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미 교수가 말하는 아이를 망치는 부모의 말투 |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조선미 교수 | 자녀 육아 부모

  Рет қаралды 791,759

하우투 : 하루를 우리에게 투자한다면

하우투 : 하루를 우리에게 투자한다면

Жыл бұрын

#조선미 #조선미의현실육아상담소 #하우투
국내 최고 자녀교육 임상심리전문가가 말하는
아이를 훈육할 때 절대 해서는 안되는 말들
1부 : • 효과적인 훈육을 위해 부모가 반드시 알아...
-
📚도서 [조선미의 현실 육아 상담소]
대한민국 부모 멘토 조선미 교수가 30년 연구와 임상 경험을 꾹꾹 눌러 담아
솔직하고 거침없는 화법으로 제안하는 훈육법
product.kyobobook.co.kr/detai...
-
[#지식플랫폼 #하우투]
========================================
하루 중 아주 잠시만 시간을 투자한다면 일어나는 우리 마음의 작은 변화를 전합니다.
라이프 에세이 프로젝트. 지식플랫폼 ‘#하우투’

Пікірлер: 361
@user-td3fz9qk3f
@user-td3fz9qk3f Жыл бұрын
교수님...천잰데..? '좋은 부모' 내려 놓겠습니다. '괜찮은 부모'도요. 그냥 하지 않아야 할 일들 덜하는 정도에 목표를 둬야지, 빚쟁이처럼 아이 대할 때마다 죄책감에 무너지지 않도록요. 말씀 위로가 되었네요. 감사합니다.
@user-hq7ov4ww6c
@user-hq7ov4ww6c Жыл бұрын
빚쟁이 같이 죄책감에 무너진다..는 표현이 와닿네요 저도 그랬는데 그러지 말아야겠어요
@user-tr8qx8uj6h
@user-tr8qx8uj6h Жыл бұрын
🎉🎉 1:47
@user-ok6em4nb3b
@user-ok6em4nb3b 11 ай бұрын
어떻게 보면 "좋은 부모"에 집착하는 분위기 이면에는 "좋은 자식"을 기대하기 때문이지 않나 그런 생각이 드네요. 교수님 말씀대로 부모는 부모고, 자식은 자식이다. 서로 단 하나뿐인 유일한 애착대상이란 본질에 접근하면 될것 같습니다
@soojinkim-ss2kn
@soojinkim-ss2kn 11 ай бұрын
:38 13:4 13:45 13:45 0 13:35 3
@soojinkim-ss2kn
@soojinkim-ss2kn 11 ай бұрын
14:08 14:14 14:09 4:09
@user-zr8np4nd6e
@user-zr8np4nd6e Жыл бұрын
좋은 부모란 없다. 같이 살아가는 대상이다. 라는 말씀 마음에 와 닿네요. 감사합니다❤
@cathypark2372
@cathypark2372 Жыл бұрын
ㅅ😅😅
@jua9545
@jua9545 9 ай бұрын
저도 딱 이부분에 뒷통수 맞은것 같았어요! 😅 좋은의미루요^^
@user-qm8hk1bw1h
@user-qm8hk1bw1h 11 ай бұрын
이곳저곳에서 육아 정보가 너무 많다보니 다들 너무많이 감정을읽어주려하고 너무많이 도와주려하고 너무많이 설명해주려하고 너무많이 칭찬해주고... 그러다보니 점점 예민하고 자기중심적인 아이들이 많아지는 현실인것같아요
@user-dp5sb3lr9m
@user-dp5sb3lr9m 11 ай бұрын
과유불급이죠 ㅜㅜ뭐든 적당히 해야지 너무많이 누가 그렇게 하라고 했나요 ㅜㅜ그런 유아교육이 애들을 망치네요 ㅜㅜ
@strawberrynmangokiss
@strawberrynmangokiss 10 ай бұрын
정말 공감돼요
@user-kz1cl3cs2t
@user-kz1cl3cs2t 3 ай бұрын
맞아요..하나하나 다 어떻게 공감해주면서 키우냐고.... 그러다 사회나가서 칭찬이나 격려 공감못받으면 좌절......... 절망
@user-rk6tv7pz4m
@user-rk6tv7pz4m Жыл бұрын
저희엄마가 항상그런말투를 썼어요 너는 어떻게 된애가 느려터졌냐 제대로하는게 하나도 없다 지아빠닮아서 느려터졌다 앓느니 죽지 등등..그래서인지 저는 누가안시켜도 잘하는애로자랐어요 이게 회사가선 엄청 좋은이미지로보이더라구요 요즘애들답지않게 알아서 잘한다고요 근데 저는 누가저를 비난하는게 발작버튼이에요 비난받기싫어서미리미리 잘하는거에요 그래서 남편하고 결혼후너무힘들었어요 작은비난도견디기힘들어서요 아이한테는 교수님이 말씀하신대로 잘해봐야겠어요 감사합니다
@k2amj2ik
@k2amj2ik Жыл бұрын
내가 쓴글인가?! 싶을정도로 저와 같으시네요. 저는 81년생인데, 이제 회사에서 저보다 나이 많은 사람, 직급 높은 사람이 몇 없어요. 나를 칭찬해줄 상사가 없다는것, 아무리 열심히 일을해도 잘하면 기본, 못하면 비난을 받는 위치가.. 어느새 되어버렸습니다. 이게.. 생각보다 견디기가 쉽지않아요. 제 심리상담 선생님 말씀으로 사람이 정서적인 힘듬을 꾹꾹 누르고 살아도 그게 마음으로 몸으로 더이상 숨기지 못하고 터져나오는 때가 40대라고 해요. 글 쓰신 분은 아직 20대거나 30대 초반 이실것같은데, 몸을 돌보듯 마음도 돌보시면서 스스로를 격려하며 살아가시길 응원할게요. 저는 제 마음이 아픈지도 모르고 20-30대에 일만하다 40대 워킹맘이 됐거든요. 글쓴이의 오늘을 응원합니다. 그동안 고생 많았어요. 오늘도 수고 많았어요. 잘 하고 있어요. 당신이 옳아요.
