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은 정말 ADHD인가? 뇌과학자가 정신질환 속 살아남는 방법

  Рет қаралды 161,246

장동선의 궁금한 뇌

장동선의 궁금한 뇌

2 жыл бұрын

#ADHD #성인ADHD #정신질환 #우울증
당신은 정말 ADHD인가? 뇌과학자가 정신질환에 대처하는 방법
:: 문의 ::
E-mail ✉ lab.curiousbrain@gmail.com

Пікірлер: 290
@user-rf8fv8qw5g
@user-rf8fv8qw5g 2 жыл бұрын
정신과 의사입니다 말씀하신 내용에 깊이 공감하고 갑니다 저도 "정신과진단에 너무 얽매일 필요가 없다" "정상과 비정상을 나누기는 어렵다"는 얘기를 환자들에게 많이 하는 펀입니다 사실 이런얘기들을 동료정신과의사들에게 하기는 쉽지 않거든요 병이 있으면 치료하고 없으면 치료하지않는다는 개념보다는 그냥 불편하면 치료받는다고 생각하는게 더 좋을거 같습니다
@Quidam12
@Quidam12 2 жыл бұрын
우울증으로 투약치료 6년째입니다 너무 지겹고 지난한 과정이라.......많이 지치고 그렇지만..... 완치에 대한 집착을 버리니 좀 편해졌어요 완치는 언감생심....... 그냥 관리죠 당뇨나 고혈압처럼.......평생 약먹으며
@user-gd4gk5cs8z
@user-gd4gk5cs8z 2 жыл бұрын
깨어 있으시네요. 꽉막힌 헛똑똑이들 사이에서 열린 사고를 가지신 당신은 진정한 지식인!
@user-vu7xc1vs6k
@user-vu7xc1vs6k Жыл бұрын
@@Quidam12 저도15년째 항우울제 불안제 약물복용중인데 끊을까 싶다가도 더 심해지느니 평생먹기로 마음먹으니 오히려 편합니다. 힘든과정이지만 안먹는것보다 나으니 차선책이 더 중요하더라구요 ㅎ ㅠㅠ
@user-sweetierinarinarinarina
@user-sweetierinarinarinarina Жыл бұрын
저한테 이런이야기하신 정신과의사분있었어요ㆍ진단명은 사실필요없다고요
@user-yb6wn7dk6k
@user-yb6wn7dk6k 5 ай бұрын
공감합니다. 진단과 가이드라인, 일정부분 필요하겠죠. 하지만 우리가 현재 알고 있는 지식이 불완전한 것이라는 사실, 그리고 변해가고 발전하는 것이라는 사실.. 그 불완전 지식이 없는것 보다는 훨씬 나은 삶을 가져준다는 사실..우리가 신이 아니기에 당연이 우리는 완전히 정상이 아니고..완전하지 못한 지식을 가지고 있다는 것.. 계속 발전은 하고 있지만.. 등.. 글이 횡설수설, 두서가 없군요.. 죄송합니다..
@broadshadow
@broadshadow 2 жыл бұрын
저는 어렸을 때 부터 심한 ADHD가 있어서 평생에 걸쳐서 집중력에 문제가 있었습니다. 대학교 다닐때도 수업중 끝까지 졸지않고 수강할 수 있었던 강의가 손에 꼽을 정도입니다. 이 ADHD가 한국에서 있을 때는 장애인줄 알았었는데, 미국에서 일하다 보면서 회사에서 많은 임원들이 대부분 ADHD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그들중 한 공장매니저가 저와 술을 마실때, 이는 사실 성공으로 이끄는 요소 중 하나라고 설명했습니다. 성공하는 사람은 확실히 비정상이라고 느끼기 시작한것은, 일반범주에서 벗어나는 특이성이 가치를 창출한다는걸 느낀이후인듯 하네요.
@akida416
@akida416 2 жыл бұрын
잘성장하면 좋겠지만 문제는 ADHD로 인해 교육현장 어디서든 혼나고 억제받는 사회적 환경에서 바른 사고가 어렵다는 것이 아닐까요?
@user-tq1ix8jh1v
@user-tq1ix8jh1v 2 жыл бұрын
@@akida416 맞아요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스스로 활동이나 사고에 제한을 두게될수도 있을거 같다는 생각이드네요...
@gentlewave258
@gentlewave258 2 жыл бұрын
@@akida416 바른 사고의 정의도 애매하긴 합니다. 스티브 잡스나 일론 머스크는 ADHD로 추정되는데 실제로 어릴 때 친구 집단에서 배제당했고, 오히려 혼자 지내면서 다양하고 폭넓은 독서를 통해 자기만의 재능을 가지게 되었으니까요. 그래도 최소한 메틸페니데이트 처방은 받는 건 맞다고 봅니다.
@akida416
@akida416 2 жыл бұрын
@@gentlewave258 아주 드문 케이스 같습니다. 대부분 ADHD 학생들은 학교 교육은 물론이고 가만히 앉아서 중중해서 책보는 것도 힘들어하더군요
@gentlewave258
@gentlewave258 2 жыл бұрын
@@akida416 제가 성인 ADHD 판정을 받고 콘서타(메틸 페니데이트)를 투여하고 있습니다. 어릴 때도 ADHD였던 게 확실하고, 진료를 거부하시지만 부모님도 ADHD로 추정됩니다. 저는 독서에 대한 강박이 있어서 책을 많이 읽었는데, 독서에 대한 강박이 있으면서도 자꾸만 책에 대한 내용에 대해 다른 상상을 하느라 집중이 흩어지는 제가 싫었습니다. 그런데 이 방식이 축적되면서는, 새로운 이론적 사고를 도출하는 부분에 대한 재능을 어느 정도는 인정받고 살고 있습니다. 연대 의대 출신 정신의학과 의사인 김창기씨도 ADHD를 고백했었고, 모 대학 화공과 최연소 교수로 재직하는 제 친구도 ADHD입니다. 그리고 제가 추정하는 바론, 제가 직접 아는 전문 분야 인물들 중에서도 상당히 많습니다. 물론 다들 ADHD로 인한 괴로움을 크든 작든 겪더군요. ADHD로 인한 학습장애를 겪는 아이들이 훨씬 흔한 건 맞고, 폭넓은 진단과 치료가 꼭 필요합니다. 그런데 그 아이들과 저/제 친구가 다른 건 흥미를 느끼는 방향, 즉 동기의 차이입니다. 저나 제 친구는 흥미의 방향이 지식을 향했고 주의 부족으로 흥미를 잃더라도 새로운 흥미가 다른 지식 분야로 돌아갔죠. 망상을 해도 지식 분야에 대해 했고요. 그 아이들은 ADHD 기반에 지적 동기 부족이 결합한 결과가 더 클 겁니다. 그런데 사실 지적 동기 부족에 의한 학습 정체는 ADHD가 아닌 이들에게도 마찬가지이지 않습니까. 어찌보면 ADHD는 학습 성향을 양극단으로 증폭한다고 볼 수도 있겠습니다. ADHD로 추정되는 유명 연구자들은 극단의 창의력과 광기를 같이 품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PCR 개발로 전인류를 지킨 노벨상 수상자 캐리 멀리스가 외계인, 기후변화 부정, 온갖 음모론을 진지하게 주장했었던 것처럼요. 이 경우는 과학습과 학습장애를 동시에 품고 있는 거죠. ADHD로 인한 학습장애는 의학적 접근을 통한 보완의 대상이지만, ADHD가 질병이라고 보기엔 어려운 게 맞습니다.
