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경라] '이 문제' 해결 못하면 한국 경제 큰일납니다|김영익의 경제스쿨

  Рет қаралды 42,464

김영익의 경제스쿨

김영익의 경제스쿨

20 күн бұрын

[촬영일: 2024년 5월 14일]
안녕하세요 경제스쿨 시청자 여러분, 김영익입니다.
오늘은 제가 새롭게 준비한 코너, '들리는 경제 라디오'로 찾아왔습니다.
저와 훌륭하신 게스트 분께서 선정한 한주의 주요 경제 뉴스 함께 보면서 금융 지식 쌓아나가실 수 있도록 준비해 보았습니다. 첫 게스트로는 경제 및 인구 정책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하고 계신 강원대학교 국제무역학과 이현훈 교수님 모셨습니다.
들리는 경제 뉴스를 통해 놓치면 안되는 경제 뉴스를 알아보고
구독자님들께서 보내주신 사연으로 경제 기초를 다져보고
한주의 중요한 경제 일정을 정리해 드리는 시간, [들리는 경제 라디오]로 함께하시면 좋겠습니다.
여러분들의 경제 사연 댓글로 남겨주시면, 매주 제가 직접 답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경제에 대한 궁금증이나 돈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 뭐든 좋으니, 댓글로 많은 의견 공유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오늘 영상도 즐겁게 시청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경제 #환율전망 #달러환율 #저출생대응기획부 #저출산

Пікірлер: 101
@youngikkim
@youngikkim 19 күн бұрын
[촬영일: 2024년 5월 14일] 안녕하세요 여러분, 김영익입니다. 공휴일인 오늘 재충전 하는 시간 보내시면서, 편안한 마음으로 저녁시간 보내고 계신가요? 오늘은 제가 새롭게 준비한 코너 '들리는 경제 라디오'로 찾아왔습니다. 매주 주요 경제 뉴스 함께 알아 보면서 함께 금융 지식 쌓아나가실 수 있도록 준비해 보았습니다. 첫 게스트로는 경제 및 인구 정책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하고 계신 강원대학교 국제무역학과 이현훈 교수님 모셨습니다. 들리는 경제 뉴스를 통해 놓치면 안되는 경제 뉴스를 알아보고 구독자님들께서 보내주신 사연으로 경제 기초를 다져보고 한주의 중요한 경제 일정을 정리해 드리는 시간, [들리는 경제 라디오]로 함께하시면 좋겠습니다. 여러분들의 경제 사연 댓글로 남겨주시면, 매주 [들리는 경제 라디오]에서 제가 직접 답변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경제에 대한 궁금증이나 돈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 뭐든 좋으니, 댓글로 많은 의견 공유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오늘 영상도 즐겁게 시청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user-om5xm7uh5s
@user-om5xm7uh5s 17 күн бұрын
교수님 혹시 라인에 종목 추천 체팅방 개설 하시고 강의까지 진행 하시는지요?
@user-lk2yb4jy8d
@user-lk2yb4jy8d 13 күн бұрын
너무 좋은 말씀이십니다 국회로 가셔야될것 같습니다
@youngikkim
@youngikkim 13 күн бұрын
안녕하세요. 김영익의 경제스쿨 운영 매니저입니다. 김영익 교수님께서는 본 유튜브 채널과 어스 플랫폼을 제외한 그 어느곳에서도 종목추천 및 채팅방을 운영하지 않습니다. 사칭&사기 피해에 각별히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user-hd3tj8kl6h
@user-hd3tj8kl6h 12 күн бұрын
저출산의 해결은 노동환경 개선이 중요하다
@user-nw5js2xo7i
@user-nw5js2xo7i 16 күн бұрын
독일식. 넘 맞는. 말씀입니다
@user-ev3rb6dq3e
@user-ev3rb6dq3e 11 күн бұрын
김영익고수님 통해 다시한번 이현훈고수님을 이야기를 듣게 되어 다시한번 영광입니다. 감사합니다.
