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은 왜 정치세습이 문제가 안될까? 일본의 세습정치와 구조 총정리! | 일본 선거, 기시다 총리

  Рет қаралды 484,332

김지윤의 지식Play

김지윤의 지식Play

2 жыл бұрын

#일본 #일본정치 #일본정치문화
일본은 왜 정치 세습이 문제가 안될까?
일본 정치 세습과 구조, 파벌 총정리!
| 일본 선거, 기시다 총리
즐거움과 유익함이 가득가득
김지윤 박사가 들려주는 재미있는 이야기
구독 , 좋아요! 김지윤의 지식Play
kimjyTV@gmail.com
📑 참고문헌 📑
Clubok, A. B., Wilensky, N. M., & Berghorn, F. J. (1969). Family Relationships, Congressional Recruitment, and Political Modernization. The Journal of Politics, 31(4), 1035-1062.
The Diplomat. (2017, February 14). Hereditary Politics in Japan: A Family Business.
thediplomat.com/2017/02/hered...
The Mainichi. Two opposition parties may have shared many votes in Japan election due to name mix-up. (2021, November 5). The Mainichi.
mainichi.jp/english/articles/...
Takahashi, A. (2021, October 27). Family business? Political dynasties die hard in Japan’s general election. The Japan Times.
www.japantimes.co.jp/news/202...
이상훈. (2009). 일본의 세습정치. 일본연구 40호 pp.43-64.
이세원. (2021, August 22). [톡톡일본] 세습정치 못 버린 자민당...총선 앞두고 지역구 물려주기. 연합뉴스.
www.yna.co.kr/view/AKR2021082...
한의석. (2016). 정치의 세습화와 일본의 세습의원. 일본연구 67호 pp.153-174.
아오키 오사무 (길윤형 역). (2017). 아베 삼대- ‘도련님’은 어떻게 ‘우파’의 아이콘이 되었나. 서해문집.

Пікірлер: 992
@user-yj8wc1pn4m
@user-yj8wc1pn4m 2 жыл бұрын
일본의 정체성, 막부정치의 재현이라 보입니다. 특이한 지배층의 성향이라 보여집니다
@szp2892
@szp2892 2 жыл бұрын
7:35 이게 실질적 이유임. 수기로 한자를 직접 써야 하는데, 한획이라도 틀리면 무효. 따라서 무명, 신입 정치인은 득표가 어려움.
@tladnwls1234
@tladnwls1234 2 жыл бұрын
글모르는 문맹은 투표자체를 못하죠...
@user-ev
@user-ev 2 жыл бұрын
거꾸로 생각해보면 미 상하원 같은 상위 거름망을 적어도 기본적인 배움을 터득한 일반인들에게 열어준거 아님? 의무교육이 잘 자리잡고 있으면서 문맹률도 낮지만 좌우 갈라져서 그저 당파논리만 내세우고 세대별로 한쪽만 뽑는 상황을 보면 이보다 더 무지한 사람들은 돈 준다고 허경영을 뽑는 사람들이 있잖음? 어리석고 무지해서 선동당한 한 표를 막는 적절한 방법이라고 봄 적어도 본인이 투표하고싶은 사람 이름은 정확히 알아야 하는 거 아니냐?ㅋㅋ
@GWKim-vq5je
@GWKim-vq5je 2 жыл бұрын
@@user-ev정치계가 고인물이다 못해 썩은물되는 좋은 방식이쥬 너무 검증안된 사람이 많아져도 문제지만 하던놈만 계속 되서 썩은물만 많아도 문제임
@almondbonbon
@almondbonbon 2 жыл бұрын
@@user-ev 저도 무지성으로 투표하는 사람과 똑같은 한표라는 사실에 늘 짜증이 나는 사람인데, 말씀하신 내용은 문맹이 거의 없다시피한 우리나라에는 해당이 안될거같네요. 그와 달리 일본은 확실히 문제가 있어보입니다
@atlmanagement1422
@atlmanagement1422 2 жыл бұрын
@@tladnwls1234 어차피 단카이 세대만 투표해요! 33% 투표율인데 요즘 정치후원금이 줄어들어 고민이라죠. 단카이세대가 죽어나가서!
@user-ft3we2kf5p
@user-ft3we2kf5p 2 жыл бұрын
일본의 세습정치에 대해 조목조목 알기 쉽게 알려주셔서 감사해요. 「일본의 굴레」라는 책 2부에 일본의 정치에 대해 자세히 알려주는 부분을 읽었었어요.일본의 정치권력이 왜 봉건적인지 이해할 수있게 되었어요.일본의 선거구제가 어떻게 파벌주의를 몰고 오게 됐는지 알 수 있었고요. 날씨가 추워지네요. 집에서 책읽기 좋은 계절이네요. 테가트 머피의 「일본의 굴레」일독을 권해드려요~^^
@anjun8
@anjun8 Жыл бұрын
좋은 책 추천 감사합니다
@user-nd6od4je6g
@user-nd6od4je6g Жыл бұрын
@@anjun8 ㅋㄲㄱ44ㄱ4ㅋㅋㄱㅋ4ㄱ
@Lil-yo-beach
@Lil-yo-beach Жыл бұрын
韓国語を全く知らないが 「」が韓国でも使用されてることについて驚愕している😂
@Heuroya
@Heuroya Жыл бұрын
일본은 선거 제도로 정치가를 뽑기 때문에 세습이 아니다. 세습이란 스승이 스승의 뜻으로 후계자를 정하는 것. 이 동영상 삭제자는 세습이 뭔지 모른다.
@jiseo6298
@jiseo6298 2 жыл бұрын
다른 분들은 대부분 일본 정치를 얘기할때 중요한 세습정치를 살짝만 언급하고 정책 얘기만 하는데 정책보다는 누가 운용을 하는가가 훨씬 중요하죠. 이번에 자세히 설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const.h
@const.h 2 жыл бұрын
투표용지에 후보의 이름을 직접 기재하는 방식도 쉽게 이해가 안가지만 그럴수 있다 치고 넘어가더라도 무려 연필로 투표지를 작성합니다. 펜도 아니고 연필로요... 저걸 문제삼는 사람이 없다는게 신기할정도예요.
@yan-hw
@yan-hw 2 жыл бұрын
문맹은 투표도 못하겠다~
@kalmorning
@kalmorning 2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일본은 선거시 자객으로 이름 비슷하거나 같은 사람을 입후보시키기도 한다고 들었습니다.
@user-pj5ng4pt8i
@user-pj5ng4pt8i 2 жыл бұрын
@@yan-hw 오히려 문맹일 정도의 사람이면 선거할 자격조차 없다는 생각일지도?
@GO-it8zf
@GO-it8zf 2 жыл бұрын
야메때 나라
@chess5567
@chess5567 2 жыл бұрын
아날로그 나라임..정치는 3류....ㅋㅋㅋ
@mabodofu2892
@mabodofu2892 2 жыл бұрын
그냥 정치에 관심이 없고 변화를 싫어해서인줄 알았는데 여러 요소가 있었군요. 오늘도 잘 알아갑니다
@user-oe2ew6ze6m
@user-oe2ew6ze6m 2 жыл бұрын
그것도 원인중에 하나죠
@nada6710386
@nada6710386 2 жыл бұрын
봉건문화가 아직도 없어지지않은거죠 일본특유의 장인문화도 신분을 뛰어넘으려하지않고 그저 대대로 똑같은 신분과 일만 하러는 습성이구
@San-gr3vl
@San-gr3vl 2 жыл бұрын
종합적으로 잘 정리해주셔서 잘 보았습니다. 연결된 시리즈로 '왜 일본인들은 정치에 무관심한 경우가 많은 것일까?' '왜 일본인들은 세습정치를 비롯한 정재계 기득권 체계에 큰 불만을 느끼지 않는 것일까?' 영상 만들어주시면 좋겠습니다.
