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관문 앞 물 '악취 진동'…비어 있는 아랫집 열어 보니 / SBS 8뉴스

  Рет қаралды 86,535

SBS 뉴스

SBS 뉴스

28 күн бұрын

〈앵커〉
집주인이 연락이 끊긴 전세사기 주택들은 관리가 제대로 안 되거나 아예 방치되기도 합니다. 물이 새거나 냄새가 나서 이웃 주민들이 피해를 보기도 하는데 마땅한 대책이 없다고 합니다.
박재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경기 파주시의 한 다세대주택에 거주하는 A 씨.
지난달부터 심각해진 악취에 아랫집을 확인했더니 현관문 밖으로 물이 흘러나오고 있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A 씨/피해 주민 : 계단으로도 (물이) 막 떨어져 있고, 그리고 계단 벽 있는 곳도 침수 흔적이 있고.]
경찰에 신고해 아랫집에 들어가 보니 텅 빈 집안은 곳곳이 침수돼 있고 곰팡이로 뒤덮여 있었습니다.
집주인이 전세보증금을 돌려주지 않고 잠적한 전세사기 의심 세대로, 세입자는 지난해 초 이사 간 상태였습니다.
그런데 방치된 사이 배관에 문제가 생기면서 위층에서 내려오는 물이 집안으로 넘친 겁니다.
A 씨는 등기부등본에 적힌 집주인 주소로 보수 공사를 해달라는 내용증명까지 보냈지만, 실제로 거주하지 않는다며 반송됐습니다.
자비를 들여 아랫집 배관을 고치려 해도 수리를 이유로는 강제로 들어갈 수 없는 상황.
파주시에 민원을 넣었지만, "개인 소유 주택 보수에 대해 개입할 수 있는 여지가 없다"는 답이 돌아왔습니다.
전세 보험에 가입했던 세입자에게 전세보증금을 지급해 준 주택도시보증공사도 관리 책임은 없습니다.
[주택도시보증공사 관계자 : 변제권만 양도받은 상황이어서 어떠한 (주택) 관리를 할 수 있는 지위에 있는 상황이 아닙니다.]
결국, A 씨가 할 수 있는 건 아랫집에 물이 내려가지 않도록 하는 임시조치뿐이었습니다.
[A 씨/피해 주민 : 개수대에 나오는 물을 화장실로 빼다 보니까 문을 닫을 수가 없어요. 소리도 다 들리고 또 냄새도 이제 음식물이.]
주민들은 안전 문제도 호소합니다.
[B 씨/피해 주민 : 벽도 울퉁불퉁해지고 나무도 다 갈라져 있고. 이렇게 계속 있다가는 건물 자체에도 안전상의 위험이 있지 않을까요.]
방치된 전세사기 주택에 대해 지자체의 관리 책임을 강화하는 내용을 담은 전세사기특별법 개정안이 국회에서 논의되고 있지만, 여야 의견이 엇갈리고 있어 언제 통과될지 불투명한 상황입니다.
(영상취재 : 윤 형, 영상편집 : 최혜란, 디자인 : 이종정)
☞더 자세한 정보
news.sbs.co.kr/y/?id=N1007653676
☞[부동산 정책 · 시장 동향] 기사 모아보기
news.sbs.co.kr/y/i/?id=100000...
#전세사기 #주택 #악취 #침수
▶SBS 뉴스 채널 구독하기 : n.sbs.co.kr/youtube
♨지금 뜨거운 이슈, 함께 토론하기(스프 구독) : premium.sbs.co.kr
▶SBS 뉴스 라이브 : n.sbs.co.kr/youtubeLive , n.sbs.co.kr/live
▶SBS 뉴스 제보하기
홈페이지: n.sbs.co.kr/inform
애플리케이션: 'SBS뉴스' 앱 설치하고 제보 - n.sbs.co.kr/App
카카오톡: 'SBS뉴스'와 친구 맺고 채팅 - pf.kakao.com/_ewsdq/chat
페이스북: 'SBS뉴스' 메시지 전송 - / sbs8news
이메일: sbs8news@sbs.co.kr
문자 #누르고 6000
전화: 02-2113-6000
홈페이지: news.sbs.co.kr/
페이스북: / sbs8news
트위터: / sbs8news
카카오톡: pf.kakao.com/_ewsdq
인스타그램: / sbsnews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Пікірлер: 111
@user-uc8ut3bl4v
@user-uc8ut3bl4v 27 күн бұрын
전세사기는 진짜 나라에서 특별법으로 민생 안전을 위해 신경써줘야 하는 부분인데..이런..사기꾼들 땜에 엄한 사람만 피해보는거 이제 그만 봤으면 좋겠네요
@Pilduck_Park
@Pilduck_Park 26 күн бұрын
야당이 반대합니다 😮
@fvjoy24
@fvjoy24 25 күн бұрын
​@@Pilduck_Park떠라이냐?
