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임스 웹 각 사진들의 진짜 의미 해설!! | 많은 사람들이 놓치고 있는 진짜 포인트!

  Рет қаралды 297,911

우주먼지의 현자타임즈

우주먼지의 현자타임즈

Жыл бұрын

👍 #제임스웹 #허블 #은하단 #중력렌즈 #빅뱅 #우주론 #천문학 #스피처 #Jameswebb #hubble #nasa #나사 #외계행성 #exoplanet #universe #cosmos #망원경 #천문학자
① 제임스웹 딥필드, 은하단 SMACS 0723 (1:01)
② 별의 탄생과 죽음, 용골 성운 & 남쪽 고리 (팔렬) 성운 (5:27)
③ 스테판의 오중주 은하 (9:01)
④ 외계행성 WASP-96b 대기권 (11:59)
⑤ 제임스웹의 4가지 핵심 포인트 요약 (16:10)
📝 칼럼 링크
m.post.naver.com/my/series/de...
🎤 NAVER 오디오클립 팟캐스트 링크
audioclip.naver.com/channels/143
레퍼런스
archive.stsci.edu/prepds/reli...
arxiv.org/pdf/2207.05007.pdf
webbtelescope.org/contents/me...
webbtelescope.org/contents/me...
webbtelescope.org/contents/me...
webbtelescope.org/contents/me...
webbtelescope.org/contents/me...
webbtelescope.org/contents/me...
webbtelescope.org/contents/me...
webbtelescope.org/contents/me...
www.nature.com/articles/s4158...
본 컨텐츠는 NAVER 네이버 & 비즈한국의 지원으로 제작됩니다.

Пікірлер: 214
@tightness7205
@tightness7205 Жыл бұрын
이렇게 까지 친절하면서도 이해가능한 설명이라니... 전문가로써의 직업 의식에 기인한 사명감 이전에 한 명의 천문덕으로써의 깊은 애정이 묻어나는 듯 해서 괜히 미소짓게 되네요 . 항상 양질의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단언컨데 , 우주먼지님이 영상을 통해 끼친 사회에의 기여가 결코 작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 덕분에 매번 소소하게 행복감을 얻고 갑니다 . 우주먼지님도 조금이나마 더 행복해 지시길 .
@Peachskiesi
@Peachskiesi Жыл бұрын
제임스웹 첫공개사진 관련 영상 정말 열개넘게 봤을건데.. 우주먼지 현자타임즈님 영상이 최고네요. 저 사진 공개의 이유, 그 사진 속 숨겨진 이야기 디테일, 그리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까지 알게되고 깨닳은게 참 많습니다. 수만수천수억광년 떨어진 우주를 옆나라 휴양지 관광지 사진 들여다보듯이 보는 지금 진짜 얼떨떨합니다. 너무 아름답고... 설레고 진짜 우주덕후는 요즘 너무 행복하네요.
@Yuninapius
@Yuninapius Жыл бұрын
마지막 말씀이 참 감명깊습니다. 방황하지 않구. 먼저 연구개발하고 개척한 망원경들의 업적이 있기 때문에 저렇게 지체없이 사진들이 올라오고 있다는 것이 뭔가 감동으로 전해지네요. 그간 우주를 연구해온 학자들의 지식이 전달되고 쌓아올려져서 효과를 보고있다는 생각을 하니 감회가 있는 것 같습니다. 잘봤습니다.
@user-vb9ym7lp4b
@user-vb9ym7lp4b Жыл бұрын
지금까지 봤었던 수십개의 유사 영상 중, 단연코 가장 고퀄리티 영상인거 같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ㅠㅠ
@kerncube1194
@kerncube1194 Жыл бұрын
재밌게 잘 봤습니다. 책 읽듯이 정보전달에만 그치고, 진짜 이해는 하고 있는지 의심스러운 채널도 있는데 깊이 있는 해설에 감탄하고 갑니다.
@user-ku7vu3ll6g
@user-ku7vu3ll6g Жыл бұрын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별의거리를 축정하는방법이 항상 참 궁금했는데 이제야 궁금증이 풀리네요. 원래 나와야하는 스펙트럼위치를 알고있고, 적색편이에위해 파장영역이 시프트 되는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거리에비해 얼마나 편이되어있는지 구분이 가능한 원리였군요. 너무 재밌습니다.
@xday5999
@xday5999 Жыл бұрын
아... 설명 좋다. 덕분에 그저 선명하게만 보이던 사진들 속에 담긴 엄청난 것들이 보였습니다. 좋은 설명 감사드립니다~!
