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도 세계 최초! ♠ AESA+CIWS=한국형 CIWS-Ⅱ☆본게임2 Ep45☆우리 함정을 지키는 자랑스러운 K-방패

  Рет қаралды 1,035,912

KFN

KFN

2 жыл бұрын

전지적 재미시점! 본진직진! #본게임 투! 또 한 번 제대로 사고 친(?) K-방산의 위엄!!
현대전의 필수 요소인 전투기와 함정 등 주요 전략 자산들은 어마 무시한 몸값을 자랑하고 있습니다.
우리 #세종대왕 급 #구축함 역시 순수 건조비용만 따져도 1조 원을 훌쩍 넘고 있죠.
우리 바다를 지키는 함정들은 적의 항공기와 미사일 공격 위협에 항상 대비하고 있는데요.
#이지스시스템 과 단거리 #대공미사일, #대잠 #어뢰 등 막강한 화력을 보유하고 있지만...
#초음속 #순항 #미사일 등 적의 위협 역시 만만치 않은 수준입니다.
유사시 우리 함정을 방어하는 최후의 보루, 적의 대함미사일이 우리 방어망을 뚫고 함정에 근접하는
절체절명의 순간! 이때 필요한 것은 무엇?
맞습니다. #근접방어체계 #CIWS (Close-In Weapon System)가 필요합니다.
기존의 네덜란드산 #골키퍼, 미국산 #팔랑스 가 우리 함정에 장착되어 있었는데 이제 드디어
#한국형 #CIWSⅡ 개발 사업이 시작된다는 가슴 벅찬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단순 개발 소식이 아닙니다!!!
반짝반짝 눈이 부셔 감히 쳐다볼 수 없을 정도의 엄~청~난 스펙을 보유했다고 하는데요.
무려 세계 최초 #AESA #레이다 를 탑재한 최고 수준의 CIWS 가 우리나라에서 만들어집니다.
2030년 양산 완료를 목표로 하는 한국형 CIWS-Ⅱ는 상부와 동서남북 4면, 총 5개의 AESA 레이다를 장착!
골키퍼 대비 1000배 이상 빠른 속도로 360도 실시간 감시가 가능해 탐지 시간과 공간에
공백이 전혀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포착한 목표물은 #30mm #7연장 #개틀링 #기관포 로 타격하는데요.
마하 3 이상의 초고속 대함미사일을 향해 분당 4,200발...
초로 환산하면 초당 70발을 발사해 요격할 수 있습니다.
AESA 레이다와 CIWS의 운명적 만남!
#경항모 와 더불어 #한국형 차기 #구축함 (KDDX), #호위함 (FFX-Ⅲ) 등
해군 최신 함정에 탑재될 예정으로 우리 해양전력의 든든한 최후 보루 역할을 해줄
한국형 CIWS-Ⅱ의 모든 것을 알아보겠습니다.
본게임2 오늘도 무조건! 재밌습니다!!
▶ 매주 목요일 저녁 8시 국방TV 본게임2 실시간 본방 사수!!
스카이라이프(163)•ollehTV(260)•U+tv(244)•sk Btv(282)
▶ 국방TV 앱을 설치 하시면 언제 어디서든 실시간 본방시청 가능합니다
▶ 금요일 저녁 6시 유튜브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Пікірлер: 370
@kayhyde2161
@kayhyde2161 2 жыл бұрын
LIG 넥스원의 골키퍼 CIWS + AESA 레이더 개량은 신의 한수라 여겨집니다.
@user-qe9ti7je1w
@user-qe9ti7je1w 2 жыл бұрын
진짜 AESA 레이더 개발은 신의 한수였음. 첨단 무기에 안들어가는 곳이 없네;;
@user-bg9xh1hk4u
@user-bg9xh1hk4u 2 жыл бұрын
@@user-qe9ti7je1w 그거 하나 개발하니깐 진짜 많은 곳에 쓰이네. ㅋㅋ
@user-xg2yi2nz6r
@user-xg2yi2nz6r 2 жыл бұрын
원 제작사도 단종시키고 새로운거 개발 하는데... 개틀링건 급탄창 30mm탄 까지 그대로 기술 사와서 10년후 즈음 실전 배치... 소량 생산이라 가격은 골키퍼 쌈사먹는 가격은 뻔하고.. 쩍국이 기술 없어서 근접방어무기 사다쓰냐....해궁도 램 미사일 라이센스 기술 사와서 만든 파생형이고.. 근접 방어무기 즉 유효 사거리도 짧은데 에이사 레이더 장착 한다고 자랑 기가찬다.. 틀린거 있음 반박 환영.. 안타깝다... .
@user-ho3dc2gw9p
@user-ho3dc2gw9p 2 жыл бұрын
한국형 다기능AESA레이더가 질화갈륨인가 소재로 만들었다매요. KF-21보라매전투기에도 쓰이고 차기 구축함 약 6척이상에도 단다고 들었고. 이번엔 CIES와 융합가능하고 ㄷㄷ 천궁2도 융합시켰고 뭐.. 진짜 안쓰이는데가없네
@user-cn5yw1lf1b
@user-cn5yw1lf1b 2 жыл бұрын
@@user-xg2yi2nz6r 딴거보다 아마 해군에서 기존에 쓰는 골키퍼 장비랑 기계적인 면에서 똑같으니 좋지요…팔랑스 도입할때도 도입 당시만 해도 발칸이랑 똑같으니 별 어려움 없다 했지만 말 못할 여러 일들이 있엇거든요… 거의 뭐 국산화된 장비 운용잋 정비지원이 30mm 다시 채택에 큰 이유중 하나이지요.. 해군 병탄창에 쌓인 탄약들은 덤이고… 뭐…뽕끼 넘쳐나는 국뽕 다빼고 냉정하게 금전과 운용쪽으로 봤을때는 나쁘지는 않죠 완전 새 장비에 도입되는 돈과 CSP품목들… 엄청 오래 걸려요 들여와라 뚝딱 처럼 되는게 아니니께…
@user-vv6os8qq4w
@user-vv6os8qq4w Жыл бұрын
한화 ㅡLIG 자랑스럽습니다 70살이 다됬지만 국민의 한사람으로 고맙습니다
@yangsuyi6628
@yangsuyi6628 2 жыл бұрын
MSG 재미있읍니다 앞으로 계속 좋은 정보를 부탁합니다 모두 하이팅!~!!
