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한군대, 가짜군대 [보통장군 전인범]

  Рет қаралды 38,920

전인범장군

전인범장군

Жыл бұрын

강한군대, 가짜군대
대한민국 국군의 시기가 말이 아니다.
군인연금개혁은 돈만의 문제가 아니라 사기의 문제다. [보통장군 전인범]
#연금개혁 #전인범장군 #군인

Пікірлер: 324
@czuoo
@czuoo Жыл бұрын
단결! 사령관님 항상 군인 처우개선에 힘써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는 특전사에서 12년째 군생활을 하고 있지만 제 가슴속에 특수전사령관님은 전인범사령관님밖에 없습니다. 그 이유는 부하들에 대한 진심을 느꼈기 때문입니다! 진심으로 감사드리고 사령관님의 가정의 평화와 항상 건강하시고 행복하셨으면 좋겠습니다!
@lmj2200
@lmj2200 Жыл бұрын
너 누군지알겠다 너 손식사령관님께 얘기해야겠다 현재 사령관님을 존경하고 충성해서 나라에 이바지해야할 군인이 전역하신 전사령관님을 옹호해? 이건 전사령관님도 바라는게 아닐테다 너 유심히지켜보겠어..
@ohdongjun
@ohdongjun Жыл бұрын
군인연금마저 국민연금화시키면 도대체 누가 군인하냐 강원도 산골짜기에서 초급간부때 최저시급도 못 받으면서 개처럼 구르는데 나라에 평생 충성한 군인들에게 어떻게 이런 대우를 하는지 참....
@peacelt4976
@peacelt4976 Жыл бұрын
목소리 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번 모 사단에서 장기복무 희망자가 단 한 명도 안 나온 곳도 있다고 하죠. 소위 어렵고 하기 싫은 일이지만 반드시 해야하는 일을 하게 만드려면 사회적 존중 혹은 유무형의 보상 같은 ‘에너지’ 가 필요합니다. 이제 부사관, 장교 할 것 없이 질적인 것을 따지는게 아니라 미달을 걱정해야할 판입니다. 안타깝지만 이 결과에 대한 책임은 국민이 져야합니다.
@sungjoonahn6968
@sungjoonahn6968 Жыл бұрын
당직수당 높이고 영내밥값을 인하하던가 당직수당에 밥값 반영해서 더 많이 줘야합니다. 장교도 심각한데 하사 중사 등 부사관들의 대우는 너무 열악합니다. 특히, 육군 부사관들의 처우가 최악인 것같은데 부사관들이 없는 군대를 대체 무슨 수로 운영합니까?? 병사들 처우는 재까닥 반영하면서 부사관들의 처우가 너무 극심합니다. 병사들은 의무복무 기간만 하면 되지만, 장교나 부사관들은 거의 직업인데 처우가 너무 덜 떨어집니다. 갈수록 사태가 너무나 심각해집니다.
@OK-rn5qf
@OK-rn5qf Жыл бұрын
국가를. 지키는 군인들에게. 최고의 대우를 하는게 맞습니다 사령관님의 소중한 고견을 정부 관계자가 꼭 정책에 반영하시길 바라겠습니다
@user-sf3lh1et5s
@user-sf3lh1et5s Жыл бұрын
육사도 5년차 학군단도 탈단 학사, 군장학생도 탈퇴율이 미친듯이 치솟고 있습니다 이거 절대 무시하면 안됩니다 명예도 명예지만 대우가 이따군데 누가 자기 젊음을 태울까요
@rey6196447
@rey6196447 Жыл бұрын
소신있게 말씀하시는 모습이 멋지십니다. 국가를 지키는 군장병들의 처우 개선이 이루어지길 바라겠습니다.
@user-vd3ob5xo6h
@user-vd3ob5xo6h Жыл бұрын
국회의원들 연금,의전비, 판공비등등 싹 다 없애든지 손봐야 합니다. 군인들을 존중하는 사회가 빨리 오길 바랍니다.
@user-hg3po5lf7r
@user-hg3po5lf7r Жыл бұрын
정확한 정보와 냉철한 판단으로 군을 대변해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항상 존경합니다. ^^ 지금도 도시의 안락함을 뒤로하고 GP, GOP에서 국가를 위해 희생하시는 군인분들 모두 감사드립니다
@Elpaso1234
@Elpaso1234 Жыл бұрын
군인연금 관련, 찌라시로 어수선한 현실속에서 어느누구도 헤아려주지 않아서 답답했는데 정말 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user-jq6im1lj9u
@user-jq6im1lj9u Жыл бұрын
사기문제, 인원부족문제, 인원이탈문제가 심각합니다~!! 후배 군 간부들을 위해서 목소리 내주셔서 감사합니다~!!
@jsy5485
@jsy5485 Жыл бұрын
해군은 특히나 수당도 줄어든데다가 정말 바뀌어야 되는 점은 타지역으로 전출입니다 수병생활을 했지만 부사관 장교들은 정말 기러기로 만들어버리는 이 제도를 정말 무조건 바꿔야된다고 생각합니다 이게 아마 천안함 폭침 이후로 타지역에서 근무하며 전문성을 높이자는 취지로 생긴걸로 아는데 이거때문에 안그래도 잦은 전출인데 함대에서 함대까지 완전 타지역으로 계속 보내버리면 그것도 짧으면 2년 길면 4년에 1번씩 계속 이사다녀야 되는 이 미친 짓을 누구 머리에서 나온건지 모르겠습니다 한곳에 오래있어도 전문성이 생길까 말까인데 계속 전출그것도 타함대를 옮겨다니면 누가 군에 오래남아 있고 가정을 꾸릴 수 있을까요 제아무리 국가를 위해 희생한다고 하지만 이런 잦은 로테이션이 되려 전문성을 헤치고 군인가족이 해체되는 결과만 낳고 있습니다 조속히 이 문제를 해결해야된다고 생각합니다
@user-dq2mz9og6b
@user-dq2mz9og6b Жыл бұрын
해군 중사 출신 현직 해양경찰관입니다 깊이 공감하고 갑니다. 해경으로 이직한 가장 큰 이유가 말씀하신 내용입니다
@ktv8197
@ktv8197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군인은 노조가 없습니다. 경찰, 소방, 기타 공무원은 노조로 해당 직업군의 건의사항을 제출하고 있으나..군은..과거의 잘못된 행동으로 만들지 못하고 있죠.. 전역한 예비역들의 소리가 필요합니다. 현역 군인들은 소리 낼수 없습니다. 장군님 더 높은 곳으로 더 큰소리 내어주십시오.
