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성장 함정에 빠진 아시아 국가들

  Рет қаралды 1,103,342

슈카월드

슈카월드

Күн бұрын

0:00 ~ 4:54 세계 3위를 빼앗긴 일본
4:54 ~ 19:06 중진국 함정에 빠진 나라들
19:06 ~ 선진국과 벌어지는 격차
어렵고 딱딱한 경제,시사,금융 이야기를
쉽고 유쾌하게 풀어내는
경제/시사/이슈/잡썰 토크방송입니다.

Пікірлер: 1 300
@bumto
@bumto 4 ай бұрын
모자가 갈수록 세련되네 형
@user-nb4zn7oi2e
@user-nb4zn7oi2e 4 ай бұрын
이제 곧 탈모로 모가자랄수 없
@hjk5165
@hjk5165 4 ай бұрын
중세는 세련됐는데 뒤로 돌리면 근대는 더 세련
@baby_gomxy
@baby_gomxy 4 ай бұрын
인트로 나올때 이 댓글보고 기대에 찬 맘으로 모자봤는뎈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vcxzfdsarewq12
@vcxzfdsarewq12 4 ай бұрын
역시 자네야
@user-cg6wf5nm8i
@user-cg6wf5nm8i 4 ай бұрын
이제 실크햇에 모노클 씀
@mckinseyand2022
@mckinseyand2022 4 ай бұрын
미국과 유럽도 요즘 엄청나게 차이남. 유럽에 직장 없음.
@user-mc6fm6uw5t
@user-mc6fm6uw5t 4 ай бұрын
한국일본이 3만대, 서유럽 국가들이 4만대 외치는데, 미국은 3억5천만 인구에 1인당 8만달러.. 정말 압도적이다 라는 생각만 드네
@user-db2fu8gx1x
@user-db2fu8gx1x 4 ай бұрын
평균의 함정 모르시나요?! 그 악명높은 빈부격차로 유명한게 미국이라 4만달러도 벌까말까 한 애들이 태반인게 미국의 현실임.. 상위 10프로가 70프로 가까이 부를 가지고 있으니
@MagicSteel1
@MagicSteel1 4 ай бұрын
@@user-db2fu8gx1x 마치 김치국은 모두가 평균찍는듯이 이야기 하는군.
@RtaheDo
@RtaheDo 3 ай бұрын
​@@user-db2fu8gx1xㄹㅇ ㅋㅋ 오징어게임 참가자들 평균내봐도 평균재산 수십억은 될듯 ㅋ
@michaelkim8134
@michaelkim8134 3 ай бұрын
​@@user-db2fu8gx1x미국 거주민으로서 솔직히 말하면 여기 저소득층은 초등 교육부터 차이가 나기 때문에 빈부격차라 하기도 아쉬움. 기술만 있다 하면 고소득 주에서는 70k 이상은 충분히 가능함. 캘리 엔지니어들은 적어도 140k는 범.
@user-rb9uf9ep2i
@user-rb9uf9ep2i 3 ай бұрын
​@@user-db2fu8gx1xㅋㅋ 중앙값 한국 3200만원, 미국71000달러인데 4만달러가 태반인건 뇌내망상인가요?
@user-cv5ne7wt1v
@user-cv5ne7wt1v 4 ай бұрын
내용도 내용이지만 사진이 의외로 적절한게 개웃김ㅋㅋㅋ 머리 긁고 있는 올라프 어리둥절하는 바이든 짤이 ㄹㅇ 딱맞아 떨어짐ㅋㅋ
@KNJB-hi3zn
@KNJB-hi3zn 4 ай бұрын
몇분에 있어요??
@zooni04
@zooni04 4 ай бұрын
1:21 머쓱머쓱 올라프 3:44 당황당황 바이든
@KNJB-hi3zn
@KNJB-hi3zn 4 ай бұрын
@@zooni04고마워요 스피드도지❤
@hyungjunlee1268
@hyungjunlee1268 4 ай бұрын
다들 이런 저런 의견을 내며 욕하고 싸우고 하는게 국가 발전의 원동력중의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치고 받고 싸우되 서로 존중했으면 좋겠네요.
@vforwhat3730
@vforwhat3730 4 ай бұрын
질서화된 혼돈은 오히려 다양성과 자유도에 있어서 좋은 영향을 주죠. 제대로 제도화된 민주주의가 망할 거 같으면서도 망하지 않는 이유도 여기에 있고요 ㅎ
@user-fr4mg6vj3y
@user-fr4mg6vj3y 4 ай бұрын
근데 보면 서로 존중을 안하는거같아서 좀.....
@Tweet_Boss
@Tweet_Boss 4 ай бұрын
??? : 갈등만이 우리를 진화시킨다.
@dominion8998
@dominion8998 4 ай бұрын
토론은 좋게보는데 진영논리,인신공격의 오류,피장파장의 오류 등을 범하고도 뻔뻔한 사람들이 짜증나네요.
@SB_ROH
@SB_ROH 4 ай бұрын
싸우는거랑 상관 하나도 없고, 그냥 적절한 시대에 적절한 인물이 잘 등장한게 전부라고 생각함.
@MoLMCcc
@MoLMCcc 4 ай бұрын
저는 일본기업에 재직중인데, 작년, 올해까지 매년 월급이 평균 30만원 이상 오르고있습니다. 80년대부터 월급이 오르지않았는데 드디어 인플레이션이라는게 오고있는게 느껴지네요. 물론 대기업중심일지도 모르지만, 변화라는게 느껴지긴합니다
@corea.
@corea. 4 ай бұрын
일본은 올라도 됩니다 한국 인건비 비싸졌어요 한국 5대 기업 이야기지만 연봉 1억 받는 사람들 많이 늘어났어요
@dannylee9662
@dannylee9662 4 ай бұрын
월급 30만원 이상 오르는게 이상한 현상인거군요. 그래봐야 연봉 360만원인데. 놀랍네요.
@user-zg2yw2es7t
@user-zg2yw2es7t 4 ай бұрын
@@dannylee9662한국에선 대부분 매년 연봉 360만원 이상 오르나보네요. 부럽네요.
@jhcha-xx1et
@jhcha-xx1et 4 ай бұрын
월급 30만원보다 많이 오른다고 자랑질하는 조선인들 물가는 50프로씩 오르는데 ㅉㅊ
@user-jl8zu2em4t
@user-jl8zu2em4t 4 ай бұрын
​@@dannylee9662진짜 극혐이네
@prsh0525
@prsh0525 4 ай бұрын
항상 잘 보고 있어요
@bbokdoong
@bbokdoong 4 ай бұрын
지금 발전하는 국가들중 99%는 중진국 함정에 빠진다고 보면 됨. 우리나라가 중국 등에 올라타고 중진국 함정을 뛰어넘었는데도 지금 이렇게 고생하는데 왠만한 나라들은 아예 가능성 없음
@user-db2fu8gx1x
@user-db2fu8gx1x 4 ай бұрын
과거보다 기술장벽이 더 심해진 현실이라...
@H4ru0_
@H4ru0_ 4 ай бұрын
요즘 나라꼴 보면 나라에 망조가 든 거 같긴 한데 그래도 진짜 선진국행 막차는 기가막히게 잘 탄 것 같음ㅋㅋ 선진국 찍먹이라도 해보고 망하는 게 어디야
@user-ie4ti8qc4n
@user-ie4ti8qc4n 4 ай бұрын
우리나라가 선진국대열 막차를 탔다는거네용..
