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년연장? 눈앞에 다가온 된 노년의 일하는 삶...노(老)동이 온다 [풀영상] | 창 397회 (22.12.06)

  Рет қаралды 355,175

KBS시사

KBS시사

Жыл бұрын

■ 은퇴를 잊은 60대
건설 현장에 가서 물었다. "여기 60대 계세요?" 돌아보는 사람이 절반에 가깝다. 전국에 이름을 날리는 빵집에도, 어지간한 제조업체에도 60대가 상당수다. 2022년 8월 기준 60대 고용률은 58.7%. 8월 전체 고용률 62.8%와 큰 차이가 없다. 제조업, 도소매업, 건설업에선 60대 종사자 비율이 10%를 넘나든다. 60살에 은퇴한다는 통념, 2022년엔 틀린 얘기인 셈이다.
■ 2022년, 우리는 다르다 … 무엇이 다를까?
이렇게 일할 수 있는 이유, 더 건강하고 더 의욕적이기 때문이다. 한국고용정보원의 최신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50~60대가 은퇴 연령으로 보는 나이는 70살에 가깝다. 오징어 게임 같은 최신 콘텐츠에 밝고, 발달한 의료 기술 덕에 임플란트와 백내장 수술을 받아 자신감을 회복했다. 20~30년 전보다 대졸자 비율도 높아졌다. 60대 학력과 건강, 의욕 모두 인플레이션 시기를 겪고 있다.
■ 나이를 잊었는데, 일자리 시장에선 나이 탓에 '찬밥'
"그래서, 행복하십니까?" 60대에 묻고 싶다. "아니"라는 대답이 돌아올 확률이 높아 보인다. 다수가 일하고 있지만, 이들이 일자리 시장에서 받는 대우가 공정하다고 할 수는 없어서다. 하던 일을 60이 지나서 계속하기도 어렵고, 하더라고 60을 기준으로 임금이 풀썩 내려앉는다. 임금이 깎이는 게 문제가 아니라, 명확한 기준이 없다는데. 일을 줄이든지, 아니면 정말 생산성이 떨어지는지 평가라도 해보든지.
■ 60대 노동, 그들만의 문제일까?
2040년이 되면 34.4%, 전 국민의 3분의 1이 65세 이상이 된다. 고령자 고용의 질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전 국민의 3분의 1이 불행해지는 셈이다.
■ 전국노래자랑·6시 내 고향? 우리는 1박 2일 보고 최신 스마트폰을 쓴다!
초고령 사회로 빠르게 달려가고 있는 대한민국이 준비해야 할 미래, 시사기획 창이 들여다봤다. 일하고 있는, 일할 수 있는, 일하고 싶은 60대의 목소리를 담았다. 지금 나는 젊은데 왜 봐야 하느냐고? 우리는 언젠가 늙는다. 지금 우리가 따져보고 고쳐야 그게 곧 미래의 우리가 겪을 '현실'이 된다.
#60대특#현역#일잘러#일자리#환갑#노동#젊음에치인다#직장인#나이#재취업#임금피크제#은퇴#재고용 #정년연장
취재기자 : 박예원
촬영기자 : 김승욱
영상편집 : 이종환
자료조사 : 이종현
조연출 : 진의선 / 이정윤
방송일시 : 2022년 12월 6일(화) 밤 10시 KBS 1TV / 유튜브
'시사기획 창' 홈페이지 bit.ly/39AXCbF
유튜브 bitly.kr/F41RXCerZip
페이스북 / changkbs
WAVVE '시사기획 창' 검색

Пікірлер: 415
@kkkjjjbv
@kkkjjjbv Жыл бұрын
역시 기술직이다.. 솔직히 조금만 배우면 누구나 다 하는 사무직은 미래가 없다. 한국은 기술자를 훨씬 더 우대해줘야 한다. 그래야 그거보고 젊은 사람들이 기술자를 되려고 한다. 기술자를 노가다로 천시하는 풍조를 바꿔야 한다.
@yth1954
@yth1954 Жыл бұрын
기술직54세에 나옴 ㅋㅋ관리직간신은 아직까지근무61세~~
@terry-bk1cz
@terry-bk1cz Жыл бұрын
지금도 노가다 돈잘 벌어요 타일 목수 싱크대등 인테리어쪽 노가다 인건비가 천정부지예요 그만큼 일이 지저분하고 힘들어서 젊은애들이 안해서 그렇죠 인테리어 업체 함 불러봐요 일하는 사람들이 죄다 갑이예요
@user_dk9an9fjg5rp5sk5
@user_dk9an9fjg5rp5sk5 Жыл бұрын
기술직도 갑자기 무너질 수도 있는게, 예를 들어 자동차정비소 같은 경우는 전기차가 도입되면서 다 망해가고 있음. 차량진단도 정비도 다 기계가 해서... 기술직을 천시하는 풍조도 바뀌어야 하고 사무직의 미래가 암울한 것도 맞지만 다가오는 4차산업혁명에서는 기술직도 전혀 안전하지 못합니다.
@user-il8ke6eu3b
@user-il8ke6eu3b Жыл бұрын
북유럽처럼 기본 소득이 있고 노동을 한다면 덜 부담 가겠지만 생계형으로 나이들어서 까지 일한다는건 슬픈일이다
@hamosu5394
@hamosu5394 Жыл бұрын
북유럽처럼 세금을 60프로까지 내라고 하면?