@user-fx5wv5un5s
@user-fx5wv5un5s Жыл бұрын
군인은 공무원과 다른 부분이 "계급정년" 이 있다는 겁니다. 다른 경찰, 소방, 공무원들은 60세 정년이 보장되지만 군인은 진급하지못하면 계급정년에 걸려 조기 퇴직을 해야합니다. 이 부분도 강조해주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suhyunkim3581
@suhyunkim3581 Жыл бұрын
그건 숙명이죠
@mikko8252
@mikko8252 Жыл бұрын
​@@suhyunkim3581 숙명같은 소리하네
@user-hh6ct6po7r
@user-hh6ct6po7r Жыл бұрын
@@suhyunkim3581 진짜 별로네...
@user-hg3xd7xr7p
@user-hg3xd7xr7p Жыл бұрын
​@@suhyunkim3581 전쟁나면 대신 싸워주는게 군인이다.
@ConradHestilowTucker
@ConradHestilowTucker Жыл бұрын
@@suhyunkim3581True! Are you from 🇰🇷❤??
@AnnaKomnene_
@AnnaKomnene_ Жыл бұрын
담담하게 본인 소신을 밝히시는 모습 멋있으십니다.
@user-jt2zl6gj6n
@user-jt2zl6gj6n Жыл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군인간부 복지 좀 챙겨 주세요.
@gieon-park
@gieon-park Жыл бұрын
미군들처럼 처우도 개선하고 퇴역군인에 대한 존경심이 생기도록 많은 지원과 복지제도의 개선과 홍보가 필요합니다. 휴전상태인 국가의 군인들을 보고 "군바리"라고 비하하는 국민성을 볼 때 진짜 화가 납니다. 도시와 떨어져 자연에서 근무하며 자녀들의 교육도 질적으로 떨어지고 배우자들도 군인이 아닌 제2인 군인 생활을 하면서 우울증을 겼고 있고 맞벌이도 힘들 시스템을 고려하면 군인들의 급여는 일반 행정직에 비해서 1.5배는 보상이 되어야 합니다. 보상만이 최고의 전투력을 가진 직업군인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응원합니다.
@user-sw6vx1pq8j
@user-sw6vx1pq8j Жыл бұрын
전 사령과님 군인 연금관련 브리핑이 논리 및 합리적 수긍 할 수 있는 설명에 감사와 응원합니다.
@user-uo6co4dj8c
@user-uo6co4dj8c Жыл бұрын
1. 국민연금은 상향화가 이뤄지고 있으나 군인연금은 수평화 되어 있음. 이는 군인 연금의 지출액이 증가 폭이 크지 않다는 이야기임. 또한 포퓰리즘 정책에 의해 군인, 공무원, 사학연금을 개정하고자 하는데 이는 국민의 인기에 의해 특수직 공무원의 연금개정을 정치적으로 이용하고 있다는 말임. 결국 군인의 특수성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말. 2. 직업군인의 지원율이 낮다진다는 말은 필요한 직군이나 보직에 인력이 부족하다는 말이며 사람이 없어서 해당 조직체계가 정상적이지 않다는 말임. 최신의 최첨단 장비는 얼마든지 찍어 낼 수 있음. 그러나 이를 운용하고 관리하는 전문직 장교, 운용 부사관이 부족하여 전시에 장비의 기능을 최대한 발휘 할 수 없다는 말임. 사람과 기계는 동등할 수 없음. 최신예 미군장비를 지원 한 아프간의 오합지졸 아프간 군, 이라크 미군철수 후 isis득세 등 최근 세계 정세를 볼 때 장비가 사람을 절대 대체 하지 않음. 현재의 대한민국 군 내부실정은 전시 군 조직체계에서 상당한 문제가 있음. 우수 자원이 군에 지원할 계기와 동기 부여가 필요 함. 결국 월급인상이나 연금인상인데 안보라는 특수성을 고려하여 군인의 처우는 상향되어야지 결코 하향되는 일은 없어야 함. 3. 현직에 근무하는 장교, 부사관은 순진하고 착한 사람들임. 단지 월급 주면 당연히 생각하고 상여금 받으면 오히려 고마워 함. 민간인들이 재산을 증식하고 투자하는데 열을 올릴 때 군인은 자제 하도록 함. (임무수행에 지장이 갈 것이라서.. ) 주식이나 코인등 실시간으로 자산을 증식하는 것이 국가안보와 준비태세에 당연히 지장이 있을 것 임. 그만큼 연금은 군인들이 직책과 본연의 임무 수행에 충실 하도록 하는 미래가치이자 기회비용인 것임. 4. 대한민국의 남성은 대부분 군대를 감. 그들 국군용사들이 국가에서 제공하는 1년 6개월 동안 1천 만원을 만들어 제대함. 직업군인은 가족의 생계와 개인 발전을 위한 투자 비용지출로 인해 1년에 1천만원을 모으는 것은 힘들다고 할 수 있음. 이는 군인의 교양소양과 가정의 정상적인 유지를 위해 군인연금으로 대체해 주는 것임. 남들이 살고 싶지 않은 곳, 또는 하고 싶지 않은 일을 단지 군인 연금이라는 하나만 보고 묵묵히 수행하고 있는 것임. 군인연금은 결코 손댈 수 없으며 또한 개정의 범주에 있지 않으며 국가안보와 동북아시아 정치군사외교 문제를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다면 오히려 증액을 시켜도 부족합니다. 장군님 말씀에 사족을 달아봤습니다. 대한민국 화이팅 입니다!
@user-gy9kt8fc8u
@user-gy9kt8fc8u Жыл бұрын
장군님 영상 뜻깊게 시청했습니다~!!! 개인적으로 백번 양보해서 군인연금을 만약 개정해야한다고 하면 야전부대에 있는 군인을 현업공무원으로 지정해서 100시간 초과근무하면 100시간만큼 돈을 줘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참고로 제 동기도 해군장교 3년하고 작년에 해경 합격했는데 말단순경이 400만원 받은 것 보고 깜짝놀랐습니다 군간부분들도 일한만큼 보상 받으시길 기원합니다~!!
