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인 천황이 '신'으로 숭배 받았던 이유는 무엇인가 | 일본, 천황, 쇼군

  Рет қаралды 411,605

김지윤의 지식Play

김지윤의 지식Play

Жыл бұрын

#일본 #천황 #쇼군
인간인 천황이 '신'으로 숭배 받았던 이유는 무엇인가 | 일본, 천황, 쇼군
즐거움과 유익함이 가득가득, 김지윤의 지식Play!
kimjyTV@gmail.com

Пікірлер: 876
@yunseonggim7893
@yunseonggim7893 Жыл бұрын
살면서 봐왔던 일본 설명 영상 중 가장 재밌습니다 진심
@googiister
@googiister Жыл бұрын
말씀하신대로 가치부여하지 않는 것. 그게 중요하죠!
@user-qb8zr7fk5j
@user-qb8zr7fk5j Жыл бұрын
정말 여러번 멈추고 볼만큼 내용이 깊고 좋앗습니다
@Karcirok
@Karcirok Жыл бұрын
아니 3부까지 있다니 이번 컨텐츠 완전 혜자
@bluesblues3295
@bluesblues3295 Жыл бұрын
어후.이거 넘 잼납니다.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3편 빨리 올려주세요ㅎㅎ
@ariiisongs
@ariiisongs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밌었습니다! 기다릴 3부가 있어서 기쁘네요 ㅎㅎ
@user-ju2dh1zl6c
@user-ju2dh1zl6c Жыл бұрын
흔히 가깝고도 먼 나라라고만 했지, 실제로 잘 알지 못하고 평소 이상하게만 생각했던 궁금증이 많이 해소가 되네요. 정말 좋은 내용에 감사의 마음을 보냅니다~😊
@user-mi2kj2vd8f
@user-mi2kj2vd8f Жыл бұрын
역시 좋네요 👍
@user-by8gk9fe3q
@user-by8gk9fe3q Жыл бұрын
이걸 여기서 끊어 버리네 ㅋㅋㅋㅋ 어서 다음편을 주세요
@Min.Kyeong-cheol7Div.637fa
@Min.Kyeong-cheol7Div.637fa Жыл бұрын
천황제와 일본의 막부정치를 통해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변천사를 잘 설명해주셔서 유익하게 들었습니다.
@dominion8998
@dominion8998 Жыл бұрын
총리는 전후 사건만 주로 짚었는데 천황은 정말 첨부터 이야기해주시는 군요 잘 보고 갑니다 3부 너무 기대돼요
@user-rg3ci8yy3d
@user-rg3ci8yy3d Жыл бұрын
좋은 강의 잘 듣고 갑니다...
@aprilsky76
@aprilsky76 Жыл бұрын
정말 만족스러운 최고의 컨텐츠였습니다~!!
@LL-yo3ik
@LL-yo3ik Жыл бұрын
김항 교수님 제가 군대있을 때 인터넷에 올라와있는 조르주 아감벤 강의 정말 유익하게 들었었는데 여기서 말씀 듣다니 너무 좋네요
@user-is1tx5iu6e
@user-is1tx5iu6e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은영상 잘봤습니다 흥미로운 내용,주제였습니다
@user-tc6lt1ez6z
@user-tc6lt1ez6z 5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ni7ml6of5r
@user-ni7ml6of5r Жыл бұрын
추후에 통합본도 올려주실꺼죠?
@jaeyalee5237
@jaeyalee5237 Жыл бұрын
그냥 쇼군처럼 고유명사 취급해서 덴노라고 하는게 베스트 일지도? 말장난 같긴하지만 국민감정도 피해갈수 있고, 학술적의미도 살릴수 있으니까요.
@user-xw4qm5dc1k
@user-xw4qm5dc1k Жыл бұрын
뭐 그건 개인의 자유인데 현재 지구에서 영어단어 황제인 엠퍼럴이 쓰이는 사람은 일본천황 딱 한명입니다ㅋㅋ 한국에서 쓰든말든... 미국도 천황이라 부르는데
@keizer1897
@keizer1897 Жыл бұрын
@@user-xw4qm5dc1k 그건 우리가 로마 황제를 황제라 부르는 것과 같은 이유죠.
@jks9110
@jks9110 Жыл бұрын
그럼 엘리자베스 여왕은 엘리자베스 퀸이라 불러야 하고 여왕이라 부르지 말아야 하는건가 싶은 모순에 또 빠져버리죠
@keizer1897
@keizer1897 Жыл бұрын
@@jks9110 맞냐 안맞냐의 문제가 아닌, 잘못인지 아닌지의 문제라 봅니다. 따지고보면 논리적으로 아무 잘못이 없죠. 자주 사용 되는가 아닌가가 관건이죠. 러시아 차르나 몽골 칸 다 그쪽 발음대로 부르는데 아무런 문제의식이 없잖아요.
