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환경|'공유지의 비극' 인간이 해결하지 못할 지구 문제, 지구온난화

  Рет қаралды 512,106

이응디귿디귿

이응디귿디귿

8 ай бұрын

티빙에서 스트리밍 : tving.onelink.me/xHqC/30a78d6f
#알쓸별잡 #알아두면쓸데없는지구별잡학사전
#장항준 #김민하 #이동진 #유현준 #김상욱 #심채경
지구별 수다여행 6일 차
별난 지구, 별난 도시에서 펼쳐지는 소중한 우리 지구 이야기!
〈알아두면 쓸데없는 지구별 잡학사전 - 알쓸별잡〉
🌟매주 [목] 밤 10:30 방송 | tvN
#티빙에서스트리밍

Пікірлер: 617
@woof_woof_woof_woof
@woof_woof_woof_woof 8 ай бұрын
대한민국 전기 생산 중에 가정에서 사용하는 건 15%밖에 안 됨. 실제로 가장 많이 사용 하는 건 산업용, 대략 50% 그 외로 공공시설 이런 게 많이 사용하는 거지 실제로 가정에서 사용하는 양을 그렇게 많지 않아. 산업용이랑 가정용이랑 다 합한 양을 인구에 비례해서 나누다 보니 다른 나라보다 많이 사용하게 보이는 수학적, 통계적 속임수임. 현실을 외면하고 그냥 국민한테 책임 전가하는 것 밖에 안 됨. 마치 IMF때 처럼. 이렇다 보니 가정에서 백날 아껴봐야 실제로는 그 결과가 미미할 수 밖에 없음. 그리고 산업전기는 아끼는 순간 국가 경쟁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뭐라 할 수 가 없음. 그냥 현재로서는 아끼는 것 보다 친환경적이고 안정적인 전기 생산 방법을 찾는 방법 밖에 없음. 국가를 위해서는
@snu-economics1997
@snu-economics1997 8 ай бұрын
@@humanplusscience4449 예?ㅋㅋㅋㅋ님 혹시 대학은 나오셨나요?
@snu-economics1997
@snu-economics1997 8 ай бұрын
@@humanplusscience4449 세상은 넚지만 님보단 훨씬 많이 보고, 벌고, 고학력일 듯 싶네요 그리고 기업이 월급을 주니 입 닫으라? 자 그렇다면 가정용 전기량은 전체 전기소모량의 일부인데 왜 산업용전기료는 낮아지고 가정용전기는 인상되고 기업은 또 그만큼 부를 챙기는데 왜 아무말 못하는거죠? 단적으로 얘기하면 한전 채권과 전기료를 개인이 부담해야 하는데요...자 그렇다면 기업은 그만큼 세금을 내잖아라고 반론을 하실텐데 소비 주체는 소비세와 지불하는 개인입니다 그리고 기업들은 혜택과 정부지원으로 그만큼 돌려받아요
@taesungpark2170
@taesungpark2170 8 ай бұрын
@@humanplusscience4449 아이고 답답혀.. 넌 좀 닥쳐라.
@snu-economics1997
@snu-economics1997 8 ай бұрын
@@humanplusscience4449 갑자기 태세전환 말장난이 심하시네ㅋㅋ 그리고 세계 전력소비량으로 보면 다 함께 쓴 전기 맞지 근데 기업은 이득을 취하고 그 부담 비율은 개인에게 떠 넘기고 있는데 "기업에서 월급주니까" 라는 근로소득과 같이 보는 단순한 논리부터 틀렸는데 왜 자꾸 우기냐ㅋㅋ
@snu-economics1997
@snu-economics1997 8 ай бұрын
@@humanplusscience4449 인정했대ㅋㅋㅋ이야 임마 이거 제대로 정신승리 멍청하네 본질을 피해가고 산업원리로 넘어가네 그게 왜 나오냐? 대량생소 ㅋㅋㅋ그 옛날 이론 들먹이지 마 제발 그거 현실과는 동 떨어진 이론이야 경제이론도 얼마나 자주 바뀌고 결국에는 흐름인데 초중등 이론을 갖고오노ㅋㅋㅋ아직도 산업시대 얘기를 해야 되네 와나 ㅋㅋㅋㅋㅋㅋ대체 얼마나 과거에 살고 있는거야? 산업시대와 현재와 같냐? 제발 멍청한 소리 좀 하지마.... 지금 너의 논리는 "전기로 니들 월급 주고 생활하는 거야" 라고 그냥 우기는 거야... 이게 언제적 뒤 떨어진 사고방식이냐... 기업도 뭣도 없을 시대를 얘기 해야 하나 진짜 못 배운 사람과는 대화를 못하겠다 토 하겠다 어디서 주워 들은 건 있어서 신념만 생겨 가지고...
@majorslee9603
@majorslee9603 8 ай бұрын
석탄이 특정한 시기에 썩은 나무가 된다는건 여기서 배우네요..그냥 나무가 석탄이 된다는 것만 알았지,그게 특정 미생물이 없던 수억년전의 나무만 해당 된다니.들으면서도 신기
@joda1223
@joda1223 8 ай бұрын
정확하게 이야기하면 썩지않은 나무가 쌓인거죠 ㅋㅋㅋ
@wtsnu
@wtsnu 8 ай бұрын
생나무가 어떻게 석유가 된 건지 항상 핵심이 없으니 이렇게 썩어서 된거라 할수밖엔ㅋㅋㅋㅋ
@protasteagent
@protasteagent 8 ай бұрын
​@@wtsnu같은 영상을 보고도 헛소리하는 애들이 있다는건 참신기해 석유 이야기는 나오지도 않았는데 그건 니 뇌에서 새로 생성한거야?
@user-eo9oq8wb8s
@user-eo9oq8wb8s 8 ай бұрын
@@wtsnu석유는 어디서 나온거니....우리나라 이해력 심각하다
@user-cp3kh6ze7c
@user-cp3kh6ze7c 8 ай бұрын
​@@wtsnu영상을 봐도 이해 못하면 문해력을 넘어 그 이상의 뭔가가 있는 듯
@bf5676
@bf5676 8 ай бұрын
기후도 위험하고ㅠㅠ 문제는 가뭄으로 식량위기도...점점 끔찍해져요
@Happy_umami
@Happy_umami 8 ай бұрын
스벅도 일년에 한번만 텀블러를 만들었음 .. 매시즌 매번 사서 모으라고 만드니 집집마다 텀블러가 차고 넘치는
@user-eh8vr6lu6s
@user-eh8vr6lu6s 4 ай бұрын
누가 다 사라한적도 없는데 남들다있는데 자기만 없긴 싫으니 하다하다 스타벅스한테 조금만 만들라하노
@penguinman7961
@penguinman7961 3 ай бұрын
시즌마다 나오는걸 매번 사요? 박물관이라도 차리려고 하시나
@PANSTASHAWAII
@PANSTASHAWAII 3 ай бұрын
누가 사라고 칼들이댄거 아니면;;; 스벅이 뭐 기후 망치려고 만든 기업도 아니고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qr2lo2jk8l
@user-qr2lo2jk8l 3 ай бұрын
이런 저능아들이. 쪽팔린줄 모르고 자랑거리인줄 알고 떠벌리고 다니는거 보면 지구멸망이 당연해보임
@prococonut
@prococonut 3 ай бұрын
​@@penguinman7961 그 시즌마다 나오는 텀블러 사려고 줄서더라. 매장마다 수량이 있는데. 그거 대부분은 그냥 지나치는데 꼭 사는 사람이 있음. 품질? 별로.. 브랜드 로고 하나로 미친가격에 팔고 있어
@ktjtop
@ktjtop 8 ай бұрын
개인당 1인 전기 사용료 1위라는 이야기는 산업용전기까지 포함시켜서 나타낸 수치입니다. 가정용만 따지면 OECD 38개국중 26위라고 합니다. 지구온난화에 대해 경각심을 위해 강조하는것은 좋으나 잘못된 팩트로 전달하는 오류는 정보프로그램에서 지양하지 않는것이 좋게습니다,.
@skavud1
@skavud1 8 ай бұрын
산업용 전기도 포함하는게 합당하지 않아요? 결국 기업이 에너지를 써서 얻는 이득을 그 나라 국민들도 얻는 거잖아요. 쉽게 말해 삼성이 전기 써서 반도체 안 만들면 우린 뭐 먹고 살죠?
@gomayoo
@gomayoo 8 ай бұрын
기업과 국민을 떼어놓고 생각할 수 없죠. 기업 다녀서 가정을 지탱하는 수많은 사람들도 전기 소비에 빚지고 있는 게 맞아요
@9IX9IX
@9IX9IX 8 ай бұрын
산업용 전기료가 낮아서 기업들이 전기를 아끼지 않는 것. 대한민국 정부와 대한민국 국민 그리고 대한민국 기업 모두가 신경써야하지 않을까요.
@Tofu_Seller
@Tofu_Seller 8 ай бұрын
지양하지 않는다는건 지향한다는 소린가요?
@skavud1
@skavud1 8 ай бұрын
@@Tofu_Seller 지양해야 한다를 잘못 쓰신 듯 합니다
@Yuiuiovfjk
@Yuiuiovfjk 8 ай бұрын
와...!!☺️정말 유익하고 재밋어요! 우주에서온 전기라니...
@charleskim3072
@charleskim3072 8 ай бұрын
음.... 우주의 구성 물질 중 최소 단위라고 하는 원자 = 중성자(0)+양자(+) + 전자(-)의 전기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 입자들고 구성 된 또 다른 입자입니다. 사실 우주 자체가 거대한 전기적 특성을 갖는 공간이에요. 인간이 인위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기가 1~2백 전에 발견 된 후 전기장치를 발명한 것 뿐이지, 원래 전기는 인간이 어쩌구 저쩌구 한게 아닙니다. 그냥 우리는 전기를 활용하고 있을 뿐입니다.
