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자들은 죽음을 어떻게 생각할까? | 범준에 물리다

  Рет қаралды 374,875

범준에 물리다

범준에 물리다

Күн бұрын

📢오늘의 주제: 과학으로 밝혀낸 ‘죽음’
안녕하세요, 구독자 여러분🖤
오늘은 범물리의 첫 게스트 ‘장동선 박사님’께서 함께해 주셨는데요.👏👏👏
물리학과 뇌과학의 관점에서 죽음이란 무엇인지 흥미롭게 설명해 주셨습니다.
과연 끝이 있는 삶 속에서 우리는 죽음을 어떻게 바라봐야 할까요?
오늘도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타임라인🔻
00:00 인트로
00:52 과학으로 밝혀낸 죽음
14:37 과학적으로 실험한 사후세계
24:32 죽기 1초 전에 우리가 경험하는 것

Пікірлер: 1 000
@user-yu7wb8tg5q
@user-yu7wb8tg5q 3 ай бұрын
중학생인데 두분의 대화가 정말 너무 품격있고 멋져요..저도 앞으로 저렇게 멋있는 어른이 되리라 다짐합니다 감사해요😆😆
@user-sz1ey9lr4i
@user-sz1ey9lr4i 2 ай бұрын
와우~ 중학생이 박사님들의 말씀을 이해하다니~ 큰 인물이 되리라 믿어요.
@user-th7mq3vw2w
@user-th7mq3vw2w 2 ай бұрын
멋진 학생이 멋진 어른 멋진 교수님이 됩니다. 지금 본인이 인정할만큼 멋지게 살면 돼요
@user-is1ve3jz9x
@user-is1ve3jz9x 2 ай бұрын
다양한 사람을 만나서 더많이 겪으면서 지혜로운 아이가 되길바래❤
@user-bj2ny4bp7x
@user-bj2ny4bp7x 2 ай бұрын
30살아재도 탁치고 갑니다
@bird146
@bird146 2 ай бұрын
나라의 미래를 밝혀 주시네요. 응원합니다
@user-dh6gw7eh7s
@user-dh6gw7eh7s 3 ай бұрын
두 박사님들의 대화는 고급스럽고 점잖으며 격조높고 의미있으며 다정하고 즐겁습니다. 정말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yosepyeom1827
@yosepyeom1827 3 ай бұрын
죽음이라는 개념이 두렵다기보단, 죽음으로 하여금 마주해야할 사랑하는것들과의 이별이 두려운게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wj5605
@wj5605 3 ай бұрын
이말이 정답이네요
@DIABLO-xy3jq
@DIABLO-xy3jq 3 ай бұрын
저는 죽기직전의 아픔이 무서움
@user-op2fd2gu2b
@user-op2fd2gu2b 3 ай бұрын
있을때 최선을 다하는게 좋을 것 같다는 생각도 같이 드네요
@user-xq5hc4yd1r
@user-xq5hc4yd1r 3 ай бұрын
죽으면 하는 이별은 죽은 사람들이 하는게 아니라 살아 있는 사람들이 하는 거라고 생각 합니다 그래서 이별에 대한 슬픔도 살아있는 사람들의 몫이지요
@elcamiro4077
@elcamiro4077 3 ай бұрын
복잡하고 난해해요..인간이 자신의 죽음에 관한 공포와 사후세계등 죽음을 정의한다는게..공포는 어떤 것으로도 경감하거나 극복 못해요..단지 운명으로 알고 살아 있을때 보람있고 충실한 삶을 사는게 현실적이죠..불교 자기수양이 깊은 스님들의 사망전 이야기 들어 보면 죽음의 공포에서 벗어나는 정신적 자아를 깨닫는 분들이 있다고 하더군요.서울대 의대 교수 출신 유명한 사후세계 주장하는 분 있던데..나는 그런 수많은 사례를 들며 하는 말이 별로 였어요..임사체험? 그것은 죽지 않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지 사후세계가 있다는 증거가 못되요.김범준 교수가 오늘 말했던게 함축되고 현실적인것 같아요..살아 있어야 인간이고 곧 그것이 나 자신 이기때문이죠..종교에서 말하는 천국ㅇ과 윤회는 종교적 차원이지 평범한 인간의 죽음과는 다른 것이라고 봐요..천국 간다고 종교 권유하는 많은 분들에게 말해주고 싶네요..그게 그렇게 좋으면 빨리 죽을 수 있냐고...
@user-pe4op4xz2v
@user-pe4op4xz2v 3 ай бұрын
죽음을 두려워하는것은 나와관계된 모든것을 놓치못해서라고 생각을 해봅니다
@Heroique
@Heroique 3 ай бұрын
내 죽음이 두려운것보다 내 죽음 혹은 다른 가까운 사람의 죽음으로 인한 이별이 두렵네요
@hungrytiger86
@hungrytiger86 Ай бұрын
걱정할 필요 없습니다 죽고나면 이별해서 슬프다라는 의식 자체가 없습니다 죽으면 그냥 원자 상태로 돌아가는 겁니다
@hm_821
@hm_821 Ай бұрын
@@hungrytiger86 그런 당연한 소리를 하는게 아니라 글쓴이는 앞으로 벌어질 일(죽음이나 이별)에 대해 살아있을때 드는 생각에 두렵다는 얘기를 하는 겁니다.
