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초대석] 도시를 짓다, 관계를 짓다 - 건축가 유현준

  Рет қаралды 86,192

EBSCulture (EBS 교양)

EBSCulture (EBS 교양)

3 жыл бұрын

도시를 짓다 관계를 짓다 - 건축가 유현준 (2017102)
공식 홈페이지: home.ebs.co.kr/seat/main
우리시대 다양한 분야의 명사를 초대해 그들의 철학과 인생, 그리고 사회 이슈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초대석은 일상을 살아가는 보통 사람들의 목소리에도 아름다운 도전을 발견합니다.
현재 한국 사회가 느끼는 불안과 갈등에 공감하며 삶의 의미와 가치가 무엇인지,
우리 사회가 나아갈 방향은 어디에 있는지,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시대를 대표하는 사람들과 함께 길을 찾고자 합니다.
'사람이 책'입니다
《EBS 초대석》에서 시대와 함께 치열한 삶의 경험이 담긴 '사람이 책'을 만나보시기 바랍니다.
▶For more videos visit us at home.ebs.co.kr/inthelineoffire...
Subscribe to the EBS culture Channel here :)
▶kzfaq.info_c...
▶For more information visit us at www.ebs.co.kr/
▶Check out what we're up to elsewhere:
plus.google.com/+ebsculture

Пікірлер: 114
@alexpark9253
@alexpark9253 3 жыл бұрын
유현준이 국토부장관으로 20년 재임하면 대한민국 건축 패러다임이 달라질수도 있을듯 ㅎㅎ 응원합니다. 유현준
@user-pf1hd7zm9v
@user-pf1hd7zm9v 3 жыл бұрын
저 사람은 더 커져야함
@user-fx5wo2ix7x
@user-fx5wo2ix7x 3 жыл бұрын
유교수님은 정치라면 질색이시기 때문에 자문역할로 가셔야
@AKorean
@AKorean 2 жыл бұрын
생산성과 효율성은 담보 못함
@whshshssjs4053
@whshshssjs4053 9 ай бұрын
교수님! 존경합니다.
@user-yg9rd5qy2t
@user-yg9rd5qy2t 3 жыл бұрын
알쓸신잡이 발견한 보석같은 지식인을 뽑으라면 정재승 교수님, 유현준 교수님
@user-mx8sq2nj7t
@user-mx8sq2nj7t 3 жыл бұрын
육뇌썩 아재와 교잌쿠상도 계십니다 ㅋㅋㅋㅋ
@happylux0516
@happylux0516 3 жыл бұрын
유현준 교수님은 원래 유명했어요
@user-uu7ni3wz7k
@user-uu7ni3wz7k 3 жыл бұрын
진짜 아무리 뒤져도 EBS만큼 좋은 채널이 없다.
@user-gk8mi1wy2j
@user-gk8mi1wy2j 3 жыл бұрын
걷고 싶은 거리가 많아지는 도시~자동차중심보다는 사람중심의 도시~ 유현준 교수님의 좋은 말씀 감사히 들었습니다.
@user-gq3bo1cq8t
@user-gq3bo1cq8t 2 жыл бұрын
자동차회사의 로비가 엄청날테죠..ㅜ
@user-ld7lx1tr8l
@user-ld7lx1tr8l 3 жыл бұрын
학생을 보호한다는 명목으로 학교 주변에 상업시설을 제한하는 게 더더욱 학생들을 위험하게 만들고 담장을 치게 만들고 감옥처럼 만든 거였네요. 오히려 학교 주변에 다양한 상업시설이 있을 수록 안전할 수 있는 건데 안타깝습니다. 지금이라도 우리의 생각이 바뀌어야 하겠어요. 법과 정책도 바뀌어야겠고요.
@plodder-hc6zf
@plodder-hc6zf 3 жыл бұрын
너무 공감가는 내용입니다. 대체적으로 학부모, 행정기관, 정책, 학생... 국민 대다수가 교육받는 기간은 길지만 수준이 높지는 않은 결과네요.
