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큐3일★풀버전] 1913년 개장한 길이 180m의 전통시장! | "백 살, 다시 청춘! - 광주 1913송정역시장"(KBS 161030 방송)

  Рет қаралды 238,723

KBS 다큐

KBS 다큐

2 жыл бұрын

다큐멘터리 3일 (일요일 밤 11시 5분 KBS 2TV)
"백 살, 다시 청춘! - 광주 1913송정역시장 72시간"
거리 길이 약 180m
총 65개의 상점
주말 하루 평균 방문객 5000여명
올해 103살의 전통시장
과거와 현재의 시간이 공존하는 이곳
광주 1913송정역 시장에서의 72시간이다.
■ 백 살 시장, 회춘하다!
화려한 조명, 이곳에서만 맛볼 수 있는 아이디어 먹거리들, 가족과 연인, 젊은이들의 발길이 거리를 메우는 이곳. 올해로 103세의 나이를 맞이한 광주 1913송정역시장의 현재 모습이다.
1913년 처음 개장한 이래 한때는 지역의 물류의 중심지로 호황을 누렸지만 사람들이 하나둘씩 떠나가면서 시장의 기능을 상실하면서 존폐 기로에 몰렸던 상황. 그러나 올해 4월 전통시장 활성화 프로젝트에 힘입어 새로운 모습으로 재개장하면서 제2의 전성기를 맞고 있다.
낡은 거리와 건물 디자인을 재정비하고 창업을 꿈꾸는 청년 상인 17팀이 비어있던 가게에 새로 입점하면서 변화가 시작된 것이다. 불과 얼마 전까지 오가는 사람조차 드문 낡고 썰렁한 거리가 이제는 하루 5000여명의 사람들이 방문하는 광주의 대표적인 명소로 자리잡았다. 또 다른 100년을 꿈꾸고 있는 광주 1913송정역시장에서의 72시간을 따라가 본다.
■ 상인이 되기까지, 열정 청년들의 고군분투기
작은 자본에도 불구하고 열정과 아이디어로 새로운 도전을 시작한 17팀의 청년 상인들. 이 시장에서만 맛볼 수 있는 아이디어 톡톡 넘치는 먹거리와 볼거리들은 바로 청춘들의 고집스런 열정이 만들어낸 결과다.
각종 채소를 삼겹살에 돌돌 말아 진한 소스향을 첨가한 [삼뚱이], 안 친한 두 여자의 달콤한 베이킹 [쑥’s초코파이]를 맛보러 KTX를 타는 관광객이 급증하고 있다.
매일 아침부터 밤까지 수제 고로케를 만들어 팔고 있는 [고로케삼촌]의 쌍둥이자매 황 원(언니, 35) 씨, 황 연(동생, 35) 씨. 1913송정역시장에서 가장 먼저 문을 연 제1호 청년상인가게다. 지금의 고로케가 완성되기까지 숱한 도전과 실패의 연속이 이들에게 있었다. 고로케 속 재료부터 콩고물까지 이것저것 바꿔가며 밤낮없이 연구했다는 쌍둥이자매. 고민 많던 어제를 보낸 이들에게 1913송정역시장은 단순한 일터가 아니다.
그 어떤 시장에서도 볼 수 없었던 문구점 [역서사소](여기서 사세요)는 사투리 자체를 디자인으로 활용한 볼거리 담당 청년 가게다. ‘아따’, ‘내 가슴이 이렇게 뛰어분디 어째쓰까?’ 등 활자가 가득 박힌 필기구가 이미 인터넷을 통해 폭발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광주 사투리도 정감 있다는 걸 소문내고자 귀여운 말들을 골라 만들었다는 [역서사소]의 광주 토박이 김진아(34) 씨.
