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국악원 토요명품공연[2016.06.11.] 01. 종묘제례악

  Рет қаралды 438,845

국립국악원[National Gugak Center]

국립국악원[National Gugak Center]

8 жыл бұрын

01. 종묘제례악 '전폐희문·희문·기명·역성·소무·독경·영관'
종묘제례악은 동북아시아의 고대 아악과 한국 전통 음악을 조화시킨 15세기 창작품으로
오늘까지 역사적 단절 없이 연주되어 온 한국음악 최고 명작 중의 하나이며
현재 중요무형문화재 제1호이다.
1425년(세종 7) 세종대왕은 친히 종묘에 제향하고 환궁한 뒤 이조판서 허조(許稠)에게 "종묘대제에 먼저 당악(唐樂)을 쓰고 겨우 종헌(終獻)에서야 향악(鄕樂)을 쓰니 앞으로는 조고 신령(祖考神靈)께서 생시에 익히 들으시던 향악으로 아뢰게 하는 것이 어떠할지 맹사성(孟思誠)과 의논하라"고 하였고, 중국 음악이론가 박연(朴堧)과 사대적(事大的) 유신(儒臣)들의 반대 속에서도 "우리의 향악을 버릴 수 없다"라는 굳은 의지로 마침내 1435년(세종 17) 우리의 향악으로 《보태평(保太平)》 11곡(曲)과 《정대업(定大業)》 15곡을 만들어냈다.
그러나 이것이 처음에는 제사음악이 아니고 조종(祖宗)의 공덕을 기리고 개국 창업(開國創業)의 어려움을 길이 기념하기 위하여 국초(國初)의 고취악(鼓吹樂)과 향악을 참작하여 만들었던 것이며, 이것이 종묘의 제례악으로 채택된 것은 1463년(세조 9)이었다. 세조는 "《정대업》과 《보태평》은 그 성용(聲容)이 성대하므로 종묘에 쓰지 않음은 가석(可惜)타"(세조실록)하여 최항(崔恒)에게 명하여 간단히 간추려 고치게 한 후 제례악으로 채택케 하였다.
이와 같이 종묘제례악으로 채택된 《보태평》과 《정대업》은 500여 년 동안 전승되면서 변화는 있었지만 현재까지 연주되고 있다. 《보태평》은 조종(祖宗)의 문덕(文德)을 내용으로 한 것이고 《정대업》은 무공(武功)을 내용으로 한 것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종묘제례악의 연혁 (두산백과)
연주와 노래(악장), 춤(일무)이 일정한 유교 제례의 절차에 따라 펼쳐지는
고유한 성격을 지니고 있다.
문덕을 기린 보태평(문무) 11곡과 무공을 칭송한 정대업(무무) 11곡으로 구성되어 있고
아악·당악·향악기가 함께 연주한다.
2001년 5월 18일,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 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집사/황규상, 집박/양명석, 악장/김병오·홍창남
○ 피리/이영·김성진·홍현우(태평소)·김철·이종무·민지홍, 대금/이상원·김상준·최성호·문응관·김기엽·이결
○ 해금/황애자·김주남·류은정·전은혜·공경진·한갑수, 가야금/조유회·이유나·고연정, 아쟁/김인애, 거문고/김미숙·이방실·박지현
○ 편종/윤성혜, 편경/이건회, 방향/장경원, 장구/박거현, 절(진)고/안성일, 징/홍석복, 축/김창곤, 어/고보석, 휘/조일하
○ 문무/최형선·김진정, 무무/정현도·김서량
○ 주최 및 촬영/국립국악원[National Gugak Center]

Пікірлер: 726
@user-bj2ps8dh8m
@user-bj2ps8dh8m 2 ай бұрын
이거 2024년에 본사람? 좋아요나 박아
@UAENA05
@UAENA05 18 күн бұрын
ㅠㅠㅡ
@user-ur7bg6by9o
@user-ur7bg6by9o 7 жыл бұрын
음악 수행 공부하려고 온 1인이요..ㅠㅠ
@user-nd9tx9cm7k
@user-nd9tx9cm7k 6 жыл бұрын
야뭉이 1인추가요
@user-gi7fe9zh6d
@user-gi7fe9zh6d 6 жыл бұрын
야뭉이 저듀ㅠㅠㅠ
@user-jd4ui1gd7l
@user-jd4ui1gd7l 6 жыл бұрын
여기 1인 추가요
@inhwa3395
@inhwa3395 6 жыл бұрын
야뭉이 저도....ㅎ
@user-ld5nd3pp4c
@user-ld5nd3pp4c 6 жыл бұрын
저도요..
@user-yd2fx7cu2t
@user-yd2fx7cu2t 3 жыл бұрын
새로운 국악장르로 젊은층도 같이 즐길 수 있는 국악을 일으키는것도 정말 중요하지만 이런 전통을 지키는것 또한 너무 중요한것같다 나도 예전엔 학교에서 배우는것들로 그저 어려운 국악만을 생각했지만 조금씩 관심이 가고 들을수록 깊이있는 아름다움이 느껴진다
@supersonication
@supersonication Жыл бұрын
이런 국악은 음원으로 듣는거랑 실황으로 듣는게 백만배쯤 차이나요. 실제로 들으면 거칠거칠한 소리를 피부로 느낄 수 있죠. 종의 울림도 먼데서 들리듯 황홀하고요.
@achingthingshedoessowell2007
@achingthingshedoessowell2007 4 жыл бұрын
워낙 서양음악에 익숙해져있어서 그런지 우리 것인데 낯설고 신비롭다
@user-db2gi3xy7x
@user-db2gi3xy7x 7 жыл бұрын
마음이 평온해진다.... 뭐랄까.....잔잔한 수면에 물이 한방울 한방울 떨어지는...그런.......