@user-fb9gw6pp8f
@user-fb9gw6pp8f Жыл бұрын
전 아빠에게 늘 그런말을 듣고 자랐어요. 그렇게 자라다 보니 항상 상대의 눈치를 살피고 나쁜 말 듣기 전에 미리 하는 습관이 생겼어요.. 직장에선 그런 부분 덕분에 눈치 빠르고 일 잘하는 직원으로 통했지만 그러다 한번 실수 했을 때 조금이라도 지적을 받으면 견딜 수가 없었어요. 사회에서 적당히 눈치보고 하고픈 말 딱딱 할 줄 아는 사람이 부럽더라고요. 아이를 낳고 기르면서는 더더욱 아빠가 원망스러워요. 다들 저랑 너무 비슷하신것 같아 위로 받고 갑니다
@angela-qi4hy
@angela-qi4hy Жыл бұрын
저도 그랬어요. 그런데.. 저의. 아이들에게 엄격하게 하고 있는 제 자신을 발견할때마다... 마음이 불편합니다...
@user-ok6em4nb3b
@user-ok6em4nb3b 11 ай бұрын
저랑 같은 엄마세요?ㄷㄷㄷ
@user-ky4xj1ri6y
@user-ky4xj1ri6y 7 ай бұрын
남편한테 불만이 자식한테 그런말을 할거 같네요 남편이나 부인이 밉고 하면 그런말을 하는거 같아요ㅜㅜ
@e.k.8835
@e.k.8835 Жыл бұрын
30년 임상 경험으로 해주시는 주옥같은 말씀…… 멋모르고 활개치는 감성육아 땜에 진짜 이건 안되겟다 싶어서 나오신듯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감사합니다
@yokm3320
@yokm3320 11 ай бұрын
좋은 부모될라 하지말고, 그냥 같이가는 존재라고 표현해 주신거 넘 위로가 됩니다. 고맙습니다
@eunjinlee5230
@eunjinlee5230 11 ай бұрын
뇌가 불안에 압도당하면 못배운다. 이 말이 기억에 남네요. 중요하네요
@TV-nw9ri
@TV-nw9ri Жыл бұрын
2010년 전후 육아서 및 육아전문가들의 아이에 대한 감정코칭이 다소 과하다는 생각을 항상 해왔는데 조선미 교수님의 말씀을 들으니 속이 후련합니다. 육아를 너무나 힘든 것으로 만든 과한 육아지침들이 결국 저출산에도 영향을 미친것이 아닐까요. 좋은 부모가 되려고 하지말고, 자녀와 양육은 성취의 대상이 아니니 그냥 함께 더불어 같이간다 라고 생각하라는 말씀에 공감과 위로를 받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sunny_piano
@sunny_piano Жыл бұрын
맞아요. 그 시기에 정말 육아서를 신봉하는 엄마들 주위에 너무 많았거든요. 아이가 다른아이를 때려도, 심지어 어른을 때려도 훈육을 안하고 아이의 마음을 듣는다며 왜 그랬니, 어떤마음이었는데 그런행동을 했니 이러면서 아이가 하는 얘기를 또 그대로 믿더라구요. 이미 부모의 권위는 땅에 떨어져서 아이는 거짓말을 하는게 눈에 보이는데도...참...그런 아이들이 성인이 되었을때가 저는 더 무섭습니다..