@user-wl4tv3lp9p
@user-wl4tv3lp9p 26 күн бұрын
사기꾼들 다사형시켜라 에휴 피해자만 억울한
@user-kz5ll1ep9i
@user-kz5ll1ep9i 27 күн бұрын
엉뚱하게도 상관없는 기존 주민들이 2차 피해로 이렇게까지 고통을 겪고 있는데 관련 법령 핑계로 이들 문제로만 취급하여 감내하라고 한다면 너무 가혹하다...정부나 지자체에서 이 부분을 우선 해결 해 줘야 한다고 생각한다! 법 개정 또한 서둘러라!
@MKimID
@MKimID 26 күн бұрын
그렇다고 정부가 개인의 재산권에 개입하기 시작하면 한도 끝도 없는 문제만 발생할 뿐입니다.
@JOOH100
@JOOH100 26 күн бұрын
현재 법안으로는 정부,지자체가 해결할 권한이 없음.. 입법이 되야하는데 국회에서 지들 밥그릇 챙기느라 계류중
@user-cf6of7wb8f
@user-cf6of7wb8f 27 күн бұрын
이런경우는 법 개정이 필요하다. 빈집인거 뻔히 아는데 보수를 못한다는게 말이되냐,
@youngje7014
@youngje7014 27 күн бұрын
국회는 뭘하냐 민생 좀 해라
@user-ub4eu5uh8j
@user-ub4eu5uh8j 27 күн бұрын
전세사기는구속해라~~
@user-qf8xp3ej3q
@user-qf8xp3ej3q 27 күн бұрын
전세사기는 정부에서 조장한것이나 다름없다
@user-xq4yc7sh4z
@user-xq4yc7sh4z 26 күн бұрын
월래 그전에는 전세가 있으면 은행에서 돈을 안줬는데 언제 이리 바꼈데 세상에 웃긴다 뭐이런 말도안되는 경우가 있대 전에는 집값에 반비례해서 전세값이 나오고 살수이써는데 세상이 참 희안해졌다 3억짜리지집을 전세금이 25000이나오고 말도안되게 참나
@comic429
@comic429 26 күн бұрын
@@user-xq4yc7sh4z 와 글자 하나하나마다 틀내 오지는것도 재능이다
@oppada_
@oppada_ 26 күн бұрын
싸잡아말하지말고 문정부라고해 ㅋㅋ
@user-ey4je2fj9z
@user-ey4je2fj9z 25 күн бұрын
전세대출 자체가 겁나 웃긴거야~ 덕분에 집값 많이 올라서 또 웃기고~
@user-oq2ie8pm9w
@user-oq2ie8pm9w 24 күн бұрын
@@comic429 맞는 말하는게 듣기 싫으냐?ㅋㅋ그건니맘이 더럽기 때문 아닐까?ㅋㅋ
@pianisteun
@pianisteun 27 күн бұрын
전세사기는 피해보상 후 구속이 댭이다.
@daks-sar8534
@daks-sar8534 26 күн бұрын
니 돈으로?????
