 좋은말씀같아요
@user-fb3fo5de5e
@user-fb3fo5de5e Жыл бұрын
3세시기부터 자기 스스로 책을보며 하루종일 책가지고 노는 남아였는데 제가 하루 2-3시간씩 8세까지 읽어줬어요 6세부터 그림 그리고 책도 쓰고 지금은 초4인데 해리포터 양장본 두꺼운책을 시리즈로 사다놓고 읽는답니다. 한국사 세계사 좋아해서 역사박사님이구요 고학년 갈수록 책의 힘을 믿으며 빛을 발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user-jg3zf1ye3q
@user-jg3zf1ye3q Жыл бұрын
영상 잘 봤습니다.교육대기자티비 영상중 방종임편집장님과 김선호교육전문가님 말씀이 가장 와닿아서 책도 모두 구매했습니다.진짜 궁금한게 있는대요.저희 아이는 아직 아무것도 배우고싶은게 없다합니다.진짜 수업과 방과후 1개외 학습지조차도 안하고있어요.책 자주 읽어줘서 지금은 스스로 잘 읽고 저흐는 사교육비 대신 여행 많이 다니고 있는데요.영어도.태권도도.악기도.학습지도 하고싶은게 아직없다는데 기다리는게 맞겠죠.아직 초저인데 진짜 저와 아들만 이러고있는지 걱정이되서요ㅠ누구라도 답변 부탁드립니다.
@daegizatv
@daegizatv Жыл бұрын
스스로 잘읽고 잘하는 아이라면 너무 불안해하거나 걱정하지마세요^^
@user-jg3zf1ye3q
@user-jg3zf1ye3q Жыл бұрын
@@daegizatv 감사합니다.또래에 비해 빠르진 않은데 독서 좋아하고 학교 수업에 잘 참여하고 있다고 담임선생님 학부모상담에서 피드백 받았습니다.공부정서 좋은애들이 빨대처럼 흡수해서 공부.악기.체육 모두 욕심내고 잘한다는 김선호선생님말에 저희아이가 문득 공부정서 또는 정서가 문제인가 혼자 또 걱정해보고 다시 김선호선생님 초등 자존감의 힘 정독중입니다ㅜ답글 감사합니다.
@yerinmomenglish
@yerinmomenglish Жыл бұрын
너무 공감하면서 시청하였습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user-ij8zy9ln8y
@user-ij8zy9ln8y Жыл бұрын
아이 친구 보면 영어탑반인 아이들이 수학도 탑반에.운동도 잘하고. 악기도 잘하고. 그림도 잘 그리고. 성격도 좋고. 외모도 출중하고. 집도 잘살고. 부모는 전문직이고. 할아버지할머니도 고시출신이시거나 교수셨거나..... 세상이 원래 타고날 때부터 불공평한 거 같아요 ㅋㅋ 그렇다고 삶을 포기해서는 안 되죠. 지금보다 나은 삶을 위해서 온 가족이 서로 사랑하고 아끼며 열심히 살고 있어요. 성실함과 꾸준함을 물려주는 부모의 시작이 되고싶어요 성실 꾸준함이 대물림 되길 기대합니다.
@luxury1250
@luxury1250 8 ай бұрын
약간 공감해요 ㅎㅎ 하나를 잘하면 나머지도 다 무난하게 잘 하더러구요~~
@user-nm1vo2mn5p
@user-nm1vo2mn5p Жыл бұрын
오늘 강의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하나라도 실천해 보겠습니다 😂
@ejtesslee3851
@ejtesslee3851 Жыл бұрын
찐 강의였습니다. 가슴에 팍팍 머리에도 팍팍 새겨듣게됩니다! 오늘 두분 케미좋습니다.
@daegizatv
@daegizatv Жыл бұрын
함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2부도 기대해주세요^^
@user-xr7yy3cx1g
@user-xr7yy3cx1g Жыл бұрын
언제나 예외의 케이스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보면 선생님 말씀이 맞죠. 공부 열심히 하고 수업 태도 좋은 아이들이 예체능 시간에도 열심히 하는 경우가 많고 기본 성실+근성이 있죠. 초등 때 예체능은 그다지 어렵지 않기 때문에 열심히 하려는 태도만으로 잘 할수가 있구요. 독서도 물론 만능은 아니지만 확실히 독서 많이 한 아이들이 공부에 도움을 받죠. 그치만 꼭 독서가 아니더라도 부모와 대화를 많이 하거나 여행이나 체험을 많이 한 아이들도 충분히 여러 방면에 호기심 많고 잘하더군요. 중등 이상부턴 본인의 하고자 하는 의지가 필요하지만 초등까진 아이 스스로 공부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기 어렵고 부모의 영향을 지대하게 받는 시기라 부모가 여러모로 정성을 들인 만큼 학교에서도 티가 난다는 얘기 초등 선생님들한테 정말 많이 들었어요. 근데 부모가 억지로 시켜서 한 경우, 중고등때 아이 의지가 꺽이는 경우가 많아 초등때가 무조건 중고등까지 이어진다고 결론짓기는 힘들죠. 간혹 초저인데 공부 시키느라 폭언이나 등짝 스매싱을 한 후 넘 미안하다는 글을 보면 넘 안타까웠는데 그런 분들도 보면 좋을 거 같아요.
