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금나라의 비밀, 황남대총 / 기마민족의 후예를 알리다 [역사실험] KBS 1997.04.06 방송

  Рет қаралды 44,694

KBS 실험실

KBS 실험실

2 жыл бұрын

남북길이 120M 높이 22M 의 사상최대규모의 무덤 황남대총은 신비에 쌓인 신라역사의 시원을 묻는 출발점으로 삼국시대 고구려 백제무덤양식 과는 전혀 다른 적석목곽분의 양식으로 조성된 고분이다 . 한반도에서도 신라 땅에서만 신라땅에서도 오직 초기 고분에서만 발견되는 금관을 비 롯 수만점에 달하는 호화로운 황금유물과 함께 이곳 황남대총에 뭍힌 이들은 바로 신라 지배계층인 김씨왕조 내물왕과 왕비인 보반부인으로서 신비에 싸인 고대국가 신라를 건립 황금문화를 꽃피웠던 유라시아 문화를 지닌 기마민족의 후예들인 것이다

Пікірлер: 51
@user-uh2bs1mz2m
@user-uh2bs1mz2m 3 ай бұрын
김씨왕족들 시조는 흉노족 김일제라고 하던데
@msrt9860
@msrt9860 3 ай бұрын
57:54 아놔 식민사관 반도사관 지긋지긋
@AlcoholeMachine
@AlcoholeMachine 2 жыл бұрын
이것과 같이 연속으로 보시면 좋은게 '문무왕비문의 비밀 / 1편 신라 김씨왕족은 흉노의 후손인가' KBS 다큐편을 보시면 됩니다. 좀더 구체적으로 누구로부터 신라 김씨 왕조가 왔는지 알게 됩니다.
@Julian_606
@Julian_606 4 ай бұрын
개소리임, 조선왕조가 당나라 이씨왕조가 조상이라고 한것처럼 헛소리이고 경북탄압이 심했던 노무현때 제작된 다큐멘터리임
@user-wn5be1st4u
@user-wn5be1st4u 2 жыл бұрын
스키타이!! 중앙아시아 돌궐 훈족의 후예들!!! 신기한건 어떻게 내려온거죠??
@user-mi8ln4pe3f
@user-mi8ln4pe3f Жыл бұрын
342년 전연 기마병 1만5천명이 고구려 침략 전쟁때 고구려 고국원왕의 동생 고운에게 패하고, 동해안으로 도망친 뒤에 동해안 해안 도로를 통해서 경주와 김해로 들어가서 왕권을 찬탈하고 왕이 되었다 신라는 미추왕, 내물왕으로 이어져 선덕여왕까지 히타이트 성골이 왕이 되었다 선덕여왕은 백인으로 피부가 백옥같이 희고 아름다웠을 듯 내물왕으로 이어지는 신라 성골 히타이트 왕족은 키도 크고, 지증왕 거시기는 45cm로 사이즈 맞는 왕비를 찾는 설화가 존재한다 신라왕은 170`~180CM 이상으로 거구를 자랑한다. 지증왕은 왕위에 오를 때 나이가 60이 넘었으나 70대 후반까지 왕이었다 내물왕은 왕위를 45년간 이어져 왔으므로 내물왕전에 김씨왕이 존재했을 것이고, 그게 미추왕인데 석씨왕을 몰아내는 쿠데타를 숨기기 위해 미추왕을 석씨왕 2대 위로 올려났으니 한마디로 왕의 계보가 엉망인데. 속내를 들여다보면 내물왕이 어릴때 왕위에 올랏으믕로 미추왕이 주도적으로 석씨를 몰아냈을 것이다.