@5mm22
@5mm22 Жыл бұрын
북유럽 심각합니다 그래서 사람들이 일을 잘 안하려고 해요 일 해봐야 세금으로 다 가져가거든요 ㅜ 의료서비스도 대기만 몇시간이고
@armdry9747
@armdry9747 Жыл бұрын
늙어서도 일자리 안비켜주고 버틴다고 젊은이는 욕하지만, 나이들면 누구나 정신도 신체도 움직이기 힘들어진다. 노령 노동인구중 취미생활이나, 심심풀이로 일하는 분들은 전체 노령인구중 극소수일거다. 대부분은 본인들이 움직이지 않으면 생계가 어렵구나, 당장은 어렵지 않으나 병이 언제 올지 모르니 극빈층으로 떨어지는게 두려워 일자리로 나오시는 분들이 대부분이실거다. 나이들면 대부분 여행도하고 느긋히 독서나 자기계발도 해보고 싶지만 국가가 노후를 보장해주지 않으니 어쩔수없이 일자리로 나오는것이다.
@user-cg7qw2hj1x
@user-cg7qw2hj1x Жыл бұрын
세월앞에 장사 없다고 엊그제 퇴직한것 같은데 벌써 3년차라니 무섭게 시간이 잘 간다 이런 영상 내가 볼거라고 예전에 한번도 못 느꼈는데 자꾸 이런 프로를 즐겨보게 된다 달도 차면 기운다는데 자연앞에 겸손 하고 잘 견딥시다 다들 승리해서 건강하게 노년 잘 맞이 합시다
@user-rj4wb1bz8k
@user-rj4wb1bz8k Жыл бұрын
일밖에 몰라 노는 법을 모르고 늙어서도 일하는게 자랑스러운 사회가 이상하지 않나? 60대 이상이 일하는게 당연한게 정말 이상하지 않나? 젊어서 일하고 늙어서 일하고 죽을 떄까지 일하는 사회가 이상하지 않나? 이게 정상적이지 않다는 것은 왜 아무도 지적을 안하는지 당췌 알수가 없다. 그러니 그걸 바꿀 생각을 하면 이상하다 생각하는 사회가 참 이상한데...이번 다큐는 너무 슬프다.
@viva3883
@viva3883 Жыл бұрын
100% 동감합니다. 죽을때까지 일하는게 자랑일까요?
@user-xm6qx6jc5v
@user-xm6qx6jc5v Жыл бұрын
묵꼬살아야해서 하는 노동은. 슬픈게 맞고요 존재감 성취감을 위해 하는 노동은. 안슬프죠
@Yu-kd3rx
@Yu-kd3rx Жыл бұрын
다르게 생각해볼 수 있는 의견입니다. 사실 저도 지금 하고 싶어서 하는 일이 아니라 하기 싫은 일인데 그렇다고 돈을 안 벌수는 없어서 하고 있습니다. 물론 이 일을 60대까지는 하고 싶지 않습니다. 근데 결국 60대에도 일할 수 밖에 없는 구조는 경제 저성장시기이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연금제도도 이제 만들어져서 시행착오를 겪고 있는지라 연금에도 기대지 못하구요. 그나마 지금 60대이신 분들은 연금을 받기라도 하지 지금 20-40대는 받을지도 불투명하죠. 어찌되었든 경제 저성장시기에 노후 준비가 되지 않는다면.... 60대에도 일할 수 밖에 없는게 당연할겁니다...
@gjwlsgh1
@gjwlsgh1 Жыл бұрын
틀린말은 아니지만.. 60에 은퇴하고 보통 25년을 놀아야하는데, 이것도 보통 긴 시간이 아니죠.. 노는것도 지겨울듯 하네요
@user-ui3hn7hp5d
@user-ui3hn7hp5d Жыл бұрын
노는 법을 모른다는건 바꿔말하면 놀 거리가 많아지고 노는 법을 배울 수 있는 시대에 태어난 사람들이 말하는 거임. 젊은 세대는 그들 나름대로 효율적인 일을 하며 인생을 살면 되는 거고 이전 세대는 그들만의 방식으로 삶을 채워가는 거임. 머리가 나빠서? 시대를 따라가지 못해서라고 하기에는 인류사는 항상 변화하며 다양한 세대가 융화되어 발전해왔음
@jungwk7726
@jungwk7726 Жыл бұрын
80까지 소일거리라도 하면 좋지 운동도되고 건강합니다
@TV-qw7bk
@TV-qw7bk Жыл бұрын
대부분의 언론은 100세 시대라고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은 절대 100년을 살지못한다.
@TP.universe
@TP.universe Жыл бұрын
첫 장면 전국노래자랑 60대분들이 지금의 80대로 보일정도로 세상이 많이 젊어졌네요...저희 부모님도 이제 60이신데 조부모, 부모님 세대의 희생 덕분에 저희가 이렇게 좋은 나라, 좋은 세상에 살게 되었습니다. 항상 감사드립니다. 아침에 눈을 떳을때 사회에서 내가 갈 수 있는 직장, 자리가 있다는 것에 다시 한번 감사함을 느끼게 됩니다. 가끔 힘들고 스트레스 받으면 빨리 그만두고 싶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는데.. 이 다큐를 보고 제 힘이 닿는 순간까지 열심히 살아보자라는 마음과 처음 취업 합격했을때의 초심이 동시에 떠올려지네요.. 저 또한 미래세대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는 어른으로 살겠습니다. 이 세상 모든 어머니, 아버지 건강하세요...❤️
@user-df6ff7vh4d
@user-df6ff7vh4d Жыл бұрын
너무 예쁜 댓글이네요.. 마음이 훈훈해지는 글입니다. 행복하세요 ^^
@user-gv1lg3wo7h
@user-gv1lg3wo7h Жыл бұрын
공감가는 글이네요
@hyeon_archive
@hyeon_archive Жыл бұрын
너무 따뜻한 글이네요 화이팅입니다아!!ㅎㅎㅎ
@user-wg5sg1pf8f
@user-wg5sg1pf8f Жыл бұрын
훌륭하신분으로 인해 미래가 행복해지는것 같습니다.
