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까지와는 다른 완전히 새로운 형태의 차세대 호위함! 충남급 호위함//조종의 NAVY썰(해군 이야기)

  Рет қаралды 104,368

조종  JOJONG Ch (Not control)

조종 JOJONG Ch (Not control)

Күн бұрын

광고 및 협업 문의: hyen1404@gmail.com
멤버쉽 가입: / @jojong_sma1
NAVY 디스코드: / discord
워쉽 카카오톡 오픈챗팅방:open.kakao.com/o/gnMvZI0
후원하기:twip.kr/donate/hyen1404
트위치 방송// / hyen1404
00:00 인트로
00:49 국내 방산 기술 백화점. 충남급 호위함
02:46 적용된 방산기술의 구체적인 서술
09:08 연안함대의 기함 역할과 KDDX와 FFX-Batch4의 테스트배드

Пікірлер: 148
@mirre26
@mirre26 10 ай бұрын
2012-2013년에 FF-953 충남함에 탔던 수병으로 충남함이 다시 태어난게 반갑네요
@hdhok414
@hdhok414 10 ай бұрын
당신의 군복무에 감사합니다.
@jojong_SMA1
@jojong_SMA1 10 ай бұрын
재밌게 보셨다면 구독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7 어디서 레이더 평시에 레이더 2면만 사용못한다면서 비난하는데 일단 레이더 2면밖에 사용하지 못하는건 사실이 맞을겁니다. 다만 이건 위상배열 레이더를 사용하는 모든 군함이 가지고 있는 단점이고요. 알레이버크급 구축함도 2면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유는 아주 간단합니다. 4면을 모두 사용하기에는 전력이 부족하기 때문이죠. 4면 모두 사용하려면 추진기관이 커져야하는데 그러면 1만톤 이상 넘어가야합니다. 그리고 충남급 호위함은 연안함대 기함이고 호위함입니다. 스펙 딸딸이 적당히 하세요 이런 단점 떄문에 4면을 전부 사용하고 X밴드와 S밴드 레이더를 함께 사용하는 신형 이지스함인 CGX 사업의 체급이 1만톤 5천톤 이상 되는게 아닙니다.
@hdhok414
@hdhok414 10 ай бұрын
항상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hawk8873
@hawk8873 10 ай бұрын
최근 영상들은 하나같이 수작들을 뽑아 내시고 있습니다. 건승하십시요.
@hdhok414
@hdhok414 10 ай бұрын
@@hawk8873 ?
@hawk8873
@hawk8873 10 ай бұрын
윤영하급 미사일 고속정 문제를 해결했다는게 더 놀랍습니다. 대부분 윤영하는 결함이 많아서 어쩔 수 없이 조기 퇴역시키고 참수리2를 증편할거라고 했는데 그걸 어떻게 고쳤대??? 암튼 대단한 한국 기술자들..
@angeltiedme
@angeltiedme 10 ай бұрын
조기퇴역은 여전히 말 나오고있어요. 아직 확정이 아닙니다. 그리고 윤영하급이 고속정으로 한정된 이유 중 하나인 기동성 문제가 함체 자체 문제땜에 해결이 불가능해서...어떻게 될지 모르쥬
@user-fp4sj5qu2u
@user-fp4sj5qu2u 10 ай бұрын
윤영하급은 상진성이 큰 함이라 조기 퇴역은 힘들거라고 생각합니다
@user-dv5gi7hv5f
@user-dv5gi7hv5f 10 ай бұрын
@@user-fp4sj5qu2u상징성이 커도 신형함 건조하고 함명을 이어받으면 되요, 그러면 상징성도 계승이 가능함
@hawk8873
@hawk8873 10 ай бұрын
@@angeltiedme/아, 아직도 완전히 해결된건 아니였군요. 아깝긴 하지만 운영비용 따져본다면 조기 퇴역이 필요하다면 퇴역 조치 하는게 맞다고 봅니다.
@hawk8873
@hawk8873 10 ай бұрын
@@user-fp4sj5qu2u /상징성과 이름 때문에 함부로 퇴역을 거론하기 힘든 함이지만,,, 뭐 알려진 문제만 해도 조기 퇴역하는게 답이다,,,라는 사실 때문에 어쩔 수 없을듯 합니다.
@user-pw2ic8ww8g
@user-pw2ic8ww8g 10 ай бұрын
충남함급을 발판삼아 순수 국산 KDDX 구축함과 FFX BATCH4도 순조롭게 출시하여 대양해군의 밑거름이 되었음 좋겠습니다.
@alsid_
@alsid_ 10 ай бұрын
레이더가 멀리보는데 비해 해궁 사거리가 짧은것과 관련된 보충설명. 일단 대함 미사일의 속력이 빠를수록 더 높은 고도에서 날면서 방향이나 속력을 중간에 바꾸기 어렵습니다. 보통 걱정하시는 부문은 초음속 대함 미사일 대처 부분일텐데, 초음속 대함미사일만 되어도 꽤 높은 고도에서 거의 일정한 속력으로 날아옵니다. 즉, 포착 되기만 하면 언제 어디쯤 있을지 높은 적중률로 예측이 가능하다는 것이죠. 그러면 초음속 대함미사일이 해궁의 사거리에 들어오고 나서 발사하는게 아니라, 해궁이 최대 사거리상의 요격지점에서 만날 수 있도록 미리 발사를 할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해궁이 15km까지 날아가는데 10초가 걸린다면 적 미사일이 15km 이내 영역에 들어오기 10초 전에 미리 발사해도 요격이 가능해집니다. 물론 중간유도는 필수죠. 이런게 안통할만큼의 저고도나 회피기동을 동반하는건 아직까진 아음속 대함미사일 종류밖에 없고, 그쪽은 속력이 느려서 시간적 여유가 있으니 따로 설명하진 않겠습니다.
