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천문학 최악의 난제! 우주는 하난데 팽창률이 두 가지?! |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이 풀어야할 미스테리

  Рет қаралды 169,508

우주먼지의 현자타임즈

우주먼지의 현자타임즈

2 жыл бұрын

#우주 는 #팽창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 팽창이 얼마나 빠른지, 팽창률에 관한 거대한 미스테리가 남아있습니다. 은하들까지의 거리를 활용했는지, #우주배경복사 를 활용했는지에 따라 서로 다른 값이 나오기 때문이죠! 이 현대 우주론의 최대 미스테리, #허블텐션 #HubbleTension 의 최신 근황을 소개합니다!
👍 #우주먼지 #현자타임즈 #구독 #좋아요 #에드윈허블 #Hubble #허블우주망원경 #플랑크 #Planck #허블상수 #허블팽창 #우주팽창 #팽창률 #빅뱅이론 #빅뱅 #우주론 #제임스웹 #제임스웹우주망원경 #중력파 #LIGO #LISA #중성자별 #블랙홀 #checkthisout #나는허블상수 #정상수 !
📝 칼럼 링크
m.post.naver.com/my/series/de...
🎤 NAVER 오디오클립 팟캐스트 링크
audioclip.naver.com/channels/143
레퍼런스
iopscience.iop.org/article/10...
academic.oup.com/mnras/articl...
iopscience.iop.org/article/10...
www.aanda.org/articles/aa/ful...
www.nature.com/articles/natur...
journals.aps.org/prl/abstract...
본 컨텐츠는 NAVER 네이버 & 비즈한국의 지원으로 제작됩니다.

Пікірлер: 122
@wz_mz
@wz_mz 2 жыл бұрын
췤디스아웃 나는 허블상수!
@leelee-zl8uc
@leelee-zl8uc 2 жыл бұрын
가속하며 계속 팽창 중!
@ViVi_student
@ViVi_student 2 жыл бұрын
현자님 본업이 뭔지 궁금해요~
@자작곡싸개
@자작곡싸개 2 жыл бұрын
@@leelee-zl8uc 현업 래퍼신가요 ㄷㄷㄷㄷㄷ
@moemoekyoong
@moemoekyoong 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MidkingLingardoo
@MidkingLingardoo 2 жыл бұрын
계속해서 mass up해 별됐어
@SHGZR
@SHGZR 2 жыл бұрын
늘 느끼는 점이지만 현자타임즈의 매력은 무척 전문적인 천문학 주제를 흥미롭게 풀어낸다는 것. 오늘도 좋은 영상과 정보 즐겁게 잘 보았습니다.
@kang2923
@kang2923 2 жыл бұрын
진짜 천문학 유투버 중 최고... 감사합니다..
@borntolove888
@borntolove888 2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밌고 흥미로운 영상 ㅠㅠ 여전히 즐겁게 보고있어요 어려운 주제였는데 쉽게 풀어내시는 능력 정말 최고!!
@arindaddy83
@arindaddy83 Жыл бұрын
어그로는 없지만 핵심은 있는 깔끔한 영상 진짜 너무 좋습니다. No.1 과학 유트브 채널.
@Anthem_of_light
@Anthem_of_light 2 жыл бұрын
현자타임즈의 허블텐션 재밌어요
@Meatgood-and-oldgamegood
@Meatgood-and-oldgamegood 2 жыл бұрын
허블텐션 어려운 용어지만 영상은 재미있게 잘보고갑니다~~👍🪐🌠🌌
@user-jt8se3ho7j
@user-jt8se3ho7j 2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밌다 너무 재밌어요 어쩌면 지구과학에 흥미가 있을지도 모르겠네요
@user-vz1hf9hy5e
@user-vz1hf9hy5e 2 жыл бұрын
진짜...본 주제와 관련된 배경 지식을 이렇게 쉽게 설명하는건 이 집이 최고 맛집이네 크으으
@tre4702
@tre4702 2 жыл бұрын
추천 누르고 봅니다.
