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김밥, 미국 마트에서 오픈런

  Рет қаралды 847,980

KBS 세계는지금

KBS 세계는지금

9 ай бұрын

[위클리픽] 기습 키스 / K-김밥
• 기습 키스 / K-김밥 (KBS_324회...
#특파원보고세계는지금 #세계는지금 #국제시사
특파원 보고 세계는 지금 (매주 토요일 밤 09:40 KBS 1TV 방송)

Пікірлер: 1 600
@user-ce2ep1im2o
@user-ce2ep1im2o 9 ай бұрын
조만간 중국에서 김밥도 자기들꺼라고 하것네..
@codi6108
@codi6108 9 ай бұрын
이미 하고있음
@Wicle
@Wicle 9 ай бұрын
김밥은 일본음식 아니었음? 후토마끼가 한국화된게 김밥일텐디
@user-ce2ep1im2o
@user-ce2ep1im2o 9 ай бұрын
@@Wicle 그정도는 알고있어요 선생님
@koreaCountryroad
@koreaCountryroad 9 ай бұрын
명란젖은 일본애들이 자신들껄로 광고중
@k.ashworthy
@k.ashworthy 9 ай бұрын
​@@koreaCountryroad젓
@naong-idaong
@naong-idaong 9 ай бұрын
야채 김밥은 비건에게 최고의 음식일 듯 먹기 편하면서 맛도 있고 비건식 천상계
@user-wi9kk9ws4u
@user-wi9kk9ws4u 8 ай бұрын
비건 에게는 완전 천국맛? ㅋㅋ
@user-lx9qu4hv9u
@user-lx9qu4hv9u 6 ай бұрын
@@Eya-h 그럼 라멘도 당연히 중국음식이라고 생각하시죠?
@user-hr8wd5md7w
@user-hr8wd5md7w 6 ай бұрын
​@@Eya-h그럼 중국음식이야?
@user-fh5cb2ox5o
@user-fh5cb2ox5o 5 ай бұрын
​​@@Eya-h니가 우기는게 아니고? 김밥은 삼국시대부터 먹은 문헌과 기록이 있고 일본은 김 자체를 18세기이후부터 먹음 니가 말하는 원조국이 어디임? 우길걸 우겨라 무지한 2찍아
@user-fh5cb2ox5o
@user-fh5cb2ox5o 5 ай бұрын
​@@Eya-h2찍인거 우찌 알았냐고? 아이큐 낮은것들은 다 2찍이더라 과학임 100%
@user-us3gs6nx5h
@user-us3gs6nx5h 9 ай бұрын
금방 만든 집김밥 시식하게 하고 싶다 ❤
@user-xf9iq6uq8g
@user-xf9iq6uq8g 5 ай бұрын
깻잎깔고 치즈올리고 게맛살 오이 계란 시금치 당근 소고기 이렇게 넣어서 하면 졸 맛탱
@user-xf9iq6uq8g
@user-xf9iq6uq8g 5 ай бұрын
@@user-et7gf3uf5o 그럼 평생쌀밥맛 묵어
@luhar0202
@luhar0202 5 ай бұрын
외국애들은 참기름냄새를 안좋아함 아니 혐오함. 저 냉동깁밥이 흥한 이유는 참기름 냄새를 제거를 한게 비결임. 참고로 가장 혐오 냄새로 1위인게 스컹크 냄새인데 그 스컹크 냄새가 참기름 냄새임.
@yeon2410
@yeon2410 5 ай бұрын
@@luhar0202 안그래요 외국도 케바케에요 그리고 참기름 냄새를 제거한게 아니라 날라가서 안나는거라고 김밥 제조회사 대표가 직접말했어요 오히려 한국음식을 먹어본 외국인들은 참기름 따로 발라서 먹기도 하고 달걀 입혀서 부쳐먹기도 함
@cartmaneric887
@cartmaneric887 5 ай бұрын
@@luhar0202 와 스컹크 잡으면 참기름이 몇병인거야 개꿀!
@jaesung5911
@jaesung5911 8 ай бұрын
김밥이 이럻게 국제적으로 대접받는날이 올줄이야~오래살고 볼일이여~
@-markshin-
@-markshin- 5 ай бұрын
일본 음식이 국제적 대접 받는게 왜 기뻐요? 일본인임?
@rainbow-vv5bp
@rainbow-vv5bp 5 ай бұрын
@@-markshin- 김밥이 왜 일본음식인데? 가서 정신병은 고치지?
@-markshin-
@-markshin- 5 ай бұрын
@@rainbow-vv5bp 대한민국 정부산하 지역n문화에서 발췌 - 근대 신문으로 보는 음식 > 개항 이후 들어온 음식과 식재료 일제강점기 초밥으로 만든 김밥 김은 조선시대부터 전라도의 특산물로 기록에 남아있지만 김밥에 대한 기록은 일제강점기 밥에 초를 넣고 계란지단, 덴부(도미살을 분홍색으로 물들인 것) 등을 속으로 하여 김에 싼다고 나온다. 식초로 간을 한 김밥은 해방 후의 신문기사에서도 그 조리법이 보인다. 오늘날의 김밥은 식초보다 참기름과 소금으로 간을 한다. 김밥의 대중화는 일제강점기 김이 어느 정도 생산되고 일본의 도시락 문화가 정착되면서 만들어졌다. 김밥은 밥에 여러 가지 속을 넣고 김으로 말아 싼 음식이다. 김은 『경상도지리지(慶尙道地理志)』와『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 전라남도 광양군 태인도의 토산품으로 처음 등장한다. 우리나라가 밥을 주식으로 하니까 김을 밥에 싸먹었겠지만 김밥이 조선시대에 있었다는 자료는 없다. 김이 일제시대까지도 상당히 귀한 식품이었으므로 김밥이 조선시대에 보급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김밥이 널리 보급되는 일차적인 조건은 김이 많이 공급되어야 한다. 일제강점기 본격적으로 김 생산이 늘어났기에 김밥은 그 시기에 정착되었다. 또한 김밥은 대표적인 도시락 메뉴인데 도시락 문화 역시 그 시기에 사회 전반에 보급되었다. 조선시대 관청에서 식사를 제공하던 것이 변화하여, 일제강점기 관청의 직원들은 점심시간에 식당에서 밥을 사먹거나 도시락을 먹게 된다. 아침부터 출근하여 하루 8시간 이상 근무하는 관청생활에서 도시락은 필수가 되었다. 학교도 아침 일찍부터 등교하여 일정시간 공부하면서 도시락이 필수가 되었다. 창경원 벚꽃놀이 등 야유회를 갈 때도 도시락은 필수적이었다. 물론 식당에서 점심을 사먹을 수 있었지만 벚꽃놀이 등에는 엄청난 인파가 몰리므로 도시락을 싸오는 것이 더 편했을 것이다. 모든 도시락이 다 별미는 아니었다. 1920년대 청파동의 장유공장 등 공장에 출근하는 부녀자와 청소년들은 아침 일찍 조밥 한덩이를 도시락으로 싸서 출근하였다. 이를 별미라고 보기는 어렵다. 별미인 도시락은 어느 정도 사는 계층이 만드는 것이었다. 『동아일보』1930년 3월 7일 「부인의 알아둘 봄철 요리법(2)」이라는 기사는 야유회용 도시락 만드는 법을 소개하고 있다. " 창경원에 꽃구경을 가더라도 점심 때는 되고 식당을 들어가면 양은 적고 비싸서 여간 불경제가 아닙니다. 집에서 준비하여 가지고 가면 편하게 먹을 수 있습니다. ... 샌도위치 : 빵집에서 기계로 썰어달라고 하면 편합니다. 집에서 썰어도 좋습니다. 한편에 버터를 바르고 이편에 속을 넣습니다. 속으로 야채 산도위치, 쨤 산도위치, 계란 산도위치가 있는데 쨤으로는 딸기, 사과, 포도, 살구쨤이 있습니다. 쌈밥(스시)로 김쌈밥(노리마기스시)가 있습니다. 재료는 아사구사노리라고 하는 두꺼운 일본김으로, 조선김으로 쓰려면 두 장을 씁니다. 밥이 뜸이 들만 하면 따로 그릇에 퍼고, 식초 한홉, 설탕 2숟갈, 소금 1숟갈, 아지노모토 1숟갈을 섞어 밥에다 비빕니다. 이것이 스시밥 짓는 것입니다. 표고를 물에 불려 간하고, 계란은 지단을 부치며, 덴부라고 하는 도미살을 분홍색으로 물들인 것을 준비합니다. 발 위에 김을 놓고 김 가운데 계란, 표고, 덴부를 놓고 말아갑니다. 만 것을 칼로 벱니다. 일본 빨간 장아찌를 잘게 썰어 같이 먹습니다. " 당대 상당히 비쌌을 빵, 버터, 쨈 등과 아사구사노리라고 하는 일본김, 표고버섯, 덴부 등을 재료로 언급한 이 도시락 제조법은 중상층을 겨냥한 것이다. 중상층을 위한 도시락 레시피에 김쌈밥이 들어있었다. 여기서 주목되는 것은 밥에 식초로 간을 한 부분이다. 스시의 한 종류로 김쌈밥을 만들었기 때문에 밥에 식초가 들어갔다. 해방 후에도 김밥 쌀 때는 밥에 식초로 간을 하고 있다. 『동아일보』 1958.03.29. 「피크닉용 초밥」이라는 기사에서도 쌀 한되로 밥을 한 후 초 1합, 설탕 1문, 소금 1문, 미미소 약간을 넣는다고 하였다. 오보로(생선살을 보푸라기), 박오가리, 표고, 지진두부, 시금치, 당근, 왜무짠지(다꾸앙)등을 준비한 후 김에 밥을 놓고 속을 만다고 하여 1930년의 김밥제조법과 큰 차이가 없다. 『경향신문』 1976.04.14. 「이주일의 요리」에서도 밥에 초를 버무려 비비고, 우엉, 계란, 시금치 등을 속으로 준비하였다. 김밥에서 식초로 간을 하지 않는 조리법은 1970년대 말에 나온다. 『매일경제』 1977.03.12. 「봄놀이 채비 야외도시락」의 김밥 조리법에서 다진 돼지고기를 볶은 것, 야채 볶은 것을 밥에 섞고 김을 4절로 자른 후 밥을 싼 후 미나리로 묶어 싼다고 하여 새로운 김밥 조리법을 소개하고 있다.