@PANSTASHAWAII
@PANSTASHAWAII 3 ай бұрын
@@charleskim3072 어쩌란거임;;;;;; 저 사람이 뭐 전기를 인간이 발명했다고 함???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SW-uf8xd
@SW-uf8xd 8 ай бұрын
볼때마다 유익하면서 잼있는 얘기를 많이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2theMOON_k
@2theMOON_k 8 ай бұрын
2:45 3억년전 나무는 최초로 리그닌과 셀룰로스라는 것을 생성하여 몸체를 보호하였고, 이를 분해할 미생물도 없었던 시기라 썩지 않고 매장되어 석탄이 되었다.
@user-zf8rg8iq6i
@user-zf8rg8iq6i 8 ай бұрын
재미있고 유익한 정보여서 자주 보게되는 프로그램입니다. 추가적인 정보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해서 탄산음료를 만드는건 맞습니다. 다만 그 양이 많이 필요하지 않다는 것이구요. 석유를 캔 빈 공간에 이산화탄소를 묻는 것은 미국에서 다른 나라에서는 가스를 캔 빈 공간에 묻어요. 다만 지진같은 것은 장기적은 데이터를 근거로 연구한후 안전한 곳에 저장합니다.
@martha3521
@martha3521 8 ай бұрын
똑똑한 사람들의 대화는 유쾌해요
@user-sl3uh8jf7l
@user-sl3uh8jf7l 8 ай бұрын
07:10 이거 잘못된 정보입니다. 많은 언론사 등에서 한국의 1인 전기사용량은 OECD국가 38개국 중 8위(1만 131 kWh)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거나 전체 전기사용량을 국민인구수로 나눠서 '1인당 전기소비량이 세계 3위수준이다'라고 발표하는데 이것은 가정용+산업용 전기를 모두 합한 수치로 OECD 평균 7,101 kWh 보다 높게 나온것 뿐입니다. 우리나라 2022년기준 전기사용량 비중을 보면 산업용 54%, 일반상업용 23%, 가정용이 15%, 농사용 4%, 기타 4% 입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가정용'만 따로 봐야한다는 것입니다. 우리나라 가정용 1인당 전기사용량은 1,304 kWh로 OECD 국가 가운데 26번째 입니다. 미국과 캐나다 등과 비교하면 1/3수준에 불과하고 OECD 평균수치인 2,213 kWh보다 낮습니다. 교수님이 말한 독일도 가정용 1인당 전기사용량은 우리나라보다 더욱 높습니다. 왜 우리나라 언론들은 1인당 전기사용량을 따질 때 산업용을 교묘하게 합쳐서 계산합니까??? 얼마나 언론사들이 국민들을 단순하게 생각했으면 OECD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검색되는 '간단한'정보조차 왜곡할까요?? 교수님마저 그 정보를 믿을정도로 왜곡보도 심각합니다. 우리나라 언론사들은 국민들을 '개돼지'로 아는듯합니다.
@user-mu6pr8pu3l
@user-mu6pr8pu3l 8 ай бұрын
저도 그부분을 보고 실망스럽더군요 우리국민들이 마치 전기를 펑펑쓰고 있는거라 각성해야하는듯한 뉘앙스로 마무리 하는데 진실은 그게아니죠. 미국만 봐도 대부분의 국민들이 빨래를 전기로 말립니다.
@poby_polar_bear
@poby_polar_bear 8 ай бұрын
IMF의 원인은 국민들의 과소비라는 것과 똑같은 가스라이팅
@34Park
@34Park 4 ай бұрын
전체사용량을 가지고 비교하는게 맞지 않나요? 흔히 국가의 소득수준에 대해서 이야기 할때도 GDP 가지고 얘기하듯이
@youngwongpark6076
@youngwongpark6076 3 ай бұрын
​@@34Park영상은 개인이 펑펑 쓰는 것 처럼 말하고 있고, 그렇게 말하려면 기업용 / 개인용 사용은 구분해줘야죠.
@minwooidd
@minwooidd 3 ай бұрын
@@34Park 누진세가 있는데 어떻게 가정에서 펑펑써요;;; 해외에 누진세없는곳들이나 펑펑쓰죠 소득수준에 비해서도 적게쓰는편이죠 oecd 나라들이랑 비교하는거니까요
@user-hl4hl8ru3t
@user-hl4hl8ru3t 8 ай бұрын
지구 환경을 지킨다고 하면서 에코백이나 텀블러 수집하는 사람들 보면서 참 답답했는데 이렇게 방송에서 말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gc6se7jq5j
@user-gc6se7jq5j 8 ай бұрын
반절은 환경을 지키는 나 라는 타이틀에 심취한거라고봄
@yl7494
@yl7494 8 ай бұрын
@@HIDEKILLER83 일반 서민이 해결 할수 있는 댠계를 지났다는것에 매우 동의합니다만 그런 접근 방법으론 결국 아무것도 해결할수 없을겁니다. 영상에서도 텀블러를 들고다니는 '유권자'라는 표현이 나오는데 결국 구성원 다수가 표현하고 동의하고 반영하고 적용되어야 할 문제인데 나 혼자 해봐야 별 의미없고 기업, 국가, 정부에서 해결해야 한다는 마인드 자체가 굉장히 위험하다고 생각합니다. 그 기업 국가 정부도 민주주의던 자본주의던 결국 일반 서민 다수가 원하는 방향으로 갈테니까요. 까지가 아름다운 주장이고 게임이론이나 죄수의 딜레마 개념에서 보면 솔직히 해결 못하고 서서히 망하는것으로 결론이 날거같습니다.
@kim.serenaemery7569
@kim.serenaemery7569 8 ай бұрын
환경문제는 경제 고리를 바꾸지 않는한 안됨.. 이제는 친환경도 마케팅 처런 보이고, 친환경은 비용이 들 수 밖에 없어서 이 것도 기득층이 누릴 수 있는 행동이라고 봄 서로 돈을 벌 수 있능 시스템 자체를 바꿔야함
@mhur718
@mhur718 2 ай бұрын
박사님! 해양에 온도변화는 어떻게 생각하세요? 지금 바닷가에 많은 원자력 발전소들이 해양에 잉여되는 열들을 배출하고 있는데 해양에 있는 탄소 배출은 얼마나 될까요?? 미미하게 영향일 뿐일까요?
@user-ff2of2yb1t
@user-ff2of2yb1t 6 күн бұрын
전력 이용해서 청정 수소 생산하고 수소를 저장했다가 풍력과 태양력이 미약할 때 연료전지를 쓰면 되지 않을끼요?
@hahaha4390
@hahaha4390 8 ай бұрын
1인당 에너지 소비 1위라....물론 에너지를 줄여야 한다는건 맞는데 개인 에너지 소비는 선진국에선 절대적으로 낮다고 본거같네요....기업들이 전기요금이 싸서 전기를 많이 쓰는거지 일반인들은 전체 전기 에너지중 20프로도 차지 하지 않는다고 교과서에서도 배움
@user-rc7oo6tg8f
@user-rc7oo6tg8f 8 ай бұрын
그 기업들도 다 국민들이잖아 그 기업들이 전기를 써서 니가 입고쓰고자고 있는건데 기업과 지랑 상관없단듯이 얘기하네
@humanplusscience4449
@humanplusscience4449 8 ай бұрын
그 기업이 당신에게 월급 주니까 당신이 먹고 사는 거 아뇨?
@chipmunkmoleskin1033
@chipmunkmoleskin1033 8 ай бұрын
@@humanplusscience4449 그런 취지가 아니라, 개인이 가정에서 줄이는 것만 강조하니까 하는 말이잖아요... 효과가 미미하니까 그건.. 사적인 소비가 크다는 식으로 책임 돌리기 하니까..
@Denverian
@Denverian 8 ай бұрын
​@@chipmunkmoleskin1033기업들 상품을 적게 구매하고 서비스 사용을 자제하면 기업이나 서비스업체도 전기를 덜 사용할 수 밖에 없음. 그러면 1인당 전기 사용료가 줄어듬. ㅇㅋ?
@chipmunkmoleskin1033
@chipmunkmoleskin1033 8 ай бұрын
@@Denverian 그건 경제활동의 범위에 국한시킨 것이고, 가정 내 편의나 쾌적함을 위한 사용도 전부 죄악시 하는 것을 말하는 겁니다
@user-cu7is7ig8o
@user-cu7is7ig8o 8 ай бұрын
수많은 개인이 전기아끼고 난방아끼고 해봤자 한개 기업이 소비하는 자원에 비하면 택도 없다며 개인적 실천에 콧방구 뀌는 사람들이 있는데, 그럼 그 기업이 자원을 소모해서 공급을 하는 이유는 결국 수많은 개인의 수요가 아닌가? 영상 마지막 김상욱 교수님의 말처럼 사람들이 단합하여 형성한 분위기는 정부도 기업도 쉽게 무시하지 못한다
@kimyeonjung9822
@kimyeonjung9822 7 ай бұрын
4:16 모든 자동차가 전기차로 변환이 되면 2세대 전기차는 전기차 배터리를 전기 저장 용도로 쓴다고 하더군요 전기를 저장해준 비용을 오히려 차주에게 주기도 하고 집에서 밤에 완충된 배터리를 낮에 근무중에 회사 건물에 전기를 공급해서 그수익을 차주에게 주기도 한다고 합니다
@user-er6jc2qb4s
@user-er6jc2qb4s 8 ай бұрын
NASA랑 유럽일부국가 연구진들은 이산화탄소 줄이는 방법중 하나로 육지의 나무가 아닌 바다의 해초류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특히 우리나라의 김양식장에 대해 지대한 관심을 가진다더군요. 광합성은 해조류도 나무 못지 않다더군요. 인류역사상 최초로 김양식장을 만드신 우리선조들이 지구온난화에 대항 할수있는 위대한 무기를 유산으로 남겨주신게 아닐가 싶네요.