직업군인 출신이었던 박강근(29) 씨는 바쁜 출근길마다 간단히 먹을 수 있는 아침이 필요했다. 이 작은 생각에서 출발한 [계란밥]은 지금의 완전한 스틱형 오므라이스가 되기까지 머리를 싸매지 않은 날이 없었다. 포장지 하나도 3개월을 꼬박 밤을 새웠던 강근 씨와 동업자 김준확(29) 씨. 20대 청년 상인들이 만들어가는 시장의 미래는 이제 시작이다.
■ 토박이 상인, 진짜 시장을 만들다!
새벽 5시, 1913송정역시장 거리에 하나둘 아침을 맞이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 시장에 자리 잡은 지 47년이 됐다는 [현대식육점] 고순화(65) 씨는 새벽에 문을 여는 것만큼은 습관처럼 꼭 지키는 약속이라고 말한다.
1983년부터 같은 자리에서 닭을 튀겼다는 [매일닭집] 김용금(60) 씨. 자그마치 33년의 세월을 옛 방식 그대로 생닭을 잡았다. 지금까지도 주말이면 주문이 밀려 2시간씩 기다리는 일이 다반사. 정작 [매일닭집] 문을 연 이래로 김용금 씨는 마음 편히 쉬어본 적이 없다.
해가 지는 오후 7시면 모든 가게들이 문을 닫아 캄캄했었던 개조 전의 1913송정역시장. 이젠 밤 9시에도 거리 전체가 환하기만 하다. 3대째 건물을 지키고 있는 [둥지농협홍삼] 김영자(60) 씨는 업종이 이 시장과 맞지 않는다고 해서 문을 일찍 닫으면 안 된다고 말한다. 이 시장이 늦은 저녁까지 모든 가게 문이 열려있는 이유는 바로 기존 상인들의 배려인 것이다.
#다큐3일 #광주1913송정역시장 #시장
※ [다큐3일] 인기 풀영상 보기
엄마라는 이름으로 - 광주 영아 일시 보호소 72시간 • Video
혹한의 GOP 3일간의기록 • [다큐3일★풀버전] ★살기 위해 눈을 치...
부산 범어사 72시간 • [다큐3일★풀버전] 행복하십니까? 동안거...
나를 이기는 길 이기자 부대 수색대 무박 4일 • [다큐3일★풀버전] 중도 탈락률 30% ...
강원도의 힘 정선 5일장 • [다큐3일★풀버전] 푸근하고 정겨운 대표...
한 잔의 위로 용산 포장마차촌 72시간 • [다큐3일📸] 빌딩 숲속 작은 포장마차가...
다시 심장이 뛴다 - 대학병원 흉부외과 • [다큐3일] 다시 심장이 뛴다 - 대학병...
신림동 고시촌 3일 • [다큐3일] 신림동 고시촌 3일 [풀영상]
미혼여성 임대아파트 3일 • [다큐3일] 스무살의 상경기 (미혼여성 ...

Пікірлер: 106
@trdtrek3717
@trdtrek3717 2 жыл бұрын
와 이런거 보고 있으면 고향이 너무 그리워진다. 참으로 보기 좋은 모습.
@tv-rh3vr
@tv-rh3vr 2 жыл бұрын
항상 그리운 고향동네네요~^^ 아직도 부모님은 송정리에 계시는데 부모님이 혹시 나올까 눈부릅뜨며 봤네요~~ 타지에서 고향생각나는 저녁이네요~
@user-xw6rh7cp7t
@user-xw6rh7cp7t 2 жыл бұрын
코로나도 코로나지만 여기 상권 다 죽음... 반짝 한 이후 임대료 올라 웬만한 가게는 다 떠나고 뭐 없음.... 정말 아쉬운 동네임... 젊은사람도 관광객도 잠시 송정역 왔다 들린 사람도 되게 많았었는데.... 그 욕심 때문에.....
@user-ow8vp4km4k
@user-ow8vp4km4k Жыл бұрын
헐..큰일이군요!!
@user-jw8ch6pr7k
@user-jw8ch6pr7k 4 ай бұрын
ㅉㅉㅉ
@mint2085
@mint2085 2 жыл бұрын
경상도 사람인데.. 왜일케 전라도 사투리가 더 구수하게 들릴까요. ㅎㅎ 보는 내내 웃음이 안멈추고 잘 보았습니다.