@user-jt1ri1us3u
@user-jt1ri1us3u Жыл бұрын
하지만 연금은 개혁하고 현업공무원은 기재부에서 막겠지
@user-bk8ct1sv8i
@user-bk8ct1sv8i Жыл бұрын
👍👍👍👍👏👏👏👏
@aptitude7616
@aptitude7616 Жыл бұрын
진짜 이러면 안되지만 요근래 드는 생각이 진짜 전쟁나서 군인의 소중함을 꼭 우리나라 사람들과 고위 공직자들이 꼭 느꼈으면 합니다.. 나라가 망하지 않는선에서 반드시 우리나라가 전쟁으로 피해를 입고 군인의 소중함을 필요성을 꼭 느꼈으면...전쟁이 안나니까 다들 이렇게 안일하게 생각하는것 같은데 진짜 전쟁 함 나서 심각함을 느끼길 바라는 마음
@user-bg8em8uk6f
@user-bg8em8uk6f Жыл бұрын
안돼요;; 저 간부출신이라 예비군 6년 해야하는데 올해 1년차라서 35살까지 예비군해야하고 이거 끝나면 동원예비군훈련없어도 36~53세까지는 보충예비역으로 대기한다구요.. 36~53세 사이에 전쟁나면 동원예비군 훈련은 끝났어도 아군 사망해서 병력부족해지면 끌려간다구요 ㅠㅡㅠ 54세 넘어서 전쟁나세요 차라리 ㅠㅡㅠ 앞으로 24년간 제발 전쟁나지말아라 부들부들 흑흑
@shyoon6151
@shyoon6151 Жыл бұрын
예전에 군인가족이 당직비 평일 5000원 주말 1만원 시절 당직비 현실적인 수준으로 올려달라고 국민청원 올렸을때 현역들한테 상급부대에서 청원 들어가지도 말고 동의 하지 말라고 단도리 쳤었던..
@user-bk8ct1sv8i
@user-bk8ct1sv8i Жыл бұрын
이러니 군인이 무시당하는겁니다 한목소리를 내어도 부족할판에😡😡😡😡
@ratatela9433
@ratatela9433 Жыл бұрын
목숨을 걸고 국가를 방위하고 각종 훈련/작업/지원들을 하며 고되게 살고 있는 군인들에게 이런 식으로 대우가 형편없고 고쳐질 기미가 없다는 데 통탄스러운 일이네요. 사회적 인식으로도 특히 여초커뮤니티들 중심으로 군인에 대한 감사함은 커녕 조롱/모욕/비하질이 판치는 이런 상황. 하지만 국방부랄지 유관기관들은 이에 대해 별로 신경도 안 쓰는 현실. 한국의 미래가 크게 걱정이네요.
@user-lg8zi3on6c
@user-lg8zi3on6c Жыл бұрын
이기자 감사합니다 이기자에서 군 생활했던 시절이 제일 행복한 군 생활이였습니다. 특히 부대의 사기를 올려주셨던 모습에 더욱 더 강한 이기자인이 되었던것 같습니다 건강조심하십시요 이기자!
@sungjoonahn6968
@sungjoonahn6968 Жыл бұрын
이기자부대가 진짜 없어진 것같아서 마음이 정말 아픕니다.
@user-lg8zi3on6c
@user-lg8zi3on6c Жыл бұрын
@@sungjoonahn6968 제 육군수첩에는 12년전 근무했던 이기자 부대마크를 아직도 가지고 임무수행하고있습니다
@user-ln6mq1qf9e
@user-ln6mq1qf9e Жыл бұрын
진짜 당직근무 예전엔 5천원인가 받은것 같은데 실상 야전에선 당직근무 후 휴식여건도 보장 못받고 부대관리 업무에 투입되서 일했던게 비일비재 했습니다. 지금은 많이 개선되었다고 믿고 싶습니다만 군인 연금까지도 건든다는게 참으로 안타깝습니다...
@user-sp3pu2le3t
@user-sp3pu2le3t Жыл бұрын
ㅠㅠ 개선 안됐어요
@user-tf9pj7rj6u
@user-tf9pj7rj6u Жыл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user-wt1lv7hp4p
@user-wt1lv7hp4p Жыл бұрын
제발 초급간부 지원률 안떨어지게 해주세요!! 용사들 복무 짧아지고 봉급 올라가니 지원율 하락 임관 얼마 안두고도 임관 포기하는 현상이 나옵니다. 어찌하면 좋을까요!! 많은 경쟁율에서 우수한 자원들이 야전으로 배치되어야 튼튼한 국방이 될 것인데!!~~
@user-kc2vf5tp2n
@user-kc2vf5tp2n Жыл бұрын
이런 목소리를 내는게 어려운건데 역시 장군님이십니다!
@baresi7138
@baresi7138 Жыл бұрын
"젊음을 담보로 국가에 희생하니 군인 연금주지 않냐?" 군인으로 국가에 헌신만 하면 노후보장이 된다 이런식으로 후배들을 설득해 왔지만 이제는 제 자신이 사기꾼이 된것같아 후배들에게 미안해집니다.
@user-bg8em8uk6f
@user-bg8em8uk6f Жыл бұрын
2015년 하사 첫 월급 실수령액 124만원 같은해 내 친구들은 직장에서 250만원이 실수령액이였다. 2022년 5월31일 중사 실수령액 214만원 같은 해 내 친구들은 직장에서 실수령액 500만원이였다. 전역하고 사회에 나오니 내 수중에 남은돈은 5천만원이었고 내 친구들은 현금 2~3억에 대출을 보태 5억짜리 집을 분양받아 자산이 이미 8~12억 까지 불어난 상태였다. 대출금 2억을 갚아도 현금으로 5억 이상씩은 있는 친구들을 보며 내가 군에 바친 젊음과 열정은 무엇이였을까라는 생각과 허탈감, 박탈감, 회의감이 밀려왔다. 지금은 사회에서 자본주의 돈이란 것을 쫒으며 친구들에게 뒤쳐진 자본을 쫒기위해 매달 500~600을 벌며 쫒아가고 있다. 만약 내가 군대를 선택하지않았더라면 30살인 나에게 지금쯤 친구들 부럽지않은 5~8억 사이에 신축아파트에서 살고 있었겠지. 군인 연금은 2.18배 공적연금은 1.48배다. 과연 이게 많은것일까? 기여금으로 3억이 떼였을때 죽을때까지 수령받아도 6~8억정도이다 수익률이 2배를 조금 넘는다고 해서 이 군인연금이 많은것일까? 군생활 33년간 나는 박봉의 급여를 지급받는데 말이다. 차라리 사회에서 일한다면 3억도 안떼이고 6억도 내수중에있으니 9억이 더 먼저 세팅되어있을텐데.
