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룡사 9층 목탑도 있었는데..." 진짜 고층한옥은 무엇일까?

  Рет қаралды 556,106

셜록현준

셜록현준

6 ай бұрын

#고층빌딩 #한옥 #황룡사9층목탑
00:28 고층한옥은 정말 불가능할까? A/S
04:01 무엇이 한옥인가?
06:24 한옥과 닮은 빌딩이란?
07:16 환경미화원을 위한 집
09:25 표절 건축물 철거에 대하여

Пікірлер: 660
@FiveSolas1
@FiveSolas1 6 ай бұрын
예전부터 느낀거지만 설명에 대한 보충 시각자료 넣는것, 화면의 색감, 편집등 후반작업이 이 채널이 크게 된 아주 중요한 이유중 하나. 가끔 소위 '교수님들'의 유튜브 채널을 볼 때가 있는데 내용은 좋은데 그 내용을 담는 그릇(편집 등)이 안 좋아서 조회수가 낮은 경우를 많이 봄.
@sgjludk
@sgjludk 6 ай бұрын
진짜 시너지긴 함 ㅋㅋㅋ 근데 큰그림연구소가 하는 채널들이 다 셜록현준만큼 높진 않음 자료가 진짜 보기 편하다 느낄 때 많은데 교수님이 자료 지정을 다 직접 잘해주시는건가
@user-qr7bf5ze4j
@user-qr7bf5ze4j 6 ай бұрын
편집작업 중 있을 상세한 설명과 소통을 생각해보자면 더 멋지고 감사해요ㅋ
@user-ts8yy7nf1h
@user-ts8yy7nf1h 5 ай бұрын
그래서 대표적으로 열 받게 하는 언더스탠딩 말로 다 때 울려 고함
@user-hv5og9dl4e
@user-hv5og9dl4e 3 ай бұрын
이게 맞지 유튜브 영상으로써 조회수가 나오길 원하면 1번이 영상미고 2번이 컨텐츠의 질이니까
@_otto_art__Officia
@_otto_art__Officia 5 ай бұрын
늘 멋진 이야기를 쉽고 재밌게 이야기해주셔서 감사해요. 이해하기 쉽게 도와주시는 현준님, 편집팀, 촬영팀, 기획팀 외 모든 분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user-nm7ob4fh8e
@user-nm7ob4fh8e 5 ай бұрын
우왕 오토님이당
@simoncrom
@simoncrom 6 ай бұрын
조경디자인 및 설계를 하는 사람으로서 디자인에 대한 대가를 지불해야하지 않냐 라는 마지막 멘트에 크게 공감합니다. 늘 느끼는거지만 무에서 유를 만드는 과정에 대한 대가가 당연시 되고 크게 가치를 인정받지 못한다고 생각한지가 벌써 경력 15년이 되었네요ㅡㅡ 요즘 거란고려전쟁을 열심히 보고 있습니다. 스토리보다 나이가 들고 경력이 늘수록 더 눈에 들어오고 애착이 가는건 큰 무엇보다 그 시대를 최대한 고증하려고 만든 소심한 세트장이나 소품. 쉽게 지나칠수 있는 배경것들에 더 눈이 가네요. 누구에게는 잠깐 지나가는 그 한 컷이지만 그걸 준비한 제작자의 노고나 노력이 더 눈에 들어옵니다.(전 그게 맞네 틀리네 지적질 하지만요^^) 연말에 상 하나 받자고 인정받자고 하는거보다 그런 진정성을 측정할 수 있는 제 나름의 기준을 만든 것입니다ㅎ 교수님 영상볼때마다 그런 기준들을 느낄수 있어 참 좋네요. 조경을 하는 사람으로서 기존의 나무를 존치하는 모습 참 인상깊었습니다. 건축을 하시면서도 양질의 기존것들을 최대한 지켜보려는 모습이 좋습니다. 경주는 타지역과 다르게 건축조례에 한옥지붕을 올리면 대지안의 조경기준과 건축허가에 인센티브가 있습니다ㅋㅋ 썸네일만 보고 이건 백퍼센트 경주 얘기다 싶었는데 아니나 다를까 마지막은 경주 얘기군요ㅋㅋ 경주는 다니다보면 참 재미있는 도시지요. 우리나라 대부분이 통금일때 경주만 예외였던 도시이기도 하구요. 두서 없는 댓글이지만 늘 많은걸 배우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SW-lg1xs
@SW-lg1xs 6 ай бұрын
오픈툴로 무료인 양산형이 워낙 잘나와서 디자인 값어치를 아무래도 일반인들이 인정하기엔 어렵죠
@user-ip2gh9fm8g
@user-ip2gh9fm8g 6 ай бұрын
늘 잘보고 있습니다. 저는 대형병원에 근무하는 중인데, 병원은 많은 사람이 방문하고, 공간적으로는 삶과 죽음을 결정하는 그런 장소입니다. 건축가 입장에서 소개해주실만한 병원건축이 있으신지? 또는 우리나라 대형병원 건물들에 대해서 해설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5nimo11
@25nimo11 6 ай бұрын
저도 병원 관련해서 한번 해주시면 좋겠네요!!
@bitkim1044
@bitkim1044 6 ай бұрын
한옥에 대한 고찰이 일반인과 건축가는 확실히 다르군요
@user-pj7en2np2t
@user-pj7en2np2t 6 ай бұрын
한옥이 단순한 거주시설이 아니라 모든 구성이 주변 자연을 배려하면서 이용하는 구조와 디자인으로 되어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물론 이것 또한 돈이 많아 크게 잘 지은 한옥이겠지만 한옥이 단순히 건물 하나만을 말하는게 아니라 주변 안마당 등 모든 주변구성까지 포함 된게 한옥 이라고 생각합니다
@dennythedavinchi3832
@dennythedavinchi3832 6 ай бұрын
​​@@user-pj7en2np2t그런데 이게 역사 거슬러 올라가면 당나라 양식입니다. 이미 자본이 많이 생긴 송나라에서 버린걸 자본 없는 조선이 계속 이 틀을 유지 해온것 뿐입니다.
@mandukim5377
@mandukim5377 6 ай бұрын
부산 웨이브온 카페를 그대로 표절한 울산의 카페 건물이 법원으로부터 철거 명령을 받은 건 정말 통쾌한 일이네요.
@minsu182
@minsu182 6 ай бұрын
이번 컨텐츠는 셜록 현준의 유튜버의 최대의 장점을 제대로 보여준 영상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셜록현준은 나의 의견 내생각을 만을 말하지 않고 다른사람들의 견해를 예시를 들면서 설명을 하죠 그렇기에 시청자(예비건축가) 들에게 생각의 폭을 넓혀주는것 같습니다. 앞으로도 다양한 견해 다양한 시각과 관점 을 중립적인 입장에서 컨텐츠를 제작해 주세요 .
@hayeonkim7838
@hayeonkim7838 6 ай бұрын
오늘도 언제나처럼 어김없이 정말 유익하고 흥미로운 영상 감사합니다 ㅎㅎ
@hawk9938
@hawk9938 6 ай бұрын
경주타워 일화를 찾아보니 여러모로 레전드네요;; 형사소송은 소송부터 기각, 민사소송갔더니 1심은 패소이후 건축주(조직위)가 "우수상에서 아이디어를 가져왔으니 법률 자문을 받아봐라"라고 한 점이 발견되어 승소... 했으나 이미 대법원 판결이 났을 때는 이타미 준 선생은 돌아가신 1달 뒤... 이후에도 유가족과 표지석 관련해 갈등이 있었으나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나서서 2020년 들어서 완전히 해결...
@Minton500
@Minton500 6 ай бұрын
나라 망신이군
@bluetran1
@bluetran1 5 ай бұрын
나라 망신이네요. 이타미 준은 한국출신 재일교포에 한국 국적도 죽을때까지 유지했다고 하던데 일본애들이 이거 들으면 비웃을것 같습니다. '이러니 일본에서 건축하려고 하지' 라면서요.