@yamolbwa
@yamolbwa 4 ай бұрын
@@user-ie4ti8qc4n경제적 선진국 대열에서 이탈할 가능성도 있고요..ㅠㅠ
@user-be6xb9ey5j
@user-be6xb9ey5j 4 ай бұрын
선진국으로 가는 사다리가 치워졌다고 보는 견해가 우세하지
@hanillee2178
@hanillee2178 4 ай бұрын
슈카형 건강하고 행복해
@docruelee5714
@docruelee5714 4 ай бұрын
쉽지 않다 쉽지 않아 이 모든 게 기적과도 같다
@user-ik6fk3yg6l
@user-ik6fk3yg6l 4 ай бұрын
중진국 함정의 키워드는 민주화입니다. 민주화는 곧 자유로운 의사결정과 다양성을 확보한다는 뜻입니다. 점점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이행되어야 하는 시기에는 국가에서 모든 걸 계산하고 예측하는 건 불가능합니다. 권위주의 체제는 중진국 함정에 반드시 빠집니다. 권위주의 체제는 초기에 자본 모아서 공장 짓고 잘만하면 빠르게 성장할 수 있습니다. 빠른 공업화를 이룬 스탈린의 소련이 중진국 함정에 빠져서 망한 겁니다. 한국은 중진국 함정에 빠질 결정적인 시기에 민주화를 이뤘냈습니다. 공산당 1당 체제인 중국도 반드시 중진국 함정에 빠질 거라고 확신합니다.
@choiedward7433
@choiedward7433 4 ай бұрын
한국도 안심할 수 없는 것이, 반도체 하나가지고 버틸수는 없고 오랜 세월에 걸쳐 구축한 설치산업 재품들을 수출해 막고 살아야 하는데 마땅히 팔 데도, 국제 가격 경쟁력도, 그리고 무엇보다 전량 수입해야 하는 원자재 가격들이 과거 원자재 가격 사이클과는 다른 양상으로 변해 국가 경제력 대비 해외 투자기업/산업이 빈약한 우리로선 험난한 미래가 예상 됩니다.
@Noneofurbusiness-or6is
@Noneofurbusiness-or6is 4 ай бұрын
법인세랑 임금 하도 쳐 올리는 와중에 미국은 세재 혜택 엄청 주니 다들 공장은 미국에 짓고 한국에는 양질의 직장이 안 생기는게 현실 ㅋㅋㅋ 그 와중에 개돼지들은 세금 더 올려야 한다고 주장
@user-gx1jj3dv3s
@user-gx1jj3dv3s 4 ай бұрын
니가 걱정하는 것보다 한국은 잘 나간다.
@Noneofurbusiness-or6is
@Noneofurbusiness-or6is 4 ай бұрын
@@user-gx1jj3dv3s 응 그런 마인드로 현실 직시 못하니 나라 경제성장률 인구구조가 이 모양이야~
@user-vj3qz4ez9v
@user-vj3qz4ez9v 4 ай бұрын
​@@user-gx1jj3dv3s출산율 하락 경젱성장률 1.4% 일본은 1.9% 외환위기 이후 처음으로 일본 보다 떨어짐
@user-yo9fl7np5v
@user-yo9fl7np5v 4 ай бұрын
@@fwqfsafwq-lu3kz 교육제도도 천재를 위한 것보다는 절대다수의 평준화를 위한거고 심지어 거기에 지원이 많이 되다보니 오히려 천재들이 더 버티기 힘든거 같음 우리나라에도 적어도 2, 3개 정도는 노벨상 탈만도 한데 없는거보면 한국의 교육제도와 지원들이 오히려 천재들보단 범재들 양성에 너무 힘쓴 것 같음
@user-ns2rv5yy8o
@user-ns2rv5yy8o 4 ай бұрын
이젠 나라들 마저 빈부격차가 점점 더 심해지겠군요... 없는 것들은 나라가 됐던 사람이 됐던 점점 더 살기 어려워질듯...
@user-bg9jm7zc8i
@user-bg9jm7zc8i 4 ай бұрын
이번금리인상은 중진국들 저격이라고봐도 과언이 아니라서 이미 저성장이던 한국이나 일본은 손해볼거없다고생각함 중국이나 인도네시아같이 고성장하던 국가들한테 엄청강한 태클넣은거임 선진국의 지위를 지키기위해서는 경쟁자를 주춤시키는게 이득이라서 필요한 금리인상이라고생각함
@user-sd6sy1kw5q
@user-sd6sy1kw5q 4 ай бұрын
그래도 금리를 너무 올려서 한국도 숨막혀요... 미국형... 이쯤되면 슬슬 조금만이라도 내려줘...
@JM-ol4pj
@JM-ol4pj 4 ай бұрын
근데 그 중국에 올라타서 꿀빨아먹던 한국이 같이 타격받음
@user-nv7nx1my9t
@user-nv7nx1my9t 4 ай бұрын
채팅창 : 태국 한국드라마 맛 좀 봐라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yj6yt2nm2y
@user-yj6yt2nm2y 4 ай бұрын
@@user-sd6sy1kw5q응 영끌쟁이 아니면 숨 안막혀ㅋㅋㅋㅋㅋ 투자를 하는데 감당못할 빚내는 흑우들이 있다?ㅋㅋㅋㅋ
@foby4184
@foby4184 4 ай бұрын
​@@user-yj6yt2nm2y영끌 아니어도 많은 가계와 기업들이 부채를 사용하는데 뭐 좁은 식견으로 조롱하는거 참ㅋㅋ
@strichcode1230
@strichcode1230 4 ай бұрын
다음 모자는 로마간부의 풍성한 깃을 보여주세요
@Madao6974
@Madao6974 4 ай бұрын
배 나오고 모 자람 없는 부패한 로마 백인장 정도?
@personal3
@personal3 4 ай бұрын
내가 모자보러 슈카온다면 믿겠니?
@ELECTRIC_DDATZY
@ELECTRIC_DDATZY 4 ай бұрын
슈카형 미국이 또 방장 사기맵으로 수소 매장지 발견했다는데 수소 관련 정책이랑 동향도 알려주실 수 있나요??
@fjeiwgwiw3782
@fjeiwgwiw3782 4 ай бұрын
이런 수준 높은 양질의 콘텐츠를 방구석에서 공짜로 볼 수 있다는 게 정말 감사하게 느껴집니다.
@user-db2fu8gx1x
@user-db2fu8gx1x 4 ай бұрын
한국도 사실 엄연한 후발국인데 시기적으로 산업과 경제 발전의 막차를 탔으니 다행히도 운이 따른 케이스인거지... 그래서 선진국 막차를 탔다라는 말도 있잖아~ 선진국 상황에서 저출산과 아직 개도국 상황(중국)에서 저출산은 심각성 자체가 다르다...
@vforwhat3730
@vforwhat3730 4 ай бұрын
선진국의 저출산은 기술과 사회적 성숙, 외국인 노동자 등으로 커버할 수 있지만 개도국의 저출산은 거의 뭐 끝장이라고 봐도 될 듯..
@yummy77777
@yummy77777 4 ай бұрын
진짜 한국 어떻게보면 엄청 대단한나라는 맞아...
@user-ce3ro1xs7m
@user-ce3ro1xs7m 4 ай бұрын
미래 다 팔아먹고 선진국 찍었잖아 한잔해~
@user-ub1dx6fp7g
@user-ub1dx6fp7g 4 ай бұрын
​@@user-ce3ro1xs7m예예~
@user-yt4ob6cp4r
@user-yt4ob6cp4r 4 ай бұрын
​@@user-ce3ro1xs7m 우리 세대까진 부족한 삶은 아니긴해 ㅋㅋㅋ 담 세대는 진짜 모르겠다
@user-qb2xm8ck4e
@user-qb2xm8ck4e 4 ай бұрын
축 0.72 와우 4분기 0.65 엄훠~~이건....봐야해~ 다음주 언제로 예상하십니까? 또산율~~
@foranie
@foranie 4 ай бұрын
선진국이라는 막차가 출발했고 한국은 어찌어찌 버스 뒷 범퍼 잡아 메달리긴 했다 싶지만 어째 범퍼가 흔들흔들하네.
