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cept for me, everyone is lying, Am I a fool?(gaslighting)

  Рет қаралды 577,581

씨네포유 cine4u

씨네포유 cine4u

3 жыл бұрын

#Movie #Introduction #MovieReview #CineForYou
Everyone except me, for their own good.
"Alternative Facts" and "Alternative Facts"...
It's a story.
Will it be 2+2=4? Two plus two = 22?
View Full Video
• Alternative Math | Sho...
#AlternativeMath #ShortMovie #GasLight

Пікірлер: 715
@cine4u
@cine4u 3 жыл бұрын
오늘 소개해 드린 작품은 단편영화 '대안수학'입니다 모든 사람들은 각자의 의견이 있고 다르다고 비난할 자격은 없습니다. 하지만 그 의견들은 진실과 상식 안에서 존중 받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가끔 사실이 진실이 아닐 때도 있는데 진실로 둔갑시키는 간특한 재주의 사람들을 만나게 되는데....ㅜㅜ (전 아직 내공이 약해서...) 어떻게 대처하시나요? 날씨가 너무 좋아졌죠.. 건강 유의하시고요 좋은 하루 보내세요 씨네포유였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jr2qs8kh6h
@user-jr2qs8kh6h 2 жыл бұрын
이야기를 안하시는게 최선 이성은 이성의 규칙을 따르는 자들내에서만 발휘돼요
@Allin7days
@Allin7days Жыл бұрын
의견은 반박하는 것이 아니고 흥미롭게 대하는 것입니다. 그런 추상적인 것이 아니고 진실을 추구하는 수학이나 과학에서는 다르지요. 그 걸 구분하는 것이 성장하는 것이고요.
@user-rr5jw4pb4e
@user-rr5jw4pb4e Жыл бұрын
영어가 아니잖아요;; ENG 뭐야
@luckychang2095
@luckychang2095 Жыл бұрын
시네포유님의 의견에 공감합니다. 사실이 진실이 아닐 때가 많죠. 그러나 모두가 공유하는 약속을 다르게 말하는 좌파를 주의해야 합니다. 2+2=4라고 말하는 모두의 약속을 파기하는 순간 더 많은 피해자들을 양산하게 됩니다. 사람에 대한 이해가 반드시 2+2=4가 되는 방식은 아니지만 언제나 기본적인 약속을 신뢰하는 세계관 속에서 다양성을 존중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영화는 그 지점을 지적하고 있는것 같네요.
@user-kf8yd9lh2l
@user-kf8yd9lh2l Жыл бұрын
수많은 의견속에 정답이 있을수도 없을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정답이 없는건 아닙니다. 우리는 정답을 찾는 진지한 자세를 가져야하며 그 태도를 갖는것만으로도 의미가 있죠 자기의 주장을 주장하기보다 진지한 자세로 정답을 찾는 자세입니다.
@deva3598
@deva3598 11 ай бұрын
와... 현재 초등학교 사건 일어난 시점에서 이 영화가 그저 단순한 풍자가 아니라 사실적인 풍자를 그린 영화였군요.
@stock2878
@stock2878 6 ай бұрын
ㅈㄴ맞는말인데 하지만 저 초등학생은 저의 기준에서는 멍청함. 이유 : 증명을 안했기때문. 내가 선생님이었다면 왜 그렇게 생각하냐고 물어봤을거임. 왜냐하면 1+1 == 2 또는 "1"+"1" == "11" 또는 1 +1 == 2.0 또는 1분의2 또는 0b0010 또는 0o010 또는 0x02 또는 %x02 또는 "\x02" 또는 "\u{0002}" 또는 (1+1) == 2 && true 또는 (1+1) === 2 || true 또는 첫번째파람 = 1; 두번째파람 = 1; add(첫번째파람,두번째파람) 등.. 너무많음
@user-hr7ui6rf9y
@user-hr7ui6rf9y 5 ай бұрын
단순한 풍자랑 사실적인 풍자의 다른점은 뭔가요?