@bbhan3828
@bbhan3828 Жыл бұрын
헤이안시대부터 근대까지 천황제의 변화를 간결하고 알기쉽게 설명해주셔서 재밌게 들었습니다. 막부 이후의 천황은 중세유럽의 교황이랑 비슷하다고 느꼈는데 전문가의 설명을 들으니 더 실감이 나네요ㅋㅋ 삿쵸지역이 메이지 유신의 주동지였던건 알았는데 전국시대때 도요토미파벌이었어서 그런건 이제 알았어요ㅋㅋ요시다쇼인같은 삿쵸지역 사상가들도 도요토미의 영향을 받은걸까 싶기도 합니다. 요즘에도 저 지역은 자민당 텃밭 아베 지역구라던데...
@user-og8op3zz8h
@user-og8op3zz8h Жыл бұрын
김교수님 자주나오시면 좋겠어요 너무잼나요
@GodisLove79
@GodisLove79 Жыл бұрын
고급지식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저희가 생각하는거보다 다를 수 밖에 없는 많은 이유들이 존재하는거 같습니다 잘 보았습니다 고맙습니다
@user-xv2jm2br1n
@user-xv2jm2br1n Жыл бұрын
김지윤 박사님 아름다우세요ㅜ ㅜ 제 이상형 입니다
@user-ls4le4xv8f
@user-ls4le4xv8f Жыл бұрын
정말 배울 게 많은 영상입니다 감사합니다
@user-be5xq3ih3o
@user-be5xq3ih3o Жыл бұрын
재밌습니다 ㅇ
@dal22
@dal22 Жыл бұрын
항상 고맙습니다 ❤️ ❤️
@donghwankim3641
@donghwankim3641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미 있어요:)!!!!!!!!!
@civilengboy
@civilengboy Жыл бұрын
그냥 그들이 부르는데로 천황이라기 보다는 텐노라고 부르는게 낫지 않을까요???? 그냥 고유명사로 부르는거죠...
@Bi99334
@Bi99334 Жыл бұрын
영상에서 대중적관점에선 굳이 천황이라고 해줄필요가 없다고 말씀하셨고 학문적관점에섬 어차피 의미부여가 안되니 천황이라고 한다고 하셨는데 더더욱 의미부여가 안되게 고유명사인 텐노라고 하는게 맞는것 같습니다. 그게 역사적으로 지나간 정부이면 모를까 여전히 입헌군주국에 존재하고 있는데 천황이라고 불러주는것도 민주국가에서 영 못마땅한일이라고 생각합니다.
@user-pw7je3hh1t
@user-pw7je3hh1t Жыл бұрын
천황이 곧 덴노인데 빡대가리들ㅋㅋㅋ
@MegaPunchpunch
@MegaPunchpunch Жыл бұрын
텐노 라고 부르면 또 일본어 쓴다고 친일파 토착왜구라고 할듯요...
@user-ok2nu5ee9e
@user-ok2nu5ee9e 4 ай бұрын
그럼 황제도 중국어식으로 해라 ㅋㅋ
@jongkwonpark504
@jongkwonpark504 4 ай бұрын
그냥 일본왕이 낫지 않을까요?
@cosmos6627
@cosmos6627 Жыл бұрын
👍🏻👍🏻👍🏻
@junglee7632
@junglee7632 Жыл бұрын
루스 베네딕트 '국화와 칼' 추천합니다.
@jkchoi3562
@jkchoi3562 Жыл бұрын
지난편에 이어 정말 유익한 주제여서 흥미롭게 봤습니다! 일본은 왜 저런 정치형태를 가지고 있는걸까 싶던 이전의 생각에 정말 전문적인 지식으로 답해주시니 재미있네요^^ 다음편도 기대하겠습니다~!
@pug8991
@pug8991 6 ай бұрын
그냥 그들의발음대로 덴노라고하면돼지 천황은무슨 2차대전패전국으로 대중앞에서 교수형했어야했음
@user-gw2zu5do2r
@user-gw2zu5do2r Жыл бұрын
제2차 세계대전 패전 전까지 일본 내각의 힘이 굉장히 약했고 '추밀원'이라는 기관이 막강했다고 하던데 그 부분도 말씀하셨을지 궁금하네요. 편집됐을까요?
@Jelena.Jensen
@Jelena.Jensen Жыл бұрын
일본 천황 특집 넘 유익합니다 🌹 고마워요 김지윤 💋 박사님 ^^
@uiandwe
@uiandwe Жыл бұрын
와 겁나 재밌다!! 이제서야 이해가네요!!
@user-nr8rq5vp1c
@user-nr8rq5vp1c Жыл бұрын
자막이 너무 빠르게 없어져서 좀만 더 길게 보였으면 좋겠어요
@user-nz5np1ny9b
@user-nz5np1ny9b Жыл бұрын
유럽이나 일본처럼 종교나 천황이 가치체계를 가지고 있다면, 대한민국은 어떤 체계로 되어있다고 봐야할까요?
