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 어린이 6만 명 조사했더니..." 세계를 충격에 빠뜨린 자폐아 연구 결과

  Рет қаралды 282,961

책식주의

책식주의

2 ай бұрын

*제작비를 지원 받은 콘텐츠입니다.
자폐는 어떻게 인류의 진보를 이끌었나, 도서 『패턴 시커』를 소개합니다.
✔ 참고 도서: 『패턴 시커』, 사이먼 배런코언
✔ 책 보러 가기: bit.ly/3v0HkZL
✔ 제작: 책식주의(papervore@naver.com)
✔ 나레이션: 정소리(jerry4v@gmail.com)

Пікірлер: 549
@bookvore
@bookvore 2 ай бұрын
소개해드린 책은 사이먼 배런코언의 『패턴 시커』입니다. ✔ 책 보러 가기: bit.ly/3v0HkZL
@drmphy
@drmphy 2 ай бұрын
에디슨이 자폐였다고 해서 자폐아들이 전부 에디슨처럼 되는 건 아니다 과학자나 공학자 부부 사이의 자녀에서 자폐 확률이 높다는 점은 자폐의 본질이 무엇인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지만 자폐증을 천재나 재능의 조건으로 착각하면 안된다 에디슨도 자폐 증상이 경미하니까 홈스쿨링 같은 교육을 통해서 어느 정도 극복이 된 거지 자폐여도 교육만 잘하면 극복할 수 있다는 낙관론은 위험하지 않을까
@dethhend
@dethhend 2 ай бұрын
그렇죠. 자폐는 스펙트럼이라 어느 정도냐에 따라 능력의 차이가 극심한 차이가 나는데 에디슨이나 아인슈타인 같은 사람을 예로 드는건 아니라는 생각이 드네요.대부분의 자폐아는 지능이 낮고 타인과 소통이 어려워 교육도 정서적 교감이 안되기에 단절되어 사는 경우가 많은데 그런 가족에게 이런 내용들은 우영우 얘기처럼 환타지일 수 밖에 없다 생각듭니다. 현실은 인정하고 우리나라처럼 자폐에 편견이 많은 사회가 자폐인들을 포용할 수 있게 조금씩 나아지는 쪽으로 하는게 맞겠죠.
@drmphy
@drmphy 2 ай бұрын
@@dethhend 말도 안통하고 사고만 치는 자폐인을 어떻게 포용해줄까요? 어렸을 때 자폐가 발견되면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사회가 도와줄 수는 있지만 자폐에 대한 편견 없는 조치는 격리 아닌가요?
@dethhend
@dethhend 2 ай бұрын
@@drmphy 자폐를 객관적 이성적으로 보는 인간이 아니라 그냥 비인간적인 인간이었구만. 재작년쯤 내 아들이 자폐인 줄 알고 거의 1년 가까이 정신없이 살았던 시기가 있었는데, 그 때 알아본 우리 나라는 선진국과는 비교도 안되는 장애인 차별이 있었지. 물론 외국도 장애인 차별이 당연 있지만 대놓고 하지도 않고 정말 인간적으로 대하는 경우도 많다. 캐나다나 호주 가면 왜 그리 장애인이 많이 보이는 줄 아니? 그 나라는 장애인이 같이 살아갈 수 있도록 시설도 확충하지만 사회적 편견도 우리보다 훨씬 적어서 그래. 그리고 미국의 경우 자폐를 사회적 비용으로 만들기 보다는 단순한 업무로라도 사회속의 구성원으로 살아가게 최대한 노력한다는 차원에서 우리나라보다 훨씬 일찍 치료와 재활에 들어간다. 네가 자식 낳아서 격리 차별 당하고 살면 참 정의로울거 같아. 너같은 애한테는 시간 낭비 그만 하련다.
@dethhend
@dethhend 2 ай бұрын
@@drmphy 자폐를 객관적 이성적으로 보는 인간이 아니라 그냥 비인간적인 인간이었구만. 재작년쯤 내 아들이 자폐인 줄 알고 거의 1년 가까이 정신없이 살았던 시기가 있었는데, 그 때 알아본 우리 나라는 선진국과는 비교도 안되는 장애인 차별이 있었지. 물론 외국도 장애인 차별이 당연 있지만 대놓고 하지도 않고 정말 인간적으로 대하는 경우도 많다. 캐나다나 호주 가면 왜 그리 장애인이 많이 보이는 줄 아니? 그 나라는 장애인이 같이 살아갈 수 있도록 시설도 확충하지만 사회적 편견도 우리보다 훨씬 적어서 그래. 그러니 외출도 잘 할 수 있으니 많이들 보이지만, 우리나라는 손가락질에 가끔은 나름 위한다고 오지랖 떠는 사람들 때문에 장애인들이 밖에 나가는걸 꺼리기 때문에 훨씬 적어 보이지. 그리고 미국의 경우 자폐를 사회적 비용으로 만들기 보다는 단순한 업무로라도 사회속의 구성원으로 살아가게 최대한 노력한다는 차원에서 우리나라보다 훨씬 일찍 치료와 재활에 들어간다. 네가 자식 낳아서 격리 차별 당하고 살면 참 정의로울거 같아. 너같은 애한테는 시간 낭비 그만 하련다.
@supernova2011universe
@supernova2011universe 2 ай бұрын
에디슨은 경미..아주 일부분 경미한 상태로 봐야합니다. 그는 옛날 한국 교과서에서 배운 선량한 사람으로 착각도해서도 안되고요. 내가 싫어하는 사람 중의 하나가 바로 에디슨.Nikola Tesla 를 구렁텅이로 빠트릴 만큼 뱀 같은 거짓말 속임수의 장본인 에디슨. 그져 순수한 자페인이 아니었다고 장담합니다.
@dethhend
@dethhend 2 ай бұрын
자폐아 일부를 제외한 다수가 지능이 많이 낮다는걸 생각하면 소수의 자폐 성향을 가졌지만 성공한 사례를 너무 부풀리지 않았나 싶네요.
@user-xc8bp7ll5v
@user-xc8bp7ll5v 2 ай бұрын
그건 지능장애도 있는 터너증후군임 자폐 종류가 다름
@user-xc8bp7ll5v
@user-xc8bp7ll5v 2 ай бұрын
나도 자폐있는데 아이큐는 128임
@yy-os7xi
@yy-os7xi 2 ай бұрын
보통사람들이 지능평가를 정해 적용시킨것이기 때문에 거기에서 벗어나면 지능이 낮다고 평가하는 방식이라 그게 절대적이진 않다고 봄 마치 의사들이 건강지표를 정해 놓은 기계 숫자에 의해 고혈압이다 당이높다 평가하듯
@lattelatte0707
@lattelatte0707 2 ай бұрын
지능이 낮지않음 티가 안나서 모를뿐
@jefflim5443
@jefflim5443 2 ай бұрын
지능과 성공이 반드시 비례한다는 가정으로 말씀하시는것 같네요.
@user-ey7cd4ur3l
@user-ey7cd4ur3l 2 ай бұрын
자폐아동의 부모가 과학분야의 전문직이 많다는 건 현장에서도 인정하는 부분 입니다. 하지만 에디슨처럼 고기능자폐가 생각보다 많지는 않다는 겁니다.
@YD-ku3bu
@YD-ku3bu 2 ай бұрын
이거보니 예전에 자폐학생 파이썬 가르치니 엄청 몰입하고 좋아했던게 떠오르네 마침 우영우도 방영할때라 이입되서 내가 너무 이뻐했는데..ㅠ 몰입 잘하는 경증 자폐아를 키우는 부모님들은 개발자용 코딩(파이썬,자바스크립등) 재.밌.게 배울수있는 곳에서 시켜보세요 아이들이 진짜 좋아함 늘 무표정하던 그아이가 게임만들때 설레하던 그표정이 아직도 선하네 보고싶다😢
@yejikim2913
@yejikim2913 2 ай бұрын
@Bz3Titanium
@Bz3Titanium 2 ай бұрын
개발 프로젝트에 잠식되서 수능도 못보면 어쩌죠?
@YD-ku3bu
@YD-ku3bu 2 ай бұрын
@@Bz3Titanium 초5입니다 수능준비로 다른걸 안하기엔 아까운 나이죠ㅎㅎ;;
@infpgirl.
@infpgirl. 2 ай бұрын
혹시 강의나 기관 추천해주실 수 있을까요?
