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왜란59] 이순신VS진린/왜군을 절여버린 절이도해전

  Рет қаралды 477,195

황현필 한국사

황현필 한국사

3 жыл бұрын

태백광노가 되어주셔서 영화 《독립전쟁》 제작에 참여해주세요.
/ @hwang_history

Пікірлер: 805
@hwang_history
@hwang_history 3 жыл бұрын
*황현필의 [임진왜란] 시리즈 몰아보기!* _하단 링크를 클릭하세요._ kzfaq.info/sun/PL0lEEgMCRI86oI5zbT1bem9tki9KkmEII 그저께 금요일 저녁에 올린 영상을 2만분 정도가 보셨을때 비공개처리 하였다가 다시올립니다. 역사고증 부분에서 부족한 부분이 있어 그러했사오니 이해바랍니다^^
@YhKim-tl1ke
@YhKim-tl1ke 3 жыл бұрын
@@user-fi6hm9ws1v 노태우 전두환 안뽑은 사람도 많은데 왜 그 사람이 대통령이 되었냐 ㅇ 그리 싫으면 이민 가서 사셔
@elickmarie9687
@elickmarie9687 3 жыл бұрын
@@user-fi6hm9ws1v 그러면 국민 과반수 이상 거의 99% 지지하고 투표하여 거의 만장일치로 당선되는 중국 북한가서 살면 되겠네요 ㅎㅎ 당신이 꿈꾸는 판타지세계로 빨리 떠나시오
@inhukj7875
@inhukj7875 3 жыл бұрын
@@ohgwon7195 정권교체를 왜 자주 하도록 해놨는지는 역사공부만 제대로 해도 알 수 있음 조선만 해도 수령은 한 지역에서 오래 있을 수 없음 정체되면 썩기 마련
@DaLBongSSE
@DaLBongSSE 3 жыл бұрын
@@user-fi6hm9ws1v 네~ 김대중.노무현 문재인 국민의 절반이 넘는 인정을 받았습니돠~ 전두환,박정희.이승만씨는 직선제로 뽑힌게 아니라 국민의 50프로가 될지 안될지도 모르고요~ 니가 안뽑았다고 절반이 넘는 국민들이 안될거라는 그런 어이업는 생각이 나라를 분열시키는 간첩질인겁니다~ 개인적으로 이런거 보면 대한민국 국론을 분열시키려는 중쿡애들이거나 진짜 북한 고정간첩같음.
@184cm85kg
@184cm85kg 3 жыл бұрын
@@user-fi6hm9ws1v 그래서 각 정당이 권력잡으려고 치고박고 싸우는거자나요 자기 정치 실현시키려고 ㅋㅋ 세상에 어케 모든 의견을 취합하고 실행합니까? 도대체 어느정도의 지지를 받는 지도자가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대통령제에서 그게 가능합니까? 말해보세요 링컨도 얼마 받았는줄 알아요? 님 처럼 굴다가는 나라 운영 자체가 안됩니다 조선같은 왕정국가도 국론이 합쳐지질 않는데 민주주의 사회에서 다수의견 소수의견 난립하는걸 어케 다 통합하라고 ㅋㅋ 레알 ㅋㅋ그니까 지지도를 떠나 어떤 지도자가 나오냐가 중요한거죠 그사람 지지여부를 떠나서요
@novavita2557
@novavita2557 3 жыл бұрын
정말 이순신이 대단한 사람이라고 느낀것이 진린이 올때쯤이면 이순신은 이미 명성으로나 능력으로나 자타공인 위대한 장군으로 칭송받을시점인데 아무리 상국에서 온 진린이라지만 이순신 입장에선 주도권 싸움에서 지지 않으려고 빳빳하게 기싸움 하면서 자존심 세울만도 한데 자신이 아니라 나라와 백성을 위해서 자신을 낮추고 실익을 얻었다는건 나같은 소인배들은 상상도 못할 일임
@hiroono1
@hiroono1 Жыл бұрын
당초 일본이 조선수군의 힘을 가볍게 보고 있던 것은 사실이다. 그래서 배는 무장하지 않았다. 이순신이 기습을 했기 때문에 이에 대해 일본군이 와키자카군(동원정수 1500명), 9귀군(동원정수 1500명), 카토군(동원정수 750명)을 배치하여 배에 대포를 장비했다. 그러자 조선 수군은 싸울 수 없게 되었다. 영화 같은 전투 장면은 없다. 이순신은 전투 명령을 무시하고 도망쳤기 때문에 명예를 빼앗겨 병사에게 떨어졌다. 한국인은 이순신이 내부 항쟁의 희생이었다고 강조하지만 이순신이 전투 포기한 것은 사실이다. 이순신이 이긴 것은 초기 '옥포해전'과 '한산도 해전'뿐이다. 대표적인 싸움만으로도 '부산포 공격', '구마가와 공격', '제2차 당 항포 해전', '장문포·영등포 해전', '부산포 공격', '명량해전', '순천성 전투' 등 이후 이순신은 패전을 이어 많은 조선인 장교를 잃었다. 그리고 마지막 패배는 그가 죽은 '노양해전'이다. 각 싸움의 역사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그러면 조선수군이 패전을 계속한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순신에게 살해된 일본인 장교는 크루시마뿐이다. 조선측의 사망한 장교의 수는 셀 수 없다. 이순신의 전적은 2승 20패 정도다. 이순신은 전혀 도움이 되지 않았다.
@user-jx1yh9vd3p
@user-jx1yh9vd3p Жыл бұрын
그걸 이해하실 정도면 님도 절대 소인배가 아니예요 ㅎ
@kimssaboo
@kimssaboo 5 ай бұрын
인정합니다....정말알수록 대단하신분인거 같습니다
@user-ic3gp6xp6m
@user-ic3gp6xp6m 3 жыл бұрын
장군으로서의 지휘력, 통솔력, 리더쉽 뿐만 아니라 사람을 다루는 정치력과 친화력까지 어느것하나 빠지지 않는 그야말로 위인중에 위인이네
@hiroono1
@hiroono1 Жыл бұрын
당초 일본이 조선수군의 힘을 가볍게 보고 있던 것은 사실이다. 그래서 배는 무장하지 않았다. 이순신이 기습을 했기 때문에 이에 대해 일본군이 와키자카군(동원정수 1500명), 9귀군(동원정수 1500명), 카토군(동원정수 750명)을 배치하여 배에 대포를 장비했다. 그러자 조선 수군은 싸울 수 없게 되었다. 영화 같은 전투 장면은 없다. 이순신은 전투 명령을 무시하고 도망쳤기 때문에 명예를 빼앗겨 병사에게 떨어졌다. 한국인은 이순신이 내부 항쟁의 희생이었다고 강조하지만 이순신이 전투 포기한 것은 사실이다. 이순신이 이긴 것은 초기 '옥포해전'과 '한산도 해전'뿐이다. 대표적인 싸움만으로도 '부산포 공격', '구마가와 공격', '제2차 당 항포 해전', '장문포·영등포 해전', '부산포 공격', '명량해전', '순천성 전투' 등 이후 이순신은 패전을 이어 많은 조선인 장교를 잃었다. 그리고 마지막 패배는 그가 죽은 '노양해전'이다. 각 싸움의 역사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그러면 조선수군이 패전을 계속한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순신에게 살해된 일본인 장교는 크루시마뿐이다. 조선측의 사망한 장교의 수는 셀 수 없다. 이순신의 전적은 2승 20패 정도다. 이순신은 전혀 도움이 되지 않았다.
