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직의사 소신 발언 '대한민국 의료계의 현실' | 의학 전문채널

  Рет қаралды 160,682

우리동네신경외과

우리동네신경외과

Жыл бұрын

신경외과 전문채널 NO.1 우리동네 신경외과👨🏻‍⚕️
우리동네신경외과 비즈니스 문의
neurosurgerywoori@gmail.com
※ 가족 채널 소개 ※
💘우리동네 산부인과, 우리동산
/ @wooridongsan
-산부인과 전문의 권정은, 홍혜리, 추성일 세 사람이 홍익인간 정신으로 만든 우리동네 산부인과!
자타공인 여성 건강 채널 넘버원, 여성은 물론이고 남성에게도 유용한 산부인과 정보가 가득한 채널 입니다.
💘우리동네 어린이병원, 우리어린이
/ @woorikidss
- 육아에 대한 모든 것을 알수 있는 의학 채널입니다. 다둥이 맘 소아과 의사 손쌤, 감성장인 소아정신과 의사 박쌤이 아이에게 건강한 멘탈과 건강한 신체를 갖도록 도와주고 싶은 모든 엄마 아빠들이 구독하면 좋은 채널입니다.
💘우리동네 유방이야기, 우유TV
/ @wooyootv.
-동갑내기 유방외과, 성형외과 의사 세명이서 유방 및 유방암에 대한 다양한 내용을 수다떨듯이 풀어갑니다. 환자와 의사 모두에게 유익한 내용을 다루는 채널입니다.

Пікірлер: 839
@jinik8277
@jinik8277 Жыл бұрын
요즘 우리나라 모든 (사람대하는) 직종들이 다 저렇더라구요. 협박에 반말, 둔기로 위협하고.... 그냥 동네 카페나 구멍가게들도 저런 협박들을 받으니... 사람들 인식 수준이 개선되야 할텐데 큰일이에요. 제발 사람들이 다 사람다워졌으면 좋겠습니다
@user-ci7hw8us8z
@user-ci7hw8us8z Жыл бұрын
동감
@pocorn1124
@pocorn1124 Жыл бұрын
동감합니다
@kylee8201
@kylee8201 11 ай бұрын
맞아 처벌이 약해서 그런것같아요
@loveaintfree1409
@loveaintfree1409 11 ай бұрын
대부분 안그래요 뉴스에 너무 선동 당하신듯
@user-us8co3cu3z
@user-us8co3cu3z 11 ай бұрын
공권력이 강하지 못해 그렇죠
@user-kp3cw7ex1u
@user-kp3cw7ex1u 8 ай бұрын
바이탈 의사를 가장 저렴하게 사용하는 방법 - 최소한의 사회적 존경 분위기 와 결과가 나쁘다고 법정에 계속 불려다니거나, 구속시키지 않는 사회분위기.
@user-pw3wj5tp4h
@user-pw3wj5tp4h 3 ай бұрын
필수의료 바이탈과만큼은 세비받는 정치인과 동급의 대우,인식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네요. 유혹없이 자릴 지키려면 사명감만으론 불가능하죠.
@user-xg3od5lw7p
@user-xg3od5lw7p 3 ай бұрын
흉부외과에 소송거는애들은 ㄹㅇ 무슨 심보야
@_Largo_
@_Largo_ Жыл бұрын
기피과 선택하면 우대해주는 제도가 필요한듯..
@SPEEDWAY8282
@SPEEDWAY8282 4 ай бұрын
핵심입니다.
@user-ql9gm3wm5n
@user-ql9gm3wm5n 4 ай бұрын
맞아요....
@Dessertknowledge
@Dessertknowledge 4 ай бұрын
맞아요..근데 얼마나 더 우대를 해야 기피현상이 방지될까요..? 연 10억은 맞춰야 할까요
@jjmmpower.
@jjmmpower. 4 ай бұрын
​@@Dessertknowledge소송한번 잘못 걸리면 10억 들긴한대요
@SPEEDWAY8282
@SPEEDWAY8282 4 ай бұрын
@@Dessertknowledge (1)적어도 환자를 진심으로 살리고자 동의없이 수술할 수 밖에 없었던 의사는 법적 보호를 해줘야 겠지요? (2)선넘은 갑질로 진료를 방해하여 타 환자와 보호자에게 피해를 입히는 부모(보통 소아과)도 컨트롤 할 수 있는 법안이 만들어져야 하겠지요? (3) 외과,흉부외과,산부인과,응급의학과등 기피과에 대한 경제적 보상과 사회적 대우에도 형평성이 필요하고요.
@user-fw2km5gs1m
@user-fw2km5gs1m Жыл бұрын
말씀들어보니 그래도 저희 아버지는 수술이라도 받았네요... 비록 못버티시고 돌아가셨지만 그래도 저희가족은 의사 안미워합니다 최선을 다해주셨고 노력하셨으닌까요 의사선생님들 고생하시네요
@user-bo7sg2oc7o
@user-bo7sg2oc7o 3 ай бұрын
36시간 연속으로 일한데요
@CharlesChoMD
@CharlesChoMD Жыл бұрын
두분과 많은 바이탈과 선생님들 정말 존경합니다~
@wooribrain
@wooribrain Жыл бұрын
요즘 대한민국에서는 신장내과 의사도 귀합니다. 형님도 고생많으세요. 바쁜 와중에 유튜브로 환자들과 소통도 하시고...
@rabbit7690
@rabbit7690 Жыл бұрын
제가 자주보는 두 채널이 🙊 의사는 아니지만 병원에서 일하면서 몸 다 버리고 성질도 버려지고 환경도 나아질 기미 없이 거지같아서 더는 못 해먹겠다 하고 미국 넘어왔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꿋꿋하게 자리 지켜주시는 많은 쌤들께 감사할 따름입니다....요즘 한국뉴스 보면 스트레스 받아서 안 보고 있는데 갈길은 아주 멀어보이지만 이젠 정말 한국 의료계의 환경이 조금씩이라도 발전하면 좋겠어요..🙏전 근무하면서 밥 못먹고 화장실 못가고 밤낮 바뀌는것까진 그러려니 했는데.. 아시겠지만 그 일하는 환경자체가 진짜 매일매일 살얼음판, 외줄타는거 같았거든요. 뭐만하면 반대하고 우리 얘기를 들으려하지 않으시는 분들이 많지만 언젠가는 누구나 다 환자가 될 수 있고 그렇게 됐을때 의료진이 먼저 안전해야 환자도 안전하다는걸 국민들도 알아주셨으면 좋겠네요 ㅠㅠ
@user-qp4rf7er4w
@user-qp4rf7er4w Жыл бұрын
바이탈쪽 선생님들만 존경함. 미용사들은 문제있음.
@alan-mi5uy
@alan-mi5uy 3 ай бұрын
미용은 간호사도 할 수있도록 개방해야함...사실 장비업체가 의사보다 더 잘알고 더 잘씀.
@alan-mi5uy
@alan-mi5uy 3 ай бұрын
@@victorchoi8102 미용쪽은 개방해야함..뭐하는건지..
@Soriyou3
@Soriyou3 8 ай бұрын
미국에서 레지 1년차 과정을 밟고 있는 사람입니다. 미국도 인기과는 한국이랑 비슷하지만 중요한 바이탈과는 대부분 인기과에 속합니다. 내과는 가장 무난해서 혹은 펠로쉽을 하기 위한 발판으로 많이들 선택을 하고 한국에서 비인기 수술과들은 (일반외과, 흉부외과, 뇌 신경외과, 혈관외과, 비뇨기과등) 미국에선 그만큼 보수가 쎄서 많이들 가고 싶어합니다. 산부인과는 여자 의대생들이 매우 선호하는 과중 하나고요. 할수 있는일이 그만큼 많아서 그런거 같습니다. 그리고 미국에선 레지를 안 하면 GP로 일을 할수가 없는 구조로 바뀌어서 바로 페닥으로 일하지도 못 합니다. 도중에 개원을 하면서 진료과목을 바꾸는 일도 없고요. 그래서 의료 시스템 자체는 잘 유지가 되는거 같습니다. 다만 시골로 가면 의사가 부족한건 한국이랑 완전 똑같습니다. 이건 어떻게 풀수 있는 문제 같지가 않네요. 반면 한국에선 바이탈과로 가야되는 인센트브가 전혀 없는거 같아 보여서 의료시스템을 유지하는게 너무 어려워보입니다. 보수도 안 높고 고소확률도 높은 힘들고 고된일을 사명감 하나만으로 하는건 거의 불가능입니다... 한국에 계신 바이탈 의사선생님들 정말 존경합니다.
