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점검] K9A2 영국 수출 실패 -2부- 우리도 차륜형 자주포가 필요할까?

  Рет қаралды 222,245

샤를의 군사연구소

샤를의 군사연구소

Ай бұрын

채널에 가입하여 혜택을 누려보세요.
/ @user-charlesmililab
샤를 세환이 제공하는 밀리터리의 세계.
무기, 전쟁사, 밀리터리 이슈 등 밀리터리에 대한 모든 것을 총 망라한 종합 밀리터리 채널
광고 및 섭외 문의 : charlesmililab@daum.net
#샤를세환 #이세환 #샤를의군사연구소 #밀리터리 #무기 #전쟁사
샤를의 군사연구소는 '연합뉴스'와 저작권에 대한 업무협의 계약을 채결했습니다.

Пікірлер: 579
@user-vl7hp5eu8g
@user-vl7hp5eu8g Ай бұрын
묵묵히 지주국방에 힘쓰시는 모든 엔지니어분들 응원합니다~~~
@CoSinKee
@CoSinKee Ай бұрын
3:18 "우리나라는 까라면 까고/야근비만 챙겨주면 물량 뽑아낼 역량이 있습니다." ㅋㅋㅋ 미치겠다 진짜.. 욕도 아까운 멘트...본인 생각이슈?? ps: 엔지니어들 응원합니다
@user-kt5gm3zh5w
@user-kt5gm3zh5w Ай бұрын
차륜형 자주포가 필요했으면 진작에 육군에서 소요 제기했지. 수출좀 하겠다고 우리군에 필요없는 차륜형을 만든다? 무기의 본질은 자국을 지키는게 0순위고 수출은 일종에 보너스 일뿐이다. 괘도형이 필요한 국가에 팔면 된다.
@Dobbongu
@Dobbongu Ай бұрын
궤도
@ethenlee3875
@ethenlee3875 Ай бұрын
저기다 저압포 싸야하겠죠...
@user-xh1sl2ni7y
@user-xh1sl2ni7y Ай бұрын
옳소...손익분기가 안남
@user-hv4ws8rv2x
@user-hv4ws8rv2x Ай бұрын
사기업에서 개발하면 그만인데 요즘은 과거처럼 국가주도 개발이 아님. 호주 레드백은 한화 자체개발 수출임
@user-yz3hu3hu4x
@user-yz3hu3hu4x Ай бұрын
@@ethenlee3875 ㅋㅋㅋ 저압포를 왜씀? 저압포 쓰면 사거리가 줄어드는데 저반동포를 말하는거겠죠 아직도 이거 구분을 못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저압포(LOW PRESSURE)는 장약의 양을 줄열서 사용할수있게 만든거고 그래서 이거 쓰는 나라가 러시아 말고는 없어요 그것도 벙커등 파괴용으로 나온거고 BMP-1, 3에 적용된 76MM 와 100MM가 대표적인 저압포 탑재 차량이고 그외 영국, 프랑스등 서방에서 적용된건 전부 퇴출되었습니다. 쓸모가 없어서. 그래서 현재는 고압포와 저반동기술을 적용한 저반동포가 대세입니다. 그리고 K9A2는 저반동기술이 적용되었습니다.
@ikhong453
@ikhong453 Ай бұрын
100%공감합니다. 일부 밀덕님들이 우리도 수출을 위해 차륜형을 개발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만. 글쎄요. 우리 군이 필요로 라는걸 완성도를 높이는게 새로운 차륜형보다 낫다고 생각합니다.
@kgfdkr
@kgfdkr Ай бұрын
차라리 도로주행 염두에 둔다면 레드백 장갑차 처럼 고무궤도 연구개발 하는것도 나쁘지 않나 함. 궤도형의 단점이 소음, 피격시 손상 복구하기 힘듦, 연비 정도인데, 고무 궤도가 그 사이에서 보완해 주는 듯.
