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들은 이해 못하는 덴마크식 육아법 | 세계 행복지수 1위 국가의 자녀 교육법

  Рет қаралды 3,188,161

책식주의

책식주의

2 жыл бұрын

*제작비를 지원받은 콘텐츠입니다.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아이로 키우는 덴마크식 자녀 교육
『우리 아이, 어떻게 사랑해야 할까』를 소개합니다.
✔ 참고 도서: 『우리 아이, 어떻게 사랑해야 할까』, 제시카 조엘 알렉산더, 이벤 디싱 산달
✔ 책 보러 가기: bit.ly/3BszfKB
✔ 제작: 책식주의 (papervore@naver.com)
✔ 나레이션: 강미정(kanglab.co@gmail.com )
#덴마크 #자녀교육 #우리아이어떻게사랑해야할까

Пікірлер: 4 200
@user-ee4iy1yt8g
@user-ee4iy1yt8g 2 жыл бұрын
물건 잃어버렸을때 덴마크: 너 할 수 있어 넌 용감해 찾을 수 있을거야 한국: 에휴 엄마가 주머니에 넣고 다니라고 했지?
@KyoungSikCho
@KyoungSikCho 2 жыл бұрын
ㄹㅇㅋㅋ
@djWhdnUnvK
@djWhdnUnvK 2 жыл бұрын
했제와 그랬제 부모편
@user-og8fs3zv8s
@user-og8fs3zv8s 2 жыл бұрын
한국: 엄마 너 그럴줄 알았다 덤벙거려서 ㅡㅡ
@user-vy9hg6wj4m
@user-vy9hg6wj4m 2 жыл бұрын
@@djWhdnUnvK ㅋㅋㅋㅋㅋㅋ 헨젤과 그레텔 이 아니라 했제와 안했제 ㅋㅋㅋㅋ
@wongeonjeong1818
@wongeonjeong1818 2 жыл бұрын
왜 반박을 못하겟지ㅋㅋㅋㅋ
@SangwookSon
@SangwookSon 2 жыл бұрын
한국은 다른 나라 비교 할 거 없이, 부모들이 남들 인식하는 오지랖만 줄이면 자녀교육 반은 먹고 갑니다.
@user-in7yk2qw3n
@user-in7yk2qw3n 2 жыл бұрын
ㅇㄱㄹㅇ
@user-pn5ro1lc7q
@user-pn5ro1lc7q 2 жыл бұрын
자격지심느끼기 싫고 패배감 느끼기 싫고 우월감 느끼고 싶어서 자식 들들 볶는거임. 잘되라는건 결국 부모기준이지 자식 기준이 아님. 자식이 행복하기보다 자신이 행복하고 싶어서. ''나는 이정도로 자식 키웠다''
@nopregnant
@nopregnant 2 жыл бұрын
다 떠나서 이 썩을 나라는 공기도 안좋고 인구밀도(건물,차까지)가 워낙 심각해서 무자식이 실보다 득이고 더 ㄱ이득임 끝물이라 더더욱.. 물론 다는 아니고 대부분이.
@sonhuengmin1
@sonhuengmin1 2 жыл бұрын
글쎄 우리 딸이 이번에
@neymar5736
@neymar5736 2 жыл бұрын
엄마 친구 딸 희선이는 손에서 책을 놓지를 않는데 너는 어쩜 그 모양이니??
@user-ho1pp6ls6g
@user-ho1pp6ls6g 2 жыл бұрын
한국: 성공이 행복 덴마크: 행복이 성공
@user-ie9hl1vi2w
@user-ie9hl1vi2w 2 жыл бұрын
덴마크나 북유럽 노르웨이같은 국가들 비교하는데 그국가들 인구수 다합쳐도 한국의 절반임 그인구에 자원은 풍족하니 정부가 복지며 듣기좋은 소리하면서 요람에서 무덤까지 거리는거지 뭣도모르고 북유럽은 역시 짱이야 이러고 다니지좀마라
@user-kn4en9xg1i
@user-kn4en9xg1i 2 жыл бұрын
@@user-ie9hl1vi2w ㅇㅈ 복지가 좋은만큼 세금을 많이내지 않을까요
@Tivec123
@Tivec123 2 жыл бұрын
성공하기는 어렵고 경쟁을 부추기며 때로는 운에도 맏겨야 하지만 마음을 가꾸어나가 행복해지는 일은 그 누구의 간섭이 필요 없이 나 스스로 가꿀 수 있기 때문에 행복해서 성공하기가 더 쉬운거입니다
@user-li8sg1kv8v
@user-li8sg1kv8v 2 жыл бұрын
그걸몰라서 그럴까 대한민국 현실과 동떨어진 이상의 세계다
@Holics7
@Holics7 2 жыл бұрын
덴마크식 교육은 한국에선 도태되는 지름길..
@yjj9604
@yjj9604 2 жыл бұрын
1. 그냥 놀게 하라. - 놀면서 성장한다. 2. 부모의 솔직한 감정표현. - 본인의 비슷한 경험을 얘기해주기. - 다양한 책 읽어주기. - 지금 잘한다는 느낌을 주기보다 앞으로 더 잘할 수 있다는 느낌 주기. 3. 체벌 보단 규칙.
@user-uw7hj3dg7t
@user-uw7hj3dg7t 2 жыл бұрын
그냥 놀았던 애들 지금 다 뭐하고있나요..? 시비거는게 아니라 저도 그냥 놀아서 제 앞길이 걱정되는데 그냥 놀게 하라고 말씀하시는게 잘 안와닿아서
@yjj9604
@yjj9604 2 жыл бұрын
@@user-uw7hj3dg7t 다른 많은 이야기도 해드리고 싶지만 짧게 얘기하자면 '육아법' 입니다. 고로 동영상에 나온 이야기는 영아기, 유아기, 아동기에 해당한다고 봐도 무방할거 같아요. 이러한 방법이 청소년기에 적용이 된다면 그건 우리나라든 덴마크든 맞지 않을거 같아요. 스타얼라이언스님이 마냥 놀아서 걱정이 된다는건 적어도 청소년기 이상이겠죠? 그러니 마냥 놀기보단 공부에도 시간을 쏟아보시길 바랍니다!
@user-gx3if7ns9g
@user-gx3if7ns9g 2 жыл бұрын
@@user-uw7hj3dg7t 노는 것도 방관하고 방치하며 그냥 놀게하는게 아니죠. 착각하시면 안됩니다. 노는 것을 통해 아이가 스스로 할 수 있게 일어서게 하는 것. 방관하게 두는 것과 적절한 훈육은 같은게 아닙니다.
@user-uw7hj3dg7t
@user-uw7hj3dg7t 2 жыл бұрын
@@yjj9604 ㅇㅎ 감사합니다
@user-uw7hj3dg7t
@user-uw7hj3dg7t 2 жыл бұрын
@@user-gx3if7ns9g 감사합니다
@ezj1694
@ezj1694 2 жыл бұрын
나의 가치를 내 안에서 찾는게 아니라 점수에서 찾게 하니까 이렇게 사회가 팍팍하죠
@Jkim11144
@Jkim11144 2 жыл бұрын
공감해요 외부적인 수치, 결과등으로 평가를 하는걸 너무 어렸을때부터 당연히 여김 한국 기업부터 학교가 내적인 중심을 잡기전에 아이들을 틀에 맞추려고 하는게 교육의 목적임.... 시대가 변해서 점점 거기에서 벗어나려고 하지만 결국 사회 시스템, 속도, 진도에 너무 중점을 두다보니 수업방식은 바뀌어도 결국 비슷한 결과가 반복됨 다시 평가, 줄세우기, 결과와 타인의 평가로 자꾸 그 사람의 가치를 정하려고 함 ㅜㅜ
@jojobaoil4288
@jojobaoil4288 2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에서 조차 서론이 세계에서 가장 행복한 나라 덴마크. 항상 순위권. 이러고있음 ㅋㅋㅋㅋㅋㅋ
@anonymous-yx6kf
@anonymous-yx6kf 2 жыл бұрын
내가 발전했나 안했나 가 아니라 내가 경쟁자들보다 높은가 낮은가 가 되니까 팍팍한거지. 뇌발달기에 이런 교육받으니 평생 남의 눈치보며 명품쫓아다닐거고 이 나라는 망함.
@Melisium
@Melisium 2 жыл бұрын
하지만 점수가 낮으면 미래에 돈이 안벌리는걸...
@ezj1694
@ezj1694 2 жыл бұрын
@@Melisium 그것도 차, 집값, 주식 대박 등 남들보다 더 부유할려는 이 남들 눈치보는 경쟁 인식때문이지 솔직히 먹고 사는 생계 유지만으로는 다들 월 200 이상만 벌어도 가능함. 순전히 국민 인식 차이임
@raigi1290
@raigi1290 2 жыл бұрын
아이가 이미 잘한다고 생각하게 하기 보다는 앞으로 더 잘 할거라고 내적의 힘을 기르는것이 핵심
@user-er6kc3om8l
@user-er6kc3om8l 2 жыл бұрын
@@user-mr1tt9zo6f 생각과 가치관의 차이는 본래 정답이 없는 법... 전 전문가들의 과학적 근거와 이를 토대로 한 저 주장에 동의하는 바입니다
@akeiakeh4555
@akeiakeh4555 2 жыл бұрын
언제까지 더 잘하게??
@user-yb1fz2bq3m
@user-yb1fz2bq3m 2 жыл бұрын
@@user-mr1tt9zo6f 쨋든 우리나라가 가장 행복하지 못 하다는건 알겠음
@user-fm6ii7bf3u
@user-fm6ii7bf3u 2 жыл бұрын
@@user-mr1tt9zo6f ㅋㅋ 저런 통계는 보통 돈주고서 그에 해당하는 사람을 뽑아서 지원한 사람들을 통계냅니다
@waterpail5253
@waterpail5253 2 жыл бұрын
정말 중요한건 덴마크 교육법에서 “놀이”는 절대 전자기기가 포함되어있지 않다는것 ㅇㅇ.
@user-jr7mw6ho3y
@user-jr7mw6ho3y 2 жыл бұрын
진짜 중요한건데 이 영상을 보는 젊은사람들은 꼭 변하길 부모가 진짜 중요함
@user-le7cg9xr6q
@user-le7cg9xr6q 2 жыл бұрын
똑똑한 우리 젊은 사람들이 정직한 부모가 되어주길.
@kraken4782
@kraken4782 2 жыл бұрын
애초에 젊으면 결혼이너 육아를 안함
@kraken4782
@kraken4782 2 жыл бұрын
@@user-dx7wy9wc6v 아는데 요즘은 결혼도 안하는 세상이다 이말하려는거임 결혼하면 호구되는 세상이잖슴
@user-jr7mw6ho3y
@user-jr7mw6ho3y 2 жыл бұрын
@@G_OG_O 그니까여 자신도 모르는 사이 잘해보려다가 살기바빠서 본인도 모르게 본인이 받은 경험대로하게되서 문제
@whydoyouthinkso
@whydoyouthinkso 2 жыл бұрын
@@G_OG_O 역시 책을 안 읽은 사람보다 무서운게 책을 1권만 읽은 사람이란게 팩트네. 차라리 좋다. 그런 병쉰들이 많을수록 내 가치는 높기에.
@integrity7772
@integrity7772 2 жыл бұрын
0:30 행복의 비결은 정서 안정이 핵심. 그리고 그 기초는 정서적으로 안정된 부모. 즉 대대로 이어지는 안정감.. 우리는 이런 토대를 만들기 위해 얼마나 시간이 필요할까.
@user-yh9xs9fi6c
@user-yh9xs9fi6c 2 жыл бұрын
이미 이 동영상을 보고 있는 당신이 당신의 가정을 안정감 있게 만들 수 있습니다~!
@ponychop9479
@ponychop9479 2 жыл бұрын
정서안정이 핵심 !!