@user-ts8yy7nf1h
@user-ts8yy7nf1h 5 ай бұрын
늦게 남아 다행인 것은 경주 타워에 가면 그 내용을 자세히 적어놓았습니다
@bca-on6pb
@bca-on6pb 29 күн бұрын
한국인이 한국했는데 뭔 레전드임 ㅋㅋㅋ
@loveisalllll
@loveisalllll 6 ай бұрын
이타미준 박물관을 보고 되게 큰 감명을 받았는데 나중에 이타미준 선생님의 다른 작품들도 다뤄주시면 좋겠네요
@6sinegohwan336
@6sinegohwan336 5 ай бұрын
기록에 보면 우리나라도 삼국시대와 고려시대에 다층 구조의 건물이 있었다고 나옵니다. 우리나라도 중국이나 일본처럼 그런 다층 구조의 건물을 복원하는 것도 문화 보존과 복원, 문화 홍보 차원에서 나쁘지 않은 방안이 될것 같네요.
@eun8601
@eun8601 5 ай бұрын
적합한 표현인진 모르겠지만 교수님은 건축을 참 개념적으로 보시네요…! ‘고즈넉한 마당풍경이 보여야 한옥이다’라고 말씀하신 게 무척 좋았어요. 한편 저는 다소 실용적이진 못해도 한옥의 외양을 참 좋아하는터라, 그 모양과 질감은 유지하되 현대적으로 만들어볼 수는 없을까 하는 생각도 해보게 되네요. 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user-kf8sf4fe5r
@user-kf8sf4fe5r 25 күн бұрын
외부세력이 없이 자체적으로 근대화가 되었다면 한옥이나 한복의 자연스러운 현대화를 볼 수 있었을까요? 하는 생각을 가끔 하게 됨
@jaesoulchildhan6579
@jaesoulchildhan6579 6 ай бұрын
와 진짜 편집팀의 후작업에 경이를 표합니다👍👍
@_Nobi
@_Nobi 5 ай бұрын
저도 경삼을 표합니다
@_Zero_Sugar
@_Zero_Sugar 6 ай бұрын
건축가의 견해는 다르지만 그럼에도 고층건물에 한옥 양식의 외형 모티브는 충분히 개성 있고 매력 있다고 봄. 굳이 저런 프레임 안에 가둬두는 것보단 현시대에 맞춰 전통문화를 이어나가는 것 또한 중요하니까. 솔직히 일본, 대만, 중국에서 현대식 고층건물에 자신들의 전통 건축 양식을 녹여낸거 보고 멋지다고 생각했고 우리나라는 왜 별로 없을까? 이 생각을 정말 많이 했음.
@llPlutoII
@llPlutoII 6 ай бұрын
일본 대만 중국과는 상황이 많이 다른게 그쪽동네는 근대화 이전에 이미 3층 이상의 고층건물이 있었음. 일본의 성은 거주가능한 고층건물이었고 중국에는 토루같은, 대단지 고층 거주시설이 이미 12세기무렵부터 생김. 근데 우리나라는 애초에 2층짜리 건물조차 없음. 2층구조라고 해도 경회루처럼 한층을 비우는 형식이거나 여타 전각처럼 2층부터는 기거하지 않는 구조만 있음. 즉, 건축자재만 바꾸면 현대화가 가능했던 주변국이랑 달리 (디자인의 틀을 유지한 채) 고층화를 하기 위해서는 훨씬 많은 고민이 필요할 수 밖에 없음. 그리고 이는 근본적으로 '이러이러한 양식을 한옥이라 한다'라는, 사회적 합의에 의한 정의가 필연적임. 근데 문제는 여기서 '단층가옥은 한옥의 특징'이라는 부분에서 고층화의 모순이 생기는거.
@dennythedavinchi3832
@dennythedavinchi3832 6 ай бұрын
​​​​​@@llPlutoII그 나라들과 우리가 다른건 그 나라들은 자본이 넘쳐나지만 조선은 자국 자급자족만 왕성했을뿐 실제 시장의 자본유입이 없던 나라입니다. 자본이 있어야 고층건물을 세우는데 그게 안되는거죠. 실제 조선 중기만해도 화폐 유통보다 물물거래가 더 성행했으니 어느 건축가가 그런 큰 돈을 받아 이층 이상 건물을 지어줄 수 있을까요? 왠만한 양반도 그런 돈이 없던겁니다. 이후에 후반에 온돌 문제도 껴 있지만. 결국 부자와 가난한 나라의 차이 입니다. 구한말 선교사들이 조선 화폐가 얼마나 똥값인지 증언 한거만 봐도 압니다.
@llPlutoII
@llPlutoII 6 ай бұрын
@@dennythedavinchi3832 이게 진짜 멍청한 의견인데 위에 말했듯이 주변국에서 고층건물 생긴건 중세시대임. 화폐가 제 가치를 못한건 똑같은 시대인데 무슨 헛소리를 ㅋㅋㅋㅋ 문화 비하하고 싶어서 안달난건 알겠는데 생각이란걸 좀 하고 의견을 답시다? 조선시대에 고층건물 안생긴건 당시 기술로는 목조건물 2층에 온돌을 얹기 불가능해서라는게 정설입니다. 뭘 좀 알고 떠들지 ㅉㅉ
@saka1968
@saka1968 6 ай бұрын
@@llPlutoII??? 고층 한옥은 이미 많았는데요? 조선시대 사진 보면 상가로 쓰던 2층 한옥 굉장히 많아요
@llPlutoII
@llPlutoII 6 ай бұрын
@@saka1968 조선시대 2층가옥중에는 거주구로 쓰인곳은 없습니다. 2층을 쓰는건 생활용이 아니었고, 생활용으로 쓰는 경우는 여름 한철 정도로 매우 제한적인 용도였습니다. 애초에 온돌문화로 인해 바닥생활을 벗어나지 않게 된 우리 문화권에서 온돌을 얹지 못하는 2층을 거주구로 쓰지 않는건 매우 당연한 현상입니다. 다르게 말하면 '2층에서 거주한다'라는 말은 곧 '온돌 이외에 다른 난방시스템이 없는 조선에서, 시베리아 뺨치게 가혹한 한반도의 겨울을 나야한다'는 말이 되는거고 그 즉시 그건 말도 안되는 헛소리라는 것을 이 땅에 사는 그 누구라도 당연히 알고있습니다.
@user-nq4ul5tj3j
@user-nq4ul5tj3j 5 ай бұрын
역사학도로서 말씀드리자면, 한옥 자체는 시대에 따라 변화가 많습니다. 조선에는 1층 건물이 많았지만, 고려 시대나 그 이전에는 2,3층의 혹은 그 이상의 건물도 많았습니다. 창덕궁의 주합루 같은 건물도 있고요. 개경의 만월대 궁전은 2층이기도 하고 조선 초 경복궁도 2,3층 건물이 많았습니다. 왜란 때 불타고 지금 것은 대원군이 조선 후기 없는 돈으로 중건한 것입니다. 개경 시내를 바라본 서긍의 선화봉사고려도경을 보면 개경 시내의 높은 누각들이 많다는 불평이 나옵니다. 사실 조선 시대 이후로는 성리학이 심화되며 "검이불루 화이불치"를 모토로 건축규모는 계속 되어 축소된 것입니다. 한옥도 물론 자연과의 조화가 중요한 포인트이지만, 예나 지금이나 크고 아름다운 건축물에 대한 인간의 욕망은 똑같습니다. 이러한 역사적 개념에서 보자면 한옥"빌딩"도 가능한 개념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user-dk7gt5jw5t
@user-dk7gt5jw5t 5 ай бұрын
이 채널은 한옥의 의미를 좁게 보는듯.
@myloverher11
@myloverher11 5 ай бұрын
한복도 대한제국으로 넘어갈때쯤엔 여러 한복이 나왔죠 드레스형 한복 등등.. 역사를 보존하고 유지하는것도 좋지만 현대에 맞게 조화를 이룬다면 좋을것 같습니다
@user-barbadak
@user-barbadak 4 ай бұрын
온돌 때문에 높은 한옥이 없다고 들은듯함
@user-nq4ul5tj3j
@user-nq4ul5tj3j 4 ай бұрын
@@user-barbadak 한옥이 1층으로 된 까닭은 온돌이 아니라 성리학 때문입니다. 조선 초에 비해 건물의 규모와 화려함이 의도적으로 축소되었습니다. 조선 초 경복궁은 청자 기와를 사용하고 금테를 두른 형태였으나 "사치스럽다"는 성리학적 이유로 비판받았습니다. 단순 온돌 문제가 아니라 가치의 문제였죠. 일본인들이 통신사에게 커다란 일본 성을 자랑하자 "사치스럽고 백성을 수탈한 것"이라고 폄하한 반면, 일본 정원이나 소나무에 대해서는 조선 통신사들이 "정취가 있다"라고 칭찬한 것이 대표적 사례입니다. 조선 이전으로 들어가면 황룡사 9층 목탑 이외에도 궁궐도 2,3층 짜리가 많았고 민간에도 꽤 있었습니다. 한옥빌딩은 한옥이 아니라는 교수님의 의견은 다분히 비역사적이라는 것입니다.