@user-hd9db7wb3j
@user-hd9db7wb3j 8 ай бұрын
스키타이 헝가리 알타이 카자흐스탄 죄다 엮어있다…신라는 기마유목전투 민족이였다…초원의길에 다 이어져 있다
@Julian_606
@Julian_606 11 ай бұрын
로만 글라스 가 무역이 아닌 이유가 신라가 건국된 서기 4세기 중반에만 발견되고 이후에는 발견되지 않음, 그리고 가야, 백제, 고구려 어디에도 단 한번도 발견되지 않음, 무역이라면 후대로 갈 수록 더 발굴되야 하는데 아예없음
@hojunelee6398
@hojunelee6398 4 ай бұрын
양식이 비슷한건 어떻게 설명?
@user-qx3wo2lg2h
@user-qx3wo2lg2h 23 күн бұрын
로만 그라스는 신라 출신으로 게르만족을 이동케하고 로마패망을 이끈 아틸라 사신들의 선물로 보임
@user-ny9yn7zx5q
@user-ny9yn7zx5q Жыл бұрын
훈족의 후예들이 맞는거 같다 한때 북쪽의 초원을 지배하고 한족을 압박했던 사람들이다!
@user-mi8ln4pe3f
@user-mi8ln4pe3f Жыл бұрын
스키타이 왕족으로 훈족의 나라에서 경주로 온 황금보검의 주인이 이를 증명한다 신라 김씨왕은 북흉노 중에 히타이트인으로 백인 종족이다. 김일제는 남흉노 휴도왕의 태자로 전한시기에 높은 벼슬을 되물림하다가 왕망의 신라에 가담했다가 광무제를 피해 김해, 경주로 뱃길을 이용해서 이동하였다 이들은 김일제로 이어지는 김알지 남흉노 김씨로 히타이트는 아니다 342년에 경주에 기마민족으 들어오는 데, 이들이 히타이트인이고, 김알지 김씨와 합쳐서 성골인 내물왕 김씨가 되었다. 내물왕부터는 신라 김씨왕의 체격이 어마무시하게 컸다고 하고, 거시기는 45 cm 에 달하였다
@user-du4bz6dw9b
@user-du4bz6dw9b Жыл бұрын
@@user-mi8ln4pe3f 아놔... 45cm는 좀... 아무리 서양인 거시기가 크다 해도 45cm가 말이 됩니까? 그걸 바지 속에 어떻게 넣고 다녀요? ㅋㅋㅋ
@user-hd9db7wb3j
@user-hd9db7wb3j 8 ай бұрын
유럽 개 박살낸 민족이 훈족 헝거리임
@user-nr5fh9jq6v
@user-nr5fh9jq6v 10 ай бұрын
즉 지금의ㅈ경주 경상도부분에서는 말의 존재가 유명무실 즉 대륙 흉노족과 연관서이 많으며 대륙을 지배하던 신라종족임을 증명한다
@ilovemate
@ilovemate 2 жыл бұрын
사슴이 아니라 순록관
@jasonjung395
@jasonjung395 3 ай бұрын
적국이 서술한 역사를 후세에게 가르치는 엽기적인 나라.
@user-wx6ut6em3w
@user-wx6ut6em3w 2 жыл бұрын
자유평화행복감사통일
@user-eh1zo1ki7t
@user-eh1zo1ki7t 7 ай бұрын
황금제국~~유라시아~코리아..신라..아리안.스키타이민족..😂🎉😅
@simje429
@simje429 8 ай бұрын
스키타이-흉노-선비-훈-선비-투르크 (신라는 내물마립간 부터 선비족이 왕권을 차지)
@Julian_606
@Julian_606 11 ай бұрын
1997년인가 1998년인가 kbs일요스페셜에서 "신라 김씨는 유럽에서 왔다"라는 다큐를 해줬는데 흑해(지금의 우크라이나 지역)에서 출토된 도기와 신라 초인 4세기(4세기 중반 이전 박씨왕조도 신라라 부르고 있지만 박씨왕조는 신라라 부르면 안됨) 무덤에서 발굴되는 토기가 양식이 같다는데.