@japs815
@japs815 Жыл бұрын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60정년엔 그 정도 일했으니 이젠 당신의 삶을 살라는 의미가 있다고 본다. 젊어서 자식낳고 키우고 가족 부양하면서 열심히 살았으니 이제 국가가 그 보상을 할 시간이 됐다는 의미로 받아들인다. 사람으로 태어나 경제적, 사회적 의무에서 벗어나 자신의 삶을 자유롭게 사는 게 얼마나 큰 축복인가. 수십년을 고생했으니 이제 그 보상을 받을 차례인 것이다. 그러나 현실은 어떤가. 자식키우고 가족 부양하느라 남은 건 달랑 집 한채, 그리고 약간의 빚, 생계걱정뿐이다. 한눈팔지 않고 열심히 살았는데 왜 내 노년은 이런가. 무언가 잘못되었다. 젊었을 때부터 정년을 맞은 지금까지 나는 국가와 사회가 나에게 부여한 의무만을 강요당했지 내 권리, 나에 대한 국가의 의무따위는 구경조차 못했다. 왜 국가는 늘 나에게 무언가를 요구하기만하나. 내가 수십년을 일했으면 이제 은퇴한 나에게 국가가 그 보상을 해야 하는 게 당연한 것 아닌가. 왜 은퇴 이후에도 생계걱정을 하며 살아야 하나. 나만 잘못인가. 국가는 아무 잘못이 없나.
@Char494
@Char494 Жыл бұрын
유럽에 삽니다 . 신년들어 정년을 2 년 올렸는데 여기서 대대적으로 파업합니다. 일하기 싫어서 그럴까요? 정년이 있는것은 정년후 연금을 받기 위해서 입니다 . 연금으로 생활하며 본인이 하고싶은 봉사나 여행을 하며 인생을 보내는 게 정상이지요. 다큐에 나오신 분들 중 취미로 인생의 보람을 느끼려고 직장을 유지하시는 분들에 몇이나 될까요 .. 과연 연금이 두둑해 나와도 저렇게 아침출근 저녁퇴근하며 일하실지요. 전 다큐를 보며 맘이 아려오는데 저만 삐뚤어 진 건가요. 뭔가 노인노동을 너무 미화한 것 같아 씁쓸합니다.
@user-xm6qx6jc5v
@user-xm6qx6jc5v Жыл бұрын
사회에선 늙어도 일하라 하지안. 직장에선 50만돼도 뱉어내니 문제
@7thgrade_company
@7thgrade_company Жыл бұрын
노(老)동이 온다, 정말 공감가는 말입니다. 60,70대들의 재능을 살린 일자리들도 많이 생기길 바랍니다.
@HappyJolie
@HappyJolie Жыл бұрын
노인일자리 예산없어서 이미 불가능한데? 그리고 96시간 노동하는 시간으로 가는 국가에서 뭘바래? 😜😜
@userganada
@userganada Жыл бұрын
일본처럼 노인들이 나라 장악하려고 연장하는건데ㅋㅋ 지금 40대 이상 다 짜르는거 모르나?
@jagdishsama4085
@jagdishsama4085 Жыл бұрын
늙어서도 능력 살릴 수있는건 몇개 없음 디자인이라던가
@tsukiyama-akihiro
@tsukiyama-akihiro Жыл бұрын
노인을 공경하지 않는 사회. 미래는 없다 대한민국은 나락으로 가는중
@jhsywafqge26dh2
@jhsywafqge26dh2 Жыл бұрын
​@@tsukiyama-akihiro 노인은 없고 틀딱만 넘친다
@user-kj6jc1qr8d
@user-kj6jc1qr8d Жыл бұрын
나가서 움직이는 방법이 일하는 방법뿐만 아니지 않겠습니까? 사실 돈이 없으니 일하는 거지 돈이 충분하면 그 나이에 일하고 싶을까요?
@user-eh3bt4lw2n
@user-eh3bt4lw2n Жыл бұрын
윤주상 배우 겸 성우님. 멋진 나래이션과 음성이 항상 마음에 듭니다. ^^
@user-mq3qd4ro6i
@user-mq3qd4ro6i Жыл бұрын
젊었을때 많이놀고 여행다녔습니다.곧60세. 지금은 일하는순간이 여행보다 편하고행복합니다 . 건강할때까지 일하고싶습니다. 1.건강
@user-jg9cu5oe4q
@user-jg9cu5oe4q Жыл бұрын
지금 30대 중반인데 내년이면 회사생활 10년차더라고요. 제가 20대 때는 '젊을 때 더 일해야한다'는 풍조여서 쉬지않고 앞만 보고 달려왔어요. 시대가 참 많이 변했네요. 앞으로 60대 70대까지 일할거 생각하고 두달 후에 퇴사합니다. 일할 날이 더 많아졌는데 중간 중간 조금 쉬어가야겠어요.
@user-gz1js8cf5t
@user-gz1js8cf5t Жыл бұрын
퇴사 하기엔 시기가 안좋지 안나요? 내년에 경기가 심히 안좋아진다는데 좀더 있다가 후폭풍 지나가면 퇴사하는게 좋을거 같네요
@yoon8317
@yoon8317 Жыл бұрын
@@user-gz1js8cf5t 원래 이럴때 노동의 가치가 저평가받고... 10년 일하고 30중반이면 지금 아니면 다른 업으로 갈아타기 쉽지않지요...
