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스타강사 특강 제46회 차영 - 수식없는 일반 상대성 이론

  Рет қаралды 118,707

EBSi

EBSi

9 жыл бұрын

EBS 대표강사가 제시하는 학습과 입시, 진로가이드!
스타강사 특강
EBS 2TV 월~금 오후 9시 10분 본방송

Пікірлер: 62
@user-ox9fg8wd9j
@user-ox9fg8wd9j 3 жыл бұрын
아홉달 전에 이 강의를 듣고 지금 다시 강의를 보고 있습니다. 그때와 지금이 다른 점은 그땐 특수상대성 이론에 대한 스탠포드 서스킨트 교수의 강의와 예일 샹카 교수의 강의를 들은 상태에서 들었고, 지금은 일반상대성이론에 대한 서스킨트 교수의 강의와 유튜브 각종 채널 내용을 듣고 난 후입니다. 지금까지 배운 내용은 좌표변환이 물리법칙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내용과 그 기반에 텐서가 유용하다는 것이고, 주요 내용으로는 시공간 기준좌표계 또는 기저의 변화가 크리스토펠 기호로 표현되며, 궁극적으로 일반역학에서 다루는 에너지보존법칙의 기본원리인 최소거리 이동에 따른 변분(Lagrangian)에 의해 이동하는 곡선의 좌표계의 접선과 접평면의 사차원 속도성분의 조합이 가속도와 같게 된다는 것까지네요. 공부를 하며 느낀 것은 외국의 경우 다양한 채널을 통해 상대성이론의 자료를 볼 수 있는 반면 우리나라는 이렇게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기초적인 내용이 주라는 것과 그 외의 대학강의 내용은 수리물리를 기반으로 하고 있어서 기계공학을 전공했으며 나름 학부 때 전자기학과 벡터해석(Murray M. Soiegel)을 공부한 저로서도 힘들다는 것이었으며, 별도로 선형대수, 행렬, 텐서 그리고 약간의 위상수학을 따로 공부해야했다는 것 등입니다. 추후 시간이 되면 또 댓글 올릴께요 ㅋㅋ
@grace-vp4xo
@grace-vp4xo 2 жыл бұрын
학창시절에는 물리와 담을 쌓고 살았는데 60이 훌쩍 넘어 듣는 물리 강의가 귀에 쏙쏙 들어오네요. 쉽고 명징한 강의 감사드려요~~^^
@dominicggumi1652
@dominicggumi1652 6 жыл бұрын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정말 유익하고 재미있게 들어서 좋았어요. +_+ 정말 정말 알기 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jggapgg5260
@jggapgg5260 4 жыл бұрын
강의 잘 들었습니다
@user-mr8uk7pz9e
@user-mr8uk7pz9e 2 жыл бұрын
정말 재미있게 잘 봤어요^^
@FenceGru
@FenceGru 5 жыл бұрын
이분이 우리학교 물2 담당쌤이 될줄은 몰랐지..
@user-py4ll9rh4j
@user-py4ll9rh4j 4 жыл бұрын
이분이 우리학교 담임선생님이 될줄은 몰랐지...
@kjh060483
@kjh060483 Жыл бұрын
나도 6년전에 졸업했는데 차영쌤 수업 학교에서 들었는데 같은 학교이려나?
@bluegreen6927
@bluegreen6927 8 жыл бұрын
잘배우고갑니다
@user-uk9sv9yb8h
@user-uk9sv9yb8h 2 жыл бұрын
41:35 하지만 지난 2016년 2월 11일 부로 LIGO; Laser Interferometer Gravitational-Wave Observatory(레이저 간섭계 중력파 관측소)를 통해 중력파 검증에 성공했죠 ^^
@sianke1991
@sianke1991 3 жыл бұрын
이 분 말 잘하네요. 👍👍👍
@phoenixk2433
@phoenixk2433 2 жыл бұрын
상대성법칙으로정리하는그날과그것을증명하는한국인이나올줄믿슴니다
@rediscover-world
@rediscover-world 6 жыл бұрын
미래에서 왔습니다~ 중력파가 확인되였고 관력 과학자들이 2017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하였습니다
@user-vd3ng2jy2l
@user-vd3ng2jy2l 4 жыл бұрын
설명 참 잘 하시네. 군더더기 없는 멘트 강의 훌륭합니다
@user-pq2rq1yk2h
@user-pq2rq1yk2h 8 жыл бұрын
핵꿀잼
@lainez6057
@lainez6057 6 жыл бұрын
계속 보고 있다...우주의 궁금증 ,아니 이곳의 궁금증.
