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G SUB】염초를 구하라! - 극한직업 '취토군' Gathering Saltpeter: “Scraping Units” as an Extreme Job

  Рет қаралды 174,834

국립진주박물관 JINJU NATIONAL MUSEUM

국립진주박물관 JINJU NATIONAL MUSEUM

2 жыл бұрын

조선은 총통을 좋아했습니다.
하지만 총통을 쏘려면 많은 화약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화약을 만들기 위해서는...대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대충 흙 같은 걸 끓이면 되나?
일은 어렵고 남는 건 없는 게 꼭 월급통장같은 염초, 많이 만들 방법은 없을까요?
항상 화약기근에 시달리던 조선의, 눈물 없이는 볼 수 없는 염초 제작 이야기입니다.
#화력조선 #국립진주박물관 #전통밀덕맛집 #건들건들 #염초를구하라
Joseon was so into chongtong. And lots of gunpowder was needed to fire chongtong. What did our ancestors do to produce gunpowder? Did they just boil down something like soil?
Saltpeter required lots of labor for meager results, just like there’s nothing left of our paycheck after we pay our monthly bills. Was there no way to produce more saltpeter?
This episode is about the story of saltpeter production in Joseon, which constantly suffered from a shortage of gunpowder. Don’t talk life with anyone who’s never tried to produce saltpeter...!

Пікірлер: 305
@kmyung
@kmyung 2 жыл бұрын
역시... 기술이 있으니까 짤리지도 않는다. 이건 동서고금의 진리다. ㅎㅎㅎㅎ
@gmvisck
@gmvisck 2 жыл бұрын
내가 30년전에 무인항공기 조종사로 군에 스카웃되어 갔었지...ㅋㅋㅋ사고 진짜 크게 쳤는데...아무도 영창 안보냄...ㅋㅋㅋ
@user-be1dy6id4f
@user-be1dy6id4f 2 жыл бұрын
@@gmvisck 30년 전에도 무인기가 있었음???
@gmvisck
@gmvisck 2 жыл бұрын
@@user-be1dy6id4f 무인기 역사는 2차대전 전부터임....
@gmvisck
@gmvisck 2 жыл бұрын
@@M0TT. 표적기 계열였음..18살에 붙들려감...징발당함...ㅋㅋㅋㅋㅋ
@user-be1dy6id4f
@user-be1dy6id4f 2 жыл бұрын
개쩐당
@user-tl4mm7cy5k
@user-tl4mm7cy5k 2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어떻게 이런 영상을 만들었지 지자체 영상대회에서 이건 1등감이야 총만 알려주는게 아니었어 화약 원료구하는 직업소개라니 까울
@user-lb3vw8xu1k
@user-lb3vw8xu1k 2 жыл бұрын
염초 확보를 위한 눈물겨운 노력 ㅜㅜ
@shahansha955
@shahansha955 2 жыл бұрын
인도: 응? 염초가 없다고? 땅만 파면 나오는 흔해 빠진건데?
@user-kl6kt7im7f
@user-kl6kt7im7f 2 жыл бұрын
회사에서도 마찬가지 입니다. 생산직은 별 힘이 없지만 기술직은 거기 아니라도 다른데 가도 경력직으로 잘만 가죠 ㅎㅎ 동서고금의 진리 입니다. 영화 군함도에서도 기술자는 노역에서 빠져서 열쇠 만들잖아요 ㅎㅎ
@stanley6993
@stanley6993 2 жыл бұрын
아니.. 지방의 박물관이 어떻게 유튜브 인기 채널인 건들건들과 함께 영상을 만들 생각을 다 했을까.. 정말 담당자 뭔가 상이라도 받아야 하는거 아닌가요.. 우와..
@ssibangnom
@ssibangnom 2 жыл бұрын
조선의 화학집착이 조상 DNA에 남고 한국전쟁 당시 화력우세의 교리를 국군에게 접목시킨 벤플리트 장군... 그래서 우린 포방부가 됐구나....
