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민족의 문화를 담은 한 그릇, 국수(掬水) / YTN 사이언스

  Рет қаралды 205,540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8 жыл бұрын

현대인들의 간편한 한 끼 식사, 국수.
그러나 조선시대까지만 해도 국수는 왕실과 귀족들의 전유물이었다.
국수에 대한 우리나라 최초의 기록은 고려시대에 등장하나 삼국시대에 중국에서 유학을 한 승려들이 중국 문물과 함께 국수도 들여온 것으로 추측한다.
당시에 재료가 귀해 왕실, 사찰의 행사 같은 특별한 날, 특별한 장소에서만 먹을 수 있었다.
또 백성들은 일생의 잔치를 귀한 국수와 함께 하며 장수, 평안, 백년해로의 염원을 담았다.
우리나라는 풍토 특성상 메밀을 이용한 국수가 발달했다.
선조들은 메밀의 잘 끊어지는 특성 보완하고자 구멍이 뚫린 국수틀을 고안해 반죽을 틀에 눌러 내렸다. 또 메밀에 전분, 밀가루와 반죽하고 칼로 써는 절면을 먹기도 했다.
거기에 특산물을 활용한 고명, 육수를 더해 영양을 보충하면서 지역색을 살린 국수 문화를 발전시켰다.
조선 말기에 들어서면서 국수의 대중화 시대가 열렸다.
왕과 선비들은 냉면을 사 먹기도 했고, 일제강점기의 말린 국수인 건면이 전국으로 확산됐다.
해방 후에는 미국의 식량 원조를 통한 밀가루 수입으로 제면업, 제분업이 발전하면서 국수 소비가 활성화됐다.
1960년대에는 서민들의 굶주림을 채울 수 있는 라면이 등장했다.
당시, 커피 한 잔에 35원인 시절 한 봉지에 10원인 라면! 지금까지도 저렴하게 한 끼를 해결할 수 있는 서민의 음식으로 자리 잡고 있다.
현재는 '웰빙(well-being)'이라는 트렌드에 맞춰 건강을 고려한 국수도 다양하게 생산되고 있다.
귀한 먹을거리이자 염원이었고, 배고픔을 채워주면서 우리 곁에서 언제나 존재했던 음식, 국수. 앞으로도 우리의 발전된 식문화 속에서 새로운 의미를 담아낼 것이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www.ytnscience.co.kr/program/p...

Пікірлер: 68
@user-kw8pb3gt5i
@user-kw8pb3gt5i 2 ай бұрын
이렇게 좋은 방송을 해져서 너무나 감사합니다.
@user-yh1eo2jg7c
@user-yh1eo2jg7c 5 жыл бұрын
내가 어릴때는 먹거리가 없어서 미군이 원조해준 밀가루로 때마다 밀가루 음식을 해먹었다국수는 손이 많이가는 음식이기에 잘사는 집이라야 종종 해먹는 음식이었고 가난한 집은 수제비로 때웠다 그때는 모든 것이 귀해서 대충 소금과 파 마늘 기본적인 것만 넣어도 맛이 있었다 이것도 한두번이 매일 먹으니 질려서 지금은 잘안먹는 편이다 ㅋㅋ
@user-yf5uo2bn4z
@user-yf5uo2bn4z 11 ай бұрын
''😅😅😅😅😅
@elle6498
@elle6498 3 жыл бұрын
좋은 다큐멘터리네요. 이게 무려 10년 전 다큐멘터리였다니... 요즘은 이런거 안 나오나요?
@jetlee2928
@jetlee2928 3 жыл бұрын
6.25는 1950년도에 발발했는데 38:00 쯤에 보면 1945년에 6.25가 발발했다고 하네요?
@jongroklee7192
@jongroklee7192 6 жыл бұрын
대부문 동의히고 픈 내용입니다 만 마지막 부문에 모국수 식당 강석님의 밀기루 음식 국수 소화가 잘 안되고 잡곡국수가 건강에 좋다는 주장에 동의 하지 않아요 밀가루 음식로 만든 국수 중 생면으로 만든 칼국수나 우동 중국집 면 종류는의 경우는 소화가 어렵고 위에 부담을 줍니다 그런데 우리기 흔히 멱는 잔치(멸치국수)의 경우 대부문 건면이기 때문에 살아서 건져 놓으면 몇 시간이 지나도 국가 불지않습니다 또한 소화가 아주 빠릅니다 즉 방송의 객관성이 떨어지는 영업주의 광고성 주장 느낌이 듭니다 전체적으로 참 좋은 내용에 감사드립니다 국수는 실크로드로 중국으로 중국으로 중국에서 한국으로 일본으로 전해 졌죠
@user-qq6hy7dk5o
@user-qq6hy7dk5o 3 жыл бұрын
좋은프로네요
@Doit6611
@Doit6611 4 жыл бұрын
광장시장? 난 여유가 없어서 싫더라 사람에 대한 존경심이 없고 돈으로만 보는듯 오래 앉아 먹으면 눈치줌
@candykrith1232
@candykrith1232 4 жыл бұрын
저만가면 많이 줘요 ᆢ배 터져요
@user-qm1zz6iq5n
@user-qm1zz6iq5n 4 жыл бұрын
냉면.... 소화도 안되고 속 불편한데 맛은 또 드럽게 있고 잘들어가
@h3evj
@h3evj 3 жыл бұрын
잔치국수 존맛..