@signsys
@signsys 10 ай бұрын
충남함에는 SPS-300K 2D 레이다가 장착된 것으로 알려져 있고, 방공 레이다가 아닌 대수상 레이다 입니다. 네이벌쉴드 3.0에는 가상화 아키텍처로 무장 제어도 통합된 것으로 보입니다.
@jojong_SMA1
@jojong_SMA1 10 ай бұрын
sps-100k랑 생김새가 비슷해서 햇갈리네요
@forthegloryofukraine_corea1690
@forthegloryofukraine_corea1690 10 ай бұрын
충남도민으로써 가슴이 웅장해지는 군함이네요..ㅎㅎ
@ChungdoKim
@ChungdoKim 10 ай бұрын
충남함이라고 충남꺼인줄로 아는거 아니지요?
@hdhok414
@hdhok414 10 ай бұрын
@@ChungdoKim 에이 설마~
@forthegloryofukraine_corea1690
@forthegloryofukraine_corea1690 10 ай бұрын
당연히 농담이죠!ㅎㅎ
@alsid_
@alsid_ 10 ай бұрын
근접방어무기체계 관련 보충설명. 사실 팰렁스는 센서나 알고리즘 등을 꾸준히 개선/개량해 왔기 때문에 최신 대함 미사일 상대로도 명중시키는 요격은 가능합니다. 그런데 그 요격이 항상 격추로 이어진다는 보장이 없죠. 이건 팰렁스가 20mm 벌컨 기반이라 파괴력 및 저지력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실제로도 알고리즘이 별로 안좋던 초창기 요격 실험에서는 요격에는 성공했지만 너무 늦어서 미사일 탄체가 선체에 충돌하는 사례도 있었습니다. 그럼에도 미국은 알고리즘과 센서를 개선, 어지간한 아음속 미사일들을 거의 최대사거리에서부터 명중탄을 내기 시작하는 정확성으로 다 떨굴 수 있게 되었는데요… 초음속 대함미사일이 등장합니다. 물론 SM-2 등의 요격미사일들이 먼저격추시킬 확률이 충분히 높지만, 그 크기와 속력에 의한 운동량, 20mm 벌컨의 짧은 사거리까지 더해지기에 요격해도 탄체가 선체에 충돌할 가능성이 더 높아졌습니다. 골기퍼의 경우 30mm 개틀링을 쓰기에 파괴럭이나 저지력이 차원이 달라서 요격이 곧 격추인 수준이지만, 오랫동안 별 업그레이드가 없다가 단종되었었죠. 사실 초음속 대함미사일이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이전부터도 골키퍼 단종으로 독점을 달성한 팰렁스의 가격 급등으로 인해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그러다 초음속 대함미사일들의 실전배치 및 극초음속 대함미사일 개발 소식들에 힘입어 사업이 탄력을 받았겠죠.
@user-ov4oz8pz7t
@user-ov4oz8pz7t 10 ай бұрын
음....과연 그렇군요 좋은 정보 너무나도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csoplaymaker6125
@csoplaymaker6125 10 ай бұрын
이번 에피소드는 특별해 보이는 통합 마스트로 돋보이는 충남급 호위함이로군요. 여러가지 기술적 혁신을 발판으로 해군의 차기 세력으로 기대하고 있는 친구기도 합니다. 주변의 군함 건조 트렌드를 보더라도 통합 마스트는 이제는 거부할 수 없는 요소가 되겠군요. 영상 말미에 기술 도전에 따른 전력화 과정에서의 진통은 동의하는 바입니다. 이름만 들으면 내로라하는 강대국에서부터, 이제 도전을 하는 약소국에 이르기까지 육,해,공 불문하고 무기체계의 전력화 과정에서의 결함들이라던가 운용상의 문제점으로 인해 겪는 진통은 무기개발사에 고스란히 녹아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 역시 이 친구들이 해군의 차기 세력으로 성공적으로 발돋움하기를 간절히 바라며, 오늘 하루도 국군장병 및 충남급과 관련한 여러 구성원들의 노고에 감사드리네요.
@MY_Jae_story
@MY_Jae_story 10 ай бұрын
이것이 호위함이다!🎉
@Elmareste
@Elmareste 10 ай бұрын
헐 이채널은 뭐야. 꽤 볼만해
@Kcia69
@Kcia69 10 ай бұрын
충남급정도면 연안함대가 아닌 기동전단에서도 쓸만한 스펙 아닌가 싶네요. 정말 저 초등학생때만해도 한국해군이 해상자위대 수준의 30프로도 안된다고 이야기가나왔는데 요새 나오는 군함들보면 일본 지방대는 물론 호위함대들어가도 부족하지않은 군함이 계속나오네요.
