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설의 현상학 : 선험 현상학에 대한 기초 이해(쉽고 간결한 현대철학)

  Рет қаралды 106,042

지혜의 빛 : 인문학의 숲

지혜의 빛 : 인문학의 숲

3 жыл бұрын

#현상학 #후설 #선험현상학
현상학의 창시자, 에드문트 후설. 그의 현상학은 크게 초기와 중기의 '선험 현상학', 그리고 후기의 '생활세계의 현상학'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물론 이러한 구분도 최근 후설의 [유고 문집] 내용을 전제로 할 때 그리 큰 의미는 없지만 말이에요. 어쨌든 이번 강의에서는 후설의 '선험 현상학'에 대한 기초 이해를 시도합니다. 그의 현상학에 관심이 있는 분들의 많은 시청 부탁드릴게요.

Пікірлер: 211
@user-hk4bo5kk6z
@user-hk4bo5kk6z 10 ай бұрын
아! 최고입니다 어려운 현상학을 이렇게 쉽게 그리고 정확하게 설명 할 수 있다는 것은 대단한 일 입니다 우리 사회가 경제적인 발전에도 그 천박성을 벗어나지 못하는 것은 철학의 부재에서 비롯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철학의 대중화에 더욱 힘써 주실 것을 간절히 부탁드리며 노고에 깊히 깊히 감사드립니다 - 필리핀에서 백의서생
@aphilos262
@aphilos262 3 жыл бұрын
후설 현상학 어렵기로 유명한데 이처럼 친절한 설명 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nudieist
@nudieist 3 жыл бұрын
관련 논문을 읽는 도중에 후설의 철학과 퐁티의 철학에 관해 알아보던 중, 발견하게 된 소중한 영상이네요..! 감사합니다:)
@user-dd2rp8sf4w
@user-dd2rp8sf4w 3 жыл бұрын
후설의 현상학, 드디어 만나게 되네요~ 즐겁게 시청하겠습니다!
@Moo-ei2ig
@Moo-ei2ig 3 жыл бұрын
'현상학과 건축이론'이라는 도서에서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이 많았는데 쉬운 예시와 명쾌한 설명으로 해결됐네요. 감사합니다.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도움되었다니 감사하네요~!
@user-kk7zm2eb3b
@user-kk7zm2eb3b 3 жыл бұрын
좋은강의 잘듣고 많이 배우고 갑니다. 쉽고 간결한 인문학 채널의 무궁한 발전을 기원합니다.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dj4no9ls1s
@user-dj4no9ls1s 3 жыл бұрын
처음 듣는 내용의 철학자를 알게되어 반갑고 신선하기까지 합니다. 그러나 쉽게 알아듣기 좋은 설명으로 방송해 주셔어 정말고맙습니다.오래 기대리는 만큼 멋지고 소중한 내용 이렇게 나눔주는 마음 고맙습니다.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늘 열심히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jinyounglee6612
@jinyounglee6612 2 жыл бұрын
와우.. 정말 대단하세요👏👏👏 어려워서 접근도 못했는데.. 어느정도 가닥이 잡혔네요. 감사해요. 정성스런 살명 감사합니다☺️
@hanilgu19
@hanilgu19 Жыл бұрын
철학 입문자입니다. 이렇게 쉽게 이해되도록 개념 하나하나를 설명해서 풀어주시다니 정말 감사드립니다 꾸벅.
@user-sj5tj7xh6z
@user-sj5tj7xh6z 3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어제부터 두번째 시청하고 있습니다. 나이 이순을 훌쩍 넘기고,철학에 관심을 가져 흥미롭게 배우고 있습니다. 수학자에서 철학자로의 전환에 감동 이고 진정한 진보라고 생각 했습니다.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감사 합니다. 늘 健安 하시길 소망 합니다.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철학에 뜻을 두고 공부하고 계시다니 응원해드리고 싶네요. 완전 화이팅~ 입니다. 재밌게 시청하셨기를 바랄게요~
@chanyoungpark6991
@chanyoungpark6991 Жыл бұрын
엄청난 강의네요. 천재적입니다.