@Small69Korea
@Small69Korea 4 ай бұрын
ㄴㄴ 잘 탑승해놓고 삽질해서 창문밖으로 떨어짐
@user-qq5pw1om8c
@user-qq5pw1om8c 4 ай бұрын
미국만 빼면 다 정상인데 미국이 비정상인 거임.
@user-po3ed4ky1i
@user-po3ed4ky1i 4 ай бұрын
무식한 놈의 생각이지만 일단은 시스템이 받쳐줘야 선진국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해요. 그리고 시스템이 받쳐주는 상황에서 국민들의 의식이 건전하고 상식적으로 성장해야 선진국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해요.
@hwang8807
@hwang8807 4 ай бұрын
무식쟁이 한 놈 더 첨언하자면 난 우리나라가 정말 큰 위기라고 생각하는게 짧은기간 동안 경제적으로 고속 성장하는 동안 사회적으로 놓치거나 방치한 부분이 너무 많은 것같음 그 갭이 너무 크다보니 균형이 너무 안맞아서 여기저기서 터지고 있는 느낌.
@user-po3ed4ky1i
@user-po3ed4ky1i 4 ай бұрын
@@hwang8807 정신적으로 많이 타락했어요. 권력과 돈만 있으면 장땡이라는 마인드가 너무 당연하게 퍼졌지요. 그런데 권력과 돈만 추구하는 괴물들이 설치는 나라는 지옥이나 다름 없다는 걸 모르는 사람이 너무 많아요.
@user-lz1pz1rn1u
@user-lz1pz1rn1u 4 ай бұрын
​@@hwang8807진짜 너무 공감합니다. 경제는 급속도로 성장했지만 그에 따른 사회적 제도나 시스템이 그 속도를 쫓아오지 못한 느낌이 강하게 들고 있습니다. 과거까지는 그래도 그 낡은 시스템이 어떻게든 버텨왔지만 이제는 정말 한계에 부딪힌 것 같네요... 사회 모든 부분에서 문제가 쏟아지고 있습니다. 정말 우리의 미래가 너무나 암울하고 걱정됩니다...
@Wa_Youtube_j
@Wa_Youtube_j 4 ай бұрын
인구도 1억정도 되어야합니다.
@user-lz1pz1rn1u
@user-lz1pz1rn1u 4 ай бұрын
@@Wa_KZfaq_j 지금 출산율 보고도 그딴 소리가 나오냐?
@jahaca
@jahaca 4 ай бұрын
제철보국..아는 형님들 보니까...정말...아재 형님들 많으시네..ㅜㅜ
@nochina5597
@nochina5597 4 ай бұрын
0.6 기념 또산율 함 조집시다
@user-xf4mn3wj1x
@user-xf4mn3wj1x 3 ай бұрын
이런 어려운 경제 정보들 알기 쉽고, 재미있게 설명하기 쉽지 않은데, 설명도 잘 해주시고 잼있어서 좋아요~
@tsunghsieh5042
@tsunghsieh5042 4 ай бұрын
Thanks!
@Himizu2023
@Himizu2023 4 ай бұрын
와... 태국이 1인당GDP 대비 출산율이 낮은 건 알았지만 이젠 개망했네, 출산율이 1.16...? 개망했네... 한국 사람들은 잘 모르지만 태국이 사실 진짜 남의 시선, 사회적 평판, 인스타에 미친 나라고, 부유층이랑 서민층의 삶이 괴리된 나라임.
@user-nn1pj2kz5n
@user-nn1pj2kz5n 4 ай бұрын
마지막 남은게 결국 완전한 입헌군주제로의 전환 승부였는데 실패하는 모양새라 여기서 결국 혁명 아니면 순응으로 대혼란 예정임.
@OULLIM_SP
@OULLIM_SP 4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도 비슷하지 않나요....? 얼마나 더 심하길래 그런가요
@Himizu2023
@Himizu2023 4 ай бұрын
@@OULLIM_SP 우리나라랑 차원이 아예 달라요. 서민동네에선 3~4000원이면 밥한끼 먹지만 번화가, 관광지, 백화점에선 밥 먹는데 만원 넘게 줘야되는데, 하루8시간 최저임금 만3천원 정도밖에 안됩니다. 우리나라로 치면 홍대 같은 곳에서 밥 한끼 먹는데 7~10만원 정도 써야된다고 보면 됩니다. 그런데, 문화적으로 태국사람들은 살짝 친해지기만 해도 너희 부모님 무슨 일 하시니라고 묻는게 당연하고요. 인스타그램에 남기기 위해셔 좋은 곳 가서 사진 찍는 거에 우리나라 이상으로 집착합니다. 유튭에 방스 쳐서 채널 영상 보면 알 수 있어요. 거짓말인지 아닌지. 1인당GDP가 7200달러 밖에 안 되는데 출산율이 1.16이면 사실상... 나라 망했다고 봐야....
@Himizu2023
@Himizu2023 4 ай бұрын
@@OULLIM_SP 우리나라랑 차원이 다릅니다. 일 최저시급이 만삼천원인데 번화가, 관광지 중심가에서 밥 한끼 먹는데 만원 이상 줘야하는 곳이 허다합니다. 그러다 보니, 저축은 먼 나라 이야기고요. 서민들은 대학교는 꿈도 못꾸죠. 문화적으로도 태국에선 조금만 친해져도 느그 아버지 무슨 일 하시니라고 묻는게 당연합니다. 태국 여자들은 한국 여자들보다 훠얼 더 인스타용 사진 찍는데 미쳐있고요. 유튭에 방스 쳐서 채널영상 봐보세요. 다 팩트입니다ㄷ 서민에 대한 복지도 없고, 부자에 대한 세율도 낮아서 재산이 10억달러 이상인 사람이 한국보다 많은게 태국입니다. 그러다보니 1인당 GDP가 7200달러인데, 출산율이 1.0~1.2 왔다갔다하고... 나라에 희망이 없는거죠
@vforwhat3730
@vforwhat3730 4 ай бұрын
@@OULLIM_SP대한제국 고종이 어찌저찌 줄타기 잘했으면 딱 태국 꼴 났었을수도 있음. 왕권모독으로 징역 수십년을 선고하고, 군은 심심하면 쿠데타를 일삼고, 군과 정치권을 조율하는 과정에서 왕권을 넘볼수가 없게 되는 그런 끔찍한 구조.
@bonchanku1197
@bonchanku1197 4 ай бұрын
그러고 보면 2000년 대도 지금 보면 가장 잘 나갔을 때도 경기.최악이다 ,살기 힘들다 그랬던 기억입니다
@경제연구소gd
@경제연구소gd 4 ай бұрын
그 땐 절대임금이 낮았거든
@bonchanku1197
@bonchanku1197 4 ай бұрын
@@경제연구소gd 그 이야기가 아니고, 항상 사람은 현재가 힘들다고 생각 하거든, 과거는 추억으로 좋았다고 생각되고
@jkc9807
@jkc9807 4 ай бұрын
imf터지고 경제고용구조 바뀌고난 직후라그런지 그렇게 느꼈겠지만 그땐몰랐겠죠.. 2010년대 2020년대 갈수록 훨씬 더 안좋아질줄은..