@SssS-pu3jk
@SssS-pu3jk 3 жыл бұрын
진짜 영상 보면서 이순신 장군이라는 위대한 성웅을 가진 대한민국이라 생각하니 너무나 국뽕 차오릅니다. 너무나 존경스럽습니다.
@hiroono1
@hiroono1 Жыл бұрын
당초 일본이 조선수군의 힘을 가볍게 보고 있던 것은 사실이다. 그래서 배는 무장하지 않았다. 이순신이 기습을 했기 때문에 이에 대해 일본군이 와키자카군(동원정수 1500명), 9귀군(동원정수 1500명), 카토군(동원정수 750명)을 배치하여 배에 대포를 장비했다. 그러자 조선 수군은 싸울 수 없게 되었다. 영화 같은 전투 장면은 없다. 이순신은 전투 명령을 무시하고 도망쳤기 때문에 명예를 빼앗겨 병사에게 떨어졌다. 한국인은 이순신이 내부 항쟁의 희생이었다고 강조하지만 이순신이 전투 포기한 것은 사실이다. 이순신이 이긴 것은 초기 '옥포해전'과 '한산도 해전'뿐이다. 대표적인 싸움만으로도 '부산포 공격', '구마가와 공격', '제2차 당 항포 해전', '장문포·영등포 해전', '부산포 공격', '명량해전', '순천성 전투' 등 이후 이순신은 패전을 이어 많은 조선인 장교를 잃었다. 그리고 마지막 패배는 그가 죽은 '노양해전'이다. 각 싸움의 역사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그러면 조선수군이 패전을 계속한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순신에게 살해된 일본인 장교는 크루시마뿐이다. 조선측의 사망한 장교의 수는 셀 수 없다. 이순신의 전적은 2승 20패 정도다. 이순신은 전혀 도움이 되지 않았다.
@sang-joonlee7594
@sang-joonlee7594 2 жыл бұрын
호랑이는 호랑이를 알아본다는 옛말이 가슴에 와 닿는 강의입니다. 대국의 장수 진린장군이 어느순간부터는 이순신 장군의 진가를 알아보고 진심으로 대했는지를 알게됐습니다. 어쨌든 드넓은 중국대륙에서 수많은 전쟁터에서 수많은 장수들을 보았을 터.....그런 대단한 장수가 우리 이순신장군에 대하여 돌아가신 후에 보여준 행동은 정말 아름답기 그지없습니다.
@hiroono1
@hiroono1 Жыл бұрын
당초 일본이 조선수군의 힘을 가볍게 보고 있던 것은 사실이다. 그래서 배는 무장하지 않았다. 이순신이 기습을 했기 때문에 이에 대해 일본군이 와키자카군(동원정수 1500명), 9귀군(동원정수 1500명), 카토군(동원정수 750명)을 배치하여 배에 대포를 장비했다. 그러자 조선 수군은 싸울 수 없게 되었다. 영화 같은 전투 장면은 없다. 이순신은 전투 명령을 무시하고 도망쳤기 때문에 명예를 빼앗겨 병사에게 떨어졌다. 한국인은 이순신이 내부 항쟁의 희생이었다고 강조하지만 이순신이 전투 포기한 것은 사실이다. 이순신이 이긴 것은 초기 '옥포해전'과 '한산도 해전'뿐이다. 대표적인 싸움만으로도 '부산포 공격', '구마가와 공격', '제2차 당 항포 해전', '장문포·영등포 해전', '부산포 공격', '명량해전', '순천성 전투' 등 이후 이순신은 패전을 이어 많은 조선인 장교를 잃었다. 그리고 마지막 패배는 그가 죽은 '노양해전'이다. 각 싸움의 역사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그러면 조선수군이 패전을 계속한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순신에게 살해된 일본인 장교는 크루시마뿐이다. 조선측의 사망한 장교의 수는 셀 수 없다. 이순신의 전적은 2승 20패 정도다. 이순신은 전혀 도움이 되지 않았다.
@HyoChun.
@HyoChun. 3 жыл бұрын
어릴 땐 잘 모르고 충무공을 좋아했고 지금은 알고 좋아하게 되어 기쁩니다. 황선생님 강의 고맙습니다.
@hiroono1
@hiroono1 Жыл бұрын
당초 일본이 조선수군의 힘을 가볍게 보고 있던 것은 사실이다. 그래서 배는 무장하지 않았다. 이순신이 기습을 했기 때문에 이에 대해 일본군이 와키자카군(동원정수 1500명), 9귀군(동원정수 1500명), 카토군(동원정수 750명)을 배치하여 배에 대포를 장비했다. 그러자 조선 수군은 싸울 수 없게 되었다. 영화 같은 전투 장면은 없다. 이순신은 전투 명령을 무시하고 도망쳤기 때문에 명예를 빼앗겨 병사에게 떨어졌다. 한국인은 이순신이 내부 항쟁의 희생이었다고 강조하지만 이순신이 전투 포기한 것은 사실이다. 이순신이 이긴 것은 초기 '옥포해전'과 '한산도 해전'뿐이다. 대표적인 싸움만으로도 '부산포 공격', '구마가와 공격', '제2차 당 항포 해전', '장문포·영등포 해전', '부산포 공격', '명량해전', '순천성 전투' 등 이후 이순신은 패전을 이어 많은 조선인 장교를 잃었다. 그리고 마지막 패배는 그가 죽은 '노양해전'이다. 각 싸움의 역사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그러면 조선수군이 패전을 계속한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순신에게 살해된 일본인 장교는 크루시마뿐이다. 조선측의 사망한 장교의 수는 셀 수 없다. 이순신의 전적은 2승 20패 정도다. 이순신은 전혀 도움이 되지 않았다.
@Bluesky-nx2wm
@Bluesky-nx2wm 9 ай бұрын
눈물이 나네요. 그리고 참 다행입니다. 우리민족에 이순신장군님이 계셨다는것을
@user-dc7vs7ok2r
@user-dc7vs7ok2r Жыл бұрын
임진왜란 그당시 이순신 장군님 마음을 헤아리려니 마음이 찢어집니다.. 분명 사람이지만 사람이 아닌 성인 일수도 하지만.. 어머니,아들,부하의..죽음에 처절하게 토로하시니.. 지금의 저가 무엇을 하면 그당시의 장군님께서 티끌만큼이라도 기뻐 하실지.. 그것을 하고 싶습니다
@user-ke6yk8mr3x
@user-ke6yk8mr3x 2 жыл бұрын
이순신 장군님은 알면 알수록 정말 대단하신 분입니다. 오늘날 한류의 시조
@hiroono1
@hiroono1 Жыл бұрын
당초 일본이 조선수군의 힘을 가볍게 보고 있던 것은 사실이다. 그래서 배는 무장하지 않았다. 이순신이 기습을 했기 때문에 이에 대해 일본군이 와키자카군(동원정수 1500명), 9귀군(동원정수 1500명), 카토군(동원정수 750명)을 배치하여 배에 대포를 장비했다. 그러자 조선 수군은 싸울 수 없게 되었다. 영화 같은 전투 장면은 없다. 이순신은 전투 명령을 무시하고 도망쳤기 때문에 명예를 빼앗겨 병사에게 떨어졌다. 한국인은 이순신이 내부 항쟁의 희생이었다고 강조하지만 이순신이 전투 포기한 것은 사실이다. 이순신이 이긴 것은 초기 '옥포해전'과 '한산도 해전'뿐이다. 대표적인 싸움만으로도 '부산포 공격', '구마가와 공격', '제2차 당 항포 해전', '장문포·영등포 해전', '부산포 공격', '명량해전', '순천성 전투' 등 이후 이순신은 패전을 이어 많은 조선인 장교를 잃었다. 그리고 마지막 패배는 그가 죽은 '노양해전'이다. 각 싸움의 역사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그러면 조선수군이 패전을 계속한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순신에게 살해된 일본인 장교는 크루시마뿐이다. 조선측의 사망한 장교의 수는 셀 수 없다. 이순신의 전적은 2승 20패 정도다. 이순신은 전혀 도움이 되지 않았다.