@SOFTDOOR_
@SOFTDOOR_ 2 жыл бұрын
정서적으로 안정된 애들은 보통 부모도 감정기복 낮고 일관성있더라 기분에따라 훈육받는게 당연하지 않단걸 크면서 알게된 후론 나중에 내 아이에겐 되도록 좋은 영향을 주고싶어서 이런영상을 보면 못 지나치는듯
@kordojjang
@kordojjang 2 жыл бұрын
출산률보면 보이듯 글렀음
@user-ol3rz3vc7x
@user-ol3rz3vc7x 2 жыл бұрын
최소 200년 하지만 대부분 이미 지쳐 포기한 상태임 출산률이 0점 대로 나오는거 보면,,
@soriso5932
@soriso5932 2 жыл бұрын
정말 간단하고 정확한 핵심이네요 1.그냥 놀게 한다 2.솔직하다 3.채벌하지 않는다(규칙에 대해 정확히 인지 시킨다,훈육시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지 않는다)
@user-gp8xg5dv9f
@user-gp8xg5dv9f 2 жыл бұрын
굿
@kibokgil9765
@kibokgil9765 2 жыл бұрын
체벌.
@user-rs3wh5qx2o
@user-rs3wh5qx2o 2 жыл бұрын
규칙이 명확해야 체벌을 안할수있는것 즉 규칙이 명확한 근본적인 사회 분위기, 법같은 것들이 조성이 되야 가능한것 우리나라같은 나라에선 불가능 그렇다고 요즘 체벌은 할수없으니 내로남불 어른들이 계속 생긴다고 생각함 규칙이 일정하고 분명해야하는데 법과 분위기가 엉망이니까 계속 바뀌는 규칙들의 기준을 파악할수없는 젊은 세대들이 기득권 세대들을 이해할수없고 포용할수도 없는것 해서 젊은 세대들은 그 규칙을 바로 잡으려는 노력을 해야함 때문에 논리적이고 이성적인 젊은 세대들이 나오는데 그 젊은 세대들을 이기적이고 개인주의적이라고 비하하는게 그 기득권 세대들 답이없는 무한굴레임 무조건 돌파해야하고 규칙을 바로 잡아야함
@nopregnant
@nopregnant 2 жыл бұрын
그냥 이나라,이시대엔 무자식이 답이고 최선임 건물,차,인구 종합 밀도 전세계 1위 클라스ㄷㄷ
@user-go5mc4rs4g
@user-go5mc4rs4g 2 жыл бұрын
아니죠. 그냥 놀게한다가 아니라 규칙을 만들어서 그 안에서 놀게한다 이게 맞는거죠
@lalalanolga
@lalalanolga 2 жыл бұрын
아이들이 행복해야 행복한 나라가 되지. 자신의 욕망 채운다고 맨날 사교육 돌리고 비교하는 얘기하면 애가 행복할까? 자살률 1위 국가로써 정말 바뀌지 않으면 미래가 암울하다
@Franz_Liszt_Korean
@Franz_Liszt_Korean 2 жыл бұрын
ㅇㅈㅇㅈ
@hyungjunkim7564
@hyungjunkim7564 2 жыл бұрын
정말 욕심인듯.. 본인들 그렇게 시키면 상위권 성적이나 나올수 있는지 먼저 생각해보면 어떨련지
@user-ke8pi3yo6x
@user-ke8pi3yo6x 2 жыл бұрын
@@user-ge3sc6vd7q 이게 맞지 뭔 스카이캐슬 처 보고 부모가 진짜 지를 위해서 자식한테 돈 써서 교육 시키는 줄 아노
@enfj8003
@enfj8003 2 жыл бұрын
@@user-ke8pi3yo6x 솔직히 맞음 우리나라 체계자체가 개 좆인거임
@user-dx8be8oz6e
@user-dx8be8oz6e 2 жыл бұрын
@@user-ge3sc6vd7q 서울대 나와도 현실은 9급 공무원 준비입니다 과한 사교육을 시키기전에 금융,돈,경제 공부를 빨리 접하게해주는게 현명한 부모입니다 서울대,지잡대ㅎㅎ지잡대 나와도 서울대 나온 사람 보다 경제적으로 풍족하면 지잡대 나온 사람이 승자랍니다^^
@yooo0411
@yooo0411 2 жыл бұрын
3:20 어린 동생이 나한테 와서 자기가 그린 그림을 보여주길래... 내가 거짓말을 못하는 성격이라 차마 잘 그렸다고는 못하겠고 계속 질문 했는데 의도치 않은 덴마크식 칭찬 했네
@yop6484
@yop6484 2 жыл бұрын
의도치않게 올바른 칭찬을ㅋㅋㅋㅋ
@festival_noodle
@festival_noodle 2 жыл бұрын
궁금한게 혹시 동생이 칭찬 기대했는데 안 해줘서 섭섭해하진 않았나요? 칭찬을 아껴도 되나 궁금함
@user-sy8hb9wm9b
@user-sy8hb9wm9b 2 жыл бұрын
못그린걸 잘그렸다고는 못하죠 ㅋㅋㅋㅋㅋㅋ 올바른 칭찬도 아니고 ㅋㅋㅋㅋㅋ 그게 오히려 좋네요 ㅋㅋ
@user-cm1bp3we6g
@user-cm1bp3we6g 2 жыл бұрын
뭘 생각하며 그린거야가 온도에 따라 다른 뜻이될수도 ㅋㅋ
@user-ol3rz3vc7x
@user-ol3rz3vc7x 2 жыл бұрын
오옹 저도 그런적 있는데 오히려 그냥 "잘 그렸네" 보다 "뭘 생각하면서 그린거야?" 라고 물었을때 서로 관계가 더욱 좋아지고 대화도 잘 통해요
@johak86
@johak86 2 жыл бұрын
한국 부모들이 생각하는 자녀 교육은 시험 잘치는 아이가 최고라는 마인드임 대한민국 교육은 지식을 가르쳐 주는 것보다 시험 성적을 어떻게 다른 애보다 좀더 높일까를 가르쳐 주는것 같아
@user-ts2eu6rf6i
@user-ts2eu6rf6i 2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 교육도 지식 전수는 아주 잘하고 있어요
@ruke1047
@ruke1047 2 жыл бұрын
경쟁사회라 그럼 뭐든 쟤보다 잘해야하니까
@user-pc3ey6gf9h
@user-pc3ey6gf9h 2 жыл бұрын
@@user-ts2eu6rf6i ? 나를 위해서가 아니라, 남을 이기기 위해서인 정보가 언제부터 지식이었죠?
@user-pz7xj1ln2l
@user-pz7xj1ln2l 2 жыл бұрын
@@user-ts2eu6rf6i 잘하고는 있죠..
@user-ww6dt3vm2x
@user-ww6dt3vm2x 2 жыл бұрын
지금까지 교육받아온 걸 그냥 남 이기기 위해 배운거라는 마인드도 가정교육의 차이라 생각함
@o1oo11oo0
@o1oo11oo0 2 жыл бұрын
한국:항상 행복하고, 하고싶은것만 할순 없어! 덴마크:하고싶은걸 하려할때 생기는 마찰과 고된 일들도 행복을 향해 나아가는 길이란다
@Neo-ry3jk
@Neo-ry3jk 2 жыл бұрын
명언이네요
@wasabicreeper
@wasabicreeper 2 жыл бұрын
한국은 있지도 않는 대가를 만들정도
@Mr.jungbro
@Mr.jungbro 2 жыл бұрын
옛날 바이킹의 나라 맞노
@mangmangmang6053
@mangmangmang6053 2 жыл бұрын
나라마다 일자리구조에 따라서 교육도 다를수밖에 없다고 생각해요 ㅜ 인력이 전부인 한국에서 이렇게 마냥 놀아라고 키웠다가 학원다니고 선행학습한 친구들사이에사 소외감을 느끼고 그렇게 학업에서의 본인의 위치를 암묵적으로 하위권으로 굳혀버릴수도 있는걸요 ㅜ
@havewe6059
@havewe6059 2 жыл бұрын
@@mangmangmang6053 작성자님께서 말하시는 학교교육이랑 가치관에대한 교육이랑은 달라요. 그리고 영상에서는 마냥놀라고 하는게 아니라 놀때는 아이가 자유롭게 놀도록 내버려두라는 말입니다!
@user-hk8ir5vp4i
@user-hk8ir5vp4i 2 жыл бұрын
자녀교육보다 부모교육을 시켜야 한다는 것이 팩트다. 아이앞에서 부부싸움안하기, 자녀와 사이좋게 놀아주고 대화하기, 어린이집때부터 영어공부 안시키기.
@user-rf4np3op4n
@user-rf4np3op4n 2 жыл бұрын
오...영어공부는 혹시 이유가 있나요?? 아니면 어린이집의 연령대는 한국어가 정착하는 기간이라 그런걸까요?
@lBlBlBl
@lBlBlBl 2 жыл бұрын
@@user-rf4np3op4n 유아기부터 외국어를 가르치면 아무래도 언어 하나인 모국어는 날때부터 습득하니까 비슷한 접근으로 어릴 때부터 공부시키면 훗날 외국어가 유창할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실제론 그 교육 효과가 비효율적이며 성인때 배울 때가 보다 효과적이라고 판명됐음 더불어 영상에서도 언급한 노는 것을 방해하면서까지 시키는게 회화 자체가 남다르거나 관심이 있는 것도 아니면서 공부하라고 앉아서 시키면 목적도 흥미도 실리도 없는데다 오히려 악영향을 가져다줄수도 있기 때문임
@user-rf4np3op4n
@user-rf4np3op4n 2 жыл бұрын
@@lBlBlBl 아하...그렇군요 감사합니다. 그럼 언제부터 가르치는게 효과적인지도 알 수 있을까요??
@holliiy
@holliiy 2 жыл бұрын
@@user-rf4np3op4n 개인적으로 저는 영어유치원 출신인데 도움 많이 됐어요 5세 이상부터는 모국어에 대한 습득력이 높거나 인지 능력이 높은 아이면 영어 회화는 가르쳐도 좋다고 생각해요 다만 문법 같이 획일화된 교육이 아닌 회화 중심 교육이 저는 더 도움이 됐던 듯 합니당
@user-rf4np3op4n
@user-rf4np3op4n 2 жыл бұрын
@@holliiy 오 다른 관점 감사합니다 사실 저도 영어를 초등학교 입학과 동시에 시작해서요. 그러고 보니 저도 회화 위주의 말하기로 해서 긍정적일수 있겠네요
@user-ei9gs1lo3u
@user-ei9gs1lo3u 2 жыл бұрын
우리 부모랑은 진짜 정 반대구나 이래서 어릴때 교육이 아이 인생 반은 결정 하는데 부모 잘만나는 것도 복이다
@user-ht7xb7hd6d
@user-ht7xb7hd6d 2 жыл бұрын
그 누구도 부모를 고를 수는 없으니까요. 저는 이걸 보고 있을때 우리 엄마는 tv로 덕질을 하고 있네요.
@fkpunalla8065
@fkpunalla8065 2 жыл бұрын
마찬가지로 부모도 자식을 고를 수 없으니 태어난 것 자체로 감사해야 할 일
@user-oe6vs6ow7f
@user-oe6vs6ow7f 2 жыл бұрын
자희 부모님은 저만큼은 아닐지라도 충분히 사랑을 표현하였습니다. 훈육방법이 서툴수 있습니다. 그걸 가지고 비교하게 되면 관계는 더 틀어지겠지요. 이 영상에서도 살펴보셨듯이 중요한 건 관계입니다. 관계의 중요한 역할은 부모님이지만, 아이에게도 없지 않습니다. 훈육 방법이 서툰 부모님을 비아냥거리고 비교한다면 결국 부모와 아이 둘다 문제 해결을 하지 못하고 대립하게 되겠지요. 영상의 목적과는 매우 동떨어진 댓글인 것 같습니다.
@QKSKnightshade
@QKSKnightshade 2 жыл бұрын
우리가 덴마크를 볼 때는 이상화된 집단의 좋은 사례를 보고 그리고나서는 각자 개인의 사례와 비교합니다 그러니 스스로가 좋은 사례에 속하지 못한다는 생각의 오류를 범하게 되는겁니다 어떤 집단의 좋은 사례만 모아놓은 것만 보고 자신을 깎아내리지 마세요 덴마크도 우리의 안좋은 사례가 얼마든지 존재합니다 우리에게 전달되지 않는것 뿐이지요 덴마크가 우리를 바라볼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힘내세요
@john-ox1dj
@john-ox1dj 2 жыл бұрын
@@QKSKnightshade 맞는말이긴한데 그냥 한국보다 선진국부모마인드가 평균적으로 좋은게맞음
@user-qv2dy2yi3b
@user-qv2dy2yi3b 2 жыл бұрын
어릴때 캐나다 살았는데, 나라가 애들 예절교육부터 다 시켜줄게 가정에서는 사랑만 듬뿍 줘 라는 기조였음. 예절이랑 매너 등을 각 가정이 아닌 국가에서 한가지 포맷으로 가르치니까 사람들끼리 잘 부딪히지 않았던게 아닐까 싶음.