@user-jq7uv4pg8d
@user-jq7uv4pg8d Жыл бұрын
전장군님~좋은 고견에 감사합니다~
@user-qg7ei7uw9n
@user-qg7ei7uw9n Жыл бұрын
국가와 국민을 위해 헌신하는 장교와 부사관들위해 처우개선은 못 할 망정 연금액을 축소한다는건 군의 사기를 떨어트리는 처사라 생각합니다.
@user-dh7qg2zz2w
@user-dh7qg2zz2w Жыл бұрын
그러니까요. 군인들을 공짜로 막 부려도 되는 존재로밖에 생각안해요. 전쟁나면 군인들 총알받이로 밖에 생각 안하면서 뭘 얼마나 대우해줬나요. ?
@user-tg7oe2em3c
@user-tg7oe2em3c Жыл бұрын
요즘 SNS에 가끔 올라오는 거 보면 병사들의 군 기강은 해이해지고 있다고 하고 있고 간부들의 지원(특히 초급간부)는 나날이 줄어들고 있다고 하는 이야기가 많이 올라오더라고요 딱 21개월, 휴대폰 no사용의 거의 마지막 세대군번으로 갑작스럽게 요즘 군대가 그렇게 개판이 되었나 의문이 들긴 하지만 말씀하신 대로 군 사기는 정말 바닥을 기고 있다는 느낌은 부정할 수 없는거 같습니다 저는 학위논문으로 군 전역 복학생들의 적응과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어 아무래도 병사들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보니 이런 군인연금개혁과 관련된 이슈에서는 잘 몰랐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anotherme406
@anotherme406 Жыл бұрын
병사의 주적은 간부? 이제는 간부의 주적이 병사!!!
@young-juneer9664
@young-juneer9664 Жыл бұрын
충성! 개인적으로 차라리 국회의원의 연봉이나 월급을 깎아서 군인연금에 높이는 것도 어떨까 싶기도 합니다.
@user-bp9lj1mi7n
@user-bp9lj1mi7n Жыл бұрын
국회의원 줄인다더니 그런데는 손을 쓰지않으면서 왜 나라를위해 헌신한 군인연금을손대냐 국회의원줄여라
@MasterCheipe
@MasterCheipe Жыл бұрын
장기 됐는데 전역준비중입니다. 이나라 군대에는 미래가 없습니다.
@millyway9733
@millyway9733 Жыл бұрын
장군님을 포함하여 기성세대들이 일하던 시절에는 애국심이라는 명목으로 포장하여 군인, 공무원 포함 여러 직장인들을 싸게 부려먹었지만 요즘은 직장임금의 상향평준화와 돈보다는 워라벨을 더욱 중시하는 문화가 젊은이들의 가치관으로 자리잡게되면서 군인 지원률을 더더욱 낮아지게 될겁니다. 격오지 근무에 휴일은 없고, 위수지역, 부족한 여가생활, 가족과는 떨어져 살아야하는 생활을 평생해야하는데 이런 악조건에도 불구하고 군인 하겠다고 말하는 사람들 자체가 좋은의미로 미친놈입니다. 군바리라 무시받는 이런 나라에서 그럼에도 자기 소신지키며 애국심 충만한 나라지키겠다는 미친놈들이 꾸준히 매년마다 나오는데 이런 사람들한테 워라벨은 보장 못해줘도 금전적으로는 대우해줘야죠. 지금까지 이 나라는 사람 갈아가면서 유지되는 나라라고 생각하는데 그나마 훌륭한 인재들 싼값에 사람 갈아가면서 어찌어찌 버텼다만, 이런 행태가 앞으로도 지속된다면 그나마 군인하겠다는 그런 소신있는 사람들마저도 포기하게 될겁니다. 개인적으로는 군인으로서 영관장교를 지나 장성까지 올라갔으면, 그때부턴 한명한명의 군인이 아닌 "정무감각" 이 필요한 반절정도는 정치인 마인드를 내제해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장성까지 올라가셨으면 그때부턴 계급에 대한 욕심보다는 본인 소신껏 부대운용하고 정부부처에 의견개진을 꾸준히 해야할텐데 뭣들 그리 욕심이 많으신지 보신주의가 판치고 있네요. 어느 한 사람도 군인대우 인상과 더불어 강력하게 의견표명을 하는 분을 본적이 없습니다. 안타깝습니다.
@user-by3do7pl1r
@user-by3do7pl1r Жыл бұрын
일부 특수당직의 경우 그 2만원 돈도 주지 않습니다. 일부 행정직, 보급직별, 공보정훈의 경우 당직이 24시간이 아니란 이유로 당직비를 주지 않고 있으며 인원도 없어 당직도 1주일에 많으면 3번까지 서기도 하는등 문제가 많습니다. 아침 5시에 출근해서 새벽 12시 30분에 끝나는 당직인데 당직이란 이유로 초과근무도 인정해 주지 않고 24시간이 아니란 이유로 당직비도 주지 않고 결국 5시부터 새벽 12시 30분까지 무급봉사하다 갑니다. 일주일에 3번이나......
@S.J.Lee8759
@S.J.Lee8759 Жыл бұрын
장군님 아시겠지만 90년대중반까지는 일직사관 근무서도 일원한장 안나오다 96년도 인가 월 몇만원 나온거로 기억합니다. 부대에 일직근무설 간부가 부족해 전포대장과 선임하사인 제가 퐁당퐁당 둘이 교대근무 섰던 기억이 생생하네요. 대충 계산해보니 1년중 근무.훈련.영내대기 등으로 집에 못가는 날이 4달 정도는 되더군요.ㅋ 군인은 사기를 먹고 살기도 하지만 현실적인 처우개선은 꼭 필요합니다.