@blackrubbersue
@blackrubbersue Ай бұрын
코딩을 압도적으로 잘 하면 굳이 수능을 안 쳐도 되죠 ㅎㅎ
@user-fq9ob7ji7i
@user-fq9ob7ji7i Ай бұрын
울 엄마가 나 4살 때까지 말을 안 해서 바보 인 줄 알았다고 한다. 맨날 눈 껌뻑 거리면서 계속 쳐다보고 만지고 멍 때리는 게 일이 였다고 말은 잘 못 하는데 글은 5살 때 깨우쳤다고 한다. 5살 때의 기억이 조금 남아 있지만 글을 읽을 줄 알고 부터 책만 봤었다. 어릴 때 방에 큰 책장 3개를 가득 메울 책을 보았다. 아버지가 꼬맹이가 책을 좋아해서 계속 책을 사다주었었다. 중학교 때까지 학교 도서관, 시립 도서관 대여 랭킹 안에 드는게 나였다. 애들하고 뛰어 노는 대신 책만 봤었다. 공부는 잘 안 했는데 그다지 학교 수업에 흥미가 없었기 때문이였다. 좋아하지 않는 것 흥미가 떙기지 않는 것은 철저한 무관심으로 외면 했다. 덕택에 수학, 과학 과목은 거의 만점인 반면에 국어를 제외한 다른 과목은 찍었다. 어릴 때는 수우미양가로 등급을 매겼는데 국어, 수학, 과학은 '수'. 나머진 '가' 찍는 희한한 학생이 나였다. 국어는 책을 많이 봐서 자연히 터득한 셈이고 수학, 과학은 무척 흥미가 많아서 뉴턴, 과학동아 같은 과학 잡지까지 매달 용돈 다 써서 사서 보았었다. 그래서 이미 중학교 때 과학은 고등학생 이상이였다. 또 수학 배울 때 공식 외우는 걸 지독히 싫어했었다. 공식을 증명하여 원리를 깨우치는 걸 첫 걸음으로 하였었다. 증명과정이 교과서에 안 나오면 관련 책을 빌려와서 될 때까지 도전했었다. 첫 400점 수능 세대 였는데 수능 점수도 웃겼다. 언어, 수리, 과학 탐구는 거의 만점, 사회 탐구는 30%도 못 맞췄다. 영어는 반도 못 맞췄다. 그래도 석차 3% 대 였다. 중요한 것은 대학 진학 때 철저하게 부모님 강요 속에 학과 선택을 잘 못 한 것에 있었다. 천체 물리학과를 지향했었는데 건축학과를 가도록 강요당했다. 관심 없는 것에는 흥미도 두지 않는 주의라 대학 성적은 엉망이였다. 유일하게 잘하는 것은 구조 공학???? 수학과 물리에 연관이 있었기에. 전공 리포트 내다가 원래는 실험식이였는데 그걸 증명해버린 역사도 있다. 교수님이 흥미를 가지고 그걸 가져다가 논문 썼다고 들었다. 난 관심 없었지만. 그리고 과학 교양을 많이 들었는데 물리 교양 중에 교수님이 아주 어려운 퀴즈를 냈었는데 전공자들도 못 맞추는 걸 내가 혼자 답을 냈더니 몇학년이냐고 묻더라. 알고 보니 교양이지만 나를 제외한 모든 사람이 1~2학년 물리학과생이였다. 지금은 엔지니어로 일하고 있지만 여전히 과학에 대한 흥미는 무척 높다. 어릴 때를 생각하면 난 자폐 성향이 매우 높았다. 특히 IMF 후 학점도 안 좋았기에 너무 취업이 힘들어 어려움을 겪을 때 우울증으로 자살까지 생각했었고 거의 3년을 세상과 등지고 살았다. 이 영상을 보니 난 자폐아가 되지 않은 게 운이 좋았던 듯 하다.
@user-ry1fr4eg6j
@user-ry1fr4eg6j 27 күн бұрын
무슨 뉴턴의 젊은시절 보는듯한 글이었습니다. 이런 사람들을 제대로 된 길로 못가게 막는 한국교육....ㅋㅋㅋ
@user-eq6bu2qv4z
@user-eq6bu2qv4z 25 күн бұрын
글쓰는것만 봐도 정신병 있어보임, 당신 주변사람들과 그렇게 관계 좋지 않지? 장애의 일종임, 당신은 자폐라기보다는 ADHD에 가까움 자기 좋은것만 하고 싫은건 죽어도 안하고, 사람으로써 고장나있고 자기 편한것 좋은것만 하려는걸 고기능이라 포장하지 마셈, 그건 인간으로써 결함이 있는거다.
@user-dm7bj7ln4t
@user-dm7bj7ln4t 25 күн бұрын
ADHD 같기도 합니다.
@ondohkkang7232
@ondohkkang7232 24 күн бұрын
96학번이시구먼. 당시 교육 환경이 지금과 같았다면 좀 더 나은 삶을 사셨을지도...
@ia4058
@ia4058 24 күн бұрын
글쓸때 엔터좀 쳐요
@aaakim5557
@aaakim5557 2 ай бұрын
자폐라기보단 지능이 뛰어난 애들(초딩고학년쯤)은 체계화를 배운것도 아닌데 잘하더라. 게임같은걸 해도 데이터를 수집해서 도표를 만들고 확율과 패턴을 구하는거 보고 아 지능이 높구나 느낌이 옴. 이건 자폐라기보다는 몰입과 체계화의 특출남이라고 보임
@cybog7852
@cybog7852 Ай бұрын
그게 자폐증이에요...그래서 자폐증에 대해 잘 모르던때는 자기 자식이 천재인줄 아는 사람이 많았음... 애들은 원래 이것저것 관심과 호기심이 많고 금방 질려해야 정상이에요. 하나에 그렇게 몰입하고 그것만 죽어라 세상과 단절 시키고 자기만의 세상에 사는 애들이 정상이 아닌거죠. 아이큐 220인데 자기옷 단추도 못 끼는 사람도 있습니다.
@aaakim5557
@aaakim5557 Ай бұрын
상대방과 대화 혹은 정신적 교감을 강하게 원하기도 하고요.그냥 뛰어나다는 느낌이 들어요. 문제는 평균치 외의 케이스라 특별 케어같은게 필요하겠구나 생각은 들더라구요 제가말씀드리는케이스는 초등 고학년입니다
@user-vd4vj7iw8d
@user-vd4vj7iw8d 23 күн бұрын
ㅋㅋㅋㅋ 그건 공부 잘하는 사람들 특징임 체계화는 다른거임
@user-gl9ri3ot5u
@user-gl9ri3ot5u 2 ай бұрын
유전적으로도 넘치면 모자람만 못한 법이라니...... 어떻게보면 참 비극적이면서도 세상의 균형이란 것이 이렇게 잔인할수가 있나 싶기도 하네요.
@Purple0419
@Purple0419 2 ай бұрын
자폐아중에서도 서번트증후군은 매우 드문데...
@sieistohn
@sieistohn 2 ай бұрын
일종의 생존자 바이어스죠 일상생활조차 혼자 제대로 못하는 케이스가 사회에 나가서 강연도하고 자서전도 쓰고 하는경우가 얼마나 많을까요
@ppippilong
@ppippilong 2 ай бұрын
저도 서번트와 자폐 발달장애는 다른거라 생각해요.
@m_shan
@m_shan Ай бұрын
호주에서 귀여운 자폐꼬마 키웁니다. 댓글들 훑어보니 한국은 아직 자폐 스펙트럼과 신경다양성에 대한 인식이 너무 뒤떨어져 있다는 생각이 들어요. 경증에서 중증까지를 일직선으로 보는것이 아니라,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말 그대로 “spectrum”이예요. 활짝 펼친 부채꼴을 상상하면 더 쉬울까요. 신경정형인들도 지능이 다양하듯 신경다양인들도 마찬가지고, 자폐 자체와 지능의 직접적 상관관계가 있는게 아닙니다. 사회적 언어적 소통방법이 ”다르고“, 오감을 느끼는 정도와 방법이 ”다릅니다“. 예측 가능한 루틴을 선호하고, 이런것들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사람들이나 환경에 의해 스트레스를 많이 받으면 멜트다운이 자주 올 수 있어요. Stressor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소리를 지르고 뛰쳐나가는 등의 행동을 보이는데, 이해가 부족하면 떼를 쓰거나 반사회적이라 오해를 받는거죠. 저희 아이는 말이 아주 늦었는데 (거의 세돌반까지 두단어 결합 불가), 대화하는 말은 잘 못하는데, 아무도 가르치지 않은 글을 줄줄 읽었어요. 한글 영어 둘다요. 처음엔 엄마가 읽어준 책을 듣고 외웠다고 생각했는데 첨보는 책도 읽어버려서 알게 됐어요. 초딩 입학하고 일반학급에서 적응을 전혀 못하고 울고 도망가고 소리지르고 숨고 해서 발달검사 받고 autistic 진단 나왔고 지금은 특수학급으로 옮겨서 특수교육 전공 선생님과 소수학급에서 공부하는데 다들 깜짝깜짝 놀라요. 1학년인데 리딩이나 수학은 이미 3,4학년 레벨입니다. 오티즘 때문에 영재성이 가려져서 옛날같으면 부진아로 오해받고 퇴학당했겠죠. 저희 아이도 게임 만드는거 좋아해요. 종이에 게임 그래픽이랑 룰을 그려서 만드는데, 곧 코딩을 제대로 소개시켜줄 생각입니다.
