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구규제, 한국이 20세기로 롤백됐다" 게이머 관세사 격분

  Рет қаралды 361,657

김성회의 G식백과

김성회의 G식백과

29 күн бұрын

✔️무꿈사TV 오덕 관세사(토모요 맘, 행정학 박사) 정재환 교수 ㄳㄳ
📪 Business Contact: SANDBOX NETWORK
🎥 유튜버, 스트리머를 위한 방송세팅: www.drgo.pro
#직구규제 #해외직구 #서브컬처 #직구금지 #피규어

Пікірлер: 2 800
@무꿈사
@무꿈사 27 күн бұрын
안녕하세요 G식구여러분. 1세대 미연시 덕후... 아니 게이머 정재환입니다. 카드캡터 사쿠라 토모요(한국명 : 지수)를 응원합니다. 에어와 클라나드 사랑합니다. 투하트도 좋습니다. 무꿈사채널 구독해주시면 직구하다 걸렸을 때 신속하게 해결해드립니다!
@gsbg
@gsbg 27 күн бұрын
토모요 피규어 직구를 위해 관세사가 된 남자
@masik7993
@masik7993 27 күн бұрын
@ghtkj509
@ghtkj509 27 күн бұрын
같은 덕후로써 응원합니다!
@user-sw2he8ix4s
@user-sw2he8ix4s 27 күн бұрын
ㅈ같으면 내가 뛴다의 바른예
@kuchuchu1357
@kuchuchu1357 27 күн бұрын
사꾸라 사진덕후 코스덕후 토모요면 어쩔 수 없죠ㅋㅋㅋ
@Chicago_Ohare
@Chicago_Ohare 27 күн бұрын
나라가 후퇴하고 있다고 느끼면 개추 ㅋㅋㅋㅋ
@the_circle.
@the_circle. 27 күн бұрын
일단 나부터~
@ic8928
@ic8928 27 күн бұрын
윤두창 그저대단하다 대단해
@beramodel738
@beramodel738 27 күн бұрын
어짜피 망한나라야~ 이러는데도 애 낳으라고? 응 안낳아~
@jimmyedward518
@jimmyedward518 27 күн бұрын
@@shellparing 진짜 나라 꼴 잘 돌아가네요~~ 백투어패스트~~
@Chicago_Ohare
@Chicago_Ohare 27 күн бұрын
@@shellparing 두창견 피의 쉴드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rolypoly3605
@rolypoly3605 27 күн бұрын
흠...국민들이 핸드폰을 싸게 산다고??? 단통법 흠...국민들이 요금제를 싸게 쓴다고??? 알뜰폰규제 흠...국민들이 책을 싸게 산다고??? 도서정가제 흠...국민들이 직구로 싸게 산다고??? 직구규제 흠...해외기업들이 인터넷을 싸게 쓴다고??? 망사용료 흠...게이머들이 게임을 맘대로 한다고??? 셧다운제
@Flluma
@Flluma 27 күн бұрын
다큰 성인(국민)이 야겜을 한다고???지역락
@yacosive
@yacosive 27 күн бұрын
흠... 국민들이 살아 있다고??? ->...
@hawawa-
@hawawa- 27 күн бұрын
이번기회에 전부 없애버렸으면 좋겠다
@junyoungshin1286
@junyoungshin1286 27 күн бұрын
흠...국민들이 늘어난다고??페미우호정책=여성전용 주차장=남여갈등 조성=출산율0.6
@SparrowBread
@SparrowBread 27 күн бұрын
@@Flluma휴벌 ㅋㅋㅋ⫬ㅋ ⫬ㅋ ⫬ ㅋ⫬ㅋ ⫬ㅋ ⫬ 프랑스 단두대 마렵네 ㅋㅋㅋ
@tylee1991
@tylee1991 26 күн бұрын
43:58 이제 사람들이 내 개인적이었‘던’ 분노 포인트에 공감해주기 시작했다ㅠㅠㅠ 아니 ㅆㅂ 30°C만 넘어가면 못살고 죽는 비병원성 비기생성 선충으로 연구좀 하겠다는데, 그게 검역 리스트에 없다고 폐기.. 만원도 안되던 strain 폐기한다고 5만원 내는거 실화임? 심지어 폐기 절차 안알려줘서 그거 찾느라 3개월 넘게 보관할 수 밖에 없었는데, 그 보관비용도 10만원정도 나왔던걸로 기억.. 결국 생식능력없이 다 사멸한 선충찌꺼기 폐기한다고 돈이랑 시간 날린거랑 결국 연구 계획 다 엎어지고 다른걸로 바꾼거 생각하면 참.. 근데 이게 이제 일반인에게까지 적용된다는거잖아요? ..우리나라 어찌될려나 참..
@user-mv3bm8wy4y
@user-mv3bm8wy4y 18 күн бұрын
이공계 지망생 통한의 개추
@user-bamnamu
@user-bamnamu 26 күн бұрын
"게임 셧다운제" 도 청소년을 "보호" 한다는 말로 실행되고 결국엔 게임을 사회적 "악"으로 몰아세우고 게임하는 이들을 "사회적부적응자" "성숙하지 못한자" "치료가 필요한 환자" 들이라며 오히려 사회적 인식이 더 않좋아졌습니다. 이번 "직구금지" 도 "보호와 안전" 이란 명목아래 시행 되어 어떤부작용이 나올지 단지 취미 생활을 하는 이들을 "그저 철없는 인간들" 로 해외직구 유아용품을 쓰는 부모들에겐 "자녀의 안전도 생각하지 않는 부모" 라며 손가락질 당하는 그런 사회가 되지는 않을까 벌써부터 두렵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관심 가져주었으면 하는 일인데 영상으로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Pra_seodymium
@Pra_seodymium 27 күн бұрын
보류니 사실상 철회니 같은 말장난 언론플 하지 말고 '전면 철회' 내놔라 FTA에 헌법까지 어겨가면서 그렇게 지갑 불리고 싶냐?
@binsuya_patbinsuya
@binsuya_patbinsuya 27 күн бұрын
보류, 사실상 철회 이 따위 말장난 치는 게 제일 역겨움
@user-oq1lk6mo7k
@user-oq1lk6mo7k 27 күн бұрын
추가로 민영화 폐지 이게 근본임 또 지랄남
@pyeon2nim
@pyeon2nim 27 күн бұрын
그래서 FTA를 개정한다네요~
@caspalug
@caspalug 27 күн бұрын
이젠 아예 FTA 개정까지 해보려 드는중임
@user-oq1lk6mo7k
@user-oq1lk6mo7k 27 күн бұрын
@@caspalug 시위 wto 밖에 없는 www 이게 민주주의?
@user-qk7zm6pp9c
@user-qk7zm6pp9c 27 күн бұрын
이번규제의 킬링포인트 1.5월발표,6월적용 2.수출로먹고사는 나라에서전셰계를등지는법안 3.kc민영화 4.죽어도 철회는아님 5.국무조정실발표지만 대통령이 소식모름(이게 하이라이트) 6.직구금지로 개인의 EMS택배도잡는다(공산국가인가) KC인증보다 기준이 더빡빡한게 유럽의 CE인증인데 이인증보다 KC인증이 우선시되는거는 누구대가리에서나온아이디어인지 아니면 뒷돈을 얼마나 쳐먹었길래 이러는지 이제는궁금하네요
@user-ld2su3ny9j
@user-ld2su3ny9j 27 күн бұрын
뒷돈도 뒷돈이고 본인들이 가게 발써 차리던데욬ㅋㅋㅋㅋㅋ
@user-ld2su3ny9j
@user-ld2su3ny9j 27 күн бұрын
뒷돈도 뒷돈이고 본인들이 벌써 가게 차림ㅋㅋㅋㅋ이걸 반드시 시행시키겠다는 의지로 보여서 더 역겨움.
@user-pz8zr7xm3g
@user-pz8zr7xm3g 26 күн бұрын
ce 보다 kc기준이 더 쎕니다 보통 비슷하고 일부 시험기준들은 kc기준이 더 높은게 몇개 있어요 kc안전인증은 일본 인증 그대로 번역해논거에요 ce유럽인증은 기준이 낮아서 ce인증 받은 유럽제품을 수입할때 kc받으면서 몇몇 기준이 낮은 시험들은 실제로 다시 시험 후 인증 내줍니다 간단히 예를들면 전동기 모터류가 kc가 더 쎈데 한국이 김장때문에 믹서기 분쇄기 이런걸 타 국가대비 사용횟수도 높고 1회 사용시 사용시간도 길어서 엄격하게 봅니다 전기히터 스토브같 전열기구 기준도 한국 겨울이 춥고 사용시간도 길어서 이것도 대표적인 예고요 유럽ce보다 독일 tuv가 빡셉니다
@user-zw3tr3lv2n
@user-zw3tr3lv2n 26 күн бұрын
비선실세가 있다는 소리
@user-yx3kn9dk2c
@user-yx3kn9dk2c 26 күн бұрын
모르는게아니라 남탓아닐까
@bjmtime9992
@bjmtime9992 27 күн бұрын
“토종 이커머스 살려라”…정부, 구글세·FTA 개정 검토 22일자 기사입니다.. 여러분 아직 끝난거 아닙니다 ㄷㄷㄷㄷ
@hwang2949
@hwang2949 26 күн бұрын
이제 시작인거죠
@owleyez
@owleyez 26 күн бұрын
걍 한국중소 망할기업들 빨리 망하는게 나아요. 좀비기업 링겔 놔주고 자빠졌네.