@user-xw4eq8hi1x
@user-xw4eq8hi1x 4 ай бұрын
인터넷에 어떤 글을 봤는데 일본이 잃어버린 30년 동안 우리나라는 얻어걸린 30년이 있었다고... 물론 우리나라 분들 잘하신것도 있는데 운도 좀 따라주지 않았을까..
@user-jf1lu2kb1m
@user-jf1lu2kb1m 4 ай бұрын
적절한 타이밍에 완벽한 지도자가 등장했던 것이니 완벽한 표현이지 ㅇㅇㅋㅋㅋㅋㅋㅋㅋ
@starlightt20
@starlightt20 4 ай бұрын
운은 준비된자에게 오는거죠. 한국의 기업인들이 착실하게 성장하고 있던거도 크죠
@thunder5311
@thunder5311 4 ай бұрын
사실 서구 및 미국이 일본보다 우리나라 밀어준 감이 있음 시대도 잘 타고났고 기회도 잡았고 막차 타면서 국가적으로도 열심히 했기에 이뤄냈지
@user-cd9xw6ds8m
@user-cd9xw6ds8m 4 ай бұрын
일본도 패전국이라 망할거같았는데 한국전쟁 터지면서 얻어걸려 성장하긴 함
@kcjung7363
@kcjung7363 4 ай бұрын
고속성장중인 중국에 빨대꼽고 같이 성장했던거지ㅋㅋㅋ이제 인도로 빨대 꼽아야되는데 쉽지 않네ㅋㅋ
@Akiizumi_Momiji
@Akiizumi_Momiji 4 ай бұрын
미국은 선진국임에도 불구하고, 경제성장률이 굉장히 높네요. 1인당 GDP가 80,000$를 넘다니..
@JH-wd6td
@JH-wd6td 4 ай бұрын
세계 각국의 인재들을 흡수중인 미국
@yisurin78
@yisurin78 4 ай бұрын
내용과 관련없지만 썸네일 개잘만들었넼ㅋㅋㅋㅋㅋㅋ
@Aidenworld77
@Aidenworld77 4 ай бұрын
슈카형 이번주 주제 하나 뚝딱 나왔네 ㅋㅋㅋㅋ 또산율 킹산율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hongchin7838
@hongchin7838 4 ай бұрын
0.6 돌파함?
@sonnypark8228
@sonnypark8228 4 ай бұрын
@@hongchin78380.64
@abcdeereijgfhd3215
@abcdeereijgfhd3215 4 ай бұрын
경제 수치만 좋게 나오면 뭐합니까? 미국 시민들이 느끼는 인플레는 횔씬 높습니다. 그리고 일자리가 늘어나는 건 아무나 할수 있는 자리들인데다 파트타임도 꽤 있고 어느정도 고소득 자리는 많이 줄고 있어요. 미국 테크기업 해고률 장난이 아니죠
@user-dk7gt5jw5t
@user-dk7gt5jw5t 4 ай бұрын
미국은 빈부격차 큰 나라니까 그런듯
@Jamkanmanhaletneunde
@Jamkanmanhaletneunde 4 ай бұрын
인플레가 높다면 금리를 올려야하는데 괜찮을까요??
@user-jm8km6zl4d
@user-jm8km6zl4d 4 ай бұрын
미국은 고소득 직종들은 해고가 자유로움.. 일반 평범한 대다수 90% 노동자들에게는 해당 안되는 고액연봉자들에게만 해당 되는 거임..
@ilidlleisill
@ilidlleisill 4 ай бұрын
미국 인플레 높다한들 의류 식자재 물가는 한국이 훨씬 커요. 거긴 의료비만 아니면 살기좋긴합니다.
@ilidlleisill
@ilidlleisill 4 ай бұрын
그리고 테크기업 직원들 연봉 1억은 우습고 짤려도 다른 기업으로 잘만갑니다. 우리나라랑 달라요. 거기도 노조있는 자동차회사 제조업은 한국처럼 정년도있고 연금도 있습니다.
@xixipapa
@xixipapa 4 ай бұрын
오늘도 잘 보고 갑니다~^^
@jacksonlee1181
@jacksonlee1181 4 ай бұрын
모자는 어디 비잔티움에서 가져오셨나요 ㅋㅋㅋ
@user-jr8ow5ze7f
@user-jr8ow5ze7f 4 ай бұрын
이렇게 보니 사드로 중국한테 일찍 맞은 게 중국 수요 둔화의 연착륙 효과를 본 셈이 되나 ㅋㅋ
@mo_ha_zi
@mo_ha_zi 4 ай бұрын
아메리카 센세 고맙습니다..?
@user-cm7ny4wb5h
@user-cm7ny4wb5h 4 ай бұрын
ㅋㅋㅋ 이게 호재로??!작용한다고?!?
@user-vi5lz6et7u
@user-vi5lz6et7u 4 ай бұрын
어라? ㅋㅋㅋㅋ
@user-il6yd7uj1s
@user-il6yd7uj1s 4 ай бұрын
이래서 맞아본 애들이 맷집이 좋구나ㅜ
@etya12
@etya12 4 ай бұрын
미래를 내다본거였어? ㅋㅋ
@MinJot
@MinJot 4 ай бұрын
한국이 진짜 마지노선으로 겨우 선진국 입문한거 같긴하네 말레이시아도 진짜 인프라 좋은 나라인데
@testerom
@testerom 4 ай бұрын
만불이상 갈때까지 성장율이 동남아 압도했으니까 여기까지 온 겁니다.
@user-yv7tz6sr8z
@user-yv7tz6sr8z 3 ай бұрын
@@testerom 곧 인도네시아한테 따일 거 같은 개조선 ㅋㅋ ㄹㅇ
@bullsnam2239
@bullsnam2239 4 ай бұрын
상하이 살고 있습니다. 5%성장 말도 안됩니다. 체감으로는 1%
@user-dz9xt7mu9n
@user-dz9xt7mu9n 4 ай бұрын
0 하나 빼서 0.5가 맞는 듯
@user-pp4sy4jb3w
@user-pp4sy4jb3w 4 ай бұрын
일프로씩이나요?
@hoyaanga
@hoyaanga 4 ай бұрын
또 한번의 혁신이 일어날 수 있을까 그랬으면 좋을텐데
@user-cp5ew1md4c
@user-cp5ew1md4c 4 ай бұрын
우리만 중국덕 본게 아니죠 중국도 초기 발전 단계인 임가공 단계에서 한국 덕에 날개를 펼졌죠. 서로 서로 덕본 경우
@user-sg6uu7lo2i
@user-sg6uu7lo2i 4 ай бұрын
다른 나라들 사례 보면 지금까지는 우리나라가 운이 좋았다는 생각이 드네요. 앞으로가 문제지만...