@user-ei5lj3uk7m
@user-ei5lj3uk7m 7 жыл бұрын
? 도레미파솔로시죠 프사보니까마음이평온할일은없은듯
@tv-in4fe
@tv-in4fe 5 жыл бұрын
임금께 바치는 장송곡이라 개불편한게 정상 아님??
@user-vd6ld9fi8u
@user-vd6ld9fi8u 4 жыл бұрын
@@tv-in4fe 그건 니가 비정상
@nette011
@nette011 Жыл бұрын
@@tv-in4fe 아 그건좀
@AMoonShapedPoo
@AMoonShapedPoo 3 ай бұрын
일단 곡은 전혀 잔잔하지 않은듯
@mimi-bh9rk
@mimi-bh9rk Жыл бұрын
예전엔 왜 몰랐을까... 우리 것이 이렇게나 좋다는걸...ㅜㅜ 20대 때 친구가 종묘제례악 보러가자고 했을때 잉?? 했었는데.. 30대 후반 되어서야 직접 검색해서 들으러 오네요...
@contiguous1
@contiguous1 Жыл бұрын
ㅋㅋㅋ 앞서가는 친구네요
@chohee10
@chohee10 9 күн бұрын
전 10대때 들으러 오네요
@Mjunywoldang
@Mjunywoldang Жыл бұрын
기억해야 할 부분이라면, 세종대왕은 중세 분이시다..중세에 저 정도의 음악을 만들어 낸 거면 대체 얼마나 많은 공부와 수양을 한걸까? 지금 들어도 경이로운데.
@RR-xh2xz
@RR-xh2xz Жыл бұрын
동양의 중세 와 서양의 중세는 많이 다름 서양의 중세는 로마가 망한 직후 야만의 시대 이기 때문에 빗대어 설명 하는 것도 어불성설임
@tlqkftoRldi
@tlqkftoRldi Жыл бұрын
조선은 근세라고도 하죠
@sklee7071
@sklee7071 Жыл бұрын
세종은 월인천강지곡도 만드신분. 최초의 순한글(한자어 단어는 작은 크기의 글자로 병기) 책. 곡을 하는 사람이 읽을 수 있도록 훈민정음 반포전에 만든 것임. 아들 수양대군이 만든 월인석보는 한자어 단어에 대해 한자를 먼저쓰고 한글을 작게 병기한 것에 비해 월인천강지곡은 한자어 단어에 대해 언문(훈민정음)로 먼저쓰고 한자를 작게 병기한 책. 그리고 세종은 정간보라는 악보도 만들어내신분... 세종은 소리의 모든 분야에 천재적인분.. 발음기관를 본떠 상형으로 훈민정음 자음을 만들고 모음도 천지인과 음양오행으로 만들었다고 하지만 모음도 입모양을 최대한 반영하여 발음을 배치함. 특히 기본음 천지인(•,ㅡ,ㅣ)은 발음시 혀모양을 최대한 반영하여 발음배치. 1.훈민정음 통하여 우리말표현, 외국어 발음표기, 자연의 음소리 표기. 2. 정간보를 통하여 음악의 표기법인 악보를 독창적으로 만듦. 서양의 오선지에 음표 그리는 것과 다른 독창적인 악보로 우리 음악이 기록될 수 있었던 것. 세종은 소리뿐 아니라 농업은 물론 모든 과학기술에도 관심을가지고 여러 사람들을 등용하여 진흥하였지만 세종만이 할수 있었던 것은 소리에 대한 것임. "훈민정음 창제와 정간보 창제"
@user-wc7im7kf5g
@user-wc7im7kf5g Жыл бұрын
세종대왕은 신하의 입장에서는 바꾸어 말해서 직원을 혹사 시키는 악덕사장 백성들의 입장에서는 성군 예술인들의 입장에서도 樂聖 그런존재임
@contiguous1
@contiguous1 Жыл бұрын
절대 음감 세종께서 K팝의 미래를 여셨다!
@user-gy7pj4gj7m
@user-gy7pj4gj7m Жыл бұрын
나이먹고 철이드니 이런 공연이 경건해서 좋아요. 자극적이고 빠른 세상속에 살다 이런 공연을 보니 뭔가 깨달음을 주는것 같아요. 절도있고 성경신이 녹아있는 움직임
@juhong-e
@juhong-e Жыл бұрын
저두여^^
@storage4242
@storage4242 Жыл бұрын
자연 다큐나 자연을 주제로 한 감성적인 영화에 삽입곡으로 쓰일 것 같은 느낌이에요. 해외에서 찬사 받았다기에 외국인의 시선에서 참신하게 들어보려 노력해봤는데 정말 태고적 신비? 신비로운 자연의 소리처럼 들리네요. 앞으로 좀더 관심가져야겠습니다.
@user-zq5sv8jx4c
@user-zq5sv8jx4c 4 жыл бұрын
장장 거의20분 동안 집중력 잃지 않고 계속 연주하시는 국악연주자분들 대다나시다.
@_centro6940
@_centro6940 4 жыл бұрын
중요한건 다 외워서 한다는 부분입니다^^
@user-ij3zi6vp9h
@user-ij3zi6vp9h 3 жыл бұрын
장장 거의 20분 동안 온라인클래스 때문에 집중력을 잃지 않고 듣는 내가 대다나다
@cje8795
@cje8795 3 жыл бұрын
초록옷입고 서서 모든 곡의 시작과 끝을 악사들에게 알려주는 박을 치는 사람 대단하지요~
@user-ci2si3uj8z
@user-ci2si3uj8z 4 ай бұрын
정말 신비롭고 귀하다 소중하다
@HAUNEV
@HAUNEV 7 жыл бұрын
지루해보일거 같아도 청명한 편경소리, 절고소리, 아쟁 소리가 일품입니다.
