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류, 세계가 스며든 비결은... [월뉴공]ㅣ월드뉴스공장

  Рет қаралды 407,769

TBS 시민의방송

TBS 시민의방송

Жыл бұрын

K-팝과 K-영화에 이어 전 세계에 K-드라마 열풍을 일으킨 '오징어 게임'이 비(非)영어권 최초로 에미상까지 수상하며 글로벌 콘텐츠의 새로운 역사를 썼습니다.
이처럼 한류 콘텐츠가 해외에서 유례없는 성공을 거두고 있는 가운데 한류의 성공 요인을 분석하는 외신 보도도 계속 이어지고 있는데요.
한류 문화콘텐츠의 성공 과정과 지속가능성에 대해 살펴봤습니다.
[월뉴공] 안미연, 정혜련 기자
#한류 #Korean_Wave #한국문화 #K붐 #문화강국 #대한민국 #가을동화 #겨울연가 #대장금 #탑골드라마 #쥬라기공원 #영국 #마가렛대처 #월드뉴스공장 #월뉴공 #월드 #뉴스공장 #ON세계 #TBS #TBS국제뉴스 #안미연 #정혜련 #기자
===================================
▶TBS 홈페이지 tbs.seoul.kr
▶TBS 페이스북 / mylovetbs
▶TBS 블로그 blog.naver.com/tbstv
▶TBS 인스타그램 / tbs_loveletter
▶티봉이 인스타그램 / tbongi0303
▶TBS 유튜브 커뮤니티 / seoultbstv

Пікірлер: 275
@user-pw6fi5dh3b
@user-pw6fi5dh3b Жыл бұрын
국수니 국뽕이니 염려가 많은데,, 한류는 애초 우리가 즐기고 공감하려 만든 작품이지, 외국인을 겨냥해서 발전한 흐름이 아니기때문에 그런 염려는 할 필요없다고 봅니다. 그리고 정부가 도와주게 된 이유도 하도 잘하고 많이하니까 정부도 신경을 쓰게 된 것이지, 정부가 먼저 주도 한 것이 아닙니다. 그래서 저는 한류는 한류라는 이름이 없어지고, 세계인이 관심이 사라져도 우리가 즐기는 한 없어지지않는 문화라고 봅니다... 윤여정말대로 우린 예전부터 그렇게 해왔는데, 이제 세계가 관심을 가졌을 뿐이니까요~
@Kim-ig3qq
@Kim-ig3qq Жыл бұрын
한류의 원천은 88서울올림픽 서울올림픽에 참가한 중국선수단 중국공산당 간부들 그리고 TV로 올림픽을 시청한 중국인들 한국의 발전상에 경악. 서울올림픽의 토대는 경제발전과 자유민주주의 90년대초부터 중국대륙에 한국문화 강타.. 국민교육헌장을 이해해야 한류이해가 가능, 요즘 한국언론은 김대중 업적이라 선동하는데 김대중은 한류와 전혀 관련없음..
@user-jx5ex1kr6l
@user-jx5ex1kr6l Жыл бұрын
개뜬금 국수주의라고 해서 뭔가했음. 한류 컨텐츠들도 외국인을 겨냥했나 싶은 컨텐츠는 내가 본 바 로는 없었는데.. 일반적인 한국인이라면 한류 좋아하는 외국인 봤을때 은근히 기분좋아하는데서 그치지..본인이 제작하거나 촬영한것도 아니니까ㅋㅋ 본인이 직접 참여한 것도 아닌거에 민족적 우월감 느끼고 국뽕 지나치면 오히려 자랑할거 하나 없는 사람이냐고 놀림받지 ...그리고 국수주의 기준이 어디까지인지는 명확히 모르겠지만 내가 쓰는 언어로 이루어진 컨텐츠들, 내가 현재 살고있는 문화, 나라에 관심가지고 사랑해주면 한국인이 자의식 올라가고 기분 좋아할 수도 있지..뭔 국수주의....
@user-sb9qp1qt9s
@user-sb9qp1qt9s 11 ай бұрын
이 영상에서 문화는 물과 같다고 한 것과 문화적 다양성을 언급한 말을 생각해보면 국수주의를 경계해야 말도 생각해 봐야 할 문제인듯 한데요 근현대시대 동양문화하면 일본문화가 전부였던 시절이 있었지만 지금 일본 문화는 갈라파고스화 되어서 국제적으로는 물론 일본내애서도 침체기에 있습니다 일본 사례를 보더라도 자국문화에 자부심을 갖는 것은 좋지만 그것이 지나쳐서 문화국수주의에 빠지면 결국은 쇠퇴하겠지요
@Hellothththththatha
@Hellothththththatha 7 ай бұрын
국뽕은 화교가 만든 말
@user-ir6hi6yy4k
@user-ir6hi6yy4k 5 ай бұрын
외국 작품 흉내낸거는 있었다 내 기억으로 쉬리 개 망작 그런데 울나라 영화가 눈에 띄게 성장했다고 느낀 작품은 왕의 남자였다 이건 나의 뇌피셜이다
@a42762085
@a42762085 11 ай бұрын
지원하되 간섭하지않는다 멋지네요. 한류는 세계문화중심이라 생각되고 자랑스럽습니다.
@user-wj2tb8vp9q
@user-wj2tb8vp9q Жыл бұрын
오 분석 좋네요 👍 흐름을 따라가다 보면 현재까지 이어지는 한류에 대해 이해가 잘 됩니다
@greed6352
@greed6352 Жыл бұрын
누구나 믿고 볼 수 있는 컨텐츠가 꾸준히 뒷바침 되길 바랍니다. 문화란 과거를 참조해서 미래를 창조 해 나가는 것인 만큼 내것이니 되고 니껀 안되는 것이 아니라 모두 한 테이블에 올려도 어울리고 맛있는 요리 한상이 되면 소비자들은 맛집을 찾게 됩니다. 피부도 인종도 국경도 심지어 이념마저도 넘어 설수 있는 것이 문화의 힘 아닙니까.
@user-jf9im6vv1e
@user-jf9im6vv1e 10 ай бұрын
우리나라에서만 유명할 줄 알았던 이정재 배우가 으로 미국 에미상에서 수상하고 K-POP 아이돌 BTS가 빌보드 정상을 차지하는 날이 오다니 정말 뿌듯하네요. 앞으로도 우리나라 문화 컨텐츠가 더 성장해서 세계를 향해 갔으면 좋겠습니다.
@aljja88ify
@aljja88ify Жыл бұрын
한류성공의 뿌리는 깊은 인문적 전통이라고 생각. 조선왕조실록을 보라. 세계 어떤 왕조국가에서 왕의 일거수일투족을 오백년간 기록했을까?