@user-sweetierinarinarinarina
@user-sweetierinarinarinarina Жыл бұрын
​@@sunny_piano 육아서때문이 아니고 부모탓이죠
@user-sweetierinarinarinarina
@user-sweetierinarinarinarina Жыл бұрын
육아서를 잘못이해한부모탓이죠ㆍ육아서는 다 그시대아이들과 부모를 몇년씩 역학조사하고 그 연구결과토대로 나온거지 그냥 기분내키는대로 한달만에 쓴게아닙니다ㆍ
@gonggamhi36
@gonggamhi36 11 ай бұрын
특히 성공한 자녀들의 엄마 육아를 표본으로 방송하는 언론이 한 몫 했죠.
@user-io3sc2nc5k
@user-io3sc2nc5k 11 ай бұрын
역시 쩔어!
@user-bi4pf1sr3s
@user-bi4pf1sr3s 11 ай бұрын
애 감정읽어줘야 아이에게 친절한부모, 좋은부모 인것 처럼 세상이..육아서 또는 여러매체들이요. 그래서 나도 친절하고 좋은부모가 되고싶어서 매순간 공감해주고 칭잔해주고, 그런데 힘들다. 왜 애키우는게 힘들지? 나도 욕들어먹고 칭찬안받고 내감정안읽어줘도 이렇게 좋은엄마가되려고 노력하는 일반적인사람으로 잘 컷는데? 그냥 난 일반적인 애한테 솔루션육아하고있었어요. 그래서 힘든거였어요. 매순간 마다. 마음읽어준다는 명목하에 애원하고 선택지를 줘서 굳이해도되지않는 감정놀음을. 요샌 내려놔요. 그냥 해야할것 하지말아야할것. 그래서 조금은 편해지려고요^^
@do_hs
@do_hs Жыл бұрын
자존감은 사랑, 자신감은 경험. 부모라는 존재만으로의 가치. 공감가는 영상입니다
@user-lm1sn6xr4w
@user-lm1sn6xr4w 10 ай бұрын
정리 깔끔하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Stellayoo0620
@Stellayoo0620 11 ай бұрын
지금 성인이신 분들은 사실 다 알잖아요? 너가 맞아 그래그래 우쭈쭈 힘들었지 하며 혼날일에 제대로 혼도 안나고 키워진 아이는 사회 나와서 다른 아이들에 비해 배로 상처받고 배로 힘들어한다는 걸. 온실속의 화초라는 말이 왜 있게요. 온실 안에서밖에 못 큰단거죠. 결국 지금 상처 안주고 기 안 죽이겠답시고 본인 아이 평생 남들보다 더 상처받고 더 기죽게 키우는거에요. 집 밖의 사람들이 자신에게 관대하지 않고 자기가 뭘 하든 다 받아주지 않는게 당연한데도 거기서부터 이미 적응못하고 상처받죠.. 역치가 낮아진다는 말씀 정말 공감합니다. 제일 괴로워질 사람은 결국 본인 아이입니다.
@hsa1226
@hsa1226 11 ай бұрын
교육부장관으로 모셔가야됩니다 진짜
@Mollys1129
@Mollys1129 11 ай бұрын
전 조선미교수님..책 중 '영혼이 강한 아이로 키워라' 넘 인상깊게 읽었어요.제 생각의 육아는 아이들을 멋지게 독립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거라 생각했거든요.사회에서 살아나가려면 이겨내는 힘이 필요한게 맞다는 생각이 요즘 많이 듭니다.조선미교수님~항상 좋은 강연.말씀 감사합니다~^^
@user-no6yn9lc1n
@user-no6yn9lc1n 11 ай бұрын
제발 마음읽기 제대로 배우길 요즘엄마들 마음읽기 너무 남용. 애들 너무 약하게 키우는데 저 교수님과 삐뽀삐뽀 소아과 의사샘 너무 공감됩니다. 안되는건 그냥 안되니까 혼날나이면 혼내면 됩니다. 옳고 그름 가르치는일은 마음읽기 노노! 너무 나약하게 키우지말길
@user-og2px6ci2d
@user-og2px6ci2d 10 ай бұрын
조선미 교수님과 하정훈 삐뽀 선생님 두분이 일맥상통히는 부분이 있음 아이에게 너무 많은 물질적(장난감,육아템) 풍요를 주지마라는 하정훈쌤 말씀들이 떠오르네요. 요즘 뷰모들에게 필요한 두 분이십니다. 너무 애쓰고 많은걸 투자하려는 뷰모들이 육아는 힘들다고 생각하게되죠ㅠㅠ
@bkjang9017
@bkjang9017 7 ай бұрын
13:25 아이들 보는 직업인데 위로를 자주 해줘서 위로의 역치가 낮아진다는 말 너무 공감갑니다 뭐만 하면 자기가 제일 속상하고 자기가 위로받아야하고 이러더라구요 그아이들한테도 세상이 억울하게 느껴지고 좋지 않을텐데 말이죠
@user-kz1cl3cs2t
@user-kz1cl3cs2t 3 ай бұрын
공감이요
@ayeong_322
@ayeong_322 11 ай бұрын
현직 교사인데 제가 하고있는 교육이 맞았다는 걸 교수님의 말씀을 통해 확인합니다. 이렇게 영상 만들어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_^
@ayeong_322
@ayeong_322 6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7Hggul5sori
@KoreanAjumma_inGermany
@KoreanAjumma_inGermany 11 ай бұрын
"자식에게 잘 해주려고 하지말고, 그냥 같이 간다"라고 생각하라는 말씀에 공감하는데, 그게 엄청 쉬운 것 같지만 지키기가 쉽지 않아요.