@-markshin-
@-markshin- 5 ай бұрын
@@rainbow-vv5bp 대한민국 정부 문화관광부 산하 국립 국어원 자료 발췌 - 다듬은 말 다듬은 말 상세 (순화 대상어, 순화어, 원어, 의미/용례, 참고 사항 (순화 이력 등)) 순화 대상어 노리마키 순화어 김밥 원어 海苔卷 의미/용례 참고 사항 (순화 이력 등) 국어순화자료 제1집(1977) 문교부, 국어순화자료-학교 교육용(1983) 국어순화자료집(1992) 국어순화용어자료집-식생활 용어, 일본어투 생활 용어(1997
@it_so_good
@it_so_good 5 ай бұрын
​@@-markshin-병신이세요?ㅋㅋㅋ 일본 노리마끼에서 영감을 얻었지만 한국인이 한국식으로 개발한게 김밥입니다.
@szb360
@szb360 9 ай бұрын
저는 호주사는데요 미국이나 호주나 한국식당에서 바로 만들어서 파는 김밥 가격은 10불~15불정도에요 슈퍼에 아침에 들어오는 일반김밥은 7불이구요.. 근데 저건 5불도 안되더라구요 😂 전 한국 편의점에서 파는 차가운 김밥조차 먹고싶지않던데..😅😅 개인적으로 따뜻한밥으로 방금 만들어주는 한국에서 파는 김밥이 최고임😭😭
@user-by9xm5ez9j
@user-by9xm5ez9j 8 ай бұрын
紫菜包饭是中国的食物。 韩国在乞讨着吃。 紫菜本身的原产地就是中国。
@coguszld12
@coguszld12 8 ай бұрын
김천이 존맛인데 고봉민 점바점 너무 심함@@qepuq3
@Gunaka
@Gunaka 8 ай бұрын
​@@user-hh7to4te2m바로 만들어주지 누가 만들어놓나요? 어느 동넨데요?
@eas3106
@eas3106 7 ай бұрын
나도 파주쪽인데 김천에서 미리 만들기도 하지만 그건 점심이나 저녁 식시시간대 사람 밀리전 30~1시간전에나 그렇지 않나요?
@user-vp8jl1ub7k
@user-vp8jl1ub7k 7 ай бұрын
미리 만들어놀때도 있고, 바로 말아줄때도 있습니다. 선릉역김천 한여름새벽에는 에어컨도 안켜놓나보던데 미리 싸놓으면 상할듯. 조선족아주머니가 즉석해서 말아줬는데 위생은 안좋겠지만 맛은 좋더군여ㅜㅜㅋ 어떤 개인분식집은 미리 싸놓고 냉장보관해놓기도 하나보더라고요. 김밥이 차가움ㅡㅡ;
@user-dc3er8rl5d
@user-dc3er8rl5d 8 ай бұрын
김밥 한입에 쏙 집어넣고 오물오물 먹는거보니 내 마음이 좋네용~
@sks8628
@sks8628 5 ай бұрын
한국인도 김밥은 정말 좋아하죠. 바로 싼 김밥맛을 알려주고 싶네요. 한국으로 여행오세요😊
@user-to6tp4jq8r
@user-to6tp4jq8r 8 ай бұрын
김밥은 스시가 아닙니다. 완전히 다른 음식이죠.
@-markshin-
@-markshin- 6 ай бұрын
후토마키와 김밥이 다른것 얘기해봐요. 1. 제조방법이 100%동일, 2. 제조 순서도 동일. 3. 쓰는 도구도 동일(김발이 일본의 마키수임). 4. 생김새 동일. 5, 썰어서 먹는 방법도 동일. 재료 다른거 회가 햄이나 고기로 바뀜. 나머지 재료 동일(계란지단서부타) 그리고 밥의 식초가 50년전쯤부터 빠짐(하지만 이것은 일본의 식초절임 다꾸앙으로 바뀜). 이 차이로 다른 음식이라고요?
@user-to6tp4jq8r
@user-to6tp4jq8r 6 ай бұрын
@@-markshin- 후토마키? 뭥미. 난 스시랑 다르다고 했지.
@-markshin-
@-markshin- 6 ай бұрын
@@user-to6tp4jq8r 후토마키가 스시의 종류중 하나임. 김밥은 한국식 스시라고 외국에 해줘야 그게 그나마 양심이 있는거임. 남의 나라 음식 훔쳐서 아니라고 하는건 중국인이나 하는거임
@user-lx9qu4hv9u
@user-lx9qu4hv9u 6 ай бұрын
@@-markshin-생긴거랑 맛이 존나 다른데? 니 눈가리고 후토마끼랑 김밥 먹었을 때 구별 못하나 미각 문제 있나
@user-lx9qu4hv9u
@user-lx9qu4hv9u 6 ай бұрын
@@-markshin-맛 차이가 짜장면이랑 작장면 수준인데 이걸 같은 음식이라고 생각한다고? 일본 스시 장인한테 썰리고 싶냐
@haribokyung4122
@haribokyung4122 5 ай бұрын
지금 20대초반 대학생인데 이런 영상보면 나중에 나이가 좀 차면 토종 한국인으로서 해외 나가서 김밥집 차려서 일하고싶네요~~ 김밥 뿐만아니라 한국 어머님들의 손맛이 담긴 한식을 보여주고싶은데!_ 제가 해야하는거니😂 이북 출신 한식당 경력직 외할머니, 집밥하면 끝내주는 엄마! 3대째 그 손맛을 전수받은 딸래미가 이젠 글로벌 적으로 해외분들께 한국식을 전하고싶네요♡
@user-yp5ny5rr5q
@user-yp5ny5rr5q 4 ай бұрын
현재김밥집많이하고있죠~1줄에16.000원정도영국에서 장사한 이건냉동이라저렴하고 또맛도있나봐
@haribokyung4122
@haribokyung4122 4 ай бұрын
@@user-yp5ny5rr5q 세상에.. 한줄에 6000원도 아니고 16000원이요??😱
@smithjack3497
@smithjack3497 Ай бұрын
해봐요. 뭐 큰돈 드는것도 아닌데
@user-yf2gq9ig2m
@user-yf2gq9ig2m 9 ай бұрын
한국 떠나 호주 살아보니 한식이 얼마나 위대한지를 알게됌
@user-wv1wo8pi5f
@user-wv1wo8pi5f 9 ай бұрын
@q751025
@q751025 8 ай бұрын
보통 외국살면 제일 힘든게 음식이죠...특히 한국인은...