@mountainrigi
@mountainrigi 18 күн бұрын
개판 무규칙이죠
@yongkim2118
@yongkim2118 Жыл бұрын
잘보고 있어요 그런데 몇부까지 있는건가요? 설마 대하시리즈는 아니겠죠? ㅎㅎㅎ 수고하세요 그리고 좋은 영상, 고마워요
@user-yi4tm6pg9i
@user-yi4tm6pg9i Жыл бұрын
갑자기 궁금해졌어요 교토에 2조 3조에 높은 사람들이 살았다고 했는데 그럼 그런 역사적 배경때문에 지금도 과거 2조 3조 였던 구역의 땅값이 그 밑 지역보다 비싼가요?
@youngho1203
@youngho1203 Жыл бұрын
많이 배웁니다. 감사합니다.
@Chocokara
@Chocokara Жыл бұрын
미군정이 관여한 일본국 헌법의 앞부분이 왜 덴노에 관한 것들인지를 알겠네요. 제국주의 시절 헌법 자체가 덴노를 신성시하려고 하는 구성이니 역으로 그걸 무력화하려고 한게 아닌가 싶네요.
@nichtneues6605
@nichtneues6605 Жыл бұрын
제1조가 모든 권력은 에게 있다...뭐 이런 내용이었으니까요. 1947년 평화헌법을 제정하면서 은 신이 아니고 인간이라고 선언을 하게 된 셈이죠. 이후 이 일본 전역을 돌아다니면서 많은 국민들 앞에 모습을 드러내게 됩니다. 봐라, 도 신이 아닌 인간이지?...이런 퍼포먼스였죠. 사실 일본은 제2차 세계대전의 최상급 전범인 을 다치지 않게 하려고 연합군(실제로는 미군)의 요구를 대부분 받아들일 수 밖에 없었습니다.
@vanderasantonio761
@vanderasantonio761 Жыл бұрын
1부는 제목이? 찾을 수가 없더요.T.T
@fragrancenomad
@fragrancenomad Жыл бұрын
12:21 이토 히로부미가 아니라 히토 히로부미 인가요??
@Art_Space_tv
@Art_Space_tv Жыл бұрын
넘 기다렸어용~지난편이 넘 재미있었어요~
@geobugi-
@geobugi- Жыл бұрын
천황이 교황+황제 이네요
@xchyun
@xchyun Жыл бұрын
듣고보니 '일본의 천황제'는 쉽게 풀어보려 정치인들이 만들어냈는데, 어느순간 그것이 전체 시스템을 옭아매버린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seungminlee2243
@seungminlee2243 Жыл бұрын
정말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이 내용과 관련돼서 꼭 읽어보면 좋을 책이 있을까요? 구전이 아닌 더 전문적이고 상세하게 공부해보고 싶어요!! 옆 나라지만 정치의 발전사가 어떻게 다른지, 비교정치학에 관심이 많은데 딱 좋은 내용인 것 같아요. 읽어보면 좋을 책이 있으면 꼭 추천 부탁드려요!!
@user-nu6up2dz5n
@user-nu6up2dz5n Жыл бұрын
영상소개란에 교수님 성함, 소속 등 소개멘트 적어 주세요 누구신지 한참 찾았네요 그리고 영상 첫화면에 교수님 간단한 약력 정도는 2,3초 정도 정지 페이지로 소개해주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nichtneues6605
@nichtneues6605 Жыл бұрын
자막의 은 1889년이 맞습니다. 1890년부터 시행되었습니다.
@user-mg3mz9ef4j
@user-mg3mz9ef4j Жыл бұрын
오 진짜 재밌네
@user-ps9vb5de5t
@user-ps9vb5de5t Жыл бұрын
메이지 유신, 존왕양이, 세이난 전쟁... 난 바람의 검심을 통해 배워었지~ ^^ㅋㅋ
@user-zx3sv8sw8h
@user-zx3sv8sw8h Жыл бұрын
유럽의 기독교 정신 = 미국의 청교도 정신 = 일본의 천황 이런거군요 ㅋㅋ 재밌네요
@johnkim9642
@johnkim9642 Жыл бұрын
영국 여왕에 대해서도 해주세요
@user-bn1ch8ot7r
@user-bn1ch8ot7r Жыл бұрын
북한의 김씨일가 세습독재자에 대한 우상화와 신격화는 일본의 덴노 숭배, 신격화, 우상화의 영향을 받은 걸까요?
@user-kang63
@user-kang63 Жыл бұрын
실제로 그런 방식으로 접근한 관점도 있습니다
@kimhyeongsu4678
@kimhyeongsu4678 Жыл бұрын
한 마디도 멈춤이 없다. 이 사람 대단 하시네.