@user-ud7bw1cl1g
@user-ud7bw1cl1g 2 жыл бұрын
진짜 저 1살때 캐나다에서 살았는데 엄마가 되게 자유롭고 좋았다네요
@user-st8444
@user-st8444 2 жыл бұрын
이래서선진국 이민이답이네요
@ictoryv8247
@ictoryv8247 2 жыл бұрын
@@user-st8444 후진국 이민자들이 많아지면 거기도 후진국이 될 듯. 실제로 벌써 조짐이 보이고
@Shoganaija
@Shoganaija 2 жыл бұрын
그냥 간단한방법은 교육제도랑 부모마인드를 바꾸면 되는건데 이미 개같은 마인드와 교육을 받은 사람들이 5000만명이고 오랫동안 이어진 사회적 분위기와 꼰머들 때문에 바뀔수가없음 바뀌더라도 엄청 오래걸릴듯
@James-nz7vy
@James-nz7vy 2 жыл бұрын
이미 기울어진 배...
@jsy5485
@jsy5485 2 жыл бұрын
자식을 소유물로 생각하는 부모들이 많으니까 그런거라고 생각함 자식을 키우는데 힘들였으니 그걸 반드시 보상받아야 된다고 생각함
@Lovemugi
@Lovemugi 2 жыл бұрын
딱 저희 엄마네요...
@thurica52
@thurica52 2 жыл бұрын
틀딱 새끼들이지 ㅋㅋ 자기가 낳아놓고 당연히 책임져야 되는거 아님?
@sinfootball
@sinfootball 2 жыл бұрын
그냥 자기 자식이 힘들지않고 잘살길 바라는 마인드 아님? 너무 꼬였다 ㅋㅋㅋ
@user-sv5qw2cs5y
@user-sv5qw2cs5y 2 жыл бұрын
@@sinfootball 실제론 저런 부모가 많다는게 함정이죠 너키우는데 이만큼 돈이 들었어 그러니 성공해서 갚아라는거나 1부터 10까지 전부 간섭한다거나등의 여러가지요
@sinfootball
@sinfootball 2 жыл бұрын
@@user-sv5qw2cs5y 간섭하는건 그냥 가족이라 그런거 아님? 보상이랑 독립 변수아닌가 그리고 부모가 자식한테 갚아라?? 이건 드라마 얘기아님?
@pain9498
@pain9498 2 жыл бұрын
저게 맞다.부부가 힘든 상황에서도 사랑할 수 있는 그런 결혼이 되야 하듯.힘든 상황에서도 아이를 다그치지 않고 찬찬히 설명해줄 수 있는 연습을 해야 한다.이게 안된다는 건 이러나 저러나 부모가 인내심과 평정심이 부족하다 볼 수 밖에~김경일 교수도 비슷한 이야기들을 한다.부모가 무언가를 즐기며 즐거워 하는 모습을 자주 보여 줘야한다
@penna2708
@penna2708 2 жыл бұрын
최민준의 아들연구소에서도 그런말이 있죠. 우리는 경험으로도 느끼고있고 서구에서도 이런 현상이 보이기도하고 증명할수있는것들이 너무많네요.
@enfjzip_
@enfjzip_ 2 жыл бұрын
전 대한민국의 훈육을 자책하고 싶진 않아요 근데 오은영 박사님의 이야길 많이 들어보면 우리의 부모 그리고 부모님의 부모님은 교육에서 ‘감정’이 많이 배제됐던거 같아요. 감정역시 정당한건데 감정마저 컨트롤 하려하고 예의에 초점을 맞춰 개인의 생각이 무시되기도 하죠. 한 사람을 사회로 나가 독립하게 만드는데 ‘감정’의 교류와 정당 존중은 큰 역할을 하는거 같아요
@n.mmugic6958
@n.mmugic6958 2 жыл бұрын
부디 우리나라 교육체계도 덴마크 처럼 행복과 인성을 중요시 하는 나라가 됐으면 좋겠어요ㅠ
@korean.reading.
@korean.reading. 2 жыл бұрын
초등 학부모인데 학원 안보내고 있지만 놀 친구들이 다 학원가있어 혼자 놀게된다는 사실
@user-mf1qz3hn3f
@user-mf1qz3hn3f 2 жыл бұрын
진짜맞아요.,
@s2r121
@s2r121 2 жыл бұрын
4시반~5시쯤 되면 학원 끝나고 우르르 나와 놀지 않나요? 우리 동네는 그 시간에 많이 나오더라구요.
@user-fu2pi3bp3c
@user-fu2pi3bp3c 2 жыл бұрын
엄마가 시간이 있으면 같이 놀아주고, 책읽어주고 , 만들기하고 시간없으면 할머니나 할아버지랑?
@seoyoungchoi5989
@seoyoungchoi5989 2 жыл бұрын
맞아요. 저 초딩때도 친구들이 다 학원에 가 다녀서 항상 혼자 남겨졌었어요 ㅋㅋ 그래서 제 소원이 '미안 나 이제 학원 가야돼' 라고 말해보는 거였죠..
@user-uy3vd6bb4t
@user-uy3vd6bb4t 2 жыл бұрын
맞아요 그리고 애초에 아이한테 권유하지않더라도 아이들이 스스로 주변친구를 보고서 학원을 가고싶다고 먼저이야기하더라구요
@user-wr5qy7eu2m
@user-wr5qy7eu2m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는 부모가 비교만 안해도 충분히 행복해질 수 있습니다.
@Mrsunkyo
@Mrsunkyo 2 жыл бұрын
미안한데 한국인은 절대 행복지수안올라가요ㅋㅋ 왜 출산률이 세계최저일까요? 주변을 돌아보세요ㅋㅋㅋ 애들을 얼마나 혹시시키는지
@Mrsunkyo
@Mrsunkyo 2 жыл бұрын
본래 미개한나라에서 교육이라는건 기대할수가없는거라,,,
@user-wr5qy7eu2m
@user-wr5qy7eu2m 2 жыл бұрын
@@Mrsunkyo 아시는 척 하는 중에 끼어들어 죄송하지만, 출산율이 최저인 것과 애들 혹사 시키는 건 전혀 상관 관계가 없는 거 같습니다. 또한 미개함과 행복 지수 역시 상관 관계가 없는 거 같습니다. 논리의 정연함을 가지고 다시 말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user-be7er3nc4l
@user-be7er3nc4l 2 жыл бұрын
비교 당하는게 싫으면, “비교 작작해” 보다는 그냥 학생이 해탈해야하는 그런 사회. 겉으로는 “아 ㅋㅋㅋ... 잘하네. 근데 난 그애가 아니잖아. 비교 그만해.;” 라고 말하지만, 속으로 ‘어쩌라고’ 라 말한다. 댓글 쓰는데 나도 올해 많이 들어서 갑자기 가슴이 먹먹해지네. 진짜 어쩌라는거지라는 생각밖에 안든다. 배울 점도 감동도 교훈도 뭐 하나 좋을게 없는 자존감만 왕창 깎아내리고 내 수준 폄하하게 되는 발언. 나의 부모라는 존재가 내 인생을 욕하고, 망치고 싶어하는건가? 하고 혼자 생각했다.
@Mrsunkyo
@Mrsunkyo 2 жыл бұрын
@@user-wr5qy7eu2m 그 혹시 사회생활안해보셧어요? 보면알자나요 중국인하고 시민의식이 비슷하다는걸
@user-xp1oe1ee3o
@user-xp1oe1ee3o 2 жыл бұрын
'나는 아이를 이렇게 길러야지.'라는 마음보다 '왜 내 부모님은 나를 이렇게 길러주지 않았을까?'하는 원망이 먼저 드는 내가 혹시 망가진 사람이 아닐까 고민하게 만드는 영상입니다.
@user-ps3bo8rm7p
@user-ps3bo8rm7p 2 жыл бұрын
재혹시망가진사람아닐까맛없재
@user-qp5gi4np7w
@user-qp5gi4np7w 2 жыл бұрын
망가지진 않았습니다. 단지 행복회로를 옆에 두고 불행하기 위한 방법을 찾는 것 처럼 보이네요.
@mjkim9492
@mjkim9492 2 жыл бұрын
그 마음에서 출발하시면 돼요. 내 부모는 이렇게 길러주지 않았어 -> 나는 더 좋은 방법으로 양육할거야 그 중간에 부모로부터 받은 상처를 치유하고 용서하는 시간들이 있지요. 오은영 선생님도 말씀하셨지만 ‘뼈를 깍는 노력’이 필요한 일이예요. 경험자로서 정말 쉽지 않은 일이었어요. 그렇지만 아이 뿐만 아니라 내 인생을 위해서도 분명히 뼈를 깍는 고통을 치를 가치가 있는 일입니다. 응원합니다.!
@hozae6368
@hozae6368 2 жыл бұрын
아직도 생각남 중학교3학년 인생처음으로 진지하게 음악이 하고싶어져 예술고등학교 진학을 희망함 어머니한테 거절당하고 그렇게살다가 숱하고 방황하고 미대에진학 25살인데 아직도 내가 정말뭘하고싶은지 고민이많이됌 왜 나를 7살도 되기전부터 피아노를 가르쳤는지 원망도하는데 그때에 한번더 용기내서 말했으면어땠을까 싶음 아직도 책상위에는 키보드가 있고 수많은 또래의 아티스트를 보며 나였기를 망상해봄 다들 행복하게 삽시다
@user-sy8hb9wm9b
@user-sy8hb9wm9b 2 жыл бұрын
그쪽에서 최고가 되면 되죠 저도 꿈이 피아니스트였는데 아버지가 반대하셔서 심리학과 와서 생각이 바뀌었어요 이왕 이렇게 된거 피이노 잘치는 심리학 박사가 되는걸류 지금은 졸압하고 작은 아동청소년 상담센터에서 일중이지만....... 참... 그래도 잘 한거같아요 기끔 피아니스트에 도잔랬았다면 과연 살아남을 수 있었을까 보험 하나 잘 탔죠 그덕에 ㅋㅋㅋㅋ 그보다 대단하시네요 미대라니..... 그림그리는 거도 좋아해서 중딩끼지 고민하다 선부터가 엉망이라고 미술쌤 한태 온갖 쌍욕디들어서 ㅜㅜ 미대생들 보면 ㄹㅇ 대단해 보여요 ㅋㅋㅋ
@slee8601
@slee8601 2 жыл бұрын
25살? 안늦었음. 정말 하고 싶으면 다시 도전해보셈. 애기임. 나는 대학교 2학년까지 다니다 전공이 너무 맘에 안들어서 때려치고 유학 나왔음. 나도 많이 늦었다 생각했는데, 군대 다녀와서 25살에 다시 시작하는 오빠들도 많더라. 나 지금은 오십 다된 아줌마임. 그때는 25살 오빠들 나이 많아보였지만, 지금 생각해보면 25살은 애기임. 그렇게 맘 못잡을 것 같으면 다시 도전해보셈. 한예종 요즘 뜨는 학교임. 유학갈 필요도 없음. 학사 학위 이미 있으면 편입 가능할지도. 내 동생도 중3때 거절당하고 피아노 못한 걸 마흔 넘어서까지 억울해하며 얘기함. 솔직히 한심함. 너는 니 꿈을 위해서 뭘 했냐 소리가 절로 나옴. 그냥 현실도피인 거 같음. 왜냐면 내가 학원비 대줄테니 학원이라도 다니라고 어차피 네가 월드클래스 피아니스트 됐겠냐고 동네 피아노 선생님이나 했을건데, 그건 지금 시작해도 할 수 있다. 안늦었으니 시작해라 했는데도 안하더라. 그 이후로는 피아노의 피 소리만 꺼내도 안들어줌. 지금 취업 현실에서 도피하려는 거 아닌지 잘 생각해보고, 정말 해야겠다 싶으면 다시 해봐요. 인생에 다시 안올 마지막 기회일 수도 있음. 엄마한테 마냥 맡겨야하는 나이도 아니고, 정보 많이 찾아봐요. 길이 있을거임. 정보 찾아보는 노력도 안한다면 그냥 현실도피인거임. 나는 유학가고 싶어서 어학연수 중에 인터넷도 없던 시절에 모든 자료 내가 찾아보고 예산안을 엄마에게 팩스로 보냈음. 졸업하는데 몇년 걸리고 한학기 학비는 얼마고 생활비 얼마 주르륵 적어보냄. 엄마가 보기에 그 당시 지방에서 서울로 학교보내는 거랑 그닥 차이가 안났다고 함. 그렇게 허락을 받음. 허락 안해주면 그냥 설겆이 아르바이트 해서 유학할 생각이었음. 수동적으로 살지 말고. 능동적으로 살아요. 그래야 꿈도 이루고 그런거임. 설사 못이룬다 해도 인생에 후회가 안남음.