@kyoungsilmoon9286
@kyoungsilmoon9286 3 жыл бұрын
학교 선생님과 보안관 선생님들 왈: 수업 끝났으면 얼른 학교에서 나가라. 학생도 이용 못하는 학교 운동장. 학교 안에 있을 때는 나가지 못하는 감옥, 학교 밖에 나오면 들어가지 못하는 감옥.
@illiillililililiil
@illiillililililiil 3 жыл бұрын
예외 야자: 근데 야자는 무슨 희망퇴직 안하는 대기업 사원 압박 주는거 같음 0발...ㅠㅠ
@seullyoon9300
@seullyoon9300 2 жыл бұрын
학교건물이 바뀌어서 아이들이 더 나은 삶을 살수 있는 도시가 되길 꼭 응원합니다 유현준교수님 존경합니다 화이팅~~^^
@haneul-nx1zj
@haneul-nx1zj 3 жыл бұрын
공감합니다 ..! 나눔과 배려가 없어지는 각박한 세상이 되어가는 우리나라.. 서로 나누며 자연을 가까이 할 수있는 그런 세상이 우리모두에게 절실합니다.
@martha3521
@martha3521 3 жыл бұрын
맨하턴은 걸어도 지루하지 않아요. 도시이면서 매력있는 도시. 센트럴파크가 제일 길죠.
@hyunsoohong4829
@hyunsoohong4829 3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아이디어 너무 너무 좋아요.
@jasonjs5787
@jasonjs5787 3 жыл бұрын
많은 결재권자들이 부디 영감을 받으시길
@stellapark6045
@stellapark6045 3 жыл бұрын
학교공간 : 멋진 아이디어세요. 관련한의식과 법규 개선이 먼저 되어야 해요.
@KyleKeepsGoing
@KyleKeepsGoing 2 жыл бұрын
서울 10년 넘게 살면서 테헤란로, 영동대로 걸으며 느꼈던 그 휑~한 기분... 유럽이나 북미의 대도시의 비슷한 도심을 걸었을 때 느꼈던 그 안전하고 따뜻한 느낌...은 단지 저의 '서양에 대한 환상'으로 비롯된 것이 아니었군요...!! 이 분은 그냥 건축학과 교수님이라기보단 도시공학자, 사회문화학자, 인류학자, 나아가선 철학자까지도 다 아우르시는 분 같아요.
@unee9707
@unee9707 2 жыл бұрын
국민들 한명한명 의식의 패러다임을 바꾸기 위해 일관된 소신으로 목소리 높여주시는 유현준 교수님~ 적극 응원합니다~😘
@MrAaa9567
@MrAaa9567 3 жыл бұрын
너무 공감하구요 학교 책임자들이 변해야 아이들이 행복해진다~ 항상 응원합니다~ 건축형태가 바뀌는 세상이 될때까지~
@martha3521
@martha3521 3 жыл бұрын
아파트섬과 섬사이 떠다니는 자동차. 아톰 유현준 교수의 표현법. 적절합니다. 섬은 브랜드 ,단지별, 서로 자기섬 좋다고 하지만. 그 섬들이 인간격격리로 고립될지어다
@user-tl1qnrI2fhar4lI
@user-tl1qnrI2fhar4lI 3 жыл бұрын
유현준 교수님 같은분이 국토부장관 하셔야하는데.. 장관되셔도 국개의원새키들이 시비 오지게 걸듯.. 저비용으로 짓고 해쳐먹어야하는데 그렇게 못하면 괜히 유현준 교수님한테 잘못 다 돌릴것같은데 .. 국개의원들이 문제네요
@minsooseo3102
@minsooseo3102 3 жыл бұрын
그 외로 국민이 이생각에 공감해야해요. 근데 국민의 다수는 공감하지 못합니다.. 이게 정말 커요.. 다수의 국민이 이런걸 이해하고, 요구하면 국회의원들은 들어줄수 밖에 없어요. 표때문이라도..
@dododonggang367
@dododonggang367 2 жыл бұрын
서울이 이렇게 된거에는 박원순때문이 크죠. 도대체 알수없는 35층 고도제한이나 오세훈 시장때 진행하던 각종 개발 모조리 취소, 재개발재건축 중단하고 보존한다는 미명아래 50~90년대 대충 지어진 콘크리트 덩어리만 보존하니.. 선거 잘해야함ㅠㅠ
@khl4185
@khl4185 3 жыл бұрын
유현준 만세! ^^ 걷기 좋은 도시가 살기좋은 도시, 정말 정말 공감합니다!