@starseeker6904
@starseeker6904 2 жыл бұрын
밴 플리트 장군 이전부터 답이 없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개전 초기 한국군의 포병은 육군본부 직할 1개포병연대로 편성되어, 전방 사단에 포병대대를 배치하고, 주력 장비도 105mm M3 경야포 일뿐이었습니다만... 개전 당시부터 미군이 걱정할 정도로 화력을 퍼부었으며, 또 퍼부었습니다. 미군 이야기로는 적정 탄약량의 3배를 쏜다는 이야기가 있었으며(.....) 그들을 상대했던 북한군 조차도 과도할 정도로 퍼붓는다고 기겁할 정도였습니다. 당시 한국군들도 자기네들 탄약 사용량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안그래도 수량도 부족한데, 성능도 떨어져서 어쩔수 없다는게 당시 한국군의 주장이라고 하는군요.(.....) 실질적인 성능은 많이 떨어졌지만, 그래도 당시 한국군이 의지할 가장 강력한 화력이었습니다. 이후 연합군이 본격적으로 참전하고, 추가 장비가 도입되면서, 미군은 한국군의 걱정스러운 탄약 사용량을 감안하여, 75mm M1 경야포로 지급해줬지요. 기존 M3대비 구경이 줄어서 위력은 줄었지만, 사거리는 오히려 더 길었으며, 분당 발사속도도 빠르고, 지게로 옮길 수 있는 탄약도 더 많아서 좋아했다고 하더군요. 그리고 밴 플리트 장군까지 만나니, ..
@stormtrooper6602
@stormtrooper6602 2 жыл бұрын
@@starseeker6904 "밴 플리트 탄약량"이라는 무지막지한 화력전술로 개때같이 몰려드는 중공군을 모조리 박살내버렸죠. 그 때문에 중공군 이걸 피할려고 고지전할때 주간에는 거의 안 오고 야습만 하게 되죠ㅎㅎㅎ 그리고 국군 정예화에 큰 도움을 준, 포방부 입장에선 전설 그 자체인지라 국군의 역사에 절대 빠지지 않는 위대한 인물이죠.
@starseeker6904
@starseeker6904 2 жыл бұрын
@@stormtrooper6602 사실, 포병이 공군의 공대지 미사일이나 항공폭탄이나, 해군의 함대지 순항미사일이나 모두 비교해도 육군의 포병만큼 값싸고, 지속적이고 대량의 화력을 즉각즉각 퍼부을 수 있는것도 없으니까요. 뭐 이젠 더 이상 싸지도 않지만, 그래도 북한과 중국의 위협에 가장 빠르게 대응할수도 있으니, 여전히 매력적인 체계일겁니다
@user-gw8bv3jt8p
@user-gw8bv3jt8p 2 жыл бұрын
@@stormtrooper6602 참전초기부터 중공군은 야간에만 공격했음.
@TV-zx9mx
@TV-zx9mx 2 жыл бұрын
결국 담벼락에 누가 볼일본 것을 맛보고 확인....
@unitedaccountsofme9297
@unitedaccountsofme9297 2 жыл бұрын
ㅋㅋㅋ
@user-yy7re4er8f
@user-yy7re4er8f 2 жыл бұрын
안타까우면서도 대단한 나라입니다
@user-tk4iv5dk9n
@user-tk4iv5dk9n 2 жыл бұрын
역시 화력조선이구나...항상 화력에 목말라있었네요
@yongtarot
@yongtarot 2 жыл бұрын
총포에 대해서는 많이 들이야기 했으나. 화약에 대해서 이렇게 자세히 쓴 프로그램은 처음이네요. 대통령상 받아야 합니다.
@kimxx864
@kimxx864 2 жыл бұрын
다음에 한국 갈때 국립진주박물관은 무조건 한번은 들릴께요! 🏆
@user-cs6jw5je9z
@user-cs6jw5je9z 2 жыл бұрын
이놈의 나라는 고금을 막론하고 자원이 없어서 공돌이를 갈아넣는게 전통이었구나 ㅠㅠ
@user-kt8yp5ho2y
@user-kt8yp5ho2y 2 жыл бұрын
염초 뿐만 아니라 유황도 부족해서 화포의 재료인 구리와 함께 유황을 일본에서 수입을 했죠. 그리고 조선군의 상징인 각궁의 재료인 물소뿔 역시 일본에서 수입을 했고 이것도 부족했는지 가축화를 시도했지만 당연히 실패… ㅜㅜ ㅠㅠ
@hawk8873
@hawk8873 2 жыл бұрын
물소가 열대지방 동물이라 조선의 혹독한 겨울을 이겨내지 못하고 전부 듀금.
@sunpoya
@sunpoya 2 жыл бұрын
물소는 제주도에서 생육에 성공했어요. 근데 성공할 즈음에 조선군의 주력무기가 조총으로 넘어가면서 꿔다논 보릿자루가 되어버려서....
