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뉴스] 시진핑이 만든 심각한 빚더미 늪...중국이 경제 위기 극복하기 어려운 이유 / SBS / 모아보는 뉴스 / 교양이를 부탁해

  Рет қаралды 2,768,175

SBS 뉴스

SBS 뉴스

5 ай бұрын

최근 중국 경제의 위기가 심상치 않아 보입니다. 결국 중국도 중진국의 함정에 빠지는 걸까요? 20년 넘게 중국 경제의 버팀목 역할을 했던 건설업과 부동산업이 더 이상 제 기능을 못하고 있고 2022년 GDP에서 중국 소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32.8%에 그쳐 전년 대비 절반 넘게 감소한 수준입니다. 회복 능력을 잃은 듯한 중국 경제. 미중 갈등 속 어디까지 흔들릴까요. 오늘은 중국 경제가 어떻게 성장해 왔는지 되짚어 보고 한국 경제와의 관계에 대해 말씀드려 보려고 합니다.
*강의를 바탕으로 재구성된 콘텐츠입니다
#sbs뉴스 #중국경제위기 #중진국의함정
▶SBS 뉴스로 제보해주세요
홈페이지: news.sbs.co.kr
애플리케이션: 'SBS 뉴스' 앱 설치하고 제보
카카오톡: 'SBS 뉴스'와 친구 맺고 채팅
페이스북: 'SBS 뉴스' 검색해 메시지 전송
이메일: sbs8news@sbs.co.kr
문자: # 누르고 6000
전화: 02-2113-6000
▶SBS 뉴스 채널 구독하기 : n.sbs.co.kr/youtube
▶SBS 뉴스 라이브 : n.sbs.co.kr/live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Пікірлер: 2 100
@sbsnews8
@sbsnews8 5 ай бұрын
[스프 아티클] 타이완 선거에 승부 건 시진핑, 경제 위기 돌파구인가 해상 패권의 야욕인가 ▶premium.sbs.co.kr/article/NMU6M_iPysn
@user-wh8vx1bc3x
@user-wh8vx1bc3x 5 ай бұрын
시진핑의 위기는 대만 전쟁으로 가는 직행열차
@jaepark6169
@jaepark6169 5 ай бұрын
❤개인들,회사들 빚더미에 앉아있는 한국부터 걱정해라.
@TheJungcompany
@TheJungcompany 5 ай бұрын
Sbs를 믿지마세요~~~~ 중국이 망하지 않을뿐더러 중국과 우리는 생산되는 제품이 겹치는 최대 경쟁국입니다
@YESHUACHRISTCREATOR-rg2pi
@YESHUACHRISTCREATOR-rg2pi 5 ай бұрын
예수님 덕분에 된겁니다. 돈을 사랑함이 일만악의 근원이 된다고 했습니다. 적당히하세요
@YESHUACHRISTCREATOR-rg2pi
@YESHUACHRISTCREATOR-rg2pi 5 ай бұрын
천주교는 시작부터 무슬림같이 사탄 숭배였고. 지금도 그렇다. 예수그리스도이후에 예루살렘 도성 그 다음은 마가의 다락방 그다음은 일곱교회 등등 으로 나뉘고 그 다음이 기독교 타락과 로마 카톨릭의 시작 중세 암흑기이다. 근데 어떻게 성경보다 먼저 교황의 조작한 성경이 우선되고 예수의 육신적 어머니가 예수보다 먼저 태어난 사람이냐?천주교 불교 이슬람 일본 신토 힌두교 사탄이고 지옥갑니다. 예수 그리스도 만 유일 하신 하나님이고 그의 말씀을 행하는 자만 천국 하고 나머진 다 지옥갑니다마태복음 1장 다윗의 아들이요, 아브라함의 아들인 예수 그리스도의 세대에 관한 책이라. 아브라함은 이삭을 낳고, 이삭은 야곱을 낳고, 야곱은 유다와 그의 형제들을 낳고, 유다는 다말에게서 파레스와 사라를 낳고, 파레스는 헤스론을 낳고, 헤스론은 아람을 낳고, 아람은 아미나답을 낳고, 아미나답은 낫손을 낳고, 낫손은 살몬을 낳고, 살몬은 라합에게서 보아스를 낳고, 보아스는 롯에게서 오벳을 낳고, 오벳은 이새를 낳고, 이새는 다윗왕을 낳으니라. 다윗왕은 우리야의 아내였던 여인에게서 솔로몬을 낳고, 솔로몬은 르호보암을 낳고, 르호보암은 아비야를 낳고, 아비야는 아사를 낳고, 아사는 여호사밧을 낳고, 여호사밧은 요람을 낳고, 요람은 읏시아를 낳고, 읏시아는 요담을 낳고, 요담은 아하스를 낳고 아하스는 히스키야를 낳고 히스키야는 므낫세를 낳고, 므낫세는 아몬을 낳고, 아몬은 요시아를 낳고, 바빌론으로 잡혀갈 무렵에 요시아는 여코냐와 그의 형제들을 낳으니라. 바빌론으로 잡혀간 후에 여코냐는 살라디엘을 낳고, 살라디엘은 스룹바벨을 낳고,
@hyukpark9269
@hyukpark9269 5 ай бұрын
대한민국도 중국인들 및 외국인 국내 부동산 좀 어떻게 합시다.
@JacobSmith-cg7pq
@JacobSmith-cg7pq 5 ай бұрын
한국인은 외국에 가서 부동산 안 삽니까?!