@alsrbvkdlsjf
@alsrbvkdlsjf Жыл бұрын
솔직히 개인적으론 그냥 더 선명한 사진을 보는 감상이었죠. 자세한 설명에 감사합니다. 영상 잘 보고 있어요.
@KeuHeum
@KeuHeum Жыл бұрын
와.. 다른 과학 유튜버들과는 차원이 다른 설명이네요ㅠㅠ 멋지십니다..
@user-yc9nv1se2u
@user-yc9nv1se2u Жыл бұрын
항상 잘 보고있습니다! 전문적인 내용을 쉽게 설명해주셔서 이해가 잘 됩니다ㅎㅎ 이번 제임스웹 사진 떴을때도 우주먼지님 영상만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pt_handz
@pt_handz Жыл бұрын
이번에 공개된 사진 설명해주는 영상 여러개 찾아 봤는데, 이 영상이 제일 쉽고 귀에 착착붙게 설명해 주시는거 같아요 ! 저는 이걸로 몇번더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zh3vh4ed9z
@user-zh3vh4ed9z Жыл бұрын
다른 유튜버들에게서 들을수 없는 사진 설명의 디테일ㅎㄷㄷ
@user-mm6fv9dv2d
@user-mm6fv9dv2d Жыл бұрын
항상 정확한 정보를 쉽고 빠르게 전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하시면서 이렇게까지 하시기 정말 힘드실텐데...
@user-lk7dc5sg3h
@user-lk7dc5sg3h Жыл бұрын
오오 정말 흥미롭네요. 앞으로도 시리즈로 계속되는 발견 설명해주세용 ㅎㅎ
@cohiba3672
@cohiba3672 Жыл бұрын
정확성과 신속성 모두 갖춰진 천체물리학 유튜버십니다 👍👍👍
@kd-pj2vo
@kd-pj2vo Жыл бұрын
좋은영상 잘봤습니다. 특히 마지막 포인트가 가슴에 정말 와닿네요. 이런 빠르고 효율적인 발견들은 제임스웹 혼자만의 성과가 아닌 허블, 캐플러 등 선배들이 길잡이를 제시해준 덕분에 함께 이뤄낸 결과라는 것을요. 앞으로도 멋진 영상 기대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nareaa-kang
@nareaa-kang Жыл бұрын
와아 ... 감탄을 하지 않을 수 없는 퀄리티.... 감사합니다. 잘 보고 갑니다. 앞으로의 제임스 웹 활동 또한 함께 따라가기 위해 구독 버튼 꾹 누르고 갑니다~^^
@8void616
@8void616 Жыл бұрын
설명 진짜 잘 해주시네요. 사진만 보고 우와 했는데 의미까지 알려주시니 고개가 절로 끄덕여지네요ㅎㅎ
@dkjoy1316
@dkjoy1316 Жыл бұрын
경이로운영상과 깔끔한 설명 감사히보고갑니다
@user-yi5en6mx4k
@user-yi5en6mx4k Жыл бұрын
정말 저 같은 문외한도 고개를 숙이게 만드시는 훌륭한 설명 감사합니다. 앞으로 잘 부탁드립니다.
@sang-wookahn2147
@sang-wookahn2147 Жыл бұрын
자세한 해설 정말 감사합니다!!!
@user-jl2hw4mw9v
@user-jl2hw4mw9v Жыл бұрын
설명 퀄이 놀랍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역시 전공자 셨군요 구독박고갑니다
@user-em8ss7kv8q
@user-em8ss7kv8q Жыл бұрын
최고네요 매일 잘 보고 듣고있습니다
@rakjin
@rakjin Жыл бұрын
아하 기존에 공개된 사진들을 봐도, 좀 선명하다는거 말고 뭐가 대단한건지 잘 와닿지 않았었는데, 이런 의미가 있었군요! 핵심 포인트로 짚어주신 내용을 보고서 다시 사진을 보니, 아는만큼 더욱 새롭게 보이네요! (라고 아침 11시에 쓰면 되는거죠?)
@user-ld1ss1jx5x
@user-ld1ss1jx5x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
@drmphy
@drmphy Жыл бұрын
영상 안보고도 내용을 이미 다 알고 있어ㅋㅋㅋㅋㅋ
@user-boros
@user-boros Жыл бұрын
선댓후감상은 못참지
@jihunwe1311
@jihunwe1311 Жыл бұрын
기대를 저버리지 않는 영상 및 분석이네요. 학생 때 미지의 호기심에 이끌렸던 우주로 저를 다시금 초대해주셨어요.