@user-lw9mg8hi2z
@user-lw9mg8hi2z 3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이야기들이 다 솔직하면서도 뭔가 재밌는데 생각을 트일 수 있게끔 하는 포인트가 있어서 넘 재밌어요
@katy_j_7386
@katy_j_7386 3 жыл бұрын
많은 분들이 이 영상 보시고, 도시와 건축에 대한 많은 영감 받으시길. 살기 좋고 아름다운 도시가 되길 바랍니다. 유현준 교수님 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
@user-ro5up4hc7i
@user-ro5up4hc7i 2 жыл бұрын
유현준 교수님이 제시해주는 공간으로 후세대들에게 선물이되는 그런세상이 한번와주길 가슴벅차게 기다려봅니다
@park5121
@park5121 3 жыл бұрын
학교이야기는 많이 들었고 다 맞는 얘기죠. 우리 삶에 더 밀접한 도시재생, 10분동네 같은 이야기도 좀 다뤄주세요.
@user-pc8bc1re9m
@user-pc8bc1re9m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듣다보니 우리의 시선이 닫는 곳 까지 우리의 의식이 커지는 것 같네요 우리가 얼마나 갇힌 곳에 사는지~ 생각하게됩니다~ 🌳
@user-oi5xr9hd2b
@user-oi5xr9hd2b 3 жыл бұрын
유현준교수님 힘내세요
@_songofmongsim7796
@_songofmongsim7796 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견해를 상상만해도 즐거워집니다~감사합니다
@user-ri4tw2dw9q
@user-ri4tw2dw9q 3 жыл бұрын
밴쿠버는 해양성 날씨, 다인종 사람들, 그리고 주거환경이 정말 환상이라서 사람들이 정말 살고 싶어하는 도시죠ㅠ
@user-xx7we7pq6l
@user-xx7we7pq6l 2 жыл бұрын
너무나똑똑 하십니다
@user-bt1eb6dr6b
@user-bt1eb6dr6b 3 жыл бұрын
생각이 바뀌어야 하는데... 우리나라 사람들은 참 폐쇄적인거 같아요. 섞이기 위해선 다름을 인정하는게 가장 중요한데, 조금만 달라도 멀리하고 싶어하잖아요. 공간은 사는 사람을 대변하는 것이죠. 우리의 공간이, 우리의 삶이 이렇게 되어버린건... 사실 섞이지 못하는 이기심...때문이겠죠...
@user-ll2pt6oz8j
@user-ll2pt6oz8j 2 жыл бұрын
나라를 위한다는말이 이럴때 하는말인거 같아요... 탁월한 식견~~ 사람을 위한 설계
@hyunjinoh5527
@hyunjinoh5527 3 жыл бұрын
저는 직업상 외국에 나가면 학교들을 많이 방문해 봅니다. 오히려 외국에 갔을 때 학교는 더 외부로부터 보호 받는다는 느낌을 받았어요. 공간을 열고 교육 공간을 다양하게 활용하면 좋은데, 안전을 신경써야 할 부분도 있는 것 같아요. 지역의 특성이나 공간의 특성을 고려해서 일괄적인 개방이 아니라, 지역민들과의 소통을 바탕으로 안전하고 다양하게 활용하는것이 중요한 것 같아요. 영상을 보다가 크게 공감한 부분은 '우린 공립인데, 우리만 너무 좋으면 안 된다' ... 오히려 하향평준화를 부추기는 생각인 것 같아요. 그런데 학교나 공공기관에서 이런 생각을 하는 사람이 많더라구요... 뭔가 이 부분은 논의해볼 필요가 있는 것 같습니다.