@pacifist1894
@pacifist1894 3 жыл бұрын
이순신의 청렴결백과 불의와 타협하지 않는 곧은 의지를 존경합니다.
@hiroono1
@hiroono1 Жыл бұрын
당초 일본이 조선수군의 힘을 가볍게 보고 있던 것은 사실이다. 그래서 배는 무장하지 않았다. 이순신이 기습을 했기 때문에 이에 대해 일본군이 와키자카군(동원정수 1500명), 9귀군(동원정수 1500명), 카토군(동원정수 750명)을 배치하여 배에 대포를 장비했다. 그러자 조선 수군은 싸울 수 없게 되었다. 영화 같은 전투 장면은 없다. 이순신은 전투 명령을 무시하고 도망쳤기 때문에 명예를 빼앗겨 병사에게 떨어졌다. 한국인은 이순신이 내부 항쟁의 희생이었다고 강조하지만 이순신이 전투 포기한 것은 사실이다. 이순신이 이긴 것은 초기 '옥포해전'과 '한산도 해전'뿐이다. 대표적인 싸움만으로도 '부산포 공격', '구마가와 공격', '제2차 당 항포 해전', '장문포·영등포 해전', '부산포 공격', '명량해전', '순천성 전투' 등 이후 이순신은 패전을 이어 많은 조선인 장교를 잃었다. 그리고 마지막 패배는 그가 죽은 '노양해전'이다. 각 싸움의 역사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그러면 조선수군이 패전을 계속한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순신에게 살해된 일본인 장교는 크루시마뿐이다. 조선측의 사망한 장교의 수는 셀 수 없다. 이순신의 전적은 2승 20패 정도다. 이순신은 전혀 도움이 되지 않았다.
@SeungBba
@SeungBba 3 жыл бұрын
거금도 들어가는 초입에 절이도 전투 승리비가 세워져 있죠 매일 그길을 하루에 2번 지나갑니다 소록도와 거금도(이곳에서는 금산이라 부릅니다) 그 좁은 바다에서 큰 승리를 거두신 이순신 장군!!! 이곳에는 이순신 장군이 그토록 좋아하는 정운장군님이 계시던 쌍충사라는 곳도 있습니다
@hiroono1
@hiroono1 Жыл бұрын
당초 일본이 조선수군의 힘을 가볍게 보고 있던 것은 사실이다. 그래서 배는 무장하지 않았다. 이순신이 기습을 했기 때문에 이에 대해 일본군이 와키자카군(동원정수 1500명), 9귀군(동원정수 1500명), 카토군(동원정수 750명)을 배치하여 배에 대포를 장비했다. 그러자 조선 수군은 싸울 수 없게 되었다. 영화 같은 전투 장면은 없다. 이순신은 전투 명령을 무시하고 도망쳤기 때문에 명예를 빼앗겨 병사에게 떨어졌다. 한국인은 이순신이 내부 항쟁의 희생이었다고 강조하지만 이순신이 전투 포기한 것은 사실이다. 이순신이 이긴 것은 초기 '옥포해전'과 '한산도 해전'뿐이다. 대표적인 싸움만으로도 '부산포 공격', '구마가와 공격', '제2차 당 항포 해전', '장문포·영등포 해전', '부산포 공격', '명량해전', '순천성 전투' 등 이후 이순신은 패전을 이어 많은 조선인 장교를 잃었다. 그리고 마지막 패배는 그가 죽은 '노양해전'이다. 각 싸움의 역사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그러면 조선수군이 패전을 계속한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순신에게 살해된 일본인 장교는 크루시마뿐이다. 조선측의 사망한 장교의 수는 셀 수 없다. 이순신의 전적은 2승 20패 정도다. 이순신은 전혀 도움이 되지 않았다.
@user-oe2oz2kq1f
@user-oe2oz2kq1f 2 жыл бұрын
늘 감사하게 잘 보고 있습니다. 이순신 장군 사후에 진린이 막내 후손을 데리고 명나라 최고 지관과 함께 아산에 오죠. 충무공의 묘자리를 잡아주라는 황명과 함께. 그 이후 다른곳에 묘를 이장했고 그 때 동행했던 진린의 후손이 아산 땅에 자리잡아 후손을 남기니 그것이 지금의 신창 맹씨입니다.
@user-hb4ub2gi7x
@user-hb4ub2gi7x Жыл бұрын
오 그런가요 저도 중국장군의 후손인데 처음알았네요 ㅋㅋ
@hiroono1
@hiroono1 Жыл бұрын
당초 일본이 조선수군의 힘을 가볍게 보고 있던 것은 사실이다. 그래서 배는 무장하지 않았다. 이순신이 기습을 했기 때문에 이에 대해 일본군이 와키자카군(동원정수 1500명), 9귀군(동원정수 1500명), 카토군(동원정수 750명)을 배치하여 배에 대포를 장비했다. 그러자 조선 수군은 싸울 수 없게 되었다. 영화 같은 전투 장면은 없다. 이순신은 전투 명령을 무시하고 도망쳤기 때문에 명예를 빼앗겨 병사에게 떨어졌다. 한국인은 이순신이 내부 항쟁의 희생이었다고 강조하지만 이순신이 전투 포기한 것은 사실이다. 이순신이 이긴 것은 초기 '옥포해전'과 '한산도 해전'뿐이다. 대표적인 싸움만으로도 '부산포 공격', '구마가와 공격', '제2차 당 항포 해전', '장문포·영등포 해전', '부산포 공격', '명량해전', '순천성 전투' 등 이후 이순신은 패전을 이어 많은 조선인 장교를 잃었다. 그리고 마지막 패배는 그가 죽은 '노양해전'이다. 각 싸움의 역사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그러면 조선수군이 패전을 계속한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순신에게 살해된 일본인 장교는 크루시마뿐이다. 조선측의 사망한 장교의 수는 셀 수 없다. 이순신의 전적은 2승 20패 정도다. 이순신은 전혀 도움이 되지 않았다.
@jeokjae4192
@jeokjae4192 Жыл бұрын
소중한 지식 한 조각 나누어주셔서 고맙습니다
@hiroono1
@hiroono1 Жыл бұрын
@@jeokjae4192 한국인은 내가 위에 쓴 역사의 사실을 잘 배워야 한다.
@sia.T
@sia.T Жыл бұрын
진씨가 아니라 맹씨가 된건가요?