@maximum11245
@maximum11245 4 ай бұрын
한국이 뭔 운이좋아 ㅋㅋㅋ 가장빨리 나락갈예정인데
@user-zu9ss2hv9r
@user-zu9ss2hv9r 4 ай бұрын
@@maximum11245맛은 봤자나 한잔해~
@user-cq7nz7lv3y
@user-cq7nz7lv3y 4 ай бұрын
@@maximum11245열심히 하시잖아 한잔해~
@user-nn1pj2kz5n
@user-nn1pj2kz5n 4 ай бұрын
@@maximum11245 나락조차도 사치인 나라들이 수두룩 한거 보니 그 동안 기가막히게 달려온것은 맞음. 물론 지금에서 대변혁 없으면 피크 코리아도 맞고😅
@user-mf6du5cc3e
@user-mf6du5cc3e 4 ай бұрын
​@@maximum11245 저출산은 미국처럼 다민족 국가로 가면 어느정도 해결될 문제 아닌가요? 스웨덴처럼 이민자 통합을 못하는게 아닌이상 한국의 미래는 나쁘지만은 않다고 생각됩니다
@user-yy6lv6vy7z
@user-yy6lv6vy7z 4 ай бұрын
또산률 나왔으니까 빨리 영상 만들어줘~~
@user-wg2uz8cq7s
@user-wg2uz8cq7s 4 ай бұрын
먼나라 이웃나라 + 영화 국가부도의 날 + 최근에 다른 곳에서 들었던 우리나라 성장기는 천운이 따라줬다 등의 내용이 다 생각나는 영상이네요
@user-gf5kz6ns6u
@user-gf5kz6ns6u 4 ай бұрын
그러고보믄 90년대 2천년대 초반은 진짜 꿈같은 대한민국이였어 다들 엄청나게 바빴지만 다들 희망이 있었고 다들 능동적이고 나름의 행복이 있었던듯 추가로 02년 월드컵 4강 ㅋㅋ 죽기전엔 다시 없을 4강이것지 ㅋㅋ
@DRGR0000
@DRGR0000 4 ай бұрын
축구 님이 하는것도 아닌데 왜 그걸 단정함
@user-js3lp5ph4s
@user-js3lp5ph4s 4 ай бұрын
90년대2천년대 힘들었는데
@user-vq8zt3np2q
@user-vq8zt3np2q 4 ай бұрын
@@DRGR0000 그렇다고 하기엔 이번 국대 꼴보면;;; 씁...
@user-qu1jf9uy3m
@user-qu1jf9uy3m 4 ай бұрын
한국 최고의 국운형성기는 80년대임
@xaxaviola
@xaxaviola 4 ай бұрын
과거 미화 하지마라 그때도 매일 잃는 소리 했다
@tjdals5520
@tjdals5520 4 ай бұрын
썸네일 너무 귀엽다.. 저도 프렌치불독 키우는데 넘 귀여움....
@ohjida
@ohjida 4 ай бұрын
다음은 왕눈이 모자인가욧?
@daeeun2
@daeeun2 4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평창 동계올림픽도 그렇고 이번주제도 그렇고 참 막차 기가막히게 잘타네ㅋㅋㅋㅋㅋ
@SIUsiuusiu
@SIUsiuusiu 4 ай бұрын
우주산업도...반도체도... 다 막차 탐 ㄷㄷ
@Seongjae139
@Seongjae139 4 ай бұрын
막차타는 스릴을 즐기는 민족 ㄷㄷ
@user-du6xd5im5h
@user-du6xd5im5h 4 ай бұрын
언제나 좋은 정보와 내용에 감사드려요. 앞으로도 멋진 주제 기대하며 응원할게요!
@user-yn4rq4pu5b
@user-yn4rq4pu5b 4 ай бұрын
슈카형 머리 안감아서 모자쓰는거야?
@hayeonkim7838
@hayeonkim7838 4 ай бұрын
어캐 동북아는 옛날부터도 그렇게 치고받고 싸우더니 망할 때도 하나만 망해가는 게 아니라 골고루 망해가네
@Thoughtcrime.
@Thoughtcrime. 4 ай бұрын
사이좋네~
@englishmutton
@englishmutton 4 ай бұрын
한잔해🥃🍸 아름다운 전성기 있었잖아~
@Rich._.
@Rich._. 4 ай бұрын
오늘도 평화로운 동북아 친구들
@PETRO_KING
@PETRO_KING 4 ай бұрын
서로 싫어하지만 까고보면 제일 닮은 녀석들
@user-dz9xt7mu9n
@user-dz9xt7mu9n 4 ай бұрын
​@@SungHByun 거기 서민들도 뒤질 것 같은 건 어쩔 수 없음. 장기 엔저가 확정이라. 젊은 세대는 더 심각하고
@user-bu1du2jg5i
@user-bu1du2jg5i 4 ай бұрын
아니 간만에 왔는데 이 형님 왜 모자가 그리스 장군이 되어 있으시지…
@youcantata
@youcantata 4 ай бұрын
한국도 1만달러 넘은게 1994년인데 1998년 아시아금융위기/IMF사태로 큰 위기를 겪었음. 공장이고 수출이고 폭망하고 거리에 실업자가 넘쳐 내수도 다 나락가던 시대. 과거 노동집약/저부가가치 산업은 다 망했음. 그때 한국에도 중진국 함정얘기 귀가 따갑도록 들었고 나도 그렇게 생각했음. 하지만 한국은 그때 세계적으로 불던 인터넷 IT 산업 붐 덕에 전자와 정보통신산업에서 활발한 창업으로 급속한 성장을 하며 IMF 위기를 조기졸업함. 그때 네이버니 다음이니 NC니 넥슨 이니 하는 현재의 IT 간판기업들이 활발하게 창업 또는 큰 성장을 하게됨. 그게 지금 국내 굴지의 IT기업들의 창업자들이 대부분 IMF 때 30대들인 이유임. 이들의 성장으로 한국은 2006년 2만달러를 넘기며 중진국 함정을 피할 수 있었고 2008년 세계 금융위기도 무사히 극복하고 선진국 진입에 성공하고 2017년에는 3만 달러도 돌파하며 완전한 선진국이 됨. 사실 우리나라가 선진국이라는 느낌은 2010년대에 들어와서야 실감할 수 있었음. 우리나라가 중진국 함정을 극복하고 선진국으로 진입하는데는 한국의 정보통신산업이 결정적 역할을 하였음. 지금 한국 경제도 위기라는데 지금 30대들이 반도체나 인공지능 등 새로운 산업에 활발하게 창업하고 뛰어들고 발전시켜야 다음 단계로 나아갈 수 있을 것임. 현 30대들의 대 분발을 촉구함. 앞으로 20년간 한국의 성장을 책임지고 한국 대표 산업의 새로운 네카라쿠배의 창업주가 될 사람들은 바로 당신들임.
@vforwhat3730
@vforwhat3730 4 ай бұрын
근데 지금 한국은 인터넷 검열, 망사용료, 성인물 규제, 타다 금지, 인터넷 준실명제, 선택적 셧다운제 등 IT, 정보통신에 대한 광범위하고 심각한 규제검열을 때리고 있음. 어지간한 독재국가나 파탄국가보다도 더 강력한 검열로 한국 인터넷 정보통신은 갈라파고스 상황임.
@nagien8158
@nagien8158 4 ай бұрын
반도체니 ai니 그런거 창업할려면 자본이나 기술이 있어야 될거 아니유;; 90년대 00년대야 국가에서 통신망 깔아주고 벤처기업 만들라고 지원해줬지만 지금은 머 쥐뿔도 없는데 아무것도 없는 청년한테 반도체니 ai 니 만들라는건 좀
@user-jm8km6zl4d
@user-jm8km6zl4d 4 ай бұрын
엘빈토플러... 살아 생전 전세계 영향력1위 학자... 그의 말한마디에 전세계 증시가 출렁였지.. 미래학 창시자.. 미국 싱크탱크 설립자... 성경과 코란을 제외하고 가장 많이 팔린책 제3의 물결의 저자... 중국과 러시아의 개혁 개방을 이끈 사람.. 개혁개방 할수밖에 없게 이론적으로 증명해버림..
