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소멸의 현주소…늘어나는 빈집들 / KBS 2023.03.28.

  Рет қаралды 752,523

KBS News

KBS News

Жыл бұрын

전북은 인구 180만 선이 무너지며 대부분 지역이 소멸 위기에 놓여 있습니다. 인구 유출이 낳는 여러 사회 문제 중 하나가 '빈집' 인데요,실태를 진유민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전북의 교통 중심지 익산역.
한때 젊음의 거리라 불리며 전북에서 가장 번화한 동네였던 역 앞 중앙동은 사람 발길이 끊긴 지 오랩니다.
일부 구역에서는 아파트 공사가 이뤄지고 있지만, 동네에 폐가들이 그대로 방치돼 있고, 거리 곳곳에서 목욕탕과 식당 등 문 닫은 점포들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20여 곳의 점포 가운데 절반 이상이 폐업해버린 골목도 있습니다.
90년대 후반부터 익산 어양동과 영등동 등 신도심 개발이 본격화되면서 사람들은 구도심을 떠났습니다.
[곽상인/익산시 중앙동/식당 운영 : "먹고 노래하고 술 마시고 이게 갖춰져 있잖아요 영등동은. 또 모현동도 갖춰져 있어요. 그런데 여기 있던 사람들이 그쪽으로 다 떠나다 보니까 그게 다 (여기엔) 없어요."]
빈집은 농촌 지역으로 갈수록 더욱 심각합니다.
과거 60여 가구가 모여 살던 김제의 한 마을.
지금은 절반 이상 가구수가 줄었고, 젊은 사람들은 모두 떠나 60대 이상 고령층만 남아 있습니다.
마을 한쪽엔 담장이 무너져내린 집부터, 마당에 잡풀과 쓰레기가 가득 쌓인 집까지 곳곳이 빈집들입니다.
마을 한가운데 만경읍에서 가장 큰 철공소가 있던 거리는 지나가는 사람을 찾기 힘든 적막한 거리로 변했습니다.
[최우호/김제시 만경읍/세탁소 운영 : "(마을에) 어르신들이 많이 있었는데 돌아가시고, 또 밤이 되면 사람들이 안 지나가요. 낮에도 이렇게 사람들이 안 지나가는데, 6시면 가게 문 닫아버려요."]
과거 부안의 관문으로 불렸던 '백산 삼거리'.
사람이 몰리며 오일장까지 열렸던 곳이지만 은행과 교회, 정육점 등 거리의 점포 대부분이 비었습니다.
한때 북적였던 거리는 치우지 않은 낡은 간판들만 남은 채 부안에서 빈집이 가장 많은 동네가 됐습니다.
[김금철/부안군 백산면/이발소 운영 : "시골에는 노인분들만 사시다가 노인분들 돌아가시고 그러면 맨 빈집이에요. 현재 우리 마을에 빈집이 열 채가 넘어요."]
지난해 기준 전북지역 빈집은 만 5천 9백여 채.
이 가운데 77퍼센트가 농촌 지역에 몰려 있습니다.
지역별로는 김제가 2천 백여 채로 가장 많았고, 군 지역에선 부안군이 천 3백여 채로 가장 많았습니다.
수도권으로의 인구 유출, 그리고 신도심으로 몰리는 전북 안에서의 인구 불균형은 범죄와 사고 등 여러 사회 문제를 낳는 빈집 발생을 가속화하며 지방 소멸 위기의 한 단면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KBS 뉴스 진유민입니다.
촬영기자:한문현
▣ KBS 기사 원문보기 : news.kbs.co.kr/news/view.do?nc...
▣ 제보 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홈페이지 : goo.gl/4bWbkG
◇ 이메일 : kbs1234@kbs.co.kr
#인구 #가구수 #빈집

Пікірлер: 1 600
@kjblueskyjp
@kjblueskyjp Жыл бұрын
시골만 가게 문을 일찍 닫는 것이 아니고 인구 10만 정도의 시급 지역에도 편의점을 제외하고는 저녁 7시면 식당등 가게들이 모두 문을 닫아요. 그 이유를 물어 보면 손님 자체가 없어 장사가 전혀 되지 않아 그렇다 라고 말 하더군요. 음식을 사 먹는 분들도 식당에서 음식 사 먹을려면 최소 1끼에 1만원을 잡아야 하기에 그런 비싼 비용을 지불할 봐에야 차라리 편의점에서 빵이나 도시락 샌드위치로 때운다 라고 말 하더군요. 요즘 시급 지역을 밤에 돌아 다녀 보면 저녁 7시면 이동하는 사람들 자체가 없고 편의점을 제외하곤 모두 문을 닫고 밤 10시면 지나다니는 사람들은 전혀 없고 고양이들만 돌아 다녀요. 인구 감소에 고물가에 한국이 한때 다이나믹코리아 24시간 돌아간다고 하여 다이나믹코리아라는 별명을 얻은 적도 있지만 이제 밤에는 완전이 죽은 데드코리아가 되어 가고 있어요
@Mr-ok1iy
@Mr-ok1iy Жыл бұрын
시골 빈집늘어나는게 문제인건 그 허름하고 손봐야할게 한두가지가 아닌데 월세 물어보니까 50만원 이라던데ㅋㅋ 심지어 보일러도없고 아궁이 있는집인데 월세 40만원ㅋㅋㅋㅋ 이러니 그돈으로 지방살꺼면 그냥 인프라 잘되있고 깔끔한 도시로 가지ㅋㅋ 그냥 인구만 줄어들어서 지방이 소멸하는게 아닌듯...
@user-rx4yp6mw2d
@user-rx4yp6mw2d Жыл бұрын
구도심의 쇠락 현상은 서울이나 수도권도 마찬가지죠. 전통적으로 역앞이나 터미널부근에 먹고마시는 번화가가 형성되었었지만 요즘은 신시가지들이 워낙 많이들 생겨 그쪽으로 상권이 넘어가고 있죠.
@younghwankim6208
@younghwankim6208 Жыл бұрын
제발 좀. 인구 감소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여라. 사라지고 또 새로 생기는게 당연하고 자연스런 일아야. 빈 집들은 범죄에 이용될 가능성도 있으니 정부에서 관리 좀 하고 철거 할 곳은 철거 해주라고. 할 수 있으면 인구 밀도가 낮은 지역은 통합해서 희망 하는 사람에 한해서 집중시킬 곳으로 이사 하는거 도와주고 사라질 마을은 사라지게 해라. 받아들일건 좀 받아들여. 뭘 자꾸 없어지지 못하게 유지할려고 하냐. 현실을 제발 좀 받아들여라. 집터들 밀어버리고 자연으로 되돌리던가 논 밭으로 쓰던가 해. 인구감소는 받아들여야 할 변할 수 없는 현실이라고.
@msk8593
@msk8593 Жыл бұрын
문제는 빈집인데 주인들이 전부 쥐고서 안판다는거지. 그러니 새로 이사올 사람은 없고.. 빈집은 집주인에게 매년 세금을 내게 만들어야해. 저런 빈집 구입하려고 접촉해보면 상상 못할 가격을 불러... 이게 황당하지
@user-fj7tr5cd6t
@user-fj7tr5cd6t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일본처럼 빈집세를 신설하던가, 아니면 시골집도 빈집인 경우 1가구 2주택을 적용을 해야 팔던가 할텐데, 아무런 제재가 없으니 그냥 빈집으로 방치를 하는 거지. 그렇다고 누가 산다고 하면 싸게 팔기나 하나 바가지 씌우려고 발악을 하지.
@nopregnant
@nopregnant Жыл бұрын
빈집 1년이상 방치하면 벌금 일시불로 1억, 2년 2, 3년 4억 이런 식으로 하면 2030내에 빈집 백중구구는 싹다 사라진다
@user-gi9dk2bs7q
@user-gi9dk2bs7q Жыл бұрын
무상임대 제공해도 시골가서 살일 없습니다 아무 의미 없는 예기하시네요
@windson4355
@windson4355 Жыл бұрын
집을 꽁짜로 줄게 너살래 말같은 소리좀 해라 집이 비싸서 안가는게 아니라고 무식한 사람아
@RaccoonStory
@RaccoonStory Жыл бұрын
​@@windson4355 비싸서 안가는 이유도 있어요.
@jkim403
@jkim403 Жыл бұрын
이게 진짜 현실.. 허물어져가는 집 누가 고쳐 살려고하면 5-6천 부르는게 부지기수ㅋㅋ 장난하는것도 아니고
@user-zk9xd3xi4z
@user-zk9xd3xi4z Жыл бұрын
저 빈집 외지인이 사려고 알아보잖아? 지들끼리 거래하는 가격에 기본3배 부르고 시작한다 그리고 안팔리고 죽으면 나중에 자식들이 반값에 내놔 그럼 그때 인팔려 무한반복이야ㅋㅋㅋㅋㅋ
@user-pm8zv8id5w
@user-pm8zv8id5w Жыл бұрын
지방도 이해 안가는게 지방은 관광지로 먹고 사는게 좋은데 막상 소문나는데 가보면 말도 안되는 음식에 말도안되는 가격 붙이고 장사 하니 그돈으로 외국을 가는게 더 좋다고 생각하지 지방은 도와줘야 의미가 없어 지네 무덤 지네가 파는거야 맨날 한철 장사 말도 안되는 논리만 하고 무슨 한번 장사하고 1년 내내 놀겠다는 것두 아니고 저번에 무슨 축제 가니깐 음식 조금 나오고 5만원 쳐 받드라 ㅡㅡ 서울 사람 야박 하다 하지말고 지방사람 사람 구실 안하는것 부터 생각 해라..