@prahevajra
@prahevajra Жыл бұрын
일본은 참 기형적으로 현대 사회에 맞지 않는 정치풍토와 문화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그 실체가 천황에서 비롯되는군요. 전근대적인 정교일치 사회와 뭐가 크게 다른지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 정도입니다. 3부 빨리 올려주세요~~~~
@donpakonel104
@donpakonel104 4 ай бұрын
현대사회에 맞지 않는 정치풍토란 말이 뭔 말인진 모르겠는데, 적어도 일본정치사회 자체는 다른 나라랑 비교했을 때 그닥 후진적인 모습은 안보임. 어쨌든 사회 시스템은 현대적으로 잘 돌아가곤 있으니까. 민주주의를 표방하는 국가들도 각자 나라의 문화나 역사의 흐름에 의해 본인들 몸에 맞는 시스템을 장착하고 움직이기 때문에, 어느나라가 됐건 형태만 다를뿐 기형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경우는 늘 존재함.
@dongastv
@dongastv Жыл бұрын
대망은 세로로 읽어야 제맛이죠 ㅋㅋㅋ
@rodemangel
@rodemangel 4 ай бұрын
천황제를 쉽게 이해하려면 유럽의 교황에 대입해보면 어떤 위치와 기능인지 인지하기가 쉽더라구요.
@JJiSK
@JJiSK Жыл бұрын
3부도 너무 기대됩니다!!!!!
@authorpark6085
@authorpark6085 Жыл бұрын
이렇게 말하면 김지윤님이 조금 서운하실지 모르겠지만 일본 시리즈가 여태 나온 영상중에 제일 좋네요ㅋㅋ 특히 천황에 대해서 겉만 다루는 게 아니라 실제로 일본인이 받아들이는 인식까지 다루는 점이 참 좋습니다.
@user-wi3il4xc2r
@user-wi3il4xc2r Жыл бұрын
지금도 천황은 국민들의 존경 받고 최고의 보석은 ⁉️ 사서 천황 일족에서 갖다 바친다 열심히 사는 일본 국민 저축은 2023 년 엔저로 망한다고 깨춤 추든 헬조선 ㅋㅋㅋ 앤저로 때 돈 폭탄돈 벌은 일본 주식은 33 년만에 최로로 올랐다 ㅋㅋㅋ 2500 조엔 ( 2 경 5000 조원 )
@jlee1536
@jlee1536 3 ай бұрын
일본의 헌법에 대한 좋은 설명 감사합니다. 일본은 대관절 언제부터 부국이 되었는지 임진왜란을 일으킬 경제력은 언제 갖추어진 것인지? 왜 근방의 조선에는 경제적인 부가 이전이 되지 못했는지 도 다루어주시면 좋겠습니다.
@VintageXO79
@VintageXO79 Жыл бұрын
🙏🙏 오래 기다린 기분이에요. 좋은 콘텐츠 감사합니다. 모두 건강 조심하시고요 ㅠㅠ
@user-yc5gr2ew6d
@user-yc5gr2ew6d Жыл бұрын
하 3부 너무 궁금하네요 ㅠㅠㅠ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봅니다. 3부 언제 기다려 ㅠㅠ
@user-tn3eq9tk3s
@user-tn3eq9tk3s Жыл бұрын
지난편 관심있게 몇번 반복해 잘 들었습니다 .
@smlaelwa8914
@smlaelwa8914 3 ай бұрын
천황이란 단어는 고유명사인데 그걸갖고선 왈가왈부하는거 자체가 어처구니없음 김대중 노무현 좌파 우파 할거없이 모두 천황이란 단어 사용함 일본이 반대로 한국은 우리보다 작고 인구도 적은데 니들 리더가 무슨 大통령이란 단어를 쓰냐 통령이나 소통령이라고 불러줄께 라고 하면 얼마나 유치하고 손발이 오그라들까
@user-lz6dd5hd9r
@user-lz6dd5hd9r 4 ай бұрын
일본이 이렇게 흥미로운 나라인지 상세하게 설명해주신 교수님께 감사드립니다.
@user-wu4nv5tw6y
@user-wu4nv5tw6y 5 ай бұрын
천황과 그 일가는 개인적인 종교를 가질 수가 있나요?
@hanbangsabjill
@hanbangsabjill Жыл бұрын
일본도 군웅할거의 시대가 있긴 하지 [전국시대] 다만 한.중과의 차이가 뭐냐면 한.중은 아예 그 나라를 갈아엎고 새 나라를 창업하고 전국을 통일한다는 거였지만 일본은 천황(일왕)은 그대로 두고 막부 정권만 차지한다는 개념.. 고려 때 무신정권과 비슷하지만 또 다른 개념..(무신정권은 왕까지도 갈아버렸지만 일본은 그대로 둠) 그래서 시대별 구분 명칭이 한.중은 그 나라의 이름을 시대별로 구분하지만 일본은 막부 정권의 중심지를 명칭으로 구분한다고 함
@TheSLAMDUNK1997
@TheSLAMDUNK1997 Жыл бұрын
저 쓰레빠가 거슬리는건 저 뿐인가여....