@bmhur333
@bmhur333 8 ай бұрын
핵폐수가 흘러 드니 어렵겠습니다.
@Meunuaru
@Meunuaru 8 ай бұрын
사실 지구에서 산소를 만들어내는 건 육지 나무들의 광합성보다 식물성 플라크톤들의 광합성이 더 많습니다. 해양의 광합성으로 50%에서 많게는 70% 이상을 만들어낸다고 보기도 합니다.
@hdwoo7306
@hdwoo7306 8 ай бұрын
​@@bmhur333현재 농도의 핵폐수는 해조류 생산에 큰 영향이 없습니다.
@PANSTASHAWAII
@PANSTASHAWAII 3 ай бұрын
@@bmhur333 식용일때 문제지 이산화탄소 해결방안으로 쓸 해조류 양산이라면 상관없음
@user-lm9lh1wo6j
@user-lm9lh1wo6j 19 күн бұрын
​@@PANSTASHAWAII 이산화탄소 해결용으로 만든 해조류는 처리가 안됨. 결국 태워버리면 다시 이산화탄소임
@marinavi333
@marinavi333 8 ай бұрын
미래에는 각 국 gdp의 몇 % 이상을 탄소포집에 쓰도록 국제기구가 강제하게 될 것임. 그리고 탄소포집 기술은 특허 없이 무료로 풀어서 모든 국가가 참여할 수 있도록 하게 될 것임
@mr.k1775
@mr.k1775 8 ай бұрын
근본적인 대책은 에너지 소비의 주체인 인구가 줄어야됨 전력공급도 모든집에 배터리로 축전해서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으면 낭비되는 에너지를 최소화 할수 있고 여튼 인구를 줄여야됨 현대에 살면서 에너지 소비를 줄이는데엔 한계가 있슴 비닐봉지 아낄것이 아니라 인구 한명이 줄면 그 사람 평생소비할 모든게 줄어드는거임 타노스 같은 방법을 쓰자는건 절대 아님
@PANSTASHAWAII
@PANSTASHAWAII 3 ай бұрын
배터리 축전이 얼마나 효율 떨어지는지 모름? 최신 스마트폰도 2~3 년만 넘으면 효율 개떨어짐.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더 떨어짐. 아껴쓰고 아껴써도 2~3 년이면 배터리 성능이 70 프로도 안 나옴. 근데 가정집에서 쓰는 배터리??? 하루도 쉬지않고 입출력을 해야하는데 배터리 효율 1 년 버티면 다행임ㅇㅇ
@mr.k1775
@mr.k1775 3 ай бұрын
@@PANSTASHAWAII 자빠지는 소리 하시네요 ㅋㅋㅋ 댓글 꼭 지우지 마세요 다른분들 보게 전기를 저장할수 있는 다른방법이나 있나요? 스마트폰용량을 예로 드는게 정상인의 발상인가요? 실사용에 정말 그렇게 빨리 나갈거라 생각하시는거죠? 무식하면 용감하단걸 실감하고 갑니다 전기차만해도 이미 수없는 데이터가 나와 있습니다 어서 씨나락 까먹는 소리좀 허지 마세요 모르는 사람들은 진짜줄 아니까요
@user-nr3so5nu8c
@user-nr3so5nu8c 8 ай бұрын
동진님 졸지마세요 ㅋㅋㅋ
@dnfl-Tkdtks-vbfmrp
@dnfl-Tkdtks-vbfmrp 8 ай бұрын
근데 1인당 생산량이 적든지 많든지 간에 어쨌든 줄여야하고 경각심 가져야하는건 맞지않음? 순위가 낮다고 안심해야하는건 아님
@yagunoh
@yagunoh 7 ай бұрын
너무 재밌다..과학얘기가 이렇게 재밌다니
@user-rs8cc3dz2d
@user-rs8cc3dz2d 8 ай бұрын
뭘 모르시네. 한국이 1인당 전기사용량이 높은이유가 개인이 많이써서가 아니라 기업,공장에서 쓰는게 워낙많아서 그걸 인구로나누다보니 많이쓴다고 오해를 받는거고, 오히려 한국은 아파트에 많이 모여살아서 낭비되는 전기량이 다른나라보다 훨씬 적습니다. 데이터로도 다 나와있슴.
@bruny_k
@bruny_k 8 ай бұрын
난방은 우리나라가 효율적으로 이용하는게 맞음 온돌 온돌 국뽕처럼 보이지만 미디어가 그렇게 사용하는 것 뿐이지 난방의 효율에서 온돌은 최상위임
@mindle0
@mindle0 8 ай бұрын
21년 기준 산업용이 77%로 일반용 전기보다 3배 이상 씁니다
@user-ed5ko3ix4r
@user-ed5ko3ix4r 8 ай бұрын
@@bruny_k 효율적인 측면에서는 우수한 것이 맞으나, 전기 사용량에 대한 것은 아닐 수 있다는 얘기 같습니다. 예를 들었던 내용도 계속 틀어놓느냐, 잠깐 켜두고 끄느냐의 차이를 말하는 느낌인데 아닌가요?
@user-ce4lz4jj1d
@user-ce4lz4jj1d 8 ай бұрын
그 기업 공장도 우리가 쓰고 있는거죠?
@user-ed5ko3ix4r
@user-ed5ko3ix4r 8 ай бұрын
논점은 난방의 효율을 말하는 것이 아닌 전기 사용량에 대한 내용이며, “우리나라가 전기사용 단위당 전기요금이 비교적 저렴해서 사용량이 많다.“ 이 내용인데 그리고 기업이 사용하는 전기 사용량이 많은 이유도 같은 의미의 내용이 되겠죠.. 결국 사용량이 많은 건 사실이니까요. 그리고 낭비되는 전기량은 이 부분에서 중요한 것이 아닙니다. 사용하는 것 그 자체로 소모니까요. 어찌되었든 사용하면 이산화탄소는 무조건 발생합니다. 전기 자체를 저장해서 쓴다는 의미가 아니니까요.
@user-os2eq8rj2s
@user-os2eq8rj2s 8 ай бұрын
사실 에코백 텀블러도 다 너무 많이 만들면 진짜 의미가 없죠 프로덕트를 덜 생산하고 덜 구매하는게 맞죠…
@left-handed.92
@left-handed.92 8 ай бұрын
우리나라의 1인당 전기 사용량이 높은건 산업용 전기까지 포함됐기 때문이지 않나요? 그 부분을 좀 짚어줬으면 좋겠는데...실제로 개개인이 쓰는 전기는 그렇게 많지 않습니다. 그리고 산업용 전기는 일반 전기에 비해 요금이 쌉니다. 개개인이 줄여서 될 일이 아니라는거죠.
@34Park
@34Park 4 ай бұрын
가정용 전기 사용량만 가지고 비교하는건 반쪽짜리 비교 아닌가요? 개인들이 전기를 집에서만 쓰는건 아니니까요. 출근하는데 타는 버스, 지하철에서도 전기가 사용되고 회사, 학교에서도 전기를 사용하고 식당에서 밥을 먹는데도 사용되고 개인들이 생활하는 모든 곳에서 전기가 사용되는데 이것들을 전부 포함한 걸 개인의 전기 사용량이라고 한다면 산업용을 포함한 모든 전기 사용량을 인구수로 나눈 걸 가지고 비교하는게 오히려 더 정확한 비교가 될 것 같습니다.
@jhlee3346
@jhlee3346 8 ай бұрын
사실은 가장 강력한 온난화 기체는 강제로 만들어진 수증기라던데 맞는말인가요? 아니면 강제로 수증기를 만들때 사용하는 방법에서 이산화탄소가 발생해서인가요?
@user-ft7ey3wn1k
@user-ft7ey3wn1k 3 ай бұрын
후자
@user-wr9gu8px6u
@user-wr9gu8px6u 5 ай бұрын
이산화탄소를 땅에 묻으면 다이산화탄소가 되나요?
@user-gg6ki1fj3c
@user-gg6ki1fj3c 8 ай бұрын
독서만 하는 것 보단 독서 후 독후감, 토론... 더 나아가 명상과 강의 까지 한다면 진정한 자신의 지식과 지혜가 되리라고 생각됩니다. 인간이 동물과 다른 것은 인문학 교육의 힘으로 인간적인 것이 좋은 것이라 믿는 것이죠. 인문학(세상에 없는 상상의 산물, 인간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것. 사랑 국가 화폐 민주주의 행복 종교 행복 등등..존재하지 않는 인간의 상상으로 만든 가치 ) 불쌍히 여기는 마음도 본능에서 오는 것 일수 있고 학습으로도 알 수 있죠.(굶주려보고 아파보았던 사람들) 자연 과학(우주는 빅뱅에서 왔다. 모든 것은 원자로 되어있다. 우주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 문명인 이라면 자연 과학과 인문학을 조화롭게 익히고 아무 의미 없는 우주에서 행복이라는 상상의 의미를 부여하며 찰나의 시간을 아름답게 살다 간다. 의미 부여를 너무 과하게 해서 사이비 종교나 이기적인 사랑이나 우정에 빠져서 자신을 괴롭히지 마시길 바랍니다. 김상욱 물리학 교수의 전기 넌 어디에서 왔니 kzfaq.info/get/bejne/mbqIm5aBldemhJs.html&pp=ygUJ7KCE6riw64SM 라는 강연 추천 합니다. (그외 팩트폴니스 , 민주주의란 무엇인가-kzfaq.info/get/bejne/aa2hidGntc2ccX0.html&pp=ygUM66-87KO87KO87J2Y 유시민 작가 kzfaq.info/get/bejne/g7eed6tz2bHWZGg.html&pp=ygUQ6rmA64iE66asIOq1kOycoQ%3D%3D 김누리 교수) 추천 합니다.