@outsidethecube1305
@outsidethecube1305 Жыл бұрын
김선호선생님의 말씀은 언제나 믿음이 가요~👍
@user-yv9fm1bw2y
@user-yv9fm1bw2y Жыл бұрын
친절한 어른 얘기듣는데 왜 울컥하는지요;; 오늘도 너무 잘 들었습니다^^
@daegizatv
@daegizatv Жыл бұрын
함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2부도 기대해주세요^^
@seoljeon3246
@seoljeon3246 Жыл бұрын
와우 초격차..충격체감이 소름이 돋을정도네요...굉장히 솔직하게 말씀주셔서 감사합니다
@leesss2012
@leesss2012 Жыл бұрын
사립초 보냅니다. 저희 학교엔 단지 보내기만 하는 부모도 많아요.ㅜㅜ 집에서 못 해주니 학비내고 보내면 뭐라도 배우고 오겠지, 란 생각을 가진 엄마들도 꽤 있습니다. 어제 아이가 앞에 친구가 몇 변 물통을 안 가져 와서 물었더니 아침에 자기가 창고에 가서 물병 하나 들고 나오기도 바쁘다고 엄마가 챙겨주는게 없다고 하소연했다고 하는데, 전 약간 놀라기도 했어요.. 자립심인가 생각 조금 했지만, 아이를 낳고 돈을 내며 학교, 학원 보내면,, 아이가 올바르게 자랄까요? 투자한 만큼? 결실을 맺을까요? 공부정서도 결국 환경이 만들어 주는 것 입니다.
@user-ti4jo7ud1h
@user-ti4jo7ud1h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정말 감사드립니다 잘 안되지만 친절한 어른이 될 수 있도록 노력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QueeNYHJ
@QueeNYHJ Жыл бұрын
도서관에서 우연히 빌려본 책에 감동 받고 지은이를 보니 김선호선생님이셨어요. 그 이후로 선생님책 여러권를 읽었는데, 여기서 뵙게되니 엄청 반가워요:D
@justina2768
@justina2768 7 ай бұрын
현직 공립초 교사입니다. 현재 3학년 담임을 맡고 있구요. 1분 명상은 김선호 선생님처럼 저 포함 많은 선생님들이 사용하고 있는데요. 저희 반에도 1분을 잠시도 가만히 있지 못하는 아이들이 너무나 많습니다. 소위 adhd라고 불리는 아이들 외에도 전반적인 분위기가 그렇게 흘러가네요. 요새 아이들이 점점 영상에 노출되는 시기가 빨라지고 아이 감정읽기에만 급급한 요즘 육아 트렌드에 맞추어 다들 자기 감정 내세우는 데만 집중하고 조절과 통제가 많이 어려워지는 게 현실입니다. 김선호 선생님 말씀 들으며 많이 공감합니다. 공부정서 정말 중요하고 유아기부터 부모님의 일관성 있는 가정 교육이 너무나 절실합니다. 아이가 스스로 행동을 조절할 수 있으려면 좌절도 겪어보고, 인내심도 가져보는 훈련을 많이 해주세요. 공감은 덤이구요^^
@mjcho4030
@mjcho4030 Жыл бұрын
공감해요 와우 ~저희 아이 미취학 전 돌때 부터 무릎독서 시작했는데요 계속 책을 읽어주고 스스로 읽기 시작하면서 지금 초4가 되었어요 요즘 책을 덜읽어서 아쉽긴하지만 그래도 여전히 책은 재밌는 도구라 생각하는듯해요 교과서도 찾아본다는 쌤의 말도 공감하고요 어릴때부터 출장,여행 마니 델꼬 무작정 갔는데 다 좋은 경험이었다니 마음한켠이 뿌듯하네요 .... 아이의 평생 가장좋은 결실은 독서하는것이다 라고 생각이 드네요❤
@daegizatv
@daegizatv Жыл бұрын
앞으로도 응원하겠습니다. 2부도 기대 많이 해주세요^^
@et2423
@et2423 Жыл бұрын
와.. 정말 선생님의 말씀과 그에 따른 촌철살인같은 질문이 진짜 최고인거 같아요!! 미취학 2 자녀를 둔 부모로서.. 여러 생각과 다짐이 드는 영상이었어요. 감사해요❤❤
@user-ij8zy9ln8y
@user-ij8zy9ln8y Жыл бұрын
평범한 머리의 성실한 친구는 선택과 집중을 해야 해요 ㅜㅜ 영어와 수학 독서독후감에 집중하고 있어요. 피아노 미술 줄넘기 수영은 간신히 기본으로 따라가고 있어요.