@SJH_CHR_1127
@SJH_CHR_1127 Жыл бұрын
사진들 모두 너무 경이롭고 감동적입니다🥹💕 앞으로 제임스웹이 보여줄 우주가 너무 기대돼요ㅠㅠㅠㅜㅜ부디 우주시대의 서막까지 살아남을 수 있기를...🙏🏼 영상 내내 친절하고 전문적인 설명에 와아~ 하면서 보다가 마지막에 울컥했어요😭💦 허블 외에도 수많은 망원경 선배들의 도움이 있었기에 4일만에 이토록 놀라운 성과를 낼 수 있었지요 암요👍🏻 항상 영상 감사히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greengirl77
@greengirl77 7 ай бұрын
너무 재미있어요~ 이런걸 알아낸 천재들이 많아서 정말 다행이예요 존경합니다!
@jkma001
@jkma001 Жыл бұрын
최고입니다! 많이 배우고 갑니다!!
@sentimentalgraffiti
@sentimentalgraffiti Жыл бұрын
진짜 유익한 영상이네요. 실로 인간의 능력이 대단하단 생각이 듭니다. 어떻게 제임스웹 망원경을 만들 수 있었을까.... 앞으로의 제임스웹 사진이 무척 기대가 큽니다
@bearkings7592
@bearkings7592 Жыл бұрын
찐 천문학자의 정확하고 알기쉬운 설명입니다. 감탄했어요.
@user-is4qk4uk4h
@user-is4qk4uk4h Жыл бұрын
제가 원하던 내용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ganekim
@ganekim Жыл бұрын
우아 정말 놓쳐버린 추가 구현설명으로 더 재미있게 사진을 감상하게 되네요~ 이건 그냥 그림 작가의 그림 감상포인트를 정확히 짚어주는 것 같습니다.^^ 역시 '우주먼지 현자타임'이 최고입니다👍🏻👍🏻👍🏻👍🏻👍🏻
@ZagEEmom
@ZagEEmom Жыл бұрын
역시 아는만큼 보인다...정말 감사합니다!!
@NaN_OTL
@NaN_OTL Жыл бұрын
역시 국내최고의 우주 유튜버. 전문성, 쉬운설명은 정말..
@gle_Goo
@gle_Goo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cb5dj8xt5g
@user-cb5dj8xt5g Жыл бұрын
정말 좋은 영상이라 기분이 너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dz4mh1cl1n
@user-dz4mh1cl1n Жыл бұрын
이렇게 좋은 채널이 있었다니 구독 누릅니다!
@timoshenko6904
@timoshenko6904 Жыл бұрын
항상 최고입니다 감사합니다 👍
@heyup7
@heyup7 Жыл бұрын
지금까지 제임스웹 사진 설명 중 제일 깔끔하고 세세하고 간단명료 너무 좋네요 감사합니다 우주먼지현자타임! 트라피스트 대기권 분석 빨리 나왔으면 좋겠네요. 끝에 달아주신 현대천문학에 대한 이야기 너무 좋고 마음이 웅장해집니다.
@user-mj1rq3jk2g
@user-mj1rq3jk2g Жыл бұрын
천문학의 비전문인이지만 벌써 몇 번째 보고 있네요. 멋진 설명 감사합니다.
@macchoi2
@macchoi2 Жыл бұрын
영상을 매번 일요일11시에올리시는만큼 한주의 데이터를 모아서 최신으로 올려주시는것도좋을거같습니다.이건 피드백입니다!. 소개한사진들말고 제임스웹이찍은 목성 사진도 공개되서 봤는데 늘 해외채널에서만 먼저접하게되니 속상하더라고여.
@taejinbaek5895
@taejinbaek5895 Жыл бұрын
재미있게 봤습니다!
@user-mq1vw2nu3t
@user-mq1vw2nu3t Жыл бұрын
맺음말이 정말 감동적입니다. 새로운 기술적 성과가 기존 기술들의 업적위에 세워졌음을 상기시켜 주는게 좋은 울림을 줍니다.
@user-gf2mg4qv3j
@user-gf2mg4qv3j Жыл бұрын
설명도 좋고 목소리도 좋네요
@user-cr2lf5fh7s
@user-cr2lf5fh7s Жыл бұрын
역시 기다린 보람이 있네요. 숨통이 좀 트이는 거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hugosea3573
@hugosea3573 Жыл бұрын
설명을 들으니 좀 더 실체가 와닿습니다. 6방향 빛 확산이 제임스웹 만의 고유 낙관...재미있는 설명입니다. 그리고 그 간의 소소한(?) 장비와 연구진의 업적이 있었기에 오늘날의 사진이 있었군요..
@pjpj4937
@pjpj4937 Жыл бұрын
제임스웹사진설명해주시는 여러유튜브봣는데 이해안됐어요 이 유튜브보고 너무이해잘됐습니다
@sunbell1124
@sunbell1124 Жыл бұрын
와~ 이 채널 너무 재밌다.