@soongsoong123
@soongsoong123 3 жыл бұрын
와 역시 인문학님 너무 감사합니다. 오늘도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봤네요. 철학이라는 접근성이 어려운 학문을 이렇게 쉽게 입문시켜주시다니요..ㅜㅜ 후설 후기 철학과 프레게에 대한 철학도 꼭 기대하겠습니다. 롱~런하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저 또한 후설의 현상학이 칸트 철학의 변주가 아닌가 계속 해서 의심을 했었는데요. 마지막에 그것도 언급해주셨네요. (뭐 초월철학에서 어쩌고 저쩌고..)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항상 좋은 말씀과 응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가다리고 계신 프레게도 조만간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더 재밌게 편집하도록 노력할게요~^^ 감사합니다
@Djejsksocowkw
@Djejsksocowkw 2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주인장님 존경합니다.. 진짜.. 진짜 너무 감사하다는 말밖에ㅠㅠ 저희 대학 커뮤에 주인장님 채널 홍보글 올렸어여 >_
@philosophy1
@philosophy1 2 жыл бұрын
공부하시는데 도움이 되었기를 바랄게요~ 감사합니다!
@1asd251
@1asd251 Жыл бұрын
진짜 21세기 만만세네요.. 이런 고퀄영상을 방구석에서 보다니..
@Outof-representation
@Outof-representation 3 жыл бұрын
이해하기 어려웠는데.. 덕분에 흐름을 잡았습니다 감사합니다!
@sharonjo8787
@sharonjo8787 3 жыл бұрын
반 브레다의 노력으로 후설의 유고가 지켜지고 그 결과로 아르키브가 탄생했다는 이야기는 정말 감동적이네요. 철학은 지혜와 더불어 용기도 필요한 영역인가 봅니다.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vr7vy9id7u
@user-vr7vy9id7u 2 жыл бұрын
정말 소중한 강의입니다.
@youngjongkim1428
@youngjongkim1428 3 жыл бұрын
오늘 처음 들어왔는데, 많이 배웠습니다. 멋지네요.. 명증하고, 유쾌하고, 최신 성과도 반영하고... 감사합니다.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tveduvellertv8149
@tveduvellertv8149 3 жыл бұрын
오늘도 훗셀에 관한 종합적인 명강의 정말 잘 들었습니다^^ 선험현상학은 에포케가 "전제"라고 생각됩니다. 형상현상학은 플라톤의 이데아와 영혼의 상기론에 따른 대상 인식을 연상케하는데, 본질이 앞선다고 하면서 자연(또는 신)에 대한 에포케로 가는 과정이 잘 이해가 안됩니다. 일상의 우연 세계에서 순수본질,이념의 세계로 선험적환원을 하면 순수의식이 남는다. "선험"이라는 용어가 플라톤의 용어인데, 순수의식은 이데아를 인식하는 영혼으로 들리기도 합니다(차이는 큽니다만). 체험의 두 레벨 : 감각 대상을 직관으로 인식 + 의미 부여, 질료와 노에시스- 객관대상을 구성, 노에마로 얻어짐. "직관" "명증(자명)" 다시 한번 감사말씀드립니다^^ 생활현상학도 기대됩니다^^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교육하는 여행자님께서 이번 영상 내용도 멋지게 잘 정리해 주셨군요~ 감사합니다. 특히 ‘에포케’를 하나의 전제로 보신 점 날카롭네요~ 무전제성의 원리는 어찌보면 우리 인간이 실현할 수 없는 비현실적 이념인지도 모르겠습니다 ^^ 후설은 본질이 사실에 앞선다고 하면서도 이러한 본질을 우리가 직관하기 위하여 자연적 태도에 대한 에포케를 요청했죠. 이것은 그에게 있어서는 순수의식의 발로를 위한 인식론적 준비 단계였을 겁니다, 물론 오늘 우리가 보자면 논리적 과정에 기초한 상상적 결과물에 다름 아닌 것이지만 말이에요. ^^ 밤 새 비가 많이 내렸는데 안전에 유의하시구 즐거운 하루 보내시길 바랄게요. 다음 강의도 열심히 준비하겠습니다~~~
@Sajana2000
@Sajana2000 3 жыл бұрын
항상 흥미로운 콘텐츠, 친구. 정말 감사합니다.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Ditisa Channel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user-uv8il9js1c
@user-uv8il9js1c 3 жыл бұрын
다음편 너무너무 기대돼요ㅠㅠㅠ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벌써 다음 편 가다려주시다니 제가 더 열심히 해야겠네요~^^
@user-ht5cu9yx5o
@user-ht5cu9yx5o 3 жыл бұрын
유익한 강의에 감사드립니다.