@MintChocolate-.-
@MintChocolate-.- Жыл бұрын
최일선에 있는 군인 입니다 진짜 군인연금개혁 손대는순간 제주변 군인들 전역지원서 낼사람 수두룩 합니다 진짜 인원 빵꾸나서 일이 안될수도 있습니다
@user-tw8dt8sc4u
@user-tw8dt8sc4u Жыл бұрын
정말 국회의원들이 군인보다 월급이 많아야 되는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user-ud5td4yo8k
@user-ud5td4yo8k Жыл бұрын
국회의원은 우리나라 장관급 역활을 하는 공무원 인데 당연히 많이 줘야죠. 국회의원을 봉사직 비슷하게 하면 돈 없는 사람이 자기도 처자식 있는데 무료봉사 비슷한 국회의원 하겠습니까? 반대로 돈 있는 사람이 국회의원 하면 월급은 없지만 그 어마어마한 권력으로 자기 부를 위해서 기득권을 위해서 일하지 가난한 사람을 위해서 일하겠습니까? 국회의원은 우리나라 법을 정책을 예산을 만드는 초고위급 공무원 으로써 직업적 안전성 불체포 특권 같은 고액 연봉을 주는건 맞습니다. 부정 불법에 흔들리지 말아야 하니까.. 국회의원 연봉이 고액인게 문제가 아니라 부정부패 불법 불의 나태 무능을 견제 해야하는 겁니다. 국회의원 얼마받는지 정확하게 모르겠지만 그들이 받는 연봉은 그 들이 가진 권력에 푼돈일 뿐입니다
@user-tp2sx5it3i
@user-tp2sx5it3i Жыл бұрын
님의 생각은 틀렸습니다. 정말 장성들이 왜 월급 말고 품위유지비까지 받아야 하는지 이해를 못하는 게 맞습니다. 품위유지비까지 합치면 장성이 국회의원 월급을 웃돕니다.
@user-ud5td4yo8k
@user-ud5td4yo8k Жыл бұрын
@@user-tp2sx5it3i 국회의원도 품위 유지비 있습니다. 더구나 국회의원 뽑히면 국회의뭔이 선임한 보좌진 한테까지 월급이 나갑니다. 장성도 보좌진이 있지만 장성이 뽑은건 아니죠. 국회의원한테 월급 말고도 기타 잡비들이 많이 들어갑니다. 권력이 크면 월급 많이 주는게 당연한겁니다. 월급이 중요한게 아니라 일을 안하니 문제인거지..
@user-ol8if8zm7y
@user-ol8if8zm7y Жыл бұрын
@@user-ud5td4yo8k 미국과 다르게 단수 공천이 남발되고 영국도 잘안하는 비례대표 국회의원들 막뽑는데. 권력이 없는게 맞습니까? 그리고 정당이 몇십번이나 바꾸는 동안 명칭과 관련해서 소송이 들어오면 소송한 쪽이 지극히 불리한데 뭘. 그리고 국회의원들 돈문제로 검찰 수사 들어올때 증인 여럿 나오고 증인들 보호도 안되고 돈문제와 관련해서 정보공개 제도와 관련해서 개인 장부 공개도 안하는거 죄가 없다고 철판까는거부터 국회의원같은 대한민국 정치인들 권력이 큰데 당연히 줄여야지
@etlim4440
@etlim4440 Жыл бұрын
군인들 대우 잘 해주세요. 강한 군대 만들어 주시고 나라는 잘 지켜주세요.
@BR-2148
@BR-2148 Жыл бұрын
단순히 적자니까 문제 있다고만 봤는데, 경제규모 대비 분석은 정말 생각도 못했습니다. 이래서 자세히 알아보는 게 중요한 거 같습니다. 추가로 현재 국민.군인.공무원 연금 총합이 2040년대에 2.5조 적자에 돌입한다는 기사도 났습니다. 여론이 중요한데, 이런 거만 보도가 되니....
@ultrassehun
@ultrassehun Жыл бұрын
당연합니다!!!! 이게 맞는 의견이고 이래야 합니다!!
@user-kt9yi5yv4y
@user-kt9yi5yv4y Жыл бұрын
나라를 위해서 희생하는 분들이 저런 보상조차 못 받는다면 누가 국가를 위해 희생하고 헌신하겠습니까? 물론 돈이 전부는 아니지만 최소한의 처우 개선과 직업에 대한 인식개선이 시급합니다.
@user-sp3pu2le3t
@user-sp3pu2le3t Жыл бұрын
차분한 어조로 조리있게 잘 설명해주셔서 잘 이해됐습니다 감사합니다
@blacke2
@blacke2 Жыл бұрын
10년차인데 전역 준비중입니다. 최근 3년 동안있던 한 부대에서 간부 전역만 6명했습니다. 점점 병력관리는 힘들어지고 요구사항은 많은데 혜택은 적어지니 기존에 실질적인 업무하는 인원들 다빠져나갑니다.
@user-kr7qs9oy4u
@user-kr7qs9oy4u Жыл бұрын
저도 군인연금 개혁에 한때 찬성했지만 지금은 신중한 입장입니다 저는 공군 전역잔데 지금도 조종사들은 서로 전역해서 나갈려고 합니다 육해공 모든 군종에서 우수한 자원이 빠져나간다면 군은 퇴고할 수 밖에 없습니다
@user-zo6ly2iv3z
@user-zo6ly2iv3z Жыл бұрын
이런 분들이 참 군인이시고 애국자시지. 어디 광장에서 깃발흔들면서 "군인은 명령에 죽는 것이다! 요즘 너무 군이 편해졌다!!" 라면서 막상 군대도 면제받은 아저씨들이 애국을 외치는 것을 보고있자면 가슴이 아픕니다.. 정치적인 목적으로 지금껏 왜곡 시켜왔던 군인 연금 문제, 월급문제, 처우개선문제들을 절대 그대로 두어서는 안됩니다. 지금은 2020년대이고, 바뀌어야 살아남는 시대입니다
@dpark62
@dpark62 Жыл бұрын
지난해 전역한 간부중에서 군인연금 수혜 조건인 복무 기간 19년 6개월 이상을 채우지 못해서 연금을 받지 못하는 군인이 83.9%나 된다고 하죠. 그리고 열악한 오지 근무 환경에 대해서도... 개판 오분전인 밥도... 위수지역을 벗어나지 못해 주말임에도 가족 모임에 참석 못하는 것도... 열거하자면 끝이 없죠. 영관급 장군급 연금을 줄이더라도 대위 소령으로 전역해도 연금을 받을 수 있게 해야죠. 일반 공무원은 개인의 결격 사유가 없는 한 누구나 20년이상을 채울 수 있으나 군인은 그것조차도 바늘구멍인데... 장군님은 그런것에 포커스를 맞춰주시는게 좋을듯 합니다.