@user-ns2bd3ir5x
@user-ns2bd3ir5x 26 күн бұрын
​@@daks-sar8534사기꾼 돈으로
@lucky.m6652
@lucky.m6652 27 күн бұрын
살고있는 사람은 제대로 살아야할거아냐 ? 파주시에서 도움줘야지 앵무새같은 소리만 지껄이면 어쩌라는건데 시에서 도와주지않으면 어쩌라는건데 파주시는 뭐하나 제대로 하는게 없다 ㆍ
@asyncronize
@asyncronize 27 күн бұрын
허그에서 세입자에게 주인대신 돈을 주고 집에 압류를 안걸었다는 얘기잖아. 도대체 왜? 은행대출이 있나? 그럼 허그는 누구한테 돈을 받나?
@user-yl9vs7gd5h
@user-yl9vs7gd5h 27 күн бұрын
공무원들 하는짓이 그렇죠 모. 자기돈 아니니까 펑펑~
@user-ts7md7cr9i
@user-ts7md7cr9i 26 күн бұрын
전세 제도 좀 없애라 투기조장하는 제도이고 전세사기치는 인간들 구속 재산몰수해라
@012jinap
@012jinap 27 күн бұрын
전세 사기로 여러사람 고생하네 내친구도 윗집때매 고생중 ...저게모야 ㅠㅠㅠ
@dark_9400
@dark_9400 27 күн бұрын
몇년후면 집에서 시체 썩은내도 날텐데 벌써 호들갑이냐...
@user-hj9dq4rp5f
@user-hj9dq4rp5f 27 күн бұрын
ㅋㅋ그게 대한민국이니까
@hyungminkang7738
@hyungminkang7738 27 күн бұрын
구청이나 시청에서 문제 해결 해줘야 아닌가요? 누가 해결 해주나요?
@user-kq4zz8pf3l
@user-kq4zz8pf3l 27 күн бұрын
파주시청은 뭐한대요? 시민들이 각자도생 하라고요?
@user-yl9vs7gd5h
@user-yl9vs7gd5h 27 күн бұрын
대체 이런 문제를 국가에서 안도와주면 어쩌라는 거죠? 문을 뿌수고 들어가요? 허허 참
@osungkwon1842
@osungkwon1842 27 күн бұрын
이런 사건은 매우 특수한 경우이므로 정부나 기관등이 합심해서 해결해줄수있는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던가, 아니면 직접 해결에 앞장서야 합니다!!
@user-hj9dq4rp5f
@user-hj9dq4rp5f 27 күн бұрын
빌라 사는것도 서러운데 저런 문제까지 떠안아야 하다니 정말 힘들겠네요. 같은 빌라사는 입장에서 저희도 저런 일에 처할까봐 걱정되네요. 정치하시는 분들이 좀 민생에 맞는 법과 시스템을 만드셨음해요.
@user-lq6ro5qu4g
@user-lq6ro5qu4g 26 күн бұрын
파주시 이럴줄 알았다. 파주시장 쇼통 그만해라
@user-yl9vs7gd5h
@user-yl9vs7gd5h 24 күн бұрын
이런건 시나 구청에서 적극적으로 개입할 일이지. 그러라고 시민들이 세금내잖아요.