@ghsdkahfgfsdsafjjk3130
@ghsdkahfgfsdsafjjk3130 2 жыл бұрын
한국정치인은 기득권 아니냐?
@sanghyounbahk4951
@sanghyounbahk4951 2 жыл бұрын
1. 패밀리 비지니스: 호사카 유지 교수님이 그러시더군요. 가문의 정치를 세습하는 게 가장 쉬운 돈벌이라고... 2. 봉건시대 마인드: 정치인들의 지역구는 봉건시대 봉건 영주의 영지나 마찬가지인 것 같더군요. 중요한 건 일반 대중들 역시 거의 암묵적으로 동의하는 것 같고요.
@atlmanagement1422
@atlmanagement1422 2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일본이 침략이 쉽죠. 대가리만 자르면 밑은 알아서서 따라옴. 그런데 일본은 먹을게 없음!
@user-dg6je2qn7i
@user-dg6je2qn7i 2 жыл бұрын
가문의 정치세습을 위해서 기성세대에게 표를 구걸함과 그 부류를 위한 정책을 만들면서 그들의 니즈를 충족시키려고 할 것입니다
@user-vs9xq5dt1g
@user-vs9xq5dt1g 2 жыл бұрын
정치가 비지니스? 위험한 발상이네요.
@user-dm2fn2uu3q
@user-dm2fn2uu3q 2 жыл бұрын
진짜 숨막히는 구조다...
@musiccafe8895
@musiccafe8895 2 жыл бұрын
대통령 임기 끝나면 다 감옥가고 두부외상당하고 만날 검찰조사받는 그 나라보다 나은듯?
@garam_e309
@garam_e309 2 жыл бұрын
@@musiccafe8895 뭐해니혼진
@jinholee5613
@jinholee5613 2 жыл бұрын
감옥간 대통령은 이명박 박근혜 밖에 없는데? 대통령이 감옥가는게 왜 국민이 숨막히는 구조야 ? 숨트이는 구조지.
@musiccafe8895
@musiccafe8895 2 жыл бұрын
@@jinholee5613 누구는 감옥가려다 머리 부숴줬고 두환이도 감옥갔잖아 뇌수 녹았나?
@sanglee4968
@sanglee4968 2 жыл бұрын
말 뽄새 하고는...
@user-tz4lz1yi1t
@user-tz4lz1yi1t 2 жыл бұрын
그렇게 도장을 좋아해도 유일하게 선거는 도장문화가 아닌 연필로 한자를 써가며 투표자 자필로 총리후보자 이름을 써야하는 선거...더더욱 투표참여율을 저해하는 방법
@kcjung7363
@kcjung7363 2 жыл бұрын
어차피 총리내각인데 투표참여율하고 크게 상관없지 않나요
@user-lv3zl5en1y
@user-lv3zl5en1y 2 жыл бұрын
부정선거 막기위해서죠..!!! 볼펜도 번지기땜에 안씁니다!!~~~ 근본을 알아야 한국도 부정선거 막지 ~~~
@kangsteve4683
@kangsteve4683 2 жыл бұрын
@@user-lv3zl5en1y 너네 나라에서 놀아. 남의 나라에 관심 꺼주세요
@user-wx7hk3lq6djm5x
@user-wx7hk3lq6djm5x 2 жыл бұрын
@@user-lv3zl5en1y 미사코! 自書式投票의 장점과 단점 3개씩 니 수준에서 논리적으로 한번 말해봐라~ 그 정도 수준으로 안보인다만 ㅎㅎ 自書式投票가 부정선거를 막기 위해서라고?? 自書式投票에서 부정선거를 막으려면 연필보다 볼펜이 더 확실하지 않냐? 니 말이 니가 생각해도 말이 된다고 생각해?
@user-ri9vu4hc6h
@user-ri9vu4hc6h 2 жыл бұрын
@@user-wx7hk3lq6djm5x 👍
@kkakkung7190
@kkakkung7190 2 жыл бұрын
근데 유독 정치만 그런게 아니고 일본은 화라는 문화가 잡혀있어서 식당이나 기술이나 대대로 세습하는 문화가 있음.. 자기가 해야할 일 자기가 마주해야할 위치를 벗어나지 않으려 함.. 벗어나는 순간 이지매~
@hawk9938
@hawk9938 2 жыл бұрын
우리말로는 화(和)이지만 일본어 발음으론 와(wa)문화라고 부르죠. 막부시대 자기 자리에서 자기 일을 하는 것이 당연했던... 그리고 현대에서도 그 문화가 남아있는 나라.
@cs920415
@cs920415 2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아이러니 하게 일본 음식점은 한국 맛집이랑 차원이 다르게 마인드가 다릅니다.. 그건 인정해야죠 참고로 미슐랭 3스타가 제일 많은 도시가 뉴욕도 아닌 도쿄 입니다
@user-xw4qm5dc1k
@user-xw4qm5dc1k 2 жыл бұрын
@@cs920415 개나소나 은퇴하고 치킨 커피차리는 한국이랑 기본 3대부터 500년 넘게 이어진 일본식당이랑 같나요ㅋㅋ
@user-zs9wh1sv8h
@user-zs9wh1sv8h 2 жыл бұрын
@@user-xw4qm5dc1k 갈라파고스화에 썩은물화 되서 새로운거 못받아들이는것보다는 100배나음
@user-xw4qm5dc1k
@user-xw4qm5dc1k 2 жыл бұрын
@@user-zs9wh1sv8h 새로운거받아들이는 전세계 유일2국가 중국 한국보다 장인정신이 있는게 500배 더 좋음.
@dominiq5007
@dominiq5007 2 жыл бұрын
아베나 펀쿨섹좌를 통해서 세습정치인이 많은건 알고 있었는데 세습을 할수 있는 구조가 형성되어있다는건 처음 알았네요 특히 정치자금에 상증세가 없다는점은.. 억지로라도 시킬것 같은느낌이 들기도 합니다 ㅎㅎㅎ
@atlmanagement1422
@atlmanagement1422 2 жыл бұрын
이런 시스템이 그네가 정권말기에 원하던 시스템! 국짐당이 대대손손 정치인하며 잘먹고 잘살수 있으니!
@user-cw2lh7tj5t
@user-cw2lh7tj5t 2 жыл бұрын
펀쿨섹좌는 형이 유명한 배우라서 가족들이 형이 정치안하니까 니가 정치해라라고 지목돼서 아버지 이어서 하는거래요
@sungjunpark9438
@sungjunpark9438 2 жыл бұрын
1:33 사족이지만 약관은 20대를 의미하는 말이며, 30대는 이립이라고 합니다. 항상 좋은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ryancallme
@ryancallme 2 жыл бұрын
사족 한 번 더 달자면 약관은 20대가 아닌 20세를 말합니다. 이립은 30세
@user-kk3wm8zu4k
@user-kk3wm8zu4k 2 жыл бұрын
"국립국어원표준국어대사전" 인터넷판에 의하면 약관(弱冠)「1」 스무 살을 달리 이르는 말. 「2」 젊은 나이. 이립(而立) 서른 살을 달리 이르는 말. 이라고 합니다.