@Hanson0687
@Hanson0687 25 күн бұрын
그런데 제조 부품은 해외산이라서 토종 이커머스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해서 갈파고라스가 되는 것임...
@patric249
@patric249 23 күн бұрын
WTO제소 미국경제제재 세컨더리 보이콧 많음 아직 안두들겨 맞아서 정신 못차린거 같은데?
@user-dg4ue8cu3p
@user-dg4ue8cu3p 19 күн бұрын
@@Hanson0687 아무튼 중국산 때와서 파는거지만 토종 이커머스임ㅋㅋ
@user-ul3ed1rt4y
@user-ul3ed1rt4y 26 күн бұрын
이미 kc인증은 민영화해놨음. 어이가없는건 kc마크단다고 안전보장하는것도 아님 문제생겨도 아무도 책임안지면서 걍 중간에서 돈빼먹고 부담은 국민들한테 떠넘기기 ㅋ 임기기간에 해쳐먹을생각뿐
@floydkim4821
@floydkim4821 27 күн бұрын
25일 토요일 경복궁역 정부청사앞에서 직구규제반대시위가 진행됩니다!!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Jun-ws4um
@Jun-ws4um 27 күн бұрын
갑니다.
@user-Chambbong
@user-Chambbong 27 күн бұрын
갑니다
@user-qf2qk7sk8l
@user-qf2qk7sk8l 27 күн бұрын
저는 못가지만 힘내십쇼
@user-ns2bd3ir5x
@user-ns2bd3ir5x 27 күн бұрын
Kc인증 민영화도 함께 반대해야만 합니다. 일하느라 참가는 못하지만 화이팅! 필승하기를 바랍니다!
@user-hd1mm5ve7b
@user-hd1mm5ve7b 27 күн бұрын
못가지만 힘내세요!
@comet_905
@comet_905 27 күн бұрын
kc인증이 그렇게 안전해서 가습기 살균제랑 노트7, 천궁이 그 꼴이 난 거구나 ㅋㅋㅋ kc인증 달고 문제 생겨도 책임 하나 안 져왔으면서
@user-aaa95
@user-aaa95 26 күн бұрын
ㄹㅇㅋㅋ 그리고 알리테무만 자꾸 언급해서 혐중에 묻어가려 하는데 6:46 쿠팡은 미국기업 아님?ㅋㅋ 왜 한국기업인 것처럼 말할까 정부는 ㅎㅎ
@user-ec6mr2hy7q
@user-ec6mr2hy7q 26 күн бұрын
​@@user-aaa95일본기업 아닌가요? ㅋㅋ
@zipzzui
@zipzzui 26 күн бұрын
쿠팡도 소프트뱅크의.... 결국 다 뺏기는거지
@user-ox1rw9yg6t
@user-ox1rw9yg6t 26 күн бұрын
물주는 일본 대표가 미국이던가 쿠팡
@user-wv6bn6mn5i
@user-wv6bn6mn5i 26 күн бұрын
KC뜻 돈내놓으라고 ㅋㅋㅋㅋㅋㅋ Korea Cash 상납 인증 마크
@realdandy00
@realdandy00 27 күн бұрын
소상공인 같은소리 하고있네. 국내에서 없고 알리에서만 파는거 쿠팡, 네이버, 기타 쇼핑몰에서 결제하면 재고 가지고 있는거 보내는것도 아니고 지들도 부랴부랴 알리에서 주소랑 이름만 바꿔서 주문함. 이러면서 뭔 가격은 5배 이상 올려놓음.
@user-yy2xt1dj2p
@user-yy2xt1dj2p 25 күн бұрын
맞아요. 이게 진짜 없어져야만 하는거지. 이딴걸 뭐하러 살린다고...
@doubble_H
@doubble_H 23 күн бұрын
ㄹㅇ 불법보따리상이 소상공인ㅋㅋㅋ 조만간 마약상도 소상공인 취급해주겠네
@marue2051
@marue2051 22 күн бұрын
에초에 소상공인들도 ㅈㄴ 양심없는 기득권들임 예를 들어 분명 인건비까지 따져도 음식값 만 7천원 나와야 하는걸 만 5천원으로 판다든지
@user-lj6wy2zh2g
@user-lj6wy2zh2g 26 күн бұрын
너무 씹덕쪽으로만 핀트를 잡으시는데 지금 대학교 연구원이라 중소기업 공장들이 난리가 났습니다. 오래된 공장 기계들 연구 장비들 수리부품이 중국에서 직구로 많이 들어온다고 합니다. 직구법 시행되면 연구소나 중소기업이 도산 날 수 있는 위기입니다
@rolypoly3605
@rolypoly3605 23 күн бұрын
딱 일본이 비슷한걸 했다가 중소기업 국민 모두 피봤었죠...
@Taste-detective
@Taste-detective 27 күн бұрын
1. KC인증 단체는 비영리 기관이였다 2. 산자부에서 2023년 10월 17일 전기,생활 용품 안전관리법 시행령을 바꾸자고 의견을 냄 3. 23년 9월 ~ 24년 1월에 법안 2개를 발의 함(이 중 하나가 직구금지 시행령) 4. 23년 12월 26일 조금씩 고치면서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 업무를 산자부에 권한을 줌 5. 같은날 비영리법인에서 비영리를 삭제하고 영리법인, 영리단체로 변경함(1번 비영리에서 -> 민영화로 바뀜) 6. 민영화로 바뀌니 KC 인증 마크를 자체적으로 찍을수 있는 구조가 만들어 짐 7. 갑자기 산자부 장관이 변경 되고 전기,생활 용품 안전관리법 시행령을 다시 발의 함(직구 금지 법) 8. 다만 발의 한 날로부터 1년 후 시행이 되어야 되는데 즉시 시행으로 바뀜(6월부터 직구 금지 하기로 했던) 9. KC인증 영리 업체가 돈을 벌수 있는 구조로 산자부에서 2023년 10월부터 만들어 놓음 10. 관리자가 공포하면 즉시 적용이 되는 법안을 만들어 놨는데 이미 수입 제품들은 KC인증을 하고 팔기 때문에 돈이 되지 않음 11. 2024년 4월 5일 갑자기 일본에서 식품 사고가 있었으니 해외직구 TF 시스템을 잘 구축 해달라고 요청을 했음 12. 일본 사고 근거로 24년 5월 16일 해외 직구 원천 차단을 발표를 했음 13. 일본 식품 문제로 원천 차단만으로는 약한지 중국 제품에 문제가 있다는 발표를 하게 됨 14. 이로써 안전인증 검사 하는 업체로 선정이 된다면 엄청난 돈을 벌수 있게 됨(비영리에서 영리로 바뀌였기 때문에. KC민영화) 15. 지금 시점에서 직구 금지 사실상 철회라고 뉴스가 나오고 있지만 법제처에 시행령 3개는 검토 중에 있기 때문에 진짜 직구 철회가 아님 더 짧게 요약하자면 kc인증 민영화로 바꾸고 돈을 찍어 낼수 있는 기초가 이미 23년도 10월에 만들어졌음 출처 : 고양이뉴스
@stell6643
@stell6643 27 күн бұрын
고양이뉴스는 좀 ㅋㅋㅋ 고장난 시계도 두번은 맞는구나 역시
@Shadow_Border
@Shadow_Border 27 күн бұрын
​@@stell66433년 내내 고장나 있는 어느나라 정부보단 고장횟수가 훨씬 적을 거 같은데요
@FlandreS2
@FlandreS2 27 күн бұрын
대한민국에 무슨 이상한 법이 있을 때 돈이나 중국을 찍으면 대부분 정답이다.
@DG_Seo
@DG_Seo 27 күн бұрын
비영리기업일때도 민영화 상태였음. 비영리=민영화가 아님.
@user-ld2su3ny9j
@user-ld2su3ny9j 27 күн бұрын
ㄹㅇ 추천드렸습니다 얼른 위로 올라가세요
@KR-or4nz
@KR-or4nz 27 күн бұрын
근데 한국은 무역하는 나라라는 문제임 뒷감당 안하고 그냥 해버리고+해놓고 생각하죠ㅋ 라는게 제일 빡침 경제적 보복 오면 국민들이 받는거임 대통령이 받는게 아니라 질러놓고 지일 아니라는거임
@user-bp7jx8we7f
@user-bp7jx8we7f 27 күн бұрын
와..진심 이거 극 공감인게 현재 공공기관 재직중인데 이전사람이 뭐 만들어서 시행하려는데 보완점 말하니까 차차 보완하고 일단 수행하자한 다음에 보완하려니까 나몰라라 ㅋㅋㅋㅋㅋ 미친거 같음
@user-qy8im6hx8m
@user-qy8im6hx8m 27 күн бұрын
무역이 메인인 나라에서 ㅋㅋㅋㅋㅋ진짜 꼴 잘돌아가는거임
@user-xj1xr7mq1v
@user-xj1xr7mq1v 27 күн бұрын
윤석열 일본을 벤치마킹 하는 거 같은데 일본은 내수를 할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서 타격이 별로 없음 근데 우리나라는 내수라고는 택갈이랑 무역해서 돈 벌어먹는 나라인데 직구규제 해서 KC 인증 으로 세금도 뜯고 정치인들 만 이득보고 국민들이나 나라 경제 타격 받는건 아무 관심 없음 공산당이 따로 없습니다
@ratronatro
@ratronatro 27 күн бұрын
그 방식으로 2년동안 아이폰 수입막고 삼성갤럭시를 살린게 뽕을 엄청 뽑아서 악습으로 남은거임. 근데 그것도 아직 나라가 신생 발전국 취급을 받았으니까 그리하고도 미국이 넘어간거였지 지금은....에휴... 더 큰 문제는 현정부도 양파처럼 깔것만 나와서 문제지만 전정부도 무역에서 타격받을 짓을 해놓고 자기네 지지자들 이용해서 이웃나라 불매운동 시킨거 보면 특정 정치인'만'의 문제가 아님. 적지않은 일부 사회 구성원의 구태적이고 낡아빠진 인식도 같이 물려서 생긴 악순환이지.