@blue-sky114
@blue-sky114 26 күн бұрын
그냥 기술자 불러서 문따서 고쳐라 나중에 소송걸릴꺼도 아니고 임기 응변 부족이다
@user-iv6oc6jw5h
@user-iv6oc6jw5h 26 күн бұрын
고층주택의 위험성 ㅡ 지하층 만의 문제는 아닙니다 ㅡ 불편함은 윗층이 ㅡ 생명담보는 지하층이 ㅡ 죽느냐 사느냐의 문제보다 더 심각한것은 나만 생각하는 현실 ㅡ 윗층과 아랫층 옆집이 서로 생각과 현실의 합의점을 인정하지 못하는 대도시의 문제점을 그대로 나타내는 점 ㅡㅡㅡ 공동주택의 장점이자 단점입니다 ㅡ 한건물 수백명이 모여살지만 따로국밥 ㅡ 죽느냐 사느냐 ㅡ 죽이느냐 살아있느냐 ㅡ 모두들 행복하세요
@user-dy9ns2ch4y
@user-dy9ns2ch4y 26 күн бұрын
누가 개나 소나 풀대출 땡겨서 갭투자가 성행하게 만들었나를 잘 생각해봐라 그 당시 몇년 뒤 이런 전세사기 급증할걸 우려하는 목소리가 컸는데 아몰랑 귀 닫았죠 ㅋ
@user-zl3un5me6e
@user-zl3un5me6e 27 күн бұрын
허그 뭐하냐..니네들 세금이 장난이야? 압수수색 가즈아
@love20000430
@love20000430 27 күн бұрын
@themis9658
@themis9658 27 күн бұрын
한국 공무원 들이 얼마나 일하지 안는가 의 문제점 이것이 팩트 아파트 입구 막는 자동차 견인 못하는 것도 같은 상황 ㅋㅋ 고위 공무원 들아 니들 밥그릇 챙기지말고 일좀 하자 국민들의 뭐가 힘들고 불편한지 허긴 지금은 돌열 깡패 들 잡는 상황 이라 이해는감 ㅋ
@user-zl3un5me6e
@user-zl3un5me6e 27 күн бұрын
철밥통 공무원들 진짜 ㅋㅋ 발뺌 쩔어
@user-qb9fz5xe5l
@user-qb9fz5xe5l 26 күн бұрын
결국 이게 미래의 아파트의 모습이다. 내가 보기엔 1기 신도시에서도 낡아져서 재건축 못하는 집들이 생기고 그러면 저렇게 된다. 물론 20년 후쯤 이야기 이겠지만. 지방은 지금부터 생겨 날 거다.
@skipeo77
@skipeo77 26 күн бұрын
직구 막을 머리로 전세사기좀 잡아라
@realjjigaegogopanda
@realjjigaegogopanda 22 күн бұрын
전세사기 법이 약하니
@murphy_cho
@murphy_cho 26 күн бұрын
국회의원들이 백날천날 떠들어봐야.. 민생보다 지들 밥그릇에만 관심 있는거지.. 맨날 말은 국민을 위한다는데.. 수십년째 전세사기 방치하는거 보면 저출산이나 민생이나 관심 1도 없는거.
@user-sg8gb4xn6t
@user-sg8gb4xn6t 26 күн бұрын
주거관련 전세사기관련 민생에대한 법 반대하는 의원들 누군지 어디서볼수있음? 진정한 탐관오리 지들배만채우는애들 누군지좀알고싶다
@user-we3yt4nf2j
@user-we3yt4nf2j 24 күн бұрын
우리집말한줄?
@user-ke2ci5rt5b
@user-ke2ci5rt5b 26 күн бұрын
부동산 하자 뉴스하면 파주가 많내요
@user-hn4kd2jv9o
@user-hn4kd2jv9o 24 күн бұрын
저거 시급히 조치 안취하면 건물 무너지는거 한순간이다😤
@RedPeregrineFalcon
@RedPeregrineFalcon 26 күн бұрын
내가 빌라를 안사는 이유
@yukbrooh986
@yukbrooh986 26 күн бұрын
건설사 그만 도우고 전세사기좀 어떻게해라
@yyjj1137
@yyjj1137 26 күн бұрын
저렇게 연락두절이면 강제 경매 할수있게 법을 만들어야됨
@user-fc4tn9kn2g
@user-fc4tn9kn2g 26 күн бұрын
빌라 전세 가면 저런다
@SM-tb6xe
@SM-tb6xe 24 күн бұрын
주인도없고 비어있는집때문에 피해보는데 강제개방 수리못한다는게 말이되나! 도대체 모든법은 누구를 위한 법인가! 모두다 귀찮으니책임회피 하느라 법타령만한다~
@user-ge4vz1tv4c
@user-ge4vz1tv4c 26 күн бұрын
선보상 후 조치해라
@Elephant_01
@Elephant_01 26 күн бұрын
범법을 위한 게 아닌 어쩔 수 없는 경우라면 관용적으로 법을 적용해서 수리하게 해줘야지.. 이웃이 개인돈으로 해주겠다는데.. 에혀, 법 적용을 저렇게 할거면 판사가 왜 필요하나, 걍 A.I가 판결때리면 되지. 어차피 글자 그대로 판결하는 건 기계가 훨씬 잘할텐데.. ㅉㅉㅉ
@user-li4ry5vj3d