@wooribrain
@wooribrain 8 ай бұрын
너무 정확히 잘 지적해주셨네요
@user-pv7rm8ig5r
@user-pv7rm8ig5r 8 ай бұрын
미국도 ps os ent나 road가 인기과라고 들었는데 아닌가보네요
@Soriyou3
@Soriyou3 8 ай бұрын
@@user-pv7rm8ig5r ROAD는 워라벨이 보장되서 엄청난 인기과가 맞습니다. PS, OS, ENT 역시 예전부터 인기과였던 트렌드가 여전하고요. 다만 다른게 있다면 NS가 엄청난 인기과이고 (연봉이 엄청나서 그런거 같습니다) CS는 자리가 적지만 꽤나 인기과라는겁니다. 비뇨기과도 비슷하고요. 내과는 무난해서 좋은 프로그램들은 위에 과들만큼 들어가기가 힘들답니다.
@user-vk9op7px2n
@user-vk9op7px2n 4 ай бұрын
옳은 말씀 우리나라도 필수과는 보상을 많이 해줘야 한다고 생각함 그래야 의사들이 올거 아니가?? 돈은 적게주고 힘든일만 시키는데 어느누가 사명감 하나로 하겠는가
@alan-mi5uy
@alan-mi5uy 3 ай бұрын
@@user-vk9op7px2n 오히려 반대로 비필수과가 너무많은 돈을 버는거라고 볼수있네요..비급여 남발하지못하도록 제도 개선해야죠..다 상대적인거아닙니까? 의사소득 격차가 oecd 1위입니다
@user-fk5cj5qz2q
@user-fk5cj5qz2q Жыл бұрын
전 병원신세를 많이지는 사람이고 수술만 5번 경험한 환자로써 의사선생님들께 감사히 생각합니다. 어찌됐든 그 수술과 치료로 인해서 고통이 많이 줄었고, 삶의질이 좋아져서요^^고생도 많이들하시는데~~~힘내셔서 치료 많이해주세요!!
@jipdol2638
@jipdol2638 Жыл бұрын
영상 너무 잘봤습니다. 얼마전 댓글로 여쭤봤었는데 이렇게 영상으로 다뤄주셔서 감사합니다. 환자나 의사나 서로 윈윈하는 방향으로 개선시켜나아갔으면 좋겠네요
@user-ks7vc9gg2o
@user-ks7vc9gg2o 4 ай бұрын
시골 내과 의사지만 결과적으로 다들 더 큰병원으로 다가요. 그 병원은 다시 서울로가구요. 그러니 누가 지방 시골 가나요? 현재병원도 운영이 어려워요. 이래놓고 무슨 필수 의료를 우대한다고? 내과환자가 제일 많아서 내과수가를 올리면 건보재정이 가장타격이 크고 그러니 절대 내과 수가는 항상 저수가지요. 수술도 마찬가지고. 한국은 중요한 업종일수록 싸게 이용하게 해줘야한다는 방식이라서 나라가 좋아질리가없죠. 제일 쓸모없는게 국회의원 아닌가요?
@stickyricecake8967
@stickyricecake8967 Жыл бұрын
수술을 집도하는 의사는 진짜배기들임....한번이라도 째는 수술 받아보면 위대하게 보이기 시작함.. 그런 능력자 선생님들은 드물고 최소 종합병원 과장님급이라 줄서야 만날수 있다...수술하는 선생님들 늘리는 방법은 처우개선인듯....귀한 인력인거 인정하고 대해야....
@BOBissss
@BOBissss 3 ай бұрын
그런 사람들을 늘리면 좋은거 아님?
@user-mr1ti9dv7h
@user-mr1ti9dv7h Жыл бұрын
우리아이는 공대 의대 다 붙었는데 공대로 갔습니다. 사업해서 큰 수입을 얻고싶고 사회에 이바지 하고 싶다구요. 의사들의 삶이 그리좋아보이지도 않고 요즘 너무 돈으로 과잉진료를 일삼는 의사들을 보게되니 안타깝더군요. 종합병원에 사람살리는 일선에서 근무하시는 의사분들 존경합니다. 이런분들에게 큰 대우를 해줘야 되요. 그리고 공대도 미국처럼 엔지니어라고하면 우러러보는 사회가 되어야합니다. 박봉에 언제 짤릴지 모르는 사회에서 인재들이 왜 이나라에 있겠나요. 해외나가면 인정받고 고액연봉인데ㅜ
@alan-mi5uy
@alan-mi5uy 6 ай бұрын
불과 20-30년전만해도 의사위치가 이정도 위상은 아니었음..서울대 공대가 왠만한 지방의대 보다는 성적이 높았으니까요...지금 한국의 과학발전은 20-30년전 대학입학한 공대생들에 의해 이루어졌다해도 과언이 아닙니다..그러나 지금은 어떤가요?? 지방의대.치대까지 다 차고나서 서울대 공대가죠?? 이게 소득격차가 너무 커서 돈.돈 쫓아가는겁니다..그렇다면 우리나라 20-30년후 미래는 어찌될까요?? 자원하나 없는나라에서 공학발전이 안되고 자멸하게 될겁니다..의사와 일반인 소득격차 oecd국가중 한국이 1등입니다...소득격차를 줄이지않아서 인재가 의사쪽으로 쏠리면 우리나라 망합니다...무조건 소득격차 개선 필요합니다..
@hijklmnopqr
@hijklmnopqr 5 ай бұрын
​@@alan-mi5uy 23년전인 00년 입시만해도 부실의대빼고는 왠만한의대가 서울대량 겹쳤습니다. 서울대공대가 왠만한 지방의대보다 높던건 30-40년전이에요
@alan-mi5uy
@alan-mi5uy 5 ай бұрын
@@hijklmnopqr 30-40년전에 대기업 가신분들 초발전기라 오래다니신분들 여러 개열사 임원달아 의사부럽지않았죠.. 요즘은요??? 소득차이가 너무나니 쏠리는거죠...우리나라 발전은 누가시키나요??? 죄다 미국으로 다 나갈듯요.
@oo-xt4xg
@oo-xt4xg 5 ай бұрын
@@alan-mi5uy이런 당연한 생각을 못하는게 대다수 국민입니다. 그러니 나라의 시스템은 발전하지 못할 것 입니다.
@alan-mi5uy
@alan-mi5uy 4 ай бұрын
@@hijklmnopqr 98학번 이전에는 아니었습니다.얘기를하려면 좀 알아보고 팩트에 근거해서 말하세요.
@user-fv6nh8pk5y
@user-fv6nh8pk5y Жыл бұрын
인간의 “뇌”를 만지는 신경외과의 두 쌤 정말 리스펙~!!!^^
@Attentionandlove
@Attentionandlove Жыл бұрын
주제 너무 좋네요. 선생님 이야기에 시간가는 줄 모르고 들었어요. 😢 너무 좋아요. 이런 이야기 다들 많이 알았으면…
@joyj5447
@joyj5447 Жыл бұрын
그렇게 힘들게 공부해서, 면허 따고, 아픈 사람들 계속 보는 것이 일이고, 건강과 생명에 직결된 일이라 엄청난 책임이 따르고, 의사는 중요하고도 힘든 직업이라고 생각해요. 김사부 같은 의사 너무나 존경하지만, 의사에게 사명감을 기대할 수는 있겠지만, 개개인 의사의 희생에 기대어 시스템을 운영해서는 안된다고 봐요.
@KLee-nb2rj
@KLee-nb2rj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그래서 의사들 개개인의 부담을 줄여줄 수 있게 의사수를 딴 나라 수준으로 늘려야 합니다.