@the_gaia00
@the_gaia00 2 жыл бұрын
와.. 한 사회가 정해놓은 것에 맞지 않으면 정신질환이다 이 말 띵하네요 미세한 감정을 다루는 영역이라 미시적으로만 보려고 했는데 개인-국가-사회-세계 거시적으로 생각해보게 되네요 늘 퀄리티 있는 논문덕에 많이 배웁니다 오늘 영상 역대급 좋아요!!
@user-ff2ov2ln8r
@user-ff2ov2ln8r 2 жыл бұрын
근데 이건 좀 논란의 여지가 있을 듯요 🤔
@earlybird_
@earlybird_ Жыл бұрын
​@@user-ff2ov2ln8r 님께서 저 말을 이해를 못해서 '논란의 소지가 있다'고 생각하시는 듯 합니다.
@herren-house
@herren-house 5 ай бұрын
그냥 깔끔하게 조용히 아무도 모르게 사라지고싶다
@suddenly_what
@suddenly_what 2 жыл бұрын
다들 이정도 힘듦은 안고 살아가는거 아닌가, 이정도 스트레스는 누구나 있는걸 하며 적절한 치료시기를 놓친 성인adhd 환자입니다. 저도 제가 단순 우울증 불안장애라고 생각하며 그중 브레인포그 증상은 제가 안고갈 핸디캡 중 하나라고 여겼었어요. adhd약을 복용하기 이전까지는요.. adhd 약을 먹고나서 보통사람의 삶이란 이런 느낌이구나.. 솔직히 말해서 인생이 수월해진 기분이에요. 나 스스로 계속 깜빡하고 업무나 공부, 일상생활에 지장이 생기고 대인관계에서 트러블이 발생하고, 가까운 지인의 중요한 정보를 잊어서 성의없게 비춰지고 미안하단 말을 자주하는 신호가 있다면 잘 생각해보시고 전문의와 상담을 해보세요.
@myungheeyvonne
@myungheeyvonne Жыл бұрын
저도 adhd라 늘 머리가 안개낀것 같은 느낌이고 멍하고 사리분별이 빠르지 않고 늘 명확치 않습니다. 혹시 약을 드시고 치료가 되셨나요?저도 집중이 필요할땐 페니드를 먹고 제정신?인 상태에서 일이나 공부하려고 노력하는데...약에 평생 의존하긴 힘들것 같네요.
@user-rh3ox6tt1t
@user-rh3ox6tt1t 2 жыл бұрын
제가 갖고 있는 가장 큰 가치관 중에 하나가 “함부로 판단하지 말자”인데 선생님이 말씀하시는 전체적인 맥락이 제가 늘 제 자신에게 강조하는 메시지와 비슷해서 영상을 보며 많이 놀랍기도하고 반갑기도 했어요. 저는 지금 해외에 거주중인데 한국에서 살때 비슷한 말을 하면 사람들이 “그건 좀 너무 파격적인 생각 아니야?” 라는 말을 많이 하더라구요. 반면에 영어권에 살고 있는 지금은 open minded 라는 피드백을 많이 받습니다. 여러 가치중립적인 주제가 속한 사회에 따라 다르게 평가받는 상황들을 바라보며 나는 왜 한국 사회에 태어나서 그리 힘든 어린시절을 보내야만 했던걸까 싶어 원망스러울 때가 있는데요, 또 한편으로는 어떠한 사회나 개인의 특성은 늘 양면성이 있어서 그게 또 장점으로 발현되기도 한다고 믿어요. 한국으로 치면 그룹화 하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정상’에 대한 스탠다드가 높아 개개인이 인정받기 힘든 반면에 단합력이 높다는 장점이 있겠구요. 반대로 제가 거주하고 있는 곳에서는 정반대의 장단점이 작용합니다. 이를 깨닫는 과정에서 ‘개개인이 존중받는 사회가 되어야만 하고 그게 가장 합당한 것이야’ 라고 믿어왔던 신념은 그렇게 또 한번 깨지게 되었어요. 이로써 절대 선과 악은 없다는 하나의 진리에 가까워 지는 것 같습니다.
@user-he8uc8tz9c
@user-he8uc8tz9c Жыл бұрын
자녀들에게 해주고 싶은 말이네요
@user-or2sc4ce6v
@user-or2sc4ce6v Жыл бұрын
어렵네요
@random0153
@random0153 9 ай бұрын
멋지네요
@onioncracker
@onioncracker 7 ай бұрын
최근 하고있는 고민에 대한 좋은 글을 본 것 같아 감사합니다.
@qkfrdmsalth628
@qkfrdmsalth628 2 жыл бұрын
뇌과확과 심리학이 이만큼 발전한 게 얼마나 다행인지 몰라요. 안그랬다면 치매환자나 뇌질환을 겪는 환자들은 아직도 귀신이 들렸다느니 마녀사냥의 타겟이 되었을텐데...뇌과학의 무궁한 발전을 응원합니다!!
@10000labe
@10000labe 9 ай бұрын
혹시 영상을 보고 잘못 오해해서 나의 부족을 인정하고 다시 열심히 문제행동들을 고쳐가면서 지금처럼 살아봐야지 하고 의지다지기만 하시는 예비 adhd분들이 있을까봐 댓글을 적어봅니다! (adhd환자는 노력과 의지가 아킬레스건이라 이런 영상 또 겁나 열심히 봅니다 근데 귀찮은거 싫어서 병원 가는거 미룹니다 아니면 까먹습니다..)adhd는 자가치료 인지행동치료 이전에 검사를 통한 제대로 된 진단으로 본인이 병이있음을 아는것 , 그를 통한 약물치료를 받는 것이 굉장히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일단은 호르몬 수치가 일상생활 혹은 사회생활을 하는데 필요한 정도로는 올라와야 장기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자가치료도 가능해지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손가락뼈가 부러져있는데 손가락 근육 운동을 시작해야겠다는 것과 비슷한 느낌.. 뼈가 부러졌는데 그 원인을 모른체로 근육 운동을 하면 난 이렇게 열심히 운동했는데도 물건도 못집고 계속 아프기만 할까 다른 사람들은 근육 운동 없이 젓가락질도 하는데 난 하루종일 운동을 해도 왜 문 손잡이 하나를 못잡을까 하는 자책 자기비하 우울 심하면 자살까지 갈 수 있는 무서운 병입니다.. 열심히 의지를 가지고 살수록 더 그렇게 됩니다. '인지행동치료를 자가로 돌리고 있었던 것 같다' 라고 하셨는데 병을 인지하지 못한 adhd 환자가 뇌기능에 대한 상식적인 정도의 이해 수준을 가진 상태에서 살아나가다 보면 보통 의지를 가지고 문제행동패턴을 수정하기 위한 여러가지 방법과 정보를 찾고 자가로 돌리게 됩니다. 일정부분 도움을 받지만 반복적으로 실패합니다. 그게 한 두해가 아니라 평생에 걸쳐 반복되다보면 노력을 할수록 스스로에 대한 불신이 커집니다. 여러가지 툴과 인지행동치료는 분명 중요하고 당장의 삶에도 큰 도움이 되지만 진단받지 못하고 원인을 자신에게 돌리며 약물치료 없이 진행된다면 한계가 있는 정도가 아니라 개인 인생에 문제가 기하 급수적으로 커질 수 있습니다. 진단을 받고 약물없이 인지행동치료를 하기로 스스로 선택하는것과는 완전히 다른 문제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영상의 주제와 의도는 흔히 사회에서 비정상이라고 불리우는 사람들에게 큰 위로를 주는 감사한 내용이지만 adhd증상은 누구나 어느 정도 가지고 있는 것들이야~하는 말에는 양면적인 부분이 있을 수 있다는 생각도 듭니다. adhd의 원인을 생물학적이고 유전적인 뇌기능발달장애가 아니라 개인의 의지나 성격문제로 알고 있는 사람들이 아직도 많으니까요 ㅠㅠ또 adhd환자와 그렇지 않은 사람은 그 증상의 빈도와 심각성의 차이가 꽤 클 수 있습니다. 바쁘고 정신없어서 가끔 지갑을 잃어버려도 많이 당황하게 되는데 평생을 반복하게 되면 그 지갑에 어느날 큰 돈이 들어있어서 카드를 못막고 신용불량자가 될 수도 있는거고 잡생각이라는게 반복적이고 심하면 어느날 그냥 잡생각하다가 차에치여죽을수도있고..실제로 자살이나 사고때문에 평균수명이 10년 적다는 통계가 있다고 하니까요 ㅠㅠ 치료하지 않으면 자신을 넘어서 다른사람에게까지 큰 피해를 입힐 수 있으니 치료하지않는 환자는 결국 세상속에서 비정상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니 영상의도대로 편견과 잘못 알려진 것들이 바로잡히고 제대로 된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사회가 되면 좋겠습니다
@iperll5236
@iperll5236 2 ай бұрын
저는 adhd가 장점이라 생각합니다 물론 대한민국 사회에선 단점일수 있죠 노예가 되길 강요하는 사회니까요 근데 ai시대에선 장점이 될겁니다
@discipleofjesus4138
@discipleofjesus4138 25 күн бұрын
격공합니다. 질병에 대한 객관적인 시선이 필요합니다.