@user-mo3qg6qt2s
@user-mo3qg6qt2s Жыл бұрын
귀한 말씀 이십니다~^^ 더 이상 보편교육이 아닌ᆢ 맞춤교육으로 들어가야 할 시점인거 같습니다 공교육이 새롭게 리셋 ㆍ모색 해야 초격차를 줄일 듯요~ㅠ
@NYSTAR
@NYSTAR Жыл бұрын
선생님이 말씀하신 아이들 제가 1살2살 영재 학생들 가르치는 저에게도 참고가 되네요. 감사합니다^^
@user-xw8zm3mi8c
@user-xw8zm3mi8c Жыл бұрын
저희 아들 7세인데, 아기때부터 책을 엄청 좋아했고, 4세때 한글 읽고, 5세때 쓰기 자유롭게 하고,3돌전에 숫자에 꽃혀 5세때 19 ×19단을 3일만에 외우더니 6세때 초3기적의 계산법 푸는게 제일 좋아하는 놀이였어요. 세상의 모든 자동차다 외우고 자동차 이름 한글로 다 쓰고 영어로 쓰면서 자연스럽게 파닉스도 거의 뗏구요. 최근엔 국기에 빠져 전 세계 국기 다 외우고, 그 나라가 어느 대륙에 속하는지도 다 외워요. 그러더니 나라의 수도도 외우고 있어요. 유치원 독서상도 받구요. 읽고 쓰고 보고.. 너무 앉아만 있어 걱정되어 6세 7월에 주 1회 축구학원을 보냈는데 너무 좋아해 주2회로 늘렸어요. 축구도 처음 하는 거였는데 몇 번 가지 않았는데도 잘하는 거 같더니 얼마전에 코치님이 연락주셨어요. 7세 100명중에 6명안에 든다고, 4월 말 유소년 전국축구대회 참가하자구요. 물공포증이라 물을 너무 무서워해 수영을 보냈는데 수영도 너무 좋아해요. 신체 유연성ㆍ키 때문에 유아 체조를 보내는데 이것도 너무 좋아하구요. 저희 아들을 보면 한가지 잘하는 아이가 다 잘하는 거 같다는 말씀 공감합니다.자랑이 아니고 그 부분에 대해 저도 생각하고 있었거든요..
@user-el8dm3jp5y
@user-el8dm3jp5y Жыл бұрын
김선호 선생님 이번 책 너무 좋았습니다. 저만 알고 싶은 책일정도요!😂
@user-jv2mb1xy9y
@user-jv2mb1xy9y Жыл бұрын
오늘 너무 좋았어요 질문도 좋구 답도 좋네요😊😊 아이가 커서 아쉬운 점도 있지만 앞으로 더 크기 전에 해줄 수 있는 것을 더 해줘야겠네요^^
@daegizatv
@daegizatv Жыл бұрын
함께 해주셔서 감사해요^^ 따뜻하고 행복한 봄 되세요🌸🌸🌸
@user-nc5nx5ii1h
@user-nc5nx5ii1h Жыл бұрын
마지막 부분 친절한 어른에 대한 경험.. 와닿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wq7cv6bg3i
@user-wq7cv6bg3i Жыл бұрын
하루 2시간씩 책 읽어주는 부모님중에 맞벌이도 많으셨나궁금해요. 맞벌이 그리고 아이 2명 3명인경우 2시간 독서 쉽지 않은데 너무 해주고싶어서 여쭤요. 방법.비결 궁금요 ㅠ 아이 1명은 어찌어찌하겠는데....ㅠ
@user-iy7zm9bp5o
@user-iy7zm9bp5o Жыл бұрын
저도 최선호 선생님 말씀어 동의 합니다. 아이 태어나서 집에 데리고 왔을 때 부터 자는 아이 옆에두고 책 읽어주거나 재우려고 2시간씩 동요불러줬어요^^;;; 그리고 초등 1학년까지 그리스로마신화, 매직트리하우스 목이터져라 읽어줬어요. 영어도 엄마표로 아이의 취향에 맞추어서 책을 들여서 읽고요. 현재 초등 5학년인데 베르나르 베르베르 책 문명 시리즈, 고전 전집도 쉽게 읽고 있습니다.
@ejhwang1465
@ejhwang1465 Жыл бұрын
초등2학년 여아를 둔 맘입니다. 요즘가슴이 답답했어요..ㅠ 근데 여기서 답을 찾았습니다. 스스로가 잘 안되는것 같아서 해야한다고 말 했습니다..ㅠㅠ 부모인 제가 잘못했꾼요 맘이 아픕니다 감사합니다!! 모두 말씀들이 와닿아 떨린가슴으로 시청합니다
@user-nc2wc2sf4q
@user-nc2wc2sf4q Жыл бұрын
김선호샘 가장 현실적이신것같아요.싡뢰팍팍
@user-tq1vc4of3p
@user-tq1vc4of3p Жыл бұрын
명상 1분을 잘하려면 몇 살부터 가능한가요? 지금 7살인데 집에서도 해봐도 될까요? 연습하면 잘 할 수 있게 되는지 궁금하네요^^ 집중력이 없는건 아닌데 귀나 눈으로는 집중하고 있으면서도 말씀하신 것처럼 발이나 손으로 무언가를 만지는 모습이 나타나요ㅠㅠ
@user-lp6se9vy5i
@user-lp6se9vy5i Жыл бұрын
이런 강의 넘 감사합니다.... 유투브로 들을 수 있다니 정말 너무나도 감사합니다!!ㅎㅎ 2탄은 언제 나오나요??