@jayshim3302
@jayshim3302 Жыл бұрын
한탄만 할 게 아니다. 세상이 변화고 있다. 변화하는 추세에 맞게 대책과 정책을 세우기 바란다.
@user-no5ke2xj5b
@user-no5ke2xj5b Жыл бұрын
어떻게ㅜㅜㅠㅠㅠ
@Kuwaaaaang
@Kuwaaaaang Жыл бұрын
이런넘들이 꼭 한탄 ㅈㄴ하던데
@Kuwaaaaang
@Kuwaaaaang Жыл бұрын
댓글 목록 보니 한탄 ㅈㄴ하고있네 삼천리 금수강산이 쓰레기장이 되고 있네 이러면서 ㅋㅋㅋ
@user-du1zu4zq8q
@user-du1zu4zq8q Жыл бұрын
정책도 앞이 보여야 만드는건데 이건뭐 ㅋㅋㅋㅋ
@user-ki8tw4gi2w
@user-ki8tw4gi2w Жыл бұрын
@@user-ux7rs6lw3l 저도 서울이 답이라고생각해서 비비고있는데 지방 대장급 도시 , 제일 좋은 동네면 비벼볼만하다고봅니다
@prhug7044
@prhug7044 Жыл бұрын
사람 욕심에 빈집이 늘어나는거죠. 관리 잘해서 괜찮은 집은 판매가 수월하지만 오래되서 여기저기 수리해야되는 집은 구매하는 사람도 수리비용을 고려해야 하고 판매하는 사람은 주변 시세정도는 받아야겠단 생각을 하고 주변 상권이나 공단처럼 사람들 유입이라도 되는 상황이면 원룸장사를 목적으로 투자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아무것도 없는 시골은 불편하니 구매자도 없고 방치되다보니 악순환이 계속되죠.
@user-ic1dj5tf7r
@user-ic1dj5tf7r Жыл бұрын
모든걸 수입해서 먹고 외국인 노동자도 많이 들어오고 로봇도 도입 되는데 오직 성과 핏줄에 대해서만 옹졸 , 편협, 지독한 한국!!!!!!!! 한국의 핏줄 이기주의 문화!! 한국은 이 핏줄 문화 때문에 반드시 망합니다.!! 인구 전문가가 중국도 문화 혁명 때에 유교 문화 제거 하고 일본도 유교 문화가 많이 사라졌는데 한국만 유교 문화가 강해서 결혼->출산 밖에 생각을 못한데요. 한국은 세계최저 출산율 이죠. 매달 그 세계 최저를 스스로 갱신 하고 있구요.!! 한국은 동거 비율이 세계 최저 입니다. 일본인 사유리는 합법적으로 일본에서 정자 기증 받아서 출산 했구요. 미국은 한해 수만명씩 정자 기증으로 태어 난데요. 중국은 싸이트 내걸고 대리모 사업을 하고 있구요. 우크라이나는 대리모가 합법 입니다. 축구 선수 호날두는 총각 일때 대리모 통해서 애를 가졌죠.! 한국은 OECD중 공공정자 은행 없는 유일한 나라 입니다.!! 총각이든, 처녀든, 부부가 대리모 통해서든 , 부부가 남의 정자 받아서든 아기 갖고 싶어 하는 사람은 능력 되면 누구나 가지게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오직 한국만 모든게 막혀 있고 사람들의 인식 , 법과 제도가 옹졸 , 편협된 생각 가지고 있다고 생각 합니다. 특히 핏줄에 대해서는 아주 심하죠!! 일본인 사유리가 아기와 같이 나온 방송에서 한국 아줌마들이 사유리에게 "애가 아빠가 없어서 어떻하냐~ 안됫다~ " 라고 하니까 사유리가 "그럼 아줌마 아들을 저에게 장가 보내세요" 라고 하니까 아줌마들이 아무 말도 못했다고 합니다. 조선시대부터 유교적 성억압 사회 성인의 야동 금지는 한국이 거의 유일. 야동 ,성매매,유사 성행위 금지. 동성애 , 리얼돌 반대 시위. 고등학생들에게 콘돔 사용법 성교육하자 학부모가 항의해서 취소됨. 공부하는 기계로 학생 키우는 나라. 기본 쾌락 말살 시키는 나라. 동거 비율 세계 최저. 비혼출산 oecd 평균 39% 한국은 1%. Oecd 중 공공 정자 은행 없는 유일한 나라. 미국은 한해에 수만명씩 정자 기증으로 태어남. 중국은 대리모 사업이 호황. 성이라면 치를 떠는 한국. 성진국 이라고 놀리는 일본은 출산율 1.3명. 성을 감추기만 하는 한국은 출산율 0.78명 성진국 보다 먼저 소멸될 나라.!!!!
@user-zk2bf1bs5d
@user-zk2bf1bs5d Жыл бұрын
욕심이랑 상관이 있나요 수요가 아예 없는데 관리가 잘 되어있다 쳐도 그걸 사서 수도권에서 지방으로 이사 올 사람이 있어요?
@prhug7044
@prhug7044 Жыл бұрын
@@user-zk2bf1bs5d 제가 해봤어요ㅎ 출퇴근하긴 좀 거리가 있지만 전원주택에 대한 로망이 있어서 6군데 부동산이랑 같이 알아봤는데 다 쓰러져가는 폐가도 주변시세대로 받으려고 하더라구요. 다들 팔리면 좋고 아니면 말고라는 식으로 얘기하시더라구요.
@user-zk2bf1bs5d
@user-zk2bf1bs5d Жыл бұрын
@@prhug7044 지방에서 수도권까지 출퇴근을 할 생각을 하셨다고요? 대단하시네요
@junyshin5843
@junyshin5843 Жыл бұрын
풉....그것도 수도권 주변이나 통하지 시골가봐요....무슨 관리하면 인구가 유입되긴..ㅋㅋㅋㅋㅋㅋㅋㅋ
@HeungMinSon_7
@HeungMinSon_7 Жыл бұрын
나라에 얼마나 인재가 없고, 개판으로 운영을했으면 서울, 경기도에만 인구의 50%인 2500만명이 모여있는 도시형 나라가 됐겠냐. 땅도 코딱지만한곳에, 더 코딱지처럼 다닥 다닥 모두 몰려 사는거 자체가 정부, 국회의원들이 수십년간 일을 못했다는 증거다. 나라의 발전을 위해서는 인구가 뿜빠이가 골고루 분산되야되고, 지역도 골고루 발전해야된다.
@admiralyisoonshin4995
@admiralyisoonshin4995 Жыл бұрын
오랫동안 고민하고 심사숙고해서 귀농, 귀촌하면, 마을발전기금 내라! 안 내면 재미없다! 는 식으로 윽박지르며 텃세부리는 풍조가 여전히 꿈틀거리는 상황에서 인구소멸 운운하며 한탄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오는 사람들을 내치는 동네이장, 노인들이 여전히 있는 시골, 농촌.
@dfgadg
@dfgadg Жыл бұрын
막상 저런 빈집 고쳐살아볼까하고 알아보면 겁나게 비쌈 입지가 좋은거도 아니고, 집 자체가 좋지도 않은데 시세는 못해도 중심가 소형 아파트급은 받으려고함 ㅋㅋㅋ 어차피 실제 집 주인들은 저 동네 살지도 않고 돌아가신 부모님이 남긴 유산인 경우가 많음. 가지고 있는데 세금부담도 없고 혹시나 개발이슈로 졸부하고싶은 맘에 안팔고 있는건 알겠는데, 전국에 빈집 넘쳐나는 지자체들이 모여서 빈집관련 법안 만들어야지 지금 이상태론 답도없음.
@user-ot5gf6lr8z
@user-ot5gf6lr8z Жыл бұрын
촌인심이 도시인심보다 더 무섭다는데 누가 촌에 그것도 아무연고도없는곳에 무서워서 어찌살러가겠나
@user-bj9jb3bl8s
@user-bj9jb3bl8s Жыл бұрын
인정ㅋㅋㅋ!!!!
@user-id5kc9gm3z
@user-id5kc9gm3z Жыл бұрын
당연하게 외지인에게 사기치고 앉아있고 텃세 부리는데 누가 지방을 가
@user-cz4rv4ce4x
@user-cz4rv4ce4x Жыл бұрын
일할곳도없고 인프라도안돼있는 시골을누가살고싶어함 님이말하는 인심은 여유있는사람들이 전원주택짓고 시골서생활할때불편하거고 이 영상의요점은 그게아니지않나?
@na_eun95
@na_eun95 Жыл бұрын
서울가서 뭐할래? 시골에서 할거없다고 하는 사람들아 서울간다고 뭐가 달라져? ㅋㅋㅋ
@fullfanfick2314
@fullfanfick2314 Жыл бұрын
ㅇㅈ 보이지 않는 텃새 장난없죠
@user-wi5ln4bb7d
@user-wi5ln4bb7d Жыл бұрын
서울도 인구가 줄어듭니다ㆍ 유치원이 문닫고 노인센터 사용시설로 바뀌고있고 또 고등학교가 문을 다고있네요ㆍ이제시작되었습니다ᆢ
@user-wv3ut4wz5t
@user-wv3ut4wz5t Жыл бұрын
빈집이 아무리 많다지만 실수요자에게 더 찾기힘든게 시골빈집이더라구요. 사용할수없어 보이는 폐가수준이라도 시골감성 운운하며 터무니없는 가격으로 매도를 하려하니 거래가 이루어지지도않고요
@user-cv1yf8rt6z
@user-cv1yf8rt6z 9 ай бұрын
시골감성 ㅋㅋㅋ 저도 시골에 2000~3000으로 쉼터 하나 마련하려다 가격듣고 놀랐고, 집 수리가 대부분 필요한 방치된 집이라는 점에 두번 놀랐습니다.