@user-ju2gy6bj3i
@user-ju2gy6bj3i 5 ай бұрын
대출에 있어서 국내 사람들과 동등한 조건에서 시작해야하는데 한국인은 대출규제 심하게하고 중국은 대출 규제 없으니 돈 있는 중국인들이 아파트 살때 한채를 사는게 아니라 한동 또는 그 아파트 단지 전체를 사버리고 시세 조작 합니다 제정신이면 좋아할수 없죠😰
@nonames098
@nonames098 5 ай бұрын
@@user-ju2gy6bj3i 근데 그건 어느나라 사람이든 다 만찬가지아닌가요? 한국에도 돈있는사람은 미국에다 땅사고 집사고. 글쎄 가끔 그냥 중국에대한 편견이 너무 심한거같네요. 돈안내는것도 아니고 돈내고사는건데 왜 이렇게 불만이 많으시려나. 누가보면 그냥 대낮에 집을 뺏어가는줄알겟네요. ㅎㅎㅎㅎ
@manbobot1210
@manbobot1210 5 ай бұрын
​@@nonames098 당신은 상호주의 원칙도 모릅니까? 한국인은 중국 부동산 소유가 안되는데 중국인은 한국 부동산 소유가 된다는건 애초부터 상식에 어긋났습니다.
@_AhReum_
@_AhReum_ 5 ай бұрын
​@@nonames098이 사람이 말하는 전제가 성립할려면 외국에서 한국인에게 적용하는 부동산규제와 국내에서 외국인에게 적용하는 부동산 규제가 같아야하는데 아님. 그냥 자기가 깨시민인척하는 표본.
@Leopa-Rd
@Leopa-Rd 5 ай бұрын
그래서 지금 필리핀이나 동남아쪽에 시비를 터나보다. 내부 불만들 어그로 뺄라고. 더이상 한,미,일이라는 외부의 적으로 탱킹시키긴 힘들거든... 지들이 국민들한테 구라쳐놓은것도 슬슬 눈치까고있고.
@hwanvely
@hwanvely 5 ай бұрын
우연히 접한 교양이를 부탁해 영상인데요, 교수님의 정치 및 경제에 관련된 통찰력에 놀랐고, 유튜브 영상을 통해 이렇게 양질의 강의를 들을 수 있다는 점이 참 좋았습니다! 대한민국 경제가 다음 단계로 나아가기 위해서 우리나라 기업들, 개인들이 어떻게 극복해야 하는지 마지막 말씀이 기억에 남네요. 21:17 '우리 한 사람 한 사람이 글로벌이 되는 것이다.'
@user-xr6pb5ef4k
@user-xr6pb5ef4k 5 ай бұрын
경제와 관련해서는 경제 주체 스스로가 숨을 쉬고 성장할 수 있는 자발적 동기와 이를 가능하게 하는 자유주의가 필요하고, 이것은 어느 분야나 마찬가지입니다. 그런데, 공산 국가에서 이게 가능할까요... 경제 성장 초기 단계에서 노동력을 통제하는 것에 관해서는 최고의 효율을 발휘할 수 있겠지만, 그 다음 단계부터는 어려워집니다. 그리고 정보 통제로 인해 국민들의 지적 성장에 한계가 발생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결국은 한계를 만나게 됩니다. 거기까지입니다.
@user-ki6wk9og5f
@user-ki6wk9og5f 5 ай бұрын
한사람한사람이 글로벌이 되어야한다는 마지막말이 감명깊게 남네요 잘들었습니다😊
@parkherenow
@parkherenow 4 ай бұрын
주로 티비에 나와서 컨설팅한다는 사람들이 하는 말 인데ㅡㅡ,방송용 멘트일뿐,,, 글로벌해야 한국이ㅜ살수있다,,,,또 다변화해야한다,,등등,,, 전문가라 하는 분들의 방송용 멘트,,,,,! 그건 한국만그런게 아니라,,,,국제 최빈국에게도 똑같이 말해도 먹히는 말,,,,,
@2dayhot707
@2dayhot707 3 ай бұрын
@@parkherenow 그러니까. 사실 결말자체가 내용없는 뜬구름 잡는 소리인데 저걸 공감한다는게
@jwluvx2
@jwluvx2 3 ай бұрын
요즘 젊은이들의 외국어실력과 외국인들과의 접촉과 소통이 급속도로 늘었기때문에 충분히 가능한 일이라고 봅니다. 기성세대에서는 너무나 생소하고 무슨 특별한 방법이 있어야만 하는 일 같지만 요즘 청년들은 지방대에서조차 외국에 교환학생 내지는 심지어 우리나라의 선진 기술을 가르쳐주려고 1년씩 외국에 갔다오는 경우도 많으니 생각만 약간 전환한다면 국가 차원의 어떤 시도보다도 훨씬 더 효과적인 많은 교류들이 가능할거라고 생각합니다
@user-id9ze2mw3m
@user-id9ze2mw3m 3 ай бұрын
이거 나이든 사람들은 진짜 이해 못할 수도 있음. 전 우리 오빠가 4개 국어를 중국어 포함 모국어처럼 씀. 그래서 한국에 자회사도 내고 다른 나라 몇개 회사 대표를 동시에 역임하고 있음. 전 영어랑 한국어 일본어 조금 밖에 못하지만 난 이번년도에 중국에 유학감. 1인이 걸어다니는 글로벌 기업이 돼야함.
@user-we6ct6ii9n
@user-we6ct6ii9n 3 ай бұрын
사람은 행복하게 살아야된다같은 헛소리
@seheepark9251
@seheepark9251 5 ай бұрын
정말 도움이 많이 되는 강의였습니다 교수님 감사합니다
@changhan3993
@changhan3993 5 ай бұрын
중국과 비즈니스를 해 본 사람으로 이 교수님의 insight은 아주 정확한것 같습니다. 다만 중국이 이런 어려운 상황을 벗어나고 시진핑이 여론전에서 밀리게 되면 전쟁을 택할수 있을까 염려 됩니다
@themoonintheclouds7199
@themoonintheclouds7199 5 ай бұрын
결론: 옛날 중국은 달달했으나 지금은 단물 다 빠졌으니 손절해야한다
@leemyughan
@leemyughan 3 ай бұрын
ㅋㅋㅋㅋ끄덕 문제 안 되게 완곡해서 잘 표현하려고 고생많으신듯
@user-eo9by7wh3k
@user-eo9by7wh3k 3 ай бұрын
옛날에는 중국이 한국 기술 필요했고 한국은 중국 인력 필요했음.지금은 중국이 기술이 올라와서 한국이 필요없는데 한국은 각종 원재료 수입 등 문제로 중국하고 손절하면 좃됨.ㅋㅋㅋ
@jjitjjaiming
@jjitjjaiming Ай бұрын
​@@user-eo9by7wh3k오로지 중국에만 달달하니 의지했던게 독이된거임..