@lunascape5289
@lunascape5289 Ай бұрын
국군 155미리 견인포 전력이 2800문인데 당연히 국군에게도 필요한 체계죠. KH-179가 아무리 줄여도 사격에만 5명 이상에 차량 운용병력은 따로 드는데 그럴바엔 차륜형으로 통합해서 5명으로 운용하는 게 낫죠. 미래 국군에게 가장 큰 위협은 예산이 아니라 인력입니다
@user-st8xo8ex5j
@user-st8xo8ex5j Ай бұрын
@@kgfdkr 영국에 제안한게 고무궤도임
@uwonc9924
@uwonc9924 Ай бұрын
수출 몇대나 하려고 차륜형을 따로 개발할까 싶음 차륜형 아녀도 충분히 수출할 국가도 많을뿐더러 이원화 돼서 좋을건 없다는게 개인적인 생각이네요
@lunascape5289
@lunascape5289 Ай бұрын
@@uwonc9924 당장 국군 견인포세력 대체소요만 네자릿수 낭낭한데요
@KA201Brigade
@KA201Brigade Ай бұрын
국뽕이 우리 눈을 가리지 않도록 샤를님의 객관적인 시각이 변치않기를 바랍니다. 자랑스러워할 것은 당연히 자랑스러워해야 하겠지만, 불안요소와 위협은 분명히 직시되어야 합니다. 샤를님이 그렇게 뚜벅뚜벅 걸어가는 사이에 어느새 구독자도 50만이 넘었네요..^^ 좋습니다. 이대로 쭉 가시죠~
@user-my5kz7co1v
@user-my5kz7co1v Ай бұрын
저강도 분쟁에서는 차륜형도 쓸만하지 하지만 전면전에 들어 간다면 궤도식의 고화력 중무장 장비가 필요함 우리는 지정학적 위치가 국제정세와는 별개로 조그마한 분쟁이 곧바로 대규모 전면전으로 확대될 가능성 높은 지역이라
@eunbaekong8675
@eunbaekong8675 Ай бұрын
현재 우리나라에선 도랑이 많고 산악지역이 대부분이라 궤도 차량이 답임
@user-qx5cu2oq8j
@user-qx5cu2oq8j Ай бұрын
눈으로 보신분들은 알아요. 야지에서 궤도식이 얼마나 유리한지. 심지어 장륜형도 못 따라오죠~
@parkherenow
@parkherenow Ай бұрын
영국군은 군대규모가 작아서 여기저기 옮겨다닐려고 차륜형을 원하는듯,,,,,그리고 도시전투을 상정하는지도,,,,벌판에선 공군기로! 미군이 있으니,,,,미군을 등에 업은 영국 캐나다 호주가 갑질부리는 건지도,,,,,,모자르는 부분을 미군에 부탁하면 된다는것인지도,,,,,,,그러니 호주가 잠수함을 뒤도 않보고 프랑스을 파기하고 미국 핵미사일로 돌아가는것 처럼,,,,,, 한국과 계약시 갑질이 그런 호주특성이 들어나는듯 아마 캐나다 잠수함 도 힘든 계약이 될듯,,,
@user-ib7zm8jn4n
@user-ib7zm8jn4n Ай бұрын
항상 영상 재미있게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taehoonth.h9516
@taehoonth.h9516 Ай бұрын
필요없음. 특히나 도로가 고도로 발달된 우리지형상 차륜형은 정말 필요없음. 이게 뭔소린지도모른다면 어쩔수 없지만 간단히 말해서 우리도로는 다른나라처럼 도로를달리다 유사시 도로밖으로 나가서 좍전을할수 없는구조기때문임. 과거 이문제로 앞으로 궤도는 사라진다는둥 경량화된 차륞형이 대세라는둥 논쟁을했던사람도 있는데. 통일전쟁시 우리가 북한땅으로 들어가야하기때문에 북한의도로사정을 감안하면 더더욱 궤도형 장비가 우선되야함. 차륜형으로 가자는건 전쟁을 남한땅에서만 하자는소리임.
@user-qq6vx6fo7b
@user-qq6vx6fo7b Ай бұрын
전쟁의 의미를 모르시는 분이시네요. 전쟁나고 난 후 도로가 멀쩡하다는 보장이 있나요? 우크라이나는 절반 이상 들판에서 소모전 하던데... 상상보단 현실을 보셔야 할 듯 지역 위치에 따라 궤도형이 좋을 수도 있고 차륜형이 좋을 수도 있습니다. 도아니면 모다. 이런 이분법적 사고방식은 전쟁터에서 먹히지 않습니다. 예를 들면 우쿠라이나는 뻘밭이 엄청 많은 지역에도 불구하고 탱크도 쓰고 차륜형도 가동중임. 전쟁시 멀쩡한 도로는 보기 힘들다고 봐야함.
@user-xh1sl2ni7y
@user-xh1sl2ni7y Ай бұрын
오...정답! 북진!
@dykim0523
@dykim0523 Ай бұрын
와우 좍줜
@user-bw9fw6ku4h
@user-bw9fw6ku4h Ай бұрын
차라리 북한 도로를 궤도형으로 갈아버리고, 새로 만드는게 더 좋은 도로를 만들 수 있을거라고 보는 상황이니.. 더 말할것도 없는 상황이죠.
@d-dung
@d-dung Ай бұрын
뭔 헛소리. 6.25때 8인치 포도 전부 견인해서 청천강 전선에서 싸웠고, 155밀리나 105밀리는 당연히 견인형이었고, 아무런 문제없이 포지원을 했는데.
@innovator108
@innovator108 Ай бұрын
한국인은 일하는 행복을 느끼는 게 최고다..😂
@user-wl2vf3qm8i
@user-wl2vf3qm8i Ай бұрын
오늘도 고생하십니다 ❤❤
@yeol1424
@yeol1424 Ай бұрын
5:52 😂😂😂😂😂😂😂😂 오늘의 유머 재밌네요
@hooni1365
@hooni1365 17 күн бұрын
'모처럼 얻은 기회를 놓치지 않기 위해 지혜를 모을때' 라는 말이 와닿네요. 잘보고 갑니다~
@Mvgt20
@Mvgt20 Ай бұрын
155mm 화력은 궤도형 자주포가 현행 맞는거같습니다. 포에 진심인 국방부조차 155mm 에 궤도를 달았지 바퀴달생각을 왜 안했을까요? 군무기는 최악의 지형을 감안하고 만들어도 힘든판입니다.