@ciaomel2356
@ciaomel2356 8 ай бұрын
미국만 가면 살찜.
@user-sz3bl1jr3y
@user-sz3bl1jr3y 7 ай бұрын
일때문애 이탈리아 거주중인데 평소에 이탈리아 음식 좋아해서 다행이다 생각하고 왔는데 좋은게 딱 3일감 파스타 ㅅ,파게티 피자 라자냐 매일 먹어서 행복하다 며칠 지나니깐 죽을것 같음 어렵게 너구리 사다가 밥까지 말아먹었더니 생명 연장되는 기분이얶음 ㅋㅋㅋㅋ
@user-vl4ux7cf2q
@user-vl4ux7cf2q 6 ай бұрын
먼 나라에서 고생 하시네요. 유튜브로 요리 공부하셔서 맛나게 만들어 드세요. 간장 고춧가루만 있어도 많은 음식 만들수 있어요. 고춧가루는 좋은걸로.
@user-df9zi2wu2v
@user-df9zi2wu2v 9 ай бұрын
김밥은 엄마김밥이 최곤데 구할수가 없지
@user-np7bb2gm5g
@user-np7bb2gm5g 5 ай бұрын
눈물 나게 그립네요 어머니가 싸주신 김밥
@rejoicemultimediaimages
@rejoicemultimediaimages 8 ай бұрын
그동안 미국 살면서 우리나라 김밥 소개할때 늘 수시 즉 일본식 김밥 같은 한국 김밥이라고 소개해야할때가 난감했었다. 우리나라 김밥의 우월성을 강조했지만 세계적으로 알려진건 일본식 수시 김밥이니 그럴수밖에 없는 제한성때문에... 그런데 이번 기회에 한국식 명칭으로 김밥이 제대로 알려지게 되어 너무 반갑다. 이제부턴 더이상 일본 수시 김밥 거론할 필요도 없으니 말이다. 수시김밥의 변형스타일인 캘리포니아롤등 미국식 김밥은 그야말로 맛을 중심으로 자극적 소스 떡을친 제품이 마트에 도배되어 있는데 그런 미국식 김밥집에 가면 김으로 말려진 순수 김밥, 수시는 아예 없어서 속상한적이 있다. 원래 우리 김밥은 건강식인데 말이다. 자극적이고 비싸기만한 잘못 전달된 수시김밥 문화였다. 이번 한국식 김밥의 미국 등장은 우리 식문화의 자부심이다. 오래동안 자극적 식문화의 피해로 비만, 당뇨병, 심장병등의 건강 적신호로 사망 탑순위였던 미국인들과 세계인들이 더 건강해졌슴 좋겠다. 그리고 한국음식의 우수성과 시장경쟁의 가능성을 믿고 더 많은 식당 운영가들이 자신감을 가지고 해외로 진출하기 바란다.
@user-yvorne12559
@user-yvorne12559 6 ай бұрын
해설 멋지다앙^~^
@admiralyisoonshin4995
@admiralyisoonshin4995 5 ай бұрын
이해하기 쉽게 정연하게 설명하셨습니다! 👍👍👍
@user-nu2el5yt5d
@user-nu2el5yt5d 5 ай бұрын
식혜 등등 건강식이 많지요!! 특히 냉동해서 판 것은 신의 한 수 임!!
@jwpark1235
@jwpark1235 5 ай бұрын
안타깝지만 김밥은 일본 노리마키의 변형이라능
@rainbow-vv5bp
@rainbow-vv5bp 5 ай бұрын
@@jwpark1235 김밥은 김밥이고 노리머시기는 노리머시기지, 서로 뭔 상관이라고 변형어쩌고 떠들어?
@user-gh7qw1qp3h
@user-gh7qw1qp3h 9 ай бұрын
김밥을 채소스시라고 하는거 서운
@user-oi7du3dl7p
@user-oi7du3dl7p 8 ай бұрын
이미 한국 말고 거의 모든 나라는 김밥보다 스시가 훨씬 유명해서 어쩔 수 없음..
@user-tu6lf1eh5b
@user-tu6lf1eh5b 8 ай бұрын
원래 음식 유래가 일본이라 그럴수도 있죠 마치 짜장면 처럼 외국음식이 우리나라 현지화된 한식이잖아여
@sese52637
@sese52637 8 ай бұрын
한국치킨도 외국사람들이 좋아하잖아요 ㅎㅎ 치킨이 미국음식인데도 k치킨이라 하듯 김밥도 스시에 파생된 음식이고 짜장면도 중국에 파생된거라 아예 다른 음식이지만 우린 남의 나라 음식도 우리입맛에 맞게끔 되게 맛있게 진화하는데 진짜 천재야....
@charlieshin9513
@charlieshin9513 6 ай бұрын
후토마키가 맞는 말인데 외국인들이 잘못 알고 있네요
@user-vi4cq7ix5c
@user-vi4cq7ix5c 6 ай бұрын
김밥이 원래 김초밥 일본에서 온건데??정통한식이 아니란 말이다
@user-eo2om8fk2o
@user-eo2om8fk2o 9 ай бұрын
비비고에서 퀄리티 더 높게해서 냉동 김밥 대량 유통시킬듯 김밥 구입시 계산대에서 참기름도 샐프로 가져가게할
@hamagum
@hamagum 9 ай бұрын
다들 왜 이렇게 이쁜가했더니 인플루언서들이구나
@user-ef2tm4er1x
@user-ef2tm4er1x 5 ай бұрын
팩트는 한식은 가끔 유행하면 사먹는 그런 인스타용 음식이지 스시, 중식처럼 일반적으로 미국애들이 먹는 음식이 아님…
@user-bf9gk8wn8q
@user-bf9gk8wn8q 9 ай бұрын
뜨끈한 밥으로 만든 즉석김밥 먹음 난리나겠네요
@q751025
@q751025 8 ай бұрын
아마도 아침 마다 도넛 먹는 풍습은 사라질듯...아침마당 김밥으로..ㅋㅋㅋ
@musicawy4319
@musicawy4319 9 ай бұрын
한국에서 진짜 맛있는 김밥 먹으면 아주 난리 나겠네... ㅋ ㅋ
@szb360
@szb360 9 ай бұрын
저는 호주사는데요 미국이나 호주나 한국식당에서 파는 김밥 가격은 10불~15불이에요 근데 저건 5불도 안되더라구요 😂
@newdddito
@newdddito 8 ай бұрын
근데 저게 급속냉동한거라 긍방한거랑 맛차이가 크게안난다하더라구요
@user-cj4ho5fc7k
@user-cj4ho5fc7k 8 ай бұрын
채식김밥이라서 더 인기라고 함
@user-vi4cq7ix5c
@user-vi4cq7ix5c 6 ай бұрын
김밥먹다 쓰러지겄네🤣🤣🤣🤣
@user-ef2ef8of3s
@user-ef2ef8of3s 5 ай бұрын
햄들어가고 참기름 발라진건 안먹는대
@roseskim333
@roseskim333 4 ай бұрын
여긴 라스베가스인데 얼마전에 일식집 갔더니 미국인 몇 명이 무리지어 들어와서 “김밥” 있냐고 물어보는 거 보고 늘 코리안스시 로만 불리다가 제 이름 찾은 거 같아 너무 기뻤음. 이게 다 냉동 김밥 덕분인 거 같아요. 다른 한국 음식이나 한국만 사용하는 음식 재료, 나전칠기 같은 문화등 모두 고유명사인 한국말로 불렸으면 좋겠어요. (나전칠기를 소문자 j 를 사용하는 japan 이어서 넘 속상..)