@alsid_
@alsid_ 10 ай бұрын
전투력만 놓고 보면 충분하지만, 원양 항해 나서려면 장기 작전능력이나 거주성까지 확보되어야 합니다. 옛날에는 큰 배 자체가 없어서 초계함으로 림팩 구경가는 객기도 부렸었는데요… 충무공 이순신급 나온 이후로는 새 함급 뽑았다고 자랑하러 한 번 나갈거 아니면 대부분 KD2급 이상이나 예외적인 한산도함을 보낼겁니다.
@Kcia69
@Kcia69 10 ай бұрын
@@alsid_ 광개토대왕급보다 만재배수량 큰 충남급이라 원양작전도 딱히 문제없을걸요. 광개토대왕급으로 청해부대 파병가는것보면
@alsid_
@alsid_ 10 ай бұрын
@@Kcia69 배수량만으로 판단하기는 어려운데요, 배수량 안에서 전투장비를 가득 실을수도 있고 일부를 덜어낸 다음 저장고와 거주구역을 추가할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제가 언급한 장기작전능력이나 거주성은 각각 저장고와 거주구역이 얼마나 확보되었는지가 중요합니다. 우리나라에 군수지원함이 차고 넘친다면야 유사시 승조원들 고생시켜가며 원양작전에 투입할수야 있겠지만, 군수지원함도 좀 부족하죠. 광개토대왕함은 호위함 크기이긴 하지만 원양 작전을 염두해두고 배수량에 비해서는 저장고와 거주구역을 꽤 확보해 뒀을 수 있습니다. 함급에 비해선 무장이 살짝 아쉬웠던 것으로 기억하고 있거든요. 억지로 구축함으로 분류하는게 다 이유가 있겠죠.
@user-ki1ed9iw3w
@user-ki1ed9iw3w 10 ай бұрын
지금 일본의 30프로 라는 해군의 발언이 있다고 들었 습니다 ...안타깝지만 현역의 판단을 무시 할수 없죠...
@FDC9529C
@FDC9529C 3 ай бұрын
이제는 해상자위대 30퍼 발언을 신경쓸 때가 아니라 중공해군 견제에도 정신이 없어서... 2018년 한 해에만 중공해군이 새로 건조한 총 배수량이 우리 해군 총 전력의 절반이었지요.
@Genghis_Khan7
@Genghis_Khan7 8 ай бұрын
롤스로이스 엔진 대박
@user-nomukhun0523
@user-nomukhun0523 10 ай бұрын
딱!
@user-dt6es4ri3q
@user-dt6es4ri3q 10 ай бұрын
근접방위무기인 ciws를 1문만 배치를 해도 함정을 향해 저고도로 전후 방향에서 2발 이상의 미사일이 다가온 다면 요격이 가능 한가요?
@jojong_SMA1
@jojong_SMA1 10 ай бұрын
CIWS는 해궁까지 포함되는거고 말씀하신 기관포는 말 그대로 최후의 보루입니다. 대부분의 미사일은 해궁이 방어하고, 흘러들어온 한두발을 막는다는 개념입니다
@illilliili8426
@illilliili8426 10 ай бұрын
6.25때 일선에서 싸운 탁월한 지휘관들중 충남 출신이 많죠
@user-hf5wh3ll6w
@user-hf5wh3ll6w Ай бұрын
VLS만 24셀 정도만 됐어도 좋았을텐데. 눈은 좋게 만들어 놓고, 정작 펀치력은 약한게 아쉽네요. 초기디자인은 24셀이었던것 같은데 왜 16셀로 줄었지? 쿼드팩으로 해궁을 넣는다해도, lsam해상형의 대공무기도 넣어야 할거고, 함대지 미사일, 대잠미사일 도 넣을텐데. 자함방어가 목적이 아니라 구역방어면 미사일이 더 필요할텐데.... 아쉽네요.
@bestminer9419
@bestminer9419 10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해군이 대양해군으로 거듭나길 기원합니다
@user-zi1do9tz3e
@user-zi1do9tz3e 10 ай бұрын
SPS-100k는 요즘함정에는 안쓰고 SPS-300k일거같은데요 대구급이300k인데 충남함에100k를 장비할 이유가없어보여요 100k랑300k랑 구분하기어렵긴하지만 그래도100k는아닐거같네요
@hawk8873
@hawk8873 10 ай бұрын
늘 그렇듯이 빈틈 하나 없이 무장을 빼곡히 박아 넣은,,, 딱봐도 한국판 전투함. ㅋㅋㅋ
@user-ov4oz8pz7t
@user-ov4oz8pz7t 10 ай бұрын
ㄹㅇ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zw4ws1vu1t
@user-zw4ws1vu1t 6 ай бұрын
어디서 듣던 멘트다.
@User-qwerasdf123
@User-qwerasdf123 10 ай бұрын
최근에 ffx batch-4대신 충남급 추가건조로 돌아섰다는 이야기가 들리는데, 출처가 유료컨텐츠라 직접 확인하지 못했네요.
@alsid_
@alsid_ 10 ай бұрын
아, 저도 이 얘기 다른데서 들어서 적으려 했는데, 이미 적어주신 분이 있군요. 저는 들은 곳이 무료 컨텐츠긴 하지만 카더라에 불과하다는 전제를 단단히 깔아놓고서 "이런 계획도 검토 하고 있다더라."같은 어조로 얘기하는걸 들었었습니다.