@user-fo9jz1ki5l
@user-fo9jz1ki5l 9 ай бұрын
중국놈들 [방사능 삼중수소] 오염수는 후쿠의50배라는 사실도. 좌언론에 매몰된 절라도만 모른다네요.또한 방류한들 지금부터 100년이 지나도 단 한방울!도 안나온다는 저명한 박사들 얘긴 안믿고, 주사파.좌파 선동질만 믿는.
@jiwoon713
@jiwoon713 2 жыл бұрын
다큐3일은 시장편은 언제나 재밋네요.
@younglee59
@younglee59 2 жыл бұрын
ㅇㅈ.
@YoungseungSeo
@YoungseungSeo Жыл бұрын
ㅇㅈ(2)
@user-qw2lg6ru1p
@user-qw2lg6ru1p 2 жыл бұрын
한번 꼭 가보고 싶네요.. 거리도 이쁘고 사람들도 따뜻해 보이고, 음식도 맞있어 보이고..^^ 다큐3일 가슴이 따뜻해 지는 방송..^^
@Story-sp7db
@Story-sp7db 2 жыл бұрын
마음 편해지는 영상 담아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pz2pd3kt6j
@user-pz2pd3kt6j 9 ай бұрын
볼때마다 드는 생각인데 한쌈씩 파는거 너무 좋은 아이디어 같으데..
@user-pi1iy6rg3z
@user-pi1iy6rg3z 2 ай бұрын
별로 ᆢ저걸 구워다놓으면 마르고 딱딱해져서. 돈천원 2천원 벌려고 고기를 다구워놓을수도 없고 오는 손님마다 구워줄수도 없고 막상해보면 안하는게 맞음 ᆢ 영상이랑 현실은 다름 ᆢ
@user-qw4wv2qc7f
@user-qw4wv2qc7f 2 жыл бұрын
내고향광주~ 타지와서 살다보니 마지막에 가본게 언젠지 기억도 가물가물
@user-fo9jz1ki5l
@user-fo9jz1ki5l 9 ай бұрын
[전라도] 손병호(반전글) 전라도 사람들은 지역차별은 경상도 정치인들이 정치적 목적으로 만든 지역색이라고 말합니다. 그것은 자신을 속이는 것이고, 좌파들의 교묘한 말장난에 동조하는 겁니다. 아무리 정치인들이 어떤 목적을 위해 지역색을 만들려해도, 국민들에게 전라도 사람에 대한 평소의 인식이 좋은 사람들이었다면 될수 없는 일입니다. 오히려 그런 의도는 국민에게 역효과를 나타냈을겁니다. 만약 김대중이 충청도 사람이었다면 충청도로 지역감정을 만들었을까요? 아마 역효과로 나타났을 겁니다. 전라도는 군대부터 사회까지 국민들이 평소의 경험을 통해 그들이 나쁘다는 인식을 가졌기 때문에 정치인의 나쁜 의도가 먹힌 것입니다. 정치인들은 전체국민에게 전라도가 극단적인 감정을 가졌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지역색을 만든 것입니다. 전라도의 폐해가 아직 개선되지 않습니다. 평소에 아주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대화가 통했던 사람도 정치문제로 가면 눈이 뒤집힙니다. 이성을 잃어요. 평소의 냉철함이 사라지는 모습에 절망했던게 한 두 번이 아닙니다. 전라도의 오피니언 리더들까지 그럴진데 평범한 전라도 사람들은 오죽하겠습니까? 언젠가 전라도를 질타한글에, 친한 벗님이 전라도만 없으면 우리도 일본수준이 됐을거라는 댓글을 주셨습니다. 그렇습니다. 97%가 좌쪽을 미는 전라도.(2%는 이주민)인건 통계가 말해줍니다. 전라도인들이 평균적인 한국인과 같았다면 우리 사회엔 공산주의가 발붙이지 못했을 것이고 어쩌면 [자유]통일이 됐을것이고 일본보다 훨씬 잘사는 나라가 됐을겁니다. 다행히 나는 정치를 말하는 전라도 벗들이 많습니다. 그들은 나의 전라도에 대한 걱정에 동조하는 분들입니다. 전라도를 바꾸기 위해 고향사람들에게 욕먹어가며 애쓰는 분들입니다. 그런분들이 점점 늘었으면 좋겠습니다. 전라도가 바뀌어야 한국이 바뀝니다.(펌)
@paulowoo1943
@paulowoo1943 2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changpark8046
@changpark8046 2 жыл бұрын
잎으로 잘만들었네요! 향수를 느끼게 하네요.