@jkim3084
@jkim3084 6 жыл бұрын
모여있는 젊은 영재들에게 축복을 보냅니다
@p1535153
@p1535153 7 жыл бұрын
미래에서 왔습니다.!중력파 검출 되었습니다 ^^*
@saejhun2292
@saejhun2292 5 жыл бұрын
뉴톤의 중력설은 가설입니다. 질량이 없으므로 관측불가하죠. 실증된게 아닙니다. 우주행성의 괴도운동이 완벽히 설명이 안됩니다. 두질량이 끌어들이는데 달의 괴도운동이 가속하지도 않고 지구에 붙지도 않죠. 이러한 오류를 아이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의 중력장에 의해 행성괴도를 유지하고 중력은 끌어당기는 힘이 아니라 중력장 공간의 흐름이라는설로 해결을 합니다. 그러나 이 일반 상대성이론이 이해어렵기 때문에 학교에선 쉬운 뉴튼이론을 가르치죠. 편의를 택한거죠.
@saejhun2292
@saejhun2292 5 жыл бұрын
아인슈타인이 천재인 또다른이유는 이 중력장의 중력원소는 질량이 없으므로 측정이 불가하다라고 합니다. 실증이 불가하니 반박할 여지도 없게 만듭니다..
@hancooksaram2312
@hancooksaram2312 3 жыл бұрын
뉴튼의 방식은 상대성이론의 특수한 상황(속도가 빛에 대해 너무나 작거나 중력이 지구 중력을 크게 벗어나지않는)에 대한 설명입니다. 뉴튼의 방식이 일반상대성이론의 하위 개념인 것이죠. 뉴튼이 틀렸나요? 수성을 제외한 태양계의 행성들의 궤도를 아주 잘 설명했죠. 수성의 근일점을 설명할 수 없었던 이유는 태양에 가까워 중력이 크기 때문이었습니다. 뉴튼은 완전히 틀렸다고 볼 수 없으며 실제로도 왠만한 계산은 뉴튼역학으로 실적용이 됩니다.
@King-ui6kt
@King-ui6kt 2 жыл бұрын
괴도 루팡?ㅋㅋ 궤도(orbit) : O
@user-zr3fz8zk1z
@user-zr3fz8zk1z 7 жыл бұрын
이젠 중력파도 검출되었네요^^
@user-mp9ld4jp3z
@user-mp9ld4jp3z 8 жыл бұрын
긴장감 있게 설명을 잘 해주시네요~^^ 한 가지 흠이있다면, 아인슈타인의 국적은 원래 독일에서 태어났지만 나중에 스위스의 시민권자가 되었죠. 참고로 아인슈타인은 독일->이탈리아->스위스(특수 상대성이론 제안)에서 살다가, 자신의 상대성이론을 이해할 수 있는(그 당시에는 상대성이론을 이해하는 과학자가고작 20~30명에 불과했고 그 중에 2/3이 독일에 있었다고 해요)독일 과학자들과 합류하기 위해 스위스를 떠나 독일로 돌아간 것인데,전시상황으로 바뀌게 되었고, 실제로 히틀러가 아인슈타인을0순위로 처단하려고 했지만, 스위스 시민권자였고 스위스는 중립국이었기 때문에체포할 수 없었던 겁니다. 이후 미국으로 이민가서 스텐퍼드 대학에서 평생동안 연구생활을 하게된 거죠.공간과 시간이 연결되어 있다는 것, 참 신기한 얘기죠. 아~ 그래서 스티븐 호킹 박사가시간은 미래로 향해 흐른다~라고 말한 것이군요. 그렇다면 타임머신은 있을 수 없다는것이겠고요.또 한가지, 잘은 모르겠지만, 빛도 양자론에 의하면 질량이 있다는 것 아닌지요. 그러니까중력의 영향을 받는 것이고. 전에 빛은 입자성과 파동성을 둘 다 가지고 있다고 들었던 것같아서요.