@user-dg6ig5zs8c
@user-dg6ig5zs8c 2 жыл бұрын
본게임너무조아 ㅎㅎ
@apsangoodman6334
@apsangoodman6334 2 жыл бұрын
오 생방 대박 건강하셈
@GOMDARY
@GOMDARY 2 жыл бұрын
항상 재밌게 보고 있어요.
@user-xm1ix6yb3q
@user-xm1ix6yb3q 2 жыл бұрын
AESA 레이더 개발해내니깐 아주 뽕을 뽑는구만ㅋㅋ 참 잘만들었오
@user-zj4gx7de3i
@user-zj4gx7de3i 2 жыл бұрын
아 자야되는데 이건 못참자나 아 ㅋㅋ
@user-zo1ut4zo8v
@user-zo1ut4zo8v 2 жыл бұрын
골키퍼가 분당 4,200발이면 초당 70발이고 사거리 3km라고하는데 초음속 미사일이 초당 1km 날아오니까 210발에 격추시켜야 한다는 거네요. 와..로또네요. 각국이 초음속 극초음속에 목숨거는 이유가 있군요.
@user-ov5zm5rz3v
@user-ov5zm5rz3v 2 жыл бұрын
하지만 탱크의 상부장갑도 관통하는 30mm 텅스텐 탄두는 미사일을 확실히 파괴합니다. 미사일 시커에만 중점을 둔 20mm탄두와는 격이 다르죠!
@user-ov5zm5rz3v
@user-ov5zm5rz3v 2 жыл бұрын
@밀리터리 //어짜피 대함 미사일은 본함을 향해 날아옵니다. 즉, 목표가 분명하니 코스가 읽힌다는 거죠! 그러면 VLS처럼 발사후 방향 잡는게 아니라 아예 추적하여 그 어림근방으로 때려버리면 되는 겁니다. 미사일 탄두과 기관포탄은 그 중량부터가 비교 불가이며 운동에너지에 의한 충격량도 엄청나게 차이 납니다. 같은 값이면 한번에 확실하게 잡는게 초근접 미사일이라면, 어쩌치 유도장치 잃은 미사일은 눈먼 로켓 탄과 다름없다는 발상에 유도 시커만 작살내 버리자는 발상에서 나온게 20mm 개틀링 벌컨 입니다. 하지만 30mm전차 때려잡는 개틀링으로는 아예 미사일 탄체 파괴를 시도하는 거죠!
@shkim3418
@shkim3418 2 жыл бұрын
사실상 최신미사일은 못막죠 개념 자체가 아음속 이전 미사일에 대응해 만들어진거라..군대때 총으로 집단 사격해서 지나가는 비행기 맞춘다는 거랑 비슷한
@user-ov5zm5rz3v
@user-ov5zm5rz3v 2 жыл бұрын
@@user-yd2jw8vc2r //물론입니다! 시커를 파괴하면 말이죠! 하지만 12.7mm는 시커를 맞추기도 힘들고, 20mm는 시커파괴외에는 운동에너지가 모자라 단체의 비행 궤도를 바꿀 수 없고, 30mm는 시커파괴는 물론 그 무거운 관통자로 미사일 자체를 관통해 버릴 수도 있습니다. 30mm탄자는 열화우라늄 내지는 텅스텐 탄자를 씁니다. 같은 탄속에서 질량이 약 6배(밀도 2배, 부피 3배)에 이르는 어벤저포탄은 충분히 미사일 경로를 바꾸고도 남죠! 미사일 시커를 파괴했다고 해서 즉각 춤을 출거라 생각하시면 오산입니다. 오히려 초근접거리의 경우 운동 에너지 만으로도 파괴된 뒤에도 함을 덮칠수 있으니까요. 30mm는 바로 이런 경우에서 20mm에 비할 수 없는 이점을 가집니다. 수틀리면 탄막으로 밀어낼 수도 있으니까!
@user-ov5zm5rz3v
@user-ov5zm5rz3v 2 жыл бұрын
@@user-yd2jw8vc2r //미해군이 실제로 고민한게 20mm의 파괴력부족 이엇습니다. 한 0.5~1km구간은 집탄성도 좋은 팰렁스가 그럭저럭 쓸만한데 한계인 2km에서는 실효성 의심을 받았다고 합디다. 아! 이번에 개량된 탄자에는 텅스텐 탄심이 잇다고 하던데요? 얼마나 보급될지는 모르겠지만.... 팰렁스는 위력의 부족을 분무기로 때우는 형편이죠. 물론 제가 말한것과 같지 20mm와 30mm는 이미 사이즈에서 오는 질량이 다르기에(같은 텅스텐 탄심이라 해도) 팰렁스와 다르게 골키퍼는 실질적으로 미사일의 본체나 탄두를 노려 볼만 합니다. 그래도 부족한 발사속도는 걸리긴 하죠! 애초에 20mm는 대함 미사일보다는 대함 미사일을 쏘려하는 공격기를 겨냥해 만들었습니다. 다만 레이더나 스펙이 좋아 미사일도 떨어드리려는 거죠! 한 20년 쯤에 봤는데 두대의 전투기가 서로 기총 소사를 한다는 가정이 있었는데 탄속빠른 F-15는 팰렁스로 미그29에 8발을 꽂아 넣고, 펄크럼은 30mm GSh로 겨우 4발 꽂아 넣더군요! 물론 발사속도가 3배 느리긴 했지만... 즉, 팰렁스와 골키퍼도 이 두가지 특성의 대비일 겁니다. 물론 골키퍼의 속도는 팰렁스에 근접하지만....