@user-hn3zi7os1b
@user-hn3zi7os1b 8 ай бұрын
와 멋있어요!
@Cloudland0809
@Cloudland0809 8 ай бұрын
와..지구온도 상승이 1800년부터 1초에 원자폭탄 4개씩 터트려야 가능한 수준이라는거 충격이네요
@yooej1127
@yooej1127 8 ай бұрын
저도 충격이었어요...ㅠㅠ 많은 사람들이 이 부분에 대해서 많이 아시면 좋겠어요 ㅠㅠ
@jingtsanly8434
@jingtsanly8434 7 ай бұрын
원자폭탄 1900년대에만 2000개 넘게 터뜨렸습니다. 그게 팩트고요, 지구온난화 원인은 핵폭탄 실험이지, 인간의 산유물에 의한 이산화탄소 배출이 아닙니다.
@KATE-pl1sf
@KATE-pl1sf 6 ай бұрын
@@jingtsanly8434 잠이나 주무세요
@user-kf4nx2wf9g
@user-kf4nx2wf9g 5 ай бұрын
​@@jingtsanly8434이미 수많은 논문들과 자료로 입증이 되었고 학계에서 정설이 된지가 꽤 되었습니다....
@user-dl4lt5bw3z
@user-dl4lt5bw3z 5 ай бұрын
​@@jingtsanly8434그래봤자 고직 2000개로는 지구 온도 1도도 못 올립니다
@jainb
@jainb 8 ай бұрын
그래서 수소 발전소가 하루빨리 정착을 해야되는것이죠 갑자기 바람이 잘불어서 전기를 더 신나게 만들면 수소를 더 많이 만들고 모자라면 본선에 물려서 바로 공급하고 당장 기술적으로 난해하다고 그냥 있다면....... 친환경시대로 가기 어렵겠죠
@PANSTASHAWAII
@PANSTASHAWAII 3 ай бұрын
애너지보존법칙만 봐도 '인류' 가 쓰는 애너지 생각하면 후폭풍은 절대적으로 나올 수 밖에 없음...ㅇㅇ
@user-ft3td4is6z
@user-ft3td4is6z 8 ай бұрын
좋아요.♥
@camelcrickets
@camelcrickets 8 ай бұрын
풍력발전같은 친환경 에너지는 차단할게 아니라 인근에 탄소포집장치를 만들어서 과잉생산시 탄소를 포집하게 하고 그 포집한 탄소는 시설원예 농가에서 광합성 효율을 올릴때 쓰는것도 좋은 방법이라 생각됩니다.
@user-in4uo7ix7t
@user-in4uo7ix7t 8 ай бұрын
탄소포집에는 상상이상의 전기량이 들어가서 효율이 그닥 나오진않을겁니다
@user-rw8kw7si3s
@user-rw8kw7si3s 8 ай бұрын
뭐라는거야???풍력이든 뭐든 필요한 전기만큼 생산하는게 중요한데 풍력은 전력이 필요할때 바람없으면 화력 때우고 전력이 필요 없을때 바람이 풀어서 전력이 생산 되어버리면 이걸 강제로 셧다운 시켜야되니까 생각만큼 효율적이지 않다 이건데 뭘 이딴식으로 이해함???
@Ggu777
@Ggu777 8 ай бұрын
문과식 해결방안ㅋㅋㅋㅋㅋ
@skavud1
@skavud1 8 ай бұрын
무슨 말이에요? 풍력발전할 때 탄소가 나오지 않는데 탄소를 포집하자니??
@user-in4uo7ix7t
@user-in4uo7ix7t 8 ай бұрын
@@skavud1 탄소를 에너지로 바꾸는 탄소포집장치가 있습니다
@rapidvit
@rapidvit 8 ай бұрын
전기도, 자동차도, 플라스틱도 현대 사회에서 쓰지 않고 살아갈 수 없게 되었죠. 그렇다면 이걸 좀더 친환경적이고 효율적으로 써야 하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런 이유에서 제조와 사용 과정에서 이산화탄소 배출이 높은 내연기관 자동차보다, 전기차를 사용하는게 더 좋은것이고,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자연친화적으로 전기를 만들어 내는것도 중요하죠. 다만 신재생에너지의 경우 말씀하셨듯 전기 생산이 불규칙적이기 때문에 전기를 저장할 방법도 같이 도입을 해야합니다. 그 중 하나가 ESS이고 전기차 입니다. 전기차는 단순히 "전기를 많이 쓰게되서 전기 수요가 늘기 때문에 발전소도 늘어나기 때문에 친환경적이지 않다"라고 하는데, 실제 필요한 전기의 추가 생산량은 3% 정도로 얼마 안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오히려 버려지는 전기들을 전기차에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돌아다니는 ESS, 보조배터리가 되는거라 효율적으로 전기를 활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 게다가 전기를 전기차에서 꺼내쓸 수 있는 V2L 기술은 전기차를 보조배터리로서 이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 여기에 또 한가지 활용 방법이 있는데 사람들의 인식 변환이 필요 합니다. 비트코인은 현재 한화로 3천만원 이상의 가치를 갖는 코인 입니다. 비트코인 채굴은 언제든 채굴을 하고, 끌 수 있기 때문에 불규칙적인 전력 생산 상황에 잘 맞습니다. 미국은 이미 남아서 버려지는 전기를 비트코인을 채굴하고, 비트코인을 돈으로 환전해 전기를 절약하거나 하면 혜택으로 돌려주는 등으로 발전소에서 돈을 들여 생산한 전기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해주고, 수요/공급의 불균형을 안정적으로 만드는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신재생에너지로 전환은 필수적이라 생각합니다. 신재생에너지의 단점으로 지적하는 불규칙적인 생산은 다양한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고 그러한 방법을 같이 진행해야 하는데, 단점만 지적해서 막아서서는 환경문제도 에너지문제도 해결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환경문제를 위해 결국은 막대한 돈을 써야 하는데, 돈을 쓰더라도 미래 산업에 도움이 되고, 디윽이 되는 방법을 선택해야죠. 이러한 사고의 진전없이 단순히 가장 저렴한 방법을 선택해서는 해결이 안되고 오히려 뒤쳐질 수 있습니다.
@ronsoft
@ronsoft 8 ай бұрын
에코백... 저는 케이팝이 앞장서서 굿즈 줄이기 운동을 해야한다고 봐요😂 일회용 응원봉부터 없앴으면 좋겠네요...
@PANSTASHAWAII
@PANSTASHAWAII 3 ай бұрын
1 회용 응원봉은 야구경기장이 제일 문제 아님? 오히려 K팝에서 쓰는 응원봉이나 응원템들은 다회용이던데... 건전지 넣던가 usb로 충전하는 ㅇㅇ
@23mean1
@23mean1 8 ай бұрын
22년 기준 OECD 1인당 가정용 전력 사용량 38개국 중 25위 입니다 미국의 30%, 일본의 65% 수준이에요. 교수님이 말씀하신 독일도 한국보다 많이 씁니다
@che1
@che1 8 ай бұрын
잔체 사용량에 인구수를 나눈거지. 한국 전기의 80 %가 산업용이고,
@Chuka887
@Chuka887 8 ай бұрын
1인당 전기 사용량을 이야기하는것같습니다. 절대치가 아니라요
@nadh6907
@nadh6907 8 ай бұрын
저도 이상해서 찾아보니깐 1인당 가정용 전기 사용량은 등수가 낮네요 가정용이 아니라 산업용으로 바꾸면 한국 등수가 높아진다고는 하는데 그거는 별개라...
@2theMOON_k
@2theMOON_k 8 ай бұрын
좋은정보 감사요~ 관련링크있으면 부탁드려유~
@mingming4287
@mingming4287 6 күн бұрын
이래서 과학자들이 많아야되고.. 과학이 발전해야되는구나.. 근원을 알면 우리가 지구를 위해 아껴야하는것, 바꿔야하는것.. 강요하지 않아도 스스로 하게될듯..
@user-od7pu3dh8d
@user-od7pu3dh8d 8 ай бұрын
한 분야에 깊이 들어 갔거나 넓게 생각해 본 사람은 어떤 문제도 깊고 넓게 생각해서 보는 시야가 다르네.
@FreshHO-kn3zi
@FreshHO-kn3zi 3 ай бұрын
그럼 궁금한게 석탄에너지 말고 신재생 에너지로 만든 전기가 과잉공급되는건 버려도 손해는 아니지 않나요? 석탄에너지야 고갈되니까 낭비지만 신재생에너지는 무한하잖아요 혹시 제한이 있나요 신재생도?
@hdwoo7306
@hdwoo7306 8 ай бұрын
남조류와 산호는 천해에서 광합성으로 석회질을 다량으로 만들며 이산화탄소를 소비합니다. 그래서 고대부터 지구 온난화가 되면 산호초가 만들어지며 온도를 떨어뜨렸죠. 그런데 해안가가 개발이 되면 산호나 남조류가 번성하기 어렵습니다. 이산화탄소를 줄이기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소비를 줄여야 합니다. 뭐든 오래 쓰시고 중고거래 활발하게 하시고 새롭게 뭘 만드는 걸 줄여야 합니다. 그리고 이차적으로는 친환경적이면서 안정적인 발전방식을 개발해야 하는데, 이게 개발되기 전까지는 우리가 현대문명을 상당부분 포기하든지, 화력을 줄이고 원자력을 늘이는 것 말곤 선택지가 없습니다. 그리고 사실 지구 온난화의 주범으로 이산화탄소만 꼽는데, 메탄도 큰 영향을 줍니다. 그리고 대부분의 메탄은 비자연적으로 어마어마하게 많이 번식하고 있는 동물인 소에서 나옵니다. 데이터로만 볼 때 일상에서 정말 소비를 줄이고 전기를 아끼며 살아가는 것보다 소고기를 안 먹기로 하는 것이 훨씬 지구에 기여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yongshinkim7291
@yongshinkim7291 8 ай бұрын
비행기의 경우 인당으로 따지면 아마 차로 이동하는거랑 비슷하게 이산화탄소배출량이 나올겁니다.