@mlse2053
@mlse2053 2 ай бұрын
혼자 생각하고 연구하는 자폐면 다행이지 생각 못하고 소리지르고 난리치는 자폐면 답도 없다
@jinypamplemousse2610
@jinypamplemousse2610 2 ай бұрын
두번째 자폐가 훠얼씬 많지 않나요? 작가가 왜 그 통계는 말 안할까요ㅎ
@romell404
@romell404 2 ай бұрын
@@jinypamplemousse2610 책 팔아야 하니까요
@enazadj7972
@enazadj7972 2 ай бұрын
거의 다 후자죠 뭐... 첫번째가 어딨음. 연구하는 자폐???말이나 통하면 천만 다행이지.
@ultrababy2900
@ultrababy2900 2 ай бұрын
@@enazadj7972자폐 스펙트럼이라고 해서 다양해요,,
@user-vo7vb4xh9x
@user-vo7vb4xh9x 2 ай бұрын
​@@enazadj7972첫번째있어도 인맥이 최고인 한국에선 못써먹죠
@donnakim7635
@donnakim7635 2 ай бұрын
에디슨은 과학자보다 사업가에 가까웠음..본인이 개발한 직류전기을 어필하기 위해 니콜라 테슬라가 개발한 교류전기의 위험성을 알리고자, 죄없는 동물들을 감전시켜 죽이면서까지 언플한 사람임. 그치만 결국 교류의 승리로 끝남.. 교류전기 덕에 지금 누구나 저렴한 가격에 전기를 쓸수 있게 된것임.
@sharkman009
@sharkman009 26 күн бұрын
악덕 이라는 부분을 빼먹으셨군요.
@user-vd4vj7iw8d
@user-vd4vj7iw8d 23 күн бұрын
죄 있는 동물들을 안쓴게 잘 못 이라는 거임?
@snorlax.yawning
@snorlax.yawning 23 күн бұрын
​@@user-vd4vj7iw8d 그렇게 남 말에 트집만 잡으려고 하면 친구가 없을 걸. 포인트가 그게 아닌 걸.. 알면서 왜 그래?
@snosno1243
@snosno1243 22 күн бұрын
직류는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 전자파가 없는데, 교류전기를 쓰는 덕분에 인류는 질병에 노출되었다.
@user-gj3mb3pd8g
@user-gj3mb3pd8g 2 ай бұрын
흥미로운 연구네요. 이런 책 많이 다뤄주세요 🙏🙏
@user-dt2jp6dx1h
@user-dt2jp6dx1h 2 ай бұрын
자폐의 증상 중 하나가 강박인데 그것이 어느 것에 대한 강박으로 작용할 지 예측하기 어려울겁니다. 정확히는 자폐와의 연관성보다는 강박, 결벽, 편집증 같은 것이 좋게 발현된 케이스겠지요
@LeeSeoungSu
@LeeSeoungSu 2 ай бұрын
굉장히 흥미로운 내용이네요
@jonari1
@jonari1 2 ай бұрын
부모중 한쪽이 논리적인 사고력이 강하면 더 확률이 높지않을까요..예술가집안에선 예술가가 많이 나오듯이요..
@cso3087
@cso3087 2 ай бұрын
잘 봤습니다.
@user-bp9mw8wq7t
@user-bp9mw8wq7t 2 ай бұрын
매우 공감되는 내용이네요..ㅎ
@Kate-dp3dj
@Kate-dp3dj 2 ай бұрын
그냥 자폐가 아니라 아스퍼거일듯요. 😢
@Bz3Titanium
@Bz3Titanium 2 ай бұрын
아마도요
@Bz3Titanium
@Bz3Titanium 2 ай бұрын
그리고 아스퍼거도 공부안하면 실폐합니다. 경험담인데 11시간동안 파스칼의 삼각형을 탐구하는 것보다 이미 나온 결과를 보는게 더 빠릅니다. 9900배 빠릅니다.
@user-xz3nv3pm5s
@user-xz3nv3pm5s 2 ай бұрын
@@Bz3Titanium 공부와 학습을 통해서 뉴런의 자극을 통해 시냅스 가소성이 높아짐. 이미 나온 결과는 뭐임? 답을 본다는건데.. 그게 실패랑 무슨 관련이 있음??? 시도도 안한건데...
@user-sd5xo2se6x
@user-sd5xo2se6x Ай бұрын
저거 궁금해서 찾아봤는데 11년전논문이야기? 인거같음
@rynexwon426
@rynexwon426 2 ай бұрын
똘똘한 사람들 사이에서 자폐아가 나올 확률이 더 크다니 이 무슨 아이러니 일까요. 너무 큰 숫자끼리 더하면 오버플로가 나서 음수가 되버리는 컴퓨터와 비슷한걸까요
@evgenyryu8285
@evgenyryu8285 Ай бұрын
우성 열성 유전자 법칙같은 느낌?
@user-ub9xc5sg2h
@user-ub9xc5sg2h 2 ай бұрын
왠지 알것같기도........ 원래 인간이 이렇게 많이 공부하고 머릿속에 뭘 막 집어넣는 시대가온건 얼마 안됌.... 어릴때 공부 많이 안했는데 잘먹고 잘사는애들 보면 뭔가 생명력이 넘친다 싶음
@user-zkjabida
@user-zkjabida Ай бұрын
생명력이 넘친다는말 공감이요
@hwp2095
@hwp2095 2 ай бұрын
자폐아는 부모뿐 아니라 모든 사람들이 함께 고민하고 풀어가야 할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밤마다 집을 나가버려서, 여기저기 찾으러 다니다 차도 한 가운데서 발견되기도 하고, 손잡고 길을 걷다 짐승같이 울부짖으면.. 가족이라도 정말 힘들죠. 예전보다는 나아졌지만 편협한 시각으로 보면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성인이 되어서 보니, 자폐성 장애를 지닌 아이들은 적어도 돈이나 이기심 때문에 남을 속이거나 나쁜 짓은 안 해서 다행인 것 같습니다. 슬픈 현실이죠.
@user-bf1sp5yi6p
@user-bf1sp5yi6p 2 ай бұрын
밀어버려 추락사 있었습니다
@minchoi4607
@minchoi4607 2 ай бұрын
자폐는 범위가 매우 넓은 질환이라서 어떤 자폐 증상을 얘기하는건지가 중요하겠네요
@user-qd8ts5rm2i
@user-qd8ts5rm2i 2 ай бұрын
이건 일반자폐가 아닌 고지능자폐인 아스퍼거라고 제목바꿔야할듯요
@m_shan
@m_shan Ай бұрын
자폐는 스펙트럼이기 때문에 아스퍼거와 자폐를 구분하는 경계가 모호하고 둘의 구분이 까다로운 이유로, 2013년 개편된 DSM-5에서 아스퍼거라는 진단명이 자폐스펙트럼으로 흡수되어 사라졌습니다.
@user-pz3rj6ql9e
@user-pz3rj6ql9e 2 ай бұрын
제 지인 아들애가 지금 초딩인데, 자폐 판정을 받았었어요. 그런데 부모랑 조부모가 엄청나게 돈과 시간을 많이 써가면서(월 최소 천만원 이상) 치료다니고 했더니 지금은 전혀 자폐 같지가 않네요. 아주 어쩌다 아악~!하고 짧게 소리지르는 것만 빼면 완전히 정상인이예요. 대화도 잘하고 멀쩡해요. 이런 경우는 경증이라서 가능했던 걸까요?
@grx1988
@grx1988 2 ай бұрын
그건 고쳐진게 아니고 숨겨진거죠 ...
@Ellisa1004
@Ellisa1004 2 ай бұрын
범위가 워낙 넓긴하지만 저는 어느정도 극복이 됐다고 생각해요.장애인복지관서 오래 봉사했는데 자폐아의 경우 일찍 발견하고 부모가 교육시킨만큼 아이의 상태가 많이 다르더라구요. 일반인과 다르지않을 정도로 바뀌는 경우도 꽤있다고 들었어요.
@user-tp5yz8xd5z
@user-tp5yz8xd5z 2 ай бұрын
고쳐질만한 약한 자폐였을겁니다. 돈쓰고 시간써도 안고쳐지고 희망고문되는 집이 더 많음. 그 집이 특이케이스
@davidjacobs8558
@davidjacobs8558 2 ай бұрын
옛날에도 자폐 많았씀. 그런데, 그당시엔 동내 바보형 정도로 여겼을뿐. 또 대다수가 농민인 시절엔, 머리가 나빠도, 막노동 시키는데엔 문제가 없었고. 서양에서도 Village Idiot 이란 게 있었는데, 현대 들어서, 그걸 의학적으로 규정한것일 뿐이지.
@m_shan
@m_shan Ай бұрын
자폐는 고쳐지는게 아닙니다. 한국인을 고쳐서 사모아인을 만들수 있는게 아닌것처럼요. 비자폐인과 어울려 살며 언어적 사회적 소통을 좀 더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소통하는 기술, 감정을 다루는 기술을 가르치는 개념으로 보시면 됩니다. 생판 다른 나라 가면 말도 문화도 안 통해서 스트레스 받지만 차차 제2외국어 배우고 문화를 이해하면 생활이 조금 편리해지는것 처럼요. 물론 이걸 자폐인들한테 니가 틀렸으니 니가 우리한테 맞추라는 식으로 한쪽에 일방적으로 강요하지 않고 비자폐인도 자폐인을 이해하는 노력을 한다면 좋겠지요.