@lizoh2179
@lizoh2179 9 ай бұрын
냉동 김밥이 어떻게 맛이 있을수 가 있죠 ???
@SH-pc6lb
@SH-pc6lb 9 ай бұрын
222222그러게요. 저도신기..,
@Na-qi3cf
@Na-qi3cf 9 ай бұрын
맛있다해서 몇번 갔는데 한번도 못샀음
@user-ch5jw2dn2q
@user-ch5jw2dn2q 9 ай бұрын
요즘 잘나와용
@user-yh6db7qk4d
@user-yh6db7qk4d 9 ай бұрын
먹어봐 ㅋㅋ
@user-lo5vs4fe4x
@user-lo5vs4fe4x 8 ай бұрын
영하 45도 급속냉동시킨 거라 전자레인지에 데우면 금방 만든 김밥이나 별차이 없다고 한다
@user-do8bx9vo1q
@user-do8bx9vo1q 8 ай бұрын
참치김밥 소고기김밥 돈까스김밥 등등등 아직 더 남았다..
@user-be7vm6yx9l
@user-be7vm6yx9l 6 ай бұрын
육류는 통관이 안된다고 그랬나 어렵다고 그랬나 그래서 야채김밥만 수출 하는거래요 맛있는 김밥 많은데 너무 아쉬워요
@user-fh5cb2ox5o
@user-fh5cb2ox5o 5 ай бұрын
미국으로 육류김밥 못보냄
@user-ym3dd5jq5d
@user-ym3dd5jq5d 5 ай бұрын
라면이랑 같이먹으면 또.. 크으
@Great-357
@Great-357 8 ай бұрын
우엉김밥을 못먹어봤구나. 먹어본 사람은 다 사먹는데. 이래서 경험이 중요.
@user-ym3dd5jq5d
@user-ym3dd5jq5d 5 ай бұрын
난 별루..원래 없었는데 어느날부터 우엉 디폴트로 들어가서 무조건 빼달라고함
@user-pr9ik5bi2o
@user-pr9ik5bi2o 5 ай бұрын
​@@user-ym3dd5jq5d나두
@yeon2410
@yeon2410 5 ай бұрын
어느 영상에서 외국인이 우엉들은 김밥 먹었는데 우엉이 뭐냐고 물을 정도로 맛나게 먹던데 채식자들은 좋아할듯요 물론 저도 우엉들어간 김밥 좋아함
@user-mv6kj4qo8q
@user-mv6kj4qo8q 4 ай бұрын
​@@user-ym3dd5jq5d 그 우엉조림을 그지같이 해서 그래요. 뭔 막대기를 넣어놔서.. 우엉 조림이 연근 조림과 함께 조림계의 쌍벽임. 제대로 하기 힘든 요리예요.
@user-ym3dd5jq5d
@user-ym3dd5jq5d 4 ай бұрын
@@user-mv6kj4qo8q 아 ㄹㅇ요?ㅋㅋㅋㅋ 그 말들으니까 궁금하긴하네요
@user-hi2pb3sk2q
@user-hi2pb3sk2q 5 ай бұрын
냉동보다 바로 만들어먹는 김밥은 더욱 맛나답니다
@user-dk5ws7ne9j
@user-dk5ws7ne9j 4 ай бұрын
냉동인데도 저렇게 좋아하는데... 갓 싼 김밥 먹으면 기절할수도~~ㅎㅎ 한입에 영양소가 다 있고 맛도 좋고 가격도 좋으니 좋아할수밖에~
@zmtnyang
@zmtnyang 6 ай бұрын
갓 만든 김밥 먹어보게 하고ㅠ싶다
@jseo327
@jseo327 5 ай бұрын
다른 나라처럼 떡볶이 잡채 등 한국어 그대로 꼭! 저렇게 표기해야 됨 김밥은 진리지
@Godori_life
@Godori_life 8 ай бұрын
일단 김밥이 너무 맛있는건 사실
@rinohong4726
@rinohong4726 8 ай бұрын
미국만수출하시지 말고 다른아시아에도 수출해주세요.
@nostalgia7924
@nostalgia7924 7 ай бұрын
김밥이 노리마끼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을 얘기하는 분이, 다른 대댓글에 있더군요 어이가 없어서ㅋㅋㅋ 이 둘은 확연히 다른 음식으로 김밥엔 초가 들어가지 않습니다.. 우리나라는 삼국시대부터 김을 먹은반면, 일본에서 김을 식용으로 이용한 시점은 우리나라보다 훨씬 늦어요 18세기초엔 열양세시기란 서적엔 김에 야채를 싸먹던 복쌈이라고 기록된 부분과 동국세시기, 형초세시기,만기요람 ,선조,효종,정조실록등 김을 나물과 밥에 싸먹던가 김을 기름에 발라 밥에 싸먹던가 하는 김밥에 대한 기록이 어마하게 많습니다~~~!!! 길어서 담지못하겠구요 다음부분은 어느 기사발췌부분. (오후사쓰요이 박사가 저술한 '바다 채소'라는 책에 따르면 일본은 18세기 초중반이후부터 {노리마끼는 에도말19세기부터 먹기시작했다} 김을 음식으로 활용했다 삼국시대부터 김을 먹었고, 조선시대에는 상당히 보편적으로 김을 활용한 우리나라에 비해 상당히 뒤늦은 시점이다. 이를 근거로 김밥은 시대적 정황상 우리나라가 훨씬 앞설 수밖에 없었다는 추론이 자연스럽다.) 엄연히 다른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참고로 현대시대 들어서 김밥을 마는 김발속대는 일제시대때 넘어온 기구를 김밥에 활용한 것은 맞습니다)
@lililiilillllillililililililli
@lililiilillllillililililililli 5 ай бұрын
김쌈과 복쌈은 오늘날의 김밥형태와는 다릅니다. 그래서 노리마끼에서 왔다는 설이 정설처럼 여겨지는거고요. 오늘 날의 우리가 먹는 김밥은 우리나라에 맞게 변형된 형태이니 님 말처럼 둘은 다른 음식이 맞습니다. 자작면과 짜장면이 다른것처럼요 그러나 유래를 찾는다면 노리마끼란 부분에서 부정할수는 없습니다. 님의 논리대로라면 그 음식의 원재료나 조리섭취방법에 따라 그 방법이 먼저 선점된 나라의 음식이겠죠? 그렇다면 아시아권은 중국과 몽골에게 많은 음식및 문화적 가치를 빼았기게 될겁니다. 물론 중국의 논리인 조선족은 중국의 소수민족이니 조선족이 먹는 한식은 중국것이다란 말도 타당성을 얻게되고요. 논란이 있을법한 설명이지만 김밥은 우리나라것이 맞지만 그 유래를 찾자면 노리마키가 가장 유력하다는게 가장 유력하다고 봅니다. 10년전에도 이걸로 유튜브 댓글에서 3개월 넘게 논쟁한적 있지만 결론은 김밥은 김쌈과 복쌈과는 다르다였습니다 그리고 위에서 말씀하신 저서에서는 김밥의 형태에 그렇게 까지 자세하게 서술되어있지 읺습니다. 제가 당시 논쟁벌이면서 상대가 반박하던 기록들인데 일일이 확인해보시면 아시겠지만 오늘날의 김밥형태를 묘사하는 문장은 없었습니다. 김밥이 한식이란 사실은 누구도 부정 못하지만 그렇다고 왜곡해서 인식한다면 언젠가는 김밥에 대한 타국의 소유권 주장의 빌미를 줄 안좋은 견해라고 봅니다.