@Kim-ig3qq
@Kim-ig3qq Жыл бұрын
한류의 원천은 88서울올림픽 서울올림픽에 참가한 중국선수단 중국공산당 간부들 그리고 TV로 올림픽을 시청한 중국인들 한국의 발전상에 경악. 서울올림픽의 토대는 경제발전과 자유민주주의 90년대초부터 중국대륙에 한국문화 강타.. 국민교육헌장을 이해해야 한류이해가 가능.. 굳이 따지자면박정희 전두환 노태우의 업적이죠. 요즘 한국언론은 김대중 업적이라 선동하는데 김대중은 한류와 전혀 관련없음..
@-markshin-
@-markshin- Жыл бұрын
그거랑 뭔상관이지? 일기쓰면 한류스타되나? ㅋ
@jomunim
@jomunim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입니다. 균형있는 관점 좋습니다. 한류는 나만의 문화가 아니라, 모두 함께 즐길 수 있을 때 가치 있다고 생각합니다. 바로 지금처럼요.
@GeeHanShin
@GeeHanShin Жыл бұрын
옛부터 제일 한국적인것이 세계적인것이다 라는 말이 있죠 같이 즐기데 근본은 지키면서 변하지 않아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moon-pk2ty
@moon-pk2ty Жыл бұрын
겨울연가는 음악이 큰 영향을 미쳤죠.
@moon-pk2ty
@moon-pk2ty Жыл бұрын
007은 악당이 어울리는 얼굴을 가진 주인공을 기용하는 바람에 안 보게 되었는데 차기는 흑인을 쓸지도 모르겠다는데 망하려고 작정을 하는 거 같음.
@user-dl8zd8fq4w
@user-dl8zd8fq4w Жыл бұрын
김대중 대통령님 감사합니다. 당신의 혜안이 있어 한류가 가능했고 오늘의 대한민국이 문화 강국으로 세계 속에 우뚝 서게 되었습니다. 게다가 대한민국을 IT 강국으로 이끈 것도 그대이니... 21세기의 대한민국 국민은 모두 당신이 설계한 세상의 혜택을 받고 있는 존재들입니다. 일부 모자란 이들은 당신의 업적중 북한과의 관계 개선을 퍼주기라고 비하하고 있지만 보세요. 아마 십수년이 지나기 전에 결국 북한을 포용하고, 북한에 한류를 이식하며, 하나의 나라로 만들기 위한 노력이 얼마나 값진 것이었음을 이해하는 날이 올 것입니다. 모두 김대중 대통령의 탁견 덕분입니다. 고맙습니다.
@Kim-ig3qq
@Kim-ig3qq Жыл бұрын
한류의 원천은 88서울올림픽 서울올림픽에 참가한 중국선수단 중국공산당 간부들 그리고 TV로 올림픽을 시청한 중국인들 한국의 발전상에 경악. 서울올림픽의 토대는 경제발전과 자유민주주의 90년대초부터 중국대륙에 한국문화 강타.. 클론에 의해 ‘한류’라는 단어 탄생함. 기원은 1997년 대만에서 ‘하일한류(夏日韓流, 여름에 한국 바람이 불어옴)’라고 표현. 국민교육헌장을 이해해야 한류이해가 가능.. 굳이 따지자면 박정희 전두환 노태우 김영삼의 업적임. 요즘 한국언론은 김대중 업적이라 대대적으로 선동하는데 김대중은 한류와 별로 관련없음.
@user-um2jf7dx9i
@user-um2jf7dx9i 2 ай бұрын
대중이 북한핵개발하면 지가 책임진다고했는데....누워있지말고 일어나 해결좀 해봐라. 선전선동만 잘해서 정일이한테 돈보내줘서 북한 살려놓고 이제 어떻 할래..
@user-bx5us7qx7m
@user-bx5us7qx7m Жыл бұрын
TBS 공영방송 되야합니다 부산서 채널찾아봅니다 💙
@antoni2807
@antoni2807 Жыл бұрын
김구선생님이 계셧다면 대한민국이 문화강국이 되었다는걸 기뻐하셨을 겁니다 ^^
@Kim-ig3qq
@Kim-ig3qq Жыл бұрын
김구는 자유대한민국 건국을 극렬히 반대한 자입니다.
@user-up9pu1fc1w
@user-up9pu1fc1w Жыл бұрын
국민의 수준과 상식적 정부의 시너지가 현재 한류성공의 원인이라 생각합니다. 그 요소들은 영원한 것이 아니기에 우리는 늘 포용적이고 더 배우고 지속 발전해야 할 것입니다.
@7HAH77lmoonjain
@7HAH77lmoonjain Жыл бұрын
송혜교가 참 대단하다 한류시작부터 지금까지 롱런하고있네
@fuxkin_handle
@fuxkin_handle Жыл бұрын
송혜교랑 뭔상관임 십 ㅋㅋㅋㅋㅋ 앞에 애들이 다 길터놔서 그렇지
@7HAH77lmoonjain
@7HAH77lmoonjain Жыл бұрын
@@fuxkin_handle 그 앞에 애가 바로 송혜교다ㅋㅋㅋ가을동화 올인은 아니??
@user-bw3nx5uj3m
@user-bw3nx5uj3m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mukjastudy
@mukjastudy Жыл бұрын
한국이 전통문화가 일제시대나 한국전쟁 등 외란 내란으로 많이 과소평가되고 유실되었지만.. 그 내면을 보면 탁월한 이야기꾼 문화가 전수되어왔다고 봅니다. 같은 이야기라도 유머와 감동을 엮어내는 능력은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고 봅니다. 재미가 없는 것은 철저히 외면당하고.. 예술성과 재미를 동시에 추구해야 지지받는 문화.. 그리고 서구와는 달리.. 서구문화와 한국문화의 접합과 시너지가 새로운 창조력의 원천이라 봅니다. 다만 창의력이 고갈되고 식상하게 되는 순간이 올수도있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한국내문화뿐만 아니라.. 외국의 여러 문화와 접목해서.. 외국문화를 한국적표현으로 해내면 되지 않을까 합니다. 궁극에 가서는.. 한국배우뿐만 아니라 전세계 문화인들이 한국문화와 함께는 .. 지금 케이팝이 그렇게 가고 있고.. 드라마나 영화도.. 그런식으로 가는것같아.. 계속 희망을 품어봅니다.
@user-xw6ln8li7q
@user-xw6ln8li7q Жыл бұрын
요즘은 외국 컨텐츠가 식상한 느낌이 들더라고요. 언젠가 한류도 그런 느낌이 올 수 있죠!
@user-kg1xx1nj6r
@user-kg1xx1nj6r Жыл бұрын
개틀딱이 한류 신경을 왜씀?