@tlqkf_chyla
@tlqkf_chyla 27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 수출품은 전부 2차 가공이라 큰 타격없음
@QuintusStatiliousProcorpius
@QuintusStatiliousProcorpius 26 күн бұрын
속보: 정부에세 9000만원 주고 직구의 나쁜점을 찾아줄 용역구하는중
@MrMdos
@MrMdos 25 күн бұрын
국민청원 올라와서 반나절만에 5만돌파했는데 "반박의견 별로없다" 면서 언플하고 있는게 현실입니다 "우리는 항상 거짓으로 진실에게 빚을 집니다 그러나 거짓을 아무리 반복하여도 진실은 그 자리에 있기에 우리는 그 댓가를 언젠가 지불하게 됩니다" (미드 - 체르노빌) 에어소프트는 가뜩이나 억까투성이였고 해외서 70만원하던게 국내 업자 거치면 150만원 200만원되는게 현실인데 어이가 없습니다 ㅋㅋㅋㅋㅋ
@Aluco12
@Aluco12 27 күн бұрын
빛의 잇섭과 어둠의 김성회가 모두 움직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긴장해야할것
@dogpig4580
@dogpig4580 27 күн бұрын
이름만 들어도 든든한 그들
@Varely258
@Varely258 27 күн бұрын
거기에 조율자 슈카도
@user-rf3cb5rd9s
@user-rf3cb5rd9s 27 күн бұрын
뭔 게임 보스들같네 ㅋㅋㅋㅋ
@kunye4542
@kunye4542 27 күн бұрын
잇섭 김성회 슈카로 3대장 짤 생각나게하네 ㅋㅋ
@user-sf3tg6gz5c
@user-sf3tg6gz5c 27 күн бұрын
아니 다좋은데 김성회는 왜 어둠인데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Tokinada9
@Tokinada9 27 күн бұрын
좌우 양쪽에서 욕먹기 쉽지가 않을텐데 그저 대단허다
@jsk3013
@jsk3013 27 күн бұрын
무역품에는 좌우가 없죠 ㅋㅋㅋㅋ
@user-zo7zx6lg6y
@user-zo7zx6lg6y 27 күн бұрын
아직 윤두창 직구규제 빨아주는 늙은이들이 꽤 많아서 힘듬 하나같이 "이유가 있겠지" 하면서 지지한다고 하더라
@HIVER1340
@HIVER1340 27 күн бұрын
우방국을 상대로 단순 보호무역을 넘어 무역제재 걸어버리는 건데 걍 공공의 적이 되겠다는 말이니 ㅋㅋ...
@k.sora9225
@k.sora9225 27 күн бұрын
단순한 이념 문제가 아니라 시대 정의를 역행하고 있다는 아주 좋은 방증이지.. 흔히 쇄국정책 얘기하는데 쇄국정책보다도 못한 정책임
@adminadmin695
@adminadmin695 27 күн бұрын
좌우가 아니라 지구 전체한테 선전포고
@Sirum_TheArchive
@Sirum_TheArchive 26 күн бұрын
18:00 젤 문제가 이거아닐까요 명확한 가이드라인이랑 해결책이 없는 상태로 기업에겐 해외에서 효과없는 KC마크를 필수로 달지 않으면 우리나라 시장에서는 팔 생각 하지 말라고 하고 국민들한테도 KC마크 없는건 사지 말라고 말해버리니까 국민, 기업상관없이 전부다 이건 아니라고 말하는 거겠죠.
@yzf6667
@yzf6667 26 күн бұрын
커뮤 글중에 젤 웃긴게 쿠팡 쩐주가 소프트 뱅크라던데 네이버 사태떄도 소프트뱅크.....연관잇엇는데 이렇게 되면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누구 주머니는 참 빵빵해진다는건뎈ㅋㅋ
@mmmijuo5407
@mmmijuo5407 27 күн бұрын
참고 : 가습기 살균제도 KC인증을 받았다.ㅋ 하지만 책임지는 사람 없었쮸?
@DoTroll5610
@DoTroll5610 27 күн бұрын
심지어 법원에서 피해보상하라고 판결했는데도 일부러 쌩까면서 질질 끄는중
@user-ct3iy7ms7l
@user-ct3iy7ms7l 27 күн бұрын
따이 스억 이열 ㅋㅋㅋㅋㅋㅋㅋ
@youtude7027
@youtude7027 27 күн бұрын
형사재판 했는데 뭘 더 책임져야하는지 사기당한사람이 나쁘다는 사기꾼논리야 그거
@user-mp9fl1sy1n
@user-mp9fl1sy1n 27 күн бұрын
@@youtude7027 그니까 사기친 kc가 나쁘다고 ㅋㅋㅋㅋㅋㅋㅋ
@user-ld2su3ny9j
@user-ld2su3ny9j 27 күн бұрын
심지어 이제는 민영화시킬꺼라 더 믿을 수 없음
@gillazabi2042
@gillazabi2042 27 күн бұрын
’니들이 지금보다 더 가난해져야 통치하기 편하니까 허튼짓 하지마‘
@peno2623
@peno2623 26 күн бұрын
이거 완전 북한 ㄷㄷ
@Hanson0687
@Hanson0687 23 күн бұрын
​@@peno2623북한 처럼 주체 사상이 아니기 때문에 민중 봉기가 일어날 수 있음
@Awesome-im1sf
@Awesome-im1sf 19 күн бұрын
더불면뒤진당 마인드 말은 달콤하게 할지언정 궁극적인 목표가 이거인 국가전복세력
@ziho2840
@ziho2840 26 күн бұрын
애기들 완구 인체해롭다고 kc인증 받은거만 사라고? 인증받은 리스트에 당당하게 납이 떡칠된 제품이 있는데ㅋㅋㅋㅋ
@sladk3000
@sladk3000 23 күн бұрын
KC인증 제품에 독들어간거 방사능 들어간거 카드뮴 들어간거 태반입니다. 결국 지들 지갑 불리는 수단일뿐입니다... 규제 할거면 다른나라 인증도 인정해줘야 하는거 아닐까 합니다....
@user-qp5xw9oz7y
@user-qp5xw9oz7y 25 күн бұрын
정부에서 "직구를 하지말아야 할 이유"에 대한 보고서를 9000만원 상금을 주고 공모전을 했던데.. 진짜 이것들이 누굴 빙다리 핫바지로 보냐!! 싶더군요.....팩트는 일반 국민들이 싸게 살 수 있는 권리를 뺏는 것 밖에 안된다는 것. 쿠팡 같은 거대기업은 좋겠네요.