@tommoss7
@tommoss7 2 жыл бұрын
일주일에 두개씩 올려주시면 좋겠습니다
@TV--gr8kq
@TV--gr8kq 9 ай бұрын
우주의 나이 궁금하네요! 영상 감사합니다. 우주먼지님^^
@user-tj6xx7ih4l
@user-tj6xx7ih4l 2 жыл бұрын
얼마전에 읽은 논문에서 허블텐션나와서 다시찾아보니까 FRB로 찾은 허블상수는 대략 62.3 km/s/Mpc 물론 이거도 오차가 크지만... 읽었을 때는 잘 몰라서 대충 읽었는데 이거 보고 읽으니까 이해가 잘 되네요 감사합니다!
@b.i.h156
@b.i.h156 2 жыл бұрын
우주먼지 여러분 ㅋㅋㅋㅋㅋ 정말 적절한표현 감사합니다~^^
@alsid_
@alsid_ 2 жыл бұрын
개인적으로는 중력파 방식 역시 결국엔 별도의 값을 가리키는게 가장 재미있을것 같네요. 허블 텐션의 문제는 결국 우리가 가진 물리학적 지식이나 우주구조론적 지식 등 어딘가 잘못된 곳이 있다는 증거일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우선은 이를 기존 이론의 보완을 통해 해결하려고 하다가 결국 실패할 경우 완전히 새로운 이론을 찾아나서겠죠. 페러다임 시프트입니다.
@jane_any
@jane_any 2 жыл бұрын
cosmology 공부중인 사람으로써 이런 영상 알고리즘 참 좋아연... 일전에 이 토픽으로 수업중 그룹 프로젝트 과제를 진행했는데 CCHP, TRGB, BAO 등 총 4가지였나 5가지 중 하나씩 선택해서 팽창률 및 나이 계산하는게 있었어요. 그 당시 생각해보면 대부분의 값들은 67~74 정도의 범위내에서 나왔고, 모두 가장 최신 데이터를 받아 계산했었습니다. 추후 졸업논문을 위해 레퍼런스 확인 중에 early and late universe data로 한번 더 나눠질 수 있을때엔, early는 67언저리, Late는 73언저리였던걸로 기억해요. 물론 이도 방식들이 각자 있었습니다 ㅎㅎ
@user-so9th2rx1s
@user-so9th2rx1s 2 жыл бұрын
좋은 컨텐츠 너무 감사합니다^^
@observancechoi
@observancechoi 2 жыл бұрын
진짜 재밌게 봤습니다 ㄷㄷㄷ 그럼 두 수치에 따르면 우주의 나이가 각각 어떻게 차이 나나요? (그리고 BGM의 BPM 속도가 넘 빨라서 약간 산만합니다 ㅜㅜ)
@wz_mz
@wz_mz 2 жыл бұрын
듣기 좋은 배경음악도 가장 중요한 고민입니다 ㅠ 더 신경쓰겠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gv6rn7mi6s
@user-gv6rn7mi6s 2 жыл бұрын
미스테리한 암흑물질의 어떤 특성이 두가지 관측방법중 한가지에 더 크게 작용하여 생기는 오차가 아닐지.... 새롭고 정밀도가 높은 또다른 측정방법이 계속 발견되야 알수있을거같네요
@user-gn3qz3fv2d
@user-gn3qz3fv2d 2 жыл бұрын
암흑 물질이 없다고 주장하는 쪽에서는 세페이드 변광성이 문제라고 주장하는걸로 알고 있는데 우주배경복사 계산식에도 암흑물질이 들어가고, 거리 계산에도 세페이드가 들어가서 저렇게 다르게 나온거 아닐까요? 어쩌면 암흑물질이 없다고 전제하고 계산하면 동일하게 나올수도?
@user-ep2zu7ey7n
@user-ep2zu7ey7n 2 жыл бұрын
세페이드 변광성이 잘못되었다고 가정하면 거리자체를 알수가 없어서 계산자체가 성립할수가 없어져요 :( 우주지도자체가 모두 박살나요
@user-cj1vf8rs7e
@user-cj1vf8rs7e 2 жыл бұрын
문외한들은 설명을 들어도 잘 모르겠다만 여태까지 우주에 관한 유튜브 영상중 최고로 이해를 시켜준다
@user-ub7iq4sp9r
@user-ub7iq4sp9r 2 жыл бұрын
진짜 심장이 떨릴만큼 재밌는 이야기다
@HwanSangHyang
@HwanSangHyang 2 жыл бұрын
중력파 관측 값이 70이고 이게 오차가 거의 없는 값이라고 가정한다면... 즉, 중력파 관측 값이 우주배경복사와 은하거리측정 두가지 방식 사이에 존재한다면! 허블텐션은 더욱더 미궁으로 빠져들겟네요.