@user-px7tc2bx9y
@user-px7tc2bx9y 18 күн бұрын
존경하는 두 분 귀중한 방송 잘들었습니다 감사드리고 인구문제와 환율문제 와 딯았습니다 출산 후 월 수당으로 지급하는 방안 넘 좋네요 응원합니다
@start33333
@start33333 18 күн бұрын
정부 관계자와 국개의원들이 이런 방송 시청을 해야 한국 사회가 발전 될 수 있습니다 두분 교수님 방송 잘 들었습니다.
@user-sf6wx3sk5y
@user-sf6wx3sk5y 19 күн бұрын
저출산이 큰문제... 나라가 한번 뒤집어저야함 미친광기 부동산 ..
@user-ot7it9pi4o
@user-ot7it9pi4o 18 күн бұрын
서유,수도권,대도시로만 살려고 하니까도 문제죠.
@user-gz7dt4cz2n
@user-gz7dt4cz2n 18 күн бұрын
생산성은 떨어지고 복지비용은 늘어나고 세금은 늘고 국가 경쟁력은 떨어지고 앞날이 보이내
@eefarie1
@eefarie1 18 күн бұрын
50대 후반입니다 우리애들 결혼도 애 낳는것도 저는 절대 반대합니다. 살면 살수록 불행한 나라에서 자식들도 힘들게 살아가길 바라지 않습니다
@u-na5416
@u-na5416 19 күн бұрын
독일식 지원금 방식도 좋아보이네요~ 일시금은 부동산으로 들어갈것 같아서 걱정됐는데, 진작 시행했으면 효과가 조금 있지 않았을까 싶기도 하네요...
@shakura4371
@shakura4371 19 күн бұрын
중국수출은 기초이고 미국을 공략하고 이머진국가수출을 개척해야
@inokhyun6100
@inokhyun6100 18 күн бұрын
좋은 게스트 입니다 즐겁게 시청 했습니다
@user-lu6ip9rl2w
@user-lu6ip9rl2w 19 күн бұрын
교수님이 현실을 잘파악하고 계십니다. 공감합니느ㅏ
@dragonlake9337
@dragonlake9337 16 күн бұрын
대출로 빌려주는 것과 무상으로 주는 돈을 단순 액수만 갖고 비교하는 것은 잘못되었다고 봅니다. 대출로 빌려주는 것은 이자 차이만큼 국가가 세금으로 지원해주면 되지만 무상으로 주는 것은 주는 액수만큼 세금으로 지원해야합니다.
@user-gz7dt4cz2n
@user-gz7dt4cz2n 18 күн бұрын
흥미로운 관점이내요. 실질적인 투자로서 좋은 방향이내요.
@Mars.DogDad
@Mars.DogDad 18 күн бұрын
독일 형태가 좋아보이네요 목돈 빌려주면 투자해서 그결과는....
@user-zl1yw1py4r
@user-zl1yw1py4r 19 күн бұрын
매번 잘 듣고 있습니다. 교수님 감사합니다.
@yonghunlee8542
@yonghunlee8542 19 күн бұрын
제가 두분에게 다 배웠네요~^^
@user-vx8nm4ev4o
@user-vx8nm4ev4o 19 күн бұрын
저도 공감합니다!! 연금개혁을 잘 해야 합니다.
@user-yo5ql9mc7v
@user-yo5ql9mc7v 18 күн бұрын
독일식 공감핲니다~~
@user-be6um9tc9u
@user-be6um9tc9u 18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rv3hy5ku3e
@user-rv3hy5ku3e 19 күн бұрын
교수님 좋은말씀 잘 경청 하였습니다 ^^
@hope21th37
@hope21th37 19 күн бұрын
잘봤습니다.
@user-qg2im7gq8r
@user-qg2im7gq8r 19 күн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donalddo3918
@donalddo3918 19 күн бұрын
잘 경청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htk3342
@htk3342 19 күн бұрын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user-if3xw9ji2f
@user-if3xw9ji2f 18 күн бұрын
부동산이 제일 큰문제임. 모든 소비감소의 원흉임.