@user-cv1yf8rt6z
@user-cv1yf8rt6z 7 ай бұрын
그리고 500~1000에 파느니 그냥 지푸라기 잡는심정으로 기다렸다가 호구하나 잡는게 이득이기 때문
@jaychoi2524
@jaychoi2524 Жыл бұрын
어차피 더 사라질거고 더 고령화 시대가 나타날거라.. 안타깝지만 어쩔수 없는 사회의 변화가 아닐까 싶네요.
@user-ii7nu5tu8o
@user-ii7nu5tu8o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시골 촌 동네는 많이 무너질거에요. 그중에 소수의 지역은 유지하겠죠.
@patriotkr4907
@patriotkr4907 Жыл бұрын
옛날엔 젊은 사람들도 농사짓고 그랬는데 요즘은 다외국인이 짓는거 보면
@user-yh8hq5gq1n
@user-yh8hq5gq1n Жыл бұрын
안타까운 수준이 아님. 지방소멸은 지방인프라 붕괴를 의미하고 이는 더 심각한 수도권집중화 문제를 야기할거임. 더 심한 집중화 현상은 과밀인구문제를 야기하고 이건 다시 저출산 고령화를 유도하는 악순환을 낳음. 결국 장기적 관점으로보면 서울, 수도권도 안전하지 못하다는 얘기임
@jongmanpark7848
@jongmanpark7848 Жыл бұрын
괜찮아 요 어차피 인구절벽이오니까~~젊은 이들이약해빠져서 살기힘들다고 애를 안낳으니~~ 걍~농사나 짖으며살다가 죽으면되지요~~~
@lllllIlllllllI
@lllllIlllllllI Жыл бұрын
​@@jongmanpark7848 넹~ 댁 같은 늙은이들 덕에 안낳고 살기로 했어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ms9lq8ko9p
@user-ms9lq8ko9p Жыл бұрын
실태조사 해보면 저런 빈집들 주인은 서울 같은 타지 사람이 주인이다.. 거주도 사용도 안하면서 투기성으로 땅 사놓고 관리 안하는 주인들을 조져야지.
@foolishman2586
@foolishman2586 Жыл бұрын
지방에 집을 사면 그집은 영원히 내집인 이유가 바로 저거 때문임 경기도나 서울등은 재건축 재개발을 하지만 지방은 그런거 없음 재건축 재개발 하는것 보다 도심을 이동 시키는게 더싸게 먹히기에 구도심에서 신도심으로 대거 이동해버리고 구도심은 자연스레 폐가만 남게 됩니다 인구감소의 원인도 있겠지만 지방의 폐가는 신도심으로 인구가 이동하고 인구의 이동에 따른 상권이 이동하며 결국 구도심은 고령층이 많이 살게 되죠 구도심에 잔존한 노인들이 죽고나면 자연스레 폐가로 방치되고 저건 인구문제 보다 행정의 문제가 더큰거 같음
@Lesser_Kim
@Lesser_Kim Жыл бұрын
몇십년 뒤에 지방소멸 심해지는 곳들은 국내 or 외국인 관광객들을 위한 관광지를 만들던가, 친환경 발전소 같은거 만들던지 아니면 아얘 싹 다 밀고 숲으로 만들던가 해야겠네요. 미친듯한 인구 감소나 지방소멸은 이제 피할수 없는 일이 되었으니
@user-bm3rt4qi8v
@user-bm3rt4qi8v Жыл бұрын
젊은이들이결혼을할수있도록만들어줘야하는데집갑이너무비싸고아이들양 육비랑교육비가너무비싸니낳아키울수가없는조건이여서요즘젊은이들고생하면서고생한다고결혼을안하고ㆍ이또한문씨정권에티비방송에서혼밥하는드리ㅡ마등이이렇게만들었죠ㆍ혼자사는것이좋다는등ㆍ집이랑모든좋은것만방송을해대니ㆍ그영향이엄청커죠ㆍ나라를아예없앨려고작정이나한듯이ㆍ요즘거리나회사나결혼히ㅡ지못한젊은이들이반이상이라ㆍㆍ ㆍ문씨가보기조을것이라 ㆍ나라가이지경으로ㆍ ㆍ 권력다툼으로한국이사라지겠네ㆍㆍㆍ
@user-ve1ov3wt6g
@user-ve1ov3wt6g Жыл бұрын
@@user-bm3rt4qi8v 뭐라는거임
@user-ml2rt1tk3u
@user-ml2rt1tk3u Жыл бұрын
이제는 지역소멸을 막을수는 없습니다. 더 이상 예방할 수는 없다는 거죠. 그저 가장 큰 문제인 청년 인구이동을 막기위해, 청년들을 더 이상은 빠져나가게하지 않기위해 지방 곳곳으로 끌어들이기위한 제대로 된 정책을 만들어 시행해야합니다. 수도권의 인프라를 지방지역에도 설치하는것, 수도권과 지방에 차별점을 두지 않고 지역인재 채용비율을 늘리는 등의 정책이 필요합니다. 문제는 이렇게 말만한다고 바뀌지 않는다는 것이죠. 일단 실현 가능성이 어느정도 있어야하는데 사실 지금 상황에서는 현실성 없죠. 일단 이런 정책들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수도권 예산을 각 지방 지역들에게 많이 나눠야한다고 봅니다. 지금도 지방 지역들 빠져나가는 인구 막으려고 없는 예산가지고 정책시행한다하는데 그게 실현이 되고나 있나요? 우선 부족한 예산부터 채우고 진정 힘써야죠. 청년들이 굳이 서울에 가지 않아도 각 지역에서 서울과 같은 문화,환경,인프라를 누릴수 있게해야합니다. 그리고 사회의 인식도 바뀌어야하죠. 지방에 산다고 불이익 보는 일 없도록요. 또 재택 근무도 많은 회사들에서 시행했으면 하네요. 결국 지방과 수도권에 차별점을 줄여나가는게 수도권의 장점을 보편화시켜 굳이 서울에 살 필요가 없게 만드는게 중요합니다. 지역마다 인구수로 경쟁하는게 아닌 전국 곳곳에서 다 같이 사는 대한민국이 되길 바랍니다!
@hig719
@hig719 Жыл бұрын
지방소멸이된 이유는 지방자치단체때문에 거기있는주민들이 서울로이주하기때문입니다 예전처럼 중앙집권화시키면 지방자치단체가 맘에안들어서 이사할이유가없고 전국이 균형적으로 발전하게됩니다
@user-yw5uk6ez1k
@user-yw5uk6ez1k Жыл бұрын
돌아가신 부모집은 나중에 혹시 값이 오르지않을까? 내가 나중에 살까? 라고 생각하며 빈집으로 내버려두고~ 결국 나중에 다시 살려하니 주변에는 그런생각을 가진 빈집만 가득. 그런곳은 빈집무덤으로 주변에 사람보기 힘들다.
@bhm7937
@bhm7937 Жыл бұрын
폐허가 되어가는 이유가 있는데. 그 이유를 만드는 지역에서 그 해결점을 찾으려고 하니 답을 찾을 수가 있나? 지방으로 가고 싶은 사람은 있지만 받아주는 곳이 없는것도 현실임.
@user-fy7wd8bu7v
@user-fy7wd8bu7v Жыл бұрын
폐가를 내놓을래? 세금낼래? 하면 폐가해결된다 철거비는 땅값으로 기부채납받고 씩 밀고 일단 정비한후에 산단도 만들고 아파트도 무상으로 임대로 나누어주고 인구유치하면 된다
@emotionalgarden
@emotionalgarden 11 ай бұрын
부모님의 농사를 물려받아 봉화로 귀농한지 3년째, 생각보다 귀농인에게 지원이 너무 없어요. 획기적으로 늘려도 사람이 올까말까인데...
@user-bz2wg3jc4x
@user-bz2wg3jc4x Жыл бұрын
빈집들이 외형이 깨끗하고 멀쩡한게 없네.. 사람이 거주한게 아니라 가축축사로 썻나? 정말 허름하네. 일본빈집도 상당한데 거기는 오래 방치된 빈집이라도 당장에 사람이 들어와 살아도 겐찮을 만큼 깨끗해 보이는데 운좋으면 일제강점기때 사놓은 채권도 지붕위에 바닥판아래에서 발견하기도 한다는데.. 저기 화면에 집들은 개돼지들이 살았는지 돈이든 금계든 보물같은 건 전혀 찾기 어려워보인다.
@tv-mg1mx
@tv-mg1mx Жыл бұрын
일반 시골도 빈집이 늘어나는대 귀촌 귀동하려고해도 집을 세놓지않고 방치 을씨년스럽다고합니다
@zmzmsksk
@zmzmsksk Жыл бұрын
시골 빈집들 알고보면 다 주인 있음.
@user-ov2gn2xh6y
@user-ov2gn2xh6y Жыл бұрын
수도권도 간당간당 해서 현재 메꿀 인원이 없습니다 때문에 해결할 정책 및 대책이 없습니다. 그리고 본문 영상처럼 사람이 살지 못할 폐가 수준의 건물들을 빈집으로 보도하면 안됩니다.