@Say_KIM
@Say_KIM 10 ай бұрын
예전에 충무공 이순신급이었나... 암튼 초도함이 이래저래 말썽이라는 식의 뉴스를 봤는데 옆에서 보고 있던 지인이 "역시 우리나라는 방산비리가 문제야~ 얼마나 쳐 먹은거야~~!!" 하나도 부끄러운 기색 없이 큰소리로 떠들더라구요. 참... 어이가 없었습니다. 뭘 안다고...
@user-oj8kj9wo2b
@user-oj8kj9wo2b 10 ай бұрын
인천함이라고 이명박이 임기내 치적 삼을려고 만들었던 애물단지 잇어요.
@user-ov4oz8pz7t
@user-ov4oz8pz7t 10 ай бұрын
에휴 진짜 그러게나말입니다 ㅉㅉㅉㅉ
@oidgun02
@oidgun02 16 күн бұрын
결국엔 ciws2가 개발이 끝나고 양산이 되기전까지는 실전배치 되기 힘들겠군요.
@orange4719
@orange4719 10 ай бұрын
호위함인데 만재배수량이 구축함인 광개토함보다 큼..
@cpu5781
@cpu5781 10 ай бұрын
충남급 마스트 뒤쪽에 kvls2 4발만 넣으면 더 좋아보이는 난 화력덕후인건가..
@hawk8873
@hawk8873 10 ай бұрын
그렇게 되면 너무 컴팩트해서 많이도 못넣고 화염 피해도 우려되고 어쩌구, 저쩌구,,,, 근데,,, 한번 쑤셔 넣어 볼까? 될려나? ㅋㅋㅋㅋ
@user-jz3ne1lr9l
@user-jz3ne1lr9l 4 ай бұрын
충남급은 진짜 걸작이야 최고의 효용성의 배
@skybound8888
@skybound8888 10 ай бұрын
윤영하급, 참 여러모로 복잡해지는 무깁니다. 배 하나만 놓고 봤을땐 사업성공이지만, 장기적으로 인천급으로 이어지는 ffx에 지장을 주었다는 점에선 실패사업 이라 할 수 있겠죠.
@211st4
@211st4 10 ай бұрын
호위함급
@pakkm1495
@pakkm1495 2 ай бұрын
ㅋㅋㅋ 해군함정은 사람을 갈아 넣고 있는걸껄요 하자가 없는게 아니라
@majin_1004
@majin_1004 10 ай бұрын
뭔가 마스트가 리데르 닮은
@chuteboxer55
@chuteboxer55 8 ай бұрын
10년 전까지만해도 헝그리 정신 강요받던 해군이었는데... 이대로 지연없이 FFX4로 광개토급 대체하고 KDDX로 충무공급 대체해주면 눈물나게 좋을 거 같다 ㅜ
@user-nt6jt1pw1v
@user-nt6jt1pw1v 10 ай бұрын
100k보단 300k가 아닐까 싶습니다. 100k를 300k로 교체하는 함정이 다수 있기 때문이죠.
@user-cl2dc8ti8y
@user-cl2dc8ti8y 10 ай бұрын
충남급 호위함도 윤형아급처럼 처음에는 여러 문제와 논란에 휩싸이겠지만,나중에는 윤형아급처럼 여러 문제가 개선되고 연안함대의 주력함 역할을 잘 해낼 수 있을 거라 믿고 있습니다.저도 예전부터 조종님 영상을 고학년때부터 시청해 오던 시청자인데,조종님께서는 지난번 영상에서 나온 오팬하이머 소개영상에서 마지막 장면에 괴벨스관련해서 논란이 많던데 굳이 마지막에 이걸 넣은 이유는 어떤 것인가요? 제양심을 걸고 질문하겠습니다…
@jojong_SMA1
@jojong_SMA1 10 ай бұрын
그게 왜 논란이 되는지 모르겠군요. 영화 오펜하이머의 주제는 메카시즘이고요. 흑백논리가지고 남의 채널와서 물 흐리는게 한두번이 아니니까 깐겁니다
@user-cl2dc8ti8y
@user-cl2dc8ti8y 10 ай бұрын
음…그렇군요 답변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mt6qf5ls7e
@user-mt6qf5ls7e 8 ай бұрын
원래대로라면 인천급-대구급에 이어 부산급이 되어야 맞는거지만 울산급 부산함이 아직 취역중이라.
@user-so1ry3fb8f
@user-so1ry3fb8f 10 ай бұрын
빠른 추
@user-ze2ce8fk4w
@user-ze2ce8fk4w 3 ай бұрын
국방비 100조로 늘리면 좋겠는데.. 예산이 육군에 너무 편향되있고, 육군 30해군40공군 30으로.. 해야댐
@user-un8zi6ll2q
@user-un8zi6ll2q 10 ай бұрын
연안 전투함에 다 때려 넣었내요 ㅋㅋ
@user-ze5yr2oz4m
@user-ze5yr2oz4m 10 ай бұрын
이제는 소형 해상드론을 대비해야겠지요?