@BS-zg4cy
@BS-zg4cy Жыл бұрын
이것뿐만이 아니라 실제로 철야 훈련하고 아침에 퇴근하면 초과근무수당도 못받습니다..ㅜ
@INBUMCHUN
@INBUMCHUN Жыл бұрын
ㅠㅠ
@CRUISERLEE
@CRUISERLEE Жыл бұрын
@@INBUMCHUN 아마 민간공무원(안행부나 통계청같은 국가직,시청같은 지방직)도 57시간인가?까지밖에 시간외 수당이 안나옵니다. 이게 현실이에요
@BS-zg4cy
@BS-zg4cy Жыл бұрын
@@CRUISERLEE 그 공무원 분들은 퇴근이라도 있지만 현행 작전하는 군인들은 한달동안 격오지에서 생활하면서 출퇴근없이 살아야 초과근무시간 57시간 받습니다... 현장에서 실제작전을 하고 있지만 현업공무원으로 분류를 해주지 않고 특수직공무원으로 묶여있어 초과근무 57시간이 최대 인정 시간입니다..
@CRUISERLEE
@CRUISERLEE Жыл бұрын
@@BS-zg4cy 사실…. 민간공무원이나 군경소방….. 세금낭비라고 공무원 다없애라고 하면서 지가 필요한 민원은 신속정확 그리고 유도리는 원하죠.
@CRUISERLEE
@CRUISERLEE Жыл бұрын
@@BS-zg4cy 하나 첨언하자면 군인이 특수직이라그런게 아니라 공무원이라 그래요. 연장하면 식사시간이라는 명목으로 1시간 공제해서 시간외수당계산해요
@user-pt7xk6or9s
@user-pt7xk6or9s Жыл бұрын
이기자!01년 병장만기전역했습니다!국가를 위해 헌신한분들에게 국가가 그만한 대우을 해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지금 이글을 쓰는 순간에도 군인들이 있기에 이글을 쓸수있다고 생각합니다.
@user-hb9dg1mc8r
@user-hb9dg1mc8r Жыл бұрын
소신있는 발언 멋지십니다. 목소리를 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mi6jp8gl6t
@user-mi6jp8gl6t Ай бұрын
국고로 메우고 있는 군인연금도 개혁대상이고 공무원 ,사학 ,국민 연금 모두 개정해서 후손들에게 짐이 되어서는안됩니다
@HomeRoasting
@HomeRoasting 3 ай бұрын
군인연금개혁되면 이민 준비해야할 것 같네요ㅜㅜ 불안해서 못 삼. 나라에는 이민갈 여력이 없거나 가진게 너무 많은 분들 두 부류만 남겠군요.
@youtubewook912
@youtubewook912 Жыл бұрын
말씀에 동의 합니다.
@Brightvennet
@Brightvennet Жыл бұрын
아무리봐도 군대를 와해시키려는 간첩이 국민vs군대 이간질 하는 느낌을 지울수가없다.
@Heart_Of_One
@Heart_Of_One Жыл бұрын
당국자들중 소신있고 강단있는 사람들이 없는거 같네요 이럴때만큼 누군가 총대매고 할말은 해야되는데 불이익 생길까봐 겁나고 눈치만 살살보고 자기밥그릇만 챙기고만 있으니 안타깝네요
@user-uh5cm1mf9k
@user-uh5cm1mf9k Жыл бұрын
한반도 역사를 보면 3천번 넘게 침공 받아왔고 평균으로 나누자면 30년마다 침략을 받았는데..... 지금도 전쟁 가능성이 매우 높고 이런 상황에서는 국방비를 올려야함... 수메르 속담에 군사력이 약한 국가의 정문에는 적이 끊이지를 않는다... 한국도 군사력을 끌어올려야함... 아니면 너무도 많은 희생과 자원이 소모될거임...
@user-jf7oo1lc4b
@user-jf7oo1lc4b Жыл бұрын
정말 열악하고 어려운 상황속에서 버티고 어떻게든 버티고있는데 연금 개혁나올때마다 숨이 턱턱막히고 모든걸 잃는 기분입니다. 1%를 내리든 만원을 내리든 돈을 내리는게 중요한게아니라 군인연금 조차 개혁한다는거에 배신감을 느끼고 갈수록 처참해지는 제 직업이 그저 밉고 사명감과 명예는 갈수록 사라지고 있습니다.
@user-oy2py5re2p
@user-oy2py5re2p Жыл бұрын
군인처우에 ㅜㅜ 말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dyllis5176
@dyllis5176 Жыл бұрын
처음에 당직근무비 신설할때도 실무자들이 본인들이 욕먹을줄 알고 있으면서도 이건 꼭 신설해 주어야 한다 라고 했습니다(당직비 5천원인가 했음) 이유인즉슨 이렇게 해두어야지 나중에 가더라도 후배들이 올릴수 있는 기반이 된다고...
@hound7
@hound7 Жыл бұрын
충성! 사령관님.... 제눈에도 현재 군이 망하고 있는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지금 하사들 전역률도 높지만, 장기복무가 된 자원들의 전역률도 계속 늘어나고 있으며, 또한 부사관의 꽃이라 불리우는 훈련부사관들의 전역률도 엄청 높아지고 있습니다.. 지금 전역하는 수많은 부사관들의 목소리를 종합해보면, 1. "이런 대우를 받으면서 상급자들과, 병들의 부모들에게 가스라이팅 받고, 책임까지 모조리 떠안으며 살고 싶지 않다.적당히를 전혀 모르고 지금 초급,중급 관리자들에게 모조리 책임전가하고 탁상공론중이다. 현장을 전혀 모르고, 현장을 보더라도 이상하고 멍청한 논리로 끼워맞추며 오히려 지적만 하고 외면한다." 2. "밖에서 친구가 알바하는것보다 적게 받고 있다. 나는 장기복무가 되었는데 실감도 안나고 돈도적고 스트레스만 받는다." 이게 주된 이유입니다... 인원도 적어지는만큼 겸직 및 현장의 스트레스가 현재 장난이 아닙니다...
@hound7
@hound7 Жыл бұрын
더 있으면 자살할것 같아서 전역한다는 선후배 부사관도 너무나 많습니다... 부사관 자살률이 높아지는 이유 또한 너무나도 현장에서 그 이유를 잘듣고 있지만, 눈가리고 아웅식의 지휘부 대처가 눈에 훤히 보일 뿐입니다... 현재는 마음속에 자긍심이 많이 사라지고, 분노밖에 남지 않는거 같습니다.
@user-ek2vd4pu7s
@user-ek2vd4pu7s Жыл бұрын
군인연금 루머돌때 다들 전역하겟다는 평이 높았음..