@user-et5xt6re5k
@user-et5xt6re5k Жыл бұрын
지방도시 소멸은 자신들의 욕심이 그렇게 만든것도 있다고 봄. 서울만 해도 개발이 제한되어 낡은모습 그대로 사는데 지방은 낡으면 옆동네에 신도시를 지어버림.그러면 당연히 인구가 그쪽으로 쏠리고 기존 도시는 쇄락하는데 이걸가지고 징징거림
@user-gx6un2my9l
@user-gx6un2my9l Жыл бұрын
시골집 인터넷으로 찾아보면 그냥 살 수 있는 빈집을 터무니 없이 뻥티기한 가격으로 내놓고. 폐가로 방치 하지 말고 싸게 전세를 줘도 되건만, 인터넷에보면 중개인들이 촌집을 말도 안되는 가격이나 올리고 어이없는 가격이 수두록 합니다.
@user-hp5ig4ki6s
@user-hp5ig4ki6s Жыл бұрын
경험상 팁을 드리자면 원하는 지역을 직접 살펴보시면서 장소를 확인한 후. 동네 이장이나 마을 노인회관에 가서 현지인들에게 자문을 구하면 답이 나올 수 있습니다. 자비를 들여 지낼만 하게 수리해서 5~10년 정도 관리하면서 지내겠다는 조건으로 접근하면 가능한 부분이 많답니다. 실상 동네에서도 빈집이 많이 생겨나는 걸 달가워하진 않거든요. 약 2000만원 정도 들여서 10여년 임대료 신경 안 쓰고 지낼 수 있다면 그리 나쁜 조건 아니거든요. 그런 조건으로 계약서를 작성하자 하면 혼쾌히 응하는 경우 많습니다. 성사된다면 알선했던 주민의 주선으로 다른 주민들과의 관계도 원만하게 유지 가능합니다.
@user-bt1wo4ep7b
@user-bt1wo4ep7b Жыл бұрын
지방자치단체제도 폐지하여 군.시구의원들 년봉줄 돈으로 빈집매입해서 철거해서 주거환경개선해야!!!
@user-ew8qs7zl8p
@user-ew8qs7zl8p Жыл бұрын
너가가서 살어그럼
@Kim-qe6sz
@Kim-qe6sz Жыл бұрын
솔직히 지방소멸이라도 우리같은 민간인이 할수있는건 아무것도 없습니다
@user-pm8dr3oj8v
@user-pm8dr3oj8v Жыл бұрын
아니 모든게 서울에 다 있는데 지방에서 멀 하겠나 그리고 아무것도 없는 지방에서 안그래도 없는 젊은이들이 서울로가지 지방에 있겠나? 이게 저출산도 한몫한다.
@hskim6753
@hskim6753 Жыл бұрын
기자야...저곳에 범죄가 기존보다 많이 일어 나는지 통계는 있어?... 저기 사시는 분들은 빈 집은 있어도 그로 인해 불안해 하는 것 같지는 않거든?... 취재를....그럴것 가터라로 하지는 마라!!..
@hkyun4685
@hkyun4685 Жыл бұрын
소멸되는거 막지마라 지자체예산줄어들고 정치인들 줄어들어서 좋은거다
@user-ck7in1nk1j
@user-ck7in1nk1j Жыл бұрын
혜안이 있으신분이네 엄지척 박았습니다
@RaccoonStory
@RaccoonStory Жыл бұрын
빈집세를 내게 해서 싸게라도 내놓도록 해야함.😊
@MindalsR600
@MindalsR600 Жыл бұрын
지방와서 집 알아보는데, 집값 장난 아닙니다. 좀 기다려 봐야죠. 대체 이장한테 인사비는 왜 내야 하는건지 이해가 안됨. 광역상수도 들어와있는데 발전기금 내라는것도 할말없음.
@ksj261
@ksj261 Жыл бұрын
외지인에 배타적이니 어쩔 수 없지... 그렇게 인구 줄면 인프라 유지 비용이 너무 많이 드니까 이제 철거를 해야 한다. 교통, 전기, 가스, 수도 , 하수도 끊어라...국가 자원을 낭비 할 필요가 없다.
@erp4046
@erp4046 Жыл бұрын
옛날 농경사회에서나 각 논밭떼기 있으면 집이있고 마을이 있었지만 지금은 산업화사회 그이상이다. 또 논밭도 옛날처럼 대량의 사람이 동원되는 것도 아니고 기계로 한다. 마을에 옛날처럼 사람이 산다는게 오히려 이상한 일이다. 자연스런 현상이다.
@user-fq5oq5jn2h
@user-fq5oq5jn2h Жыл бұрын
그럴꺼면 농촌이 왜 있나여 사람이 있어야 농사가 되죠 😢😢 너무하시네
@blanc5522
@blanc5522 Жыл бұрын
​@@user-fq5oq5jn2h 서구도 다똑같습니다.. 기계농사하는 시대에 인구소멸은 너무나 당연한거구요. 그나마 서구국가들은 땅이라도 넓어서 사람이 꽤사는데 한국은 그에비해 땅도적고 다른일자리도 적죠 농경지이
@erp4046
@erp4046 Жыл бұрын
@@user-fq5oq5jn2h 마음 아프게 왜그래요~~
@jakean3234
@jakean3234 Жыл бұрын
@@user-fq5oq5jn2h 어차피 농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노인네들이니 이 사람들 자연소멸하면 결국 기업형 농업으로 전환해야죠
@ljlee9785
@ljlee9785 Жыл бұрын
아직도 정책적으로 소작농 유지시켜주는 한국이 대단했던거죠 미국만 봐도 기업의 대규모 기계농사로 바뀐게 반세기도 전인걸요 소작은 오래전부터 수익성이라곤 없었어요 세대가 바뀌어야 뭔가 변화할텐데 지방노후세대소멸이 꼭 나쁘기만 한것인지는 모를일이죠
@corppor285
@corppor285 Жыл бұрын
막상 내려가서 시세 물어보면 다 제값주거나 5~10% 정도만 현시세보다 싸게 준다고 하던데 버릴지언정 싸게는 안준다라는 심보들...
@uroombu
@uroombu Жыл бұрын
빈집세 도입해야 한다. 아울러 장기방치 건축물들 역시 지역경관 해치고 안전 문제까지 야기하니 1-2차 건물정비 명령 내리고 불이행 하면 매년 강제 이행금을 강하게 부과하여야 한다. 자기들 사업한답시고 어설프게 일 벌여서 부도나고 권리관계 엉켜 손 못대는 건물 때문에 지역상권과 지역에 사는 사람들이 피해를 입어야 하는가? 사유재산 보장도 좋지만 그 사유재산권 행사는 남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범위내에서 행사해야 한다. 시골빈집도 마찬가지다. 관리도 안하고 임대도 안하고 팔지도 않으면서 땅값 오르기만 기다리며 방치하는 집들 때문에 동네가 나간 동네가 되어버릴 뿐만 아니라 태풍이나 집중호우 같은 상황에서는 이런 집들 지붕이 뜯겨져 날아다니면서 사람까지 위협하는 일이 많다.
@user-iv9fc1mk7j
@user-iv9fc1mk7j Жыл бұрын
지방은 사람이 없으니 문화시설이 문닫고 문화시설이 문닫으니 인프라가 줄어들고 인프라가 줄으니 사람은 더없어지고 완전 악순환임. 이런 상황에서도 중앙 정치인들은 서울수도권=자기땅 더 발전되니 좋을뿐 대한민국을 챙겨할 정치인들은 지들 밥그릇만 챙기고있다
@user-nb9yr2ce1k
@user-nb9yr2ce1k Жыл бұрын
저 빈집들 결국엔 내려가서 살고싶은사람들에게는 내주지않으십니다... ㅠ
@user-ho9so8dz7z
@user-ho9so8dz7z Жыл бұрын
개판 치는 사람들이 있는이상 혹시라도 그런사람받을까 추억이있는 곳 내주고 맘조리기 보단 그돈 안받아도 사니까요,
@ENTJ_IM-IN
@ENTJ_IM-IN Жыл бұрын
세상이 안바뀌는 이유. 누가 하나 양보하고 손해볼라고 안함. 변하기 싫음 안변하면 되지 뭐. 정부도 알기 떄문에 손안대는 것.
@nopregnant
@nopregnant Жыл бұрын
나중에 얼마나 더 심해져야 원하는 사람한테 공짜나 헐값에 처분하게 될까요? 정부도 가만잇진 않을거 같은데 말입니다
@happyday6516
@happyday6516 Жыл бұрын
양보하면 등신 되는 세상인데. 누가 양보함.
@dowoonu
@dowoonu Жыл бұрын
니가 가서 살아라 아무도 없는 동네에 싼값에 니가 좀 살아봐
@googlelee668
@googlelee668 Жыл бұрын
공시자가 올리니까 도회지에 나가있는 주인 후손들이 팔려고 하지 않거나 값을 비현실적으로 많이 달래요.
@jakean3234
@jakean3234 Жыл бұрын
애 낳으라고 닥달하지 말고 바이오혁명 일으켜서 있는 사람들 인간개조해야함 100살이 넘어도 인공심장 인공관절 뼈로 몸상태가 20대라면 전혀 고령화는 문제가 안된다
@user-bz9dn6pt8c
@user-bz9dn6pt8c Жыл бұрын
호남인들 사업주 미워하는 마음 좀 없어져야해요 소규모든 대규모든 사업주는 무조건 악당으로 생각하는데 누가 호남에서 사업하겠어요?