@HAUNEV
@HAUNEV 7 жыл бұрын
절고가 아닌감?
@3303ck
@3303ck 5 жыл бұрын
전 무서운데여
@user-zq5sv8jx4c
@user-zq5sv8jx4c 4 жыл бұрын
@@3303ck 제사에 쓰는 음악이라 그런면도 없지않아 있긴하네요. (암울한 느낌 같은거)
@user-zq5sv8jx4c
@user-zq5sv8jx4c 4 жыл бұрын
@벤데터 아 그런가요..? 그엏다면 정말 죄송합니다...
@_centro6940
@_centro6940 4 жыл бұрын
@@wooool 진고입니다.
@kkakkung7190
@kkakkung7190 6 жыл бұрын
일제강점기를 겪고도 명맥을 유지한 게 대단대단
@user-oi5iz8pq9y
@user-oi5iz8pq9y 6 жыл бұрын
일제 강점기에도 비록 황제에서 이왕으로 격하되기는 했지만, 왕과 왕실이 존재했기 때문에, 대한제국 시기에 황실 업무를 담당하던 궁내부 대신 조선총독부는 이왕직을 두었습니다. 이왕직 산하에 종래의 장악원을 계승한 아악부가 존재하여 광복 직전까지 종묘·문묘 제향에 제례악을 연주하였고, 아악생 양성·아악 방송·악서 및 악보 편찬·악기 제작 등의 활동을 계속하였습니다. 이왕직 아악부의 전통은 현 국립국악원이 이어받고 있습니다. -위키백과-
@user-dv6yx3ll4g
@user-dv6yx3ll4g 4 жыл бұрын
일제강점기를 겪은건 국민들인데
@user-yt8wd1sd6x
@user-yt8wd1sd6x 4 жыл бұрын
조선이 일본으로 평화적으로 합병이 되었기때문에 저렇게 남아있었던거죠
@user-ru5mf6zw6w
@user-ru5mf6zw6w 4 жыл бұрын
화가난 펌프 평화적으로 합병되지 않았습니다만... 을사늑약 등등의 조약을 보신다면, 일본제국에게만 유리하게 되어있고 실제로 “합병” 이후로 수많은 우리 국민들이 잔혹하게 착취되었습니다 .. 대한민국의 한 국민으로서 역사에 대한 바른 인식과 올바른 사고를 가지셨으면 좋겠네요 ..
@user-yt8wd1sd6x
@user-yt8wd1sd6x 4 жыл бұрын
한일합방때 왕이 도장찍어 주권 넘겼고 일제보다 이조때가 백성들 수탈이 심했는데 먼 소리임
@dojang002
@dojang002 6 жыл бұрын
세종장헌대왕님의 애민정신이 살아 숨쉬는 우리의 종묘제례악은 마음이 차분해지는 느낌을 받습니다.
@user-qt1kp5zm7y
@user-qt1kp5zm7y 5 жыл бұрын
수행평가에요? 댓글 남기는게?
@UpanddownQ
@UpanddownQ 3 жыл бұрын
백성을 너무 사랑하신 나머지 노비종모법으로 많은 백성을 노비로 만들어버리신 킹 세종 존경합니다~
@user-yj3zh9ff6x
@user-yj3zh9ff6x 3 жыл бұрын
@@UpanddownQ 어? 이거완전...
@shinci8562
@shinci8562 2 жыл бұрын
@@UpanddownQ ㅋㅋㅋㅋ한글 왜 쓰세욬ㅋㅋㅋ?
@Aaa-nn4jv
@Aaa-nn4jv Жыл бұрын
@@UpanddownQ 팩트)노비종모법 덕에 세조 시기까지 노비의 수는 계속 감소했고, 이는 세조가 일천즉천을 부활시킨 계기가 되었다. 무식하면 입이라도 조심하자.
@nothingasyousaid
@nothingasyousaid 7 ай бұрын
원래 제례악은 여자는 못하도록 되어있었다. 지금의 제례악은 여자도 참가할수있다. 이것이 전통의 발전이자, 진화가 아닐까 생각한다. 나무가 굽어 자랐다고, 쓸모없다고, 잘라버리면, 숲에 자랄수 있는 나무는 없을것이다. 잘못된 전통은 왜 잘못된것인지 깨닿고, 제대로된 방향으로 가도록 관리해주는것이 진정 전통을 사랑하는 정신이라 생각한다.
@pu4124
@pu4124 Жыл бұрын
9:07 희문 11:43 기명 15:44 소무 18:27 독경 20:02 영관
@user-ie6ns1mc1l
@user-ie6ns1mc1l Жыл бұрын
하늘의 상제와 종묘사직의 신령이시여! 이 강산 이 나라를 보우하소서!
@maengkkong04
@maengkkong04 4 жыл бұрын
좋아서 들으러 온 1인이요..ㅠㅠ
@user-mg6zh5dz7l
@user-mg6zh5dz7l 3 жыл бұрын
저도 좋아요
@user-rv7dy5fg4p
@user-rv7dy5fg4p 3 жыл бұрын
뭔가 동양화속에 들어간 느낌
@user-tj4xc4lq1f
@user-tj4xc4lq1f 3 жыл бұрын
ㄹㅇ
@endend_4
@endend_4 2 ай бұрын
저도요 ....,,,
@user-cg6up3nl5u
@user-cg6up3nl5u Жыл бұрын
종묘제례악 조선 시대 역대 왕과 왕비의 위패를 모신 종묘에서 제례를 드릴 때 연주하는 음악 악+가+무가 어우러진 종합 예술
@UCJqIUBcL-2ZeJ2FsrUwT9Ag
@UCJqIUBcL-2ZeJ2FsrUwT9Ag Жыл бұрын
해외 공연 많이 많이 가주셨으면 합니다~~~~~~~
@xuhsaluwbns6779
@xuhsaluwbns6779 3 жыл бұрын
음과 율이 조화를 이루니 어찌 태평성대를 이룰 수 없지 아니한가...? 참으로 아름답구나..