@MARS-wb4kd
@MARS-wb4kd Ай бұрын
차륜형은 산악지역이 많은 우리나라에서 효용성이 있을까 의심이 드네요 거기다가 포탄 발사후 진동도 심하던데
@sakura-xh7mj
@sakura-xh7mj Ай бұрын
압구정동과 청담동에 고정형 대공포 진지를 만들면 대박. . .
@Gil-Baraki
@Gil-Baraki Ай бұрын
잘봤습니다. 감사드립니다^^
@MoonAuth
@MoonAuth Ай бұрын
9:30 역시나 이럴 줄 알았다. 안 그래도 PZH 볼 때마다 느꼈던 건데
@donghwankim2401
@donghwankim2401 Ай бұрын
ㄹㅇ 기술력을 떠나서 운용하는 현장을 전혀 고려하지 않음 ...
@chunsookim97
@chunsookim97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지역 특성은 궤도인...차륜이 아니라...한국 지형이 중요한것이 아니라 쳐 들어갈 북한 지형이 중요함..뭐 철원에서 이동 즉 전진 안하고 포만 쏨? 60km 날아갈지라도? 전진해서 심지어는 중공군이 내려올때 쏴야 하는 상황까지 벌어질수도 있는데...북한 지형과 도로상 산악 지형등 궤도가 짱임
@k76106
@k76106 Ай бұрын
차륜형 자주포 이미 있어 필요없습니다 60트럭을 베이스로 105밀리로 만들었죠 이런 차륜형은 주력이 아니라 보조수단이고 응용력이 궤도형보다 훨씬 범위가 좁아 사용할수있는 환경이 매우 제한됩니다 모든조건과 시간과 환경을 따지면 k9시리즈가 답이죠
@usain18
@usain18 Ай бұрын
똥포 출신이지만 화력이 너무 약함.
@hawk8873
@hawk8873 Ай бұрын
풍익 만들 돈이면 kh179를 거의 비슷한 값으로 자주화 했을 겁니다. 완전한 뻘짓.
@nooncop947
@nooncop947 Ай бұрын
포탄소진을 위해 만들었죠
@mythcreator6019
@mythcreator6019 Ай бұрын
까라면 까라는 문화 저도 선호하지는 않지만 참 한국만의 경쟁력은 맞는것 같네요
@cherryljh
@cherryljh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는 더운데... 응 우리도 더워 우리나라는 추운데... 응 우리도 추워 우리나라는 산악지대인데... 응 우리도 산 많아 우리나라는 모레사막인데... 응 우리도 삼면이 바다라 모레많아
@daell-vv7km
@daell-vv7km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 응 다돼
@parksej1325
@parksej1325 Ай бұрын
진짜 뭣같은 날씨환경인데 이게 도움이 될줄야
@MrDesertstrom
@MrDesertstrom Ай бұрын
참가 비용만으로 홍보효과는 뽑고 남은듯😂
@202tf6
@202tf6 Ай бұрын
10:31 '육군이 요구한'😆😆😆😆 역시 포방부다운 요구사항.
@JeehyeShin-yx4wh
@JeehyeShin-yx4wh Ай бұрын
서유럽은 자급자족을 원해요. 유렵내에서 만들어서 파는 시스템. 지금 많이 힘들어하는거 같아요. 조마조마해요. 그리스부도서부터 스페인도 위기였고 영국도 그래서 이유 탈퇴했죠. 지금 살얼음 판이라 지출 돈 밖으로 나가는걸 최대한 막고 있더라구요. 풍족하면 이런짓 하는애들이 아닌데. 어렵긴 어렵나봐요.
@chlwlgns80
@chlwlgns80 Ай бұрын
조아용
@littledevil6980
@littledevil6980 Ай бұрын
진짜 대단한 포방부다. 잘봤습니다~~
@user-ld3xu4wo3n
@user-ld3xu4wo3n Ай бұрын
주행능력이라는게...평균주행을 의미하는건데.... 항상 도로주행을 한다면 모를까 유럽의 기후와 지형상 꾸준하게 주행이 가능한 궤도륜이 결국 요구될겁니다. 트럭이 진흙탕에 빠져서 허우적대는거 한번이라도 본 사람이라면 금방 알겁니다. 예를 들어 80km로 주행하다가 수렁에 빠져서 반나절을 정지해서 시간을 허비하느니 50km속도로 꾸준히 주행하는쪽이 더 좋은겁니다. 주행능력은 그런 외부적인 요인을 감안해서 고려해야죠. 차후에 분명 후회할겁니다.
@hawk8873
@hawk8873 Ай бұрын
그게 바로 이스라엘 국방군이 주장하는 전장 기동력 개념이죠.
@user-nk4fl7ex3o
@user-nk4fl7ex3o Ай бұрын
썸네일 차륜형 자주포 귀여워서 참을수가 없네요
@user-kt9hg6yz4q
@user-kt9hg6yz4q Ай бұрын
계속 여기저기 두드리다 보면 자연스레 좋은 성능이 알려지고 상대국이 아쉬워서 구입하도록 유도한다! ❤
@XXXX-wr6es
@XXXX-wr6es Ай бұрын
두드리는 게 문제가 아니라 실전검증을 해야지... 우크라이나 전장에 보내서 직접 사용하게 해야함
@fungame9364
@fungame9364 Ай бұрын
@@XXXX-wr6es 그거 실험하자고 러시아를 건들 필요가 있음? 지금이야 러시아가 힘들어서 중국, 북한이랑 친하지만 그것도 오래갈거같지는 않을테고 자원이 풍부한 러시아랑 더 이상 척질필요가 있음?