@user-qw7gc2rf6f
@user-qw7gc2rf6f Жыл бұрын
잘 생각했어요
@user-hp6pc6sl8k
@user-hp6pc6sl8k 11 ай бұрын
어떻게 지내시고 있는지요
@user-ty2kz2nk9s
@user-ty2kz2nk9s Жыл бұрын
건강한 삶 건강한 사회 늙어서도 일하는 국가 대한민국 서로서로 도우면서 평생을 즐긴다
@Zerojoo96
@Zerojoo96 Жыл бұрын
현재 44세 인데, 노후에 관심이 많아 졌어요. 제 2의 인생은 뭘 하고 살아야 하나, 고민하는 중에 보게 된 영상. 다시 한번 생각해 보게 되는 기회가 되었네요 ㄳㄳ!!
@dia4816
@dia4816 Жыл бұрын
요즘 환갑 되신 분들 엄청 젊어 보이는데 1992년은 어르신들 나이가 많이 들어 보이시네...
@Alice-xp9yg
@Alice-xp9yg Жыл бұрын
수명이 늘어나는데 노년의 노동 인구가 늘어나는 것은 당연한것 같습니다
@user-vq7mm7yk3f
@user-vq7mm7yk3f Жыл бұрын
어르신들 너무 멋지십니다!
@iligassdajeoligassda
@iligassdajeoligassda Жыл бұрын
늙어서 계속 노동을 해야 한다는 게 더 슬프지않나… 아닌 거 같다…
@mjin6614
@mjin6614 Жыл бұрын
수고하셨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rz9hs9lj9f
@user-rz9hs9lj9f Жыл бұрын
영상 감사합니다 영상이 참 좋네요
@user-tl3cx4mm4t
@user-tl3cx4mm4t Жыл бұрын
생각이 많아집니다 감사합니다
@applekorea1
@applekorea1 Жыл бұрын
마지막 음악이 너무 짠해서 눈물 찔끔이다
@bizintv
@bizintv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은 프로그램 감사합니다.
@user-ms5qq8vd7b
@user-ms5qq8vd7b Жыл бұрын
이런 다큐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leejun7664
@leejun7664 Жыл бұрын
나이 들어서 먹고 살기 위한 돈을 벌기 위해 일을 하는 것이 아니라(얼마라도 벌면 더 좋고) 운동 겸 노동의 즐거움을 느끼기 위해 일을 할 수 있을 정도로 젊을때 준비를 해 놓아야 한다.
@alo2422
@alo2422 Жыл бұрын
고령화 사회에 대해 또 나이듦에 대해 다시 한 번 차분히 생각해볼 수 있는 좋은 기회였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hyeon0328
@hyeon0328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fctk5656
@fctk5656 Жыл бұрын
끝까지 눈을 뗄 수 없을 정도로 가슴이 따뜻하고 삶을 다시 생각하게 하는 다큐였습니다. 좋은 영상 고맙습니다.
@user-gc1mh6uy4h
@user-gc1mh6uy4h Жыл бұрын
이런 다큐의 취지는 참 좋은거 같습니다 잠자리 들기전에 아주 좋은 다큐멘터리 보고 잠이 드네요 ^^
@jinhokorean1129
@jinhokorean1129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는 일을 너무 많이 시키는 것 같음... 시간 내에 다 하지도 못할 일을 부여하는 느낌... 특히 노가다 현장에서는 건축 기간이 돈이다보니까 미친듯이 시킴...
@user-yv5zm8en7p
@user-yv5zm8en7p Жыл бұрын
40대인데 영상을 제작해준 제작진들에게 감사드립니다.
@piter_31
@piter_31 Жыл бұрын
저 보다 30년 선배분들의 열정을 이렇게 나마 확인하니 생각했던 이미지와는 많이 다르네요.ㅎㅎ 젊은 60대 청년분들을 이 후배가 응원하겠습니다!
@user-id2md9up2y
@user-id2md9up2y Жыл бұрын
계속 시니어 들의 입장만 듣고 있는데 그 시니어들이랑 같이 일하는 아래 세대 직원들은 뭐라고 하는지 한번 들어봐야지??? 정말 그들도 시니어 들이 필요한가? 시니어들은 그들이 말하는것 처럼 크게 기여를 하고있는가? 일방의 찡찡거리는 입장만 듣는거 같은데 너무.
@kingstock7414
@kingstock7414 Жыл бұрын
고령자 채용하는 회사 대부분 2030 채용 안되는 것으로 알고 있어요
@user-gv1lg3wo7h
@user-gv1lg3wo7h Жыл бұрын
젊은 애들 안오니 나이든 사람 뽑겠지요
@jaeseoblee5111
@jaeseoblee5111 Жыл бұрын
재미와 의미, 감성과 이성, 미시와 거시, 과거와 미래. 모든 것이 다 담겨 있는 시사기획창이네요. 좋은 기획, 좋은 영상 '시청자로서' 정말 잘봤습니다.
@user-uv2cz2lk5l
@user-uv2cz2lk5l Жыл бұрын
중소기업에는 젊은이들이 오지를않는가?정년폐지하고 정년자들 편하게고용하라
@user-xl7yc8oy1q
@user-xl7yc8oy1q Жыл бұрын
시니어들이 양질의 일자리로 생계와 행복을 찾을 수 있도록 이제는 국가와 사회, 기업, 개인 모두가 함께 노력해야 할 때입니다.