@user-tm9lx3ij6d
@user-tm9lx3ij6d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란 어릴적부터 행복보단 절제를 기르려하고 참을성을 심어주니 ㅋㅋㅋㅋ 행복은 대학가서 찾으라는 그말 ... ㅠ
@user-pk5pg9mm2v
@user-pk5pg9mm2v 2 жыл бұрын
대학가면 공부 더해서 좋은직장가서 찾으라는 그말... 좋은직장 가도 결혼하고 찾으라는 그말...
@user-wy9yb3kp7y
@user-wy9yb3kp7y 2 жыл бұрын
시벌.. 그만큼 빡빡한 사회니깐요..
@Han_2222
@Han_2222 2 жыл бұрын
뭘 잘해도 행복이 거기에 있다는 머저리 같은 말이라...
@user-ny6ln7cw1f
@user-ny6ln7cw1f 2 жыл бұрын
사람이 자원인 국가이니 어쩔수가 없죠
@user-jl6en5np4g
@user-jl6en5np4g 2 жыл бұрын
@@user-ny6ln7cw1f 왜 우린 지하자원이나 천연자원이 극도로 부족한지 이해가 안됨 단군 할아버지 부동산 사기 당하신게 분명합니다
@allesinordnung227
@allesinordnung227 2 жыл бұрын
저는 덴마크는 아니지만 독일에서 아이를 키우고 있는데, 아이를 그냥 놀게 한다 라는 말이 정말 공감됩니다! 독일도 놀이터마다 아이들이 바글바글 하고, 모래놀이, 그네, 미끄럼틀, 시소, 철봉을 자유롭게 오가며 행복하게 뛰어놉니다... 동네에 놀이터도 한 군데가 아니라 여러 곳으로 참 많습니다... 저는 한국에도 놀이터가 더 많이 생기면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흙장난을 할 수 있는 모래 놀이터요! 옷이 더러워지면 어떻나요... 아이와 함께 흙놀이를 하면서 아이뿐만 아니라 어른이자 엄마인 저도 스트레스가 사라지더라구요... 그리고 폐쇄적인 아파트 단지 내 놀이터만 증축하는 게 아니라, 마을 구획별로 놀이터가 생겨서 모든 아이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lifeoftheparty6054
@lifeoftheparty6054 2 жыл бұрын
맞아요. 한국에 놀이터가 많아지고 뛰어놀았으면 좋겠어요. 거기서 배워가는거죠.
@user-jm5uj2ui7c
@user-jm5uj2ui7c 2 жыл бұрын
@@pbl2995 외국 놀이터랑 한국 놀이터랑 비교해 보세요..
@user-yz7gk2wc4e
@user-yz7gk2wc4e 2 жыл бұрын
한국도 놀 곳은 많아요. 다들 부모들이 도시에서만 살려고 하니 놀 곳이 없죠...... 도시는 땅이 비싼데...누가 내 땅을 놀이터로 쓰라고 내주나요...ㅜㅜ
@swamp777
@swamp777 2 жыл бұрын
제가 어릴때만 해도 밖에서 나와서 노는 친구들이 많았는데 요즘 초등학생들 보면 밖에서 노는 애들은 거의 없는듯 해요 ㅜㅜ
@allesinordnung227
@allesinordnung227 2 жыл бұрын
남겨주신 댓글들을 읽으면서... 우리 아이들을 위해서 놀이터 하나도 사회적 시스템 내에서 어떻게 구축할 것인지, 어른들이 많이 고민해볼 부분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개인 혼자서는 쉽게 못 바꾸겠죠... 그리고 참고로... 한국에 놀이터 있는 것 압니다... 그러나 독일 놀이터와 한국 놀이터의 차이가 있습니다. 말로만 설명한다는 게 어렵습니다만... 한 마디만 남길게요... 언젠가부터 한국 놀이터에서는 계절의 변화를 느낄 수 없어요... 이말은 아이들의 놀이 공간에 자연이 없어졌다는 의미입니다... 투박한 자연 대신에 세련된 플라스틱이 들어선거죠...위험하고 더러운건 치워버린거죠... 누구를 위해서일까요... 진짜 아이들을 위해서일까요...? (저희 어릴 때만 하더라도 놀이 공간에 자연이 있었죠... 그래서 동심을 키웠고, 재밌었던 것 같습니다) 독일은 다릅니다... 자연을 그대로 남겨두었어요... 그냥 5분만 걸어가면 놀 수 있는 놀이터 안과 밖에요! 이게 말뿐이지만 정말 진심으로 설명드리는 제일 다른 차이점입니다. ㅠㅠ
@user-dw6cu8db1v
@user-dw6cu8db1v 2 жыл бұрын
스스로 생각할수있게 도와주는거는 진짜 좋은 교육 방법인듯 나는 스스로 생각하는 방법을 중3이후에나 알게 되었음 그전까지는 사회가 하라는대로 부모님이 하라는대로만 했는데
@user-wc7yf8lg7c
@user-wc7yf8lg7c 2 жыл бұрын
그거는 조금 문제가 있는건데
@ManYongJu
@ManYongJu 2 жыл бұрын
@@user-wc7yf8lg7c 사람마다 다른 거죠...
@user-nd9hl5oo6g
@user-nd9hl5oo6g 2 жыл бұрын
@@user-wc7yf8lg7c 성인되고서도 사회가 원하는것 부모가 원하는것만하고 비판적인 사고라고는 해본적없는 인간도많다
@user-wc7yf8lg7c
@user-wc7yf8lg7c 2 жыл бұрын
@@user-nd9hl5oo6g 심각하네
@user-dw6cu8db1v
@user-dw6cu8db1v 2 жыл бұрын
@@user-wc7yf8lg7c 미안하다 근데 그전에는 공부하고 게임하면서 사는게 인생인줄 알았다 근데 그게 아니더라 지금이라도 알아서 그래도 나는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user-yl2fx3hb2r
@user-yl2fx3hb2r 2 жыл бұрын
학원 선생님 하는 친구가 진짜 요즘 부모님들 너무 극성이라고 ㅈ같음은 둘째치고 애들 미래가 걱정된다고 하던데ㅋㅋㅋㅋ 애들은 버릇없어지고 똑똑하긴한데 스스로 뭔가 할줄 모른다고 하고. 근데 이 영상처럼 잘 훈육하는 부모는 딱 봐도 다르고 그 사람의 아이도 확실히 다르다고 함.
@chl4574
@chl4574 2 жыл бұрын
저런 여유있는 육아법이 가능한 것은 노후 교육 의료 등의 복지가 잘 되어 있는 것이 전제가 된다
@user-nc4kf8kw6i
@user-nc4kf8kw6i 2 жыл бұрын
맞는 말인거 같다.. 그냥 놀게하는 것이 다 든든한 뒷배가 있어서 가능한 것..
@user-ju7ts9xh1u
@user-ju7ts9xh1u 2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미국식 외국식등..그나라 정서와 문화에 맞는 교육 맥락이 있는거 같습니다
@jwp-yh8wh
@jwp-yh8wh 2 жыл бұрын
북유럽 유전에 답이있음 ㅋㅋㅋ
@no.1.-_-a
@no.1.-_-a 2 жыл бұрын
훌륭한 복지는 국민의 세금으로부터 나오죠. 돈 많이 벌도록 노력합시다. 발전에 한계치가 다다른것 같긴 하지만. ㅋ
@user-by9eb3xd9d
@user-by9eb3xd9d 2 жыл бұрын
프랑스육아에 대한 다큐를 본적이 있는데 진짜 그냥 기본 환경부터가 다른것 같더라는...
@user-fc1ht9wm1f
@user-fc1ht9wm1f 2 жыл бұрын
"교육의 목적은 기계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인간을 만드는 데 있다." -루소
@user-gu2qb7vq7u
@user-gu2qb7vq7u 2 жыл бұрын
에밀,,,..
@user-zu6bb5nq4e
@user-zu6bb5nq4e 2 жыл бұрын
루소만큼 말과 행동이 다른 사람이 없지
@user-vo8xn7up1f
@user-vo8xn7up1f 2 жыл бұрын
@@user-el4xy3zj8g 원래 본인에겐 관대한게 사상임ㅋㅋㅋ
@user-ht7xb7hd6d
@user-ht7xb7hd6d 2 жыл бұрын
맞아! 지금에 학생들은 살아있는 로봇같아 감정이 있어도 것으로는 표현하지 못해..
@user-cq3bc2kv7k
@user-cq3bc2kv7k 2 жыл бұрын
자본주의 체제 안에서 교육은 기계를 만드는 것이다
@geukandgeuk.
@geukandgeuk. 2 жыл бұрын
가장 절대로 하지 말아야 할 칭찬 착한일을 하지 않는데 단지 외모만으로 칭찬하는 일
@bbong0.0
@bbong0.0 2 жыл бұрын
다음생에는 덴마크에서 태어나고 싶네요.. 본인이 진로를 결정하게 두지 않고 무조건 대학 가라고 공부부터 시킨 탓에 어릴때부터 제대로 놀지도 못하고 진로를 찾지도 못하고 딱히 꿈도 없네요...덕분에 공부는 진짜진짜 극혐하고 억지로 시키면서 스트레스만 더욱 쌓여가면서 자연스레 행복과는 거리가 멀어지게 됐네요.....덴마크식 교육방식이 정말 좋은 것 같고 공감이 되네요! 우리나라도 인식과 사고가 바뀌길 바라며 공부가 다가 아닌 행복한게 가장 중요하단걸 인지하고 그에 맞는 학습법을 실천하길 바랍니다...전 이미 늦었지만 후에 태어날 아이들과 지금 아직 어린 친구들이 행복하길 바랍니다^^
@user-yh5fl3rx7g
@user-yh5fl3rx7g 2 жыл бұрын
공감되네요ㅜㅜ 님도 아직 늦지 않았습니다! 부디 잘 되시고 행복하시길
@user-wg1qf3jf4h
@user-wg1qf3jf4h 2 жыл бұрын
행복하게 사세요~
@user-zt1og1fy7p
@user-zt1og1fy7p 2 жыл бұрын
부모님도 잘 되시길 바래서 그런건데 아무래도 방식이 잘못된 것 같네요... 지금이라도 원하는 것과 진로를 찾아보세요
@yij5400
@yij5400 2 жыл бұрын
현실 욕 핑계 그만하고 그저 우리도 저렇게 될 용기를 냅시다 저리 좋은걸 사회가 밀어주지 않는다고 해서 나까지 안할 필요는 없죠 오늘을 행복하게 살아갈 용기를 내보는겁니다
@beo1127
@beo1127 2 жыл бұрын
공감합니다. 현실탓, 주위탓 하지말고 우선 나부터 실천, 나하나가 모여 단체가 되고 단체가 모여 사회가 되죠.