@ggondigi
@ggondigi Жыл бұрын
일제시대 때 각각의 일본 기관들, 육군, 해군, 관동군, 심지어 "조선총독부"까지도 '일본정부 산하기관'이 아니라 독립적인 기관이란 얘기를 들었는데, 저런 이유가 있었군요. 각 군부세력은 원래가 조슈번이나 사쓰마번 같은 각각의 지역영주 중심으로 출발해서 독립적이라고(육군, 해군이 따로 놀고 협조도 안할정도로;) 들었는데 헌법적 제도적으로도 저렇게 만들어져있었네요.
@user-nw9qn3yw1u
@user-nw9qn3yw1u Жыл бұрын
일본인에겐 천황이 사실상 하나의 종교라는 게 흥미롭네요... 나쓰메 소세키의 소설 에서도 주인공의 아버지가 천황의 병환 소식을 듣고 내내 걱정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이것도 어찌보면 영상에서 설명한 천황의 권위와 연결할 수도 있네요.
@user-xc2ch8wb4c
@user-xc2ch8wb4c Жыл бұрын
일천황호칭반대가 왜 중화질서에 대한 인정으로 매도되는건가요 그럼 일천황찬성이 친일 질서에 대한 인정으로 간주되는 것도 당연한것 아닌가요?
@Miles_Link
@Miles_Link Жыл бұрын
외세에 굴복하는 매국노 집단이 집권을하니 저런것들도 설치나 싶음. 쿨병 걸린 환자가 설치는 시대같음. 명바기때는 일베가 그랬고 문댕이 때는 페미가 그랬고 굥이 집권하니까 자기 정체성에서 유체이탈한 쿨병 걸린 것들이 설치는 시대란 생각이 듬
@user-cw9rm5iw8n
@user-cw9rm5iw8n 3 күн бұрын
너는 중국 황제들을 왕으로 낮추라고 한적이 있느냐? 일본 쑈군이라고 이름 지으면 쇼군이고 대통령이라하면 대통령이라 하면 되지... 남의 나라 직책을 바꾸라 마라하니...중국황제 이름을 바꾸라 한적은 있었니? 남의 나라 군주를 황제라 못부르게 하는 나라는 중국이었고 자기들이 세상의 중심이라고 .... 조선의 선비들이 유학을 공부해서 중국을 섬기는 놈들이다보니...스스로 조선을 낯주고 조선의 왕한테는 만세도 못하게 했단다..
@yeongjinsim9185
@yeongjinsim9185 Жыл бұрын
오늘 내용 정말 재밌네요 잘 봤습니다
@user-gl9zv5qs7p
@user-gl9zv5qs7p Жыл бұрын
차르를 노왕(露王) 카이저를 독왕(獨王)이라고 부르지 않는 것처럼 덴노를 일왕(日王)으로 부를 필요도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렇다고 일왕이라 부르는 사람한테 '천황이라 불러라'하면서 언성 높일 필요도 없고요.
@dog_merchandiser
@dog_merchandiser Жыл бұрын
ㄹㅇ 일왕이라고 부르는 사람은 파라오도 애왕이라고 꼭 불러라 ㅋㅋㅋ
@user-pl6yt5fc2e
@user-pl6yt5fc2e Жыл бұрын
일왕이라 부르는 이유는 폄하의 이유가 있는거죠. 그저 높여부를 필요가 없어서 일왕이라 부르는 겁니다.
@user-gu1hg7th2s
@user-gu1hg7th2s Жыл бұрын
파라오, 술탄, 파디샤처럼 그냥 발음 그대로 덴노라고 부르는게 가치중립적일 것 같기도..