@carmenchoi
@carmenchoi 21 күн бұрын
참트루
@carmenchoi
@carmenchoi 21 күн бұрын
@@user-eo9by7wh3k 원재료가 많이 나는 나라가 중국이 아님. 착각 그만하시길. 그 누렁대륙이 그렇게 원재료가 달달했으면 여지껏 10억 거지떼로 살 이유가 없었음. 차라리 원재료가 목적이면 카자흐를 가겠지. 원재료 안나는거 거의 없는 미국이나ㅄ들
@user-hk2ug3nr6p
@user-hk2ug3nr6p 5 ай бұрын
화장품 분야도 이제 베트남과 태국, 몽골등에서 한국제품과 중국 제품이 경쟁을 하고 있습니다. 유통의 키를 중국인들이 쥐면서 .... 많은 것이 이제 중국과 경쟁 중이라는 것을 느낄 수 있네요
@user-tr9pn8ej3p
@user-tr9pn8ej3p 5 ай бұрын
세계 정치, 경제 흐름을 정확히 파악하시고 잘 설명해 주셨습니다.
@user-yn3ph2sj1u
@user-yn3ph2sj1u 5 ай бұрын
흠 진짜 좋은 강의다 국내일이냐 해외일이냐 수출밖에 없는 나라인데 주요 생산층이 글로벌적인 마인드가 아니라 중간업자들에게 수수료 준다라 바꾸는게 맞다
@thecontrolrevolution
@thecontrolrevolution 5 ай бұрын
조직의 경쟁력을 강화해서 3만달러 시대까지 왔지만 앞으로 5만달러 시대로 가기 위해서는 개인의 역량을 강화하여 조직에 같거나 버금가도록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는..살아남기 위해서는 그렇게 해야한다는 좋은 말씀 잘들었습니다. 공부가 되네요
@user-id9lf7mo3k
@user-id9lf7mo3k 17 күн бұрын
👍👍👍👍👍
@chobd8
@chobd8 5 ай бұрын
정치적인 문제를 떠나서...탈중국은 꼭 필요함. 중국 경제는 분명 전세계에 엄청난 충격을 주며 한번 무너질거임. 근데 우리나라가 그 시점에 중국에 너무 많은 것을 투자한 상태면 우리도 같이 무너지게 될거임. 지금은 힘들어도 중국을 배제한 경제구조를 만들어야함
@user-vx6xp8ht5u
@user-vx6xp8ht5u 5 ай бұрын
이미 4년째 폭락해온 중국인데 뭘 한번 무너져. 이미 금융위기 수준 상태인데 그것도 미중갈등때문이지 중국자체는 대출을 조인지 오래됬고 지금은 딱히 거품경제라 보기도 어려움.
@user-lr5bx1ib5q
@user-lr5bx1ib5q 5 ай бұрын
사드위기 한한령이후 우리한테 위기 있었지만. 지금은 우리기업과 국민들이 중국에 대한 생각들이 탈국화로 자리잡고있습니다 점점더 노력해서 극복해야죠
@user-pb1bq6rr2p
@user-pb1bq6rr2p 5 ай бұрын
잘 설명하솄어욤. 탈중국만이 살길입니다.
@whstisreal
@whstisreal 5 ай бұрын
탈중국은 그자체로 정치적인 문제라 "떠나서" 일수는 없음... 하여간 탈중국은 필요ㅋ
@xero2250
@xero2250 5 ай бұрын
중국은 지는해임 중국에 의존하면 망할때 같이망한다.
@user-ul2vn3hn6c
@user-ul2vn3hn6c 5 ай бұрын
저도 같은 생각이었는데 석학답게 체계를 잘 잡아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news-issue
@news-issue 5 ай бұрын
뭘안다고 아는체야? ㅋㅋ
@asuramalta2269
@asuramalta2269 5 ай бұрын
Kpop 산업은 애초 제작부터 글로벌을 염두하고 제작하며 그 빛을 톡톡히 내고있듯이 이제 모든산업을 글로벌적으로 시작해야한다는거네요. 큰기업이든 작은기업이든 하다못해 개인 장사도.