@kklimnyou
@kklimnyou 3 жыл бұрын
열공 시켜 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rg6dm8qu8i
@user-rg6dm8qu8i 2 жыл бұрын
몇개의 방송을 시청했는데 하나같이 설명이 간명하고 친절해서 초심자가 접근하기 너무 좋습니다. 강의 실력이 탁월하신 점에 만족하면서 감사의 박수를 보냅니다. 앞으로도 열심히 공부하며 따라 가겠습니다. 더 좋은 강의 기대합니다. 고맙습니다~~
@artypartylee5558
@artypartylee5558 Ай бұрын
'선험 현상학에 대한 기초 이해'를 주제로 이해하기 쉽고 명쾌한 설명, 넘 감사합니다. 영상을 몇 번이고 계속 보면서 후설의 철학적 사상의 흐름을 이해하게 됐네요. '의미부여'에 대해 생각했던 경험이 있는데 후설의 사상에서 다뤄진 부분이라 더욱 관심이 갔네요. 철학은 잘 모르지만 좋은 영상들 만들어주신 덕분에 많은 거 배우고 있습니다. 언제나 행복하시구요 화이팅입니다 😊
@maum4893
@maum4893 Жыл бұрын
진짜 좋아요. 설명의 천재시네요~
@user-sd3ni4fi9x
@user-sd3ni4fi9x 21 күн бұрын
와우 대단하십니다. 후설에 대해서 이렇게 자세하게 친절하게 설명하시다니..
@user-gf7ol3vq2q
@user-gf7ol3vq2q 3 жыл бұрын
후설의현상학 다뤄주실줄이야 ㅎㄷㄷ 앞으로도많은 기대하겠습니다.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기태영 후설의 현상학, 무게감이 있는 주제죠~ 그래도 피하지 않고 한번 다뤄봤네요. ^^ 이번 영상이 좀 긴 이유도 그래서인데, 그래도 관심 갖고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지속적으로 좋은 콘텐츠 제작하도록 노력할게요~^^
@Garden577
@Garden577 Жыл бұрын
후설이 주장한 선험현상학의 순수의식은 spiritual 한 요소가 담뿍 있네요. 그리고 불교의 인식론 설명에 매우 유사하고요. 즉 6식, 7식, 8식의 특성등
@user-nc7rj2yd6w
@user-nc7rj2yd6w 2 жыл бұрын
아주 도움됩니다.감사합니다.
@Yerang_TV
@Yerang_TV 3 жыл бұрын
선뜻 다가가기 어려운 인문학을 귀에 쏙쏙 들어오게 설명도 잘해주시네요. 앞으로 자주 방문해서 많이 배우고 가겠습니다.^^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예랑TV님 감사합니다
@user-ug2el2mr5k
@user-ug2el2mr5k 6 ай бұрын
주변 분위기 파악하기에 좋은 내용이네요.
@HealthytableLemontree
@HealthytableLemontree 3 жыл бұрын
어려운 내용을 잘 설명해주시네요~ 깔끔하고 듣기 좋은 목소리가 너무 좋네요^^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 자주 뵐게요~^^
@Ky8129
@Ky8129 3 жыл бұрын
#후설의 #현상학 #선혐현상학 오늘도 자세한 설명 넘 감사합니다. 잘 듣고 갑니다. 좋은 시간되세요~ ^^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재밌게 보셨다니 제가 감사하네요. 저녁 잘 보내시고요!
@user-fx6po8gr2m
@user-fx6po8gr2m 3 жыл бұрын
쉽게 설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됩니다.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tt9xm4nj8i
@user-tt9xm4nj8i 2 жыл бұрын
공부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cx4fo4sv6l
@user-cx4fo4sv6l 3 жыл бұрын
16:47 현상학의 출발점 17:58 명증 19:14 엄밀한 학 20:16 지향성 22:47 현상학적 환원 28:02 에포케 33:36 정리
@12kowa
@12kowa Жыл бұрын
무지렁뱅이로 철학에 대해 큰 갈망이 있었는데 한줄기 빛을 본 것 같습니다. 너무 감사합니다
@weugq1837
@weugq1837 3 жыл бұрын
다음편 기대되요 ! 최신 경향 반영 ㅜㅜ!