@yij5400
@yij5400 2 жыл бұрын
@@beo1127 맞아요 개인과 개인이 모여야 공동체가 이루어지죠 개인이 없으면 공동체도 없죠
@user-om4gu1eu5p
@user-om4gu1eu5p 2 жыл бұрын
아니 그걸 어른들이 해야지 어린애들이 아 나는 커서 저렇게 해야겠다 하면 그게 잘 되는거냐고... 현실 욕 하는 애들보면 대부분 미성년자 같던데 미성년자가 용기를 내는것보다 부모들이 해야할듯
@selfloving
@selfloving 2 жыл бұрын
@@user-om4gu1eu5p 전 안좋은 환경에서 큰 어른입니다... 제가 바껴야죠
@user-sj6xr3jd8x
@user-sj6xr3jd8x 2 жыл бұрын
20세기 인간들이 어떤 생각을 하든 뭐라고 나불대든 21세기 사람들인 현 세대사람들부터 실천해요
@Ginevra03
@Ginevra03 2 жыл бұрын
생각해보면 한국은 아이가 원하는대로 살아가는 데 참 힘든 나라임...
@user-ls1ko5lo3e
@user-ls1ko5lo3e 2 жыл бұрын
ㅇㅈㅇㅈ
@user-fx3el2nf5u
@user-fx3el2nf5u 2 жыл бұрын
@@user-ls1ko5lo3e 근데 원하는대로 살아가기 힘든건 어느나라나 마찬가지인거고, 한국은 그나마 기화라도 있다면 유럽은 그 기회도 없으니 차라리 우리가 나은거 아닌가?
@kimlink456
@kimlink456 2 жыл бұрын
@제 20대 대통령 이재명 -찢-
@heyrua8972
@heyrua8972 2 жыл бұрын
저는 한국인들이 거의.. 정신적으로 아프다고 생각해요 멘탈적으로 건강하기가 어려운 나라여서
@user-nt9em6wc8d
@user-nt9em6wc8d 2 жыл бұрын
@@heyrua8972 맞음... 밥굶거나 안전의위협은 없는 육체적으론 문제없고 치안도좋고 잘사는나라긴한데 정신적인부분에 있어 취약한나라
@jijjij5
@jijjij5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가 저것이 안되는 이유중 가장큰 이유가 점수가 안나오면, 좋은 대학을 못가면 사회에서 인정을 안해주기 때문이지..
@user-zm3rb2td1h
@user-zm3rb2td1h 2 жыл бұрын
이미 자식인 우리가 이걸 보고 있는 시점에서 부모 탓을 할 때는 늦었다고 봄. 이제 우리가 이 영상을 참고해야 할 때 라고봄
@licht6887
@licht6887 2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은 아이를 자신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수단이 되었다.
@user-ut2tp2es4k
@user-ut2tp2es4k 2 жыл бұрын
@J J 왜케 비뚤어졌을까..
@user-nw9ng2yt4x
@user-nw9ng2yt4x 2 жыл бұрын
@@user-ut2tp2es4k ?
@user-ut2tp2es4k
@user-ut2tp2es4k 2 жыл бұрын
@@user-nw9ng2yt4x ?
@user-nw9ng2yt4x
@user-nw9ng2yt4x 2 жыл бұрын
@@user-ut2tp2es4k 다같이노력하자는데 어디가꼬였나요
@user-ut2tp2es4k
@user-ut2tp2es4k 2 жыл бұрын
@@user-nw9ng2yt4x 막줄은 왜 붙였을까요
@0-0coke
@0-0coke 2 жыл бұрын
북유럽에서는 “너는 특별하지 않다.”를 가르친다고 언젠가 들은 적이 있는데 정말일까. 타인과 내가 크게 다르지 않으니, 내가 싫은 걸 남에게 강요할 수도 없거니와 서로를 존중하고 배려해서 함께 잘 어울려 살아가야 한다는 것. 특별함을 늘 강조하고 남보다 내가 먼저, 나에게 더 집중하라는 것에 익숙해진 요즘이.. 가끔은 좀 피로하고 지나치게 느껴질 때가 있다.
@Flower-empty_
@Flower-empty_ 2 жыл бұрын
공감이에요 나를 특별하다 여기는 순간 자신에게 과한 기대를 갖게 되니까 불행해지고 또는 과한 우월감을 갖게 될 수도 있고요
@Tower_RooK
@Tower_RooK 2 жыл бұрын
스칸다나비아라는 나라가 그렇게 가르치죠
@sihoonoh9021
@sihoonoh9021 2 жыл бұрын
@@Tower_RooK?
@linjay4768
@linjay4768 2 жыл бұрын
@@Tower_RooK 스칸디나비아=북유럽 같은말 아닌가요?
@jsh0325
@jsh0325 2 жыл бұрын
온갖 매체에서 당신은 특별하고 위대한 사람이 될 수 있다 말하는데, 막상 커서 자신은 특별하지 않다 깨닫는 순간 자괴감과 울울감이 찾아온다 합니다. 정말 무책임한 말이라고 생각해요
@user-id7db1xo7f
@user-id7db1xo7f 2 жыл бұрын
부모가 아닌 자식이 이걸 본게 뭐 어떻습니까, 이걸 본 우리가 좋은 부모가 되면 되는거지
@wanawi3602
@wanawi3602 2 жыл бұрын
2:10 솔직한 감정표현 3:10 칭찬도 과하게 하지 않는다
@messi_hal10ffame
@messi_hal10ffame 2 жыл бұрын
저도 현재는 고등학생인데 나중에 자식을 낳기전에 저 책을 꼭 읽어보고 싶습니다.
@user-ys4uk2wh3u
@user-ys4uk2wh3u 2 жыл бұрын
넘 멋지네요!! 나중에 자식을 위하는 것도 좋지만 현재의 내안의 아이를 위해서 지금 읽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나 자신을 잘 다루기 위해서도요
@user-uj1hd6fp7k
@user-uj1hd6fp7k 2 жыл бұрын
👍
@user-qd2iv6tk1s
@user-qd2iv6tk1s 2 жыл бұрын
멋진 생각입니다
@user-sp8yt6fj8e
@user-sp8yt6fj8e 2 жыл бұрын
이런생각을 갖고있다는 학생이 있다는것만으로도 우리나라의 미래가 밝아지는것같아 기분좋네요~ 응원합니다~
@user-gk4gp1gj3t
@user-gk4gp1gj3t 2 жыл бұрын
ㅗㅜㅑ
@user-tm5el5bs3x
@user-tm5el5bs3x 2 жыл бұрын
스스로 성장하게끔 하는 부모님의 자녀는 성장하는데 얼마나 많은 도움이 될것인가... 마치 불사조님이 저에게 혼자 주식을 할수 있게 마인드를 다 잡아 주는것 처럼... 오너, 부모, 선생님의 교육이 중요하다고 느끼네요
@bookvore
@bookvore Жыл бұрын
구독과 좋아요, 한 줄 소감을 남겨주세요! 참고 도서는 『우리 아이, 어떻게 사랑해야 할까』 bit.ly/3BszfKB 입니다 😀
@Unknown-db8ol
@Unknown-db8ol 2 жыл бұрын
가장 무서운것은 감정을 숨기는것이다. 자기자신을 가장빠르게 죽이는법을 가르쳐주는것이다.
@isfp668
@isfp668 2 жыл бұрын
미쳤다
@user-mh7wd7lg5c
@user-mh7wd7lg5c 2 жыл бұрын
경우에 따라 다르지 메메드2세는 개막장으로 날뛰다가 감정 속이는 법 터득해서 인생 성공함
@user-ep8wf2go9t
@user-ep8wf2go9t 2 жыл бұрын
@Karin 뭐래는겨..
@KORSystem
@KORSystem 2 жыл бұрын
@@user-ul2uj4ue2i ㄴㄴ '폐 끼치면 안 된다'는 강박적인 관념 때문에 감정을 솔직히 드러내는 걸 꺼려하는 정서가 보편적인 것은 맞음 요즘 세대 들어서서는 좀 바뀌었다고는 하긴 하더라
@user-cm1ox3no5d
@user-cm1ox3no5d 2 жыл бұрын
@@KORSystem 이해가되네 민폐를 끼친다는 주관적인 개념이 한사람이 아니라 나라 전체가 그런 정서를 갖고 행동하면 얼마나 답답할까 민폐는 받아들이는 사람 기분에 따라 달라지는 애매한건데
@3u._.0o
@3u._.0o 2 жыл бұрын
(한국인 특징) 아기: 응애 유치원: 엄마 보고싶어 초등학생: 집가고 싶어 중학생: 자퇴할까 고등학생: 자퇴할까 대학생: 자퇴할까 군인: 조질까 직장인: 퇴사할까
@Declare2
@Declare2 2 жыл бұрын
중학생이 뭔 자퇴여ㅋㅋ
@ajwbejfownaow
@ajwbejfownaow 2 жыл бұрын
지금중학생인데 몇몇얘들은 탈출도하고 째기도하더군요 물론 극소수지만요
@Declare2
@Declare2 2 жыл бұрын
@@ajwbejfownaow 저도 중학생인데 저희학교에는 그런애들이 없길래.....
@zoaa62
@zoaa62 2 жыл бұрын
@@Declare2 그런애들 없는게 정상인데 은근 그런애들 있는학교도 있더라고요
@user-gv6wl5xn6s
@user-gv6wl5xn6s 2 жыл бұрын
@@zoaa62 자퇴하는 게 비정상인가요.? 진짜로 자퇴하는 애들은 못 봤는데 자퇴하고 싶다라는 말부터 한강 온도는 어떨까까지 각양각색 호소들을 들어와서 그런지 자퇴하는 애들도 안쓰러워요.
@user-yw4ln7xo1t
@user-yw4ln7xo1t 2 жыл бұрын
포지션 자체가 아이의 생각을 지속적으로 읽고자함.
@user-jf7ej1pm5x
@user-jf7ej1pm5x 2 жыл бұрын
앞으로 더 잘할 것이라는 느낌을 주는 미래 지향적인 교육...너무 좋다!!
@llllIIIIlllIIIlll
@llllIIIIlllIIIlll 2 жыл бұрын
먹고 살기 힘들 때는 기술이라도 배워서 먹고 사는 방법을 교육하고, 그 시기를 지나 나라가 성장하던 시기엔 경쟁에서 승리, 성공하는 방법에 대해서 교육하고, 또 그런 경쟁의 시기를 보낸 나라는 성공과 경쟁에 집착보다는, 삶의 가치에 집중하며, 인성과 협력을 가르치며 보다 성숙한 인간이 되도록 교육하게 되는 것 같음.
@user-fx3el2nf5u
@user-fx3el2nf5u 2 жыл бұрын
아 그래서 우주에 미사일 쏴봤냐고 ㅋㅋ
@Yuuwon_
@Yuuwon_ 2 жыл бұрын
@@user-fx3el2nf5u 우주에 미사일요? 외계인이라도 공격하게요?
@user-ht7xb7hd6d
@user-ht7xb7hd6d 2 жыл бұрын
한마디로 이상적인 이간으로 키우려고 하고있네요.
@be734
@be734 2 жыл бұрын
뭐 나라 만들고 여태까지 유지했으니 승리한거겠지
@llllIIIIlllIIIlll
@llllIIIIlllIIIlll 2 жыл бұрын
@@user-ht7xb7hd6d 맞아요.. 사회는 이기적인데, 이기적이지 말고, 주변을 둘러보라고 가르치고, 경쟁 속에서 경쟁하지 말고, 화합하라고 하니까.. 지금 사회의 수준에선 이상적일 수 밖에 없을 듯해요. 하지만 우리 사회가 계속 변하여 꾸준히 발전하며, 변해가는 것을 생각하면, 이런 교육들이 언젠가 보편화되고, 어느 덧 대부분이 그렇게 생각하는 날이 오겠죠?? 가장 어려운 교육이라고 봅니다. 그 사회의 수준을 가장 잘 보여주는 부분이라고 생각해요.
@raul8401
@raul8401 2 жыл бұрын
애기들은 놀면서 지능이 발달하는데 우리나라는 너무 경쟁땜에 애기들때부터 선행 학습시키고 그러면서 애를 더 바보 만들어가는거 아닐까싶음
@penna2708
@penna2708 2 жыл бұрын
좋은 가설인걸요?