@user-jz9rq2ez8n
@user-jz9rq2ez8n 5 ай бұрын
그게 현실적으로 소규모 자본으론 힘들죠 밀키트 장사만 해도 해외에서 알아야 사는데 광고는 무료로 해외에 해주는것도 아니고
@user-yb5yj4lt3w
@user-yb5yj4lt3w 4 ай бұрын
중소규모는 어림도 없습니다.... 뭐 중소기업들도 쪼그만한거 팔아봤자 국익에 1도 도움안되고.. 우리가 하는거 중국이 다하고있다고 보면되서.. 솔직히 글로벌 시장에 경쟁력있는 아이디어 상품이 있어야 하는데 그게 지금 큰 돈이 될만한게 케이팝 말곤 없습니다.. 자동차도 중국이 더 잘팔고있고.. 반도체도 이제 중국에 넘어갔고(삼성유출) 배터리, 조선업, 인력.. 뭐 하나 특출난게 없어서 중국에 빌붙거나 미국에 빌붙거나 둘중 하나의 선택인데... 관광업도 일본이 더 잘하지.. 진짜 우리나라 개망함 ㅋ
@user-uq5cb2iz4l
@user-uq5cb2iz4l 4 ай бұрын
개인사업자인데 해외시장과 해외매출이 훨씬 커요. 저도 해보기전에는 몰랐는데 세상이 다 뚫려있다는걸 느끼네요. 젊은 사람들은 더 도전하고 더 세상으로 나가야해요. 저같은 중년도 나아가고 있는데 젊은이들은 거침없이 더 잘할겁니다
@gyungsukim7247
@gyungsukim7247 4 ай бұрын
@@user-yb5yj4lt3w 생각하시는 것 보다 중소기업에서 해외에 판매하는게 kpop 외에도 꽤 많습니다. 케이팝에서 파생된 k푸드, k코스메틱 등 대기업이 장악하기보다 중소기업이 잘하는 곳도 많아요, 트레이더 조의 냉동 김밥이나 조선미녀 같은 화장품이 한국에서 인기가 있어서 해외에 대박내는게 아니죠
@user-qu1jf9uy3m
@user-qu1jf9uy3m 4 ай бұрын
K팝은 뭣도아님 제조업이 중요하지 고용창출을 해야하는데 홍콩영화 라팁팝 한때 유행했는데 이제 기억이나함? 그냥 단기적인 현상일뿐이지
@kateshim3656
@kateshim3656 4 ай бұрын
박사님 참감사합니다 우리나라젊은이들에게 일깨워주셔서감사합니다 건강하십시요
@ming-te4rb
@ming-te4rb 5 ай бұрын
멋지시네요, 정말 전문가는 이런분이구나 생각이 드는 분이시네요
@user-kw2op6yj8x
@user-kw2op6yj8x 5 ай бұрын
❤ 우리국민 모두가 들어야 할 내용으로 강의도 재미있게 해주셔 감사합니다~
@user-zt7er9qt3k
@user-zt7er9qt3k 4 ай бұрын
김정호교수님 귀에 쏙쏙 들어오는강의 감사드립니다^^
@gwangug
@gwangug 5 ай бұрын
지금 우리나라 기준에서 가장 중요한건 출산율이라고 봅니다. 알아서 망해주니 주변국 입장에서는 기다리기만 하면 되는데.....앞으로 인구문제로 문제가 생길건데 아이들이 걱정됩니다
@sdk8424
@sdk8424 5 ай бұрын
말미에 ...영세기업 중소기업개념을 뛰어넘어 처음부터 비지니스가 글로벌을 목표로 해야한다.. 정말 꼭 필요하고도 되새겨들어야할 말씀이고 전략인것 같습니다.
@anfwoijwej1742
@anfwoijwej1742 5 ай бұрын
이게 제일 중요하죠. 수출은 못하고 내수용 문어발확장 카카오같은 대기업들은 사회악임.
@sociolocomtsac
@sociolocomtsac 4 ай бұрын
@@anfwoijwej1742 남탓만 하지 말고 니가 경쟁력 있는 제품/서비스를 수출을 해. 카카오가 경쟁력있는 제품 못만들게 했냐? 수출 못하게 했냐? 니가 영어 못하는것도 카카오탓이냐?
@user-de1oc3tn1s
@user-de1oc3tn1s 5 ай бұрын
교수 답다. 대학 다닐때 교수들 월급받는거 이해가 안됬는데.. 저분은 교수답다
@user-ot7kt2wf2b
@user-ot7kt2wf2b 5 ай бұрын
10 년후 봅니다
@user-om4qk2qq5z
@user-om4qk2qq5z Ай бұрын
더 열심히 빨어라 그래야 교수직에서 버티지
@user-sp9ol7sv6o
@user-sp9ol7sv6o 5 ай бұрын
훌륭하신 분석과 판단에 경의를 표하며 감사를 드립니다.
@user_giantalmond
@user_giantalmond 4 ай бұрын
빈집으로 인한 빚이 어마어마하겠군요...쓰지 않는건물, 시설...
@user-cs1ss5lq7x
@user-cs1ss5lq7x 5 ай бұрын
그래도 한국에서 중국으로 들어가는 돈이 어마어마할께에요. 보이스피싱, 쇼핑몰사기 등등 범죄로들어가는 피같은돈은 너무속상합니다.(돈만받고 물건안주고사라짐. 홈피도 없어짐 알아보니 중국서 만든 도메인이었음.. 계좌이체 쇼핑은 무조건 사기라 여겨야함. ) 생필품뿐아니라 의류. 고급의류까지도 ... 생화비에서생필품소비 95%이상은 중국이더라고요. 어쩔수없는게..가격 경쟁력. 품질도 좋아요. 참..아쉽
@lifeisshort99
@lifeisshort99 5 ай бұрын
사기 친돈으로 부동산 사는게 아닐까?