@KR-or4nz
@KR-or4nz 27 күн бұрын
참고1:최근(10년전) 일본 pse 사태 라고 있음 인증 안하면 인증 금지! 때렸는데 그때문에 파나소닛 소니 도시바 등 굵직한 일본의 전자제품 시장이 박살 났음
@beramodel738
@beramodel738 27 күн бұрын
​@@_RED_FISH_ 영향이 없진않지
@user-zo7zx6lg6y
@user-zo7zx6lg6y 27 күн бұрын
@@beramodel738 저새끼 다른 영상에서 사람들한테 시비털면서 직구규제 옹호하는 새끼임. 모두 다같이 따뜻한 패드립으로 안부인사를 전해줍시다
@Reard_RIP
@Reard_RIP 27 күн бұрын
원래 일본의 사회현상이 10년후에 우리나라 나타남
@user-ld2su3ny9j
@user-ld2su3ny9j 27 күн бұрын
​@@Reard_RIP이건 10년뒤에 나타난다가 아니라 일본에서 그짓해서 돈번거 보고 못된거 배운거임. 그 대가는 국민이 치르고 세상 양아치같은 대통령. 박근혜도 이러진 않았음. ㄹㅇ탄핵감임
@daf1an12sdf5
@daf1an12sdf5 27 күн бұрын
@@_RED_FISH_관련 논문 많은데 지능 1 방구석 여포가 뭐하노. 구글 스칼라에 검색 한번이라도 해봐라
@cwi1129
@cwi1129 27 күн бұрын
초등학생때 선생님께서 옛날에 국산품 애용운동 추진했다가 해외에서 그럼 우리도 한국물건 수입규제하겠다고 으름장놔서 무산된적있다는 얘길들은적이 있었는데 이걸 30년뒤에 실시간으로 보는날이 올줄은 상상도 못했네요... 역사가 반복되는건지 나라가 퇴보하는건지 모르겠음
@user-qf2qk7sk8l
@user-qf2qk7sk8l 27 күн бұрын
심지어 국산품 애용도 그 국산품이 품질이 어느정도 받춰줘야 해주지 그것도 아니면 그냥 개소리 ㅋㅋㅋㅋ
@user-wy6ch1ts3x
@user-wy6ch1ts3x 27 күн бұрын
웃긴게 국민 건강생각해서 직구규제한다고 까부는데 후쿠시마산 수산물은 그런거 없음 ㅋㅋ 개수작 부리는게 뻔히 보이는데 국민 건강이 어쩌고 국내업체 경쟁력이 어쩌고 하는게 어이가 없음
@SwrfgUub-lh1bb
@SwrfgUub-lh1bb 27 күн бұрын
그때는 무산이라도 된 걸 보면, 지금보다 나았네요 ㅎㅎ
@cdcd2000
@cdcd2000 27 күн бұрын
​@@user-wy6ch1ts3x그 후쿠시마 수산물차단은 19년부터 해왔습니다 좀 팩트로패야 역공안당하니 조심히 공격하시길 권장드리겠습니다
@tqleriasoa3109
@tqleriasoa3109 27 күн бұрын
요즘 국산품 애용운동:매국노
@user-xp6oe9wb6d
@user-xp6oe9wb6d 27 күн бұрын
나라가 시민을 못 살게 구는 정도가 점차 심해지고 있음 미래 세대가 짊어져야할 부담도 적지 않은데, 해결책은커녕 기득권을 위한 법안만 잇따라 나오고 있는 작금의 세태.... 이민에 대해서 진지하게 고민하게 되는 시기인 것 같음
@CBRN-115
@CBRN-115 26 күн бұрын
이거는 국민들을 적대하는 정부이고, 더이상 대한민국을 책임질 자격이 없는걸로 봐도 무방하네
@kimso7738
@kimso7738 26 күн бұрын
돈도 없고 지능도 없는 빡ㄷ가리 이대남들이 부자들한테 자아의탁해서 보수로 가장한 기득권만을 위한 정당 지지하면서 생기는 일.. 한심..
@pjdag60
@pjdag60 26 күн бұрын
그런데 거지가 이민가면 더 거지가 될텐데...
@user-gj8qy9ee6s
@user-gj8qy9ee6s 26 күн бұрын
인간 기본 욕구마저 싹다 규제하는 나란데 무늬만 문화 선진국이지 옆 나라랑 수준은 다를 게 없음 ㅋ
@Hanson0687
@Hanson0687 25 күн бұрын
@@pjdag60 미국은 홈리스와 의료 때문에 거지 신세가 될 수 있음...
@user-eo6ve6id5h
@user-eo6ve6id5h 27 күн бұрын
해외수입규제 듣고 머리속에 하나의 역사가 생각만 들었다 "제네럴셔먼호" ㅋㅋㅋㅋㅋㅋ 과거는 반복된다
@user-wf8wy3tw3p
@user-wf8wy3tw3p 26 күн бұрын
즉 시 포 격
@Euljiro_4
@Euljiro_4 26 күн бұрын
척화비 기습건립
@Gelfoss
@Gelfoss 25 күн бұрын
하응~~❤
@user-qp5xw9oz7y
@user-qp5xw9oz7y 25 күн бұрын
여당의 과거 정체성인 신자유주의 표방을 저버리는거죠.. 그냥 기득권 입맛에 따라 지들 불리하면 또 사회주의식 규제 같은거 없애야 한다 "멸공"ㅋㅋㅋ하면서 또 없앨거고.....참...씁쓸하네요.
@user-gx9kw2ji1z
@user-gx9kw2ji1z 27 күн бұрын
택갈이 산업을 보호해야할 이유가 뭐임? 걍 기생충이잖아? 유통단계만 하나 더 늘리는? 택갈이 애들이 도대체 무슨 생산성을 창출해낸다고
@user-qb2gu9sv8k
@user-qb2gu9sv8k 27 күн бұрын
세금 낸대요
@user-qg8en9ch7q
@user-qg8en9ch7q 27 күн бұрын
민영화 후 준공기업으로 만들어 윗대가리 지인 꽂기
@user-ld2su3ny9j
@user-ld2su3ny9j 27 күн бұрын
KC인증마크 이제 민영화시키려함. 작년에 통과안되서 올해 6월에 통과되려하는데 그거에 맞춰서 규제발표하는거임. 이미 벌써 회사 만들어놧는데 거기 인원들이 작년에 은퇴한 국회의원..ㅎ
@Cooookie21
@Cooookie21 26 күн бұрын
ㄹㅇ ㅋㅋ 쿠팡에서 깔창하나 사려고 보다가 급한거 아니니까 알리에서 한번 봐야겠다하거 갔는데 900원 깔창 택갈이 새키들이 만원넘게해서 처 팔더라 ㅋㅋ
@flsjah
@flsjah 26 күн бұрын
나라에서 되팔렘 새끼들 밀어주는데 말 다 한 거임
@user-mn7mt2ih2g
@user-mn7mt2ih2g 27 күн бұрын
경제 전문가들도 기겁을 했다는 정책 다른 나라에서 우리나라 제품을 보복할 기회를 스스로 주었다고 하죠 국내 기업 지원이지만 이게 미국 해외직구 차단, 일본 해외직구 차단이라는 너무나도 강한 무리수
@hdd4612
@hdd4612 27 күн бұрын
학폭문제 해결하겠다고 학교없앤다는 비유가 제일 공감가네요.....
@legend_of_zelda_k
@legend_of_zelda_k 26 күн бұрын
자유라 외치면서 국민들을 규제하는 나라
@penguinkim1879
@penguinkim1879 27 күн бұрын
이놈의 나라는 왜 권리를 제한하는걸 구렁이 담넘어가듯이 저질러놓고 지키라고 하려고 할까..
@CHOEMUI
@CHOEMUI 27 күн бұрын
잇섭은 국내에서 70~80% 더 비싸게 사고있다고 선동질하던데 정신나간 소리 ㄹㅇ ㅋㅋㅋㅋㅋㅋㅋ 알리 테무 싼 이유를 슈카한테 배워야 할 판
@user-xf3uq3jk7t
@user-xf3uq3jk7t 27 күн бұрын
​@@CHOEMUI팩트 맞는데 5000원 할거 10000원에 팔잖음 물론 직구로 5000원에 사서 한달쯤 뒤에 받을지, 10000원에 사서 이틀 뒤쯤에 받을지의 차이라고 보면 충분히 합리적인건 맞음 근데 그걸 선택할 수 있는 선택권을 뺏겠단건데...
@user-qc3tj4hu8i
@user-qc3tj4hu8i 27 күн бұрын
잇섭님이 언급하신건 동제품 직구로 하면 7-80%저렴(업체주장) 이라 적힌걸 이걸 반대로 말하면 국내에서 최대 다섯배 비싸게 사고있었다는거 아니냐. 라고 하심
@user-xp6oe9wb6d
@user-xp6oe9wb6d 27 күн бұрын
해외 직구면 2만원에 살 부품. 국내 업체한테 사면 10만원임 해외 직구가 싼 이유도 있겠지만, 국내 업체가 지나치게 비싼 것도 사실임 해외와 국내. 선택지가 있는 지금 상황에서조차 국내 업체가 비싸다는 건 분명한데, 이걸 국내가 독점하게되면 얼마나 비싸지겠음?
@H4ru0_
@H4ru0_ 27 күн бұрын
@@CHOEMUI알리 테무랑 경쟁 못 할 거 같으면 택갈이를 하지 말아야지ㅋㅋ 싸게 사는 방법이 있는데 돈 더 들여서 사는 거면 비싸게 사는 거지 싸게 사는 거야?
@user-wu9zo4cl3d
@user-wu9zo4cl3d 27 күн бұрын
이번에도 셧다운제 악법폐지처럼 갈라치기 하지말고 끝까지 눈을 부릅뜨고 악법의 붕괴를 함께 지켜봅시다!
@jsk3013
@jsk3013 27 күн бұрын
진짜 좌우 막론하고 우리나라 정부는 뭘 규제하고 차단하려 하는지 모르겠음.
@mungtaeng_yee
@mungtaeng_yee 27 күн бұрын
​@@shellparing어머련이 복붙 뒤지게 하고 다니네
@pepperbombay1697
@pepperbombay1697 27 күн бұрын
첫 댓글 모든 댓글에 달고다니는거 보면 알바인가보네
@soulessing
@soulessing 27 күн бұрын
@@shellparing 아니 다른사람 댓글이도 복붙 보이는데 정말진짜 진심임? 군복은 일반인이 입는거 자체가 불법이고 총기를 한국이 미국도 아니고 그냥 들고다니면 진짜 총기랑 어떻게 구분하시죠? 그딴걸로 통제 심하네 이건 지성이 부족하신거 아닙니까. 직구 규제는 바보같은 법인건 맞는데 급이 같은걸 들고오셔야죠.