@stevemaeng1096
@stevemaeng1096 Жыл бұрын
의사하지 마쇼. 어느 직업이든지 리스크는 있다 ...오해려 의사는 리스크가 적은편 ...그래서 죽자하고 의대가려는 것. 직장인들은 ...자기가 잘못 안해도 구조조정 되어 짤리기도 하고....상사의 눈밖에 나서 짤리기도 한다...의사들이 짤리는 경우는 매우 희귀한 경우... 사업하거나 장사하는 사람들도 자기돈 수억 날리며 망한다....회사에서 쪽잠자고 가게에서 쪽잠자며 아무리 열씸히 해도 문닫는경우 수도 없이 많다... 변호사는 장사안되서 부동산 중개업자로 변신한 사람들도 있고... 오히려 의료카르텔이 막강해서 의사가 부족하다는데도 의대정원늘리는것 반대하는게 의사협회 잖아....그걸과 민주당세끼들에게 간호법 통과시키는 명분을 줬다 존나 편한 소리하지 마라 의사세끼 소리 듣고 싶지 않으면...
@user-wm6rb4id3s
@user-wm6rb4id3s Жыл бұрын
@@stevemaeng1096 이 사람 말 맞음. 솔직히 의사들이 아무리 앓는 소리해도 변호사,회계사들보다 더 많이 번다. 물론 과에 따라 다르지만 억울하면 돈 많이 버는 과로 가면되고 웬만 과의 의사도 한달에 천만원은 가져가더라
@user-fi8ok4uc3i
@user-fi8ok4uc3i 8 ай бұрын
@@user-wm6rb4id3s님말대로 억울해서 다 돈많이 버는 과로 가니 필수진료과 의사가 없잖아요 ㅋㅋㅋㅋ
@tskh0715
@tskh0715 4 ай бұрын
@@stevemaeng1096 야 너는 뇌가 우동면이냐..진짜 무식한 넘이네 ㅠ
@kmint6601
@kmint6601 Жыл бұрын
구조적인 문제점이 너무 많네요. ㅠㅠ 바이탈 관련 과 의사 선생님들 정말 존경스럽습니다.
@sunceline0101
@sunceline0101 10 ай бұрын
분당서울대 신경외과 선생님 아니셨음 지금쯤 반신불수 됐을거에요 10년뒤 20년뒤에도 사람살리는 선생님들이 많이 계셨으면 합니다 그러기 위해선 제도적으로 좋게 바뀌어야 할 거 같아요 제 주치의 선생님은 병원에서 사시더라구요 ㅠㅠ
@helenpaek1727
@helenpaek1727 Жыл бұрын
저도 우리애가 의대에 들어가 외과의사 하고싶다고 할때 걱정 했는데 나중에 스스로 피부과로 바꾸어서 다행이라고 생각 했습니다.이게 현실 입니다. 수술해 환자 살리시는 의사분들 존경 합니다.
@user-ci7hw8us8z
@user-ci7hw8us8z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아이분이 외과적인 시술이 필요해도 받지 못하고 세상하고 이별하게 될수 있는것도 현실이 되버렸내요,,, 힘드내요 슬프내요
@johanneslee7009
@johanneslee7009 Жыл бұрын
다른건 모르겠는데 세상에 한가지 법칙이 있죠 세상에 영원한것은 없다고 화무십일홍이라고 했죠 모든것이 지기 전에 가장 화려하게 피는거죠 의사들 앞으로 얼마 안남았어요~~ 의사들로서 사람의 병을 고치는건 이제 한계에 왔죠 이제는 아마 ai와 로봇이 의사를 대체할거에요 앞으로 길어봤자 10년? 의대는 3백명 더 뽑는거 가지고도 파업한다고 난리인데 간호사는 일년에 3만명이 나오는데도 부족하다고 더 뽑으라고 하니 의사협회에서 주장하니 이게 정말 얼마나 말도 안되는 상황인가요? 있는 간호사들을 잘대해줘야죠 앞으로 우리나라의 의료시스템과 초고령화를 맞이하는 국민들의 상황이 눈에 보이네요
@user-mh5xo2iw9r
@user-mh5xo2iw9r Жыл бұрын
전 마취과하고 싶엇는데 아버지 반대로 외과의사ㅠ. 힘들어도 수술이 재밋으니 그걸로 만족합니다. 아버지 감사요
@user-bp7my1ux3r
@user-bp7my1ux3r 7 ай бұрын
@@johanneslee7009 의사는 100년후까지 절대 안망해요. 우리나라보다 50년 앞선 미국.20년 앞선 일본에서도 의사가 최고. 절대 안망함. 온국민의 소원이 자녀가 의사 되는거.
@user-ll2sv2xg3m
@user-ll2sv2xg3m 4 ай бұрын
​@@johanneslee7009응 아프면 가장 먼저 병원찾을 환자
@heewonsu7182
@heewonsu7182 Жыл бұрын
현재 본과2학년 아들을 둔 엄마입니다. 작년부터 공부양이 너무 많아 정말 힘들어 죽이려고 합니다. 저는 이왕 힘들게 공부하는거 사람 살리는 바이탈과 가라고 얘기하지만 제 아들 뿐만이 아니라 상위권 아이들은 이미 마이너과로 가려고 다들 맘먹고 있는 현실이 너무 안타깝습니다. 내외산소 전공의들 숫자 늘게하려면 지금의 의대생들이 바이탈과를 전공 할 수 있는 제도적인 보완이 시급합니다. 그게 가장 빨리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인데 보건복지부 답답합니다ㅠㅠ...
@Hahaaa603
@Hahaaa603 Жыл бұрын
저도 이게 시급하다고 생각합니다. 정말 차라리 선진국 따라서 환자한테 돈 많이 내라 하고 의사 보기 어렵게 만들어서 과잉진료 문재인케어 이런거 다 없어졌음 하네요. 제도적 보완이 되지않으면 의대생들 마이너과 빠지는 현상은 계속될거라고 봅니다
@user-np7sz2tm5z
@user-np7sz2tm5z Жыл бұрын
바이탈과요? 의학드라마 너무보신듯 ㅋㅋㅋㅋ 애 잡습니다 우리애 근무하는 병원이 집에서 강건너 빤히 보일정도로 가까운데 올해 집에 온날이 10일정도 됩니다
@waterboy7356
@waterboy7356 Жыл бұрын
​@@Hahaaa603머 일단 맞는 말씀이긴 한데.... 문제는 나라가 소멸되고 있어요... 거기다 돈없으면 죽어야 하는 세상이 되면 애낳기는 더 힘들어 지겠죠... 그럼 의사선생님들도 더 힘들어 지겠죠... 산부인과는 아예 다 없어질테고... 이래 저래 외통수에 걸린 거 같네요....ㅜㅜ
@tissue522
@tissue522 7 ай бұрын
어머님..어머님이 의사생활 해보신거 아니면 과 선택 문제에 대해서는 말씀을 아끼시는게 자녀와의 관계를 좋게 유지하는 길이라고 생각됩니다.. 저는 부모님이 무슨일을 하는지 잘 알지도 못하는 과로 갔는데 어디가서 아~ 그 과 내가 가라고 했다 이런 식으로 부모님이 얘기하시니까 싸움으로 이어지더라고요
@jihan5792
@jihan5792 5 ай бұрын
아이를 사지로 몰아넣으시려는 이유가? 바이탈 하면 쇠고랑 철컹철컹 지금이라도 생각바꾸세요 . 의료사고 소송 판결들 잘 보시고요. 잘못없어도 몇억 내라는게 이나라 판결이에요
@user-st1jh3lw6t
@user-st1jh3lw6t Жыл бұрын
맞는 말씀 이십니다 ㅜㅜ
@gunwoopark6885
@gunwoopark6885 Жыл бұрын
의사선생님들도 정말 극한직업이야ㅠ
@tip3372
@tip3372 Жыл бұрын
쉽지 않은 길을 하지만 뿌듯한 길 두분 선생님을 응원합니다 😂
@user-un2le9od5h
@user-un2le9od5h Жыл бұрын
차진만 교수가 아예 틀린말을 하는게 아니죠. 소송으로 인한 의료공백 본인들 스스로 책임져라... 넌더리가 난다..... 이러다 헬기타고 중국가서 수술받는 세상 올수도..
@user-un2le9od5h
@user-un2le9od5h Жыл бұрын
@@zgansable 그건 사고가 히틀러가 만든 나치정권이야 . 세상 그렇게 한방에 해결될거면 안될 일이 없었겠지.
@bmochoi4482
@bmochoi4482 4 ай бұрын
고생많으십니다. 귀한 일에 진심 감사드려요. 저에게 인생에 기회가 주어지면, 같은 길을 가고 싶습니다.