@user-cc2sz8qm5d
@user-cc2sz8qm5d 4 ай бұрын
​@@user-barbadak높게 지을 필요가 없었을 뿐임. 물론 조선시대 건축양식은 쇠퇴해서 상당히 구림.. 회칠마감으로 미관상 더럽고 건축물에 쓰인 목재 크기도 뒤죽박죽.
@HEDFUCcom
@HEDFUCcom 6 ай бұрын
오늘도 잘 봤습니다. 건축에 빠지는 사람들이 왜 그렇게 많을까 했는데 탐구하는 느낌이 있는거군요 이게.. 잘 몰랐던걸 잘 설명해주셔서 감사ㅇ
@user-lw6oh6zs9n
@user-lw6oh6zs9n 5 ай бұрын
한옥이라는 이미지를 너무 조선 후기~지금 남아있는 수수한 단층 한옥만이 진짜 한옥 이다라는 상식에 매몰 되 있는게 아닌지. 물론 지금 남은 한옥이 절대 다수가 그렇긴 하고, 복층 건물 특히 일반 주택은 남아있는게 없긴 하지만, 기록에 복층 건물은 여기저기 나옴. 온돌, 화덕문화, 좌식 생활 등 한국의 전통이라고 생각하는 우리네 한옥의 역사는 조선시대 이후부터 정착한 개념임. 조선시대건물만이 한옥은 아니죠.
@dotkabi
@dotkabi 6 ай бұрын
이 영상을 보고 나니 호미에 대해 또 다른 생각을 갖게 되네요. 교수님의 이상적인 건축물에는 한옥에 대한 생각이 늘 반영되는 것 같습니다. 표절 관련해 강릉에 있는 어느 대형 전시관에서 제임스 터렐의 작품을 표절한듯한 전시를 본 기억이 나네요. 아직 갈길이 멉니다..
@stahma4695
@stahma4695 5 ай бұрын
중국 송니라때 고려도경 보면 고려에 2~3층 한옥이 많았다고 하죠. 지금 한옥은 조선중기 온돌이 대중화된 이후 온돌의 무게와 열전도 문제로 인해 다층 건물을 짓지 못하게 된후 높이를 못올리니 지붕 크기를 키워 건물의 웅장함을 보이는 방식으로 변화된거라 꼭 그것만 한옥이고 그래서 층을 못올린다라는건 아닌것 같아요. 다층으로 올리고 지붕크기를 줄이고 현대 자재와 공법을 사용해도, 한옥의 지붕곡선 이나 내부 구조등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다고 해도 한옥의 미를 남긴다면 개량 한복처럼 개량 한옥이라 할수 있을것 같아요.
@inwol22
@inwol22 6 ай бұрын
이야기하시는 어법과 영상이 너무 고급지고 귀에쏙쏙들어오고 흥미진진합니다👍👍👍
@user-li7ic1mp2s
@user-li7ic1mp2s 6 ай бұрын
그 뭐냐 2층 한옥도 있긴 하더라구요. 조선시대에도 2층 한옥을 짓긴 했고, 온돌까지 2층으로 올린 것들이 있습니다. 다만 수가 많지는 않은데, 조선시대에도 새로운 걸 시도해 보려고 했던 사람들이 있었던 것 같더라구요. 그리고 기회가 되면 초가집도 한번 다뤄주셨으면 좋겠습니다. ㅎㅎ
@HJ-je7iv
@HJ-je7iv 5 ай бұрын
정확히는 2~3층의 집은 온돌이 본격적으로 들어서면서 한옥에서 많이 없어졌다고 합니다. 무거운 온돌을 위층까지 올릴 수는 없으니까요. 가끔 2~3층을 짓기도 하지만 윗층은 거주공간으로 쓰지 않게 되기 때문에 실용성이 별로 없었죠.
@user-min._.seo_6
@user-min._.seo_6 6 ай бұрын
1년도 더 지났네요. 한옥 고층 건물이 불가능하다는 영상에서 제가 황룡사 9층 목탑을 언급하며 질문드린적이 있습니다. 물론 댓글을 다 읽어보시긴 힘드시니 그냥 그러고 말았던 기억이 있네요. 그 질문의 해답을 오늘 얻게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dennythedavinchi3832
@dennythedavinchi3832 6 ай бұрын
담장 마당과 그런식의 공간은 당나라 풍입니다.
@user-ot3xf5hq8f
@user-ot3xf5hq8f 5 ай бұрын
@@dennythedavinchi3832 '당나라 풍'이면 뭐 어쩌라는거임? 일본에 현존하는 제일 오래된 최고 건물인 호류사가 백제 사람이 지은거고 백제풍 건물인데 그렇다고 문제가 됨?
@user-ev3eh4jv3n
@user-ev3eh4jv3n 5 ай бұрын
근본과 구조를 깊게 해석할 수록 결과값이 심플해지고 역사와 스토리를 깊게 해석할 수록 건축물의 형태가 더 개성적이어지는 느낌이네요 건축과 예술은 다른 개념이라고 생각했었는데 이런 부분을 보면 건축도 예술의 일부인 것 같습니다 상당히 흥미롭네요 교수님 덕에 안목을 더 넓히고갑니다
@CommentAndDDabong
@CommentAndDDabong 6 ай бұрын
도대체 왜 고층한옥 같은걸 바라는가? 를 생각해보면 주로 민족, 역사에 대해서 컴플렉스가 있는 사람들이 그런 말을 하는거 같아요. '왜 한국사에는 다층주택이 별로 없었을까? 뭔가 창피하다.' 라고 생각하니까 무엇이 한옥이냐 라는 고찰도 안한채 겉모습만 한옥인 현대 건물을 떠올리곤 즐거워 하는거죠.
@user-ye2yl8mc8j
@user-ye2yl8mc8j 2 ай бұрын
무엇보다 사람들이 고층 한옥에서 살거나 쓰고 싶다기보다는 그냥 고층 한옥모양 건물을 보고, 그런 도시 이미지를 보고 싶을뿐인 것 같은 느낌..?
@user-gw6xl2td5w
@user-gw6xl2td5w 5 ай бұрын
유현준 교수님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그리고 좀 예전이지만 경북대에서 하신 강의 잘 들었습니다!
@user-dj2ws3mk3q
@user-dj2ws3mk3q 6 ай бұрын
한 건축물에 대한 가치평가를 할 때 기능이나 성격을 기준으로 하느냐, 외관이나 시각적인 걸 기준으로 하느냐의 차이인 걸 말씀하시는 듯. 유교수님은 전자를 주장하는 사람인 것이고. 같은 맥락으로 바르셀로나 가우디의 건축물의 가치를 그렇게 높이 평가하지 않는다 라고 말씀하신 게 기억나네요. 저도 개인적으로는 유교수님의 말에 더 공감이 됩니다
@SharpBongs
@SharpBongs 6 ай бұрын
오 환경미화원의집 보라매공원 산책갈때 가끔씩 지나쳤는데 다음에 갈때는 안에는 접근 못하겠지만 유심히 한번더 주변에서 둘러봐야 겠네요
@Life_Is_Science
@Life_Is_Science 6 ай бұрын
평소에 9층 목탑이나 경주 중도타워를 보면서 비슷하게 생겼지만 한옥과는 느낌이 매우 달라서 어떤 부분에서 그렇게 느껴지나 싶었는데 그걸 정확히 설명해주시네요 ㄷㄷ 감사합니다!