@choidanny165
@choidanny165 3 жыл бұрын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 우리 조선의 해군제독이었기에 우리 후손이 있을수 있었습니다. 감사드리고, 이런 장군을 알려주신 황선생님도 존경합니다
@hiroono1
@hiroono1 Жыл бұрын
당초 일본이 조선수군의 힘을 가볍게 보고 있던 것은 사실이다. 그래서 배는 무장하지 않았다. 이순신이 기습을 했기 때문에 이에 대해 일본군이 와키자카군(동원정수 1500명), 9귀군(동원정수 1500명), 카토군(동원정수 750명)을 배치하여 배에 대포를 장비했다. 그러자 조선 수군은 싸울 수 없게 되었다. 영화 같은 전투 장면은 없다. 이순신은 전투 명령을 무시하고 도망쳤기 때문에 명예를 빼앗겨 병사에게 떨어졌다. 한국인은 이순신이 내부 항쟁의 희생이었다고 강조하지만 이순신이 전투 포기한 것은 사실이다. 이순신이 이긴 것은 초기 '옥포해전'과 '한산도 해전'뿐이다. 대표적인 싸움만으로도 '부산포 공격', '구마가와 공격', '제2차 당 항포 해전', '장문포·영등포 해전', '부산포 공격', '명량해전', '순천성 전투' 등 이후 이순신은 패전을 이어 많은 조선인 장교를 잃었다. 그리고 마지막 패배는 그가 죽은 '노양해전'이다. 각 싸움의 역사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그러면 조선수군이 패전을 계속한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순신에게 살해된 일본인 장교는 크루시마뿐이다. 조선측의 사망한 장교의 수는 셀 수 없다. 이순신의 전적은 2승 20패 정도다. 이순신은 전혀 도움이 되지 않았다.
@akairyo
@akairyo 2 жыл бұрын
능력은 나라를 다스릴수 있을정도인데 장수라고 하기엔 그릇이 무한하니마치 크고 나라와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은 후대에도 칭송받으니 이순신제독은 후손들에게 국난의 위기에서 나라를 지킨 왕으로 추존해도 전혀 부족하지 않다
@hiroono1
@hiroono1 Жыл бұрын
당초 일본이 조선수군의 힘을 가볍게 보고 있던 것은 사실이다. 그래서 배는 무장하지 않았다. 이순신이 기습을 했기 때문에 이에 대해 일본군이 와키자카군(동원정수 1500명), 9귀군(동원정수 1500명), 카토군(동원정수 750명)을 배치하여 배에 대포를 장비했다. 그러자 조선 수군은 싸울 수 없게 되었다. 영화 같은 전투 장면은 없다. 이순신은 전투 명령을 무시하고 도망쳤기 때문에 명예를 빼앗겨 병사에게 떨어졌다. 한국인은 이순신이 내부 항쟁의 희생이었다고 강조하지만 이순신이 전투 포기한 것은 사실이다. 이순신이 이긴 것은 초기 '옥포해전'과 '한산도 해전'뿐이다. 대표적인 싸움만으로도 '부산포 공격', '구마가와 공격', '제2차 당 항포 해전', '장문포·영등포 해전', '부산포 공격', '명량해전', '순천성 전투' 등 이후 이순신은 패전을 이어 많은 조선인 장교를 잃었다. 그리고 마지막 패배는 그가 죽은 '노양해전'이다. 각 싸움의 역사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그러면 조선수군이 패전을 계속한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순신에게 살해된 일본인 장교는 크루시마뿐이다. 조선측의 사망한 장교의 수는 셀 수 없다. 이순신의 전적은 2승 20패 정도다. 이순신은 전혀 도움이 되지 않았다.
@SKYBLUE-oo2ld
@SKYBLUE-oo2ld Жыл бұрын
그렇게 원리원칙자 이던분이 이런 고개숙임을 보이고 할줄 알면서 절대 하지 않으셨던분이네.... 진짜 백성을 위해서 진린에게 고개숙인것인데 대단한분이네
@user-qn1qk1rz8b
@user-qn1qk1rz8b 3 жыл бұрын
진린이 조선사정을 다 꿰뚫었네. 포악하더라도 명장이다.
@happinessg1062
@happinessg1062 3 жыл бұрын
진린이 사람보는 눈은 있었네~
@user-xg6qr3vk2q
@user-xg6qr3vk2q 3 жыл бұрын
성웅이순신... 황현필선생님 강의에 그냥 눈물이 납니다. 한편의 대서사시 강의 ㄳ 합니다.
@user-xg6qr3vk2q
@user-xg6qr3vk2q 3 жыл бұрын
성웅 이순신장군 서거 연세가 살아 있는 제 나이라.. 스스로 많이 부끄럽습니다.
@user-mc6pi9nu9b
@user-mc6pi9nu9b Жыл бұрын
​@@user-xg6qr3vk2q ㆍ😮ㆍ5ㅇㅣㅣ이이4😮😮😮😮
@srkim1149
@srkim1149 3 жыл бұрын
충무공 이순신 장군님을 존경합니다. 대한민국을 지켜주세요.
@user-ig3kg7oe3i
@user-ig3kg7oe3i 3 жыл бұрын
진심 존경스럽다고밖에 표현할수있는 말이 없다...
@user-rj1qn6ru3s
@user-rj1qn6ru3s Жыл бұрын
진린이 올린 글을 보고 왜 눈물이 날까요.
@johnpetrucci8500
@johnpetrucci8500 3 жыл бұрын
이순신 장군이 진린 다루는거 보면 확실히 정치력도 있었던 분이었네... 본인을 위한 야망보다 나라를 위한 충심이 훨씬 강하다보니 선조같은 폐급 찐.따의 말을 들어주셨을 뿐
@user-yj7kb5bq1t
@user-yj7kb5bq1t 3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선생님께서도 소드마스터편에서 이순신 장군 정치력 100을 주셨죠ㅎㅎ
@user-ss4vt5pd6l
@user-ss4vt5pd6l 3 жыл бұрын
@@user-gy2uf4ti6j 그냥 너같은 버러지가 이 세상에 태어난거 자체가 가짜역사임
@user-it5xr5vw5v
@user-it5xr5vw5v 3 жыл бұрын
정치력이 생긴게 아닐까요? 선조 씹새끼때문에요
@seanpark7362
@seanpark7362 3 жыл бұрын
@@user-gy2uf4ti6j 이 무슨 개소리냐, 원균이 구국의 영웅이고 이순신은 가짜 영웅이라니 ㅋㅋㅋㅋㅋㅋ
@choidlstjq
@choidlstjq 3 жыл бұрын
@@user-gy2uf4ti6j 댕댕이 선조님. 미래에서 키보드 워려로 변신해 이순신 안티를 해댄답니까?!!!!
@user-hg1gq3jm6o
@user-hg1gq3jm6o 3 жыл бұрын
수험한국사 공부하면서 시대 맞추기에만 급급해서 제목만 훑고 지나갔던 내용들이 이렇게 흥미로운 줄 몰랐네요.
@user-ib3ww6rq3l
@user-ib3ww6rq3l 3 жыл бұрын
예로부터 신하의 공이 임금보다 크면 끝이 안좋았죠 이순신 장군의 제일 큰 불행이 선조를 임금으로 모신겁니다 그때 광해가 임금이였다면 조선역사 광해군 이순신장군의 결말이 새롭게 바꼈을거 같네요
@user-of8sf7he6m
@user-of8sf7he6m 3 жыл бұрын
짜증나는 사람을 자기 편으로 만든다는 것, 사람을 변화시키는 것은 가장 어려운 일입니다. 정말 알면 알수록 대단하신 분입니다. 존경 !