@user-jg1nw1vi4p
@user-jg1nw1vi4p 2 жыл бұрын
@Decad73
@Decad73 2 жыл бұрын
진짜 아름다워요
@NUSORCA
@NUSORCA Жыл бұрын
Music is drug, an escape, 自我陶醉 and nothing more
@user-cn4hs9zl1r
@user-cn4hs9zl1r Жыл бұрын
이러다가 조선 망함 ㅋㅋ
@hideonseek
@hideonseek Жыл бұрын
@@user-cn4hs9zl1r ㄹㅇㅋㅋ 천년동안 하루종일 처맞음
@phantom9855
@phantom9855 2 жыл бұрын
정말 좋은 음악 잘 듣고 갑니다. 뉴에이지가 아닌 제대로 된 국악이 듣고 싶었는데 정말 만족스럽네요. 기회가 되면 직접 들어 보고 싶습니다
@user-dl3cj8tv9e
@user-dl3cj8tv9e 3 жыл бұрын
찬란했던 조선왕조가 망국의 끝에서 위태롭게 버티는 듯 서글프고 아름답네요. 왠지 울컥하는 기분이 들어요.
@wj8671
@wj8671 3 жыл бұрын
찬란?ㅋ
@user-dl3cj8tv9e
@user-dl3cj8tv9e 3 жыл бұрын
@@wj8671 500년이나 유지된 왕조는 세계적으로도 드뭅니다. 크고 작은 국난을 겪었고 그 오랜 시간을 버텨온 것만으로도 조선왕조는 나름대로의 저력을 가진 국가임이 틀림없습니다. 다만 국가와 국민이 아닌 왕실의 안위, 왕권에 집착한 고종의 무능함으로 조선왕조는 멸망합니다. 그러나 이는 세도정치 시기와 더불어 고종에서 끝을 맺는 개별 정권들의 연쇄적인 쇠락함에서 비롯될 뿐 큰 틀에서 볼 때 조선왕조가 '찬란'했다는 말이 과한 표현은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저는 당신이 누구인지 얼마나 깊은 역사적 지식을 가졌는지 알지 못하지만 조선왕조가 '찬란?ㅋ'라는 한마디로 평가 될 수는 없을 것입니다.
@hubsch7478
@hubsch7478 3 жыл бұрын
@@user-dl3cj8tv9e 조선이 500년이나 유지될 수 있었던 것은 관례화된 부정 부폐로 유지되었습니다. 이는 중,근세 국가중 중앙집권화 국가로서는 중앙정부에 세금이 모이지 않는 결과를 초례했고 따라 국가 주도의 개발 사업과 경제 개발이 거의 불가능했습니다.
@nina726ify
@nina726ify Жыл бұрын
@@user-dl3cj8tv9e 동의합니다.
@no-bs3km
@no-bs3km 10 ай бұрын
​​@@hubsch7478500년이란 긴 세월은 겨우 관례화된 부정부패 따위로 유지될 수 있는게 아님
@dldorur
@dldorur Жыл бұрын
꼭 공연장가서 직접 듣고싶다.
@jk-gn2fu
@jk-gn2fu Жыл бұрын
근엄하고 품위가 넘치는 음악임...
@user-yi2ke3cs2s
@user-yi2ke3cs2s Жыл бұрын
클래식 하는 사람인데 듣다 듣다 들을 음악이 없어서 여기까지 왔어요... 저는 국악이 오히려 현대음악처럼 들리네요. 넘나 천재적인 음악.
@bijou3645
@bijou3645 2 жыл бұрын
역시 우리것이 제일 소중해.
@lemonlemon594
@lemonlemon594 Жыл бұрын
너무 멋지고 좋아요ㅠㅠ 이렇게 우아한 궁중음악이라니ㅠㅠㅠㅠㅠㅠㅠ
@user-vz1uw5nx8i
@user-vz1uw5nx8i 2 жыл бұрын
국악을 좋아해서 자주 들으러 오는데 종묘제례악 들을때마다 나만 슬픈가? 묘~하게 슬프단 말이야………..
@user-yo6se7yv7z
@user-yo6se7yv7z Жыл бұрын
제사음악인데.. 아무래도 그런거도 다 고려해서 만들었겟죠??
@elliekim9747
@elliekim9747 3 жыл бұрын
듣고 있으니 너무 좋네요
@user-bw4vb1gj2j
@user-bw4vb1gj2j 3 жыл бұрын
수시로 마음수양할때 듣습니다 왠지 왕이 된것같기도하고 선비가 되어 부채를 들고 정원을 산책하며 시를 읊는 느낌....
@yura_Yenyeji
@yura_Yenyeji Жыл бұрын
음악 수업 때문에 들으러 왔는데 노래 좋네요오...
@nango3eda
@nango3eda 5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아요 여름에 한국 가면 꼭 다시 보고 싶어요
@mbr458
@mbr458 4 жыл бұрын
감동. 아름다움이 이런것이오이다.