@6sinegohwan336
@6sinegohwan336 5 ай бұрын
그리고 삼국시대 건축양식은 조선시대와 다릅니다. 색상면에서 그게 크게 두드러지는데, 조선시대는 특징적인 상록하단과 유교 문화를 중시하여 검소한 외형이 드러나는데 비해, 삼국시대는 일본처럼 붉은 색이 주가 되고 불교문화의 화려함이 드러나죠. 실제로 삼국시대의 양식은 우리가 아는 한옥과 괴리감이 커 이질감이 느껴질 정도인데, 예시로 고구려의 양식은 붉은 기와에 적갈색 목재가 주가되고, 흰색과 검은색 장식으로 마무리해서 동 떨어진 곳의 건축 양식으로 느껴질 정도입니다.
@WASD-yx9vf
@WASD-yx9vf 3 ай бұрын
근데 삼국시대 건축양식도 한국의 집 형식이니까 한옥 맞는듯
@6sinegohwan336
@6sinegohwan336 3 ай бұрын
@@WASD-yx9vf 복고풍이죠ㅎ
@leo_8383
@leo_8383 6 ай бұрын
공모전 2등안 건물 지은건 진짜 충격이네요 양아치도 아니고 어떻게 그딴 생각을 했고, 그걸 또 소송까지 가야했다니.....
@jinprabha9153
@jinprabha9153 6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소리에도 침묵도 음으로 표현한다는 말이 있습니다. 한옥에 대한 고귀한 정의 가슴에 와 닿습니다.
@fc_ygt56
@fc_ygt56 6 ай бұрын
이제서야 '공간이 만든 공간' 을 봤지만 음..아직 제 나이로서는 어려운 질문들이 많았지만 건축을 좋아함으로써 어렵지만?많은 흥미로운 것들을 알아서 좋은 책 이라 생각합니다!
@dennythedavinchi3832
@dennythedavinchi3832 6 ай бұрын
제가 보기엔 이 교수님 견해는 대중적일수 없습니다.
@jaylee4976
@jaylee4976 6 ай бұрын
@@dennythedavinchi3832 대중적일 수 없으면 나쁜거임?
@hyunho_07
@hyunho_07 6 ай бұрын
황룡사 9층 목탑은 한옥이 아니고, 실제로는 사람이 사는 곳도 아니다 라는 것을 알게 되었고 근데 경주 타워 디자인 표절 논란 뒤에서 언급을 들였는데 근데 저는 사실 이런 표절 논란이 있는지도 몰랐어요 다시는 저런 표절,도용등을 하지 않았으면 좋겠다라는 마음 입니다.
@user-dt2xf1fm2k
@user-dt2xf1fm2k 6 ай бұрын
도쿄타워도 표절논란이 있었는지 궁금합니다
@user-xm9mp1fx6k
@user-xm9mp1fx6k 6 ай бұрын
@@user-dt2xf1fm2k 애초 모방이라고 대놓고 만들어서....
@Maseemaro
@Maseemaro 6 ай бұрын
거긴 애초에 모방 자체 ㅋㅋ
@bluepants135
@bluepants135 6 ай бұрын
한옥이 아니라면 어떻게 분류하죠?
@user-sk3ph5wt1r
@user-sk3ph5wt1r 6 ай бұрын
@@bluepants135목탑이요
@user-ws1oh4di5u
@user-ws1oh4di5u 6 ай бұрын
한복도 개량한복처럼 옛것과는 정말 다르지만 현대식에 맞춰 만들어지듯이 한옥 양식의 고층건물도 보고싶네요. 물론 옛부터 한옥은 고층이 하나도 없었으니 처음보면 어색할수도 있겠지만 전통이란것도 시대가 변하면서 조금씩은 바뀔수 있는거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옛날에도 분명 다른 나라의 영향을 받아 의식주 모두 초기 형태와는 다른 형태로 변했을테니까요
@elpresidente124
@elpresidente124 6 ай бұрын
한옥의 디자인이 그때는 그때의 필요와 현실에 의해 만들어진 디자인이고, 지금은 지금의 기술과 필요가 있는거라 시대적 변화가 있는게 맞는거죠. 이 중에 과거와 요즘에 겹치는 부분을 찾아서 차용해 오면 전통의 훌륭한 재해석으로 칭찬받는거고. 그런게 없는데 대충 지붕만 한옥식으로 하고 페인트만 칠하면 70년대 유행한 코모도 호텔보다 촌스러운건물이 되는거고요
@pollpoll3594
@pollpoll3594 6 ай бұрын
@@elpresidente124 님 말에 동의 함. 대부분 사람들이 잘 이해를 못하는게 강사님의 말씀에도 나와잇지만 그걸 이해를 못하는 것 같음. 옛날사람들이 한옥이란 디자인을 처음부터 만들어야지 하고 만든게 아니라 나무기둥을 재료를 사용하고 한반도의 기후때문에 비가 많이와서 나무기둥이 비에 젖어면 썩게 되서 문제가 되니 처마를 길쭉하게 나오게 해서 비를 피하게 만들다보니 지금의 한옥모양이 나온건데, 결국 자연환경과 건축재료에 의해 그런 모양이 나온건데. 현대에는 이게 맞지가 않음. 현재에는 건축재료로 나무를 사용 않고 콘크리트를 사용하니 비에 영향을 밪지 않어니 처마가 길게 나올 이유가 없음. 그러니 그런 모양을 고집할 이유가 없는데 구지 구지 그걸 만들어야 한국적인 멋이 나온다는 고정관념에 이상한 모양만 생각하게 됨. 조선시대 한옥이 나온이유를 잘 이해햇어면 현대적인 한옥은 지금의 건축재료와 지금의 자연환경(기후변화로 기후가 바뀜)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새롭게 현대적이며, 조선시대의 한옥과 다른 독특한 디자인이 나올수 잇음. 그게 현재 한국의 한옥이 되는거임. 과거에서 한옥을 찾을게 아니라 그건 조선시대의 한옥으로 남겨두고, 현재에서 새로운 한옥을 찾아야 됨. 이게 우리가 해야 할일임. 과거에 집착하지 않고...
@dennythedavinchi3832
@dennythedavinchi3832 6 ай бұрын
​​@@elpresidente124그런데 그런 호텔에 알고 경험하고 싶은 사람 많습니다. 그런것 하나 보기 힘든게 현실.
@user-ph8xc6ru8p
@user-ph8xc6ru8p 5 ай бұрын
한옥은 마당이 무조건 있어야 하는 개념이라 고층건물 자체가 불가능함.
@ChunSik262
@ChunSik262 5 ай бұрын
학생이 먼저 꼬리친걸세
@korea3674
@korea3674 6 ай бұрын
우연히 보게된 영상입니다. 건축에 무지한 제가 끝까지 영상을 보게 되었네요. 한옥에 바라보는 관점을 오늘 새로 알게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lelenche
@lelenche 5 ай бұрын
말씀 정말 잘하십니다. 건축에 흥미가 없었는데 재밌게 듣고 갑니다
@HeraKang-st5dr
@HeraKang-st5dr 6 ай бұрын
한옥에 관한 설명 잘 들었습니다 ~~~^^ 건축에 대한 뚜렷한 개념을 지닌 셜록현준님이 좋습니다 ~~~^^ You are the best ~~~^^👍
@h.name.g4999
@h.name.g4999 6 ай бұрын
교수님의 작품 중 현재 지어지고 있는 vertical golmok 작품에 대한 설명 해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user-gm1dj1ft6l
@user-gm1dj1ft6l 5 ай бұрын
현준님 새해복 많이 받으세요 영상 많이 보고 현준님 처럼 멎진 교수가 되겠습니다!
@user-qs5xt8fl8k
@user-qs5xt8fl8k 5 ай бұрын
걍 이게 한옥이냐가 중요한게 아니라 우리나라 건축물도 황룡사 9층목탑처럼 높게 지을 수 있다가 중요한거 아닌가?
@user-qv7hp5oc1m
@user-qv7hp5oc1m 3 ай бұрын
그건 충분히 지을 수 있으니 얘기를 안하는거지 않을까요 😅
@user-ee1lo9yq9j
@user-ee1lo9yq9j 6 ай бұрын
열심히 공부해서 교수님 제자가 되겠습니다 !!!!