@reorobert102
@reorobert102 4 ай бұрын
@@user-kn3xl1gk1c 중국산?? 오줌 맥주 ?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yr2sn4zr4q
@user-yr2sn4zr4q 5 ай бұрын
깊이있는 지식 잘 배우고 갑니다 세계경제 를 잘 배움니다^^"
@PoohJinping
@PoohJinping 5 ай бұрын
미국이 자꾸 도와주니까 한국이 요정도 성장했지.. 경쟁상대 중국도 막아주고
@user-rt7df3mj5c
@user-rt7df3mj5c 4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성장하는데 중국도 영향 큽니다
@user-ly1hr7de9b
@user-ly1hr7de9b 4 ай бұрын
​@@user-rt7df3mj5c네 미국보다 중국 수출이 2배 많죠 중국덕에 성장도 있는건 인정합니다 그러나 탈 중국화는 필요 합니다 언제든 중국은 전략적으로 무역을 댜합니다 한순간 중국이 수출규제 하면 우리나라 경제 타격 입습니다
@user-is8vr9fk9z
@user-is8vr9fk9z 4 ай бұрын
미국이 도와줬다고ㅎㅎㅎ 그냥 자기이득을위해 한 조치가 한국은 얻어걸린거지ㅎㅎ 간만에 웃었다ㅎ
@goround3098
@goround3098 3 ай бұрын
미국이 왜 도와줬을까를 생각해야지 미국이 도와줬어요 헤헤헤 이러고 마니까 우리 조상들이 식민지 당한 거 같다 ㅠ
@UNITED.-nationalpeace
@UNITED.-nationalpeace 3 ай бұрын
미국이나 중국도 둘다 도와준건 맞습니다만.. 그래도 그 과정중에도 내부에 노력도 있었겠죠.. 그래서 국제관계는 많이 복잡한거 같아요
@lynxycj
@lynxycj 5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엄청 이해하기 좋게 풀어서 설명해주셔서)
@user-nc8ix8ig7w
@user-nc8ix8ig7w 5 ай бұрын
반대로 우리가 중국 때문에 손실과 피해를 본 것과 막대한 기술유출로 손해를 본 부분이며, 거의 전 국민 개인정보 유출로 개개인 까지도 피싱 당한 손실이며, 중국으로 외국기업을 유치시켜놓고 벌어들인 돈을 가지고 나가지 못하게 하거나, 또 우리에게 경제보복 조치를 취한 것이 그동안 얼마나 많았습니까. 이루 헤아릴 수가 없습니다. 지금은 중국과 일대일로를 추진한 나라들이 한결같이 후회를 하고 있습니다. 표면적인 긍적적인 부분만 두리뭉실 설명하는 것은 왜곡이 될 수 있지 않을까요?
@user-or9or2hv2d
@user-or9or2hv2d 5 ай бұрын
중국 때운에 이익을 거둔건 왜 얘기 안 하냐 양심도 없네
@user-tq5pw9yn8s
@user-tq5pw9yn8s 5 ай бұрын
중국이 피해준게 어마어마하죠
@user-jz9rq2ez8n
@user-jz9rq2ez8n 4 ай бұрын
​@@user-or9or2hv2d피해, 산업스파이 같은 범죄 이야기 하는데 흑자무역으로 이득드립치네 윈윈관계인거지 ㅋㅋ 한국과 중국이 함께 성장한건데 핀트못잡고 뻘소리하는 지능은 어떡할까?
@dasamkoo2012
@dasamkoo2012 4 ай бұрын
고정밀 GPS, 슈퍼컴퓨터, 민간항공기, 5G 통신, 원자력, 무인운전, 운영체제, 양자기술, 고속열차, 전자기투석기, 쉴드기술, 우주정거장, 우주망원경, 탑재칩, 블레이드 리튬 배터리, AI 지능, 고도 자동화, 전자 결제, 생체 의학, 항공 우주 엔진, 산업 데이터 링크, 능동 위상 배열 레이더, 항공 우주 엔진, 고체 램제트 항공 우주 엔진, 드론 기술... 가지고 계시다면 에 맡겨주세요. 나 .
@user-nc8ix8ig7w
@user-nc8ix8ig7w 4 ай бұрын
@@user-or9or2hv2d 무슨 이익을 봤는지 님씨가 좀 알려줄래? 국적부터 밝히고. 그럼 그것에 대해 그게 이득인지 손실인지, 아주 적나라 하게 알려주지 ㅋㅋㅋ 중국과 일대일로 연결된 나라 중에 폭망하지 않은 나라가 있으면, 여기 대보시지 그래~ 너 국적이 중국인 것 같은데~ 한국인이 중국을 쉴드 쳐 줄리가 없지요. 당연지사
@user-xh3rx9us2u
@user-xh3rx9us2u 5 ай бұрын
중국은 너무 빨리 이빨을 들어냈음. 시진핑이 너무 급했어.. 자기 집권하에 실적을 보여줄려고 무리한게 문제..
@user-lo2ui2nb6i
@user-lo2ui2nb6i 4 ай бұрын
드러내다 입니다!
@user-bx5vs4lc2p
@user-bx5vs4lc2p 4 ай бұрын
덩샤오핑이 분명히 반세기까진 중국이 입 다물고 있어야한다고 유언을 남겼다고 아는데 시진핑이 설쳐서 결국 패권국 못되고 골로 갈 운명임 ㅋㅋㅋㅋ
@user-qu1jf9uy3m
@user-qu1jf9uy3m 4 ай бұрын
집권하기 전에도 당내입지가 애매한데 어부지리로 된 놈이라서 이렇게 강하게 안나가면 종신집권 야망 못이룬다 생각했을듯 결과적으로 핑핑이 때문에 중국은 갑갑해짐 덩샤오핑이 지하에서 땅을치고 통곡할듯 ㅋㅋㅋ
@ljmnes
@ljmnes 4 ай бұрын
장기집권의 명분을 만들기위해서 이빨을 드러낼수 밖에 없었죠.. 다 하느님이 보우하사 라고 봅니다.
@key6316
@key6316 4 ай бұрын
휴~~~~ 다행이다.
@user-ts6et9ox5l
@user-ts6et9ox5l 5 ай бұрын
반도체 부문에서 화웨이가 쓰던 메모리 반도체가 거의 모두가 한국산인데 지금 그게 없으니 메모리 반도체 가격이 떨어져서 올라가질 못하는거죠 어차피 ap는 한국산 쓰지도 않았고 지금 몇개월간 무역수지 적자나는것이 반도체수출이 줄어들어서 그런건데
@user-zw5eo7lr4j
@user-zw5eo7lr4j 5 ай бұрын
반도체 수출 줄어든다고해도 이번 무역전쟁에서 미 한 일 대만이 승리하면 남은 파이 승자독식해서 돈 더 많이벌수있을듯
@Kindactor
@Kindactor 5 ай бұрын
어떠한 질문에도 현명하게 대답하시는 교수님 정말 멋집니다
@Kindactor
@Kindactor 4 ай бұрын
시진핑은 전쟁을 위해 일대일로를 하는 중이었구만
@Thomas-dq4cn
@Thomas-dq4cn 5 ай бұрын
교수님의 강의가 평소 제가 생각해오던 것들과 많이 비슷해서 재미가 있네요.