@milesvon8897
@milesvon8897 2 жыл бұрын
사실 일본 정치인들이 세습이 가능한 이유는 아버지가 잘해서도 없다고는 못하지만 관성적인 경우가 더 크다고 알고 있습니다. 투표방식 자체가 후보자의 이름을 정자로 적게 되어있고, 각 후보자들의 공약들이 명확하게 국민들에게 전달 되지도 않는데다가 결국은 자민당 1당(정확힌 각 지역별 유지들의 정당이 지배하는 구조)이 장악하고 있다보니 다른 후보를 투표한다는게 어렵게 설계되어있죠. 그래서 일본 국회의원들의 성(가문)을 보면 여야 안가리고 거의 일정하게 뽑히는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milesvon8897
@milesvon8897 2 жыл бұрын
뭐 그것도 일본국민들이 지금의 일본 정치인들이 당장 자신들의 삶에 큰 영향을 안준다고 혹은 좋은 영향을 줬다고 여기기 때문일 수도 있지만요.
@atlmanagement1422
@atlmanagement1422 2 жыл бұрын
일본은 전체 투표율이 33% 젊은 이들은 투표일이 언제 인지도 모름. 그런데 공약이라고 알겠소? 저리 투표로 뽑은 의원들이 총리를 선출하니 끼리끼리 짬짜미만 잘 맞으면. 대대손손 정치하며 잘먹고 잘살죠. 신주쿠 긴자의 단골들은 다들 의원 자손들!
@eugeneyoungkim932
@eugeneyoungkim932 2 жыл бұрын
세습주의 요인들의 하나가 다이묘의 부자세습하나일 수 있습니다. 다이묘 영주시대 다이묘는 세습되었고 국민은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게 되었기에 ( 그렇지 않으면 목숨을 내놓아야 됨) 그들은 거부감이 덜 했 을 것입니다
@ehcl5826
@ehcl5826 2 жыл бұрын
에이 우리나라도 삼국시대부터 조선까지 거의 세습이였는데요
@eugeneyoungkim932
@eugeneyoungkim932 2 жыл бұрын
@@ehcl5826 지금 말씀드안건 왕권에 관한 전국적 절대적 권력에대한 복종이 아닌 지방 소규모의 제한적 권력에 대한 무조건적인 복종인걸로 이해 하시면 되겠습니다 우리나라는 왕을 제외하고는 모둔 사람들은 권력을 세습하시는 않습니다. 김일성 일가만 빼놓고는….
@user-kg5hd6xx5v
@user-kg5hd6xx5v 2 жыл бұрын
@@ASDF-gd1up 양반 세습인데요
@eugeneyoungkim932
@eugeneyoungkim932 2 жыл бұрын
@@Hello-bv1uc 맞는말씀입니다만 100페센트 동의 하지는 않습니다. 모든 조선의 제도가 대물림되지는 않았죠. 일본은 모든 집권층은 물론하고 피 지배층도 대대로 가업을 좋게 말하면 이어 받았고 나쁘게 말하면 선택의 요지가 없이 강요 받았습니다. 그래서 몇대의 장인이 나올수 있었습니다. 그것이 장단점을 불론하고 세습이란면에서 보면 일본은 그 틀에서 벗어 날 수 없다는 것이죠
@eugeneyoungkim932
@eugeneyoungkim932 2 жыл бұрын
@@Hello-bv1uc 양반은 대물림되지만 양반이 했던 그 지위는 대물림되지 않았죠. 아버지가 판서 있다고 자식이 자동으로 판서는 되지 않았습니다
@user-zv4nj7bt6v
@user-zv4nj7bt6v 2 жыл бұрын
여러 원인이 있겠지만 역시 보수적인 국민성 때문 아닐까요? 정치뿐만 아니라 기업, 교육, 엔터, 행정 거의 모든 분야가 보수적인 사고로 움직인다는 느낌입니다.
@leelers1217
@leelers1217 2 жыл бұрын
박사님 오늘 컨텐츠 너무 유익했어요! 일본 (우익) 정치와 한일 관계 관련해서 많이 다뤄주세요~!! 감사합니다 :)
@beingabsolute1088
@beingabsolute1088 2 жыл бұрын
일본의 정치세습에 대해 정말 알기 쉬운 설명 감사합니다.
@eyjang00
@eyjang00 2 жыл бұрын
가려운 곳 정확하게 긁어주는 것같아요. 평소에 궁금했던 부분인데 이렇게 배우게 되어 좋습니다.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coolpis614
@coolpis614 2 жыл бұрын
일본 정치 이대로 쭉 갑시다 좋아요 안심이 되네요 ㅎ
@greenlatte99
@greenlatte99 2 жыл бұрын
자민당 화이팅! ㅎㅎ
@Eddie-tq7tu
@Eddie-tq7tu 2 жыл бұрын
일본은 계속 이랬으면 좋겠음 우리가 더 앞서갈수 있게. 중국도 계속 그러길.
@tanso2624
@tanso2624 2 жыл бұрын
하지만 일본은 우리의 거울
@TheKevJung
@TheKevJung 2 жыл бұрын
남의나라 걱정하지말고 우리 출산률이나 걱정하자
@hanserif307
@hanserif307 2 жыл бұрын
무엇을 앞서고 싶은지 부터 정해야하는데... 주어, 목적어 무엇도 없는 뜬 구름 잡는 소리
@TheKevJung
@TheKevJung 2 жыл бұрын
@@hanserif307 그걸 우리같은 우매한 서민들이 알수 있을까 치열한 경쟁에 1등 거머쥐고 살아남은 윗분들이 옆나라 1등이랑 경쟁하면서 우리를 이끄는 방향 안에서 최선을 다할 뿐이지.. 핸드폰 기능 다 알고 쓰나 우리는 10%만 편해도 좋다고 쓴다
@hanserif307
@hanserif307 2 жыл бұрын
@@TheKevJung 나라를 바꾸고 국격을 올리는건 똑똑한 1등 리더의 능력이 아니라 사고하는 개인(들)입니다. 우매하다고 나 모르니까 1등시켜 나라 발전해라는 말은 너무 무책임한 것 같은데요.
@user-md2zx5he3q
@user-md2zx5he3q 2 жыл бұрын
유익한 영상 항상 감사합니다~♥️♥️
@wonder3139
@wonder3139 2 жыл бұрын
일본의 이상한 문화는 일본의 '와'사상을 이해하면 대부분 이해할 수 있음. 지식브런치 채널에서 일본 '와'사상을 쉽게 설명해줌
@garee5542
@garee5542 2 жыл бұрын
@@ASDF-gd1up "和(화)"의 일본 발음이 "와"임
@vinniekim6899
@vinniekim6899 2 жыл бұрын
@池秘密 뭐냐 이건
@AIGOAIGU
@AIGOAIGU 2 жыл бұрын
@池秘密 퓻 울지마
@user-il7ny2tz3d
@user-il7ny2tz3d 2 жыл бұрын
@池秘密 향신료 냄새난다~~ 저리가~
@user-di4hh7ne7i
@user-di4hh7ne7i 2 жыл бұрын
씨알의 꿈에서도 이런 내용이 있음
@user-db4ew6ni8d
@user-db4ew6ni8d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깔끔한 정리.. 좋습니다. 유사민주주의.. 그 수준에 맞는 정치 지도자.. 일본인들이 자초한 일입니다. 아무리 비리가 있어도 문제가 많고 어이 없는 인물이라도 좋다고 한 나라입니다. 그래서 저렇게 되어 가는 데도 ... 그 비판을 내가 나서서 하지는 않겠다는 생각이 현재의 일본을 만든 것이 아닐까 합니다. 나라도 나서서 이야기를 하겠다... 와는 너무나도 다른 결과물이 지금의 한국과 일본을 만든 것이라 생각합니다.
@drc7969
@drc7969 2 жыл бұрын
근대 이후로 넘어오면서 '폐번치현'으로 정치제가 바뀌었어도 그 내면에는 유지되는 것이 지역구 가문 세습으로 이어지지 않는가도 생각되네요. 김 박사님 강의 오늘도 잘 보고 갑니다.
@tmscrown
@tmscrown 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고맙습니다.