@padoelec
@padoelec 2 жыл бұрын
어렸을땐 이걸 보고 엄청난 화력에 놀라고...우리는 저런거 절대 못만들거다... 생각했었는데... 야.. 이젠 세계 유일한 1등이 되겠구나..
@user-hwangsil4-10
@user-hwangsil4-10 2 жыл бұрын
사랑할수밖에 없는 대한민국~
@user-hc1vi3jm9d
@user-hc1vi3jm9d 2 жыл бұрын
20mm 발컨포을 이용한 팔랑스는 최대/유효사거리가 너무 짧어... 30mm 7연장 게슬링포를 장착한 골키퍼 처럼 개발하는 것이 맞고 잘 결정한것 맞습니다. 성공적인 개발/제작/배치를 소망합니다.
@kealchuncho7764
@kealchuncho7764 2 жыл бұрын
극초음속 대함미사일에 대항하기위해서는 20mm가 펀치력이 부족하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실제로 미군에서 행한시험에서 미사일이 피탄되었슴에도 격추되지않고 함선까지 도달한 경우도 있었다고 합니다. . 20미리 벌컨은 사거리나 펀치력 측면에서 한계가 있다고 보여집니다.
@crazybenny8544
@crazybenny8544 2 жыл бұрын
@@kealchuncho7764 펀치보단 사거리가 결정적인 것 같아요 초음속미사일은 운동에너지가 커서 격추된 뒤에도 관성으로 꼴아박음
@Loveteeth
@Loveteeth 4 ай бұрын
30mm 두레텍 탄으로 바꿔서 사거리 4km에 관통력 높혀야함.
@khmmail79
@khmmail79 2 жыл бұрын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쉽게 설명해주고 재미있게 진행하니 일반인들도 쉽게 군장비에 대해 알아가는게 너무 좋네요 본게임 너무 좋아요 😀
@user-wx9tp3wm6z
@user-wx9tp3wm6z 2 жыл бұрын
ㅑㅣㅑㅣㅑㅑㅑㅑㅑㅑㅑㅑㅑㅑㅑㅑㅑㅑㅑㅑㅑㅑㅑㅑㅑㅑㅑㅑㅑㅕㅑㅕㅕㅕㅕㅕㅕㅑㅕㅕㅑㅕㅑㅑㅑㅑㅕㅑㅕㅕㅕㅑㅑㅕㅑㅕㅕㅕㅑㅑㅕㅑㅑㅑㅑㅑㅕㅕㅑㅑㅕㅕㅑㅑㅕㅕㅑㅕㅑㅑㅑㅑㅑㅕㅕㅕㅕㅕㅕㅕㅑㅕㅕㅕㅕㅕㅑㅕㅑㅕㅕㅑㅕㅕㅕㅕㅑㅑㅕㅕㅑㅕㅕㅕㅑㅑㅕㅕㅕㅕㅕㅕㅕㅕㅑㅑㅑㅕㅕㅑㅕㅑㅑㅕㅑㅑㅕㅕㅕㅕㅕㅕㅕㅕㅕㅕㅕㅑㅑㅕㅕㅑㅕㅕㅑㅑㅕㅑㅕㅑㅕㅕㅕㅑㅑㅕㅕㅕㅕㅕㅑㅑㅕㅑㅑㅕㅕㅑㅑㅑㅕㅑㅑㅕㅕㅕㅑㅕㅕㅕㅕㅕㅕㅑㅕㅑㅕㅕㅕㅕㅕㅑㅑㅕㅕㅑㅑㅕㅕㅕㅑㅕㅕㅕㅕㅕㅕㅕㅕㅑㅕㅑㅕㅕㅑㅑㅑㅕㅕㅕㅑㅕㅕㅕㅕㅕㅕㅑㅕㅑㅕㅕㅕㅕㅑㅕㅕㅕㅕㅑㅕㅕㅕㅕㅕㅕㅕㅕㅕㅕㅕㅕㅕㅕㅕㅕㅕㅕㅕㅕㅕㅕㅕㅑㅑㅕㅕㅕㅕㅑㅑㅕㅑㅕㅑㅑㅕㅕㅕㅕㅑㅕㅑㅕㅕㅕㅕㅕㅕㅕㅑㅕㅕㅕㅕㅕㅕㅕㅑㅕㅕㅕㅕㅕㅕㅑㅕㅕㅕㅑㅕㅕㅕㅑㅕㅕㅕㅕㅕㅑㅕㅕㅕㅕㅕㅑㅕㅑㅕㅕㅕㅕㅕㅕㅑㅑㅑㅕㅑㅑㅕㅕㅕㅕㅑㅕㅕㅕㅕㅕㅑㅕㅑㅕㅕㅑㅑㅕㅕㅕㅕㅕㅑㅑㅕㅕㅕㅑㅑㅕㅕㅕㅕㅑㅕㅕㅕㅕㅕㅕㅕㅕㅑㅕㅕㅕㅕㅕㅕㅕㅕㅑㅕㅕㅕㅕㅕㅕㅕㅕㅕㅕㅕㅕㅕㅕㅕㅕㅕㅕㅕㅕㅑㅕㅕㅕㅕㅑㅕㅕㅕㅕㅕㅕㅕㅕㅕㅕㅕㅕㅑㅕㅕㅑㅑㅕㅕㅕㅕㅕㅕㅕㅑㅕㅕㅕㅕㅕㅕㅕㅕㅕㅕㅕㅑㅕㅑㅑㅕㅕㅕㅑㅕㅕㅑㅕㅑㅕㅑㅕㅕㅑㅑㅑㅕㅕㅕㅕㅑㅕㅕㅕㅕㅕㅕㅕㅕㅑㅕㅑㅕㅕㅑㅕㅕㅕㅕㅕㅕㅕㅕㅕㅑㅕㅕㅕㅕㅕㅕㅕㅕㅕㅑㅑㅕㅕㅑㅕㅕㅕㅕㅕㅑㅑㅕㅕㅕㅕㅑㅑㅕㅑㅑㅕㅕㅕㅑㅕㅕㅕㅕㅕㅕㅕㅕㅕㅕㅕㅕㅕㅑㅕㅕㅕㅕㅑㅕㅕㅕㅕㅕㅕㅕㅑㅕㅕㅑㅕㅑㅕㅑㅕㅕㅕㅕㅕㅕㅑㅕㅑㅕㅕㅕㅑㅕㅕㅕㅕㅕㅑㅕㅑㅕㅕㅕㅕㅕㅕㅕㅑㅕㅕㅕㅕㅕㅕㅕㅕㅕㅑㅑㅑㅑㅕㅕㅕㅕㅕㅕㅕㅕㅕㅕㅕㅕㅕㅕㅕㅕㅕㅕㅕㅕㅕㅕㅕㅕㅑㅑㅕㅕㅕㅑㅕㅑㅑㅕㅑㅕㅕ
@senaratrading3548
@senaratrading3548 Жыл бұрын
@@user-wx9tp3wm6z 넌 또 무슨 장난질? 똑바로 처신해라 한심한 녀석 !
@user-ml9xx9bn3v