@Summer_ghost
@Summer_ghost 2 жыл бұрын
이말 하고싶었다 우리나라에서 어케 애들이 놀아ㅋㅋㅋㅋ 놀면 나중에 굶어죽는데
@penna2708
@penna2708 2 жыл бұрын
@@Summer_ghost 근데 사람마다 자신의 아이디어가 있잖아. 일자리는 기업인이 창출하고 자신만의 아이디어를 직접 실현하기위해 도전한사람이 그만큼의 가치만큼 보수를 받는거잖아. 근데 한국은 자신이 뭘좋아하는지 자신이 무슨말을 지껄이는지조차 인지하지못하고 평생 자신만의 생각을 펼치기보단 타인의 아이디어를 위해 노동만하는 노예라는점이지. 결국 천재든 연구든 자신머릿속의 혼돈을 정리해가며 실현시키는것이 아닐까? 기억하라 행복은 여정이지 목적지가 아님을. 세상에서 가장 불쌍한사람은 꿈을 가져본적조차 없는사람이다. 시험받지않는자는 살 가치가없다 아리스토텔레스.
@user-qr2vw7ow4j
@user-qr2vw7ow4j 2 жыл бұрын
나는 어른들이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다 거리는 게 젤 웃김... 당장 주변인들만 봐도 행복은 성적순이 맞던데 뭘
@penna2708
@penna2708 2 жыл бұрын
뭐야 이렇게 좋아요가 많다니 . 여러분이 좋네요 =_=~
@KangHaerin_Weird
@KangHaerin_Weird 2 жыл бұрын
정작 이런건 부모가 안보고 꼭 자녀가 봄 그래서 부모에게 제시를 해도 들은 척 마는척 항상 똑같은 레퍼토리
@rapwish
@rapwish 2 жыл бұрын
당신이 이제 아이를 낳으면 되겠군요
@user-om6uh3bh5q
@user-om6uh3bh5q 2 жыл бұрын
덴마크는 자녀 보육과 양육에 대한 제도 자체가 압도적이기 때문이기도 하지. 부모와 함께 있는 시간이 많으니까. 여유도 있고 여가도 있고.
@ph-cd9rp
@ph-cd9rp 2 жыл бұрын
다른거 다 필요없고 부모끼리 사이가 얼마나 좋으냐가 애 인생이 결정된다고 봄. 허구한날 싸우는집 vs 화목한집
@user-rk5kc4kt6f
@user-rk5kc4kt6f 2 жыл бұрын
쌉동의합니다.
@user-lu2iy9ze3x
@user-lu2iy9ze3x 2 жыл бұрын
엄빠 싸우는거 인생에서 딱 한번 봤는데 진짜 하늘이 무너지는 느낌이었음…
@---io9xy
@---io9xy 2 жыл бұрын
@@user-lu2iy9ze3x 와 인생에서 한번밖에 못 봤다고? 무슨 하늘의 축복이라도 받은건가 ㅋㅋㅋㅋ
@cheongryonggyeong
@cheongryonggyeong 2 жыл бұрын
@@user-lu2iy9ze3x 행복한집이노 난 한달에 한번은 기본으로 싸우던데
@user-uv1vp9gh6l
@user-uv1vp9gh6l 2 жыл бұрын
@@cheongryonggyeong 난 1주일에 1번은 꼭 부부싸움 봄
@user-gb1zb4uo2c
@user-gb1zb4uo2c 2 жыл бұрын
부모와 선생들이 꼭 봐야될 채널
@user-fx3el2nf5u
@user-fx3el2nf5u 2 жыл бұрын
솔직히 선생들은 그만큼 관심도 없고, 영향도 없지.
@RemoveWholeChinese
@RemoveWholeChinese 2 жыл бұрын
문제는 싸가지 없는 부모나 선생은 이런 영상을 추호도 안본다는 것.
@Fearless_Warriors
@Fearless_Warriors 2 жыл бұрын
@@RemoveWholeChinese 알고리즘이 띄워서 보여줘도 놀게 해준다는거 보고 바로 개소리로 판단하고 끄지ㅋㅋ
@OK_Coach
@OK_Coach 2 жыл бұрын
저는 관심 있습니다.
@dochi325
@dochi325 2 жыл бұрын
부모님도 중요한데 선생님들의 역할도 중요할거같네요... 집에서 아무리 그렇게 하더라도, 결국은 학교에서 보고 배우는게 더 크고, 각 아이들의 부모의 교육방식이 다 다를테니... 하나 둘 가정과 학교가 이렇게 변하다보면 오래걸리겠지만 언젠가는 우리나라도 행복지수가 높은 대한민국이 되리라 믿습니다!
@YES-cl4rw
@YES-cl4rw 2 жыл бұрын
아이를 직접 키워보니 이런 괜찮은 방법들이 행동으로 실천되기가 참 쉽지 않구나 라는 생각이 듭니다. 또 우리 부모님은 얼마나 많은 고민으로 몇십년을 이 못난 아들 힘들게 키우셨을까 하는 생각도요..
@user-xv8do6bd2c
@user-xv8do6bd2c 2 жыл бұрын
와.. 일단 놀게 하는 것 부터 아이들은 건강하고 감정을 숨기지 않으면 정신적으로도 건강해 지고 칭찬 방식도 너무 좋다... 체벌이 없는 것 역시 당연하지만 우리나라에서 하기 힘든 것이니... 덴마크가 행복한 나라일 수 밖에 없네
@user-fn3fh3fe2t
@user-fn3fh3fe2t 2 жыл бұрын
북유럽 교육은 넌 특별하지 않아 이게 핵심인데 이건 사회 나가서도 마찬가지임 그나라 문화와 교육은 차이가 있음 덴마크가 정답이라고는 생각 안함
@ryumomo322
@ryumomo322 2 жыл бұрын
"특별하지 않아"가 아니라, 칭찬보다 앞으로 발전가능성을 심어주므로서 아이의 한계를 확장시켜주는것임.
@user-dl3cs5pn9d
@user-dl3cs5pn9d 2 жыл бұрын
틀린말은 아니라고 생각하는데..? 특정 인물이 사회에서 뛰어나기는 쉽지 않잖아요. 거대한 사회에서의 작은 나를 상처받지 않고 잘 가꾸어 나가는 것을 알려주는게 진정한 교육이라 생각함.
@popo_2258
@popo_2258 2 жыл бұрын
특별하지 않아 라고 심어주면 자존감 떨어지지않을까요?
@user-fn3fh3fe2t
@user-fn3fh3fe2t 2 жыл бұрын
@@popo_2258 맞아요 얀테의 법칙 은 북유럽의 관습법 같은 문화죠
@iparken
@iparken 2 жыл бұрын
@@popo_2258 넌 특별하지 않다기보다는, 넌 다른사람과 똑같다. 모든사람은 똑같다라고 보는게 더 나을꺼같아요. 그래서 모든사람은 존중받아야하고 개개인은 특별한거죠. "너만 특별하지 않아"로 받아들이시면 이해하기 더 좋을꺼 같네요.
@Playlist-ok4ef
@Playlist-ok4ef 2 жыл бұрын
나는 자신이 원하는 대로 살아가야한다고 생각함 자식이 힘들다고 한들 부모가 대신 살아주는 것 도 아닌데 부모는 자꾸 잘해야한다고 함 그렇지만 부모의 과거 성적은 자식보다 우월한 사람도 있겠지만 없는 사람도 많음 자기도 공부 싫어하면서 자신이 못한 공부 그걸 자식한테 떠넘기는 느낌 그리고 자식도 원하지 않는 공부를 왜 강요받고 해야하지? 한 번 사는 인생을 후회로 남기고 갈 수는 없잖아
@user-ln6mk7ky1o
@user-ln6mk7ky1o 2 жыл бұрын
자식은 부모의 클론이 아닌데 바라는게 참 많죠
@IBS-Marines
@IBS-Marines 2 жыл бұрын
40대인 저도 어렸을적 자연에서 뛰어 놀았던 기억들이 너무 행복하게 자리잡고 있어요. 아이들과 살 부비며, 활동성을 높여주는 play 놀이가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그러려고 하고 있어요, 저 스스로도 아이와 노는게 재미있기도 하지만 .. 좋아요 누르고 갑니다 ^^
@user-vd6ed9dp2i
@user-vd6ed9dp2i 2 жыл бұрын
저 교육법이 진짜인게 초딩부터 중2때까진 내 공부가 사람이 하는 공부인가 싶은데 자유로워지니까 점점 내가 논다는 것에 강한 현타를 느끼고 본격적으로 공부를 시작하게됨
@ps0wjod9
@ps0wjod9 2 жыл бұрын
국어 공부 열심히 하시길.
@siyoonkai
@siyoonkai 2 жыл бұрын
공부 시작한거 맞죠?
@user-he2zw3fy5h
@user-he2zw3fy5h 2 жыл бұрын
나쁜 인간들아 그냥 응원 해줘 ㅋㅋㅋㅋ 화이팅 하십셔
@user-gk8mi1wy2j
@user-gk8mi1wy2j 2 жыл бұрын
행복한 아이로 키우는 덴마크식 육아법 소개를 다룬 책 '우리아이 어떻게 사랑해야 할까' 정말 좋네요. 마음껏 놀게 하고 감정에 솔직한 부모, 내적인 힘을 길러주는 칭찬을 하고 절대 체벌하지 않는다. 좋은 책 소개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yk6eu2pq5h
@user-yk6eu2pq5h 2 жыл бұрын
한국은 규칙을 부모가 정하고 아이에게 협박으로 약속을 받아냅니다. 정말 차이가 나는군요
@hhh0396
@hhh0396 2 жыл бұрын
좋은 교육법으로 보입니다. 실제 적용할 수 있으면 참 좋겠습니다!
@user-xn8qp5zg5u
@user-xn8qp5zg5u 2 жыл бұрын
'아이들은 놀이를 통해 배우고, 성장한다' 제가 보육학을 배우면서 교수님이 항상 중요하다고 말씀하셨던 기억이 나네요. 유아교육, 보육계는 놀이를 중요시 여겨서 이것 저것 계속 놀이라는 주제에 맞춰 변해가고 있는데 아직 유치원집, 어린이집 외에 가정 내에서는 그런 환경이 아닌 것 같아요.
@user-dq9st2zm6n
@user-dq9st2zm6n 2 жыл бұрын
요즘 엄마들 며 유치, 초저 아이 조차도 놀이터에서 노는 것 자체를 많이 제한해요. 이거 대형 맘카페에 자주 나오는 말
@user-xn8qp5zg5u
@user-xn8qp5zg5u 2 жыл бұрын
@@user-dq9st2zm6n 그렇군요..제가 불과 2년 전에 어린이집 실습했는데 그 때는 그런 말을 들어보지 못했는데..많이 변했군요. 왜 엄마들이 그렇게 말하게 된 건지 한 번 찾아봐야겠네요.
@supermansunny787
@supermansunny787 2 жыл бұрын
ㅇㅈ 놀아야 창의력도 생기고 타인과의 관계하는 법도 알게됨
@user-ye1tq4in6o
@user-ye1tq4in6o 2 жыл бұрын
걍 한국은 교육시스템부터 뜯어고쳐야함, 인생에 쓸때없는 학업이 너무 많음
@happyday87791
@happyday87791 2 жыл бұрын
이거는 교육이 아니라 사육임
@Love_pepsii
@Love_pepsii 2 жыл бұрын
ㅇㅈ
@user-gv1hs2dn4l
@user-gv1hs2dn4l 2 жыл бұрын
@@G_OG_O 맞은 말이죠.....근데 막말로 서양은 무식하고 행복하다고 하지만 한국은 막말로 공부에 치여서 살아가다가 자살하는 엔딩
@user-cr1wg1fd5t
@user-cr1wg1fd5t 2 жыл бұрын
기름하나 안나오는데 인력이 핵심임
@user_Yaong
@user_Yaong 2 жыл бұрын
@@G_OG_O 서양의 학업성취도가 처참하다는 소리는 님 뇌피셜이고 최대 2~3년, 짧게는 7개월정도 차이난다고 나와있음 몇개 국가의 학업성취도가 낮은것을 싸그리 묶어서 일반화시키지마셈 그런 단편적인 것만 보고 뇌피셜쓰는 당신이야말로 서양 학생들보다 기초교육도 못배운것처럼 보임. Oecd 국가들 기준으로 보더라도 일본과 한국의 학업성취도 (읽기, 수학, 과학)의 점수가 높은건 팩트인데 그렇다고 영미권 국가들의 성적이 처참한것도 아님. 행복도와 학업성취도는 비례하는거 어릴때부터 행복하게 자란애들이야 말로 본인이 스스로 공부하고 스스로 본인의 꿈을 찾는 경우가 많다. 전세계적으로 유명한 대학들이 미국과 유럽에 대거분포한것도 이 이유가 큰거지 서양애들이 무식하기만 하고 행복하다고? 그쪽은 도대체 학교가 어디길래? 월수입 억 이상은 찍음?
