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한 알바로 소문난 물류 센터(택배) 알바, 이젠 로봇이 합니다 [오목교 전자상가 EP. 89]

  Рет қаралды 317,040

오목교 전자상가

오목교 전자상가

Күн бұрын

택배와 물류센터 아르바이트는 '극한 알바' 순위 매기기 경쟁에서 둘째가라면 서러운 직종일 겁니다. 물류의 작업 전반에 걸쳐 사람의 손을 거치지 않는 영역이 없는데, 대부분의 과정에서 '육체적인 노동'을 요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제는 그 흔하고 또 악명 높은 택배/ 물류 센터 알바 자리도 점점 사라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물류 센터 전반에 걸쳐 무인화와 로봇 열풍이 거세게 불고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최근에는 온라인 판매자로부터 재고 관리부터 배송에 이르기까지 물류 과정 일체를 담당하고 있는 '풀필먼트' 기업에서 이러한 첨단-무인화 배송 시스템이 경쟁적으로 구축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들은 왜 이렇게 물류 과정의 첨단화에 사활을 걸고 있는 걸까요?
결론부터 말하자면 '비용'과 '속도 경쟁' 때문입니다. 풀필먼트 센터에서 물건을 입-출고 하는 과정에서 로봇을 이용할 경우 인건비가 절약되는 것은 물론이고, 속도 역시 매우 빨라지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국내 한 풀필먼트 팀에서 운영 중인 큐브형 창고 시스템의 경우 입고/진열/출고/재고 조사 등 물류 업무 전반에 걸쳐 인간의 손길이 거의 필요치 않은 무인 로봇 시스템이 완벽히 자리잡고 있었습니다. 오목교 전자상가 팀에서 방문한 최첨단 물류 센터의 현장, 영상을 통해 확인해보세요!
00:00 오프닝
00:13 최신형 창고의 변신을 공개합니다
01:12 요즘 택배는 이렇게 합니다
02:08 창고공간을 대폭 늘리는 획기적인 방법
03:04 최첨단 창고를 갔다왔습니다
03:54 아니 저러면 아래에 있는 물건은 어떻게 꺼내요
04:57 네, 로봇이 다~~ 합니다
06:37 그럼 우린 이제 어떡하죠?ㅠㅠ

Пікірлер: 884
@user-wi2it8om9u
@user-wi2it8om9u 2 жыл бұрын
다이소 허브센터에서 4개월밖에 일해보지 않는 사람이지만 진짜 저 기술은 혁신인 듯 합니다. 누군가는 사람이 하는 일을 로봇에게 뻬았겼다고 생각하실 수도 있겠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로 물류 이동, 상하차, 분류 등과 관련된 고된 작업을 로봇이 빼았아 줬다고 생각합니다.
@johnbillon7757
@johnbillon7757 2 жыл бұрын
가장 큰 문제는 로봇 만큼(이상이 아니라 만큼) 똑똑하지 못한 사람들이 세상에 너무 많고 그 수는 계속 늘어난다는 거죠. 로봇만큼의 쓸모도 없는 사람들을 과연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가 문제죠.
@marcoyun
@marcoyun 2 жыл бұрын
@@johnbillon7757 이건 좀 소름 돋는 발언이네요. 가치관이 너무 자본주의에 찌든게 아닌가 합니다.
@lighthouse4307
@lighthouse4307 2 жыл бұрын
@@johnbillon7757 코로나와 각종 전염병으로 다 죽이면된답니다
@user-yg2jh8uz6i
@user-yg2jh8uz6i 2 жыл бұрын
@@yunib 그런일은 발생하지 않음 기술이 대체하긴 하겠지만 몇 십퍼센트씩 실업자 생기고 하지는 않음 국가가 운영되기 위해선 세금이 필요함 그럼 로봇이 세금을 내느냐? 그것도 아님 그렇기 때문에 사람이 할일을 로봇이 급속도로 차지 하게 놔두지 않음 점차적으로 넓혀가겠지만 이미 주변에서 그런일이 많이 일어나고 있음 타다와 택시의 싸움에서 결국 택시가 이긴거만 봐도 답은 나옴 ㅋ
@CapyCapie
@CapyCapie 2 жыл бұрын
특이점만 오면 매일매일이 신나는 러다이트 운동~
@bjpjvj
@bjpjvj 2 жыл бұрын
제발 쿠팡과 컬리에서 이런 시스템이 도입 됐으면 합니다..
@user-yt4py9gl6t
@user-yt4py9gl6t 2 жыл бұрын
지금은 사람이 더 쌈
@kevinchoi68
@kevinchoi68 2 жыл бұрын
하고 있어요 ^^ 쿠팡~ 물론 전센터는 아니고 일부센터만요~ 점차 늘리고있답니다
@AssyOdozzasae
@AssyOdozzasae 2 жыл бұрын
인천의 모 물류센터는 이미 전작업을 로봇이 진행하고 있고 확충할 예정이라고 함
@user-lu1mm3md6x
@user-lu1mm3md6x 2 жыл бұрын
@@AssyOdozzasae 아이그...그럼 그 업무하던 분들은 다른 일하시거나 줄어드시겠네용.
@yewon.
@yewon. 2 жыл бұрын
편하고 직원 분들의 수고가 덜겟지만... 그만큼 일자리도 줄어드니만큼 그리 좋지만은 않은 일이네요.
@Shineyongs.
@Shineyongs. 2 жыл бұрын
오래전 로봇과 컴퓨터가 극한 직업을 대처 한다 들었는데 물류 센터가 자동화 하면 혁신과 혼란 그자체야..
@_Hallowin_
@_Hallowin_ 2 жыл бұрын
규격화 되어있는 상품은 저렇게 하면 진짜 좋겠네요.
@Ice_Galaxy
@Ice_Galaxy Жыл бұрын
와...세상에.... 진짜 ㅋㅋㅋㅋ 무슨;;; 주문하길 기다렸나 싶을정도로 빨리 오던게 이런 로봇들 덕분이라니... 기술적 특이점? 그게 오면 얼마나 더 발전할지 상상조차 안되네요... 이런걸 다뤄주는 오목교전자상가 칭찬 👏👏👏👍👍👍
@Kevion404
@Kevion404 2 жыл бұрын
로봇공학을 꿈꾸는 대학생으로써 진짜 흥미로운 주제네요... 게다가 1년 전쯤 보스턴 다이나믹스 유튜브 채널에서 봤던 스트레치가 실제로 사용되는 모습을 볼 수 있어서 좋습니다!
@kks4413
@kks4413 2 жыл бұрын
아니 근데 서울사람들 창고보고 왜 창꼬라함? b보고도 삐! 이러든데 야쓰오보고도 야스오 이러고 좀 신기함
@Kevion404
@Kevion404 2 жыл бұрын
@@kks4413 야스오는 원래 야스오임
@kks4413
@kks4413 2 жыл бұрын
@@Kevion404 b는 원래 비고 창고도 원래 창곤데
@Igdrasil-
@Igdrasil- 2 жыл бұрын
@@kks4413 모음이나 'ㅇ' 받침 뒤에는 된소리가 되는 글자들이 많습니다
@kks4413
@kks4413 2 жыл бұрын
@@Igdrasil- 된소리 발음의 잘못 된 현상이죠 창꼬가 아니라 창고이구요 삐가 아니라 비입니다
@Aegithalos-
@Aegithalos- 2 жыл бұрын
와 어릴때 상상하던것들이 하나씩 이뤄지는거 보면 정말.. 신기방기..