@user-ch6ob3in3g
@user-ch6ob3in3g 2 ай бұрын
진작에.. 지금 그렇게 되어가고 있습니다 다 그런건 아니지만.. 대체 불가능한 간부들이.. 꼭 있어야 되는 장교,부사관들이 체감이 될 정도로.. 전역을 너무 많이 합니다.. 진짜 군대가 어떻게 되어갈지 불안하기 까지 합니다.. 애국심이 있어도, 없어지는 나라..
@user-sz3pu1cu5x
@user-sz3pu1cu5x Жыл бұрын
장군님 말씀 잘 들었습니다 잘 모르지만 병장때 십만오천윈 받았는데 불과 십년전 이야기네요 그런데 모든것은 기본이 되어야 하는데 병사월급이 해결되지않으면 다른 모든게 불가능할것같아요 아랫사람들이 만족해야 윗선에서도 이야기가 나오기 시작하고 구조적인 문제인지 지정학적 문제인지 모든게 안타깝네요 세계적으로 3차대전이 핵때문에 안 일어나고있는것같은 이 시점에..
@sungjoonahn6968
@sungjoonahn6968 Жыл бұрын
행정군대화가 너무 심각하다고 봅니다. 전투력에는 별 관심들이 없어보인다고 보입니다. 연금수익율을 더 높여야한다고 봅니다.
@ilkwon2963
@ilkwon296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바른소리에 감사합니다
@INBUMCHUN
@INBUMCHUN Жыл бұрын
잘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inhwakuk9598
@inhwakuk9598 Жыл бұрын
처우개선이 시급합니다. 나라는 누가지킵니까? 지원하는사람도없고 아주 엉망입니다. 인원도없으니 그만큼 한사람이 더 뛰어야하고 그힘든만큼 무언가 있어야하는데 당연하다고하는사람들...미래는 없습니다
@user-wp4pb1qx6g
@user-wp4pb1qx6g Жыл бұрын
"군사력 건설을 위한 인적 자원의 획득 및 유지가 가능한 수준의 대우인가." 라는 말씀 👍 국방위 소속 군 출신 의원들도 가만히 보고만 있지는 않으리라 생각합니다...........
@jaylee5674
@jaylee5674 Жыл бұрын
하~! 듣고보니 군인들 처우가 말도 안되네요!ㅠㅠ
@Respond1999
@Respond1999 Жыл бұрын
국사나 세계사 통틀어 역사 공부 조금만 해보면 아는데 참... 역대로 군을 괄시해서 나라 잘된꼴을 못봤슴~
@goldenboy6826
@goldenboy6826 Жыл бұрын
어차피 한국은 미군이 지켜주니까 직업군인들 푸대접해도 상관없다고 생각하는듯
@ddddd3628
@ddddd3628 Жыл бұрын
응원합니다.
@sungjoonahn6968
@sungjoonahn6968 Жыл бұрын
주한미군만큼의 한국군의 경쟁력을 순차적으로 높여야한다고 봅니다. 주한미군이 모든 일들을 다 해준다는 생각으로 국방에 임하면 한국군의 경쟁력은 저하되리라 봅니다. 미군만큼 순차적으로 한국군의 경쟁력을 높여야한다고 봅니다.
@user-wq7zn2wr2x
@user-wq7zn2wr2x Жыл бұрын
군인연금 개혁해서 10년만 해도 연금나오게 바껴야합니다. 그래야 현재 군대 바뀜니다
@3000300able
@3000300able Жыл бұрын
연금에 앞서 당직비. 만원 이만원은. 너무 심한게 아닌가 싶네요 밥값 공제 하고요. 밥값 포함하고 당직비는 올려야 되지 읺나 싶습니다
@user-cj8gi1ym8g
@user-cj8gi1ym8g Жыл бұрын
충성!감사합니다
@INBUMCHUN
@INBUMCHUN Жыл бұрын
저도 감사합니다
@stayoo9331
@stayoo9331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팩트만 말씀하시네
@stitgmata77
@stitgmata77 Жыл бұрын
박봉에 오지에서 가족과 떨어져서 생활하는 군인들의 생활은 교도소 생활과 다를 바가 없다. 군인연금이 줄어든다면 누가 나라를 지키겠는가 오로지 사명감과 연금 바라고 군인들이 악조건속에서 군대생활하는 것이다. 안보에 커다란 구명이 생길 것이다.
@user-es8vp2ij3m
@user-es8vp2ij3m Жыл бұрын
어떤 사람은 군대보다 깜방이 편하다고 하던데요
@user-xw8bk5sg7e
@user-xw8bk5sg7e Жыл бұрын
사기 필요없다...사기 없어진지 오래다...전쟁나면 모두 동원된다.
@paladin15
@paladin15 Жыл бұрын
월남과 배트콩 전쟁이 생각납니다. 월남 패망의 이유... 군대가 싸울 의지가 없고 정치권은 부패했을 때 그 틈새로 간첩들이 수작을 펴서 내부혼란을 야기.. 그리고 패망.. 지금도 그렇게 되고 있지 않을까 우려됩니다...
@luha5441
@luha5441 Жыл бұрын
군인연금 개정안이 내년도 3월에 발표될 것이다 라는 소문, 정보가 들립니다. 그 소문처럼 군인연금이 개정 된다면 과연 누가 군인이라는 직업을 계속 할까요? 당장 전역지원서는 내지 못하겠지만 1-2년안에 많은 우수자원들이 대량 전역 할 겁니다 그땐 어떻게 하려고 하는 걸까요..?
@INBUMCHUN
@INBUMCHUN Жыл бұрын
국방부에서도 노력하고 있습니다
@luha5441
@luha5441 Жыл бұрын
@@INBUMCHUN 정말 어려운 사안이네요. 중국 일본 , 무서울 정도로 국방비를 증액하고 있는데 군 전투력 중추인 장교와 부사관을 등한시하는 듯한, 군 사기를 저하시키는 이러한 상황들을 도저히 납득하기가 힘드네요. 부디 좋은 방향으로 정책이 결정되었으면 합니다.
@user-hy2kr8bc9f
@user-hy2kr8bc9f Жыл бұрын
기여금이 전체급여의 7%라면 일반 국민연금 개인부담 4.5%보다 높네요. 그리고 평생정년때까지 근무한 군인과 어지간히 20년을 좀 지나 전역을 한 경우와는 차이가 있서야 한다고 봅니다.