@user-jr9ip5po8f
@user-jr9ip5po8f Жыл бұрын
@@user-pl6yt5fc2e "천황"을 높여부른다고 생각하는게 딱 중화사상임. 그래서 천황(황제)가 아니라 일왕(왕)이라고 부르겠다고 하는 것도 마찬가지의 맥락이고. 차라리 다른 댓글들처럼 우리는 일제강점기의 역사때문에 천황이라고 부르고 싶지않아. 이건 중화사상때문이 아니야. 일왕(일본의왕) 수준의 표현으로 돌려서 부를래. 수준의 주장은 납득은 되지만 높다/낮다 적 이해는 동영상에서 나오는 전형적인 중화사상의 일례임
@user-di4hh7ne7i
@user-di4hh7ne7i Жыл бұрын
좌파새끼들은 그런걸로 ㅈㄹ임
@wakawakakilo5164
@wakawakakilo5164 Жыл бұрын
"덴노"까지는 ㅇㅋ "댄노하이카"는 오바
@44fladnag94
@44fladnag94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 정부도 공식용어로 천황을 쓰는 이유는 다른 특별한 의미를 부여한게 아니라 그냥 고유명사이기 때문일거임. 대일본제국 대청제국 다 그냥 고유명사로 자기들이 불러달라는대로 불러주는 것 뿐이다. 그런거에 알레르기 반응보이는 애들이 대한제국 대한민국이라는 이름은 왜 부르냐 ㅋㅋ 그거도 남들이 한국이 크냐 작냐 따지는거 무시하고 우리가 “대”한민국이라고 부르는거일뿐
@user-hw4vt1dn6x
@user-hw4vt1dn6x Жыл бұрын
무지성 혐일충 대부분은 친중 충뽕종자들이라 중국을 벌레충자 써서 충국,지나라고 부르면 고유명사 중국으로 쓰라고 거품물더라고요 흐흐
@ecbeee7297
@ecbeee7297 Жыл бұрын
겁나 재밋네
@user-wu3rg4dj4b
@user-wu3rg4dj4b Жыл бұрын
역시 전문가가 나와서 설명을 해주면 저같은 범인들도 이해가 잘 되네요
@fox333333333
@fox333333333 Жыл бұрын
이토 히로부미가 생각보다 대단한 사람이네요. 국가를 건설 헌법 만들기라니;; 당시 조선이랑은 완전 딴세상 이야기네요;;
@user-bw7qf4kb2k
@user-bw7qf4kb2k Жыл бұрын
🎶🖐️🤩😁👏👏👏👍
@dokichiro
@dokichiro Жыл бұрын
"전국시대 좋아하거든요" 하실 때 눈빛 ㅋㅋㅋㅋㅋㅋ 매력 터지심 ^^
@hahaha980
@hahaha980 Жыл бұрын
논쟁의 핵심은 차르 카이저 등 다른 명칭은 그대로쓰면서 일본은 덴노가아닌 한국어로 해석해서 천왕으로 써주는게 아닌가싶습니다. 덴노라는 고유명사를 사용합시다.
@user-gy6ih5sj2z
@user-gy6ih5sj2z Жыл бұрын
빼애액 아 몰라 일본돈이야~ 현실은 외국에서도 다 재패니스 엠페러 처럼 일본 황제라고 부름 ㅋㅋㅋㅋ
@hyukc6059
@hyukc6059 Жыл бұрын
@@user-gy6ih5sj2z 이렇게 멍ㅈㄷ하니 펨코일뽕십덕 아니겠음? ㅋㅋ 외교상으로 왜왕이라 부르든, 천황, 일왕이랴 부르든 일반인들이 뭔 상관? ㅋㅋㅋㅋㅋ 😂
@user-gy6ih5sj2z
@user-gy6ih5sj2z Жыл бұрын
@@hyukc6059 멀쩡한 단어 두고 자격지심에 이상한 말 만들어내는 저능아들 보면 웃기니까 ㅋㅋㅋㅋㅋㅋ
@HissingGeotrauma
@HissingGeotrauma Жыл бұрын
차라리 덴노라고하면 맞겠네요. 천황이라고 한국어 독음으로 발화하는 순간 동아시아적 정치질서 개념이 작동하고 거기에 진입하는 거니까요. 덴노라고 하면 근대적 학술과 번역 맥락속으로 들어가기때문에 문제가 소실됩니다.
@dnzlzlzlzlrzlr
@dnzlzlzlzlrzlr Жыл бұрын
그럼 중국황제도 중국어 발음으로 써줘야되는거아닌가요. 로마황제는 뭐라 불러야되죠?
@user-ld3gi7hs4c
@user-ld3gi7hs4c Жыл бұрын
2:34 12:52 15:12 17:03 19:43
@user-vr3qw1bi1b
@user-vr3qw1bi1b Жыл бұрын
계명.. 이 아니었을까요..?
@user-uj6sz1je8k
@user-uj6sz1je8k Жыл бұрын
1부 보다가 2부 기다렸는데 몇시간만에 다시봅니다 역사공부는 항상 바람직 합니다♡♡
@hoondo75
@hoondo75 Жыл бұрын
이번 편 내용은 다른데서 볼 수 없는 내용이네요👍👍👍
@JJ-hp6kd
@JJ-hp6kd Жыл бұрын
기다렸습니다!! 선댓글, 선추천 후 영상 봅니다.. 감사합니다.. 아아...3부...ㅠㅠ 또 기다립니다..