@user-jz1ri2ep6p
@user-jz1ri2ep6p 2 жыл бұрын
@@sunpoya 물소젖으로 모짜렐라 치즈를 만든다던데 그 기술이 제주도에 전해지지 못한 게 한이로다
@NokmaDu
@NokmaDu 2 жыл бұрын
@@user-jz1ri2ep6p 모짜렐라 인더 떡
@davidjacobs8558
@davidjacobs8558 2 жыл бұрын
처음엔 일본이 조선에 유황을 수출하면서, 유황이 화약 원료인줄 몰랐다죠.
@user-md5qv7sm8y
@user-md5qv7sm8y 2 жыл бұрын
역시 기록의 나라 조선.. 저런 자료를 토대로 재구성하고 연기하는것도 넘 좋아요 ㅋㅋㅋ 잘봤습니다
@1ZZANGGA1
@1ZZANGGA1 2 жыл бұрын
저 초석 부족은 조선만 겪은것이 아닌 독일도 세계대전 당시 화약재료인 질산염을 구하기위해 공기에서 질소를 뽑아내 질산염을 만드는 기술을 개발할정도로 (그전에는 재나 오줌을 모아서 암모니아에서 질산염을 추출하는 방식) 초석생산은 그만큼 어렵고 구하기 힘들었다는 사실을 알수있죠
@soullohen
@soullohen 2 жыл бұрын
프리츠 하버의 질소고정법이 등장하기 전까지는 화약은 무섭게 만들기 어려운 전략물자였습니다.. 흔히 조선군이 화포를 잘 다뤘다는 인식과는 달리 실질적으로는 북방군과 수군 정도를 제외하고는 화약무기를 접하지 못했을꺼라고 하니..
@user-mg9si6iv4z
@user-mg9si6iv4z 2 жыл бұрын
우와~퀄리티 지렸다..tv에서 보던 다큐포함 머리칼이 쭈뻣서면서 감동받은건 첨이네ㄷㄷ응원합니다!!
@arnshutain
@arnshutain 2 жыл бұрын
3:48 5:15 9:38 염초 구하기 힘든 상황에서 임진왜란 해전을 이김....
@user-rp2bf8ge2q
@user-rp2bf8ge2q 2 жыл бұрын
뒤간이란 뒷간은 다 팠음... 소변이 오래되면 염초재료가 생김 허연가루
@mrdansepo
@mrdansepo 2 жыл бұрын
암모니아와 질소화합물.... 뒷간에 많이 있었을듯요
@user-wy1ch3bc5v
@user-wy1ch3bc5v 2 жыл бұрын
이순신 장군이 신물경속의 자세로 철저히 이기는 싸움만 고집했던 이유가 여기에도 있을 것 같습니다.
@user-uj1hy9xc2u
@user-uj1hy9xc2u Жыл бұрын
싸워서 이기는 방식은 한번 전투시 화약뿐만아니라 식량 장비 등 보급품 소비량이 어마무시한데 이기고 싸우는 방법은 그런 보급품 소모를 컨트롤 하면서 싸울수있고 아군의 피해는 적거나 컨트롤 할수있으며 적을 의도한대로 철저히 박살내 그바로 직후의 전투에서 전투력 소모를 최소화 할수있는것이죠. 그렇게 해야 전쟁 상황을 뒤집을수 있는 여력이 생기니까요
@jwshin1424
@jwshin1424 2 жыл бұрын
최해선 = 토니 스타크
@presidentlouis-napoleonbon8889
@presidentlouis-napoleonbon8889 2 жыл бұрын
@@hongkongfree3895 최무선?
@NewRepublic4137
@NewRepublic4137 2 жыл бұрын
애당초 땅에서 질산칼륨이 안 나오고 현대에 체계적인 화학 조합 방법을 들여와서야 제대로 자체 생산이 가능했는데 조선시대에 간신히 들여온 경험적인 기술로는 메울 수 없었겠지.
@user-nq3tb9rj3n
@user-nq3tb9rj3n 2 жыл бұрын
조선 : 화약이 부족하다!! ???: 화력이 부족하다 조선시대로부터 내려오는 유구한 전통
@user-dr1zv8dc4r
@user-dr1zv8dc4r 2 жыл бұрын
역시 포방부..