@KSignlanguage
@KSignlanguage 2 жыл бұрын
ADHD를 가진 사람입니다 어느순간 ADHD에 숨어 살고 있더라구요 근데 강의 들으면서 이걸 인정하는것에서 깨고 나아갈수 있다고 생각을 변화중에 있는데 많은 지지가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vm9lh7je6d
@user-vm9lh7je6d 2 жыл бұрын
제가 이제 adhd라서 안되는거라고 틀을 짜내요
@ninabrant2478
@ninabrant2478 2 жыл бұрын
제가 평소에 했던 생각과 비슷해요. 근거를 알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현대의 극단적 경쟁사회를 생각해 보면 정상의 수준이 높아서 스트레스를 받는 사람이 정말 많을 거에요. 그런 사회에서 '나는 괜찮다'라는 생각을 가지고 살아가기란 어려운 일이죠. 내가 정상이 아니어도 괜찮다, 그리고 내 주변에 좀 이상한 애가 있어도 괜찮다는 생각으로 세상을 좀 더 따뜻하게 볼 수 있는 좋은 내용이었습니다. 고맙습니다.
@user-zo4fq1dr4k
@user-zo4fq1dr4k 2 жыл бұрын
어제 ADHD 검사 후 저하 수치를 눈으로 본 순간 안도감과 오묘한 감정이 있었어요. 30년 넘게 남들과 경쟁하려고 스스로 인지치료를 해왔던 모습에 짠하고 안쓰러운 모습이 눈에 아른 거렸어요. 아무리 노력해도 같은 성취를 얻기 위해서는 남들보다 2배의 시간을 쏟아부어야 했는데, 약물치료가 저의 노력에 정당한 댓가를 받는데 도움 됐으면 좋겠어요!
@Balance4me
@Balance4me 2 жыл бұрын
뇌과학자 입장에서 어찌보면 인정하기 어려운 실험결과를 용기있게 풀어주셔서 감사해요! 실제로 마음이 힘든 사람들 중에 스스로를 진단명으로 규정화하면서 더 깊은 자책과 비관적인 생각으로 빠지는 분들도 많이 봤거든요 ㅠㅠ 그만큼 해석은 정말 필요할때만 해야될 것 같아요. 증상 그 자체보다 증상을 바라보고 조절하는 태도가 더 중요하다는 말씀에 깊이 공감합니다! '어느 사회, 어느 시대에 사느냐에 따라서 정신질환의 기준은 달라질 수 있다' '모든 사람은 하자를 조금씩 가지고 있다' 모든걸 쉽게 문제화하지 않고 너그럽게 바라보는 시각을 허용해 주는 것 같아요 이 영상이 💖
@miaeko772
@miaeko772 2 жыл бұрын
진솔한 방송에 감사드립니다. 자신의 부족함을 떳떳이 밝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더 나은 사람이 되기 위해 노력하는 박사님의 모습이 깊은 감동이었습니다.
@chocho_3
@chocho_3 2 жыл бұрын
성인 adhd인데 자책하고 많이 힘들었는데 덕분에 많은 위로가 됩니다...분명 저만의 이점이 있을거에요 정말 감사합니다
@user-gl3pj8bh8x
@user-gl3pj8bh8x 2 жыл бұрын
나는 살면서 나는 미친놈라는 확신이있었음. 나를 잘 아는 친구들은 나를 미친놈이라고 인정했음. 하지만 가족들은 내가 특별하다고 해주었음...내인생은 항상 엉망진창이었고 심심하면 자살에대해 생각했음...하지만 가족들은 항상 내가 결국엔 잘될것이라고 응원해줬음...솔찍히 지금도 왜 살아야 되는지 모르겠는데 날 사랑해주는 가족들이 슬퍼하는게 싫어서 열심히 살기로 했음...그냥 일기장대신에 적어봄..
@user-vn2pk4ey1c
@user-vn2pk4ey1c Жыл бұрын
잘했어요.이왕 사는거 행복하게 좋은 사람으로 살길 기대해봅니다.. 유전의 힘을 느끼는 요즘...그 중에 한명으로서 그냥 좋은 말 해주고 싶었어요.