@special_Y
@special_Y 11 ай бұрын
2016년 초창기 시절이구나 지금은 상권 다죽고 다시 암흑거리됫습니다 미녀호떡 진짜 반갑네 ㅋㅋㅋㅋㅋㅋㅋ 저 상권에서 유명햇음
@user-ri3oy6dj4q
@user-ri3oy6dj4q 2 жыл бұрын
대인 시장도 저렇게 변모 했으면 좋겠네요 아파트가 들어서면서 주변 상가 괜찮은거 같던데
@gglee46
@gglee46 2 жыл бұрын
최근에 가봤을 때는 겨울이라 그런지 일찍 문 닫으시던데... 코로나 시국 때문인지 오후 6시쯤 밥 먹으러 갔는데 가게 문 많이 안 열었더라구요.
@user-hv5ne7zv7b
@user-hv5ne7zv7b Жыл бұрын
2021년도 여름에 송정동으로 이사와서 자주다니는곳이네요~ 그전에는 이랬군요ㅎㅎ
@angel-hh6if
@angel-hh6if 2 жыл бұрын
전라도의 정이 넘치는 내고향 광주에 가면 꼭 한번 가보고 싶다..
@user-ed8uu6te4g
@user-ed8uu6te4g 2 жыл бұрын
잘 하시길
@reyden12
@reyden12 2 жыл бұрын
17:10 돈지갑이 여가들었어ㅋㅋㅋㅋ 엄니들 말씀하시는거 겁나 재밌네요 ㅋㅋㅋㅋ
@leehyangje
@leehyangje 2 жыл бұрын
경상도분들 광주가도 전혀 지역차별 없어요. 저도 가끔 광주가서 경상도사투리(못 고쳐요) 써도 전혀 그런거 없어요. ㅎ
@user-vq8fs7xf4t
@user-vq8fs7xf4t Жыл бұрын
지역차별하는게 이상한거죠..ㅋㅋ
@lalala7433
@lalala7433 2 жыл бұрын
전통시장 살리기, 청년창업 등에 세금이 의미없이 녹아나간 현장이네요.
@marukim1463
@marukim1463 2 жыл бұрын
잘봤습니다
@wolfjero
@wolfjero 2 жыл бұрын
이렇게 해 놓으면 건물주 놈들이 임대료 올리고 다 내 쫒더라 서울인근에선,,,, 조심하세요
@user-qm5gq2th8k
@user-qm5gq2th8k 2 жыл бұрын
저도 시댁이 송정역 근처라 송정시장가서 장보고했는데 그땐 밤 6시만되면 손님들이 없어 캄캄하고 거리가 무서웠어요 벌써 25년 되었네요 고깃집하면서 초보운전에 차끌고 송정시장길거리 누비고다녔던 기억이 납니다 송정시장이 이렇게 변했다는 모습에 제 맘이 흐뭇하네요 상인여러분 코로나시기에 힘드실텐데 힘내시고 화이팅 입니다 .
@user-iy4vr3uv7v
@user-iy4vr3uv7v 2 жыл бұрын
여기 갔을때 좋았어요. 제가 갔을때는 문이 많이 닫혀져있는 상태였지만ㅜ
@oj9879
@oj9879 2 жыл бұрын
코로나 기간이었을까요???