@user-cx7wf4xv6x
@user-cx7wf4xv6x 5 ай бұрын
이때까지 본 분석 중에 가장 균형있고 한 사상에 치우쳐 호도하지 않는 강의인듯.
@user-he9zk9nz3n
@user-he9zk9nz3n 5 ай бұрын
그런데 지금의 중국관련 시선은 좀 잘못된거같습니다. 올해 최대 수출국은 베트남으로 바뀌었고 중국향은 10프로대입니다 미국은 벌써 20프로대 이구여 동남아쪽으로 분산시키면서 포트폴리오가 점점 탄탄해져가고있죠
@user-ef9jy4kh7u
@user-ef9jy4kh7u 4 ай бұрын
공산당 일당독재와 중화사상 똥 자존심 통제경제 결국 망함
@kkkpjdk9212
@kkkpjdk9212 5 ай бұрын
그것도 맞는 말이지만 좀 더 폭넓게 보면 중국공산당의 돈으로 다른나라의 정치가,언론인 등 영향력 있는자들을 포섭하여 여론조작을 시도하는 등 못된 짓을 하는데 대하여 경각심을 가져야 하리라 봅니다.
@chublossoom2631
@chublossoom2631 5 ай бұрын
이미 문재인때 많이 봐왔잖슴 답없음
@fouryoufam2333
@fouryoufam2333 5 ай бұрын
그건 일본, 미국도 똑같이 하고 있음
@user-lo2kn8so7d
@user-lo2kn8so7d 5 ай бұрын
​@@fouryoufam2333너같이 엉성한애들 써서 티나게 대량으로 하진않음
@user-lz9rw3fd2m
@user-lz9rw3fd2m 5 ай бұрын
​@@fouryoufam2333선족이 어서오고
@hjkufc865
@hjkufc865 5 ай бұрын
대표적으로 찢재가있는데 돈을 얼마나 받아쳐먹었으면 개딸들이 득세를하고있네
@user-bd4td6hn2k
@user-bd4td6hn2k 4 ай бұрын
찐 좋은강의 감사합니다!
@user-sn1hv4gf8e
@user-sn1hv4gf8e Ай бұрын
교수님 정말 말씀에 도움이 되습니다 교수님 감사합니다
@user-wr2si5nd6f
@user-wr2si5nd6f 5 ай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sunghwanwoo
@sunghwanwoo 5 ай бұрын
좋은 겅의 듣고 갑니다. 우리 모두가 글로벌 비지니스를 해야 한다는 말씀에 공감 합니다
@snicylove
@snicylove 5 ай бұрын
흡입되어 봤습니다. 좋은강연 감사합니다!
@user-zw5eo7lr4j
@user-zw5eo7lr4j 5 ай бұрын
이미 대중국 수출은 중국내 ‘대한민국’회사 생산공장에 들어가는 물량밖에 없습니다. 중국은 Led, 완성차, 반도체 등등 우리나라와 모든 산업이 겹치는 경쟁국입니다. 중국이 무너져야 우리가 더 잘삽니다.
@dasamkoo2012
@dasamkoo2012 4 ай бұрын
긴장하지 마십시오. 중국은 세계를 선도하거나 독특한 기술을 3,000개 이상만 보유하고 있습니다. 우주정거장, 고정밀 GPS, 슈퍼컴퓨터, 민간항공기, 5G 통신, 원자력 에너지 활용, 무인운전, 운영체제, 양자기술, 고속열차, 전자기투석기, 가스터빈, 엔지니어링 쉴드머신, 우주정거장, 우주망원경, 독립 휴대폰 칩, 블레이드 리튬 배터리, AI 인텔리전스, 고도 자동화 산업, 전자 지갑, 생물 의학, 항공 우주 엔진, 산업용 데이터 링크, 능동 위상 배열 레이더, 항공 우주 엔진, 고체 램제트 항공 우주 엔진, UAV 데이터 링크, 7nm 리소그래피 기계, 바이오닉 지문모듈, 로터모터, LNG선, 호화유람선, 디지털디코딩칩, 블루투스 무선주파수칩, 바이오닉 지문모듈, 3D프린팅 기술, 3D플래시메모리, LED, 강화유리, 청정에너지, 풍력모터, 지열에너지 활용, 셰일 원유 추출, 희토류 정제, 정밀 기기, 내압 기술... 중국이 한국과 겹치는 기술은 없는 것 같아요. 중국은 화학 산업, 금속 제련 산업, 고도로 자동화된 산업, 과학 생태 농업, 인재 양성 및 예비 등 인류 역사상 가장 완벽한 산업 부문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한국은 미국이 주도하는 산업체인에 속해 있어 자체 기술을 갖고 있지 않다.
@user-yr8tz8ug2i
@user-yr8tz8ug2i 5 ай бұрын
시원스럽게 설명해주시니 다른세상을 또볼수있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꾸뻑~^^
@polarn8881
@polarn8881 5 ай бұрын
교수님, 훌륭한 강연 감사드립니다😊
@user-si6lx6od3r
@user-si6lx6od3r 5 ай бұрын
중국이 경제 위기 오기가 쉽지 않음. 중국과 러시아 제재해도 타격이 없는 이유가 내수 시장이 워낙 튼튼하기 때문 거기다 미국 채권도 수천억 달러가 있고 수출도 잘되고 있다는거. 생필품,식품 아직도 전세계 다 재패하고 있는게 중국임. 김치,배터리,전기오토바이 거의 모든게 중국산임. 중국산없이 전세계 사람들이 생활하기 힘들 정도임. 반도체도 이미 대만이 중국과 물밑으로 주고 받고 있음. 그래서 중국 경제 위기가 오더라도 크게 오지는 않을거라고봄.