@daegizatv
@daegizatv Жыл бұрын
2부 업로드돼 있습니다. 함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hb5rl7ir9m
@user-hb5rl7ir9m Жыл бұрын
저희 첫째를 제가 쌤이 말한 방식대로 키운거 같아요. 그랬더니 지금은 공부 운동 다 두각을 드러내고 책도 진짜 틈만 나면 읽어요. 그런데 둘째 셋째는 뭐 거의 방치입니다ㅠㅠ 첫째 둘째 공부봐주고 있을때 셋째 오면 저리가~ 이 말만 해대는듯요 그런데 신기하게 공부가 좋다고 하고 싶다고 하는 애는 셋째 입니다. 아직 미취학이라 뭘 잘 몰라서겠죠ㅠㅠ 부모 노릇 너무 힘들어요ㅠㅠ
@user-rb9jm2qt3l
@user-rb9jm2qt3l Жыл бұрын
저도 삼남매 엄마인데요.... 저랑 너무 비슷한 시간들을 보내고 계신것같아서 마음에 와닿아 글을 써봅니다 저도 고학년첫째 둘째 이것저것 챙기다보면 항상 셋째는 여유로운 맘으로 나중에 하자란 말이 일상화되더라구요ㅜ그런데 우리집도 마찬가지 7살되는 셋째 막내가 더 칭찬받고 야무지게 잘한다는 공부도 언니 오빠 배우는거 다 해주라공😊 어찌보면 제일 미안하면서도 기특한 막내란 생각이 들때가 많더라구요😢우리 첫째 둘째의 기대치는 낮출수 없지만 조금 관대해지고 셋째를 조금더 이해해주는 노력하는 엄마가 되도록 노력해봐요~ 셋엄마!!!화이팅!!!응원합니다❤
@sctvhwxxrggxdeg31
@sctvhwxxrggxdeg31 Жыл бұрын
지나가는 다자녀 엄마 하나가 또 댓글 달아요 이번 상담때 선생님께 아이들이 잘 크고는 있는데 서로 너무 인정받으려고 노력하는거 같아 가끔 짠하다 부작용은 없을까 물었더니 엄마뿐 아니라 선생님 본인조차 완벽한 사람이 없고 결핍 없는 사람은 없다고 지금의 큰 장점을 보고 지지해 주자고 하시네요 상담 마무리에 눈물이 핑돌았어요 다자녀맘들 홧팅해요!
@kickofftheworld
@kickofftheworld Жыл бұрын
6세 아들을 키우고 있는데 점점 공부정서가 있는 집이랑 격차가 보여서 맘이 조급하네요 먼저는 친절한 어른이 되도록 하겠습니다.
@user-qu4hq5mi2n
@user-qu4hq5mi2n Жыл бұрын
맞는말이네👍
@user-wv5km9gd8r
@user-wv5km9gd8r Жыл бұрын
교과서 받은첫날 궁금해서 전부다읽어보던 아이들이 기억나네요. 공감하는부분이 많아서 좋습니다
@jujuram_
@jujuram_ Жыл бұрын
부모와의 관계가 중요하다는 부분은 공감하지만... 아이마다 갖고 태어난 재능이 다르기 때문에.. 다잘하지는 않아요..ㅎㅎ 새로운 것을 배우는걸 좋아하는 것도 태어난 기질에 따라 달라요...ㅎㅎ 최상위권 아이들 우선 타고난 재능 머리가 있었을거고, 그 아이들이 성실하고, 관계가 좋았던 거겠죠. 아무리 관계가 좋아도 학습내용에 대해 이해가 많이 느리거나, 행동자체가 느린 아이들도 있답니다..
@mhc0915
@mhc0915 Жыл бұрын
영상 잘 보았습니다. 어떤 말을 믿어야 할지 혼란스럽군요. ebs부모 프로그램에서 아동교육 전문교수님 세 분은 공부를 유아기 때부터 넘 일찍 시작하면 초등고학년 때부터 학업성취도가 점점 떨어져 학년이 올라갈수록 어려움을 겪게된다는 연구논문까지 제시하셨습니다. 독서, 여행까지는 인정이 되는데 과연 어릴때부터 공부공부에 진입해야 하는지... 어느 말이 맞는 것인지 햇갈립니다.
@meejoolee4242
@meejoolee4242 Ай бұрын
미취학에 학습을 했다는게 아니라 독서나 체험에서 인정받는 기쁨을 알았다고 말씀하시는거 같은데요. 공부정서...
@bbochou3028
@bbochou3028 Жыл бұрын
1.근면성. 끝까지 해내는가-과제, 수행과제 2.공부정서, 무엇이든 배움의 기회를 좋아한다. 쫙~빨아들인다. -체감되는시기; 미취학시기부터 투자 최대한일찍. 초3때 결정
@bbochou3028
@bbochou3028 Жыл бұрын
미취학시기에 친절한 어른이 있어야한다
@jungmiyoon7087
@jungmiyoon7087 Жыл бұрын
불편한진실이라 제 입으로 말하지 않았는데 초1때만 되도 아는 엄마들끼리는 공부정서 알아보지요 제가 알아본 아이는 하버드에 다니고 있고 저희 아이도 미국 유명대 졸업했어요. 남다른 유전자에 부모그릇도 중요합니다.
@user-mq9um2vt8t
@user-mq9um2vt8t 2 ай бұрын
질문자님 질문 정말 최고!