@user-ro5up4hc7i
@user-ro5up4hc7i 2 жыл бұрын
일하는것을 싫어하는 태만 글구 안일함에 젖어있는 작용아닐까요
@user-tr8zy3qn4r
@user-tr8zy3qn4r 3 жыл бұрын
좋은강의 잘 듣고갑니다
@dalg8470
@dalg8470 3 жыл бұрын
옳은 말씀뿐, 국회의원들은 머하나... 가장 빨리 바뀌어야 하는게 학교다
@momo-wn9ip
@momo-wn9ip 3 жыл бұрын
자연스럽고 유려한 진행과 흥미로운 콘텐츠를 풍성하게 가진 게스트의 조화가 너무 좋네요
@user-wm6hz2tv7g
@user-wm6hz2tv7g 2 жыл бұрын
"건축은 관계다" 명언임다.
@user-td4uf2qk5w
@user-td4uf2qk5w 2 жыл бұрын
세계 여러 도시를 가봐도 가장 좋았던 도시는 걸을 때 좋았던 곳이 기억에 남더군요 날씨와 상관없이 조금만 걸어도 택시나 버스를 타고싶었던 여러 도시들 특징이 교수님 말씀을 들으니 이해가 됩니다. 우리나라 큰 도시들이 걷기 좋은 도시로 변하는 날이 오길
@user-lr7of3mc3d
@user-lr7of3mc3d 3 жыл бұрын
교수님 꼭 그런 도시를 만들어 주시길 응원합니다~~👏👏👏
@paparay9483
@paparay9483 2 жыл бұрын
유현준교수님 좋은 주거환경을 위해 고민하시는 마음이 느껴집니다. 대기업 중심의 거대경재 건축시장에 큰 영향력이 되길 바래봅니다.
@doyeonlim
@doyeonlim 2 жыл бұрын
정말 놀랍고도 깊이 공감가는 말씀들이에요. 저도 마지막 그 세가지가 실행되기를 바랍니다.
@2long2
@2long2 2 жыл бұрын
응원합니다
@user-vq5qn1uf6h
@user-vq5qn1uf6h 3 жыл бұрын
이 방송 정말 좋으다.
@rockyguyda
@rockyguyda 2 жыл бұрын
참 좋은 말씀....멋진분이네요
@268onob
@268onob 2 жыл бұрын
국회의원들이 건설회사 사장들하고 골프 치고 술 처마실게 아니라 이런 강의를 듣고 나라의 미래를 어떻게 만들어가야 할까 고민을 해야할텐데
@moricoexim
@moricoexim 2 жыл бұрын
소통되는 사회 응원합니다
@user-uh7rb2vv8m
@user-uh7rb2vv8m 2 жыл бұрын
유현준 건축가님께서 제시하는 건축학도들의 독서 방향에 많이 공감합니다. 건축은 관계다. 역시 매우 공감.
@user-gb5vm4vh5s
@user-gb5vm4vh5s 2 жыл бұрын
교수님께서 계획하는 학교라면.. 창의력이 부족해질 리는 없네요. 교수님 아이디어가 반영되는 그런 곳이 기다려집니다
@snoopymoon7440
@snoopymoon7440 3 жыл бұрын
학생수도 없는데 지역에 인증센터 만들고 소규모학급으로 변했음 좋겠다
@aprilhands9682
@aprilhands9682 3 жыл бұрын
재개발로 아파트를 짓는 건 정말 문제입니다. 대규모로 관계를 쓸어버리고 시민들에게서 큰 공간을 통째로 빼앗아버리죠. 조합원들은 명품아파트를 원할지 몰라도, 생명존중 없는 명품은 없습니다.
@user-tg4ww6ke8t
@user-tg4ww6ke8t 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사회화된 로크인가요 감동 받습니다
@747scoop4
@747scoop4 2 жыл бұрын
와~~~ 교육관계자들 제발 유현준 교수님에게 귀 기울여 주세요!
@user-xy1eb2fb4p
@user-xy1eb2fb4p 3 жыл бұрын
학교는 진짜 다니고싶은 학교가될거 같네요~~
@Koreanchronicle
@Koreanchronicle 2 жыл бұрын
제가 벤쿠버 있었는데 공감 되네요
@4875bugi
@4875bugi 2 жыл бұрын
유현준 이분이 국토부 장관이 됐어야 했는데 .. 어린왕자가 꿈꾸는 주택세계를 듣는듯 신선했습니다! 꼭 꿈을 이루어 관련 없는 사람이 공직에 앉아 있는 오류를 지속하지 않게되길 바랍니다.젊은 윤현준님 꼭 꿈을 이뤄주세요!