@kindotnet9912
@kindotnet9912 2 жыл бұрын
현업 FA 개발자로써 반은 맞고 반은 어물쩡 넘어가는 이야기가 많습니다. 단점이나 한계등도 나왔으면 좋겠네요.
@user-iz9vh7th4u
@user-iz9vh7th4u Жыл бұрын
저 agv라는 로봇이 정말 사람을 대체 가능한가요?
@zyxwvutsrqpon_lk_ihgfedcba
@zyxwvutsrqpon_lk_ihgfedcba Жыл бұрын
헌데 그것도 어느 특이점을 넘으면 급격히 발전해서 단점이 여전히 남아있음에도 소수의 인간만이 필요한 순간이 오지 않을까요?
@abcd-wn9dq
@abcd-wn9dq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내용이 너무 짤렸네요 위 내용만 보면 로봇으로 다 될수 있다고 설명하는데 필드에 적용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 그 내용이 없어요
@user-sg2fw6ze7n
@user-sg2fw6ze7n Жыл бұрын
저것이 이상적인 기술개발로 도달하는것을 보여준거고, 현실은 아직 한계가 많다해도, 결국 몇년뒤엔 완성됨. 무조건임.
@Ycmjg37143
@Ycmjg37143 Жыл бұрын
@@abcd-wn9dq 사실 CJ하고 쿠팡이 저런거 빨리 개발하는데, 그 이유가 기존 택배터미널에 물량이 너무 많아져서서 인력만으로는 감당하기 힘들어져서 만든 거라고 합니다.
@user-pu8zf4ut8e
@user-pu8zf4ut8e 2 жыл бұрын
물류짬밥 12년차입니다. 로봇 및 설비비용 > 인건비 이게 현실입니다. 관리자 1명 밑에 알바 10명 이런구조입니다. 게다가 여러가지 잘 안쓰는 이유가 있지만, 한번 고장나면 답안나옵니다... 소터나 PAS도 한번 멈추면 고칠때까지 전부 손가락 빨아야됨;;;
@zs7974
@zs7974 2 жыл бұрын
1:24 그래서 전문업체가 있대요
@OMG_electronics
@OMG_electronics 2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현재까지는 인건비가 더 싸다고 하네요 :)
@rding3149
@rding3149 2 жыл бұрын
그 어떤 기술도 처음엔 다 그렇습니다 결국 로봇이 일자리 다 차지할거에요
@UnKnownSatellite
@UnKnownSatellite 2 жыл бұрын
아직 로봇 기술이 개발 단계여서 직원을 쓰는 게 더 나을지도 모르지만 기술이 고도화되면 인간은 번거로운 일에 집중하지 않아도 되겠죠.
@sollchung72
@sollchung72 2 жыл бұрын
@@zs7974 전문업체가 없어서 손가락 빤다는게 아니라 시스템 고장시 복구가 얼마나 빨리 되냐가 관건인데 전부분 로봇화는 어떻게 진행되는지는 모르겠으나 컨베이션 라인같은경우 에러나면 수습하는데 시간이 걸리는데 저 시스템은 자동으로 얼마나 빠른복구가 되냐가 관건이겠죠
@2seoha
@2seoha 11 ай бұрын
유익하고 재밌어요
@hunnamkung9704
@hunnamkung9704 2 жыл бұрын
이 채널 무조건 큽니다... 꾸준히 힘내서 계속 해주세요. 너무 재밌게 잘봤습니다. 깔끔하게 정리를 잘했네요.
@unnamed.67
@unnamed.67 2 жыл бұрын
SBS 산하라 사실 이미 큽니다 ㅋㅋㅋㅋ
@user-zp4tg8gx5l
@user-zp4tg8gx5l 2 жыл бұрын
ㅇㅇ sbs라 ㅋㅋㅋ
@pmike8060
@pmike8060 2 жыл бұрын
SBS라 반칙이죠
@jse5217
@jse5217 2 жыл бұрын
어쩐지... 분명 어제 점심쯤에 시킨게 다음날 오후에 도착하더라구요. 쿠팡로켓배송으로 시킨것도 아닌데 이런 시스템이여서 그런가봐요ㄷㄷ
@user-bs6sj7ml8r
@user-bs6sj7ml8r 2 жыл бұрын
물류 센터도 그렇지만 카이스트에서 얼마전에 원격 공장도 실현했더군요...서울에서 대전까지 거리를 모니터 하나만으로도 움직이게 하고 실행하는거보니 앞으로 없어질 직업은 더 많아질거 같습니다
@leebyungjun4458
@leebyungjun4458 2 жыл бұрын
이미 쿠팡 최종 목표가 저거 아닌가.. 허나 저런건 처음 투자비가 일반 창고보다 수십배는 들고 핵심은 자동화보단 물류센터 수량이라... 현실적으로 일단 쿠팡처럼 반자동화로 만들고 나중에 천천히 바꾸는거지 아니면 전국 커버가 힘드니..
@sollchung72
@sollchung72 2 жыл бұрын
쿠팡의 최종목표는 아마존과 같은 기업이 목표겠죠..여태 쿠팡이 진행해온것이 시작부터 아마존을 벤치마킹 해 왔기에...
@mekopark3201
@mekopark3201 2 жыл бұрын
쿠팡 목표는 손형의 돈빨로 유통망 독과점. 저런 첨단을 꿈꿨다면 이미 쿠팡 물류 대부분은 저렇게 됐어야됨. 주구장창 인력만 갈아넣는게 현실인지라 그들이 저걸 꿈꿨다는건 현기가 테슬라를 꿈꿨었다 라고 하는거죠.
@leebyungjun4458
@leebyungjun4458 2 жыл бұрын
1. 쿠팡이 아마존 벤치마킹 한다는 맞습니다 그리고 그 아마존 목표가 저런 자동화구요.
@leebyungjun4458
@leebyungjun4458 2 жыл бұрын
2. 어차피 저런 첨단 물류창고는 아마존 급 자본력 없으면 거의 모든 회사가 투자로 지어야 합니다 허나 일단 베이스를 깔아둬야 누가 투자를 해주죠.. 쿠팡이나 cj대한통운처럼 국내 물류망 만드는게 먼저죠
@leebyungjun4458
@leebyungjun4458 2 жыл бұрын
3. 독과점도 목표지만 어느 물류회사건 로봇을 사용한 자동화가 다 목표로 있습니다. 쿠팡이 하루 쓰는 인건비만 엄청난데 저런 자동화가 초기 투자는 엄청나도 인건비보단 쌉니다
@YEO5191
@YEO5191 2 жыл бұрын
와.. 개쩐다. 상상만 했던 시스템이 그냥 구현되어 버리네.. 그런데 궁금한게 보온, 보냉 혹은 냉장고, TV와 같은 대형 물품 같은 경우에는 저런 곳에서 어떻게 처리해요? 그건 아직까지 사람손이 타야 할 것 같은데요?
@sub1tw
@sub1tw 2 жыл бұрын
주문량이 많고 부피가 적은 소모재와 생필품, 잡화 위주로 인프라가 구축되어있습니다. 생활 가전의 경우 주문량이 상대적으로 적고 회전률이 높지 않기때문에 자동화시스템 구축이 효율이 좋지 않아보입니다. 유통 구조도 다르구요.