@user-ux4sc4ce4f
@user-ux4sc4ce4f 2 жыл бұрын
뿌리 깊은 원딜 포방국...
@yaoyai
@yaoyai 2 жыл бұрын
고려시대부터 시작된 전통
@KOREAN_TOP
@KOREAN_TOP 2 жыл бұрын
거기다가 마침내 [탄두중량 제한 해제 + 사거리 제한 해제] 를 얻어버린 것.... ㄷㄷㄷ
@user-st9db1jc7q
@user-st9db1jc7q 2 жыл бұрын
조상님이 흐믓 할일이로다
@teemozzang
@teemozzang 2 жыл бұрын
크흠...기록 안한게없군ㄷㄷ
@Qipao_park
@Qipao_park 2 жыл бұрын
참가자로써 이런 좋은 결과물을 보면 언제나 뿌듯합니다 ㅎㅎㅎㅎ
@user-fo2sc7dz9w
@user-fo2sc7dz9w 2 жыл бұрын
엌! 이번엔 뭐로 나오셨나요?😲
@freeman_24
@freeman_24 2 жыл бұрын
와 저거 다 연기자분들이신가요
@user-xo6in3yr5t
@user-xo6in3yr5t 2 жыл бұрын
국립진주박물관 사랑합니다
@ohseungmin0
@ohseungmin0 2 жыл бұрын
여름방학때 국립진주박물관 가야겠네요ㅎㅎ
@vanguard1051
@vanguard1051 2 жыл бұрын
그저 감탄스러운 고퀄!!!
@YogiMaemi
@YogiMaemi 2 жыл бұрын
한반도에 초석광산만 있었어도ㅜㅜ
@kkkkuh12
@kkkkuh12 2 жыл бұрын
세계적으로도 아까 언급한 두곳 빼곤 그리 많지 않을껄요?? ㅠ
@InitialJKJ790
@InitialJKJ790 2 жыл бұрын
@@kkkkuh12 심지어 그 두 곳을 영국이... ㄷㄷㄷㄷ 덕분에 유럽 중 유일하게 실탄사격 연습이 가능해서 어느 유럽군 보다 질 높은 연습이 가능했죠.
@user-rn8zj5qj5q
@user-rn8zj5qj5q 2 жыл бұрын
그랬으면 미리 먹혔을수도 ㅋㅋㅋ
@jskoh4662
@jskoh4662 2 жыл бұрын
Thank you so much for the person who wrote English captions!
@Fat_Badger
@Fat_Badger 2 жыл бұрын
눈물 없이는 들을 수 없는 이야기 네요.
@wolfk3893
@wolfk3893 2 жыл бұрын
화력덕후 조선에 화약재료만 충분했더라면 .... 중세에 포방부라니
@noy2red
@noy2red 2 жыл бұрын
훌륭한 영상 잘봤습니다. 진주박물관과 건들건들 여러분 늘 감사합니다.
@armirad
@armirad 2 жыл бұрын
진주박물관 간다 꼭 간다
@user-sh8fv2tb4y
@user-sh8fv2tb4y 2 жыл бұрын
굉장히 재미있는 영상 감사합니다
@letb9898
@letb9898 2 жыл бұрын
이번변은 특히 스토리 구성,음악,영상 어느것 하나 빠지지 않는 수작입니다!! ㅔ
@Appletree-db2gh
@Appletree-db2gh 2 жыл бұрын
전 이번 에피소드가 모르는것도 너무 많이배웠고 정말 흥미로웠어요!!! 감사해요, 정말 재밌게 보고있습니다.
@Karen-173
@Karen-173 2 жыл бұрын
흠.. 이래서 하버가 큰 일을 해낸거였군요 암모니아 합성법이 시급하다!
@user-sr7es2ds2s
@user-sr7es2ds2s 2 жыл бұрын
우리 조상들은 너무 처절하게 산듯
@chiwoohyun3369
@chiwoohyun3369 2 жыл бұрын
이런 내용은 이제 국사책에 올라가야 할듯 합니다...항상 좋은 영상 잘 보고 갑니다..^^
@YogiMaemi
@YogiMaemi 2 жыл бұрын
언제나 재밌고
@user-hj1jo5pv6v
@user-hj1jo5pv6v 2 жыл бұрын
흑색화약의 성능 = 염초, 즉 질산칼륨의 품질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니 저 정도 권한은 줘야만했죠.