@user-jf3pn6zm2s
@user-jf3pn6zm2s 3 ай бұрын
너무 흥미로운주제였던거같습니다 심도깊은대화를 이렇게 쉽게 재밌게 들을수있는게 요즘 너무 고맙다고느끼고있읍니다😊
@KimJGS
@KimJGS 3 ай бұрын
서로 다른 분야에서 지식이라는 기둥을 쌓아올린 두 학자가 하나의 소재를 바라보는 서로 다르기도하고 비슷하기도 한 것들에 대해 이야기하는 이런 수준높은 대화를 유튜브에서 편하게 볼수 있는건 정말 좋은 일이네요. 감사합니다 두분모두..
@sunkim3427
@sunkim3427 3 ай бұрын
죽음이란 죽은자의 인지가 아니라 남은자의 인지다.
@framedriven2123
@framedriven2123 3 ай бұрын
해가 서산에 넘어가면 죽었다고 하지만 해 자신은 있듯이 죽은 자도 있지 않을끼?
@sangkipark3970
@sangkipark3970 2 ай бұрын
동감.남은자의 인지.
@Cro-cop
@Cro-cop 2 ай бұрын
하긴 죽으면 '나 죽어버렸네' 하고 비통한 마음을 느낄 수도 없으니 ㅋㅋ
@Hina_Kikuchi
@Hina_Kikuchi 27 күн бұрын
'살아있을때는 죽음이 나에게 있지않고 죽은 뒤에는 죽음을 느낄 내가 없다' 옳은 말이지만 죽음으로 가기 전의 고통들이 생명체는 무서운게 아닐까 합니다.
@user-jo6yi7ub9o
@user-jo6yi7ub9o Ай бұрын
이렇게 수준높은 대화를 어디에서 들을까? 이래서 사람은 배워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지성인들의 대화는 듣고만있어도 지적호기심을 만족시켜주네요.
@user-sr9vo7yr5n
@user-sr9vo7yr5n 17 күн бұрын
저의 개인생각입니다 우리가 꿈을 꾸지않고 깊게 잠들면 깨어날때까지 아무기억도 없습니다 우리가 잠이라는것은 몸의 회복을 위한 수단이지만 죽기전에 잠이라는것을통해 죽음의 연습도 포함되어 있다 생각합니다 죽음이란 다시는 깨어날수없는 영원한 깊은숙면이라 생각합니다
@user-ee8rz6ls5s
@user-ee8rz6ls5s 5 күн бұрын
삶자체가 꿈이지요ㆍ죽음이후에는 그 꿈에서 깨어난것이고ᆢ
@user-vr2le7xp8g
@user-vr2le7xp8g 3 ай бұрын
너무 흥미롭고 재밌는 토론이었습니다
@3sdk4po19
@3sdk4po19 3 ай бұрын
재미있는 주제네요 😮 흥미롭게 잘봤습니다~
@user-mr1sc2sr8b
@user-mr1sc2sr8b Ай бұрын
내가죽을때는 아무것도두렵지가 않다.. 어차피 다들죽기때문에.. 내가제일두려운건 사랑하는 사람이 먼저떠나서 그 빈자리를 죽기전까지 그리워하고 살아야한다는것이다
@user-qz3pj6dx5p
@user-qz3pj6dx5p 3 ай бұрын
10만 구독자 축하합니다.교수님. 구독자 1천 여명일때 구독했었는데 벌써 10만🎉🎉 항상 잘 보고있습니다😊
@milk0107
@milk0107 3 ай бұрын
교수님 오늘도 잘 봤어요!❤!
@user-cf3xc5oz7g
@user-cf3xc5oz7g 3 ай бұрын
좋아요를 누를 수 밖에 없는 토론이네요 😊
@windyboy
@windyboy 3 ай бұрын
흥미롭게 잘 봤습니다 꿈에 대해서도 한번 다뤄주시면 좋을 것 같네요
@ssom4688
@ssom4688 3 ай бұрын
와...이런 대단한 분들의 심도깊은 대화를 내침대에서 볼수있다는건 정말 큰 영광이네요..감사합니다😊
@oldromance00
@oldromance00 2 ай бұрын
물리적 신체적 죽음에 대한 두려움보다 내가 사랑하는 존재들과의 영원한 이별이 더 두려운 것 같아요
@bioskim1822
@bioskim1822 3 ай бұрын
김범준교수님이 소개해주신, 에피쿠로스의 '살아있을때는 죽음이 나에게 있지않고 죽은 뒤에는 죽음을 느낄 내가 없다' 라는 명언에 감동 받았습니다 그리고 죽음과 관련한 호킹박사의 '죽음이란 컴퓨터에 전원이 꺼진 것과 같다'라는 말과도 유사한 맥락이라 생각되는군요 저도 죽음을 과학자분들의 생각처럼 담담하게 받아들일 수 있는 경지에 이르고싶습니다
@hansy7865
@hansy7865 2 ай бұрын
죽은 뒤에 죽음을 느낄 내가 없다는게 개소리인지 어찌 앎? ..개뿔 죽었다 살아난 놈이 없는데 사후세계를 그어떤 놈이 안다고..다 개소리임..
@user-uz8nr4pu6m
@user-uz8nr4pu6m 2 ай бұрын
너 말하는 뽄새를 보면 사후세계 믿는 애들의 수준을 알수 있죠. 그래서 더 신뢰할수도 없고 들을 가치도 없는 겁니다.