@DossMon
@DossMon 2 жыл бұрын
사실 자동물류화 사용하고 있는 대기업들은 많죠...... 삼성이라던가.....거기 반도체 공장가면 어마어마 합니다 설치하는데 가격이 또 어마어마 해서 왠만해선 상용화가 안되겠지만....
@kr900924
@kr900924 2 жыл бұрын
냉장고는 2~3층 쌓아두면서 배송할때 꺼내서 싣던데
@JANG8SAMO
@JANG8SAMO 2 жыл бұрын
냉장고 안사봤냐? 대기업꺼는 근처대리점에서 온다
@user-iq4ey3qm8x
@user-iq4ey3qm8x 2 жыл бұрын
@@JANG8SAMO 대리점은 냉장고가 뿅하고 나타나냐? 질문의 요지 파악을 못하네...
@user-ut5rg7gj6e
@user-ut5rg7gj6e 2 жыл бұрын
잘봤습니다,
@tatohoongood7778
@tatohoongood7778 2 жыл бұрын
진짜 혁신이네요...대박
@user-rt1vs3bq8n
@user-rt1vs3bq8n 2 жыл бұрын
좋은컨텐츠네요
@user-ox3bu9ni3g
@user-ox3bu9ni3g 2 жыл бұрын
사람이 하기 어려운건 일자리가 줄더라도 기계가 하는게 맞음 물류센터 알바가 극한의 알바라고 소문난게 진짜 엄청옛날일인데
@LCH0228
@LCH0228 2 жыл бұрын
하기 어려운것의 기준이 뭔지 모르겠네요 돈있으면 현재 왠만한건 기계가 다합니다 개발이나 그런것도 가능한 컴퓨터 시스템에 대한 연구나 기술개발은 과거부터 하고 있구요 댓글도 AI이용하면 가능합니다 요즘에는 사진도 요구사항만 넣으면 AI적용된 프로그램이 만들어 낸다고 하더군요
@LCH0228
@LCH0228 2 жыл бұрын
@인간병기 댓글길게 쓰면 뭐 어쩌라는거지? 저 사람의 의견은 저러하다 나는 의견이 이러하다 딱 그렇게만 쓴건데 사람마다 기준이 다르다고 생각해서 나는 잘 모르겠다라고 쓴건데 그걸 나는 아는데, 너는 왜 모르니라고 해석하면 어쩌라는거? 니가 저 기준 정하는 사람도 아니고 니가 저 사람도 아닌거잖아? 사람이 하는일중 이것은 힘든거다라고 니가 정하니? 난 저분이 생각하신 기준이 궁금했던건데 지 혼자 뭐하나에 걸려서 그러는거보면 너 뭔일있는데, 화풀이를 나한테 하는거냐?
@user-ym6sy7fs9l
@user-ym6sy7fs9l 2 жыл бұрын
한명은 어차피 다 아는말 필요 없는말 굳이 주저리 써가면서 가르치듯이 말하고 한명은 뭐 그리 기분나쁜지 풀발기해서 개지랄을 해버리네
@fullmoon0488
@fullmoon0488 2 жыл бұрын
답글에서 가슴이 웅장해지는 세기의 대결이 펼쳐지고 있네요
@silver33412
@silver33412 2 жыл бұрын
@인간병기 요점 정리해서 글을 쓰던가 아니면 수정해서 글을 쓰던가 혼자 무슨 지분율 다 차지 하네
@mskim_0303
@mskim_0303 2 жыл бұрын
아래에 있는 제품은 어떻게 처리하는지 궁금했는데...감사히 잘 보았습니다.
@YohanLIm
@YohanLIm 2 жыл бұрын
드디어 !
@user-uo1zz2dk8e
@user-uo1zz2dk8e 2 жыл бұрын
현재 기술로는 규격화된 물건만 분류가 가능합니다. 아마존에서 일부 제품들을 저런식으로 처리하구요. 비슷한 시스템을 알리바바도 쓰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쿠팡은 아직 안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여러분들이 많이 시키는 세제, 생수같은 물건은 잡아서 이동시킬 방법이 아직 없을겁니다. 상하차 같은 경우에도 박스를 잡을 방법이 현재는 공압같은걸로 힘을 유지하는걸로 아는데 무게에 한계가 있죠. 쿠팡이나 다이소처럼 최대가 20kg에서 왔다갔다 하는 제품은 가능하겠지만 한진이나 대한통운처럼 더 무거운 제품을 잡아서 올리는건 어려울것같고 상하차 제품의 무게가 무거워질수록 들어올려지는 공압을 버틸려면 일반종이박스가 아닌 재질이 필요할테고.....아직 사람을 대체하기에 힘든 시스템입니다. 그리고 저런식으로 사람의 손이 안들어가는 시스템일수록 중간에 어느 단계가 에러가 일어나면 나머지 과정 전체가 멈춰서게 됩니다. 마감시간이 있는 배송에서는 치명적이죠.
@20000s
@20000s 2 жыл бұрын
자동화로 일자리가 사라질까봐 걱정하는 분들이 계신데, 150년 전 영국에서도 같은 걱정을 했습니다. 당시 영국에서 마부 같은 운송업에 종사하는 종사자수는 엄청나게 많아고 증기기관 같은 차량의 등장으로 마부들의 일자리를 걱정했던 영국은 이들을 지키기위한 대책마련으로 레드 플레그법을 도입하죠. 자동차앞에 붉은 깃발을 들어서 미리 자동차가 지나간다고 알려야한다는 규제였습니다. 이 규제로 잠시동안은 마부들의 일자리를 지킬 수 있었지만 그 결과는 자동차 산업의 쇠퇴를 가져왔고 시대의 흐름속에 마부들 직업이 사라지는건 막지 못했습니다.
@user-ou1rw8xl6h
@user-ou1rw8xl6h 2 жыл бұрын
굿
@user-ob1ps2lv5z
@user-ob1ps2lv5z 2 жыл бұрын
그땐 단순 기술이 진보가 된 것이지 자동화가 아니였어요. 자동화란 사람이 거의 필요치가 않는거라 비교 대상이 아닌것 같네요.