@hdhok414
@hdhok414 7 ай бұрын
해검 검색하셈
@parkglenn173
@parkglenn173 6 ай бұрын
대구급 1-3번함은 아직도 수리중인가요 ㄷ ㄷ
@Trabecular
@Trabecular 10 ай бұрын
미사일 플랫폼이 부족하여 합동화력함도 따로 건조하려고 하는 마당에 VLS를 더 설치하게 배도 좀 키우고 전력량도 충분하게 엔진도 더 크게 했으면 미래를 더 대비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연안함대라지만 기함이라면 그래도 한 5000t대 후반에서 6000t초반까지는 가도 되지 않았을까.... 중국의 물량 러쉬에도 대비 해야 하지 않을까요...
@jojong_SMA1
@jojong_SMA1 10 ай бұрын
님이 생각하는 정도를 하려면 1만톤 이상이 되야합니다. 세종대왕급 구축함보다 커야되요
@Trabecular
@Trabecular 10 ай бұрын
@@jojong_SMA1 아니 합동화력함만큼 VLS를 설치하라는게 아니라 현재 16셀에서 24셀이나 32셀정도 조금더 설치하는게 어떤가 해서요. 어짜피 여러척 건조하는데 6척 건조라면 8셀씩 더 넣으면 48셀정도 추가 할수 있는거니까요...
@jojong_SMA1
@jojong_SMA1 10 ай бұрын
VLS라는게 조금 더 넣는 그럼 개념이 아닙니다. 옆 나라 모가미급 호위함도 VLS는 16셀입니다. 승무원 거주성부터 함안정성까지 문제가 직결되어있습니다
@user-ky4wt6mq8r
@user-ky4wt6mq8r 10 ай бұрын
해궁은 쿼드셀이기 때문에 K-VLS 16셀만 장착해도 최대 64발의 해궁을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큰 문제는 아닙니다. 충남급 자체가 연안함대의 기함이라 교전거리가 애시당초 짧아 SM-2같은 중장거리 함대공 미사일이 필요가 없습니다.
@user-dt6es4ri3q
@user-dt6es4ri3q 5 ай бұрын
북한의 자폭드론이나 미사일얼을 장착한공격용 드론이 수십 수백대가 군집 공격에 대비해야 하는데 CIWS가 1문이면 녀무 취약한것 아닌가?
@jojong_SMA1
@jojong_SMA1 5 ай бұрын
군집공격에 대비하는걸 현재 CIWS로 대비하는건 가성비가 맞지않습니다
@usn7fleet760
@usn7fleet760 10 ай бұрын
진짜 다 좋은데 일본 중국에 비해서 너무 열세인게 느껴져서 슬프다.. 2선급 연안함대라고는 해도 중국은 054B, 일본은 모가미 개량형인 신급으로 2선급을 준비중인데 배수량 차이만 봐도 너무 차이가 크다. 특히 해궁함대공 미사일 사거리가 20KM 인게 가장 안타깝다. 물론 대응이 가능이야 하겠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거리 방공능력을 갖춘 레이더를 무장체계가 못받쳐준다는게 ㅠ
@emd-ef4lm
@emd-ef4lm 5 ай бұрын
중국 022형 200톤급 미사일 고속정에도 대함미사일이 8발 달렸는데 4000톤급의 충남급 호위함에 대함미사일이 8발이라는건 화력이 너무 약함 물론충남급 VLS에 대공미사일이 달렸지만, 쓸모없는 함포를 빼버리고 , 4연장발사관 x 4기= 대함미사일 16발을 달아야한다
@user-fe2ko9lr1k
@user-fe2ko9lr1k 10 ай бұрын
함장 계급이
@user-zw6eb6on5r
@user-zw6eb6on5r 10 ай бұрын
중령급 아닐까요..?
@annan5064
@annan5064 10 ай бұрын
이순신급이랑 떠도 이기는거 아님?
@skybound8888
@skybound8888 10 ай бұрын
그래도 SM-2달린 함대방공함이랑 비교하긴 어려울 듯 합니다. 다만 시스패로우만 들어간 광개토함이랑 붙으면 해볼 만 하겠네요.
@annan5064
@annan5064 10 ай бұрын
@@skybound8888 이순신급이 눈알이문제가 많아서
@user-mw2vf4ce4s
@user-mw2vf4ce4s 5 ай бұрын
백발백중 자살공격 드론에 대한 대책은? 한방이면 거대한 이지스함도 아스날쉽도 격침되니 심각하다
@user-vn2nu8ue1v
@user-vn2nu8ue1v 17 күн бұрын
충남급만든지가언재야 아직도 국뽕만할래공ㄷ격적으로해라
@user-fq9ht1ec8n
@user-fq9ht1ec8n 10 ай бұрын
VLS 가 넘 적음...ㅠㅠ 심지어 그거도 법이 배수량 제한해서 그런거라던데
@jojong_SMA1
@jojong_SMA1 10 ай бұрын
저 배수량에 16셀이 적당한겁니다. 동일 체급에 모가미급 호위함도 16셀입니다. 그 카더라 어디서 들으신건지 알려주세요.
@skybound8888
@skybound8888 10 ай бұрын
저기에 vls가 더 들어가면 승조원들 삶의 질은 대항해시대로 돌아가버려요... 진짜 과장 좀 많이 보태서 선상반란 납니다..
@user-fl3lr4ip4c
@user-fl3lr4ip4c 10 ай бұрын
배수량을 한1000톤 정도만 늘려도 확장성이 나 VLS 32셀정도로 늘릴수 있어 더 효과적 일듯 한데... 연안 함대 기함으로 적당 할듯 ... 지금 충남 함은 진짜 애매한 크기에 애매한 성능임.,... 실력이 있으면서 왜 이렇게 만드는지.....