@hellpoome
@hellpoome 2 жыл бұрын
67과 73의 딱 중간값인 70에 1,000,021표 걸고싶네요...70이면 140억살 인가요? 그리고 이렇게 다른 값을 갖는 이유가 빅뱅이 한번만 터진게 아니라는 것과 다중우주 존재의 증거라는 얘기도 얼핏 들은거 같네요.
@user-fh5zj6zt1t
@user-fh5zj6zt1t 2 жыл бұрын
상수는 못 참지~
@user-hr9ul2gt2n
@user-hr9ul2gt2n 2 жыл бұрын
개꿀잼
@user-is4dq1mu9b
@user-is4dq1mu9b 2 жыл бұрын
67 , 73 둘다 의미 있는 정수이네요... 둘 다 소수이네요...신기...
@j-nacho9614
@j-nacho9614 28 күн бұрын
40대가 되니 하루가 넘 빠르게 간다. 우주팽창, 밀키웨이의 이동, 태양계의 이동과 공전 자전. 회전목마의 목마가 계속 하향하는 느낌적 느낌.ㅋ
@youseungchun7273
@youseungchun7273 2 жыл бұрын
쩐다...
@user-iz5ex6fs6z
@user-iz5ex6fs6z Жыл бұрын
말투가 중독성있네요. ㅋㅋㅋㅋㅋㅋ
@palebluedot7243
@palebluedot7243 8 ай бұрын
우주 배경 복사를 이용하여 잰것을 기준으로 하면 우주의 나이가 더 길어 지겠네요...... 우주공간에 열이나 에너지가 더 남아있을 다른 변수가 있을지 ? 🤔
@moemoekyoong
@moemoekyoong 2 жыл бұрын
ㅎ ㅏ 이 영상 여섯 번째 보는데 드디어 조금 이해가 됐다... 과연 언제 답이 나올지 궁금해죽겠네 ㅋㅋㅋㅋㅋㅋㅋ
@therock79983
@therock79983 2 жыл бұрын
즐감
@2JW_N
@2JW_N Жыл бұрын
흥미롭네요 개인적으로 허블망원경이 좀더 현실적으로(?) 정확하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우주 배경복사를 어떻게 관측하고 어떤 조건들을 넣어 측정했는지는 모르겠으나 우주 배경복사의 데이터를 받아서 분석하기엔 아직 지구에서 풀어내지 못한 우주의 입자들(암흑물질 등)과 열 계산방식( 행성이나 은하와 다를 수도 있다고 생각 )이 다를 거라는 생각도 해봅니다 우주배경복사의 정밀도를 높이는 것이 허블 상수와의 오차 범위를 줄이는데 도움이 될거라는 생각이 드네요 우주 배경복사를 지구 기준으로 전 우주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하여 동일한 시간대에(불가능하다고 생각함..) 관측한게 아니라면요..ㅎㅎㅎ 어렵지만 그만큼 너무 흥미롭고 오랜만에 가슴뛰는 내용이네요 ㅎㅎ 역시 우주는 모든 호기심의 결정체입니다! 해당 내용 관련하여 새로운 내용이 나온다면 후속영상도 만들어주세요 :)
@Carp-Hero
@Carp-Hero 2 жыл бұрын
변광성의 나이의 따라 밝기가 다르다고 ,연구가 나왔다고 다른데서 봤는데 그렇담 거리측정의 기준점 오차가 생기는거 아닌지..
@PianistHyun
@PianistHyun 2 жыл бұрын
우리집도 빠르게 팽창했으면~!
@user-bg7to5ct3u
@user-bg7to5ct3u 2 жыл бұрын
허블텐션은,우주가생성되고 확대되는과정에있어 물질과중력이 우주의상전이를 이루면서 균열이발생되고, 중력밀도의공간요동으로인해 시간의크기가달라지면서 발생되는오차범위가 아닐까하는....
@user-ct5wr8ir3o
@user-ct5wr8ir3o 2 жыл бұрын
우주는 다중 우주며 저 어둠 너머에 다른 우주가 있고 그 우주는 우리 우주를 당기고 있으니 속도도 점점 늘어나고 있는 것이고 팽창도 2개 이상일 수 있다고 봅니다.