@user-dt1rf3wz9c
@user-dt1rf3wz9c 2 жыл бұрын
그럼 20000
@user-tk7cn3jq5t
@user-tk7cn3jq5t 2 жыл бұрын
@@user-ob1ps2lv5z 공산주의자임? 자동화로 인해 생산단가가 낮아지면 상대적으로 재화의 가치가 올라가는건데
@gilbertjeong5599
@gilbertjeong5599 2 жыл бұрын
결론적으로는 어느정도 일 자리는 사라지긴합니다. 산업혁명때는 지금에 비해 기계화가 거의안되서 지금보다 훨씬많은 노동시간과 미취학아동까지 일해야 할만큼 일손이 많이 필요했습니다. 새로운 일자리가 생기긴하지만 예전일자리보다는 줄어들고 근로시간도 줄어들긴하니까요
@hjh8874
@hjh8874 2 жыл бұрын
택배물류와 같은 인간이 꼭 필요한 일이 아닌건 빠르게 기계로 대체 하는게 맞다고 본다 특히 택배 상하차 같은 단순노동 즉 돈을위해서만 해야하는 노동은 기계로 빠르게 대체해야 한다고 봄
@user-sl3vm2bx5o
@user-sl3vm2bx5o 2 жыл бұрын
그럼 하루벌어먹는사람들은 굶어죽겠네요
@user-cm7sc5um8y
@user-cm7sc5um8y 2 жыл бұрын
@@user-sl3vm2bx5o ㅇㅇ 이미 스마팩토리, 인공지능 이야기 나올때부터 예견된 일임
@Xbbcs
@Xbbcs 2 жыл бұрын
@@user-sl3vm2bx5o 굶어죽는 사람은 편의점알바도 할마음이 없는 게으른 인간인거죠
@noworld2044
@noworld2044 2 жыл бұрын
@@Xbbcs 물류센터가 완전히 자동화된 시점이면 이미 편의점알바수준은 다 기계로 대체돼있을걸?ㅋㅋ
@ebrifhzvwgajfofnrxs
@ebrifhzvwgajfofnrxs 2 жыл бұрын
물류센터에서 가장 사람수준의 융통성이 필요한곳이 의외로 상하차파트입니다. 물류센터에서 출고된 아주 작은 상자나 비닐상품부터, 부피가 크고 무거운, 혹은 아주길쭉한 물건들을 오직 지역분류에따라 한 컨테이너에 차곡차곡 쌓는게 상차 작업입니다. 영상에서의 상차작업은 부피가 아주 일정하고 단단한 한가지 규격의 상자들만 기계가 실어주고 있는데 실제 물류센터에서는 저런경우는 없고... 공장에서 출발하는 단일상품 적재차량이면 가능하겠네요. 아무튼 실제 물류센터 현장의 상차파트를 기계가 완전히 대체하려면, 가정집에 돌아다니는 로봇청소기가 바닥뿐만이 아니라 집안 모든 공간을 제대로 인식하고 집안물건을 안부숴먹을수 있는 힘조절까지 가능한 수준에서 빗질 걸레질 다 할수 있는 수준까지 발전해야 실제 물류센터에서 쓸수있는 상하차로봇도 생겨날겁니다
@vinacorea
@vinacorea 2 жыл бұрын
저런 물류로봇화는 물건 자체가 일률적이고 규격화되어 있어야함 일반적인 물류는 결국 최저임금 갈아넣은 효율적인 인간이 해주는 까대기가 중요한거임 ㅋㅋ
@user-fr4or1ut1j
@user-fr4or1ut1j 2 жыл бұрын
쿠팡은 작년에만 인건비로 자그마치 4.7조를 썼습니다. 한국은 인건비가 저렴한 나라가 아닙니다. 쿠팡은 적자가 년마다 조단위로 나고있고.
@sollchung72
@sollchung72 2 жыл бұрын
@@user-fr4or1ut1j 쓸데없이 낭비되는 인건비를 줄이는건 좋지만 모든걸 기계로 대처하는식으로 인건비를 줄이면 결국은 소비자 자체가 사라질수도
@saint7672
@saint7672 2 жыл бұрын
@@sollchung72 근데 미국은 일자리가 펑펑 넘쳐나는데 일할 사람이 없대서 자동화 기계가 절실한 상태입니다... 중진국인 중국조차 힘든일 싫어해서 탕핑족이 등장한 상태인데 앞으로도 자발적 노동거부가 늘어날 추세라서 자동화 기계가 필숩니다...
@mekopark3201
@mekopark3201 2 жыл бұрын
@@sollchung72 그래서 로봇이 발전할수록 주체가 되는 기업이나 국가는 부유해지지만 빈민은 어마어마하게 늘어나서 수출주도나 로봇세를 통한 기본급으로 해결해야 된다는 이야기들이 생기는거.
@user-ul5bi7nb3x
@user-ul5bi7nb3x 2 жыл бұрын
주유소 셀프로 바뀌었다고 일자리 없어졌다고 난리나나 ㅋㅋㅋㅋㅋ 그런 아무나 할수 있는 일은 다른데 가서 일하게 되는거임 어쩌피 인구는 계속 줄어들고 사람 구하기 힘들어진다
@kr900924
@kr900924 2 жыл бұрын
요약, 3가지 기술로 물류센터 업그레이드 가능 3:05-한국 5:20-일본 6:24-미국
@Mukabiee
@Mukabiee 2 жыл бұрын
비트머리파마 풀리니까ㅜ너무 기엽당 ㅋㅋㅋ 다신 볶지망 ㅎㅎ
@ebrifhzvwgajfofnrxs
@ebrifhzvwgajfofnrxs 2 жыл бұрын
센터근무 2년해봤지만 정말 간단한 자동화 조차도 상품 사이즈와 무게가 아예 다 제각각이라 설비 고장 매우 잦습니다 규격화되지 않은 상품들도 전부 저렇게 처리할수 있을만큼 기술발전이 되었다면 모르겠지만 당장은 영상에서처럼 저렇게 규격화된 일부 상품들만 적용할것 같네요
@sopa2367
@sopa2367 2 жыл бұрын
아마존 시스템 그대로 들어온것임. 즉 아무런 문제 없다는 거임.
@ebrifhzvwgajfofnrxs
@ebrifhzvwgajfofnrxs 2 жыл бұрын
@@sopa2367 현장에서 하루라도 일해보고 말씀하십쇼 규격화되지 않은 사이즈와 이형상품들은 사람의 융통성없이는 현재기술로 통제가 불가능합니다
@rufghsgkrhtlvek
@rufghsgkrhtlvek 2 жыл бұрын
이런 정보성 댓글을 굉장히 좋아요
@user-nq3ns7tu8k
@user-nq3ns7tu8k 2 жыл бұрын
@@sopa2367 탁상행정 ㅋㅋㅋㅋ 문제없는 기계가 어딨냐
@ATVi
@ATVi 2 жыл бұрын
충분히 가능함 도대체 언제적 시대에 살고있는거임
@brandlee5089
@brandlee5089 10 ай бұрын
저기는 테스트베드(실증)하는 곳이라 저렇게 첨단 장비로 운영되고 있는 것처럼 보이나 실제는 매번 이상나면 몇분씩 혹은 몇십분씩 점검하고, 개발이나 작업자들도 항상 상주해서 일어날 돌발상황에 대비도 하구요. 그리고 실증이 끝나고 평가가 좋아도 비용문제로 바로 투입이 어렵고, 지원 사업이 있다해도 시기상조입니다. 물류, 유통 계열은 아니지만 디지털 헬스케어 근무하면서 비슷한 사례들 많이 봐와서 적고 가요.
@user-wt2sx1th8s
@user-wt2sx1th8s 2 жыл бұрын
노동집약적인 산업이 자본집약적 산업으로 바뀌어 갈수록 시장이 필요로 하는 노동의 수요가 줄어드는것이 걱정되면서도 인구감소에 의한 노동의 효율적인 분배를 생각하면 자동화 할수있는 부분은 최대한 자동화하고 인간의 가능성을 살릴수있는 노동의 활용처를 찾는게 발전이 아닐까라는 생각도 드네요 다만 시장의 변화에 적응하지못한 노동인력을 어떻게 구제하고 도와서 새로운 일자리를 제공할지... 자연계에선 적응하지못한 생물은 도태되겠지만 인간사회는 그래서는 안된다고 생각하거든요
@CaMoRira_Y
@CaMoRira_Y 2 жыл бұрын
헐 이거 데스스트렌딩에서 본거랑 비슷하네요!!~ 로봇은 파업을 할 일도.. 아플일도 없으니.. 일자리가 많이 줄겟네요..ㅠ
@hanun114
@hanun114 2 жыл бұрын
빅데이터, AI, 로봇, 자율 주행 등등 과학 발달이 경제 차원을 넘어 인류 삶의 질 상승ㆍ확장ㆍ발전에 이바지 하였으면 합니다.