@user-dg4od5id1j
@user-dg4od5id1j Ай бұрын
애초에 풍자가 현실의 부조리함을 조롱하는 표현법인데 ㅋㅋㅋ
@naju0216
@naju0216 Жыл бұрын
"심지어 이선생님은 아이들을 1년이상 보살펴본적도 없다고 전해지는데요" 개뿜었네 썅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sheechoi
@sheechoi Жыл бұрын
정말 미쳐버린 세상을 향한 이 세상의 얘기네요. 정말 기가 막힌 세상이지요 ㅠㅠ
@thedimlight3312
@thedimlight3312 Жыл бұрын
시대를 앞서간 영화... 지금보니 이게 현실이네요
@user-my8uk7ye6q
@user-my8uk7ye6q Жыл бұрын
응 미국에서 살아 넌 학생들한테 사살이야
@user-po8gw6mf2w
@user-po8gw6mf2w Жыл бұрын
미쿸의 현실이죠
@user-smartol
@user-smartol Жыл бұрын
​@@user-po8gw6mf2w 한국도 삐까삐까한데
@bcss8444
@bcss8444 11 ай бұрын
미국이 아니라 PC 풍자를 이 나라는 현실로 이루어 낸 기적 같은 나라. 세상에 둘도 없는 PC 천국.
@user-skypro
@user-skypro 10 ай бұрын
주호민 등과 같은 갑질 학부모 및 학교 시스템이 생각나네요
@wxy881
@wxy881 11 ай бұрын
코미디가 이젠 다큐가 됐네ㅋㅋㅋㅋㅋ😂
@user-vg5zz1em6e
@user-vg5zz1em6e 6 ай бұрын
우리나라에서는 흔한일이죠 영화를 다큐로
@soundkit
@soundkit 10 ай бұрын
현재 대한민국의 현실입니다... 실제로 저렇게 낙천적일수도 없는 선생님들ㅠ 안좋은 생각하지마시고 힘내시고 세상이 바뀌길 바라겠습니다 늘 존경합니다
@user-pt2eu7wl5o
@user-pt2eu7wl5o Жыл бұрын
와….소름 돋네;;; 이 영화 만든 사람 통찰력에 감탄하고 갑니다.
@rainbowbridge4978
@rainbowbridge4978 11 ай бұрын
마지막 22,000 달러라고 한 게 미러링임
@JUNNYLAND1985
@JUNNYLAND1985 Жыл бұрын
마지막이 이 영화를 살렸다.
@jungkilseo
@jungkilseo Жыл бұрын
요즘세상을 정확하게 풍자하고있네요 기막힌 세상입니다 ㅋㅋㅋㅋㅋㅋㅋ
@wooilkim7347
@wooilkim7347 10 ай бұрын
와. 영화보다 더 사실같은 현실이 2023 한국에서 일어나고 있었음….^^
@Scid-jf6rs
@Scid-jf6rs 10 ай бұрын
2년전에 봤을 때는 그저 재미난 영화라고 선생님 머리 좋네 라고 생각했는데 지금 다시 보니 현실을 철저하게 풍자한 영화였네 정서적 아동학대라니...
@workout_kim
@workout_kim 2 жыл бұрын
아마지막 개사이다 ㅋㅋㅋㅋㅋㅋ
@minhtungle3681
@minhtungle3681 Жыл бұрын
ㅇㅈ ㅋㅋㅋ
@user-bb9oo5is3j
@user-bb9oo5is3j 3 ай бұрын
​@@minhtungle36812000+2000=20002000만달러
@rocto234
@rocto234 Жыл бұрын
말미에 나오는 음악 제목 궁금해요. 너무 좋아요~
@JenielShin
@JenielShin Жыл бұрын
20002000이라고 안한 건 그냥 말로서 "twenty-two"를 언급하는 것으로 상대방에게 한방 먹이기 위함이죠. 20002000은 two-hundred million two thounsand 라고 해야 해서 좀.... 그런데 영화 내내 언급되어오던 "two plus two is twenty-two" 를 그대로 써먹으면 그동안 선생님이 당해오던걸 그대로 되갚아주는 상황이 되는거죠. 그냥 영화적 카타르시스가 수학적 법칙보다는 더 중요했던거죠. (어?)
@miyu2539
@miyu2539 Жыл бұрын
2 thousand달러+ 2 thousand달러 = 4 thousand달러라고 하니까 그게 아니라 22 thousand달러라고 한 것 같습니다. (선생님대사에서 thousand달러는 생략됐구요) 다른사람들 말대로 2+2 는 4가 아니라 22라면 22 thousand달러가 맞는 계산일테니까요.