@What-ee6bv
@What-ee6bv Жыл бұрын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freemodifier
@freemodifier Ай бұрын
너무 유익한 강의입니다! 뒤늦게 발견했는데 방송은 아직 안 올려주셨나 보네요. 곧 기대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iw7zt7qb2n
@user-iw7zt7qb2n 3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잘보고 갑니다~~ 편안한 저녁 시간 보내세요~^^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기야티비 감사합니다. 기야티비님. 앞으로 자주 뵙길 바랄게요~
@jasmine4866
@jasmine4866 3 жыл бұрын
너무 설명을 잘해주셔서 제가 똑똑해질거 같아요 ㅎㅎ 좋은 채널 고맙습니다 👍👍👍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HissingGeotrauma
@HissingGeotrauma 2 жыл бұрын
잘봤어요 후설에 대해 이해가 깊어졌어요.
@SolitaryVegetarian
@SolitaryVegetarian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jk6wb
@---jk6wb 3 жыл бұрын
지렸다 개쩐다 이 영상은 혁명이네요
@tv1972
@tv1972 3 жыл бұрын
잘 듣고 갑니다~^
@HugoWKim
@HugoWKim 2 жыл бұрын
I enjoyed your lecture. Many thanks. Washington
@springtreespringtree8933
@springtreespringtree8933 2 жыл бұрын
여지껏 들어본중에 가장 이해하기가 좋았읍니다
@MC-ni4dz
@MC-ni4dz Жыл бұрын
와. 교수님 설명 정말 잘하십니다😮
@woogun
@woogun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lebeka58k84
@lebeka58k84 3 жыл бұрын
책으로 보다가 후설 현상학 너무 어려워서 좌절 ? ㅋ 했는데 . 쌤의 강의 들으니 얼마나 귀에 쏙쏙 들어오는지요 나머지 올라온 강의도 보려고요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rs7nj4hq4w
@user-rs7nj4hq4w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후설을 비롯한 여타 철학자들의 강의영상을 잘 보고 있슴니다. 한 가지 질문이 있는데 혹시 다음 후설편 '생활세계의 현상학'은 언제 촬영 예정이신가요? 너무 보고싶어서 질문드려요! 😊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재밌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생활세계 편도 촬영해야 하는데 여러 일정 상 늦어지고 있네요^^; 가급적 가까운 시일에 촬영할 수 있도록 해보겠습니다~
@dayounglee5845
@dayounglee5845 2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JumeoniArt
@JumeoniArt 2 жыл бұрын
헉 재생 목록 켜놓고 잠들었네요 ㅠㅠ 그래서 다시 정주행. 🤗
@philosophy1
@philosophy1 2 жыл бұрын
그러셨군요. 더운 여름에 철학공부까지~ 하시고 멋진 유친님이십니다. 홧팅!
@user-pv4gb3tu2z
@user-pv4gb3tu2z 3 жыл бұрын
인문학은 배울수록어렵지만 덕분에 그나마이해하는거같아 감사합니다.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조재현 그렇죠. 철학이 난해한 면이 있어서 부담을 느끼는 분들도 많은데, 그래도 차분하게 접근하다 보면 결국 인간의 이야기라서 우리의 마음 속으로 들어오게 된답니다. ^^ 관심 가져주셔서 감사드리며, 더 좋은 콘텐츠 제작하도록 노력할게요~
@user-sk2ey2rh7g
@user-sk2ey2rh7g 3 жыл бұрын
철학 설명영상 어려운분야 풀어서 쉽게 자세히 설명해주시는 영상 즐청하면서 구독합니다 좀더 시청해봐야 조금 이해 될것 같읍니다 행복하세요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좋은 주말 보내세요
@vlog-lj7iy
@vlog-lj7iy 3 жыл бұрын
어렵게 느껴질수 있는 인문학을 쉽고 간결하게 소개해주는 아주 유익한 채널을 운영하고 계시는군요!! 저도 이웃맺고 👍로 응원하고 가요👍 더 많은 사람들이 이런 유익한 채널을 알게되면 좋겠어요😊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투복치의 미국일상vlog 큰 칭찬을 주셨네요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user-dj4no9ls1s
@user-dj4no9ls1s 3 жыл бұрын
저는 이 소중한강의 우리 일상의 삶에 즐거운 시간을 위해 한분이라도 더~~f_book 에도 옮겨 홍보하고 있습니다.