@user-lc6us1bo8i
@user-lc6us1bo8i Жыл бұрын
클로즈 멘트 듣고 바로 구독 박습니다.
@drakeqb
@drakeqb Жыл бұрын
ngc7320 "아니 지들이 타이밍 안좋게 찍어놓고 사기꾼 취급을 하네 나 그냥 지나가고 있었다고 1억광년 옆으로 가서 다른각도에서 찍던가 10억년 후에 나 지나가면 찍어라"
@chungsunghee2213
@chungsunghee2213 Жыл бұрын
스마트폰 배경사진으로 쓸수 있다는 걸 깨달게 해주셔서 도움되었습니다.
@user-jn4mr7ml6i
@user-jn4mr7ml6i Жыл бұрын
영상과는 약간 상관없지만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 드립니다. 1) 관측행성이 가스 행성인지 지구형 행성인지는 스펙트럼을 통해 구분하는 것인가요? 아니면 지구형 행성이 존재할 수 있는 임계질량 같은 것이 있어 그 질량을 넘어선 크기의 행성을 가스형 행성이라고 추측하는 건가요? 2) 보도자료등을 보면 유달리 항성과 매우 가까이 위치하여 공전하는 행성이 많은 것 같은데 그 이유가 통과관측법과 같은 외계행성 관측법에 의한 통계적 오류로 항성 가까이에 존재하는 행성이 더 쉽게 발견되는 것인가요 아니면 실제로 항성과 행성이 매우 가까이 인접하여 존재하는 경우가 많은 건가요?
@wz_mz
@wz_mz Жыл бұрын
좋은 질문 주셔서 감사합니다! 질문 주신 내용 정리해서 답변드립니다. 😊😊 ① 가스형/암석형 외계행성 구분하는 방법 보통 행성의 크기 또는 밀도 등을 통해 구분할 수 있습니다. 가장 간단하게는 케플러, TESS처럼 별 앞으로 외계행성이 가리고 지나갈 때 나타나는 밝기 감소의 정도를 통해서, 행성의 지름을 알 수 있습니다. 대게는 암석 행성이 가질 수 있는 상한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 크기로 거대 가스형인지, 작은 암석형인지 유추할 수 있습니다. 또한 도플러 (시선 속도법) 등을 활용해 외계행성의 질량까지 유추하게 되면, 앞서 구한 행성의 크기(부피)와 질량을 통해, 행성 전체의 평균 밀도를 알 수 있습니다. 이 밀도가 암석, 금속 정도로 무거운지, 가스 정도로 가벼운지를 보면 정확하게 행성의 구성 요소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② 왜 뜨겁고 덩치 큰 행성만 주로 발견되는가? 지금까지 발견된 외계행성 대부분은, 말씀하신 것처럼 주로 중심 별에 지나치게 가까워서 엄청 뜨겁고, 또 크기고 큰 일명 ‘뜨거운 목성형' 행성들입니다. 이에 대해선 “실제로 뜨거운 목성형 행성이 우주 전체 행성들 중 다수이기 때문이다” vs “현존하는 외계행성 탐색 방식의 bias 때문이다" 라는 의견이 공존합니다. 다만 후자에 더 가능성이 있습니다. 생각해보면, 일단 더 덩치 큰 외계행성일 수록 별빛을 더 많이 가리기 때문에 당연히 포착되기 더 유리합니다. 또 중심 별에 가까이 붙어서 궤도가 작은 외계행성일 수록, 더 자주 금방금방 별 앞을 가리고 지나기 때문에 긴 시간 기다리지 않아도 그 주기성이 쉽게 포착될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현존하는 외계행성 탐색 방식은 자연스럽게 더 덩치가 크고, 중심 별에 바짝 붙어 짧은 주기로 공전하는 행성 위졸 발견할 수 밖에 없습니다. 😊 아래 그래프 (링크 참고)는 최근까지 발견된 외계행성들을 공전 주기 (x축), 행성 크기 (y축)으로 비교한 결과입니다. 보면, 대부분 왼쪽 위 (공전 주기가 짧고, 행성 덩치가 큰 쪽) 에 점이 많이 찍혀있습니다. 반면 우리가 정작 찾고 싶은, 적당히 공전 주기가 길고, 행성 덩치가 작은, 오른쪽 아래에는 거의 점이 찍혀있지 않습니다. www.nasa.gov/sites/default/files/styles/full_width/public/thumbnails/image/press-web9_new_kepler_cand_edit.jpg?itok=OeWAeWCP +추가) 덤으로, 우리 태양계에선 볼 수 없는 “뜨거운 목성형" 행성은 그럼 대체 어떻게 존재하는가에 대해서도 고민해볼 수 있는데요, 당연히 처음에 가스 행성이 태어날 땐 뜨거운 별에서 멀찍이 떨어진 온도가 낮은 곳에서 형성될 겁니다. 다만 여러 행성들의 궤도가 서로 겹치고, 서로 중력적 간섭을 겪으면서, 별에서 멀리 벗어나있던 외곽 가스 행성이 항성계 안쪽으로 유입되는 일이 생겼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행성간 이주 (Planetary Immigration)이라고 표현합니다. 초기 행성들이 어떤 식으로 배치되어있었는지에 따라, 행성간 이주는 안쪽에 있던 행성을 바깥으로 날려보낼 수도, 바깥에 있던 행성을 안쪽으로 유입시킬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많은 분들도 궁금해하실만한, 전문적이고 또 좋은 질문 주셔서 감사합니다!