@user-pc9sx7ms6b
@user-pc9sx7ms6b 2 жыл бұрын
2010년에 홀로 군대 외박 나와 군복 입고 진주성을 돌아 진주박물관을 돌아본 적 있는데 또 가고 싶어요
@user-jf9eu5tk4q
@user-jf9eu5tk4q 2 жыл бұрын
화력조선 보면서 조선에 국방에대해서 다시생각하게 됫습니다 ㅎㅎ 감사합니다 ㅎㅎ
@archaeology_fieldnote
@archaeology_fieldnote 2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화약이라는게 이렇게 디테일한 제조과정이 필요한것이군요
@minar8755
@minar8755 2 жыл бұрын
아! 눈물겹다. 조선...
@6ygrene167
@6ygrene167 2 жыл бұрын
화약 한줌이 저렇게 눈물겹게 만드는 거였다니 ㅜ ㅜ
@daum2daum2
@daum2daum2 2 жыл бұрын
신전자취염초방이 한글판이라구...? 오호.....
@PlXNIN
@PlXNIN Жыл бұрын
너무너무 재미있네요
@user-se7sj3jc6i
@user-se7sj3jc6i 2 жыл бұрын
오늘도 흥미롭게 잘 보고 갑니다
@user-qe8vf4zi2l
@user-qe8vf4zi2l 2 жыл бұрын
수고하셨습니다. 잘 봤습니다..
@sixxfire1355
@sixxfire1355 2 жыл бұрын
진짜 잼있고 유익하다 굿굿
@user-fw3wl1ru9k
@user-fw3wl1ru9k 2 жыл бұрын
와 이거 너무 좋은 영상입니다!!
@user-ek6rk6gg7e
@user-ek6rk6gg7e 2 жыл бұрын
쥰나게 재밌지네 감사하옵니다!!
@no246
@no246 2 жыл бұрын
매우 유익함!!
@user-wj3ud7lv5n
@user-wj3ud7lv5n 2 жыл бұрын
뭐지... 저 염초인가 초석인가 뭔가 하는 걸.. 사람 동물 배설물에서 얻을 수 있었다는 말이.....
@user-cn3cz9sr5t
@user-cn3cz9sr5t Жыл бұрын
이순신장군도 소변을 모아 끓였다고 하죠
@user-cm1xh4qm7f
@user-cm1xh4qm7f Жыл бұрын
이번 겨울방학 때 진주박물관 가야겠네요 ㅎㅎ
@ashleyji6703
@ashleyji6703 Жыл бұрын
국립진주박물관 칭찬합니다. 좋은 영상 만들어주셔서 항상 감사합니다. 여름에 방문하기 위해서 가슴설레며 준비중입니다. 화이팅!
@danjjakchinguTV
@danjjakchinguTV Жыл бұрын
'염초'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JustRandomWonderer
@JustRandomWonderer 2 жыл бұрын
가슴이 웅장해진다...
@NomadicForester
@NomadicForester Жыл бұрын
화약의 재료를 구하기 위한 이런 노력이 있었군요. 아주 흥미로운 영상이었습니다.
@user-gi3dj8fh3c
@user-gi3dj8fh3c 2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화약에 진심이였구나 ㅋㅋ
@killpony4279
@killpony4279 2 жыл бұрын
화력과 화력, 그리고 화력만이 최선의 방법이다
@airwar_history
@airwar_history 2 жыл бұрын
아주 오래전 이순신장군 소재의 드라마나 영화 볼때마다 궁금했던 .... 어떻게 화약을 만들었었는지였는데... 이렇게 해결되네요~ 늘 잘 보고 배우고 갑니다~
@adex157
@adex157 2 жыл бұрын
화력덕후질이 유전이었네요
@xmomxmomx
@xmomxmomx 2 жыл бұрын
한화가 이 영상을 좋아합니다~~ㅋ
@factchecker81
@factchecker81 2 жыл бұрын
역시 기술이 좋아
@borispark.7151
@borispark.7151 2 жыл бұрын
존경합니다 wireless choi 대감님..