@user-bi9mv4yr2d
@user-bi9mv4yr2d Жыл бұрын
한 30년 지나면 지방은 광역시, 거점도시 몇개 빼고 군단위의 지방단체들은 싹 소멸할 것...
@user-fw2hl5vc6n
@user-fw2hl5vc6n Жыл бұрын
행정구역 정리해야한다. 당장 지금부터 준비해야 늦지 않을 거야. 지자체 줄이고 예산도 줄이고.
@na_eun95
@na_eun95 Жыл бұрын
시골 지방에서는 할게없다고 하는 사람들은 서울가서도 할일없다 그나마 시골에서는 집이라도 있지 안그래도 사람들 바글거려서 불편한데
@user-zj8gt5hw5t
@user-zj8gt5hw5t Жыл бұрын
서울로 가즈으아~ 솔직히 서울아니면 일자리도 알바자리도 없음 청년들은 무조건 서울가야지 기회가 생김
@saiyain
@saiyain Жыл бұрын
문제는 빈집이지만 집주인이 매매를 안합니다. 그래서 빈집이 더 늘어나죠. 저도 빈집을 사서 리모델링 해서 가끔 와서 쉬는 용도로 구매하려고 알아봤지만 팔지를 않더군요. 대부분 빈집을 빈집으로 놔두는데 이유를 알고 싶네요.
@user-fw3bj3so4d
@user-fw3bj3so4d Жыл бұрын
살려는사람 : 빈집이니까 싸게팔겟지? 파는사람:싸게파느니 그냥 빈집으로 놔둬야겟다. 혹은 싸게파느니 내가 나중에 세컨써야겟다 아닐까요?
@ssssssssss1911
@ssssssssss1911 Жыл бұрын
가족들과 혹은망자와의 추억때문이지요 그래서저도못팔고있습니다
@user-ic1dj5tf7r
@user-ic1dj5tf7r Жыл бұрын
모든걸 수입해서 먹고 외국인 노동자도 많이 들어오고 로봇도 도입 되는데 오직 성과 핏줄에 대해서만 옹졸 , 편협, 지독한 한국!!!!!!!! 한국의 핏줄 이기주의 문화!! 한국은 이 핏줄 문화 때문에 반드시 망합니다.!! 인구 전문가가 중국도 문화 혁명 때에 유교 문화 제거 하고 일본도 유교 문화가 많이 사라졌는데 한국만 유교 문화가 강해서 결혼->출산 밖에 생각을 못한데요. 한국은 세계최저 출산율 이죠. 매달 그 세계 최저를 스스로 갱신 하고 있구요.!! 한국은 동거 비율이 세계 최저 입니다. 일본인 사유리는 합법적으로 일본에서 정자 기증 받아서 출산 했구요. 미국은 한해 수만명씩 정자 기증으로 태어 난데요. 중국은 싸이트 내걸고 대리모 사업을 하고 있구요. 우크라이나는 대리모가 합법 입니다. 축구 선수 호날두는 총각 일때 대리모 통해서 애를 가졌죠.! 한국은 OECD중 공공정자 은행 없는 유일한 나라 입니다.!! 총각이든, 처녀든, 부부가 대리모 통해서든 , 부부가 남의 정자 받아서든 아기 갖고 싶어 하는 사람은 능력 되면 누구나 가지게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오직 한국만 모든게 막혀 있고 사람들의 인식 , 법과 제도가 옹졸 , 편협된 생각 가지고 있다고 생각 합니다. 특히 핏줄에 대해서는 아주 심하죠!! 일본인 사유리가 아기와 같이 나온 방송에서 한국 아줌마들이 사유리에게 "애가 아빠가 없어서 어떻하냐~ 안됫다~ " 라고 하니까 사유리가 "그럼 아줌마 아들을 저에게 장가 보내세요" 라고 하니까 아줌마들이 아무 말도 못했다고 합니다. 조선시대부터 유교적 성억압 사회 성인의 야동 금지는 한국이 거의 유일. 야동 ,성매매,유사 성행위 금지. 동성애 , 리얼돌 반대 시위. 고등학생들에게 콘돔 사용법 성교육하자 학부모가 항의해서 취소됨. 공부하는 기계로 학생 키우는 나라. 기본 쾌락 말살 시키는 나라. 동거 비율 세계 최저. 비혼출산 oecd 평균 39% 한국은 1%. Oecd 중 공공 정자 은행 없는 유일한 나라. 미국은 한해에 수만명씩 정자 기증으로 태어남. 중국은 대리모 사업이 호황. 성이라면 치를 떠는 한국. 성진국 이라고 놀리는 일본은 출산율 1.3명. 성을 감추기만 하는 한국은 출산율 0.78명 성진국 보다 먼저 소멸될 나라.!!!!
@user-tw3cz8sl3c
@user-tw3cz8sl3c Жыл бұрын
서로 생각하는 금액의 차이인듯..
@saiyain
@saiyain Жыл бұрын
@@user-fw3bj3so4d 그건 아닌 듯 합니다. 시세보다 가격을 더 줘도 팔지 않는 집이 대부분. 그렇다고 시세보다 많이 줄수는 없죠. 예를 들어 어떤 지역 시골 20가구정도가 사는 동네에 있는 10년된 괜찮은 주택, 좋은 위치의 집이 2억이라면 30년 이상된 허름한 주택을 2억을 주고 살수는 없죠. 이런 경우 대부분 대지와 건평을 따져야 겠지만 7천이면 많은데도 거의 안팔더군요. 제가 알아본 지역의 시골 시세는 30년 이상에 허름한 엣날 주택이면 대지포함 5천이면 충분하다고 부동산에서 하더군요. 2천 더 줘도 안팔아요 ㅎㅎ
@nickn1991
@nickn1991 Жыл бұрын
이상한 촌동네 살린답시고 강원도 산골짜기로 기관 옮기지 말고, '광역시'로 보내, 광역시로 보내는 걸 반대하는 애들은 국가반역죄로 싹다 삼청교육대로 집어넣어라. 기업들을 강제로 광역시로 옮기는 것만으로도 그 지역 발전에 엄청난 도움이 된다.
@user-yw9kv7wd7o
@user-yw9kv7wd7o Жыл бұрын
옛날엔 청년들이 국외로 가는 경우가 드물었다면 지금 청년들은 세계로 뻗어나감. 해외에 정착하는 인구가 늘어나니깐 인구줄어드는게 눈에 띄는거지. 저출산 저출산 하지만 아직 저출산세대들이 성인이 되려면 아직은 한참 남음. 한국엔 아직 활동인구가 많다. 지금 잘 해야한다. 외국인 정착사업을 진행할 것인가 아니면 저출산해결에 중점을 둘 것인가
@aeggon4268
@aeggon4268 Жыл бұрын
한국 인구 자체는 줄어들어버리고 있으니 이제 지방 시골 지역은 맛집이나 까페, 기타 사업장 같은 걸로 자꾸 외부 유입인구를 만들어야만 살아남을 있음. 그런데 아직까지도 정신 못 차리고 지역 텃세부릴 생각이나 하는 곳들이 많아서... 점점 그 지역으로 오는 사람들 없어지고, 그만큼 주유소나 휴게소도 없어져가기 시작하면 이제 시골 노인들은 체했을 때 소화제 한 번 사먹으려해도 차 몰고 한두시간은 달려가야 하는 처지가 될 꺼임.
@user-sn7mh3nr4f
@user-sn7mh3nr4f Жыл бұрын
전남 고흥 전망대 갔더니 주변에 아무것도 없고 동네 마을로 가니 식당들이 6시면 문닫아서 시내로 나가는데 30분은 더 걸리더라구요..
@user-wp5qo1kd7s
@user-wp5qo1kd7s Жыл бұрын
고흥 고향마을 내려가서 살고 싶어도 땅값이 비싸서 못갑니다. 시골에서 살려면 텃밭이라도 있어야 하는데 인구도 없는데 땅값은 왜 그리 비싼지요ㅠㅠ
@user-mb7sx5rf3v
@user-mb7sx5rf3v Жыл бұрын
시골 할머니집도 저렇더라 . 스무가구 정도 살던 마을이였는데. 지금은. 남아있는 가구가 1가구 뿐임. 소작할 사람도없어서. 논밭도 황무지된지 10년된듯. 10년전까진 소작하시는 어르신분 계셔서. 울집에 농작물 보내주시고 농사지으셨는데. 그분 돌아가시고 땅도 황무지됨 할머니집앞에 논 밭 조금있는거랑 집이랑 전부 내놨는데 20년째 안팔려서. 폐가됐음. 일년에 세금만 몇만원 나오는거같던데.
@user-bp3kz2hv5c
@user-bp3kz2hv5c Жыл бұрын
소멸이답이다 귀촌하면동네 발전기금 내라고 돈이나뜯고 갑질이나 하는데 누가가냐
@user-he3vi6fk3b
@user-he3vi6fk3b Жыл бұрын
빈집은 사람관리안해주면 폐가되고 범죄 구역 아지트화될 우려있는데
@CrayonPop2
@CrayonPop2 Жыл бұрын
시골은 범죄자조차 없어서 아지트화가 안되는중임 사람이 있어야 범죄자가 생기지
@user-lx8cb2xl8b
@user-lx8cb2xl8b Жыл бұрын
누가 저 시골에 들어가서 범죄구역으로 합니까?ㅋ범죄도 사람이 있어야 일어나지...매년 이런곳은 점점 늘어날거고 막지 못함.