@51baram
@51baram Жыл бұрын
친절한 설명 굿! 입니다. ^^;
@user-mv3xy8tm8q
@user-mv3xy8tm8q Жыл бұрын
그 어떤 유튜버도 이렇게 자세한 설명은 못했다.
@djkim8531
@djkim8531 Жыл бұрын
좋은 해설 감사합니다.
@user-uz4kj1qg2y
@user-uz4kj1qg2y Жыл бұрын
기대기대
@user-qf1zq8sn5v
@user-qf1zq8sn5v Жыл бұрын
다음 관측결과가 나오기 전에 쉬어가는? 느낌으로 제임스 웹 망원경의 배경지식도 알고싶네요. 유지비라거나, 그 자금을 어디서 끌어오는건지 등등..
@user-wc4mk1zs4s
@user-wc4mk1zs4s Жыл бұрын
재밌다..우주 초보에게 좋은 채널 발견
@choiwonchul1
@choiwonchul1 Жыл бұрын
좋아요 이런 해설
@user-wm9nw5sf6v
@user-wm9nw5sf6v Жыл бұрын
정말 속 시원한 제임스웹 사진들의 설명 감사합니다. 기다렸습니다 ^^ 우린 제임스웹 우주망원경과 우주먼지 현자타임즈의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
@user-kz5hm6so1m
@user-kz5hm6so1m Жыл бұрын
역시 이 형은 진짜야 👍🏻
@user-bc4kw9lt3o
@user-bc4kw9lt3o 4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모든 은하중심에는 거대질량 블랙홀 있는건가요? 그럼 은하의 모든별들은 은하 블랙홀 중심으로 공전하는건가요?
@dapnis2316
@dapnis2316 Жыл бұрын
역시 현자타임즈 설명 기다린 보람이 있네요.^^ 보고들은 설명중 제일 쉽고 이해가 잘갔어요. 성능이 이렇게 좋은데... 가장 가까운 항성인 프록시마센타우리를 본다면 굉장한 결과가 나오지 않나요? 계획에 있는지 궁금하네요~
@user-cy5so4ji9h
@user-cy5so4ji9h Жыл бұрын
항성은 가깝고 멀고 보다는 그냥 베텔게우스마냥 크기로 찍어누르는게 답임
@shinnandahihidubu
@shinnandahihidubu 7 ай бұрын
거대 가스 구름 행성의 구름층이 알칼리 금속 성분을 흡수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참고할 만한 자료가 있을까요?
@user-on5lg8ww8j
@user-on5lg8ww8j Жыл бұрын
감동적이에요. ㅎ
@user-tl4gl5rj3i
@user-tl4gl5rj3i Жыл бұрын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user-hp3ot9zp6z
@user-hp3ot9zp6z Жыл бұрын
형님 혹시 안될과학 멤버들도 연세대 천문우주학과인데 , 서로서로 접점이 있는 사이인가요?? 예전부터 항상 궁금했어서... 실례라면 죄송....;;
@DDDOOO_
@DDDOOO_ Жыл бұрын
고등학교때 배운 지구과학이 정말 작다작은 지식이겠지만 영상에 언급되니까 너무 신기하고 재밌는거같아요 ! 혼자서는 알아갈 수 있는게 없었는데 이렇게 설명을 들으니까 기술발전이 어느정도까지 발달하고있는지, 그 사진들로 무엇을 알 수 있는지 알아갈 수 있어서 너무너무 좋았습니다!
@user-cb9jy4uk5g
@user-cb9jy4uk5g Жыл бұрын
알기쉬운 설명과 영상 잘봤습니다
@user-cx5yz7pz7s
@user-cx5yz7pz7s Жыл бұрын
NGC 7319에서 나오는 초거대 질량 블랙홀이 퀘이사인가요?