@chanchullee7507
@chanchullee7507 Жыл бұрын
오랜만에 제대로 된 영상을 봤다 ㅎㅎ
@user-lb6xs2jf9f
@user-lb6xs2jf9f Жыл бұрын
정말 좋은 영상입다. 그리고 홍콩을 기억합시다. 영화 한순간입니다.
@user-dh8hu9xc6k
@user-dh8hu9xc6k Жыл бұрын
한류에 대한 이런 분석 너무 좋습니다
@KevinKim2
@KevinKim2 Жыл бұрын
ㅐㅓ ㅑㅓ ㅑㅓㅐㅓ
@user-xe2pe1gj3x
@user-xe2pe1gj3x Жыл бұрын
Wow
@user-rp7kq6zn6n
@user-rp7kq6zn6n Жыл бұрын
한류 성공에 여러 요인 중 1989년 시작된 여행 자유화 도 큰 몫을 하였음. 수많은 사람들이 유학 연수 여행을 통해 보다 다양한 감각과 시각을 가진 인재들이 양성되었음.
@ultracsi
@ultracsi Жыл бұрын
정말 좋은 심층 뉴스입니다. 결국 정신문화에서 한국의 고조선 정신이 드러나야 전세계를 품을 수 있을 것입니다. 홍익인간 재세이화 풍류 오심즉여심 인내천입니다.
@Kim-ig3qq
@Kim-ig3qq Жыл бұрын
한류의 원천은 88서울올림픽 서울올림픽에 참가한 중국선수단 중국공산당 간부들 그리고 TV로 올림픽을 시청한 중국인들 한국의 발전상에 경악. 서울올림픽의 토대는 경제발전과 자유민주주의 90년대초부터 중국대륙에 한국문화 강타.. 국민교육헌장을 이해해야 한류이해가 가능.. 굳이 따지자면 박정희 전두환 노태우의 업적이죠. 요즘 한국언론은 김대중 업적이라 선동하는데 김대중은 한류와 전혀 관련없음..
@STKim100
@STKim100 Жыл бұрын
선생님 고맙습니다
@user-gh4tk1uk4s
@user-gh4tk1uk4s Жыл бұрын
한국을 비판하는분들이 많아야 개선됩니다 항상 감사해요
@halieuskang9718
@halieuskang9718 Жыл бұрын
한류, 다른 거 없다고 본다. 아직도 완전하진 않지만 정치 권력이 문화를 악용하던 병폐의 장막을 걷어낸 결과인 것이다. 연예인을 그저 권력자의 욕망 충족 도구로 여겼던 썩어 빠진 언론과 정치인들에게 희생된 고 장지연님 등과 같은 전환기 희생자들에게 감사와 미안한 마음을 담아 추모하고 싶다.
@Kim-ig3qq
@Kim-ig3qq Жыл бұрын
한류의 원천은 88서울올림픽 서울올림픽에 참가한 중국선수단 중국공산당 간부들 그리고 TV로 올림픽을 시청한 중국인들 한국의 발전상에 경악. 서울올림픽의 토대는 경제발전과 자유민주주의 90년대초부터 중국대륙에 한국문화 강타.. 클론에 의해 ‘한류’라는 단어 탄생함. 기원은 1997년 대만에서 ‘하일한류(夏日韓流, 여름에 한국 바람이 불어옴)’라고 표현. 국민교육헌장을 이해해야 한류이해가 가능.. 굳이 따지자면 박정희 전두환 노태우 김영삼의 업적임. 요즘 한국언론은 김대중 업적이라 대대적으로 선동하는데 김대중은 한류와 별로 관련없음..
@jhm8245
@jhm8245 Жыл бұрын
윤석호 감독님
@user-tq4qn4cp5b
@user-tq4qn4cp5b Жыл бұрын
거대한 문화 항공모함!!!대한민국 진짜 숟가락 하나 들고나와 성공한 자수성가 문화 한류
@navyboyron
@navyboyron Жыл бұрын
Fantastic reporting and spotlight on everything K. It'd be interesting to see this corner cover the impact of professional Korean athletes in the U.S. and all over the world for that matter on how people's perception of Korea changed and became more interested in Korea and it's culture, food, etcera. To look into such names as golfer Park Seri and Park Chan-ho and see how their efforts affected today's views on Korea would be something worth covering.
@user-kd5vh3xg9e
@user-kd5vh3xg9e Жыл бұрын
대중문화가 과거에 비해 실제로 많은 발전을 한 것으로 보입니다만.. 한류 열풍은.. 알려지지 않았던 문화가 알려지면서 관심이 증폭된 것이 아닌가 싶어요. 바로 인터넷의 대중화..유튜브의 발전으로 인해서.. 과거부터 한국문화에 대해 세계가 관심을 가지고 있었고 주목을 해왔지만.. 과거에는 퀄리티가 떨어졌고 지금은 퀄리티가 높아진 게 아니라. 알려만 진다면 열풍을 일으킬 만한 문화였지만 과거에는 잘 알려지지 않았고 지금은 널리 알려졌다는 데서 그 이유를 찾는게 합리적 추론이 아닐까? 싶어요..
@Lovelee.lovely
@Lovelee.lovely Жыл бұрын
우와 한국어로 소감발표라니 …국가위상이 올라가는거같아 너무좋다 ㅋㅋ
@user-jm8km6zl4d
@user-jm8km6zl4d Жыл бұрын
한류문화의 시작이자 출발점... 서태지와 김대중 대통령의 만남...
@Kim-ig3qq
@Kim-ig3qq Жыл бұрын
한류의 원천은 88서울올림픽 서울올림픽에 참가한 중국선수단 중국공산당 간부들 그리고 TV로 올림픽을 시청한 중국인들 한국의 발전상에 경악. 서울올림픽의 토대는 경제발전과 자유민주주의 90년대초부터 중국대륙에 한국문화 강타.. 클론에 의해 ‘한류’라는 단어 탄생함. 기원은 1997년 대만에서 ‘하일한류(夏日韓流, 여름에 한국 바람이 불어옴)’라고 표현. 국민교육헌장을 이해해야 한류이해가 가능.. 굳이 따지자면 박정희 전두환 노태우 김영삼의 업적임. 요즘 한국언론은 김대중 업적이라 대대적으로 선동하는데 김대중은 한류와 별로 관련없음.
@jml4773
@jml4773 Жыл бұрын
한국폼 미쳣다!!!
@orrrl7981
@orrrl7981 Жыл бұрын
정부의 지원정책 이야기는 신중하게 해야합니다. 지금 정부가 BTS에게 하는 짓을 보면 그들이 과연 우리 대중 문화를 위해 무슨 도움이 될지 전혀 신뢰할수가 없네요. 그냥 정부나 정치인들은 대중 예술계에 절대 접근을 금하고 스스로 알아서 잘 돌아갈수 있게 놔둬야 한다고 봅니다.