@SIA2501
@SIA2501 2 жыл бұрын
우주 팽창 속도가 일정하지 않아서 생기는 문제 아닐까요?
@yisewon
@yisewon Жыл бұрын
위 이론은 우주의 밀도가 동일하다는 것을 전제로 시작합니다. 그런데 그렇지 않을수도 있자나요. 밀도가 높으면 중력파도 빠를것이고, 그 반대로 밀도가 낮으면 중력파도 느릴것이고.. 하지만 적색편이는 다르죠. 빛은 밀도와 관계없이 속도가 일정하니까..
@user-yy5lh7vy9k
@user-yy5lh7vy9k 8 ай бұрын
중력파도 어쩜 딱 가운데 값인지ㅋㅋㅋㅠㅠ 기대하던 천문학자들이 얼마나 아쉬웠을까요?!
@user-vf5zs4gi5t
@user-vf5zs4gi5t 2 жыл бұрын
빅뱅 폭발하면서 엄청난 블랙홀로 변하고 우리가 보는것은 멀어지는데 결국 빅뱅 초창기로 다시 서서히 들어감 🙂
@user-qq6zd3eu6h
@user-qq6zd3eu6h 2 жыл бұрын
나는 언제쯤 이런사람이 될까
@jcnmn83
@jcnmn83 2 жыл бұрын
컴퓨터 전원킬때 1번 지구만들고 퍼트릴때 1번
@ramama3032
@ramama3032 2 жыл бұрын
은하에게 다가갈수없는게 그 은하가 우리의 미래.. 또는 과거 아닐까요? 절대 만날수없게.. 다중우주론처럼 넌 거기 갈수없어! 😅
@CH_Sudal
@CH_Sudal Жыл бұрын
상수가 변할 수 있다는 생각을 왜 못해!!
@user-zn7zn8hw6s
@user-zn7zn8hw6s Жыл бұрын
빅뱅은 도대체 무슨 이유로 일어났을까요.빅뱅도 너무궁금하네요
@COOJinDojun
@COOJinDojun 2 жыл бұрын
우주는 두 이론이 공존하고 있는 공간
@user-hj1be2ke7c
@user-hj1be2ke7c 2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오랜만에 편안한 과학 유튜브 영상 보네요. 조사를 많이 하신 것 같습니다. 중력파부터는 처음 듣는 내용이라 유익하기도 했습니다. 댓글에 우주 나이랑 관련한 질문이 있길래 이부분만 추가설명 써보겠습니다. 우주의 팽창률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해왔기 때문에 '현재'의 우주팽창률값인 허블상수'만'으로는 우주의 나이를 정확하게 계산할 수 없습니다. 현재 우주론의 표준모형이라 볼 수 있는 ΛCDM 모형에 따르면 우리 우주의 나이는 허블상수의 역수에 팽창률의 시간에 따른 변화에 기인한 어떤 보정값 F를 곱함으로써 구할 수 있습니다. 이 F는 영상에서 소개한 두 방법중 오로지 우주배경복사 등을 분석하는 ΛCDM 모형으로밖에 얻을 수 없습니다. 137.98±0.37억 년이라는 우주의 나이도 67.80±0.77이라는 허블상수값[1]과 ΛCDM 모형으로 얻은 보정값 F를 넣어 계산한 것이구요.[2] 만약 여기서 F값은 그대로 두고 허블상수만 은하거리 측정방식으로 잰 73.5±1.4로 바꾼다고 한다면 수학적으로야 뭐 허블상수의 역수의 비율만큼 우주의 나이가 달라진다 볼 수 있습니다만 보정값 F는 ΛCDM 모형으로 구하고, 딱 허블상수 하나만 은하거리측정법으로 구한걸 가져와서 우주의 나이를 구하는건 바람직한 방법은 아니죠. 바로 이 허블텐션 문제때문에 학계에서는 이미 이 ΛCDM 모형을 수정하거나 심지어는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을 수정하는 시도를 하는 학자들도 있습니다만 아직까지는 모두 실패했다고 합니다. [1] arXiv:1303.5062v2 [astro-ph.CO] 5 Jun 2014 p. 40 [2] 우주의 나이. 위키백과
@taejinbaek5895
@taejinbaek5895 2 жыл бұрын
가까운 표준 촉광으로 결정한 H0값이 표준 ΛCDM에서 추론한 H0값과 다르다는 건 CMB의 성질을 맞추는 데 사용한 우주론 변수들이 실제와는 다를 수 있다는 것이고, 결국 우주의 팽창 역사가 통설과는 달라지게 되니 우주의 나이 역시 달라질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실제로 ΛCDM을 수정한 Early Dark Energy 모델 같은 경우는 우주론 변수와 우주의 나이가 다르게 계산되고요. 참고 arXiv:2109.04451 [astro-ph.CO] arXiv:2109.06229 [astro-ph.CO]
@user-hj1be2ke7c
@user-hj1be2ke7c 2 жыл бұрын
@@taejinbaek5895 그건그렇져
@user-rk3td9cn1n
@user-rk3td9cn1n 2 жыл бұрын
허블상수보다.. 우주상수 문제가 더심각합니다.