@nopregnant
@nopregnant Жыл бұрын
​@@CrayonPop2 내말이.. 불편한 진실이지만 한국이 전세계 치안 최상이 아니고 아이슬,그린란드같은 인구 매우 적은 나라들이 진정한 최상임 물론 일본이 한국보단 한수위임 과유불급의 끝판왕 인구과잉..
@nopregnant
@nopregnant Жыл бұрын
​@@user-lx8cb2xl8b 고령화 심해질수록 범죄 확실한 우하향각이긴함 힘과 정신 다 제대로 안 돌아가고 몸들을 점점 사려서ㅋㅋ
@user-hv1zx1xd4q
@user-hv1zx1xd4q Жыл бұрын
@@nopregnant 무슨 소리를 하는지 모르겠어...글 좀 잘 써봐;;; 인구 과잉 국가는 인도랑 파키스탄이잖아.....
@user-zo6pe7hj8g
@user-zo6pe7hj8g Жыл бұрын
가장 먼저 되야하는게 사람들이 이주하는건데 인프라가 안깔려있으면 요즘 새대는 이주를 안함.(나같아도 그러겠다) 그러니까 지자체 차원에서 할께 아니라 국가가 장려를 해야함. 일단 인프라 부족해도 이주하면 혜택들 엄청 주고 기업들 지방으로 내려보내서 일자리도 늘리고. 요새 중소기업들 수도권에라도 잇으면 그나마오지 지방에 공장지으면 취업하러 오는사람도없음. 열악한것도있지만 그러니 더더욱 수도권근처 이천같은곳에 몰리더라고
@superlongjaw
@superlongjaw Жыл бұрын
귀농을 하든, 전원 주택으로 거주하려 하든… 말도 안되는 발전기금부터 찾아대는 되먹지 않은 이장들이 있는 곳이 천지인데… 슬럼화 되는 것만 걱정? 일단 좁아터진 나라인데 왜 활용을 못하는지… 숨겨진 걸림돌이 뭔지도 취재하고 기사화 해야 되지 않나? 문제만 제기하는 건 기자가 아닌 사람들도 할 수 있자나… 기자가 뭔지 선배들이 안갈쳐 주디?
@user-eh9oc7km3t
@user-eh9oc7km3t Жыл бұрын
김제 .. 세상에 ㅜ 김제 부량이 시골인데.. 옛날엔 집성촌에 어르신도 많으셨는데, 점점 빈집이 늘어나는게 보이니 마음이 안좋더라고요. 다행히 저희 시골집엔 할머니와 가족분들이 계시는데.. 부안까지 나오니 이상하네요 ㅠㅠ
@user-oq2xe6bh3p
@user-oq2xe6bh3p Жыл бұрын
저런 상황인데도 이사오는 사람들 텃세나 하고 발전기금 같은거나 내라하고 배척하는 마을사람들이 있는곳은 그냥 없어지는게 나을수도...
@user-mf2vd8mb1o
@user-mf2vd8mb1o Жыл бұрын
저리 놔두지 말고 5년이상 방치된 곳은 평당 2만원에 강제 매입하는 법령을 만들어라
@pendapark8715
@pendapark8715 Жыл бұрын
환경문제나 AI,로봇이 본격적으로 활동을 시작하는 등...미래를 생각하면 인구감소가 매우 바람직한 것이죠. 당분간 힘들 수는 있어도 그 시기를 지나면 대한민국이 인구 3천만 정도의 쾌적한 국가가 될 수 있죠. 물론 거기에 맞는 정책이 중요할 것이고, 다문화 따위 짓거리로 어거지로 인구 늘리려 하다가는 유럽 같은 꼴이 나는 겁니다. 미래를 생각한다면 차라리 인구가 감소하는 사회에 맞춰 정책을 펼쳐야 할 것입니다.
@sweetfan3250
@sweetfan3250 Жыл бұрын
한국인피로 한국을 채워야지 똥문화는 역사 조상 문화등달라 단합력 와해된다. 자국 우선주의로 세계는 회귀하는 마당에 시대 뒤떨어진 정치사기꾼들!!!
@integrity1897
@integrity1897 Жыл бұрын
수도권으로 인간들이 집중하니 온갖유형의 인간들이 다 모여서 싸우고,데모하고,범죄일으키고,사건사고나서죽고, 서로지배할려고하고, 미개인들이 똑똑하다고 어거지주장하고,지식인은 사기치고, 바르고 정직하게 문제해결할려는 지도자는없고, 헐뜯고 욕하고 비난하고 돈많은 놈들은 나라가 씹창이나던 상관없이 개처럼남녀가붙어서 그짓거리하면서 여행다니고, 죄의식 없이 범죄저지르는걸 자랑스럽게여기는인간들이 천지고,인간성 말살시대가 도래했다.
@user-bm3rt4qi8v
@user-bm3rt4qi8v Жыл бұрын
공감ㆍ👍👍👍🥰
@tigerkim4357
@tigerkim4357 Жыл бұрын
👍👏
@user-hf5fx2ce3w
@user-hf5fx2ce3w 5 ай бұрын
그것도 자원 규모가 어느 정도 받쳐주는 나라에 해당되는 거고 우리나라는 인구가 곧 자원이기 때문에 인구 감소는 곧 국력 하락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특히 초초고령화 사회인 대한민국은 더욱더...
@randynoh
@randynoh Жыл бұрын
빈집 보유세를 높이고 빈집 보수 관리가 안되면 과태료를 부과하고 가능하면 관리안되는 주택은 국가가 매입해서 장기적으로 계획도시로 만들 시나리오를 짜야할듯
@e-mo9435
@e-mo9435 Жыл бұрын
우짜라꼬?????? 서울광장 시장 가바라 그그그 동네시장아....(님은 안해) 기본 먹거리가 깔려야 그 동네 일부러 찾아간다 시장 활성화 되면 그동네 마이 찾아온다 해외연수 이런거 가지말고 서울에 광장시장이 왜 버글 버글 하는지 5일동안 연수 명목으로 시장만 댕기바라 쳐 먹어보고.... 그동네시장아(님은 제외) 사실 간단한데..... 너그들은 밖에 돈(세금) 쓸 생각만 하니 그렇자네....... 맞나 안맞나??? 그동네시장아..... 밑에 놈들도....
@user-qs6xk6pz7d
@user-qs6xk6pz7d Жыл бұрын
그냥 서울경기에 다 몰아넣어서 메가시티 만들고 나머지는 관광지나 농경지로 돌리는게 답임. 막을 수 없는 흐름임
@user-sz1uf5oq5t
@user-sz1uf5oq5t Жыл бұрын
시골만이 아니고 중소도시만도 아니다 수도권을 제외한 5대광역시도 인구가 줄고 급격한 노령화가 진행되고 있다
@user-hg4ts9ks3r
@user-hg4ts9ks3r Жыл бұрын
시골에 빈집이 넘쳐나도 상속받은 자식들이 팔지도 않고..귀촌하려해도 ..간혹..이장님 갑질에 ..마을사람 중 타지인에게 텃세 부리는 어르신들도 있고..마을발전기금 내라는곳도 있고..안타깝지만.. 그냥 소멸하는 수밖에.
@user-yq8pw8rt3d
@user-yq8pw8rt3d 8 ай бұрын
왜 지방소멸 인구감소로 유난을 떠는지 이해가 안가네. 이 좁은 땅떵어리에 인구가 너무 많아서 인구가 줄어드는건 지극히 자연스런 현상이고 이건 자연의 법칙임.
@sungminlee8568
@sungminlee8568 Жыл бұрын
지역이기주의 배타주의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텃새 소멸은 자업자득 소멸 되는게 맞다고 봄
@jhp0753
@jhp0753 Жыл бұрын
빈집 파는 자식들도 많이 없지만 귀촌해봐야 텃새가 심해서 누가 들어가려하겠어
@amy-lw8il
@amy-lw8il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는 서울에 무슨일 생기면 하루아침에 소멸할듯 문제는 정치입안자들이 지방엔 연고가 없거나 지방과 이해관계가 없어 관심자체가 없다는거지 우크라니아처럼 누가 와서 편입해가도 물끄러미 쳐다볼건지?
@user-kj6sh5un4g
@user-kj6sh5un4g Жыл бұрын
면사무소 없ㅇ애야한다 사람도 없는데 면사무소 유지는 왜하냐? 못없애면 최소인원만남겨야함
@user-gj2ew4vb4e
@user-gj2ew4vb4e Жыл бұрын
저두 지방 살구있구요. 허름한 시골집이지만, 머무르고 사는데 아무런 해도 없고요. 또 새집증후군 보다 살기 훨씬 낫네요😊
@kangkang9900
@kangkang9900 Жыл бұрын
오늘 저희 앞집이 서울로 이사나갔습니다. 이런 뉴스까지 접하니까 마음이 싱숭생숭하네요
@user-uj8sq8ig9q
@user-uj8sq8ig9q Жыл бұрын
서울로~고고~~
@kwon_dong_choi_kang_vip
@kwon_dong_choi_kang_vip Жыл бұрын
부럽다 서울로 이사간다니.. 나도 빨리 깡촌 동네 탈출하고싶다
@kwon_dong_choi_kang_vip
@kwon_dong_choi_kang_vip Жыл бұрын
@Jacob Jordan ㄹㅇ.. 지방 읍단위 동네에서 20년 살아봤는데 깡촌은 답없음ㄹㅇ 발전도 안되고 인프라ㅅㅂ 개 좆구리고 탈출이 답임 귀농은 ㅅㅂ무슨
@user-mg4eh6ts5k
@user-mg4eh6ts5k Жыл бұрын
나는 배운게 농사뿐인데 한양가면 뭐먹고 살아요.. 앞집이 부럽네요 나도 출세하고싶다
@jaehoonha6
@jaehoonha6 Жыл бұрын
서울을 죽여야 지방이 산다
@kyungsoo5058
@kyungsoo5058 Жыл бұрын
도시에 지쳐서 귀촌하는 사람들 많아지는데 왜 텃새를 하냐? 당신들이 마을 발전 기금이니 뭐니 텃새를 하니까 사람이 더 안오는거 아니냐? 이딴 기사말고 실질적으로 촌에 귀촌하면 텃새로 쫏아낸다는걸 보도해라 나도 귀촌 하려다가 마을 발전기금 어쩌구 하는 텃새 보고 접었다 이딴 촌이라면 사라지는게 답이라고 본다 ㅡㅡ
@pacodilucia
@pacodilucia Жыл бұрын
저러면서도 외지사람 싫어하고 마을 발전기금?내라하고...