@naidadad9311
@naidadad9311 20 күн бұрын
이 책 재미있겠네요.
@kimyelin688
@kimyelin688 2 ай бұрын
홀로 일상생활이 가능한 자폐인들 외에 다른사람의 도움 없이 일상생활이 불가능한 자폐인들 에게도 꾸준한 치료의 기회가 생겨서, 미래에는 그들 또한 타인의 도움 없이도 일상생활을 할수있을 뿐만아니라, 그들 스스로가 자신의 인생을 가꾸어 나가고, 꿈을 위해 노력할 수 있다면 좋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저 또한 고기능 자폐인으로써 말이죠. 나는 그래도 다행히 엄마가 계시지 않아도 요리도 하고 집안일도 하고, 아르바이트도 하며, 현재 스웨덴으로의 워킹홀리데이를 목표로 해서 차근차근 해내고 있지만, 남들도 할수있는 자격증 시험을 합격하고 자격증 따내는데 몇년이 걸렸어요. 언젠가는 다른 모든 자폐인들의 치료가 가능해져서 그들도 새 삶을 살아갈 수 있으면 좋겠어요.
@m_shan
@m_shan Ай бұрын
그동안 참 애쓰셨어요. 응원합니다. 호주에서 여섯살 귀여운 자폐아이를 키우는 엄마입니다. 성인 자폐인들이 사회인식을 개선하는데 목소리를 내주셔서 감사합니다. 우리 아이가 자라서 살아갈 세상은 지금보다 또 한걸음 더 성숙해져 있기를 바래요.
@ck_4586
@ck_4586 2 ай бұрын
높은 체계화+낮은 공감력 ---> 체계화가 문제가 아니라 낮은 공감력이 문제인 것 같은데요
@user-dp4vh6yh3z
@user-dp4vh6yh3z Ай бұрын
아하..😢
@ed-ge9nn
@ed-ge9nn Ай бұрын
그렇다기엔 자폐아한테서도 동일한 체계화 유전자가 발견됬다잖아요
@user-le9qo4yg8j
@user-le9qo4yg8j Ай бұрын
반대로 생각하면 낮은 공감력을 가지고 있음에도 그 높은 체계화가 인류 역사에 큰 공헌을 했다고 볼수도있죠
@user-vk4ms5hv8e
@user-vk4ms5hv8e 2 ай бұрын
재미있네요 무섭기도하고... 십년뒤를 기대해봅니다
@user-lz5rv9gm5v
@user-lz5rv9gm5v 2 ай бұрын
그래... 이런 식의 위로도 필요한 법이지...
@JK-bm6im
@JK-bm6im Ай бұрын
모든 자폐가 긍정적인 결과로 이끌지 못하기때문에 문제인 것이죠. 자폐아이를 가진 부모들에게 위안이 아닌 잘못된 메세지를 전달할 수 있음을 간과하고 있네요.
@kty2200
@kty2200 2 ай бұрын
어릴때부터 패턴에 대해 분석할정도면 천재였네..근데 홈스쿨링 할정도면 부모도 교육자수준정도 되야 할텐데
@user-zkjabida
@user-zkjabida Ай бұрын
사람은 쓰임이 다를뿐 모두 필요가있는듯
@user-pr7vg5cr1b
@user-pr7vg5cr1b 2 ай бұрын
흥미롭네요👍
@user-ys1dt6mj2y
@user-ys1dt6mj2y 2 ай бұрын
자폐도 뇌의 부실한 병이여 겉은 멀쩡해도 뇌의 불균형이 초래한 슬픈 현실 외눈박이가 대세가 되는 일은 없었으면 좋겠다 인간은 완벽하지 않기에 서로 보완적인 관계로 공생하면서 사는거다 한 쪽만 희생되거나 학대당하는 일은 없어야 건강한 사회라 말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지나가는 이과생임다
@simzou4373
@simzou4373 2 ай бұрын
1:25 체계화 메카니즘 - 3단계🎉🎉🎉
@user-ib7gs5nd6j
@user-ib7gs5nd6j 2 ай бұрын
예전엔 의대 음대 부부 , 공대 음대부부, 법대 미대 부부등 공부하는 학과 나온 사람과 예술하는 사람들이 만나거나 그게 아니더리도 이과 문과가 만나서 괜찮았는데 요즘 너무 같은 직업군이나 비슷한 전공들만 만나니 더 저렇게 됨 공부 잘하는 똑똑한 사람은 보통의 지능의 사람을 만나거나 다른 예술계통의 지능을 가진 사람을 만나야 유전자가 섞이면서 더 좋아지는데 똑같은 분야로 똑똑한 사람들이 만나면 이상하게 자폐나 다운증후군등 장애가 많이 나옮
@impress926
@impress926 2 ай бұрын
일리가 아주 없진 않아 보여요.유전자 결합 시 형질이 멀어야 좋은데 너무 비슷한 결합이면서 고지능 끼리 결합이 모 아니면 도가 되는건지. 고지능 직군에서 자폐 발현이 높은편인 것 같네요.
@doredore1048
@doredore1048 2 ай бұрын
이거 너무 신기하네요...?
@user-gj2un1sl8h
@user-gj2un1sl8h 2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과학적으로도 현실적으로도 맞아요 저의 둘째 외삼촌이 공대 건축학과 출신인데 음대출신 외숙모와 결혼. 외사촌동생 둘이 아주 특이하게 우수해서 놀랐어요 제가 구구단 외운다고 고생할때 옆에서 듣고있던 4살짜리가 저보다 먼저 외우는일도 있었고 지금은 둘다 교수로 재직중이고요
@oxdoxx
@oxdoxx 2 ай бұрын
히틀러식 우생학이라니 참ㅋㅋㅋㅋㅋㅋㅋㅋㅋ 자유를 부르짖고 민주를 외치는 현실에서 이런 해괴한 소리를 하다니 우생학을 지지하는 듯한 발언은 곧 공산독재국가, 파시스트국가를 지향하는 것과 똑같은 입장인 겁니다. 자신의 가치관이 공산독재, 파시스트를 배척하는 것이라면 이 우생학적인 발언은 매우 위선적이고 이중적인 겁니다.
@concon996
@concon996 2 ай бұрын
​@@oxdoxx뭔 히틀러까지 들먹이냐 머저리 마냥. 그냥 팩트면 되는 거지.
@user-ic4uv6fm6i
@user-ic4uv6fm6i 2 ай бұрын
자폐를 가지면 많은 경우 지적장애도 동반된다고 하던데..
@impress926
@impress926 2 ай бұрын
명확히 밝히기 참 복잡한데, 주변 자폐아 부모 보면 공통점은 비교적 고학력 배운분들임. 선생님,약사,박사 대학 강사.... 감정적으로 호들갑 떨고 활발하기 보단 차분하고 이성적이면서 약간 느끼기 따라 차갑고 내성적인 느낌
@superstar_mirr561
@superstar_mirr561 2 ай бұрын
고학력 부모들의 자식들이 자폐라니ㅠ저자신이 자폐가 있나? 많은 의심이 들더라구요ㅠㅠ 저희부모님도 고학력자 거든요.( 고학력에 갖기힘든 좋은직업에 종사하며 맞벌이로 자식들 키우느라, 정작 자식들에게 소홀하게 되서 그렇겠죠?) 왜 자폐아 부모들이 고학력 출신이 많다고 생각드시나요?
@impress926
@impress926 2 ай бұрын
@@superstar_mirr561 왜 자폐아들의 부모가 고학력자들이라 생각드나요?는 간단해요.살면서 본 케이스들이 거의 다 지적인 직업군이었어서요. 본것이요. 선생님, 박사 대학강사,약사.뉴스로 접한것은 한의사부부. 좀전 여기 댓글에는 변호사부부도 있고 이공계 특수직군이라신분도 있구요. 또 자폐스펙트럼 유트브하시는 부모님들 보면 결과론적인것인지 지적인분들이 자주 보이구요. 이 상관관계를 누가 연구해보면 좋겠다싶긴해요.이것이 근본적으로 뱃속부터 3세전 부모성향상 이성적이고 정서교류 부족한 양육스타일 영향인지.일각에선 유전성도 얘기하던데 그게 비슷한 의미같기도해요.대놓고 부모가 자폐는 발현이 안되어 일반인이지만 내재된 이성적이고 사회성 낮은 천재끼있는 타입의 미발현 자폐라 그런것인지. 선천후천 요소가 미묘하게 결합된게 아닌가 싶기도해요
@yslee7692
@yslee7692 2 ай бұрын
그게 영상 내용이잖아요; 고학력이라기보단 체계화 능력이 높은 과학, 공학 쪽 분들@@superstar_mirr561
@Jessy77251
@Jessy77251 2 ай бұрын
그러고보니 제 친구 부부도 대학교수인데.. 아이가 자폐네요.. 거참..