@user-kx3pm8eu7p
@user-kx3pm8eu7p 5 ай бұрын
​@@lililiilillllillililililililli 제가 보긴 쌈문화에서 김밥으로 간건데 그리고 김에 관한 문헌이며 먹기 시작한 시기가 더 일본보다 빠른데 왜 일본에서 왔다는건지 ㅉㅉ
@lililiilillllillililililililli
@lililiilillllillililililililli 5 ай бұрын
@@user-kx3pm8eu7p 오늘 날의 김밥 형태에 답이 있습니다 단순히 김을 먼저 먹기 시작했다해서 김밥의 시작이라하면 짜장면은 중국음식이게요? 논리적으로 맞지 않은 소리입니다
@lovepresent
@lovepresent 5 ай бұрын
@@lililiilillllillililililililli 한국에서 늘 배우고 가져가던 일본 문화이며 일본것들인데 ㅋㅋ 꼭 짐승것들이 일본걸로 둔갑시키려고 졸라애씀 ㅋㅋ 중국쓰뤡들이랑 똑같음 ㅋㅋ = 팔만대장경 달라 = 지들것마냥 세계문화유산에 올리려고 지룰 = 독도고 1940년 전으로는 AI도 데이터도 존재안한다는데, 그 이후로 짖어대는 꼬라지에 ㅋㅋ = 중국쓰뤡들이 김치지들거라고 ㅋㅋ = 일본쓰뤡도 과거에 기무치 지들거라고 짖어댔지 ㅋㅋ 막 다 일본꺼 하고 싶어 ? ㅉㅉ 일본의 비슷한 모든 음식 다 한국거야 😂
@or-kp7451
@or-kp7451 5 ай бұрын
김밥 잘 싸시는 분들, 저 포함 ㅋㅋ, 김발 그깟거 안씁니다. 🤗🤗🤗
@_______MY
@_______MY 6 ай бұрын
냉동도 그렇게 맛있는데 한국와서 즉석김밥 먹으면 얼마나 맛있어할까 ㅋㅋ 김밥은 매일 먹어도 질리지가 않는다 ㅠ
@admiralyisoonshin4995
@admiralyisoonshin4995 5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김밥은 어느 나라이건 환영받을 음식이다. 특히나 야채만을 넣은 김밥은 채식주의자들에겐 인기만점! 🎉🎉🎉
@user-kz9vo2lk6c
@user-kz9vo2lk6c 5 ай бұрын
와 품절ㄷㄷ 하긴 라면이든 김밥이든 한번 먹게되면 중독성때문이라도 잊을수가없지. 특히 요즘같은 겨울에 라면에 김밥찍먹 혹은 떡뽁이 국물에 김밥찍먹...배고프다
@afdckjkfewnjd1230
@afdckjkfewnjd1230 5 ай бұрын
최근에 사먹어봤는데 속재료가 많이 없어서 아쉬웠어요. 제대로 속을 꽉 채워주면 좋겠어요.
@style050
@style050 9 ай бұрын
이제야 맛을 알겠어? 진정한 한국맛!
@user-cb6vo5bu8s
@user-cb6vo5bu8s 8 ай бұрын
🤣🤣🤣🤣🤣
@charlieshin9513
@charlieshin9513 6 ай бұрын
언제 후토마키가 진정한 한국맛이야... 김밥 안에 들어가는 주재료가 다꽝 오뎅인데 한국맛이란다
@ororo1002
@ororo1002 6 ай бұрын
​@@charlieshin9513그렇게 따지면 지금 일본의 음식이란 라멘은 중국 음식이고 샤부샤부도 중국 음식이고 스시는 동남아 음식이고 돈까스는 독일 음식이죠 음식 문화가 발달하지 못 해 마른 멸치 먹고 있던 거 조선통신사가 보고 불쌍하다고 요리사 대동해서 일본에 음식도 가르쳤죠 일본 음식들 대부분이 중국 한국 서양 음식 조금씩 바꿔서 일식이 된 거 모르시나요? 아 우동도 한국에서 건너왔다고 일본 우동 전문가가 폭로했죠😂
@rainbow-vv5bp
@rainbow-vv5bp 5 ай бұрын
@@charlieshin9513 니네 후토랑 김밥이 뭔 상관이냐? 뭐가 김밥이 주재료가 단무지에 오뎅이냐? 우엉 고기 계란 시금치 당근 오이 깻잎 별거 다 있는데 뭐가 그게 주재료야?
@-markshin-
@-markshin- 5 ай бұрын
@@ororo1002 라멘은 중국에 존재하지도 않는 음식임. 샤부샤부는 몽골이고. 스시가 동남아? 동남아에서도 스시라고 하는데 뭔 개솔. 돈까스는 일본요리지. 독일의 슈니첼 역시 확장요리고. 조선통신사가 뭔 일본에 음식 가르쳐? 자료는?
@righte1196
@righte1196 8 ай бұрын
지금이 홍보의 적기인디 정부가 뒤로가고있네
@user-vn7gq7ge6q
@user-vn7gq7ge6q 8 ай бұрын
김밥 제일 맛있음~!
@user-gs2le2qd8y
@user-gs2le2qd8y 8 ай бұрын
일본은 마끼라고 하는데 생선 날 거 들어가고 내용물이 우리와 다르죠. 많아야 네가지 넣고 말아요. 우리는 아홉가지 넣고 말구요
@-markshin-
@-markshin- 5 ай бұрын
후토마키 보면 회빼고는 빼박임. 좀 지식을 늘려보삼
@Kminjun
@Kminjun 5 ай бұрын
1920년대 동아일보에서 일본 후토마키 소개한 기사가 김밥최초 레시피입니다 거기서 변형한거구요
@Kminjun
@Kminjun 5 ай бұрын
첨에 후토마키처럼 생선회나 생선살 넣다가 맛살로 넣는거로 변형됐고 1970년대까지 식초넣다가 지금은 안넣죠
@user-di9ig9xq6n
@user-di9ig9xq6n 4 ай бұрын
마끼에는 종류가 많아요 후토마끼 검색해보셈
@NewYork15yrs
@NewYork15yrs 8 ай бұрын
스시라고 안해서 다행. 김밥이라는 이름이 드디어 !!
@user-by9xm5ez9j
@user-by9xm5ez9j 8 ай бұрын
紫菜包饭是中国的食物。 韩国在乞讨着吃。 紫菜本身的原产地就是中国。
@user-gj2ss6qz4h
@user-gj2ss6qz4h 4 ай бұрын
외국인들한테는 안매워서 자극적이지않고 야채등 영양소가 골고루들어있어서.먹기도 쉽고 간편하고...!그래서 어느나라든지 인기가있을수밖에...!
@_tv6896
@_tv6896 5 ай бұрын
대한민국 조상님들 정말 대단하시고 먹거리를 만들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user-di9ig9xq6n
@user-di9ig9xq6n 4 ай бұрын
일제시대때 들어온거야 ㅋㅋㅋ 조상은 ㅅㅂ
@user-uj5bu5bn8b
@user-uj5bu5bn8b 9 ай бұрын
바로 싼 김밥 먹어보면 뒤집어지것네ㅋㅋ 고소한 기름향이 아주 매력적인데 저건 냉동이라 그런맛1도없을듯
@user-cj4ho5fc7k
@user-cj4ho5fc7k 8 ай бұрын
참기름은 애초에 외국인한테 호불호 엄청 갈림
@user-vi4cq7ix5c
@user-vi4cq7ix5c 6 ай бұрын
참기름바른거 싫어하는 사람 내주변에 많음
@spy50123
@spy50123 8 ай бұрын
김밥 바로 말아서 먹어야 제맛인데... 나는 저런김밥 그저줘도 안먹음..
@user-fr1bd1np2u
@user-fr1bd1np2u 6 ай бұрын
비건은 돈이 된다
@user-nd5vf7vg2g
@user-nd5vf7vg2g 5 ай бұрын
동대문에 사먹던 꼬마김밥....정말 정말 맛있엇는데..
@user-mm7vo3wx2i
@user-mm7vo3wx2i 8 ай бұрын
냉동김밥맛이 궁금하네요. 요즘 김밥값 비싼데.... 나도 사고싶어지네 ㅎㅎ
@user-qz2dz1km7k
@user-qz2dz1km7k 4 ай бұрын
진짜 자랑스럽다
@sidalibenkrab6714
@sidalibenkrab6714 Ай бұрын
맛있는 음식. 이 음식을 좋아하는 사람들의 수는 맛있어 보입니다.
@user-iz9tt6bj1o
@user-iz9tt6bj1o 8 ай бұрын
비건식으로햄어묵계란없엔게신의한수네!