@user-qc9rt9yf4s
@user-qc9rt9yf4s 11 ай бұрын
어찌보면 그냥 적당히 대충 키우는 것도 좋은 것 같아요 어찌보면 자기와 아이를 동일시해서 너무 감정이입을 하고 있는 부모들이 많다는 생각도 들어오
@user-kz1cl3cs2t
@user-kz1cl3cs2t 3 ай бұрын
맞어요..그런 불필요한 감정이입들이 자식들을 더 나약하게 만드는거 같습니다 역효과...
@miheeyang8289
@miheeyang8289 Жыл бұрын
전세계 유튜브 합쳐서 훈육과 관련된 강좌 하나만 보라고 한다면 단연코 이 강좌!!!! 1
@user-iy6di6bz3p
@user-iy6di6bz3p 11 ай бұрын
선생님 덕분에 손발이 오그라들지 않는... 자연스럽고 편안하지만 부모의 권위를 아이들이 받아드릴수있는 육아를 알게 됐어요!! 감사합니다.ㅎㅎ 항상찾아보고있어요..
@mmmyoon5611
@mmmyoon5611 Жыл бұрын
왜 좋은부모가 되려는지 모르겠다. 말씀하시는 부분에 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좋은 부모가 아니더라도 유일한 존재인 부모인데. 좋은 부모가 되어야한다는 압박과 부담감이 덜어지니 앞으로 잘 할 수 있을까라는 육아 공포증이 있었는데.. 아이에 대한 부담도 공포도 줄어드는거 같습니다. 더불어 살아가는 대상! 이 생각이 정말 중요한거 같아요. 감사합니다!
@eclatoh
@eclatoh Жыл бұрын
뜬구름 잡는 이야기가 아니라 진짜 현실적인 조언에 갑자기 막판에 울컥 하네요. 항상 깊은 가르침 주신 조선생님 더욱 건강하시고 행복하셔요 🥰👍🤩 대부분의 부모교육 영상들은 보고 나면 자괴감과 죄책감이 드는데ㅠㅠ 선생님 영상은 뭔가 위안이 되고 마음이 정화가 되고, 또 용기도 살짝 납니다.🧡😃 사랑해요 조선생님 너무 고맙습니다.
@user-xi9sd5gi1p
@user-xi9sd5gi1p 11 ай бұрын
교수님이 티비나와서 이야기해주셨으면좋겠네요 요새 마음읽기가 이게맞나? 싶었거든요 애가떼가심해지는거 같은데 하는 느낌이라서요 속이시원하네요ㅎ 요새 육아는 좀과한거같아요
@higogogogo189
@higogogogo189 10 ай бұрын
조선미 교수님 감사합니다.. 교권이 무너지고 비상식적인 학부모때문에 너무 힘든 세상이되옸어요..
@user-et2xr4xk8m
@user-et2xr4xk8m 11 ай бұрын
결혼 후 아이를 낳기전 이런 간단명료한 부모교육을 필수로 받는 문화가 생기면 좋겟네요. 그러면 훨씬 건강한 사회가 될것 같군요.
@user-joyfulinJ
@user-joyfulinJ Жыл бұрын
경험이 자신감과 관련되어있다는것, 능숙하게 될때까지 견디어내는것.. 그것이 더 자신감을 갖게 된다는것 기억할께요.