@XXXX-wr6es
@XXXX-wr6es Ай бұрын
@@fungame9364 당연히 있지 진짜 몰라서 물어보는 거? 진짜 모르는 거면 심각한데?
@qkrjj2079
@qkrjj2079 Ай бұрын
​@@XXXX-wr6es정말 아무것도 모르시나 보네요 우리가 러시아랑 불곰 사업하면서 맺은 협정에는 서로의 적성국에 무기 안 넘긴다는 게 있습니다 즉 우리가 러시아의 적성국인 우크라에 무기를 지원한다면 러시아가 우리의 적성국인 북한에 대놓고 무기와 기술을 지원해줄 수 있는 합법적인 구실이 생기고 이 말인 즉 북한이 러시아의 최신 무기로 무장하게 되는 결과를 낳을 수도 있다는 얘긴데 이런 결과를 원하시나요? 그런 걸 떠나서 러시아랑 척져서 얻을 수 있는 이득은 뭔가요? 꼴랑 무기 시험해보는 거? 그에 반해 손해는? 땅도 좁고 자원도 없어서 수출로만 먹고 사는 우리나라 특성상 한나라 한나라가 아쉬울 수밖에 없는데 러시아 같은 강대국을 적으로 둬서 우리가 얻는 이득에 비해 손해는 클 수밖에 없습니다 국제 외교라는 건 감정보다 철저한 실리대로 움직입니다 지금 우리가 우크라에 하는 의료물자 등 지원만으로도 국제사회는 이미 충분히 납득하고 있습니다 근데 굳이 더 나아가야 될 이유를 모르겠네요
@fungame9364
@fungame9364 Ай бұрын
@@XXXX-wr6es 인접국중 그나마 우리랑 우호적인게 러시아인데에다가 자원도 많은데 그걸 개발할 돈이 필요한 나라인데 척질 필요가 있으면 니가 말해보라니깐 왜 헛소리만 하는거니? 일본보면 몰라? 앞에서는 센카쿠 분쟁에 우러전쟁 비판하는데 뒤에서는 우리가 비운 시장 먹어치우는거. 이게 외교지 감정적으로 반응하는게 외교니? 국민감정이랑 별개로 나라의 이득을 보고 움직여야지
@dankunson1
@dankunson1 Ай бұрын
대품 문제가 아니라, 유럽 방위는 유럽 무기로 지켜야 한다는 정치적 이유가 커다.
@GoogleNaver
@GoogleNaver Ай бұрын
역시 기존 방산업체들 견제를 뚫어내려면 기술개발과 설비 확충으로 압도적인 가성비와 생산역량으로 찍어누를 수 밖에 없군요
@billee5759
@billee5759 Ай бұрын
RCH155 의 영국의 선정한 이유. 1. 영국 프랑스 간의 해저터널 고속주행능력. (사실 이부분에서 떨어졌음) 2.영국의 자주포운영 전술변화 (이제는 지원형태로 파견한다라는 것) 3.인력감소. (자주포의 운영병) 4.파병병력의 감소(영국경제의 폭망으로 인해서 영국령 보호에 주효한 전력만 보유) 5.궤도형차량의 개발폭망. 에이젝스장갑차량의 개발실패로 인해서 현재 대단위의 개량이 절대적으로 필요한상황임. 6.자국에 부품생산라인을 갖추고 있는 복서장갑차량 생산라인. 7.신형무기개발의 대단위로 의회에서 짤림.
@gomdorij3213
@gomdorij3213 Ай бұрын
샤를님 고맙습니다^^* 뭐... 영국 같이, 전세계로 파병하는 제국주의(?) 국가에선, 차륜형 장갑차를 선택하는게 좋을 수도 있겠지요.
@PINQUBE
@PINQUBE Ай бұрын
앞으로 폴란드에서 운용하는 결과가 매우 중요해보이네요 무엇보다 방산무기의 가치는 실전 혹은 실전에 준하는 훈련에서 결과가 나오니까요
@user-dj7ml5ie3r
@user-dj7ml5ie3r Ай бұрын
수출형을 만들때도 여차하면 우리가 쓸수 있는가를 생각하면서 만들어야 함. 차륜형은... 그냥 수출용으로만이고 그럼 결국 우리수요는 없고 그럼 단가 경쟁력이 없는게 현실
@user-lx8he2jc6b
@user-lx8he2jc6b Ай бұрын
생긴건 되게 불안해보이는데... 픽하고 쓰러질거 같음. 다마스 보는듯
@dakson5298
@dakson5298 Ай бұрын
개발 하자는 사람은 경제 관념이없는거죠. 투자대비 회수율도 중요하지만 기회비용도 고려하면 안 만드는게 답이죠
@user-bw9fw6ku4h
@user-bw9fw6ku4h Ай бұрын
차륜형은 도로 정비가 잘 되어 있는곳에서나 필요하죠. 이걸 쓴다는건 누가 이미 정리한 곳에 들어가서 써 먹을때나 쓰겠다는거죠. 돌격한 곳이 차륜형이 다니기 정말 힘든곳은 이동도 못해먹겠지만요. 영국이 이런데는 안가겠다고 핑계 대기 위해서 그런거로 보입니다. 그리고 영국은 브렉시트.. 크흠. 어, 어쨌거나.. 군사적으로 잘 닦인 도로를 지나서 방어하기 위한곳에서 가겠다는거지, 차륜형이 다니기 힘든 높은 산이나, 지형에는 지원 안가겠다는 뜻을 보인거로 봐야 할거 같죠. 갈 의미가 없다고 보고 있는거 같다고 생각해야겠지요. 아, 참고로 한국은 차륜형 포가 하나 있으니, 그걸 쓰면 될겁니다. 자주포 보다는 못하겠지만, 그거라도 써야겠지요.