@meeyuyu4805
@meeyuyu4805 Жыл бұрын
와 이 댓글 너무 재밌다 마지막 문장 어? ㅋㅋㅋㅋㅋㅋㅋ 영상 내용 도돌이표
@user-wg1mj1nn1c
@user-wg1mj1nn1c 11 ай бұрын
정확히는 너무 액수 가 크면 못받기 때문
@rainbowbridge4978
@rainbowbridge4978 11 ай бұрын
@@user-wg1mj1nn1c 그 이유도 있겠네요 ㅋㅋ 20,002,000 달러 달라고 했으면 오히려 또 돈에 환장한 노인네 취급했을수도 ㅋㅋㅋ
@caseyshin3075
@caseyshin3075 10 ай бұрын
이 영화에서 22로 깔맞춤하는게 의미전달에 효과적일거 같네요
@user-py9yy6xy8v
@user-py9yy6xy8v Жыл бұрын
2:19 존중해주는 정도가 무한으로 발산해버림ㅋㅋ
@user-kv1mb3kx8y
@user-kv1mb3kx8y 24 күн бұрын
심지어 발산도 안함 ㅋㅋㅋ
@user-ms6fi4fw3p
@user-ms6fi4fw3p Жыл бұрын
마지막 완전 반전. 절묘하군
@user-nn8bg7pb9r
@user-nn8bg7pb9r 11 ай бұрын
딱 감언이설적 이었네요. 그리고 또 현재로 보니 또 다른 의미로 해석할 수도 있겠네요...
@user_727
@user_727 Жыл бұрын
예전에 어떤 포털사이트에서 캡쳐본이 올라왔던 영화군요. 문제의 본질이 아닌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궤변을 늘어놓는 소피스트들에게 잠식된 건 다수의 자본주의 국가에서 드러나고 있는 문제점이죠. 변별력을 키운다면서 오히려 지엽적으로 가르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도 특히나 문제가 두드러지는 것 같습니다.
@Retis1
@Retis1 Жыл бұрын
자본주의 국가가 아닌 자유주의 진영
@user_727
@user_727 Жыл бұрын
@@Retis1 글쎄요..내 댓글을 진영논리로 이해했다면 제가 의도한 뜻과는 전혀 다른내용이 됩니다. 정치적 이데올로기로써 의미가 아니라 자본주의 경제체제를 도입한 국가에서 많이 발생되고 있죠. 단적으로 정치적으론 독재체제인 중국도 자본주의 경제체재를 도입한 이후 저것과 비슷한 현상이 일어나고 있죠.
@hkoh5758
@hkoh5758 Жыл бұрын
멋지네요
@danggura
@danggura 11 ай бұрын
ㅋㅋㅋ 고구마 전개 마지막에 핵사이다 엔딩이네 ㅋㅋ
@user-yh7je8wq4l
@user-yh7je8wq4l Жыл бұрын
예전에 처음 봤을 때는 웃고 넘겼는데 다비드상 포르노 사건 보고 나니까 웃을 수가 없네
@ThePilotJ
@ThePilotJ 10 ай бұрын
그냥 코메디 같았어야 할 영화가 다큐가 되어버린... 그리고 다시 이 시점에 주목받는 영화가 되었네요.
@tlawnstn
@tlawnstn Жыл бұрын
크으~~~마지막 개사이다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ingingingang
@ingingingang Жыл бұрын
귀요미
@spring_straycat
@spring_straycat Жыл бұрын
요즘 생물학적 성에 대해서도 부정하고 나는 내가 원하는 제3의 성별을 가질 수 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생각나는 영화네요 잘 봤습니다
@user-yr8sz8er4m
@user-yr8sz8er4m Жыл бұрын
그것도 넘어서서 생각만으로 자신이 여자라고 생각하면 여자인 세상이랍니다. ㅋ ㅋ 남자가 자신은 여자라고 생각해서 여탕에 들어갔는데 그게 왜 잘못이냐고 하고 판사는 남자손을 들어주고 ㅋㅋ
@user-tq6mg7rs5d
@user-tq6mg7rs5d Жыл бұрын
​@@user-yr8sz8er4m 사실 그 사람 마음속을 모르니까 조질순 없긴 함
@heyteed7143
@heyteed7143 Жыл бұрын
전 흙인에 털이 북술북술한 근육질 남자이지만, 매끈한 피부의 갸냘픈 백인 여성이라고 오늘부터 정했어요~ ㅋㅋㅋㅋ
@dahaeholic1860
@dahaeholic1860 Жыл бұрын
현재까지 밝혀진 과학으로는 인간은 XX 염색체, XY염색체, XXXY 염색체 이렇게 3 종류의 염색체가 있습니다. XXXY염색체를 가진 사람은 나중에 커서 남자로 살기를 선택하든, 여자로 살기를 선택하든, 아니면 둘을 다 가지고 살기를 선택하든 그건 선택의 문제인 것이지요. XXXY 염색체가 존재한다는 것이 최근에 밝혀진 것인데, 앞으로 유전자에 관한 연구가 더 진행되면 또 어떻게 바뀔지 모르는 것이지요.