@user-hy2pw8ip5x
@user-hy2pw8ip5x 7 ай бұрын
유럽이 아니구요 중앙아시아에서 발원했습니다. 바이킹의 오딘 토르도 중앙아시아에서 온 사람들입니다. 박혁거세와 김씨왕가도 중앙아시아에 기원이 있는 사람들입니다. 이들이 고대 스키타이인들이구요 이들이 거대한 유목제국을 이끌었습니다. 유럽은 정말 야만인들의 동네였습니다. 게르만족(영 독)들 골족(프)정말 야만인이었죠 고대 그리스 켈트 이집트 로마가 스키타이 영향을 받은 나라들이구요. 스키타이는 몽골계와 돌궐계로 구성되었습니다. 몽골계는 백제 고구려, 돌궐계가 신라입니다.
@user-xu7ld3od2h
@user-xu7ld3od2h 13 күн бұрын
어디선가 왔겠찌 하늘에서 떨어질리니 없으니 대한민국 1000년 유지 할수 있을까 쌈질하는것 보면 500년도 힘들듯 신라가 대단하다 ㄱㄱ
@user-du1jj6tr8j
@user-du1jj6tr8j 7 ай бұрын
신라 왕릉들 전부 발굴하면 뭐가 나올까
@renovatio2946
@renovatio2946 9 ай бұрын
경주 대릉원은 신라랑 관련이 없다. 이게 핵심임.
@user-hi7zw8cl6x
@user-hi7zw8cl6x 9 ай бұрын
한민족이 아니면 어떻칼거여?😂😅
@user-wx6ut6em3w
@user-wx6ut6em3w 2 жыл бұрын
흉노의후손신라
@user-mi8ln4pe3f
@user-mi8ln4pe3f Жыл бұрын
히타이트의 후손이다.... 유전자적으로 흉노와 관게가 없고, 히타이트와 일치하는 결과가 나온 것이다 왜인들이 좋아하는 서양인이 신라 김씨 왕족이었다 일왕의 중시조 곤지도 체격이 엄청 컸는데, 이들은 개로왕의 아들이고, 동성왕, 무령왕의 아버지이다 곤지가 일왕임은 중국 남조에 보낸 외교문서에 피눈물나게 적혀있다.
@wj8671
@wj8671 2 жыл бұрын
최근의 학설에서 신라 금관은 고구려 금동관의 변형이고 고구려 금동관은 선비와의 교류에서 생겨났을 가능성이 큼. 선비의 황금문화는 당연히 이란계 스키타이 문명의 영향을 받은 것. 신라가 직접적으로 튀르크 계 제족과 연관이 있다는 가설은 구닥다리 학설임.
@user-mi8ln4pe3f
@user-mi8ln4pe3f Жыл бұрын
히타이트 왕족이 직접 내려온 것이다 신라 무덤에서 나오는 금은장식품과 마구류는 당대 최고의 작품으로 히타이트인이라야 이런 문화를 만들 수 있다 신라 김씨왕의 키가 거인이고, 거시기는 45Cm 에 달하였다 신라 김씨에게 권력에서 밀린 북흉노들은 (히타이트) 금관가야로가서 김수로왕을 참칭하고 김수로왕의 7왕자가 큐슈남부로 이동하고 그 후손이 혼슈로 가서 처음으로 왜왕이 되었다 일본왜왕의 시작도 북흉노 가짜 김수로왕의 자손으로 시작한 것이다 김수로왕의 구지봉신화와 일본 왜왕의 신화의 내용이 독 같다는 것을 이를 증명한다. 왜인들은 과거 역사를 왜 부정하는가 ㅋㅋㅋㅋㅋㅋㅋ
@user-nr5fh9jq6v
@user-nr5fh9jq6v 10 ай бұрын
내물 왕의 무덤이란것 ㅡㄴ 잘못안것이다 여자의 왕관은 금이고 남자의 관은 금동이다 즉여자의신분이 남자보다 ㅗㅍ다는것이다
@user-hi7zw8cl6x
@user-hi7zw8cl6x 9 ай бұрын
마님..?