@turngreen
@turngreen 19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교수님
@user-ro4lq7kl2n
@user-ro4lq7kl2n 18 күн бұрын
이현훈 교수님 오랜만에 표정이 좋아보이시네요
@happy0353
@happy0353 18 күн бұрын
이현훈교수님말에 공감합니다 이분을 국회로 보냈으면 좋겠습니다
@goondori8401
@goondori8401 19 күн бұрын
잘 배웠습니다. 그런데 국민연금, 미래세대의 자금을 탈취하는 행위같아 아기 낳으면 다음에 늙은 사람들 먹여살리는 역할하다가 인생을 마칠 것 같아 낳고 싶지 않을 것 같았어요. 연금은 최대한 낸 만큼 받거나 낸 금액의 100% 이하를 받아 미래세대가 연금에 부담을 느끼지 않게 해야합니다. 젊은 인구도 계속 줄어들고, 직업도 사라지고 있는데 연금까지 발목을 잡으면...
@user-es7kl7ry1d
@user-es7kl7ry1d 19 күн бұрын
노인세대들은 늘 우리자식세대가 좋은환경속에서 잘살아야된다고 하루에 17~18시간의 중노동을하며 열심히 살았는데 자식,손자세대들은 늙은이들 노후 를 자신이 피해를보는경우라 생각하니 세상살이가 허무하긴 합니다 Oecd국가중에서 노인빈곤율이 대한민국이 1위인건 아시나? 그이유도알고는있고? 노인없는 자손이 존재는하나? 쯧쯧,,,,
@noesisML
@noesisML 18 күн бұрын
땅덩어리 넓고 천연자원 풍부한 선진국들도 다 그런식으로 운영되고 평생 안락한 삶만 사는 인생은 없더이다
@heavensky1
@heavensky1 18 күн бұрын
​@@user-es7kl7ry1d자손 없는 국가는 소멸입니다. 양비론이 아니라 절충을 생각해야 됩니다. 근데 지금 노인세대를 보면 허 참.
@user-ts5tf6gj2g
@user-ts5tf6gj2g 18 күн бұрын
조국같은 자가 정치하면 서민들 애 안낳을거같네요 내자식만 잘돼게 하려고 꼼수를 쓰니
@koreaems3684
@koreaems3684 18 күн бұрын
​@@user-es7kl7ry1d 국인연금 공무원연금 국민연금을 받는 노인은 노인빈곤과 전혀 관계없는 소수의 특혜를 받는 노인들입니다 이들이 낸돈에 비해 너무 많은 돈을 받아서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물타기로 논점을 흐리지마세요
@user-jg2yz1mr2t
@user-jg2yz1mr2t 18 күн бұрын
인구도 순환이 안되는 것이 큰원인이죠 물이 멈춰있는꼴
@cat-assa
@cat-assa 19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co5fr7xw6n
@user-co5fr7xw6n 15 күн бұрын
목돈을 주는것은 또 새로운 사회적문제를 양산할수 있다. 교수님 말씀에 공감 합니다. 요즘 세태를 보면, 상상을 초월하는 문제가 발생 할것이다. 극단적으로 돈 받고 도망가는 부모가 생길수도 있다.또 가짜 부모도 생길수도 있다. 미국등 자녀 양육비를 지원해도 그 돈 받을려고 온갖 비리가 생기는데, 목돈 주면 더 위험한 일이 생길수 있다.
@user-om5xm7uh5s
@user-om5xm7uh5s 17 күн бұрын
혹시 라인에 단체 체팅방 운영하시면서 투자 추천 하고 계시나요?
@ikk24062
@ikk24062 19 күн бұрын
한번 흙수저는 자식도 흙수저 그 자식들도 평생 금수저 들러리로 살아 가는데 누가 애를 낳겠는가
@user-ff9sk4mc4y
@user-ff9sk4mc4y 18 күн бұрын
에휴 참 씁쓸한 댓글. 한번 흙수저 영원한 흙수저로 살지 말라고 경제학 박사님 두분께서 늘 강의해 주시고 계시네요.