@user-ik6fk3yg6l
@user-ik6fk3yg6l 8 ай бұрын
겨울 난방은 기본적으로 등유나 가스의 힘이지 전기 소비량과는 상관관계가 아주 적습니다. 밤이 길어 전등을 더 오래 켜는 정도?
@fang3131
@fang3131 8 ай бұрын
한국처럼 건물 구조체를 데우는 게 아니라 개인 별로 국소난방을 하는 경우 배기가스 문제 때문에 대부분 전기로 전열기구를 가동합니다. 유럽, 일본, 미국 모두 그렇습니다. 그런데 한국식이 에너지 소모는 제일 큽니다. 단열 안 한 건물을 통째로 데우는 방식이라서요.
@kangnengyigga
@kangnengyigga 8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나 가스보일러로 물 끓여서 난방하지 다른 나라는 전기 난로가지고 난방해요
@PANSTASHAWAII
@PANSTASHAWAII 3 ай бұрын
우리나라가 가스가 넘쳐나는지 뭔지 모르겠으나 아직까지 가스로 난방하는게 좀 이해가 안됨. 차라리 그 가스를 터빈 돌려 전기생산하는데 쓰고 그 전기로 난방기 돌리는게 효율적일듯ㅇㅇ
@kim.serenaemery7569
@kim.serenaemery7569 8 ай бұрын
독일 사람들은 대체로 살짝 춥게 자는 걸 좋아해요. 한국 와서 너무 더워서 못잤다는 사람 있어요. 실제로 의학적으로도 온도가 살짝 낮을 때 🛌수면으로 들어가기가 쉽습니다.
@celastice8032
@celastice8032 8 ай бұрын
에너지를 저장가능한 매개체로 전환하는 것이 곧 친환경 에너지 개발의 중요한 요소 입니다.
@abracon9
@abracon9 8 ай бұрын
그게 대용량 인프라용으로 안되니 문제임 패러다임 자체가 바뀌어야 가능함 ㅋㅋㅋ 현 밧데리 로는 가능 하지도 않고 가능 할수도 없음
@celastice8032
@celastice8032 8 ай бұрын
@@abracon9 수소에너지도 있습니다.
@PANSTASHAWAII
@PANSTASHAWAII 3 ай бұрын
@@celastice8032 수소 안 쓰는 이유가 뭔지 앎? 결국 수소도 전기로 쓸려면 촉매가 있어야 하고 변환된 전기를 축전해둬야 해서 결국 수소만 가지고 할 수 있는게 아님. 연구자들 개발자들이 멍청해서 님같은 생각 못 하는게 아님ㅇㅇ
@user-ux5xy4sz3x
@user-ux5xy4sz3x 8 ай бұрын
18:06 >>하.. 우린 망했어
@jintae_yu
@jintae_yu 8 ай бұрын
축전기술을 이용해 자연발전의 에너지를 저축해서 조절할 수 있지 않을까요 화성에 갈 연구할 시간에 그런 현실적인 연구가 신의 한수일까 용산이전이 신의 한수일까요
@2_lake
@2_lake 8 ай бұрын
ESS라고 배터리에 저장하는 기술이 있지만 불이 엄청 난다는 문제가 있죠
@PANSTASHAWAII
@PANSTASHAWAII 3 ай бұрын
축전기술은 한계가 뭐냐면 입출력(충전방전)을 자주 하면 그만큼 효율이 작살이 남. 님 쓰는 폰 아무리 최신폰 써도 2~3 년이면 배터리 수명 확 줄어드는거 체감되죠? 그거임.ㅇㅇ 아무튼 끝에가서 정치적 발언 하는 거 보니 축전이고 나발이고 그냥 님 앞가림이나 잘 하는게 지구에 도움일듯
@elliotslow5203
@elliotslow5203 8 ай бұрын
아..! 나혼자 아껴서 뭐해 싶었는데 그게 퍼지면 유권자들이 관심이 있네로 이어지는거구나
@user-ut3yr7rf4q
@user-ut3yr7rf4q 8 ай бұрын
13:14 "킬링"파트
@_Tidian
@_Tidian 8 ай бұрын
넘 유익하고 재미있게 잘 봤습니다 ㅎ 어그로로 시간 채우는 정보제공인척 하는 영상들 틀어놓는것보다 훨씬 즐겁네요
@lv99ant
@lv99ant 8 ай бұрын
전기가 태양광 신재생 등으로 많아지면 넘치는 시간에는 전기분해해 수소로 생산하거나 전기차가 보급되면 낮시간에는 태양광 땜에 전기생산되니 그때 전기차 충전하면 할인. 밤에는 할증등 충전시간 유도를 하고 하면 좋을듯. 어차피 우리나라땅 기름 가스 한방울 안나는데 친환경으로 전기가 나온다면 그만큼 외부 에너지 수입량에서 세이브 할수 있는 부분이 많으니 어떻게든 잔머리든 아이디어든 동원해서 친환경을 해야지 무조건 가스 석유 우라늄 수입으로 해결하는건 좋은 방법은 아닌듯. 탄소 저장도 과거 에오세에 아졸라이벤트로 수생 개구리밥이 대량 증식하여 이산화탄소를 너무 흡수해 빙하기가 왔던 사건이 있는데 그것과 같이 조류나 성장이 엄청난 개구리밥을 이용하거나 개구리밥이나 조류 유전자를 개량해서 탄소를 저장할순 없을까 싶긴 함
@iscarif
@iscarif 8 ай бұрын
이산화탄소 배출을 막을 가장 확실한 방법은 생산과 소비를 줄이는 것. 하지만 그 뒤에 따라올 경제 공황을 버틸 수 있는 자가 과연 있을지...
@Maseemaro
@Maseemaro 8 ай бұрын
놉 가장 확실한 건 인구감소임 기후 환경 식량 문제 해결됨
@chipmunkmoleskin1033
@chipmunkmoleskin1033 8 ай бұрын
@@Maseemaro ㄹㅇ..
@Chid417
@Chid417 8 ай бұрын
그러니까 분배를 강화해야 하는 것입니다
@dshin7618
@dshin7618 8 ай бұрын
그래서 자발적 경제 역성장을 해야한다는 주장도 있죠. 경제성장은 팽창을 야기하니까요
@user-gl9fm1eu5m
@user-gl9fm1eu5m 8 ай бұрын
가장 유효한 대책은 기술 혁신이죠
@mjkim106
@mjkim106 8 ай бұрын
기후변화...너무 우울함...나야 이제 죽으면 그만이지만 내 아이들은 생존을 어떻게 할런지
@mangmangs
@mangmangs 8 ай бұрын
유전자 조작을 통한 광합성을 많이 하고 급성장하는 나무를 만드는건 어떻까요?
@gomdoll13
@gomdoll13 8 ай бұрын
그럴 필요 없어요 지금도 농가에서는 대기중 탄소만으로는 부족해서 하우스에 탄소시비를 하고 있거든요 과학자라면서 정치적인 발언을 일삼는 그분들의 주장과는 달리 탄소수치가 증가하고 기온이 올라가면 식물의 생장속도는 증가하기 때문에 오히려 농업생산량은 증가할겁니다 탄소가 지금의 두 배 가까이 늘어도 아무 문제 없어요
@Bingzae
@Bingzae 8 ай бұрын
@@gomdoll13 일종의 지구의 작은 자정작용이네요 탄소 수치가 늘면 기존에 있던 식물들이 잘 자라고 광합성량도 증가해서 결국 탄소포집도가 늘어날테니까요 물론 그것만 보고 가만히 있을순 없겠지만요
@HIRIT08
@HIRIT08 13 күн бұрын
타노스 그는 도대체...
@Eric-zo8wo
@Eric-zo8wo 8 ай бұрын
0:00: 🎃 전기물고기로 치료되는 호박의 일렉트리시티에 대한 재밌는 이야기와 발전소에서 전기가 어떻게 생산되는지 알려주는 유튜브 동영상 4:49: 🔌 그리드 망과 신재생 에너지의 관리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10:01: 🌡 지구의 온도가 빠르게 상승하고 있으며, 이는 산업혁명 이후 추가적으로 발생한 이산화 탄소 때문이다. 13:56: 🌍 지구 온난화는 심각한 문제로, 국제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17:48: 😱 한 년 동안 인간이 만들어내는 이산화탄소를 없애기 위해 필요한 나무의 양은 한국의 모든 나무의 천배 정도가 필요하다. Recap by Tammy AI
@user-vm5vg7pv3l
@user-vm5vg7pv3l 5 ай бұрын
전기는 태양과 목성의 중력이 주파수와 연동이 되면서 만들어집니다.
@user-eb5oq1dy4x
@user-eb5oq1dy4x 6 ай бұрын
범 지구적으로 움직이면 당장 탄소배출량 획기적으로 줄일수는 있다 다만 그 비용자체도 엄청나게 들고 그로 인해 줄어드는 경제규모도 엄청나기 때문에 각국에서도 자국의 이익을 먼저 생각할수밖에 없기에 말로만 탄소 제로라고 할뿐 어느나라도 먼저 움직이지 않는다는거지 사람이 생활하면서 모든 소비하는 패턴 자체가 모두 탄소증가를 발생시킬수밖에 없는 사이클이기에 결국 엄청난 불편함을 감수 할수밖에 없는데 과연 탄소를 줄인다는것이 가능할까 싶다..
@user-ul5yt3tc3r
@user-ul5yt3tc3r 8 ай бұрын
7:16 "상당이"라뇨.. 방송국에서 이런 실수를..