@kityk4532
@kityk4532 2 жыл бұрын
이야 갠트리 보소 사이즈 한계가 있긴 해도 큰 놈들은 따로 보관 하면 되니까.. 실 적용에 에로사항 엄청 나오긴 하겠지만 그걸 잡는게 업체별 노하우 되겠네요
@Joha.7
@Joha.7 Жыл бұрын
와 혁신이내요 ㄷㄷ
@narzenstudio5975
@narzenstudio5975 2 жыл бұрын
분류까지가 가능하다는게.. 정말 대단하네요.. 의류같은 것은 색상,사이즈 분류까지 한다는 건데... 휴.. ㄷㄷㄷㄷㄷ 하네요... 말씀 하셨듯... 택배기사들이 힘들다고... 해서.. 모든 것을 자동화 해 버리면.. 머지 않아 그들의 일자리도 줄어 들겠네요....
@LCH0228
@LCH0228 2 жыл бұрын
공항에 캐리어나 화물 처리하는것이 자동화입니다 직원이 대폭 감소했죠 반도체나 디스플레이 공장등도 자동화이구요 제철소등 모든 공장들이 자동화되고 있습니다 전세계에서 대한민국이 자동화보급율이 가장 빠르구요 통계가 나왔습니다 자동화기계 보급율
@akakaiakaiai9432
@akakaiakaiai9432 2 жыл бұрын
분류는 바코드 번호로 하겠죠
@jhggil
@jhggil 2 жыл бұрын
이미 정보가 다 입력되어있는걸요
@LCH0228
@LCH0228 2 жыл бұрын
@@akakaiakaiai9432 요즘에는 바코드보단 RFID인가? 그...칩인식해서 할겁니다 마트등 매장에서 계산안하고 나가면 인식되는 그 제품에 달린 칩이요
@akakaiakaiai9432
@akakaiakaiai9432 2 жыл бұрын
@@LCH0228 맞아요 생각안났었는데 감사합니다
@buglepang
@buglepang 2 жыл бұрын
우와 대박
@JHoonSeo
@JHoonSeo 2 жыл бұрын
크기에 대해서 규격화가 이뤄진 물건만 가능하겠네요...
@lIlIlIlIlIlll
@lIlIlIlIlIlll 2 жыл бұрын
저거 영국 식료품업체인 오카도(ocado)에서 먼저 상용운용한걸로 알고 있는데 우리나라에도 이제 도입되는구나
@katy_j_7386
@katy_j_7386 Жыл бұрын
확실히 자동물류센터에서 오는 배송에는 절대 누락 상품이 없는 점이 가장 좋죠.
@user-su9wh1zb6e
@user-su9wh1zb6e 2 жыл бұрын
와 이제 진짜 영화에서나 보던 자동화가 이뤄지고 있구나...무섭다
@user-in4zd8ye2j
@user-in4zd8ye2j 2 жыл бұрын
편의점,마트 같은 물류센터에도 도입 되고있습니다
@user-yj2ok7tu9e
@user-yj2ok7tu9e 2 жыл бұрын
부피가 어느정도 이상되는 물건은 곤란하겠군요. 또 자동화 과정에서 제대로 적재되지 않거나, 뭔가 꼬였을 때는 도저히 답을 찾기 어려운 상황이 오기도 하겠네요. ㅎㅎ
@wifi8071
@wifi8071 2 жыл бұрын
와 개쩌네
@user-kq2zw6uh5q
@user-kq2zw6uh5q 2 жыл бұрын
조만간 유튜브 사람되신 기계가 작업하고 올려주는 시대가 올거 같습니다 휴먼 그냥 쉬쉽시오!!
@user-uu5el1ii3n
@user-uu5el1ii3n 2 жыл бұрын
오홍 foup 이동시키는 OHT랑 같은 원리라 보면 되네요. 오히려 클린 사양이 아니라 이게 가격이 엄청 저렴할듯
@ddyermaker978
@ddyermaker978 2 жыл бұрын
와짱이다
@babydinosaur5347
@babydinosaur5347 Жыл бұрын
우와. 아마존만 하는줄알았는데 언제 이렇게됨"¿ 대박대박
@panda08a36
@panda08a36 2 жыл бұрын
인간이 빨리 필요 없어졌으면 하는 곳이며 동시에 어떻게라는 생각이 드는 곳
@rws8454
@rws8454 2 жыл бұрын
ioT 관련 세미나나 행사가면 최근 나오는건 대부분 자동화 검사 방법과 이런 물류에 대한 내용들이 많습니다. 이미 기술은 충분해요. 다만 이런 시설을 할 수 있는 자본이 부족한 거죠.
@Mazwell5681
@Mazwell5681 2 жыл бұрын
일단 물건 저장하는 창고는 현재 컨테이너부두같은데가면 다 저런식으로 하긴하는데 문제는 상하차부분 저건 기계가 진짜 힘든게 송장인식을위한 상단이나 측면 일정하게 배열해주고 다 각자 크기가 다른 물건들 비닐포장 박스포장 행낭 ....그냥 사람이 더빨름
@OLOIOF
@OLOIOF 2 жыл бұрын
시스템 자체는 삼성전자나 하이닉스에서 반도체 적재방식이랑 비슷한 것 같네요. 반도체에서만 쓰이던 자동화반송 시스템이 택배 배송에도 적용된다니 반갑네요. ㅎㅎ 다만 반도체 특성상 파티클이나 이물에 대한 관리가 좀 골치 아팠는데 물류는 좀 덜할것 같기도 하고 ㅎㅎ LBS,AGV,CV
@user-gb9ty6sp6d
@user-gb9ty6sp6d 2 жыл бұрын
와 영상 끝나가는데 소름이 돋냐... 02년12월24>25일 넘어가는 새벽 가리봉? 한진택배 상하차라는 알바를 하루 해보고 느낀점이 택배상하차 12시간만 경험하면 이세상 모든일은 다 쉽게 할수 있을거같은 느낌이었다.. 유격훈련느낌 나더라.... 근데 로봇이 다 대체한다하니 세상참..
@saint7672
@saint7672 2 жыл бұрын
자발적 노동거부가 늘어나는 추세라서 어쩔 수 없어요. 미국조차 일자리 많은데 일할 사람이 없대서 자동화 로봇이 필숩니다....ㅜㅜ
@user-ws6kb5ur4f
@user-ws6kb5ur4f 2 жыл бұрын
일이 편해진다는 장점은 커지나 그만큼 인간의 일자리가 줄어든다는게 눈에보이네요...