@user-ex4gq4rq2p
@user-ex4gq4rq2p 18 күн бұрын
금수저가 실력이 아닌 기라로 금수저을 만들려던 조국을 보고서도 조국당 국개윈 12명 나온나라 희망이 없다
@hope21th37
@hope21th37 19 күн бұрын
good
@bryan2759
@bryan2759 18 күн бұрын
현환율1360원대에서 예를들어 10,000달러*1360 = 13,600,000원로 원화환전해서 주식에 투자한다고 가정하고, 이후, 주가가 그대로라도, 환율로 떨어져서 아마 1300원된다고 할때,, 원화13,600,000원 를 다시 달러(환1300)으로 나누면 10,461.53달러가 되어 실제로 461달러 이득보고 가져가는 것 같네요
@user-tz8hm5om4s
@user-tz8hm5om4s 18 күн бұрын
100만원 찬성입니다
@3030star
@3030star 18 күн бұрын
진짜 심각한 사회적 문제입니다. 정치인들 제발 사리사욕 정당위주의 정치를 멈추고 대한민국의 미래를 진심으로 생각하는 그런 정치좀 하세요
@user-mv9ll6ce1l
@user-mv9ll6ce1l 18 күн бұрын
Ai로봇 시대에 도입 되었는데 인구 감소 정책보다는 우리나라를 살릴수 있는것은 기술 개발 , 틈새시장 공략 이라고 봅니다 디플레이션에 인구증가 정책만 내세운다면 일본처럼 잃어버린 세월을 보낼지도 모릅니다
@user-eb7tp8yu3u
@user-eb7tp8yu3u 17 күн бұрын
부동산 가격. 폭등과 일자리부족 입니다 상식 입니다.
@user-hk5gs8pr2p
@user-hk5gs8pr2p 18 күн бұрын
아이의 부모 입장에서 젤 아이에게 혜택 갈수 있는 정책이 될거같아요 이혼하게되면 이미 대출은 주 양육자가 아닌 딴 사람이 대출 했었을수도 있는것이고 사실 아이는 큰 혜택이 없지요 하지만 매달 다만 10만원이라도 아이 몫으로 주면 부모는 그돈으로 간식이든 교육이든 아이 몫으로 오래 지속될수 있습니다. 지금 아이들이 직접 혜택이 되야 나중에 받았다고 인정하지 쓸데없이 조리원비용 지원 같은 제 3자 지원 형식으로가면 조리원지원 비용만 비싸지는 현상이 나타났지요 정책지원은 효율과 공정성이 중요한데 정치인들 탁상공론에 낭비되는 세금이 너무 많습니다
@Tuna011
@Tuna011 19 күн бұрын
23:01 절반정도는 지역화폐로 아이 수당 주면 어떨까 싶네요.
@sapereaude4482
@sapereaude4482 19 күн бұрын
교수님 금투세폐지에 힘 좀 실어 주셔야하지 않습니까?
@ML-oe5tc
@ML-oe5tc 18 күн бұрын
먼저 금투세에 대해서 정확히 알아보시는게 먼저입니다. 금투세 반대 논리도 맞는 부분이 있지만 ,저는 금투세하는게 세법정의상 맞다고 봅니다. 전세계 한국과 몇몇나라만 거래세하고 있습니다. 거래세는 세법의 일반정의 -수익에 세금매긴다라는 아주단순한 논리에 맞지않습니다. 그리고 미국은 250만원이상 수익에 세금 17~24%세금입니다. 그리고 한국은 5천만원이상 수익에 금투세시행할 예정입니다. 그리고 금투세 해당자(년 5천만원이상 수익내는분들)는 7천명~1만명정도 추산되고요 제가 삼성증권 실전 투자 2년째 해보는데 수익율 3-4%에서 전체 참가자의 작년 3% 올해진행중인데 순위가 6%안팎에 들고 있습니다.주식투자금액도 5천만원 미만투자자가 30%내외 1-3억이 거의 대부분입니다. 주식투자자 몇십억 몇백억 투자자라면 당연 반대해야되지만 일반 몇억 투자자라면 그렇게 신경쓸일 아닐 것입니다.(물론 조금 금투세 손볼점만 보완하면 ,예를 들어 종합과세부분등등)
@user-rz9jf2mr1j
@user-rz9jf2mr1j 18 күн бұрын
대출은 이제그만
@user-lu6ip9rl2w
@user-lu6ip9rl2w 19 күн бұрын
학생들이 하는말이 맞습니다 나라에서 아이들을 길러 주셔야 합니다
@yang5513
@yang5513 15 күн бұрын
결혼해서 아이를 낳으면 직장 가까운 곳에 자녀가 고등학교 졸업 때까지 무상 주택을 마련해 주면 어떨까요?