@youcantata
@youcantata 4 ай бұрын
@8158 뭐 IMF 때 실업자 된 30대는 무슨 대단한 자본이나 기술이 있었나요? 그때 젊은 이재용이는 자본이나 기술이 없어서 사업 말아먹었나? 과장 퇴직금에 전세돈 빼서 회사동료들 끼리 모여 최소 자본금 겨우 납입하고 창업했지. 실패하면 마누라와 아기와 함께 거리에서 자야함. 기술? 다 수입한 영어 기술 책이나 잡지 읽고 배운거지. 지금은 오픈소스라도 있지. 그때는 RFC문서와 그림 한 장만 보고 직접 한땀한땀 구현했어야 했음. 요즘은 웬만한 전자 캐드나 설계 도구 코딩 도구 는 다 공짜임. KiCAD나 Altera tool이나 비쥬얼 스투디오 정도면 충분히 제품 개발함. 요즘 웬만한 인공지능 도구들도 다 오픈 소스임. 지금은 집에 있는 PC 에 게임용 그래픽 카드만 꽂고 오픈소스 받아깔면 금방 인공지능 그림도 그리는 시대임. IMF 때보다 창업 허들이 엄청나게 낮아졌음. 더 큰 자본이나 기술이 필요하면 말빨과 비젼과 열정과 패기로 투자자나 기술자들을 설득해야지. 그게 30대의 좋은 점 아닌가?
@user-el9zp1sy8t
@user-el9zp1sy8t 4 ай бұрын
그때와 지금은 기술적 벽이 차원이 다르죠. 미래를 이끌 고부가가치 산업은 아무에게나 열려있지 않아요
@user-yx8ej9yq6v
@user-yx8ej9yq6v 4 ай бұрын
하도 안 올라오길래 편집자 파업인줄 알고 놀랐네
@user-mk9eu3md7b
@user-mk9eu3md7b 3 ай бұрын
형 좋아용
@user-lekwebqw
@user-lekwebqw 4 ай бұрын
미국 경제성장률이 돈뿌리지 않고 인플레 없이 저 정도면 당연히 재선인데 빚내고 돈뿌려서 인플레 만들면서 저런성장률은 누구나 만들 수 있기에 재선에 도움이 안되는거 아닐까요?
@user-jt6rv2kp7u
@user-jt6rv2kp7u 4 ай бұрын
교육이 망친거 같음. 선진 교육을 해야하는데, 아직 중진국 교육수준에 머물러서 결국 사교육에, 아이키우는 부담으로 이어지니 이런것 같음.
@user-rw3bk6wp4m
@user-rw3bk6wp4m 4 ай бұрын
그 '선진교육'에 대한 그릇된 허상이 작금의 교육 실태를 만든 겁니다. 지난 20년 동안 학생들의 후생을 증진한답시고 교육과정을 축소시키니, 그에 대한 반대급부로 시험의 난이도는 올랐습니다.
@TheKevJung
@TheKevJung 4 ай бұрын
오늘은 좀 늦었네 형 기다렸다고
@user-zc3bx7zl1w
@user-zc3bx7zl1w 4 ай бұрын
인류역사 어느시대보다 앞으로는 인재가 중요해지는. 그러므로 인간 본질에 대한 심도있는 고찰,성찰을 반드시 해야한다. 인간이 하던 거의 모든 일들을 기계가 하기때문에 차별성을 못 느낀다. 차별성이 없다면 희소성이나 부가가치가 생기지 않는다. 단순히 인간 자체이기 때문에 가치가 생기는 시대가 온다. 이것을 잘 생각해봐야. 과거처럼 누군가가 무엇을 하고 만들고 꼭 그래서가 아니라 그냥 그 사람이기때문에 가치가 생긴다. 성장을 밥먹듯이 얘기하지만, 지금까지의 성장은 성장이 아니게 된다. 오히려 퇴보가 될 가능성이 높다.
@user-vz2st7ch4r
@user-vz2st7ch4r 4 ай бұрын
역대급 재미와 알찬내용 감사합니다 ㅋ
@ilhokwon1397
@ilhokwon1397 4 ай бұрын
인도 7%가 전혀 높은 게 아님. 3,000달러 일 때, 중국은 최소 10% 였음. 거기다가 러시아 석유 30% 싸게 파는 게 큰 데 그거 빼면 실질경제성장률이 5%는 될까 ?
@user-hu6pf2cj7s
@user-hu6pf2cj7s 4 ай бұрын
이벤트 발표는언제하는거임?
@user-dw2gd8cx9o
@user-dw2gd8cx9o 4 ай бұрын
슈카쌤에서 경제성장률이랑 GDP도 알려주세요!!
@cba7215
@cba7215 4 ай бұрын
공부도 "해줘"
@Bobo-ts6ew
@Bobo-ts6ew 4 ай бұрын
네이버 쳐봐라 좀ㅋㅋㅋ
@Dohan06
@Dohan06 4 ай бұрын
사실 우린 90년대부터 사회책에서 배웠습니다...
@waveg475
@waveg475 4 ай бұрын
진지하게 경제성장률이랑 GDP 모르면 현대사회 어떻게 사냐? 어린 친구면 인정
@pungdangdang
@pungdangdang 4 ай бұрын
한국 불황성 일회성이다? 반도체로 불황으로 인한 일회성이다? 둘 다 틀렸습니다. 한은 총재도 한국은 이미 장기 저성장국면에 들어섰다 했고, 많은 경제기관에서도 올해도 1점대 성장률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반도체로 인한 불황이라고 볼 수도 없습니다. 한국의 주력 경쟁 제품들 모두 작년 수출 실적이 크게 하락했습니다
@hwanaya87
@hwanaya87 4 ай бұрын
공식 5%면 사실상 마이너스 성장임
@user-es5vh9vy1f
@user-es5vh9vy1f 4 ай бұрын
중국 5% 성장은 마치 원래 5천원짜리인 모자를 5만원이라 적고 특가에 팔아서 5천원이라고 구라치는 그런것ㅇㅇ
@user-pp4sy4jb3w
@user-pp4sy4jb3w 4 ай бұрын
​@@user-es5vh9vy1f비유 쩌는데
@japanese_4
@japanese_4 4 ай бұрын
ㅈㄹ 언제까지 망상할래
@outlineend
@outlineend 4 ай бұрын
맞음 중국 특유의 구라
@user-ev3cb5qp6h
@user-ev3cb5qp6h 4 ай бұрын
진실이 없는 국가 😂
@user-ed3uh2go9q
@user-ed3uh2go9q 4 ай бұрын
7:15 태국 출산률이 0.9라던데 ㅋㅋㅋㅋ 근데 7300달러? ㄷㄷ
@fdd3754
@fdd3754 4 ай бұрын
근대화 시기가 있었지만 그 기회를 놓친 나라죠
@user-dz9xt7mu9n
@user-dz9xt7mu9n 4 ай бұрын
우리로서는 좋음
@hwang8807
@hwang8807 4 ай бұрын
@@user-dz9xt7mu9n몰라서 물어보는데 이게 우리나라한테 왜 좋은거임?
@user-dz9xt7mu9n
@user-dz9xt7mu9n 4 ай бұрын
@@hwang8807 한 놈 나가리이
@vforwhat3730
@vforwhat3730 4 ай бұрын
@@hwang8807 사다리 걷어차기. 지금 상황에서 추가로 선진국이 여럿 생기면 제조업에만 몰빵한 한국 특성상 대체당할 가능성이 매우 큼.
@oh_alwaysgreen
@oh_alwaysgreen 4 ай бұрын
모자에 맞춰서 배경이 콜로세움이면 좋았을걸
@sazadagoon
@sazadagoon 4 ай бұрын
대단한 나라에 사는 것에 감사함을 느낍니다. 부모님세대분들께서 정말 고생 많이 하셨는 것 같습니다.