@doremi7634
@doremi7634 Ай бұрын
제가 아는 아이 둘은 어릴때부터 하루 2시간씩 책 읽어줬지만 하나는 7세 하나는 초2때 학습장애 진단 받았어요 과유불급 하루 15분이면 충분할듯 차라리 신나게 놀아주세요 ㅎ
@user-pz1sv1ue8g
@user-pz1sv1ue8g Жыл бұрын
선생님 말씀은 귀기울이게되네요. 2부도 기대됩니다:)
@daegizatv
@daegizatv Жыл бұрын
함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mw2yy4cy2k
@user-mw2yy4cy2k Жыл бұрын
자존감을 높여주고 정서가 안정되게 노력해야겠어요. 늦은감이 있는듯 하여 안타깝네요ㅜㅜ
@user-vp6su8dr9u
@user-vp6su8dr9u Жыл бұрын
I think so ,too.
@user-dm2uw6wp3f
@user-dm2uw6wp3f Жыл бұрын
역시~!! 영상이 많은 고모 이모 삼촌 조부모께 공유되면 좋겠네요ㅋㅋㅋ
@Space-gw3yj
@Space-gw3yj Жыл бұрын
뱃속에 있을 때 부터 시작입니다. 엄마 몸 건강해야 유전자도 건강하게 성장해요. 아이들 몸이 건강해야 공부도 집중있게 잘합니다. 허약체질은 공부 잘하기 걸림돌이 있습니다. 집중에너지 작습니다.
@syh8898
@syh8898 Жыл бұрын
6살아이를 키우고 있어요. 집에서 아이가 원하는 책을 읽는건 놀이라고 하는데 학원다니면서 배우는 미술, 바이올린, 태권도(품새) 등은 선생님의 가르침이 들어가니 싫다고 하더라구요. 아이 친구들중엔 배우는게 즐겁다며 모든 학원을 다 다니려고하던데...이런 아이는 공부정서를 어떻게 키워줘야할까요?
@miyoungyoun1971
@miyoungyoun1971 9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minhokim4052
@minhokim4052 Жыл бұрын
김선호 선생님 강의 너무 좋아해요!!2부도 너무 기대됩니다!!
@daegizatv
@daegizatv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2부도 기대해주세요^^
@user-tz2pi8hu8s
@user-tz2pi8hu8s Жыл бұрын
중반부에 선생님이 예를드신 학생의 경우 영재교와 하나고 동시에 붙은학생이라고 하셨는데 영재교는 입시가 먼저인데 가능한 얘기인지 의아하네요
@aimhigh5613
@aimhigh5613 Жыл бұрын
영재교는 입학포기 가능해서 합격하고도 하나고 지원이 가능합니다^^
@user-hn8vf9il6n
@user-hn8vf9il6n Жыл бұрын
새로운배움을 좋아하는 아이가 우리아들이에요 뭐든지 배우는걸 좋아하고 궁금증도 많고 집중해서 하니까 빨리배워요 7살아이 이 성향이 계속 될까요
@user-hn8vf9il6n
@user-hn8vf9il6n Жыл бұрын
근데 책을 많이 보는거나 그런건 아니에요 유튜브도 보면 언젠간 따라 만들고 있어요 제가 넘 잘만들어서 이건 어디서 보고 만든거야?하면 유튜브에서 봤었다고해요 요즘엔 게임을 못하게하는데 수학게임 배수 게임을 하면 멏일 후엔 천단위까지 그배수를 잼있게 외위요 그래서 신기해서 게임도 괜찮구나 냅뒀다가 스티브잡스아이는 스마트폰 못보게했단영상보고 못하게 했어요 그때도 그영상을 같이보며 이러면 시냅스가 끊어져 하니까 심각하게 시냅스가 다시 연결되는 방법을 검색해보라며 하더군요 그러더니 게임은 거의 안해요 책을 읽어주긴 하는데 읽었던책 뽑아서 읽어주면 이책은 6살때 아빠랑 1번 읽었던책이라며 책에 90퍼는 내용을 알고있어요
@rosita2017
@rosita2017 27 күн бұрын
명상하는데 움직이는 애들은 공부정서보다는 좀 산만하고 에너지가 많은 애들일것 같네요. 명상할때 안움직이고 가만있는 애들은 엉덩이 붙이고 있어야하는 수능 공부에는 적합할 수도 있지만요. Adhd끼 있는 애들은 아예 저 도식에는 안맞겠지만 그런 애들도 공부 잘하고 자기 분야 몰입도 높아서 나중에 사업도 잘하고 그런 케이스가 많아요
@vanillacream7024
@vanillacream7024 Жыл бұрын
오늘 영상 너무 유익했어요. ❤
@daegizatv
@daegizatv Жыл бұрын
함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2부도 기대해주세요^^
@user-wd1zv3ge9r
@user-wd1zv3ge9r Жыл бұрын
책육아의 힘이 공부정서까지 이어지는거였군요...좀 더 부지런해져야겠네요^^;
@mulberry1214
@mulberry1214 Жыл бұрын
무용시간에 늘 명상으로 시작합니다
@heekim1858
@heekim1858 Ай бұрын
부모도 책 안읽는 시대인데 (책대신 유투브 보고 있잖아요) 아이를 위해 두시간 책 낭독? 불가능합니다. 처음 3챕터는 목소리 바꿔가며 읽어주지만 그 후에는 볼멘 모노톤으로 변하고 한시간 후에는 지치고 짜증나고 아이들은 어리둥절 하죠. 엄마가 왜 화났지?