@Baobab_grain
@Baobab_grain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제성별은 단거리 탄도미사일 화성 17형 ICBM입니다. 전 제 배우자 MX피스키퍼 LGM 118과 혼인하여 rpg-7이라는 아이를 두며 잘살고 있죠^^ 이런게 바로 다문화 다성별 가정이 아닐까요ㅎ
@ottogi789
@ottogi789 Жыл бұрын
굿!!!!
@mansuper621
@mansuper621 Жыл бұрын
인간의 존엄을 지키기 위해 인권을 외치다가 산으로 가는 현실을 풍자한 내용이네요.
@user-dl9xf2pl5t
@user-dl9xf2pl5t Жыл бұрын
2+2는 귀요미 아닌가요
@user-dw6gv7yk5i
@user-dw6gv7yk5i Жыл бұрын
벡터일때는 2+2가 각도에 따라서 다양하게 나올수는 있죠. 그런데 스칼라 덧셈의 영역에서 2+2라는 사실은 개념적인 입증을 통하여 결론낸것이고 어린애들을 가르칠 때는 2+2=4라는 형식을 통하여 교육을 시키는데 2+2=22라는 새로운 형식을 주장하려면 그에 따른 이론적 입증과정이 필요한데 직관적인 형식만 따라서 결론 내는것은 수학적이지 못한 것이죠. 가장 쉽게 눈에 보이는 형식만 추구하는 사회 현실 풍자가 일품이네요. ㅋㅋ
@jinmoheo7440
@jinmoheo7440 Жыл бұрын
먼 2더하기 2는 4지 개소릴 그럴듯하게 지껄여놨노
@efoskekdlzlslssl
@efoskekdlzlslssl Жыл бұрын
@@jinmoheo7440 님이 이해를 못했다고 저분 말이 개소리는 아니죠 ㅎㅎ
@user-ub2xw7cr6w
@user-ub2xw7cr6w Жыл бұрын
@@jinmoheo7440 벡터의 합에서는 2+2가 4가 아닐수도 있는데요 어느방식으로 덧셈하라고 했는지는 말안한거니 2+2가 4라고 단정지을 수 없죠 2+2는 2i+2j 일수도 있고 2가 무한한공간이라고 가정하면 2+2가 2일수도 있는거죠 ^^
@user-ik6fk3yg6l
@user-ik6fk3yg6l Жыл бұрын
이 세상은 약속으로 정의되어 있습니다. 약속을 어기면 퇴출당합니다. 2+2= 4 라는 답도 우리가 약속한 겁니다. 벡터라는 약속 기호를 넣어야 성립하는 개념을 자기 잘난 체하는 곳에 이용해서야 되겠습니까? 이 영화는 2+2= 22 라는 말도 안되는 억지가 다수의 힘을 믿고 어떻게 폭력화되는지 그 과정을 풍자한 영화로 보입니다.
@user-zn1lb7sp2g
@user-zn1lb7sp2g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그냥 덧셈이라고 영화에 나왔고 2+2면 통상적으로 4부터 떠올리지 이런 곳에서까지 꼭 잘난척을 해야됨?
@DRAGON-qd8wb
@DRAGON-qd8wb 11 ай бұрын
대단한 영화 ....
@johnpark8324
@johnpark8324 Жыл бұрын
이 쁠러스 이는 건강한 이 ~~
@gogotoday
@gogotoday Жыл бұрын
2+2 귀요미 ❤
@user-dq5mz8tf8m
@user-dq5mz8tf8m 10 ай бұрын
이분 리뷰해준거 답글도 거의 안달렸을때 봤을때는 이런일이 이렇나겠냐라고 생각했는데.... 이제는... 진짜 모르겠다...