@RostoWw
@RostoWw 8 ай бұрын
그래서 대체에너지를 개발할 거면 좀 ESS 를 투자해야한다니까.. 그걸 몇 년전부터 얘기가 나왔는데 그냥 발전소 수만 늘려서 비중만 늘리려고 해서 문제가 발생함. 영상에도 나온 것처럼 출력제한도 문제이고, 그 낭비되는 것과 별개로 에너지 효율도 떨어져서 (발전효율 10% 미만 수준) 무조건적으로 ESS 투자가 중요함.
@btv_piarchia
@btv_piarchia 8 ай бұрын
에코백을 130번 이상 사용해야 그 가치가 있다고요? 정말 생각하지 못했네요 ㅜㅜ! 지구를 위한 에코백이 에코하지 않다니 ㅠㅠ
@Denverian
@Denverian 8 ай бұрын
그냥 상술임
@chageun788
@chageun788 8 ай бұрын
그것도 일회용 대신해서 입니다 ㅋㅋ 근데 몇년 쓰니까
@HK-ws8ro
@HK-ws8ro 8 ай бұрын
ㅇㅇ 보통 다 상술
@MrjinZin0902
@MrjinZin0902 5 ай бұрын
사람들이 적당히라는 걸 모르는 게 가장 큰 문제입니다. 에코백 하나 구입해서 그것을 계속 쓴다면 도움이 되죠. 근데 파는 사람은 많이 팔아야 하니깐 이쁘게 다양하게 만들어 팔고 사람들은 도 그걸 종류별로 구매하고. 이러면 아무런 해결책이 안 되죠. 비닐봉지가 나쁘지 않아요. 사람들이 계속 재활용해서 쓰고 버린다면 굉장히 경제적이고 자원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그런데 비닐봉지라는 아주 싼 것을 만들다보니가 그냥 한번 쓰고 버리기 시작하면서 처리를 감당하기 어려워진 것입니다. 우주로 인공위성을 1년에 10대도 채 못 올리던 시절에 저궤도의 우주 쓰레기는 문제가 되지 않았지만 이걸 이제는 1년 몇백대씩 쏘아 올리기 시작하면 우주 쓰레기가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는 거죠. 무엇을 쓰느냐가 중요한 게 아니라 얼마나 적정선에서 자원을 잘 활용하느냐의 문제입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가 없어요. 왜냐하면 기업은 계속 이윤을 내야해서 사람들이 계속 뭔가를 소비하게 만들어야 합니다.
@PANSTASHAWAII
@PANSTASHAWAII 3 ай бұрын
존나 상술임. 어떤 기업도 지구온난화, 기후변화에 관심 그렇게 심각하게 두지 않음. 나라와 정부가 압박해서 하는 척 하는거지 ㅇㅇ
@FactoryNo.592
@FactoryNo.592 5 ай бұрын
종이빨대니 플라스틱 빨대니 하기 이전에 카페에서 쓰는 투명 컵 재질 통일시켜서 분류과정에서 일반쓰레기로 분류 안 되고 쟈활용하기 쉽게 만드는 게 우선이지
@HEDFUCcom
@HEDFUCcom 5 ай бұрын
교수님들 나와서 얘기하는거 넘나 좋은것
@user-kaczynski
@user-kaczynski 8 ай бұрын
탄소포집 자체가 어려운 것은 아니나 문제는 경제성이 없다는 것이죠. 탄소를 모아놓고는 아무 쓰임새 없이 단순히 묻으니까요. 모아놓은 탄소를 활용할 수 있어야 탄소 포집이 활성화 될 겁니다. 예를 들어 탄소를 다이아몬드로 가공해서 판매하는게 이윤이 남고 전체 공정에 있어서 탄소 발생이 많이 생기지 않는다면 다이아몬드 가공도 하나의 방법이 되겠죠.
@PANSTASHAWAII
@PANSTASHAWAII 3 ай бұрын
그거 슬슬 기어나오려고 함. 가격은 싼데 찐 다이아만큼 반사율 투과율 ㅈㄴ 좋아서 그렇게라도 하자 하는 방안이 나오는 거 같음. 근데 굳이 다이아처럼 장신구나 만들때 쓰이는거라면 좀 오바긴 함;;;
@biggatekim2062
@biggatekim2062 8 ай бұрын
에너지 저장 기술이 필요한 시대의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는 사실
@arnshutain
@arnshutain 8 ай бұрын
종이 빨대도 어이없다고 생각함.
@user-yx6iu7su2t
@user-yx6iu7su2t 8 ай бұрын
그건 그냥 이젠 마케팅이된듯
@user-qk9pu3oy9u
@user-qk9pu3oy9u 8 ай бұрын
이유가?
@user-uo7vh1hj3y
@user-uo7vh1hj3y 8 ай бұрын
???:어째서? 나무가 불쌍하지도 않은 거야?
@heejinpark1215
@heejinpark1215 8 ай бұрын
​​@@user-qk9pu3oy9u순수종이가 아니고 일반쓰레기임요
@NewJeanNBottle
@NewJeanNBottle 8 ай бұрын
@@user-qk9pu3oy9u더 오래 단단하게 하기 위해 내부든 외부든 코팅이 들어가서 순수 종이가 아니라 재활용이 안됌
@n_limbo9156
@n_limbo9156 8 ай бұрын
자본주의는 멈추지 않아야 하는 기차다. 자연을 생각하려면 적당한 선에서 멈추고 욕심을 제어하고, 공급을 줄여야 한다. 다만 멈추지 않아야 하는 기차를 적당한 선에서 세우고 승객도 만족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 아직 도착하지 않았는데? 특정 지점에서부터 내리라고 하면 아직 갈 길이 먼 승객이 그러려니 할까?
@user-hl3yp9ud1m
@user-hl3yp9ud1m 4 ай бұрын
에코백이고 종이빨대고간에 다 필요없고 인도 중국에서 나오는 매연만 잡아도 효과가 눈에 보일 정도일텐데
@user-bj1fp2xc5n
@user-bj1fp2xc5n 8 ай бұрын
공항에서 주차되어 있는 비행기의 꼬리에서 나오는 열을 보니 비행기가 지구온도를 높이는데 큰역할을 하겠구나 생각은 했었는데 그게 맞는거였군요
@user-yz4wl4hw1l
@user-yz4wl4hw1l 5 ай бұрын
7:06 팩트) 1인당 전력소비량이 2021년기준 1인당 전력소비량이 캐나다, 미국에 이어 3위가 맞지만 전력소비중 산업용이 53%, 서비스용이 32%라 잘못된 이야기임
@jiminjun1753
@jiminjun1753 8 ай бұрын
김상욱 교수님 1인당 전기사용량이 높은건 맞습니다. 다만 이는 기업이 졸라게 싸게 펑펑 써서 나타나는 평균은 오류입니다. 가정만 때어놓고 1인당 전기사용량은 평균 수준입니다..
@oryango
@oryango 8 ай бұрын
교수님, 전기 1인 사용량을 저렇게 말하시면 어떡해요. 사람들이 진짜로 자기가 전기 많이 쓴다고 착각하잖아요. 말씀하신 1위는 단순히 나라 전체에서 쓰는 전기 나누기 인구수 해서 나온 수치이고, 우리니라는 산업용으로 전기를 많이 쑤서 그런 수치가 나온 것 뿐이에요. 가정용 전기 시용량은 oecd 하위권이에요. 말씀하신 독일보다도 덜 써요 우리 국민은. 막 쓴다니, 무슨 소리를 하시는 거예요
@minjae92
@minjae92 8 ай бұрын
일부 많이쓰는 사람이 있을뿐임. 그리고 독일은 천연가스 받아서 쓰는 나라인데 온리 전기로만 난방하는것도...
@PANSTASHAWAII
@PANSTASHAWAII 3 ай бұрын
가축들이 만드는 이산화탄소는 식물들이 균형을 맞춰준다고 칩시다... 소들이 내뿜는 메테인은 어쩌나요....ㅠㅠㅠ
@johny140574
@johny140574 7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전 지구적 문제를, 오늘 내가 실천한 조그만 것으로 해결하는 자기위안으로 귀결하는 것 참...
@user-pt8nh2rk7t
@user-pt8nh2rk7t 8 ай бұрын
원자력 발전을 많이 해서 전기가 싸다는 말은 원자력 발전이 전체 발전에서 차지하는 발전량이 지금 최고치까지 올라서 30퍼센트 정도인데 우리나라 전기값이 싸다는 것에 원자력이 기여를 안한것은 아니나, 오직 그 이유 때문이 아니라 정부에서 전기를 공기업으로써 이윤을 어느정도 제한하며 공적으로 공급을 제어하기에 가능하다 본다. 원자력은 앞으로의 유지 관리 비용까지 포함하면 결코 싼것이 아니다.