@sjn5137
@sjn5137 11 ай бұрын
10년전에 EBS60분 부모 나오셔서 좋은 말씀 많이 해주셔서 책도 사서 보고 했었어요. 오은영박사님과 조선미교수님 두분 참고 하면서 아이들 키웠습니다. 어느날 부터인가 방송에 안나오셔서 아쉬웠는데 요새 이렇게 다시 뵙게되니 넘 방가워요~ 자주 나와 주세요
@flower7023
@flower7023 11 ай бұрын
져듀요 부모60분보며 아이둘 육아에 많이 도움이되었네요 벌써 아이가 성인이 되었어요
@user-hh5ll4no6n
@user-hh5ll4no6n 11 ай бұрын
저도 60분부모 매일 봤어요
@user-hh5ll4no6n
@user-hh5ll4no6n 11 ай бұрын
요즘 금쪽이 방송보면 거의 엄마들이 너무 애한테 깊숙히 관여해서 역효과가 나는것도 많은거같아요
@user-ns9wn7by7x
@user-ns9wn7by7x Жыл бұрын
최고 👍
@pinkstar7
@pinkstar7 Жыл бұрын
교수님 감사합니다 💕
@kakagaga1092
@kakagaga1092 11 ай бұрын
이렇게 깔끔하게 딱 정의 내려주셔서 감사해요!!!!
@thekey4697
@thekey4697 11 ай бұрын
요즘 육아정보가 너무 많아서 어줍짢게 적용해서 버릇없는 애들이 너무 많은데. 교수님 강의는 강단이있는 훈육이라 배울게 많은거같네요❤
@samgisa
@samgisa 11 ай бұрын
마지막 말씀 울컥합니다. 세상 모든 ‘그냥 부모’ 힘냅시다.
@user-in1bm5fx4w
@user-in1bm5fx4w Жыл бұрын
영상 10번 이상 계속 반복해서 봤습니다. 요즘 고민되었던 부분과 앞으로 어떻게 나아가야 할지 방향성을 잡을 수 있었던 명강의 였습니다.
@user-ox9nu5ec8k
@user-ox9nu5ec8k Жыл бұрын
와... 우연히 듣게됐는데 너무 좋은말씀인것같아요❤❤
@rambo3748
@rambo3748 11 ай бұрын
진짜 진짜 진짜로 너무 좋아요ㅜㅜ
@user-dy3ky3cv8w
@user-dy3ky3cv8w 9 ай бұрын
모든 육아 강의나 책이나 보고 나면 꼭 아이에게만 아니라 남편에게도 적용 된다는 걸 느낌…
@user-zc7sg9oh9x
@user-zc7sg9oh9x 7 ай бұрын
요즘 매를 한 번 씩 드는데 영상 보면서 발로 쓰레기통에 버렸어요. 참 어렵네요. 그래도 엄마니깐, 부모니깐 노력해야겠죠.
@warm_hearted_
@warm_hearted_ Жыл бұрын
마음이 한결 가벼워졌어요, 육아부담이 엄청났는데,,, 홀가분해졌어요 감사합니다!!!
@user-nq3zg2vu9v
@user-nq3zg2vu9v 10 ай бұрын
강의 잘들었습니다.👍👍감사합니다😊
@user-em6yq6vi7p
@user-em6yq6vi7p Жыл бұрын
명쾌하고 정확한 설명과 에시 감사합니다 ❤❤
@NamuJung
@NamuJung 10 ай бұрын
조선미 교수님 말씀이 현실에 적용하기에 가장 맞는 것 같습니다. 현실적인 코칭 감사드려요.
@user-hk4fm7ql4p
@user-hk4fm7ql4p 11 ай бұрын
마지막 말씀 너무 깊이 공감되네요~~~~ 늘 자존감을 어떻게 키워줘야 하나 고민했었는데… 감사합니다 :)
@kycho5177
@kycho5177 11 ай бұрын
학교에서 적용가능한 교육방법도 꼭 강의 부탁드려요. 한반에 금쪽이들이 3명은 되는 실정입니다. 그 어떤말도 안듣는 아이들은 어떻게 해야 할지 너무나 힘든 시기입니다...
@user-ok6em4nb3b
@user-ok6em4nb3b 11 ай бұрын
그 3명 중에 2명은 학부모가 문제일듯..
@Rosa-gf9hr
@Rosa-gf9hr 11 ай бұрын
@@user-ok6em4nb3b 세명다 학부모가 문제 일거같은데요 ㅜㅜ 학부모가 참여하지 않으면 선생님이 아무리 노력해도 되지 않을텐데 안타깝네요
@katelee7897
@katelee7897 11 ай бұрын
사회에 범죄자, 사기꾼들이 넘쳐나는데 미래 그런 아이들도 학교를 다니니 자연스런 겁니다. 뭣모르고 교사된게 잘못인듯합니다.
@dri13829
@dri13829 10 ай бұрын
@@Rosa-gf9hr 학부모의 교육 문제도 있지만 유전의 문제도 있죠....... 사실 문제가 많은 아이들은 부모도 어렸을 때 비슷할 수 밖에 없다 봐야죠. 부모의 유전자가 어디 가는 것도 아니고 부모의 장점만이 아니라 단점도 합쳐지는 것이니 더 심각해질 가능성이 크지 줄어들 가능성은 낮다 봅니다.