@user-cz2ph4xo3k
@user-cz2ph4xo3k Жыл бұрын
노련함은 돈으로살수없다 멋지십니다
@calhobkim1981
@calhobkim1981 Жыл бұрын
다각도로 기획하고 영상을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너무나도 도전이 되고 한편으로는 미리 준비할수 있도록 마음가짐도 가질수 있게 되네요. 앞으로 계속 늘어날수 밖에 없는 노동시장이기에 꾸준히 관심을 가지고 이런 제작을 해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gracemir2
@gracemir2 Жыл бұрын
능력만 되면, 나이가 아무리 많아도 일해도됨. 이들의 경력이 엄청난 효율을 가져옴
@gijehtog
@gijehtog Жыл бұрын
노동 생산성에 대해 정밀하게 판단할 수 있어야 사회적 갈등이 많이 줄어들 것 같습니다.
@nahyunlee3990
@nahyunlee3990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밌게 잘봤습니다~~!
@Ryan_Kim_
@Ryan_Kim_ Жыл бұрын
우리 나라도 일본처럼, 노인들도 작업장에서 일할 수 있는 환경을 정부에서 적극 지원해주고, 노년에도 일하고 싶고, 일할 수 있는 쾌적한 환경과 보조 장치나 자동화 시설을 갖춘 일자리들이 많아지면 좋겠습니다.
@novicekim4854
@novicekim4854 Жыл бұрын
이게 감동인가여?대체 언제 일에서부터 해방되려는지...나이들면 해외여행이나 운동등 하기 힘들어지는데.... 노동이라는 인생의 족쇄를 왜 치고있는지..전 이해가 안됩니다 60정년과 함께...60까지 열심히 일한 제게 .. 알람으로부터의 해방과..해외여행, 취미생활,아무것도 하지않는 일상을 선물하려 합니다.. 파이어족의 여유로움을 만끽하려합니다.. 우리도 이제 좀 일로부터 자유로워질 필요가 있지않나 싶네요
@djs7624
@djs7624 Жыл бұрын
항상 감사합니다. 오늘 나레이션 굿 ㅎㅎㅎ
@seonmioh9211
@seonmioh9211 Жыл бұрын
창 기다렸습니다🎉
@user-hc8nb3fy9j
@user-hc8nb3fy9j Жыл бұрын
고령화를 맞으신 어르신들이 젊은시절을 게으르게 살아오셨다는 생각은 가져서는 안됩니다.다만 자산운용가의 입장에서 가슴아픈것이 있다면 젊은시절 자산의 운용을 잘 하셨더라면 어떠셨을까....입니다.자산운용가의 입장에서 너무 가슴이 먹먹합니다.고생하셨지만 이분들이 건강하셨으면 합니다.
@bongkku6474
@bongkku6474 Жыл бұрын
좋은프로그램 이네요~ 우리나라의 노동시장이 선진화 되어야 국가 전체가 건강해 질 수 있다고 생각하는데, 그러기 위해서 직무별 연봉제도를 합리적으로 설계해서 적용하는 것이 시급 하다고 생각 합니다. 직무별 연봉제도를 설계 할때에는 노동의 강도를 기술적 전문적인 부분과 같거나 비슷한 수준으로 봐야 합니다. 그럴려면 많은 부분의 임금체계 및 보상체계를 새롭게 설정 하는 것에 많은 연구와 동의가 필요 할 것이라고 봅니다. 짧은 삶의 기간에서 노동으로 삶의 시간을 제공하고 소비하는 것이 모두에게 동일하게 소중하다는 인식과 합의가 필요합니다.
@user-sx6wi3bl2t
@user-sx6wi3bl2t Жыл бұрын
오래 일하는건 어쩔수 없는 사회현상일뿐이지... 아프신 분들도 많아요.
@marco_k_7787
@marco_k_7787 Жыл бұрын
참으로 감동적인 다큐네요. 저도 계속 건강하게 일할수 있기를 기원해봅니다.
@jamesgreen3616
@jamesgreen3616 Жыл бұрын
정년연장? 우리나라도 해야지요. 하지만 점진적으로 해야지요 . 1년 에6개월씩 연장하든지해서 말이지요. 박근혜 정부때 일시에 해서 실수했지요. 엄청난 청년실업을 낳았지요.
@user-ng9yr1cm8k
@user-ng9yr1cm8k Жыл бұрын
​@@jamesgreen3616
@user-ng9yr1cm8k
@user-ng9yr1cm8k Жыл бұрын
​@@jamesgreen3616
@HappyJolie
@HappyJolie Жыл бұрын
윤정부 뽑고...노동하겠다는 노인들 진심이심? 예산 줄어서 그돈으로 용산이전하고, 중간 중간 돈 빼먹고 있는데 뭔소리..? 🤣🤣🤣🤣 바보 되지 맙시다 뭔 감동..
@user-hi8gs4oe5y
@user-hi8gs4oe5y Жыл бұрын
산업화 시대를 겪은 지금 은퇴세대분들은 노동을 워낙 사업주의 노예처럼 오래 일해오셔서 은퇴하고도 '노동'을 해야해?라는 것에 대해 난 영원히 일을 해야하나라는 부정적인 생각을 가지는 측면이 있다구 생각합니다. 요즈음의 청년들을 보십쇼 노동을 '일한다'라기보다는 '인생을 산다'라는 표현으로 일합니다. 내가 얻는게 없이 힘들게 한다면 바로 박차고 더 좋은곳으로 이직을 하고 부당한 명령을 옛날처럼 잘 따르지도 않습니다. 어르신들....노동에 대해 인생을 '사는것'이라고 생각해봅시다. 그렇게 생각한다면 그저 은퇴후의 노동도 사는것일 뿐입니다. 사업주들의 태도도 시간이 지나면서 계속 진화할 것입니다. 노령층이 활약할 파트의 일거리에 대해서 계속 고민할거고요. 변화하는 시대에 맞춰 현장도 바뀔것입니다.