@v_o_i_d
@v_o_i_d 2 жыл бұрын
재밌네 진행시켜
@pezan76
@pezan76 Жыл бұрын
양자역학의 동시성의 문제 같은 느낌이 들어요
@kiritokirikaya3744
@kiritokirikaya3744 10 ай бұрын
기초과학을 지원하고 발전시키면 알게 모르게 우리 실생활에 그 기술들이 반영되는 걸 모르고 사는 분들이 계시다니 안타깝습니다
@user-ih5po6kb8o
@user-ih5po6kb8o 2 жыл бұрын
질량이 큰 항성일수록 시간도 굴곡된다는데 그런 값은 다 생각한 건지 의문이 드네요..짧은 지식의 소견입니다.
@clumsymm
@clumsymm 2 жыл бұрын
우주초기에 엄청난 속도로 팽창하는 인플레이션 팽창을 겪은 걸로 아는데 그럼 팽창속도가 일정하지 않았다는 말인데 허블 방식으로 그렇게 단순히 우주의 나이를 구해도 되는지 궁금하네.
@user-yr2bu8sq9u
@user-yr2bu8sq9u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천문학 특히 우주론은 물리나 화학처럼 엄밀하지 않아요. 인플레이션 팽창이론도 사실 진정한 답을 알려주는게 아니라 임시적인 땜빵 이론에 불과합니다.
@twins1225t
@twins1225t 2 жыл бұрын
천알못이지만 그냥 적어봅니다. 1. 적색편이가 도중에 성간물질에 의해서 더 적색으로 편이될 수 있는 부분은 없으려나요... 2. 상수가 하나로 수렴 안 할 가능성은 없을까요? 공간 팽창 속도와 실제 물질이 겪는 멀어지는 속도가 다를 가능성은 없나요
@taejinbaek5895
@taejinbaek5895 2 жыл бұрын
적색편이와 성간적색화는 서로 다른 개념입니다. 적색화가 일어나면 파장이 짧은 빛의 세기만 줄어들 뿐, 선 스펙트럼의 위치가 달라지지는 않습니다. 국소적인 공간에서 물질이 비균일하게 분포하면 H0를 측정하는 데서 바이어스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로컬 보이드 등 시스테마틱 에러를 일으킬 요소들을 탐색하고 있고요(결과가 긍정적이진 않은 걸로 알고 있습니다). 또, 어느 정도의 규모가 되면 비균일하던 물질 분포가 균일해지기 때문에 이 규모부터는 공간적으로 H0가 다를 이론적, 관측적 근거가 부족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rakjin
@rakjin 2 жыл бұрын
둘다 틀릴수도 있나요?
@beginner_writing
@beginner_writing Жыл бұрын
진동하며 팽창중... 뭐 그런 건 아닐까요? ^^
@saeonthefox153
@saeonthefox153 2 жыл бұрын
왜 다르게 나오는걸까...
@Young.L
@Young.L 2 жыл бұрын
한가지 방법이 2개의 결론을 내는 것이 아니라. 두가지 방법이 각각 다른 결론을 내는 것이라면 방법의 차이일 가능성이 대분분입니다. 그리 놀라운 일도 아니군요.