@outhth
@outhth 9 ай бұрын
와 ㅋㅋㅋ대박
@user-vz2wy9wx2s
@user-vz2wy9wx2s 11 ай бұрын
와. 순간 주작가의 고소로 특수교사가 해임된 사건이 떠오르는건? 나만?
@user-friendly599
@user-friendly599 Жыл бұрын
아놔 엄청 웃겨 ㅎㅎㅎㅎ 이런 영화 넘 좋아 ^^ 1+1=1
@user-iy9uh1yf4q
@user-iy9uh1yf4q Жыл бұрын
1+1은 귀요미에요!!!!
@sundamlee5218
@sundamlee5218 7 ай бұрын
와 ㅎ 영화 만든 사람 천재네요ᆢ완전 공감되는 상황들에 퇴직금 정산 유머까지 ㅋ
@Hyuchan1002
@Hyuchan1002 Жыл бұрын
아이의 연기가 진짜 메쏘드 ㅋ
@alexcho3756
@alexcho3756 9 ай бұрын
영화가 시대를 앞서나갔다.
@user-ch8ob6ib3m
@user-ch8ob6ib3m 9 ай бұрын
마지막 개사이닼ㅋㅋㅋㅋ
@YoungsooPark
@YoungsooPark Жыл бұрын
2가 str 타입이면 그럴 수도 있긴 한데.. 문제 낼때 타입도 지정 해줘야 겠군... 20002000는 작가가 그걸 몰라서 그런게 아니죠. "twenty-two" 인게 중요한거니까..
@user-kt8qs6wl4p
@user-kt8qs6wl4p Жыл бұрын
오 string이었군 2+2가 아니라 "2"+"2"였네...
@user-fj5if1il4r
@user-fj5if1il4r Жыл бұрын
아니 4고 22고간에 난 6분동안 뭘 본거지
@chaewook3
@chaewook3 Жыл бұрын
200,020,000 달러가 아닌 22,000 달러라고 한 이유는, 미국에서의 수에 대한 인식이 약간은 달라서 그렇습니다. 우리나라는 이천원!! 이라고 하면 머리속에 바로 숫자 2000을 띄우지만(혹은 천원짜리 두장), 서구권에서는 이천달러! 라고 하면 숫자 2000보다는 2 thousand를 떠올립니다. 2만을 얘기하면 우리나라 사람 대부분은 20000 혹은 만원짜리 두장을 떠올리겠지만, 저친구들은 20 thousand를 떠올립니다. 때문에 마지막급여 2 thousand 달러 + 퇴직금 2 thousand 달러의 덧셈에서도 앞의 숫자 2 두개만 가져와서 뒤에 thousand를 붙이므로 최종적으로 2 thousand + 2 thousand = 22 thousand가 되어 영화 초반에서 꼬맹이가 말한 twenty-two와 일치하는 개념이 됩니다. 우리는 당연히 20002000 달러 불러야 되는거 아냐? 라고 생각하겠지만 저들은 자연스럽게 22,000 달러를 떠올렸을겁니다.
@servicejs184
@servicejs184 Жыл бұрын
오 그러네요 평소 숫자를 세는게 다르다보니 말씀이 맞는거 같아요
@user-ww4kb1yh6s
@user-ww4kb1yh6s Жыл бұрын
22k 맞죠 ㅋㅋㅋ 특히 일단 애초에 천달러를 따로 부르는 방식이 있는 애들이다보니
@Metalvirus_June
@Metalvirus_June 7 ай бұрын
코미디가 다큐가 되어가는...
@happiness589
@happiness589 11 ай бұрын
개소리와 창의는 다르지 기본적인 베이스가 돼야 거기서 나오는 생각이 창의라 되는거지 뉴턴역학을 무시했다면 아인슈타인도 안나왔겠지 이전의 것들을 배우고 거기서 통찰이 이루어진게 창의지 아무런 고찰없는 개소리는 창의가 아님
@user-hr6hd2ps3l
@user-hr6hd2ps3l 10 ай бұрын
뭐야… 이거 우리나라 아니야 ㅋㅋㅋㅋㅋㅋ 예지 지렸다
@user-ce8um5tg6g
@user-ce8um5tg6g 11 ай бұрын
아휴, 진짜 현실이네요.