@sangwoomichaelpark7434
@sangwoomichaelpark7434 10 ай бұрын
종묘제례악 잘 감상했습니다. 날마다 좋은 날 되세요. ^^
@user-sw4gx6vb6m
@user-sw4gx6vb6m Жыл бұрын
가슴이 찡하니 --- 감격스럽네요
@user-tv9mh1yc5c
@user-tv9mh1yc5c Жыл бұрын
오케스트라를 갖출만큼 위대한나라였다
@balice994
@balice994 3 жыл бұрын
이상하게도 저는 맨 처음 시작하는 저 소리가 매우 좋네요 고교 음악시간에 한국 전통음악 비교해서 제목 맞추기 시험을 본 적이 있는데 우리나라 전통음악임에도 불구하고 이렇게까지 생소할 수가 없었네요 그만큼 우리나라 음악을 들을 기회가 많이 없는 것 같습니다.
@user-cx4yb3oz5g
@user-cx4yb3oz5g Жыл бұрын
저도요 처음 너무 좋아요 실제로 들음 잊을수 없어요
@Decad73
@Decad73 2 жыл бұрын
처음에는 한번 접해볼까 해서 왔는데 형식적 음악적 아름다움에 경도되어서 못벗어나고 있습니다!
@naturefruitmineralwater6307
@naturefruitmineralwater6307 7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
@user-iz8ml7sm4c
@user-iz8ml7sm4c 5 жыл бұрын
음악 수행 숙제하러 왔다...
@user-rg5li6cp2s
@user-rg5li6cp2s 2 жыл бұрын
올해도 어김없이 음악 수행하러 왔습니다 ㅎㅎ
@youngman5202
@youngman5202 8 ай бұрын
옛부터 궁중예악은 황제국이 갖춰야할 필수품으로 여겼죠. 예악의 음이 고르지 못하면 나라에 큰 횡액이 닥친다고 믿었을 정도로 중요시했어요. 중국에는 이런 전통 궁중예악이나 쳬계적인 궁중예법이 없어요. 왕실 조정이 한반도로 이주하면서 모두 가져왔기 때문이에요. 과연 누가 진정한 황제국이었을까요?
@woonbelee6595
@woonbelee6595 5 жыл бұрын
오오..... 편안하다. 마음을 되찾았도다.
@user-bu8eu5ck5b
@user-bu8eu5ck5b Жыл бұрын
한국인으로서 자부심을 느끼게 하는 종묘제례악 공연으로 보고 싶어요 ❤❤❤
@cje8795
@cje8795 3 жыл бұрын
들을수록 가치가 느껴지는 우리 음악! 연주자들이 소중해요! 곡 바뀔때. 화면아래 까만여백도 많은데 자막 간단히 넣어주면 감상에 많은 도움될것같습니다 알리려고 유튭에 올리신거니!!!
@HK-wq4nc
@HK-wq4nc 2 ай бұрын
정말 이 공연은 공연장에서 직접 보시길 바랍니다. 완전 감동!!!! 특히 악장 홍창남님의 노래에 완전 반했습니다.
@HAUNEV
@HAUNEV 7 жыл бұрын
언제나 들어도 예술 판소리보다 이걸 대표적으로 내세우면 좋겠어요
@user-en3dr1vb5f
@user-en3dr1vb5f 3 жыл бұрын
맞아요.
@user-il5vp2rk4j
@user-il5vp2rk4j Жыл бұрын
진심 공감해요
@nette011
@nette011 Жыл бұрын
인정합니다
@jzc3011
@jzc3011 2 жыл бұрын
이게 바로 내가 생각하던 국악
@Sorosup
@Sorosup 2 жыл бұрын
넘 조아요
@fueiuis
@fueiuis 3 ай бұрын
국악은 나이먹을수록 좋아지는듯 진짜신기해
@athkatla3384
@athkatla3384 11 ай бұрын
실전 없이 이어진 우리 음악.. 자랑스럽습니다.
@user-nb9fi7yu7q
@user-nb9fi7yu7q 10 ай бұрын
느림의 미학 차분하면서도 역동적이다 우리는 언젠가 부터 느린걸 참지 못하는거 같다. 가끔은 차분함을 느림을 느끼길
@user-cd4dy1tg7u
@user-cd4dy1tg7u 5 жыл бұрын
0:28 시작 8:53 희문 11:42 기명
@user-gc8fl4ku7h
@user-gc8fl4ku7h Жыл бұрын
오늘따라 너무 듣고싶어서 찾아왔어요..
@nette011
@nette011 Жыл бұрын
엄숙하면서도 고요한.. 그런 느낌
@user-ep9xb8lx6v
@user-ep9xb8lx6v 8 ай бұрын
격이 다르구나 정말 좋네요 작곡가 천재일 듯
@user-fu4ws1qj8q
@user-fu4ws1qj8q 6 ай бұрын
천재시죠 훈민정음도 만들고 장영실에게 과학기구도 만들게 하였으니
@hujudy4009
@hujudy4009 3 жыл бұрын
조상의 사원 의식은 엄숙한 리듬과 선율을 통해 우아하며, 우아한 악기와 다칭과 같은 고유 한 악기와 조화를 이룹니다. 독특한 선율은 차임이나 차임과 같은 깨끗한 음색의 악기 소리와 일치합니다.
@seerin0158
@seerin0158 7 жыл бұрын
뭔가 해쳐나가려는 얼 을 느낄수 있는듯 합니다.
@seerin0158
@seerin0158 7 жыл бұрын
음악이라기보다 음악적 행위에 가까운듯 하네요
@user-qw3ej4ip7b
@user-qw3ej4ip7b 4 жыл бұрын
수행 시팔 감사합니다ㅜ
@user-jf4hi2lt4m
@user-jf4hi2lt4m 2 жыл бұрын
국악 참 좋다...
@user-yk1ov2jw9y
@user-yk1ov2jw9y 3 жыл бұрын
이노래너무좋아헤헤헹
@user-wk1gd5sw7k
@user-wk1gd5sw7k 3 жыл бұрын
전통 오케스트라 . 멋쥐다
@elliekim9747
@elliekim9747 3 жыл бұрын
조선시대의 왕이 된 것 같아요.