@user-yq9dq9gr8s
@user-yq9dq9gr8s Жыл бұрын
친절한 어른은 학교 선생님에게도 해당되는 거 같습니다 저희 아이는 사립초출신에 어릴적부터 여행.체험 누구보다 다양한 경험을 했고 무릎독서도요 1학년때 담임선생님이 배경지식이 풍부하다라고 말씀해 주시더라구요 하지만 보수적인 학교 분위기에서 정서적 학대가 있었고 아이는 대입을 앞둔 지금 까지도 당시의 어른들의 불친절한 기억들로 인해 가슴에 멍으로 남아있더라구요 딱 그과목에 구멍이 나있어서 향후 대입까지 영향을 끼치게 될거 같습니다만 될놈될이라는 표현을 쓰고 싶네요 공부를 잘하고 성공 지향적인 DNA는 이미 태어날때 정해져 있다는게 이분야 연구하신 박사님들의 지론입니다
@Space-gw3yj
@Space-gw3yj Жыл бұрын
타고나는 것 있지만 환경도 영향 크죠
@user-ge9cs5dw1t
@user-ge9cs5dw1t Жыл бұрын
맞아요 타고나는게 가장 큽니다. 그리고 본인능력이 100으로 태어난 아이에게 최상의 환경을 준다고 200이 되진 않아요. 오히려 부모가 안좋은 환경 제공하면 100이 10에서20이 될수는 있구요. 애들이 어릴수록 마치 부모가 설계한대로 애가 크는것처럼 호도하는건 잘못됐다고 봅니다..
@Min_z01
@Min_z01 Жыл бұрын
친절한 어른 ❤
@tara3353
@tara3353 Жыл бұрын
공부정서가 더 정확히는 배움정서겠네요
@user-jl4hp7yi7l
@user-jl4hp7yi7l Жыл бұрын
그냥 타고난 재질이란 말이네요 ㅜ 자존감 높아도 기질적으로 산만한 애들은 지적을 받아서 공부정서랑 자존감이 낮아지죠 ..음 너무 상위에 맞춰진 관점이네요
@naqhdtjss
@naqhdtjss Жыл бұрын
6살4살 육아중입니다. 책을 "두시간"동안 읽어줘야 한다는 것에 대해 구체적으로 더 알고 싶은데요. 어디 가면 알 수 있을까요?
@daegizatv
@daegizatv Жыл бұрын
김선호선생님 앞서 인터뷰한 영상들 살펴 보시면 도움되실거예요^^
@naqhdtjss
@naqhdtjss Жыл бұрын
@@daegizatv 네 감사합니다^^
@user-jg3iz8so7v
@user-jg3iz8so7v Жыл бұрын
좋아하는 김선호선생님 나오셨네요^^
@eojinkim61
@eojinkim61 7 ай бұрын
맞는말 같아요… 제 주변에 공부잘하는 아이들이 예체능을 잘 하더라구요…. 배움에 있어서 잘하는 느낌인데 체육은 잘 못하더라구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
@jihojio2118
@jihojio2118 Жыл бұрын
확실히 자기 조절을 할 수 있는 아이들이 뛰어난 어른이 될 가능성이 높죠. (유아기때부터 자기조절 능력의 차이가 난다죠? ) 1분 명상이 그런 의미에서 유의미해보이네요.
@Lily0bigday
@Lily0bigday Жыл бұрын
마시멜로 실험이랑 같은 궤죠.
@user-xf5yb3hl4s
@user-xf5yb3hl4s Жыл бұрын
아빠가 퇴근 후 곧장 처자식 곁으로 (집으로 말고), 엄마는 드라마 끊고 휴대폰은 싱크대서랍 속으로 그렇게만 해도 굳이 아이 옆에서 책 안 읽어도 아이태도가 바뀌며 옛날 백과사전이라도 중고서점에서 사서 아이랑 찾아보기, 인터넷 검색은 최대한 하지 마세요! 70할배의 경험입니다. 그래서 당신새끼 뭐 하느냐 물으시면 자랑같아 답은 안해드리지만 아이큐 124로 평범해도 상위 0.5% 안에서 놀았답니다. 백과사전에서 단답식 찾아보기 하지마시고 꼬리에 꼬리를 물고 같이 찾아보시고 5세 정도 어린 아이는 웃기는 동화책을 같이 읽고 웃을 땐 약간 과장되게 떼굴떼굴 구를 정도로 과장되게 표현하세요. 아이가 TV 보다 책을 더 좋아하게 됩니다!
@momsteaching9004
@momsteaching9004 Жыл бұрын
그냥 어른아니고 .. 친 절 한 어른.. 저도 우리 아이들에게 좀 더 친절한 엄마가 되도록 노력해야겠어요~~be nice to the children
@Space-gw3yj
@Space-gw3yj Жыл бұрын
아이를 존중하는 엄마라고 생각하시면 좋을듯 합니다. 친절보다는 아이를 존중하는 태도가 중요합니다. 거기사 친절이 나오거든요!