@enteralt4311
@enteralt4311 27 күн бұрын
@@soulessing에솦건은 실총하고 구별하기 위해 형광색 파츠 들어가는데요
@user-fv3km1eq4h
@user-fv3km1eq4h 23 күн бұрын
25일 토요일 직구금지철폐시위 다녀왔습니다 언론사에선 관심도 없는지 코빼기도 안보이더군요 스트리밍도 두어분밖에 안계시고 이제 처음이라 그런가... 시위 한번으로 끝나면 좋겠다만 여러번 더해야겠네요
@user-qw5fb7gu8r
@user-qw5fb7gu8r 26 күн бұрын
민간기업에게 인증을 맡긴다??ㅋㅋㅋ 국민을 얼마나 개무시하면 이딴 정책을 하는거냐???? 뻔뻔하게 두둑히 챙길라고 양심없는짓거릴 ㅋㅋ
@moonsunshin630
@moonsunshin630 27 күн бұрын
리버스:1999(물리)
@aaaa-sk3bw
@aaaa-sk3bw 27 күн бұрын
??? : 어머니가 안계셨구나!
@GAMEB0YADVANCE
@GAMEB0YADVANCE 27 күн бұрын
미쳤다 ㅋㅋㅋㅋ
@yop6484
@yop6484 27 күн бұрын
​@@aaaa-sk3bw이거였네ㅋㅋㅋㅋ
@eemsuhae
@eemsuhae 27 күн бұрын
(정책)
@STANL3Y06
@STANL3Y06 27 күн бұрын
재건의 손 또 너네야?
@FJILHHJL
@FJILHHJL 27 күн бұрын
리듬게임계는 이거에 대해 엄청나게 타격을 받습니다. 사실 리듬게임 오락기 같은 경우 버튼이나 슬라이더 같은경우 많이 고장나고 한국생산이 안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면 오락실계에서도 타격을 입게 됩니다 수리를 못하게 되니까 이 소식듣고 깜짝놀랐습니다. 이제 이 게임을 못 할 수도 있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E스포츠 준비중인 학생이지만 너무 화가나네요 수리를 못하게 되니 게임 자체를 못하니까요 너무 화가 나는 사안이고 오락실 리듬게임 유저들이 게임도 못하고 그러니… 수리도 못하고… 너무 화가나네요 전면철회가 나오길 간절히 빕니다. 제발 도와주세요 ㅠㅠ
@user-md8ym5bh1g
@user-md8ym5bh1g 26 күн бұрын
이나라에서 게임은 질병인데 질병선수될려고하네
@alcohol_soju_drunk1218
@alcohol_soju_drunk1218 26 күн бұрын
전면철회는 투쟁을 통해 쟁취됩니다
@summerstars95
@summerstars95 26 күн бұрын
이제 자체부품수리는 불가능해지는거지. 솔직히 유니아나 통해서 들어오려면 좀 많이 시간이 오래 걸릴텐데...
@summerstars95
@summerstars95 26 күн бұрын
오락실도 오락실인데 홈케이드하던 사람들은 진짜 막막하지 않을까.
@Hanson0687
@Hanson0687 25 күн бұрын
이건 대규모 투쟁이 아닌 이상 지배 계층이 개돼지를 취급받아셔 얕볼 수 있음...
@youg98otme98
@youg98otme98 18 күн бұрын
어렸을 때에도 왠지 모르게 저 KS 하고 품 마크가 거슬렸는데. 뭔가 "우리가 좋다고 인증한거다"라는 걸 생색내는 느낌? 근데 그 느낌이 딱 맞아떨어졌다. 역시 뇌보단 감이야.
@user-ij5km2ef4d
@user-ij5km2ef4d 27 күн бұрын
이게 시행되면 중국은 영향이 적고 오히려 KC인증을 거의 받을수 없는 미국일본유럽에서 직구하는 사람들이 더 피해가 심하다고 합니다 실제 이 3개지역이 중국보다 직구규모가 더 큰게 현실입니다 비싼 유아용품은 중국보다 미일유럽이 많고 먹거리 특히 건강식품도 다 미일유럽인데 이게 다 막히는거죠
@balbam_
@balbam_ 27 күн бұрын
아직도 기사가 하나로 정리된 게 아닌 보류랑 강행기사가 혼잡되어 있는 것만 봐도 이번 건이 얼마나 날림으로 처리되고 있는지 보이지..
@gamtwi
@gamtwi 27 күн бұрын
군대에서는 PX 냉동식품 식고문이 문제가 되면 악기바리를 시킨 병사를 징계하고 재발 방지 대책을 세우는게 아니라 그냥 PX를 폐쇄시켜버림 ㅋㅋㅋ 지금 꼴이 딱 이거임
@user-ho3ib8kx1z
@user-ho3ib8kx1z 26 күн бұрын
뭐? 음주운전이 문제라고? 술을 금지시켜! ㄹㅇ 헬조선식 해결방식ㅋㅋㅋㅋ
@kwanghwikim8327
@kwanghwikim8327 26 күн бұрын
당시 일본에서 시위 문구로 '새로살 돈이 없으면 텔레비젼도 보지말라는거냐' 할정도로 강렬히 항의 했고 실제로 중소 기업들은 수리용 부품을 구입 못해 새기계를 살돈이 없어 문을 닫거나 해외기업에 먹히는 경우도 생겼으며 기술분야에서 부터 갈라파고스화가 진행 됨. 왜냐면 국내 기계를 이용한 기술이 아니면 할수가 없기 때문에 결국 기술의 돌려 막기가 됨. 요즘 국내 방산 산업도 외국 기술 점점 들여오는데 어찌 될지도 모름 인니가 그냥 먹고 가져 갈수도 있음.
@ch.7229
@ch.7229 26 күн бұрын
우리 회사에서 KS마크 하나 받으려고 약 1000만원 썼는데 앞으로 9개 더 받아야 함 ㅋㅋㅋㅋ 한 번에 패스 되는 것도 아니고 한 번에 여러 개 인정해 주는 것도 아니고 이러니까 물가가 올라가지.
@hunyoungyee4344
@hunyoungyee4344 27 күн бұрын
요즘 회귀물이 유행이라곤 들었는데 나라수준이 과거로 회귀하는건 진짜 예상 못함 ㅋㅋ
@Euljiro_4
@Euljiro_4 26 күн бұрын
내 나라는 회귀한다
@yachtpark
@yachtpark 27 күн бұрын
부모님한테 EMS보내는거도 금지라 어이없더군요.... 매달 약이랑 이것저것 보내는데 허허
@Ye2cup
@Ye2cup 22 күн бұрын
골때리네 ㅋㅋㅋ 의약품마저
@frieden520
@frieden520 23 күн бұрын
나라가 해병정신으로 역돌격하고있네요 자랑스러운 일입니다.
@thirdzero
@thirdzero 26 күн бұрын
와…거의 1시간짜리 영상을 순식간에 다 봤네요… 스스로도 놀랍다. 솔직히 직구를 거의 안써서 직구규제에 크게 관심은 없었는데.. 관세사님 얘기 너무 잘 하시고, 성회형과 캐미가 완전 자연스럽고 찰떡이라 너무 재밌었네요. 게스트로서 유명 스타를 섭외한건 아니라 화제성이야 어떨지 몰라도.. 순수하게 캐미는 역대 최고였던것 같음.
@WaGrano825
@WaGrano825 27 күн бұрын
세계의 자랑 통제된 민주주의 대한민국!
@rando2517
@rando2517 27 күн бұрын
이제 일론 머스크가 전신 의체 만들고 호주에서 테르미니드 나오면 완벽할듯
@EungsuLee
@EungsuLee 27 күн бұрын
​@@rando2517 너 이 자식 방금 호주인을 죽이면 석유가 나온다고
@user-on4ek7bo8o
@user-on4ek7bo8o 26 күн бұрын
와 헬다이버즈2 실사판이 존재하넼ㅋㅋㅋㅋㅋㅋㅋ 어이가없다 진짜.....
@user-vr2co4of4q
@user-vr2co4of4q 26 күн бұрын
헬조선 다이버즈
@Demacia365
@Demacia365 24 күн бұрын
국정원은 진리부 ㅋㅋㅋㅋㅋ
@user-oq1lk6mo7k
@user-oq1lk6mo7k 27 күн бұрын
결론 우리가 생각한거 그대로 다규제 창고비 폐기금도 팩트 차압도 가능 민영화 금지 25일 광화문앞 12시 레츠고
@user-qb2gu9sv8k
@user-qb2gu9sv8k 27 күн бұрын
​@user-jk9cu5mn3w 광화문에서 용산까지 행진 하던가ㅋㅋ
@aojyuro7031
@aojyuro7031 26 күн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응원하겠습니다.
@O72O
@O72O 22 күн бұрын
군사정권 떄 젊은 시절을 보낸 현 기득권 인간들은 입으로는 군사정권을 욕하지만 하는 행동은 그대로 닮아버림
@kalashfy2014
@kalashfy2014 27 күн бұрын
직구규제는 1999년으로 리버스된게 아니고(물론 ㅇㅁ가 없는 정책이긴 하나..) 일본의 20년전 PSE인증팔이를 따라한것에 가깝습니다. (요번 정부 일본 좋아한다더니 이젠 한국을 20년전 저성장의 일본처럼 만들고 싶었나봐..)