@kimtaehyun1027
@kimtaehyun1027 Жыл бұрын
제목 정말 공감가는 내용입니다. 여러 측면에서 기획하고 생각해 볼 수 있는 영상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60,70대 분들껜 많은 일자리가 생기길 바라며 젊은사람들 입장에선 미리 준비하고 한치 더 내다볼 수 있는 마음을 가질 수 있었습니다. 고령화에 따른 일자리 개선이 필요해 보입니다. 좋은 영상 고맙습니다.
@user-lx9bs4cg4z
@user-lx9bs4cg4z Жыл бұрын
가족,직장,친구 우리는 태어나서부터 죽을때까지 자신을 돌아볼수있게 여유로운 관계를 가져본적이 없음 항상 최선을 다해야 그관계에서 떳떳하다고 생각하며 살고있음. 일을 못하는 자신을 무쓸모한 패배자로 인식할필요는 없음
@travel-just-because
@travel-just-because Жыл бұрын
좋아요.
@user-og2dd5wl4o
@user-og2dd5wl4o Жыл бұрын
2년기한 계약직도 개정해야됩니다. 노동법이 좀더 세밀하고 현실적으로 바뀌면 좋을듯
@cristinashin2501
@cristinashin2501 Жыл бұрын
김완선언니^^소방차오빠^^국민학교때최애 가수로 뉴키즈온더블럭^^서태지와 아이들 중학교때 좋아하고^^ 대학교입학하니 컴퓨터로 수강신청하는...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바뀌는 세대였습니다^^끊임없이 변화하는 사회에 적응하며 앞으로도 주변사람들과 소통하며 살고 싶습니다^^모두 힘내세요!!!!!!!
@user-xq4fm9mt8r
@user-xq4fm9mt8r Жыл бұрын
늙어서 일 하는게 좋은게 아니라 나라가 노인복지로 늙어서 일 야하고 지낼수있게 복지를 만들어야지 평생 일만하고 죽냐 뭘위해서 이러니 똑똑한 젊은이들이 애 안놓는다
@user-mt2zx5pl1v
@user-mt2zx5pl1v Жыл бұрын
60대에게 자격증은 단지 장식품이라는 말 너무 공감이 갑니다
@chriskim7226
@chriskim7226 Жыл бұрын
노인의 노동을 미화하는 이 영상 많은걸 생각하게 하네요. 하지만 슬프네요. 죽을때까지 노동하는 그들의 아름다운 삶의 정당화의 증거 영상!
@dddddddddddddddfsadfe
@dddddddddddddddfsadfe 6 ай бұрын
노인이 아니니 노인을 이해할수있나. 노동을 미화하다니. 노동은 신성한거야.뭐가슬프다는건지.인생 만만하게보지말길.
@user-zp4zx1cl5g
@user-zp4zx1cl5g Жыл бұрын
60대는 예전과 달리 분명 많이 젊었졌지만. 노후대비가 되어있으면. 일안하고 지내고 싶다
@dddddddddddddddfsadfe
@dddddddddddddddfsadfe 6 ай бұрын
노동하는삶이 건강하고 보람차요
@happyever999
@happyever999 Жыл бұрын
부모도 돌봐야하고,본인도 돌봐야하고, 자식도 돌봐야하고... 영상 보는 60대 눈물나고 스스로 안스럽네요.
@user-zh2cy5ct3q
@user-zh2cy5ct3q Жыл бұрын
참 부러운게 아니라 안타깝다 60세에 뭐든 할수있는 나이라고 생각한다니... 불과 얼마전만해도 자식들에게 보호받고 노후를 보냈던 나이 이제는 그것이 불가능한것을 알고 할수있다라고 자기 암시해야하다니
@user-dv2py7dy8f
@user-dv2py7dy8f 6 ай бұрын
그렇다기보단 의학의 발달로 신체노화속도가 늦어져서 예전에 부모가 60이면 부양받던 시절 신체나이로 치면 일할때긴합니다. 저소리 나올때 기대수명하고 지금 기대수명하고 몇십년이 차이나니깐요
@recovery_k
@recovery_k 11 ай бұрын
일하는 노년 멋지십니다
@atlantisssssssss
@atlantisssssssss Жыл бұрын
60~65세 전후로 은퇴하고 일을 그만둔다는 개념이 대세가 된건 (가장 일찍 도입된 미국/서유럽만 보더라도) 대체로 1930년대~50년대 정도입니다. 그리고 비슷한 시기 1930~1950년 미국과 서유럽의 평균 기대수명이 60~70세 정도였다는걸 생각해보면 생산활동을 멈춘 이후 남은 수명이 5~10년 이상일것이라는 기대는 근/현대식 연금제도가 설립될때나 전근대식 대가족 시스템에 의지하던 시대에나 역사적으로 한번도 없었다는걸 생각해봐야할것 같습니다.
@user-hk2sw7pl6u
@user-hk2sw7pl6u 11 ай бұрын
노후에 일하는걸 너무 나쁘다는듯이 이야기하는게 좋은가 싶네요. 저희 부모님은 평생 농사지으셔도 그게 당연하시던데..노후에 일거리를 만나고 싶지 않으면 연금3단구조 잘 쌓고 벌때 절약해서 노후 플랜짜고 노후에도 열심히 일하고 싶으면 자기고용능력을 만들어서 일하고 이런 대안을 제시하는 프로그램도 생기면 좋겠습니다. 노령기를 두려워하고 노동을 두려워하면 오히려 그 시기에 더 쉽게 절망하고 역선택을 할것 같습니다. 평탄하게 지속되는 노령기를 원한다면 한실이라도 어릴때 재정지도도 그리고 계속 노동할건지 은퇴후 다른 플랜으로 살건지도 미리 계획해야하지 않을까요. 사람은 다 늙는데 노령기를 너무 저주처럼 피하려는 기조가 큰거 같아서 좀 안타까운 마음이 드네요.