@NARI00
@NARI00 2 жыл бұрын
무조건 좋다라고만 생각했는데 확실히 실직자가 너무 많아서 문제이긴하네요.... 안그래도 요즘 취업난이 문젠데 미래에는 어떻게 될지 너무 궁금해집니다
@user-ow9fs8gt5w
@user-ow9fs8gt5w 2 жыл бұрын
세금뜯어서 저소득층 복지해주죠
@BabyPiggg
@BabyPiggg Жыл бұрын
저런 직업들은 사라져야합니다 상하차 하다가 사람 많이 죽어요
@kkim3261
@kkim3261 Жыл бұрын
인건비가 문제임.. 최소시급이 계속 오르면 오를수록 자동화는 어쩔수없는거임. 어차피 그리고 젊은사람들은 물류센터에서 거의 일 안해요. 있어도 아르바이트하는 사람이거나 알바하다가 눌러 앉은사람들 뿐이지.
@user-db9fi6xb3o
@user-db9fi6xb3o 6 ай бұрын
상하차 하는게.직업이냐 ?ㅎㅎㅎㅎ
@user-hf5gn7te6u
@user-hf5gn7te6u Жыл бұрын
와우 쩐다
@mfd9391
@mfd9391 2 жыл бұрын
쿠팡은 로켓으로 해주니 빠르던데, 중국집도 미사일로 배달하는 곳도 있었음.
@mreverything1844
@mreverything1844 2 жыл бұрын
와~👍👍저런 시스템을 만드는 인재들 덕분에 인류가 발전 하네요..! 국민 기본 소득이 이제는 시행 되어야 하고 기업에 더많은 지원과 투자를 해줘야 한다고 봅니다. 대단 합니다. 소비가 있어야 기업도 유지가 되니 서로 공존하고 균형을 잡는 시스템도 시급하네요!
@user-dq9ij5cc8i
@user-dq9ij5cc8i 2 жыл бұрын
기본 소득 받으려면 기업에다 돈 뜯어야 하는데 그걸 어느 기업이 줍니까 ㅋㅋㅋ 다 다른나라로 법인 이전하고 말지. 그리고 돈 찍어서 만들면 슈퍼인플레이션입니다.
@mreverything1844
@mreverything1844 2 жыл бұрын
@@user-dq9ij5cc8i 일론 머스크도 기본소득을 도입 하지 않으면 안된다고 합니다. "앞으로 로봇 보다 더 나은 인간은 없다" ai의 발전으로 대규모 해고가 닥칠 거라고 했죠 미래학자도 이미 그렇게 갈 수 밖에 없다고 하죠..인간은 이제 노동으로 부터 멀어지는 것이 자연스런 현상 입니다.
@AIpha7387
@AIpha7387 2 жыл бұрын
@@user-dq9ij5cc8i 기업들 다른 나라로 튄다~ 법인 이전한다~ 이러는데 전세계가 다 그렇게 될겁니다
@Igdrasil-
@Igdrasil- 2 жыл бұрын
@@user-dq9ij5cc8i 그런데 그 다른 국가까지 기본소득 시행 중이라면?
@ceterisparibus5557
@ceterisparibus5557 2 жыл бұрын
시기상조
@turbo-s9178
@turbo-s9178 Жыл бұрын
진작에 로봇이 빨리 도입이 되었어야했다고 생각했습니다.
@juesb005
@juesb005 2 жыл бұрын
그냥 봐도 혁신적이다. 관리인 몇명만 있어도 돌아가겠네
@Tonyoh007
@Tonyoh007 2 жыл бұрын
드디어 발명햇구나.. 이제 상하차는 전설이 되겟군 ㅋㅋ
@IsaccNewten
@IsaccNewten 2 жыл бұрын
자동화 된다면 저기서 일하시던 분들은 일을 잃게 되긴 하겠지만 효율은 엄청 증가하겠네요..
@LCH0228
@LCH0228 2 жыл бұрын
상부에 레일만들고 하는건 배송물건이 가벼우니 가능한거겠죠 저 방식말고도 2:17 같이 선반에 제품을 쌓아놓고, 각위치에 번호가 부여되고, 사람대신 로봇이 찾아서 보관하고 찾아옵니다 독일의 자동차 부품업체인 보쉬사가 그런 창고 구축했구요 미국의 어느 도서관이 그렇게 구축했습니다 밑에있는것 까지 뺄필요도 없구요 리프트가 지게차형태인가라서 무거운짐도 가능합니다 또한 창고, 분류, 포장, 상하차, 배송까지 돈있으면 인력이 아예 필요 없습니다 단점은 어마무시한 비용이 들어가는것이구요 중간에 사람필요한건 아직 기계를 못믿어서 이거나 돈이 없어서 시스템구축을 못하는 겁니다 근데 아직 돈있어도 하기 힘든것이 있습니다 정해진 물건은 상관이 없는데... 개별적인 배송은 처리하는 시스텀구축에 돈이 너무 많이들고 높은 기술을 요구하여 비효율적입니다 지금 사람들이 배송과 상하차하는것... 초기의 시스템구축비용이 너무 많이들어가서 인겁니다 배송사나 판매업체들이 규모가 커지면 자본금이 생겨서 저런 자동화시스템을 도입합니다 하지만...저것이 썩...좋은것은 아닙니다 일자리가 사라져요 소비자가 돈이 있어야 소비를 하죠 시스템구축비는 물건값에 반영될것이구요
@user-qm5tc7mw5e
@user-qm5tc7mw5e 2 жыл бұрын
일자리 감소에 대한 문제는 잠깐일것이라 생각됩니다. 단순한 업무를 기계가 맡는 만큼 인간은 단순노동이 아니라 지능을 써야하는 일자리로 발전하게 될테니 인류의 발전에 있어서 가속할 수 있도록 도와주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user-fb8id9mc6k
@user-fb8id9mc6k 2 жыл бұрын
내가 주문하는 택배만 예전 보다 느려진건가ᆢ 예전엔 로켓배송 그런거 아니어도 보통 2일내로는 웬만한 주문상품 다 받아볼 수 있었고 간혹 3일이면 오히려 늦는축에 속한 편이였는데ᆢ 요즘은 주문 후 발송이 바로 되긴 하는지 따로 확인도 해야하고 그런거 아니면 4~5일이 보통 배송준비만 일주일이 넘는 곳도 있어서 기다리다 주문 취소하는 일도 많아졌죠. 특히 의류들ᆢ
@user-by7sm3vc7t
@user-by7sm3vc7t 2 жыл бұрын
하지만 이게 상용화 되기전까진 많은 시간이 필요 할거란거..
@user-us1rx5yb3m
@user-us1rx5yb3m 2 жыл бұрын
나중에 달인 이런거 나오면 기계 VS 인간 물류택배편 나오겠네요
@hhj3753
@hhj3753 2 жыл бұрын
5:20 나오는 "슈어소트"라는 장비 국내에는 우리회사가 납품 및 설치 하고있는데 여기서 보게 되다니 ㅋㅋ
@Miwon_ri
@Miwon_ri 2 жыл бұрын
일본계 회사?
@hhj3753
@hhj3753 2 жыл бұрын
@@Miwon_ri저 제품은 미국 회사 제품이고 우리나라에 납품, 관리는 우리회사에서 합니다. 일본계 아니고 100% 국내회사입니다
@Bamboodog
@Bamboodog 2 жыл бұрын
잘보고갑니다
@Ljsslab
@Ljsslab 2 жыл бұрын
지역 대한통운에서 상하차 하는데 물량엄청납니다 소터좀 개편되면 좋겠다 생각했는데 이런것도 나왔군요
@rreinhardt2393
@rreinhardt2393 2 жыл бұрын
당장 실업 걱정부터 하셔야...