@K-jass
@K-jass 9 ай бұрын
안그래도 김밥 가격올라가서 사먹기 힘든데…그르지마ㅠㅠ 더 비싸진단 말야ㅠㅠ
@user-kq3de5om6v
@user-kq3de5om6v 8 ай бұрын
요즘한줄에 4000원;; ㅎㄷㄷ
@user-cb6vo5bu8s
@user-cb6vo5bu8s 8 ай бұрын
🤣🤣🤣😆👍❤️❤️❤️🥺👍
@user-tj5ro4wf4q
@user-tj5ro4wf4q 7 ай бұрын
기사 보니까 수출할 때 고기가 걸린다고 고기 뺀 김밥이 미국에서 비건 채식주의자들한테 인기라서 유명해진거라 하더라구요.
@user-bz3ef5xt4m
@user-bz3ef5xt4m 5 ай бұрын
뜨끈한 밥으로 금세만 김밥은 얼마나 맛있을껴!!
@user-dy7me9vc9r
@user-dy7me9vc9r 5 ай бұрын
"함께 함께 함께 함께 김밥 먹고 싶소!" 노래ㅡ고성현
@user-cf1iu9du8i
@user-cf1iu9du8i 8 ай бұрын
간단한 음식으로 다이어트에 좋음. 포만감 굿
@user-vp8jl1ub7k
@user-vp8jl1ub7k 7 ай бұрын
예? 김밥이 다이어트에 좋다고요? 쌀밥이 잔뜩 들어가는데도요?
@user-ym3dd5jq5d
@user-ym3dd5jq5d 5 ай бұрын
다이어트는 모르겠고 비건들 먹기에 좋은 음식이라함
@yoonchoe4085
@yoonchoe4085 8 ай бұрын
살수가 없엉~~ 트레이더조를 이삼일에 한번 꼴로 가는데..😢
@TTiiPP24
@TTiiPP24 Күн бұрын
냉동김밥에도 감동이라니..우리나라에서 갓만든..다양한 김밥을 맛보면..말그대로..김밥천국이겠넼ㅋㅋㅋ
@yunjung8368
@yunjung8368 9 ай бұрын
한인타운 한인마켓에 차고넘치는게 김밥인데....어서와라 한인마켓으로,..😂😂😂😂
@user-bu5yv7wt9v
@user-bu5yv7wt9v 9 ай бұрын
예전에 허니버터칩 수준으로 찾기 힘들어요. 맛은 허니버터칩 처음 먹었을때 그느낌이에요. 도데체 왜?ㅋ
@kleenex23
@kleenex23 9 ай бұрын
푸드트럭에서 만들어 팔아도 될듯 한데....
@user-kl9hp8ok1w
@user-kl9hp8ok1w 8 ай бұрын
김밥천원 할때가 천국이였음 요즘은 김밥 개비싸져가지고 사먹기 부담스러움 그돈주고 먹을바엔 식당가서 밥먹게됨~
@user-vy1tb6tq7x
@user-vy1tb6tq7x 6 ай бұрын
싸서 먹는다기 보다 간단해서 먹게 되던데..ㅋ 천원시절 생각하면 김밥뿐만이 아니라 떡볶이도 튀김도 비싸서 못 먹겠다 하시는분들 많으실듯요
@user-vi4cq7ix5c
@user-vi4cq7ix5c 6 ай бұрын
김밥4천원주고먹느니 경기도에서 6천짜리 한식부페가서먹음
@jinachoi1049
@jinachoi1049 4 ай бұрын
미국에 살고 있는데 아직도 한번도 만나보지 못한트조김밥~ 어제는 한인마트 갔더니 k푸드가 정말 유행이라는게 실감 나더라구요 보통 아시안들만 많이 보이던 한인마트에서 외국사람들이 과자랑 라면 앞에서 북작북작 ~ 한국 사함으로써 많이 뿌듯했답니다 ^^
@thisfloridianlife_briankim6956
@thisfloridianlife_briankim6956 23 күн бұрын
신기한건 월마트에 비비고, 농심껀 거의 항상 있단거죠. 굳이 한국마트 안가도 더 싸게 살 수있는 ㅎ
@birdjo4596
@birdjo4596 8 ай бұрын
다좋은데... 그 지역이라 일본산 재료 사용했을까봐 걱정이다.
@hanziyou
@hanziyou 9 ай бұрын
김밥전도 해먹어줘라아
@canhoKim
@canhoKim 8 ай бұрын
비건음식 아니라 불가능헐듯요..
@josunjok
@josunjok 8 ай бұрын
또 중국,일본에서 서로 지네꺼라고 우기것네..동해도 일본해로바뀌고..서해도 곧 중국해로 바뀌것지..남해는 또 어디서 지네바다라고 뺏어가랴나..쓰글..대한민국 정치인들은 백성들의 세금착취에만 눈돌아가있고.. 에휴.. 취득세보유세상속세가 동시에 존재하는 나라 대한민국..😂😂😂
@bigspacegear1920
@bigspacegear1920 6 ай бұрын
정치인이라고 싸잡아 말하지말고 국짐이라고 말하자
@-markshin-
@-markshin- 5 ай бұрын
김밥은 원래 일본꺼임.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진짜 웃긴다
@josunjok
@josunjok 5 ай бұрын
@@-markshin- 살면서 웃을일 그리없노? 이걸러라도 마이웃었으면 그걸로 된거지 ㅋㅋ 나좋은일한거임
@user-xo5yd2cr3h
@user-xo5yd2cr3h 5 ай бұрын
지금은 한국음식으로 굳혀졌지만 김밥 유래는 일본 맞아요. 자꾸 일부분들이 김밥이 원래 한국전통음식이라고 중국인처럼 우기시는데요 김밥이랑 도시락문화 자체가 일본에서 일제시대때 넘어온겁니다. 김밥 최초 레시피인 일본김밥 소개 동아일보 기사도 있구요 전문가들도 인정하는 사실입니다..원래 김밥 원형이 김초밥맞고 70년대까지 식초간 했어요 김을 먼저먹었으니 김밥원조다? 면요리먼저먹었으니 스파게티가 중국요리인가요? 김밥은 안에 속재료 만드는방식 조리도구 전부 일본에서 넘어온 한국화된 일식입니다 한국의 김쌈밥은 최초기록이 18세기에나 등장하고 김밥이랑 전혀다른 음식입니다 그리고 쌈으로 요리만들어먹는 문화는 베트남 동남아 등 어디에도 있어요 우리것이 중요하면 남의것도 인정좀 합시다
@josunjok
@josunjok 5 ай бұрын
@@bigspacegear1920 김밥의유래가 중요한게아니다. 중빠좌파만진당아~ 저 혁신적인 판매시스템을 말하는거다! 어째 포린트놓치는건 느그당이나 지지자나 똑같노 ㅋㅋ논점흐리는기술만 있으니 , 맨날논점만후리다 뒤통수나맞지~ 김남국 이모님이 갑자기떠오르노 ㅋㅋㅋ 이재명줄다한그분 피습한사람이 국힘지지다라고 그렇게 떠들어대더니만 어랏? 민주당지지자네? ㅋㅋㅋ이번에도 뒤통수후려맞는맛좀 맛깔나노~~ 하디만 지지자가다르고 생각이다르다해서 저렇게 공격하는건 아니다생각한다. 만진당지지자들은 공격대상이틀렸네어째네하는데, 그럼 윤대통령이 대상이였으면 정당한공격이였다는건지..무섭다..만진당지지자들..
@user-zn9tb7qe2b
@user-zn9tb7qe2b 4 ай бұрын
내가 제일 좋아하는 음식인 김밥이 세계인들 입맛을 사로잡다니 기쁘고 자랑스럽다.. 어릴적 소풍날 늘 먹었던 추억의 음식..김밥의 맛이 외국인들에게 인정받는다는게 신기하고 그 행복을 같이 나눌 수 있다는것도 너무나 기쁘네요.
@boyaknam
@boyaknam 5 ай бұрын
좋았어😂❤
@user-wl9dm6rv5i
@user-wl9dm6rv5i 8 ай бұрын
문화,음식 한국이 대세 ~~
@PromiseKeeper_7537
@PromiseKeeper_7537 8 ай бұрын
경상도 구미인가 하는곳 "올곧"이라는 회사가 미국 트레이더조에 납풍하는거라고 그러고 완판되어 10월달이나되서 입고될거래요. 그나저나 김씨가 만들어 김밥이라는데 조씨가 아닌게 천만다행입니다.