@jy-pu4ml
@jy-pu4ml 4 ай бұрын
저희 아버지 환갑지나자마자 2000년대 초반 뇌졸중으로 응급실가셨는데 빈수술실 없어서 돌아가셨습니다. 그때 엄청 슬프고 힘들었지만 지금까지 한번도 의사분들 병원을 원망해본적이 없었습니다. 사실 저희 아버지도 의사셨구요. 지금 필수의료 문제를 자세히 알게되니 원인은 경증환자들이 대학병원에 다 찾아올수있고 응급실에 누구나 갈수있는 지금의 상횡우 국민들 표만 원했던 정치권들이 제대로된 의료시스템을 만들어 놓지않앟던게 가장 큰 원인이더라구요 3차의료기관에 감기환자..경증횐자 거부할 권리를 주자않았기에 발생한 일이죠.
@hayek5783
@hayek5783 4 ай бұрын
인턴들어가면 스케쥴 뽑기를 하는데, 제가 운이 없어 뽑기를 잘못해서 저 인턴때 4개월이나 ER돌았죠. 돌아 버리는 줄 알았습니다. 명색이 대형 3차 병원 응급실이지만 ..... 그 지역 배탈 감기 걸린 진상들 계모임합니다.
@user-ql8xf8pv1v
@user-ql8xf8pv1v 4 ай бұрын
@@hayek5783 윗분 말씀처럼 3차의료기관에 경증환자 거부 권리는 의미 없을것 같고.. 경증환자로 판단하려면 일단 진료를 보면서 시간이 소모 된거니.. 진짜 급한 사람들만 오라고, 비용청구를 과하게 하는게 나을듯.. 그래야 그냥 감기기운 있다고 무조건 대형병원으로 직행하는 일이 없을듯. 대학병원 가서 감기진단 받았는데 비용은 2,30만원씩 나오고 해야, 일단 동네병원 먼저 들러서 경증환자를 걸러주는 역할이 될듯.
@sooh6447
@sooh6447 9 күн бұрын
제가 사는 나라는 ER도 이분화 되어있어요. 멀쩡하게 걸어들어오는 walk-in 환자 따로 인턴 비슷한 의사가 보고 필요하면 전문의 연결해주고(재수없으면 다음날 진료), 앰블런스 실려오는 진짜 중증 응급실. 우리나라도 필요해 보여요....
@enfjzip_
@enfjzip_ Жыл бұрын
기피과가…. 우리 국민들이 그리고 가장 빈곤하고 의료의 도움이 절실히 필요한 사람들이 필요한 과라는게 너무 충격적입니다.. 국가는 왜 멀뚱히 보고만 있나요.. 더이상 의사의 사명감과 희생에 기댈 이야기가 아닌거 같아 답답합니다.. 소아과 오픈런 한다고들 합니다.. 이 나라가 희망이 있습니까..? ㅜ
@KLee-nb2rj
@KLee-nb2rj Жыл бұрын
복지부가 주범입니다. 수십년째 의사가 부족한데도 의사과잉우려된다고 의대증원을 반대했었어요
@user-ek7eg7xm6r
@user-ek7eg7xm6r Жыл бұрын
​@@KLee-nb2rj 의대증원한다고... 그사람들이 기피과 갈까요? ㅠ ㅠ ㅠ
@dhelttpdl567
@dhelttpdl567 Жыл бұрын
@@KLee-nb2rj 의사수가 부족하다고 이렇게 이상한 소리를 떠드는 인간들이 많은데 ......실제는 동네 읍면 단위까지 전문의 진료가 가능한 병원 의원이 다 있죠 ... 아주 재미있는 나라에요 대한민국은 .. 의사 숫자가 부족한게 아니라 응급치료가 필요한데 그걸 치료해주는 의사가 부족한거죠 중증 외상이나 뇌출혈 소아과 등등 정신차리세요 어디서 이상한 자료 줏어든걸로 헛소리 쓰지마시고.. 왜 중증 환자를 치료해주는 의사가 부족한지는 생각도 안하고 무지성으로 의사 숫자만 부족하다고 외치는 인간들 .. 생각좀 하고 사시길 .... 자연대 인문대 안간다고 정원 늘이면 거기에 대학생들이 많이 갑니까 ?? 기피과를 왜 안가는지 알아야지 무작정 의대증원만 외치는 이런 인간들 보면 수준이 ㅉㅉㅉ
@user-ic9vr9ft7q
@user-ic9vr9ft7q Жыл бұрын
​@@KLee-nb2rj 조민한테 진료 받아라 꼭 ㅋㅋㅋ
@KLee-nb2rj
@KLee-nb2rj Жыл бұрын
@@dhelttpdl567 OECD통계가 어디서 이상한 자료에요? ㅋㅋㅋ 인구비 딴 나라 60%밖에 의사수가 안되는게 자명한데 그걸 부정하네.ㅋㅋ 님느낌이나 시골가서 본 경험이 OECD통계보다 정확합니까? ㅋㅋ
@samsungelec964
@samsungelec964 4 ай бұрын
솔까 한국 사람들이 전반적으로 너무 못됐다
@user-vv7ot8yq4h
@user-vv7ot8yq4h Жыл бұрын
동네 간호조무사 소아과만 거의 6년있었어요ㅠㅠ 진짜 너무힘들어요, 의사도 간호사도 조무사도 없구요... 잘되면 자기탓, 안되면 저희탓 하구요... 항생제쓰면 쓴다뭐라 하고 안쓰면 병이 안낫는다고 뭐라하고ㅠㅠ 너무힘들어요 저는 의사랑 간호사들 존경합니다 일부 나쁜놈들도 있지만 제외하고요 힘들텐데도 사명감 갖고일해줘서 매번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wooribrain
@wooribrain Жыл бұрын
맞아요. 일부 나쁜 놈들도 있습니다. 고생많으셨어요.
@user-vv7ot8yq4h
@user-vv7ot8yq4h Жыл бұрын
@@wooribrain 덧글 감사합니다~ 응원하는 사람들이 더 많으니까 위로받으셨음 좋겠어요
@user-mq3kp9lo7l
@user-mq3kp9lo7l 4 ай бұрын
엔지니어입니다. 무식한 넘들 때문에 넘 힘들어요. 특히 무식 노조들...옛날에는 29mm두께로 했는데 왜 두께를 더 얇게 설계 했냐고 하네요. 요즘은 구조해석 소프트웨어가 좋아서 두꺼우면 자중에 대한 응력이 더 높아서 안좋다고 해도 말 안통함..미치고 환장함
@alan-mi5uy
@alan-mi5uy 3 ай бұрын
@@user-mq3kp9lo7l 동의합니다..이세상에 안어려운일이 뭐가 있습니까...어느분야던 박사까지하면 12년공부하고 다 열심입니다..의사는 너무 특권이 강합니다
@min-woongkang2576
@min-woongkang2576 3 ай бұрын
조쌤 잘 정리해 주셔서 고마워요~~
@user-zw4pv9ov8g
@user-zw4pv9ov8g 8 ай бұрын
밀린 영상 감사히 보고 있습니다. 역시 유익한 영상👍
@wooribrain
@wooribrain 8 ай бұрын
항상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humanism3666
@humanism3666 4 ай бұрын
지금 논의함에 있어 간과되는 많은 부분을 잘 지적해주신것같습니다
@chacha6527
@chacha6527 Жыл бұрын
존경합니다♡
@user-kb2hw2kz5y
@user-kb2hw2kz5y Жыл бұрын
믿고보는 신경외과!! 덕분에 물 한방울도 안먹는 제가 하루에 2리터씩 계획적으로 꼬박꼬박 먹고있습니다 ㅎㅎ 지금도 앞에 500ml 짜리 물통이 커피도 하루에 3~5잔 먹었는데 하루에 한잔으로 줄이고요!!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wooribrain
@wooribrain Жыл бұрын
꼭 2L가 정답은 아니니까 적당히 잘… 소번색이 너무 묽고 자주 소변보면 물을 너무 많이 마시는겁니다. 감사합니다.