@elvenisar
@elvenisar Жыл бұрын
일본의 억까인데 미국의싱크탱크(일본자본)이 그걸 미국 주류언론에서 거품물고 전파하다보니 한국 지식인층이 은연중에 받아들이고 있는거죠. 지원은 무슨 지원입니까, 탄압한 기억밖에 없는데.
@kkk90178
@kkk90178 Жыл бұрын
왜요?2030남자70%가 윤석열찍었는데?
@elvenisar
@elvenisar Жыл бұрын
@@kkk90178 그래도 30%는 정상적이군요.
@user-jm8km6zl4d
@user-jm8km6zl4d Жыл бұрын
그때 당시 딴따라들의 요구에 따라서 법을 입법한 사람들은 정치인이 아니였을까?
@woodtea6450
@woodtea6450 Жыл бұрын
그게 정말 걱정입니다. 대중문화예술인을 무슨 관급기생정도로 보고 국정홍보용 따위로 쓰지 않기를 바래봅니다. 존중까지 바라지도 않아요. 그냥 무관심해주면 좋겠네요.
@havana0403
@havana0403 Жыл бұрын
우리 문화의 융성은 계속 된다고 봅니다, 각국의 청소년들의 취향마저 저격중이니까요.
@TV-so2mw
@TV-so2mw Жыл бұрын
문화라는 것은 물과 같다. 누군지 몰라도 명언입니다.
@user-uw3pr7ic3w
@user-uw3pr7ic3w Жыл бұрын
김구 선생님 지금의 이 나라를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ih9ee1eg5c
@user-ih9ee1eg5c Жыл бұрын
이승만인데? ㅋ
@Kim-ig3qq
@Kim-ig3qq Жыл бұрын
김구는 자유대한민국 건국을 결사반대한 자입니다.
@user-kf4ep8uj8z
@user-kf4ep8uj8z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왠만한 나라에서 다 문화지원을한다.그러나 다 우리나라처럼 전세계로 성공한곳이 없다는게 핵심이겠지...
@MrNmycm
@MrNmycm Жыл бұрын
결과론적인 의견이긴 하지만 이렇게 좋은 결과를 낼 수 있었던 이유는 1. 자유 민주주의가 제대로 정착되어 민간차원에서 비교적 한계가 없는 소재 선택 가능 - 중국과 같이 독재국가는 좋은 컨텐츠가 있어도 정치적인 문제로 활용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그와 대비되는 우리나라의 소재선택의 자유는 가장 중요한 장점 2. 선정적인것만 빼면 그다지 편견이 없는 폭넓은 영화 소비층 - 현재 미국처럼 pc 에 과몰입하여 설정 붕괴를 밥 먹듯 하게 만드는 폭 좁은 소비층이 없음 3. 나름 경제적 선진국에 진입하여 문화적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여 시장이 확장될 수 있었고 그에 따른 투자가 활발해진 점 - 기본적으로 문화를 즐길 수 있는 경제적 능력이 뒷받침 되지 못하면 그 나라의 문화적 역량이 성장하고 세계화 되는건 불가능하다고 생각 4. 컨텐츠 수요층의 열정이 매우 크고 그만큼 비판이 많아 끈임없이 컨텐츠를 개선하도록 요구해왔고 그를 반영해야만 했던 제작상황 - 여러 일본 관련 콘서트 실황을 보면 매우 빠른 템포의 곡을 부르는데도 반응이 별로 없는 것과 달리 우리나라는 매우 극단적으로 열열한 반응 - 소비층의 이와 같이 열정적인 참여는 컨텐츠 생산자들의 의욕을 고취시키는데 매우 큰 도움이 되기 때문에 더 양질의 컨텐츠 생산에 도움이 됨 5. 한국 이라는 나라가 과거 역사에서 딱히 주변국에 잘못한게 없음 - 한국이라는 나라에 대한 부정적 선입견 없이 컨텐츠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해주는 배경 더 많은 이유가 있겠지만 가장 먼저 떠오르는 다섯가지는 이정도 인 것 같습니다.
@Kim-ig3qq
@Kim-ig3qq Жыл бұрын
한류의 원천은 88서울올림픽 서울올림픽에 참가한 중국선수단 중국공산당 간부들 그리고 TV로 올림픽을 시청한 중국인들 한국의 발전상에 경악. 서울올림픽의 토대는 경제발전과 자유민주주의 90년대초부터 중국대륙에 한국문화 강타.. 클론에 의해 ‘한류’라는 단어 탄생함. 기원은 1997년 대만에서 ‘하일한류(夏日韓流, 여름에 한국 바람이 불어옴)’라고 표현. 국민교육헌장을 이해해야 한류이해가 가능.. 굳이 따지자면 박정희 전두환 노태우 김영삼의 업적임. 요즘 한국언론은 김대중 업적이라 대대적으로 선동하는데 김대중은 한류와 별로 관련없음.
@doubledbro9469
@doubledbro9469 Жыл бұрын
하지만 오늘날 제일 큰 문제는 정부에 있다는게 앞날이 밝지 않군요.... 다시 배달의 기수 시대가 올것같아 암울합니다.
@cdavid-st6vk
@cdavid-st6vk Жыл бұрын
중간에 2번 인터뷰 나오는 최진희 교수라는 분 웃기네요. 어디 다른 영어권 인터뷰를 딴 것이라면 모를까, 한국의 방송국과 한국인 교수가 영어로 인터뷰했다는 게 얼마나 아이러니한 것인지 모르나 봅니다. 한류는 서양/일본의 문화를 한국어권 문화 향유자들이 철저히 한국화, 한글화해서 일어난 것이 역수출한 것인데, 그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한국인 이자 한국문화를 가르치는 사람이 한국인들에게 영어로 전달한다는 것이 얼마나 웃기는 것인지ㅎㅎ (찾아보니, 국내에서 학사, 석사까지 한 사람 ㅎㅎ) *모든 걸 한국/한글화하라* 이것이 한류의 정체입니다. Jinhee Choi, got it?
@user-jf9jj7zr4k
@user-jf9jj7zr4k Жыл бұрын
그냥 한국인 2세인데 한국어가 어눌하다거나 영어만 사용해서 한국어를 거의 모른다고 이해도 하면서 한편으로는 미쿡에 살고 잇다는 우월함이거나 둘중하나겟지요. 두번째이유라면 뭐 할말없음 그저 불쌍할뿐.