@user-ml9xx9bn3v 2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파이팅!~~
@user-zi5wd8oj4l
@user-zi5wd8oj4l Жыл бұрын
대단합니다 한화 회사보다 대한민국 에서가 아닙니다 세계에서 인정받은 연구원입니다 감사합니다
@wolfk3893
@wolfk3893 2 жыл бұрын
CIWS전용 합작사를 하나 만들어서 명작으로 만들어 봤으면 좋긴 하겠는데 ㅋㅋ
@bluemoon9593
@bluemoon9593 Жыл бұрын
뿌듯합니다 기술력 한국
@user-kd4fl5wj8k
@user-kd4fl5wj8k 2 жыл бұрын
믿고보는 본게임 매일매일했으면
@mindbridge00
@mindbridge00 Жыл бұрын
항상 느끼는거지만 국방TV퀄리티 짱인듯
@197One
@197One 2 жыл бұрын
경쟁을 위해서라도 한화,LIG 제품을 동시에 장착하는 게 나을 듯.
@jeonyongwoan
@jeonyongwoan 2 жыл бұрын
어쩌면 다 만들어 놓고 공개할 날짜만 눈치보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wsj9515
@wsj9515 2 жыл бұрын
이 무기는 많이 만들어서 주요장소에 비밀리 설치해야 합니다. 그리하여 날아오는 미사일을 최후 방어에 써먹어야 할것이다.
@user-gt5hs9dp6j
@user-gt5hs9dp6j 2 жыл бұрын
조금 있으면 11월23일.. . 저의 생일이기도하지만 후배들이 연평도와 국민들을 지키기위해 목숨을 내놓은 날이기도합니다... 그 희생을 잊지않았다고 연평포격전에 관해 방송해주시면 안될까요? 한 시청자로서 부탁드립니다
@user-fg7jt6hh6j
@user-fg7jt6hh6j 2 жыл бұрын
한화ciws가 진짜 멋지다~
@user-tj9wp4rk2f
@user-tj9wp4rk2f Жыл бұрын
마하 3 미사일이 1초에 1 키로 정도를 간다고 보면, .. 지구 탈출 로켓/우주선은 1초에 약 7키로 정도 간다고 합니다. 대략, 김포 공항에서 성산대교까지를 1초에 가는 정도, ... 지구 탈출 속도
@Return_Yamae
@Return_Yamae Жыл бұрын
AESA레이더가 F-22나 KF21 같은 4.5세대~5세대 전투기에 사용하는 레이던데 이걸 여기에접목시켰다고? 미쳤다 와 이렇게되면 동시다발적으로 오는 적 미사일들을 수십km밖에서 부터 하나하나 감지가 가능하게됨..ㄹㅇ 소름돋는다
@mingisong6629
@mingisong6629 2 жыл бұрын
비호2+비호 복합 aesa1로 방공 체계도 구축 합시다. 저번 창원 박람회에서 보여준 중소기업의 사거리 증가탄 제휴하고
@koreahamma6502
@koreahamma6502 2 жыл бұрын
진짜 전세계에서 보면 아주 조그마한 땅덩어리 사람들이 이렇게나 훌륭하다니... 정말 대한민국 기술력 하나는 세계제일이라고 자부할만합니다!! 대한민국 화이팅
@dustinnance3163
@dustinnance3163 7 ай бұрын
🇺🇸👍🇺🇸👍
@lucaschoi8358
@lucaschoi8358 2 жыл бұрын
전용준은 터렛 못참치 ㅋㅋ
@Dingdong0810
@Dingdong0810 Жыл бұрын
25:54 글로체스터가 아니라 글로스터가 정확한 표기입니다.... chester는 대부분의 경우 체스터가 아니라 스터라고 읽어요. 우스터소스할때 우스터처럼요.