@user-xt8gs1bc1d
@user-xt8gs1bc1d 2 ай бұрын
똑똑한 사람들은 이성적이고 계산적인 면이 발달된 사람들인데 그런 사람이 둘 씩이나 모여 아이를 낳았으니 그 아이는 그러한 면이 증폭되다 못해 폭발돼서 나타난 결과일 수도 있고 아니면 재벌가에서 재산 유지하려고 가까운 사촌 팔촌 지간에 결혼을 하면 아이는 알 수 없는 유전병이 생기듯이 비슷한 성질 끼리 붙여놓지 못 하게끔 하려는 신의 설정값일 수도 있고..^^
@user-ss4ed3pd6k
@user-ss4ed3pd6k 2 ай бұрын
패턴 찾기, 체계화. 이건 나의 특징. 아이큐도 높게 나오는데, 가장 적합한 분야가 기술테크, 그 담이 문학, 그 담이 음악이나 미술 디자인 정도?
@user-qv7xj6sz6c
@user-qv7xj6sz6c 2 ай бұрын
돈못버는 부모의 자폐아이는 버려졌거나 죽었을거라 엔지니어의 자식들이 많은겨
@user-Elisabeth524
@user-Elisabeth524 2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julie81581
@julie81581 2 ай бұрын
장애아 캠프 봉사갔는데 의사 약사등 고학력 직업군이 흔했음..
@storyteller2695
@storyteller2695 2 ай бұрын
근데 돈없는 집은 먹고살기 바빠서 캠프에 올 여유가 없었던건 아닐까...캠프가 있는지 알아볼 여유도 없고
@soohyun-tv9es
@soohyun-tv9es 2 ай бұрын
​@@storyteller2695오....그것도 맞말
@ioup5875
@ioup5875 2 ай бұрын
돈이 있어서 장애자녀를 캠프 등 노출시킬수 있는것임. 논 화이트칼라 부모들은 자폐아동을 버리거나 가두어두거나 시설에 넣거나...
@alala4290
@alala4290 2 ай бұрын
저것도 어느 정도 수준일 때지 아예 중증이라 고기능을 발휘할 수 없으면 국가가 책임져야 할 복지대상 하나만 늘 뿐
@User_nothing522
@User_nothing522 2 ай бұрын
에디슨은 자폐가 아니죠 남들의 성과를 수차례 가로챘습니다 자폐는 그러기 어렵죠
@whathe0
@whathe0 2 ай бұрын
에디슨의 일대기는 어디까지가 진짜고 어디까지가 주작인지 알 수가 없죠.. 자폐라기 보다는 딱 그 반대성향.
@happymilk2693
@happymilk2693 2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테슬라한테 한짓도 크고, 거기다 아이들한테 집에 있는 애완동물 가져와라해서 (동전준다하고) 전기실험까지한 잔인한 인간이에요.
@garangbii
@garangbii 2 ай бұрын
자폐가 아니라 싸패?
@user-or5gs2pj4n
@user-or5gs2pj4n 2 ай бұрын
애초에 엣날 과학자들 거의 전쟁시기였어서 전쟁도구로 사용했을뿐임 그 지식들을
@beeddoven2752
@beeddoven2752 2 ай бұрын
아스퍼거는 상당히 자기중심적입니다
@user-bq7sl6ws5q
@user-bq7sl6ws5q 2 ай бұрын
제 주변의 자폐아이들 특징은 (미국) 한국 엄마 미국 엄마 둘다 흡연자였어요.
@user-bc6yq3nz1n
@user-bc6yq3nz1n 2 ай бұрын
문제는 일상 생활이 불가능한 지능 상태의 자폐인들이 많아지는 게 문제입니다. 이런 케이스는 극히 드물고 환경오염등 여러가지가 있지만 초가공식품의 등장과 깊은 상관관계가 있다고 봅니다. 가공식품의 왕국 미국이 유독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이 과연 우연일까요.
@user-mi7cv6qm2z
@user-mi7cv6qm2z 2 ай бұрын
조아요 구독꾹 감사합니다 ❤
@JoeFB329
@JoeFB329 Ай бұрын
체계화 능력이 높은 직군 사람들은 대부분 학습 기간이 길고 사회진출 시기도 늦기 때문에 늦은 나이에 결혼하여 노산 문제가 큰데 이런 변수도 통제한 연구였는지 모르겠네요. 잘못하다가는 한때 자폐아 부모들을 괴롭히던 냉장고 엄마 이론 같이 될까봐 걱정이네요.
@user-np2kl8fp5y
@user-np2kl8fp5y 2 ай бұрын
Nt계열이 매우 똑똑함
@tww2682
@tww2682 29 күн бұрын
그 똑똑하다는 실리콘밸리 사람들 자식이 자폐아가 많다 하더이다, 부모의 어떤 성향이나 능력이 자폐와 유전적 영향이 있다
@Elbonmusk
@Elbonmusk Ай бұрын
3:00 아니 이건 일론머스크포즈 잖아?! 복장도 비슷해 😂😂
@wb5741
@wb5741 2 ай бұрын
맞는말 같음. 사회복지사 발달장애쪽으로 일했었는데 자폐아 부모들 두명 또는 한명은 직업군이 화이트칼라였음. 부부중 한명이라도 몸쓰는 블루칼라는 없었음. 의사,약사, 석박사 등등.. 그땐 그냥 신기했는데 이거보니 부모지능이 높아서 생긴거였네...
@impress926
@impress926 2 ай бұрын
ㅠㅠ 무서워요.부모가 열심히 산것일 수 있는 과업이 자녀에게 그런 결과를 가져온다면 너무 속상한데요.근데 저도 살면서 본 케이스들이 부모가 배운 직군이었어요. 이게 뭘 의미하는걸지 연구대상감인듯해요
@happppppppppppppppppy
@happppppppppppppppppy 2 ай бұрын
블루칼라도 열심히 살았어요 화이트칼라와 블루칼라를 단순히 노력의 결과로 생각하는 건 지극히 잘못된 사고방식입니다. 애시당초에 사실이 아니에요.
@user-pu4by1ss6f
@user-pu4by1ss6f 2 ай бұрын
​@@happppppppppppppppppy블루칼라가 열심히 살지 않았다는 것이 아니라 체계화가 몸에 벤 화이트칼라들 사이의 자녀가 자폐 비율 2배 이상 높았다는 통계를 얘기하잖아요 우리나라 경우 의사들끼리, 엔지니어끼리 결혼하는 경우가 많은데 부모 학력 조사해 보면 비슷하게 나올 수도 있겠네요 의사 집안엔 의사가 많은데 자폐아도 나올 확률이 높아진다니 뜻밖이네요
@swift9112
@swift9112 2 ай бұрын
@@happppppppppppppppppy 동의합니다. 우리나라사람들이 극단적으로 갈라치기 하는편이지요. 이책저자는 자페가 유전적 경향 있다라는걸 말한것같고 또그런경우가 많지만, 요즘와선 오염된 환경이 역할을 많이 하는걸로 연구결과가 많이 나와있습니다. 이학자가 많은 발표를해 잘 알려진분 이지만 다 만는말만 하는게 아니라 한 학자의 의견일 뿐 입니다. 현재 연구가 활발하게 되고있으니 좀더 깊이있는 정보가 많이 나올것으로 기대해봅니다.
@yjp-xl9ue
@yjp-xl9ue 2 ай бұрын
블루칼라는 애가 조금 이상해도 병원에 데려오지 않을것 같아요...상대적으로 삶에 바쁘거나 관찰력이 부족해서 방치하거나 몰라서 놓치는 경우가 많을 듯 돈도 문제고
@user-bz7wl6ju6f
@user-bz7wl6ju6f 2 ай бұрын
제가 아스퍼거 증후군이라는 일종의 고 기능성 자폐라 말씀드리는데, 논리적인 지능이 떨어지는게 아니라 감정적으로 다른 사람과 공감하는 능력이 떨어지는 자폐도 있습니다. 지금은 아스퍼거 증후군에 대한 여러가지 연구나 관련된 책들도 많이 나왔지만 제가 학생 때는 그런 것도 없어서 저 자신이 무언가 다른 아이들과 다른것 같다고 애매하게 인식할 뿐 스스로 자폐라는 생각은 하지 못했습니다. 아마 이유는 공감능력이란게 상당히 애매하기 때문이겠지요. 감정이 없는게 아니라 순간적으로 다른 사람들이 하는 행동이 어떤 감정을 담고 있는지 파악하는 능력이 결여되어 있는 것이기 때문에, 지금 옆에 있는 사람이 어떤 감정일지는 잘 모르지만 소설을 읽거나 만화를 보면서 정말 엉엉 울때도 많이 있습니다. 나중에 나이가 들고 사회생활을 하는데에 성공하게 되면(저는 운이 좋았지만 대체로 사회에 적응하기는 힘들어합니다. 특히 한국 술자리 묺하 ㅅ...) 경험을 쌓았기 때문에 전문용어로 마스킹 이라는 기술이 숙달됩니다. 마스크를 쓰는 것처럼 상황에 맞는 말과 행동을 연기하는 거죠. 마치 ai가 학습하는 것과도 비슷합니다. 기계적으로 반복과 오류 과정을 거치면서 질문을 이해 하지 못하더라도 정답과 비슷한 결과는 도출 할 수 있게끔 되는 것이죠. 저 스스로가 그렇게 느껴요. 하지만 이게 다 거짓이라고 할 수도 없는게 이렇게 안하면 다른 사람과의 교류 자체가 안됩니다... 저는 특히 서비스업에 종사해서 그렇네요. 요약하자면, 하... 인생..... 지금은 종교적 수행으로 승화시켜서 어떻게 잘 해나가는 듯 하지만 인간적으로 평균적인 사람들에 비해 결여되어 있다는 감각은 아직 지워지지 않았네요. 전 세계 모든 자폐인들 아스퍼거인들 응원합니다. 그대들이 진정 바라는 것이 이루어지기를.