@user-nr5fh9jq6v
@user-nr5fh9jq6v 10 ай бұрын
무식한 말씀 고구려 신라 같은 배발민족입니다 공부 하십시요
@tokkoutai-fb6ul
@tokkoutai-fb6ul 2 жыл бұрын
그러면 지금의 한국사는 가짜로 만든 한국사군요. 신라가 고구려밑에 있는데 기마민족이라 함은? 한국의 역사는 어떤게 진짜일까? 삼국사기로보면 분명 중국 산동반도도 신라영토이고 장보고의 무덤과 절,청해진도 중국에 있던데..전라도 완도가 청해진이라 가르치는 한국사와 드라마 어떤게 진짜냐고..ㅅㅂ
@user-ww3gr1dw7r
@user-ww3gr1dw7r 2 жыл бұрын
일제가 식민사관을 만들고 식민사학계가 그대로 전승한 우리의 역사 이제 바로 잡아야 하고 신라도 흉노의 후예니 당연한것
@user-mi8ln4pe3f
@user-mi8ln4pe3f Жыл бұрын
342년에 내려온 내물왕 김씨왕을 반대하는 북흉노들이 가락국으로 이동하여 금관가야, 김수로왕을 참칭합니다/ 금관가야는 신라 김씨와 권력 다툼으로 원수지간이 되엇고 김수로왕 참칭왕의 7왕자가 큐슈 남부로 가서 정착하고, 그 자손이 기내지역으로 들어가서 처음 왜왕이 됩니다. 내물왕 신라는 금관가야, 왜, 비류백제의 삼국에 의해 공격을 받으니 광갵토대왕의 신하국으로 들어가서 왕조를 유지합니다 혼자서 3국을 상대하니, 왜인들을 극히 싫어한 광개토대왕의 금관가야 학살로 이어지고 비류백제가 일본으로 완전이동하여 비류백제계 왜왕이 탄생함
@user-vo1dz2if6f
@user-vo1dz2if6f 8 ай бұрын
유투버 책보고 님 검색ㄱㄱ
@user-hx7ge1vo9y
@user-hx7ge1vo9y 11 күн бұрын
왜와 백제가 손잡고 지속적으로 신라를 공격한 것도 다 이유가 있었네! 외부 북방세력이 내려와 한반도의 동남지역을 차지하고 있는데, 백제와 왜의 한반도의 구 원주민들이 그들을 가만히 놔 둔다는게 이상하지...
백제 25대 무령왕릉 7가지의 비밀 [역사실험] KBS 방송
58:07
금관의 왕국, 비밀을 풀다 / YTN 사이언스
43:37
YTN 사이언스
Рет қаралды 329 М.
Please be kind🙏
00:34
ISSEI / いっせい
Рет қаралды 173 МЛН
MEU IRMÃO FICOU FAMOSO
00:52
Matheus Kriwat
Рет қаралды 31 МЛН
Can You Draw A PERFECTLY Dotted Line?
00:55
Stokes Twins
Рет қаралды 51 МЛН
Универ. 13 лет спустя - ВСЕ СЕРИИ ПОДРЯД
9:07:11
Комедии 2023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
The foundation of Korean archeology is laid, Hwangnam Daechong
15:34
국가유산채널(K-Heritage Channel)
Рет қаралды 180 М.
KBS HD역사스페셜 - 가야에 여전사가 있었다
57:56
KBS역사저널 그날
Рет қаралды 341 М.
돌아온 신라의 다리, 월정교를 걷다 / YTN 사이언스
41:01
YTN 사이언스
Рет қаралды 113 М.
KBS 한국사전 - 12대 400년 부자의 비밀, 경주 최부자
49:22
KBS역사저널 그날
Рет қаралды 3,5 МЛН
경주 안압지(동궁과 월지) 발굴과 보수, 1976|PLAY ▶ 박물관 아카이브
31:09
국립경주박물관 Gyeongju National Museum
Рет қаралды 72 М.
서라벌, 천년왕궁을 찾아서..|포항MBC 특집다큐
45:42
Please be kind🙏
00:34
ISSEI / いっせい
Рет қаралды 173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