@hschoi12
@hschoi12 2 жыл бұрын
궁극의 CIWS는 레이저건~~!!
@user-yu7dc4rm6s
@user-yu7dc4rm6s 2 жыл бұрын
LIG넥스원이 CIWS-II 사업은 매우 유리하죠.
@user-rn9nj1nf2e
@user-rn9nj1nf2e 2 жыл бұрын
👍👍👍👊
@jaemookjung
@jaemookjung 2 жыл бұрын
이제 습관적으로 시크하게 msg외치는게 더 멋있네요 '이미 알 사람들은 다 알지? 이런 느낌이라서요 ㅎㅎㅎ
@user-uc3ev8mh9g
@user-uc3ev8mh9g 2 жыл бұрын
모든 군들이 강해지면 좋지만 해군력 증강에 더 힘 좀 써주십시오!!1
@user-ij5rd8lg5w
@user-ij5rd8lg5w 2 жыл бұрын
천안함에 비치해야지
@user-jz3ne1lr9l
@user-jz3ne1lr9l 2 жыл бұрын
개틀건은 진짜 최고의 발명품
@user-nasanato
@user-nasanato Жыл бұрын
세계최초 AESA 레이더 장착한 ciws는 중국 003형 항공모함 푸젠함이 먼저 장착해서 아쉽게도 세계최초 타이틀은 뺏김 ㅠㅠ
@LoveIsLuv_
@LoveIsLuv_ 10 ай бұрын
육상형으러 개발되서 서울방어에 많이 배치되고 자주포도 방어 되었으면 합니다
@user-yy6dr3is3b
@user-yy6dr3is3b 2 жыл бұрын
오 ㄷㄷ
@damoaplus
@damoaplus 2 жыл бұрын
풍~~~산..... 동~~ 파이^ 프~~~
@philipjeong-qg2gx
@philipjeong-qg2gx 2 жыл бұрын
초음속 미사일을 막으려면 CIWS-Ⅱ에 AESA레이더도 좋지만 레이져 포 무기를 달아야만 초음속 미사일에 대비한 완전한 장비가 되겠네요?ㅋ
@user-rt1xt6qm8u
@user-rt1xt6qm8u 2 жыл бұрын
한국형 AESA레이더 CIWS발컨포 언제 배치될까 🤔?!
@Hyuchan1002
@Hyuchan1002 2 жыл бұрын
K9도 개틀링식으로 만들어 주세요
@k-ride8590
@k-ride8590 2 жыл бұрын
실질 디자인은 한화가 잘하긴 함. LIG 는 EOTS 위치가... 게틀링건의 연무 때문에 제대로 성능을 발휘 할지가 의문이네요;
@letsgooska
@letsgooska 2 жыл бұрын
실전근육하고 비슷한 건가요?
@user-ml8zc3zl4z
@user-ml8zc3zl4z 2 жыл бұрын
@@letsgooska 실스펙이죠
@user-fb4dp7uq5l
@user-fb4dp7uq5l 2 жыл бұрын
무야호~~ LIG넥스원~~!!!
@user-tj9wp4rk2f
@user-tj9wp4rk2f Жыл бұрын
국산 CIWS 를 소형화/경량화 해서 비호/복합에 장착해야겠어요. 그래야 드론과 미사일을 막지, ...
@HaNeulJiBung
@HaNeulJiBung 9 ай бұрын
한화 ciws 스텔스 디자인 지리네
@mindbridge00
@mindbridge00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방산 진짜 장난없네요... 이제 해군력, 공군력만 늘어나면 국방력 수직상승할듯
@luxury230
@luxury230 2 жыл бұрын
오늘도 국뽕에 취하고......
@user-jr5dz1cl8f
@user-jr5dz1cl8f 2 жыл бұрын
환화것 ,LIG넥스원 모두 개발해야함 . 둘다 훌륭함 .저것 앞뒤로 장착해야 할것 같음 . 2문장착 .
@koreazio8255
@koreazio8255 Жыл бұрын
너네집에 tv 두대냐 LG와 삼성?
@kkhisa3044
@kkhisa3044 2 жыл бұрын
Lig총열덮개를 한화같이 세련되었으면 더 나을듯하네요
@stopsss
@stopsss 2 жыл бұрын
극초음 미사일대비해선 결국 레이져를 쓰기위해 소형핵추진 함선으로 가겠네요.
@user-fl2et3zu2p
@user-fl2et3zu2p 2 жыл бұрын
이제는 말할수 있다. ㅎㅎㅎ
@sspark2023
@sspark2023 Жыл бұрын
헌터킬러 영화 마지막 장면 보면 나옵니다 대함미사일 요격 대박 느길수 있어요
@ysydeath
@ysydeath 2 жыл бұрын
결국 레이저포나 양자포를 만들어야하나요.
@cryingbug134
@cryingbug134 2 жыл бұрын
극초음속 비행체에 대한 대비책은 구경과 탄속을 늘리는 방법이 있음 . 레이저 무기는 1. 에너지원이 가장 문제임. 핵추진함이 아니라면 아예 달지도 못함. 중소형급 함정에는 못 달 가능성이 있음. 기술이 아무리 발달해도 에너지는 어쩔 수 없음. 2. 날씨에 취약함. 비오고 흐린 날에는 레이저 근접 방어는 파해됨. 잡아낸다해도 상대적으로 저격거리가 짧아질 가능성이 큼. 비행체의 운동에너지가 위협이될수도. 근접방어망은 마지막 보루이기때문에 레이져무기가 대신할수 없는 영역. 다만 동시에 운용한다면 효율적이라 생각함.