@user-bk4sx4go6z
@user-bk4sx4go6z Жыл бұрын
영상에 나온 것처럼 연금산정을 하는 방법상 20년 딱 채운 사람과 30년 한 사람의 수령액은 다릅니다 혹사당하면서 버티면서 정년채운게 아닌만큼 장수한다면 총 수령액은 많을 수 있겠네요
@returnbluehouse
@returnbluehouse Жыл бұрын
모든 선진국에서 연금 기금은 이미 고갈된지 오래입니다. 연금이 기금을 유지해야 한다고 하는 말은 연금 그냥 하지 말란 말입니다 ㅋㅋㅋ
@uesd6493
@uesd6493 Жыл бұрын
힘없는 평화는 없습니다 가장 최근에 우크라나만 봐도 알수 있습니다
@user-bd2dt4cy5r
@user-bd2dt4cy5r Жыл бұрын
군인연금보고 하는건데 연금개혁하면 군인 할이유가 없습니다
@inhwakuk9598
@inhwakuk9598 Жыл бұрын
병사월급오르는데 간부월급은..나중되면 간부보다 병사가 많이받습니다 말이안됩니다.
@user-lz2fc9jn5i
@user-lz2fc9jn5i Жыл бұрын
군인 수당도 부터 제대로 챙겨 줍시다. 군인 처우 개선이 우선 입니다. 연금개혁은 시대의 흐름상 어쩔수 없다고 봅니다.
@user-xg7wp4ek7h
@user-xg7wp4ek7h Жыл бұрын
지속적으로. 의견주시면 감사합니다 군은 국가의 시작이자 끝입니다
@user-ej8mz9ld4z
@user-ej8mz9ld4z Жыл бұрын
정말 말도 안되는 당직수당 이거 국회의원님들 알바시켜 주세요
@user-bs9uz6zb7m
@user-bs9uz6zb7m Жыл бұрын
지금 군인 연금개혁도 문제이지만 부사관 지원률이 심각한 수준입니다 이번달 부터 병사 급여가 100만원으로 상향되어서 전역이 속출하고 있는실정인데 윗분들은 알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저또한 연금개혁 발표 하면 바로 전역 예정입니다
@user-ee1qg3pn8i
@user-ee1qg3pn8i Жыл бұрын
군인의 월급 및 연금 등 정확한 객관적 수치를 모르기에 섣불리 어떠하다라고 말하긴 어렵겠지만.. 당직 2만원은 너무한거 아닙니까? 이태원 참사 때 당직을 집에서 보내던 그 여자도 10만원이나 받는데.. 이건 정말 아니라 봅니다. 군인에게 희생만 강요할 것이 아니라 군인에 대한 적절한 형평성은 반드시 보장되어야 합니다
@user-bg8em8uk6f
@user-bg8em8uk6f Жыл бұрын
2015년 1년차 하사 실수령액 124만원 2022년 7년차 중사 실수령액 214만원 현재 2022년 5월 31일 전역 후 전업 대리기사 전향 한달 600~700 벌고 있음. 이상 군인 급여가 얼마나박봉인지 아시겠죠? 편의점 알바를 한달해도 160~200 벌고 도심권에서 근무함. 문화권 다 누리고. 하사 지금 1년차 156만원 강원도 최전방 GP에서 근무서며 문화권? 극장? 아무것도 못누림. 한달에 1번 휴가 때만 갈수있는데 그마저도 2~3일이고 못갈때 허다함 뭘 더 알고싶으심?
@user-bg8em8uk6f
@user-bg8em8uk6f Жыл бұрын
지금 군 수뇌부와 정치권에 빨갱이들이 엄청 침투해있는게 분명하고, 지금 월남이 월북에 멸망한 수순을 그대로 밟아가는중임. 심각한 문제고 관심가지셔야함.
@user-ln6ek3un8d
@user-ln6ek3un8d 8 ай бұрын
국방부 장관 하셔야 합니다.~!!
@user-ln6nt2yg7w
@user-ln6nt2yg7w Жыл бұрын
국방부 공무원 당사자가 아니니 신경쓸일이 없는거죠 이게문제죠
@dolllllloooo
@dolllllloooo Жыл бұрын
공무원이 하는 일은 군인이 할 수 있음. 근데 공무원이 지금 군인이 하는 일 하라고 하면 못함. 맨날 뺑뺑이 돌리고 애비없는 자식으로 키우는 군인들하고 공무원이 비교선상부터 기분이 나쁨.
@user-qi5hx6dd2e
@user-qi5hx6dd2e Жыл бұрын
대우가 안좋으니 다들 기피하는 추세더군요
@user-mm5nr4ux9z
@user-mm5nr4ux9z Жыл бұрын
전인범 사령관님 국방장관 되세요.
@sungjoonahn6968
@sungjoonahn6968 Жыл бұрын
장비는 있는데 장비를 운영할 장교나 부사관들이 없는 군대를 무슨 수로 누가 유지합니까?
@jak_as
@jak_as Жыл бұрын
벌써 연금에 대한 소문을 듣고 전역지원서를 낸 선배들이 많습니다. 안타깝습니다. 현장에서 그런 모습을 보는 후배들도 심하게흔들리는것도 사실이구요..
@user-xw8bk5sg7e
@user-xw8bk5sg7e Жыл бұрын
자본주의 시장경제니 당연...
We Got Expelled From Scholl After This...
00:10
Jojo Sim
Рет қаралды 72 МЛН
I CAN’T BELIEVE I LOST 😱
00:46
Topper Guild
Рет қаралды 62 МЛН
Must-have gadget for every toilet! 🤩 #gadget
00:27
GiGaZoom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의용군 가야합니까? #전인범 #특전사령관  #인터뷰
27:17
자체 핵무장, 실현 가능한 이유
6:02
전인범장군
Рет қаралды 13 М.
기무사대위가 연대장보다 파워가 세다고?!
5:06
고성균의 장군! 멍군!
Рет қаралды 868 М.
논란의 최근 사건들, 군 지휘권을 이해해야 합니다
7:33
우리가 몰랐던 '장군’되면 받는 혜택 10가지
12:20
(백수일상) 명퇴 D+25일. 은퇴 후 첫 연금을 타다. 연금 수급액을 공개합니다
6:22
어허영감의 사부작 사부작 인생
Рет қаралды 1,4 МЛН
"자네가 주임원사인가??" [전인범 장군]
5:25
전인범장군
Рет қаралды 2,6 МЛН
정말 쉽게 알수있는 '19개의 군 계급' 서열
13:18
TV러셀
Рет қаралды 1,4 МЛН
보통장군의 소통법 [전인범 장군]
3:11
전인범장군
Рет қаралды 36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