@user-kb2hw2kz5y
@user-kb2hw2kz5y Жыл бұрын
@@wooribrain 앗 네 잘 참고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dayto251
@dayto251 Жыл бұрын
소아과,산부인과,외과 이런곳 의료수가 현실화 해주고 (의료보험료 올라가는거 환자들이 조금더 감안하고..) 대신 대리수술, 의사성범죄 이런 의사들은 면허박탈 하겠금 법제화 했음 좋겠습니다.
@user-pb3jz9or5v
@user-pb3jz9or5v Жыл бұрын
동감합니다!!!
@pocorn1124
@pocorn1124 4 ай бұрын
동감합니다
@user-ce9mc1zi2d
@user-ce9mc1zi2d 4 ай бұрын
의사 월급이 1억이 넘는다며?
@m_sj3435
@m_sj3435 4 ай бұрын
진짜 유치하고 저질이네 ㅋㅋ 연봉 1억 넘으면 다 나쁜놈임? 댁보다 많이 벌면 다 나쁜세상이야?ㅋㅋ
@user-ce9mc1zi2d
@user-ce9mc1zi2d 4 ай бұрын
@@m_sj3435 의사들은 왜 그렇게 돈을 밝히냐? 의사들은 왜 환자들을 돌보지 않나?
@jaewankang207
@jaewankang207 4 ай бұрын
맞아요 맞아요... 제도적 보완이 우선이겠어요..
@user-oj2es9bs1g
@user-oj2es9bs1g 7 ай бұрын
우왕~~~^^ 완존 겁나 멋지신 샘들이시네여....두 분의 의사샘 힘!!내세요...쵝오!!! ❤❤❤
@user-ew2ge2zz5u
@user-ew2ge2zz5u Жыл бұрын
이상과 현실의 갭차이를 확실히 알려주시네요 대한민국 의료 현실이 암담해지는
@user-ql9ey4ju7v
@user-ql9ey4ju7v Жыл бұрын
의사선생님들 간호사선생님들 진심을 담아 존경합니다😊 대한민국의 의료계에 대한 처우가 나아지길 기원합니다
@KLee-nb2rj
@KLee-nb2rj Жыл бұрын
의사소득 이미 세계 1위입니다. 숫자는 딴 나라 60% 밖에 안돼요. 그둘이 연관성이 있겠죠?
@wooribrain
@wooribrain Жыл бұрын
@@KLee-nb2rj우리나라 의사 소득이 세계 1위라는 이야기는 처음 들어봅니다.
@KLee-nb2rj
@KLee-nb2rj Жыл бұрын
@@wooribrain OECD 구매력 기준 소득 1위입니다. (미일은 통계에 빠져있어 수치를 모릅니다.) 의사분들도 잘 모르시더군요.
@stevemaeng1096
@stevemaeng1096 Жыл бұрын
의사하지 마쇼. 어느 직업이든지 리스크는 있다 ...오해려 의사는 리스크가 적은편 ...그래서 죽자하고 의대가려는 것. 직장인들은 ...자기가 잘못 안해도 구조조정 되어 짤리기도 하고....상사의 눈밖에 나서 짤리기도 한다...의사들이 짤리는 경우는 매우 희귀한 경우... 사업하거나 장사하는 사람들도 자기돈 수억 날리며 망한다....회사에서 쪽잠자고 가게에서 쪽잠자며 아무리 열씸히 해도 문닫는경우 수도 없이 많다... 변호사는 장사안되서 부동산 중개업자로 변신한 사람들도 있고... 오히려 의료카르텔이 막강해서 의사가 부족하다는데도 의대정원늘리는것 반대하는게 의사협회 잖아....그걸과 민주당세끼들에게 간호법 통과시키는 명분을 줬다 존나 편한 소리하지 마라 의사세끼 소리 듣고 싶지 않으면...
@user-ts4iv1lp5m
@user-ts4iv1lp5m Жыл бұрын
@@stevemaeng1096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피해의식에 쩔어 있어 장아찌 되겠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앞면만 알고 뒷면은 모르는 사람ㅋㅋㅋㅋㅋ 다른 직업군 설명할때는 논리적으로 설명하듯이 하면서 의사는 장점만 설명하네 ㅋㅋㅋㅋㅋㅋㅋ
@user-xw4lt7hp2l
@user-xw4lt7hp2l 4 ай бұрын
구구 절절히 맞는 말입니다. 눈물이 날 지경입니다. 우리나라 이렇게 좋은 의료 환경을 정당들 표심때문에 이렇게 망치고 잇는겁니다. 건강보험료 올리자 말을 못합니다. 인턴 ,전공의 들이 주100시간 일을해야 겨우 수지타산이 맞는게 말이나 됩니까.. 중환자실 응급실 운용할수록 적자나는데.. 그게 맞나요?
@user-vk9op7px2n
@user-vk9op7px2n 4 ай бұрын
선생님들 복받으실 겁니다. 대대손손~😊😊
@user-xo1nx7iw5f
@user-xo1nx7iw5f Жыл бұрын
가족이 자꾸 아파도 속으로 짜증이 나는데.. 매일 아픈사람만 만나는 일을 어떻게 할까 싶어요..
@wooribrain
@wooribrain Жыл бұрын
그걸 직업으로 선택했으니 기꺼이 견뎌내야죠.
@user-xo1nx7iw5f
@user-xo1nx7iw5f Жыл бұрын
@@wooribrain 존경드립니다.♡
@user-nx1jp6tl1m
@user-nx1jp6tl1m Жыл бұрын
조금 예민한 문제지만 가끔 뉴스에서 나오는 수술실 cctv 녹화에 대해서는 의사 입장에서 어떠신가요?
@SN_F3
@SN_F3 11 ай бұрын
의사선생님들도 의사 선생님들만의 문제가 당연있으시군요.. 한국의료 정말 어디서부터 손대야할지 막막할정도로 난리입니다… 의료인들은 어쩔수 없이 본인을 최대한 갈아가며 일하고 있지만 진짜 이대로 가면 우리는 물론이고 환자에게 당연히 영향이 가죠.. 병원 실습 잠깐 돌았는데도 알수있는건 모든 의료진이 진심으로 일한다는거.. 소리내주셔서 감사하고 멋지십니다!!
@SGPark-cg3nl
@SGPark-cg3nl Жыл бұрын
지방에 살고 있는데,특정질환 선생님들 계셨는데,지금 한 명도 없어요.그래서 아이 데리고 서울까지 갔네요.솔직히 의사보고 뭐라는 사람들 의사없어봐요.얼마나 힘든지
@user-rv7nh1gn1i
@user-rv7nh1gn1i Жыл бұрын
지방의료 붕괴의 악순환이 시작됐습니다.. 지금도 이런데 앞으론 어떻게 될 지 걱정이네요
@stevemaeng1096
@stevemaeng1096 Жыл бұрын
의사하지 마쇼. 어느 직업이든지 리스크는 있다 ...오해려 의사는 리스크가 적은편 ...그래서 죽자하고 의대가려는 것. 직장인들은 ...자기가 잘못 안해도 구조조정 되어 짤리기도 하고....상사의 눈밖에 나서 짤리기도 한다...의사들이 짤리는 경우는 매우 희귀한 경우... 사업하거나 장사하는 사람들도 자기돈 수억 날리며 망한다....회사에서 쪽잠자고 가게에서 쪽잠자며 아무리 열씸히 해도 문닫는경우 수도 없이 많다... 변호사는 장사안되서 부동산 중개업자로 변신한 사람들도 있고... 오히려 의료카르텔이 막강해서 의사가 부족하다는데도 의대정원늘리는것 반대하는게 의사협회 잖아....그걸과 민주당세끼들에게 간호법 통과시키는 명분을 줬다 존나 편한 소리하지 마라 의사세끼 소리 듣고 싶지 않으면...
@han002k
@han002k Жыл бұрын
의사는 수가 부족해서 경쟁이 없어요. 이미 고액연봉이라서 돈 1억,2억 더 준다해도 지방에 안남구요. 차라리 지방병원 10년 근무시 니네 자식들 서울대의대 시험없이 합격시켜줌 이래야 지방올껄요. 본인들이 학력으로 성공한거라 자식교육에 겁나 투자하니깐요. 가장 현실적인거는 외국서 의사 수입하는거구요.
@KLee-nb2rj
@KLee-nb2rj Жыл бұрын
그 의사가 없는 이유가 의사들이 의대증원 반대해서에요. 속지마시길...