@user-li4ry5vj3d 26 күн бұрын
법개선해야 하는것들 진짜 많아
@user01-ze9sr
@user01-ze9sr 24 күн бұрын
집주인 찾으면서 피해산정 하고, 소송 걸어서 피해보상 판결 받은 다음에, 경매 걸면 집주인 나타나지 않을까? ㅎ 안나타나주면 경락 받으면 되니 더 좋긴한데, 나타날 거 같다. 왠지. ㅎ
@msj4744
@msj4744 26 күн бұрын
요즘은 남에게 피해를 줘도 [개인] 이 단어만 들어가면 공권력이 할 수 있는게 하나도 없다 개인때문에 다수가 피해를 봐도 어쩔 수 없다는게 맞는 말인가요? 개인이 모여서 다수가 되는건데 왜 극소수 때문에 대다수가 피해를 떠안아야하는건지 모르겠어요
@user-fp3zs1qw4p
@user-fp3zs1qw4p 26 күн бұрын
전세가기 특별법 발의해도 국힘이 반대 ㅋㅋㅋㅋㅋ 또 무한 거부권 때리려나 민주당이 뭐할려고 해도 국힘이 반대를 하니 190석이 넘어도 할수있는게 없네
@user-wp5vx7cz9s
@user-wp5vx7cz9s 26 күн бұрын
이걸 들으니 학교다니는 학생은 방학때 놀자해놓고, 논다고 한적 없다고 하거나 왜 그러는지 물어볼려고 전화를 했는데, 전화를 안받고, 다른애들중에서도 놀아주는 애들이 없고 그러면 너무 괴롭겠고, 그러다가 시험성적이 안오르겠습니다. 시험성적이 안오르면 미래에 직업을 못갖고, 결국 노숙자가 되겠습니다! 그 다음에는 학생이 돈을 엄마한테 받는데, 엄마랑 안좋은일이 생겨 엄마가 화가나 돈을 안주고, 엄마가 안줘서 아빠한테 갔는데, 아빠는 엄마한테 달라고 하라 그러고, 엄마가 안준다고 하는데도 아빠가 안주면은 학생도 돈의 대해서 사기를 당하는일이 생기겠습니다! 그러고는 학교에 애들, 선생님들한테까지 불편이 연결되겠고여!
@user-rd8ic5ru5e
@user-rd8ic5ru5e 26 күн бұрын
직구 금지 할시간에 전세사기 대책이나 세워라
@user-vb9qu9de1u
@user-vb9qu9de1u 23 күн бұрын
저것도 특검해라,,
@user-xn1ot7pr8u
@user-xn1ot7pr8u 26 күн бұрын
나랏일하시는분들 일 안하고 세금으로 급여 받아가는것 안부끄럽냐? 탁상행정 멈춰라
@user-yj1js6jm2e
@user-yj1js6jm2e 26 күн бұрын
기득권이 되기위해 노력하죠.
@user-hc4se7uw9b
@user-hc4se7uw9b 26 күн бұрын
전세사기는 못막는게 아니라 일부러 방치하는 국민을상대로치는 사기임
@user-iv6oc6jw5h
@user-iv6oc6jw5h 26 күн бұрын
전세사기 요 ? 잠에서 깨어나는순간 전세금 사라지게 하는 사기수법 아직도 많아요 돈이 얼마나 아깝고 월세 내기싫어서 한순간 날아가는 전재산을 전세로 살까요 ? 초등학교 정도 졸업했다면 전세금 안날릴텐데 ㅡ서로 잘났다고 앞으로 전재산 서로 날리겠다고 난리네요 ㅡ 그 어느 국가도 자기책임을 더해주지 않습니다 ㅡ 모두들 사기를 당하든 전재산을 날리든 스스로의 선택이니 ㅡ 흥하든 망하든 모두들 행복하세요
@Ripper-_-
@Ripper-_- 26 күн бұрын
집안에서 뭐 수리할 필요도 없구요.. 저 집으로 들어가는 수도 계량기만 밖에 복도에서 잠그면 해결입니다
@user-zl3un5me6e
@user-zl3un5me6e 26 күн бұрын
멍청한 소리그만. 역류인데 뭔 계량기를 잠궈
@Ripper-_-
@Ripper-_- 26 күн бұрын
@@user-zl3un5me6e 사람 살지도 않는데 하수가 왜 생기나요~? 공용 배관이 막혀서 역류하는거면 공용에서 뚫으면 되는거고
@Itsgood-gs8ky
@Itsgood-gs8ky 26 күн бұрын
누수된 윗집을 고쳐야지 아랫집은 피해자인디ㅠ
@user-zl3un5me6e
@user-zl3un5me6e 26 күн бұрын
아랫집 역류로 인한 침수인데요
@user-kx1eo3if1x
@user-kx1eo3if1x 22 күн бұрын
더러운세상 더러운인간들 제발 선량한사람들에게 피해주지마라
@boom01671
@boom01671 26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 부동산은 5년후부터 나락갈거다
@duducipp
@duducipp 26 күн бұрын
국개의원들 지들 월급 올리는거 빼고 제대로 하ㅡㄴ게 없음
@shson2874
@shson2874 26 күн бұрын
국가에서 사기꾼을 양성하는 나라.