@juliasalon2512
@juliasalon2512 3 жыл бұрын
신짜오 😄 고정불변의 진리 쉽고 간결한 인문학 강의를 길지만 풀청 합니다 행복한 시간되세요 😄😄😄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유친님!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PiGbAr04
@PiGbAr0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haruim9836
@haruim9836 3 жыл бұрын
목소리도 좋고 어렵지 않아서 전기자전거를 타고 이어폰을 끼고 듣기 좋은 방송 추천 점수 +1점 😁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하루성장 HARUIM 칭찬 감사합니다
@samuelshin929
@samuelshin929 3 жыл бұрын
질문있습니다. 선생님의 강의를 듣고 있다보니 후설의 이론이 칸트의 이론과 별반 다르지 않다고 생각이 드는데요, (제가 잘못 알아들었는지 모르겠지만) 차이가 있다면 어떤 차이가 있는지 혹시 설명해주실수 있으실까요? 참고로 구독했습니다~^^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새구독자님 반갑습나다! 칸트와 후설은 그 논증 방식부터가 다르답니다. 칸트가 단계적 논증의 절차로 인간 인식의 구조를 해명하고자 한다면 후설은 애초에 그 인식을 논증이 아닌 하나의 개시로 드러내고자 하는 것이니까요. 이 두 사람의 철학적 차이점에 대한 참고문헌도 강의 중에 나온답니다. 혹 읽고자 하신다면 여기 제목 다시 알려드릴 수 있으니 필요하시면 말씀 주세요~!
@samuelshin929
@samuelshin929 3 жыл бұрын
@@philosophy1 답변 감사합니다.
@Brightsmile
@Brightsmile 3 жыл бұрын
쉽고간결한 인문학이군요. 좋은 채널을 운영하십니다. 손잡고 응원 시작합니다. 서로 돕고 지내요.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밝은미소 Brightsmile 밝은미소님 방문 덕분에 분위기가 밝아졌습니다. 방문 감사드리며, 서로 좋은 이웃으로 소통하며 응원하며 지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ki4be9wv2i
@user-ki4be9wv2i 3 жыл бұрын
잘 설명해주시네요~^^ 싑고 간편한 인문학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송경복작가의 세계. Vlog 감사합니다~!
@user-eo2tn4sr5j
@user-eo2tn4sr5j 3 жыл бұрын
좋은 설명 잘 듣고 갑니다.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도움 되었기를 바랍니다~!
@haruim9836
@haruim9836 3 жыл бұрын
쉽고간결한 인묵한님 진짜 취향 저격 하루성장이 좋아합니다 아직.... 작가의 꿈은 버리지 못해서 인문학 관련한 서적도 많이 보면서 참고해서 글을 써 보기도 했거든요 수필과 소설을 올리긴 하는데 여전히 어려워서 가끔은 이렇게 인문학 책이나 고전 문학책을 보면서 시간을 보내는데 제 취향에 딱 맞는 인문학님의 영상들이 있어서 행복합니다 감사합니다 성장 점수 +1점 앞으로 함께 성장해요 응원할께요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인문학에 깊은 뜻을 두고 계신 분이네요. 반갑습니다. 앞으로 서로 응원하면서 성장하도록 해요~ 멋진 작가가 될 수 있도록 홧팅 외쳐드릴게요~ 주말입니다. 즐겁게 보내시구요~
@user-vl9gw7fw6s
@user-vl9gw7fw6s 3 жыл бұрын
그어려운 후설의 현상학을 정말 쉽게 접근하도록 강의해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공부에 도움 되기를 바랍니다~!
@kimws33
@kimws33 3 жыл бұрын
귀하신분이 유친되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영상 잘 보고 엄지척 21하고, 9독하고, 선물도 드리고 갈게요. 고맙습니다. 시간내어 다시 들을게요.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멋진 이웃님 생겨서 저도 매우 기쁘네요. ^^ 앞으로 자주 소통하면서 지내겠습니다. 비가 자주 내리는 요즘, 안전한 귀가길 되시기를 바랄게요 ^^
@hyung-yulcho841
@hyung-yulcho841 Жыл бұрын
1) 교수님의 성함은? 2) 많은 과학 용어가 일본어의 용어를 우리가 한자를 읽는 식으로 강의가 되어왔고요 동음어가 많은 단어를 한글로 표시하시니가 이해 속도가 표의 문자보다 느리고요 원어인 독일어는 같은 라틴어근본을 둔 영어와 비슷해서 이해가 빠를 수 있습니다. 모쪼록 원어나 영어 어휘와 한자로 표기 하시면 이해 속도도 빠르고 외국 서적을 읽을때에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jk6wb
@---jk6wb 3 жыл бұрын
혹시 강의나 과외같은건 따로 안하시나요? 진심으로 좀 배우고 싶네요 진짜 설명을 너무 잘하세요 미친거같아요 이런분은 처음봤어요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재밌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shong4721
@shong4721 10 ай бұрын
감사!!!