@jojong_SMA1
@jojong_SMA1 10 ай бұрын
@@user-fl3lr4ip4c 16셀이면 쿼드팩인 해궁을 64발을 탑재할 수 있는데 왜 부족하신지요. 옆나라 동체급인 모가미급 호위함도 16샐입니다
@action6140
@action6140 Ай бұрын
마스터 아래에 왜 난간을 만들었을까? 마스터를 만드는게 레이더피탐면적 줄이기 위함인데, 난간을 만들면 레이더피탐면적 늘어나는 거 모르나?? 아니 난간에서 무엇을 하려고 만드냐? 제발 그런것 만들지 말아라~~!!
@jojong_SMA1
@jojong_SMA1 Ай бұрын
마스트겠지..... 그리고 난간 안 만들면 수병들 갑판작업하다 다 빠져 뒤지라는 소리임? 헛소리하지마렴
@action6140
@action6140 Ай бұрын
말하는 싸가지 봐라~~ 너 같은 놈은 자신만이 전문가고 다른사람은 초보자라고 생각하겠지~! 통합마스터를 하는 가징 큰 이유가 머냐? 스텔스 설계 때문아니냐? 그리고 난간 안민들면 수병들 빠져죽는다?? 미국의 줌왈트는 충남함보다 3배는 커도 난간없고 수병들 빠져 죽었다는 말 없다. 그리고 충남함에 대한 한결같은 많은 전문가들이 지적하는 부분이다. 이런유튜브영상 만든다고 니가 최고의 전문가라고 생각하니?? 헛소리하지말라고?? 정말 헛소리냐? 이런지적을 하면 실제로 헛소리 같아도 논리적으로 답글을 달아주면 좋을 것을~ 이래서 너의 유튜브가 이 모양인것이다.
@jojong_SMA1
@jojong_SMA1 Ай бұрын
줌왈트도 난간있는데 무슨소리임? 통합마스트 설계에 가장 큰 이유는 시스템 통합인데? kzfaq.info/get/bejne/fql5ocxpubKdhY0.html 조금만 찾아봐도 난간 훤히 보이는데 대체 줌왈트급이 난간이 없다는건 누가 얘기한거니? 그리고 충남함 난간때문에 스텔스성 떨어진다는 지적 누가한거니? 어쩌피 니가 생각한 말이 아니라 남이 얘기한거 그대로 읊는거잖아. 내가 잘난척하거나 잘 알아서 지적하는게 아니고 기본적인게 틀려서 지적하는거야. 기본이 안되있으면 쪽팔린줄 알렴.
@action6140
@action6140 Ай бұрын
@@jojong_SMA1 정말 웃기는 분이네, 통합마스 설계가 시스템통합만 있냐? 스텔스에도 장점이 있지~! 그리고 내가 말힌 난간과 님이 이해하는 난간이 무엇인지 모르겠는데, 내가 말한건 통합마스터 바로 아래에 사람들 걸어다니도록 만들면서 보호난간 만들어 레이터피탐면적 늘린것 말하는거다. 줌왈트에 어디 그런데가 있어~!! 매끈하게 설계됐지~!! 님의문제는 님만 전문가라고 생각하고 남을 무시하는 거다.
@jojong_SMA1
@jojong_SMA1 Ай бұрын
통합마스트의 주 목적은 시스템 통합이지 스텔스는 부수적인 목적이라고. 시스템 통합을 목적으로 통합마스트 설계를 하니, 스텔시한 설계가 된건데, 이건 마치 축구를 잘하고 싶어서 공 차는 연습하는건데, 부수적으로 몸이 건강해지는거랑 같은 논리임. 건강해지고 싶어서 공차는 연습하니? 줌왈트도 니가 말하는 통합마스트 아래에 바로 난간 있어. imgur.com/1WNcplV 심지어 아까 영상에서도 난간이 나왔는데 영상과 사진을 보여주는데도 과연 어디까지 도망 가는걸까? 그리고 난간이 레이더 피탐 면적을 유의미하게 늘린다는 근거가 뭐지? 마스트 구조가 피탐면적을 유의미하게 늘리는건 알고 있어도 난간이 레이더 피탐면적을 유의미하게 늘린다는 근거는 들어보지 못했는데? 누가 말한거지? 근거가 뭐지? 자료 가져와봐, 1+1=3 이라고 하길래 2라고 답해줬더니만 남을 무시한다고 말하는데, 한두살 먹은 애임?
@user-vn2nu8ue1v
@user-vn2nu8ue1v 17 күн бұрын
30척해라 6척가지고중국을어떠게상대하냐
@4342Daniel
@4342Daniel 10 ай бұрын
PKMR을 우크라이나에 수출한다면 우크라이나가 흑해의 제해권을 가질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뭔가 문제가 있는 생각일까요 ???
@hdhok414
@hdhok414 10 ай бұрын
그건좀 많이 힘들죠
@user-kk2ip7vx6m
@user-kk2ip7vx6m 10 ай бұрын
충무공 이순신급 눈은 장님인데 팔은엄청긴 골때리는 전투함 충남급 눈은 엄청좋은데 팔이 짧은 전투함 ㅋ
@user-bp9to3si1x
@user-bp9to3si1x 10 ай бұрын
천안함이 피격됐다고...?