@user-jl4kl6ok3k
@user-jl4kl6ok3k 2 жыл бұрын
38:00꼬마 개귀여워 재미가없습니다 비만 많이 오는데 ㅋㅋㄱㄲㅋㅋㅋㅋㅋㅋㄱㅋㅋㅋㅋ
@user-zv4xf8cg5r
@user-zv4xf8cg5r 2 жыл бұрын
그립다………
@snowyevening7012
@snowyevening7012 Жыл бұрын
전혀 다른 방식으로 살아가고 있지만, 어릴 때부터 각 지역의 전통시장을 돌아다니는 것을 참 좋아했어요. 왜 그렇게 전통시장에 끌리는 지는 한 번 스스로에 대해 고민해보고 싶고, 또 전통시장에서 자리를 잡고 수십년을 살아가는, 전통시장의 한 부분이 된 사람들의 삶은 어떨까 궁금해지고 하네요. 내가 바로 그 사람이면, 그러면 어떤 삶일까, 하고.
@user-xy1uh4du5x
@user-xy1uh4du5x 18 күн бұрын
여기 고로께집 진짜 맛있음 어머니가 좋아 하셔서 한번씩 사감 근데 왜 안나오지?
@sejongking8994
@sejongking8994 2 жыл бұрын
2016년 방송이면 5년전인데, 지금도 그 곳은 잘 되고 있는지 궁금하네...
@waynekim4207
@waynekim4207 2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지금도 잘됬으면 좋겠네요~
@user-fz2by2px3n
@user-fz2by2px3n 10 күн бұрын
8년이 지난 지금은 완전히 ㅈ망한지 꽤됬습니다 ㅋㅋ 거리가 너무 짧고 식당은 거의 없고 거의 이상한 간식거리들? 이러니 망할수밖에..
@user-ht8fp3nw4c
@user-ht8fp3nw4c 2 жыл бұрын
유슬이 귀엽네..
@kmszjaaod
@kmszjaaod 2 жыл бұрын
우리동네네요 ㅎㅎ
@intomemories
@intomemories 11 ай бұрын
호떡 동생.. 사랑합니다...
@user-si6ed2yw3h
@user-si6ed2yw3h 2 жыл бұрын
통닭 너무 맛있것다~
@teamre.zero.1004
@teamre.zero.1004 2 жыл бұрын
다른건 좋은데 해당자리가 원래 어떤자리인지 알아봐야된다
@minhoshin5165
@minhoshin5165 2 жыл бұрын
와 자매 호떡집 동생분 진짜 이쁘다 비주얼이 연예인급인데
@jaemyunglee
@jaemyunglee 2 жыл бұрын
fx에 크리스탈인줄요.
@danniel5796
@danniel5796 2 жыл бұрын
근데 저분 아프리카 tv에서 bj하던분인데 나중에 물어보니깐 친동생 아니고 그냥 동생이라던데...
@leehyangje
@leehyangje 2 жыл бұрын
계란빵도 ㅎ 커피숍 빵집 맥노덜드 등에 가보면 ==> 당뇨병 고혈약을 팔아요 ㅎ 못 먹어요 ㅎ
@sinsacomely2556
@sinsacomely2556 2 жыл бұрын
KTX송정역앞에 있는 시장인가요? 아직도 있나보네요 1985년전후에 다녔는데
@user-of9yh9xm4b
@user-of9yh9xm4b 2 жыл бұрын
야시장에서 일반가게들도 손님이 많아졌으면
@user-st9gt7un5b
@user-st9gt7un5b 2 жыл бұрын
건너 장수국밥집 십년이 넘었구나
@younglee59
@younglee59 2 жыл бұрын
50:38
@mimi0602_
@mimi0602_ 2 жыл бұрын
❤❤
@user-fy8xr9vs3i
@user-fy8xr9vs3i 2 жыл бұрын
한쌈 서울 어디에 있든데
@user-dm9ri5ce6t
@user-dm9ri5ce6t 2 жыл бұрын
불과 몇 년 전만해도 사창가가 있었나요?