@user-hv1zx1xd4q
@user-hv1zx1xd4q Жыл бұрын
거긴 땅 좀 있는곳들임...저 뉴스에 나온곳들은 유령도시라서 사람들이 안올걸요? 주변 인프라도 없는데..
@user-ho8mo3rw4c
@user-ho8mo3rw4c Жыл бұрын
익산 중앙동이네... 와....나 젊었을때 번화고였는데..
@user-ic1dj5tf7r
@user-ic1dj5tf7r Жыл бұрын
모든걸 수입해서 먹고 외국인 노동자도 많이 들어오고 로봇도 도입 되는데 오직 성과 핏줄에 대해서만 옹졸 , 편협, 지독한 한국!!!!!!!! 한국의 핏줄 이기주의 문화!! 한국은 이 핏줄 문화 때문에 반드시 망합니다.!! 인구 전문가가 중국도 문화 혁명 때에 유교 문화 제거 하고 일본도 유교 문화가 많이 사라졌는데 한국만 유교 문화가 강해서 결혼->출산 밖에 생각을 못한데요. 한국은 세계최저 출산율 이죠. 매달 그 세계 최저를 스스로 갱신 하고 있구요.!! 한국은 동거 비율이 세계 최저 입니다. 일본인 사유리는 합법적으로 일본에서 정자 기증 받아서 출산 했구요. 미국은 한해 수만명씩 정자 기증으로 태어 난데요. 중국은 싸이트 내걸고 대리모 사업을 하고 있구요. 우크라이나는 대리모가 합법 입니다. 축구 선수 호날두는 총각 일때 대리모 통해서 애를 가졌죠.! 한국은 OECD중 공공정자 은행 없는 유일한 나라 입니다.!! 총각이든, 처녀든, 부부가 대리모 통해서든 , 부부가 남의 정자 받아서든 아기 갖고 싶어 하는 사람은 능력 되면 누구나 가지게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오직 한국만 모든게 막혀 있고 사람들의 인식 , 법과 제도가 옹졸 , 편협된 생각 가지고 있다고 생각 합니다. 특히 핏줄에 대해서는 아주 심하죠!! 일본인 사유리가 아기와 같이 나온 방송에서 한국 아줌마들이 사유리에게 "애가 아빠가 없어서 어떻하냐~ 안됫다~ " 라고 하니까 사유리가 "그럼 아줌마 아들을 저에게 장가 보내세요" 라고 하니까 아줌마들이 아무 말도 못했다고 합니다. 조선시대부터 유교적 성억압 사회 성인의 야동 금지는 한국이 거의 유일. 야동 ,성매매,유사 성행위 금지. 동성애 , 리얼돌 반대 시위. 고등학생들에게 콘돔 사용법 성교육하자 학부모가 항의해서 취소됨. 공부하는 기계로 학생 키우는 나라. 기본 쾌락 말살 시키는 나라. 동거 비율 세계 최저. 비혼출산 oecd 평균 39% 한국은 1%. Oecd 중 공공 정자 은행 없는 유일한 나라. 미국은 한해에 수만명씩 정자 기증으로 태어남. 중국은 대리모 사업이 호황. 성이라면 치를 떠는 한국. 성진국 이라고 놀리는 일본은 출산율 1.3명. 성을 감추기만 하는 한국은 출산율 0.78명 성진국 보다 먼저 소멸될 나라.!!!!
@user-ho8mo3rw4c
@user-ho8mo3rw4c Жыл бұрын
@@user-hv1zx1xd4q 앗 번화가...
@user-hv1zx1xd4q
@user-hv1zx1xd4q Жыл бұрын
@@user-ee5ke3ko9t 인성보소?
@rukka5404
@rukka5404 Жыл бұрын
시골에 빈집은 외이리 않파는지..? 나도 5년뒤 퇴직해서 시골가서 빈집구입해서 사려는데 팔지도 않고, 매도 금액도 터무니없이 비싸고, 도대체 이해 불가함. 가격이 저렴해야 구입하지..?
@Jungseongeun
@Jungseongeun Жыл бұрын
외않되!!!
@xoxoopark3836
@xoxoopark3836 Жыл бұрын
수요가 있으니까 비싼거죠 촌도 중심지는 비쌈
@rukka5404
@rukka5404 Жыл бұрын
아녀유. 시골 외딴 땅도 억시게 비싸유
@leena9853
@leena9853 Жыл бұрын
@@xoxoopark3836 수요가 없어도 비쌈
@user-rj1hi9jr4l
@user-rj1hi9jr4l Жыл бұрын
경북 구미는 싼데 많아요
@jtkim5770
@jtkim5770 Жыл бұрын
국회의원 확 줄이고, 정부-- 멀쩡한 청사 이전, 국방부 관사 이전 등등 개 뻘 짓 하지 말고, 저출산에 맞게 공무원 줄이고, 시골에 이주하면 개보수 비용을 일정 부분 무상으로 지원 해주고... 방법은 많은디....
@auto3878
@auto3878 10 ай бұрын
지방 소멸 -> 외국인들이 터 잡고 본인들만의 작은 나라로 꾸밀듯 이건 지방의 소멸이 아니라 한국이 점점 뺏긴다는거임
@sunan8262
@sunan8262 Жыл бұрын
지역균형 발전 실패죠 그래도 한국 국토인 이상 사람들이 적게 살거나 없다고 방치할 수 없고 저것도 나중에 다 나라 부담이 돼요. 이제 수도권집중 안하고 싶어도 사람들 일자리나 인프라때문에 더 몰릴 거고 더 악화되는 악순환에 들어선거 같아요 진작 뭘 했어야 하는데 그냥 정치인도 국민도 솔직히 뒷전이었고 한국은 그냥 예상되었던 문제점들 다 해결못하고 다 직면하게 생겼네요. 지금 뭘해야 해결이 될까...파격적인 정책 아니면 방법 없을 거 같은데 그게 될까
@eeek-gt4jv
@eeek-gt4jv Жыл бұрын
서울대 교수님 초청강의 들었는데 지금 체감이 안되는 구간이래요.. 체감이안되고 눈에 보이지않으니 정치인이랑 국민이 관심이없는거래요 체감되는순간 이미늦은거라고.. 답이 없어요 여기 댓글만봐도 귀농 귀촌얘기 텃새얘기하는데 지금 그런게문제가 아니라 광역시도 문제가 되는판인데.. 답답합니다 ㅠ
@fgwgsujkjgfdjk7854
@fgwgsujkjgfdjk7854 Жыл бұрын
이런때 정치인들 역활이 중요한데 여야 할꺼없이 지들 이권만 챙기기 바쁜 인간들이라. 큰일입니다 저출산 문제는
@user-ic1dj5tf7r
@user-ic1dj5tf7r Жыл бұрын
모든걸 수입해서 먹고 외국인 노동자도 많이 들어오고 로봇도 도입 되는데 오직 성과 핏줄에 대해서만 옹졸 , 편협, 지독한 한국!!!!!!!! 한국의 핏줄 이기주의 문화!! 한국은 이 핏줄 문화 때문에 반드시 망합니다.!! 인구 전문가가 중국도 문화 혁명 때에 유교 문화 제거 하고 일본도 유교 문화가 많이 사라졌는데 한국만 유교 문화가 강해서 결혼->출산 밖에 생각을 못한데요. 한국은 세계최저 출산율 이죠. 매달 그 세계 최저를 스스로 갱신 하고 있구요.!! 한국은 동거 비율이 세계 최저 입니다. 일본인 사유리는 합법적으로 일본에서 정자 기증 받아서 출산 했구요. 미국은 한해 수만명씩 정자 기증으로 태어 난데요. 중국은 싸이트 내걸고 대리모 사업을 하고 있구요. 우크라이나는 대리모가 합법 입니다. 축구 선수 호날두는 총각 일때 대리모 통해서 애를 가졌죠.! 한국은 OECD중 공공정자 은행 없는 유일한 나라 입니다.!! 총각이든, 처녀든, 부부가 대리모 통해서든 , 부부가 남의 정자 받아서든 아기 갖고 싶어 하는 사람은 능력 되면 누구나 가지게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오직 한국만 모든게 막혀 있고 사람들의 인식 , 법과 제도가 옹졸 , 편협된 생각 가지고 있다고 생각 합니다. 특히 핏줄에 대해서는 아주 심하죠!! 일본인 사유리가 아기와 같이 나온 방송에서 한국 아줌마들이 사유리에게 "애가 아빠가 없어서 어떻하냐~ 안됫다~ " 라고 하니까 사유리가 "그럼 아줌마 아들을 저에게 장가 보내세요" 라고 하니까 아줌마들이 아무 말도 못했다고 합니다. 조선시대부터 유교적 성억압 사회 성인의 야동 금지는 한국이 거의 유일. 야동 ,성매매,유사 성행위 금지. 동성애 , 리얼돌 반대 시위. 고등학생들에게 콘돔 사용법 성교육하자 학부모가 항의해서 취소됨. 공부하는 기계로 학생 키우는 나라. 기본 쾌락 말살 시키는 나라. 동거 비율 세계 최저. 비혼출산 oecd 평균 39% 한국은 1%. Oecd 중 공공 정자 은행 없는 유일한 나라. 미국은 한해에 수만명씩 정자 기증으로 태어남. 중국은 대리모 사업이 호황. 성이라면 치를 떠는 한국. 성진국 이라고 놀리는 일본은 출산율 1.3명. 성을 감추기만 하는 한국은 출산율 0.78명 성진국 보다 먼저 소멸될 나라.!!!!