@user-ff4fd2wr3w
@user-ff4fd2wr3w 5 ай бұрын
김치를 김밥엪에 붙여서 팔면 더 진짜 맛있는데
@timi-high4996
@timi-high4996 5 ай бұрын
조밥될뻔했네
@user-ht2uk8hd6i
@user-ht2uk8hd6i Ай бұрын
어릴때 현장 학습이나 소풍가면 새벽같이 일어나 밥과 김밥재료 준비 하셔서 정성껏 싸 주시던 엄마표 집 김밥이 그립네요 진짜 즉석김밥
@sarrinamom
@sarrinamom 5 ай бұрын
저도 프랑스 릴에서 2005년 1년간 살때 동네 파머스마켓 열릴때 어떤 한국분이 1줄에 15000원씩 팔아도 순식간에 동나더라구요. 엄청 좋아하던걸 봤어요~~
@sangminlee3136
@sangminlee3136 8 ай бұрын
가성비 좋아서 잘나가는거죠.
@ororo1002
@ororo1002 6 ай бұрын
맞아요 싸서 그렇죠
@Kminjun
@Kminjun 5 ай бұрын
1930년대 동아일보에서 일본 노리마키(후토마키) 소개한 기사가 김밥 최초 레시피입니다 만드는 방식, 속재료 조리도구까지 일본 유래맞구요 전문가들도 다인정한 사실. 한국화된 일본음식입니다
@Kminjun
@Kminjun 5 ай бұрын
김을 누가먼저 먹었는지 중요하지 않아요 만드는 방식 조리도구는 원래는 일본문화입니다 비슷한예가 오뎅
@user-bh9ni2cs7s
@user-bh9ni2cs7s 4 ай бұрын
짜장면, 김밥은 한국꺼된것 같음
@user-ev6ox1sw6c
@user-ev6ox1sw6c 7 ай бұрын
냉동김밥은 완전 비건이라 인기 제일입니다~^
@OOOOOO-es6mu
@OOOOOO-es6mu 5 ай бұрын
셀카촬영한것 좌.우 반전해서 글자넣고 영상올리세요
@user-xo5yd2cr3h
@user-xo5yd2cr3h 5 ай бұрын
지금은 한국음식으로 굳혀졌지만 김밥 유래는 일본 맞아요. 자꾸 일부분들이 김밥이 원래 한국전통음식이라고 중국인처럼 우기시는데요 김밥이랑 도시락문화 자체가 일본에서 일제시대때 넘어온겁니다. 김밥 최초 레시피인 일본김밥 소개 동아일보 기사도 있구요 전문가들도 인정하는 사실입니다..원래 김밥 원형이 김초밥맞고 70년대까지 식초간 했어요 김을 먼저먹었으니 김밥원조다? 면요리먼저먹었으니 스파게티가 중국요리인가요? 김밥은 안에 속재료 만드는방식 조리도구 전부 일본에서 넘어온 한국화된 일식입니다 한국의 김쌈밥은 최초기록이 18세기에나 등장하고 김밥이랑 전혀다른 음식입니다 그리고 쌈으로 요리만들어먹는 문화는 베트남 동남아 등 어디에도 있어요 우리것이 중요하면 남의것도 인정좀 합시다
@user-xo5yd2cr3h
@user-xo5yd2cr3h 5 ай бұрын
해럴드경제 / 노리마키는 1750년 발간된 요리책 요리산해향(料理山 海郷)'에 처음 등장했으며, 1776년 발간된 요리책 '신착 식단부류집(新撰献立部類集)'에서 자세한 레시피가 담 겼다. 메이지시대인 1800년대 중반부터는 포장마차 등 에서 쉽게 먹을 수 있는 음식으로 인기를 끌기도 했다. 한국에서는 일제강점기에 들어온 것으로 추정된다. 1930년 3월 7일 동아일보 기사는 꽃구경을 갈 때 가지고 갈 요리로 '김쌈밥(노리마기스시)'을 소개했다. 일본식 매실 장아찌인 우메보시를 잘게 썰거 같이 먹는 것까지 상세 하게 설명했다. ㅡ> 초기 김밥은 일본에서 들어온거 맞아요 옛날에는 식초 계속 넣다가 식초뺀 조리법은 1970년대 나옴 (1977.3.12 매일경제)
@user-xo5yd2cr3h
@user-xo5yd2cr3h 5 ай бұрын
한국의 최초 김양식 언급은 13세기 삼국유사지만 일본은 7세기에 시장에서 김을팔고 세금으로 걷은기록이 남아있다. 기록도 한국보다 빨라요
@brilliantsoullee8271
@brilliantsoullee8271 5 ай бұрын
별 정성을 다 들이시네 ㅋㅋㅋㅋㅋ 이런 정성으로 서울대에서 공부하시지
@user-xo5yd2cr3h
@user-xo5yd2cr3h 5 ай бұрын
@@brilliantsoullee8271 반박을하시려면 제대로 논리로써 반박을하세요 메신저공격을 하지마시고 위에 내용들은 역사학자와 요리전문가들도 인정하는사실입니다
@charliebucanan1545
@charliebucanan1545 4 ай бұрын
돈까스 짜장면 기타 등등 외국음식인거 알지만 현지화된 음식입니다. 그랬으면 애초에 스시초밥이라 했지 굳이 김밥이라고 했을까요 왜냐하면 없는 음식을 들여온 게 아니라, 이미 너무나도 비슷하게 김에 싸먹는 식습관이 보편화되어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노리마기 스시??의 레시피와 너무나도 다릅니다. 한마디로, 원래 김싸먹는 문화가 있는 한국에 비슷한 레시피가 소개 되긴 했으나 결국엔 재료와 레시피는 다시 기존 한국의 입맛에 맞게 돌아온 것이라고 볼 수 있죠. 그러므로 노리마기 스시의 흔적이 남아있긴 하나 누가봐도 기존의 원래 김밥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삼겹살에 고추냉이 찍어먹는다고 일본음식이 아닌 것 처럼요.
@blanche33
@blanche33 8 ай бұрын
일본이 김밥 한국에서 표절한거라고 말하고 다닐게 눈에 선함
@user-cb6vo5bu8s
@user-cb6vo5bu8s 8 ай бұрын
기본이 다르고 아무도 그렇게 생각 안합니다😂1.밥맛이 틀림.2넣는 소제가 틀림.3뚱뚱이가 틀림.똑같은 사이즈도 있긴함 4참기름,들기름을 밥에 절대 넣지않음.기름자체 들기름을 못씀.죄송.드문.
@user-mm5ds9ix5p
@user-mm5ds9ix5p 7 ай бұрын
일본은 그런 일 안합니다
@totuga2169
@totuga2169 7 ай бұрын
기무치도 일본에서 표절한겁니까? 김밥이랑 똑같은 케이스인데.
@ororo1002
@ororo1002 6 ай бұрын
​@@user-mm5ds9ix5p기무치라고 일본 음식이라고 등록하다 거절당한 게 일본임 명란도 일본 음식이라고 알고 있다가 한국 부산에서 건너 간거라니 깜짝놀람
@rainbow-vv5bp
@rainbow-vv5bp 5 ай бұрын
@@totuga2169 기무치가 일본 고유의 음식이면 왜 이름이 기무치냐? 김치 발음 못해서 기무치로 부르는 건데.
@koreastrongbestdriver5799
@koreastrongbestdriver5799 3 күн бұрын
한국음식이 세계적으로 인기있는 이유는 담백하고 채소반찬이 많이 있어서 비타민 미네랄이 풍부하고 영양 풍부하고 기름기가 적어 느끼ㅏ한 맛이 없어서 깔끔한 맛이 납니다.,
@Roscn-dn36
@Roscn-dn36 3 ай бұрын
근데 트레이더조는 원래 아시아 식품을 많이 파는 색다른 마켓이예요. 오래전부터 냉동 김치볶음밥, 냉동 파전, 만두, 김치 등등 이것 저것 많이 팔고있고요. 하지만 미국인들이 평상시에 가는 보통 마켓에서는 냉동 김밥 같은건 안 팔아요.