@user-pc9sx7ms6b
@user-pc9sx7ms6b 2 жыл бұрын
조선은 기병과 포수가 주력인데도 전략물자였던 궁각, 호마, 동철, 유황, 염초 등이 모두 희귀해서 늘 힘들어했죠
@user-lp5tj6is4u
@user-lp5tj6is4u 2 жыл бұрын
크으 건들건들 믿고본다
@user-xi7nh9ni4p
@user-xi7nh9ni4p 9 ай бұрын
진짜 미쳤다.. 염초-질산칼륨이 뭐 광산같은데서 캐는거 아닌가 생각했더니 저렇게 독특한 방법으로 구했으니 얼마나 구하기 힘들었을지 ㅋㅋㅋㅋㅋ 정말 영상보면서 대단하다 대단하다 느낄따름입니다.
@javaxerjack
@javaxerjack 2 жыл бұрын
근데 아무리 우대 받아도 언제 죽을지 모르는 직업이기도 했죠. 염초 문제는 훗날 남미에서 초석이 발견되기 전 까지는 어디든 똑 같은 풍경이었습니다.
@user-ky9dt7tv4h
@user-ky9dt7tv4h 8 ай бұрын
초석은 다른 나라에는 없어요? 그냥 새똥이라던데
@javaxerjack
@javaxerjack 8 ай бұрын
@@user-ky9dt7tv4h 일단 알아야 할 문제가 있는데, 질산 칼륨의 경우 물에 잘 녹습니다. 이 말은 즉, 물에 젖는 땅에서는 금방 녹아 없어지고 채굴이 가능할 정도의 양이 있는건 칠레의 아타카마 사막 정도 뿐이죠.
@user-md8mo5mw3u
@user-md8mo5mw3u 2 жыл бұрын
바로 보러 왔습니다. 학교에서 배우지 않는 거라 더 재미있네요 ㅎㅎ
@user-qx9gu3jx9t
@user-qx9gu3jx9t 2 жыл бұрын
ㅗㅜㅑ 공공기관 유튭에서 건들건들 목소리 들려서 갸웃거렸는데 찐이었네
@BaptisteLee
@BaptisteLee 2 жыл бұрын
여윾시 믿고보는 진주박물관!
@woo6458
@woo6458 2 жыл бұрын
3:42 불꽃놀이를 줄여라? 조선시대에도 불꽃놀이를 했다는 건가요?
@hyunkim2495
@hyunkim2495 2 жыл бұрын
어렸을 때 임진왜란 이야기들을 보며 왜 우리는 병사들에게 조총을 주지 않았나 늘 궁금했습니다. 이제서야 그 호기심이 해결되네요. 좋은 컨텐츠 감사합니다
@YOPY-mu7gh
@YOPY-mu7gh 2 жыл бұрын
조총말고 더 화끈한 포들을 쓰고 있었거든요. 다만 명중률 등 여러모로 조총과는 세대가 뒤쳐진 무기들이라... 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Article.do?cn=DIKO0013835938&dbt=DIKO
@xero2250
@xero2250 2 жыл бұрын
개인화기라는 개념이 없던때라 조총을 과소평가해서 보급을 안했죠
@jyk7627
@jyk7627 2 жыл бұрын
와 화약기술만 있으면 천민한테도 벼슬을 줬다고??ㄷㄷㄷ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신분제 국가에선 ㄹㅇ 믿기힘들정도의 파격적인 대우네
@Bill_Bousquette
@Bill_Bousquette 2 жыл бұрын
조선의 소원 : 365일 멈추지 않는 사격훈련.... XX의 소원 : 대륙간자주포...