@user-sk8dt2cl1f
@user-sk8dt2cl1f 3 жыл бұрын
손칼국수 맬 먹그 싶다..모든 면은 다 좋다
@zzang-mathis
@zzang-mathis 6 жыл бұрын
이렇게 좋은 프로그램에 왜 이렇게 역사 오류가 많은지. 일단 고려시대와 당나라가 같은 시대입니까..
@justlikeyou1253
@justlikeyou1253 2 жыл бұрын
한국전쟁 6.25는 1950년인데 다큐에서 1945년이라고 하면 어떡하나요? 후학 교육적 측면 고려하셔야죠?
@user-zz9lr8iy5s
@user-zz9lr8iy5s 4 жыл бұрын
미얀마어로 국수를 kaukswe라고 하는데 한국 국수랑 관련이 있는건가? 그냥 우연히 발음이 비슷한 것일 뿐일까?
@jinchulkang4557
@jinchulkang4557 6 жыл бұрын
종종나오는 멜로디 많이들었다했더니 엔젤비트 ost내
@user-yq7ki7mc9f
@user-yq7ki7mc9f 5 жыл бұрын
Jin Chul Kang 몇분에 나와요?
@user-ls5gb9jh4e
@user-ls5gb9jh4e 3 жыл бұрын
옛날애 매끼 마다 국수을 거위 먹어습니다 보리밥 호박죽 고구마 감자 많있 먹어습니다
@Thanosyeony
@Thanosyeony 6 жыл бұрын
29:22 마님은 왜 돌쇠에게 국수를 주었을까
@user-bm4fp3ug6d
@user-bm4fp3ug6d 5 жыл бұрын
그것도 유두절에ㅋ
@user-ov5zm5rz3v
@user-ov5zm5rz3v 4 жыл бұрын
@@user-bm4fp3ug6d // 하우 두 유~~~~두
@user-ls5gb9jh4e
@user-ls5gb9jh4e 3 жыл бұрын
주인은 살밥 먹고 하인 종한태는 보리밥 국수 먹고 사라습니다
@user-gw1tq7sh8w
@user-gw1tq7sh8w 7 жыл бұрын
철종대왕 대박 ㅋㅋ 냉면 마니아 셧군
@monajung6679
@monajung6679 5 жыл бұрын
나는 면 중에 냉면이 제일 좋다.우동이나 국수는 많이 먹으면 살이 찌는 기분인데 냉면은 밥 대신 매일 먹어도 살이 안 찌는 것 같다.
@derdera9773
@derdera9773 3 жыл бұрын
국수문화를 잘 알고 싶으면 중국에 갈 수 밖에 없어요.직접 보고 먹어봐야지.
@user-wt3gt9pu9l
@user-wt3gt9pu9l 3 жыл бұрын
우리 나라엔~~*왜~?* 베트남 쌀국수~*같이 맛있는 쌀 국수가,없는건 지~?* 밀가루 국수는** 건 강에 ~안 좋아요 👎
@svggridnco9699
@svggridnco9699 3 жыл бұрын
겨울에 냉커피 먹는게 전통이었구만....;;;;
@2jaemyungE
@2jaemyungE 3 жыл бұрын
41:00 부터 나오는 국수는 일제시대 직전에 도입된 일본의 소면이죠. 한국전통이랑 아무 상관없죠.
@user-mp2hs7bu4f
@user-mp2hs7bu4f 6 жыл бұрын
나라도 시원하게 말아먹었지
@user-zb7xq8lc4e
@user-zb7xq8lc4e 4 жыл бұрын
광장시장에서 음식 사먹지 마세요! 불결하고 비싸고 맛 드럽게 없어요.
@user-wt3gt9pu9l
@user-wt3gt9pu9l 3 жыл бұрын
저도**😉*공 감.*👎. 맛 도 없 고**엄청 비싸고 비위생적임* 지저분하죠🤮
@stellaartois9292
@stellaartois9292 4 жыл бұрын
역사왜곡도 작작하자 제목부터 한민족의 문화를 담아? 서민들은 구경도 못했다며?
@ziraltan
@ziraltan 5 жыл бұрын
광장시장 둘이 떡볶이 좀만 먹어도 만원 넘게나오는곳?
@juneohgoe7416
@juneohgoe7416 6 жыл бұрын
掬水........ ㅋㅋㅋㅋ>.