@user-zi4io8ef9t
@user-zi4io8ef9t 3 жыл бұрын
수급을 벤 이유가 진린에게 주기 위해서 였구나...!
@ewev4535
@ewev4535 2 жыл бұрын
진짜 알면알수록 대단한 사람이다...
@hiroono1
@hiroono1 Жыл бұрын
당초 일본이 조선수군의 힘을 가볍게 보고 있던 것은 사실이다. 그래서 배는 무장하지 않았다. 이순신이 기습을 했기 때문에 이에 대해 일본군이 와키자카군(동원정수 1500명), 9귀군(동원정수 1500명), 카토군(동원정수 750명)을 배치하여 배에 대포를 장비했다. 그러자 조선 수군은 싸울 수 없게 되었다. 영화 같은 전투 장면은 없다. 이순신은 전투 명령을 무시하고 도망쳤기 때문에 명예를 빼앗겨 병사에게 떨어졌다. 한국인은 이순신이 내부 항쟁의 희생이었다고 강조하지만 이순신이 전투 포기한 것은 사실이다. 이순신이 이긴 것은 초기 '옥포해전'과 '한산도 해전'뿐이다. 대표적인 싸움만으로도 '부산포 공격', '구마가와 공격', '제2차 당 항포 해전', '장문포·영등포 해전', '부산포 공격', '명량해전', '순천성 전투' 등 이후 이순신은 패전을 이어 많은 조선인 장교를 잃었다. 그리고 마지막 패배는 그가 죽은 '노양해전'이다. 각 싸움의 역사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그러면 조선수군이 패전을 계속한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순신에게 살해된 일본인 장교는 크루시마뿐이다. 조선측의 사망한 장교의 수는 셀 수 없다. 이순신의 전적은 2승 20패 정도다. 이순신은 전혀 도움이 되지 않았다.
@ewev4535
@ewev4535 Жыл бұрын
@@hiroono1 제가 알고있던 사료랑 너무 다르네요 일본측 사료랑도 실기록이 너무 다르신데 망상 계열 쪽으로 병이 있으신건지 여쭤봅니다
@ewev4535
@ewev4535 Жыл бұрын
@@hiroono1 조선 측 사료가 맘에 안드시면 일본이나 중국 쪽 사료만 찾아보셔도 말씀하신 망상이 얼마나 허구인지는 드러나는 사실인데 참 삼국이 입이 잘맞고... 수상하네요 세상이 참 본인을 속이고 있는 것 같고 그런 생각 하면서 살고 계실 것 같아요
@hiroono1
@hiroono1 Жыл бұрын
@@ewev4535 첫째로, 일본 위키의 "文禄・慶長の役"을 읽고, 거기에 연결이 있는 많은 증거의 문헌을 읽으십시오. 그것이 무리한 경우 먼저 선조실록을 읽고 조선군이 전혀 도움이 되지 않고 선조가 서울을 버리고 도망쳐 조선민중이 선조에 돌을 던져 왕궁에 방화하고 반대로 일본 군에게 음식을 제공한 사실을 확인하십시오. 덧붙여 한국인은 초기의 「옥포해전」과 「한산도 해전」만을 이순신의 승리로서 과대하게 취급하고, 그가 죽은 「노양 해전」을 비극의 장면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문제는 그동안 많은 싸움이다. '부산포 공격', '구마가와 공격', '제2차 당항포해전', '장문포·영등포해전', '명량해전', '순천성 전투' 등 모두 이순신은 패전 혹은 도망을 계속했다. 실제로 일본군에서 사망한 장교는 크루시마뿐이며, 조선측의 사망한 장교의 수는 셀 수 없다. 이것을 조선측의 승리라고 생각하는 것은 바보스럽다.
@travelingboy_
@travelingboy_ Жыл бұрын
개차반인 진린도 이순신 장군에 감복하는데, 선조는 열등감과 두려움을 주체 못해 백성을 죽게하였네요 ㅜㅜ
@novuminitium9400
@novuminitium9400 3 жыл бұрын
타국 제독이 바라본 이순신 장군님의 등용문서는 임진왜란 중 이순신 장군님이 그동안 당했던 수모와 비참함, 그리고 활약이 그대로 담겨있군요. 같은 민족에게서도 등 돌렸는데... 볼수록 정말 대단하신 참군인, 이순신 장군님은 모두의 존경을 받아도 아깝지 않을 최고의 제독인 것 같습니다.
@user-kz4mv8kf6q
@user-kz4mv8kf6q 3 жыл бұрын
이순신장군은 정말 초인적인 분입니다
@HyundaiKIA_Sudden_Acceleration
@HyundaiKIA_Sudden_Acceleration 2 жыл бұрын
노량해전에서 이순신이 전사하고 명제독 진린이 그렇게나 매우 통곡하고 슬퍼했다고했는데 그 이유가 여기서 비롯되는군요....
@hiroono1
@hiroono1 Жыл бұрын
당초 일본이 조선수군의 힘을 가볍게 보고 있던 것은 사실이다. 그래서 배는 무장하지 않았다. 이순신이 기습을 했기 때문에 이에 대해 일본군이 와키자카군(동원정수 1500명), 9귀군(동원정수 1500명), 카토군(동원정수 750명)을 배치하여 배에 대포를 장비했다. 그러자 조선 수군은 싸울 수 없게 되었다. 영화 같은 전투 장면은 없다. 이순신은 전투 명령을 무시하고 도망쳤기 때문에 명예를 빼앗겨 병사에게 떨어졌다. 한국인은 이순신이 내부 항쟁의 희생이었다고 강조하지만 이순신이 전투 포기한 것은 사실이다. 이순신이 이긴 것은 초기 '옥포해전'과 '한산도 해전'뿐이다. 대표적인 싸움만으로도 '부산포 공격', '구마가와 공격', '제2차 당 항포 해전', '장문포·영등포 해전', '부산포 공격', '명량해전', '순천성 전투' 등 이후 이순신은 패전을 이어 많은 조선인 장교를 잃었다. 그리고 마지막 패배는 그가 죽은 '노양해전'이다. 각 싸움의 역사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그러면 조선수군이 패전을 계속한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순신에게 살해된 일본인 장교는 크루시마뿐이다. 조선측의 사망한 장교의 수는 셀 수 없다. 이순신의 전적은 2승 20패 정도다. 이순신은 전혀 도움이 되지 않았다.
@user-ut6rq4or9p
@user-ut6rq4or9p 3 жыл бұрын
이순신은 노량해전에서 살아 남아, 명으로 넘어가서 말년을 평안하게 보냈어야 했다. 후대 만만년 그 후손들이 그 빚진 마음 때문에 송구스러워하지 않도록.
@user-uy3yf2my4y
@user-uy3yf2my4y 3 жыл бұрын
이순신 장군님은 언제나 들어도 감탄을 금치 못합니다. 다시금 장군의 역량에 감복하며, 이에대한 명쾌한 설명에 또한번 감사드립니다
@user-kn4gi1to7q
@user-kn4gi1to7q 3 жыл бұрын
다른 나라의 장수가 국내 정치 상황을 이렇게 알아볼 정도면 눈에 띄게 이순신 장군을 괴롭혔다는거네요...그 당시 조정은 정말 답이 없었네요.