@user-iy4sp9ln1d
@user-iy4sp9ln1d 2 жыл бұрын
저도 약간의 강박증 불안장애 조급증 우울장애가 있어요 결혼하고 갈등속에 놓이다보니 성격상 정면돌파가 안되서 이런저런 불안함과 스트레스가 쌓이고 이게 습관적인 강박으로 자리잡더라구요 현대사회에 정상적인사람이 과연 얼마나 있을까요 설령 있다해도 표면적인 지표일뿐 마음과 정신은 정상이 아닌경우가 훨씬 많다고 생각해요 정신병의 기준이 사회가 따른기준이라는 말이 참 아이러니하면서도 어느부분 공감도 됩니다 그냥 스트레스 쌓아놓지말고 그때그때 풀고사는게 정신병을 생산하지 않는일 같아요 즉 무조건 참고 넘기는건 정신병의 씨앗을 키우는일이니 부딪치더라도 표출하고 살아야 한다 생각해요 박사님말대로 인지행동치료 저도 나름 하고 있어요 어떤상황에서 무의식적인 저의 행동들을 자각하고 인정하는것만으로도 완화효과가 있는걸 느낍니다
@flamen3044
@flamen3044 2 жыл бұрын
장 박사님 강의는 늘 따뜻해서 마음에 위로가 됩니다 선생님도 건강하고 행복하시길 기도합니다
@Daizy9
@Daizy9 2 жыл бұрын
관련 고민이 있어서 공감하며 봤습니다! 항상 시의적절한 주제를 흥미롭게 동시에 따듯한 시선을 담아 설명해주셔서 넘 좋아요. 나중에 자가로 돌리고 계신(ㅋㅋ) 인지치료적 방법들 공유해주세요ㅋㅋ 뇌과학적인 근거가 있는 효과적인 팁들이 있으실 거 같아서요 ㅎㅎ
@slaalsla
@slaalsla 2 жыл бұрын
장동선 박사님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요즘 금쪽같은 내 새끼나 여러 매체•프로그램 등에서 정신질환에 대해 다루고 있고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진 것 같아서 다행이라고 느껴요. 저는 Adhd를 가지고 있는 고2 남학생인데요. 고1이 넘어서야 adhd가 있다는 사실을 부모님께 듣고 왜 늦게 알려줬는지 원망스러웠어요. 하지만 제가 그동안 왜 산만했고 집중이 안되었는지 모든 엉킨 실마리가 풀리는 기분이였습니다. 다행히 지금은 약 먹고, 친구들이랑 운동도 하고, 공부도 하고 힘들지만 보람찬 삶을 보내고 있답니다!. Adhd를 가지신 분들, 너무 자책하지 마시고 자신을 adhd라는 이름에 가두지 마시길 바래요. 우린 질환 이전에 각자 잠재력을 가진 사람이니까요.
@joosungkwon5939
@joosungkwon5939 2 жыл бұрын
저도 이방인이라는 책을 읽고 많이 공감하면서 남들과 다르다,이상하다 생각했었는데 오늘 내용 정말 유익하네요! 👍
@user-yf5zw1fb1z
@user-yf5zw1fb1z 2 жыл бұрын
이런 강의가 유튜브에 무료로 업로드 되고 있는 좋은 시절에 저는 살고 있습니다!!! ㅎ 개인적으로는 '현대인의 삶의 양식이 인간의 고유의 본성에 어울리는가?' 라는 질문이 기억에 남았고 제가 가지고 있는 어려움들에 대해 인지행동치료를 하는데 도움이 될 것 같네요~
@PharmacistPal
@PharmacistPal 2 жыл бұрын
Pessimistic optimist 로 살아가다보면 타인을 너그럽게 용납하며 작은것도 소중히 여기게되죠. 고퀄 영상, 진솔한 강의 감사합니다
@minhochoi7823
@minhochoi7823 11 ай бұрын
비관론적 낙관주의는 약간 음과 양의 조화와 비슷한것 인가요 ?
@funkoreangoguma
@funkoreangoguma 2 жыл бұрын
ㅁADHD 라고 이름을 붙이는 순간 이것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늘 의문을 품어왔어요. 과학자로써 이런 관점도 너무 감사합니다. 늘 좋은 강의 해주시는데 이번편은 특히나 편안해 보이시고 내용도 좋네요. 감사합니다!
@user-nk7dd2zg5v
@user-nk7dd2zg5v 2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을 보고 정말 크게 느껴지는 것이, 내가 정말 좋은 시대에 살고 있구나 라는 생각이네요ㅎㅎ 그러면서 마음이 편안해지고 긍정적인 엔돌핀이 도는 것 같습니다. 이러한 희망의 메세지를 전달하는 영상들을 제작해주셔서 항상 감사하고, 많은 분들이 볼 수 있도록 주변 사람들에게 공유하고 싶네요!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Bitinsta
@Bitinsta 2 жыл бұрын
항상 따뜻함을 느낄만한 메시지를 주시는거 같아요 감사합니다^^
@user-snowgyu
@user-snowgyu 2 жыл бұрын
언제나 누구나 말씀하신 내용 들은적 있을겁니다. 내용 잘 듣고 재밌습니다! 감사합니다.
@mrc8578
@mrc8578 2 жыл бұрын
통찰력이 가득한 말씀 잘 들었습니다.
@user-sv4xy4fh5u
@user-sv4xy4fh5u Жыл бұрын
요즘 정신병을 본인 상황이나 심리적 상태에 대한 방패나 면죄부로 생각하는, 혹은 그 심리적 병약함에 되취되는 사람들이 너무 많은 것 같아요;; 인간은 상상력의 동물이라 내가 진짜 있다고 믿으면 정말 그것을 창조해버립니다. 없는 것도 있는걸로 만들어버린다고요. 비정상 아닌 사람이 어디있어요;;; 병을 핑계로 도피하기엔 삶이 너무 아깝지 안나요ㅠㅜ
@hmmlee6661
@hmmlee6661 2 жыл бұрын
생체지표를 통해 진단시스템을 구축해가고 있는 현재와 이전 과거를 조리있게 쉽게 풀이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또한 개인이 가지면 좋을 자세에 대해서 말씀해주셔서 대단히 좋았습니다. 모든 것에 대해서 기대를 하지 않고 그로 인한 실망과 좌절을 경험하지 않겠다는 저의 자세와 비관적 낙관주의자의 의미가 유사하여 보다 와닿았던 영상이였습니다!
@getthankyou8650
@getthankyou8650 2 жыл бұрын
저도 성인adhd 라고 생각하는데 장박사님과 여러 동료분들도 그렇게 생각해서 자가 치료를 하고 있다고 하니 진짜 위로가 되네요 저도 정식으로 검사 해서 구체적인 인지행동 치료를 받아야겠어요
@sinaepark2002
@sinaepark2002 2 жыл бұрын
너무나 따뜻한 말씀..유튜브를 통해 들을수 있어 감사합니다~
@tartini2000
@tartini2000 2 жыл бұрын
의도하든 의도치 않든, 모든게 돈과 권력하고 연결할 수 있지않을까 싶은데요… 학자들, 전문가라는 사람들을 이용해서 약을 팔기는 너무 쉬운 것 같아요. 받아들이는 사람이 무방비 상태라면 딱 이용당하기 좋고요. 평생 이 약을 먹어야된다는 식의 접근을 요즘 의사들이 은근 많이하는게 거슬리는 건 저 푼인가요? 누군가를 자생할 수 있게 도와주는 건 생각보다 복잡미묘한 단계를 통과해야하는 것 같구요. 나의 아픔과 기쁨을 나눌 수 있고 받아줄 수 있는 곳만 있어도 병의 정반은 사라질 거라고 생각하는데요. 생각할 수록 이 세상은 정말 사람과 인간에대한 존중과 이해, 사랑이 절실히 필요한 곳 인 것 같네요
@user-pf4zk7yd3w
@user-pf4zk7yd3w Жыл бұрын