@jiyongyun3681
@jiyongyun3681 Жыл бұрын
진짜 멋지네요…가슴이 막 뜁니다!
@TheHjjin
@TheHjjin Жыл бұрын
제임스 웹의 놀라운 성능에 기대가 큽니다. 이게 또 미국 그리고 NASA의 진정한 힘인 듯. 그냥 하는 말이 허블의 100배 성능이지, 거기서 얻을 수 있는 정보는 1000배 1만배.
@user-rq2kx2no3r
@user-rq2kx2no3r Жыл бұрын
제임스웹이 찍은 사진을 보면서 ...... 이게뭐야 ? ......기존의 허블이 찍은 사진하고 다른게 뭐야 ? 하고 생각했는데 우리같이 일반인들의 눈으론 ..... 구분하기 어려운 부분을 잘 설명해줘서 감사합니다 아직도 대부분은 .... 이해하기 어렵지만 ..... 약간 이나마 어렴풋이 아 그렇구나하는 부분도 있군요
@m2cheki1
@m2cheki1 Жыл бұрын
제임스웹을 설계한 사람과 천문학자 둘다 대단한듯...😅😅😅
@uraharash0p
@uraharash0p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보다에서 보고 구독 중입니다 ㅎㅎㅎ 궁금한게 하나 있는데요, 저희가 빛을 통해 우주를 관찰하잖아요, 근데 몇억광년 떨어진 별들은 어떻게 관찰하는건가요? 저희가 8분 전의 태양을 보는 것 처럼 몇억광년 전에 행성을 관찰하는건가요? 이게 너무너무 궁금했는데 질문 할 사람이 없습니다 ㅠㅠ
@wz_mz
@wz_mz Жыл бұрын
모두 오래전에 출발한 과거의 빛을 보는 것입니다.
@uraharash0p
@uraharash0p Жыл бұрын
@@wz_mz 그렇군요.. 뭔가 신기하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
@user-ry7kb1ry4h
@user-ry7kb1ry4h Жыл бұрын
굿 👍 좋아요
@shlakd
@shlakd Жыл бұрын
'아는 만큼 보인다'라는 말을 완벽하게 설명한 영상
@user-ry7kb1ry4h
@user-ry7kb1ry4h Жыл бұрын
굿 👍
@SHGZR
@SHGZR Жыл бұрын
기대했던 대로 JWST 첫 이미지에 대한 최고의 해설이었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항상 궁금했던 질문이 있는데요, 그래픽도 직접 만드시는 건가요? 상당히 공을 들이셨을 것 같네요.)
@wz_mz
@wz_mz Жыл бұрын
재밌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스크립트부터 영상 편집까지 모두 저 혼자 하고 있습니다 ㅎㅎ 영상 전문가는 아니라서, 중간중간 가끔 오타도 있고 편집 퀄리티가 조금 허접하긴 하지만, 그래도 앞으로도 재밌게 시청 부탁드립니다! 😊
@user-ke3vy7yw8r
@user-ke3vy7yw8r Жыл бұрын
JWTS 아닌가요
@0730bss
@0730bss Жыл бұрын
@@user-ke3vy7yw8r James Webb Space Telescope이라서 JWST가 맞슴다
@user-ke3vy7yw8r
@user-ke3vy7yw8r Жыл бұрын
@@0730bss ㅇㅎ
@viper20010049
@viper20010049 Жыл бұрын
천문학자들이 신명나는 시대가 됐네요 ^^ 겨우 며칠 만으로 이렇게 흥분되는 일이 가득한데 앞으로 즐거울 일이 얼마나 많이 남아 있는 걸까요
@girlcatify
@girlcatify Жыл бұрын
설명을 들으면서 보니까 확실히 대단하구나... 프라피스트1에 분석했는데 거기에 지구 같은게 나오면 재미있겠다 ㅋㅋㅋㅋ
@XD-sc2im
@XD-sc2im Жыл бұрын
9:35 부분에서 스테판의 5중주 중 하나는 다른 4개와 별개로 아주 가까운 거리에 있다고 하셨는데, 우리가 일반적인 카메라로 서로 거리가 다른 대상을 찍으면 가까이 있는 대상에 초점이 맞지 않는 현상이 일어나지 않나요? 우주망원경에서는 왜 거리가 달라도 관측했을 때 비슷하게 보이는지 궁금합니다
@wz_mz
@wz_mz Жыл бұрын
좋은 질문 감사합니다! 사실 저런 먼 은하들의 경우, 워낙 그 거리가 멀기 때문에 우리가 일상 속에서 폰카로 코앞에 있는 것과 더 멀리 떨어진 걸 찍을 때 만큼 거리 차이로 인한 해상도 차이는 크게 발생하지 않습니다. 만약 우주적 스케일에서 그런 거리 차이로 인한 해상도 차이를 느끼려면, 250만 광년 거리에 놓인 안드로메다와 같은 방향에 겹쳐보이는 100억 광년 배경 은하 정도여야 합니다 😊😊
@milchholstein884
@milchholstein884 Жыл бұрын
실제로는 비슷하게 보이지 않습니다. 가까이 있는 사기꾼 은하는 별 하나하나가 구분되어 보이고 뒤에 있는 네 은하는 전체적으로 밝게 보입니다.