@ehrflq1234
@ehrflq1234 3 жыл бұрын
이거짘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oxoxking
@oxoxking 3 жыл бұрын
죽지 않은 건만 해도 진짜 큰 다행이죠
@jsgun6170
@jsgun6170 3 жыл бұрын
전쟁이나은 영웅을 조선이라는 그릇에담기 힘들었죠 당파당쟁싸움으로인해서요 반대로 고려의 여요전쟁 마지막 귀주에서 대회전으로 요나라 완전격파한 강감찬.강민첩 .김종헌 이런 전쟁영웅을 귀히대접한거와 사뭇다르죵
@user-zf9is7wf1r
@user-zf9is7wf1r 3 жыл бұрын
이 순신 장군님... 존경하고 존경하고 대단하고 성웅이시고 구국영웅이시고 어떤 수식어를 붙여도 그 공을 어이 표현할까요?
@user-zz7kd2oy9q
@user-zz7kd2oy9q 3 жыл бұрын
진린의 추천서가 사실이고 이순신이 죽지 않았다면 병자호란도 없었을 수도 있지 않았을까 생각해봅니다
@user-nn4eo4lc4u
@user-nn4eo4lc4u 3 жыл бұрын
대신에 이순신은 자기네 위인이라고 우기는 오늘날의 중국을 볼 수 있겠죠
@user-zz7kd2oy9q
@user-zz7kd2oy9q 3 жыл бұрын
@@user-nn4eo4lc4u 인구와 국력이 중국보다 약한게 천추의 한이 되네요 ㅠㅠ 저는 중국이 너무 좋아서 중국이 하나가 아니라 여러개였으면 좋았을 텐데 생각해보게 됩니다 ㅠㅠ
@jeonghyunkm1803
@jeonghyunkm1803 Жыл бұрын
@@user-zz7kd2oy9q차..참신한데?
@Joel-ux6bn
@Joel-ux6bn Жыл бұрын
만약에 이순신이, 노량에서 전사하시지 않으시고, 요동으로 넘어갔다면.. 거기서 나라 하나는 새로이 만드시지 않았을까요. 만력제라면 충분히 가능한 이야기. 근데 일단 조선은 임란 이후로 망했어야 할 나라… 그놈으 사림 개새끼들 때문에. 그 전보다 더 못한 나라가 되어갔지요.
@user-gg6lv6kz2n
@user-gg6lv6kz2n 2 жыл бұрын
개차반 진린이 저렇게 극찬일색이구나...참으로 대단하구나...역시 대왕이로다...선조 따위가 없었으면 임진왜란 따윈 고작 며칠이 끝이었을 텐데...명이 망하지도 않았을텐데...병자호란 따윈 있지도 않았을텐데...
@jerryys
@jerryys 3 жыл бұрын
강의 너무 좋습니다. 인성 개차반 포악 갑질왕 진린만도 못한 선조는 대체 뭐니?
@user-ew9vt6wl9n
@user-ew9vt6wl9n Жыл бұрын
조선의 세습, 궁중 꽃들의 암투, 간신들의 세력에 놀아난 무능한 일부 왕들 망국의 윈인 입니다
@mmss1226
@mmss1226 Жыл бұрын
와 명나라 진린이 정말 객관적인 글을 올렸었네요... 계속 임진왜란사를 보고 있는데, 새로 알게 되는것도 많고 너무 재미있습니다.
@user-ew7gx2ms3z
@user-ew7gx2ms3z 3 жыл бұрын
역사를 잊은 민족에겐 미래는 없다 라는 신념으로 자식들에게 역사를 잘 배우고 지식을 쌓으라며 가르치며 지내고 있습니다 황현필선생님 역사영상 재미있게 잘보며 전혀 몰랐던 역사지식 선조들의 희생 과 삶 들을 하나하나 배우네요 감사합니다
@user-gg6qb8nt4x
@user-gg6qb8nt4x 2 жыл бұрын
진짜 대단하시네요. 늘 감사합니다
@user-tj7xg7bx2z
@user-tj7xg7bx2z Жыл бұрын
이순신 장군님은 정말 천재십니다. 지금도 이순신 장군 같은 분이 나라를 다스리면 얼마나 좋을까요?
@casterization
@casterization 3 жыл бұрын
다시 올리셨네요. 복습하며 봐도 넘나 잼나고 통쾌합니다. 노량에서 생존하시고 선조가 중국 눈치보느라 차마 이순신 장군님을 해하지 못하고, 청나라와의 전쟁에 차출되어 전과를 올리고 그 공으로 만주 일부를 조선이 할양 받고... 명 황제의 간청에도 고향에서 여생을 마무리하겠다며 조선으로 금의환향하는 장군님의 모습... 이런 역사가 펼쳐졌다면 어땠을까.. 즐거운 상상을 해 봅니다. 선조 이 ㄱㅅㄲ야 아까운 장군님 살려내라 이 ㄱㅅㄲ야... 정말 선조는 부관참시해야 합니다!!!
@user-zg5ht8ru3x
@user-zg5ht8ru3x 3 жыл бұрын
이순신장군 1545년생 80세사셨어도 1625년.. 병자호란 1636년
@user-zl1gm8dr6g
@user-zl1gm8dr6g 3 жыл бұрын
너무 잘 배웠습니다. 감사합니다.
@ykim6774
@ykim6774 3 жыл бұрын
명나라의 실수네 이순신을 스카웃했더라면 청나라를 막아내고 아직도 명나라가 이어지고 있었을텐데
@pykp8627
@pykp8627 2 жыл бұрын
강의 너무좋아요
@Komiopa
@Komiopa 2 жыл бұрын
진린의 마음을 얻은게 아니라 존경을 얻었네요
@renbow6
@renbow6 2 жыл бұрын
18:30 와.. 남의 나라에서 온 패악질하는 넘도 다 아는 사실인데 조정에서만 모르네.. 진짜 우리나라는 .. 윗대가리들만 좀 제대로된 인물이 나면 크게 될거 같은데..
@user-mm9uz2tq5w
@user-mm9uz2tq5w Жыл бұрын
정말 자랑스럽습니다
@raonstay
@raonstay 3 жыл бұрын
선조는 방계자손이라 열등감이 거의 무쌍급이죠. 진린은 탐욕이 많은 자 같고 그런 이순신이 지혜롭게 잘 대처한듯 하네요 . 개인적으로 고금도에 가본적이 있는데 고금대교를 건너면서 지형이 험했고 주변 바다 조망도 좋았던 섬 같은걸로 기억나네요. 역시 통제영이 있을만한 곳이었네요. 그때 고금도에 충무공을 기리는 사찰이 있었는데‥감회가 새롭네요.
@user-ee3jd8hi9g
@user-ee3jd8hi9g Жыл бұрын
이번편이 제일 하이라이트 인것같습니다. 전쟁중에 다른나라 장수와 나쁜 선조의 중간에서 조선의 민중(장군)의 삶은 값지고 훌륭하다는것을 알게되었습니다. 개인적으로 이글의 추천서는 국립박물관에서 꼭 보고싶다는 생각마저 들게됩니다.
@CRUXIST111
@CRUXIST111 5 ай бұрын
작년에 본 강의 노량 관람 후 다시 정주행 합니다. 😅 절이도 사람입니다. 고향 이야기 나오니 너무 뿌듯하네요. 😊
@user-rb8rh8mx1g
@user-rb8rh8mx1g 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영상 재미있게 보았습니다
@jangkim2602
@jangkim2602 3 жыл бұрын
왕이 되셨어야
@user-iv1dd2xk3r
@user-iv1dd2xk3r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dz8cf4wh1g
@user-dz8cf4wh1g Жыл бұрын
강의 수준자체가 워낙 좋은것 알았지만 시스템도 이젠 고퀄이리티 입니다 ^^쓰으윽
@ok12911
@ok12911 2 жыл бұрын
명 제독 진린마저 눌러버린 이순신 장군님은 한국 역사상 최고의 슈퍼히어로입니다👍👍👍 아이언맨, 캡틴아메리카, 베트맨 저리가랏!!!