ADHD를 4년 전에 진단 받았습니다. 그 당시에는 ADHD가 크게 이슈화되지도 않았고, 일반사람들도 잘 모르며, 관련 내용을 다루는 유튜버들도 없었습니다. 불과 4년 전만 해도 그런데 그 이전 10년 전엔 더 심했겠죠. ADHD를 겪는 사람들은 뭐가 옳은지도 모른채 앞으로 나아가야만 했습니다. 저 역시도 그랬구요. 그런데, 점차 이슈화 되면서 매스컴에서도 많이 다뤄지고, 유튜브에도 유익한 영상이 많아진 것 같습니다. 저는 4년 전에 아무것도 모른 채로 스스로를 비정상인이라 규정 짓고 스스로를 고쳐갔어요. 하루에 5~6시간씩 제 자신을 분석하고 어떻게 고쳐야 할지 고민했던 것 같아요. 자신의 단점에 집착하게 되었죠. 인지행동치료를 받고 싶어도, 받을 수도 없더라구요. 인지행동치료를 다루는 병원이 얼마 없거든요. 당장 다니던 병원의 의사도 저에게 해답을 제시해주지 못했습니다. 의사조차도 모르는 병에 걸렸다니.. 그만큼 어려운 질환인거죠. ADHD는.. 그렇게 저는 오히려 망가졌습니다. 제 자신이 비정상이고 정상을 위해 나아가야 한다는 강박에 시달렸고, 우울증에 시달렸지요. 인간은 편견을 가지고, 생각이 계속 되면, 자신의 시선 (편견)을호 세상을 보게 됩니다. 저는 제가 비정상이라는 편견으로,그런 시선으로 세상을 봤죠. 정말 암울했습니다. 어떤 상황이 닥치더라도 '이건 내 단점이니 고쳐야해' 라며 핸드폰에 적었습니다. 만약 제 자신을 조금 받아드리려 했으면 어땠을까요. 4년 전에 저를 조금 이끌어주는, 하다못해 이 영상처럼 라는 질문을 던질 수 있도록 도와주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결과적으로는 ADHD 증상을 다소 개선했습니다. 제가 어떤 사람인가 알고 있으니까, 경계하게 되고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 같습니다. 4년 간 아둥바둥 했던 게 결코 헛된 건 아니었겠죠. 지금은 이런 제 자신을 받아드리려고 생각하고 있으니까요. 하지만, 아직도 잘못된 사고 방식 (자신의 단점을 무조건 개선해야 된다.) 라는 게 참 힘드네요. 지금이라도 이런 유익한 영상이 많이 나와서 정말 다행인 것 같습니다. 영상 보는 내내 제가 4년간 겪었던 경험이 떠올랐고, 고개를 끄덕이면서 봤습니다. 위로 받는 기분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sn6qj1yu3x
@user-sn6qj1yu3x Жыл бұрын
40년 넘게 계속 고민하고 살고 있어요ㆍ 주변에서 특이하다고 하고 자주 지적받으니 힘들고 님과 같은 자책으로 아직도 힘들답니다
@abigail-id5od
@abigail-id5od 10 ай бұрын
책 ADHD는 없다에서 ADHD라는 진단을 받게 되는 아이들의 공통점 다섯가지 창의성, 사람에 대한 직관력, 정서적 민감성, 살아있는 것에 대한 교감, 높은 에너지수준 인간은 모두 비정상적인 부분을 가진 불안전한 존재이고 자신이 가진 특별한 재능에 집중하시면 어디가서도 성공할 수 있습니다❤ 내자신을 소중히 대하기 존중하기 화이팅
@write1down
@write1down 8 ай бұрын
Adhd만 이상한게 아니고 누구나, 살아있는 사람이라면 전원에게 나름의 문제가 있습니다. Adhd의 문제를 문제가 아니라 특징으로 바라보면, 그 특징의 장단점이 나뉘어 보입니다. 단점에만 집착하지 말고 장점도 알아주세요. 성공의 한 요소가 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단점은 오직 혼자서 극복하기 힘듭니다. 주변환경과 주변사람의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 스스로 그런 주변환경을 만들어보시고,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도 만드셔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보세요. 사람은 누구나 문제를 가지고 있지만, 그 문제가 뭔지 알고 그 문제의 정확한 이름을 알고 있는 사람은 별로 없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adhd라는걸 아는 것도 운이 좋은 것이라 생각할 수 있다고 봅니다.
@user-yb6wn7dk6k
@user-yb6wn7dk6k 5 ай бұрын
정상인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정상이어야 필요도 없습니다. 나는 unique 하기 때문에 소중합니다. 나는 나의 모습 그대로 소중합니다. 나의 평가를 남에 맞기지 마십시오. Amor Fati
@cafemochaaaaa
@cafemochaaaaa 2 жыл бұрын
마음이 편해지는 영상이었어요 ^-^
@g1_chun-skead701
@g1_chun-skead701 2 жыл бұрын
과학영상인데 항상 따뜻합니다. 감사해요
@user-ih5cy7rx7v
@user-ih5cy7rx7v 2 жыл бұрын
인문학과 뇌과학이 떼려야 뗄 수 없다는 걸 박사님 말씀에 또 한번 느끼게 됩니다. 마지막에 해주신 말씀들이 정말 와닿아요. 늘 감사합니다... ㅠㅠ♡
@user-jp1gm1nz4z
@user-jp1gm1nz4z 2 жыл бұрын
오늘도 박사님의 강의를 들으며 긍정의힘을 믿어봅니다. 감사합니다!
@user-sz2qu7lb3w
@user-sz2qu7lb3w 2 жыл бұрын
진짜 좋은 영상인 것 같아요 뇌에 대해서 흥미가 꽤있었는데 이렇게 재밌게 이야기 해주시니 푹 빠지게 되네요
@deo-richc9125
@deo-richc9125 2 жыл бұрын
혼자만 가지고 있던 나에 대한 생각을 이 유튜브를 통해서 확인하고 위로를 받습니다. 박사님의 나눔에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더 많은 사람들에게 인간에 대한 지식과 인사이트를 널리 오랫동안 전해주시기를 바라고 기원합니다 🙏🏻
@bms7786
@bms7786 2 жыл бұрын
저도 인간을 연구하는 입장에서 비관적 낙관론자가 자연스럽게 되었는데, 그러면서 스스로를 또 돌아보고 계속 점검해가게 됩니다. 완벽하지않은 인간과 완벽하지않은 세상은 제게는 그자체로 큰 하나의 살아움직이는 예술작품과 같고 그건 너무 아름다운 모습입니다. 오늘 방송은 특히 더 솔직하고 용기있는 에피소드이고 공감하는바가 큽니다.
@fornicelife
@fornicelife 2 жыл бұрын
영상 정말 잘 봤습니다 :) 따뜻한 말씀이네요!
@user-cq5pc1hu2r
@user-cq5pc1hu2r 2 жыл бұрын
공격적인 정보가 아닌 사람의 마음을 보듬는 내용이라 더욱 공감됩니다~ 이따금 너무 객관적이고 드라이한 정보를 접하면 마음이 안좋더라고요~ 늘 잘 듣고 있습니다^^♡
@domuklee9594
@domuklee9594 2 жыл бұрын
늘 재밌게 보고 있습니다 요새 볼때 제일 즐거운 채널이에요!
@glass2823
@glass2823 2 жыл бұрын
정신질환자의 가족으로서 항상 궁금했던 부분입니다. 그럼 나는 정상일까? 어떻게 받아들이고 생각할지 또 다른 관점과 인지의 방향을 열어주셔서 고마운 영상입니다~
@user-rt5ni6ec8i
@user-rt5ni6ec8i 2 жыл бұрын
진짜 너무 좋은말씀이고 깨닫고 갑니다
@rlaxodcjswo
@rlaxodcjswo 10 ай бұрын
아 ... 요번 편은 정말 좋네요^^ 이런 얘기가 에세이가 아니라 현실에 기반한 과학에서 나오니까 더 믿음직스럽네요.
@J--y10..
@J--y10.. Жыл бұрын
정말 너무 유익하고 위안과 공감을 받은 영상입니다. 좋은 영상 감사드려요!