@gattosazio5778
@gattosazio5778 2 ай бұрын
음.. 이것도 어떻게 받아들이냐의 차이라고 생각합니다. 김범준 교수처럼 죽으면 말그대로 죽음을 느낄 내 자아가 없어지는거기 때문에 두렵지 않다라고 받아들일수 있지만. 저같은 경우는 죽는다는게 두려운게 아니라 죽어서 아무것도 느끼지 못할 내 자아가 없어진다는게 두려운거거든요. 예를 들어 치매환자가 자신이 치매인지 몰라서 슬프거나 부정적인 감정이 들지 않는다고 해서 치매가 두렵지 않은건 아니잖아요? 가끔은 지옥보다 더 두려운게 나라는 존재 자체가 없어지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곤합니다.
@user-ud6jm8nq3p
@user-ud6jm8nq3p 2 ай бұрын
지도 무서워서 자기세뇌 하는거임
@user-sf8hr5dm3v
@user-sf8hr5dm3v 2 ай бұрын
ㅡ​@@user-uz8nr4pu6m
@user-zb3zy2kz1s
@user-zb3zy2kz1s 2 ай бұрын
범준님 말씀이 귀에 쏙쏙 들어와서 너무 좋아요...
@user-gv3ns7xp2m
@user-gv3ns7xp2m 3 ай бұрын
구독 알람 설정 다 랬는데 왜 안온거지!! ㅠㅠ 교수님!! 빵이 안보입니나!! 빵을 드셔 주십시요!!!
@Quidam12
@Quidam12 3 ай бұрын
두분 합방 넘 감사해요 ❤
@user-eu2rc5hd9i
@user-eu2rc5hd9i 3 ай бұрын
물리학자가 본 죽음과 뇌 과학자 죽음을 보면서 흥미로웠습니다. 생명체의 신비로움을 알게 되었습니다. 질서있는 메카니즘이 만들어낸 죽음. 재미있었습니다. 김범준 교수님 감사합니다. 장동선 박사님 고맙습니다. 재미있었습니다.
@kilreelee5520
@kilreelee5520 3 ай бұрын
두분 심층분석 감사해요.
@dongjuzzang
@dongjuzzang 3 ай бұрын
교수님! 시간 되실 때 삼체 보시고 리뷰 부탁 드리고싶어요😢 물리학자가 보는 관점과 교수님의 친절한 설명이 너무 재밌고 벌써부터 설레여요😊😊
@mikek5117
@mikek5117 3 ай бұрын
정말 수준높은 대화 감사합니다
@Jacobson5837
@Jacobson5837 3 ай бұрын
저도 같은생각인게 죽음은 두려워할 개념이 아닌 죽음의 과정속에서 어떻게 살아야될것인가라는 생각을 할때 그 끝에서 기다리고있는 필연적인 현상일뿐이라거 생각해요 내주변의 죽음은 고통이지만 나자신의 고통은 현상으로 보아야된다고 생각합니다
@user-wf6gc6ux1x
@user-wf6gc6ux1x 2 ай бұрын
사후셰계 실체의대해 영상을 통해 잘설명해 보여주셔서 감사드립니다
@user-tc3wz9qb5k
@user-tc3wz9qb5k 3 ай бұрын
두 분이 함께 하시니 참 좋습니다!!!
@user-tq7pr8je9p
@user-tq7pr8je9p 3 ай бұрын
죽는건 무섭지 않은데 죽음의 방식과 고통이 무서울뿐...
@user-hb9nw7gy7k
@user-hb9nw7gy7k 3 ай бұрын
우리 모두는 결국 죽기 위해 삶을 살고 있는게 팩트.. 그런데 의아한게.. 행복하게 살거나 잘 사는 방법이라해서 어릴때부터 많이 듣고 살았지만 단한번도 잘죽는 방법... 어떻게 죽어야 하는지..그리고 죽음은 어떻게 준비해가는지.. 아무도 그누구도 알려주지도 않고 심지어 그런걸 알주면 안되는걸로 인식하고 있다는데 가장 심각한것이다... 죽음은 당연한건데..죽음에 대한 인식을 바꿔야 할것이다
@user-bo6qo2ry2f
@user-bo6qo2ry2f 3 ай бұрын
죽음의 에티켓이라는 책에서 알려줍니다
@framedriven2123
@framedriven2123 3 ай бұрын
티벳 사자의 서라고 있습니다.
@seon-gyoungadams2257
@seon-gyoungadams2257 2 ай бұрын
죽음에 대해 터브시 하는 한국 문화 때문아닐까요 ? 찾아 보면 많습니다! 특히 코비드를 겪은 인류, AI 를 준비하는 세대 … 세상이 바뀌고 있습니다
@jxg3280
@jxg3280 2 ай бұрын
그건 그냥 말장난인게 죽음은 어느 누구도 피할수없기에 살아있는 지금 잘 살아가는것이 죽음을 잘 준비하는것과 같음
@user-lc5zy5jp5o
@user-lc5zy5jp5o Ай бұрын
죽음을 염두에 두고 살아야 겸손하게 잘 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seongpilkim5291
@seongpilkim5291 3 ай бұрын
깊이 감사드립니다 ❤❤❤
@hasus6106
@hasus6106 3 ай бұрын
죽음에 이르기까지 고통이 두려운 거지 죽음 자체가 두려울 건 없지.