@Drwjdo
@Drwjdo 2 жыл бұрын
해외 다녀보고 살아도 보고 하면서 한국은 왜이렇게 재미가 없을까 안예쁠까 했는데 이 영상에서 답을 많이 얻어갑니다.
@user-yi8hd6kh9s
@user-yi8hd6kh9s 3 жыл бұрын
퇴근후 몸이 찌뿌둥해서 달리기나 한번 하고 올까하고 공원가는데(걸어가는데 30분), 집 근처에 있는 초등학교 운동장이 참 탐나더라구요. 신분증을 맡기든 본인인증을 하든 운동장에 입장 허락만 해준다면 정말 좋을텐데, 하고 아쉬웠던 경험이 있습니다.
@luni7310
@luni7310 2 жыл бұрын
커다란 문으로 닫아둔 학교 운동장 진짜 면적남비죠 주변과 소통되는 학교 운동장이면 좋을텐데...
@doohowon4672
@doohowon4672 2 жыл бұрын
통찰력이 정말 존경스럽습니다 정치인들은 뭐하나요 이런 분을 국토부장관으로 모셔야지
@goodluck9854
@goodluck9854 Жыл бұрын
유교수님 말씀에 크게 공감합니다. 초등학교는 괜찮을 것 같아요. 그런데 중등과 고등학생들의 일탈은 더욱 늘어날 것 같아요. 교권부터 다시 세워야 해요.
@user-ju1et2wg7f
@user-ju1et2wg7f 2 жыл бұрын
임댸주택 장기거주시 가난하게 된다.는 말씀 절대 공감합니다. 소형분양 아파트 공급 확대가 무주택세대를 살리고 출산장려대책
@user-rj3lp7us8b
@user-rj3lp7us8b 3 жыл бұрын
정말 학교는 변해야 된다고 봅니다ㆍ 아이들이 행복해야 우리의 미래가 더욱 밝아질것인데ㆍ언제쯤 변화가 있을까 싶네요ㆍ
@designPARK821
@designPARK821 2 жыл бұрын
말씀중에 소름듣는 순간순간이 많습니다. 그러한생각들이 저포함 다른분들에게 아마 좋은영향을 줄꺼랍니다
@user-gw6cx7uz1c
@user-gw6cx7uz1c Жыл бұрын
15:00 21:20 개인적으론 뉴욕대가 맨하탄 여러 건물에 흩어져 있는것처럼, 우리나라 학교도 아파트 대단지에 건설할때 1~2층에 쪼개서 흩어 놓으면 되지 않나?? 그럼 아파트 단지 자체가 하나의 거대한 초중고 캠퍼스가 될 것이고 모든 아파트 건물이 아이를 지켜주고(감시하고) 아이들은 단지 101동 1층에선 과학수업을, 202동에선 수학수업을 들으면서 걸어다니는 마을이 될텐데?
@user-tf2gd6lb1x
@user-tf2gd6lb1x 3 жыл бұрын
광장화된 학교건축 시뮬레이션 영상을 보고싶어요~~~(예시영상)
@jogihun0
@jogihun0 2 жыл бұрын
제발 이제는 이런분들이 나라의 일들을 운영해줬우면,,, 이런 아이디어 내면 무조건 틀렷다고 다름을 인정 못하는 꼰대들의 사회에서 아이들의 창의력을 죽이고 말 그대로 교도소 마냥 성적으로만 아이들을 평가하고 구분하는게 마음 아프네요,,
@anchongsa9413
@anchongsa9413 3 жыл бұрын
유현준교수님 말씀 공감합니다. 근데 한두분의 말씀만으로는 도시구조가 쉽게 바뀌기 힘드니 도시전문가이신 김진애교수님의 미래도시 서울도 들려주시면 좋겠네요.
@user-tb2gw7tu7u
@user-tb2gw7tu7u 2 жыл бұрын
유현준 교수님 도시계획에 초대할게요.