@user-hs1bs6ut3h
@user-hs1bs6ut3h 11 ай бұрын
알고리즘보소
@user-fs7lh8vh2n
@user-fs7lh8vh2n 10 ай бұрын
처음 봤을때:ㅋㅋㅋㅋ 재밌노 현재:어라......?
@user-lx4pw2pu8p
@user-lx4pw2pu8p Жыл бұрын
해외나 국내나 비슷하다는게 신기
@user-fu5uw9zibm
@user-fu5uw9zibm 4 ай бұрын
와....열받다가...마지막이 살렸다
@tnldlr
@tnldlr Жыл бұрын
😁👍👍
@KC-oe1iw
@KC-oe1iw 10 ай бұрын
와 이거보면서 집단이 사실을 왜곡하는 그릇된 세계관이 얼마전 한국에서도 얼어난걸보면서 심히 공감했네요. 너무나도 당연한일이 정치적 집단적왜곡으로 변질되어가는 오늘날의 세상을 잘 풍자했네요. 바이든이 날리면으로 왜곡되고 최고권력이 그걸 우기면 그렇게되는 세상.
@idk88man
@idk88man Ай бұрын
반대 아님...??
@user-ud5rw1te1k
@user-ud5rw1te1k Жыл бұрын
화...기가막힌 .....
@user-el8dk6zm2u
@user-el8dk6zm2u Жыл бұрын
로마숫자에서 X+I=XI 인것과 같이 수학은 언어처럼 약속하기 마련이죠.
@Allin7days
@Allin7days Жыл бұрын
수학은 약속이 아닙니다. 그런 계산법으로는 동굴에서도 못 삽니다.
@fzack9127
@fzack9127 Жыл бұрын
수학은 약속이 맞을 때가 있어요. 실제로 공리체계는 아주 기본적인 룰인데 정말 다양합니다. 실제로 마음먹으면 우리가 그 공리체계를 만들 수도 있고요. 하지만 사실은 바꿀 수 없음.
@VitorJKhan
@VitorJKhan Жыл бұрын
@tv-ih6ub
@tv-ih6ub 2 ай бұрын
현실팩폭 사람사는데 다 비슷하데요 ㅎㅎ
@user-po691
@user-po691 11 ай бұрын
2 더하기 2는 귀요미 인뎀...ㅇㅈ?
@user_AI1
@user_AI1 10 ай бұрын
소름
@user-nw5yz1eq5g
@user-nw5yz1eq5g Жыл бұрын
우리는 대부분의 영역에서 본 다음에 정의 내리는게 아니라 정의 내리고 그 다음에 본다.
@user-zb4ym8ru7
@user-zb4ym8ru7 Жыл бұрын
아 우리 교장 샘 보는 줄 알고 놀랐네요. 힘 없는 약자라고 제 말이 일리가 있음에도 묵살하고 힘 있는 교감 샘 편에 섰지요. 그것도 모자라 지속적으로 나를 압박하기 위해 어떻게 처리할지 고민중이라고 하셨지요. 학생들에게는 한없이 좋은 사람인냥 하지만.. 당신의 밑천 언젠가 드러날 거에요. 그러는 동안 난 내 자신을 돌아보며 진짜 나다운 삶을 살기 위해 노력할 거에요.
@user-qn1tl8ft2l
@user-qn1tl8ft2l 11 ай бұрын
유한체 Z3에서는 2+2=22도 성립하네요~ ㅋㅋㅋ
@user-kz9jp7tr8l
@user-kz9jp7tr8l 10 ай бұрын
와 이거 다시보니 진짜 개쩌는 영화였네
@genius0527
@genius0527 11 ай бұрын
@fd3qo9m42
@fd3qo9m42 23 күн бұрын
풍자의 정석이다
@seungdongkim7202
@seungdongkim7202 Жыл бұрын
와우, 한국에 딱 적용되는 영화이네요. 우기면 거짓도 진실이 되는 사회~, 머저리만 사는 사회. 정치인들이 말에 그저 농략당해도 모르는 인간들의 사회. 아 그 위대한 대한민국.
@user-cw9rm5iw8n
@user-cw9rm5iw8n 9 ай бұрын
ㅇㅇ
@user-qs9wq3zy6r
@user-qs9wq3zy6r Жыл бұрын
영화속에 나오는 학교이름이 뭔가요?