@shj97
@shj97 2 жыл бұрын
그냥 쇼군 다이묘 시대의 연속이라 생각합니다. 총리가 쇼군인거죠. 총리말고 쇼군으로 바꿔도 이상하지 않을거 같아요
@user-ch6pj6so2m
@user-ch6pj6so2m 2 жыл бұрын
일반적인 사람들의 정치참여를 막고 있는 거라고 밖에 안보임 그들만의 리그를 만들어 버리는
@leemar-eh6po
@leemar-eh6po 2 жыл бұрын
양질의 컨텐츠 감사합니다! 종종 궁금했던 내용이였어요ㅎㅎ
@user-jg7bp3zi6z
@user-jg7bp3zi6z 2 жыл бұрын
이번 주제 항상 궁금했는데 이렇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k112879
@k112879 2 жыл бұрын
일본의 선거제도중 젤 골때리는건 비례대표. 지역선거에서 패배했더라도 비례대표로 다시 부활해버림 ㅋ 이번 선거때 자민당 아마리 간사장이 지역선거에서 졌지만 비례대표로 살아났슴 ㅋ 일본은 국회가 카르텔입니다! 힌국은 경제가 세습, 일본은 정치가 세습!
@user-by3yl9ub9p
@user-by3yl9ub9p 2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잘 보고 갑니다. 일본에서 잠깐 직장 생활을 해 본 경험자로서 모든 말씀이 다 맞지만, 제 생각에 세습정치의 구조는 국민들의 정치에 대한 무관심이 가장 큰 원인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국민들의 새정치에 대한 갈구가 강하다면 절대 지금 같은 세습정치는 있을 수 없을 거 같습니다.
@greenlatte99
@greenlatte99 2 жыл бұрын
극우화된 언론과 장기간의 우민화 정책의 결과임
@user-et5qd5ky2k
@user-et5qd5ky2k 2 жыл бұрын
일본의 세습정치와 관련된 기무라타쿠야 주연의 "CHANGE"라는 일드가 있습니다. 물론 드라마일뿐이고 시간이 좀 오래지나긴했지만 일본 세습정치 선거제도 정치등에 대해 이해하기에 쉽게 구성된 드라마였습니다
@chicaquila
@chicaquila 2 жыл бұрын
그 드라마도 결국 세습 정치인이 정치도 더 잘한다였죠.
@user-dm7cv5bs6n
@user-dm7cv5bs6n 2 жыл бұрын
김지윤 선생..세상을 보는 당신의 따뜻한 시선이 좋아요..
@user-eo2kk7oy1d
@user-eo2kk7oy1d 2 жыл бұрын
박사님~ 영상 고맙습니다^^
@schema7132
@schema7132 2 жыл бұрын
김지윤 박사님 , 언제 시간 되실때 미국의 각 주의 역사, 특징, 주별 주민의 캐릭터적 특성 등에 관한 미국 각주를 시리즈 몇개로 나눠서 알려주시면 안될까요? 너무 큰 요청을 드리네요. 수고하세요.
@narigosakamoto
@narigosakamoto 2 жыл бұрын
일본 정치세습문화. 일본 직업세습문화의 한 부분으로 볼수도 있습니다. 게다가 일본의 변호사는 정치를 할수 있어도 판검사는 정치를 할수 없다는 게 일본의 불문율입니다. 이점 또한 정치세습문화에 반영된 부분이 적지 않을듯 합니다. 명쾌한 정리, 대단히 감사합니다 👏
@pyungjaechoi7996
@pyungjaechoi7996 2 жыл бұрын
항상 재미있게 보고 있어요 ♥
@MrBraw0402
@MrBraw0402 2 жыл бұрын
너무 유익하네요!!!! 감사합니다 ^^
@user-oq7tx5sv8n
@user-oq7tx5sv8n 2 жыл бұрын
누님 오늘도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날이 차네요 항상 건강하세요^^
@ggondigi
@ggondigi 2 жыл бұрын
일본국민들이 정치에 무관심한게 가장 큰 원인 아닐지. 국민은 무관심하고 세습정치인은 계속 해먹으려고 우민화정책을 늘리고 국민은 더 관심을 잃고, 악순환의 반복. 뭐 우리입장에선 잘된일이고
@atlmanagement1422
@atlmanagement1422 2 жыл бұрын
투표율 33% 그리 뽑힌 의원이 총리 선출! 계속 투표율이 하락중 단카이 세대가 죽어나가니 투표율 하락
@user-oz7iv6lc9p
@user-oz7iv6lc9p 2 жыл бұрын
@@mohamadhalimaaden3331 뭔소리지?? 그럼 아무나 정치를 해도 똑같다는 말씀이신가요?? 일반 국민들도 정치쪽으로 그만큼 관심이 많고 지켜보고 있어서 정치인들이 대놓고 함부로는 못하겠죠 국민들 눈치보느라.. 그게 정상적인거 아닌가요??
@user-oz7iv6lc9p
@user-oz7iv6lc9p 2 жыл бұрын
@@mohamadhalimaaden3331 적어도 대놓고 하진 않죠 국민들이 지켜보고있으니깐요 져주는척이라도 하게 만드는게 독재와 민주주의와 다른점 아닐까요 누가해도 답이 없어요 라는 말은 권력을 이용해서 이득은 본다.. 비리 라는 말에만 해당이 되구요 후보자들의 정치적방향성, 공약등을 보고 유권자들이 나에게 맞는 인물에게 투표를 하는거죠 그냥 직장생활하며, 월급만 따박따박 받는 사람들에게는 피부에 와닿지 않을수도 있습니다.
@user-oz7iv6lc9p
@user-oz7iv6lc9p 2 жыл бұрын
@@mohamadhalimaaden3331 어떤걸 대놓고 했단 말씀이시죠?? 사건하나를 말씀 해보세요 대놓고 나 비리저지른다~ 하고 저지르는 정치인이 어딧어요 나중에 밝혀지고 법적책임 지는거지
@user-oz7iv6lc9p
@user-oz7iv6lc9p 2 жыл бұрын
@@mohamadhalimaaden3331 누구하나 망가뜨릴땐 대놓고 하기도 하죠 검찰 정치 언론 합심해서.. 언론이 커버 해주고 검찰이 빽이 되어주니깐요
@sungkim8230
@sungkim8230 2 жыл бұрын
김교수님 팬 입니다. 지적매력이 너무좋아요~~~
@user-cp3lc6dq6o
@user-cp3lc6dq6o 2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입니다.
@user-ho3pk1el3n
@user-ho3pk1el3n 2 жыл бұрын
일본의 가신정치 구도가 뒷바라지를 해주는 후견인 역할을 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달리 새 정치인이 반짝하고 나타나지 않는다면 후손을 이끌어주는 구조이기 때문이죠. 이것이 가신정치 문화 입니다. 역사적으로 전국시대를 통일한 막부의 가신이 일본 정치계에서는 존경의 의미로 통하기도 합니다.
@user-dy2me8kk5c
@user-dy2me8kk5c 2 жыл бұрын
그런데 그것도 다 지역구민들이 찍어줘야 유지되는거거든요. 아무리 현국회의원이 후견인 지명해도 후견인이 지역구선거에서 지면 지명이 아무 의미가 없는거거든요. 그냥 지역구민들이 새로운 정치인보다 세습정치인에게 안정감을 느낀다고 봐야할거 같네요.
@user-ho3pk1el3n
@user-ho3pk1el3n 2 жыл бұрын
@@user-dy2me8kk5c 일본정치를 대표하는 것은 가신정치 성격이 강합니다. 역사적으로 일본 전국시대 통일한 최종막부 도쿠가와이에야스와 임진왜란을 일으킨 도요토미 히데요시로 이어지는 과정중에 일본의 정치 근간은 가신정치라고 하는데 그 가신을 존경한다고 표현한 기시다 현총리 그전총리가 그렇게 인터뷰 했었습니다. 가신을 존경한다는 뜻은 그를 총리로 만들어준 뒷배경 아베 전총리에 대한 견지를 보여주는 뜻이면서 동시에 가신정치를 내포하는 의미이기도 하죠.