@user-cv5hz3qx6e
@user-cv5hz3qx6e 3 жыл бұрын
인문학이야 말로 현재 제일 중요하고 소중한 학문이죠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그렇죠. 인문학의 소중함을 얘기해주셔서 감사합니다
@kimkyungmi4119
@kimkyungmi4119 11 ай бұрын
진심 감사합니다 제가 드릴 수 있는 건 좋아요, 구독 뿐이네요~~
@user-jk4gy1hj7n
@user-jk4gy1hj7n 2 жыл бұрын
전공 읽다가 현상학이 도무지 이해가 안 돼서 몇 개 관련 영상 찾아보는데 여기서 제일 만족하고 갑니다 무슨 느낌인지는 알겠는데 너무 추상적이고 사변적인 거 같아요..
@user-10sound
@user-10sound 3 жыл бұрын
봉경미시낭송카페님과 함께 좋은 영상 응원합니다
@grbc6204
@grbc6204 Жыл бұрын
대학생때 현상학 배웠는데 "육화된 코기토" 이것만 기억이 납니다
@ymo5983
@ymo5983 3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 처음들어보는저도 어느정도는이해할수 있도록 풀어서얘기해주시니 좋습니다 철학자이름은 못외우지만요ㅋ 조금씩 알아간다는것에만 만족하면서 배울께요 수고하셨습니다 감사합니다 ♡♡♡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산골아줌마다현 내용이 넘 길어서 부담 느꼈을 수도 있겠네요. 그래도 조금씩 알아가신다니 보람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____9101
@____9101 2 жыл бұрын
멋진 강의입니다. 우연히 오늘 만났지만 구독을 안 할 수가 없네요.^_^ 진정한 철학은 철학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역시 이해하기 어려운 것들이 있군요. 물론 복잡하고 깊이있는 철학을 짧게 요약.설명해서 이해시킨다는 것은 무척 어려운 일이겠지요. 오늘 훗설의 현상학을 설명함에 있어 조금 아쉬운 점은 칸트의 인식론과 비교해서 설명했다면 더 좋지 않았을까... 칸트와 훗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설명했더라면 이 둘을 이해하는 데 더 쉬웠을 듯 해요. 여하튼 앞으로 즐겁고 유익하게 영상을 보겠습니다.
@TV28457711
@TV28457711 3 жыл бұрын
인문학 왠지 다시 고딩으로 돌아가는 느낌?? 이랄까요 ㅎㅎ 목소리 너무 좋으십니다. 종종 들러 응원하겠습니다. 화이팅입니다~~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창규TV 칭찬 감사합니다 앞으로 자주 뵐게요!
@TV28457711
@TV28457711 3 жыл бұрын
@@philosophy1 감사합니다. 행복한 저녁시간 되세요~~^^
@user-od6we4yo6g
@user-od6we4yo6g 2 жыл бұрын
👍👍👍
@user-je8ft6tx3u
@user-je8ft6tx3u 3 жыл бұрын
아이쿠! 저같은 무지랭이가...풀청으로 응원해 드립니다~하하하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기묘한이야기 영상이 길었는데 풀청까지 ^^ 감사합니다~!!!
@beginofsquare
@beginofsquare 3 жыл бұрын
현상학 말로만 들어본 것인데 이렇게 자세한 설명을 들으니 더 좋네여 영상 잘보고 갑니다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네에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었기를 바랄게요 😃
@user-10sound
@user-10sound 3 жыл бұрын
지금 시대에 꼭 필요한 인문학적 사고력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hyun6139
@hyun6139 3 жыл бұрын
자연적 태도를 버리고 현상학적 환원으로 주관이 객관을 직관한 사례를 실생활에서 예를 하나 들어주실수 있나요?
@OHGEONSOOphotoroom
@OHGEONSOOphotoroom 3 жыл бұрын
816♡♡♡47 생각해보지도 않은 논리를 열심히 강의해 주시네요 굉장한 지식을 많이 알고 계신거 같아요 오늘 배워갑니다 열심히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오건수 leekr5255 방문과 인사 감사합니다 앞으로 자주 뵐게요.