@hdhok414
@hdhok414 10 ай бұрын
천안함 피격사건은 2010년 3월 26일 밤 9시 22분 백령도 남쪽 1km 인근에서 북괴의 연어급 잠수정에서 발사한 CHO - 02D 중어뢰에 의해서 천안함이 완파되며 46명의 영웅들과 수장된 안타까운 해군의 비극 입니다 있지말고 기억 합시다
@user-ov4oz8pz7t
@user-ov4oz8pz7t 10 ай бұрын
@@hdhok414 저도 그당시의 뉴스특보보고 보고 깜짝 놀랐습니다 진짜 북한하고 크게 한바탕 전쟁일어난줄 알았는데 말입니다....그당시의 여러가지 음모론이 나왔는데 말입니다 ㅡㅡ
@user-mq3qm4gc4o
@user-mq3qm4gc4o 10 ай бұрын
아무리무기있음모하냐고 엔진이전력생산능력이절반밖에안된다는얘기가있음
@lovelybelldandy
@lovelybelldandy 10 ай бұрын
모든선박의 엔진이 발전기능까지 하지 않습니다. 군함이나 민간선박도 선박의 크기나 선박에서 사용하는 전력 시스템의 소비 전럭의 규모에 따라 별도의 발전기를 통해 전력을 생산하고 사용합니다. 원자력 추진(소위 핵추진방식)선박은 동력과 발전 둘다 가능한데 이건 예외구요.(미드 체르노빌을 조금 관심있게 보신분들은 아시겠지만 원자로는 평상시에 전등 스위치 켜듯이 on/off를 즉시 할수 있는 물건이 아닙니다) 잡설이 좀 길었군요 군함 이나 대형 선박같이 대량의 전력을 사용하고 대량의 전력 발전을 요구하는 시스템을 충족시키기 위해 별도의 발전기가 들어간다고 말씀드렸는데 선박의 배수량이 적다면 기관부 용적이 그만큼 여유가 없습니다. (대표적인 예가 2차대전중 영국 넬슨급 전함이 되겠네요 함 크기에 비해 16인치 3연장포 9문 +장갑 으로 무장하면서 기관부 용적이 비좁아져서 소형엔진 두개를 묶어서 장비하고 보일러/발전기 같은 기관부 장비도 나중에 점검해 보니 장비가 곧 터져나갈 정도의 엄청난 과부하를 받고 있었음이 밝혀졌죠) 선박의 발전기는 자동차 엔진의 알터네이터(흔히들 제너레이터라고 아는 부속-내연기관/하이브리드 자동차는 이 부품이 전력을 생산 합니다)와는 달리 엔진과 연결되지 않습니다. 발전기 한기의 무게가 kg단위로 나가는것이 아닌 ton단위인만큼 무작정 증설 하기는 곤란하죠 (증설하면 발전기에 들어가는 파이프라인/각종 케이블/무게중심 재계산및 선박 설계 수정/기존 연돌설계 수정or재설계 그리고 개장 까지 쉽게 넘어가지는 그런 스케일이 아닙니다)
@user-ov4oz8pz7t
@user-ov4oz8pz7t 10 ай бұрын
@@lovelybelldandy 음....과연 그렇군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kuwait_park
@kuwait_park 10 ай бұрын
한줄요약 - 동시대에 건조중인 일본 해상자위대 이즈모급 호위함한테 성능 딸림
@jojong_SMA1
@jojong_SMA1 9 ай бұрын
이즈모급은 다용도운용모함인데,,?
@moo76man
@moo76man 10 ай бұрын
근데 솔직히 일본배가 더 디자인은 훌륭하다
@hwanegeimapyonghwa3981
@hwanegeimapyonghwa3981 9 ай бұрын
벌써 중국으로 기밀이 누설됐을 것. 이번에 또 중국은 한국 따라 군함을 그대로 베겼네요. 충남함하고 비슷한 것을 찍어 내듯이 만들었는데 안테나부분이 비슷한데 일본이 만들때는 안따라하더니 우리가 만들 때만 바로 나오는 이유가 뭐지요? 한국에서 누군가가 기밀을 자꾸 중국으로 넘긴다는 말인데..... KDXII부터 III, II-batch도요... 그러면서 한국이 따라한다고 선전하고말이지요.
@jojong_SMA1
@jojong_SMA1 9 ай бұрын
중국이 먼저나왔는데 뭔 소리죠? 이제 해군에서 우리가 후발주자입니다
@aditatva
@aditatva 10 ай бұрын
Ffx batch 4 이번 정권에서 나가리 시킨다고 까치살모님이 예상했슴.