@happyds_pc
@happyds_pc 4 ай бұрын
내용이 듣기편하고 편집도 잘하셔서 집중해서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godstudio2385
@godstudio2385 5 ай бұрын
주변 중국 러시아 일본이 안좋으면 안좋을수록 우리에게는 기회이자 이득임. 멀리있는 미국 폴란드 등을 이용해서 점점 주변국을 깨나가야함.
@user-hl8tr9tj7m
@user-hl8tr9tj7m 5 ай бұрын
불가능
@frgew1733
@frgew1733 5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는 결국 체급으로 일러중을 깰수가 없음. 유일하게 깰 방법은 중국이 여러 국가로 갈라지는게 유일한 방법이고 그게 아니면 우리힘으로 눌러 놓기 힘든게 현실이죠. 뭐 더 미래로가서 인간이 더이상 경제, 과학에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고 기계가 다시 기계를 발전 시키고 기계가 모든 일을하고 인간은 받아 먹기만할 수준인 특이점까지 과학이 다다르면 모르겠네요.
@godstudio2385
@godstudio2385 5 ай бұрын
@@user-hl8tr9tj7m 쌉가능
@godstudio2385
@godstudio2385 5 ай бұрын
@@frgew1733 미국을 이용해서 깨면 됨. 미국은 의회위주의 자국이익 우선 국가임. 잘 이용하면 방법도 여러개인데 지금 전 정부같은 종중 종북 쓰래기들을 모조리 쓸어버리고 시작하면 됨.
@user-ek7dl1ln5c
@user-ek7dl1ln5c 3 ай бұрын
5000만 인구가 멀할수 있겠냐😂😂😂😂😂
@user-ri2zw2ip2r
@user-ri2zw2ip2r 5 ай бұрын
팩트는 따로있다 그것은 바로 사드 보복으로 우리나라에 행한 일련의 조치들이 서방세계에 중국에 투자 하는것은 위험 하다는 것을 각성하게 해줘서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서방 선진국들의 자금이 빠져 나가기 시작했고 특히 세계 최고의 관광 자원을 보유 하고도 스스로 관광 기피국가를 만든게 사회주의가 무너지지 않는한 다시 관광대국의 길이 열리지는 않을 겁니다
@yslee9218
@yslee9218 4 ай бұрын
굉장히 유익한 이야기 감사합니다.
@user-nj8ok5ie3f
@user-nj8ok5ie3f 5 ай бұрын
한 인간이 얼마나 인류에 위험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최근 예
@user-xn4dj6ck2w
@user-xn4dj6ck2w 5 ай бұрын
멋진 강의 명쾌하고 명확한 정말 멋진 강의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il6yd7uj1s
@user-il6yd7uj1s 5 ай бұрын
중국이 어려워질수록 문제를 외부로 돌려서 전쟁할까봐 괜히 휘말려서 ㅈ되는 시나리오가 걱정이다.
@user-vm8ms2ml6l82
@user-vm8ms2ml6l82 5 ай бұрын
병신 시나리오네요
@user-hr5dd8zg1j
@user-hr5dd8zg1j 5 ай бұрын
중국은 적이 너무 많고 땅이 넓을수록 방어해야될곳도 많아서 한번에 빠르게 조지지 못하면 영토분쟁잇는 나라들 분쟁일으키고 소수민족들 독립한다고 난리칠위험 잇어서 함부로 전쟁못할듯 위험요소가 넘많음 ㅋ
@zsdaxc4567
@zsdaxc4567 5 ай бұрын
내년에 대만 총통선거도 있죠.
@vian4e150
@vian4e150 5 ай бұрын
무조건 전쟁할거라고 봄 단기간에 끝나야 우리나라가 휩쓸리지 않을듯
@Alhamdulilla_Korea
@Alhamdulilla_Korea 5 ай бұрын
중국은 전쟁하면 ㅈ됨.
@hie-eunlee6213
@hie-eunlee6213 3 ай бұрын
이해가 잘 됩니다 감사합니다
@tgkim8692
@tgkim8692 5 ай бұрын
지금 중국 걱정할 때가 아닌거 같은데요 태영건설 어쩔건가요. 돈 못버는 기업들 정리하라면서요
@cv9737
@cv9737 5 ай бұрын
(1) 반도체를 제외하고 이제 중국은 우리나라의 중간제와 핵심 부품이 필요한 국가가 아니다. 산업 자체가 우리가 만들어서 수출하는 제품은 중국도 모두 만드는 상태가 된 것이다. 중국의 수출 산업 군과 우리나라의 수출 산업 군은 대부분 겹친다. 조선, 전자, 자동차, 반도체 등이 그것이다. 이는 더 이상 우리나라가 중국에 수출해서 중국의 덕을 보기는 어려운 상황이며 중국은 우리와 경쟁 관계가 되었다는 걸 의미한다.
@cv9737
@cv9737 5 ай бұрын
(2) ​LCD 패널도 기술 측면에서 대등해졌고 조선산업에서도 고급 선박은 우리나라가 더 잘 만들지만 선박 수주량 즉, 시장점유율은 중국이 훨씬 더 커진 상태다. 이뿐만 아니라 전기 자동차와 배터리 그리고 태양광이나 풍력발전과 같은 신재생 에너지도 중국과 경쟁 관계에 놓여있다.