@user-bf6lb4xc9s
@user-bf6lb4xc9s Жыл бұрын
재미께따
@Light_ysh
@Light_ysh Жыл бұрын
망원경이 좋을수록 그만큼 볼 수있는것도 많아지고 그만큼 우주에 대한 이해도가 넓어지니 허블이 해낸 업적보다 더 충격적인 우주의 비밀을 밝혀낼것이라 생각합니다.
@user-rozeshe
@user-rozeshe Жыл бұрын
오 나도나도 알람맞춰놔야지 히히히히히
@SewonParkCosmac
@SewonParkCosmac Жыл бұрын
마지막에 짚어주신 네가지 포인트가 뇌리에 남네요. 어서 선배들의 행적 증거를 쫒아가는것 마무리 하고 완전히 새로운 상식을 인류에게 전해줄 수 있기를 바래 봅니다.
@therock79983
@therock79983 Жыл бұрын
즐감
@bongjjo6085
@bongjjo6085 Жыл бұрын
와....제임스웹의 성과는 제임스웹 혼자만의 성과가 아니군요. 이게 이번 영상의 핵심인 것 같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powerday4678
@powerday4678 Жыл бұрын
설명이 또한 기똥차네요...
@reallovegalaxy
@reallovegalaxy Жыл бұрын
가슴이 웅장해진다..
@user-uk8gr4ry2f
@user-uk8gr4ry2f Жыл бұрын
얼마전만해도 블랙홀의 모습은 볼 수 없을 것만 같았는데... 제임스웹 대단하네요.
@bbubbuiam
@bbubbuiam Жыл бұрын
실제 수명이 20년이라해도 관측결과물의 양만으로 따지면 허블이 수백년,수천년동안 해야할만큼의 결과물이 나오겠네요! 진짜 앞으로 천체물리학은 너무 재밌을거같습니다
@SUPERNOVA-cx5lk
@SUPERNOVA-cx5lk Жыл бұрын
정말 잘 보고 있습니다. 물론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일이겠습니다만, 스테판 5 중주 거시기 NGC 은하에서 제임스 웹과 같은 성능의 망원경으로 우리은하쪽을 바라본다면 안드로메다와 충돌하고 있는 모습이 마치 스테판 오중주의 일부 모습이 아닐까 하면서 NGC 거시기 은하에 살고 있는 고등생물체의 한 사람으로서 상상을 해봅니다. 👁
@user-mm1ub5hi1i
@user-mm1ub5hi1i Жыл бұрын
질문 하나 있습니다~ 이번에 공개된 사진은 제임스웹이 고작 4일만 촬영한 사진이라고 하셨고 이게 엄청 대단하다고 하셨는데요 그럼 기존의 허블망원경의 경우, 제임스웹이 4일동안 촬영한 사진과 같은 동일한 (물론 퀄리티는 훨씬 떨어지겠지만) 사진을 얻기 위해서 며칠동안 찍어야 하나요??
@wz_mz
@wz_mz Жыл бұрын
좋은 질문 감사합니다! 단적인 예로 딥필드를 들어보자면, 이번 제임스 웹은 첫 딥필드를 찍기 위해 12.5시간을 소요했습니다. 반면 허블은 첫 딥필드를 찍을 당시 열흘 가까운 긴 노출 시간이 필요했습니다. 게다가 열흘은 너무 긴 시간이라 쉬지 않고 계속 노출을 할 수 없습니다. 우주 망원경이 빠르게 궤도를 돌며 시야가 틀어지기 때문이죠. 그래서 그 열흘의 노출시간을 여러번에 쪼개서, 대략 6개월에 걸쳐 틈틈히 빛을 모아 딥필드를 찍을 수 밖에 없었습니다. 결론적으로, 현재 제임스 웹은 촬영 시작! 하면 2-3일이면 사진 데이터를 뽑을 수 있지만, 허블은 촬영 시작! 하면 반 년을 기다려야 엇비슷한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
@user-mm1ub5hi1i
@user-mm1ub5hi1i Жыл бұрын
@@wz_mz 와우~!! 이렇게 빠른 답글을 달아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그리고 쉽게 이해할 수 있게 잘 설명해주셔서 이 또한 감사드려요 정말 앞으로의 제임스웹이 우리에게 선물해줄 영상들이 너무 기대되요~!!