@user-ky9pd8yw7w
@user-ky9pd8yw7w Ай бұрын
구매자의 니즈를 채워야 물건을 팔겠죠? 차를 사도 옵션이 있는데 옵션 없다고 하면 누가사나? 원하는게 있으면 맞춰야죠!
@lucifeification
@lucifeification Ай бұрын
차륜형이면 진동은 장난 아니겠는데
@user-fe4ft4rz9t
@user-fe4ft4rz9t Ай бұрын
정도를 아닌 꼼수로 하는자들에게 맞춰가야하나요 어차피 써보고 다시 이쪽으로 올텐데요
@Killwildboar
@Killwildboar Ай бұрын
포탑을 모듈화시킨 것이 참 독특합니다. 영국 홍차와 더불어 독일 양배추 절임도 히안한건 잘 만드네요
@JenielShin
@JenielShin Ай бұрын
음…? pzh2000의 단점이라고 한 너무 민감한 장치는 rch155에서 완전 모듈화된 포탑으로 바뀌면서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 거 같은데요? 차차리 자동 장전장치 등이 문제가 생겼을 때 수동으로라도 대처가 가능하지 않다는게 문제라면 문제겠죠.
@jehajeon9727
@jehajeon9727 Ай бұрын
차륜형으로 반동제어가 가능할까요?
@lunascape5289
@lunascape5289 Ай бұрын
@@jehajeon9727 사격 영상 보면 준수합니다
@donghwankim2401
@donghwankim2401 Ай бұрын
@@lunascape5289 스흡... 아닌데?...
@user-pe5my6kd6s
@user-pe5my6kd6s Ай бұрын
정치적결정을 기업이 어찌하긴 힘들죠. 그리고 만들기 쉬우니 차륜형도 만들자 하는건 전 반대입니다. 공장이라는게 그런식으로 나가다보면 고정비랑 단가 금방 올라갑니다.
@user-hz7zw5ge4j
@user-hz7zw5ge4j Ай бұрын
관 특히 스파이계열 정보과 들의 지원이 확실히 필요해보임...
@90Babo
@90Babo Ай бұрын
그런데 이세환 기자님의 무기고는 주로 공격무기에 쏠려있네. 전투식량이나 동계피복이나 육공트럭 등등은 시청률 때문에 소개 안 하는 건가. 그런데 이게 전쟁에서 엄청 중요한 것들인데..
@Martin-ur7mc
@Martin-ur7mc Ай бұрын
사실 시청률의 눈치를 보지 않을수가 없죠 ㅋㅋ 항모사업때도 해상보급함이 항모보다 더 중요하다고 할 만큼 보급의 중요성은 세환님도 백번 말해도 부족하지 않다 하셨지만 미디어라는게 대중들의 관심사도 신경써야 하니... 반대로 세상의 정책들이 미디어만 보고 결정되는건 아니니 너무 걱정하진 않으셔도 될것 같습니다.
@90Babo
@90Babo Ай бұрын
@@Martin-ur7mc 글쿤요. 답변 감사합니다.
@pluto7771
@pluto7771 Ай бұрын
3분에 27발 대단하다 👍
@51hoke
@51hoke Ай бұрын
군대 있을 적 k55 자주포를 탔었는데 그때 같이 다니던 탄약차가 군용 5톤이었음. 평상시는 별 문제없지만 꼬불꼬불한 언덕길이나 산길 타고 들어가면 자주포는 아무렇지도 않게 통과하는 길을 이 5톤트럭이 항상 말썽이었음. 미끄러지고 좁은 길 코너 못돌고 해서 수신호 받으며 앞뒤로 깔짝깔짝 거리고. 유럽 같은 구릉지 지형에서야 문제 없겠지만 산 언덕 많은 한국 지형에서는 차륜형은 아님. 그때 기억이 남아서 차륜형 장갑차도 못미더워 보임.
@user-ec4yc6rp6p
@user-ec4yc6rp6p Ай бұрын
기존 155mm 견인포들을 개조해서 트럭에 올리는 건 괜찮지 않을까요? 어차피 사고위험 감수하면서 트럭으로 수송하던 것들인데
@user-bk7ts6bt8z
@user-bk7ts6bt8z Ай бұрын
포신은 좀더 오래 사용 할 수있는 소재를 개발해야 합니다.