@t.o.t
@t.o.t Жыл бұрын
정년퇴직하신지 2년이 지난 부모님께 영상 보내드렸는데요. 많이 공감하신다며 모임 단톡방에도 공유하셨네요ㅎㅎㅎㅎ 임금피크제부터 직무급제도입까지 최근 고령층 노동시장의 이슈들까지 자세히 보여주네요 34:41 에 나온 시니어 삼성은 회사명 뭔지 궁금하네요
@user-zw3fq9qi2f
@user-zw3fq9qi2f Жыл бұрын
'에버영코리아'이며 현재 채용공고도 보입니다.
@youngjulee9985
@youngjulee9985 Жыл бұрын
좋아한다에 두번 누를 수 있다면 그러고 싶을 만큼 좋은 다큐.
@gregory000
@gregory000 Жыл бұрын
정년은 없는게 맞음.
@LeeSeungChan1
@LeeSeungChan1 11 ай бұрын
인간이 인간다울 수 있는 조건 = 노동. 10출산률 감소로 노동인구가 절대적으로 부족해질 미래를 생각했을 때, 100세 시대를 생각했을 때 계속 이어질 노동은 오히려 축복이 될 수 있습니다.
@user-wf9yv6cy4f
@user-wf9yv6cy4f Жыл бұрын
국민연금 60세에 지급해라 도둑들아
@yas-oh
@yas-oh Жыл бұрын
국민연금 고갈되니까 정년연장 계속하는거보소 ㅋㅋ 이러다 80세까지 정년연장될듯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kay203
@kay203 Жыл бұрын
정년 연장을 하는거는 청년들이 가기 싫어하는 분야에서는 어차피 필수고, 가고 싶어하는 직군에서는 어차피 정년연장 해줘도 회사들이 알아서 자르고... 공기업/공무원만 연장 안하면 어차피 알아서 굴러갈것 같다...
@user-ty2kz2nk9s
@user-ty2kz2nk9s Жыл бұрын
국가는 노인도 일할수 있게 해야한다 건강한 국가
@heeymin1582
@heeymin1582 Жыл бұрын
확실히 나이대가 젊어진건 사실. 저희 할머니가 63세에 돌아가셨는데 지금 63세와 확연히 다른건 사실.
@user-xv1wo8yb8w
@user-xv1wo8yb8w Жыл бұрын
노예 연장 노후준비가 안된 대한민국의 슬픈 민낯 일만하다 죽을것인가 그것이 행복한 삶인가
@user-wg7mf2sx8b
@user-wg7mf2sx8b Жыл бұрын
돈이 정말 많으면 우울증 안생겨요 돈 쓰면서 수입에 신경안쓰면서 할수 있는일은 많습니다 그런데 정작우린 돈안주는 곳 가서 일할 수 있을까요
@user-go8hj9px6e
@user-go8hj9px6e Жыл бұрын
와우 데용아조씨다!!!!!
@user-gg2hu4xh9j
@user-gg2hu4xh9j Жыл бұрын
환갑 잔치, 칠순, 팔순,구순잔치 좋다고 생각합니다. 단, 뷔폐집에 초대해서 봉투는 받지 맙시다!^^
@user-cf2du4nb8b
@user-cf2du4nb8b Жыл бұрын
기업입장에서는 최저임금에 찍소리 안하는 비정규직 60대이상 고용하니 개꿀띠고 젊은 노동자 입장에서는 취업자리가 안생기니 죽을 맛이고 92년생 취업율 50%인거 알제? 나이든 사람입장에서는 연금도 65살부터 타는데 최저임금 이라고 벌고 살아야 되는거고.. 허허 그나저나.. 과연 60대이상이 돈을 벌면 소비를 할까?? 젊은 사람들이 돈을 벌어야지 소비를하니 경제가 살아날텐데 말이야... 내가 너무 비뚫어지게 보는기가? 헣헣ㅎ헣
@user-mu5fx8gv3l
@user-mu5fx8gv3l Жыл бұрын
57에 건설사에 계약직으로 취업해서 지금까지 잘 다니고 있습니다. 남자는 나이먹으면 건설현장이 몸도 마음도 편합니다. 그리고 다른직종보다 일찍 끝나고 임금도 높은 편입니다. 70까지 일하는 사람들 많습니다. 현장일은 동네산에 갈 힘만 있으면 누구나 할 수 있습니다. 기술 하나도 없어도 됩니다. 신호수 유도원 화재감시원등은 그냥 서있으면 되는 일입니다. 건설일은 식사제공에 간식제공에 오후 4시면 집에 갑니다!