@user-rd6it8dp7d
@user-rd6it8dp7d Жыл бұрын
@@user-mm1ub5hi1i 제임스웹이 수명은 짧지만 훨씬 많은 정보를 얻을수 있겠군요
@leesmond3313
@leesmond3313 Жыл бұрын
@@user-rd6it8dp7d 저기 가서 가스만 충전할수 있다면 좀더 연장 될텐데 말이죠 아쉽네요 ㅜㅜ
@user-rd6it8dp7d
@user-rd6it8dp7d Жыл бұрын
@@leesmond3313 가기엔 너무나 먼곳. 아쉬움
@nomasumer
@nomasumer Жыл бұрын
스테판 5중주에서 먼 은하 4개와 상대적으로 가까운 하나의 은하라고 하는데, 상당한 거리 차이에도 마치 5중주인 것처럼 어울리는 크기로 보입니다. 각각 은하들의 실제 크기는 어느정도 될까요?
@taejinbaek5895
@taejinbaek5895 Жыл бұрын
앞에 있는 NGC 7320은 약 3만 광년, § 모양의 NGC 7319는 약 10만 광년 정도 되네요.
@googleforestsnowflower83
@googleforestsnowflower83 Жыл бұрын
그런데 사진에서 보이는 광경의 크기를 가늠 할 수가 없어요..ㅠㅠ 얼마나 성운이 얼마나 큰지, 외계은하는 지름이 몇 광년인지... 궁금하네요
@cosmos3
@cosmos3 Жыл бұрын
👍👍👍
@user-bb1xf2rr1c
@user-bb1xf2rr1c 11 ай бұрын
예쁜 배경화면ㅋㅋㅋㅋㅋㅋㅋ
@kyl937
@kyl937 Жыл бұрын
해설강의 최고입니다
@user-wq2pg4zj2x
@user-wq2pg4zj2x Жыл бұрын
우주 사진들이 데이터를 기반해서 만들어 낸거군요. 그러면 제가 보고있는 사진들은 사실 현실과 괴리가 있는건가요? 있다면 어느정도일까요? 역시 직접 눈으로 보지 않는 한 알 수 없는걸까요.
@wz_mz
@wz_mz Жыл бұрын
우주에 날아가서 실제 눈으로 본다면, 이런 아름다운 천체 사진과 가장 큰 차이는 색감일 겁니다. 사진 속 알록달록한 색감은 다양한 파장 필터로 따로 찍은 여러 사진들에 각기 다른 색을 인공적으로 입혀서 합성한 결과입니다. 이런 작업을 하는 이유는 각 원소마다 빛을 내는 파장, 색깔이 다르기 때문에 각 원소의 특징을 더 눈으로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단순히 눈으로 보기 예쁘려고 하는 작업이 아닌, 굉장히 과학적 목적이 있는 것이죠! 게다가 사람 눈은 망원경처럼 수백만 초 이상 오랫동안, 빛을 계속 모아두고 볼 수 없기 때문에 직접 눈으로 보면 먼 어두운 천체까진 보이지 않습니다. 지구에서도 아무리 눈으로 봐도 은하수는 잘 안보이지만, 천체 사진가들이 오랫동안 카메라를 잘 고정해두고 여러 필터로 전문적으로 찍은 사진에선 은하수가 아름답게 보이는 것과 같습니다. 😊😊
ROCK PAPER SCISSOR! (55 MLN SUBS!) feat @PANDAGIRLOFFICIAL #shorts
00:31
OMG😳 #tiktok #shorts #potapova_blog
00:58
Potapova_blog
Рет қаралды 3,6 МЛН
I wish I could change THIS fast! 🤣
00:33
America's Got Talent
Рет қаралды 66 МЛН
[매운맛 천문학🔥] 137억년 전의 은하?? 이걸 정말 믿을 수 있을까?
14:01
우주먼지의 현자타임즈
Рет қаралды 180 М.
드디어! 빅뱅 직후, 태초의 어둠이 끝나던 순간을 포착하다!
18:14
우주먼지의 현자타임즈
Рет қаралды 110 М.
#miniphone
0:16
Miniphone
Рет қаралды 3,6 МЛН
Hisense Official Flagship Store Hisense is the champion What is going on?
0:11
Special Effects Funny 44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Нашел еще 70+ нововведений в iOS 18!
11:04
1$ vs 500$ ВИРТУАЛЬНАЯ РЕАЛЬНОСТЬ !
23:20
GoldenBurst
Рет қаралды 881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