@hspark8850
@hspark8850 3 жыл бұрын
상황이 저러하니 오히려 이순신 장군은 노량에서 더욱 자신의 몸을 아끼지 않고 죽기로 싸우신 게 아닐까요? 어머니 돌아가시고, 아들 죽고, 왕은 끊임없이 의심하고, 용병이 되어 망해가는 남의 나라를 위해 명분도 없이 싸워야 한다는 생각. 정말 괴로운 심정이 아니었을지..
@TV-mh5ph
@TV-mh5ph Жыл бұрын
충무공만 생각하면 감동이 되고 눈물이납니다 하늘이 조선을 왜란의 위기에서 구하시기 위해 보내주신분입니다 선조는 졸렬하고 치졸한 인물
@user-bn9pn6cj6q
@user-bn9pn6cj6q 3 жыл бұрын
명 고위 인물들도 이순신 장군에 대해 찬사를 보내는데 정작 전쟁때 도망만 쳐다니던 선조나 조정대신들은 부정하네ㅉㅉ 요즘 스포츠 분야에서 미국, 영국 현지전문가들이 류현진 손흥민 월클이라는데 한국에서 깎아내리는 거랑 비슷한듯
@user-ss5lm8po8j
@user-ss5lm8po8j 3 жыл бұрын
손흥민 이전에 박지성도 우리나라에서 젤 많이 까였음ㅋㅋㅋ 그냥 본인들은 능력없어서 돈 많이 못 버는데 슈퍼스타들은 연봉 백억 이상씩 버니까 질투하는 거라고 봐야죠
@sonhyeongsoo
@sonhyeongsoo 3 жыл бұрын
차범근
@user-gw2zu5do2r
@user-gw2zu5do2r 3 жыл бұрын
유구한 전통(?)이군요.
@user-hq5xv8my9f
@user-hq5xv8my9f 3 жыл бұрын
ㄹㅇ 조선사에서 제일 미화된 인물 : 선조 유약하고 나약할 뿐만아니라 그냥 ㅂㅅ임금
@user-lp9dw4oi9y
@user-lp9dw4oi9y 3 жыл бұрын
류현진은 까이는게 맞아 돈받고 뛰는 프로선수가 팬 무시하는데 외국에서 잘한다고 그게 자랑스럽냐?
@user-tt9iw5uo5c
@user-tt9iw5uo5c 2 жыл бұрын
더구나 버팀목이 되어주던 서애 류성룡이 별세하니 얼마나 애통하고 힘드셨을 가요
@lapinpaul1481
@lapinpaul1481 3 жыл бұрын
크흐... 아무리 추켜세워도 모자란 위인... 이 순 신
@sg3082
@sg3082 2 жыл бұрын
명나라 스카웃제의 ㄷㄷ
@jaeyounghwang6404
@jaeyounghwang6404 3 жыл бұрын
감동의 도가니탕 이옵니다...... 흑흑.
@boscojohn6703
@boscojohn6703 3 жыл бұрын
응원합니다. ㅎㅎ
@user-oy4io2ju1l
@user-oy4io2ju1l 3 жыл бұрын
와,,,진짜 임진왜란 편은 봐도봐도 감탄만 나옵니다.
@kweonjheo254
@kweonjheo254 2 ай бұрын
이런 훌륭한 영상을 만들어 주신 황현필 선생께 감사의 인사를 전합니다.. 친일파들이 해방후 권력을 잡으면서 제대로된 역사교육이 이루어지지 못한것 같습니다.. 제가 진주에서 60년 가까이 살아왔는데도 황진장군에 대해서 황선생님의 강의를 듣고 처음 알게 되었습니다.. 좋은 영상 만들어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늘 건강하삽시요..
@HJKim-qo1ov
@HJKim-qo1ov Жыл бұрын
충분히 황제에게 추천했을법 함....선조같은 쓰레기 왕 밑에서 참 아까웠다고 생각했을거 같음....
@user-lq1hm1ri3h
@user-lq1hm1ri3h 3 жыл бұрын
진린이 원균보다는 나았던듯 ...
@rickkylee
@rickkylee 2 жыл бұрын
이순신장군께서 전쟁후에 명에 장수가 되어 조선으로 돌아와 선조를 만낫다면 흥미진진햇겟네요
@msg_wasabe1115
@msg_wasabe1115 2 жыл бұрын
싸움도 잘해, 청렴해, 머리도 좋아, 인복도 좋아... 이시대에 태어나셨다면 동북아 씹어드셨을듯
@joyeetasanyal751
@joyeetasanyal751 Жыл бұрын
ㅠ..ㅠ 들어도 들어도 너무 슬픈이야기
@낚시
@낚시 3 жыл бұрын
오늘 하루도 이순신 장군님에게 감사하며 하루를 보냅니다
@jaydaddy0578
@jaydaddy0578 3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미가있어 전립선이 떨렸네
@jinjin1955
@jinjin1955 6 ай бұрын
다시강의듣고 영화보러갑니다
@jg-tm6oy
@jg-tm6oy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는 참 어느시대를 봐도 정치하나는 끝내주게 못했음
@annechoi3378
@annechoi3378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hx1bg5uu5t
@user-hx1bg5uu5t 3 жыл бұрын
황쌤을 전국구 방송에서 보길~강단 사학자가 아닌 진짜 역사를 가르치는 그런~
@user-hx1bg5uu5t
@user-hx1bg5uu5t 3 жыл бұрын
Sbs빼고 지상파 방송들 다 거지~
@user-hx1bg5uu5t
@user-hx1bg5uu5t 3 жыл бұрын
Sbs는 x아치고요
@user-yc9op8bu8j
@user-yc9op8bu8j 2 жыл бұрын
와.. 만약에 이순신 장군님이 노량해전중에 자살한것이 맞다면 이순신 장군님은 명나라로 가서 목숨을 보전할수 있었는데 죽음을 택하신거네
@vov952
@vov952 Жыл бұрын
진린 장군도 밑바닥부터 차근차근 올라온 실력 있는 장수잖아요. 처음에 보인 포악한 태도는 평생 전쟁터 구른 무장이니 원래도 좀 포악한 면이 있기도 했겠지만 선조+다른 신하들이 너무 한심하고 짜증나서 더 그랬을 수도 있었겠다고 봅니다. 진린 입장에서는 아무리 황명이라지만 별 같잖지도 않은 한심하고 추하기 짝이 없는 소인배 왕과 그 조무래기들 지키려고 남 나라까지 가서 목숨 걸고 싸워야 한다는 게 얼마나 짜증이 났을까요; 하지만 호랑이가 호랑이를 알아 본다고, 이순신 장군도 진린이 어느 정도 장군인지는 알았을 거고, 도움을 받아야 하는 입장이기도 하니 신경 써서 대우를 해주었고, 진린도 바닥부터 기어 올라온 사람이니 이순신 장군의 됨됨이와 같은 장군으로서의 능력을 보고 진심으로 탄복하여 좋아하게 된 것 같습니다. 원래 순수하게 본인의 능력만으로 자수성가하고 직접 몸으로 싸워 올라온 자부심 있는 사람들이 남 평가에 더 정직하고, 한 번 인정하면 정말 순수하게 잘 대해주더라고요.