@Rosa-gf9hr
@Rosa-gf9hr 10 ай бұрын
@@dri13829 그쵸 근데 벙적인 문제가 아니리면 다 누울자리르루보고 다리를 뻗는답니다.. 에이에치디도 부뮤가 권위를 ㅛㅔ우고 어릴적에 좀 잡는것도 칠요하더라구요 안그럼 사춘기때 헬이 됨
@mindolkim7121
@mindolkim7121 11 ай бұрын
좋은 부모 되고싶어서 봤는데 마지막 덤덤한 말씀이 더 위로가 되네요. 아이에게 해가 되지 않도록 옆에서 안정적인 관계로 있어주려고 노력하겠습니다!!
@user-oc3bx2hh1y
@user-oc3bx2hh1y 10 ай бұрын
구구절절 맞는말씀입니다.. 경험이야기도 해주시니 더 신뢰가 가네요 감사합니다
@jihyekim8301
@jihyekim8301 9 ай бұрын
와 저 정말 온몸에 소름입니다. 평소 흔하게 들어왔던 내용과 반대처럼들릴만한 이야기들.. 아주 현실적이고요 이게 진짜 제대로 키우는 법 같아요. 몇번이고 돌려보고 마음속에 익혀야겠습니다
@user-yz1on1qh9g
@user-yz1on1qh9g 9 ай бұрын
가장 실질적인 조언을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ds1rr8jz5d
@user-ds1rr8jz5d 11 ай бұрын
우연하게 보게됫는데 정말 최고에요 현실적으로 너무 와닿습니다 감사해요
@dan-sk4to
@dan-sk4to 2 ай бұрын
교수님정말 현실적으로 말씀해주시고 감사해요❤❤❤❤😂
@user-mo4rd1wl8g
@user-mo4rd1wl8g 11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는 너무 한쪽으로 치우치는게 문제 어느 유명한교수님이 문제가 있다는게 아니고 다양한 교수님의 조언을 듣고싶다 손주를 돌보는 할머니가 현실적으로 조선미교수님 말씀이 많이 도움이됩니다 고맙습니다~
@hhj.w1115
@hhj.w1115 11 ай бұрын
마지막말씀이 와닿네요.. 좋은 내용 나눠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fx4sr6ov9g
@user-fx4sr6ov9g 11 ай бұрын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큰 힘이 되었어요❤
@user-xy8en2dy3x
@user-xy8en2dy3x 4 ай бұрын
마지막말이 정말 와닿네요. 좋은 부모는 없다. 좋은말씀 감사합니다.
@user-un8td4gl7g
@user-un8td4gl7g 11 ай бұрын
필드에서 수많은 상담을 통해 화려한 양념없이 현미밥처럼 콕콕 씹어 바로 마음에 새겨지는 조언들이 너무 좋습니다. 존재만으로 좋은 엄마라는 걸 8년만에 알았다니... 엄마로 곁에 살아있다는 존재로서의 자존감을 오늘부터 꽉 붙들고 또래아이가 하는 것을 잘할때까지 봐주며 지나친 칭찬을 절제하겠습니다.
@jieunkim3745
@jieunkim3745 11 ай бұрын
마지막 자신감 자존감 너무 와닿아요
@Rosa-gf9hr
@Rosa-gf9hr 11 ай бұрын
👍🏻 너무 좋네요!!!!!!!
@Kun-hoKim
@Kun-hoKim Жыл бұрын
다들 잘 키우고 싶은 마음에 이 영상 저 영상 찾아보고 시도해보고 하다가 되려 실패하고 좌절하고 하게 되는데, 현실적인 수준에서 딱 할 수 있는 만큼을 말씀해주셔서 좋아요. 😊
@user-jh9kw9fd3t
@user-jh9kw9fd3t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kim-kk8ps
@kim-kk8ps 11 ай бұрын
현실적인 말씀 도움됩니다. 감사합니다!^^
@jennykim2388
@jennykim2388 9 ай бұрын
타임라인을 잡을 필요가 없을 정도로 처음부터 끝까지 버릴게 하나 없는 강의에요. 감사합니다 😊
@user-dw9wh5xw1r
@user-dw9wh5xw1r 11 ай бұрын
중요한 말씀 잘 듣고 갑니다^^❤
@avacha9501
@avacha9501 7 ай бұрын
그렇지만 솔직히 둘러보면 키우기 편한 아이가 있고 어려운 아이가 있는건 맞는거 같아요!!!!
@user-pv1co5pc8e
@user-pv1co5pc8e Жыл бұрын
좋은말씀 감사드립니다. 머리와 가슴에 새기고 육아할게요❤
@hklee4525
@hklee4525 10 ай бұрын
그냥 같이 간다 너무 위로가 됩니다 감사해요❤
@vennelevering-hr9mk
@vennelevering-hr9mk Жыл бұрын
더불어 살아가는 대상...... 아... 짊을 내려놓는 듯한 기분이 드네요. 고맙습니다. 교수님!!!