@human4172
@human4172 4 ай бұрын
우리나라가 과연 4만을 넘을수있을까요
@lucasleenewyorkmanhattan8775
@lucasleenewyorkmanhattan8775 4 ай бұрын
지금 mz들이 0.6 저출산으로 보답중
@user-ji1jg8bc5g
@user-ji1jg8bc5g 4 ай бұрын
나도 mz인데 뭐가 문제일까 마인드 문제인거같긴한데​@@lucasleenewyorkmanhattan8775
@GodofGOAT_FAKER
@GodofGOAT_FAKER 3 ай бұрын
부모님세대들보단 조부모님세대들이 정말 고생 많이 하셨죠. 본인이 304050이라면 부모님세대 인정. 할아버님 할머님 세대 정말 위대하고 대단하시죠
@user-yv7tz6sr8z
@user-yv7tz6sr8z 3 ай бұрын
주식,무출산,탈조선 갤러리 ㄱㄱㄱㄱㄱㄱㄱㄱㄱㄱㄱㄱㄱㄱㄱ
@karmakim3457
@karmakim3457 4 ай бұрын
최근 정말 심하게 와닿는 새로운 시대를 느끼는 중인데 바로 a.i시대가 폭발적으로 전개되고 있다는겁니다..이렇듯 세상은 너무 빨리 변화하고 있다..이제까지는 따라갔지만 이제는 선도의 입장에서 새로운 페러다임에 먼저 올라타고 선도해나가야지 안그러면 몰락으로 갈수밖에 없음..문화적 부흥이 얼마나 중요한지 역사가 증명하고 있다 지금 한국은 문화적 부흥기인데 더 나아가 기술혁명의 부흥기가 이제 찾아왔고 이제 앞으로 먼저 뛰어나가야 할때가 왔음..초고도 선진국으로 가느냐 정체기에 빠지냐의 중요기로에 선 중요한 시점임
@gjlms8443
@gjlms8443 3 ай бұрын
진지하게 궁금한 게 있는데요. 모자를 매번 구매하시는지 아니면 어디서 대여하시는지요?
@davidethan4354
@davidethan4354 4 ай бұрын
글래디에이터 인건가요 아니면 와우에서 가져 온건가요 모자 멋지네요
@jungyoonseo957
@jungyoonseo957 4 ай бұрын
중산층의 중요성 ㄷㄷ
@user-qf7tc3fy2o
@user-qf7tc3fy2o 4 ай бұрын
한국의 세계 탑 수준의 노동시간이 도움이 많이됐다고 봄. gdp대비 노동시간 ㅎㄷㄷ 사람의 체력을 갈아넣어서 연료가 꽤 많이 됐음.
@user-nn1pj2kz5n
@user-nn1pj2kz5n 4 ай бұрын
진짜 지금 2030대들 할아버지, 아버지 세대들 진짜 무식?하게 일함. 지금보면 미친짓이지만 이걸 했기 때문에 여기까지 오긴 했음. 김우중의 세계는 넓고 할일은 많다에도 워커홀릭 김우중 보고서 실무자가 무리하는거 아니냐고 하자 우리 세대가 이렇게 일해야 뒷세대들은 선진국의 삶을 살아갈꺼라거 했는데 맞긴함. 부가가치가 달라졌으니
@user-io1cg1fu8r
@user-io1cg1fu8r 4 ай бұрын
​@@user-nn1pj2kz5n안좋은 문화를 다수 남기고 미래를 팔았지만 선진국이 되긴 했죠
@user-rf4ls6xj7x
@user-rf4ls6xj7x 4 ай бұрын
​@@user-nn1pj2kz5n지금 2030은 enfp가 주도세대고 그전세대는 istj주도형임 정반대로 바꼈기때문에 한국은 곧몰락할꺼에요.오히려 istj가 지금일본젊은세대에서 주도중이라 일본은 경제고성장할거구요. 애초에 명품,허세,감성소비하는 한국상황과 일정량 귀여움의소비외엔 지갑닫는 일본상황은 부의축적미래가 보이죠
@user-vh5dx5nh8h
@user-vh5dx5nh8h 4 ай бұрын
​@@user-rf4ls6xj7x 그놈의 mbti는 ㅆㅂ
@user-rp5cj2yw2j
@user-rp5cj2yw2j 4 ай бұрын
​@@user-rf4ls6xj7xmbti 경제학은 뭔...
@kgwkk2
@kgwkk2 4 ай бұрын
모자가 갈수록 유니크해진다 이 형님. 다음엔 침데리에 나오는 너굴맨 모자 쓰고 나오시길 기원해봅니다.
@zwheelmovement6210
@zwheelmovement6210 4 ай бұрын
모자 원가절감? 작은투자 큰효과?? 역시 자네야!!
@user-no5cl1op3b
@user-no5cl1op3b 4 ай бұрын
미국은 치트키 쇼미더머니 치면서 잘나가는게 참...
@zkkwl1562
@zkkwl1562 4 ай бұрын
괜히 국방비에 천조쓰는게 아님 ㅋㅋㅋㅋㅋ 기축통화 메리트 못참지
@dal22
@dal22 4 ай бұрын
항상 고맙습니다 ❤❤
@socialphilo3557
@socialphilo3557 4 ай бұрын
썸네일 무엇ㅋㅋ
@user-bk4mb2ve4m
@user-bk4mb2ve4m 4 ай бұрын
슈카형 얼굴이.. 어디가 아파보여... 병원도 다니면서 해요..
@user-kd9lm6kh5c
@user-kd9lm6kh5c 4 ай бұрын
신라금관을 드라마에 나오는거와는 반대로 뒤집어 쓰는거라는데 그렇게 쓰면 어떻게 되는지 마스크 비슷한지
@uxbb2h85
@uxbb2h85 4 ай бұрын
아니에요.. 거꾸로 안쓰고 제대로 쓰긴 쓰는데 금관이 얼굴을 가린 상태로 시신이 출토되어서 머리에 쓰는건지 얼굴을 가리는지 용도를 모르는거에요.
@user-kd9lm6kh5c
@user-kd9lm6kh5c 4 ай бұрын
@@uxbb2h85 그렇죠 그걸 머리 뒷편으로 내려서 써도 될것 같은게 얇실하고 왕비에 관인것 같다고 하더라구요
@user-ittakestenyears
@user-ittakestenyears 3 ай бұрын
중국 출산율 보니까 성장 동력이 사라지고 중진국 함정에 빠지는 거같아서 다행이네요. 중국평균 gdp가 대충 1만이라던데, 1만 5천까지 상승했으면,, 나라힘 믿고 대만 진짜 공격했을거에요 시간 갈수록 중국의 힘이 빠지는거 같아서 정말 다행입니다
@kimdr.5231
@kimdr.5231 Ай бұрын
중국 작년 기준으로 12700이라, 내년쯤 15000찍을지도?
@user-op9re7xk2x
@user-op9re7xk2x 4 ай бұрын
형님 지금 재밌는 소식들이 올라오고있어요. 아 벌써 준비중이지? 기다리겠슴다
@user-hf4pg8du1n
@user-hf4pg8du1n 4 ай бұрын
나중에 형 모자 컬렉션도 한 번 보여주면 좋을듯
@Kokuma4885
@Kokuma4885 4 ай бұрын
슈카형 근데 왜이리 업로드가 늦어요.ㅜ 원래 퇴근 시간~저녁식사 시간에 올리지 않나요? 취침 시간 다 됐네요ㅜ
@Unknown-pt4iu
@Unknown-pt4iu 4 ай бұрын
오늘 유튜브 업로드 이슈 있어서 그런듯요
@ClTYHUTNER
@ClTYHUTNER 4 ай бұрын
베트남도 진짜 심각하다고...