@user-ct9wq6wr6l
@user-ct9wq6wr6l 2 ай бұрын
보통 사람들이 아스퍼거를 오해할 수 있는게 공감 능력이 부족한 걸 무정하다거나 도덕성이 떨어진 걸로 오해할 수가 있습니다.아스퍼거 연구 학자 tony attwood는 아스퍼거로 진단되면 부정적인 말이 아니라 축하의 말을 해 준다고 합니다.보통 사람들과 다르게 생각 하고 세계를 이해 하는 능력,도덕성등 아스퍼거가 아니었으면 가지지 못했을 능력을 높이 평가 합니다
@m_shan
@m_shan Ай бұрын
아직 사회적 인식도 이해도 바닥이던 시절에 정말 많이 애쓰셨겠어요. 저는 호주에 사는데요, 한국인이 말도 문화도 다른곳에서 이들과 어울려살기 위해 제가 언어도 문화도 “맞춰주며” 살기 때문에 호주사회에서 소수집단이지만 나는 능력자라고 생각해요. 결여된것이 아니라 다른건데, 다수집단이 상대방의 삶의 패턴과 방식에 공감하지 못하기 때문에 소수집단이 공감해주며 사는거죠. 저희 자폐아이는 아직 여섯살이구요, 지금 인식수준도 또 해외라는 특성상도, 편견이 비교적 없는 사회에서 필요한 도움 받으며 건강하게 자라고 있어요. 미리 험한길 헤쳐갔던 자폐인들, 아스피들 대단하고 고맙습니다.
@m_shan
@m_shan Ай бұрын
@@user-ct9wq6wr6l 오 저도 토니 애트우드 좋아해요. 아이 진단해주던 소아과전문의가 건네주면서 짧은 상담시간보다 더 도움이 될거라고 했던 책이 tony attwood asperger’s syndrome이었어요. 유튜브에 그 분 강의 다 재밌음. 귀에 쏙쏙.
@user-qt7ow5dg2p
@user-qt7ow5dg2p 27 күн бұрын
저도 아스퍼거 성향입니다 저는 살면서 가장 떨어지는 부분이 다른 사람이 왜 화가 나는지 왜 기분이 좋은지 왜 그 말이 재밌는건지 알아채는 것입니다 그리고 표정이 좋다 표정이 안좋다 이런걸 알아채는 능력도 떨어집니다 인상 팍쓰고 있으면 표정 안좋은걸 알죠... 근데 미묘한 부분은 못알아차립니다 그리고 공감 개그를 치면 거의 100% 공감이 안되기 때문에 머리로 시뮬레이션 한 후 일부러 웃죠... 그래도 아스퍼거인들은 사회적 연극을 해야만 하고 그렇게 사는게 맞는 것 같아요 무척 피곤하고 어려운 일이지만 사회를 벗어나 살 순 없으니까요...
@bms7786
@bms7786 2 ай бұрын
자폐의 종류가 여러가지인데 그걸 한개로 묶어서 얘기하면 혼동을 줄수있다고 생각합니다.
@Mjunywoldang
@Mjunywoldang 2 ай бұрын
깨달음......전체를 꿰뚫는 하나! ...주역 원문 읽고 많이 호전되었습니다...
@tonylee3040
@tonylee3040 2 ай бұрын
대부분의 자폐는 수준 이하 입니다...
@jjingjang7026
@jjingjang7026 15 күн бұрын
저도 어렸을때 혼자 있는것을 좋아했는데 항상 친구들이 저를 끌고 같이 놀자고 했던 기억이 나요 이 얘기를 아는 언니에게 말했더니 저보고 자폐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구요 공부는 못했어요.. 근데 한번 꽂히면 밤을 새어 하는 편이구. 패턴을 잘 읽어내는 편이긴 합니다. 알아내는걸 좋아하기도 합니다
@user-ws4mj7hw6b
@user-ws4mj7hw6b 2 ай бұрын
자폐 천재 본적있음 한번 본건 전부 다 알아버림 이정도 되야 설득력있음 그리고 그 집 아빠도 아들을 넘 신기해 했음
@user-dx4wr2dy8b
@user-dx4wr2dy8b Ай бұрын
저희 아이도 자폐나 아스퍼거는 아니지만 사람에게 관심이 없고 공감능력이 떨어집니다. 사회성이 떨어져 학교에서도 수업에 필요한 정도로만 얘기하고 노는 친구는 없는 것 같습니다. 친구가 아쉽지도 않다해요. 공부는 좋아하고 잘 합니다. 그리고 코딩에 엄청 흥미를 가집니다. 댓글 보니 경증 자폐인 아이들도 코딩을 좋아하는군요. 부모로서 걱정이 많았는데 공감능력보다 체계화능력이 뛰어난 자폐성향 인간유형이 따로 있었군요. 저희 부부도 고학력이고 전문직입니다. 이해가 좀 되네요. 아이에 대해 더 이해하고 성향을 존중해야겠습니다.
@spritual_enlightenment
@spritual_enlightenment Ай бұрын
자제분이 환자는 아니라니까, 내 사례가 도움이 될 수 있겠군요. 고 3때 나는 내가 "냉혈동물"이란 걸 알게 되었습니다. "소나기"란 소설은 무려 7번을 읽고 나서야 이게 슬픈 이야기라는 걸 알게 되었을 정도니까요. 그래서, "친절함"과 "관대함"을 내가 가져야 할 덕목이라고 생각하고 살았죠. 그 결과 30여년이 지난 지금 나는 INFJ 입니다. 예전에는 무조건 뜯어고칠 수 있다고 생각하고, 몽둥이질을 해댔지만, 요즘은 타고난 자질은 바꿀 수 없다고 봅니다. 그러니까 그 자질의 어두운 면(단점, 약점)을 보완해줄 습관이나 버릇을 들이면 됩니다. 자제분에게도 타고난 자질을 보완해줄 수 있는 선택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걸 당사자가 인지하고 그 수단을 습득할 수 있도록 도와주십시오.
@user-dx4wr2dy8b
@user-dx4wr2dy8b Ай бұрын
@@spritual_enlightenment 본인 얘기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저희 아이도 그런 감상이 잘 없습니다. 살아가면서 그래도 타인과 함께 살아갈 정도로는 닦여가리라 믿고 있습니다. 놀이치료 상담도 진행했고 지금도 사회성 관련 수업을 시키고 있습니다. 그랬더니 많이 나아져가고 있어요. 논리적이고 지적 호기심이 많은 건 장점이니 칭찬해주고 상대입장을 배려하는 예절과 매너는 배워야한다고 계속 가르치려고 합니다. ^^
@user_16744mkkh
@user_16744mkkh Ай бұрын
아기가 별문제가 없는 것같으네뇨 ...
@user-ez6nm3sk2d
@user-ez6nm3sk2d 23 күн бұрын
💪💪💪💪❤
@kwangmin7863
@kwangmin7863 2 ай бұрын
시골농부.옛날부모님들.육체적노동을 하면 남자 여자 모두 건강한데 의자와 밀집된상황을 오래겪었을때의 신체구조는 과연 같을까요? 꽉잡어둔 신체와 운동량이 많은 신체.
@user-oo3nh3zx5h
@user-oo3nh3zx5h 2 ай бұрын
여기서 말하는건 자폐가 아니라 아스퍼거같은데...
@beeddoven2752
@beeddoven2752 2 ай бұрын
체계화가 높으나 정상인이 아이를 낳아서 자폐가 된 게 아니라. 애초에 루틴대로 하거나 체계화를 하려는 성향이 경증 자폐인 중에 많아요 즉 부모가 ㅇ경증 아스퍼거이기 때문에 유전으로 그런 아이를 낳은 거에요 정상이지만 체계화를 잘하는 사람들이 아니라 애초애 아스퍼거인 사람들일 가능성이 있다는 겁니다. 경증 아스퍼거고 체계화를 잘하는 사람들이 같은 아스를 유전으로 낳는 거죠
@user-cm7ec4no8i
@user-cm7ec4no8i Күн бұрын
자폐와 패턴 분석력의 능력비례와 관련이 있을거라 생각했던 저로서는 놀라운 연구 결과네여. 결국 자폐는 인간이 새상을 극복하기위한 유전능력의 일종이었던듯 합니다.