@user-ok3lc3vg8o
@user-ok3lc3vg8o 3 ай бұрын
나라는 존재가 의식조차도 다 사라진다는 것이 막연하게 두려울 수 있음.
@user-io1ox1io7f
@user-io1ox1io7f 3 ай бұрын
​@@user-ok3lc3vg8o그치 그러니 내 의식이 여전히 존재한다는 사후세계를 믿는거고
@user-qo1lm8yu2c
@user-qo1lm8yu2c 3 ай бұрын
그러냐? 고통이 두려운게 아니라 죽음 이후에 나라는 존재가 사라지는 것이 두려운게 아니고? 그래서 겁나게 아픈 외과수술은 참아도 수면제 먹고 뒈지긴 싫은거 아니냐?
@kucktaelim2054
@kucktaelim2054 3 ай бұрын
​@@user-ok3lc3vg8o그땐 두려워할 "나"가 존재하지 않죠. 정말 이런 말 하기 죄송하지만 생물체의 DNA에 아로새겨진 생존 번식 본능일 뿐 이성적으로 생각해 보면 어리석기 짝이 없는 모순된 심리죠. 죽고 나면 내가 이미 존재하지 않을 텐데 내가 그때 가서도 존재할 거라고 전제하고 생각하는...
@user-io1ox1io7f
@user-io1ox1io7f 3 ай бұрын
​@@kucktaelim2054 이해를 못하시는듯 지금 생존함으로서 존재하는 나의 의식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을거라는 공포인데 당연히 죽으면 의식이 없으니까 공포도 못느끼지 당연한걸 뭘 저 사람도 그걸 얘기하는데 무슨 존재할걸 전제로 생각을해 완전 뚱딴지 같은 소리를하시네
@Ragearima
@Ragearima 3 ай бұрын
두분의 대화를 보고 들으며 평경장과 아귀의 젠틀한 한판이 자연스레 생각되네요.
@user-zk9bx6ic9r
@user-zk9bx6ic9r 3 ай бұрын
교수님 보다 실시간할때 얼마나 떨리셨어요.? 제가 제일 관심있어하는 분야네요.😊
@hyesookhan3933
@hyesookhan3933 3 ай бұрын
뇌과학자와 물리학자 두분이 에피쿠로스와 닐케를 말씀하시다니!과학과 철학은 통하는 학문이라는 사실을 다시 한번 깨닫고 갑니다.
@spinalaki
@spinalaki Ай бұрын
전 대부분의 시간을 유물론자로 살면서 사후세계나 정신세계에 대해서 거의 부정하다시피 살았는데, 장 박사님께서는 물리학자의 관점에서 이들을 이해하시면서도 죽음에 대해 다양한 관점에서 다양한 경험들을 볼 방법을 찾기 위해서 폭넓은 사고로 모든 걸 관찰하셨네요. 박사님께서 보고 계시는 세상이 제가 보는 것보다 얼마나 넓고 광활할지...
@user-zu3ss7zc2v
@user-zu3ss7zc2v 3 ай бұрын
이번 영상 너무재밌어요!!
@holydiver8390
@holydiver8390 3 ай бұрын
김범준 교수님 같은 분 특: 타인의 죽음에누구보다 진심으로 애도하고 슬퍼하심
@user-yc7jl6lp3z
@user-yc7jl6lp3z 2 ай бұрын
옳은 이야기 같아요
@isfp2155
@isfp2155 Ай бұрын
좋으 주제네요😊
@user-ck8md2sj4k
@user-ck8md2sj4k 3 ай бұрын
저는 죽음 직전까지 2번 갔다 온 사람인데.. 첫 번째는 중학생 때 친구들이랑 여름에 계곡에 갔다 익사할 뻔했을 때 물에 가라앉으면서 엄청 편안한 느낌이었고 주마등이 빠르게 지나치면서 종소리를 들었고 일어났을 땐 눈물 콧물 질질 흘리면서 엄청 괴로웠던 점 두 번째는 오토바이 타고 엄청 가파른 길을 내려가다 오토바이 붕 뜨면서 몸이 앞으로 날아갔을 때 주마등이 빠르게 지나간 것 사람마다 다르네요..살아있음에 감사 또 감사하네요
@user-br2vx1nj6b
@user-br2vx1nj6b 3 ай бұрын
2부가 또 나오나요? 이야기 하다가 끝나는데용. 그리고 무속인과 물리학 이것도 다뤄 주시면 좋을거 같아용
@theneoamuro
@theneoamuro 3 ай бұрын
와~ 벌써 10만 ~ 축하드립니다.
@bss5277
@bss5277 3 ай бұрын
10만 축하합니다
@aknal0023
@aknal0023 3 ай бұрын
과학자들이란 티끌만큼 증명된 지식을 가지고 거대한 자연과 우주를 이해하려고 한다~ 패턴이나 공식을 못 찾으면 없는 현상으로 치부하려 한다!