@user-uk9sv9yb8h
@user-uk9sv9yb8h 2 жыл бұрын
빛은 정지질량이 0인겁니다
@user-gh1ur5og1v
@user-gh1ur5og1v 3 жыл бұрын
거꾸로 휘어져서 보일게 안보이는게 있을까요?
@5dolddogi220
@5dolddogi220 8 жыл бұрын
좋은 강의 입니다..얼마전 13억광년 떨어진 블랙홀 합병 중력파 확인이요~~~~ㅠㅠ
@user-cc3fm6vl3d
@user-cc3fm6vl3d 6 жыл бұрын
오돌또기5dolddogi 확신한건 아니고 99.9999999999999%래요
@JUNIO_L
@JUNIO_L 3 жыл бұрын
ㄴ과학에서는 100퍼가 없어요. 99.99999면 확정입니다.
@jinshiksung
@jinshiksung 2 жыл бұрын
물질이란 공간이 팽창하는건가 꺼꾸른가 블랙홀 기하학 적으로 봐서 그런거임 접힌거임 계속 접히는 에너지 ㅋㅋㅋ
@cutebear
@cutebear 4 ай бұрын
중력파 검출 됐는데 뭐지? 했는데 예전 강의 였군요 ㅋㅋ
@user-vc9ez2sw9i
@user-vc9ez2sw9i 3 жыл бұрын
듣기는 들었는데 도통 무슨말인지 모르겠네 ? ~ 모르는게 당연하지 , 알면 비정상이다. 모른다고 너무 실망하지 말자 . 정상이라면 모르는게 당연하다. 조그만 실마리라도 건진다면 ~ 다행 , 그 실마리를 따라가야지. 아인슈타인도 수십년간 고민한것을 10~20분 들어서 이해할수 있을까 ? 나도 당연히 수십년간 고민해야지 # # #
@byronkang4053
@byronkang4053 2 жыл бұрын
오류 하나 발견. 빗은 질량이 있습니다.
@SangCLee-oq9qr
@SangCLee-oq9qr 8 жыл бұрын
2차세계대전이 아니고 1919년 1차 세계대전 쯤에 관측하였습니다.
@dodamgobong
@dodamgobong 3 жыл бұрын
1916년 일반상대성이론 1935 -1945년 2차대전
@hsnam95
@hsnam95 Жыл бұрын
힐버트는?
@user-oz2bi6yf7s
@user-oz2bi6yf7s 4 жыл бұрын
댓글에 아인슈타인들 많이 보이네요 ㅋㅋㅋ 잘알면 본인이 저기 서있었겠지 차영 선생님이 수식없이 과학을 물렁물렁하게 전달하려고 비약을 드는거지 몰라서 우주선 이야기를 할까
@user-no4jt6qx4w
@user-no4jt6qx4w 6 жыл бұрын
근일점 차이나는거 왜 설명 안해줌?
@user-sx7xh9rm6m
@user-sx7xh9rm6m 7 жыл бұрын
유클리드기하학과 리만기하학의 차이를이해하지않고 일반상대성이론을 이해하는게 말이안되는대 왜 언급도안하지? 공간의 위치정보가 유연하게변하기때문인것이 일반상대성이론인대
@user-ox9fg8wd9j
@user-ox9fg8wd9j 4 жыл бұрын
불편한 진실.. 이해하려 하지마라
@user-lu7nb2iv2y
@user-lu7nb2iv2y 4 жыл бұрын
토폴로지를 배우지 않은 학생들에게 일반 상대성 이론이라니... 제목의 비약이 아닌가 싶네요
@user-fq2ci7pt1v
@user-fq2ci7pt1v 8 жыл бұрын
이해하려고애쓰지마라 중요한것은 실제로 일어나고있다는 것이다..................?????......................시발????ㅋㅋㅋㅋㅋ아니근데 가장 답답한건 어느책에서건 공간이 휜다는 걸 설명하면서 그물망을 예시로드는데 그물망은 2차원이고 공간은 3차원인데 왜 그물망 휘는걸로 공간휘는걸 설명하지? 공간이휜다라는 것이 무슨뜻일까.............공간이휜다..... 그어휘의뜻을모르겠는데