@ssp5021
@ssp5021 19 күн бұрын
어줍잖은 돈은 의미 없음니다.
@user-xd2gr1xg6g
@user-xd2gr1xg6g 18 күн бұрын
1명 태어나면 1달 100만원 찬성입니다
@Mars.DogDad
@Mars.DogDad 18 күн бұрын
너무 초경쟁 사회인거도 해결하고 고임금 일자리와 해외기업유치도 같이되면 좋을거 같아요 쇄국정책 그만하고
@user-vm4st4fc5h
@user-vm4st4fc5h 18 күн бұрын
여성가족부,보건복지부...다문화..뭐...이름바꾸는데 또 돈쓰겠네.
@user-ck3ke5bh3l
@user-ck3ke5bh3l 19 күн бұрын
강릉은 대설주의보입니다 ㅋㅋ
@user-yj1js6jm2e
@user-yj1js6jm2e 18 күн бұрын
김영익교수는 지식인이면서 현실적인 바닥경제를 잘 아시네요. 보통의 전문가는 배운 지식과 통계치와 자기투자성향을 보고 미래를 판단 예측하는데. 이 정도 인식에 대책이 있다면 현실정치에서 많이 호의를 보일 거 같네요.
@chpark-vk4gd
@chpark-vk4gd 18 күн бұрын
저출산이 문제가 아니라 410 415 부정선거가 문제다
@user-io2zt8yh1s
@user-io2zt8yh1s 16 күн бұрын
상당히 공감하지만, 잘 갖추어진 인프라에 인구가 절반이 된다면, 쓰레기 등 여러가지 오염문제에 상당히 긍정적 요인도 있고, 제조업에 대해서는 로봇과 AI로 그렇게 어려워질 이유가 없고, 소비를 위한 인구가 줄어서 문제라는 것은 넌센스 아닌가? 우리나라의 내수 시장이 얼마나 되었다고... 인구가 줄어도 소득이 늘면 절반 정도는 커버 가능하고, 나머지는 수출로 가능한거지... 전국토를 대상으로 각 도마다 거점 도시 한 곳만 있으면 되는 것 아닌가? 젓갈 같은 소리로 미래를 잘못 호도하지 마시길...
@shakura4371
@shakura4371 19 күн бұрын
독일길로 가야해
@user-cx7fj4ze3r
@user-cx7fj4ze3r 15 күн бұрын
지금은 길에다니다보면 아이들보다 강아지가 더많이 보이네요 한집에 두마리도 보통이니 좋게보이는것이 아니라 한심합니다
@sookytv
@sookytv 18 күн бұрын
복지를 줄이자.
@lee-et4gl
@lee-et4gl 16 күн бұрын
출산율 낮아 문제다????????, 상대적으로 노령화가 늘어 난다!!!!!!!, 고로 노동생산성, 잠재성장율, 수요가 줄어든다~~ 출산율이 낮아도 인구 구성 비율을 맞추는 방법은 "고려장 실시" 젊어서 노후 대비 없이 노인이 된 자들, 즉, 무상복지를 외치며, 정부에서 지원만 바라는 자들 전부 65세 넘어면 고려장 시키면 됨.
@TT-vh2zk
@TT-vh2zk 19 күн бұрын
장담하는데 푼돈주는걸로는 아이 안낳습니다 ㅋㅋ
@user-sf9yi2vt2h
@user-sf9yi2vt2h 18 күн бұрын
불필요한정책하지말고 출산예정인 이들에게 의견을들어보세요탁상공론은아무의미가없습니다
@deulmal
@deulmal 14 күн бұрын
나라에서 돈퍼주는 정책으노 집값만 올린다. 맞다. 코로나때 돈퍼주다가 세계경제 이꼴이 났다.