@user-wg1gt1hn8g
@user-wg1gt1hn8g Жыл бұрын
인도에서 볼때 아파트 단지가 무엇을 제공하나. 아파트 담장 -> 걷기 싫은 거리 -> 자동차 중심 도시 걷기 좋은 도시가 살기 좋은 도시. 돈을 내지 않고 갈 수 있는 공간이 많아질수록 더 살만한 도시. 아파트 단지 집단 이기주의. 고립된 섬과 같음. 사람을 만날수 있는 공간이 공공공간에서 점점 사라짐. 뉴욕은 주상복합형태 건물이 많음. 대부분 실내에서 보내는 현대인. 뉴욕은 60미터마다 사거리 서울은 800미터마다. 고밀화된 도시 이점은 걸어서 원하는 공간에 쉽게 갈수 있어. 한국은 공원가기 힘듬. 학교 운동장을 광장처럼 사용할수 있음. 정해진 틀에 맞는 학생을 만들겠다는 교육관으로 만들어짐. 운동장도 축구 잘하는 소수가 점유함. 다양한 욕구를 충족해줄수 있는 학교를 만들수 있어야 됨.
@user-mz9bb8yy8r
@user-mz9bb8yy8r 3 жыл бұрын
자유로운 영혼 우리아들은 매일 낮은담벼락을 뛰어넘었음 ㅎ
@jaehyunkwon3509
@jaehyunkwon3509 2 жыл бұрын
이분말 들으면 심시티 땡김.ㅋㅋㅋㅋ
@user-px5eq9db4g
@user-px5eq9db4g Жыл бұрын
안전을 위해 단지내 외부인 출입을 막는다는 명목으로 점점 더 외부 낯선이들과 교류가 없는 형태의 아파트 들이 만들어 지고 있네요.
@getifucan
@getifucan 5 ай бұрын
참 아이러니한게 마포대교가 건너기 어렵다는걸 주장하시면서 8:39 압구정에 도보다리를 만드려고하시네....
@user-qy6rv2kq3y
@user-qy6rv2kq3y Жыл бұрын
약자신분인 학생들에게 통제만 가할뿐 배려와 사랑이 없음욤
@pyoume167
@pyoume167 3 жыл бұрын
건축이 도시의 일부도 개입하지만 적은 분야입니다. 아파트 다양성도 많은 건축가들이 연구한 결과로 계속 발전하고 있읍니다. 다만 도시는 건축과 토지이용계획이 전부가 아닙니다
@Drwjdo
@Drwjdo 2 жыл бұрын
14:51 학교관련
@user-yh3zz5fk4d
@user-yh3zz5fk4d Жыл бұрын
유교수님이 유토피아를 말씀하시는데... 둔촌 재개발 사태 보셨어요? 조합원 머릿속엔 거저 돈 돈 돈 뿐입니다.
@whshshssjs4053
@whshshssjs4053 9 ай бұрын
교수님 ! 참 멋지십니다. 건축학문을 쉽고 재밋게 가르치십니다.
@user-wg1gt1hn8g
@user-wg1gt1hn8g Жыл бұрын
한국은 학교라는 미명하에 외부로부터 보호하기위해 학생을 속박한다. 가장 위험한건 아무런 위험도 체험할수 없는 것이 가장 큰 위험. 아파트단지와 가로의 레벨을 다르게 해서 프라이빗함을 유지할수 있음. 건축은 관계를 조화롭게 조율 하는 것. 다양한 것을 봐야 다양한 건축이 나옴. 권쟝도서를 싫어함 자기에게 맞는 책을 읽어야 함. 건축은 한 건축가의 생각으로 되는게 아니라 전체 시민들의 생각이 바뀌어야 건축이 바뀜
@soeulpictures
@soeulpictures 2 жыл бұрын
현준이 방송 30편정도 다찾아봤는데 처음엔 좋은데 중복내용 개많아서 점점 듣기힘들어짐 ㅋㅋ
@yonghocho5529
@yonghocho5529 2 жыл бұрын
한강변- 아파트를 다 없어야 합니다/에어체인지~~@@@
@mandlgo
@mandlgo 2 жыл бұрын
불쌍한 우리아이들입니다.