@LHK168
@LHK168 5 ай бұрын
교수님을 예전에 알쓸신잡의 진시황 vs 파라오 분석으로 알게 되었습니다. 그걸로 유입되서 몰랐던 분야인 건축에 대해 알게되고 재밌는 영상들 잘 보고있습니다. 한 가지 소원이라면 진시황 vs 파라오처럼 혼자 생각하신 그런 아이디어? 같은 것들도 있으시면 모아서 업로드해주시길 기원해봅니다. 언제나 재미있게 보고있습니다.
@user-rm2qq6fv4m
@user-rm2qq6fv4m 6 ай бұрын
태재한옥 영상을 보고 궁금증이 생겨서 문의 드립니다. 댓글에 한옥보단 중국건축물 같다는 글이 올라와 있는데 현준교수님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하고 한중일 건축양식에 대한 차이점에 대해 알려주실수 있나요?
@user-nw8dt1kn9d
@user-nw8dt1kn9d 5 ай бұрын
새해 복많이 받으세요 ~^^♡
@alimsu357
@alimsu357 5 ай бұрын
저도 지식 쇼츠 영상을 만들어봤는데, 교수님 영상 보면서 많이 배웁니다..ㅎㅎㅎ
@user_happyboy123
@user_happyboy123 6 ай бұрын
설록현준님은 건축과 자연의 조화를 좋아 하시는거 같아요
@vamp_c502
@vamp_c502 6 ай бұрын
좋아하십니다.
@josephjang4411
@josephjang4411 6 ай бұрын
항상 감사합니다 !!!
@iamderek1991
@iamderek1991 6 ай бұрын
무언가를 100을 설명하려하면 300의 지식을 가져야하는데, 저렇게 바로 편하게 설명할수 있다는건 진짜 엄청난 전문성이라는거….
@user-ehpgsfx
@user-ehpgsfx 5 ай бұрын
한옥에서의 공간적 경험에 대해서 굉장히 엄격한 기준을 고수하고 계시는군요!
@rose1004yu
@rose1004yu 6 ай бұрын
최고의 최고급 강의 입니다^^ 셜록현준의 왓슨은 축복입니다~ 어린아이부터 모두가 봐야할 쉽고 정보창고 셜록현준은 우리가 영원하도록 지키고 알려야할 자랑 입니다^^
@user-tj1ug9ik6f
@user-tj1ug9ik6f 6 ай бұрын
짝짝짝 유익합니다! 👏🏻👏🏻👏🏻
@user-qd4qv8re7p
@user-qd4qv8re7p 6 ай бұрын
교수님 다음달에 스페인 여행으로 바르셀로나 그라나다 마드리드 세비야를 가게 되었는데 혹시 유명한 가우디 건축물이나 알함브라 제외하고 꼭 가서 볼만한 건축물이 뭐가 있을 지 궁금합니다 ㅠㅠ
@vamp_c502
@vamp_c502 6 ай бұрын
‘스페인 안달루시아’ 건축 전문 투어가 있는데 거기 여행 일정을 보면 세비야 : Metropol Parasol, Real Alcazar, Caixa Forum Sevilla, Expo 92 그라나다: Museo Caja Granada Memoria de Andalucia, Centro Jose Guerrero, Alhambra 로 나와 있습니다. 건축 전문 투어니까 이렇게 건물을 선정한 이유가 있겠지요? 바르셀로나하면 가우디라서 가우디 건물 제외하면 Hospital de Sant Pau 그리고 Torre Agbar 마드리드는 레알 마드리드 산티아고 베르나베우 아닐까요? ㅋㅋㅋ 그 외 Caixa Forum Madrid, Puerta de Europa.
@water1236
@water1236 6 ай бұрын
디자이너 마다 해석이다르고 관점이 다르지만 나는 이렇게 생각한다 라고 계속 언급하고 있는데 저 사람보고 이상하게 생각한다, 정의가 뭔 그러냐 이러는 생각없는 사람들은 뭐냐? 아니 자기는 그렇게 해석하고 싶다라고 하는데 뭔 개인적인 생각을 부정하고 있음? 댓글들 수준 진짜 낮네 자기가 한옥을 그렇게 해석한다잖아 뭔 이상한 사람 취급을 하고앉아있어 ㅋㅋ
@bgm-A-ha
@bgm-A-ha 6 ай бұрын
내 말이...
@user-jo1mu8iu8c
@user-jo1mu8iu8c 5 ай бұрын
황룡사 9층 목탑은 그냥 탑이 아니라 계단으로 오를 수 있는 건물에 더 가까워요
@stern121
@stern121 4 ай бұрын
셜록현준..편집자님은..정말 대단하신 분인듯. 편집자 수준이 어떤 방속국 편집자 보다 훨씬 뛰어나다는 생각을 합니다. 좋은 퀄리티의 영상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애를 쓴다는게 느껴지고 놀랍습니다. ㅎㅎ
@septen0910
@septen0910 3 ай бұрын
크... 얼마전에 경주 갔다오면서 생각했던걸 .. 소름 덜덜.. 좋은 지식 알고 갑니다! 감사해요!!
@sskim1882
@sskim1882 6 ай бұрын
미화원의 건축물을 그렇게 잘 설계하셨군요. 큰 설계비를 받지는 않았을텐데... 큰 돈이든 작은 돈이든 성의를 다 하시는 것 같아요. 멋지십니다~~~
@glassko9815
@glassko9815 5 ай бұрын
중간에 자료화면 남양주 궁집이네요... 개인적인 견해로 한옥은 하자보수비가 일반건축에 비해 어마어마 합니다 재료비야 얼마 안한다지만 신축하고 5년내지 6년 쯤에는 보수가 들어가야합니다. 처음 기와에서 흙이 흘러내리기 시작합니다 와구토(기와 끝부분 마감)가 탈락하는 현상이 나오며 신축시 완전 건조된 나무가 아닌 재료를 사용하니 수축현상으로 당골 및 벽채 부분에 크릭이 생기며 바닥 강회 다짐이 갈라지나 떨어져 나가는 현상이 생기게 됩니다. 그나마 단층이니 보수하는데 크게 어려움이 없지만 2층 3층으로 된 한옥이라 생각하면 말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문화재 기능공으로 일하다보니 알게된 개인적인 견해였습니다. 그나마 문화재쪽 설계는 나름 전문성이 있게 나오는데 일반쪽 한옥현장에서는 설계도면 복,붙하는 것도 봐와서 단층도 저런식인데 2층 3층은 구조적 결함이나 제대로 찾을 수 있을지 의문입니다. 마지막으로 은평한옥만을에 2층으로 구조된 한옥에 처마끝 낙수 물이 기단안으로 다 떨어지는 현상을 경험했습니다. 시간이 어느정도 지나면 그 물은 기둥과 하인방을 썩게 하며 집안의 습도에 매우큰 영향을 미칠 수 있고 크게 나가게 되면 벽채 미장구조에도 영향을 미칠수 있습니다 .
@user-ct5cm8bx1k
@user-ct5cm8bx1k 6 ай бұрын
너무 재밌어요!!!
@user-kt3yo3lj2j
@user-kt3yo3lj2j 6 ай бұрын
한옥을 정의하는 범위를 조금만 더 확장하면 어떨까 하네요.. 안에서 보이는 처마와 마당같은 정통적인 느낌도 아주 소중하고 좋지만, 외형적으로도 좀 더 흥미를 유발하고 시각적인 욕심을 어느정도 채워줄 수 있을 정도로요. 이게 결국은 일본의 천수각같은 한 나라의 이미지와 소프트파워가 될 수도 있거든요. 이런게 없다는게 자꾸 고층한옥에 대한 얘기가 나오는 이유 같아요.
@user-vl8tj1io6x
@user-vl8tj1io6x 6 ай бұрын
애초에 일본의 천수각 같은 일본의 성들은 소프트파워를 위해서 지은게 아니라 그 당시에 권력자들의 권위를 위해서 지은 건축물들이죠. 그 전통 건축물들이 일본의 소프트파워가 된건 현대가 아닌 과거부터 있었던 일본의 전통 건축 양식이기 때문이죠. 일본의 사극, 만화, 전통 시대 배경 게임에도 나오고 또 그걸 외국인들도 계속해서 접하니까요. 반면에 한국에서 일본 천수각과 비슷한 전통 양식 고층 건물을 짓는다? 랜드마크는 될 수 있어도 일본의 성 건축 같은 소프트파워는 될 수 없습니다. 한국의 사극, 만화, 전통 배경 게임에도 나올 수 없는 단순 현대시대 건물이니까요.