@cdavid-st6vk
@cdavid-st6vk Жыл бұрын
@@user-jf9jj7zr4k 제 댓글 달기 전에 저 최진희 교수라는 분 검색해 봤었어요. 서울대 미학과인가 나왔더군요. 한국에서 대학, 유학 후 외국대학 취업한 사람이에요. 그런 사람이 한국언론과 한류이 대해 인터뷰하는데 영어로 말하는 것. 또 그걸 받아들인 한국언론. 이게 한류 현상의 본질과 모순되는 블랙코미디인 거죠ㅎ 한류라는 한국인들의 프랙티스는 선진인데, 그걸 분석하는 학문적 역량이나 학자적 의식은 아직 식민성을 벗어나지 못한 거죠.
@user-hw2xg3ux8j
@user-hw2xg3ux8j Жыл бұрын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인 것으로 되었을 뿐! 왜? 가장 한국적인 것은 한국사람 말고는 만들 수 없기 때문!
@user-qm7dn3ur9p
@user-qm7dn3ur9p Жыл бұрын
대단하다. 한류를 얘기하는 방송에서 블랙핑크가 단 한번도 안나오다니..
@user-fc09
@user-fc09 Жыл бұрын
내려오는 시점을 몰라서 불안할뿐 한류의 인기는 사그러 들겠죠
@user-dh1bo5st6d
@user-dh1bo5st6d Жыл бұрын
썩열이가 뭐했다구?
@kkk90178
@kkk90178 Жыл бұрын
예산 삭감
@user-yg3yl3hl8f
@user-yg3yl3hl8f Жыл бұрын
태어나서 드라마로 첫 눈물 흘린 " 가을동화" ㅎㅎ
@glegoo0909
@glegoo0909 Жыл бұрын
내가 보는 가장 큰 확산의 요인은.. 빠른 업로드 속도로 인한 '유투브 에서 헤게모니의 장악' 이라고 본다. 음악과 영화, 드라마 같은 컨텐츠들을 소비자들이 자발적인 확대 재생산 한건데.. 다른나라들 인터넷 공급 속도로 사진 한장 올리기 힘든 시절에 우리는 오분, 십분 이면 동영상 하나 올릴 수 있었으니까. 자연 스럽게 유투브 안에서 공급자의 지위와 파워를 갖기 시작 한것. 그것은 적당히 통제된 저작권도 한 몫을 했다.
@user-uw7qp2ow2w
@user-uw7qp2ow2w Жыл бұрын
국뽕끼~쫘~악빼고봐도 레전드 한류다!!ㅋ
@user-om2wg7qx8m
@user-om2wg7qx8m Жыл бұрын
한류가 이제 세계적으로 빧어나가네요. 어제 뉴스에 수리남이 외교적인 문제를 제기한다고 하는데 이는 우리 드라마를 세계적으로 많이 본다는 방증이죠.
@dykim7745
@dykim7745 Жыл бұрын
국격에 어울리지 않는 공짜장은 빨리빨리 핵교보내자!!!
@kkhwarez3982
@kkhwarez3982 Жыл бұрын
이런 곳에서도 정치를 논하는 이런 한심한 녀석이 나라를 망친다.
@lycos2002
@lycos2002 Жыл бұрын
싸이형 고마워
@user-jg7fg4go8h
@user-jg7fg4go8h Жыл бұрын
그땐몰랐어요
@semtlove
@semtlove Жыл бұрын
맞어.. 너무 급하게 먹는 느낌이야.. 한국 컨텐츠도 너무 넘쳐나고.. 소재 떨어지고.. 획일화가 젤 걱정이지.. 조금 적게 만들더라도.. 잘.. 좀 더 가치있게.. 비싸게.. 호흡을 고를 필요가.. 있어.. 롱런할려면.. 볼게 많아 이제서야 연모보는데.. 죽이넹..
@unka2007
@unka2007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ㅜ 우리나라 국민성이 유행하는 거에 너도 나도 뛰어드는 거여서~
@mix6791
@mix6791 Жыл бұрын
우리지민이 자랑스럽다
@user-fb2sv3nd4p
@user-fb2sv3nd4p Жыл бұрын
20년뒤 V-POP이 등장할지 P-MOVIE가 등장할지 누가 압니까. 잘 나갈때 겸손해야 합니다.
@2478221
@2478221 10 ай бұрын
잘되든 못되든 그냥 뒀으면 좋겠습니다..다른분 말대로 애초에 우리 즐기자고 만든거 외국인들이 찾은 것... 다만 정부도 도울일 있으면 돕는거지 일조했다고 감놔라 배놔라 정책질 하는 순간..한류고 뭐고 끝납니다 전 그게 제일 걱정... 이미 만들어진 생태계와 훌륭한 디를 이을 인재들...알아서 할겁니다
@moon-pk2ty
@moon-pk2ty Жыл бұрын
한류,세계가 스며든 비결은 이렇게 쓰면 안 되고 한류, 세계에 스며든 비결은 이렇게 써야 합니다.
@user-dq4jp1lk6b
@user-dq4jp1lk6b Жыл бұрын
영원한 것은 없더라구요. 우리도 이 한류를 즐기면서,,, 새로운 물결이 오면 받아드리면 될거예요. 요즘 너무 한류가 얼마안 가면 사라질 거라 하고, 말도 많고 부러워 하는데,,, 물결이 흘러가면 가는데로 그냥 두는 거죠. 그러면 한참 후에 우리의 후대들이 또 한류의 물결에서 놀겁니다.
@user-up9pu1fc1w
@user-up9pu1fc1w Жыл бұрын
일본이나 중국처럼 정부가 적극 개입해야 정부가 주도했단 말이 납득이 가죠.
@user-wh2qo9eo3r
@user-wh2qo9eo3r Жыл бұрын
정말 대단해요.... 중국을 보고 움직였던 전략이 잘못되었음을 빠른시간내에 깨닫지 못했음을 후회하네요....
@user-gw9os5bl7k
@user-gw9os5bl7k Жыл бұрын
😊
@user-fg2kn9tn6d
@user-fg2kn9tn6d Жыл бұрын
개방성 개방적인 사고가 결론... 인구문제도 본질적으로 개방적인 사고를 토대로 해외 유입을 받아들이는 태도가 시작일듯... 문화도 인종도 섞여야 진보하는듯...
@donghyeonhan9079
@donghyeonhan9079 Жыл бұрын
문화와 인종이 섞여서 성공한 경우가 아직은 없죠.
@user-fg2kn9tn6d
@user-fg2kn9tn6d Жыл бұрын
@@donghyeonhan9079 미국은 뭐냐??? ㅎㅎㅎ 능지에 일베냐??? 하긴 일베니깐 능지겠지...