@user-zu7jo7zo7r
@user-zu7jo7zo7r 3 жыл бұрын
보고 있자니 배고파져서 안되겠다! 중도 하차 하고 라면 이라도 끓여 먹을란다.
@user-mp5fb7un8y
@user-mp5fb7un8y 3 жыл бұрын
@clarktyson3461
@clarktyson3461 3 жыл бұрын
광장시장 비싸고 맛없고 불결
@stellaartois9292
@stellaartois9292 4 жыл бұрын
근거를 가지고 방송을 해야지 전부다 추측이냐?
@user-zx5kh5rv4d
@user-zx5kh5rv4d 2 жыл бұрын
ㅡㅡ 한국전쟁이 1945냐? 에휴
@user-pt5mu8vn3s
@user-pt5mu8vn3s 5 жыл бұрын
솔직히 우리나라 면요리는 다른나라들에 비해서 ㅎㅌㅊ...
@geniuskorean2926
@geniuskorean2926 3 жыл бұрын
싸구려 국수 많이 쳐 드세요
@user-yu5tz9pt1t
@user-yu5tz9pt1t 5 жыл бұрын
중놈이지 스님은개뿔
@i_Love_Japan_01
@i_Love_Japan_01 4 жыл бұрын
개독?
@user-yu5tz9pt1t
@user-yu5tz9pt1t 4 жыл бұрын
@@i_Love_Japan_01 개독은 선생께서하세요 ᆢ장독대에정한수떠놓고 (칠성님)하늘님께 당신건강을빌게요
@stellaartois9292
@stellaartois9292 5 жыл бұрын
역사 왜곡도 어느 정도지. 적당히 해라. 26분에 1800년에 한밤에 테이크 아웃을해? 조선시대 밤 9시부터 새벽 4시까지 통행금지 시간에 무슨 헛소리냐
@user-me7he4kl5w
@user-me7he4kl5w 3 жыл бұрын
사대문밖에는 통행금지가 없쥬!
@stellaartois9292
@stellaartois9292 3 жыл бұрын
@@user-me7he4kl5w 사대문 밖에는 통행금지가 없어도 사문대안에 통행금지인데 무슨수로 테이크 아웃을 하나요?
@user-me7he4kl5w
@user-me7he4kl5w 3 жыл бұрын
전쟁통이 아닌이상 뒷 구멍은 다 있어요! 기발한 사람들은 어떻게든 다 빼와요! 내가 많이 해봐서 다 알아요! 드라마에 나오는 그것처럼! 엄청 재미있지!
@jqgj6692
@jqgj6692 4 жыл бұрын
왜 중국이나 일본이나 다른 아시아 나라들은 국수가 다양하게 발전했고 퀄리티도 높고 맛나는대 한국은 거지같은 칼국수 잔치국수 이딴거밖에 없나여?? 멋도없고 품위도없고 , 맛의 깊이도 없고
@user-vu4il8on2u
@user-vu4il8on2u 3 жыл бұрын
님이 맛난 국수요리를 못쳐먹어봐서 그렇쥬 ^^ 설마 시장에서 흔히 파는 값싼 칼국수 잔치국수 이런 것만 먹고 나불거리는건지??
@derdera9773
@derdera9773 3 жыл бұрын
역사 문제 ㅋㅋ
@user-me7he4kl5w
@user-me7he4kl5w 3 жыл бұрын
그건 나도 인정! 아무리 발버둥 쳐봤자 베트남 쌀국수를 못 따라감. 태국 팟타이도 못 따라감! 그런데 평양 옥류관 냉면이나 천서리 막국수등은 세계 어디가도 못 먹음! 천하일미!***
왕실 도자기, 조선백자를 꽃피우다 / YTN 사이언스
46:57
YTN 사이언스
Рет қаралды 132 М.
[이지사이언스] 면의 면을 보다 / YTN 사이언스
18:51
YTN 사이언스
Рет қаралды 77 М.
[柴犬ASMR]曼玉Manyu&小白Bai 毛发护理Spa asmr
01:00
是曼玉不是鳗鱼
Рет қаралды 48 МЛН
Маленькая и средняя фанта
00:56
Multi DO Smile Russian
Рет қаралды 5 МЛН
대전MBC 다큐멘터리 [한국의 맛, 젓갈(2008)]
44:52
대전MBC
Рет қаралды 613 М.
질 들뢰즈 : 차이와 반복의 철학자(기초 이해편)
23:00
지혜의 빛 : 인문학의 숲
Рет қаралды 88 М.
지혜가 담긴 선조들의 겨울나기 / YTN 사이언스
46:49
YTN 사이언스
Рет қаралды 374 М.
[Pick 사이언스] 한반도 분화 가능성, 살아있는 화산은?
13:29
[柴犬ASMR]曼玉Manyu&小白Bai 毛发护理Spa asmr
01:00
是曼玉不是鳗鱼
Рет қаралды 48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