@ciel9202
@ciel9202 2 жыл бұрын
아직도 운영중인가요? 2016년도인데
@user-hb9ui5bg5s
@user-hb9ui5bg5s 2 жыл бұрын
여기 나온집 절반은 폐업함
@user-uo8fn4sc5w
@user-uo8fn4sc5w Жыл бұрын
현자야ㆍ추억만더등는다ㆍ연락오길
@JOSERAIMUNDO-je7ej
@JOSERAIMUNDO-je7ej Жыл бұрын
Qual é país?
@user-hb9ui5bg5s
@user-hb9ui5bg5s 6 ай бұрын
South Korea Gwangju metropolitan City
@osukkwon1175
@osukkwon1175 2 жыл бұрын
👍🍀🎶🌷🌻🌹💚💐🎵
@user-rw2vt6yx2u
@user-rw2vt6yx2u 2 жыл бұрын
뭐야 사람들이 왜 마스크 안쓰고 댕기지?? 라고 생각했는데 2016년도 꺼구나 ㅋㅋ 와 이젠 마스크 안쓴거 보면 개 어색해 보인다
@user-pv5en7fu4m
@user-pv5en7fu4m 2 жыл бұрын
초.중.고. 나의 인생 광주 항쟁 그 자리에서 피흘리고 잡혀간 이후 다시 돌아가지 못하고 마음으로 뭍어두고 살아온 세월 언제나 그리워 하면서 가보지도 못한곳 다음에 귀국하면 꼭 한번 가봐야 할곳 그때 그친구들 지금도 살아 있을까 아니면 나처럼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고 낮선 타향으로 해메고 있을까
@Dorisdenisoh
@Dorisdenisoh 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저와 비슷 하군요 외국은 어디에 사세요? 전 캐나다 입니다.
@user-pv5en7fu4m
@user-pv5en7fu4m 2 жыл бұрын
네 저는 맥시코 에서 벌써 27년의 세월을 보내고 그럭저럭 살고있구요 그래도 조국이라고 애틋하고 아련한 마음은 바뀌지 않네요 그래도 한2년에 한번씩은 방문하네요
@Dorisdenisoh
@Dorisdenisoh 2 жыл бұрын
@@user-pv5en7fu4m 멕시코의 따뜻한 날씨 때문에 겨울에 몇번 가봤습니다. 멕시코에서 많이 사셨네요. 저는 캐나다 이민 32년차 이며 광주 항쟁 당시에 트럭뒤에 타고 다녔습니다 . 저는 몬트리올 사는대 혹시 멕시코 어디 사시나요?
@uhwi1675
@uhwi1675 2 жыл бұрын
전라디언들 세계에 퍼졌네 무섭다... 한국 사람들 안만나는 이유가 전라디언 피할려고 하는건데 난 ㅋㅋ
@user-lw1jx8rs8g
@user-lw1jx8rs8g 2 жыл бұрын
5:18 헐..아직도 하시나요 궁금..
@user-fz2by2px3n
@user-fz2by2px3n 2 жыл бұрын
아니요..
@SHS9215
@SHS9215 Жыл бұрын
사장님 다른 곳에서 샌드위치 집 하셔요 ㅋㅋㅋ
@user-fz2by2px3n
@user-fz2by2px3n Жыл бұрын
@@SHS9215 오 진짜요 거기가 어디에요?