@user-ob9yt2xz7h
@user-ob9yt2xz7h 26 күн бұрын
항상 정부와 국회가 문제이구나.
@skid631
@skid631 27 күн бұрын
업체 불러서 그냥 철거 시켜
@MKimID
@MKimID 26 күн бұрын
저것은 전세사기의 문제가 아닙니다, 사유 재산을 제한할수 없는 정부의 입장도, 개인들의 불편함도 모두 답답한 상황이겠네요. 정부가 개입하면 재산권 어쩌고 할꺼고, 안하면 다른쪽에서 난리이고... 그리고 전세 사기의 근본적인 이유는 갭투기 입니다. 전세를 하면 전세가격이 공시가격보다 높으면 차액을 강제적으로 금융기관에 저축하도록 해야 한다고 봅니다. 물론 담보 설정이 되어 있는 경우에는 일정 비율 이상을 강제적으로 우선 변제금으로 금융기관에 저축하도록 해야하겠죠. 그래야 최악의 경우를 피할수 있고, 무분별한 갭투기도 막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user-kq4zz8pf3l
@user-kq4zz8pf3l 26 күн бұрын
특별한 상황에선 예외규정이 있어야겠죠?
@MKimID
@MKimID 26 күн бұрын
@@user-kq4zz8pf3l 전에 주차 빌런들도 그렇고, 이런 경우도 그렇고... 뭔가 정밀한 법안이 나와 주었으면 좋겠네요... 그런데 국개장에 대부분의 개들은 서로 개싸움만 하고 있고, 정작 민생을 챙기는 의원님들이 적어서 안타까운 현실입니다.
@user-ul1ko7fx9c
@user-ul1ko7fx9c 26 күн бұрын
이런경우는 윗집에서 물이 새는 경우이니 아파트 자체에서 관리대상으로 지정하고 배관 수리후 환기시키며 관찰 해야한다 즉 수리비는 윗층이 부담해야한다
@user-wq3xt3oo2d
@user-wq3xt3oo2d 26 күн бұрын
원희룡씨가 대책빨리 마련해야하는것아닌가
@user-co7fc1rj3e
@user-co7fc1rj3e 26 күн бұрын
나라가 이꼴이니 한심타
@user-hr3mc1fv6b
@user-hr3mc1fv6b 22 күн бұрын
이 나라 법이 1,2까지는 있고 3456789는 없어??? 이 나라 짱 먹은 사람이 법조인 출신인데 왜 그러는거야?? 진짜 법조인들 ㅈ지면 이 나라 망해????
@user-bang9master
@user-bang9master 25 күн бұрын
ㅉㅉㅉ
@user-pj5vd4kn3g
@user-pj5vd4kn3g 26 күн бұрын
아파트 팔아먹으려고 빌라.주택버리는 정책 클라쓰... ㅋㅋㅋ
@user-lq6ro5qu4g
@user-lq6ro5qu4g 24 күн бұрын
무능한 파주시장 더불어 살자더니 그당은 뭐한데요
@ironMan-1go
@ironMan-1go 26 күн бұрын
ㅋㅋㅋㅋㅋ
@HONGJINSU00
@HONGJINSU00 26 күн бұрын
나라 꼴 잘 돌아간다.