@gt995
@gt995 2 жыл бұрын
부모와 자식간 행복한 관계로 남는 미래에 대한 행복설계가 덴마크 교육에는 깔려있네요
@sjsjlim3170
@sjsjlim3170 2 жыл бұрын
교육이 중요해보이는게… 우리나라와 서양선진국 같은 나이대 아이들을 봐도 대화하는 집중도와 수준이 다르다는걸 늘 느낌… 나도 덜 완성된 인간인데 어떻게 교육시킬지.. 정말 공부 열심히해야겠다……
@user-qm1li7zb3q
@user-qm1li7zb3q 2 жыл бұрын
그치.. 공부 잘하는 일부만 행복해지는 것 보다 모두가 기본적으로 행복한 게 낫지..
@user-cs3zk9fc7u
@user-cs3zk9fc7u 2 жыл бұрын
살짝 사회주의발상인데 원래사회주의가 이론적으로만보면 존나행복한사회맞음 실제로격으면 존나헬이지만ㅋㅋ
@Space-xXx
@Space-xXx 2 жыл бұрын
한국에서 가장 완벽한 아이는 빅스비처럼 행동하는 아인데
@user-xp3kb7ng1e
@user-xp3kb7ng1e 2 жыл бұрын
“빅스비, 오늘 날씨는?” “죄송해요, 잘 못 들었어요 ㅋ”
@TheYktt0979
@TheYktt0979 2 жыл бұрын
@@user-xp3kb7ng1e 쌉인정
@stj0308
@stj0308 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
@user-nh1su7qb2t
@user-nh1su7qb2t 2 жыл бұрын
개웃기네 ㅋㅋㅋㅋ
@user-gu2qb7vq7u
@user-gu2qb7vq7u 2 жыл бұрын
@@user-xp3kb7ng1e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dv9dj1dc6v
@user-dv9dj1dc6v 2 жыл бұрын
너무나 유익한 영상이예요! 감사합니다♡
@AH-rp8cg
@AH-rp8cg 2 жыл бұрын
이제 곧 애 엄마가 되는 제가 이걸 볼 수 있어서 너무 뿌듯하고 기쁘네요 ~^^* 잘 보고 갑니다.
@jamesjung4456
@jamesjung4456 2 жыл бұрын
순산 기원합니다👍
@user-cd5uu3kk9o
@user-cd5uu3kk9o 2 жыл бұрын
앞으로 항상 행복하길 바랍니다.
@jinbunny5613
@jinbunny5613 2 жыл бұрын
@Damdamn Fungood 님 불쌍..
@user-je5xm1wq1t
@user-je5xm1wq1t 2 жыл бұрын
@Damdamn Fungood 한심하네
@J0Sr2
@J0Sr2 2 жыл бұрын
@Damdamn Fungood 왜 그따구로 살아
@llysho1201
@llysho1201 2 жыл бұрын
근데 이건 어쩔수 없는게 우리나라가 발전한지 상대적으로 얼마 안되서 국가적으로 국위선양 프레임 주입시킨것도 있고 우선 나라가 별거 가진게 없어서 생존을 위해서 그런것도 있음 그래서 앞으도도 크게 변하진 않을꺼임 지수적인 측면에서
@TaBuLiAlmighty
@TaBuLiAlmighty 2 жыл бұрын
한번 뿌리박힌 정서나 사회통념은 대단히 바꾸기 어렵지요. 옳고 그름의 사이에서 다수결의 분위기에 휩쓸리는 문제이기도 하고.. 힘든 사다리, 자기가 오르고 나면 사다리 걷어차고 자기 밥그릇 굳히고 싶은게 안타깝지만 사람들 심리이기 때문이기도 한것이라 생각도 하구요
@Silver_Bell.618
@Silver_Bell.618 2 жыл бұрын
그런거랑 상관 없이 대부분 유럽국가는 행복지수가 높은편
@user-be4vj4rn8j
@user-be4vj4rn8j 2 жыл бұрын
@@Silver_Bell.618 자원 많고 인구가 적으니 복지에 엄청난 투자를 하고 그러면 평균적인 행복지수가 올라갈 수 밖에..
@user-ci1yd4ps6c
@user-ci1yd4ps6c 2 жыл бұрын
돼, 거
@Silver_Bell.618
@Silver_Bell.618 2 жыл бұрын
@@user-be4vj4rn8j 근대 지금 유럽이 예전 만큼 행복해 보이지는 않더라...전기세랑 물가가 올라갔다고...
@user-jx7yl7qn2o
@user-jx7yl7qn2o 2 жыл бұрын
우리아이 어떻게 교육시킬까가 아닌 어떻게 사랑할까..💕💕
@amond717
@amond717 2 жыл бұрын
칭찬보다 내적인 힘을 길러주는게 진짜 큰 효과인듯
@theresariol3463
@theresariol3463 2 жыл бұрын
이런 영상 많이 도움이 됩니다. 어릴때 부터 사회적 출세, 성공만을 보고 자라온 배경에 대물림 하고 있는 한국 부모들 참행복 이 무엇인지 깊이 생각해 봅니다
@somiennik9669
@somiennik9669 2 жыл бұрын
진짜 부모님이 딱 저렇게 키워주셔서 스트레스 한번 받은 적 없었고 공부도 내가 배우고 싶어서 시작했다. 당연히 다들 그렇고 다들 행복한 줄 알았는데 한국식 교육에 치여서 정신, 육체적으로 힘들어 하는 사람들이 정말 많더라 바꾸자
@Mandeuk2
@Mandeuk2 2 жыл бұрын
그래도 나는 그렇게 안자랐어도 내 아이만이라도 행복해지길 바라서 이 영상으로 공부하는 학부모님이 계시니 우리나라도 행복해 질 수 있을거예요
@user-fx3el2nf5u
@user-fx3el2nf5u 2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을 보고 공부하면 2차가해 되는데. 결혼해서 아이를 가지는 부모들은 국가에서 공통적으로 옳바른 교육법을 가르치긴 해야됨. 과거 3,40년전 부모들은 아이를 옳바르게 기르기 싫어서 의미없는 체벌과 학대가 이뤄졌겠음? 그 당시에는 그게 맞다고 생각되니 그렇게 했던거지. 차라리 서점에서 교육학, 아동심리학 책 한권씩만 사서 공부하는게 더 효율적일거라고 봄.
@Gomami0012
@Gomami0012 2 жыл бұрын
@@user-so2ph6tb2u ㅋㅋㅋㅋㅋ ㄹㅇ이네 반박 계속하네 저분 아이는 힘들듯...
@user-ho6ox8km2r
@user-ho6ox8km2r 2 жыл бұрын
삼색 최고
@kp-zm8kg
@kp-zm8kg 2 жыл бұрын
@@user-fx3el2nf5u 애비가 휴지에 쌀껄이라고 통곡했을꺼 같다
@user-wy5kp7wf3i
@user-wy5kp7wf3i 2 жыл бұрын
@@user-fx3el2nf5u 그래서 그게 계속이어져와서 우리나라가 이렇게된거아님 무한경쟁사회 어렸을땐 맞지않을려고 커서는 지지않을려고
@user-jy6ig3ru5b
@user-jy6ig3ru5b 2 жыл бұрын
덴마크의 높은 행복지수는 복지국가에서 찾는게 더 맞다고 봅니다. 단순히 부모의 교육때문에 행복지수가 높다라고 생각하는 건 좀 아니라고 봅니다. "어렸을 때 놀게한다, 체벌하지 않는다" 같은 경우에는 덴마크 뿐만 아니라 서양 대부분의 나라에서도 그렇게 하고 있습니다.
@Han_2222
@Han_2222 2 жыл бұрын
하지만 그 다른 서양나라에서도 조차 덴마크의 순위가 높으니..
@user-jy6ig3ru5b
@user-jy6ig3ru5b 2 жыл бұрын
그러한 서양 국가들 사이에서도 높은 이유가 복지국가이기 때문에 그렇다는 거죠. 덴마크 뿐만 아니라 우리가 세금을 많이 내는 북유럽 복지국가들은 항상 행복지수 10권 안쪽에 들어옵니다.
@HANKOOK-AHRI1778
@HANKOOK-AHRI1778 2 жыл бұрын
핀란드..
@VALAC_
@VALAC_ 2 жыл бұрын
한국 시민들 수준과 정치인들 개짓거리로는 저 체제 도입 못함..ㅋㅋ 세금만 무7련처럼 걷어서 착복하고 해외로 뜰걸? 문재앙처럼
@user-jy6ig3ru5b
@user-jy6ig3ru5b 2 жыл бұрын
@@VALAC_ 그런 정치이야기를 하고싶어서 댓글을 단게 아니라... 동영상이 너무 부모 잘못때문에 우리가 불행하게 자란거고, 부모 잘 만난 덴마크는 행복하다라고 이야기하는 거 같아서 적은거에요... 정치 이야기는 하지 말죠
@RotaryCGPF
@RotaryCGPF 2 жыл бұрын
머리 좋은 악마가 넘쳐나는 나라 한국 기성세대가 원하는대로 아득바득 공부해서 이름 말하면 누구나 알만한 명문대왔다. 그런데도 에타 한번 들어가보면 허구한날 박터지게 싸우는 유튜브 댓글창이랑 다를게 없다. 아직도 공부만 잘하면 다일까?
@co-relations2971
@co-relations2971 2 жыл бұрын
못배운 멍청이들보단 낫다고 보는 경제 상황이다. 앞으로도 100퍼센트 자력 수출 없이 성장해야하는 한국에선 인성이고 뭐고 일 잘하고 많이 배운놈이 필요할거다
@user-di4hh7ne7i
@user-di4hh7ne7i 2 жыл бұрын
노벨상 과학분야0
@ilwon3424
@ilwon3424 2 жыл бұрын
@@user-di4hh7ne7i 그것만으로 덴마크보다 못하다는걸 증명할 수 있을까? 미국이 저렇게 가르친다고 그러면 솔깃하긴 하지만 우리나라는 저렇게 키우면 진짜 동네 행복한 바보들 천지될 듯
@ilwon3424
@ilwon3424 2 жыл бұрын
지금도 좌파 교육정책으로 기초과목 국가 지수는 해마다 떨어지는 추세인데, 행복도는 변화가 없음. 얼마나 최악의 상황으로 변해가고 있는건지 느낌이 오나? 이렇게 가다가는 그냥 공부도 시키지 말고 놀이터나 12년 다니고 어른될 판이네. 행복하다 생각도 안 하고 있는데 예전처럼 처절하게 배우질 못하니 점점 지식도 줄어감. 행복 얘기하면서 국민 개돼지로 몰아가는 우민화 정책으로 악용될 소지가 있다.
@user-yv5ln3zq9w
@user-yv5ln3zq9w 2 жыл бұрын
어떤 틀에 맞춰 아이를 키우는 것보다 아이를 유심히 관찰하고 아이의 성향을 잘 이해하는게 중요한 것 같아요 저도 하루에 수십명의 아이들을 만나지만 똑같은 칭찬과 똑같은 질문에도 아이들의 성향에 따라 그것을 받아들이는 방법이 천차만별이더라구요 물론 가정에서부터 그 성향을 어떤 방향으로 만들어가느냐도 중요하지만 타고난 성향(기질)도 무시하지 못한다고 생각합니다.
@mirbisworkspace6345
@mirbisworkspace6345 2 жыл бұрын
어느정도 성장한 연령대때도 그렇잖아요... 친구들 성향 따라서 접근 방식이 조금씩 다르고... 이성친구 접근할 때 방식이 또 다르고...