@youngjuchung8279
@youngjuchung8279 2 жыл бұрын
와~ 정신없이 듣고 구독 좋아요 누릅니다. 보석같은 강의네요.^^
@user-hs5pg2nu7f
@user-hs5pg2nu7f 2 жыл бұрын
흰배경에 삼각형이 그려진 이미지 파일을 입력해서, "삼각형" 이라는 결과가 나와야하는 프로그램을 만드는 프로그래머는, 현상학적 환원을 하고 있는 걸까요? 이미지라는 시각적 데이터를 숫자의 배열로 받은것 이외에는 어떠한 경험과 직관을 사용할수 없고, 오직 프로그램 언어로만 내가 왜 삼각형이라고 생각하는지에 대해 기술해야한다면, 이제까지의 판단은 강제로 중지되고, 오직 이성만으로 작성된 코드는 순수한 의식의 결과물일까요?
@hfbug580
@hfbug580 3 жыл бұрын
댓글 타고와 인사드려요 ㅎㅎ 좋은 내용을 쉽고 재미있게 설명해주시는 것 같아요 ㅎㅎ 이웃 맺고 갑니다~~ 응원할게요!!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전우주적 챌린지 반갑습니다 인문학과 함께 유익한 소통하며 지내길 바랄게요
@user-globalgrammar2752
@user-globalgrammar2752 10 ай бұрын
칸트는 인간 인식의 한계를 결론내고싶어했고 훗설도 인간판단 오류의 심각성을 깨닫고 수학과같은 무오류 판단에 이를수 는 없을까를 고민했네요 흔히하는 판단착오를 없애보기위해 일단 판단을 보류해보았으며 선험적으로 존재한다고 생각된 본질을 찾아가기위해 자기의식 깨끗이 해보기를 했네요 순수의식이 순수본질과 맞닥뜨리면 순수판단이 나올거라는 대전제가 과연 성공했나요 남은건 방법론뿐인것같고 방법론도 순수의식과 순수본질이라는 대전제만 덩그러니 남게되지나 않았을까 걱정됩니다 산넘어 가면 파랑새가 있다는 동화책 같기도 합니다
@eunice5069
@eunice5069 3 жыл бұрын
우와 이런 어려운 내용을 감사해요~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Eunice북런치 방문 감사합니다. 북런치님 ^^
@berrymerry8061
@berrymerry8061 2 жыл бұрын
공부 : 학문이나 기술을 배우고 익힘 철학 : 인생 세계 등등에 연구하는 학문 종교 : 신이나 초자연적인 절대자 또는 힘에 대한 믿음을 통하여 인간 생활의 고뇌를 해결하고 삶의 궁극적인 의미를 추구하는 문화 체계 인생 :.공부 철학 종교를 떠나 영원히 알 수 없는 것
@Z-guitarfreak
@Z-guitarfreak Жыл бұрын
선험은 개인마다 차이가 있나요 없나요 ? 차이가 있다면 선험은 존재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선험마져도 판단중지의 대상이어야 하지 않나요 ?
@mamasfast-trackstatistics5001
@mamasfast-trackstatistics5001 2 жыл бұрын
판데믹의 예상치못한 긍정적효과로구나~ 후설의 초월현상학을 이렇게 들을 줄이야. 강사님 훌륭하십니다. 강사님 논문도 쓰시나요?