@jisungpark8952
@jisungpark8952 Ай бұрын
이세환 기자님의 설명에 공감합니다. 다만, 영국에서 Rch-155와 한국의 K-9이 공개경쟁을 한 것이 아니라, 영국이 이미 Rch-155로 사실상 내정한 상태에서 결정이 이뤄졌기때문에 K-9 이 경쟁에서 졌다는 게 결코 아니란 사실이 중요하겠죠. 그리고 미래엔 궤도형으로 수렴할 거란 결론을 내렸는데, 그럴 수도 있지만, 영국처럼 긴급한 해외파병이 우선순위인 나라들은 미래에도 수송기에 태워야 할 차륜형 자주포를 애용하고 차륜형 자주포를 더욱 개량하여 궤도형의 장점을 차용하여 차륜형 자주포도 더욱 발전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혹시나 미국/캐나다/호주 같은 곳에서도 차륜형을 대거 채택하면 그 때가서 박탈감을 느끼진 맙시다. 걔네들은 걔네들의 전투환경이 있는거라 생각해주면 됩니다.
@jjw00116
@jjw00116 8 күн бұрын
3톤이나 늘어났는데..k9 차체는 볼수록 놀랍네요 ㄷㄷ...
@ausfyausfy2455
@ausfyausfy2455 Ай бұрын
확실할때는 차륜형이지만 불확실성한 전쟁 상황에서는 궤도형이 훨배 좋은 선택이라서...
@jinmochoi3988
@jinmochoi3988 Ай бұрын
야근비, 까라믄 까라.. 하하하.. 뻥 터지네요..
@Kogurean
@Kogurean Ай бұрын
영국이 선정한 자주포 .... 한발쏘고 춤추는 반동만 봐도...정확성이 어떨지 뻔하네요.
@user-qu3gz6te8k
@user-qu3gz6te8k Ай бұрын
그니깐 제네시스 안사고 벤츠 엔트리 모델 샀네 ㅋㅋ
@JJ-ff1ne
@JJ-ff1ne Ай бұрын
유럽은 기술력보다 정치력이지
@user-bm5ls7zx5f
@user-bm5ls7zx5f Ай бұрын
굳이 영국 필요없다. 지금 끌려가지 말자. 가격 내릴려고 하는거다. 현찰 받고 보내자. 이제 세계 제일인거 안다. 조금만기다리자.
@user-vg1mv3qf4d
@user-vg1mv3qf4d Ай бұрын
영상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Rch-155의 이동중 사격 장면이 인상적인데 전차처럼 단거리 표적이 아닌 장거리 표적을 맞춰야 하는 야포는 1밀의 오차라도 줄여야 하는데 이동중에 사격을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alcndrodl
@alcndrodl Ай бұрын
차륜형 RCH-155는 궤도식과 비교해서 포 발사 시 흔들림으로 인한 명중률 하락은 없나요? 세자르나, 아처도 스페이드를 박고 쏘는데도 불구하고 K9과 비교시 많이 흔들리는거 같던데 더욱이 RCH-155는 스페이드도 따로 안보이는거 같네요
@user-gt2vd9gl7v
@user-gt2vd9gl7v Ай бұрын
와 더 더 더 좋아져서 탄생했군요. 한국 엔지니어들 만세 만세
@scham9542
@scham9542 Ай бұрын
5:52 샤를님의 게르만족 극찬... 이런설명을보니 꽤나 쓸모있는 장비 인가 보네요.. ㅠ.ㅠ.
@athrun319
@athrun319 Ай бұрын
시대가 발전하면서 소재들이 개발되고 가볍고 튼튼한 고무궤도로 충분한 성능을 발휘할 수있으니 궤도형이 가진 신뢰성에 이렇게 한단계 K9이 또 진화를 하네요 ㅎㅎ 좋은 리뷰 감사합니다 !
@user-fx3kq1rn4m
@user-fx3kq1rn4m Ай бұрын
전쟁은 점점 더 속전속결이 힘든 양상으로 변하고 있다. 차륜형 보다는 궤도형이 답이라는 얘기.
@jotjotccacca
@jotjotccacca Ай бұрын
포장도로 깔린 도시에서 순수 방어전만 펼쳐야 한다면 필요할 지 몰라도 괴뢰군이 점령중인 이북지역 탈환용으로는 지금처럼 궤도형이 탁월하죠
@hawk8873
@hawk8873 Ай бұрын
도시 방어전때도 차륜형은 못 다닙니다. 전시 터지면 모든 도로는 그냥 구멍 숭숭에 온갖 파편물로 가득 찹니다. 차륜형이 기동력 좋아 봤자 저속으로 간신히 기어 다니는 수준이라면 궤도형은 그냥 다 밀고 다닐 수 있습니다. 실전 터지고 도시가 주 전장이 된다면 포격을 안하겠습니까? 이런 뻔한 것 조차도 무시하고 차륜형이 빨라요, 소리 하는것 보면 복장이 터집니다.
@user-xk1lm9ph9u
@user-xk1lm9ph9u Ай бұрын
7분25초 즈음에 %인데 도로 착각해서 놀랐습니다...
@honsupark1868
@honsupark1868 Ай бұрын
폴란드에서 처럼~ 국회에서 수은법 2년 끌면... 영원히 답 없습니다..