@user-zz1100
@user-zz1100 2 жыл бұрын
우리 혹시 블랙홀안에 사는건 아닐까? 엄청큰 블랙홀
@srp0823
@srp0823 2 жыл бұрын
빅뱅이론자체가 우리우주가 블랙홀 내부 임을 말해줍니다 블랙홀 생성을 결정하는 것은 질량의 집중도이므로 막대한 에너지 밀집도를 지니는 빅뱅특성상 시작과 동시에 이미 블랙홀일 수밖에 없다는 결론만 나옵니다 다만 블랙홀 내부에 블랙홀이 또 있을 수 있는가 나 외부 계에 의한 영향 유무 빅뱅의 원인 또한 공간의 법칙등에 대한 것들은 앞으로도 풀 수 없는 난제겠죠
@user-et2eb6bv3c
@user-et2eb6bv3c 2 жыл бұрын
우주가 상수따위를 허용할까
@seowlite
@seowlite 2 жыл бұрын
느슨한 허블리에게 텐션을 주는 관측결과네요 콬! 카! 인!
@trunghluong
@trunghluong 2 жыл бұрын
어느 때 팽창률이 변했을 수도 있지 않을까요?
@thesmarts8426
@thesmarts8426 2 жыл бұрын
물리학의 발전에서 이론물리와 실험물리의 양방향 발전이 진행됐다는데, 허블텐션에 대한 이론적인 답은 없을까요? 논리적 이론없이 그저 실험값에 의존한다면 혼자 데이트?하듯 좀 허전하네요.
@ganekim
@ganekim 2 жыл бұрын
우주가 멀어지고 있는데 왜 안드로메다는 우리은하와 가까워질까요? 서로가 멀어져야 타당하지 않나요?
@mikeryu61
@mikeryu61 2 жыл бұрын
허블 상수가 상수가 아닐 수도 있죠. 변수.
@amondbongbong999
@amondbongbong999 2 жыл бұрын
균일하게 팽창이 아니라면 둘다 맞다는 결론도 나올까요
@amondbongbong999
@amondbongbong999 2 жыл бұрын
또는 시간에 따라 달라진다면 두 상수가 가리키는 우주의 시간이 다른게 아닐까요
@happyhan608
@happyhan608 Жыл бұрын
허블 상수는 소수 71 ㅋㅋ
@골초
@골초 2 жыл бұрын
문뜩 드는 의문점이 있는데요.. 은하가 멀어지는 걸로 측정하는 경우 같은 경우는 중력파에 의한 시공간 왜곡, 각 은하간의 중력에 의한 제 3의 힘 등에 의해서 오차가 생길 수 밖에 없다고 생각 되는데, 잘 못 된 생각일까 싶습니다. 그 외에도 의문이 드는게 많은데, 말로 정리가 안 되네요.. ㄷㄷ
@jjong
@jjong 2 жыл бұрын
왜 팽창률이 상수기울기를 가지는 직선으로만 가정하는건가요? 단순하게 생각하면 비선형일 뿐만 아니라 어떤 공간들은 국부적으로 팽창률이 다른 경우도 얼마든지 상상할수 있을거 같은데.
@taejinbaek5895
@taejinbaek5895 2 жыл бұрын
공간적으로 H0값이 다른 경우를 가정할 이론적, 관측적 당위성이 없었기 때문이죠.
@user-yr2bu8sq9u
@user-yr2bu8sq9u Жыл бұрын
천문학은 원래 단순화해서 시작합니다. 알 수 있는게 없기 때문이죠. 상수 기울기를 구하는 이유는 전체 평균 팽창률이 궁금해서일겁니다. 주식으로 비유하면 10년 동안 어떤 주식이 200% 올랐는지 210% 올랐는지 평균값도 아직 모른다는 겁니다. 그러니 중간에 있었던 상승 하락이 어땠는지까지는 생각할 수 없겠죠
@user-nq4ys4ms8z
@user-nq4ys4ms8z 2 жыл бұрын
우주배경복사가 더 정확함
@user-vo7eh8oc5j
@user-vo7eh8oc5j 2 жыл бұрын
그냥 70으로 하면 되것당 ㅎ
@user-mu1um3sr2k
@user-mu1um3sr2k Жыл бұрын
우주가 두개니까 두개의상수가 나오는거임
@jsa89888
@jsa89888 2 жыл бұрын
그냥 우주팽창이 두개라서 그런듯
@user-zf6bg7ko9i
@user-zf6bg7ko9i 2 жыл бұрын
됐고 내 몸무게가 94 or 88에서 술취한 나그네 마냥 움직이는게 더 불만임 내 진짜 몸무게는 무엇인가
@nolboo_korea
@nolboo_korea 2 жыл бұрын
4:48 만약, 지구가 먼저 생기면서 우주가 확장된 거라면...?