@user-jo4tg2yy3j
@user-jo4tg2yy3j Ай бұрын
니님이 그렇네요~~ 나무 관세움보살 ~~😂
@user-yq2sf7vc2i
@user-yq2sf7vc2i 3 ай бұрын
죽음이란 내 몸을 구성하는 모든 것들과의 관계가 단절되는 것이 아닐까요~ 잘보고 갑니다
@user-be3zs7jn1j
@user-be3zs7jn1j 3 ай бұрын
가장 죽음이란 정답에 가까운 답 같아요. 단절
@neotrue
@neotrue Ай бұрын
최근 이런 주제에 대한 책을 읽고 있는데, 영상이 떠서 깜짝 놀랐습니다. 역시 알고리즘은 나를 지배하고 있는 것인가...
@soonyoungjeong3501
@soonyoungjeong3501 Ай бұрын
보다 에서 왔어요 교수님 너무 매력적이세요
@user-zk9bx6ic9r
@user-zk9bx6ic9r 3 ай бұрын
뭔가 눈물이 날 만큼 주제가 신오하네요. 과연 `나' 란 존재는 뭘? 하기위해 이곳에 존재하는지 그리고 죽음이 왜? 누구나에게나 일어나는지 궁금하네요. 앞으로 건강을 챙겨야 겠어요. 교수님 150세 이상 오래오래 살아야 해요.❤❤
@user-mq4fn3fv2k
@user-mq4fn3fv2k 3 ай бұрын
신오>심오.
@user-zk9bx6ic9r
@user-zk9bx6ic9r 3 ай бұрын
@@user-mq4fn3fv2k 넹
@asd17692
@asd17692 3 ай бұрын
사람은 유전자를 남기기위해 태어나고 정확히는 유전자가 본인의 생존을 위해 성관계라는 과정으로 생존합니다. 그리고 그 수단으로 당신이 존재하는거죠 죽음은 영원은 이론상으로 불가능하고 이미 대를 이었다면 더이상 의미가 없는 존재이기때문에 죽어도 이상이없는겁니다
@user-xj4kh7ry3s
@user-xj4kh7ry3s 2 ай бұрын
왜존재하는거에 대한 이유도 삶의의미도없음. 님도나도마찬가지고 그냥 태어난거임. 도킨스의 이기적인유전자를보면 나는 내 유전적 정보를 propagate하는거이외엔 우주론적차원에서보면 아무런 목적성도 이유도없음. 존재는 그냥 자체적인거임. 죽음이왜찾아오냐는건 무슨질문인지모르겠음.. shortage of telomeres 말한것처럼 엔트로피의증가 이런거지.. 왜죽냐니.. 지극히 중립적이고 과학적인대화를 듣고서는 굉장히 감성적이고 피상적인 결론을 내리시는듯.
@Hiuggjkb
@Hiuggjkb Ай бұрын
범준 교수님 너무 온화하시고 나이스 하신데 극 T 같아요 ㅋㅋㅋㅋㅋ 하시는 말씀마다 웃음 포인트
@exago_peradA
@exago_peradA 3 ай бұрын
이 채널의 제 최애편이 생겼네요
@user-gu6vj2po3i
@user-gu6vj2po3i 3 ай бұрын
구독하는 두분을 같이 만나다니 넘 좋고 흥미로운 주제 재미있게 봤습니다 🌟🌟🌟 태어났으니 죽는건데 인정하기 싫은현실 죽음이네요
@pshclub2003
@pshclub2003 3 ай бұрын
이번영상은 진짜 대단하네요
@metalbox3681
@metalbox3681 3 ай бұрын
고품격 대화를 영상 덕분에 함께 할 수 있어서 감사합니다😊😊
@user-ii4po8qb3r
@user-ii4po8qb3r 3 ай бұрын
와 보기도전에 설레는 주제다 ㄷㄷ 물리학자가 만들면서 보여주는 요리과학 8트갑니다!!!(8트맞나..?)
@pshclub2003
@pshclub2003 3 ай бұрын
뇌과학박사님 계속 웃으시는데 인상이너무좋으시네요👍👍👍
@Skyspirit4438
@Skyspirit4438 3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범준에 물렸습니다.
@hyojinhwang8570
@hyojinhwang8570 3 ай бұрын
이야 너무 멋진 대담입니다. 유튜브 교양강의 중에서도 상당히 격조가 높다는 느낌이에요 가벼운 강의 듣다가 진중한 강의 듣는것도 좋은경험이네요
@user-eh5du9lz3k
@user-eh5du9lz3k 3 ай бұрын
최고 최고 최고! 저도 두분과 비슷하게 죽음을 생각하고 있었는데 정확한 단어로 깔끔하게 정리해주셨어요. 최근 3개월이네에 가까운 가족중에 3분이 돌아가셨어요. 두 분은 노환으로 한분은 암으로 가셨어요. 그와중에 본인의 죽음과정에서 산 사람들 가운데 원자폭탄을 던져놓고 가는사람, 90가까운 나이에도 자는듯이 가셔서 뒷모습마져 감사했던 사람, 그분의 후손들에게 병환수발을 하게 했던 사람이 있었어요. 죽음 이후는 모두 같은데 죽 음에 이르는 과정은 천태만상입니다. 나는 내가 가고싶은 죽음경로를 이탈하지 않으려고 애씁니다
@framedriven2123
@framedriven2123 3 ай бұрын
죽음 이후의 나는 없을까요?
@user-ei9mk3hm7h
@user-ei9mk3hm7h 2 ай бұрын
멋있는 대화네요.
@user-kj1nu3dr4w
@user-kj1nu3dr4w 2 ай бұрын
우리 모두 사랑하며 살아가는게 최선이겠죠?