@user-zm2hv6iz5m
@user-zm2hv6iz5m Ай бұрын
우리는 벌써 차륜형 105A2가 있는데
@likephoenix659
@likephoenix659 Ай бұрын
그건 105미리구요, 지금 말하는 건 155미리
@user-sangja00
@user-sangja00 Ай бұрын
영국은 155미리를 찾고 있어서 105미리로 어필하기 힘들죠
@josephvstalin4657
@josephvstalin4657 Ай бұрын
김풍익 자주포를 무시하지 마라!!😅😊
@erickyee4198
@erickyee4198 Ай бұрын
105미리가 사거리는 짧지만 엄청나게 비용이 절감된다는.. 거부할 수 없는 장점이 있다. 우크라이나는 이것을 받으면 엄청나게 좋아 할텐데.. 줄 수 없는 사정이 안타까울 뿐.
@user-ko3eu8mb6d
@user-ko3eu8mb6d Ай бұрын
러시아와 멀어지면 국익에 도움이 안된다. 친일국 다케시마 우크라를 돕자니 어이가 없네.
@azeoy
@azeoy Ай бұрын
영국처럼 전선에서 먼 후방에 있는 나라는 공중 수송이 중요하기에 경량화 가 필수다...미국 스트라이커 부대 처럼... 최전선에 있는 폴란드,핀란드,루마니아 같이 땅이 진창인 나라는 험지 돌파,방어력 탁월한 궤도형 이 더 유리하지요...
@user-qq6vx6fo7b
@user-qq6vx6fo7b Ай бұрын
최전선이라고 궤도형이 유리하고 후방이라고 경량화가 유리하고 이건 아니라고 봅니다. 지역 특색이나 작전 유형에 따라 모든 것이 바뀔 수 있는 게 전장이겠죠.
@357LoGo
@357LoGo Ай бұрын
저 자주포 모듈로 개발사에서 오랜기간 물고 씹고 한걸로 아는데 함포로도 써보고 트럭에도 올려보고.. 복서장갑차에서 100% 성능으로 운용할수 있는지가 의심스러운게...
@user-yz3hu3hu4x
@user-yz3hu3hu4x Ай бұрын
agm 은 사실 amos를 테스트하는거 보고 만든거일지도....
@user-sz2jj9es5s
@user-sz2jj9es5s Ай бұрын
도로에서나 사용해야 만 하는 차륜형은 필요한 국가에서나 쓰는거고 한반도에서는 전혀 관련이 없을듯 함.
@ddera1
@ddera1 Ай бұрын
03:25 어휴~~~ 야근비만 넉넉히 주신다면야~~~~
@kyuchulnoh3008
@kyuchulnoh3008 Ай бұрын
k9a2는 진짜 명품일듯 기동력 방어력 연사력 전부 미쳤네
@TheYesusong
@TheYesusong Ай бұрын
전투시에는 궤도가 짱이지~
@chanchul83
@chanchul83 Ай бұрын
강원도 겨울 대프리카 동시운용 차체 있으면 접고 아니면 고
@user-bo5bw6fq1x
@user-bo5bw6fq1x Ай бұрын
rch 155는 무게하고 기동성을 너무 챙기다보니 가벼운데다가 사격하면 뒤로 밀리는 느낌이 아니라 차륜이 눌리면서 포신이 위로 붕뜨는 느낌이라 화포로써 이게 맞는건가 싶기도함
@timn8365
@timn8365 Ай бұрын
뽀찌 ㅋ 차륜형 자주포가 얼마나 정확할까 의심스럽네요 저렇게 한발 쏘고 휘청거리는데 ㅋ
@user-sg4ny6pw5h
@user-sg4ny6pw5h Ай бұрын
정치적 결단만 남은거 같네요 부디 핵보유를 이루어 지긋지긋한 북한과 중국의 핵 위협과 겁박으로부터 벗어나고 세계 자유 민주주의 한축으로 우뚝 서기를 기원합니다
@golagen7679
@golagen7679 Ай бұрын
적의 공격에 의해 궤도는 한번끈어지면 수리끈나기까진 답이 없는 반면 차륜형은 바퀴 한 두개정도는 터져도 잘굴러가긴함
@user-ur7nf5ed2t
@user-ur7nf5ed2t Ай бұрын
산지와 험지가 넘쳐나는 한반도에선 당연히 궤도식이 압도적으로 유리하겠죠. 한반도 동부는 죄다 산인데 서부전선만 자주포 쓸거에요?
@user-qw9od8nq6y
@user-qw9od8nq6y Ай бұрын
궤도형이 여러지형에서 쓸수있음 진흙탕에서는 차륜형은 못지나감 궤도형은 그나마 지나갈수있음 사막지역도 궤도형이 좋음
@user-dv5gi7hv5f
@user-dv5gi7hv5f Ай бұрын
저는 향후 자주포 추세는 투트랙 차륜형이랑 트랙형이 같이 쓰일 거로 봅니다. 하이마스가 인기인 이유가 있죠, M270의 화력을 반으로 잘렸는데도요.
@hyeonhwapaeng1097
@hyeonhwapaeng1097 Ай бұрын
하이마스는 자주포처럼 반동이 많지 않아요. 하이마스의 로켓과 자주포의 포탄은 근본적으로 다른 무기시스템임. 로켓은 자체추진이고 자주포는 장약에 의해서 포탄이 날라가는거임.