@user-ls4le4xv8f
@user-ls4le4xv8f 2 жыл бұрын
너무 궁금했었어요 자민당이 계속 이기니깐 어떻게 저럴까 알게 되서 기쁩니다 항상 다양한 나라 소식 감사합니다
@soldier_ant_trader
@soldier_ant_trader 2 жыл бұрын
영상 잘봤어요 즐거운 하루되세요
@GodisLove79
@GodisLove79 Жыл бұрын
정말 많은 것들을 알고 계시네요 다양한 관점까지 지니신거 같아서 더 듣기좋은거 같아요 잘 배웠습니다 감사합니다
@libedi0207
@libedi0207 2 жыл бұрын
스스로 제대로 민주주의를 이뤄본 적이 없었으니 예전의 모습이 남아서겠죠.
@user-ux7gz5pk6h
@user-ux7gz5pk6h 2 жыл бұрын
타이쇼 데모크라시라고 쑨원의 신해혁명과 1차대전을 계기로 민주주의 바람이 불던 시대가 있었습니다. 이 영향을 받은게 1920년대부터 태평양전쟁 전까지 조선에 시행됐던 문화통치입니다. 패전 후 미군정 아래 민주주의가 빠르게 자리잡은 건 이런 유산이 있기 때문에 가능했던거죠.
@user-ts4wz3xh3t
@user-ts4wz3xh3t 2 жыл бұрын
일본은 현대화되었다고는 하지만 그들의 문화는 과거 귀족사회구조를 버리지 못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요?
@user-xw4qm5dc1k
@user-xw4qm5dc1k 2 жыл бұрын
과거 귀족사회가 없는 국가는 공산국가랑 한국밖에 없어요ㅎㅎ 625로 전국토가 초기화되었기때문에 역사와 전통을 상징하는 귀족이 없는거죠ㅎㅎ 한국인들이 그렇게 몸과 마음을 바치는 유럽 미국에 귀족이 아닌 나라가 있나요^^;;
@willgardner9676
@willgardner9676 2 жыл бұрын
긴 내용인데도 불구하고 말이 끊기지 않고 술술 나오시네요*^^* 파워 N은 이런 영상 넘 좋아욯ㅎㅎㅎ 오늘도 잘 듣고가용~
@heekyungjun
@heekyungjun 2 жыл бұрын
항상 많이 배우고 가요 ~ ^^
@user-vr1ev2bu3m
@user-vr1ev2bu3m 2 жыл бұрын
봉건주의 세습정치에서 아직 벗어나지 못하였죠 스스로 민주주의를 이루지 못한 태생적 한계일것입니다.
@mhjang2489
@mhjang2489 2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우리나라가 정치더 잘한다고 할수있나요?
@user-ck2rh9uf1m
@user-ck2rh9uf1m 2 жыл бұрын
이렇게 해설을 들을 수 있으니 얼마나 고마운지... 알지 못했던 부분을 이렇게 알려주니 참 고맙습니다. 과연 정치부 기자들이나 우리나라 국위의원들이나 지식인들은 이런 일본의 상황을 알고 있을까? 박수를 보냅니다.
@user-rp4jw4fg4m
@user-rp4jw4fg4m 2 жыл бұрын
김지윤씨 사랑합니다
@user-bi1em8yb9e
@user-bi1em8yb9e 2 жыл бұрын
정말 이해가 안가고 궁금했던 부분이었는데!! 너무나 유익했어요!!
@Harmony_Korea
@Harmony_Korea 2 жыл бұрын
선거자금 세습 가능하고 상속세도 안낸다는 것은 충격이네요 일본이 왜 일당독재를 하는지 이해하는데 도움 됐습니다
@lifeseeker9777
@lifeseeker9777 2 жыл бұрын
아베 이후에 민주당이 3년 동안 집권했던 적이 있습니다. 1당 독재가 아니죠. 게다가 연정으로 과반을 채운 경우도 왕왕있습니다. 이게 1당 독재면, 독일도 기민당 1당 독재인 것이죠. 아, 민주당 집권시기에 총리가 된 사람들도 유력한 세습 가문이었습니다.
@hewonlee5232
@hewonlee5232 Жыл бұрын
​@@lifeseeker9777 보수정당에 부녀 대통령이 나왔는데 총리 쯤이야.
@user-hr4rx1cb3w
@user-hr4rx1cb3w Жыл бұрын
@@lifeseeker9777 1955년 이후 1993년 8월~1996년 1월(2년 5개월), 2009년 9월~2012년 12월(3년 3개월)의 기간을 제외하고는 늘 여당임. 참고로 중국공산당이 1949년 부터 중국을 1당독재함. 중국이랑 자민당은 사실상 비슷한 정당이라 보면됨. 그리고 정치인을 가문이 세습하는걸 정치학에서 귀족정이라고 함. 민주정이 아니라.
@hhk294
@hhk294 7 ай бұрын
@@hewonlee5232 박정희는 진보 대통령이었습니다. 그당시 기조가 농업 경공업 국가였다는걸 생각하면 중공업 혁신을 하자는 말은 거의 허경영급 진보인겁니다. 박정희 대통령을 후대 보수 진영이 좋아할뿐입니다.
@normal77079
@normal77079 2 жыл бұрын
일본은 현대판 촌로국가죠. 마을 촌장이 국회의원으로 바뀌었을뿐 여전히 계급국가입니다. 절대 민주적일 수 없는곳이에요.
@ongkyu600
@ongkyu600 2 жыл бұрын
한국에선 독재를 오래 겪어서 그런지 민주주의에 대한 환상이 너무 큰 것 같아요. 민주주의도 마냥 좋기만 한건 아니에요...장점이 더 많긴 하지만....일본 부러워하지 맙시다..
@danielshin6212
@danielshin6212 2 жыл бұрын
민주적인게 뭔가요?
@user-ob5vt8xw9x
@user-ob5vt8xw9x 2 жыл бұрын
선거를 통해서 지들이 좋아하는 애 뽑는건데 뭐가 민주적이 아니야? ㅋㅋㅋㅋ 그럼 정권바뀔때마다 경쟁세력 숙청하는 한국은 뭐임?
@user-xw4qm5dc1k
@user-xw4qm5dc1k 2 жыл бұрын
민주주의의 치명적인 단점은 "다수결"이죠^^;; 다수결로 뽑힌 최근정권들이 한국 모든분야를 개박살낸거보면... 흑흑 마을촌장이 다스리는게 나은거같아ㅜ
@snowpark9280
@snowpark9280 Жыл бұрын
김지윤 교수님 제자로 강의를 들었으면 어땠을까 생각해 봤네요 ~~ ㅋㅋ 늘 합리적이고 배우는 기쁨이 느껴집니다~~
@user-wq1mi7op9v
@user-wq1mi7op9v 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감사합니다. ^^
@Higgs_particle
@Higgs_particle 2 жыл бұрын
세습정치하는 나라 사이에서 열심히 판을 뒤엎고 있는 우리나라
@4WESOME
@4WESOME 2 жыл бұрын
@realsjseng
@realsjseng 2 жыл бұрын
일본이 상위권 국가중에서는 세습이 탑 가장 큰이유는 자민당독재국가 어차피 자민당만 찍으니깐 자민당 공천만 따면됨 그러니 뒷배경이 가장중요하고 아들이나 후계자가 대부분 아베도 정치와는 무관하게 살다가 아버지가 죽으니깐 그냥 세습하고 정치시작 당선 ㅋㅋ 아베 아버지는 아베는 정치하면 안된다고 하면서 세습해줄생각조차 없었고
@user-so6ic1gq4i
@user-so6ic1gq4i 2 жыл бұрын
?? 아베가 아버지가 죽으니까 정치시작했다뇨 애초에 아버지의 비서로 정계 입문했는데
@dwkang415
@dwkang415 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말도 안되는..... 자민당도 엉터리들 많지만 일본 민주당은 더 한심합니다.... 아베 정치한지 오래됐어요 그러고.....