@sDH8988L
@sDH8988L 2 жыл бұрын
현재 미국에서 고려 중인 레이저 방어체계는 150kW에서 600kW 급입니다. 그 정도의 출력은 호위함급에서도 낼 수 있지요. 통합전기추진체계라면 아주 널널합니다. 가스터빈 하나 당 전기 출력이 10MW가 넘습니다. 레이더 출력 풀로 땡기고 최고속 회피기동으로 전기출력 몽땅 빼먹는 것만 아니면 그리 부담스러운 출력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user-rz1vh7go6x
@user-rz1vh7go6x 2 жыл бұрын
장갑차에 얹혀서 드론이나 근접 미사일 방어에 쓰면 좋을 것 같군요
@melomanjun
@melomanjun 2 жыл бұрын
너무 무거워서 무리입니다. 장갑차엔 이미 비호2가 있구요
@user-rb9mp7jd2i
@user-rb9mp7jd2i 2 жыл бұрын
이스라엘이 이미 2007년도에 트로피 라이트(Trophy light)라는 장갑차에 도 창착가능한 능동방어 라이트버젼을 공개함.
@user-bv5eh7zb3d
@user-bv5eh7zb3d Жыл бұрын
차세대형 탱크형 ciws골키퍼 만들자..
@Loveteeth
@Loveteeth 4 ай бұрын
탄창에 탄알을 두레텍 탄알을 사용하여 사거리 4km로 늘리고 일반탄 4: 1 공중파편탄 으로 적용해서 100% 방어해야함.
@user-rt1xt6qm8u
@user-rt1xt6qm8u 2 жыл бұрын
넥스원 VS 한화시스템 CIWS 발칸포 어느게 성능이 좋을까 🤔?!
@generalhero815
@generalhero815 2 жыл бұрын
극초음속 미사일은 언제 나오려나 ㅎ
@user-et1dc1ub7h
@user-et1dc1ub7h 2 жыл бұрын
함정 앞 뒤에 2개 배치해야 되는거 아닌가요 하나면 뒷 쪽은 위험할꺼 같은데 ?
@JMK1552
@JMK1552 2 жыл бұрын
국방tv 방송 나오고 며칠있다가.올리는구나
@user-zl2mm9yc3y
@user-zl2mm9yc3y 2 жыл бұрын
버블어뢰를 잡지못함 있으나마나
@younghuh9203
@younghuh9203 2 жыл бұрын
구한말 때 고종황제 도 게틀링 건 을 수십문 도입 하였지요.
@user-gj4sz4yg7k
@user-gj4sz4yg7k 2 жыл бұрын
P
@user-gj4sz4yg7k
@user-gj4sz4yg7k 2 жыл бұрын
@user-xb6iz6bo4u
@user-xb6iz6bo4u 2 жыл бұрын
헌터킬러인가 무슨 잠수함 영화에서 미사일 잡는거 나오던데
@ShimCharlie
@ShimCharlie 2 жыл бұрын
레이더가 같이 돌아가는게 적절한가? 소프트웨어 개발이 더 어려워질 것 같은데....
@user-gv4ky4pu6f
@user-gv4ky4pu6f Жыл бұрын
축하합니다.그런데,aesa + razer gun을 추진하는것은 어떨지요! 적극추천합니다. 합리적보수
@user-uf6id3os3n
@user-uf6id3os3n 2 жыл бұрын
반려견도 종류가 많아요
@user-vf9vg3yf5u
@user-vf9vg3yf5u Жыл бұрын
개틀링건을 30미리+20미리 쌍열로 해서 초음속 미사일 대비하는것도 좋을듯요...미사일이 하도 빠르니..마하5짜리 오면..실제 접전기회는 단1번..그 1번에 우루루 짧은 시간내에 최대한 쏫아부어야 겨우 막을수 있을것 같습니다. 격추 확률2배로 ! ㅋㅋ
@user-og9ku2xp3k
@user-og9ku2xp3k Жыл бұрын
ㅗ66
@General_REVIL
@General_REVIL 2 жыл бұрын
게틀링- 병사들의 부상의 근본적 원인인 적을 제거하기 위해 신무기 개발
@user-nz4rf7wc3l
@user-nz4rf7wc3l 2 жыл бұрын
레이저를 준비하세요 시대를 앞서나가는 무기가 있어야 합니다
@BlackSkyUploadTube
@BlackSkyUploadTube 2 жыл бұрын
에너지류 무기에 찬성이지만, 레이저는 날씨의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ifog2319
@ifog2319 Жыл бұрын
대함 미사일이야 말로 레이져가 답이다.
@melomanjun
@melomanjun 2 жыл бұрын
골키퍼 생산라인 판다고 했을때 삿어야 했는대 너무 아쉬움...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Жыл бұрын
개인적 뭐를 떠나서 단종되어서 그나마 우리것으로 만들었다는게 다행임... 지금 레이저포 성능으로는 대안이 없고...거기다 에이사레이더추가는 정말 너무 좋은 발상같음요... 이게 정말 발상에 전환..... 독립적으로 결단해서 공격하는거.... 무인기도 똑같죠 발견 보고 결단 격추하면...저 멀리 가버리고 없죠 아무리 속도가 느려두요.... 발견 즉시 격추! 혹시 다름 콘텐츠로 이걸 가지고 육상형에 38도선에 깔아버리면 저고도 무인기에 대항이 가능할까란 정보로 콘텐츠 제작 부탁드립니다^^ 답이다 된다 안된다에 문제가 아니라 이걸로 가능하냐에 콘텐츠요^^ 추가로 육지에서도 조준을 하면 거리마다 조준을 다시 해주어야 하는데 공중은.... 거기다 헬기 무인기로 무인기를 대적한다는게 쉽지만않은거 같구요.... 그래서 본 기능으로 북한다수 무인기 대적에 콘텐츠 부탁드려요^^ 레이저포 단점을 봤을때 아직은 성능이나 출력이나 기후조건이나 아닌거 같구요^^
@mindbridge00
@mindbridge00 Жыл бұрын
3:52 헛웃음 나오네요 속도보니까..