@zzkzine2212
@zzkzine2212 27 күн бұрын
기억하시는 분이 있을지 모르겠는데 몇년전에 스팀에서 게임위 심의 받지 않은 게임 유통에 대해서 문제가 제기된 이후 심의받지 않았던 게임들이 싹 지역락이 걸리는 일이 있었습니다. 여기까지만 보면 제도 취지상 뭐가 문제냐? 라고 할수도 있지만 돈내고 심의를 받아도 심의비 만큼 뽑을 수 있을지 불투명한, 게임위 심의가 생기기 이전에 출시했던 구작 게임들의 경우 이때 지역락이 걸렸다는거죠. 코에이 삼국지5 같은 게임들은 돈주고 합법적으로 하려고해도 '스팀에서는 불가능하다' 이거죠
@AuDS51
@AuDS51 26 күн бұрын
'에이 뭐 저런걸로 수출규제를 하겠어' 라고 생각하다가 쳐맞고 우는게 국제외굡니다 그렇게 아름답고 고상한 영역이 아니에요
@morris9624
@morris9624 15 күн бұрын
명쾌하고 박력있는 대화의 모습입니다...ㅎ 아주 유익합니다.
@user-qq8ef3cm4i
@user-qq8ef3cm4i 27 күн бұрын
진짜 이 나라가 대단한게 내가 꿈꾸던 것들을 부모나 돈이 막는게 아니라 나라가 막는다. 부모가 막으면 내가 커서 어떻게든 이룰수 있고, 돈이 부족하면 열심히 일해서 이뤄보자 할 수 있을탠데 나라가 막으니까 막막하고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고 뭐라도 하려고 하는대 이게 과연 먹힐지 걱정스럽고 ㅅ팔 모르겠다
@rlarltmd1
@rlarltmd1 27 күн бұрын
구매 대행이 잘되다보니 그 사람들이 정식 수입을해서 인증받고 되팔이 하는데 그때까진 뭐 합리적인 가격이었는데 그걸보고 따라하는 애들이 그냥 택갈이만 해가지고 말도 안되는 가격을 붙이다보니 "내가 직구를 하고 말지" 가 되었는데 금지 시켜버린뎅
@sibalnom11
@sibalnom11 27 күн бұрын
세무조사 조심하시길..
@user-og1pv7mn1p
@user-og1pv7mn1p 18 күн бұрын
그러면 중동 석유때문에 우리나라 원유시장이 타격 받으니까 석유수입도 금지하자
@mmmijuo5407
@mmmijuo5407 27 күн бұрын
ㅋㅋㅋ 이제 김성희 세무조사 들어온닷ㅋㅋㅋㅋㅋ
@user-xk1ub5uz3x
@user-xk1ub5uz3x 27 күн бұрын
아직도 두창이 쉴드 치는놈들 있는게 레전드
@user-sq9co7kj7y
@user-sq9co7kj7y 27 күн бұрын
진짜 맹목성이 사이비 종교 급!!
@CBRN-115
@CBRN-115 26 күн бұрын
이거 쉴드를 어케 치냐
@pjdag60
@pjdag60 26 күн бұрын
이거 보니까 직구 보다 정치로 가는게 걱정이네요.
@ultrapuncher
@ultrapuncher 26 күн бұрын
@@pjdag60 정치는 생활과 밀접한데 사람들이 잘 모르죠.. 정치 이야기하면 나랑 무슨 상관이냐 멀리하는게 대부분..
@user-vw8pz4xx5m
@user-vw8pz4xx5m 26 күн бұрын
@@CBRN-115 놀랍게도 대통령령임에도 "민주당은 뭐하냐"로 시작하여 아무런 관련없는 "민주당 정책이 잘못돼서 그런 거다"로 토스하고 최종적으로는 "민주당 찍었으면 이거보다 더했을거다" 라면서 스파이크를 때려 박으면서 망상회로 풀가동 하는 애들 많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마존이 뭔지도 모르는데 직구 규제 잘했다고 쉴드치는 지능의 애들한테 많은 걸 바라지 마세요 ㅋㅋㅋ
@xeno-99
@xeno-99 26 күн бұрын
저녁에 영상을 천천히 보니 더욱 기가 찹니다 얼마나 생각없이 졸속으로 발표했는지 딱 보여요 ;;;;
@riveryu6370
@riveryu6370 27 күн бұрын
그와중에 직구 금지 찬성하는 놈이 아마존이 뭐임 이란것에 ㅈㄴ 웃었네 ㅋㅋㅋㅋㅋ
@Ye2cup
@Ye2cup 22 күн бұрын
라이브로봤을때 어처구니없더라고요 정치성향 으로 찬성하는것으로보였네요
@tobeyohoyokunoviolet
@tobeyohoyokunoviolet 27 күн бұрын
그 당 지지자들 빼고 전방위적으로 욕처먹는데 철회못하는 거 보면 철회 못하는 이유가 있는듯 받은게 있어서 철회하면 로비업자들한테 공개적으로 까발려진다든가
@Chicago_Ohare
@Chicago_Ohare 27 күн бұрын
철회하는 순간 KC 인증으로 로비했던 사장님들 단체 쿠데타 각이잖어~
@stretching_cat
@stretching_cat 27 күн бұрын
이번엔 지지자들도 같이 욕하는데 뭔소리야ㅋㅋㅋ
@space_yoon
@space_yoon 27 күн бұрын
심지어 그당에서도 뭔 개짓거리냐고 욕함
@blikdick
@blikdick 27 күн бұрын
지지자도아님 4.5.60대 진보대학민주호소인 유통업자들임
@Chamchi14
@Chamchi14 27 күн бұрын
당 지지자조차 소수 빼곤 대부분 욕함 ㅋㅋ
@ladmass6210
@ladmass6210 27 күн бұрын
아무리 정당화 시키려고 해도 한국에서 중국산 들여와서 지들 회사 로고만 박아서 두 세배 비싸게 파는 택갈이들은 용서가 안됩니다..
@user-yx3kn9dk2c
@user-yx3kn9dk2c 26 күн бұрын
요즘은 아예 상세페이지 꾸밀 생각도안하고 알리이미지 그대로 올리고 금액만 몇만원 비쌈ㅋㅋ
@ayxogn
@ayxogn 26 күн бұрын
와 정재환 관세사님 자격증 공부하면서 진짜 많이 봤었는데.. 여기서 보니까 엄청 반갑습니다!!!
@AK-xw5yc
@AK-xw5yc 26 күн бұрын
1. Kc인증 말곤 해외 어떤 안전 인증도 불가 2. 그럼 "민영화"한 kc인증 기관이 돈을 범 3. Kc인증 발급 기관에 검사 시설이 없어도 되도록 개정함 결론: 생활 안전이나 무역 분쟁이나 국내 R&D사업 후퇴로 나라가 조져지더라도 내 주머니만 채우고 탈조선 하겠다
@AFScorp
@AFScorp 25 күн бұрын
정확히는 영리화죠. 이젠 인증기관이 영리적 목적으로 인증을 마구 찍어낼 수 있게 되는 거나 마찬가지죠
@kbjtt3000
@kbjtt3000 27 күн бұрын
졸속행정으로 진행하는 직규규제는 완전철회되어야 합니다!!! 그렇게 자유! 자유! 하고 외치면서 자유탄압이라니 이게 진짜 뭔지 ㅆ...
@user-eu7dn4dy8j
@user-eu7dn4dy8j 27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 역사를 알면 자유에서 가장 거리가 먼 족속들이 대한민국 보수당인걸 알수 있는데... 독재, 쿠데타부터 민주주의 박살내는 짓거리만 몇번을 했는데...
@moomin9602
@moomin9602 27 күн бұрын
⁠@@user-eu7dn4dy8j그럼 민주당이 자유랑 가깝다고 생각함? ㅋㅋ 그냥 둘다 ㅂㅅ이었다는게 밝혀진거임 ㅋㅋ
@daf1an12sdf5
@daf1an12sdf5 27 күн бұрын
원래 자기한테 제일 부족한거 강조하는게 조직 특징임 ㅋㅋㅋㅋ 입사하기 전에 회사 비전부터 보라는 밈 있잖아 ㅋㅋㅋㅋ
@user-ou7ep3zj3t
@user-ou7ep3zj3t 26 күн бұрын
와 댓글마다 보수탓하는 짱꼴라들 겁나 많네 이번 사건은 190석 진보적인 분들이 밀어붙였는데 뭔ㅋ
@yorocorome
@yorocorome 26 күн бұрын
@@user-ou7ep3zj3t 님 국힘 지능적 안티죠
@jun_2024
@jun_2024 27 күн бұрын
국내산도 아니고 중국산 택갈이인데 인증 하나로 되니마니하는 거 진짜 개빡침ㅋㅋㅋㅋ
@user-ps3xm8su7h
@user-ps3xm8su7h 24 күн бұрын
관세사분 말 너무 재밋으셔셔 한시간짜린데도 보게된다
@ychj2189
@ychj2189 26 күн бұрын
솔직히 꼴 받는 건, 어릴 때 어른들은 아이들에게 경쟁을 강요해서 선착순 사회라고 주입시켜 놓고 정작 어른들은 경쟁에 뛰어드는 걸 죽도록 실어 하는 모습만 보인다는 거임. 너무 단순화 해서 생각하는 걸지도 모르겠지만, 그렇게 경쟁을 강요하고 중요시 했다면 스스로도 자본주의 경쟁 사회에서 진짜 경쟁하는 모습을 보여줬으면 좋겠음. 경쟁에 뛰어들라고 윗대가리에 서서 꼰대질 하면서 경쟁에서는 한발 물러서 내로남불 하잖음.