@hdhok414
@hdhok414 10 ай бұрын
그사람 가능하면 안믿는게 좋음 그리고 '있다'임
@user-jl6hn7nb9r
@user-jl6hn7nb9r 9 ай бұрын
참 이녀석을 주변국 중공이나 일본 군함에 비교하면 눈은 좋으나 때릴 주먹 길이가 약한게 흠 남들 롱 펀치 날리는데 나만 숏이니 적기들 웃음지으며 노래 부릅니다. "아 짧은 그대요"
@jojong_SMA1
@jojong_SMA1 9 ай бұрын
레이더의 탐지거리가 기니까 미사일도 그에 꼭 준해서 장거리일 필요는 없습니다. 그리고 한국형 장거리 미사일 개발중이고 개발 완료되면 배치될거에요
@user-jl6hn7nb9r
@user-jl6hn7nb9r 9 ай бұрын
@@jojong_SMA1 레이다 탐지거리거 기니까 미사일 장거리 필요없다라는 논리는 무슨 소리이신지 당연히 레이다에 맞는 장거리 미사일이 필요하죠 이상한 논리로 말씀하시네 그리고 우리 l-sam 함대공 미사일 2030년 이후나 가능한데 그때까지 중공이나 일본은 기다려준데요 당장 우리군에는 sm-2 와 정조대왕급 sm-6 가 전부인데 해역방어는 호위함이 담당해야해서 겨우 해궁만으로 방어하기에는 부족하다고 말씀드린겁니다.
@jojong_SMA1
@jojong_SMA1 9 ай бұрын
@@user-jl6hn7nb9r 레이다 탐지거리거 기니까 미사일 장거리 필요없다라는 논리는 무슨 소리이신지 당연히 레이다에 맞는 장거리 미사일이 필요하죠 이상한 논리로 말씀하시네 -->그런 소리 안 했고요. 상황과 조건에 맞는 무기체계가 필요하다고 말하는겁니다. 마치 공식마냥 장거리 레이더에는 장거리 요격미사일. 뭐 이런 공식처럼 말하는데 그런게 아니라는겁니다. 그리고 우리 l-sam 함대공 미사일 2030년 이후나 가능한데 그때까지 중공이나 일본은 기다려준데요 당장 우리군에는 sm-2 와 정조대왕급 sm-6 가 전부인데 해역방어는 호위함이 담당해야해서 겨우 해궁만으로 방어하기에는 부족하다고 말씀드린겁니다. -->말씀하신 부분의 문제점을 당장 해결하려면 외산 전투체계를 짬뽕해서 사용하면 됩니다. 그런데 앞서 말했지만 국방연구소에서는 L-SAM과 함께 장거리 요격 미사일을 개발중인데, 지금 당장이 급하다고 외산 미사일과 외산 전투체계를 가져오면 중복투자가 됩니다. 해군 전력을 증강은 적어도 30년이상 걸리는 긴 시간이 걸립니다. 걱정되시는건 이해하지만 말씀하신 걱정은 2030년 이후에는 해결되니까 해군을 믿고 인내심을 가지고 기다리는게 어떨까요?
@user-fl3lr4ip4c
@user-fl3lr4ip4c 10 ай бұрын
VLS 가 32셀은 되야지 16셀은 뭔가 애매 하지.. 이것도 저것도 아닌 정도....
@user-mq3qm4gc4o
@user-mq3qm4gc4o 10 ай бұрын
전력들어가는계산도못하는해군넘들
@user-pu9et1rd8e
@user-pu9et1rd8e 10 ай бұрын
pkmr 넘 구려요 ㅠ
@hdhok414
@hdhok414 10 ай бұрын
왜요? 개인적으론 우리 정서에 맞게 가장 잘나온거 같은데
@blackfish6192
@blackfish6192 10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고속정 생활이 함급에 안맞게 터프하죠 ㅠ 참수리, 윤영하급 정도되면 다른국가는 육지생활합니다. 애초에 1박이상 생활할 수 없는 급이라서 ㅠㅠ
@user-pu9et1rd8e
@user-pu9et1rd8e 10 ай бұрын
@@hdhok414 유리대포라고 들어보셨나요? ㅋㅋㅋ
@hdhok414
@hdhok414 10 ай бұрын
@@user-pu9et1rd8e 와 76mm가 유리 대포라니
@hawk8873
@hawk8873 10 ай бұрын
@@user-pu9et1rd8e/얼라? 오토메랄라 래피드 건은 유리대포 아닌데, 로템 라이센스 생산분이 불량인가요?
@younghuh3642
@younghuh3642 10 ай бұрын
SM-2 는 안 집어 넣은군요.자함 방공 정도이내요.그래도 이정도 까지 올라 오느라고 정말 힘 들었겠군요.
@user-ze2uu1lj3d
@user-ze2uu1lj3d 9 ай бұрын
최고의 조선기술을가진 민족이다 특히 해군력을 증강시켜라 예산은 단지 핑계아이가 하기사 군을 알아야 뭔들 할거아이가
@doo8026
@doo8026 10 ай бұрын
자작인가 피격인가 전과13법 🐕사기꾼
@simpanjasakill736
@simpanjasakill736 10 ай бұрын
뭔 레이다 마스타를 저런 식으로 만들어 놓고 자화자찬인가
@hdhok414
@hdhok414 7 ай бұрын
통합마스트도 모르는 밀스퍼거다
I’m just a kid 🥹🥰 LeoNata family #shorts
00:12
LeoNata Family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Khóa ly biệt
01:00
Đào Nguyễn Ánh - Hữu Hưng
Рет қаралды 20 МЛН
와우!! 제 2차대전 잠수함 내부 전격공개 2부
10:04
미국둘리맘
Рет қаралды 53 М.
I’m just a kid 🥹🥰 LeoNata family #shorts
00:12
LeoNata Family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