@johanneslee7009
@johanneslee7009 Жыл бұрын
@@han002k 또 국민목숨을 담보로 파업한다고 할걸요?
@user-kt3ww4qb4m
@user-kt3ww4qb4m Жыл бұрын
필수진료과는 선배의사들로부터 오랜 시간 도제식으로 배워야 비로소 정식의사가 될 수 있는 것. 요즘 의사들이 그것을 거부하거나 능력이 따라 주지 않거나 환경이 미치지 못하는 것. 수가 올려주고 ...필수 진료과에 한정해서 면허를 주고 정부와 의료계가 지원하는 교육기관을 세워서 중장기적으로 안정적으로 응급상황에서 환자가 죽어나가지 않게 빨리 외과의사 등 키워내야...
@user7_pveffio
@user7_pveffio 9 ай бұрын
정답. 요즘 mz레지던트들 아니 인턴 시작도 안했으면서 자기는 수술하는 과는 안합니다. 혹은 드라마보고 외과 지원해놓고 윗년차한테 혼나고 컨퍼런스에서 질문폭격 받으면 못하겠다고 핸드폰 꺼놓고 잠수탑니다. 앞으로 대학생될 사랑만 받고 자란 외동아이들이 크면 더 문제될거에요. 인턴 레지던트1-2년차는 왕자님 공주님이 될 수가 없는데 평생 왕자공주로 살아온 10년대생 아이들이 해낼 수 있으련지. 미국처럼 되겠죠. 미국의사들 어떤지는 미국사시는 분들은 잘 아실겁니다. 교포들이 죽을병 걸리면 나이 70 80 먹어도 비행기타고 다 한국 들어오는 이유.
@user-ds9ev6ji1y
@user-ds9ev6ji1y 11 ай бұрын
결국 진상때문이다... 진상것들을 왜 다 처벌안하고 못하게만들어놓냐...
@user-bj9zn3hs6h
@user-bj9zn3hs6h 4 ай бұрын
구독 좋아요 알림 설정 박고 갑니다.
@user-ig1fn8bp4d
@user-ig1fn8bp4d 3 ай бұрын
400~500명만 증원 합시다 너무 많아져도 문제, 일단 의료 보험료 엄청 오를거임 근데 지금 정부는 협상 불가라는게 안타깝네요, 지난 정부때 400명 받고, 공공의대는 없던거로 타협했다면 지금 이 사단은 또 없었을텐데요. 그것도 안타까움
@joopeter2069
@joopeter2069 6 ай бұрын
여기서 열심히 설명해줘도 그저 의사 욕만 하는 사람이 많네요.. 힘든 시국에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의료 보험 붕괴가 머지 않았네요
@ggoodbtt5099
@ggoodbtt5099 11 ай бұрын
학교도 무너지고… 다들 돈잘버는 의사되겠다고 난리인데.. 성형외과 피부과 등 쉬운 과만 인기있고… ㅜㅜㅜㅜ 넘 놀라워요 진짜 ㅜㅜㅜㅜ
@user-bp3gj3bl9q
@user-bp3gj3bl9q Жыл бұрын
의사 간호사 병원직분들 처우개선이필요합니다 저는 병원가면 의사선생님들 말씀 토안달고 그대로 경청합니다 ㅎㅎ
@stevemaeng1096
@stevemaeng1096 Жыл бұрын
의사하지 마쇼. 어느 직업이든지 리스크는 있다 ...오해려 의사는 리스크가 적은편 ...그래서 죽자하고 의대가려는 것. 직장인들은 ...자기가 잘못 안해도 구조조정 되어 짤리기도 하고....상사의 눈밖에 나서 짤리기도 한다...의사들이 짤리는 경우는 매우 희귀한 경우... 사업하거나 장사하는 사람들도 자기돈 수억 날리며 망한다....회사에서 쪽잠자고 가게에서 쪽잠자며 아무리 열씸히 해도 문닫는경우 수도 없이 많다... 변호사는 장사안되서 부동산 중개업자로 변신한 사람들도 있고... 오히려 의료카르텔이 막강해서 의사가 부족하다는데도 의대정원늘리는것 반대하는게 의사협회 잖아....그걸과 민주당세끼들에게 간호법 통과시키는 명분을 줬다 존나 편한 소리하지 마라 의사세끼 소리 듣고 싶지 않으면...
@user-kv5lc5fj5o
@user-kv5lc5fj5o Жыл бұрын
이 나이 먹고 보니...난 선행을 베푼다고 한일인데 수술했을당시 사망율이 70%라면 이제 더는 수술대에 올리는게 불가능한 시대에 살고 있는것 같습니다. 의사 선생님의 고충을 모른다면...대체 어느누가 수술이 가능한 의사가 될까요? 길가는 사람 붙들고 물어보세요~세상 어느 의사가 수술한 환자 안 살리고 싶은 사람이 어디에 있을까요? 모르는 사람이 들으면 의사니까 편든다고 할수도 있는데 지금이니 아니 지금이라서 수술대에 올려주는거지 만일 사망률이 90%라면 앞으로 인공지능 ai의사가 나오는 시대가 되면 아예 수술 자체가 불가능한 사람도 있을수 있는 시대를 살고 있다는 경각심만 있어도 의사 선생님이 말씀하시는 사망한 환자 보호자라는 ㅅㄲ가 할수 있는 말은 아닐겁니다. 사람이 왜 사람인지 알아야 하는데 세상이 각박해 지니까 별 인격도 인성도 없는 이상한 것들도 나도 사람입네 하고 진상짓을 하는것 같네요. 의사의 직업이 왜 특이케이스 3D인지 알겠습니다.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terryshim4386
@terryshim4386 4 ай бұрын
근본적인 원인이 가격의 평준화임. 지방에서 받으나 빅5에서 받으나 가격차이가 크지않으니 환자도 지방에서 수술안받으려하고 대형병원들은 미어터지고. 서울 1티어병원비가 지방대비 네다섯배 비싸져야 병원비가 무서워서 대형병원으로 쏠리는 수요를 분산시킬수있음. 근데 그게 의료민영화라 ㅎ 반발이 심하겠지. 결국 국민건강보험의 한계까지 온 상황에서 지방이 소멸하머 생기는현상. 무작정 증원만으론 해결책이 아님
@user-nf3qk1ic2d
@user-nf3qk1ic2d 4 ай бұрын
중환자 베드 하나당 1년에 일억 손해난다는데,(과거 통계, 지금은 더 손해날수도) 어느 병원이, 기준 베드만 맞추지 막대한 손해나면서까지 병상 늘리겠나요?
@Gyumigyumi616
@Gyumigyumi616 7 ай бұрын
건보료 덜내면서 좋고빠른의료서비스는 없습니다. 정치인들이 국민들 잘설득해서 의식개선해야 시스템바꿀수 있습니다
@minp9858
@minp9858 Жыл бұрын
슬의 NS 채송화교수님 캠핑가는거보고 좀 놀랐어요. 어차피 콜받자마자 돌아올걸 왜 가나...그 말 떨어지자마자 진짜 돌아오는 설정 나와서 ㅋㅋ 고증을 잘했군 했네요.
@dhhong221
@dhhong221 10 ай бұрын
필수 의료 부분은 정말 더 지원해 줘야 된다. 이미 사람들이 죽어 나가고 있는데도 바뀌지 않는 현실이 답답하네.
@user-zi3bl5vi4w
@user-zi3bl5vi4w 3 ай бұрын
저도 복막염으로 지방대학병원 응급실에 가니까 수술할수가 없다고 중소 병원에 추천해주시길래 그곳에서 수술을 잘 해주셨습니다.
@user-pu5ow7kb2v
@user-pu5ow7kb2v Жыл бұрын
협박을 일단 하는사람은 일단 범죄입니다.. 협박은일단 사정이 어떻기 이전에 그냥 범죄를 저지른것..