@bluec0w992
@bluec0w992 22 күн бұрын
ㄹㅇ 경쟁은 아래쪽만 오지게해서 최적의 인재들이 양산되어있는데 윗대가리들은 ㅋㅋㅋㅋㅋㅋㅋ
@user-py3ql1qq8i
@user-py3ql1qq8i 27 күн бұрын
현재 국내 유통폭리에 대해 굉장히 민감해져 있고 고물가까지 겹친 상황에서 이런 문제는 해결방안도 없으면서 직구규제로 너네 앞으로 싸게 사지마라 + 국내에서 구입할 수 있는 루트가 없는 경우도 많은데 국가가 그런 거 무시하고 다 금지 때리는데 누가 반기겠냐ㅋㅋ
@kogeon0722
@kogeon0722 27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는 왜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옛날로 돌아가는 느낌이지
@Taylor-joy
@Taylor-joy 27 күн бұрын
진짜 미친 생각인거 알지만 아무리봐도 간첩이 정치하는게 아닌가 싶을정도임 ㅋㅋㅋㅋㅋㅋㅋ
@user-wq2ee2xu7y
@user-wq2ee2xu7y 27 күн бұрын
​@@shellparing여기도 있네
@ngtop5559
@ngtop5559 27 күн бұрын
일본간첩이 식민지 시대로 만들고 있는거 같아요
@user-ft2hu9zx4p
@user-ft2hu9zx4p 27 күн бұрын
대통령 시행령
@epnphrn0032
@epnphrn0032 27 күн бұрын
​@@shellparing그... 컬러파츠만 잘 붙어있으면 에솦으로 벌금먹진 않습니다.... 밀코는 군복때문에 벌금먹었을겁니다... 군복 경찰복 등 헷갈릴만한 그거는 공공장소에서 입고돌아다니면 벌금먹어요
@x0dx0a
@x0dx0a 26 күн бұрын
1:35 와.. 교수님 자기 전공이랑 이런거 이야기 할 때 보다 공략기사 이야기 할 때 더 자부심 넘치신다.. 여윽시 10덕 인정 ㄷㄷㄷㄷㄷㄷ
@VermilionRey
@VermilionRey 26 күн бұрын
매직 더 게더링은 오프라인으로 이제 한국에서 못 즐기게 됐네요. 가뜩이나 이제 한국어로 발매도 안되는데 그나마 영문판이라도 어떻게 즐길려고 하는 사람들도 이번 규제로 카드를 못 구해서 못하게 되는 경우가 생기겠네요.... 그 외에 워해머 같이 모델을 쓰는 워게임이라던가 D&D같이 룰북이 필요한 TRPG게임들도 국내 정발된게 아니라면 구할 길이 없겠네요....
@user-ww7ni7hs2k
@user-ww7ni7hs2k 27 күн бұрын
제발 직구금지 철회해라
@user-zo7zx6lg6y
@user-zo7zx6lg6y 27 күн бұрын
시위 안하고 어벙벙 하게 지나가면 6월 1일날 바로 시행된다. 빨리 뭐라도 해야 막을 수 있다.
@user-ww7ni7hs2k
@user-ww7ni7hs2k 27 күн бұрын
​@@user-zo7zx6lg6y당연히 25일에 나가야죠
@user-zo7zx6lg6y
@user-zo7zx6lg6y 27 күн бұрын
@@user-ww7ni7hs2k 감사합니다
@user-zm7td1zo8v
@user-zm7td1zo8v 27 күн бұрын
오덕+미연시+관세사+박사= 띠링 인생 열심히 사신 정재환관세사님 주제가 무거울수도 있는데 썰 푸는거 은근 재밌네요 ㅋㅋㅋ
@sin241
@sin241 20 күн бұрын
정재환 관세사님 무역영어 강의 들었었는데 덕력 여전하시네요 허니버터칩 품귀때 구해오셔서 학생들이랑 나눠먹던 좋은 분입니다 ㅋㅋ
@user-jt2fl7oh7n
@user-jt2fl7oh7n 26 күн бұрын
직구 규제 내용 자세하게 알아보려고 심각한 표정으로 들어왔다가 웃겨 죽는 중ㅋㅋㅋㄱ큐ㅠㅠㅠ아 진짜 웃겨요 십더쿠 공감하고 갑니다..,
@rider_hoony
@rider_hoony 27 күн бұрын
직구가 활성화 유명세를 타게된 계기가 자국에서는 비싸게 팔고 해외에서는 싸게 파는 대기업들 때문에 아마존등에서 TV 사오고 냉장고 사오고 +블프 소문나고 하면서 직구가 활성화 된건데 앞으로는 자국민이라는 이유만으로 자국기업 혹은 매니아층물품을 비싸게 사야한다는게 너무나도 억울함.
@forestred812
@forestred812 27 күн бұрын
기본 성향이 그쪽인 건 그렇다 치는데, 객관적으로 봐도 잘못된 상황에서 무조건 잘한다고 박수치고 앉았으면 ㄹㅇ 머리 비우고 사는 거지
@user-gg7dk3zw5o
@user-gg7dk3zw5o 26 күн бұрын
맞죠 아닌건 아니라해야지 특히 이번건;
@meosseug
@meosseug 26 күн бұрын
??? 지금 보수애들도 윤석열보고 트로이목마라고 욕하는데요? 무조건 박수치는사람 진짜 드뭄
@user-wy9qr7sg7z
@user-wy9qr7sg7z 26 күн бұрын
그냥 그놈의 흑백논리가 문제임 자기편은 무조건 선임 ㅋㅋㅋㅋㅋ
@Euljiro_4
@Euljiro_4 26 күн бұрын
진영논리에 빠져서 그럼…
@user-md8ym5bh1g
@user-md8ym5bh1g 26 күн бұрын
이거쉴드치는 두창견은 없음ㅋㅋㅋ 나도 윤석열뽑았는데 욕박는중인데
@user-ee4th2ie3r
@user-ee4th2ie3r 26 күн бұрын
20:30 의대생 입장에서 이번 의료 패키지도 비슷합니다 ㅠㅠ [일단 직구 막으면 국내유통이 가격을 낮출거야 = 일단 의사수를 늘리면 필수의료를 할거야] 아무 생각없이 일단 규정만 내면서 극단적으로 긍정적인 미래를 이야기합니다. 현실적으로 꽃밭이 펼쳐질 가능성은 한없이 0에 수렴하고, 의료비는 많이 내면서도 받게되는 필수의료의 질은 그대로일 가능성은 100%에 가깝습니다 (물론, 그렇게 되서 니들이 버는 돈이 많아져도 반대 했을까? 라고 묻는다면 이렇게 까지 많은 수가 반대하지는 않았겠죠... 근데 우리가 버는 돈은 줄고, 환자가 내는 세금은 느는데 그에 비해 상승하는 보건의 질이 너무 초라합니다)
@user-wx7md8hg6m
@user-wx7md8hg6m 25 күн бұрын
ㅋㅋ 이새기들 여드름 치료제도 직구 못하게 하네. 한국에서 처방전 받고 살 수 있는거 직구로 개싸게 구했었는데 이게 뭐냐? ㅋㅋ
@user-eq5dx1lp3s
@user-eq5dx1lp3s 27 күн бұрын
한마디만 하겠습니다. 절대 현 정치인들은 절대 미래 세대들을 위해 정책을 짜지 않는다. 감사합니다.
@user-yy2xt1dj2p
@user-yy2xt1dj2p 27 күн бұрын
이게 맞죠. 대대적인 물갈이가 한번 일어나야해요.
@sigma_oneman
@sigma_oneman 27 күн бұрын
관세사님 나긋나긋 말씀하시는 목소리가 유해진 배우랑 비슷해서 더 재밌게 봤읍니다 악법에 대항하는 G식인 분들 든든합니다
@user-fo3og5ei9n
@user-fo3og5ei9n 19 күн бұрын
근데 듣다 보니까 이번 이슈 말고도 관세쪽 업무가 엄청 주먹구구식이네요 ㅋㅋㅋㅋㅋㅋㅋ
@user-dx8vb1ro8e
@user-dx8vb1ro8e 25 күн бұрын
이나라는 정부에서 테러 났다고 하면 온 국민들이 환호할 나라 임 😂😂
@user-rl6px9sy3f
@user-rl6px9sy3f 27 күн бұрын
제품개발이 제일 타격받는 분야지... 여러 경쟁제품을 살펴봐야하고, 부품들을 모아서 시험제품 만들어야 하는데, 이걸 다 규제한다는 거야. 한국제품 경쟁력 나락은 물론이고, 연구개발/제조 쪽이 다 전멸된다. 더욱이 KC인증이 민간으로 이전됨에 따라, 사실상 대놓고 중소기업 특허/아이디어제품 대기업이 접수하겠다는 뜻이고, 제품통제 하겠다는 뜻. 이번 직구규제는 진짜 경제에 심각한 영향을 끼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대정원 밀어붙이는거면 , 의료 민영화 결심은 확고해 보인다.