@3hours242
@3hours242 Жыл бұрын
세상 순리... 망하는 데에는 망하는 이유가 있다. 번성 하는 데에도 그 이유가 있듯..
@serpent977e
@serpent977e Жыл бұрын
문제는 이 망할 놈에 정부는 ㅈ망의 길로 안내를 하고 있고 뭐가 문제인지 모른다는 게 문제.
@20MillionDollers
@20MillionDollers Жыл бұрын
@@serpent977e 뭐가 잘못이 문제인지 모르는게 아니라, 알지만 안하는 것임. 애초에 민생에 관심 자체가 없고, 관심 있는 척만하고, 실효성 없는 제도 대충 내놓은 다음, 예산 삥땅치고 끝임.
@user-us7fi3wn7f
@user-us7fi3wn7f Жыл бұрын
​@@serpent977e 아 ~ 그래서 문재인정권땐 전라도가 경제도좋왔고 인구도넘쳐났었냐 이러한 현상이 윤석열정부 들어서 갑자기 일어난일이냐 민주당 쓰레기들 한테 물어봐라 전라도는 민주당 깃발만 꽃으면 지나가는 개도 찍어줬는데 여짓것 발전못시키고 뭐했냐고 이사람들은 이러한것이 전라도는 단합이잘되고 의리가있다고 착각하고 그들만의 리그에 갇혀사는지역이지 다른 도시는 발전하는데 라도는 발전도못하고 그게뭐냐 ~
@ITHINKIISH
@ITHINKIISH Жыл бұрын
나 어렸을 적 부터 나오건 얘기가 도시는 옆집 사람이 누군지 몇년을 살아도 교류도 없고 인정머리 없다고들 했는데 지금 생각해보면 시골에서 받고 싶지도 안은 관심받고 까딱하면 온동네 사람들이 뒷담 깔 수도 있겠다 생각하니 차라리 그게 나은듯.. 인구도 줄고 예정된 수순…인듯
@user-ye1fe8wu8m
@user-ye1fe8wu8m Жыл бұрын
이렇게 이런식으로 간다면 더이상 희망없이 무너지고 나라 근본자채가 없어지고 자연스레 없어지고말죠 이문제는 개개인마다 문제도 있겠지만 정치하는 사람들 핵기적인 대책을 내놓아야하지요 언제까지 권력싸움에 몰두하고 몰두하고 이게뭐야 정신들 똑바로 차리세요 제발부탁합니다
@user-tk1wi6ew2u
@user-tk1wi6ew2u Жыл бұрын
지방 소멸 = 수도권 집중 수도권 집중은 다시 수도권 집값 상승 악순환의 시작
@getme7270
@getme7270 Жыл бұрын
시에서 땅을 싸게 팔 수 있게 땅주인 설득하고 해서 빈집 철거 하고 집이나 건물만 지을려고 하지말고 대신 나무심고 거리를 조성하면 좋을꺼 같은데.. 환경적으로도 좋구
@roogyoo2611
@roogyoo2611 8 ай бұрын
지금 지방이 문제가 아님...2~30년후부터 지방.수도권.서울 할거없이 우리나라 전체인구가 서서히 지금 4분의 1로 줄어들을것임 ..기업들도. 물건 만들어봐야 소비해줄 국민들이 줄어버리니 기업 들도 쪼그라들음
@junyshin5843
@junyshin5843 Жыл бұрын
근데 지방뿐아니라 서울사는데 서울에도 인구 줄어든거 문득문득 느껴져요..학교에 반수랑 애들수도 엄청 줄고... 제발 개발 쉽다고 신도시만 띄엄띄엄 짓지말고 걍 구도심을 개발해야지.... 이리되면 구도심 신도시 둘다 죽을거 같은데....
@user-wy8em2ti6z
@user-wy8em2ti6z Жыл бұрын
시골마을 텃세 이장이 마을기금내라 머라 머라 불이익이 많은것도 사실 시골드가는게 쉽지않아 안가는게 맞아.
@MrChung75
@MrChung75 Жыл бұрын
지금은 시골에 국한돼있지만 몇년 안되서 서울도 똑같아 질것입니다.인구가 줄어들수록 학교도 줄어들고 당연히 빈집이 늘어나는것이 기본원리이다.전국적으로 빈집이 늘어날것이니 집걱정은 안하셔도 되고 노후에 조용히 살아가는법을 터득하는것이 지헤로운 생각입니다.
@user-lm5fe5wv9s
@user-lm5fe5wv9s Жыл бұрын
진짜 문 빨리닫는거 ㅇㅈ 시골내려가서 저녁먹다가 뭐 사러나가면 다 문닫았음; 6시되가던 시간쯤이었는데 진짜 이런곳에 사람 어떻게 사나 궁금함
@user-db8wf2sq4r
@user-db8wf2sq4r Жыл бұрын
지방 광역시들도 점점 빈집이 많아지는.....너무 모든게 수도권으로 쏠리다보니 지방은 대도시 소도시 할꺼없이 인구감소되는듯요
@bjkim3443
@bjkim3443 Жыл бұрын
빈집이라도 막상 사려고하면 몇억씩 부르는게,, 참 어이없어서..발길돌린다..! ^^
@user-fj7tr5cd6t
@user-fj7tr5cd6t Жыл бұрын
몇 억은 넌센스고, 비싸게 부르는 건 맞지 싶네요.
@user-cc2ih9nv4g
@user-cc2ih9nv4g Жыл бұрын
좀 구라를 사실인양 말하지좀 마세요 집살돈도 없으면서
@user-on4uj8nj5e
@user-on4uj8nj5e Жыл бұрын
​@@user-fj7tr5cd6t진짜 패가인대도 평당50심하면 250. 토지면적대비 용적률 20퍼박에안되니 100평해도 단독주택이20평때. 사려고보니 당현이 주변땅까지같이구매해야되서 2천이면살거 기본5천부터 시작하죠
@nopregnant
@nopregnant Жыл бұрын
집이나 땅이나 앞으로 감소 가속화 붙어요 넉넉잡고 2030되면 지금보다 훨씬 쌀거임 다들 영원히 살줄알고ㅉㅉ
@dowoonu
@dowoonu Жыл бұрын
정신나간소리좀 하지마라 밖에 나가서 바람도 좀 쐬고 다녀 집안에만 있으니까 조현병이 생기잖아
@legion5202
@legion5202 Жыл бұрын
사람이 아무런 인프라 없는 곳에 남아 있을 리가 있나 지방 특색을 살려 투자를 해서 일으켜야 하는데 안그러니까 전부 수도권으로 몰리잖아. 아직 의원들은 경각심을 몰라. 그러니 밥그릇 싸움이나 하고 있지. 진짜 국민들이 일어나서 의원들 식겁 하게 만들지 않는 이상 안 변함.
@cobaltlee2115
@cobaltlee2115 Жыл бұрын
우리동네도 사람이 없어 하나있던 마트마져 지난달에 문닫음ㅠㅠ 사람이 없으니 밤만되면 유령도시같음 앞뒤로 빈집 ㅠㅠ
@Kimssi-
@Kimssi- Жыл бұрын
실례지만 어느지역이신지 알수있을까요 ? 요즘 시골살이에 관심이 있어서요
@food-master
@food-master Жыл бұрын
지방 소멸을 받아들이고 거점 도시로 인구를 몰아야 함.
@user-hg4cc8ze5g
@user-hg4cc8ze5g Жыл бұрын
가려고 알아보면 시골집들도 어쩜 그렇게 비싼지...
인구 소멸에서 가장 안전한 도시는 바로 이곳입니다.
12:06
Super sport🤯
00:15
Lexa_Merin
Рет қаралды 20 МЛН
Omega Boy Past 3 #funny #viral #comedy
00:22
CRAZY GREAPA
Рет қаралды 32 МЛН
Sigma Girl Education #sigma #viral #comedy
00:16
CRAZY GREAPA
Рет қаралды 75 МЛН
Do you have a friend like this? 🤣#shorts
00:12
dednahype
Рет қаралды 45 МЛН
[MBC 뉴스투데이]전북권 뉴스 2024.05.27(월)
20:06
전주MBC News
Рет қаралды 126
Super sport🤯
00:15
Lexa_Merin
Рет қаралды 20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