@user-kj1nu3dr4w
@user-kj1nu3dr4w 2 ай бұрын
두분의 이야기 더 듣고 싶네요. 좋은 이야기 감사합니다 ^&
@user-lx9pw4nv6f
@user-lx9pw4nv6f 3 ай бұрын
유투브 진짜 큰 역사의 한 획이다. 이런 고급진 대담을 아무때나 어디서나 무료로 듣는다🎉
@user-hv9pt9sp6r
@user-hv9pt9sp6r Ай бұрын
사후세계를 믿지않는 저에게 큰 깨달음을!감사합니다^^
@user-hj1ws7us6r
@user-hj1ws7us6r 3 ай бұрын
사후세계 주제는 못참지요 ㅠㅠㅠㅠ@!!
@user-qh1nx4sz9t
@user-qh1nx4sz9t 2 ай бұрын
아직 애들이군. 매일 밤마다 자는 영원한 꿈이 없는 잠이 죽음이다. Nothing is dead
@prettywisdom8782
@prettywisdom8782 3 ай бұрын
나도 죽음은 두렵지 않지만 죽음이 몸이 느끼는 고통과 같이 온다면 힘들듯하다… 내가 갈때가 되었을때 준비하고 싶고 아프지 않고 죽는다는것을 원한다.
@kellySunflower23
@kellySunflower23 3 ай бұрын
별 관심 없던 분야 였는데ㅠ두 분의 흥미로운 설명 호주서 잘 듣고 즐겨요❤😊
@Zeddy272
@Zeddy272 2 ай бұрын
휴가가 즐거운 것은 끝이 있기 때문이겠죠. 죽음이 있기에 삶이 더 의미 있어진다 생각합니다. 언제인지는 모르겠으나 내가 죽는 날을 생각하면 시간이라는 게 정말 중요하다는 걸 느끼게 되죠. 그래서 저는 요즘 들어 아침에 내가 죽는 날을 상상하고는 합니다. 그 때에 그래도 이 정도면 괜찮은 인생이었다고 회고할 모습을 그리며 오늘을 시작하는 거죠🙂 개인적으로 너무 좋은 것 같습니다. 조금 더 오롯이 온전히 저에게 집중할 수 있게 됐습니다.
@user-tl3js3ee7e
@user-tl3js3ee7e 29 күн бұрын
잠든 순간은 죽은거야 깨보니 열시간 지났네 열시간 동안 뭐했지?
@user-om8dk6zl2z
@user-om8dk6zl2z 3 ай бұрын
감전되서 죽음의 문턱까지 간적이있었는데 그 환타스틱한 경험을 잊을수가없다 감전의 고통은 일절없이 눈앞에 펼쳐진 거대한 스크린?에 나의 일대기가 장엄하게 펼쳐지는 황홀함과 죽음의 과정을 겪고있다는 자각속에서도 전혀 슬픔이없었던 미스테리한 감정~
@jangsoonpark3994
@jangsoonpark3994 3 ай бұрын
아 저도 어릴적 수영하다 죽기 직전 살아난 경험에서 똑같은 경험을 했네요. 짧은 시간일 텐데 꽤 긴것 처럼 느껴졌던 내 자신의 영화 영사기가 돌아 가는 체험...
@selfmadedavinci8852
@selfmadedavinci8852 2 ай бұрын
보통 그 순간을 뇌가 정지하기 직전 삶의 경험에서 이 위험을 벗어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 이라고 본거 같네요ㅋㅋ
@yen_liz
@yen_liz 2 ай бұрын
저도 수영장에 빠져 죽을뻔했을때 같은경험을 했네요
@user-jo4tg2yy3j
@user-jo4tg2yy3j Ай бұрын
그때까지의 고통이 크죠~ 의식이 살아있는 시간에요 😅 물론 사고시 죽음 평상시 죽음 고통은 다를수 있고요~😅
@user-kf7bs5xz2z
@user-kf7bs5xz2z 2 ай бұрын
유익한 내용이네여......
@AFTV_smilefree2
@AFTV_smilefree2 3 ай бұрын
이런 주제 너무너무좋아요 자주해주세요..
@joannelee3247
@joannelee3247 3 ай бұрын
잘 들었습니다
@soyoung0512
@soyoung0512 3 ай бұрын
Psilocybin, LSD & DMT 같은 psychedelic 의 경험과 죽음의 순간에 느끼고 보는 것들이 비슷하다니 정말 흥미로워요. 미국에선 psychedelic 약들을 이용해서 말기 암 환자나 우울증 또 알콜 중독같은 문제들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이 되는데, 의사가 약을 주고 상담사가 therapy를 통해 환자가 약물이 작용하는 4~5시간 동안 함께 guide 를 하면서 치료를 해요. 경험해 본 사람들은 살면서 어떤 경험 보다도 아름다운 경험이라고 말하는데 그럼 죽는 마지막 순간은 고통이 아닌 환희의 순간 이라고 생각하니 마음의 위로가 조금은 되네요 :).
@framedriven2123
@framedriven2123 3 ай бұрын
지옥가는 길은 환희로 포장되었다고 하네요.