@jsk3013
@jsk3013 27 күн бұрын
심지어 연구용 물건이 KC마크를 받을 리도 만무하니 연구도 차질 생김 ㅋㅋ
@epnphrn0032
@epnphrn0032 27 күн бұрын
그예산도 삭감하고, 그예산 쓰이는곳도 다막아버리니 나라가 발전을 할수가 없지ㅋㅋ
@kuf3320
@kuf3320 27 күн бұрын
직구제품이 막히면 만들어팔만한게 폭발적으로 늘어나는대, 연구개발,제조는 흥하겠죠. 샘플목적으로 비싸게라도 소량 들여오는 방법은 어떻게든 생길겁니다. 기왕 이렇개된거 국내 제조관령 창업이나 기획 부흥하게하는 정책도 같이 나오면 어땠을까 싶네요. 디자인회사들, 설계회사들, 금형회사들 다 문닫기직전인데…
@user-zo7zx6lg6y
@user-zo7zx6lg6y 27 күн бұрын
@@kuf3320 지랄한다. 우리나라에서 만들 시스템도, 공장도 없는 물건들이 하루아침에 만들어지냐? 여기가 중세시대야?
@erin194577
@erin194577 27 күн бұрын
갑자기 의료 민영화는 왜나옴?
@higedandism
@higedandism 27 күн бұрын
여기저기 말이 다 달라서 헷갈렸는데, 씹덕박사+ 행정학박사+ 관세사님이 설명해주니까 정리가 명확히 되서 좋아요
@user-he6po4wn5o
@user-he6po4wn5o 27 күн бұрын
20세기가 아니라 19세기로 롤백한거 아닙니까 ㅋㅋㅋ
@wbinzester2721
@wbinzester2721 27 күн бұрын
세도정치 + 흥선대원군
@user-xd9nk7ru5z
@user-xd9nk7ru5z 27 күн бұрын
국내 생산 국내 유통하는 업체들이나 문제 생기면 책임지고 보험처리도 하고 배상합의도 하고 해주지 택갈이 업체들이 별 의미도 없는 kc 박았다고 잘도 사고처리 해주겠다 간판갈이 하고 또 장사하겠지 이 법안은 단 3개의 가정 중에 하나 밖에 안됨 1. 돈 받고 추진하는 규재다, 2. 진짜 능지가 부족해서 추진하는 규제다, 3. 작정하고 나라 망치려고 추진하는 규제다 결과적으로 깜빵, 면직, 사형 3개 밖에 없음, 추진했다는 것 자체만으로도 반드시 책임자는 셋중에 하나가 걸려야된다
@user-im8rl3ly9r
@user-im8rl3ly9r 26 күн бұрын
아무래도 셋 다일 가능성이 높아보이네요.
@kangseunggil
@kangseunggil 27 күн бұрын
가장 큰 분노는 탈모커뮤니티일꺼에요. 탈모약 직구 아니면 답이 없거든요..
@novuminitium9400
@novuminitium9400 26 күн бұрын
ㅜㅜ 근데 생각해보니 원래 답이 없지 않았?나요..? 제가 실수했으면 미리 죄송합니다.
@user-qu2ih5br3l
@user-qu2ih5br3l 25 күн бұрын
@wayne_k
@wayne_k 25 күн бұрын
아 😮그러네
@user-bear03
@user-bear03 25 күн бұрын
아...
@Fat_Laissez-faire
@Fat_Laissez-faire 25 күн бұрын
하필 건들어도 거기를...
@user-qf2qk7sk8l
@user-qf2qk7sk8l 27 күн бұрын
갈수록 물리치료가 필요한 정치인들
@user-jc2om3bn8s
@user-jc2om3bn8s 27 күн бұрын
역시 유럽처럼 화염병이나 벽돌이 날아와야... 만약 저게 통과되면 우리가 해야할 일은 단 하나입니다. 이 정부를 초토화시키고 침묵한 언론사도 불태우고 관새청도 잿더미로 만드는 것 뿐입니다. 자유를 빼앗으면 얼마나 무서운 일이 일어나는 지 그 뼈에 새겨야지요.
@jsk3013
@jsk3013 27 күн бұрын
진짜 "내가 해도 이것보다 낫겠다"싶어서 쿠데타 일어나도 놀랍지 않을듯
@Jun-ws4um
@Jun-ws4um 27 күн бұрын
물리치료 쿨타임 찼지. 탕탕절이 왜 생겼겠음.
@user-ml9ln5nt7x
@user-ml9ln5nt7x 27 күн бұрын
진짜 기요틴 마렵다
@IU0320
@IU0320 26 күн бұрын
정치인이 문제인긴 한데 이건 윤짜장 문제 아닌가
@user-br3bf6eb9c
@user-br3bf6eb9c 23 күн бұрын
재미있게 풀어서 얘기해 주셔서 웃으면서 보고 있다보니까 갑자기 엄청난 씁쓸함이 느껴지네 ㅋㅋㅋㅋ
@lootd7041
@lootd7041 26 күн бұрын
블리자드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시즌마다 나오는 패키지 상품도 kc 마크 심사받으려나요? 피규어가 들어가 있으니까 아동관련으로 엮을것 같기도 한데 말입니다.
@ninestories949
@ninestories949 27 күн бұрын
그럴듯한 명분 내어놓고, 그럴듯한 법제목 달아주고, 내용 들어다보면 정반대 내용인 경우가 많았죠. 단통법, 도서정가제. 등등. 이 법도 마찬가지로, 중국덤핑 막는다 소비자 안전 내세우고 있지만, 되려 대형 플랫폼이 한번만 인증하면 되서 n빵 비용 낮은 중국 알리테무만 살아남고 나머지 싹 다 죽이는 법안이고, 한국보다 더 엄격한 다른나라 인증마크를 무시해서 소비자의 안전은 뒷전인 법안이죠. 또한 수출로 살아가는 대한민국에서 차후 무역보복을 당할경우 나라 전체가 위태로워질텐데 그것은 어떻게 할건지
@user-zo7zx6lg6y
@user-zo7zx6lg6y 27 күн бұрын
속보 ) 방금 FTA 뜯어 고친다고 함ㅋㅋ
@KuroJun94s
@KuroJun94s 27 күн бұрын
사실 86세대 분들 자신들이 한창 젊었을 때인 70, 80년대 상황을 그리워하는 그런게 있는듯함. 근데 하필 정치계 높으신 분들도 그런식이라 법, 제도 등을 구시대식으로 바꾸려는 그런게 있음. (어른제국의 역습도 아니고야 원...)
@0017shin
@0017shin 26 күн бұрын
[중앙일보 Dec 14, 2023] 그 시절을 만든 건 그 윗 세대. 그 시절을 얼마 전까지의 지금으로 바꾼 건 86세대. 그 시절로 돌아가고 싶은 정부를 뽑은 건 20대남과 그 윗 세대.
@MaximumHeresey
@MaximumHeresey 26 күн бұрын
박통 전대갈 신봉하는 놈들이 안 그럴 줄 알았다면 그건 능지문제임
@0017shin
@0017shin 25 күн бұрын
('86세대'란 1980년대 대학을 다닌 1960년대생 운동권 출신을 뜻하는 말로 김대중·노무현 정부 때 주로 정치권에 수혈돼 문재인 정부를 거치면서 “한국 정치권의 기득권 세대가 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그 시절을 만든 건 그 윗 세대.
@justblaze2580
@justblaze2580 25 күн бұрын
2찍이 물타기 보소
@KuroJun94s
@KuroJun94s 25 күн бұрын
@@justblaze2580 반박 못하니깐 무조건 2찍, 물타기ㅇㅈㄹ ㅋㅋㅋ 수준 나오네. 그래서 민주당 정부는 뭐 그런 구시대식 정치, 제도 아예 안 했었다고 믿음? ㅋㅋ
@seobophil
@seobophil 27 күн бұрын
진짜 이번 직구규제는 개풀뜯어먹는 소리 라는 게 아까울 정도로 헛소리였죠. 솔직히 말하자면 우리나라에 산재되어 있는 문제들 중에 이것보다 더 중요하고 급한 일들이 많을텐데 그런건 몇년 몇십년씩 묵혀 두고 테무 알리 발 물품들이 우리나라 시장을 점유 할거 같으니까 저렇게 나서는거 보면 와 진짜 이놈들이 우리나라의 문제들 냅두고 있는게 일부로 냅두는구나 하는 생각이 절로 들더라구요.
[검은사막 인성터진 스트리머] 원하시는 대로 해드렸습니다
26:56
김성회의 G식백과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Super gymnastics 😍🫣
00:15
Lexa_Merin
Рет қаралды 98 МЛН
Would you like a delicious big mooncake? #shorts#Mooncake #China #Chinesefood
00:30
역대급 파장...사상 초유의 해외직구 금지 소식
11:31
ITSub잇섭
Рет қаралды 2,1 МЛН
87년생 도플갱어끼리 떠나는 1박2일 춘천 풀코스 여행 【춘천】
28:09
빠니보틀 Pani Bottle
Рет қаралды 1,4 МЛН
나는 중산층이다 (연봉 1억을 받으며..)
19:58
슈카월드 코믹스
Рет қаралды 718 М.
믿을 수 없는 현 상황 (feat.해외직구 금지)
15:48
테크몽 Techmong
Рет қаралды 108 М.
게임 하나에 20만 원인 시대가 온다
9:28
펭귄몬스터
Рет қаралды 296 М.
BLAST Premier Spring Final 2024 Presented by Revolut: GRAND FINAL (BO5)
6:2:58
АКУЛА АДАМ НУБТАН МЫҚТЫҒА АЙНАЛДЫ (GTA V)
1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