@user-kp7sc8ly7p
@user-kp7sc8ly7p Жыл бұрын
좋은영상감사합니다~
@user-dx5ov9jn5w
@user-dx5ov9jn5w Жыл бұрын
저 구조 때문에 군부가 폭주하는 시점부터 제대로 통제를 시도할 수가 없었다고 들었어요 지적을 하면 천황의 권위를 침범하는 행위가 되니까
@BK-vw2uo
@BK-vw2uo Жыл бұрын
정말 좋아하고 존경하는 김지윤 박사님 뒤늦게 유투브 하시는거 알게되서 바로 구독했습니다 제가 느끼기에 미국 정치쪽은 국내 최고 전문가시라고 생각합니다
@BlueLamb
@BlueLamb Жыл бұрын
덕분에 일본 역사를 짧게나마 이해할 수 있는 좋은 영상이었네요 감사합니다 다음 영상도 기대하겠습니다 p.s) 아쉬운 게 있다면 천황을 일왕으로 칭하면 중화질서를 인정한다는 의미가 된다고 하셨는데 어째서 그런 건지 그걸 잘 모르겠네요 이것까지 설명해주셨다면 더 좋았을 거 같습니다(물론 이건 중국사 교수님께 여쭤보아야 할 거 같지만요)
@KurtNash
@KurtNash Жыл бұрын
제 생각으로는 중국의 황제라는 개념은 과정이 어찌되었건 간에 오랜 기간 우리나라(특히 조선)이 인정해온 개념인데 반해, 천황이라는 개념은 인정되지 않았었고, 식민지 기간 동안 강제적 주입으로 인해 더 부정적인 스탠스를 가지게 된 것이라고 봅니다. 천황을 일왕으로 칭하면 중화질서를 인정한다는 논리는 저도 좀 이해가 안되네요. 중화질서를 인정한다기 보다는 그동안 '과거 우리 역사가 중화질서에 포함되어 있었다'라는 것을 인정하는 거죠. 지금은 아니기 때문에 복잡해지는거겠죠. 전 그냥 '일왕' 이라는 표현이 맞다고 봅니다. 현재 중국에 황제가 있다면 '황제'라는 표현도 부정하는게 맞는거 같구요.
@user-hw4vt1dn6x
@user-hw4vt1dn6x Жыл бұрын
사석에서 중국을 중공, 지나 국, 충국(벌레국) 등등으로 불러도 상관없듯이 사적으로 일왕으로 부르는 건 상관없지만 천황이라는 공식적인 명칭이 존재하는데도 공적인 자리에서 일왕이라고 쓰는 건 본인이 무지하고 무식한 거를 인증하는 꼴이죠. 국민감정 운운할 거면 과거 우리 한민족을 학살한 지나 왕조의 촌장들을 지금 와서까지 황제라고 불러주는 것도 아이러니죠, 그냥 시기별로 진왕, 당왕, 명왕, 청왕으로 불러도 상관없는 꼴입니다. 더군다나 서쪽 변방에 위치한 나라 주제에 세상의 중심이라는 같잖은 중국이라는 명칭도 쓰는 마당에 문제 될 건 없다고 봅니다. 오늘날 세상의 중심은 미합중국이고 아무도 중국을 중심이라고 받아들이지 않듯이 천황도 한자 그대로 하늘의 황제라고 받아들이는 건 정신에 문제 있지 않는 이상 무의미하다고 봅니다. 추가로 충국 언론에서 김치를 굳이 신치도 아닌 파오차이라고 바꿔 부르는 게 현재 국내 언론에서 천황을 일왕이라고 바꿔 부르는 것과 다를 것 없죠. :)
@tukpaegi
@tukpaegi Жыл бұрын
영상에 설명이 다 나오는데, 천황을 구태여 일왕으로 격하시키자는 주장은 왕이 황제보다 낮다는 중화질서에 기반한 논리라는 얘기죠. 황제는 중화만 쓸 수 있는 이름이니까 조선이나 일본은 왕이라고 써야한다는 것과 진배없다는 소리. 황제 밑에 왕이 있다는 중화질서에서 벗어나서 생각하면 천황이라는 군주명에 우리나라 사람이 화를 낼 이유가 없단 소리예요. 그냥 그 나라에서 군주를 부르는 고유명사일 뿐이지 천'황'이기 때문에 특별히 조선의 왕보다 높은 존재가 아니니까.
@greatchen6513
@greatchen6513 Жыл бұрын
제가 영상을 통해 이해한 바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황제의 기본 전제는 오직 1명이라는 것입니다. 단일한 권역(동아시아)에서 황제는 둘이 될 수 없지요. 천황은 그 뜻에서 황제를 지칭합니다. 이것을 인정하면 단일 권역에서 청나라-일본의 두 황제라는 충돌이 발생하죠. 두 황제 중 하나는 사라지거나 왕으로 격하되어야 합니다. 유일한 황제를 위해서요. 우리가 만약 천황을 일왕으로 격하시킨다면 이는 결국 중화의 황제를 위해서죠. (물론 개념적으로요. 중국 황제를 우리가 왜 신경 쓰겠습니까) 이러한 일련의 과정(한국인이 천황을 일왕으로 격하)은 '황제는 유일한 존재'라는 '중화 질서'를 유지하는 과정이 되는 것이죠. 물론 위 설명은 오직 학술적인 개념인 것이고 한국인 입장에서는 일왕을 왕이라고 부르는 것도 싫은데 왕보다 높은 황제(천황) 칭호로 부르려니 감정적인 거부감이 드는 이유가 더 크겠죠? 저는 이렇게 이해했습니다만 전공자는 아니니까요...^^;; 그냥 교양 프로그램 보듯이 즐겁게 봤습니다. 같은 영상을 두고 이렇게 서로 댓글로 의견 주고받는 것도 굉장히 재미있네요! ㅎㅎ
@user-tt5mn1wv2z
@user-tt5mn1wv2z Жыл бұрын
갑자기 중화사상 거리는게 그냥 헛소리로 끼워맞춤ㅋㅋ
@user-rn5hg6rx7l
@user-rn5hg6rx7l Жыл бұрын
다리꼰 저분 누구시죠?