@user-xz5pl9sm6b
@user-xz5pl9sm6b Жыл бұрын
배경소리가 요란한데 강의를 청취하는데 방해가 되요 깜짝깜짝 놀라게 되요
@MyHungaryStory
@MyHungaryStory 3 жыл бұрын
☘☘☘현상학적 환원. 전제를 설정하지 말아야. 🍁🍁🍁경험전에 선험적 의식이 있어요. 🌻🌻🌻다 편견을 가지게 하는군요. 심리에서 나오는 판단. 경험 심리학 기술 심리학. 직관적인 판단을 순수의식이라 하는거네요? 현상학적 태도와 자연적 태도. 프랑스 문학 어린왕자를 보면 경험에서 보는 어른들의 고정된 생각과 시각이 아니라 직관적으로 다르게 느끼고 보는 것이 나오는데 비숫하네요. 순수할수록 본질을 잘 보는 것 같아요. 많은 사람들이 선험적의식과 이념의 페러다임에 갇혀서 보고 느끼고 판단하는 것 같아요 잘 봤어요. ⚘⚘⚘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헝가리 스토리_My Hungary Story 무전제성의 원리, 결국 철학이 여타의 학문들과 다른 점이 바로 이것이라는 생각을 해본답니다. 관심있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ir2bs3gh9o
@user-ir2bs3gh9o 3 жыл бұрын
저 이제 선생님 없으면 어디가서 아는척 못해요.. 항상 감사합니다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재밌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lee-tx3pg
@lee-tx3pg Жыл бұрын
생활세계현상학도 빨리 올려주세요~~
@user-vr1ki6ih8y
@user-vr1ki6ih8y 8 ай бұрын
당신자신이.ㅡ현상학이지.ㅡ너자신을알라.ㅡ세계현상학.ㅡ이지..ㅡ
@user-hr6qy8ji6g
@user-hr6qy8ji6g 3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질문이 있습니다. 단 자하비의 을 읽고 있는데 후설의 현상학을 초월론적(선엄적) 관념론이라고 소개하는데 후설의 철학을 관념론으로 이해하는 맞는 건가요?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단 자하비는 후설의 현상학을 주관적 관념론으로 해석하는 것이 지나친 단순화라고 비판하고 있습니다. 말씀하신 책 127페이지에서 그는 “초월론적 관념론이 자신 안에 자연적 실재론을 포함하고 있다고 이야기한다.” 라고 말하고 있답니다. 이점 잘 참고하세요~
@user-hr6qy8ji6g
@user-hr6qy8ji6g 3 жыл бұрын
@@philosophy1 감사합니다🥰
@user-vm9yp1jf1s
@user-vm9yp1jf1s 3 жыл бұрын
고정불변의 진리 생활세계의 현상학 제가 엄청 열심히 들었습니다~^^
@philosophy1
@philosophy1 3 жыл бұрын
동화의 민족 열심히 수강하신 동화의 민족님.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유익한 내용이었기를 바랄게요
@Jason1209374
@Jason1209374 2 жыл бұрын
선험 현상학과 초월론적 현상학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후설의 현상학을 기술하는 여러 책들을 보면 두가지를 서로 대체 가능한 용어로 쓰고 있는거 같아서요.
@dara-pw9li
@dara-pw9li 2 жыл бұрын
같은 독일어 transzendental이 '선험'으로 번역되기도 하고 '초월' '초월론'으로 번역되기도 합니다. 같은 말입니다.
@Jason1209374
@Jason1209374 2 жыл бұрын
@@dara-pw9li 답변 감사드립니다. :)
존 듀이 : 메타윤리학(카르납의 이모티비즘'emotivism'과 그의 해결책)
15:06
지혜의 빛 : 인문학의 숲
Рет қаралды 10 М.
헤겔 : 정신현상학(쉽고 간결한 고전 읽기)
39:47
지혜의 빛 : 인문학의 숲
Рет қаралды 101 М.
Final muy inesperado 🥹
00:48
Juan De Dios Pantoja
Рет қаралды 19 МЛН
Каха ограбил банк
01:00
К-Media
Рет қаралды 10 МЛН
Vivaan  Tanya once again pranked Papa 🤣😇🤣
00:10
seema lamba
Рет қаралды 22 МЛН
A pack of chips with a surprise 🤣😍❤️ #demariki
00:14
Demariki
Рет қаралды 55 МЛН
비트겐슈타인 : 언어게임(쉽고 간결한 현대철학)
25:08
지혜의 빛 : 인문학의 숲
Рет қаралды 49 М.
알베르 카뮈 - 부조리한 삶을 살아야 하는 이유
26:44
지혜의 빛 : 인문학의 숲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
자크 데리다 - 차연과 해체의 철학자(쉽고 간결한 현대철학)
21:07
지혜의 빛 : 인문학의 숲
Рет қаралды 45 М.
스피노자 : ‘범신론’과 형이상학 기초 개념 (쉽고 간결한 근대철학)
27:13
이슬람이란 무엇인가? - (기독교와 어떻게 다르며 신학적 특징은 무엇인가)
13:57
말랑말랑하게 만든 무시무시한 헤겔의 정신현상학
31:33
5분 뚝딱 철학
Рет қаралды 61 М.
Final muy inesperado 🥹
00:48
Juan De Dios Pantoja
Рет қаралды 19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