@user-lq1tc1ji2u
@user-lq1tc1ji2u 3 ай бұрын
동네병원이 그리많고 그래서 문닫는병원도 많은대 특히성형외과는 강남가면 건물마다있는대 의사가모자르나 정원을 늘릴게아니라 부족한 과의사를 늘리고 치료가아닌 미용목적인 성형외과등 넘치는 의사는 줄이는게
@hcson5091
@hcson5091 3 ай бұрын
건물마다 있어도 고수익을 올리니...증원만이 답임..미용과 소득 급감해서 비인기과 될때까지 계속 증원해야함
@user-ji1ji8mc6l
@user-ji1ji8mc6l 3 ай бұрын
이런 대화가 필요할듯 하네요
@user-dv9zo3px1g
@user-dv9zo3px1g 11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사람들이 참 이상한게 (본인들이 그 직업에 종사하지도 않으면서) 그 직업 돈 엄청 많이 벌어!! 안정적 철밥통이야!! 무조건 인생핀다!! 이런 소리를 많이 하는거 같더라고요.. 막상 그 직업군에 있는 분들은 죽겠다.. 힘들어.. 으아아 하는것같은데요 ㅠ... 남의 떡이 더 커보이는 심상인가요
@Mr-xn2nj
@Mr-xn2nj 11 ай бұрын
선생님 대학병원계실때 신경외과 전임의가 마취통증의학과와도 교류할일이 있나요?😢
@wooribrain
@wooribrain 11 ай бұрын
수술하는 의사는 마취과 의사들과 자주 보게 되지요.
@user-he5it7oc3v
@user-he5it7oc3v 3 ай бұрын
아들도 딸도 본과 2학년 의사라면 바이탈과여야한다고 니들은 사람을 살리는 소명을 가지고 태어났다며 사주까지 봐다가 열심히 세뇌시켜 아이들도 그런줄 알고 힘들어도 참으며 그렇게 방향잡고 있었는데.. 요즘의 사태를보며 이제는 제가 싫으네요. 너무 제가 드라마를 많이 봤나 싶네요. 아직 졸업전에 현실을 조금이라도 알게된게 다행인건지 요즘사태들을 보며 생각이 많아집니다.
@user-bp7my1ux3r
@user-bp7my1ux3r 9 ай бұрын
의사들은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기준에 의해 그리고 판사의 판결에 의해 의사가 할일이 정해집니다
@user-cz7om7sx9t
@user-cz7om7sx9t 3 ай бұрын
재밌네~이 시기에
@user-zk7jz7xe5w
@user-zk7jz7xe5w Жыл бұрын
아직 멀었어요 좀 더 있어야 할겁니다
@user-pu5ow7kb2v
@user-pu5ow7kb2v Жыл бұрын
최근 어머님이 하루정도 응급실에 가셨지만 진짜 인턴선생뿐이고 응급실에서 처치를 할수가 없고 임시 배드용도로만 쓰이는거 같습니다.
@user-vz6fh7qi1r
@user-vz6fh7qi1r Жыл бұрын
저런 수술하는 전문의들이 더 대접받아야 인재들이 저기로 갈겁니다. 생명을 다루는 의사가 피부과 성형외과보다 대우를 못 받는 게 말이 되나요?
@user-bq3zx9kn3h
@user-bq3zx9kn3h Жыл бұрын
변호사도 똑같습니다ㅠ 소송 대리를 잘하면 상대방한테 맞고, 열심히 했지만 결과가 좋지않으면 의뢰인한테 맞습니다. 서초동에서 뺨 안맞은 변호사는 없다 라는 말도 있습니다. 돈 떼이는건 너무나 일상이고, 의사는 존경이라도 받지 변호사는 어지간한 정치인만큼 욕만 먹습니다. 물론 일부 변호사들이 가끔 워낙 큰 사고들을 쳐서 뭐라 말은 못하지만 가끔은 서글프답니다ㅠ 40대가 되면 멘탈이 좀 좋아지려나요..
@wooribrain
@wooribrain Жыл бұрын
변호사도 힘들지요. 예전같지 않아요.
@KLee-nb2rj
@KLee-nb2rj Жыл бұрын
안하면 됩니다. 그럼에도 잇점이 있으니 하시겠죠. 의사도 마찬가지고.
@user-qp4rf7er4w
@user-qp4rf7er4w Жыл бұрын
변호사는 로스쿨덕에 공급도 늘어서 수입도 줄었지요...
@davidjacobs8558
@davidjacobs8558 11 ай бұрын
그러니까 올드 머니가 좋은거죠.
@seungholee410
@seungholee410 8 ай бұрын
@@KLee-nb2rj 그래서 다들 안하니까 의료붕괴 온다 하는데 도대체 영상 보긴한거냐
@user-se6oq7jt6q
@user-se6oq7jt6q 4 ай бұрын
@user-wf2jp3ur8q
@user-wf2jp3ur8q Жыл бұрын
나와 내 가족이 아프면 가야할곳은 병원이고, 살릴수 있는 사람은 의사선생님이죠. 생명을 살리는 일을 하는 분들이 존경받는 사회가 되길 바래봅니다.. 왠지 악플 달릴것 같아서 미리 선플 달아요.
@wooribrain
@wooribrain Жыл бұрын
악플 달릴거라 예상하고 만든 영상인데 예상보다 선플이 많네요
@user-wf2jp3ur8q
@user-wf2jp3ur8q Жыл бұрын
​@@wooribrain 댓글맛집 됐을것 같아 다시 찾아왔는데, 역시나 기승전 의대정원 이야기로 댓글 도배하는 사람이 있네요. 선생님들 힘내세요. 스트레스 받지 마시고 좋은 영상 기다리는 사람이 더 많다는거 잊지마세요
@KLee-nb2rj
@KLee-nb2rj Жыл бұрын
의사가 존경받을려면 의사부족을 지지해서는 안되겠죠. 돈이 아니라 적성이나 소신이 앞서는 사람들이 의사가 되는 세상이 와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선 의사수가 딴 나라 평균수준은 돼야겟죠.
@user-ek7eg7xm6r
@user-ek7eg7xm6r Жыл бұрын
속상해요 ㅠ 이게 현실인데 ㅠ 의대늘린다고.. 기피과에 수요가 있는것도 아니고
@sionmin9777
@sionmin9777 4 ай бұрын
미용 의료 다 박살내도 수요 없을까요?
@user-yr7gr6fi7r
@user-yr7gr6fi7r 3 ай бұрын
의사수 많이 늘려봐야 변화는 없습니다
@SunggukLim
@SunggukLim 4 ай бұрын
역시 의사가 짱이다..
@leessize
@leessize 3 ай бұрын
미용의사는 의사로 생각이 안됨..
@user-tb6pk9gt7l
@user-tb6pk9gt7l Жыл бұрын
어느 직종이든 현타가 오면회의감은 다 드는것같다~ 그래도외과의사가 최고의의사입니다~
@user-in3wg7li7i
@user-in3wg7li7i 4 ай бұрын
얼마전 뇌경색환자 어머니를 둣 유투버의 영상을 봤는데 갑자기 어머니가 뇌경색이 왔는데 제주대병원에 뇌경색수술을 할 수 있는 의사가 없다고 서울 가라고 했다네요. 환자는 급하게 서울 가는 비행기 끊고 서울의 큰병원으로 가서 무작정 응급실 대기하다 워낙 긴급을 요하는 경우라 운좋게 수술받았다는데 아무리 그래도 제주도에서 가장 큰 국립대병원인데 뇌경색수술도 못할 수 있나요?
@user-wm9rn6jm1w
@user-wm9rn6jm1w 2 ай бұрын
환자볼수록 적자라서 병원이 고용을 안합니다.
@user-kd3yy1fj2f
@user-kd3yy1fj2f 4 ай бұрын
수술하는 의사가 진정한 의사인데 전부 돈을 쫓아 가버리고 존경받는 의사가 없는 세상, 참 으로 어이가 없내 외과의사를 기피하면서 성형이나 미용에만 몰린다면 매년 2,000명을 증원해도 해답이 없다 이제 강제할당을 해서라도 의대에 수술 전문의사를 대량으로 양성해야 한다
@leehyangje
@leehyangje Жыл бұрын
알찬방송
@user-sg8ze7bm8k
@user-sg8ze7bm8k Жыл бұрын
담담하고 솔직하게 말씀 잘 해주셨네요. 급성기 필수의료 종사하는 의사 말고는 아무도 안믿겠지만. 오늘도 현타 백번은 맞고 긴 하루 보내고 왔네요.
@wooribrain
@wooribrain Жыл бұрын
수고많으십니다.
@eunhyeonglee2831
@eunhyeonglee2831 4 ай бұрын
수술을 하는 병원이 폐원을 해요. 의사 숫자만 늘려도 해결이 될리가 없죠.