@LUNA_Moon_MARS
@LUNA_Moon_MARS 4 ай бұрын
베트남은 아직 기회라도 있지 😅 태국 은 진짜 답이없음
@zjay9523
@zjay9523 4 ай бұрын
@@LUNA_Moon_MARS중진국인데 출산율이랑 경제성장률은 선진국급임 ㅋㅋㅋ
@eesoggun
@eesoggun 4 ай бұрын
베트남은 왜 그럼?
@shalsgur2001
@shalsgur2001 4 ай бұрын
한류…
@yummy77777
@yummy77777 4 ай бұрын
@@shalsgur2001 한류열풍ㅋㅋㅋㅋㅋㅋㅋ❤
@user-iu9nf9wb6g
@user-iu9nf9wb6g 4 ай бұрын
@gamvie9004
@gamvie9004 4 ай бұрын
형님 쿨타임 돌았습니다.
@sue0557
@sue0557 4 ай бұрын
댓글보니 현재에도 스스로를 위로ㅎ며 긍정적으로 웃는 착한 대한민국 국민들이 대부분이군. 이렇게 해서 우리나라는 더욱 나락으로 가겠구만. 반성도 없고 계획도 없는 클린스만 인간형들...
@user-vk8ci9hh7d
@user-vk8ci9hh7d 4 ай бұрын
국가도 분식회계(=회계사기) 할 수 있다는걸 보여주는 대륙의 클라스
@128weilun
@128weilun 3 ай бұрын
美國GDP才是最大的詐欺
@sexmaster
@sexmaster 4 ай бұрын
오르막길이 있으면, 내리막길이 있는법. 각자도생이 답입니다.
@user-lz1pz1rn1u
@user-lz1pz1rn1u 4 ай бұрын
내리막도 경사가 어느정도여야지... 이건 뭐 급강하 수준으로 나라가 쳐 망해가고 있으니... ㄹㅇ 각자도생의 시대
@user-pe7vp1up6z
@user-pe7vp1up6z 4 ай бұрын
썸네일 넘어갈수가 없다 저런건 어디서 찾은겨
@user-s12jk1ke
@user-s12jk1ke 4 ай бұрын
지금 우리나라 너무 늙었음 이미.. 중위나이가 45세? 그거보고 진짜 놀랐는데. 오늘 출산율 기사보니까 또 저점갱신했고. 나라.. 망한 것 같은디..
@user-yv7tz6sr8z
@user-yv7tz6sr8z 3 ай бұрын
이미 망했음 ㅋㅋ ㄹㅇ
@JamesHong2357
@JamesHong2357 4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기업인들과 모든 국민분들께 감사함.
@Kimohina
@Kimohina 4 ай бұрын
천만의 말씀
@user-mz4pw1ug4x
@user-mz4pw1ug4x 4 ай бұрын
기업인이 우리나라에 끼친 영향을 생각하면 정말 그랜절이라도 박아야 할 듯
@user-io1cg1fu8r
@user-io1cg1fu8r 4 ай бұрын
분할상장의 달인 카카오는 빼고
@GodofGOAT_FAKER
@GodofGOAT_FAKER 3 ай бұрын
@@user-mz4pw1ug4x 정말 이런나라에서 기업인느님들 고생만 하시고 참 ,,,
@MachoTube
@MachoTube 4 ай бұрын
ㄷㄷㄷ 슈카성 모자 24k임??
@lll6880
@lll6880 4 ай бұрын
이런점에서 우리 앞 세대분들의 기여를 인정해야함! 그렇지만 국가 소멸의 가치관에서 탈출햐야 살 수 있겠지-~😂
@user-ok4xn1hy5i
@user-ok4xn1hy5i 4 ай бұрын
일본 관광수익 한해동안 48조원 ㅋㅋㅋㅋㅋ
@user-io1ox1io7f
@user-io1ox1io7f 4 ай бұрын
독일인구8천만 일본인구1억2천만 인구수 4천만이나 차이나는데 총GDP 비슷 하다는게 좀 신기하네
@user-dw3qx9od2u
@user-dw3qx9od2u 3 ай бұрын
세계 경제는 오묘하네요.
@themoonintheclouds7199
@themoonintheclouds7199 4 ай бұрын
미국은 진짜 다른 차원의 나라임 따로 분류해야함
@yummy77777
@yummy77777 4 ай бұрын
그냥 한차원 위의 나라같음.
@user-fq4se6sv1f
@user-fq4se6sv1f 4 ай бұрын
미국과아이들 수준.
@wirition
@wirition 4 ай бұрын
미국은 없는 자원이 없고 기술력도 세계 최고임 자원도 있고 기술력도 있는 것만 해도 압도적인데 심지어 세계에서 인재를 끌어모음 게다가 그 큰 땅덩어리가 연방제라곤 해도 하나로 통일되어 있고 위는 캐나다(우방), 아래는 멕시코(상대가 안 됨) 좌우는 대서양과 태평양인데다 전쟁 특수를 두 번이나 누리고 패권국과의 골드크로스를 피해 없이 이뤄냄 패권국의 저항, 침략 따위 없이 말임 만약 미국을 이기려면 외계인한테 기술을 전수받고 미국 내전으로 갈갈이 찢겨야 가능하지 않을까 싶을 정도임
@bloody_heil
@bloody_heil 3 ай бұрын
놀라운 건 100년 전만 해도 이러지 않았늠
@user-ii1tf9kz6d
@user-ii1tf9kz6d 4 ай бұрын
썸네일 미쳐 진짜 너무 심각하게 귀엽네요
@moon92298
@moon92298 4 ай бұрын
컨텐츠 하나 나왔습니다 합계출산율 0.72명 ㄷㄷ
@user-vh7kp7qv4o
@user-vh7kp7qv4o 4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는 사람 밖에 없잖아요 인재들을 과학기술 분야로 이끌지 않으면 답이 없다.
@user-uo9bw4uz8t
@user-uo9bw4uz8t 4 ай бұрын
영상보다 모자가 신경쓰여요 ㅋㅋㅋㅋㅋ
@user-id9qc4fl2x
@user-id9qc4fl2x 4 ай бұрын
삼성 엘지 현대에 힘이었지 중진국함정 벗어난건
2030년 세계 GDP 3위, 인도의 야망
28:05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My little bro is funny😁  @artur-boy
00:18
Andrey Grechka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
THEY WANTED TO TAKE ALL HIS GOODIES 🍫🥤🍟😂
00:17
OKUNJATA
Рет қаралды 5 МЛН
베트남의 미래를 건 베팅, Vinfast 나스닥 상장
27:39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하늘에서 문짝 뜯어진 보잉 비행기
22:15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776 М.
지지율 1위, 돌아온 트럼프
22:29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862 М.
평화의 섬, 지옥으로 변하다
19:26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 МЛН
죽음도 막지 못한 민주주의 투사 나발니
20:24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797 М.
인류 역사상 최다 희생자를 기록한 독-소전쟁
31:41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6 МЛН
흔들리는 캘리포니아, 떠오르는 텍사스
22:07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446 М.
проводница забрала пиво
0:59
RusRoflTime
Рет қаралды 2 МЛН
теперь это ваши проблемы @guryan_off 😂
0:10
HAHALIVARS
Рет қаралды 3,8 МЛН
СЁМА БОЕЦ
1:00
LavrenSem
Рет қаралды 866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