@donghyeonhan9079
@donghyeonhan9079 Жыл бұрын
@@user-fg2kn9tn6d 미국이라는 나라야 부강하겠지요. 인종간 갈등은 해결되지 못하고 블랙리브스매터 운동 일어난지가 근 몇년 안이구요. 흑인 인권 뿐만 아니라 동양인 인권에대해서는 이제 쪼오오오오금 신경쓰는척 하는 단계구요. 그것마저도 소위 K컨텐츠의 약진으로 반짝 뜨고 있는건데 계속 될지도 미지수인 상황이구요. 다른인종 다른 문화가 만나면 문화충돌은 거의 100퍼센트에 가깝게 일어날수 밖에 없습니다. 그걸 잘 융합해낸 결과가 아직까지는 보이지 않는다는거구요.
@donghyeonhan9079
@donghyeonhan9079 Жыл бұрын
@@user-fg2kn9tn6d 그리고 '능지'라는 단어는 '지능'을 역순으로 둔 단어고 단일단어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능지가 처참하다' 라고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쓰이며 '능지처참' 사자성어 에서 파생된 언어유희기도 하구요.
@donghyeonhan9079
@donghyeonhan9079 Жыл бұрын
@@user-fg2kn9tn6d 일베 ㅂㄹㅈ 들이랑은 20년 가까이 싸워왔으나.. 뭐 '내말 동의안하면 다 일베!! 빼액!' 수준이라면 더할말은 없겟네요. 그리고 개방적사고와 다양성을 그렇게 존중하신다면 티어로 가입에서 TBS 부터 도와주세요 :)
@ShLee-lc2fl
@ShLee-lc2fl Жыл бұрын
😁😅😂👍
@diggerisnotyet955
@diggerisnotyet955 Жыл бұрын
두유노 클럽 이라는 말이 왤케 웃기냐 ㅋㅋ
@user-zm8qm4vk4n
@user-zm8qm4vk4n Жыл бұрын
한류라는 말이 쓰이기 시작한건 30년이 되지 않았고 20년은 넘었다.
@user-uv6zx9hz9n
@user-uv6zx9hz9n Жыл бұрын
오천년 문화의 역사가 있었기에 가능합니다. 그런 말 있잖아요! 소도 억덕이 있어야 비빈다고,
@keepspeed
@keepspeed Жыл бұрын
1억 5천만이 지지 한다고 해도, 세계인구의 1%도 안된다. 인제 조금 시작한 거지, 그렇게 과장할 상황은 아니다. 그것 보다는 우리 상품이 전세계로 수출되고 있다는 것이 더 크다.
@user-de6sr1tj3m
@user-de6sr1tj3m 11 ай бұрын
그냥 재밌고 우리가 즐길수 있는걸로 계속만들자 여기에 PC나 정치적인 시선을 끼얹어 누구를 가르치려 들거나 누군가 우리문화를 거부하는걸 비판하거나 하면 그게 망조가 될것
@benkim2016
@benkim2016 Жыл бұрын
대장금과 겨울연가 싸이가 시작했다
@gm-fl1gr
@gm-fl1gr Жыл бұрын
10대들에겐 한국이 익숙하고 30대이상은 아직일본..
@kimsunggyu100
@kimsunggyu100 Жыл бұрын
정부가 지금의 한류의 열풍에 묻어 갈려고만 하지 말고 독자적으로 정부에서도 한글과 전통 문화를 전세계에 전폭적인 지지를 해서 전세계 한글 보급화에 힘을 실어 주길 바란다 .
@wonhyung66
@wonhyung66 10 ай бұрын
대장금은 지금 넷플렉스에 올려도 될 것 같네요
@houseon4178
@houseon4178 Жыл бұрын
일본에서 한류를 국책 사업이라고 평가 절하 하지만 극히 일부만 맞고 대부분은 틀리다.자국 문화에 지원 하는 나라는 많다. 국가 주도로 이정도까지 클수 있다면 모든 나라가 이렇게 됐어야지.
@user-nd5ui5tm9l
@user-nd5ui5tm9l Жыл бұрын
교수님의 지식에 소름돋았습니다
@user-ex5hd3zm3g
@user-ex5hd3zm3g Жыл бұрын
김어준님 늘 응원합니다 👍
@user-xt8br5qi4r
@user-xt8br5qi4r Жыл бұрын
지구상에 몇 안되는 나라로 표현했지만 무에서 유로 급속한 발전에서 시작된 한국 콘텐츠 말고 어느나라에 그러한 문화가 있었던가? 다른나라와는 차원이 다르다 반도체 자동차 조선 철강 중화학 삶의 질을 평가할수있는 세세한 주거환경 공공서비스 5G인터넷등 인프라가 한국과 견줄수있는 나라는 지구상에 한국만이 유일할것이다
@DAdami0922
@DAdami0922 Жыл бұрын
우리는 정치인을 잘뽑아야한다.
@Kim-ig3qq
@Kim-ig3qq Жыл бұрын
한류의 원천은 88서울올림픽 서울올림픽에 참가한 중국선수단 중국공산당 간부들 그리고 TV로 올림픽을 시청한 중국인들 한국의 발전상에 경악. 서울올림픽의 토대는 경제발전과 자유민주주의 90년대초부터 중국대륙에 한국문화 강타.. 클론에 의해 ‘한류’라는 단어 탄생함. 기원은 1997년 대만에서 ‘하일한류(夏日韓流, 여름에 한국 바람이 불어옴)’라고 표현. 국민교육헌장을 이해해야 한류이해가 가능.. 굳이 따지자면 박정희 전두환 노태우 김영삼의 업적임. 요즘 한국언론은 김대중 업적이라 대대적으로 선동하는데 김대중은 한류와 별로 관련없음.
@brucewa7ne
@brucewa7ne Жыл бұрын
스위트홈, 서울대작전, 승리호 같은 영화/드라마 계속 나온다면 한류는 식상해지고 조만간 종말을 고할듯...
@user-po1jt5ri9v
@user-po1jt5ri9v Жыл бұрын
너같은 애들이 많아지면 멸망할듯. 개취는 존중하지만 남의 취향도 본인과 같을꺼라 생각마라!! 돈이 돼느냐 안돼느냐! 지속적인 투자가 지속돼느냐 안돼느냐...단지 그뿐!
@user-ks2kj3uc2h
@user-ks2kj3uc2h Жыл бұрын
교수들 보면 한성깔들 하시는데 논리로 패는데 ㅎㄷㄷ함.
@notefoto5275
@notefoto5275 Жыл бұрын
한류에 대해서 말도 안 되는 악의적이고 저열한 말과 주장을 하는,, 권위있다는 백인들,,, 그걸 한국 사람들은 그 주장이 말도 안 되는데,,, 그 주장을 뒷 바침 하려고 발악하고 있는 듯,
@user-if6nk7cg8i
@user-if6nk7cg8i Жыл бұрын
강남스타일 이전엔 심형래 감독의 디-워 ~
@LaLa-qf3cr
@LaLa-qf3cr Жыл бұрын
아직두 티어로가입 모르시는 팬들 많으시네요~~~~
@user-mr5yw7mx4g
@user-mr5yw7mx4g Жыл бұрын
왜 국수주의를 주의하라는거지??