@Space-gw3yj
@Space-gw3yj Жыл бұрын
친절만 생각하면 애들한테 내가 잘해줘야지~ 라는 생각으로 접근하시는 경우가 많아요
@user-gb9up8qr1j
@user-gb9up8qr1j Жыл бұрын
친절한 어른에 대한 말씀 깊이 새겼습니다. 하지만 이른 시기를 놓친 부모님들에게는 너무 깊은 후회와 좌절, 그리고 상처가 되는 말씀들이 많았어요. 미리 공부정서를 쌓아놓지 않은 고학년 이상이면 희망이 없다는 결론처럼 들릴 수 있는 편집이었습니다. 전체 내용은 달랐울지도 모르지요. 선생님의 애정과 진심이 느껴지면서도 친절한 어른의 등장보다는 맹목적인 조기교육과 다방면의 서교육을 부추기는 효과가 더 클 것 같네요.
@user-ks9fv1qf3y
@user-ks9fv1qf3y 6 ай бұрын
3학년 사회.과학 시험치니60점 받아왔드라고요1학기때요. 문젯늘 같이풀어보고 애한테 문제 어력긴하다. 그치 하니 애가 그래도나 잘했지 하드리고요. 60점인데....ㅋ 2학기되서 셤 90점으로 올랐더라고오ㅡ. 따로 공부 안했는데 문제를 충분히 이해했다 생각드니 놀랐죠. 그날 지킨 사줬네요
@zk2173
@zk2173 Жыл бұрын
효과음이 너무 느닷없이 크게 말소리보다 굉장히 크게 나와서 안좋네요 이 부분 좀 수정 되면 참 좋겠네요. 효과음 없음 안 되나요.
@daegizatv
@daegizatv Жыл бұрын
좀더 보완해서 앞으로 점점 나아지는 영상 선보이겠습니다. 소중한 의견 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tj8ln9nh1e
@user-tj8ln9nh1e Жыл бұрын
마이크 볼륨 조금만 더 키워주세요 ㅜ
@daegizatv
@daegizatv Жыл бұрын
네~ 2부는 좀더 보완하겠습니다^^
@behappy1532
@behappy1532 Жыл бұрын
아이 셋 키운 엄마로써…. 모든 잘하는 아이가 공부도 잘한다니…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를 범하시네요 저희 큰 아이, 학군지 고등에서 전1 하고 있지만 운동 악기 잘하는 거 없었습니다 친구관계도 중등때부터 좋아졌구요 제가 책 읽어준 거도 손에 꼽힙니다 (회사생활 및 동생들 육아로 바빴어요) 아이들 개성에 따라 환경에 따라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다 좋은 말씀이고 아이들을 위해 투자해야 한다는 말씀도 좋습니다 하지만 한명 한명 같은 아이가 없는데 일반화 하시는 것같아 몇몇 부모님들에게 좌절감을 주시지 않을까 싶어 댓글 남깁니다
@user-wr1hd4ix8c
@user-wr1hd4ix8c Жыл бұрын
맞아요 저도 아이셋 키우는 엄마인데 아이 성향마다 다 달라요 그리고 공부는 본인이 하고자하는 욕심이 있어야 하는거더라구요
@user-pn4ep2yj8h
@user-pn4ep2yj8h Жыл бұрын
맞아요 ㅠㅠ
@user-tk8pz5oe5d
@user-tk8pz5oe5d Жыл бұрын
모든 법칙에도 예외가 있는데 당연히 아닌 사례도 있겠죠 그치만 제대로 가는 방향성을 제시해주신게 아닐까요? 이 영상은 학부모가 좌절감 느끼라고 만든 영상은 아닌 것 같아요
@newlife-1004
@newlife-1004 Жыл бұрын
통계적 말씀인듯요. 끝까지 가봐야 하는거지만, 저도 셋인지라.. 무슨말씀인지는 알겠어요. 같은 환경인듯해도 각각 다르니깐요.
@jihojio2118
@jihojio2118 Жыл бұрын
공부 잘 하는 아이 키우는 엄마가 고작 그걸로 좌절할까요? 너무 약하게 보시는거 아니에요? ^^
@user-pw1yv9rt3n
@user-pw1yv9rt3n Жыл бұрын
김선호 선생님 너무 좋아하는데 소리가 너무 작아요
@daegizatv
@daegizatv Жыл бұрын
앞으로 좀더 보완해보겠습니다. 의견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wb2db3wx4o
@user-wb2db3wx4o Жыл бұрын
소리가너무작아요
@daegizatv
@daegizatv Жыл бұрын
2부는 좀더 보완하겠습니다. 의견주셔서 감사합니다^^
@beenz0847
@beenz0847 Жыл бұрын
효과음이 너무 소리가 커서 못들었어요ㅠ
@daegizatv
@daegizatv Жыл бұрын
소중한 의견토대로 보완해서 좀더 나은 영상 선보이겠습니다
@gafy798
@gafy798 Жыл бұрын
요즘 김주환교수님의 내면소통책을 읽고 있는데요~결국은 환경의 영향인듯해요 전부 일맥 상통하는 부분인거죠♡ 선생님께서는 잘하는 아이를 관찰하시고 왜 잘할까 역추척한 부분을 얘기하신것 같습니다 부모님이 좌절을 느끼라는게 아니라~~ 각자의 위치에서 좋은 환경을 제공해주는게 맞지싶네요^^ 너무 좋은 영상 감사히 잘봣습니다
@user-ge9cs5dw1t
@user-ge9cs5dw1t Жыл бұрын
음.. 부모의 영향이 크긴하지만 애가 타고나는것도 정말 크죠 ㅠㅠ 첫째와 둘째 진짜 똑같이 했는데.. 지적호기심 적극성 상위인 첫째와 지적호기심 제로 세상에서 빈둥대는게 제일 좋은 둘째 ㅠㅠ 진짜 잡아주려고 끊임없이 노력하지만.. 에휴 타고나는 것도 정말 큽니다.