@user-mo8nx4vw8s
@user-mo8nx4vw8s 3 жыл бұрын
저는 서쪽으로 둘레 4km정도 공원이랑, 동쪽에 산에 있는 공원, 남쪽에 하천 산책로가 있는 동네에 살고 있어요. 10분만 걸으면 세군대 다 가요. 근데 여기 집값이 서울에서 젤 싼 편인 듯;; 대단지 아파트가 없거든요ㅋ
@imlee67
@imlee67 3 жыл бұрын
행복한 곳에 살고 계시군요. 부럽네요
@KkK-pp7vz
@KkK-pp7vz 3 жыл бұрын
좋은 동네에 사시네요.
@user-pl6de2on2m
@user-pl6de2on2m 3 жыл бұрын
사시는 동내가 어디인가요???^^
@zy2021
@zy2021 3 жыл бұрын
앞뒤 베란다 있는 건물ㅋㅋ
@zr6059
@zr6059 3 жыл бұрын
도시만 짓지 말고, 대한민국을 지을 안목은 없는지요 ?
@yonghocho5529
@yonghocho5529 2 жыл бұрын
대통령 나가셔여~~♡☆
@JH-mn3ew
@JH-mn3ew 3 жыл бұрын
EBS교양 프로 인트로 화면에 성범죄자가 있네요. 교양이 뭔지...
@oglego1019
@oglego1019 2 жыл бұрын
그럼 아줌마들이 돌아가면서 순찰돌꺼 같은데
@user-vv5es3ud9v
@user-vv5es3ud9v 2 жыл бұрын
너까짓게 뭔 건축가냐!!!한옥도 폄훼하는 인간이..ㅉㅉ
@user-qn3kt8gt4c
@user-qn3kt8gt4c 2 жыл бұрын
학교 운동장을 오픈하면 담배, 장사꾼들, 알콜중독자들, 동물들 똥,오줌, 신천지 온갖 종류의 쓰레기들이 주변을 엉망으로 만들겁니다.
@brightttigerfransesc862
@brightttigerfransesc862 3 жыл бұрын
도시 설계이야기는 공감합니다만 요즘같은 시대에 학교 담 부수고 외부인 출입 가능하게 하면 분명히 사고 납니다. 미국처럼 총기는 없지만 일본처럼 조현병환자 같은 사람이 칼들고 인질극 하지않을까요? 학부모들도 담벼락 부수고 애들있는 학교로 외부인들 들어오는걸 반길까요? 너무 이상적이라는 생각입니. 학교를 너무 낭만적으로만 보시네요. 초 미세먼지, 황사,요즘음 코로나로 외부로 나가서 체육조차 하기힘듭니다. 좋은 말인건 압니다만 현실적으로 실현가능하리라고는 생각지 않습니다.
@user-sz7np7gx8r
@user-sz7np7gx8r 3 жыл бұрын
거의 모든 학교에는 배움터지킴이가 있고 출입대장을 작성하고 승인받아야 들어올 수 있습니다 학교는 현재도 꽤 폐쇄적입니다만 자원봉사자나 교육봉사등은 열려있습니다 결국 외부인으로 보느냐 우리 동네 사람으로 보느냐의 차이입니다 학교와 동네가 서로를 위한 물적 인적 자원을 나누고 책임감있게 시설을 이용하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KkK-pp7vz
@KkK-pp7vz 3 жыл бұрын
사람들이 많이 드나들면 오히려 감시작용을 하게 되니, 혹시 그런 사고가 주변에서 일어나도 발빠르게 대처가 가능하겠죠. 주변에 아무도 없이 학생만 있다면 더 위험하지 않을까요. 사람 많은 곳에 범죄가 덜한것처럼
@brightttigerfransesc862
@brightttigerfransesc862 3 жыл бұрын
@@user-sz7np7gx8r 배움터 지키미 있습니다. 근데 그분들 나이 몇살인지 아시나요? 은퇴하신 분들이 대부분이라 평균 60대중후반입니다. 하교할때 교통지도는 할수 있어도 안전은 보장못합니다. 솔직히 중학생 일진들한테서도 초딩들 보호 못합니다. 출입대장 쓰고 들어가는건 학교 내부고 운동장이나 학교놀이시설은 그런것 안쓰죠.