@user-wc3ld5hq5e
@user-wc3ld5hq5e 7 жыл бұрын
천재바보 저도 그게 뭔말인지 궁금했었는데 제가 알고보니 말그대로 공간이 휘어진겁니다 공이 파여있는거 생각하지 않으셔도 되고 우주공간을 좌표로 생각하시면 쉬워요 제가 말한 자표는 가로 세로로 되어있는 그 체크무뉘 말하는거 입니다 제가 말이저 어디에다가 공을 좌표에 놓고 살짝 밀어볼꺼에요 어때요? 일정속도로 앞으로 계속가지 않나요? 자! 이제 앞에 휘어진 공간을 만남니다 이공은 자기 입장에서는 직선으로 간거에요 즉.. 방향을 바꾸지 않았어요(이공의 시점에서 보면) 하지만 제가 멀리서 보니 이녀석이 공간에 끌려서 경로가 휘어저 버렸어요 어떻게 된일일까요? 제가 예를 하나 들꺼에요 철도가 여러개가 있는데 그게 모두 같은방향을 향하고 있고 평행하고 직선으로 되있어요 여기에 기차가 일정한 속도로 간다고 해보세요 근대 이 기차가 앞으로 가다보니 철도가 어느한곳을 중심으로 휘어져있네요? 기차가 이 철도를 따라 가요 기차는 앞로 가지만 철도에 의해서 진행방향이 휘어버립니다 앞에 거대한 공이 있으면 그철도가 공의 왼쪽에 있으면 오른쪽으로 향하게 되어있고 철도가 공의 오른쪽에 있으면 외쪽으로 돌아가도록 되어있다면 어때요? 기차가 공에 의해서 휘어진것 같지않나요? 또하나 철도가 공의 정면을 지나가도록 되어있으면 어떻까요? 이때 기차는 공에 충돌하지 않고 통과한다고 하면 기차는 진행방향이 바뀌지않고 그냥 그대로 앞으로 가지 않을까요?
@user-wc3ld5hq5e
@user-wc3ld5hq5e 7 жыл бұрын
천재바보 기차는 방향을 바꾸지 않았어요 하지만 커다란 공때문에 진행방향이 바뀌어버렸어요 즉.. 공이 주변 철도를 자신에게 오도록 방향을 즉.. 철도의 방향을 바꾸었어요
@user-wc3ld5hq5e
@user-wc3ld5hq5e 7 жыл бұрын
천재바보 저기에서 2차원의 휘인 공간을 그물망으로 나타낸게 2차원이 휘어지면 3차원이거든요 3차원이 휘인걸 예를 들을걸 보여줄려면 4차원을 우리가 이해하고 있어야 하는데 우리는 그런거 보지도 못하고 뭔지도 잘 모르거든요 왠만해서..
@lllliiillllililiIIl
@lllliiillllililiIIl 6 жыл бұрын
천재바보 당연한 물음이고 이해가 안가야 하는게 정상임... 시간과 공간을 따로 분리해서 생각하기 때문이며 물리학의 법칙을 이해하지 못하면 일반적인 인간은 절대시간의 개념을 버리지 못하기 때문임... 공간이 휜다는걸 쉽게 설명해 주겟음... 너님이 친구들과 스판으로된 천을 친구들과 귀퉁이를 잡고 팽팽하게 펼침... 그럼 그 스판으로 된 천은 팽팽해 지겠지?? 거기에 무거운 쇠구슬을 올리면 어찌됨?? 스판으로 된 천이 쇠구슬무게(질량) 때문에 아랫쪽으로 푸욱 꺼지며 쳐지겠지?? 마치 깔데기처럼 말야... 그 천위로 쇠구슬 보다 가벼운 구슬을 던져바바... 그럼 하수구에 물이 빨려 들어가듯이 가벼운 구슬은 빙글빙글 돌면서 쇠구슬쪽으로 빨려 들어가겠지?? 이게 바로 공간의 휘어짐임... 대부분의 일반인들이 착각하는게 우주 공간은 무중력에 텅빈 공간으로 각 천체들이 둥둥 떠 있다 생각하는점이지... 너님도 그 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게 때문에 공간이 휜다는걸 이해하지 못하는거야... 우주는 그게 어떠한 물질로 이루어졌는지 아직 밝혀내지는 못했지만 질량과ㅜ에너지를 가진 암흑물질로 가득 차 있다는거지.. 