@stkkk4452
@stkkk4452 10 ай бұрын
대책을 말씀해 주세요 국민이 길바닥에서 죽어서 되겠습니까
@alan-mi5uy
@alan-mi5uy 4 ай бұрын
대기업 50대에 퇴직하는거 알고하는 얘기신지...의사는 정년이 없다고해도 과언이 아닙니다....세상돌아가는거 진짜 모르시네요
@user-bd6hn1kx9k
@user-bd6hn1kx9k 3 ай бұрын
50세정년 중 일부는 중소업체 임원으로 갈 수 있죠. 의사도 수술의는 오래 못 함. 늦게까지 하느것도 본인의 건강, 실력이 따라줘야. 그리고 전문의따서 본격적으로 돈을 벌기 시작할수있는나이가 35세쯤 되요. 출발하는 나이가 다름.
@alan-mi5uy
@alan-mi5uy 3 ай бұрын
@@user-bd6hn1kx9k 엔지니어도 학사.군대.석사.박사하면 34-35 됩니다.중소기업체 임원으로가봐야 대기업 신입사원 연봉도 안됩니다. 의사들은 의학계열만 공부많이하고 일도 제일많이 한다고 착각하며 특권의식을 갖고있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어느 분야나 박사까지 공부하면 30대중반이구요.다들 밤새워 공부하고 현업에서도 밤낮으로 주말까지 일합니다.
@jjoh3157
@jjoh3157 Жыл бұрын
제도적 보완이 꼭 필요해 보이네요. 제발 정부와 국회의원들이 관심과 의지를 가지고 보완할 수 있도록 노력해줬으면 좋겠습니다.
@stevemaeng1096
@stevemaeng1096 Жыл бұрын
의사하지 마쇼. 어느 직업이든지 리스크는 있다 ...오해려 의사는 리스크가 적은편 ...그래서 죽자하고 의대가려는 것. 직장인들은 ...자기가 잘못 안해도 구조조정 되어 짤리기도 하고....상사의 눈밖에 나서 짤리기도 한다...의사들이 짤리는 경우는 매우 희귀한 경우... 사업하거나 장사하는 사람들도 자기돈 수억 날리며 망한다....회사에서 쪽잠자고 가게에서 쪽잠자며 아무리 열씸히 해도 문닫는경우 수도 없이 많다... 변호사는 장사안되서 부동산 중개업자로 변신한 사람들도 있고... 오히려 의료카르텔이 막강해서 의사가 부족하다는데도 의대정원늘리는것 반대하는게 의사협회 잖아....그걸과 민주당세끼들에게 간호법 통과시키는 명분을 줬다 존나 편한 소리하지 마라 의사세끼 소리 듣고 싶지 않으면...
@moonjoyp4656
@moonjoyp4656 Жыл бұрын
진짜 수술못받는 세상될수도. 처우개선해야.
@alan-mi5uy
@alan-mi5uy 6 ай бұрын
불과 20-30년전만해도 의사위치가 이정도 위상은 아니었음..서울대 공대가 왠만한 지방의대 보다는 성적이 높았으니까요...지금 한국의 과학발전은 20-30년전 대학입학한 공대생들에 의해 이루어졌다해도 과언이 아닙니다..그러나 지금은 어떤가요?? 지방의대.치대까지 다 차고나서 서울대 공대가죠?? 이게 소득격차가 너무 커서 돈.돈 쫓아가는겁니다..그렇다면 우리나라 20-30년후 미래는 어찌될까요?? 자원하나 없는나라에서 공학발전이 안되고 자멸하게 될겁니다..의사와 일반인 소득격차 oecd국가중 한국이 1등입니다...소득격차를 줄이지않아서 인재가 의사쪽으로 쏠리면 우리나라 망합니다...무조건 소득격차 개선 필요합니다..
@user-ex7bi7od3f
@user-ex7bi7od3f 3 ай бұрын
부산에 제대로된 수술방하나있어요. 영아일랜드병원요. 수술방 보고 깜놀했어요. 원장님 성품도 찐이구요.
@user-oe5zh4ev5j
@user-oe5zh4ev5j Жыл бұрын
의료보험수급때문에 돈안되는 과는 안가려는거라 수술받음 살사람이 죽고잇는실정 별수없음 의료보험수가적거나없게하는 병원하나지으면 연봉쎄면 갈의사잇겟죠 돈으로라도 살사람은 살게해야 할듯
@user-fw9qo9kz2k
@user-fw9qo9kz2k Жыл бұрын
정말 안타까운 사고였죠~ 아산병원 샘 수술 병원 못찾아서 구급차 안에서 돌아가셨던일~ 중환자실 근무해본 사람으로서... OFF 누리고 오면 심할땐 세네 병상의 환자가 바뀌어 있죠. 제가 살고있는 동네도 강원도 라서 중요한 과들은 인원 수급이 힘들다고들 합니다. 많습니다. "서울가면 무조건 살린다" 가 가능한 줄알죠. 공공의료가 너무 무너진것도 있고~
@hnsgh77
@hnsgh77 Жыл бұрын
분명한것은 병원을 다니다보면 3차병원 아닌곳에서의 의사분들의 마인드도 문제가 있는것 같습니다... 일반인이 그것을 느끼면 전문가들이 보면 어떨까요... 그리고 조금만 더 친절한 상담과 설명...이것만 따라준다면 국민들이 의사선생님들에 대한 편견이 많이 사라질듯 합니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의사선생님들에 대해서 아주 존경하고있고 이세상에서 가장 위대한 직업군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으로서 더 발전돼어가는 의료계가 돼었으면 합니다...
@cice3495
@cice3495 4 ай бұрын
해당과 전문의가 없으면 당연히 병원측은 거부할 수 밖에 없죠 필수의료 분야는 의료수가 낮고 근무시간은 길고 수술 후 소송에 시달려야 하고 진상환자와 보호자는 점점 늘어나니 기피하게 되죠.
@jongtaikim621
@jongtaikim621 Ай бұрын
그냥 의협의 의견과 기피 필수과 의견을 똑같이 생각하는 국민들이 문제라고 생각이 드네요
@DanielLeeguitar
@DanielLeeguitar Жыл бұрын
제도적 보완이 왜 안되는걸까요...높으신분들이야 다 생각이 있으시겟지만 그래도 사람 목숨과 당장 직결된건데..
@user-mr1ti9dv7h
@user-mr1ti9dv7h Жыл бұрын
지금 다 문제네요. 필수 사람살릴 의사도 없고. 능력있는 공대 기술자들 대우안해줘서 다 해외로 가고. 대책없습니다ㅜ
@wooribrain
@wooribrain Жыл бұрын
ㅠㅠ
@vansw
@vansw 4 ай бұрын
그냥 쉽게 생각하면, 성형외과 등, 미용을 위한 치료수익은 세금을 크게 올리고 그것을... 필수의료인에게 환원하면 좋을 듯요....
@user-po9fq1hj4n
@user-po9fq1hj4n 4 ай бұрын
병원에 오래있으면 더 위험합니다 아프면 병원균취약 ㆍ회복은 집에서 재활 움직이면서 하는게 좋습니다ㆍ
@user-mr1tl9rz7m
@user-mr1tl9rz7m Жыл бұрын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
@user-ji4xe7fc8g
@user-ji4xe7fc8g Жыл бұрын
의료소송? 그것에대한 거 면 여기는 천국
@jinroh3851
@jinroh3851 3 ай бұрын
그러니까 의사가 더더욱 많아져야겠네요.
@Hong-Gil-Dong
@Hong-Gil-Dong 3 ай бұрын
7:41 병원에서 서울에 있는 병원에 수술할 수 있는지 물어봐야죠 무작정 가면 낭패 볼 수 있어요
The day of the sea 🌊 🤣❤️ #demariki
00:22
Demariki
Рет қаралды 83 МЛН
ИРИНА КАЙРАТОВНА - АЙДАХАР (БЕКА) [MV]
02:51
ГОСТ ENTERTAINMENT
Рет қаралды 4,3 МЛН
3 wheeler new bike fitting
00:19
Ruhul Shorts
Рет қаралды 49 МЛН
The day of the sea 🌊 🤣❤️ #demariki
00:22
Demariki
Рет қаралды 83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