@user-kt1ce2ub3i
@user-kt1ce2ub3i Жыл бұрын
어제 한산 영화 보고 다시 이영상을 보는데....아직도 가슴이 뭉클해 집니다... 진린은 장군님을 ..존경하였던것 같습니다..그 포악한 진린도 말입니다.. 근데..우리 썩은 조정것들은.....ㅜㅜ
@mk2mk192
@mk2mk192 2 жыл бұрын
진린의 추천서는.. 정말 찌릿찌릿하네요
@TV-ju5iq
@TV-ju5iq Жыл бұрын
정말 이순신 장군님은 정말 대단합니다
@user-mn5mp2iv2o
@user-mn5mp2iv2o 6 ай бұрын
명나라 진린 이순신 장군의 목숨을 보존해 달라고 명황제에게 간곡한 글을 올릴 정도니 그들도 우리의 실상을 너무 잘 알고 있군요 진린장군 처음은 그랬지만 나중엔 고맙게 진심으로 이순신 장군과 함께 최선을 다 했군요 감사합니다 선조와 그 쓰레기들 잘먹고 잘 지내는지 오래 오래 행복하게 잘 살았다고 하는데 하늘은 있는지 궁굼하다 지금 현대 우리시대에도 이런 일이 반복되고 있다 애국이 도대체 무엇인가 생각하게 한다 애국하면 삼대를 빌어먹는다 이건 정말 아닌데 혼란스럽다
@user-ql2xq7ze2x
@user-ql2xq7ze2x 2 жыл бұрын
드라마나 영화에서는 진린 제독, 등자룡 장군을 너무 나쁘게 묘사한듯하다. 진린은 이순신 장군을 구하려 하셨고, 등자룡은 노장임에도 왜군과 장렬히 싸우다 전사하셨으니......
@user-wc4ws5ft2p
@user-wc4ws5ft2p Жыл бұрын
샘아 샘아 멋진샘아 59편 정주행완료 . 고마워 샘
@user-wc4ws5ft2p
@user-wc4ws5ft2p Жыл бұрын
@@user-tm4hw2mv2z 부모님 조치원 .부모님 현파주 거주 중 . 전 종로구 사직동 .
@user-wc4ws5ft2p
@user-wc4ws5ft2p Жыл бұрын
@@user-tm4hw2mv2z 수분크림님 걱정입니다. 오늘 전라도라는 댠어를 너무 많이 적으셔서 가족들이 걱정이네요. 오늘 모두 일찍 들어오라고 하고 밤늦게 어디나가지 마세요,진심 걱정 됩니다. 조심하세요. 원혼을 불러드리지 말고.
@user-wc4ws5ft2p
@user-wc4ws5ft2p Жыл бұрын
수분크림님 알겠습니다. 혹시 모르니 꼭 조심하시고 건강하세요. 그 형님도 처음에 그랬어요.김건희가 왜 청와대에서 나온지 아시잖습니까
@user-dc2io1tl8k
@user-dc2io1tl8k 3 жыл бұрын
진린이 착각한게 이순신이 왕권에 충성한게 아니고 나라와 백성에게 충성한 것임을 그는 몰랐지요 선조와 같이...
@user-vt6oo3wm5t
@user-vt6oo3wm5t Жыл бұрын
시청완료
@morninggloomy7840
@morninggloomy7840 2 жыл бұрын
갓순신형 사랑해요!!!
@gamecherryandtom2065
@gamecherryandtom2065 3 жыл бұрын
소드마스터 더 해주세요~~
@user-jy7cy3hs6m
@user-jy7cy3hs6m 3 жыл бұрын
참~~ 기가막힌 인물이네요 자랑스럽습니다
@user-jx2qs3vr4s
@user-jx2qs3vr4s 3 жыл бұрын
잘 보고 있습니다 ♥
@user-df9pd6pb3u
@user-df9pd6pb3u 9 ай бұрын
이순신 장군님 보고싶습니다. 사랑해요
@user-bv9yh5bm8e
@user-bv9yh5bm8e Жыл бұрын
진린이 황제에게 보낸 추천서 감동이다ㅠ 저렇게 대단하신 분을 선조와 원균 썩을놈들..
@kunwoocho2929
@kunwoocho2929 Жыл бұрын
중국인인 진린장군의 인성도 고쳐서 자기편을 만드신 이순신장군께서도 도저히 못 고치는 원균은 얼마나 폐급인거야...
@ktkim8945
@ktkim8945 Жыл бұрын
이순신이 진린을 요리하는 것 보면 그의 리더십을 다시 보게 됩니다. 물론 이순신 장군과 조선 수군이 거금도에서 일본수군을 격파하는 것을 보고 인정했는지 모르지만요 중국과 일본이 이순신 장군을 인정하는 것 보면 역시 객관적으로 대단한 인물임이 틀림없습니다. 👍👍👍🌿🌿🌿
@user-jy2ng8ts2t
@user-jy2ng8ts2t Жыл бұрын
이순신장군님은 다 알고 있었네. 이때 명에천거되어 진린과 마귀장군과 요동애서 보면 어땠을까.
@ecoecho6709
@ecoecho6709 3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잘봤습니다. 이순신장군님을 다시 한번 존경하는 강의였습니다.
@user-qr9up1io2q
@user-qr9up1io2q 3 жыл бұрын
진린이 군량 공급을 담당한 관리의 목을 참하지 않은것 만으로도 충분히 많이 참은것입니다. 왜냐하면 그만큼 군대에 군량과 말먹이 꼴은 생명과도 같은것인데 조선측에서 조달하기로 했던 것들을 해내지 못하였으니 무슨 할말이 있겠습니까? 또한 절이도 승전이후 진린 제독에게 충무공께서 " 나의 공이 곧 대인의 공입니다"라고 하며 그 전공을 양보하니 이는 진린이 충무공보다 상급자 였으며 그의 허락하에 치른 전투이므로 마땅히 진린을 치켜세운것이니 그야말로 지략가의 진면모를 옆볼 수 있는대목이라.... 부디 황선생께서는 "일본군" 표현을 "왜군"으로 정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
@simontempler5094
@simontempler5094 Жыл бұрын
2:10 선조의 시샘과 질투 견제가 어마어마했을 듯.
[임진왜란60] 히데요시 죽음. 조명연합군 13만명의 4로병진책
23:32
[임진왜란47] 백의종군, 이순신도 많이 울었다.
22:23
황현필 한국사
Рет қаралды 430 М.
PINK STEERING STEERING CAR
00:31
Levsob
Рет қаралды 23 МЛН
터키아이스크림🇹🇷🍦Turkish ice cream #funny #shorts
00:26
Byungari 병아리언니
Рет қаралды 25 МЛН
Always be more smart #shorts
00:32
Jin and Hattie
Рет қаралды 31 МЛН
Backstage 🤫 tutorial #elsarca #tiktok
00:13
Elsa Arca
Рет қаралды 48 МЛН
[임진왜란57] 이순신의 제국, 건설되는가. 어라? 이쯤되면...
24:02
최진기의 '우리가 알아야 할 진짜 일본의 역사' (2018)
23:53
오마이스쿨
Рет қаралды 1,9 МЛН
PINK STEERING STEERING CAR
00:31
Levsob
Рет қаралды 23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