@user-qx9os7ef3l
@user-qx9os7ef3l Жыл бұрын
원칙 원칙만 따지는사람들은 현장일 개코도모르면서 입만살아있지 ㅋ 나이많다고 일하는데있어 효과적이라면서 돈은 왜깍냐 법부터 개정해야한다
@user-ew7gv5mr3k
@user-ew7gv5mr3k Жыл бұрын
그니까 아웃소싱 만든거지 .. 옛날에 아버진 직장다니고 어머닌 집에서 가정 돌볼때가 그립다
@user-tv8op2uz8y
@user-tv8op2uz8y Жыл бұрын
좋은 시절 진짜 다 간거지 1. 이젠 늙어서 꿀빠는 시대는 종말되고 2. 경력쩌는 시니어들의 재평가 때문에 출산율은 더더더 떨어짐 3. 왜냐하면 더 이상 수출해서 흑자나는 분야 기업들이 없는 환경에 젊은이들은 더 이상 기회가 없을것이기 때문에
@user-wp1hf7ut1g
@user-wp1hf7ut1g Жыл бұрын
저도 60이지만 일잘하고 체력도 좋고 능력 좋습니다
@user-vb2tc3qz6j
@user-vb2tc3qz6j Жыл бұрын
그런분도 많지만 그렇지 않은분도 많아요
@user-tm9gn7ts1l
@user-tm9gn7ts1l Жыл бұрын
걱정에 걱정 저 어르신은 사고가 대단하네요 일만하고 보험과 건강보조제 돈이 많이 들어가고 자녀걱정에 죽어야 걱정 안할듯 나이가 저럿게 많은데도 다 돈땜 그런것 청소가 힘들겠어요 우리집 남편은 퇴직후 일은 끝 내가 평생 현역일 돕고 있는데 솔직히 일이 아님 시공감리라
@user-be9qw9vw8v
@user-be9qw9vw8v Жыл бұрын
원주 판사는 고등사기꾼이 존재 하는 세상 비리천국 입니다
@user-wx7ge8fm5q
@user-wx7ge8fm5q Жыл бұрын
와.. 저당시 60살은 지금나이로 치면 80살은 되어보이네;;;; 지금 60은 60이 아님 ㅋㅋ 옛날나이로 치면 40대임
@user-qz8ee9fm6p
@user-qz8ee9fm6p Жыл бұрын
세워서 적재 못하게 법제화 하세요 옆으로 눕혀 적재하면 안굴러 가잖아요
@stevejung7915
@stevejung7915 Жыл бұрын
대기업 공무원 종사자 출신들 업무 기능적으론 거의 제로! 옛날에는 영업부분 때문에 고용했는데 실무일도 병행해야 하는 중소기업에서는 이런분들 경쟁력이 없음. 오면 갑질만 할려고함.
@lover2233
@lover2233 Жыл бұрын
22초 서울의소리 기자님??
@user-hu7vk6tq5z
@user-hu7vk6tq5z Жыл бұрын
의료보험 국민연금 파산이 눈앞이라.. 노인도 일하게 만들려고 정부에서 국민 세뇌에 들어간 것 같구만... 일하는게 아름다운 것 ? 일 못하면 쓸모 없어지나 ? 은퇴한 노인들에게는 건강하게 즐겁게 노는 방법을 지원해라..
@underclass8558
@underclass8558 Жыл бұрын
이미 제도는 만들어 놨는데 자신들이 안했지요..
@fieldlinda9105
@fieldlinda9105 Жыл бұрын
노인이 인구의 반가까이 될 예정인데 놀게냅두면 망함
@jhsywafqge26dh2
@jhsywafqge26dh2 Жыл бұрын
모아둔 돈으로 노세요. 나라에 바라지말고. 기본소득은 거품물면서 연금이라도 바라시나?
@user-qw7gc2rf6f
@user-qw7gc2rf6f Жыл бұрын
내년환갑인데. 친구들과 미국여행가려고요
@ernstz1004
@ernstz1004 Жыл бұрын
미국은 당연한 것인데.... 70대가 일하는 것도 당연한 것을....
@user-fk4fn3vn3f
@user-fk4fn3vn3f Жыл бұрын
미국에서 당연하면 한국도 당연해야 햐다고? 구급차 한번 부르면 50만원 내야하는 나라가 미국이니 한국도 당연하게 돈 내자구 백살까지 일해라
@myrtletreechae6498
@myrtletreechae6498 11 ай бұрын
호주도 일상이죠. 나이 무관하게 일합니다
@Mi-jp2fv
@Mi-jp2fv Жыл бұрын
그래도 옛날사람들은 70이 넘어가도록 일을 열심히 하신다.. 연금이 나와도 끝까지 일하시는 분들은 존경스럽다는 생각이 들지만 문제는 연금도없고 모은돈도 없고 직장도 못구하는 분들이 안타까울뿐 우리도 그길을 걸어가고있고 시간이 흐를수록 불안해진다 노후대책이 중요하다..
@Son-dd6sg
@Son-dd6sg Жыл бұрын
임금 피크제 받아들임. 일할수만 있도록 해달라. 노동의 사회적 대타협이 필요합니다.
@dadsrtfgawe
@dadsrtfgawe Жыл бұрын
청년 1명이 감당해야하는 노인인구가 늘어나는 만큼, 2가지 트랙에서 정책이 완성되어야한다고 본다. 장년층들은 청년들에게 예산이 투입되는 것에 불만을 갖지말고, 미친듯이 투자해서 그들의 수입을 크게 늘려야한다. 소득을 늘려주고, 세율을 높여서 복지예산으로 투입되게해야한다. 청년은 청년대로 소득과 직업에 대한 만족감을 주는 동시에 노령층에 예산이 다시 돌아가는 선순환을 만들어야한다. 노인 일자리를 쓸데없이, 억지로 늘리려고하지말고 청년들이 부자가 되어서 그 소비가 노인인구로 뿌려지게하는 방법만이 대한민국이 살 수 있는 방법이다.
СҰЛТАН СҮЛЕЙМАНДАР | bayGUYS
24:46
bayGUYS
Рет қаралды 774 М.
Black Magic 🪄 by Petkit Pura Max #cat #cats
00:38
Sonyakisa8 TT
Рет қаралды 30 МЛН
100❤️
00:19
Nonomen ノノメン
Рет қаралды 38 МЛН
[Full] 60세가 된다는 것_MBC 2016년 3월 1일 방송
47:54
MBC PD수첩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СҰЛТАН СҮЛЕЙМАНДАР | bayGUYS
24:46
bayGUYS
Рет қаралды 774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