@user-cz5cy1ud1k
@user-cz5cy1ud1k 4 ай бұрын
유지관리 포함해도 싼 거 맞음 신재생에너지의 경우 통제가 근본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무조건적으로 관리비용이 더 커질 수 밖에 없음 원자력은? 원료를 넣었다 뺏다로 매우 쉽게 통제가 가능함 원재료가격은 훨씬 더 싸고 에너지를 얻는 모든 방법중에서 질량에너지 등가원리를 능가하는 방법은 이 우주상에서 존재하지 않음
@PANSTASHAWAII
@PANSTASHAWAII 3 ай бұрын
원자로 덕분에 전기 싸진거 맞음. 성냥 한 박스 들고 다니는 것 보다 라이터 한 개 챙기는게 효율적인 것 처럼ㅇㅇ
@nadh6907
@nadh6907 8 ай бұрын
13:20 분명 좋은 사람인데 괜히 지구 온난화의 상징이라고 하니깐 주범 같음 ㅋㅋㅋㅋㅋ
@Sffhjjngtggb
@Sffhjjngtggb 8 ай бұрын
7:05 이렇게 단편적인 지식으로 마치 한국국민이 전기를 펑펑 쓰는 몰상식한 국민으로 몰아가는 너무 화난다… 아직 한국은 제조업이 중심인 나라이기에 공장들이 많기에 산업용으로 쓰이는 전기의 비중이 월등히 높음. 미국이나 캐나다 같은 서양나라들은 가정용 전기 사용아 전체 사용양의 40%에 육박하지만, 한국은 15%도 안됨… 가정용 전기사용양을 보면 영상에서 말한 독일보다 한국이 오히려 낮음… 서양나라들이 추운이유는 집 자체가 목조건물이나 벽돌 건물로 창문도 나무틀에 방열성 떨어지는 한장의 유리창이고 지붕을 통해서 빠져나가는 열도 많은 그런 주택인 반면 한국은 콘크리트 아파트에 상하가 완벽하게 밀봉 되어 있고 창문도 이중 삼중 방열 창문들이 기본임… 한국, 미국, 일본, 캐나다, 독일, 영국등의 나라에서 살아본 사람이 봤을때 한국의 거주 시스템이 가장 효율적임 (가장 적은양의 전기로 가장 윤택한 삶을 살수 있는 환경임…) 반대로 말하면 미국이나 유럽에서는 낭비되는 에너지가 많아서 더 많은 에너지를 쓰고도 겨울에는 춥고 여름에는 덥게 살아야함… 이걸 마치 국민들이 전기를 펑펑 쓰는 양심없는 국민 프레임 씌우는데 이런건 너무 억울하지
@user-im7fn8pn1z
@user-im7fn8pn1z 8 ай бұрын
다 필요없고 나무 엄청 심어아 한다. 맨날 산불 나는거 안나게 조심하고. 나무만 많이 심어도 어느정도 해결된다. 오죽하면 아마존이 지구의 필터라고 불리겠냐.
@Meunuaru
@Meunuaru 8 ай бұрын
아마존보다 더 많은 광합성을 담당하는 게 해양임 나무심기로 해결하려면 대한민국만 해도 지금의 1000배를 심어야 한다고 하는데 전세계가 나무심기로 해결하려면 불가능임
@PANSTASHAWAII
@PANSTASHAWAII 3 ай бұрын
산불은 어느정도 나는게 맞음. 오히려 산소 포화도 올라가면 더 큰 위험들이 발생함.
@69sex69
@69sex69 6 ай бұрын
ㄷㄷ
@user-qb5qt3cs4w
@user-qb5qt3cs4w 4 ай бұрын
장항준감독 옆에 있는 여자는 누구에요..? Mc역할인거같은데
@i_young
@i_young 8 ай бұрын
진짜 텀블러 하나씩만 쓰면되는데 왜 자꾸 시즌별로 모으는지.. 이제는 다 상술이고,, 본질이 변한느낌.
@Chid417
@Chid417 8 ай бұрын
그린워싱이죠
@PANSTASHAWAII
@PANSTASHAWAII 3 ай бұрын
텀브러 모으는 종자들이 과연 지구와 환경을 위해 모으는 거 같음?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tub_886
@utub_886 8 ай бұрын
16:37
@9295tv
@9295tv 8 ай бұрын
에코백 30개씩 텀블러 매달 새로 사고;; 그러면서 환경환경 답답허다
@giparangjin5885
@giparangjin5885 5 ай бұрын
전기사용량이 한국이 제일 많다고요? 산업용까지 합쳐서 그런거 아닌가요? 전기 용광로 돌리는데 그것도 퉁쳐서 계산을 하니 평균으로하면 올라가는걸로 아는디.ㅋ
@user-sl8fq6in7m
@user-sl8fq6in7m 8 ай бұрын
지구를 위해 안쓴다 아낀다라는 개념으로 접근 해서 해결될 문제가 아님. 에너지 혁신이 있어 대체 에너지를 쓰거나 먼미래 공룡처럼 자멸하던가 하겠지. 텀블러 에코백 종이빨대?ㅎㅎㅎㅎ 환경에 많은 관심을 갖어도 지금 기술로는 인간이 없어지지 않는 한 지구온난화는 이미 예정된 사실임. 현재 석유, 석탄에너지를 안쓸 수 없는 노릇이고 페인트, 우리가입는 옷 등등 모두 해당됨.
@user-ek4ar0ez9a
@user-ek4ar0ez9a 8 ай бұрын
공룡이 언제 자멸을 했는데? 지금도 멀쩡히 살아있구만
@user-sl8fq6in7m
@user-sl8fq6in7m 8 ай бұрын
@@user-ek4ar0ez9a 공룡의 멸종 공룡은 6500만년전에 홀연히 지구 전체에서 자취를 감추었다. 이는 중생대에서 신생대로 넘어가는 경계에 해당하며(이 멸종현상을 기준으로 신생대와 중생대를 나눔) 사실 이 시기에 일어난 대량 멸종현상은 해양에서 활동하는 생물종의 60에서 75%를 지워버릴 정도로 전 지구적으로 거대한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멸종현상에 대해서 그동안 여러 설명들이 있었으나 오늘날 가장 널리 인정되고 있는 것은 소행성의 충돌로 인해 전지구적으로 엄청난 먼지를 일으키고 이로 인해 지구의 기온이 급격히 내려감으로서 추워진 기온을 적응하지 못하고 얼어죽거나 굶어죽었다는 시나리오이다. -출처 : 두산백과
@Maseemaro
@Maseemaro 8 ай бұрын
그리고 본인이 생각하는 공룡은 ‘자멸’한 건 아님
@user-qf5kc7fo7q
@user-qf5kc7fo7q 8 ай бұрын
@@Maseemaro ㅋㅋㅋ 맞네요 ㅋㅋ 자멸이 아니죠..
@user-fp6lx6wf7l
@user-fp6lx6wf7l 8 ай бұрын
우리가 많이 쓰는게 아니고 기업이 많이 쓰는겁니다. 수출중심제조업으로 먹고살기 때문에. 탄소배출량이 높은 것도 그거때문이구요. 반도체공장 하나가 전기를 얼마나 쓰는지 아시나요? 한국의 가장 큰 경쟁력이 전기세라고 할 정도로 한전적자는 다 산업전기에서 발생합니다. 그래서 가정용에만 누진세를 때리죠. 총 전기생산량에서 가정이 쓰는건 매우 적습니다. 그럼 수출 제조 그만두고 그냥 다 굶어죽을까요? K팝 그룹들이 타는 비행기, 1회성으로 쓰는 뮤비제작세트, 의상, 악세사리 조회수로 만드는 트래픽도 다 탄소배출인데 다 때려칠까요? 그리고 그 덕에 다른 나라들이 탄소배출 줄이고 싸게 수입해다 쓰는건데요. 중국이 제조줄이고 탄소배출 줄이면 세계는 멀쩡할까요? 고부가가치, 관광선진국들의 이기적인 발상입니다 혜택은 다 보면서. 그런 식으로 우리 모두가 잘못됐다고 선동하는건 이상하고 불쾌하네요. 에어컨 있어도 전기세 걱정에 틀지도 못하는데. 국민에게 책임을 떠넘겼던 IMF처럼 한국식 여론조작은 그만두시길 바랍니다.
@user-tb1gz7ok1t
@user-tb1gz7ok1t 8 ай бұрын
그러게요..다른분 댓글마냥 탄소를 다이아몬드로 만들어서 소비를 한다던가 하면 안될려나... 경제성이 떨어진다고해도 국가나 기업에서 의무적으로 세금마냥 돈을걷어서 그돈으로 탄소를 고체화해서 땅에 매립이라도 하면 나아지지 않을려나 이런방법도 시행하지 않는 중요한 이유가 있기야 하겠지만요
@polyxxxxxxxxxxxlIlxcixlwvxxxxx
@polyxxxxxxxxxxxlIlxcixlwvxxxxx 5 ай бұрын
탄소를 다이아몬드로 만드는데 발생하는 탄소의 양이 장난 아니죠.
@PANSTASHAWAII
@PANSTASHAWAII 3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국가가 의무적으로 세금마냥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이런 애들이 2찍 하더라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ct3nr4pe9o
@user-ct3nr4pe9o 8 ай бұрын
이산화탄소를 액화 시키는것도 방법이죠 드라이아이스
@PANSTASHAWAII
@PANSTASHAWAII 3 ай бұрын
그건 누가 와서 공짜로 해줌???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oop490
@oop490 8 ай бұрын
댓글들 보면 자연인으로 돌아가서 살라고 하면 표정부터 썩을 사람들이 에너지를 절약해야한다느니 인구가 줄어야한다느니 ㅋㅋㅋ 그런 사람 많이 보이는데 딱 그 사람들만 이 지구상에서 사라져버리면 인구문제는 알아서 해결될듯 ㅋㅋㅋㅋ 남들보고 인구감소하라 하지 말고, 전세계에서 인구 감소 주장하는 사람들을만 다 모아서 태평양 한가운데에 익사시켜버리는게 환경 문제의 가장 명쾌한 해답이다
@user-ez1su4qx4e
@user-ez1su4qx4e 7 ай бұрын
다들 양보하기도힘들고 줄이기도힘드니 인류를 줄이는게 가장 현실적인답이긴하네요. 타노스 그는 도대체 ㄷㄷ
@user-md1dr3pc1y
@user-md1dr3pc1y 8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가정용 전력사용량의 상대적 수준은 그리 높지 않다. 지난 2015년 에너지경제연구원이 공개한 국제에너지기구(IEA)의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1인당 가정용 전기 소비량은 2012년 기준 1278kWh로 OECD 평균 사용량의 55%, OECD 34개국 중 26위다.