@def__leppard
@def__leppard 9 ай бұрын
9점 준 여자 전형적인 미국미녀상
@au79ag47
@au79ag47 9 ай бұрын
게다가 불고기까지 인기가 있으니 불고기김밥으로 만들어 팔면 대박이겠네.
@user-vm8tl1li2d
@user-vm8tl1li2d 9 ай бұрын
해외에서 비건식으로 소문나서 불고기는 안팔릴수도..
@au79ag47
@au79ag47 9 ай бұрын
​@@user-vm8tl1li2d두 가지 모두 출시하면 좋을 거 같습니다.
@daahn_kitchen
@daahn_kitchen 9 ай бұрын
​@@au79ag47애초에 김밥은 비건열풍에 탑승한거라 불고기는 백퍼 오리지널에 비해 판매 저조함
@user-cj4ho5fc7k
@user-cj4ho5fc7k 8 ай бұрын
@@au79ag47한국에서 제조해서 수출하는거라 고기 종류는 넣을수없는걸로 알고있음
@user-ck9wl4ee1i
@user-ck9wl4ee1i 4 ай бұрын
당근 계란 잔뜩 넣은 김밥 맛도 봐야되는데..😊😊
@uhh487
@uhh487 8 ай бұрын
건강에도 나쁘지 않고
@nemobin
@nemobin 9 ай бұрын
햄이 없는 김밥은 진짜 깁밥이 아니라고 알려주면 쟤들 어떤 반응을 보일까?
@user-mm7vo3wx2i
@user-mm7vo3wx2i 8 ай бұрын
저는 일부러 햄하고 맛살 빼달라고 하고 마지막에 기름 바르지 말라고 해요.ㅎㅎ채식주의는 아니지만 김밥에 들어가는 햄은 너무 맛이 없어서요.ㅎㅎ
@user-cj4ho5fc7k
@user-cj4ho5fc7k 8 ай бұрын
진짜 김밥이 아닌게 어딨음 ㅋㅋ 김밥집에서 야채김밥파는것도 못봤음? 애초에 다양한 재료가 취향에 맞게 들어간게 김밥이라는 음식임 햄안들어가도 진짜 김밥임 ㅋㅋㅋ
@user-wi9kk9ws4u
@user-wi9kk9ws4u 8 ай бұрын
비건 음식
@Alessandro-ft5kc
@Alessandro-ft5kc 8 ай бұрын
주접떨지마 자기 입맛에맞게 먹으면되는걸
@COEURDEMERE
@COEURDEMERE 3 ай бұрын
냉동김밥인데 저리 맛있어 해주네 막만든 김밥 진짜 맛있는데
@kenichichung7261
@kenichichung7261 7 күн бұрын
김밥은 고기넣어도 비건으로먹어도 둘다맛있어요. 근데 저가격이 싼거라니 미국물가도 미쳤네요
@user-it8td3dx3i
@user-it8td3dx3i 6 ай бұрын
김밥은 먹어도 먹어도 질리지가 않아~~ 김밥 싫어하는 사람 거의 없을듯....
@bklove8548
@bklove8548 7 ай бұрын
실제 중국이 미국에 김치 및 라면 , 김밥 등등 온갖 가피해서 판매하여 이익을 얻고 있음 .
@user-su8dd1ov8f
@user-su8dd1ov8f 4 ай бұрын
제대로 만들어졌으면 좋겠네요 미래를 생각한다면요
@hjlim5173
@hjlim5173 5 ай бұрын
몇년전만해도 김밥 베어먹는거 보고 안타까웠는데 이제 한입에 먹는거보니 므훗^^입니다.
@CocoPhamHannie
@CocoPhamHannie 4 ай бұрын
김밥 ㄱ ㅐ 맛있음. 김치와 냉면 게장과 같이 최애 음식인데.... 문제는 당뇨나 다이어트에 탄수화물 과다인 것... 외국인들은 채소 야채면 건강식이라는데 우리나라에선 알지 ㅠ 탄수화물의 위험을
@chang830
@chang830 8 ай бұрын
김밥이라고 적어 놔도 스시라고 하는 미국인들 엄청 많음
@_Salazar.Slytherin_
@_Salazar.Slytherin_ 8 ай бұрын
베지터블 스시 킹받네;
@user-mimimc
@user-mimimc 5 ай бұрын
근데 김밥 만들자마자 먹는거 아니면 진짜 별론데 맛있게 먹네
@iillliiiil137
@iillliiiil137 7 ай бұрын
한국와서 치즈 김밥 먹어봐라. 미칠거다 ㅋㅋㅋ
@Fuck_96
@Fuck_96 5 ай бұрын
어머니가 김밥 싸면서 옆에서 남은 꼬다리 먹을때가 제일 맛있쥬ㅎㅎ
@gaeappa
@gaeappa 8 ай бұрын
스시롤보다 김밥이 더 유명해지길
@seervox
@seervox 5 ай бұрын
파이팅. 열심히 몸갈아서 자영업하면 잘살수있음. 글구 사업을 궤도에 올려놓으면 몸도 편해짐
@user-vp4qh2ls3u
@user-vp4qh2ls3u 8 ай бұрын
김밥천국 미국 진출 하자!!!
@user-nf1vf9it2m
@user-nf1vf9it2m 8 ай бұрын
있음 비슷한거 근데 한인도 거기선 안사먹음 개비쌈
@user-xd4fm3rv6z
@user-xd4fm3rv6z 8 ай бұрын
웬만한 마트.식당마다 김밥은다있소...만원 넘으니 문제지..
@user-pz6km6sg5n
@user-pz6km6sg5n 5 ай бұрын
우리집은 김밥을 쌀때 김에 들기름 바르고 구운 김에 밥과 야채 계란말이 등을 넣어 싸주었는데, 소풍 가서 김밥 먹으려면 김밥은 다 터져있었음~~ 그런데 맛은 엄청 맛있음^^
@AUD_HKD
@AUD_HKD 8 ай бұрын
이거 먹어 보신분 시식평 좀 부탁드려요. 김밥 넘 좋아 하는데 가족중 먹는 사람이 저뿐이라 김밥을 못 만드네요. 슈퍼에 이거 팔던데 냉동이라 렌지 돌려야 하나 돌리면 김이 눅눅하지 않을까... 해서 사먹어 보진 못했네요. 시식평 부탁 드려요
@user-db2wv7hg1l
@user-db2wv7hg1l 5 ай бұрын
레시피가 아주 많아서 소비자들의 식성대로 여러맛의 제품을 만들면 더 잘될텐데 아마도 냉동으로 판매가 되는거라 관리가 힘들겠죠.계란김밥 스팸김밥,그리고 우엉김밥 비프김밥같이 다양하게 좋은데...김밥 레시피는 찾아보면 많을테니 따로 책으로 발매는 안할거고...하여튼 대박은 대박입니다.그리고 곁들이는 찬(餐)으로 김부각도 대박 아이템.무지막지하게 맛있잖아요.^^
@user-wc6tw7hu9u
@user-wc6tw7hu9u 2 ай бұрын
한국인들이 먹어도 맛나다고 하더군요
狼来了的故事你们听过吗?#天使 #小丑 #超人不会飞
00:42
超人不会飞
Рет қаралды 64 МЛН
100😭🎉 #thankyou
00:28
はじめしゃちょー(hajime)
Рет қаралды 56 МЛН
СҰЛТАН СҮЛЕЙМАНДАР | bayGUYS
24:46
bayGUYS
Рет қаралды 811 М.
🍟Best French Fries Homemade #cooking #shorts
00:42
BANKII
Рет қаралды 42 МЛН
🇺🇸 뉴욕에서 솥뚜껑 삼겹살? K-고기가 해외에서 인정받는 이유?
14:34
Foreign Workers Arguing How Foreign They Are
23:15
스튜디오777ㅑ
Рет қаралды 466 М.
[어바웃뉴욕] 미국 한인마트에는 남아도는 김밥
13:27
매경 월가월부
Рет қаралды 489 М.
狼来了的故事你们听过吗?#天使 #小丑 #超人不会飞
00:42
超人不会飞
Рет қаралды 64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