@user-bj6wq7hw2o
@user-bj6wq7hw2o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에서만 일어나는일들이 아니었던거야.. 에휴.
@Wannabe2023
@Wannabe2023 Жыл бұрын
그 아이에게 자신의 답을 설명해 보라고 하는 장면이 아쉽습니다.
@MD-hy9dc
@MD-hy9dc 2 ай бұрын
0:45 남자애 연기 되게잘하네ㅋㅋㅋ
@will_da
@will_da Жыл бұрын
요즘 존재하는 여러 이슈와도 연관이 많네요... 요즘 성별이 수십개씩 존재하는거 보면 생물학적 성별은 단두개 일텐데 이상하다 싶습니다...
@teyjay525
@teyjay525 Жыл бұрын
십진법 쓰는 걸 서로 약속한 거라 그렇게 배우는 건데.. 혼자서 다른 진법 쓰는 건 아무 상관 없지만. 영화에서 22를 아이가 투투 라고 하면 이해가 가지만 투웬티라는 거 자체가 10이 2개라는 건데.
@Allin7days
@Allin7days Жыл бұрын
십진법을 사용하는 걸 서로 약속한것은 맞지만 수학 자체가 약속은 아닙니다. 수학은 진실입니다. 아니면 내일 태양이 안 떠요.
@youtuberthomas4223
@youtuberthomas4223 10 ай бұрын
수학 천재와는 상관이 없어 보이는데요.
@user-mo7sx8ks8n
@user-mo7sx8ks8n Жыл бұрын
좌우가 바뀐 아 ㅋㅋㅋㅋㅋ 싱상안간다
@kingori9390
@kingori9390 Жыл бұрын
5:34 2 thousand$ +2 thousand$ 로 22 thousand 달러죠~ㅋㅋㅋㅋ
@macdori
@macdori 2 ай бұрын
ㅋㅋㅋㅋ... 마지막 $20002000... 속이 뻥 뚫리네.
@kimbyungyung4197
@kimbyungyung4197 3 ай бұрын
❤ +❤=❤❤
@owllshen88sn3sasdfEGFrgw
@owllshen88sn3sasdfEGFrgw 11 ай бұрын
"그" 때문에 이게 알고리즘으로 또 올라왔네 ㅋㅋㅋㅋ
@user-yg6xz5eu5b
@user-yg6xz5eu5b 11 ай бұрын
5:23ㅈㄹ 통쾌하다
@uandikk82
@uandikk82 11 ай бұрын
저런부모는 대체 무슨 생각으로 저렇게 사고하고 행동할까? 아무리 다양한 시각이 있다지만 내가배운건 존중이고 다수의 의견을 따라 사회가 나아간다고 믿는데. 만약 저런 부모들만 사는세상은 앞으로 나아갈수있나? 저런부모를 판독할수 있는 세상이 온다면 그 부모에겐 4원짜리 물건을 팔면서 두개사면 44원 결재하라고 할텐데
@idk88man
@idk88man Ай бұрын
다수의 의견을 따라 사회가 나아간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뇨, 사회는 각 분야의 전문가들에 의해 나아갑니다. 위 영화 다시 보셔야 할듯 ㅠ 위 영화에서 2+2가 22라고 하는 사람들이 다수였어요^^
@user-yr8sz8er4m
@user-yr8sz8er4m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만 저런줄 알았는데 다 똑같네요
@namu_rainbow
@namu_rainbow 11 ай бұрын
교권이 무너졌다는 증빙
@maykim8916
@maykim8916 Жыл бұрын
영화출처가 안보이네요.
@dtfghutg440
@dtfghutg440 Жыл бұрын
영화인가요?제목이 뭘까요?아. 마지막 대안수학
@user-cf8nk1sn6v
@user-cf8nk1sn6v Жыл бұрын
2+2=22 퇴직금 받을 때까지 싸우지 4 받는 거 보다 22 받는 게 좋지...
@tovlife6878
@tovlife6878 Жыл бұрын
wow~ 어쩜 똑같아요@@:;; 2+2를 22라한 초2 아들이 이런 신박 한 셈으로 엄마를 당황시켰는데(주판알을 놓을 때도 5단위를 1개로 세서;;;;;;) 그 상황을 영화로 보게되다니 ;;;;; 아들과 함께 보겠습니다. 뒷부분의 심호함을 이해 할까요?