@JH-ek5bn
@JH-ek5bn 2 жыл бұрын
자민당 독재 그러는게 사실 일본 야당이 집권할 생각이 없는듯이 삽질을 워낙 많이하다보니ㅋㅋㅋ
@aprilsky76
@aprilsky76 2 жыл бұрын
잘보고 갑니다 ~!
@Jeon0527
@Jeon0527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Hoon-Kor
@Hoon-Kor 2 жыл бұрын
지역주의의 아이러니. 지역과 후원회가 결탁해서 정치적 영지를 만들어 세습. 그지역의 이익을 대변해주는 시스템을 만들어서 후원회가 없어지면 난감하니 ㅋㅋ.
@user-gt3qy1eo7u
@user-gt3qy1eo7u 2 жыл бұрын
후쿠다 야스오,고이즈미 준이치로,아베 신조 대표적인 부자 총리 또는 의원 가문이죠 심지어 지역구도 물려받죠
@user-nu2gs1dz8o
@user-nu2gs1dz8o 2 жыл бұрын
영상 감사합니다
@user-ue6hl5zw4b
@user-ue6hl5zw4b 2 жыл бұрын
잘 보고 있습니다.
@Aaron-sj2ly
@Aaron-sj2ly 2 жыл бұрын
생각보다 일본 사회가 폐쇄적이고 변화를 싫어한다는 것에 다시 한번 놀라고 갑니다...
@highcollars1
@highcollars1 2 жыл бұрын
생각보다가 아니라 엄청 오래된 세습문화로 점철되어있어요. 엄청 수동적인 마인드로 펑생을 살아갑니다
@user-tq4wm4rm9t
@user-tq4wm4rm9t 2 жыл бұрын
맞음 일본은 생각보다가 아닌 원래 세습문화와 폐쇄적임 우리나라 과거 안 좋은 회사문화는 죄다 일본에서 왔음 일본 직장일 해보면 알수있음 과거 제2차세계대전때 유명한 일화로 모의전투에서 상관에 의견이 잘못됐다는 의견을 병사가 냈는데 그게 맞는대도 상관에 반기를 들었다는 이유로 무시하고 벌을 받았다고함 그게 2차세계대전에 반전을 준 미드웨어해전이였음
@user-lv3zl5en1y
@user-lv3zl5en1y 2 жыл бұрын
?????~
@Deungsanman
@Deungsanman 2 жыл бұрын
의외로 일본은 민주주의가 아님
@user-vy4ev9tl8z
@user-vy4ev9tl8z 2 жыл бұрын
과거 시위 세력이 대통령, 시장 돌려먹고 있는 한국에서 이런 말이 나오는게 웃기네요
@user-pk6sw9cf4d
@user-pk6sw9cf4d 2 жыл бұрын
먹고살기 힘들었으면 국민들이 들고일어나 갈아엎었겠지... 결국 세습해도 그럭저럭 굴러가면서 충분히 잘 사니까 큰 불만 없는거겠죠
@user-lw8ym7xz1e
@user-lw8ym7xz1e 2 жыл бұрын
저 나라는 관 주도로 한 일이 썩 잘되는 나라였으니까요.. 유신이라든지, 침략전쟁이라든지.. 물론 원폭 쳐맞고 항복하기 이전의 이야기이지만…
@Chooyunchun
@Chooyunchun 2 жыл бұрын
점심시간에 올라올줄이야 ㅋㅋ밥먹다가 다 봣네요
@user-dv8pe2sh1y
@user-dv8pe2sh1y 2 жыл бұрын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
@In-myeong-i-a-nib-ni-da
@In-myeong-i-a-nib-ni-da 2 жыл бұрын
일본 국민이 정치에 무관심하다는 말을 꽤 자주 듣기도 했고(물론 아닌 사람도 있지만) 정치적 세습 문화에 관해서 어느 정도는 인지하고 있었는데... 일본은 제 생각보다 세습 문화가 더욱더 고착화되어 있었네요... 이번 영상을 보니까, 예전에 들었던 교양에서 오랫동안 서구 열강의 식민지에 속했던 중남미(특정 나라였는데, 정확히 기억이 안 나지만)에서는 원주민들이 본래의 주권 등을 찾는 활동을 전혀 안 한다고 한 게 생각나요... 그 이유가 너무 오랫동안 억압 받고, 차별을 받다 보니, 피지배계층이 점점 세대를 걸치면서 '지배자에게 지배 받는 구조'에 익숙해져 버려서 그렇다고. 그 구조가 당연한 줄 안다고... 그래서 충격을 받았던 기억이 있는데... 정치 세습에 대한 일본인의 '지배계층을 자기가 선택하는 자유'만 알고 '지배계층을 위한 무대 속에서 선택할 수밖에 없는 억압'은 못 알아채는 상황이 너무 소름 끼쳐요...
@user-nd6ch5fz3o
@user-nd6ch5fz3o 2 жыл бұрын
마키아벨리 군주론에 보면 세습 권력이 가장 정당성을 인정받고 강력하다고 나옵니다. 기업에서도 전문경영인보다 직급이 낮더라도 오너 일가에 권력이 집중되는 현상도 이와 비슷하지 않을까 생각되네요. 이는 비단 일본만의 현상이 아니라 모든 권력의 속성이 다 그러지 않나 생각해 봅니다.
@user-nd6ch5fz3o
@user-nd6ch5fz3o 2 жыл бұрын
@@user-yb6ls9gb2q 오늘날까지 UN 193개국 중 44개국이 군주가 있는 군주국가이고, 세습왕조입니다. 특히 유럽, 아랍에 이런 세습 권력이 가장 많습니다. 정치학사로 보면 외세 침략이 없는 곳에서는 세습 권력이 가장 뿌리 깊게 남아있습니다. 태국, 사우디, 리히텐슈타인 등이 그렇습니다. 일본만의 현상이 아닙니다. 국뽕에 취하고 반일에 환장할 사이 역사, 경제, 정치 공부 먼저 하세요. 참고로 저는 대학에서 공학을 전공하는 학생으로 모든 학문은 경제학으로 수렴된다고 보는 사람입니다. 저 역시 논리적인 토론과 다양한 의견을 듣는 것을 즐겨하는 사람으로 풍부한 지식과 학식이 있는 분이라면 이에 대한 반론은 얼마든지 환영합니다.
@wheniwasyourage3459
@wheniwasyourage3459 2 жыл бұрын
@@user-nd6ch5fz3o 거의 모든 것은 경제학으로 향해있다는 말에 아주! 공감합니다. 심지어 개인의 자본을 제한하는 국가에서도 결국에는 자본을 인정할 수밖에 없을 만큼 경제는 세상을 관통하는 핵심이고 대부분 사람들이 목표를 가지게 되는 공통된 원동력 같아요. 과거부터 지금까지 일반적인 사람들이 접할 수 있는 세상의 범위가 다양해질수록 눈과 귀는 기능적으로 한계에 봉착했고, 그 한계를 뛰어넘을 수단으로 미디어를 선택할 수밖에 없는데 미디어를 유지하는 힘도 돈이니까요. 그런 이유로 매체가 완벽히 투명하기는 불가능에 가깝고 세상에 광고가 사라지면 공황과 가까운 경제위축이 생길 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회계를 공부하고 있는데 공부하면서 든 생각에, 요즘에는 당장에 사용할 수 있는 화폐의 실물보다 그것을 법의 제약 없이 이전할 수 있는 어떠한 권리 같은 것을 더 집중하게 되었지만 고의적인 전쟁의 명분을 만들거나 종식시킬 수 있는 실물 자산을 뛰어넘을 무기가 없는 것 같네요.