@user-ok4zo3je4r
@user-ok4zo3je4r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영상에 나온 네덜란드 논문을 읽어보고싶은데, 논문 제목을 알 수 있을까요?
@bookvore
@bookvore Ай бұрын
도서 [패턴 시커]에 관련 내용과 출처가 나와있습니다! 감사합니다.
@sweetme_us_2354
@sweetme_us_2354 2 ай бұрын
너무 광범위한 자폐를 끌고와 특별한 케이스로 만든 것 같습니다. 몰입능력이 뛰어나고 관심분야에 한해 드러난 특별한 지능은 모든 자폐아가 가지고 있는게 아닙니다. 그리고 몰입능력이 뛰어나다고 다 자폐아가 되는 것도 아니구요. 주변의 관계에 관심이 좀 적긴 하지만 그게 자폐를 특징하지는 않죠. 번역이 너무 광범위하게 된 것이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user-uc4oq5rt9k
@user-uc4oq5rt9k 2 ай бұрын
내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자폐아 될 확률은 유전적 요소 + 도파민 지수가 다른 사람에 비해 높은 사람들 아닐까 생각 됩니다
@idpersonal689
@idpersonal689 2 ай бұрын
에디슨은 논란이 많은 과학자입니다. 우리나라만 위대하다고 하는 과학자이니 참고하세요.
@LeeKen1
@LeeKen1 2 ай бұрын
"가짜 발명가"
@MagicSteel1
@MagicSteel1 2 ай бұрын
과학자는 아니지. 테슬라와의 문제도 있고. 하지만 뭔가 매달려서 자꾸 만들고 쓸만한걸 남긴 공적이 있으니까.
@user-tb3vg8un2m
@user-tb3vg8un2m 2 ай бұрын
인정
@user-by9mj6dt7n
@user-by9mj6dt7n 2 ай бұрын
특허도둑이져 ​@@LeeKen1
@maremi2023
@maremi2023 2 ай бұрын
왜 논란이 많나요?일루미나티 자금으로 발명했다해서 충격.
@yro3593
@yro3593 2 ай бұрын
부모가 똑똑하면 애들이 똑똑할 가능성이 높을텐데 자폐아 나올 가능성도 높네요😮
@user-lz5rv9gm5v
@user-lz5rv9gm5v 2 ай бұрын
설사 자폐아가 저런 식으로 성공할 수 있다고 해도 잊지 말아야하는 건... 여기는 "한국"입니다. 미국이나 기타 국가가 아니에요. "한국"입니다.
@m_shan
@m_shan Ай бұрын
왜 한국은 안되나요? 호주에서 자폐아이 키우는 엄마인데, 특수교사 하고 있는 사촌동생이 그러더라구요. 언니, 호주에서 키우니 다행이라고. 물론 감사하지만 한편으로 씁쓸한 말이었어요. 한국이 문화도 경제도 다 잘하는데 왜 자폐아동 교육은 잘 못해야만 하나요? 🥲 인식이 바뀌고 포용적인 사회로 성장하기를 바랍니다.
@user-lz5rv9gm5v
@user-lz5rv9gm5v Ай бұрын
호주시라니 다행이네요. 그 나라에서 자녀분 잘 키우시기를 기원합니다. 정말... 다행인 일이네요.
@beatmoney4533
@beatmoney4533 2 ай бұрын
그렇지 않아도 공대출신들이 인기가 없는데, 이 영상으로 인해 결혼상대 기피현상이 심해지겠네요 ㅎㄷㄷㄷㄷ
@user-ht3se3em7v
@user-ht3se3em7v 2 ай бұрын
체계화 능력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공감 능력을 기르면 될 문제 같네요.
@user-pu4by1ss6f
@user-pu4by1ss6f 2 ай бұрын
의사, 엔지니어, 변호사, 회계사 모두 체계화 직군입니다~~
@kiweejam
@kiweejam 2 ай бұрын
그들이 공감능력이 뛰어난 배우자를 만나면 얘기가 다르죠~ ㅎㅎㅎ
@user-ry3sk8lg8e
@user-ry3sk8lg8e 2 ай бұрын
이것이 맞다면 대학 교수 부부가 낳은 자녀들 중에 자폐 성향을 아이들이 많이 발결 될 수 있겠네요.
@user-yq6cb8ts8m
@user-yq6cb8ts8m 2 ай бұрын
사실임. 실리콘밸리에서 결혼한 고학력자부부 자녀들 중 자폐, ADHD 등 지적발달장애 많음. 고지능 발달장애아들의 부모들 보면 비슷한 성향이 있음.
@BummjunJoe
@BummjunJoe 2 ай бұрын
안타깝게도 이게 발견된 시기와 맞물려 인류의 그 체계화 능력을 본따 만들어진 우리의 새로운 자식인 AI가 태어나 커가고 있네요… 영상에 나온 인간의 체계화 능력이 극대화된 유기물 아이들이 무기물 아이들에 의해 도태되는 안타까운 결과가 나오지 않을까 싶습니다. 안타까운 마음이지만 효율이나 자원 소모 면에서 후자가 적자생존 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MS-sc7bo
@MS-sc7bo 2 ай бұрын
우영우에서 설정이 엄마아빠 둘다 법대출신이었죠
@user-rw4br8nu6e
@user-rw4br8nu6e 2 ай бұрын
친구 부부가 물리학 전공자로 연구원들인데 아이가 자폐
@bnm304
@bnm304 2 ай бұрын
연구하다 만나서 평생 연구가 일상이었던 퀴리 부부의 아이들은 어땠나요? 자폐아가 있었나요?
@steampunk329
@steampunk329 2 ай бұрын
거긴 자식도 천재죠. 큰딸 부부가 또 노벨상 탔죠. 작은 딸은 작가로 살았던가 그랬을 거예요. 퀴리 부인 전기 씀.
@hyeon8046
@hyeon8046 Ай бұрын
@@steampunk329 신기하죠. 부모님이 전부 물리학 이과이고 언니도 이과인데 본인만 작가이자 피아니스트...
@lattelatte0707
@lattelatte0707 2 ай бұрын
자폐인도 감정있고 동감을 원하고 상대가 분노한다는걸 느낀다. 왜 화난건지 모르고 어찌해야 화가 진정되는지 모를뿐... 난 왜 또 여기서 분노하는지... 아주 하이애나들만 넘치는 여기시
@user-rf5zc8if2b
@user-rf5zc8if2b 2 ай бұрын
자폐아들이 진보를 이끈거보다 정상아들이 이끈게 많지않음?
@kyr0523
@kyr0523 2 ай бұрын
그 정상들도 대부분 도태들이던데
@user-wf1tp3dv3c
@user-wf1tp3dv3c 2 ай бұрын
자폐가 주위는 없지만 일반적이지 않지만 위로가 되겠네요
@namedmaster1842
@namedmaster1842 3 күн бұрын
04:02 아닐걸요.그 부모들 마약 경험 조사를 안 하고 답을 정하고 추정하네. 옛말에 배우지 않고 생각만 하면 위험하다고 하죠. 요즘으로 보면 다각도로 조사 안하고 생각만 하면 위험합니다.
@zldwm
@zldwm 2 ай бұрын
알의 주머니에 녹음기 하나만 넣어줬어도... 하긴 그랬으면 에디슨은 탄생하지 않았겠지.
@user-ej7lg9yz5p
@user-ej7lg9yz5p 2 ай бұрын
인간을 너무 과학발전의 도구로만 이해하는 책인 것 같습니다. 태어난 모든 생명이 각각 최대한 기쁘고 행복하기 위해, 인류는 더욱 노력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런 면에서 본다면 이런 조합의 결혼은 그다지 바람직하지 않다고 과학도들에게 인지시켜 줘야겠네요.
@nayanaya
@nayanaya 2 ай бұрын
체계화 능력이 높은 사람들이 공감능력이 많이 떨어진다고 하는거 보면 체계화 능력이 높은 사람들 끼리 결혼하면 태어난 아이에게 감정적 공감을 해줄 확률이 떨어져서 사회화 지능의 발달이 떨어지게 되어서 자폐가 되는거 아닐까요?
@user-so9ww3du1v
@user-so9ww3du1v 2 ай бұрын
오 이거 맞는듯
@user-pg7bz3hn3x
@user-pg7bz3hn3x 2 ай бұрын
자폐는 선천적으로 타고나는 것 아닌가요. 후천척 영향이 어느정도 사회성에 영향을 주는 것은 맞겠지만, 아이의 장애가 부모의 탓이라고 얘기하는 건 위험해 보여요.