@user-tq5yl8zg5i
@user-tq5yl8zg5i Жыл бұрын
한번으로는 부족한 영상이네요. 여러번 다시 봐야 겠습니다. 교수님 좋은 말씀 넘넘 감사합니다. 힘이 되네요!
@user-fybjsrj
@user-fybjsrj 11 ай бұрын
상황에 몰려 컴퓨터를 부수게 되는..😅😅 공감 백배입니다! 제 말에 제가 걸려 넘어지지 않도록 말 습관을 돌아볼게요. 교수님 정말 감사합니다!
@user-hn7ol2xj3c
@user-hn7ol2xj3c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threegonggong
@threegonggong Жыл бұрын
아주대 조선미 교수님 !! 유명하시죠~ 좋은 이야기 감사합니다
@user-jm4yu5kq6i
@user-jm4yu5kq6i 11 ай бұрын
엄마는 중요한 존재가 아니라 유일한 존재다....❤ 그렇군요 명심하겠습니다 😂😂
@user-hq8ye2zz9g
@user-hq8ye2zz9g 7 ай бұрын
한마디 한마디 놓칠 말들이 없습니다.. 집중해서 듣게 되네요 현실적인 조언 감사합니다^^
@yjg1457
@yjg1457 11 ай бұрын
와~ 마지막 말씀 정말 위로가 됩니다. 좋은 부모가 되어야한다는 부담감이 저에게 죄책감을 느끼게 하더라구요...
@hannahoh8372
@hannahoh8372 11 ай бұрын
와우~~완전동감!!! 잘 들었습다❤
@user-ou2ut8kh9d
@user-ou2ut8kh9d 10 ай бұрын
한창 힘들때 조선미 교수님의 영혼이 강한 아이로 키워라 를 읽고 정말 많은 위로를 받았었습니다. 유튜브에서 뵐수 있어서 너무 좋습니다.
@speranza1912
@speranza1912 10 ай бұрын
교수님 강의는 항상 명쾌하고 방향을 제시해주셔서 정말 도움이 돼요 잘해주려고 하지말고 같이 가야한다 깨닮음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JSSong-ot2jx
@JSSong-ot2jx Жыл бұрын
ADHD성향이 있는 외 손주를 둔 할머니입니다. 이제 열 살인데 아이와 주 양육자인 딸 사이에서 어떤 자세로 균형을 잡아야 하는 지 고민이 많습니다. 때론 아이의 태도에 너무 화가 나서 아이에게 화를 폭발하고 후회하기도 합니다. 제 아이 키울 때보다 더 힘드네요. 이웃에 가까이 살아서 저녁 무렵 일과 끝나면 꼭 저희 집에 와서 쉬다가 가곤 하는데 이제 십 대에 들어서면서 점점 아이 다루기가 힘들어집니다. 교수님의 차분하신 말씀듣고 도움이 많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saltmakers
@saltmakers 11 ай бұрын
정말 좋습니다!
@user-ci7wk5jj1w
@user-ci7wk5jj1w 9 ай бұрын
진짜 저의 롤모델이고 싶네요. 여러번 반복해서 봐야겠어요. 감사합니다.
@Sarah-vl8fh
@Sarah-vl8fh 11 ай бұрын
그냥 부모가 되라. 자녀와 양육은 성취를 해야되는 게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대상이라고 생각해라. 잘해주려고 하지 말고 같이 간다고 생각해라. 교수님 말씀이 큰 위로가 됩니다. 감사합니다.
@user-qp6pi8pc4x
@user-qp6pi8pc4x 10 ай бұрын
와....진짜 대박 명강의네요 이닦는걸안하려해서 진짜 악에받쳐...잔소리 하던 제게~놀라운강의입니다
@mikyu2000
@mikyu2000 10 ай бұрын
교수님 말씀에 백번공감합니다 지나친 칭찬과 감정공감은 잘못된 거란걸 예전부터 느꼈는데 그게너무지나치다는걸 옳은말씀 다시한번 공감하고갑니다 자녀와함께가는 그런부모될게요
@user-jr3pk4mu3l
@user-jr3pk4mu3l 4 ай бұрын
아이들 감정을 공감해주는건 필요해요. 교수님 말씀처럼 짧게 공감하고 너무 과하지 않게 ... 필요한건 그상황에서 어떻게 대처 해야하는지를 가르쳐야할것 같아요. 칭찬도 짧게 구체적으로 아이들 규칙 정해놓고 지키도록하고 지켜보면서 잘 안되는 부분은 가르쳐주면서 성장하는걸 칭찬해주면 효과가 크더라구요. 교수님 말씀처럼 경험과 자존감을 키워주는게 중요하더라구요. 좋은 말씀 잘 들었습니다.