@user-yo3hv5jm7r
@user-yo3hv5jm7r Жыл бұрын
다만 대부분의 자동화 시스템은 문제가 생겼을시 너무 많은 시간이 소비되는게 문제겠네요
@user-yy5ej1iu5c
@user-yy5ej1iu5c 2 жыл бұрын
러다이트 논리로는 기술혁신을 막을수 없죠
@BlueMoon_90
@BlueMoon_90 2 жыл бұрын
와 ㄹㅇ 혁신이네
@tesla.korean
@tesla.korean 2 жыл бұрын
물류쪽은 거이 자동화 수준이군요. 로봇택시 상용화 멀지 않은듯~
@jhs3403
@jhs3403 2 жыл бұрын
와 저렇게까지 자동화 되어있는줄 몰랐다
@user-pr6fy5ol5z
@user-pr6fy5ol5z 2 жыл бұрын
와우
@thomgrey698
@thomgrey698 2 жыл бұрын
yoox도 저렇게 관리하던데 보고 깜놀했음ㅋ
@Deerfoxx
@Deerfoxx 2 жыл бұрын
'단순', '반복' 이 2가지 단어로 정의될 수 있는 직업들은 향후 모두 사라진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미 기계와 로봇이 그런 일들을 많이 대체해왔는데 이제는 AI라는 사고와 판단력이라는 능력까지 얹은 덕분에 그 영역은 갈수록 넓어진다고 보면 될 것입니다. 그러면 인간은 뭘 먹고 사냐고 할수 있지만 의외로 앞으로 인구가 줄고 남아도는 게 일자리입니다. 특히 3D 업종에 감정소모 심한 포지션들이 먼저 채워지기 때문에 쌍팔년도 SF도 아니고 기계가 우리를 멸망시킬 것이다!!! 같은 생각은 지금 시점에서는 그야말로 설레발.
@user-qu9ij6lm5i
@user-qu9ij6lm5i 2 жыл бұрын
일자리 남아돌지 않습니다. 그건 일부 고성능 사람들 에게만 한정된 말이고 저성능 즉 저 영상에서 말하는 반복적이고 단순한 코드만 입력해주면 누구나 할수 있는 그런 일들은 빠른 시간내에 기계가 대체할거고 그런 일들로 먹고 살던 사람들은 농담 아니고 진짜로 본인들 먹고 살길 생각해야 합니다. 그런 사람들은 저성능으로 불리니까요. 스마트폰이 세계를 지배하는건 10년이 걸리지 않았습니다. 변화라는건 생각보다 빠르고 조용하게 일상속에서 옆에 자리를 차지합니다. 이미 스마트폰이라는 기계가 지배하는 마당에 무슨 일자리가 남아돈다는건지 ㅋㅋㅋ 지금 그림이나 글쓰기 조차 ai 한테 시켜서 그림그리고 글쓰게 하는것도 가능해요 생각보다 진짜 빠르게 기계들 고성능화 되어가고 있습니다.
@sollchung72
@sollchung72 2 жыл бұрын
@@user-qu9ij6lm5i 더 나아가서는 사람들이 현재와 같은 노동관념의 직업 자체가 사라질걸로 보임..미래 직업은 창작,예술,스포츠같은 직업만 남을걸로보고 또한 대부분의 사람들은 기본소득으로 살아갈거라고 보네요
@user-oj7xz9lj3u
@user-oj7xz9lj3u 2 жыл бұрын
@@sollchung72 창작? 풉~ 소설.그림...ai쓰는거 몰라요?
@user-oj7xz9lj3u
@user-oj7xz9lj3u 2 жыл бұрын
똑똑한 척은 다하고 ..다 틀렸네....ㅋㅋ아니 왜 자기만에 생각을 일반화 시켜서...결론을 내리는건데? 일단.... 뭘 먹고 사냐고 할수 있지만? 이라구요? 저기요....지금 사람들은 뭘먹고사는 문제때문에 고민하는게 아닙니다..어떻게 먹고 사느냐로 고민하는거지.... 일단 이걸 먼저 구분할줄 알아야 하는데...ㅡ,.ㅡ;; 좀 답답한 감이 있네요.... 그리고 인구가 줄고 남아도는게 일자리라고요? ......기본을 모르시네요...... 지금 빈곤국가들....식량난은 인구대비 식량이 부족해서 인가요? 아니죠...ㅋㅋ 그리고 대체 어떤 사람들이 기계가 우리를 멸망 시킬거라고 ..두려움에 떨며 ....설레발을 치고 있나요? 누가요? 님이야 말로 너무 쌍팔년도식 접근 아닌가요? ㅋㅋ
@user-ms4rr7cy4d
@user-ms4rr7cy4d 2 жыл бұрын
저 이 시스템이면 물류창고에 제품을 구비해 놔야하니. 판매자한테 미리 사서 창고에 저장해 놓는건가요?
@rd_kj47
@rd_kj47 Жыл бұрын
쩐다..
@user-rx3ck3pb4x
@user-rx3ck3pb4x 2 жыл бұрын
와우 기술이 정말 많이 발달했구나
@user-ds4qq3kn7f
@user-ds4qq3kn7f 2 жыл бұрын
4차 산업혁명 자체가 거의 이런식임 사람의 개입을 최소화시키고 거의 대부분의 일을 기계가 한다. 갈수록 일거리는 줄어들고 사람들은 일거리를 잃어 가겠죠.. 근데 줄어드는 건 시간투자 대비 돈을 버는 일들이 사라지는 것이고 오히려 컨텐츠나 아이디어 투자로 인한 일거리는 늘어나고 있음. 산업 전반에 있어 시간들여 노동력을 투자하는 직업이 점점사라지고 미디어와 가상현실을 이용한 컨텐츠 산업쪽으로 사람의 직업이 바뀌는 것임 생각의 범위를 바꾸지 않는 다면 지금 자기 자식에게 시키는 공부가 아무 쓸모도 없는 시간 낭비가 될가능 성이 높은게 지금의 현실이고 자식이 잘 살기를 바란다면 부모가 좋은 학원 알아볼게 아니라 4차 산업혁명이 뭔지 주 컨텐츠와 새로운 직업군이 뭔지 알아보고 아이가 흥미를 느끼는 쪽으로 길을 잡아 주는 것이 자기 자식 잘살게 만들어 주는 것임을 명심하자 공부 잘해서 성공하는 시대는 진작에 끝났음.
@zerowon
@zerowon 2 жыл бұрын
나중에 자율 주행이 상용화 되면 택배 발송 과정 까지도 사람 없이 로봇이 자동으로 소비자에게 발송 하겠네요
@user-lk5ys7qp5j
@user-lk5ys7qp5j 2 жыл бұрын
혁신이다...
@Soso-vj9vm
@Soso-vj9vm 2 жыл бұрын
택배상하차 로봇이 가능하긴 한건가?… 허브허브 간 구간기사인데 모양 크기 다 재각각인데 과연 로봇이가능할라나…
@sollchung72
@sollchung72 2 жыл бұрын
아마 로봇이 적재를 하려면 상자를 균일하게 해야겠죠? 그런데 이미 아마존은 일부지역에 드론택배를 실시하고 있고 현대도 4족보행 택배로봇을 만들고 있습니다 자율주행이 상용화 되면 로봇이 차에 몇대나 십몇대가 타고 있다가 일시적으로 내려서 해당 물건을 가까운 건물에 택배를 한다는데요 그렇게 되면 굳이 박스포장도 사라질수도 있다고 보는게 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한 규격 상자로 물건 배달하고 로봇이 빈통도 수거하는 방법으로~ 아 물론 상자에도 다 칩이 내장되어 있어서 분실 위험은 없을거라고 보고요, 훔쳐가면 절도로 고소당할테니 훔쳐가진 않을거구요
@cir3939
@cir3939 2 жыл бұрын
쿠팡에서 하는 행태를 봤을때에는 아직은 인건비가 기계 운용비보다 싼 편입니다.