@tiong3
@tiong3 2 жыл бұрын
와 너무 흥미로운 주제였어요 감사합니다
@Creationbylim
@Creationbylim 9 ай бұрын
요즘 박사님 동영상 보는 재미로 살아요...오래 유튜브 해주세요⭐️🧡🧡 행복하세요!!
@ii-lr5mn
@ii-lr5mn Жыл бұрын
진짜 말 너무 잘하신다 듣기 편안한 말투와 목소리 인상 너무 좋아요 무조건 클릭하게 됨
@SeokyeonJi
@SeokyeonJi 2 жыл бұрын
진단은 삶의 어려움을 덜 수 있게 한 사람을 이해하도록 기능해야 타당하고 인권적이지만, 약처방이 남발되고 그 개인을 문제로 몰고가면서 계속 고쳐야 하는 사람으로 존재를 낙인찍게 기능한다면 부당하고 비인권적이라 생각합니다. 진단이나 치료자 역할을 하시는 분들만이 아니라 전반적으로 '진단으로 존재를 지원한다'는 철학과 관점을 가지기 위해 공부하는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jhchung7787
@jhchung7787 11 ай бұрын
시간을 두고 종종 듣고 보는 영상이예요. 개인적으로 볼 때마다 얻어가는게 있는 것 같아요. 너무나 감사합니다.. 👍
@superb444
@superb444 2 жыл бұрын
장동선 박사님은 외모도 출중하시고 경력도 화려해서 찔러도 피 한 방울 안 나올 거 같은 첫인상이 있었는데, 방송을 보면 볼 수록 참 진솔하신 분 같아요! 건강하세요라는 말에 묘한 울림이 있네요. 감사한 마음으로 보고 있습니다!
@Bruna0321
@Bruna0321 2 жыл бұрын
너무 용기가 되네요 ㅠ 감사합니다.
@dlsrks1002
@dlsrks1002 2 жыл бұрын
세상에서 제일 싫은것이 무조건 좋은거고 넌 무조건 잘될거고 넌 무조건 소중하고 이런것들이 오히려 그렇지 못한 현실을 마주할때 더더욱 나를 힘들게 만드는데 뇌과학적으로 이런거 풀어주시니 정말 10년묵운 체중이 내려가면서 몸에 소름이 돋네요,,,,,,,,, 감사합니다 유익합니다 채널이 아주,,
@shiinas2
@shiinas2 Жыл бұрын
마지막에 해주신 나는 낙관적일 수 있기 위해 비관적이다 라는 이야기가 너무 인상적이고 위안이 됬어요 저는 요즘 불안장애가 심해져서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거든요 오늘 저녁에 누울때 오늘은 그렇게 심하지않았어 하고 생각해보려 합니다 늘 영상 잘 보고있어요~ 언젠가 불안에 대해 이야기 해주시는것도 보고싶네요 :)
@user-pv3ei7ww7h
@user-pv3ei7ww7h 2 жыл бұрын
박사님 말씀을 들으며 정신질환은 정말 사회적 편의와 그 속에서의 개인의 적응을 위해 내리는 편의적인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일단 진단을 받게 되면 괴로움의 원인을 밝혀주고, 그것에서 벗어나기 위한 절차를 밟게 되니까요! 현대사회의 우리 모두는 저마다의 괴로움을 안고 살아가는 데, 이 괴로움이 커지면 우리 모두 정신질환자가 되는 것이 아닌가 싶어요
@user-ls4cg6jj1t
@user-ls4cg6jj1t 2 жыл бұрын
사람에 대한 애정이 느껴지는 포근한 미소가 멋지십니다. 자주 놀러와야겠어요~
@user-li9oq9vw6u
@user-li9oq9vw6u Жыл бұрын
생각을 달리 할 수 있게 해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designthinkingkorea2186
@designthinkingkorea2186 2 жыл бұрын
박사님 존경합니다!
@harrye9105
@harrye9105 9 ай бұрын
2년이나 된 영상이지만, 선생님 말씀에 위로받고 영상 내용에 공감하고 갑니다. 제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CBT의 핵심은 자기 관찰인 것 같아요. 저는 평소에도 저 자신의 모습이 마음에 들지 않거나 안 좋은 생각에 휩싸일 뻔한 순간에 처해지면 차분히 제 생각이나 행동을 관찰해보려고 노력합니다. : )
@SteveJobs_
@SteveJobs_ 2 жыл бұрын
자가치료 항상 느끼던 바입니다 인지행동치료 말만 그럴싸하고 실제로 받아보면 광장히 단순합니다 굳이 돈내고 받을 가치를 못느낄정도
@user-zz5mg8sw2n
@user-zz5mg8sw2n 9 ай бұрын
아 제가 생각하는 것과 너무 같은 부분을 꼭 집어서 뇌과학자가 말해주니 너무 좋다!!!!!
@naa2108
@naa2108 2 жыл бұрын
정신질환을 진단할 때 증상 호소가 큰 영향을 미친다고 느꼈습니다. 질환의 존재 자체가 문제 되기보단 삶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에 따라 문제 여부가 결정되는 것 같았습니다. 마치 "당신 이것때문에 불편하면 약을 줄게요" 같았어요. 특히 adhd에 있어서 그런 느낌이 강했구요. 심하게는, 누구나 겪는 상황을 adhd에 특정시켜 과잉진단하는 게 아닌가 까지 생각이 들었어요. (일반인들도 누구나 자제력을 발휘해 습관을 개선하거나 계획을 실천하거나 하기 싫은 일을 하거나 아침에 일어나는 게 힘든데 그걸 못 한다고 adhd라고 하는 게 맞는가) 제가 선생님 말씀을 잘 이해한 건지 모르지만 평소 의문점을 전문 지식으로 조리있게 풀어주신 것 같아 시원합니다.
@minjungclaire3807
@minjungclaire3807 2 жыл бұрын
좋은 콘텐츠에요
@user-ee4ct2is1h
@user-ee4ct2is1h 2 жыл бұрын
이런 영상을 집에 가만히 앉아 무료로 볼 수 있다니, 선생님께 감사하고 유튜브에 감사하고 이런 시대에 낳아준 부모님께 감사하게 되네요 추천 오만번 누르고 싶지만 한번밖에 못 누른다는 게 아쉽습니당 :)
@user-fe8zt3fo5b
@user-fe8zt3fo5b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많은 위로를 받았어요
@user-zr6kq3ml5l
@user-zr6kq3ml5l 2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은 영상이네요 ㅎㅎ 많은 분들이 봤으면 좋겠네요
@judelee748
@judelee748 2 жыл бұрын
동의하는 부분도 많지만 이미 자가인지행동치료가 가능하다고 하신 말씀을 보니 스스로를 제어할 수 있을 정도의 증상을 경험하신 것 같아요. ‘모두가 성인adhd야’라고 장난식으로 말씀하시는 분위기를 특히 요즘들어 친구들에게서도 많이 느꼈지만(정신과 약 처방이 남용되고 있다는 말도 있지만요.) 진짜 그로인해 사회적이나 정신적으로 오랜 고통을 겪은 사람들은 자신의 고통의 원인을 밝혀내고 치료하는데에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을 것 같아요. 다 그런거구나라고 저도 십년 이상 덮어두고 실패를 당연하게 여기는 사람이 되어버렸습니다. 모두가 뇌과학적으로 자신의 정신질환을 증명하고 약을 처방받는데에 mri로 뇌촬영을 하지는 못하니까요. 저는 오히려 사회가 점점 소수자에게 개방되고, 정신질환자에대한 인식이 개선되면서 자신이 힘들었던 부분에 대한 전문가의 진단과 치료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져서 정신질환으로 진단받는 수가 늘어나는 부분도 있지 않나 생각이 듭니다. 횡설수설했네요.. 저는 수년간의 정신과 약물치료로 다른 인생을 경험했습니다. 너무 힘든 분들은 정신과에 가서 상담이라도 받아보시는 걸 꼭 추천드려요. 다들 인생에서 좋은 경험만 할 수는 없겠지만 앞으로도 지금과 다를 바 없이 살아내야만할 것 같아 불안과 우울로 고통받는 분들이 치유되시기를 바랍니다.🙏 +)우울은 아프다는 말이 있습니다. 비정상을 다르게 보는 교수님의 관점도 좋지만 너무 힘들게 고통받고 계신다면 약처방이 아니더라도 정신과 상담 후 인지치료, 상담치료, 전류로 뇌를 자극하는 치료 등 여러 방식을 시도해보시길 바랍니다. 차도가 없으신 분들은 꼭 하나의 정신과만 가실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ㅎ .. (꼭 의사쇼핑을 하라는 말은 아닙니다.)