@user-rg1sl7hh6y
@user-rg1sl7hh6y 10 ай бұрын
있으면 되는거다..진짜 감동입니다 좋은 엄마 안같아서 많이 힘들었거든요^^ 감사합니다
@ssulee11
@ssulee11 11 ай бұрын
너무 콕콕찔렸습니다.. 아이가 불안도가 높아서 왜그런지... 했는데 저의 말때문인거같아요.. 이영상을 지금이라도 본게 너무감사합니다.
@lIIllIllII
@lIIllIllII 11 ай бұрын
요즘 유행하는 육아법이 진짜 맞나 싶은 회의감이 들던 차였는데 속이 뚫리는 느낌이네요. 감사합니다
@user-tc3ui7mw7s
@user-tc3ui7mw7s 6 ай бұрын
정말 좋은 가르침이네요.
@selenaju1957
@selenaju1957 2 ай бұрын
마음읽기는 감정을 부정하지 말라는 정도로 해라.. 너무나 중요하신 말씀이에요.
@user-bt2vl1pj8n
@user-bt2vl1pj8n 10 ай бұрын
마음읽어주기의 부작용을 모든 부모님들게서 이해해야하는 거 아닐까요? 이 강의 필수입니다.
@user-hh5ll4no6n
@user-hh5ll4no6n 11 ай бұрын
예전부터 선생님 육아가 저는 더 편안하고 솔직하신거 같아 좋습니다
@user-tl3lu2po1z
@user-tl3lu2po1z 11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 받았습니다😌
@user-mm3lq1dl1k
@user-mm3lq1dl1k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좋은말씀 늘 감사합니다~
@JL-ce8bo
@JL-ce8bo 10 ай бұрын
자존감 : 아이를 사랑해주면 생긴다 자신감 : 성취의 경험! 교수님 말씀 듣고 죄책감과 버거움 많으 내릴 수 있었어요 은연중에 좋은 엄마가 되어야 한다는 압박감이 있었나봐요 늘 감사합니다!
@user-dd8kx1qb1p
@user-dd8kx1qb1p Жыл бұрын
흥분하지 않고 언제나 차분하시고 공감되는 주옥같은 말씀 또한 현실상황에 바탕을 둔 전문가님의 생각들 출가한 아들 둘 키울때도 도움 되었었'는데 5세 손자까지 이렇게 큰도움이되니 너무나도 고마울따름입니다 어디 아프지 마시고 평안한 나날되십시요ㆍ
@donyang79
@donyang79 11 ай бұрын
요즘 애들은 너무 자기가 최고 . 자기 감정 조절도 못하고 자기 변명에 급급 한구 같아요 . 그게 마음을 잘못 읽어준 부작용 같았는데 그기준을 알게 되었어요
@miraclebygrace
@miraclebygrace Жыл бұрын
아...너무 모호했던 기준이 분명해졌어요. 단호한 엄마인데 요즘 감정을 잘 알아줘야한다해서 너무 혼란스러웠는데 어떤방식으로 해야할지 분명해졌습니다. 너무감사합니다!!!
@user-wl8if2sm2p
@user-wl8if2sm2p 11 ай бұрын
오래전에 에서 교수님 말씀 참고 많이 하면서 아이키운엄마입니다~ 너무너무 반갑습니다~ 다시 들어도 역시! 라는 말이 나오네요~~^^ 좋은말씀 감사합니다~
@YL-rf5pf
@YL-rf5pf 7 ай бұрын
마지막 말씀 눈물나게 감사합니다.❤
@user-kw9lq7ji4v
@user-kw9lq7ji4v Жыл бұрын
와... 이 영상 최고네요!! 위로를 너무 많이 해 주니 점점 더 자주 위로를 해 주게 되더라고요ㅠ 잘 가르치겠습니다!!
@user-fv8ki2um2m
@user-fv8ki2um2m 8 ай бұрын
결론. 뭐든 과하면 좋지않다. 칭찬도 위로도 내 자식 자존감 키워주는 것도.. 너무 잘 하려는 것도.. 감사합니다♡
ПЕЙ МОЛОКО КАК ФОКУСНИК
00:37
Masomka
Рет қаралды 10 МЛН
Cute Barbie gadgets 🩷💛
01:00
TheSoul Music Family
Рет қаралды 70 МЛН
Как быстро замутить ЭлектроСамокат
00:59
ЖЕЛЕЗНЫЙ КОРОЛЬ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
ПЕЙ МОЛОКО КАК ФОКУСНИК
00:37
Masomka
Рет қаралды 10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