@loi5757
@loi5757 8 ай бұрын
08:10 진짜 이러고 살아요...? 나는 겨울에 집에서 깔깔이까지 껴입는데..;;
@user-nc5yx7hp8k
@user-nc5yx7hp8k 4 ай бұрын
전기 비행기는 안되나요?
@isownerwho811
@isownerwho811 8 ай бұрын
이분야에 대해서 잘 모르기에 헷갈립니다. 산림이 명확한 지구온난화의 대책이라면, 범지구적인 대책을 내놓지 않나요? 아무리 제3세계 국가일지라도 개발이 주는 경제적 효과가 클지라도 지구의 대격이 있다면 무슨 소용이죠?
@user-ft7ey3wn1k
@user-ft7ey3wn1k 3 ай бұрын
이쪽분야에 관심이 많습니다. 초간단설명 드릴게요. 산업혁명 이후 약 300년간 '인간의 활동'에 의한 추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100으로 가정하겟습니다. 근데 이 100의 대부분을 '지금의' 선진국들이 햇습니다. 개발도상국 입장에서는 이제 좀 뭔가 해보려는데 (그동안은 식민지배에, 오늘끼니걱정에 등등 이산화탄소 딱히 배출안햇는데) 선진국들이 다같이 하지 말자고 하니까, 화가나는겁니다. 지들은 그동안 이 눈부신과학발전으로 부유해졋으면서 말이죠. 플러스 미국을 예로들겟습니다. 기후문제는 한두나라가 친환경을 하는것은 의미없습니다. 다같이 해야합니다 (지구가 너무 커서요) 근데 지금 친환경 기술이 초반단계라 ''비용이 많이듭니다.'' 지금의 미국경제를 100, 중국을 80으로 가정하겟습니다. 둘다 친환경 or 둘다 no친환경 시 20년후 둘의 경제차이는 똑같이 20이지만 미국만 친환경, 중국은 no친환경 할시 둘의 20년후는 15차이입니다. 그래서 미국입장에서도 나혼자 하는건 기후위기에 대해 효과도 미미할 뿐더러 경제부분에서도 상당히 따라잡히게 됩니다. 실제 지금 ipcc(세계기상기구)에서 매우 자주 세계 정상들이 모여 협의를 하고잇지만 중국,인도,개발도상국들의 반대가 심합니다. 기후위기는 현실이기에 안하겟다는 입장은 아니고, 천천히 또는 10년후 하겟다는 입장입니다 (화력발전이 친환경에 비해 단가가 저렴하니 좀 더 태우겟다는 뜻입니다) 중국,인도,개발도상국들 :너네(선진국들) 지금까지 50만큼 이산화탄소 내뿜엇으니 우리도 한 40정도 까지는 할께 이 뜻입니다
@jyp460
@jyp460 8 ай бұрын
뭘 더 아끼고 덜 쓰고 하는 방식으로는 절대 막을 수 없다. 탄소포집 기술이나 테라포밍, 태양광 차단 등 기술적으로 혁신을 해야 해결할 수 있다고 봄.
@gomayoo
@gomayoo 8 ай бұрын
만약 그 기술들이 티핑포인트 이전에 상용화가 안 되거나 경제성이 안 된다면요? 그럼 그냥 다 같이 죽는 건가요.. 할 수 있는 걸 다 해보자는 거죠. 기후변화는 그냥 좀 노력해서 해결되는 게 아니라 모든 부문에서 온갖 노력을 다 해도될까하는 문제입니다
@hk3993
@hk3993 8 ай бұрын
할 수 있는건 다 하는거죠. 사실 인류 전체가 동참하면 당연히 엄청난 효과가 있습니다. 물론 인류 전체가 동참하긴 어렵겠지만 나부터라도 동참하는거죠. 게다가 그런 행동들 자체가 더욱더 환경에 대한 관심과 정책으로 이어지는 메시지가 되구요. 그런 행동들이 있어야 정부 기업 차원에서도 더 관심을 갖겠죠?
@TaeLi-lz8wz
@TaeLi-lz8wz 8 ай бұрын
나도 본댓글에 동감함. 현실적으로 인간은 욕망의 동물임. 에너지 소비를 줄이자는 구호는 숭고하지만, 그 수준을 어디까지 할 수 있는가? 우리가 먹고 마시고 씻고 싸고 입는 데에 모두 에너지가 듦. 50년 전의 생활양식으로 돌아가라고 하면 그 때 태어난 사람은 물론이고 지금 10-20대들도 받아들일 수 없음. 에어컨, 제습기, 티비, 스마트폰, 휴대용 선풍기, 자동차 없이 살 수 있음? 삶에 스며든 이상 되돌아가는 건 불가함. 물론 스스로의 삶에서 불필요한 에너지 사용을 줄이고, 탄소배출을 덜 하는 방식으로 소비하는 것은 굉장히 바람직함. 그러나 근본적으로는 지금보다 훨씬 더 고밀도의 에너지 생산(발전) 방식을 개발하고 발견하는 것이 해결책이라고 생각함.
@EarthNa
@EarthNa 8 ай бұрын
​@@gomayoo온갖 노력을 다 해도 저런 혁신기술 없이는 절대 안되니까 어설프게 할바에 그냥 하지 말자는 거임ㅋㅋㅋ
@sservant
@sservant 8 ай бұрын
아끼고 덜 쓰는 걸로 막기엔 너무 멀리왔죠. 사다리 걷어 차기 같기도 하구요. 더 혁신적인 기술발전이 궁극적 해결방안인 것 같네요.
@Geoscientist0426
@Geoscientist0426 8 ай бұрын
애시당초 이산화탄소 지중저장 관련되서 양자역학 연구한 물리학자가 이야기하는게 이해 안됨, 그리고 인간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여러가지 해법 중 하나를 선택해서 실행해보는거지 어떻게 되는것만 선택해서 함?? 그헣게 따지면, 나사가 쏘아올려 태양계를 벗어난 보이저는?? 보이저의 저장용량은 1mb도 안됨, 근데 그때의 최고 기술력으로 만들수 있는게 그 정도 였을뿐 지금보면 노래 한곡도 저장이 안되는 용량임...근데 용량이 적다고 안쏘아 올렸으면 인류 역사는 아직도 태양계를 못벗어나봤겠지.. 즉, 현재 인간이 당면한 문제를 인간이 해결할 여러 방법 중 최선을 선택하는거지, 앞으로 100년 1000년간 최고로 인정 받을 방법을 선택해서 하는건 불가능함.. 그 중 하나가 이산화탄소를 지층에 주입해서 공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를 줄이겠다라는거 아니겠음? 더 좋은 대안이 있는것도 아니면서 별로 효율적이지 않다고만 까내리면 그게 무슨 토론임?? 양자역학 공부 하셨으면 그거에 매진하시죠, 괜히 여기저기 나와서 잘 알지도 못하면서 다른 분야 까내리지 말고 ㅉㅉ
@miragon777
@miragon777 4 ай бұрын
9:54
@TaeLi-lz8wz
@TaeLi-lz8wz 8 ай бұрын
멋진 교외 카페에서 주말을 보내며 다회용컵을 쓰면 친환경적인가? 거기까지 가는 데 드는 에너지 소모를 생각하면 오히려 집앞 메가커피에서 테이크아웃 커피를 마시는 게 더 친환경적이다. 그렇다고 그 많은 사람들에게 집앞 카페만 이용하라고 말할 수 있나? 그런 구호가 설득력이 있다 한들 정말 사람들이 실천할까? 수 많은 사람들이 해외여행을 좋아한다. 해외여행의 과정에서 사용하는 엄청난 양의 에너지를 고려하면 이를 자제하자고 해야겠지만, 이 구호가 과연 실효할까? 고작 일회용컵을 텀블러로 바꾸고, 플라스틱 빨대 대신 종이 빨대를 쓰는 것으로 '나는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적절한 행동을 하는 사람이야'라고 생각하는 것은 틀리지는 않았으나 그다지 정확하지도 않다. 어차피 인간의 욕망을 억누를 수 없다면, 현존하는 가장 효율적이고 통제 가능한 에너지 생산 방식을 적극 사용해야 한다. 고밀도의 에너지원을 사용해야 한다. 나무보다는 석탄을, 석탄보다는 석유를, 석유보다는 천연가스를, 천연가스보다는 원자력을 사용해야 한다. 보다 적은 양의 자원을 사용해서 많은 양의 에너지를 얻는다면, 그리고 자원을 채굴하는 과정이나 에너지를 만들어내는 과정에서 탄소를 적게 배출하고 산림과 환경을 적게 파괴한다면 기후위기로부터 그나마 우리를 지킬 수 있다.
@user-vm5vg7pv3l
@user-vm5vg7pv3l 5 ай бұрын
현재의 전기 사용량은 전기 생산 가능량의 6% 임.
@minwooidd
@minwooidd 3 ай бұрын
독일 전기민영화의 현실이죠
@user-cl6vv1wf8g
@user-cl6vv1wf8g 8 ай бұрын
뭣보나 카페에서 텀블러 쓰면 직원도 좋아요. 설거지 안해도 돼서
How I prepare to meet the brothers Mbappé.. 🙈 @KylianMbappe
00:17
Celine Dept
Рет қаралды 54 МЛН
когда достали одноклассники!
00:49
БРУНО
Рет қаралды 3,2 МЛН
뉴턴 vs 라이프니치의 미적분 이야기 | 문명과 수학
20:25
EBS 컬렉션 - 사이언스
Рет қаралды 2,1 МЛН
[궤도X김상욱] 우주와 물리학 기막힌 콜라보
19:35
스페이스 허브 TV (Space Hub TV)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Funny kid and Dad #shorts #funny #viral #comedy #youtubeshorts
0:15
mountainlion5
Рет қаралды 39 МЛН
路飞的心都被小女孩融化了#海贼王  #路飞
0:32
路飞与唐舞桐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Заметили?
0:11
Double Bubble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Who is in the wrong?
0:12
Team Z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