@CuriousBrainLab
@CuriousBrainLab 2 жыл бұрын
동의합니다! "모두가 ADHD야" 이런 내용은 아니에요. 정신과 진료도 꼭 필요하고, 약물 치료도 필요하다는 내용이 영상에도 있습니다.
@-_-7269
@-_-7269 2 жыл бұрын
ADHD 진단을 늦게 받은 사람으로써 진짜 너무 공감합니다.....
@ceo7753
@ceo7753 8 ай бұрын
목소리가 너무 편안하고 표정만으로도 기분좋아지게 만들어주는 밧싸님♡
@user-ym7oo5wu3l
@user-ym7oo5wu3l 2 жыл бұрын
아~ 궁금한 내용이 여기에 있었네요 감사합니다
@user-wk7ig5nm2i
@user-wk7ig5nm2i Жыл бұрын
영상 정말 잘 봤습니다! 좋은영상 정말 감사합니다. 저는 현재 중학생이고 중학교 생활을 하며 adhd에 관한 고충이 생겨 관련 영상을 찾아보고 있습니다. 반에 함께 재학중인 학생이 ahdh가 의심이 되는데 영상에서 잠깐 언급되는 '나쁜 비정상' 인것 같아 고민입니다. 행동들이 좀 과격하고 자기방어에 있어서도 많이 비성숙한 면들이 보이고 자신을 통제하지 못하는 등의 행동들이 반 자체에도 큰 영향을 주는것 같아 고민입니다. 또 영상에 언급된 인지행동치료가 가능한 상태로 보이지도 않고요 그렇다고 해서 제가 이 학생에게 adhd 관련 검사와 치료를 강요할수도 없는 상황이니 이 학생으로 인한 수업방해와 같은 문제들이 참 고민입니다. 혹시 관련하여 해주실수 있는 말씀이 있으실까요?
@mojochoi
@mojochoi 2 жыл бұрын
너무 공감했습니다 영상 감사합니다
@corapark4842
@corapark4842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좋은강의 입니다 인정하고 살겠습니다 ㅎㅎ👍
@ChoiceBulgaria
@ChoiceBulgaria 2 жыл бұрын
참 재밌는 과학이네요. 철학적이네요. 감사합니다
@user-mb5yt2iw9u
@user-mb5yt2iw9u 6 ай бұрын
저에게 많은 격려가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Romuchi
@Romuchi 2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은 영상이네요
@anbayo1
@anbayo1 2 жыл бұрын
모든 정신 장애의 판정 기준은 '일상생활에 심각한 방해가 되는지'입니다. 이상심리학 증상별로 어느 책을 열어봐도 항상 같은 기준이 써있어요. 일상생활에 심각한 방해가 되는지. 이 말은 정신장애가 '일상생활이 무엇으로 규정 되는지' 에 달려있다는 이야기입니다. 아이들이 하루 종일 앉아서 책을 봐야 하는 사회에서는 남자아이들이 adhd로 무더기 진단받는거죠. 사회가 고성장기를 지나고 나눌 자원이 부족하여 경쟁이 치열해지면, 자기 관리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이거 잘못하는 사람들도 그쪽으로 내몰립니다. 다른 여러 정신 장애들도 마찬가지의 접근이 가능함.. 정신장애의 기준은 사람의 키, 몸무게, 혈압 같은 이런 객관적 기준하고 다릅니다. 경계가 매우 흐리고, 넓은 시야로 보면 기준 자체가 왔다갔다 합니다.
@Aran0112
@Aran0112 9 ай бұрын
딱 지금의 저인 것 같아요 그냥 어떤 병이 있다고 정상이 아니라고 받아들이고 조심하면서 살아보자 를 해보려고 해요 저도 나이가 더 들면 내 삶을 통해서 타인에게 용기를 주는 사람이고 싶어요 영상감사드려요 ❤
@handle1136
@handle1136 Жыл бұрын
david 아저씨 너무 좋다 ㅋㅋ 영상 잘 봤어요 감사합니다
@noni-happy88
@noni-happy88 2 жыл бұрын
우왕 오늘 대박 비관의 날이였는데... 강의 덕분에 다시 비관 속에 희망을 꿈꿔요^^ 감사해요^^~
@honcarno
@honcarno Жыл бұрын
정말 공감 하는 내용 입니다!!!
@kiker422
@kiker422 8 ай бұрын
이 영상을 통해서 제가 왜 정신과 투약치료가 종료될 수 있었는지 확실히 알게 된것 같아요.. 전과 비교해서 제가 바라보는 저의 모습도 확실히 많이 바뀌었고, 제가 치료를 받던 우울과 불안을 대하는 태도, 회복 탄력성이 많이 달라졌다는 느낌을 항상 받긴 했으나 정확히 ‘왜’인지는 인지하지 못했어서.. 항상 의문을 갖고 있었거든요. 항상 자가 치료를 하면서 살아간다는 표현이 너무 와닿는 영상이였고, 은은한 위로를 받아 갈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user-vm6jc2qm4e
@user-vm6jc2qm4e 2 жыл бұрын
누구에게나 어느 정도의 문제가 있다 ㅡ저도 평소에 스스로의 문제를 다스려 나간다고 생각합니다.알릴레오에서 박사님 뵙고 펜이 되어 버렸네요.저의 정신세계에 위로를 주네요.감사합니다
@Alice_Playground
@Alice_Playground 2 жыл бұрын
정말 많은 부분에서 공감돼고 인정하고 내려 놓으니 마음이 훨씬 더 자유로워졌어요 현상태에선 이만큼 좋은 위로가 없네요 또 비관적인 낙관주의자로써의 나를 감추지 않고 살렵니다^^
@TV-kv4dh
@TV-kv4dh 2 жыл бұрын
본질을 말해주는 영상 잘 보았습니다.