@bgm-A-ha
@bgm-A-ha 5 ай бұрын
오 밑에분은 또 다르네요
@user-ku5cq2ih9d
@user-ku5cq2ih9d 6 ай бұрын
대학교 원서준비 하고있는 재수생입니다. 성적 맞춰서 연세대 건축공학과 지원하는 것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건축에 관심과 애정은 있지만 그렇게 큰 애정은 아닌거같은데 버틸 수 있을까요?
@DD_DD_DD
@DD_DD_DD 6 ай бұрын
교수 말도 말이지만 진짜 편집자 교수님 자료 사진 찾는게 찰떡이다
@user-mo3ny8cq4r
@user-mo3ny8cq4r 6 ай бұрын
완전히 이해하고 이미지와 매칭 물론 교수님이 최종피드백하시겠지만요 ❤
@sophie-ig1mg
@sophie-ig1mg 6 ай бұрын
어렸을 때 경주에 거주했었는데 몇 년이 지난 후 경주에 놀러가니 이전에 없었던 고층건물이 경주에 들어서자 마자 보이는 것에 어색함이 느껴져서 개인적으로는 씁쓸함을 느꼈습니다. 거주할 당시에는 새로 지은 황룡사 9층 목탑이나 이타미 준의 건축물도 없었거든요. 그런 걸 보면 파리나 유럽 지역의 문화관광지가 정말로 거의 영원히 남을 수 있는 유년시절의 거주지 같긴합니다. 이제 막 20살이 되는지라 어릴 때 있었던 추억의 장소가 바뀌어 돌아가도 그때의 그 느낌을 이제는 받을 수 없는 게 슬프네요. 어린 시절 추억이 장소에도 남는 거라 생각했는데 기억 속에만 남을 수 있다는 걸 경험한 첫 경험인 듯합니다. 예전에 조승연 작가님께서 청춘에 파리에 거주하셨던 걸 이야기하실 때 왜 청춘이 그대로 보존된다는 이야기를 하셨던 건지 정말 공감이 되었습니다. 위 내용과 별개로, 이타미 준의 디자인을 그대로 써놓고 보상? 같은 것은 지급하지 않았다니 국가나 정부차원에서 그런 일이 일어났다니 부끄럽습니다.
@dennythedavinchi3832
@dennythedavinchi3832 6 ай бұрын
기본적으로 현준교수님이 보는 한옥의 특징은 조선시대 양식입니다 그리고 이 양식은 원래 당나라 풍입니다. 당나라에서 송나라가 건국되고 이런 풍의 건축양식은 버려졌습니다. 자본이 생기고 시장이 생기니 많은 인구가 도시에 유입되고 치안 강화가 되니 개개인의 마당이 필요가 없어지고 고층건물이 생긴거죠. 유럽도 그래서 자본유입이 많아 고층건물이 많아진겁니다. 조선은 그럴 자본이 들어 오질 못해서 그런 도시화로 넘어가지 못하고 구시대 양식이 쭉 이어져 왔던겁니다. 클래식이라고 부를수도 있지만 그냥 시대적으로 정체된거 뿐이죠. 우리의 특징이 아닙니다.
@user-dx1xq1hq2z
@user-dx1xq1hq2z 4 ай бұрын
두 아들을 키우며 경주에 사는 엄마로서 창의성 규범성 에대해 설명할때 교수님의 말씀 잘 인용~~?? 하겠습니다 경주 엑스포 갈때마다 아들들한테 할 좋은 말 하나 늘었네요~~감사합니다~~^^/
@user-bb9je4fe8b
@user-bb9je4fe8b 6 ай бұрын
높은 일본성의 천수각도 사람이 사는 용도가 아니라 성주들이 평소에는 단층 건물에 정원이 딸린 집 혼마루에 살다가 전쟁시 성 꼭대기에 들어가서 방어선을 지휘하는 역할이었죠 쇼군들의 거주처였던 니조조를 보면 거주용 성과 방어용 성의 차이를 알 수 있습니다
@dennythedavinchi3832
@dennythedavinchi3832 6 ай бұрын
그런데ㅠ그것도 건축이라고 하지 사람이 일상적으로 생활하지 않는다고 건축이 아니다라고 하지 않습니다. 실제로 승려들이 사용하는 공간이고요. 도대체 저 정의는 누구 머리에서 나왔는지 모르겠네요.
@yahocookie
@yahocookie 6 ай бұрын
유현준님 지금 서울의 스카이라인은 정말 흉측한데 기존의 빌딩숲을 그대로 둔체 스카이라인을 개선 할 수 있는 방법은 없나요? 빌딩숲을 다 때려 부술수는 없으니까 최대한 그 빌딩숲의 모습을 살리되 개선된 모습으로 보일 수 있는 방법은 없나요?
@user-qk1nx3jj3w
@user-qk1nx3jj3w 6 ай бұрын
용적률을 풀어주면 돈이 미친 사람들이 알아서 증축을 하든 재건축을 하든 하지 않을까요ㅋㅋ 농담입니다ㅋㅋㅋ
@user-dt2xf1fm2k
@user-dt2xf1fm2k 6 ай бұрын
200년동안 빌딩숲으로 발전해온 용적률3000% 맨해튼을 모델로 해야할거같습니다.
@WASD-yx9vf
@WASD-yx9vf 3 ай бұрын
여의도ㆍ테헤란로ㆍ롯데타워 가운데 있고 뒷배경에 남산타워 한강있는 야경은 괜찮던데요 성냥갑 아파트만 해결합시다
@user-dt2xf1fm2k
@user-dt2xf1fm2k 3 ай бұрын
@@WASD-yx9vf 높은인구밀도때문에 성냥갑아파트는 어쩔수없습니다. 서울의 성냥갑아파트를 해결하는방법은 인구가 크게 줄어드는수밖에 없죠. 맨해튼,도쿄,홍콩을 봐도 알수있습니다
@eyeinppp
@eyeinppp 4 ай бұрын
말씀하신 독특한 디자인의 건물의 경우 그 디자인의 권리는 누가 소유하게 되나요? 디자이너? 건축가? 건물주? 궁금합니다.
@hcl4895
@hcl4895 18 күн бұрын
그럼 꽃병을 내부중앙으로 만들면 어떨까요? 외관은 시멘트 건물인데 정사각형 건물인데 내부엔 가운대가 뚤려서 햇빛이 들어오고 기와가 있고 마당이 있다면 어떨까요?
@ssw61461
@ssw61461 Ай бұрын
한옥의 고층건물은 왜 없을까 생각한적 있었는데...너무 좋은 내용이네요... 조상들이 생각했던 가옥의 개념도 자연과 함께 어우러지는 것을 우선시 했으니 높게 쌓아올리는 건축보단 나지막히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건축이 한옥이라고 보는게 맞는거 같아요~ 자연엔 빌딩과같이 인위적으로 높게 솟고 튀는 것이 없으니까요...ㅎㅎ 다만 수직으로 빌딩처럼 높게 쌓지 않고 계단식 논과같이 층층히 마당공간과 함께 1층짜리 한옥이 있거나 성벽처럼 돌담으로 쌓아올린 토대 위에 마당공간과 함께 한옥이 있으면 한옥이라는 의미가 퇴색되지도 않고 아름다운 한옥이 되지 않을까 상상해보네요😊
@collardrag
@collardrag 5 ай бұрын
수원화성처럼 꼭대기에만 처마올리는 형태로 지어도 될텐데요
@grf411
@grf411 6 ай бұрын
북촌 한옥마을을 모티프로 삼아 계단식 테라스 아파트를 짓는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북촌 한옥 마을에 있는 한옥들은 다른 한옥들보다 벽이 상대적으로 높지만, 자연스럽고 정통적으로 보이는게, 아무래도 언덕진 곳에 지어져있다 보니, 낮은 곳에 2층인 높히가 언덕 위로 조금 올라 가면, 아무래도 언덕 높히 만큼 건물 높히 가 땅에 묻혀있어, 밑에서 2층 높히가 언덕 위에선 1층 높히로 보이기 때문이잖아요. 그런식으로 한옥을 언덕길에 짓고 거기다 지하까지 넣는다면 밖에서는 1층으로 보이는 건물이 안에서는 3층 높히의 공간을 확보 할수있지 않을까요? 그래서, 계단식 테라스 아파트로 인공 언덕을 만들되, 테라스에서 다음 층으로 올라갈수있게 연결시키고, 그 위에 한옥식 건물을 사이사이에 짓는다면 전통적인 한옥 파사드를 가진 다층 건물을 지을수있지 않을까요? 아니면 오히려 너무 인공적이고 부자연스럽게 보일까요?