@user-xm3wb5te5r
@user-xm3wb5te5r 11 ай бұрын
원래 해왔던것을 하는중이었는데 .. 우리가 작은땅에서 오천년으 살아온 문화인데...오백년 서구 문화에 꿀리진 않잖아..국수주의 라..참,,
@Evianfresh
@Evianfresh Жыл бұрын
한류의성공은 문화사업에지원을 해준 그리고 간섭은없는 김대중정부가 기반으로 가능햇다. 역시 멀리보시는분
@Kim-ig3qq
@Kim-ig3qq Жыл бұрын
한류의 원천은 88서울올림픽 서울올림픽에 참가한 중국선수단 중국공산당 간부들 그리고 TV로 올림픽을 시청한 중국인들 한국의 발전상에 경악. 서울올림픽의 토대는 경제발전과 자유민주주의 90년대초부터 중국대륙에 한국문화 강타.. 클론에 의해 ‘한류’라는 단어 탄생함. 기원은 1997년 대만에서 ‘하일한류(夏日韓流, 여름에 한국 바람이 불어옴)’라고 표현. 국민교육헌장을 이해해야 한류이해가 가능.. 굳이 따지자면 박정희 전두환 노태우 김영삼의 업적임. 요즘 한국언론은 김대중 업적이라 대대적으로 선동하는데 김대중은 한류와 별로 관련없음
@Kim-ig3qq
@Kim-ig3qq Жыл бұрын
한류는 정치인 정부와 무관하게 시작되었습니다.
@MultiNenitah
@MultiNenitah Жыл бұрын
음주가무 노는거 좋아하고 그 와중에 경쟁도 엄청 쌘데 입맛도 졸라 까다로운 한국인 입맛이 맞으면 그게 진정 세계적인것임
@user-tp2rv5vm1x
@user-tp2rv5vm1x Жыл бұрын
10여년 전만해도 미국과 유럽인들 한국사람테 마늘 냄새 난다 김치 냄새 난다고 엄청 싫어하고 쿠사리 줬었다 외국인들 한국 공항 내리면 가장 먼저 김치 냄새 마늘 냄새 이랬다 ㅋ 근데 한국이 문화 강국이 되니까 "김치 맛있어요" 이ㅈㄹ을 떤다 ㅋㅋㅋㅋ 간사한 놈들 ㅋ
@user-ww1mk9pd8x
@user-ww1mk9pd8x Жыл бұрын
지속 가능한 ....역류??
@yohan1004
@yohan1004 Жыл бұрын
한류라는 말은 대만 언론에서 클론 열풍시 처음 사용했다고 여러번 언론에서 언급되었는데, 요즘 한국 언론들 지독하게 자료 조사 안한다 😂
@makeit2924
@makeit2924 11 ай бұрын
아뇨 중국에서 90년대 h.o t나오면서 그때이미 중국에선 한류가 대단했었음 한류라는 말은 중국에서 만든거 맞음~베트남쪽도 마찬가지로 우리나라 배우들 이름 다 알고있고그랬었는데 우리나라에선 그당시 중국 동남아가 워낙 못살던 나라여서 관심자체가 없었었음 무조건 일본만 보고 따라가던 시대였었음~클론이 대만에서 엄청 슈퍼스타되었을때도 뉴스에 잠깐 나오고 사람들은 대만?? 그런가보다 했었었음~ 그러다 일본에서 겨울연가 터지면서 우리나라 문화산업이 경쟁력이 있구나 슬슬 관심갖기시작했었음
@kychoi2653
@kychoi2653 Жыл бұрын
시작은 부산국제영화제가 생길 때부터라고 봅니다. 김영삼정권 때 주라기 공원 언급 이후 2~3년 준비하여 1996년 국제영화제를 그것도 지방에서 개최할 수 있던 때가..
@Kim-ig3qq
@Kim-ig3qq Жыл бұрын
한류의 원천은 88서울올림픽 서울올림픽에 참가한 중국선수단 중국공산당 간부들 그리고 TV로 올림픽을 시청한 중국인들 한국의 발전상에 경악. 서울올림픽의 토대는 경제발전과 자유민주주의 90년대초부터 중국대륙에 한국문화 강타.. 클론에 의해 ‘한류’라는 단어 탄생함. 기원은 1997년 대만에서 ‘하일한류(夏日韓流, 여름에 한국 바람이 불어옴)’라고 표현. 국민교육헌장을 이해해야 한류이해가 가능.. 굳이 따지자면 박정희 전두환 노태우 김영삼의 업적이죠. 요즘 한국언론은 김대중 업적이라 선동하는데 김대중은 한류와 별로 관련없음..
@user-kq6gd8yo6q
@user-kq6gd8yo6q Жыл бұрын
세상사 모든일이 시작이 있으면 끝이있고 정점이 있으면 하락은 필연적인것...아마 한류가 약화된다면 그 첫번째 이유는 지나치게 높아진 배우들에 몸값이 될건 분명한사실...황금알을 낳는 거위에 배를 가르면 황금알을 더 얻을순없듯이 한류에 주체세력인 배우들에 몸값이 지나치게 오르는 순간 경쟁력은 급속도로 나빠질것은 자명한일 그렇기에 균형을 이룰수있는 몸값을 인식하며 발전하는길을 모색해야 오래갈것
@user-po1jt5ri9v
@user-po1jt5ri9v Жыл бұрын
신인쓰면되지롱! 솔직히 지금까지 나왔던 넷플드라마에 한국배우들 세계적 관점에선 신인인데 뭔소리냐?
@user-bw9ub6fn4m
@user-bw9ub6fn4m Жыл бұрын
대중이형 머싯네
@Kim-ig3qq
@Kim-ig3qq Жыл бұрын
한류는 88서울올림픽 계기로 80년대말 중국에서 시작... 김대중은 98년 2월 취임.