@user-qq6oj9lo9d
@user-qq6oj9lo9d 2 жыл бұрын
화력에 미친나라 ㅋㅋㅋㅋㅋ 화약이 부족해-탱크만있었다면-미사일이 부족해 무한 반복 ㅋㅋㅋㅋㅋㅋ
@user-ch7ol7bb5h
@user-ch7ol7bb5h 2 жыл бұрын
확실히 조선시대 초기는 진짜 군사력도 강했고 화약 무기 발전에 대해서 엄청나게 노력도 많이 했고, 기술직에 대한 대우도 많이했는데.. 조선의 군사력이 문약해진 건 세조~ 성종이 결정타였음.. 군사력 약화의 주범은 세조였고, 그걸 완전히 확립시킨게 성종.. 특히 세종-문종대왕대의 정예화된 군사력은 세조 시절의 군재 개편으로 군대의 질적 하락이 시작되었고, 문종 때까지 세계적인 수준에 있었던 화약 병기를 개발했던 군사 기구였던 '총통위'를 세조가 화기가 반란에 이용될까봐 폐지한 게 가장 결정타였음;; 조선이 초기때 강력한 군사력을 올릴수있던 비결인 군사 기구 총통위를 도대체 왜 폐지했는지...;;; 세조가 계유정난이라는 쿠데타로 집권했기 때문에 쿠데타에 민감했기 때문이었는데... 세조가 총통위라는 화약 군사 기구를 폐지한 뒤부터 화기의 발전은 현상 유지에 머물면서 오랜 기간 침체 국면을 벗어나지 못한건 사실임.... 그때부터 본격적으로 조선의 군사력은 정체되고, 후기로 갈수록 오히려 퇴보되기 시작한거임;;; 특히 세조 시대의 소극적 화기 개발은 부대의 편제에도 영향을 줬는데 '총통군'이라는 화기 부대마저 해산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는데... 이러한 총통군의 해체는 곧 화기의 전술적 운용을 퇴보시켰음... 진심 연은분리법이 세종대왕이나 문종대 개발됬으면 장난 아니게 국가에 부가 증가했을텐데.... 하필 연산군 시대때 발명되가지고;; 솔직히 다들 조선시대 최고의 발명품은 해시계니 자격루니 하는거라고 하지만 아님.. 그건 그냥 실용성 측면에서나 좋은거고.. 솔직히 그 당시 조선을 가장 근본적으로 선진국, 부유국으로 한번에 발전시킬수있는 유일한 비결은 '연은분리법' 뿐이었음.. 그 당시에 은은 전세계의 중요한 무역 거래품이었는데 연은분리법같은 획기적으로 은을 추출할수있는 방법은 거짓말않고 유럽도 개발못했던 시기였음.. 그게 일본에 전해져서 일본이 연은분리법을 은본위제으로 진화시켜서 그 당시의 세계 3위의 은 생산 강대국이 된것만 보면 답이 나오는 부분임. 근데 하필 연은분리법이 연산군 시대때 발명되었다보니 제대로 써먹지도 못했고;; 그 다음대 국왕인 중종은 연산군 시대를 부정하면서 그 시대에 발명된 연은분리법 마저 바로 폐지하면서 연은분리법은 조선에서 발명만했지, 역사상 한번도 쓰인적이 없는 비운의 발명품임...
@angotaeddi
@angotaeddi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 진짜 처절한 조상들의 사투구나
@user-fo5kx2bl9q
@user-fo5kx2bl9q 2 жыл бұрын
궁금한점있습니다.임진란때 이순신장군께서 염초를 대량생산법을 아셨던건지 개발하신건지 솥에다가넣고 끓여서 염초를 만들어내서 전쟁을치루셨다고했는데 어떻게 하신건지 정확히 알고싶습니다.
@chartreuse4
@chartreuse4 2 жыл бұрын
우와아아아아아ㅏ
@madkkm87
@madkkm87 2 жыл бұрын
조상님들 걱정마십쇼 지금 후손들은 세계 최고의 화포인 k9, 세계 최고의 k2전차를 갖고 있습니다
@minggus9649
@minggus9649 2 жыл бұрын
포는 국산이 아니라 독일제임 ㅠ
@gilhyunan1139
@gilhyunan1139 2 жыл бұрын
건들건들 콜라보 너무 좋은데??
@user-sx2cr2hd8r
@user-sx2cr2hd8r 2 жыл бұрын
염초 구하기가 아주힘들죠. 지금말로는 질산칼륨인대.. 자연적으로 얻기에는 참 어렵습니다. 저때 만든 화약은 지금과 다른 흑색화약입니다.
@b2ea197
@b2ea197 2 жыл бұрын
화력의 갈망은 조상님때부터 이어온 핏줄
@user-tp4jg9lp3c
@user-tp4jg9lp3c 2 жыл бұрын
최해산:꼽으면 내목치고 화약 꼬라박고 고려꼴 나던가 쳐봐 쳐봐
@L-S-H
@L-S-H 2 жыл бұрын
초석밭 만드는 법을 빨리 깨달았다면 처지가 나았을텐데.