@tomyan229
@tomyan229 6 ай бұрын
예전에 보스턴에 있었을때 늘 신기하게 보던 건물이 있었는데요 존 핸콕빌딩이라고 보는 각도에 달라서 빌딩이 달리보여서 굉장히 신기했는데 지금 생각해보면 63빌딩이랑도 비슷한것같네요. 교수님도 보스턴에 있었던걸로 아는데 교수님은 어떻게 생각하고있는지 궁금합니다.
@mnm_nm
@mnm_nm 6 ай бұрын
전반적으로 동의하며 좋은 영상 잘 봤습니다! 그런데 처음에 한옥의 1대1비율도 한옥의 특징 중 하나라고 설명하셨잖아요? 그런데 그것 또한 그 시대의 재료나 자연환경, 기술 등에 의해 목구조와 기와지붕이 나타나서 그런거 아닌가요? 그렇다면 그 비율적인 측면에서의 한옥의 특징도 결국 형태적인 특징이 아닌가요?
@No.00
@No.00 6 ай бұрын
그럼 지붕을 유리같은 재료로 만들면 1:1의 비율을 유지하면서도 다층으로 만들수 있는건가요?
@user-qr9xv7rb2i
@user-qr9xv7rb2i 5 ай бұрын
7분최고입니다!
@asnoopy
@asnoopy 6 ай бұрын
황룡사 탑 같은 거 더 지어지면 좋겠는데. 고대 스타일 그대로 지으면 좋겠다.. 그러면 일본 거라 비슷하다고 조선식으로 디자인 많이 바꾼다는데 고증에 맞게 지으면 좋겠음.. 찐 신라, 백제 이런 건축물 보고 싶은데. 어휴
@InOS-ex6hb
@InOS-ex6hb 6 ай бұрын
사람과 사람의 단절, 프라이버시가 중요시되는 시기에 교수님이 정의하신 한옥은 트렌드가 되기 힘들겠네요
@PaperBackS100
@PaperBackS100 6 ай бұрын
마지막 꺼는 진짜... 떨어트려서 돈은 다른놈 주고 정작 실건축은 떨어트린 사람껄 훔쳐써? 진짜 제정신이 아닌거 같음.
@ik8319
@ik8319 17 күн бұрын
비용을 상관 하지 않는다면 외적인 부분까지 통째로 옮겨서 쌓을 경우 고층 한옥이라고 여길 수 있으려나요ㅎ
@user-wn5rs8nq8z
@user-wn5rs8nq8z 6 ай бұрын
이번에 홍대 지하캠퍼스를 설계하는 렘 콜하스의 건축사무소 이야기 해주세요. 초기에 홍대 캠퍼스 관련해서 지하캠퍼스 이야기하셨던 것과 연결되는 것 같습니다.
@W.O_O.K
@W.O_O.K 6 ай бұрын
하.. 진짜 부자이면 외형을 한옥 스타일로 지어서 살고싶다 한옥이 진짜 뭔가 멋지고 아름다운거 같음 내부는 단열 같은거 신경쓰고 최신 스타일로 만들고
@user-vg3qp4wv2o
@user-vg3qp4wv2o 5 ай бұрын
그동안 고층 한옥이 없었던건 눈치채지 못했네요 고층으로 한옥을 만들면 한옥 특유의 느낌이 안날것같기는해요
@ililllilil3230
@ililllilil3230 5 ай бұрын
좋은말씀 감사합니다
@rebealthetruth
@rebealthetruth 6 ай бұрын
고려 때는 기와장 색이 연녹색도 있고 연청색도 있고 연황색도 있지 않았을까 싶음 기둥보는 홍색, 흑단 나무인지, 옻칠인지 검정색도 있고... 조선은 눈에 보이는 색색들이 너무 초라함..
@jaylee4976
@jaylee4976 6 ай бұрын
왜냐면 조선 국정운용 기본 기조부터가 '국가에서 최대한 아껴서 백성을 최대한 덜 쥐어짜자' 였기 때문에 특별한 목적 없이 거대하거나 화려해서 돈 많이 들어가는 프로젝트 시작하는 순간, 아무리 왕이라도 통촉하여 주시옵소서 오페라를 피할 수가 없었기 때문.
@ChunSik262
@ChunSik262 5 ай бұрын
몽골풍임
@user-oc1qh7pk1w
@user-oc1qh7pk1w 6 ай бұрын
말씀하신걸 들어보면 고층한옥은 2~3층마다 최소한의 정원이 있어야겠네요 서울같은 땅값이 비싼곳에서는 상대적으로 고층한옥은 구현하기 힘들듯 오히려 건축가들의 과제로 남을 수 있겠네요
@mkmk11111
@mkmk11111 4 ай бұрын
왜 한옥 1층만 된다는거 자체가 문제. 왜 그안에서 바라보는것만으로 한옥에 정의를 내리고 지맘대로 한옥이 아니라고 생각 하는자체가 짧은 생각. 그안에서 바라보고 여유있는사람만의 뷰만있는곳이 한옥이라보는것자체가 문제 ㅋㅋ
@user-rp6zo3ly2e
@user-rp6zo3ly2e 6 ай бұрын
저는 일반인이지만 현준님과 견해가 같습니다. 저 코모도 호텔을 직접 봤는데요. 우리 한옥의 단층의 미에 익숙해서인지 한옥이라는 느낌보다 아무리 기와와 처마가 같은 형태여도 중국이나 일본꺼인가? 하는 생각이 먼저 들더라구요. 아래에서 저 호텔을 우러러봐도 멋지다는 생각보다 무거운 장식을 굳이 이고 있는 느낌이 들었어요. 누군가의 기획과 실천으로 이룬 결과를 그렇게 싶게 훔치면 개발자나 기획자는 무너지겠죠. 열심히 해봐야 무슨 소용인가 싶어지며 창작의 의욕을 꺽는다고 봅니다. 중국이 전 세계의 모든 상표나 방송 컨덴츠를 무단으로 쓰고도 모르쇠 하며 창작자들을 힘빠지게 해서 얻는 건 그 나라를 결국 외면하게 만드는 거라고 생각합니다. 보호받아야 할 것들은 이제 보호해줘야 그 분야가 쇠락하지 않겠어요? 오늘치 교양 쭈욱 들이킵니다.~~~감사합니다!
@vamp_c502
@vamp_c502 6 ай бұрын
부산에 살아서 어렸을 때부터 저 코모도호텔을 봐왔고, 저기서 커피 마신 적도 있는데 예전에 일본인 관광객들이 아주 많았죠. 물론 지금도 동양적인 분위기 때문에 외국인 투숙객이 많다고 들었습니다. 오래된 건물이라서 그런지 코모도호텔에 귀신 나온다는 소문도 있어서 느낌상 호텔이 좀 으스스하기도 해요. 밤에는 그래도 불이 환하게 켜져서 지나갈 때 괜찮아 보이기는 하지만… 재개발 때문에 철거된다는 소문도 있었는데 위치가 위치이니만큼 그럴 가능성은 낮다고 하더군요. 게다가 호주의 건축가가 ‘부산을 지키는 이순신 장군’을 상징화했다는데 저걸 철거하면 ㅋㅋㅋ (호주 건축가의 큰 그림)
@user-lb9dv9lj7c
@user-lb9dv9lj7c 6 ай бұрын
호주인의 설계로 애초에는 초현대식고층건물로 부두와 케이블카로 잇는건물이었죠 대만원산대반점 참고해서 지은걸로 한국적인요소만 집어넣어서 초창기는 객실방문도 태극문양으로 복도조명도 청사초롱에 정문앞에는 실물거북선과 분수도있었지요 에밀레종도 재현했었구요
@dennythedavinchi3832
@dennythedavinchi3832 6 ай бұрын
경복궁을 본따서 만든겁니다. 그런데 경봉궁 자체가 명나라 풍으로 지어진 궁입니다. 결국 우리만의 독특한 양식이란게 없습니다. 위에 언급된 한옥의 특징도 중국에서 이미 버린 당나라 풍입니다. 이게 한국 건축가들이 느끼는 비애입니다. 건축세계에서 우리가 전통이라고 내세울게 없습니다.