@brightttigerfransesc862
@brightttigerfransesc862 3 жыл бұрын
@@KkK-pp7vz 학교에 수많은 불특정 다수의 행인(주민)들이 가로질러 돌아다니면 그 학교 보내고 싶은 학부모가 몇 이나 될까요? 학교는 그 무엇으로 부터도 학생을 보호하고 안전해야하는 곳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지금 학교 배움터지키미나 안전망이 안전하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사고가 아직 안일어난것 뿐이지 언제든 일본과 같은 극단적인 참사가 일어날수있는 곳이라고 생각합니다.
@user-sz7np7gx8r
@user-sz7np7gx8r 3 жыл бұрын
@@brightttigerfransesc862 극단적인 참사...그쪽까지는 솔직히 고려 안하는 게 대다수니까 충분히 가능할 수 있죠 담을 맞댄 유초중고도 그런 우려를 하더라고요 연결의 순기능보다 역기능이 클까봐
@ilililili1i1il40
@ilililili1i1il40 3 жыл бұрын
항상 볼 때마다 느끼지만 진행자 정관용 씨의 생각이 시청자를 불편하게 한다. 진행하면서 지나치게 좌파적인 생각을 많이 드러낸다. 15:00이 제일 가관 모든 인간들은 이기적인 법인데 이걸 부정하려 한다. 아파트 단지가 점점 폐쇄적으로 변하는걸 비난하고 싶으면 먼저 본인 집 대문부터 활짝 열어서 가난한 사람들과 공유하며 살길 바란다. 그리고 자꾸 개발이나 고밀화를 부정적으로 묘사하고 초고층 빌딩이 있으면 도시가 안 좋지 않느냐는 식으로 말한다. 묻고 싶다. 서울에 뭐가 초고층빌딩이 많은가? 홍콩이나 뉴욕에는 가 보았는가? 진행자는 자꾸 좌파적 사상을 얹지 않았으면 좋겠다. 그리고 최소한의 전문성은 갖고 질문했으면 좋겠다.
@ukkim7159
@ukkim7159 2 жыл бұрын
도시를 건축가가 짓는다고 생각합니까? 웃기는 소리! 건축가는 그냥 건물들과 조경 배치와 아파트 평면 개선이나 하는 거지! 참 이 사람 문제많고, 미디어 문제 많고. 걷기만 하는게 도시야? 어떻게 걸을건데? 도시는 모두 이태원처럼 걸어야하나? 아니면 압구정처럼 걸어야? 아니면 삼청동처럼? 한강을 건너는 대교위에도 모두 압구정처럼 수십개의 가게로 채우나? 무조건 뉴욕을 카피하면되나? 이 얘기 저 얘기 밑도 끝도 없이 통합적 사고없이 아무말 잔치하는 수준! 좋은 음악은 귀에 듣기 좋아야 한다고 하는 수준의 지적 능력을 가진 사이비. 좋은 음악이 진짜 뭔지 다양한 스펙트럼으로 얘기할 수 있어야만 진정한 전문가인데. 에고 정신 차립시다 한국도 훌륭한 전문가들이 많은데. 연예인 같은 사이비들은 좀 사라졌으면
[GMC풀강연]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 -유현준
45:32
그랜드마스터클래스
Рет қаралды 409 М.
МАМА И STANDOFF 2 😳 !FAKE GUN! #shorts
00:34
INNA SERG
Рет қаралды 3,8 МЛН
[Full] EBS 초대석 - 나는 다시 도전한다 - 김미경 (강사)
43:54
EBSCulture (EBS 교양)
Рет қаралды 44 М.
[EBS 초대석] 아이를 손님처럼 대하라-여성학자 박혜란
48:52
EBSCulture (EBS 교양)
Рет қаралды 327 М.
[1강 무료보기] 클래스e - 유현준의 《공간의 역사》
27:19
EBSCulture (EBS 교양)
Рет қаралды 134 М.
[특별 편집본] 이번 생 마지막 양자역학 강의 몰아보기 (카이스트 김갑진 교수)
2:37:17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707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