@klee5310
@klee5310 3 ай бұрын
어릴 때부터 자신이 사라진다는 상상만 해도 죽음이 두렵다는 얘기들을 들으면서 그걸 인식할 의식이 없어지는데 대체 그게 왜 두려운지 평생 이해를 못했고 아직도 이해가 안 가긴 합니다. 두려운 건 노화로 평소 내 삶에서 가치 있다고 느끼는 활동들을 더이상 유지하지 못하게 된다는 것, 그리고 병으로 육체적 고통을 느끼게 되는 일 그런 것들이 두렵죠.
@postman6932
@postman6932 3 ай бұрын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wuwalab2439
@wuwalab2439 2 ай бұрын
제 생각에는, 학자란 사실을 보고, 사실을 말하는 사람이라 생각합니다. 진정한 학자라면, 세상에 대한 관심과 호기심도 가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종교는 믿는다에서 시작하고, 잘못된 학자는 선입견을 버리지 못합니다. 사실을 직시하려 하고, 다양한 것에 대한 호기심을 가진 범준 교수님... 지금까지 얼마나 많은 것에 대한 호기심을 가지고, 열렬히 연구해 오셨는지 느껴집니다. 존경합니다...^^
@brandonlee4750
@brandonlee4750 3 ай бұрын
개인적으로는 아래 다른분도 말씀 하셨지만 사람들이 죽음을 두려워 하는 것은 절대적인 내 죽음이 두려울 수도 있겠지만 나와 연결된 인간관계의 단절때문이 아닌가 합니다. 젋을때는 내 부모와의 관계가 죽음로 단절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있을 것이고, 늙어서는 내 자식과의 관계가 단절될것이 두렵겠지요. 김범준 교수님 말씀 처럼 증거가 없으니 과학자들은 사후세계에 대해서 믿지 않으시는 것도 충분히 이해는 가나 두분 처럼 애초부터 사후 세계를 믿지 않는 과학자 두분이 토론 하는 것 보다는 과학자 이시면서도 사후세계를 믿는 분과 믿지 않는 분끼리 토론이 됬다면 더 재밌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godchul
@godchul 3 ай бұрын
2부 있나요? 똥싸다 끊긴 기분이에여 ㅠㅜ
@dimdim1739
@dimdim1739 Ай бұрын
ㅎㅎ 뇌과학자님 악플달려다가 역할극 소리 듣고 아하~! 하고 깨닿고 갑니다.
@SCHE2D
@SCHE2D 3 ай бұрын
28:50 강력한 평온함은 예전에 읽었던 외국의사가 저자인 책에서 읽은 기억이 나네요. 대낮에 길거리 묻지마 ㅋ부림을 당한 사건의 피해 어린이가 느꼈을 고통을 예로 들며 생명이 꺼져가는 상황에서도 뇌가 일순간의 큰 스트레스를 보호하기위해 대량의 엔돌핀?과 아드레날린을 분비해서 오히려 물리적 고통은 느끼지 못했을 것이다라는 내용..제가 기억하는게 맞다면요. 그걸 진화론 차원의 호랑이 상황이라고 설명해주셨군요. 넘 재밌게 잘봤습니다. 문외한인 제게 드는 한 의문은, 인간의 어떤 메커니즘을 전부 생존과 진화의 목적론으로 추론해도 괜찮을까? 생존과 진화에 매몰되어 넘겨짚거나 못보는 점이 있는건 아닐까 하는 생각이있습니다.
@swagsisters
@swagsisters 3 ай бұрын
이런 지적이고 교육적인 영상을.. 집에서 편안한 자세로 보면서도 와닿고 깨닳음을 주는 내용이 최고의 채널이고 영상이다
@hjsong8552
@hjsong8552 3 ай бұрын
무엇이든 뚫고싶어하는 창과 뭐든 막아내는 방패의 싸움ㅋㅋㅋㅋㅋㅋㅋㅋㅋ정말 재밋게 잘봤습니다 교수님들❤
@yeonie8889
@yeonie8889 2 ай бұрын
넘 흥미로운 대화였어요. 만약 마지막 죽기 직전의 의식 활동의 증폭 현상이 다른 개체들(특히 같은 유전자를 공유한)에게 위험을 알려 그들의 생존 가능성을 높이게끔 하는 진화생물학적 매커니즘에 기반한 것이라면 좀 더 이타적인 성향 혹은 오지랖 넓은 성향을 지닌 사람일 수록 죽음 직전의 의식 증폭 현상을 경험할 확률이 더 높을 수도 있지 않을까요? 그렇다면 저는 그러한 현상을 별로 안느끼고 죽을 것 같아요. 평소에 타인에게 관심도 애정도 별로 없는 타입이라ㅋㅋㅋㅋ
@Fingers_
@Fingers_ 2 ай бұрын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일부 어린아이들의 사후세계를 믿는 부분은 자연적인 현상일 수도 있지만 종교의 영향일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두 분의 품격있는 대화...너무 잘 들었습니다! 많이 배우고 갑니다~ 감사해요!!!
@user-sz5zk6ju4l
@user-sz5zk6ju4l 3 ай бұрын
하 정말 재밌어
@jinwookshin386
@jinwookshin386 3 ай бұрын
Host와 Guest가 바뀐 듯. 유재석이 멋져 보이네.