@SHS9215
@SHS9215 Жыл бұрын
@@user-fz2by2px3n 운천역, 남광주역 메트로 샌드위치 가게입니다 ㅋㅋ 알바가 있을때도 종종 있어요
@special_Y
@special_Y 11 ай бұрын
이집 유명햇어요 미녀자매로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근데 한일년하고 없어졌어요
@insydney1201
@insydney1201 2 жыл бұрын
삼겹살 한쌈은 부산 동의대 앞에서 먼저 시작한 집이 있고 전국에 아무데도 없는건 아니에요 사장님
@user-rg4sp3fe5c
@user-rg4sp3fe5c Жыл бұрын
그럼그러치ㅋㅋ 그리고저거 먹을바엔 삼겹살집에서 마음껏먹는게낫지
@okjoojoo
@okjoojoo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이거 편집이죠 했는데 잔인하게 그냥 내보내시네..........그래도 이쁘심
@user-tc5yw3tn1g
@user-tc5yw3tn1g 2 жыл бұрын
언제적거지 마스크가없네 지금은 거의 임대임 사라진곳이 더많다
@younglee59
@younglee59 2 жыл бұрын
2016.
@88dang
@88dang 2 жыл бұрын
초코파이 저거 전주 초코파이랑 똑같네...
@SHSHJIN
@SHSHJIN 2 жыл бұрын
올해 초에 가봤는데 사람 하나도 없더라... 지금은 많을라나
@user-fz2by2px3n
@user-fz2by2px3n 2 жыл бұрын
아니요 여전히 없습니다..
@user-rg4sp3fe5c
@user-rg4sp3fe5c Жыл бұрын
다없음 썰렁한지오래임
@ShootingKitty121
@ShootingKitty121 Жыл бұрын
지금도 없나요?
@out6844
@out6844 8 ай бұрын
저기 시장 얼마전에 가봤는데 구경하기가 뻘줌할정도로 사람이 없더라
@user-pc9bm7ob2n
@user-pc9bm7ob2n 2 жыл бұрын
호떡 동생 . .@@
@bsy6110
@bsy6110 2 жыл бұрын
한쌈 ㅋㅋ 5백원소주 ㅋ 역시 음식장사는 반이상이 남는다는말이 맞어 ㅋㅋ
@user-rg4sp3fe5c
@user-rg4sp3fe5c Жыл бұрын
한쌈먹을바에 고깃집에서 실컷먹는게훨 나음
@user-uv3zx3lt9z
@user-uv3zx3lt9z 2 жыл бұрын
음식에 토치질좀 안햇으면..
@ky4286
@ky4286 5 ай бұрын
똥팡주는 시장에 참 진심이네요~동네 나들가게나 만들어라
@younglee59
@younglee59 2 жыл бұрын
두환이가아직사과않해서문제지..
@user-ch4lv6jv9f
@user-ch4lv6jv9f 2 жыл бұрын
손도안씻고 쌈에고기싸먹냥 비위생
@user-zd1mk9vp7m
@user-zd1mk9vp7m 8 ай бұрын
호떡집^^ 머리좀 묶으세요,위생모는 못쓰더라도 집에서도 그리 안합니다~ ㅉ
@user-rg4sp3fe5c
@user-rg4sp3fe5c 2 жыл бұрын
한쌈은 간에기별도 안가것다 저리먹을바엔 그냥 고기집가서 먹는게 더낫다
@user-ch4lv6jv9f
@user-ch4lv6jv9f 2 жыл бұрын
배고픈 노숙자가 빵한개달라면줄까? 의심 카메라디리돼니 착한척
@younglee59
@younglee59 2 жыл бұрын
ㅈㄹ.