@user-rl6zu4kb4d
@user-rl6zu4kb4d Жыл бұрын
Hello, I am an elementary school student living in South Korea.Let me introduce Jongmyo Jeryeak in Korea.Jongmyo Jeryeak is a music played during the Joseon Dynasty at Jongmyo Shrine to perform ancestral rites to kings and queens, and is used for the largest and most important ancestral rites in Joseon with instrumental music, dance, and songs
@butter0314
@butter0314 4 ай бұрын
에구~기특해라🥰
@snmmns
@snmmns 4 ай бұрын
천상계의 신선이 듣는 음악 같음
@user-ci2si3uj8z
@user-ci2si3uj8z 4 ай бұрын
ㅇㅈ…
@user-wx3wq8hx2b
@user-wx3wq8hx2b 2 жыл бұрын
평화..감동 행곡함
@user-db2mm7og6f
@user-db2mm7og6f 4 жыл бұрын
조선이 우습게 보이지만 절대 헛으로 한 것이 하나도 없습니다. 저 음악 음 하나 하나 춤 하나 하나에 다 뜻이 있을 겁니다. 궁궐 담벼락 아궁이에까지 다 뜻이 있어요.
@soulshyke
@soulshyke 4 жыл бұрын
뜻은 있죠~ 근데 실용적이지 않아서 문제
@user-ii4po8qb3r
@user-ii4po8qb3r 4 жыл бұрын
시대가 문제죠 저때는 저것이 실용적인것이고 고급스러운것입니다 요즘시대에서 실용을 찾으면 안되죠 그렇게치면 재즈나 블루스는 지금 실용적인가요?
@opppgi406
@opppgi406 4 жыл бұрын
@@user-ii4po8qb3r 블루투스는 실용적인데? 줄꼬일 일도 없고 정보통신기술의 산물 아니가!
@user-ii4po8qb3r
@user-ii4po8qb3r 4 жыл бұрын
@@opppgi406 혹시 난독이세요?
@enchantedJS
@enchantedJS 4 жыл бұрын
@@user-ii4po8qb3r 시대가 문제가 아니죠 똑같은 시대인데 왜 주변나라 중 조선만 약했을까요^^ 무능한 조선왕족때문이죠
@user-ku5cp4ro6d
@user-ku5cp4ro6d Жыл бұрын
쇤베르크 조상중에 한국인이 있었던게 분명하다! 무조음악 화이팅
@Backpercent
@Backpercent 3 жыл бұрын
첨엔 듣기 좀 그랬는데 자꾸 들으면 아름다운 음악... ㅋㅋㅋㅋㅋ
@user-qh6hr1lv5h
@user-qh6hr1lv5h 4 жыл бұрын
부드럽고 온화하고 기풍있고 절제되며혼이살아있고 때론박력있고 무엇보다도 살아움직이는 저! 선율^^... 역쉬조선 궁중음악 최고!
@user-rn6si1yk4w
@user-rn6si1yk4w 7 жыл бұрын
옛날에 저런건 어디서 연습했을까 궁금
@user-rn6si1yk4w
@user-rn6si1yk4w 7 жыл бұрын
세랑 연습할때 욜라 시끄럽겟네여 ㅋㅋ
@soulshyke
@soulshyke 4 жыл бұрын
악공청
@user-lm1er7zv4p
@user-lm1er7zv4p 3 жыл бұрын
고마워요... 음악 보고서에 쓸 거 하나 더 생김
@clairep5209
@clairep5209 3 жыл бұрын
궐 밖에 있었대요 장악원의 관사는 성종의 특명으로 태상시(太常寺) 동쪽 수십 보 떨어진 곳에 민가를 철거하고 세워졌는데, 위치는 한성부 서부 소속의 여경방에 있었다. 새 청사에 장악원의 당상관(堂上官)과 낭청(郎廳)들이 일할 곳과 악공 및 악생들이 연습할 장소가 구별되어 마련되었고, 여러 종류의 악기들을 보관할 건물과 정조(正朝)나 동지(冬至) 때 문무백관들이 음악에 맞추어 조하의식(朝賀儀式)을 연습할 수 있는 넓은 뜰도 갖추었다. 임진왜란 때 이 청사가 불타버렸기 때문에, 선조 말기에 새로운 청사가 명동의 구 내무부청사 자리에 건립되었다. 새 청사의 대지는 1만 평이었고, 그 위에 수백 칸의 건물이 세워졌으므로 장악원의 음악활동이 모두 그곳에서 이루어질 수 있었다. 300여 년 동안 사용된 이 건물은 1904년 러일전쟁이 발발하자 일본군대의 전진기지로 징발되어, 그 뒤 장악원의 후예들은 정국의 어수선한 분위기 속에서 뚜렷한 청사도 없이 어려운 생활을 해야만 했다. 1904년 당시의 교방사는 조동에 있는 개인집으로 옮겼다가 서울역 뒤 서학현(西學峴: 지금의 중림동)에 있는 장혜원 자리로 청사를 옮겼다. 경술국치 직후 당시 아악대는 1911년 장혜원의 자리에서 당주동에 있었던 봉상시(奉常寺)의 주고(酒庫)를 수리해 임시로 옮겼다. 그곳에서 아악대는 이왕직아악부로 개칭되었고, 아악부원양성소(雅樂部員養成所)의 제1·2기생들을 모집해 양성했다. 그 뒤 이왕직아악부는 1926년 1월 창덕궁 앞 운니동의 구 은사수산장(恩賜授産場: 왕실에서 돈을 주어 세웠던 공장)의 불탄 자리에 새로 지은 건물로 옮겼다.