@user-pi2sm5kj3l
@user-pi2sm5kj3l 2 жыл бұрын
슬생과 함께 몇 안 되는 일주일 낙이다ㅜㅜ
@jeongminpark99
@jeongminpark99 2 жыл бұрын
과거로부터 이어지는 유구한 화력제일주의 ㅎㅎ
@halielee3151
@halielee3151 2 жыл бұрын
진주박물관 일 잘하네
@user-kt6vp3bk8q
@user-kt6vp3bk8q 2 жыл бұрын
염초밭이나 인위적으로 만들어내기 이전 왜란이전까지 조선이 염초부족은 매우 심각했을듯 물론 명나라에서 상당량을 수입하고 명에서도 조선이 후금을 함께 견제해야하니까 상당량의 염초를 팔아줬는데.. 조선후기 가면 염초를 확실히 대량 생산한거 같음. 훈련도감 폭발당시 20만근의 염초가 폭발했다는거 보면.. 그러나 유럽국가들처럼 대량 생산을 못한듯
@sbs9393
@sbs9393 2 жыл бұрын
이게 진짜 나라가 만든거라니...퀼리티 대박 이다
@user-ed7ps1sz4x
@user-ed7ps1sz4x 2 жыл бұрын
이순신 장군이 자체적으로 화약을 생산할 때 말린 인분을 인분을 이용했다고 들었는데 이 방법은 전후 조선 조정에서 채택하지 않은 건가요..?
@user-cx3kb7id3i
@user-cx3kb7id3i 2 жыл бұрын
영상에서 말한내용이 그 배설물이용하는 방식이고 쌓인 걸 모으는 차이인거고 그건 순도 문제가 좀 있어서 길거리에서 배설물이 쌓인 재료를 구하는 거죠
@doom9344
@doom9344 2 жыл бұрын
이영상 디자이너를 파격 대우를 해줘라!
@KGJ-user
@KGJ-user 2 жыл бұрын
서양의 화약제조법과 조선의 화약제조법의 차이가 궁금합니다.
@No_Moo_Hyun
@No_Moo_Hyun 2 жыл бұрын
그걸 말하면 국뽕이 사라지기 때문에 말하지 않습니다.
@user-cx3kb7id3i
@user-cx3kb7id3i 2 жыл бұрын
@@No_Moo_Hyun 일단 저 시기기준이면 국뽕 유지되지않을 까요 무연화약은 19세기 후반이니.
@fianchettoBg7
@fianchettoBg7 2 жыл бұрын
유럽식 제조법: 아메리카 대륙에 간다 -> 원주민을 때려잡는다 -> 초석광산 노예로 원주민을 굴린다 -> 초석으로 화약을 만든다
@ohseungmin0
@ohseungmin0 2 жыл бұрын
중학교에서 역사에서 이런 무기에대한 역사배우면 100점 ㅆㄱㄴ
@user-sq6zp1zx7y
@user-sq6zp1zx7y 2 жыл бұрын
그랬다가는 중학교 교과서가 대학 교재 수준으로 두꺼워져요 ㅋㅋㅋ
@ohseungmin0
@ohseungmin0 2 жыл бұрын
@@user-sq6zp1zx7y 어...살려주세요?
@user-sq6zp1zx7y
@user-sq6zp1zx7y 2 жыл бұрын
@@ohseungmin0 ㅋㅋㅋㅋㅋㅋ 교과서에서 뭔가 대충 배우는 것만 같은 느낌이 드는 이유는 여러분을 위해서랍니다~ *^^*
@sonhuengmin1
@sonhuengmin1 2 жыл бұрын
다음중 총통의 종류가 아닌것은?
@wolfc5485
@wolfc5485 2 жыл бұрын
와 짠내가..
@gowhdgur
@gowhdgur 2 жыл бұрын
부레옥잠이 질산을 흡수한다는데 조선시대에 부레옥잠이 있었으면 화약생산량이 늘어났으려나요
[화력조선 시네마 리뷰] 재밌다! 아쉽다.. 박물관 학예사가 본 영화 '한산' - 고증탐구
14:22
MOM TURNED THE NOODLES PINK😱
00:31
JULI_PROETO
Рет қаралды 9 МЛН
La final estuvo difícil
00:34
Juan De Dios Pantoja
Рет қаралды 28 МЛН
Sprinting with More and More Money
00:29
MrBeast
Рет қаралды 34 МЛН
Can You Draw The PERFECT Circle?
00:57
Stokes Twins
Рет қаралды 97 МЛН
[화력조선 시네마] 단편영화 '사르후' , 코멘터리 - 역사적 배경과 제작 뒷 이야기
22:44
국립진주박물관 JINJU NATIONAL MUSEUM
Рет қаралды 197 М.
MOM TURNED THE NOODLES PINK😱
00:31
JULI_PROETO
Рет қаралды 9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