@weeclassman
@weeclassman 2 жыл бұрын
우리는 사회가 만들어놓은 기준에 어느정도 부합하여 다행이도 정상인이 되었군요 ... ㅎㅎ🙃 참 흥미롭고 힘들어하는 사람들을 도와주는 일을 하는 사람으로서.. 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 감사합니다 ~
@user-zm6xw5vq1o
@user-zm6xw5vq1o 10 ай бұрын
와 작년에 adhd 진단 받고 1년 동안 약 먹다가 최근 고민을 많이 하고 있었는데 그 고민을 정확히 짚어주셨어요 진짜 너무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um6dl5lb8n
@user-um6dl5lb8n Жыл бұрын
좋은 강의입니다
@user-df7rs1gp8j
@user-df7rs1gp8j 2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창의력엔 믿음이 중요하다고 하셨는데 또 믿음보다 비판력도 중요하다는 글도 읽었습니다 두 태도의 적절한 수준이나 더 나은 태도도 궁금합니다
@user-me3ku3dd4w
@user-me3ku3dd4w 2 жыл бұрын
'낙관적일 수 있기 위해 비관적이다' 이 말 너무 공감해요!!! 살아보니 세상은 제가 생각하는 것보다 그렇게 좋은 세상이 아니더라구요. 제가 너무 높은 도덕적 기준을 세우며 살아왔나봐요...그러다보니 나에게도 남에게도 관대하지 못하고 자책만 늘어가고 그게 우울증으로 이어졌던 것 같아요. 우울증을 극복하기 위해 읽었던 책들을 읽으면서 느낀 건 인간은 원래 이성보다는 욕구에 충실하고 누구나 실수한다 라는 거예요. 인간에 대한 기대를 내려놓으면서 어떤 상황에서도 낙천적일 수 있는 거죠 ㅎㅎㅎ
@user-mf6nf3sg5f
@user-mf6nf3sg5f 9 ай бұрын
오… 너무 흥미롭고 재밌는 관점이네요!! 저런 논문 읽어보면 참 재밌겠지만 읽는 도중 포기하겠죸ㅋㅋ?ㅋㅋㅋ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user-zz5mg8sw2n
@user-zz5mg8sw2n 9 ай бұрын
이 분야, 가장 훌륭한 분이다. 통찰력이 굉장히 뛰어나시다. 모든 말씀에 공감합니다.
@user-mu3iy8fq3d
@user-mu3iy8fq3d 3 ай бұрын
퀄리티 있는 영상에 입벌리고 봤네요. 많이 공감합니다. 개인적으로도 느끼는 부분인데 국가, 사회, 세계와도 연관지어 설명할 수 있군요. 모두에게 휴식이 중요합니다. 모두 스스로를 잘 챙기는 한해가 되길 바랍니다.
@semtlove
@semtlove 7 ай бұрын
이 컨텐츠 좋다
@user-wi4yj1nf2z
@user-wi4yj1nf2z Жыл бұрын
누구나 성인 adhd 일수있다는 생각은 정말로 그 질환 때문에 고통스러워 하는 사람으로서 무력감을 느끼게 하네요 자가인지행동을 하려고 하지만 그게 쉽지 않은거거든요 일반인들이 이걸 보고 오해할것 같아요 제가 주변에 adhd라고 말하고 증상 말하면 나도 그런다면서 그렇게 따지면 adhd인 사람 흔한거 아니냐면서 제가 일상에서 겪은 고통을 가볍게 여기고 이해못하게 되는데….그럼 정말 암울해지더라구요 정말 adhd로 판단 받은 사람과 약물치료가 필요없는 사람과의 차이는 분명히 있어요 그 점을 아셔야해요 ㅠ 조금 화가 나네요
@user-wi4yj1nf2z
@user-wi4yj1nf2z Жыл бұрын
정상 비정상으로 나누는 이분법적 사고에서 벗어나서 조금 편안한 마음을 가지라는 의미로 한 것은 알겠지만 adhd는 분명 선천적으로 뇌에 문제가 있는거고 가장 중요한건 어렸을 때부터 증상이 있어서 어렸을 때부터 그러한 문제로 오랫동안 고통받아왔다는거….아시잖아요….분명 다른사람들과 차이가 있어요 역물치료를 받고 스스로 나아지려고 노력해도 잘 안되는 사람이 있어요 저도 노력많이 했지만 그게 너무 안되서 고통스럽구요 그래서 편안한 마음을 가지기가 쉽지 않네요
@ok-nm7re
@ok-nm7re 9 ай бұрын
@@user-wi4yj1nf2z 약물치료를 계속 먹는 입장에서는 많이 힘들다는 것 공감합니다 딴 얘기입니다만 0.9999…와 1은 엄연히 다르게 존재하지만 수학에서 0.9999…는 순환소수로 9/9은 1과 같다고 정의해요 우리는 각자 다르게 존재하지만 없어서는 안되는 대체불가한 소중한 존재이죠 수학 집합론으로 보면 0과 1사이에 무한히 많은 수를 가정하면 수전체 도 무한이 많으니.. 서로 같은 크기가 되요 즉 유한한 관점에서 엄청난 차이가 있으나.. 0과 1사이 수의 갯수를 무한을 정의하면 .. 수직선 수 전체도 무한이되서 같아져요 즉 많은 갭이 있는 각각 인간들이지만 .. 사람 마음을 무한이라는 정의 속에 보면 .. 각각 무한의 거리에서 살고있고 나도 내안의 나와 무한의 거리가 있죠 다르지만 같다는 .. 역설 패라독스.. 이상한 나를 받아들이려 보려고 이상한 남을 받아들여보려는 노력이죠
@planetmona
@planetmona 2 жыл бұрын
개인적으로 경험한 바가 있어서 정말 공감합니다. 정신과의사 마다 진단이 크게 달라요.
@user-qh3oi5cu5d
@user-qh3oi5cu5d 6 ай бұрын
영상너무 감사합니다~
@user-jg8gg3ez6w
@user-jg8gg3ez6w 8 ай бұрын
한 사회가 규범으로 정해 놓은 틀 안에 맞지 않으면 정진질환이라는 말이 공감이 됐어요. 전 평범하지 않는 행동과 말을 해서 다들 저를 안좋게 보곤 했었어요.. 지금은 평범해지려고 책도 보고 강의도 보고 회사 생활도 하면서 정상인처럼 살아가고 있는데요. 특이하면 정신이상자 라고 보는거 같아요..ㅠ
@enjoy9420
@enjoy9420 Ай бұрын
너무 위로가 됩니다 감사해요
Stupid Barry Find Mellstroy in Escape From Prison Challenge
00:29
Garri Creative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She ruined my dominos! 😭 Cool train tool helps me #gadget
00:40
Go Gizmo!
Рет қаралды 48 МЛН
Китайка и Пчелка 4 серия😂😆
00:19
KITAYKA
Рет қаралды 3,7 МЛН
유쾌하고도 슬픈 어른의 ADHD - BBC News 코리아
3:32
BBC News 코리아
Рет қаралды 223 М.
우리는 왜 용감해지지 못하는가?
10:34
장동선의 궁금한 뇌
Рет қаралды 106 М.
[자뻑의 과학] 나르시시스트 대상 실험들의 충격적인 결과
13:46
장동선의 궁금한 뇌
Рет қаралды 66 М.
Current doctor with ADHD for real | Am I ADHD too?
12:55
닥터프렌즈
Рет қаралды 1 МЛН
모두가 아는 가문, 아무도 모르는 딸
0:51
장동선의 궁금한 뇌
Рет қаралды 2,1 МЛН
Хотела заскамить на Айфон!😱📱(@gertieinar)
0:21
Взрывная История
Рет қаралды 1,9 МЛН
WWDC 2024 - June 10 | Apple
1:43:37
Apple
Рет қаралды 10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