@user-qb1ws9hd9d
@user-qb1ws9hd9d Жыл бұрын
정확도는 많이 개선해야될듯 1초에 한발이라도 백발백중이 더좋은화력
@user-eo6iq5hs8d
@user-eo6iq5hs8d 2 жыл бұрын
저번에도 느낀건데 컨텐츠가 새롭고 참신하기 보다는 점점 돌고도는 느낌임. 저번에도 했던 주제 같은데;;;
@user-rk4bh5yh2w
@user-rk4bh5yh2w Жыл бұрын
북한에 전투기 미국전투기 사진이 있어요 국민 (초등) 학교때 이승복 웅변대회도 있어요
@enla9469
@enla9469 2 жыл бұрын
초음속 대함 미사일을 잡일 수 있어야 는데
@user-zh8dy8fc2p
@user-zh8dy8fc2p 2 жыл бұрын
CIWS를 보면서 항상느끼는것이 팔랑스를 선수와 선미 한곳에 위치하면 선체중앙 관제통제실이 가려 작전유효 반경이 제약을 받을것 같은데 선수나 선미 한쪽에만 있다는거 아이러니다. 설계자들이 생각없어 보임
@user-gj4xh9se1p
@user-gj4xh9se1p 2 жыл бұрын
천안함에 장치하면 딱이네요 북한접전경비지역 서해5도에 경비함정에 장치하면 딱이네여
@shkwon6556
@shkwon6556 2 жыл бұрын
다르도? 브레다 2연장으로 알고 있었는뎀...
@footstep002
@footstep002 2 жыл бұрын
기반이 되는 골키퍼 창정비를 lig쪽에서 했기에 lig가 다소 더 유리할거라는 얘길 듣긴했는데 결국 lig가 선정됐는 모양이군요. 도입후 효과가 괜찮으면 미육군처럼 우리나라도 지상형 파생버전 도입을 시도해보면 어떨까 싶기도 하네요. 그나저나 한화의 포신에 스텔스 디자인 적용하는건 실제 양산버전에선 오히려 상당부분 제거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을터라 크게 어필하진 못했을 것같네요. 레드백에서도 처음에 공개된 그래픽 등에서는 주 포신에 대부분을 외부 케이스로 감싸서 스텔스 성능을 높여놓은듯 보였으나 현재 호주에서 테스트 하고 있는 공개된 실차에서는 그 외부 케이스가 포신을 상당히 드러내는 쪽으로 뒤로 많이 후퇴된 형태로 나왔으니 뭐...더군다나 훨씬 고속으로 사격이 가해지는 만큼 레드백 주포보다 ciws는 더 포신 발열이 심할터라 포신 덮개를 한화의 경우처럼 대부분 덮고 있으면 열을 원활히 발산하는데 더욱 불리할 수 밖에 없어 ciws의 여건상 채택되긴 어려운 디자인이었다고 봅니다.
@Returns_B
@Returns_B Жыл бұрын
예광탄 중간중간 섞어서 밤하늘에 사격하는모습 ㄹㅇ 개간지 밤하늘에 휘두르는 붉은 채찍
@ysydeath
@ysydeath 2 жыл бұрын
자위대함정이 대공사격훈련중 표적대신 대공 표적을 끌고다니던 미군 A6 인트루더 격추한것도 팔랑스 아니었나요? 하필 자동사격모드로 놓고 깜빡해서
@user-hk8vp2jo1d
@user-hk8vp2jo1d 2 жыл бұрын
윤영하급 고속함의 후미에 설치된 40mm쌍열포 노봉 제거하고 CIWS II로 대체하면 좋겠네요.
@user-py8pc1wx9m
@user-py8pc1wx9m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주요 시설물에 설치하면 좋을 것 같네요(예: 댐, 반도체, 자동차 공장, 조선소, 에너지 저장 시설, 청화대, 통신 시설, 상하수도시설, 방송국 등등) 설치할 곳이 많네요 바닷가, 해안가는 미사일 잡는 방어 무기로 설치 했으면 좋을것 같네요 ^^
@user-xi3il6xy6g
@user-xi3il6xy6g 2 жыл бұрын
개틀링 최대의 아이러니는 그 방향성이 옳았다는 점이다. 핵무기 생기고 아무도 총력전 같은 소리 못하게 됐다.
@user-mf2ho6hh7s
@user-mf2ho6hh7s 2 жыл бұрын
대신에 핵있는 애들이 핵없는 애들만 줘패게 되었죠. 핵개발도 못하게 하고
@choco2416
@choco2416 2 жыл бұрын
선정은 Lig 인데,운영 자료화면은 한화시스템 화면이네, 한화가 외형은 깔끔하고 좋네.. 어떻게 이 두회사 장점의 모아 하나로 만들어 방산 수출 하면 안되는지, 서로 지분 분배 하고 그렇게 정부에서 유도 좀 했으면 좋겠는데...탈락한 한화시스템 무기는 그냥 사장되기에는 너무 아까운 기술 아닌가
@user-bw9fw6ku4h
@user-bw9fw6ku4h 2 жыл бұрын
서로 협의가 되야지 가능할테죠.