@user-nd6ch5fz3o
@user-nd6ch5fz3o 2 жыл бұрын
@@user-yb6ls9gb2q 민주공화국이 더 발전되고 올바른 형태라는 말씀에는 동의하지만 역사는 그렇게 발전적이고 올바른 형태로 나아가지 않습니다. 카이사르도 마찬가지였고 나폴레용도 마찬가지로 공화정의 피치를 올리며 전 유럽을 휩쓸었지만 결국 자신도 황제의 자리에 오르지요. 역사는 정반합과 같이 항상 변증법적으로 공화정과 왕정이 다투면서 발전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전제정 독재도 나타나게 되고 민주화의 바람이 거세기도 하면서 때로는 외세의 침략을 부르게 되지요. 우리나라 동학혁명이 그렇습니다. 영상의 주제가 "왜 일본은 세습 권력이 많은가""라는 내용으로 좁혀서 말씀드리면, 일본은 외세의 지배를 한번도 받은 적이 없는 나라입니다. 그렇기에 격변이 다른 나라보다 더 적을 수 밖에 없었고, 오래전부터 사무라이로 대표되는 막부권력에 의해 지배되었습니다. 사무라이는 당연히 세습되었지요. 그러니 일본의 권력은 세습되기 쉬운 것입니다. 그러나 이는 일본만의 특징이 아니고 인류사의 보편적인 것입니다. 세계 어느 나라든 권력이 강해지고 견제세력이 약해지면 세습 권력이 나타나지요. 위에서 예를 든 나폴레옹도 자유, 평등, 박애를 기치로 공화정을 주장하였지만 결국 자신도 황제에 오르고 왕당파에 의해 나폴레옹 3세가 그 직위를 세습하였지요. 인간은 유전자를 남기려는 본능적 특성 때문에 그렇습니다. 같은 고향, 같은 문하를 중시하고 이념적 특성에 따라 서로 이합집산하며 자신의 세력을 넓히고 밈(meme)을 만들어 자신의 후손이 이를 이어받기를 원하는 것은 리차드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의 문화적 특성 편에 잘 나타나 있습니다. 끝으로 주식회사는 자본을 조달하는 방법일 뿐 권력 분산과는 상관 없습니다. 이에 대해 설명하려면 다시 경제학사와 자본의 특성 등 여러가지 예를 들어야 하니 여기에서 마무리할까 합니다. 꼭 기업만이 아니라 교회 세습을 한번 생각해 보세요. 모쪼록 의견 주셔서 감사합니다. 저 역시 학생인지라 아직 부족하고 모르는 것이 많은데 여러 지식인과 선현의 지성으로부터 많이 배우겠습니다. 참고로 일본인의 특성을 좀 알고 싶으시면 "국화와 칼"을 한번 읽어보세요. 베네딕트 교수는 태평양 전쟁 중 미 국방성의 요청을 받고 일본을 문화인류학적으로 고찰하게 되었는데, 일본을 한번도 방문하지 않았습니다. 일본인의 친절함, 남에게 해를 입히지 않으려는 와의 특징, 깔끔함 등에 매료되어 자신의 연구가 선입견으로 그릇될 수 있다는 생각에 오로지 사료와 통계 등 객관적 자료만을 가지고 책을 집필하였습니다. 피상적인 경험이 배제된 것이지요. 이 책을 읽고 저는 일본은 문화적으로 우리와 이질적인 면 보다 비슷한 점이 더 많다라는 것이 제 생각입니다.
@jjjin572
@jjjin572 2 жыл бұрын
와우 이해가 쏙쏙!
@user-bq7hc8ju6d
@user-bq7hc8ju6d 2 жыл бұрын
ㅎㅎ 진짜 다르네요. 잘 보고 잘 듣고갑니다. "감사합니다"
@user-oc4rv7cf2u
@user-oc4rv7cf2u 2 жыл бұрын
일본은 민주주의의 수치. 민주국가라고 부르면 안 돼.
@user-kg5hd6xx5v
@user-kg5hd6xx5v 2 жыл бұрын
민주주의 순위 몇위?
@user-ob5vt8xw9x
@user-ob5vt8xw9x 2 жыл бұрын
아니 ㅋㅋ 일본이 뭐 무력군부독재를 하능것도 아니고 일본국민이 총선때 쟤네들을 뽑겠다는데 뭐가 문제냐 ㅋㅋ
@4WESOME
@4WESOME 2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도 민주국가라고 부르면안될듯
@jaykim6062
@jaykim6062 2 жыл бұрын
왜 국민들이 투표제도를 고치려고 안하는지 도무지 이해가 가지 않는다. 못하는건가?
@Creative_Moon
@Creative_Moon 2 жыл бұрын
영상 다시 보시면 알거에요. 23분 33초 동안 설명해주네요
@jasongyun7648
@jasongyun7648 2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밌어요 :)
@user-yn3it3uc8f
@user-yn3it3uc8f 2 жыл бұрын
박사님? 언제 또 일본정치를 공부하셨답니까? 좋은 시간이었습니다. 추운 날씨에 건강하시길...
@user-oe6vq4bi2z
@user-oe6vq4bi2z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에서 정치인들이 세습정치를 한다? 우리나라 국민들은 절대 못 참을듯...
@Inside_the_Ryukyu
@Inside_the_Ryukyu 2 жыл бұрын
한국 정계가 저랬으면 전국에서 대국민통합 이루어질 듯
@user-ob5vt8xw9x
@user-ob5vt8xw9x 2 жыл бұрын
@@Inside_the_Ryukyu 박원순 성폭행범의 성역화, 민주노총집회, 조국비리, 이재명 보확찢 발언, 정권바뀔때마다 경쟁세력 숙청, 북한의 관대한정치, 부동산 폭등, 청년실업률 최고, 취업률 최저, 자살1등, 노인빈곤1등 달성해도 가만히 있는 국민인데? ㅋㅋㅋ
@user3928
@user3928 2 жыл бұрын
@@user-ob5vt8xw9x 이게 현실인데 이 게시물 댓글들은 국뽕에 취한건지 외국인들인지 전부 다른 얘기만 함 ㅋㅋㅋㅋㅋ
@san_san2
@san_san2 2 жыл бұрын
누구를 뽑든 유권자들의 자유라고 볼 수도 있지만 투표방식이라든가 선거기간이라든가 순전히 자유라고만 할 수는 없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user-dz1fi7ud8d
@user-dz1fi7ud8d 2 жыл бұрын
제법 차가운 가을바람으로 옷깃을 여기게 되는 요즘~^^ 감기 걸리지 않도록 조심하세요~!
@user-dt5nt1gl5r
@user-dt5nt1gl5r 2 жыл бұрын
응원합니다 번창하시길 바랍니다 ^^
@user-bo7gw4zd6u
@user-bo7gw4zd6u 2 жыл бұрын
핵심은 세습정치가 문제가 아니라, 묻지마 지지를 하는 유권자가 문제임. 김지윤박사님이 영상에서도 말했듯이, 지역구에 대해서 아무것도 몰라도 세습했다는 이유로 당선되는게 일본정치의 현실임. 정치발전의 가장 큰 걸림돌은 묻지마 지지를 보내는 멍청이들임. 우리가 남이가?