@user-zk4ng1zo7p
@user-zk4ng1zo7p Жыл бұрын
한국 중국에 비하면 일본은 참 중앙집권이 늦은 국가였던 것 같습니다. 사실상 조선과 일본의 국력이 역전된 에도막부 시대조차 지역에 대한 통치를 완전하게 하지 못했고 결국 조슈와 사쓰마가 천황의 권위를 빌려 비로소 일본인이라는 하나의 정체성을 만든 걸 보면서 이웃나라지만 참 다르다는 걸 느끼네요
@American-drone
@American-drone Жыл бұрын
인구 농업생산력은 헤이안 시대에 이미 일본이 한반도를 추월한 것으로 보기도 합니다.
@cometfi2298
@cometfi2298 Жыл бұрын
근본이 없어서 그런거임
@KrMorgan12
@KrMorgan12 Жыл бұрын
@@American-drone 그건아님
@user-mimimi92
@user-mimimi92 Жыл бұрын
@@KrMorgan12 맞습니다.
@iuyoon6713
@iuyoon6713 Жыл бұрын
@@user-mimimi92근본이 없어서 경제대국 3위?
@june_joy
@june_joy Жыл бұрын
그래서 그냥 덴노라고 많이 쓰더라고요.
@user-wo3er2ks1f
@user-wo3er2ks1f Жыл бұрын
천황과 황제란놈들중에서 어떤놈이 더 위라고 으시댔을까~?
@rayray7841
@rayray7841 Жыл бұрын
덴노 라고 하면 됨
@hwangcolin8112
@hwangcolin8112 4 ай бұрын
일본 여행을 다니면서 그렇게 많은 신사와 사당을 보았지만 교회가 없는 이유를 알것 같네요. 재미있게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jacobj9907
@jacobj9907 5 ай бұрын
한국인들이 천황이라는 단어를 싫어하는건 중국과는 관련이 없어요 히로히토 천황이 전범이기 때문입니다. 독일이 총리를 총통이라고 부른다면 유럽국가들 기분이 좋을까요? 게다가 일본은 과거사 청산이 제대로 되지 않았고
@donpakonel104
@donpakonel104 4 ай бұрын
근데 조선인도 일본의 속국으로서 다수는 아니지만, 어쨌든 전쟁터에서 일본군의 일원으로 직접 같이 싸워놓곤 이제와서 전쟁범죄 어쩌구 하는거 자체가 넌센스죠. 그리고 독일이 총리를 총통으로 부르든 말든 상관은 없죠. 총통제는 히틀러 정권 하나였고, 천황은 무려 천년이상이란 세월동안 존재해왔던 거니까 애초에 격도 다를 뿐더러 비교대상도 아니죠.
@payernoop6955
@payernoop6955 Жыл бұрын
👍
@75umberto20
@75umberto20 Жыл бұрын
많은 분들이 잘 모르시는 부분을 하나 말씀드리자면, '막부'라는 단어는 일본말고도 한자문화권에서는 다 쓰였습니다. 다만 막부의 원래 의미는 영상에서도 나옵니다만 요즘 말로 '사령부' '참모단' 이런 의미입니다. 막부에서 幕은 천막, 府는 관청을 의미하죠. 중국에서는 증국번 막부 이런 용법으로 썼습니다. 그런데 일본에서는 무사 집단이 권력을 잡았기 때문에 일본 내에서는 '사령부'(막부)라는 단어가 곧 '정권' 그 자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바뀐 것이죠.
@user-ff6qh8qg5i
@user-ff6qh8qg5i Жыл бұрын
Imagawa
@user-ug2mf7rs4x
@user-ug2mf7rs4x Жыл бұрын
그것 밖에 안되니?
전쟁은 일본을 어떻게 바꿨을까? | 전후 일본, 역사, 문화
16:49
김지윤의 지식Play
Рет қаралды 328 М.
아베 전 총리 피살 1개월! 일본은 지금? | 개헌, 통일교
22:13
김지윤의 지식Play
Рет қаралды 299 М.
Вечный ДВИГАТЕЛЬ!⚙️ #shorts
00:27
Гараж 54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 국가간 격차가 존재하는 진짜 이유는?
14:33
중국은 왜 티베트를 포기 못할까? | 중국, 티베트, 분리독립
12:48
김지윤의 지식Play
Рет қаралды 1 МЛН
이러고도 일본의 사과를 반대하실 건가요?
28:14
[팟빵] 매불쇼
Рет қаралды 635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