즉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쉽게 말하자면 젤리뽀 같은 물질로 가득 차 있는거야 그위에 항성 행성등이 올려져 있는거고.. 그러니 무거운 천체가 그 위에 올려져 있으니 아까 스판천을 예로 들었다 시피 아랫쪽으로 푸욱 꺼지겠지?? 그걸 보고 공간이 휘었다고ㅠ하는거야 자 초딩도 이해 할수 있을만큼 설명해 줄게 내일 아침 일어나서 삽을 들고 땅을 파... 깔대기 모양으로 파파... 그리고 그 피탈면애 서 있어봐봐 어때?? 평지에 선거보다 함들지?? 왜지?? 지구에서 어느 장소건 똑같이 중력이 작용해야 하는데 왜 비탈면에 서 있으면 더 세개 잡아당기는거 같은거라 생각해???? 바로 그 공간이 휘어져 있기 때문이야 산 비탈에 서 있으면 평지보다 서있기 힘들고 마치 블랙홀에 빨려 들어갈 듯이 아랫쪽에서 잡아당기는 느낌이 들고 더 서있기 힘든 이유를 생각해봐... 바로 공간이 휘어있기 때문이야 우주에선 이 법칙이 적용되 무거운 천체일수록 그 비탈면을 더욱더 깊고 가파르게 만들겠지?? 그럼 크기는 작으면서 엄청무거운(거대질량) 천체가 존재한다면 어떻게될까??? 크기도크고 무거운 별은 중력이 강하긴 허지만 그 비탈면도ㅠ완만하지?? 근데 그게 좁나게 작으면서 엄청 무거우면?? 맞아.. 그 비탈면의 각도가 졸라쌔져... 이게 블랙홀이야 이해 됐어??
@kostralian
@kostralian 6 жыл бұрын
하하 반갑습니다 저도 똑같은 의문을 가졌는데 제가 내린 결론은 그물망에 무거운 질량의 물체를 두면 가벼운 물체가 무거운 물체 주위를 뱅글 뱅글 도는 것을 보여 줄라고 (시각화) 한 실험인데, 기존 뉴턴 이론은 물체들의 힘이 서로 작용하는 중력으로 천체의 공전 운동을 설명 했다면 아인슈타인은 사실은 직선 운동인데 그물망 실험에서 보듯 시공간이 휘어져서 그러는거다라는 것으로 이해 했습니다
@user-fc9ws1ci5n
@user-fc9ws1ci5n 5 жыл бұрын
이것도 강의라고...차라리 수식을 사용해서 쉽게 설명하지ㅎ 우주선을 타고 가면 빛이 휜다 그리고 시공간이 휜다ㅋ 무슨 논리적인 연결이 하나도 없냐. 이것도 설명이라고 참나!
@user-qi1iw6mt2q
@user-qi1iw6mt2q 4 жыл бұрын
문과임?
@user-lv2kg5yu7k
@user-lv2kg5yu7k 2 жыл бұрын
애초에 일반 상대성 이론에 대한 수식들을 사용하려면 고난이도의 수학부터 물리학 연산자의 의미 등등 알고 가야하는것이 많아서 수식 들어가자마자 대학원 지식입니다..
@bluegreen6927
@bluegreen6927 8 жыл бұрын
잘배우고갑니다
@user-zr3fz8zk1z
@user-zr3fz8zk1z 7 жыл бұрын
이젠 중력파도 검출되었네요^^
[柴犬ASMR]曼玉Manyu&小白Bai 毛发护理Spa asmr
01:00
是曼玉不是鳗鱼
Рет қаралды 45 МЛН
CAN YOU HELP ME? (ROAD TO 100 MLN!) #shorts
00:26
PANDA BOI
Рет қаралды 36 МЛН
광속의 신비 - 광속은 왜 불변일까?
20:00
DMT PARK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2019년, 제 2회 박문호 박사 특강_세계사(1)
2:27:24
박문호 TV
Рет қаралды 80 М.
[柴犬ASMR]曼玉Manyu&小白Bai 毛发护理Spa asmr
01:00
是曼玉不是鳗鱼
Рет қаралды 45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