@haha_4995
@haha_4995 2 ай бұрын
자폐는 선천적인거에요 ㅠ아무리 부모가 감정적 공감을 안해줘도 유치원 어린이집 등 다른 대안이 많아서 자폐까지는 가기 어려워요
@user-sz8md8xx2g
@user-sz8md8xx2g 2 ай бұрын
애둘이 자폐스펙트럼임 어리숙한 허점보이니 주변애들 괴롭힘 공격에 허허하면서 지나쳐야되늨데 그냥 넘어가지못하고 극도로 예민해서 일일히 방어해주느라 와이프도 히스테릭해지고 키우는 돈도 남들보다 3배는 더들어가서 가장으로서 힘들고 극도로 우울해짐
@erp4046
@erp4046 2 ай бұрын
벼락부자를 조사했더니 로또를 샀더라 그런거 같다.
@ioup5875
@ioup5875 2 ай бұрын
😅😅😅😅😅😅😅😅😅
@user-rl1bq9zo9t
@user-rl1bq9zo9t 27 күн бұрын
자폐 스펙트럼이라고 하죠. 굉장히 넓은 증상을 자폐라고 합니다. 전체 자폐스펙트럼에서 영상처럼 체계능력이 일반인보다 뛰어난 자폐는 0.1%도 안될껍니다. 이런 주장은 자폐를 보는 우리의 시선을 왜곡시킵니다. 쟤는 어떤 능력이 있을까? 하고 기대하게 되죠. 여러 영화에서처럼 고도로 발달된 암기력이나 피아노를 잘치는 능력을 보유한 자폐인은 0.001%입니다.
@MnMandJin
@MnMandJin 2 ай бұрын
내 친구도 그 부모님들이 자식이 그냥 자폐인줄 알았는데, 자폐가 아니라서 자폐장애 등급으로는 안 나오고(진단 받을 당시는 그랬는데 지금도 그렇게 진단되는지는 모르겠음) 고기능성 자폐라 불리는 심한 아스퍼거였고, 서번트증후군임. 천재이긴 한데 사회생활 안되고, 공감능력 없고, 자기 일에만 몰두ㅡ하긴 하지만 가까워지고 보면 나름 의사소통방식이 있음. 근데 부모님이 서울대 나오신 공대생들임..위로 형제 둘이 있는데, 다 이공계 교수, 박사고..어느정도 맞는 말인가 싶긴하네.
@infpgirl.
@infpgirl. 2 ай бұрын
자폐지만 똑똑한 아이와 사회성이 높지만 평범한 아이라... 전자가 과연 좋은 건지 애매하네
@hyeon8046
@hyeon8046 Ай бұрын
후자가 더 좋죠. 자폐지만 똑똑해봤자...ㅠ
@user-my3wu6no1c
@user-my3wu6no1c Ай бұрын
사회성도 엄연히 타고나는 재능인데 이왕이면 후자가 훨씬 낫죠 세상 살기에
@typebin
@typebin 25 күн бұрын
친구로는 후자가 낫다
@wooillee6061
@wooillee6061 2 ай бұрын
지나친 일반화의 오류가 여러번 반복되는 것 같습니다.
@user-sg3yk3rq7g
@user-sg3yk3rq7g 2 ай бұрын
‘확률’ 이 높다고 하고 공통 유전자를 가졌다고 하는게 어떻게 일반화의 오류인지?
@wilee1224
@wilee1224 2 ай бұрын
@@user-sg3yk3rq7g 하나의 예로, 마지막 문장 “자폐는 세상을 바라보는 다른 방식이다. 이 특별함 덕분에 세상이 발달할 수 있었다는 사실을 잊지 말이야한다.” 세상이 발달할 수 있었던 여러 요인 중에 마치 자폐가 기여한 것처럼 언급을 함. 자폐가 기여한 게 아니라 그냥 에디슨이 기여를 한 것이고, 그렇게 따지면 에디슨이 가지고 있었던 다른 특징들은 모두 차치하고 자폐만을 꼭 집어서 본인의 주징에 힘을 실으려고 하는 전형적인 일반화의 오류.
@user-zl7lf5rg2c
@user-zl7lf5rg2c 2 ай бұрын
지나친 일반화의 오류를 범하는 댓글 같습니다.
@wilee1224
@wilee1224 2 ай бұрын
@@user-sg3yk3rq7g“자폐는 세상을 바라보는 다른 방식이다. 이 특별함 덕분에 인류의 문명이 발달할 수 있었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이 문장에서 이상함을 느끼지 못하나? 마치 문명의 발달에 자폐가 도움을 준 것들 중 하나인 것으로 이야기 하는데, 자폐가 도움을 준 것이 아니라 그냥 에디슨이 도움을 준 것이고, 극 소수의 예를 가지고 이렇게 본인 입맛에 맞는 것을 주장하기에 일반화의 오류라고 하는 것임.
@wilee1224
@wilee1224 2 ай бұрын
자폐를 가진 수많은 아이들이 대부분 고도의 집중력을 가진 아이들인 것마냥 묘사하는 것도 그렇고.
@user-og1nu5pb8c
@user-og1nu5pb8c 2 ай бұрын
모르는 사람이 보면 자폐증 대부분이 저런 줄 알겠네... 저건 극소수고 대다수는 지능도 떨어지고 언어표현도 제대로 안 되며 성격이 그악스라워 정상적인 사회생활도 어려움.
@haim7512
@haim7512 2 ай бұрын
2:43 체계화 능력은 인간의 지능과 관련되있다고 전반부에 설명되어있는데 체계화 능력이 너무 높으면 어떻게 될까? 당연히 멍청한 애들하고 말이 안 통하겠지.
@bnm304
@bnm304 2 ай бұрын
격하게 공감합니다.
@user-ku8ed1se5t
@user-ku8ed1se5t 11 күн бұрын
에디슨이 어떤 사람인지 모르고 말하는..
@YesMyLord14
@YesMyLord14 2 ай бұрын
뉴타입
@user-hf8ro1qh8p
@user-hf8ro1qh8p 18 күн бұрын
여기서 말하는 자폐는 저지능을 동반하는 자폐가 아닙니다.. ADHD와 아스퍼거 등의 자폐는 뇌가 작동하는 방식이 다릅니다. 모자란 게 아니라요. 재능으로 기를 수 있는 능력이 무궁무진하다는 말입니다. 실제로 성공한 예술가나 기업가들 중에는 위 자폐를 겪은 사람이 많고요. 하지만 그것을 알아보고 키울 기회를 갖기보다는 방해받거나 열등한 존재로 취급받은 일이 더 많을 겁니다. 이를 위한 대책을 마련하려 해야지, 자꾸 다른 사례를 가져오면서 논점을 흐리려고 하지 마세요. 저지능 자폐에 대해서는 따로 다루어지며 사회적 교육 시스템, 제도를 마련하는 것이 맞습니다.
@tabbykim7
@tabbykim7 17 күн бұрын
맞아요...키워보지 않은 이론...고지능 자폐 인 경우 네요.환경이 따라줘야 하는데 ....그게 말이 쉽지...
@user-vd4vj7iw8d
@user-vd4vj7iw8d 23 күн бұрын
공부 하기 정말 힘들었지 ㅋㅋ 걍 냅둬도 자기 하고 싶은거 찾아서 한다
@hi0jeje
@hi0jeje 21 күн бұрын
바빠서 자녀와 공감할 기회가 적고 엔지니어라는 직업 때문에 자기 생각에 빠져사는 부모라서 그런게 아닐까요. 저렇게 평균수치와 특정직업군 비교하면 당연히 일부 직업군이 더 높을것 같은데.. 다른 직업중에서도.
@jwluvx2
@jwluvx2 14 күн бұрын
자폐가 아니라도 AI로 큰 실수 할수 있지만 AI시대에 자칫하면 더 큰 재앙이 될수있는 무서운 재능이 될수도 있겠네요. 자폐를 가진 사람이 소수이고 그저 기술이나 과학, 예술같은 분야에서 일을 할때는, 이들의 대인관계에 대한 부족이 자신에게만 고통이 되겠지만 AI를 통해 사회 시스템이나 사회적 통제를 주관하게 된다면요...
@user-xo4jk7vo7n
@user-xo4jk7vo7n 2 ай бұрын
악마적인 비지니스맨 에디슨
@user-by1ly8wy1k
@user-by1ly8wy1k 25 күн бұрын
good-bad
@user-gi5ck7qw5r
@user-gi5ck7qw5r 2 ай бұрын
자폐가 장점...이었나요?
@lattelatte0707
@lattelatte0707 2 ай бұрын
사기꾼은 없응
Omega Boy Past 3 #funny #viral #comedy
00:22
CRAZY GREAPA
Рет қаралды 34 МЛН
Miracle Doctor Saves Blind Girl ❤️
00:59
Alan Chikin Chow
Рет қаралды 51 МЛН
Китайка и Пчелка 4 серия😂😆
00:19
KITAYKA
Рет қаралды 869 М.
한 천재 물리학자가 설명하는 현대 양자역학의 놀라운 결론
15:26
충코의 철학 Chungco
Рет қаралды 371 М.
Omega Boy Past 3 #funny #viral #comedy
00:22
CRAZY GREAPA
Рет қаралды 34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