@user-on7hb7nz2v
@user-on7hb7nz2v 2 жыл бұрын
국힘당 꼰대들 처럼??
@hongseokheo2544
@hongseokheo2544 2 жыл бұрын
@@user-on7hb7nz2v 더불어 성폭행당 뽑는 전라도 처럼???
@mjkim2258
@mjkim2258 2 жыл бұрын
열린 사회를 지향하는 선진국과 어울리지 않는 꽉 막힌 일본. 경제적인 성공은 했을지 몰라도 정치나 언론의 후진 행태를 보면 중세 봉건사회로 퇴행하고 있다는 생각을 많이 한다.
@user-kg5hd6xx5v
@user-kg5hd6xx5v 2 жыл бұрын
민주주의지수 몇위?
@user-ob5vt8xw9x
@user-ob5vt8xw9x 2 жыл бұрын
@@user-kg5hd6xx5v 일본 23위 한국 25위 ㅋㅋㅋ
@3883melange
@3883melange 2 жыл бұрын
So good!!
@user-en7ux3ty3t
@user-en7ux3ty3t 2 жыл бұрын
오 방금올라왔네요+_+
@chsjung
@chsjung 2 жыл бұрын
이런 이상한 정치세습은 그 방식보다 세습을 인정하는 일본 국민의 정치적 노예화가 그 근간입니다… 사실상 민주주의적 정치 선택 아닙니다…
@user-ur2ci2xb7o
@user-ur2ci2xb7o 2 жыл бұрын
나랑 비슷한 생각을 하는 사람들이 많네요
@user-kq4yr9bz7y
@user-kq4yr9bz7y 2 жыл бұрын
동감이에요. 일본인들은 어느 정도 계급사회를 스스로 인정하면서 산다는 거죠. 저도 이걸 가지고 민주주의적 선택이라고 생각하지 않아요.
@user-fh3fc5pf8g
@user-fh3fc5pf8g 2 жыл бұрын
ㅋㅋ 그래서 못살고 불평많나 ㄱ 사람들이 니들의 다수결로 하는 그럴것이다ㅈ를 걍 저때로 미개하고 천한 노예화로 승화시키네 크 진짜 대단스들 ㅋ 정치를 혐오로 배우면 이렇게되는거지 앎 그래서 정치선진국이니 ? 지표좀 봐라 ㅋㅋ누가누구에게 삿대질이고 ㅋㅋ
@user-ob5vt8xw9x
@user-ob5vt8xw9x 2 жыл бұрын
@@user-kq4yr9bz7y 아니 ㅋㅋㅋ 지들이 좋아서 총선때 자민당 뽑겠다는데 제3자가 민주적이 맞다 아니다 왈부왈부 할 필요가 있냐? 민주주의 지수 보고오렴 ㅋㅋ
@user-kq4yr9bz7y
@user-kq4yr9bz7y 2 жыл бұрын
@@user-ob5vt8xw9x 아니 ㅋㅋㅋ 내가 쓴 글에 제 3자가 왈부왈부 할 필요 가 있냐 ? 상대방의 생각도 존중하고 배려하는 걸 배워 오렴 ㅋㅋ
@SJ-zq6dd
@SJ-zq6dd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도 대를 이어 금배지 단 정치인들 여럿됨 정진석, 유승민, 홍문종, 장제원, 김세연 김영호, 노웅래 ...등등등
@user-gp5bi9fj7t
@user-gp5bi9fj7t 2 жыл бұрын
그래도 지역구까지 세습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죠
@young355
@young355 2 жыл бұрын
남경필이 아버지 지역구 받은 걸로 아는데, 자기 아들내미한테는 적어도 불가능.ㅋㅋㄱ 사고를 하도 쳐서...사생활이 수습 불가인 분.
@user-dr2sr6lk6f
@user-dr2sr6lk6f 2 жыл бұрын
차분하게 잘 하시네요
@user-rp4jw4fg4m
@user-rp4jw4fg4m 2 жыл бұрын
사랑합니다
@izakhamiziudonga4283
@izakhamiziudonga4283 2 жыл бұрын
정치인들이 메이지 때부터 사람들이 정치에 둔감하게 살아가도록 어렸을 때부터 교육을 시켰기 때문이 아닐까..
@libido4388
@libido4388 2 жыл бұрын
이런 주제일때 개인적으로 항상 추천하는 일드가 '체인지'입니다. 기무라 타쿠야가 정치도 모르는 선생님이었다가 벼락 총리가 되는 내용인데 (물론 좀 예전 드라마이긴 합니다) 거기서 기무라의 아버지가 사망하고, 지역구 자리가 비면서 이야기가 시작되는데. 사람들이 계속 찾아와 출마를 부탁합니다. 사양하던 기무라는 몇몇 에프소드와 여러 사람들의 설득으로 선거에 나가게 됩니다. 작품 특성상 신파적인 요소들을 빼면 어느정도는 일본 정치시스템을 친절하게 전달해주는 드라마인데. 초반 출마 권유 에피소드에서 '아들이니까 아버지의 자리를 물려받아야 한다'라는걸 정치시스템에서도 당연하다는 듯이 말하는 대사들을 보고 좀 신기하긴 했죠.
@Aimyon.
@Aimyon. 2 жыл бұрын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시선 너무 좋습니다
@user-ur7nf5ed2t
@user-ur7nf5ed2t 2 жыл бұрын
김지윤님의 영상 마니 보는데 왜.. 오늘 영상은 왜 김지윤님이 귀엽게 느껴지는거예요? 아까 돈 이라고 하면서 손가락으로 돈 표시할 때부터.. 재밌게 잘 봤습니다.누님 덕분에 점점 시야가 넓어지고 지식이 쌓여가서 정말 좋아요.
@user-ek4yu9ow2x
@user-ek4yu9ow2x 2 жыл бұрын
그전부터 진짜 궁금했는데 역시나 투표방식과 관련이 있네요 뿐만 아니라 후원회도 세습되다니... 고인물들의 리그라는 생각도 들어요
@user-zo9yi8db8g
@user-zo9yi8db8g 2 жыл бұрын
자신의비리를 숨길려면 내리정치 인것 아닌가요???. 그러니 일본의발전 속도가 느리고 더디다고 봅니다. 따뜻한오후 덕분에 더욱 따뜻하고 재미난오후 보냅니다 ~~~💜😎.
@davidchang4559
@davidchang4559 Жыл бұрын
So surprising!!
@nakyeonglee7517
@nakyeonglee7517 2 жыл бұрын
궁금한 것이라 다시 찾아봤어요~ㅎㅎㅎ
아베 전 총리 피살 1개월! 일본은 지금? | 개헌, 통일교
22:13
김지윤의 지식Play
Рет қаралды 299 М.
СНЕЖКИ ЛЕТОМ?? #shorts
00:30
Паша Осадчий
Рет қаралды 8 МЛН
ROCK PAPER SCISSOR! (55 MLN SUBS!) feat @PANDAGIRLOFFICIAL #shorts
00:31
Children deceived dad #comedy
00:19
yuzvikii_family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
Alat Seru Penolong untuk Mimpi Indah Bayi!
00:31
Let's GLOW! Indonesian
Рет қаралды 8 МЛН
[1강 무료보기] 클래스e - 김지윤의 《미국의 민낯》
26:56
EBSCulture (EBS 교양)
Рет қаралды 663 М.
중국은 왜 티베트를 포기 못할까? | 중국, 티베트, 분리독립
12:48
김지윤의 지식Play
Рет қаралды 1 МЛН
중국이 미국을 이길 수 없는 근본적인 이유
15:28
셜록현준
Рет қаралды 4,1 МЛН
СНЕЖКИ ЛЕТОМ?? #shorts
00:30
Паша Осадчий
Рет қаралды 8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