@user-lm1jm7pd2w
@user-lm1jm7pd2w 2 жыл бұрын
태클은 아닙니다만.. 틀이라는 기준점 조차 없다면 성향에 따른 문제점이나 특별한 케이스에서 비롯된 문제들을 어떠한 교육으로 다룰지가 염려되네요.. 저도 아이들을 가르치는데 기준과 틀은 하나의 규칙과 약속이라고 생각합니다.. 성향의 차이라는 달콤함 속에는 교육의 기준과 본질 자체가 모순되는 부분이 생길거라고 느껴지네요.. 물론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user-hj4dw1tm6k
@user-hj4dw1tm6k 2 жыл бұрын
자기 자식들은 자기멋대로 되지 않는다 그아이들을 존중해줘야한다 사람의 인격체로 그게 답이다 답은 없는법이다
@sunk8907
@sunk8907 2 жыл бұрын
난 내아이가 의사,대기업,공무원 못되면 ㅈㄴ 빡칠꺼 같은데? 수억 투자해서 키웟는데 본전이라도 뽑아야지 때려패서라도 잠자는 시간빼고 공부 시킨다 말 안들으면 ㅈㄴ 패면 말듣고 성적 안나오면 ㅈㄴ패서 교육 시킨다
@user-xk2yx1qs3y
@user-xk2yx1qs3y 2 жыл бұрын
@@sunk8907 보통그렇게 되면 극단적인 선택을 할것같은데
@sunk8907
@sunk8907 2 жыл бұрын
@@user-xk2yx1qs3y생명보험 들어서 본전 찾아야지
@user-xk2yx1qs3y
@user-xk2yx1qs3y 2 жыл бұрын
@@sunk8907 드립일수도 있지만 드립이 아니라 진심이면 님은...
@kkang_jino
@kkang_jino 2 жыл бұрын
@@sunk8907 그럼 수억 투자를 하지 말고 자유롭게 키우든가ㅋㅋㅋㅋ 그쪽이 말하는 방식대로 키우면 그 아이는 님이랑 사는 동안은 절대 행복하지 못 할 듯
@tv-2369
@tv-2369 2 жыл бұрын
희노애락중 "노"는 알려주려 하지 않는데 사실" 노"도 정말 중요한 감정중 하나죠
@su-5727
@su-5727 2 жыл бұрын
노짱?
@eh8271
@eh8271 2 жыл бұрын
@@su-5727 희盧애락
@mrreaper6591
@mrreaper6591 2 жыл бұрын
인터넷 돌아다는글 봤는데... 부모님이 자식 날개를 다 잘라놓고서는 날으라고 하는 표현이 참 가슴깊게 와닿음... 자식들이 뭘할라해도 하지마 뭐때문에 안되 넌 이렇게해야되 이러면서 큰일을 원한다...
@user-tu7yj4so3k
@user-tu7yj4so3k 2 жыл бұрын
전 아직 아이가 없지만 미리 배워두면 정말 많은 도움될것 같네요. 감사합니다.
@user-in7rc4qd3h
@user-in7rc4qd3h 2 жыл бұрын
4:37 한국이였으면 어디 끌려가서 맞거나 왕따당한다
@user-hk2bb8fo5n
@user-hk2bb8fo5n 2 жыл бұрын
ㄹㅇㅋㅋㅋㅋㅋ너때문이라면서 왕따시킬듯
@user-pw9vk5ti3g
@user-pw9vk5ti3g 2 жыл бұрын
줘 터질듯
@user-kg9ns7sc6z
@user-kg9ns7sc6z 2 жыл бұрын
감정 속이는거 그거 진짜 인정 하죠 싸우든 나쁜일이 있든 그냥 괜찮다고 하죠
@user-lh5cd2ym6p
@user-lh5cd2ym6p 2 жыл бұрын
정말 많은 것을 알게 됐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my8fz5ev3k
@user-my8fz5ev3k 2 жыл бұрын
그래도 요즘은 이렇게 교육에대해 아이들에 대해서 부모가 배울 수 있는것들을 찾아볼 수 있어서 좋아요. 부모도 모르는것이 많아요. 배우면서 키워가야죠. 이세상 모든 부모들 화이팅♡♡
@user-te6uq4uw4t
@user-te6uq4uw4t 2 жыл бұрын
아..뭐라해야되죠 이런 살벌한 댓글들 사이에서 이런 댓글을 봐서 뭔가 기분이 좋아요 좋아요 누르고 갑니다..ㅋㅋㅋㅋ
@user-kz2uv7uq4t
@user-kz2uv7uq4t 2 жыл бұрын
@@user-te6uq4uw4t ㄹㅇㅋㅋ 자신의 어린시절은 부모탓이 맞지만 자신의 불만을 맞서는방법이 부모탓 주변탓만 하는건 그거야말로 자신탓인건데 말이죠..
@junghasuh6357
@junghasuh6357 2 жыл бұрын
우리 엄마 대단한 엄마였군 항상 그냥 놀게 놔뒀는데
@user-es2zg6yk8p
@user-es2zg6yk8p 2 жыл бұрын
포기한거임
@user-zg8gl2xo8i
@user-zg8gl2xo8i 2 жыл бұрын
@@user-es2zg6yk8p ㅋㅋㅋㅋㅋ 개너무하네
@avec9503
@avec9503 2 жыл бұрын
@@user-es2zg6yk8p 너어어어는 진짜....
@kyuhoox4207
@kyuhoox4207 2 жыл бұрын
아이를 바르게 양육하는 방법은 부모가 바른 사람이 되는것 말고는 없습니다
@user-nq3de5qe6f
@user-nq3de5qe6f 2 жыл бұрын
이게 교육이지 잘 듣고갑니다
@yongs3497
@yongs3497 2 жыл бұрын
됐고 한국은 뭔말을 해도 뭔짓을 해도 국영수만 잘해서 계산 빠른 이기적인 사람만 만들면됨 소귀에 경읽기
@henalove75
@henalove75 2 жыл бұрын
ㅋㅋㅋ 국영수만 내려놓으면 우리나라 애들 정말 행복할거예요
@yongs3497
@yongs3497 2 жыл бұрын
@@henalove75 하지만 그럴수 없음 사회가 국영수 천재를 원해서 ㅜ
@reward4389
@reward4389 2 жыл бұрын
@@henalove75 행복할까요? 자연인 만드는 게 목표이지 않는 이상 타인과 어울리면서 비교를 강요당하는 사회 분위기도 한몫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댓글 다는 저도 남과 비교를 안하려 노력하지만 무의식적으로 타인과 비교하게 됩니다. 애들끼리도 금수저니 흙수저니 시작하면서 모든걸 비교하니까요
@penna2708
@penna2708 2 жыл бұрын
@@yongs3497 천재라뇨... 천재를 배출해내지못하는국가인데...
@yongs3497
@yongs3497 2 жыл бұрын
@@penna2708 그니까 국영수 천재만 원하는 사회요 배출하진 못하지만 원하는 사회
@bonklon6672
@bonklon6672 2 жыл бұрын
놀이를 통해 성장이라... 게임만큼은 어느정도 자유도를 주신 부모님들 덕분에 외국인과의 대화를 통해 싫었던 영어가 좋아졌던건 느꼈죠. 잘하지는 않지만 영어 공부에 대한 노력은 기존보다 올랐던거같아요.
@user-ul3vr3kz2v
@user-ul3vr3kz2v 2 жыл бұрын
덴마크: 아들 그러면 안되는 거야. 잘들어 내가 어렸을때는... 한국: 진짜 커서 뭐가될까? 내가 전생에 무순죄 를 지어서 저런놈을..
@user-nr5if2gb5x
@user-nr5if2gb5x 2 жыл бұрын
아~아이들 놀때 너무 위험 해서 잔소리 엄청했는데 지금 부터라두 저부터 고쳐야겠단 생각이..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user-gz3yr5ip5z
@user-gz3yr5ip5z 2 жыл бұрын
공부와 담 쌓고 마음껏 놀며 자란 나의 자녀 둘은 공부를 못한다. 그러고는 늘 빙구 웃음을 하며 행복해 한다. 생ㆍ기에 선생님께서 구김살이 없는 아이 라고 써 주셨다. 나냔 웃프다ㅠㅠ
@clh6695
@clh6695 2 жыл бұрын
제 아이들도 그렇게 키웠어요. 중학교 졸업할 때쯤 저한테 애들이 이러더군요. 엄마 왜 공부하라고 말 안했어요? 난 공부 안해도 되는줄 알았잖아요!! 내가 공부 못한건 엄마 때문이에요! 이랬던 애들이 들 다 좋은 대학갔습니다. ㅎㅎㅎ 애들은 노는게 공부입니다 어머니도 잘 키우고계신거에요
@user-vh7ll2yr1t
@user-vh7ll2yr1t 2 жыл бұрын
@@clh6695 공부하라고 말안하고 놀게했는데 공부 못하고 대학도 못갔는데
@selfloving
@selfloving 2 жыл бұрын
@@clh6695 루리님은 정확히.. 자녀분들 특성을 잘 파악해서 공부를 하지않아도 다른걸로 잘 발전하게끔 뒤에서 힘을 보태주신거 같네요
@leonagoyo3647
@leonagoyo3647 2 жыл бұрын
공부를 잘해도 심리적으로 안정되지 못해 사회의 구성원으로 역할을 못하는것보다 안정된 심리를 기반으로 스스로 서기를 주저하지 않는 어른이 되게 자라는것이 더 좋은거 아닐까 합니다. 좋은 교육을 하고계신것 같아요 ㅎㅎ
@user-gz3yr5ip5z
@user-gz3yr5ip5z 2 жыл бұрын
확실한건 성격은 진짜 소탈해요 온란인 수업할 때 선생님분들께서 수업하시는걸 살짝 듣게 될 때 있어요 국어선생님 이신데 엄청 짜증이 가득한 목소리로 아이들 이름을 부르시며 수업을 진행 하시는데 충격!! 제 인생에서 처음 듣는 목소리 딸에게 저 선생님 왜그러시니?? 아~~원래 그러셔서 난 신경 안 써~ 허~헉~ 만난지 이제 고작 넉 달 된 선생님이 이해 된다고?? 와우~ 대답하는 아이들 목소리에도 힘듬이 느껴지는데 저희 딸을 부를 때도 마치 분명 야단 치려고 부르는 목소리 셨는데 저희딸은 고분하게 "네~" 저는 놀래서 수업 끝나고 물어보니 너한테 화나신 말투 이신데?? 아니~ 그거 제출 하라고 하신거야 원래 말투가 그러신데 그래도 가끔 귀여우셔~ 대수롭지 않게 툭~ 던지는 말투 엥???? 너란 딸 멋지긴 하다 공부도 잘 해 주면 좋겠는데~ 음~~노노(손가락) 그건 어려워
@user-yr7jm2rt6q
@user-yr7jm2rt6q 2 жыл бұрын
어릴 때는 놀아야 한다. 제대로 놀아 본 아이가 커서 자기가 좋아하는 것이 뭔지, 하고 싶은 게 뭔지 정확히 알며 필요하면 공부를 알아서 한다. 제발 좀 자기가 공부 못한 거 애들에게 투사하지 말라. 부모가 그만큼 자존감이 낮다는 것. 시험성적보다 기본 예의와 사회성이 더더 중요. 그게 행복한 길. 한국 사회 자체가 학벌주의라 대학 평준화-직업특성화-노동대우 사회로 우선 바뀌어야.
@user-ub1zt1cw2r
@user-ub1zt1cw2r 2 жыл бұрын
이것도 맞네요
@user-ic6mu2lv4x
@user-ic6mu2lv4x Жыл бұрын
정말 좋은 내용이였어요
@go1voice
@go1voice 2 жыл бұрын
지혜로운 칭찬 멋지네요~
@user-ze2ox2wp9x
@user-ze2ox2wp9x 2 жыл бұрын
본인 스스로 깨닿고 뉘우치게한다 좋은 교육방침이다 덴마크 시민성 자체도 굉장히 뛰어날것같다
덴마크의 행복이 이상한 이유 (feat. 휘게의 모순)
15:32
КАРМАНЧИК 2 СЕЗОН 6 СЕРИЯ
21:57
Inter Production
Рет қаралды 512 М.
[특집 다큐 - 이미 완벽한 아이] 2부 잘 노는 아이
48:03
EBSDocumentary (EBS 다큐)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The Truth about Denmark
14:10
희철리즘Heechulism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КАРМАНЧИК 2 СЕЗОН 6 СЕРИЯ
21:57
Inter Production
Рет қаралды 512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