@user-pv8fd9fe6h
@user-pv8fd9fe6h 18 күн бұрын
그돈은 어디서 나옴?
@user-qo2ln1yv6f
@user-qo2ln1yv6f 11 күн бұрын
그러게 회사들이 아이가지면 먼 눈치를 그렇게 주고 자리를 없애버리는지 ... 나이든 사장들 사상 못바꾼다 집에서 애나보란식의 미개사상 못버린다 한국은 외노자들만 득실거리고 그들은 한국에서 돈안쓴다 민주당이 주식 금투세 매기면 돈이 다시 부동산으로 가서 집값만 높아지고 포풀리즘복지로 물가는 폭등하고 젊은사람들 결혼하고 싶어도 못한다
@user-hi3ng1ro6q
@user-hi3ng1ro6q 16 күн бұрын
주택임대사업자 다시 말해 다주택자가 집을 내놓으면 집이 부족하지 않을거고 집값은 떨어져 젊은 사람이 집 사는데 수월할겁니다. 다주택임대사업자가 8년만보유하면 양도 소득세를 안내니 돈있는 사람들이 집에 목메고 투자해서 집값을 올려놓은것 아닌가요? 그래서 다주택자들 양도소득세 면제하는법을 고쳐야 합니다. 이 정책은 부자들을 위한정책이었던거지요,박근혜정부때 실행한정책중에 최악의 정책이었던겁니다. .
@user-oq5zr3co3q
@user-oq5zr3co3q 18 күн бұрын
저사람은 뇌피셜학자인가보네.
@shakura4371
@shakura4371 19 күн бұрын
일부다처제도을 도입하면 인구가 늘어난다
@user-pv8fd9fe6h
@user-pv8fd9fe6h 18 күн бұрын
삼십만원 받고 누가 결혼하고 애를 낳냐!
@user-mt6xf1tx4y
@user-mt6xf1tx4y 18 күн бұрын
촐산율 높이려면 한가지만 하면됩니다 노동자임금 대기업 수준으로 지급하면 사교육 주택구입 인구증가 모두 해결됩니다 문제는 50년후부터 국가적인 국민지식 저해요소 발생 될 수 있어요
@user-pv8fd9fe6h
@user-pv8fd9fe6h 18 күн бұрын
비판만하지말고
@user-om3ig3be2t
@user-om3ig3be2t 19 күн бұрын
시댁가족이 싫고 제사 를 없애야죠,두가지가 싫어서 결혼 안합니다
@willbekwon4502
@willbekwon4502 19 күн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편견에 찌든 편협한 삶...
@ssp5021
@ssp5021 19 күн бұрын
정서가 부족한 사람이네 처가나 시댁없이 어떻게 너희들이 존재하니 부족한것 티내내
@user-bo3vs2pg8b
@user-bo3vs2pg8b 18 күн бұрын
비인간!!!...쯔쯔...
@user-pv8fd9fe6h
@user-pv8fd9fe6h 18 күн бұрын
당신이 생각하고 말이되는 대책은 뭐냐고?
@user-gd1ci7wz3i
@user-gd1ci7wz3i 12 күн бұрын
결혼하는사람들 집도 많은 집이나씩 줘요
@user-to3up6fq3j
@user-to3up6fq3j 16 күн бұрын
대통령도 애 안 놓고도 잘 돌아다니고 잘 먹고 거니는 최고의 사치에 성형하고 잘 살잖아
@ssp5021
@ssp5021 19 күн бұрын
저출산은 주택도 문제지만 교육의 불균형 입니다. 누구는 돈이있어 학원에서 유학까지 하는데 누구는돈이없어 교육을 마음대로 시킬수 앖다는것이고 남자나 여자나 서로의 배려하는 마음이 부족하니 상대에대한 불신이 크기 때문입니다.
@ssp5021
@ssp5021 19 күн бұрын
돈줄 생각하지말고 학원이든 유학이든 하려고 한다면정부에서 시켜주세요 독일식도 문제이네요
Sprinting with More and More Money
00:29
MrBeast
Рет қаралды 82 МЛН
Sprinting with More and More Money
00:29
MrBeast
Рет қаралды 82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