@117hippo3
@117hippo3 Жыл бұрын
웃자고 만든 코메디 영화인데...오늘날의 선생님들의 상황을 반영한 영화 같아서 좀 슬프네요....
@user-wv2ou8sx8j
@user-wv2ou8sx8j Жыл бұрын
영화 제목이 뭐에요??
@Jamesmindgood
@Jamesmindgood Жыл бұрын
난 꼭 봐야해서 꼭 봤음 ㅋ
@uyako
@uyako 11 ай бұрын
주호민에게 추천합니다
@pooh31707
@pooh31707 Жыл бұрын
지금 대한민국을 보는 느낌이네요. 보편적 가치와 더불어 사는 사회를 위해 배려하며 살아가는 사람들을 바보로 만들고 하나라도 더 얻기 위해 극단적으로 이기적인 사람들이 그리고 가해자들이 기득권과 그에 대한 영향력에 편승하여 눈가리고 아웅하는 작금의 세태요.
@Googleaccount31452
@Googleaccount31452 Жыл бұрын
정말.. 저번 정권때 정당의 이익을 위해 국민들 갈아버렸던게 생각나네요… 끔찍했죠
@supermansunny787
@supermansunny787 Жыл бұрын
​@@Googleaccount31452이번 정권때죠
@remember1116
@remember1116 11 ай бұрын
@@Googleaccount31452 날리면 바이든 사태랑 영화가 정말 매치가 잘되네요
@Fruit___
@Fruit___ 11 ай бұрын
@@Googleaccount31452 저...저번...? 이번 아닌가요...?
@user-oi8dz7fm6m
@user-oi8dz7fm6m Ай бұрын
@@remember1116 선생빼고는 다좌파같은데 니들이 늘 하는말아니냐 근데 웃긴건 영화에서도 보수주의를욕한다는것 좌파는역겨움이야
@user-tj2xs3ue7d
@user-tj2xs3ue7d Жыл бұрын
2가 문자열 변수였나 봅니다
@cycloid_life
@cycloid_life 6 ай бұрын
외쳐! EE!
@user-sy2po3ix2u
@user-sy2po3ix2u Жыл бұрын
she's wrong LOLㅋㅋ she had to add '(int) front of the calculation
@H3ad1ine
@H3ad1ine 10 ай бұрын
이런 일이 현실에서 일어난다니
@gohosG
@gohosG 11 ай бұрын
혹시 저 학교가 서이초 인가요?
@jhdsjlee5494
@jhdsjlee5494 3 жыл бұрын
영화보다 속터지는줄 ㅠ 저런 갬성팔이덜떠리들 그나마 마지막에 사이다^^~♡
@soohyuk_3057
@soohyuk_3057 10 ай бұрын
놀랍게도 int('2' + '2') = 22입니다. 😏
@user-zy6cc4uo5k
@user-zy6cc4uo5k 11 ай бұрын
2더하기2는 덧니입니다
@user-lm1jq2pc6e
@user-lm1jq2pc6e 11 ай бұрын
print("2" + "2") >>>22
what if a seven-year-old genius fight with a professor of MIT??
34:58
왐마쐄마 무비조아
Рет қаралды 2,6 МЛН
бесит старшая сестра!? #роблокс #анимация #мем
00:58
КРУТОЙ ПАПА на
Рет қаралды 2,8 МЛН
Универ. 10 лет спустя - ВСЕ СЕРИИ ПОДРЯД
9:04:59
Комедии 2023
Рет қаралды 2,6 МЛН
I wish I could change THIS fast! 🤣
00:33
America's Got Talent
Рет қаралды 61 МЛН
What happens when terrible parents ignore their genius daughter
25:51
캡틴라미[captain ramy]
Рет қаралды 10 МЛН
IQ 180 암기력 천재가 변호사를 시작했다
15:05
어퍼컷Tube
Рет қаралды 653 М.
Они все точно издеваются #shorts #пацаны #хоумлендер
0:50
𝑴𝒐𝒗𝒊𝒆_𝒕𝒊𝒎𝒆
Рет қаралды 762 М.
Silly Custard 😸 #strawberryshortcake #shorts
0:16
Strawberry Shortcake - WildBrain
Рет қаралды 10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