@jeo8gye
@jeo8gye 11 ай бұрын
요즘 일루미나티가 유독 한국연예 사업에 관심갖고 지속적으로 밀어주는지 생각해봐야함. 그저 단순히 한국이 운이 좋아서 저게 전부 우연적으로 이루어진 것 같음? 사람들의 이념을 조종하고 괴리감을 줄어들게 하는 것은 대중문화만큼 파급력이 큰게 없어. 일루미나티는 이미 한국을 미국 다음으로 자신들의 요충지로 삼아서 정착하는게 목표라서 대중매체를 통해 충분히 메세지를 주고있고, 이걸 알아차린 사람들에게 자신들의 계획을 알리는 것과 동시에 자신들의 신세계질서에서 도피할 기회도 주는거임. 이지경까지 왔는데도, 오히려 일루미나티를 언급하는 사람들을 정신병자로 몰아가는 사람들은 멍청한거다. 적어도 일루미나티란 존재는 믿지 않아도 어딘가 작위적이고 이상한 부분이 있는 것 만큼은 깨달아야함
@user-sl7yg6mz8c
@user-sl7yg6mz8c Жыл бұрын
1990년대에 중국이 우리 나라 대중 문화를 대충 한류라고 분리한 이유는 세계에서 차이니즈? 라고 많이 물어서 당시 잘 나가는 중국의 대중 문화와 안 섞이게 하고 싶었던 이유인데.. 20여년 뒤 현재는 이게 세계적 K컬쳐로 변했으며, 중국이 현재는 한류도 중화 문화 중 하나라고 우기로 싶어서 안달이 난 이유죠. 역시 사람 인생이나 역사는 모르는 거임. 근데 한가지 알아야 할 것은 과거에도 중국 대중 문화는 없었음. 고생해서 노력한 홍콩의 대중 문화였지. 현재에도 중국 대중 문화는 없음. 한류.. K문화임. 대한 민국 대중 문화라는 말이네요. 과거에도 현재에도 중국 대중 문화는 없음. 과거에도 현재에도 남에 문화에 기생하려는 중국이 그래서 혐오스러움.
@user-uz5nr7od2d
@user-uz5nr7od2d Жыл бұрын
역사상 우리나라가 문화후진국이었던 적이 언제있었냐? 일제시대빼고
@COVID-china
@COVID-china Жыл бұрын
조선중기부터 90년대까지
@user-jm8km6zl4d
@user-jm8km6zl4d 10 ай бұрын
90년대 중반까지 한국의 상업대중문화 수준은 쓰레기 수준이였단다 알고 말해라... tv만 틀면... 외국 플렛폼 나오던 시절이라고
@user-jm8km6zl4d
@user-jm8km6zl4d 10 ай бұрын
90년대 중반까지 정부 차원에서 방송국의 제작을 막음....덕분에 발전 0%...가장 근본적으로 문화진흥법이 제정 되기 전까지.. 유명한 가수들 조차 밤무대 뛰던 시절... 이유 돈없어서... 컨텐츠 제공자 중심의 생태계가 아니라 컨텐츠 유통사 중심의 생태계였지.. 이게 바뀐거 서태지 사건이고..
@jeon4801
@jeon4801 Жыл бұрын
이. 젼~~~온. 제이
@dangun88
@dangun88 Жыл бұрын
김대중 대통령 님하고 지금 윤가하고 비교 하면 한숨만 나온다
@Kim-ig3qq
@Kim-ig3qq Жыл бұрын
한류의 원천은 88서울올림픽 서울올림픽에 참가한 중국선수단 중국공산당 간부들 그리고 TV로 올림픽을 시청한 중국인들 한국의 발전상에 경악. 서울올림픽의 토대는 경제발전과 자유민주주의 90년대초부터 중국대륙에 한국문화 강타.. 클론에 의해 ‘한류’라는 단어 탄생함. 기원은 1997년 대만에서 ‘하일한류(夏日韓流, 여름에 한국 바람이 불어옴)’라고 표현. 국민교육헌장을 이해해야 한류이해가 가능.. 굳이 따지자면 박정희 전두환 노태우 김영삼의 업적임. 요즘 한국언론은 김대중 업적이라 대대적으로 선동하는데 1998년 취임한 김대중은 한류와 별로 관련없음
@user-tp2rv5vm1x
@user-tp2rv5vm1x Жыл бұрын
세계 한류팬 1억 5천명이 많은건가?? 전세계 인구가 80억명인데 80억명 중 1억 5천명은 0.2%정도인건데 대단한건가??
@kuoro987
@kuoro987 Жыл бұрын
그 만큼 파이가 커졌고 자본주의 시대에는 가성비 수요와 공급에 따라 한동안 유지 될 것~ 수요가 끊이지 않도록 콘텐츠 생산력이 중요, 그 중에 터지는 것들이 있기 마련~ 돌고 도는 것
@user-ec5hc1xz2h
@user-ec5hc1xz2h Жыл бұрын
대장금 때문에 .. 한류가 생긴거지 ..
@Kim-ig3qq
@Kim-ig3qq Жыл бұрын
한류의 원천은 88서울올림픽 서울올림픽에 참가한 중국선수단 중국공산당 간부들 그리고 TV로 올림픽을 시청한 중국인들 한국의 발전상에 경악. 서울올림픽의 토대는 경제발전과 자유민주주의 90년대초부터 중국대륙에 한국문화 강타.. 클론에 의해 ‘한류’라는 단어 탄생함. 기원은 1997년 대만에서 ‘하일한류(夏日韓流, 여름에 한국 바람이 불어옴)’라고 표현. 국민교육헌장을 이해해야 한류이해가 가능.. 굳이 따지자면 박정희 전두환 노태우 김영삼의 업적임. 요즘 한국언론은 김대중 업적이라 대대적으로 선동하는데 김대중은 한류와 별로 관련없음
@kyj7353
@kyj7353 Жыл бұрын
김대중 김대중 대통령 당신이라는 사람 참...
@user-zz9lg1tc8z
@user-zz9lg1tc8z Жыл бұрын
이정재 음주운전 전과가 2번 맞나요?
@user-fd3hm3bp4m
@user-fd3hm3bp4m Жыл бұрын
김대중 대통령이 방향제시를 잘했음
@Kim-ig3qq
@Kim-ig3qq Жыл бұрын
한류의 원천은 88서울올림픽 서울올림픽에 참가한 중국선수단 중국공산당 간부들 그리고 TV로 올림픽을 시청한 중국인들 한국의 발전상에 경악. 서울올림픽의 토대는 경제발전과 자유민주주의 90년대초부터 중국대륙에 한국문화 강타.. 클론에 의해 ‘한류’라는 단어 탄생함. 기원은 1997년 대만에서 ‘하일한류(夏日韓流, 여름에 한국 바람이 불어옴)’라고 표현. 국민교육헌장을 이해해야 한류이해가 가능.. 굳이 따지자면 박정희 전두환 노태우 김영삼의 업적임. 요즘 한국언론은 김대중 업적이라 대대적으로 선동하는데 1998년 쳐임한 김대중은 한류와 별로 관련없음
Чай будешь? #чайбудешь
00:14
ПАРОДИИ НА ИЗВЕСТНЫЕ ТРЕКИ
Рет қаралды 2,4 МЛН
Make me the happiest man on earth... 🎁🥹
00:34
A4
Рет қаралды 8 МЛН
Чай будешь? #чайбудешь
00:14
ПАРОДИИ НА ИЗВЕСТНЫЕ ТРЕКИ
Рет қаралды 2,4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