@user-le6gk6nt6m
@user-le6gk6nt6m 2 жыл бұрын
카메라의 힘
@user-ch4lv6jv9f
@user-ch4lv6jv9f 2 жыл бұрын
국밥은 개고기가짱 쫀득하고 맛남 개고기수육도좋고 자주먹음
@user-fo9jz1ki5l
@user-fo9jz1ki5l 9 ай бұрын
[전라도] 손병호(반전글) 전라도 사람들은 지역차별은 경상도 정치인들이 정치적 목적으로 만든 지역색이라고 말합니다. 그것은 자신을 속이는 것이고, 좌파들의 교묘한 말장난에 동조하는 겁니다. 아무리 정치인들이 어떤 목적을 위해 지역색을 만들려해도, 국민들에게 전라도 사람에 대한 평소의 인식이 좋은 사람들이었다면 될수 없는 일입니다. 오히려 그런 의도는 국민에게 역효과를 나타냈을겁니다. 만약 김대중이 충청도 사람이었다면 충청도로 지역감정을 만들었을까요? 아마 역효과로 나타났을 겁니다. 전라도는 군대부터 사회까지 국민들이 평소의 경험을 통해 그들이 나쁘다는 인식을 가졌기 때문에 정치인의 나쁜 의도가 먹힌 것입니다. 정치인들은 전체국민에게 전라도가 극단적인 감정을 가졌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지역색을 만든 것입니다. 전라도의 폐해가 아직 개선되지 않습니다. 평소에 아주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대화가 통했던 사람도 정치문제로 가면 눈이 뒤집힙니다. 이성을 잃어요. 평소의 냉철함이 사라지는 모습에 절망했던게 한 두 번이 아닙니다. 전라도의 오피니언 리더들까지 그럴진데 평범한 전라도 사람들은 오죽하겠습니까? 언젠가 전라도를 질타한글에, 친한 벗님이 전라도만 없으면 우리도 일본수준이 됐을거라는 댓글을 주셨습니다. 그렇습니다. 97%가 좌쪽을 미는 전라도.(2%는 이주민)인건 통계가 말해줍니다. 전라도인들이 평균적인 한국인과 같았다면 우리 사회엔 공산주의가 발붙이지 못했을 것이고 어쩌면 [자유]통일이 됐을것이고 일본보다 훨씬 잘사는 나라가 됐을겁니다. 다행히 나는 정치를 말하는 전라도 벗들이 많습니다. 그들은 나의 전라도에 대한 걱정에 동조하는 분들입니다. 전라도를 바꾸기 위해 고향사람들에게 욕먹어가며 애쓰는 분들입니다. 그런분들이 점점 늘었으면 좋겠습니다. 전라도가 바뀌어야 한국이 바뀝니다.(펌)
@uhwi1675
@uhwi1675 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 코스트코나 몰도 없는 전라도인들 ㅋㅋㅋ 5일장 일주일에 5개 단체에서 월화수목금 열어 ㅋㅋㅋㅋ
@user-hw6jq9dq2e
@user-hw6jq9dq2e 11 ай бұрын
광주는 성질이 더러워서 참... 볼일있어서 갈때마다 어쩜 그런지 난 일부로 대전간다
@user-bi1sx8fk7u
@user-bi1sx8fk7u 9 ай бұрын
지금 현재 2023년같이 힘들때 꼭 꼭 다시 다큐3일을 제작해야만 합니다
@user-qf3xw9yy9d
@user-qf3xw9yy9d Жыл бұрын
지금은 다 망하고. 아무도 안가요
@special_Y
@special_Y 11 ай бұрын
ㅇㅈ
Cat story: from hate to love! 😻 #cat #cute #kitten
00:40
Stocat
Рет қаралды 16 МЛН
Why You Should Always Help Others ❤️
00:40
Alan Chikin Chow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100❤️ #shorts #construction #mizumayuuki
00:18
MY💝No War🤝
Рет қаралды 20 МЛН
ПООСТЕРЕГИСЬ🙊🙊🙊
00:39
Chapitosiki
Рет қаралды 29 МЛН
[#2장1절] KBS 2TV 〈2장1절〉 제작발표회|KBS 방송
34:48
KBS 한국방송
Рет қаралды 29 М.
The cat made a surprise 🥳😥🥰
0:40
Ben Meryem
Рет қаралды 34 МЛН
🧑‍🦯🤓
0:38
Kan Andrey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
100❤️
0:20
Nonomen ノノメン
Рет қаралды 56 МЛН
В ДЕТСТВЕ СТРОИШЬ ДОМ ПОД СТОЛОМ
0:17
SIDELNIKOVVV
Рет қаралды 2,2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