@hjkim8272
@hjkim8272 4 күн бұрын
저 초등학생인데 김범준 교수님 너무 존경스러우시다. 내가 이렇게 보면 다른 사람은 어떨까 존경스러워요, 김범준 교수님 16:43
@yeoyiju
@yeoyiju Ай бұрын
물리학에서 본 죽음에 공감합니다~ 부처님 오신 날이라... 부처님 께서도 영원한 '나'라는 것이 윤회하는 것이 아니라고 하셨지요 불교의 무아사상은 인도의 아트만 윤회사상과는 다름을 배웠네요~~ 구성요소로 흩어졌다가 뭉쳤다를 반복하는 윤회가 물리학에서 본 것과 같은 시각 같네요... 그래서 과학 불교라 하는가 봅니다...
@mulb.971
@mulb.971 3 ай бұрын
이 영상을 보다보니 돌아가신 아버지가 너무 안쓰러워 가슴이 져립니다. 죽으면 그것으로 끝인데 뭐그리 많은것을 쥐고 놓지않았는지, 자신이 계속 살수있다고 믿으신 듯 죽기 직전까지 자신의 존엄성을 지키고 돌아가셨고 그런 허무한 죽음은 남은 사람에게 트라우마가 되었습니다. 덕분에 복용하는 정신과약을 2배로 늘리게되었군요. 오랫동안 우울증을 앓던 저는 항상 죽음의 경계에 있다 생각하였고 그렇기에 영상을 무덤덤하게 볼꺼라 예상했지만 이 영상의 정보에 고통받고 있습니다. 머리로는 이해하는데 몸이 발작합니다😂 ㅋㅋㅋ많은 생각이 들게 하네요. 좋은 영상 잘보았습니다!
@simzim1
@simzim1 3 ай бұрын
중용 불교 교리를 추천합니다 트라우마 극복에 도움될것입니다
@user-fb9hz8qg9t
@user-fb9hz8qg9t 3 ай бұрын
삶에 대한 갈망이 클수록 고통스럽겠죠 진시황이 죽기 싫어서 불로초를 찾고 가진 것이 아까워서 같이 수장시킨 것처럼 많이 가질수록 죽을 땐 고통입니다
@ClueEgo
@ClueEgo 16 күн бұрын
에고는 현실이고 현실은 집착의 세계입니다.. 당연한 것을 너무 이원성으로 멀리보려하지마세요. 당연한것을 바로 보시고 그렇구나 하면서 내려놓으세요 아버지얘기 하실때는 많은것을 쥐고 놓지않으셨다고 하시지만 말씀하기는분 또한 마음의 집착이 심하신것 같아요. 모든 인간이 이렇게 집착을 하면서 삽니다. 그것을 바르게 보셔야 마음이 치유가 됩니다. 힘내세요.
@nunanagajugeo9499
@nunanagajugeo9499 3 ай бұрын
과학적으로 보면 사후사계가 없다가 아니라 모른다인데..
@user-ur7963
@user-ur7963 Ай бұрын
죽음은 없어지는 지금의 나일뿐..과학자들에게 한표던지는 1인. 잘봣습니다.
@user-pd6wm4jb9x
@user-pd6wm4jb9x 5 күн бұрын
박사님아니ᆢ교수님 잘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heeeeooooon
@heeeeooooon 3 ай бұрын
아.. 죽음공포증으로 밤마다 시달리는데.. 그고통 죽을때 그고통과 죽고나면 내가 아무런 생각 존재 자체가 이 우주에서 사라진다는게 너무 두려움..
@user-bg5fo1hf9g
@user-bg5fo1hf9g 3 ай бұрын
종교나 철학적인부분에 관심이 많은 아부지밑에서 자라다보니 죽음이나 철학에 대해서 고민이 많았는데요 결혼하고 아이를 낳고도 항상 의문이 남던 죽음이라는 부분이 신기하게도 최근 과학 유튜브들을 접하면서 정립이 되어지고 명확해지고 있네요 또 그럴수록 더욱 확고해지는것이 남은시간 부모님께 잘하고 내가족과 행복한 시간을 더 많이갖는것이 최선이 아닌가 하는점이네요 반에반도 실천하지는 못하지만 확신이 생깁니다 다들 많이 사랑하고 행복하세요
@alejandroson2099
@alejandroson2099 3 ай бұрын
의식이 없어진다는거 자체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죽음이 두려운거 같아요. 가끔 혼자 잡생각할때, 내가 만약 죽어서라도 지금의 의식을 유지할수 있다면(귀신이든, 디지털백업이든, 천국, 지옥등 사후세계든) 과연 우리들은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 없어지지 않을까? 그리고 죽는다는건 잠드는것과 똑 같은거라고 생각이 들고요ㅎㅎ
@hjkim8272
@hjkim8272 4 күн бұрын
14:39 없다고 하시는게 목소리가 너무 좋다
⬅️🤔➡️
00:31
Celine Dept
Рет қаралды 46 МЛН
Climbing to 18M Subscribers 🎉
00:32
Matt Larose
Рет қаралды 35 МЛН
Haha😂 Power💪 #trending #funny #viral #shorts
00:18
Reaction Station TV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PD수첩] 나의 죽음에 관하여 - 2024년 3월 5일 밤 9시
47:05
MBC PD수첩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
죽음이 두렵지 않은 이유 / 정현채 교수(1부) [신의경지]
33:35
와이스트릿 Ystreet
Рет қаралды 132 М.
⬅️🤔➡️
00:31
Celine Dept
Рет қаралды 46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