@clairep5209
@clairep5209 3 жыл бұрын
@@user-bh9qc9vp8w 궐 밖에 있었대요 장악원의 관사는 성종의 특명으로 태상시(太常寺) 동쪽 수십 보 떨어진 곳에 민가를 철거하고 세워졌는데, 위치는 한성부 서부 소속의 여경방에 있었다. 새 청사에 장악원의 당상관(堂上官)과 낭청(郎廳)들이 일할 곳과 악공 및 악생들이 연습할 장소가 구별되어 마련되었고, 여러 종류의 악기들을 보관할 건물과 정조(正朝)나 동지(冬至) 때 문무백관들이 음악에 맞추어 조하의식(朝賀儀式)을 연습할 수 있는 넓은 뜰도 갖추었다. 임진왜란 때 이 청사가 불타버렸기 때문에, 선조 말기에 새로운 청사가 명동의 구 내무부청사 자리에 건립되었다. 새 청사의 대지는 1만 평이었고, 그 위에 수백 칸의 건물이 세워졌으므로 장악원의 음악활동이 모두 그곳에서 이루어질 수 있었다. 300여 년 동안 사용된 이 건물은 1904년 러일전쟁이 발발하자 일본군대의 전진기지로 징발되어, 그 뒤 장악원의 후예들은 정국의 어수선한 분위기 속에서 뚜렷한 청사도 없이 어려운 생활을 해야만 했다. 1904년 당시의 교방사는 조동에 있는 개인집으로 옮겼다가 서울역 뒤 서학현(西學峴: 지금의 중림동)에 있는 장혜원 자리로 청사를 옮겼다. 경술국치 직후 당시 아악대는 1911년 장혜원의 자리에서 당주동에 있었던 봉상시(奉常寺)의 주고(酒庫)를 수리해 임시로 옮겼다. 그곳에서 아악대는 이왕직아악부로 개칭되었고, 아악부원양성소(雅樂部員養成所)의 제1·2기생들을 모집해 양성했다. 그 뒤 이왕직아악부는 1926년 1월 창덕궁 앞 운니동의 구 은사수산장(恩賜授産場: 왕실에서 돈을 주어 세웠던 공장)의 불탄 자리에 새로 지은 건물로 옮겼다.
@user-zn6jj2xg9i
@user-zn6jj2xg9i 7 жыл бұрын
오우 멋쟁이
@user-lc9mx1nx7g
@user-lc9mx1nx7g 8 ай бұрын
우리 음악은(정악. 산조. 시나위) 마음을 비운체 집중해서 수 백 번을 듣고.나서야 음악의 아름다움을 느꼈다
@user-tv9hk2pc4r
@user-tv9hk2pc4r 6 жыл бұрын
대박!
@jasonpark7383
@jasonpark7383 5 жыл бұрын
조선왕조실록 읽는데 브금이 이정돈 깔려야지ㅋㅋㅋ
@user-wf4ig4nk1m
@user-wf4ig4nk1m 5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dv6yx3ll4g
@user-dv6yx3ll4g 4 жыл бұрын
아이돌 들으며 읽으셈 조선왕조실록이 감미로울거임
@user-vd6ld9fi8u
@user-vd6ld9fi8u 4 жыл бұрын
@@user-dv6yx3ll4g 종묘제례악이 상왕 제사에 쓰이는음악인데요..
@user-gx6wf7su7n
@user-gx6wf7su7n 4 жыл бұрын
@@user-dv6yx3ll4g 아이돌을 어떻게 들어요?
@user-pq3ys5ls1b
@user-pq3ys5ls1b 4 жыл бұрын
Hape Gold 한 아이돌 그룹의 노래 이름 같은데욥
@user-xe6zr3um8c
@user-xe6zr3um8c 4 жыл бұрын
그냥 듣게된다
@sy-ym1cb
@sy-ym1cb 4 жыл бұрын
속도 2배로 했는데도 똑같아서 핸드폰 고장난 줄 ㅋㅋ
@_toyoru9504
@_toyoru9504 4 жыл бұрын
오홓포홐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vm9hd5nz5x
@user-vm9hd5nz5x 4 жыл бұрын
진짜로 바뀐게 없어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ed2jb3pb2b
@user-ed2jb3pb2b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
@cje8795
@cje8795 3 жыл бұрын
흫ㅎㅎㅎ ㅎㅎㅎㅎ
@user-ij3zi6vp9h
@user-ij3zi6vp9h 3 жыл бұрын
ㅋㅋㄹㅃㅃ
@spyou
@spyou 3 жыл бұрын
나만 이런노래 자주듣나..
@seomok5297
@seomok5297 29 күн бұрын
지켜주셔서감사합니다
@user-cg3bk4yk1n
@user-cg3bk4yk1n 4 жыл бұрын
Wau, great~. How people have preserved this world treasure until now..
@user-xx1bl5ox6j
@user-xx1bl5ox6j 4 жыл бұрын
ㅈㄹㄴ
@movedaccount9958
@movedaccount9958 3 жыл бұрын
Wau가 아닌 Wow입니다
@chocolatove
@chocolatove 2 жыл бұрын
Oh! Yeah!! I'm so surprised that this song is so clear, like a milk! It's clarity, exclusive music progression is so amazing! Yall know that the freaking and hard of practice made the music sooo perfect!! OMG I'm so impressed and it REALLY moved my heart...ToT
@user-ie6ns1mc1l
@user-ie6ns1mc1l Жыл бұрын
우리꺼 넘보지마시오!
@jniu6320
@jniu6320 4 жыл бұрын
국사공부하면서 들으러 왔읍니다..