@dschai0220
@dschai0220 2 жыл бұрын
정말 우주가 팽창하는지 만약 1000억광년 넘어 우주가 발견되면 뭐로 팽창설을 설명할 수 있죠?
@milchholstein884
@milchholstein884 2 жыл бұрын
12:12 PC 놈들...
@hyeryeong598gim3
@hyeryeong598gim3 Жыл бұрын
평행우주와 교차우주 두분류로 나뉘고요 예전에 네티즌에 평행우주가 나오면 교차우주 의 거인인간 이 축소 된다는 말을 들은 기억 이 나죠
@oo372
@oo372 Жыл бұрын
거리측정방식은 각 은하 개개의 후퇴속도이고 배경복사방식은 우주 전체 평균 아닌가...하는게 우주알못의 뇌피셜 ㅋ
@air5210
@air5210 Жыл бұрын
공간이 우주의 실체다. 공간속 은하같은게 우주가 아니라... 공간은 처음부터 무한이고.... 팽창하지 않는다. 은하가 고리모양으로 회전하는 모양을 이루는것은... 처음 은하 탄생시... 사방으로 퍼지던... 별부스러기들이..우주의 냉기에 막혀서..더이상 뻗어나가지 못하고 막혀서..회전하게되는것이다.
@에라이씨브럴
@에라이씨브럴 2 жыл бұрын
아몰랑~ 당장 내 앞길도 막막한 우주먼지 주제에 광활한 우주까지 생각할 여유가 없네..... ※ 100년도 못살면서 천년의 근심으로 사는 중생아~
@user-et2eb6bv3c
@user-et2eb6bv3c 2 жыл бұрын
그냥 외계인에게 부탁하는게 빠를거임..우주의 비밀을
@J.BMU1382
@J.BMU1382 2 жыл бұрын
난 정말 궁금한게 질량이있는.물체에선 중력의 영향을 받잖아? 왜 질량이 중력을 만드는거야
@srp0823
@srp0823 2 жыл бұрын
거대한 질량은 시공간을 짓누르고 시공간이 눌리며 휘어지는데 이때 중심은 낮은 에너지 준위를 만들어 다른 질량을 가진 물질들을 끌어들이게 됩니다 질량이 없는 빛같은 입자들은 빨려들지 않고 휘어진 시공간을 따라 빠져가나가는데 이를 관측한 것을 아인슈타인 링이라 부릅니다
@user-if5hl4mr7s
@user-if5hl4mr7s 2 жыл бұрын
사실 우주는 팽창 안하고 사람이 측정하던게 착각이었으면 좋겠다.
@user-mq5nc3mi7v
@user-mq5nc3mi7v 2 жыл бұрын
우주가 팽창하는것은 이해하겠는데................그 우주외 공간은 머란 말인가?
@srp0823
@srp0823 2 жыл бұрын
우주는 빛보다 빠르게 팽창하고 있기때문에 관측지점이 일정이상 멀어지면 더이상 관찰 불가능해집니다 우주 끝부분은 빛의 속도보다 훨씬 빠르게 멀어지고 있고 그속도는 점점 빨라지고 있기 때문에 빛이 우리쪽으로 아무리 날아와도 닿지 못합니다 우리우주에서 나온 빛도 마찬가지이지요 이는 블랙홀로 빛이 빠져들면 나오지 못하는 원리와도 같습니다 우리 우주는 이미 빅뱅과 동시에 블랙홀이 되었기 때문이겠죠
@user-mq5nc3mi7v
@user-mq5nc3mi7v 2 жыл бұрын
@@srp0823 추정도 못하고 있는건가요?......관측이야 불가한부분이라고 이해는 하겠는데 그냥 그 주변공간이 잠시 궁금증이 생겨서 그랬는데
@srp0823
@srp0823 2 жыл бұрын
@@user-mq5nc3mi7v 빅뱅 시작후 30만년 쯤은 관측이 불가능하지만 현재까지 정립된 이론물리학을 통해 대략적인 구조를 파악하고는 있어요 그외의 관찰 불가구간은 우리가 보는 은하들과 다르지 않겠죠 빅뱅 범위 와 동떨어진 아예 외부 공간은 현대과학에서는 아예 존재하지 않거나 빅뱅우주와 완전히 격리된 것으로 취급하고 있습니다
@user-fb8ie4gx3n
@user-fb8ie4gx3n 2 жыл бұрын
온도의 상대성! 초기 우주의 외곽의 온도는 절대온도 보다도 더 낮았을 것이다. 그래서 우리가 생각한 온도는 상대적으로 우주의 절대온도보다 높아서 열팽창 효과가 지속중이게 된다.