@serenapark5351
@serenapark5351 Жыл бұрын
다른부모님들은 어떨지 모르지만 저 이 선생님 나오면 너무 불편해요. 애를 완전 만들어 내라는 것 같아서. 저는 대학1-2년 일찍 들어간 영재, 12살에 수학과 졸업한 영재, 그런애들 봤는데 지금 다 전문직이지만 그 집단에서 아주 뛰어난 것도 아니고 오히려 지쳐서 제 학년 꾸준히 올라간 애들보다 자기 목표 달성하지 못하는 경우도 봤어요. 모든 아이들이 공부 잘 해야하고 상위1% 되야 하는 건 아닙니다. 어디까지 아이들은 그릇을 타고 나는거고 그 그릇이상 키우려고 엄마 아빠 시간 돈 갈아넣으라는 것 같네요. 이상 공부좀 많이해 봤다는 사자 전문직 엄마입니다.
@user-ge9cs5dw1t
@user-ge9cs5dw1t Жыл бұрын
동감이에요~그리고 부모가 대단히 이상하지 않는한.. 사실 거의 타고난게 큽니다. 부모가 저런식으로 노력한다고해서 모두다 '학습적'으로 우수하게 자라지는 않아요. 저런 이론은 위험한게 마치 부모가 하는대로 애들의 인생이 정해진 것처럼 하는게 별로에요. 물론 정서적인 것부터 시작해서 가족은 많은걸 공유하기에 가족 전체가 그 모습이 닮은건 있지요. 하지만 부모가 이렇게 하면 아이가 이렇게 된다? 이렇게 도식화하는건 절대 아니라고 생각해요. 남들이 좋다는거 다 들이붓는다고 부모욕심대로 크는건 절대 아니구요 오은영쌤 말처럼 부모로써 해서는 안되는걸 하지 않는게 아이를 키우는 적절한 방법이라고 생각해요.
@user-sh2kw5jr8w
@user-sh2kw5jr8w Жыл бұрын
실망,,,
@user-vo1eu2nw5r
@user-vo1eu2nw5r 7 ай бұрын
효과음 빼주세요 ㅎㅎ
@mykim9481
@mykim9481 Жыл бұрын
어릴 때 독서, 여행..이건 이해하겠는데, 학원이든 엄마표든 교육에 일찍 투자를 해야 한다는 건 쉽게 공감이 가지 않네요. 그리고 초등시기에는 스스로 하라고 하면 안된다고 하셨는데, 어느 정도 가이드 하면서 스스로 하라고 하는건 어떨까요? 방치가 아니라. 김주환 교수님 강의에서도 학업에 자율성을 부여해야 한다며 스스로 학업 계획을 세우도록 해야 한다고 하셔서 너무 공감이 갔었는데.. 솔직히 이번 강의 내용에는 깊이가 없어 보여요.
@user-eh7nt8ej2t
@user-eh7nt8ej2t Жыл бұрын
상위1프로는 길바닥에 놓아두어도 공부를 합니다 하나마나 한 소리 하지마셔요
@gsg9854
@gsg9854 Жыл бұрын
어디는 공부 때문에 죽어나가는 내용, 여기는 공부기계를 어떻게 티안나게 만드는가 하는 내용. 웃길뿐! 상의 1%? 도대체 뭔 정신으로 이런걸 찍어 올린단 말인가?
@eunkyungkim6653
@eunkyungkim6653 10 ай бұрын
이 영상을 보니 너무 좌절이 됩니다. 잘하는 아이가 뭐든 다 잘한다? 그러면 초등 이시기를 놓친 부모는 뭘 해야하죠? 결과론적인 이야기인데, 마치 이렇게 해야한다는 식으로 얘기하는데, 상위 몇% 아이들에 한정된 이야기라 공감하기 힘든 영상입니다. 평소 교육대기자TV 즐겨보는 엄마인데, 이번 영상은 좌절감만 주는 영상입니다. 이 유툽이 상위권 아이와 엄마만을 타겟팅 하는 그런 유툽이었나 하는 생각이 드네요.
@eojinkim61
@eojinkim61 7 ай бұрын
맞는말 같아요… 제 주변에 공부잘하는 아이들이 예체능을 잘 하더라구요…. 배움에 있어서 잘하는 느낌인데 체육은 잘 못하더라구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
A pack of chips with a surprise 🤣😍❤️ #demariki
00:14
Demariki
Рет қаралды 29 МЛН
ДЕНЬ РОЖДЕНИЯ БАБУШКИ #shorts
00:19
Паша Осадчий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
말꼬리 잡는 아이들에게 해줘야 할 부모의 말 | 김종원 작가 | 가족 부모 말
25:37
하우투 : 하루를 우리에게 투자한다면
Рет қаралды 480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