@o0ow
@o0ow 5 ай бұрын
이런 건축 디자인 분야도 ai이가 하는 날도 언젠가 오겠죠?? 궁금하네요
@demianjoo6273
@demianjoo6273 6 ай бұрын
황룡사 9층목탑에 대한 질문을 했던 사람입니다! 영상이 올라온지 꽤 지난 후에 댓글을 달았었던지라 답변을 받을 수 있을까? 했는데... 이렇게 영상으로 답변을 받아보니 너무 기쁘네요~ 지난 영상에서는 기와의 곡선과 처마, 그리고 건물 등의 조화가 다층으로 지어지면 어울리지 않는다는 취지의 영상이었기에 황룡사 9층목탑을 질문드렸었습니다만 건물 내부에서 바깥을 바라보는 풍경이라는 점은 고려해보지 못했네요 새로운 시각도 있다는 점을 알게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아, 그리고 황룡사 9층목탑의 생김새만 보자면 왠만한 건물보다도 크고 내부적으로도 사람들이 충분히 오갈수 있는 거주성이 있다고 보는데 아무래도 그곳에서 상주하지는 않아서 '탑'이라는 이름이 붙은 걸까요? 황룡사의 경우 이미 모두 불타 없어져 버려 알수가 없다는점이 슬프네요
@dennythedavinchi3832
@dennythedavinchi3832 6 ай бұрын
저는 이분 말씀 이해 못하는건 아닌데 납득이 안가네요. 너무 기능성에만 치우쳐있고, 당나라에서 버린 담장&마당식을 한옥이라 정의하는것도 한계가 있고 미적이고 감수성적인 면에서는 매우 평이 박하신거 같습니다. 전혀 대중적 시각이 없으신거 같습니다.
@jaylee4976
@jaylee4976 6 ай бұрын
@@dennythedavinchi3832 낙수장같은 모양만 좋은 건설폐기물보다는 덜 대중적이어도 기능성 있는게 훨씬 나음.
@smb9846
@smb9846 5 ай бұрын
@@dennythedavinchi3832 예전에 망한 관광지에서 본 범선 모양 식당이 생각나네요
@user-so9dt3zf2k
@user-so9dt3zf2k 4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한국미술사 강의에서 배운 바를 토대로 말씀드립니다. 황룡사 구층 목탑은 황룡사라는 절 안에 세워진 목탑이며, 원래 그 안에 층층이 불상이 놓여져 있었습니다. 승려들이 들어가 염불을 외우던 장소죠. 각 충은 신라를 위협했던 각각의 적국을 상징했습니다. 이렇다보니 거주를 위한 공간이다, 라기보다는 종교적 상징물이라는 교수님의 말씀이 좀더 적절할 수밖에 없습니다.
@DUDUNGA25
@DUDUNGA25 5 ай бұрын
그럼 기와집의 그 양식을 뭐라고 불러야 할까요? 그리고 서양의 지붕과 한국의 기와가 비슷하던데 무슨 기준으로 나눌수 있나요?
@2023WorldChampionT1
@2023WorldChampionT1 5 ай бұрын
그리고 한옥 느낌 나게 중간에 마당이 있는걸 연출하려면 뭘 못하나요 그냥 가운대 원하는 크기 정해서 자연 보전하고 사각을 높이면 되는데 그냥 건축가에 따라서 달라진다고 봅니다.
@JAhn88
@JAhn88 5 ай бұрын
현준님~ 브루클린 타워 리뷰 해주세요!! 반지의 제왕에 나올법 한 타워가 어느순간 지어져 있더라구요ㅋㅋ
@user-bc3rb8vo8e
@user-bc3rb8vo8e 6 ай бұрын
꽃병 비유가 정말 우아하네요. 아주 좋은 비유 같아요
@vamp_c502
@vamp_c502 6 ай бұрын
저는 사람 얼굴이 건물에 해당된다 하실 때 ‘반대 아닌가요?’ 했다가 1초 뒤 바로 이해 ㅋㅋㅋ
@pureum3919
@pureum3919 6 ай бұрын
교수님 시티즈 스카이라인2 플레이 부탁드립니다 ㅠㅠ 교수님의 도시를 보고싶어요
@user-ph5ku9lh3j
@user-ph5ku9lh3j 3 ай бұрын
4:58 이 공간까지가 매 층마다 있다고 하면 어떨까요? 베란다 혹은 발코니를 둘러싼 형태라고도 볼 수 있을 거 같은데
@elpresidente124
@elpresidente124 6 ай бұрын
부산에도 코모도 호텔을 일본의 성이나, 중국 호텔느낌이 난다고 하는 사람이 많은데 아마 현준님이 말한 그런 느낌 때문이겠죠. 실제로 대만에서도 이젠 저런 건물은 안 지어진지 오래구요
@dennythedavinchi3832
@dennythedavinchi3832 6 ай бұрын
제 생각은 다릅니다. 중국과 일본이 일찍 밟은 단계를 한국은 근대에 와서 겨우 이륙한 산물이라 봅니다. 현준교수님이 말씀 하시는 한옥은 당나라시대 양식이고 송나라때 돈이 생기면서 필요없어진 구시대 산물입니다. 일본은 전국시대만해도 조선보다 건축술이 못했지만 오다노부나가를 지나 에도시대에 자본유입이 넘처나면서 높은 동양건물들이 세워진겁니다. 한국은 이제 돈맛을 보면서 코모도 호텔이나 그와 유사한 고층 동양풍 건물을 세울수 있게 된겁니다. 가난한 시절 우리 모습을 원래 우리의 모습이라고 정의 하는건 잘못된겁니다.
@bieup8966
@bieup8966 6 ай бұрын
한옥 대신에 한복, 한식으로 바꿔서 생각해 보면 앞으로 방향을 상상해 볼 수 있을 것 같네요. 경계는 무너지고 새로운 형태가 계속 등장하며 동시에 오리지널에 대한 동경은 높아지지 않을까...
@Ulsanman3
@Ulsanman3 4 ай бұрын
전통 한옥 중에는 특이한 구조의 집이 있는데 이것도 지적 재산권 등록 가능한가요?
@user-si6by9uu8u
@user-si6by9uu8u 6 ай бұрын
코모도호텔도 그 당시 인식과 기술로 한옥을 컨셉으로 만든거 아닌가요? 층마다 처마로 되어 상당히 인상적이던데 ㅎ
@trchk
@trchk 6 ай бұрын
경주타워 얘기는 정말 어이가 없으면서도 한국에서 종종 있는 일이라 놀랍지는 않네요 ㅋㅋ
Tour of Cheong Wa Dae, the President's Space
18:25
셜록현준
Рет қаралды 898 М.
Climbing to 18M Subscribers 🎉
00:32
Matt Larose
Рет қаралды 35 МЛН
Which one is the best? #katebrush #shorts
00:12
Kate Brush
Рет қаралды 27 МЛН
Final muy increíble 😱
00:46
Juan De Dios Pantoja 2
Рет қаралды 34 МЛН
한국은 빨간벽돌, 미국은 나무? 왜 이런 집이 많을까
14:19
홍콩처럼 서울 곳곳에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된다면?
18:44
이상적인 도시를 만드는 현실적인 방법
19:05
셜록현준
Рет қаралды 282 М.
한국과는 다른, 독일 국회 돔의 존재 이유
16:13
셜록현준
Рет қаралды 481 М.
북한 류경호텔은 진짜 세계 최악의 건물일까?
10:33
셜록현준
Рет қаралды 814 М.
Climbing to 18M Subscribers 🎉
00:32
Matt Larose
Рет қаралды 35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