@Wolfs_Stray
@Wolfs_Stray 26 күн бұрын
국가에서 절대 세금으로 지원하면 안된다
@user-ym1br4sv3o
@user-ym1br4sv3o 26 күн бұрын
한국은 선진국 법은 후진국
@user-vh1nn3wq4l
@user-vh1nn3wq4l 26 күн бұрын
이딴 나라가 뭔 선진국이라고 ㅋㅋㅋㅋㅋ
@yllee6480
@yllee6480 26 күн бұрын
문통5 년 민주 180석부터 뭐하냐진짜...
@hit-man-re5vz
@hit-man-re5vz 24 күн бұрын
하수구는 아랫집이랑 상관없어 보인다..아랫집이 피해자인데, 뭔 소리인지? 내가 말하는것은 이 뉴스영상 같은집 경우다.욕실 천장이 개방형이라면 아랫집이 문제가 아니라, 그 밑에 집 천장 열어 뚫어야지. 개방형이 아니면, 공용배관이 문제지.
@user-ct8fx6wg1v
@user-ct8fx6wg1v 27 күн бұрын
그집 계량기를 잠그면되지
@user-yl9vs7gd5h
@user-yl9vs7gd5h 27 күн бұрын
윗집이 물을 쓰면 아랫집에서 물이 나온다는 얘기 같네요. 역류문제 같으네요.
@user-cf6of7wb8f
@user-cf6of7wb8f 27 күн бұрын
수도 문제가 아니고 배수문젠대 왠 계량기?
@user-yj1js6jm2e
@user-yj1js6jm2e 26 күн бұрын
꼴통보수에는 희망이 없지. 전세사기인데 기득권보수에서 합의를 안 해 주지. 이 나라는 기득권의 국가인데.
@ilillililiiilllliiliillli
@ilillililiiilllliiliillli 27 күн бұрын
윗층에서 세면 윗층에서 해결해야지 왜 빈집인 아랫층집주인이 해결을 해야함?
@user-zv1xp3he7x
@user-zv1xp3he7x 27 күн бұрын
윗층이 아니라 빈집 역류문제
@user-yl9vs7gd5h
@user-yl9vs7gd5h 27 күн бұрын
요즘애들은 난독증이 있나? 윗집사람이 자비들여서라도 아랫집을 수리하려고 하는데 집주인이 잠적해서 못한다잖아. 이게 다 교육문제네 ㅉㅉ
@012jinap
@012jinap 27 күн бұрын
아래층 빈집이 역류한다잖아 ㄷㅅㅇ
@user-mm6dn6wd2v
@user-mm6dn6wd2v 24 күн бұрын
저리다가 집 무너지면 그때가서 책임지나?쯧
@goodluckgodbless315
@goodluckgodbless315 26 күн бұрын
뭔말이야? 전세사기 매물인데 집주인이 도망가고 허그에서 인수해서 세입자가 들어가서 살다보니 저런누수문제가 발생했다는거야? 정부 지자체 문제가 아니라, 주택공사 허그에서 권한,관리보수하면되는거를 왜케 어렵게 일처리를해?
@user-lq6ro5qu4g
@user-lq6ro5qu4g 26 күн бұрын
혹시 초등학교 야간 나오셨나요? 이해력ㅉㅉ
@jwk238
@jwk238 26 күн бұрын
국회의원 자기집 아니니 관심없고 상대방 법안이니 무조건 반대하고 있으니 몇십년 후에나 될려나
ПООСТЕРЕГИСЬ🙊🙊🙊
00:39
Chapitosiki
Рет қаралды 67 МЛН
2000000❤️⚽️#shorts #thankyou
00:20
あしざるFC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
인구 100명 중 14명이라는 경계선지능인들 | ASKED
17:57
ПООСТЕРЕГИСЬ🙊🙊🙊
00:39
Chapitosiki
Рет қаралды 67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