@Ycmjg37143
@Ycmjg37143 Жыл бұрын
근데 지금 저런 구조가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게 쿠팡의 로켓직구라고 합니다. 12. 13 14:00 Coupang Global LLC 해외출고 12. 14 01:10 Coupang Global LLC 항공기출발 12. 15 10:19 인천통관장(직영) 항공기도착 12. 15 17:09 인천통관장(직영) 반입 12. 15 22:19 인천중직영(태수한) 집하처리 12. 15 17:09 인천통관장(직영) 반출 12. 16 12:52 서울강동강일 배송출발 12. 16 16:31 서울강동강일 배송완료 인천통관장에서 통관작업 마친 뒤 중간과정이 없고 바로 배송지역으로 오는 겁니다.
@user-ps4yu6qy2f
@user-ps4yu6qy2f 2 жыл бұрын
인류학적으로 단순노동은 기계가 하고 인간은 창의적인 발전에 노력하는게 맞고 먹고사는 문제로는 일자리가 없어 복지만 바랄 뿐. 결국 돈 번 기업들 세금 왕창 올리는게 그나마 가장 빠른 대책.
@user-sp6bh5qj5p
@user-sp6bh5qj5p 2 жыл бұрын
추석전 택배 상하차 하루했다가 3일 앓아누운 1인.. 이거보니 이젠 AI, 기계가 다 대처할듯 싶다.
@space_rabbit
@space_rabbit 2 жыл бұрын
풀피먼트가 지그제그.. 하루배송 넘 좋아.. 새벽에 지역서브도착이라 아침배송...
@user-ie8vt4lm1l
@user-ie8vt4lm1l 2 жыл бұрын
고등학교 졸업후 바로 군입대 2년뒤 제대하고 여행하며 놀려다보니 급전이 필요해 당일지급 해준다는 야간 택배 상하차를 3달간 했죠… 김치박스 트랙 타고 내려오다 터질 때나 무거운 물건 상차 할때마다 공부가 가장 쉬운 길이구나 깨닫게 해준 일 그 덕에 여행 안 가고 2년 미친듯이 공부해서 좋은 대학 나와 번듯하게 직장 다니면서 살고있습니다. 아직 도입 되지 않은 곳들이 많으니 공부든 다른 일이든 동기부여나 삶의 자극을 얻고 싶은 분들이 있다면 상하차 알바 추천드립니다
@sdfagffsdfasdf45626
@sdfagffsdfasdf45626 2 жыл бұрын
쩐다....
@user-cm8sq2ht9d
@user-cm8sq2ht9d 2 жыл бұрын
미래에는 하루 3시간 씩 3일만 일하는 시대가 온다던데 맞는거 같아요.
@saint7672
@saint7672 2 жыл бұрын
아뇨. 3시간조차 일하기 싫어해서 자동화 시킬겁니다. 지금 미국만봐도 일자리는 넘쳐나는데 일할 사람이 없다는게 문제에요....;; 시급을 올려도 일을 안해요... 노동 거부 많아질 겁니다... 하루 3시간 노동조차 거부하게 될겁니다...
@mingookang7732
@mingookang7732 2 жыл бұрын
귀엽고, 앙증맞고, 가벼운 물건만 있으면 상관 없는데, 무겁고, 우람한 물건들이 더 많음 ㅋㅋㅋ
@user-qw6rd5dg6j
@user-qw6rd5dg6j Жыл бұрын
이런시스템이 있는곳이 손가락 꼽을정도라는게 문제..대부분 헬이죠..
@BBaGeTe
@BBaGeTe 2 жыл бұрын
너무 큰 건 어렵겠군용 박스에 들어갈 정도의 크기만 가능하겠군요
@jaehyunglee1992
@jaehyunglee1992 2 жыл бұрын
저건 다 초기 자본이 엄청 들어요. LG CNS에서 하는거죠. 저거 말고 간단히 해야 돈을 벌죠
@snipperon
@snipperon 2 жыл бұрын
그때까지 유예기간이 있는거죠.. 인건비가 초기 자본을 넘는 순간 기존 노동력은 대부분 로봇으로 대체될거고요
@Melina-ns9fm
@Melina-ns9fm 2 жыл бұрын
어쩐지 금욜인가 토욜에산게 월욜에 바로옴
@chysjjang
@chysjjang 2 жыл бұрын
저게 모든 물류센터에서 지금 벌어지고 있는 일은 아직 아닙니다만 향후 5년안에 로봇처리의 증가와 필요 노동력 감소가 동시에 일어날 확률은 매우 높은 편입니다
@kkim3261
@kkim3261 Жыл бұрын
@@user-kk6yw8xc6x 로봇도 어차피 전기쓰는데.. 석유같은걸 쓰는게 아님
@dnejsjdjnd
@dnejsjdjnd 2 жыл бұрын
일자리에 대한 걱정은 어쩔수 없을것 같다.. 지금 택배로 먹고 살고 있는 남성분들에게는 어쩌면 청천벽력같은 이야기일수도.. ㅜ
@user-lu1mm3md6x
@user-lu1mm3md6x 2 жыл бұрын
아래물건 꺼내기 위해 로봇이 테트리스한당 ㅋㅋㅋㅋㅋㅋ 쿱파가 풀필먼트인건가? 오늘 시키면 내일 로케트처럼 갖다주는거보면...
@randy20246
@randy20246 2 жыл бұрын
맞아요 그리고 더 나아가서 택배를 대신해서 배달해주는 로봇이 나올꺼다 라는 말도 있어요
@Panda_A
@Panda_A 2 жыл бұрын
@@randy20246 말씀하신 것도 이젠 거의 다 개발이 완료되어가는 듯 합니다. 군집주행과 자율주행 각각은 아시다시피 상용 바로 전 단계이거나 이미 상용화 되었죠.. 이 두 개가 합쳐진다면 물류 운송도 사람이 개입할 일이 더 없어질 것 같아요
@sollchung72
@sollchung72 2 жыл бұрын
@@randy20246 그건 이미 아마존이 드론택배를 일부 지역에 하고 있죠 더 나아가 현대도 택배로봇(개 처럼 4족 로봇)을 만들고 있고, 자율주행이 상용화 되면 바로 출시가 가능한 시점이라더군요
UFC 302 : Махачев VS Порье
02:54
Setanta Sports UFC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когда достали одноклассники!
00:49
БРУНО
Рет қаралды 3,9 МЛН
특이점이 온 2021년 야쿠르트 카트! 정말 로봇 될 기세 /스브스뉴스
2:42
2억짜리 로봇이 찌개 끓여서 갖다주는 8천원짜리 백반집
14:03
당신이주인공
Рет қаралды 2,1 МЛН
UFC 302 : Махачев VS Порье
02:54
Setanta Sports UFC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