@user-dv5gi7hv5f
@user-dv5gi7hv5f Ай бұрын
@@hyeonhwapaeng1097 맞는 말씀이긴 한데 제 글의 핵심과는 무관하네요, 제 글의 핵심은 공중수송 용이성입니다. 발사 반동은 제 글에선 의미가 없는데 짧게 적으니 오해하셨네요, M270만 있을 때 국군이 보유하지도 않을시 가장 먼저 취급했던 사람입니다 발사반동 차이에 대해 모르지 않습니다.
@CJW0929
@CJW0929 Ай бұрын
샤를세환님이 적날하게 얘기해주는게 너무 좋음ㅎ
@user-zx8dm2xs8r
@user-zx8dm2xs8r Ай бұрын
말이길다. 꿀렁거리는 고무바퀴로 정확도를 보장할 수있는가가? 포인트이다. 다른것은 별문제아니다.
@capacsis
@capacsis Ай бұрын
굿굿❤
@chulsoojoo7118
@chulsoojoo7118 21 күн бұрын
Pzh2000은 전장에서 버섯발로 다녀야 하는거였군요
@seoul_louis9584
@seoul_louis9584 Ай бұрын
"수출에 성공할 수 있도록 모두가 지혜를 모아야 할 때입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jx9im4tm4v
@user-jx9im4tm4v Ай бұрын
rch155가 새로운 표준이 될 지도 모른다는 것을 경계해야됩니다. 방사청,add에서 제대로 분석한 후 k9 후속버전에 반영해야됩니다. 마냥 무시하고 있으면 안되요.
@user-nw1cn8td2n
@user-nw1cn8td2n Ай бұрын
움직이면서 쏜다? 정확도가 매우 부정확함!
@alsid_
@alsid_ Ай бұрын
그건 그냥 정차직후 사격 및 사격 후 빠른 이탈이 가능한걸 보여주기 위한 과시용 시연입니다. 모든 사격 장면이 정차 상황에서의 사격이면, 기존 차륜형 자주포들이 채택해오던 지지대 같은걸 찾아보려고 영상을 분석하다가 결국 존재하지도 않는 지지대를 발견했다고 주장하는 상황도 나올 수 있거든요.
@benjaminkim277
@benjaminkim277 Ай бұрын
잘 생긴세환님 이탈리아의 Vulcano탄을 사용해서155mm 곡사포로 사거리 70km 달성 했다고 하는데 이게 정확히 무엇인가요?
@user-up9mj4zz8m
@user-up9mj4zz8m Ай бұрын
차륜은 몇 발 갈기면 쇼바 내려 앉을 거 같은데
@sionpark8480
@sionpark8480 Ай бұрын
모듈식 조립이 가능하고 항공수송이 가능한 무인 자주포가 생긴다면..
@illim7903
@illim7903 Ай бұрын
kc 인증을 안받아서 수출 실패 했나
@Kampfgruppe9260
@Kampfgruppe9260 Ай бұрын
기동하면서 쏘는 자주포? 저게 맞긴 맞을까
@dsgsdgdsaf8002
@dsgsdgdsaf8002 Ай бұрын
rch155가 이동간 사격이 가능하다고 하는데 이부분은 어떤가요? 유의미할 정도의 정확성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user-te8ly7vk7l
@user-te8ly7vk7l Ай бұрын
그걸 실패라고 할 수있을까 다만 저희들의 스펙에 맞는 걸 선택한거 실패라 하면 우리가 큰 실수라도 한거로 보이네 ㅋ
@apsd95
@apsd95 Ай бұрын
국군에서 소요제기를 안하는데 수출하겠다고 만들어봤자 대량발주에서 오는 감가라는 강력한 장점을 버리고 해외시장에서 경쟁하기는 힘들지 않을까요.
@user-zl4gk8nl7b
@user-zl4gk8nl7b Ай бұрын
자동 포탑있는데 생산을 왜 하냐?? 주문 들어오면 해야지~~
@proton-M
@proton-M Ай бұрын
우리지형에서 무슨 차륜형이냐 유럽처럼 대평원도아니고 산악이면 무조곤 궤도형임
@outlaw3630
@outlaw3630 Ай бұрын
2명이 장비 D/L발생시 어떻게 정비를 하면서 화력을 지속할지 ᆢ
Why You Should Always Help Others ❤️
00:40
Alan Chikin Chow
Рет қаралды 138 МЛН
Super gymnastics 😍🫣
00:15
Lexa_Merin
Рет қаралды 107 МЛН
Smart Sigma Kid #funny #sigma #comedy
00:19
CRAZY GREAPA
Рет қаралды 23 МЛН
Korean Navy Boot Camp Day 2: “The hardest thing I’ve ever done”
32:26
영국남자 Korean Englishman
Рет қаралды 3,8 МЛН
러시아가 자꾸 전쟁을 하는 결정적인 이유 (류한수 교수 2부)
16:58
[통합본] M4셔먼
35:17
샤를의 군사연구소
Рет қаралды 521 М.
Why You Should Always Help Others ❤️
00:40
Alan Chikin Chow
Рет қаралды 138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