@user-fb8ie4gx3n
@user-fb8ie4gx3n 2 жыл бұрын
빅뱅은 1차 빅뱅과 2차 빅뱅으로 나누면 되지 않을까?
@srp0823
@srp0823 2 жыл бұрын
절대영도보다 낮을 수가 없어요 원자 진동에 의해 온도가 결정되는데 쿼크나 전자는 양자역학에 의해 일정속도 이하로 떨어질 수가 없기때문에 물질은 절대온도 0k보다 높을 수 밖에 없답니다 이로 인해 만약 물질이 절대 온도 0도에 도달한다면 우주내에서 사라져야 되는데 에너지 보존 법칙에 의해 우리우주에서는 불가능한 일입니다
@user-ph3yt3hd6o
@user-ph3yt3hd6o 2 жыл бұрын
그러니까 천문학은 주먹구구식이라는 거네....뭐 하나 확실한 것이 없네....
@takingstepseveryday
@takingstepseveryday Жыл бұрын
성경 안에 온 우주의 진실과 진리가 ❤ 온 우주를 창조하신 하나님의 은혜
@KimChoJJa
@KimChoJJa 2 жыл бұрын
팽창인지 은하끼리 공전하는건지.. 모르시네용.. 천문학은 죄다 가설인거 아실텐데..
@joongseon
@joongseon 2 жыл бұрын
근데... 솔직히... 그 걸 알아서 뭐하지??????
@ggict77
@ggict77 2 жыл бұрын
대부분 기초학문은 다 쓸데없음. 근데 그걸 하는 국가나 문명이 발전을 한다.
@Dingo3
@Dingo3 2 жыл бұрын
점심 뭐 먹지?
@kang2923
@kang2923 2 жыл бұрын
어차피 죽을껀데 왜살지~~ 랑 똑같은 질문입니다. 등산가들이 산을 왜오릅니까?? 산이 거기에 있기 때문이죠. 천문학자들도 똑같이 우주가 있기 때문에 탐구하는 겁니다
@baramsokuro
@baramsokuro 2 жыл бұрын
저걸 알고자 하는 이들이 없었다면, 지금도 천동설 교육받으며 종교재판에 희생되는 이들이 부지기수 였을 듯
@ggmind
@ggmind Жыл бұрын
우주의 크기와 나이를 고려했을 때 저 숫자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느껴지지 않음 근사치 70으로 보면 되는 것 아닌가
NERF WAR HEAVY: Drone Battle!
00:30
MacDannyGun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Насколько Глубокий Океан ? #shorts
00:42
She ruined my dominos! 😭 Cool train tool helps me #gadget
00:40
Go Gizmo!
Рет қаралды 59 МЛН
드디어! 빅뱅 직후, 태초의 어둠이 끝나던 순간을 포착하다!
18:14
우주먼지의 현자타임즈
Рет қаралды 111 М.
[매운맛 천문학🔥] 137억년 전의 은하?? 이걸 정말 믿을 수 있을까?
14:01
우주먼지의 현자타임즈
Рет қаралды 180 М.
Hisense Official Flagship Store Hisense is the champion What is going on?
0:11
Special Effects Funny 44
Рет қаралды 2,2 МЛН
ИГРОВОВЫЙ НОУТ ASUS ЗА 57 тысяч
25:33
Ремонтяш
Рет қаралды 223 М.
Cadiz smart lock official account unlocks the aesthetics of returning home
0:30
Asus  VivoBook Винда за 8 часов!
1:00
Sergey Delaisy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