@user-gydms1226
@user-gydms1226 4 жыл бұрын
와아아ㅏ아아아아아아앙ㅇ우 엄청난 음악 2배속을 했는데..0.25배속을 느끼게 해주는 음악...
@rohws
@rohws 4 жыл бұрын
1:56 오른쪽 우리가 수업들을 때 표정
@user-px7qj3oy6o
@user-px7qj3oy6o 3 жыл бұрын
앀ㅋㅋㅋㅋ쌉공감ㅋㅋㅋㅋ
@user-ei9gg4ji7m
@user-ei9gg4ji7m 3 жыл бұрын
ㅅㅂㅋㅋㅋㅋㅋㅆㅇㅈ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mg6zh5dz7l
@user-mg6zh5dz7l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ㅅㅂ
@forfreedom1155
@forfreedom1155 4 жыл бұрын
謝謝你們!
@seanhan53hsj67
@seanhan53hsj67 3 жыл бұрын
우리가 몰랐던 우리 음악 이야기에서 종묘제레약 QR코드 카메라로 찍은사람 조용히 손들고가라
@user-cx3qq3kc9p
@user-cx3qq3kc9p 3 жыл бұрын
손이요
@lovee.8327
@lovee.8327 3 жыл бұрын
@user-gq4qp5ze2u
@user-gq4qp5ze2u 3 жыл бұрын
손...
@user-vu5dc8hs2v
@user-vu5dc8hs2v 3 жыл бұрын
나요
@user-bp6yt6sg9v
@user-bp6yt6sg9v 3 жыл бұрын
@AI-ee1db
@AI-ee1db Жыл бұрын
역사 공부 할때 듣습니대
@dragon-dx4sy
@dragon-dx4sy 3 жыл бұрын
밤에 ...코딩하면서 듣기 편,.~안.,~ 하구만 국악 푀고잉
@globe-trotter
@globe-trotter 4 ай бұрын
저절로 엄숙함이😮
@user-lq3nx8ky9m
@user-lq3nx8ky9m 2 жыл бұрын
어제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종묘제례악 공연보고 오늘 유튭으로 다시보네요.
@NSkoreaball
@NSkoreaball Жыл бұрын
숙제로 왔다 손!
@Skbmzic
@Skbmzic Ай бұрын
이게 진짜 국악이지. 요즘 사람들은 음계부터 12음계인 서양 음악에 가야금이나 거문고 같은 걸로 좀 편곡해주면 국악인 줄 앎. 퓨전국악을 빙자한 서양음악을 국악으로 아는 사람들만 남게 된다면 진짜 국악은 멸망을 면치 못할 것
@AlphaCastor
@AlphaCastor Жыл бұрын
구석탱이 서계신 분들이 제일 고역일듯 내내 서있으면서 하는 일은 얼마 없는데 그 일이 또 중요한...
@user-ex2bm9yr6k
@user-ex2bm9yr6k 4 жыл бұрын
광고가 재밌게느껴진건 처음이군요오
@user-kx4se2gi3g
@user-kx4se2gi3g 16 күн бұрын
오...나의 왕이시여...
@ManinEduStudio
@ManinEduStudio 6 жыл бұрын
kzfaq.info/get/bejne/fp1jq9xl07e9pI0.html종묘제례악 중 '희문' 악보 포함된 영상입니다!
@birds--qp9jh
@birds--qp9jh 3 ай бұрын
방송부 아침방송에서 국악이랑 동요 빼고 다 틀지 말래서 열받았는데 이거 틀면 되겠네요😂
@ysh8545
@ysh8545 3 жыл бұрын
우리의 전통음악 악기가 세계에 알렸으면 좋겠다. 외국의 한국소개 영상에서 중국음악이 나오는거 보고 짜증났는데
@user-oz9yf6ul3c
@user-oz9yf6ul3c 2 жыл бұрын
세종이 하루만에 작곡한 음악임 ㄷㄷ
종묘제례악 5분 하이라이트
5:11
예술의전당 SAC ON SCREEN
Рет қаралды 332 М.
Каха ограбил банк
01:00
К-Media
Рет қаралды 10 МЛН
Can You Draw A PERFECTLY Dotted Line?
00:55
Stokes Twins
Рет қаралды 73 МЛН
DO YOU HAVE FRIENDS LIKE THIS?
00:17
dednahype
Рет қаралды 24 МЛН
She ruined my dominos! 😭 Cool train tool helps me #gadget
00:40
Go Gizmo!
Рет қаралды 60 МЛН
2023 종묘추향대제 #전주이씨 #종묘제례악 #종묘
16:04
전주이씨대동종약원
Рет қаралды 2,9 М.
[Arirang TV] Korean Music Fest - DAECHWITA(대취타)
4:04
Arirang TV
Рет қаралды 82 М.
DISNEY MEDLEY 🌿🤍 (Korean traditional music ver.)
10:09
스누뮤 SNUMU
Рет қаралды 276 М.
국립국악원 무용단 정기공연: 무원(舞源)[2016.06.17.] 04. 부채춤
7:03
국립국악원[National Gugak Center]
Рет қаралды 439 М.
취타,길군악
9:36
Quincy Jung
Рет қаралды 133 М.
Dildora Niyozova - Bala-bala (Official Music Video)
4:37
Dildora Niyozova
Рет қаралды 9 МЛН
LISA - ROCKSTAR (Official Music Video)
2:48
LLOUD Official
Рет қаралды 48 МЛН
Көктемге хат
3:08
Release - Topic
Рет қаралды 189 М.
Kobelek
4:11
6ELLUCCI - Topic
Рет қаралды 121 М.
Райымбек Нысанбек - Сүйдім аруды
3:39
Райымбек Нысанбек
Рет қаралды 86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