@JYKei
@JYKei 2 жыл бұрын
개소리 ㄴ 그게바로 담합
@user-bw9fw6ku4h
@user-bw9fw6ku4h 2 жыл бұрын
@@JYKei 42:20 에 나오듯이 불가능한거는 아닌데, 서로 보는 입장이 틀리면 거의 불가능하죠. 물론 상대 국가에서 요구하는거를 기업들간 협의와 정부에서 진행하는거에 따라서 변할수는 있죠. 보통 이럴때 기술협력.. 같은 명분을 세워서 작업하는 경우도 있는 모양이고요. 서로 안된다고 하면, 해당 국가에서 선택을 잘 하는 수 밖에 없지만요. 그리고 담합을 서로 할리는 없습니다 상대가 언제 뒤통수 칠만한걸 내놓을지 알 수가 없으니까요.
@Kirize
@Kirize 2 жыл бұрын
아깝기야 하겠죠 이회사 저회사 제품별 차이와 장단점은 다른것이고 실제로 별로 좋지 않은 제품이 나올수도 있습니다만 결국에야 더 나은 제품이 선정되었다고 봐야될것 같습니다.
@user-jf6lu8dx1e
@user-jf6lu8dx1e 2 жыл бұрын
현재 각 함정에 장착된 노봉 제거하고 ciws2로 다 집어 넣었으면~
@user-pn8iq7sh7i
@user-pn8iq7sh7i 2 жыл бұрын
진짜 궁금해서 그러는데 앞이나 뒤에 하나달려 있으면 사각지대 안생기나요? 앞에 달려있다 치고 배 후미쪽에서 극초음속 미사일 날아오면 어쩔? 배돌릴 시간은 없고... 지휘탑 이고 뭐고 걍 팀킬 하면서 갈겨버리는지.. 궁궁하네요.
@252tag
@252tag 2 жыл бұрын
사격범위가 설정되어있어 함을 쏠일은 없습니다. 사각없이 설치해야겠죠.
@blacklancer
@blacklancer 2 жыл бұрын
유용원 이아저씨는 초등학교때부터 어떤인생을 살아온거야?? ㅋ ㅋ 초등학교때 스틱스 대함미사일을 두려워했다라.....ㅋ ㅋ
@user-bh3dc9md6v
@user-bh3dc9md6v 2 жыл бұрын
비호2를 레드백 차체에 ciwsII달면 안되나?
@koreafox2064
@koreafox2064 2 жыл бұрын
저기 안에 들어가는 감속기는 어느나라에서 수입할려나????
@user-gd5lq9bg7c
@user-gd5lq9bg7c 2 жыл бұрын
조만간 핸드폰에도 에이사레이더 어플이 생기길 기대합니다.^^
@ilinja
@ilinja 2 жыл бұрын
20미리도 개발했으면 30미리는 LIG넥스원이 하고 20미리는 한화가 개발해서 업그레이드나 수리비 등 미국회사에 눈탱이 맞지 말았으면
@user-qu6cr8ug1z
@user-qu6cr8ug1z 2 жыл бұрын
둘다 적용해도될것 같은데요 어차피 골키퍼.팰링스가 체급이 틀리니 함정크기로 큰건 골키퍼 작아서 골키퍼적용 힘든거 밑으로는 전부 팰링스급으로
@user-eg2lw5tt4g
@user-eg2lw5tt4g 2 жыл бұрын
ㅇㄴCIWS II 말하는거잖아
@user-pf3pb3yx8s
@user-pf3pb3yx8s 2 жыл бұрын
전투기 자주포 경항모 잠수함 저고도 방공미사일 이제 미사일에핵무기만 탑재하면 완벽하다
@user-yh7ho9iw1q
@user-yh7ho9iw1q 2 жыл бұрын
솔직히 한화나 LIG 넥스원이나 CIWS의 능력은 별차이 없습니다 다만 LIG가 선정된 이유는 KDDX및 기타 함정 전투체계 사업에서 한화가 이겼었기 때문에 CIWS는 LIG에 넘겨서 두 회사의 사업능력을 공히 유지하는 방향으로 사업을 결정한 것입니다.
@Hyuchan1002
@Hyuchan1002 Жыл бұрын
한화 CIWS는 소형화해서 장갑차에 올렸으면 싶네요
@user-wy9zp5zv4l
@user-wy9zp5zv4l Жыл бұрын
9ㅈㅇ9
@cdjlsn
@cdjlsn Жыл бұрын
한화가 기술도 없어면서 먹으려 했다고 봅니다 어차피 따내면 국방과학연구소거 세금으로 기술개발 해줄거니까요 이번만은 lig가 워낙 강하니 어쩔수 없었겠죠 창정비로 메카 에 소프트에 훤하니까요 aesa레이더 한화는 주특기 라는데 왜 lig에게 주죠 lig는 이미 aesa 레이더 이미 예전부터 개발하여 사용하고 았어요 kf21사업 에서 aesa레이더 수주 탈취 당했다 봐야죠 국가적으로 중복투자 세금낭비 kf21 aesa레이다 또개발하느라 세금 왕창 날라가더군요
@senaratrading3548
@senaratrading3548 Жыл бұрын
@@user-wy9zp5zv4l 혼자만 알지말고 서로 공유합시다요 !
100❤️
00:20
Nonomen ノノメン
Рет қаралды 68 МЛН
[본게임] 116회 아파치의 라이벌 하보크
46:57
ЗНАКОМСТВА С ЛУЧШИМ ЗЯТЕМ 😂😂 #копы
0:42
New trick 😧 did you expect that? 😁
0:10
Andrey Grechka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Озвучка @patrickzeinali  Тюремная еда  Часть 2 @ChefRush
0:52
BigXep. Канал озвучки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