@cv9737
@cv9737 5 ай бұрын
(3) 우리나라가 중국과 경쟁하는 상황이 되었는데 중국을 활용한다? 중국이 활용당해주지도 않을 뿐만 아니라 이제 그런 시대는 끝났다고 봐야 한다. 마치 일본이 90년대 말 이후로 한국을 활용하는 것이 불가능했진 것과 같은 상황이라고 보면 된다. 이제 수출 측면에서 중국의 덕을 보는 시기는 끝났다.
@cv9737
@cv9737 5 ай бұрын
(4) 중국이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수입하는 것은 반도체이며, 미국이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수입하는 것은 자동차다. 중국의 화웨이가 스마트폰 사업을 접었던 이유는 미국의 반도체 체재 때문이다. 미국의 대중국 반도체 제재는 우리에겐 경쟁 관계에 있는 중국의 발전 속도를 늦추는 좋은 기회가 된다. 당연히 우리로서는 미국의 대중국 반도체 제재에 동참해야 하며 칩 4동맹 관계도 굳건히 해야 한다.
@user-tf2kc2qp4n
@user-tf2kc2qp4n 4 ай бұрын
정답이네요 제발주변에 많이 알려주시길 여기모든분들 아직도 대다수 글을보면 마치우리가 지금 정치때문에 우리상품을 중국에 수출을 못하는걸로 알고 처대드는 골빈것들많아 골아픔 ᆢ우리가 일본 코키리밥통 소니워크맨 안사잖아요 (예전예로 들면요) 한국산이 싸고좋은 삼성 엘지도 있으니 당연 ᆢ 중국도 이젠 자국내수품은 질이 충분하니 자연 중국인들 자국거 사니 당연한국거 판매율 떨어지는건 당연하는거 아닐까요 ? 근데 골빵들은 왜케 그렇게 거품물고 비벼대는지 ᆢ 글좀 많이 써주세요 여기저기요
@user-xm1jg6yi4b
@user-xm1jg6yi4b 5 ай бұрын
이분이 제일 합리적이고 멋지심
@user-uf5vq8dy1q
@user-uf5vq8dy1q 4 ай бұрын
어떤 기준으로 어떻게 시뮬레이션을 하셨는 지 궁금합니다. 참고로 기부 채납후 대지 기준이기 때문에 원래 대지 기준 용적률은 그리 높지 않습니다. 서울 기준 허용 용적률x ( 1+ 1.3A) 입니다.
@user-dd5vs1qg9d
@user-dd5vs1qg9d 4 ай бұрын
너무 멋진 강의를 들었습니다!!!
@rockyoh
@rockyoh 5 ай бұрын
문제는 한국 정치인들에게 준 돈이 열라 많음. 한국 정치인들 행동 및 정책들 잘 봐야함.
@user-tf2kc2qp4n
@user-tf2kc2qp4n 4 ай бұрын
그소문이 엄청 많았어요 SNS 에 아름아름 정말많았어요 ㅇ당은 거의 수년에 걸처 받아오고 ᆢ 지금도 비공식방문 아련하고 온답니다 얼마전 의원몇몇 일개 지방수장한데 관급에서 지사나 시장 정도한테 머리조아리는거 보고 얼마나 받아먹었음 저럴까 ᆢ
@ascoooops
@ascoooops 4 ай бұрын
​​@@user-tf2kc2qp4n 국민의 힘 인가요?? 국힘 의원들 중국 전승절에 참가하고 집권할 때마다 대중 무역수지 악화시키고 빨갱이를 국회의원 시킨거 보면 국힘인데... 참 거대 양당 문제입니다...... 미국 물 먹은 이준석신당 지지해야겠어요
@perseverance_um1773
@perseverance_um1773 5 ай бұрын
중국이 야욕의 발톱을 조금만 늦게 드러냈다면 우리나라는 더 심각한 피해를 입었을 것이고 또한 미국의 수출 규제가 조금 더 빨랐다면 그런 아쉬움이 남죠. 미국이 중국 공산당을 너무 이해하지 못해 생긴 일입니다. 근데, 지금도 잘 이해를 못하더라구요.
@user-lw8lh1cg5j
@user-lw8lh1cg5j 5 ай бұрын
교수님 항상 감사 합니다
@user-nj7tf7jl2t
@user-nj7tf7jl2t 2 ай бұрын
당연하죠 자유민주주의 시스템 국가로 대한민국에서 자유롭게 살았는데 어떻게 공산당 감시체제로 억압 받으며 살겠어요 그동안 국민들이 자유롭게 살기 위해서 저항하며 군사독재를 종식 시키는 과정에서 수많은 사람들이 탄압 받았어요 국민들이 분노하고 저항하며 견뎌냈지요 앞으로도 너무 중요한 문제 입니다 자유민주주의 시스템 국가인 대한민국이 체제 전복되지 않도록 노력해야지요
@user-hr5dd8zg1j
@user-hr5dd8zg1j 5 ай бұрын
중국의 세상을 만들려다가 중국혼자된 세상을 만든 시진핑ㅋㅋ
@accrris1224
@accrris1224 5 ай бұрын
China is the largest trading partner of more than 100 countries in the world. Musk's largest Tesla factory in the world is located in Shanghai, China, and China is isolated?😂😂😂
@accrris1224
@accrris1224 5 ай бұрын
당신들의 쓰레기 대통령은 100 명의 국가 지도자를 방문하여 세계 박람회를 위해 표를 뽑았는데, 결국 20 여 표를 얻었습니다.😂😂😂,요점은 터키가 아예 표를 뽑지 않았는데, 모두 18 표가 있다는 것이다😂😂😂,한국은 정말 나르시시즘이야😂😂😂,한국의 국기🇰🇷모두 중국을 훔친 것이다😂😂😂
@user-rm7cy4wm2f
@user-rm7cy4wm2f 4 ай бұрын
ㅋㅋ 전세계란 200여개국가다. 니들 주인국 미국중심만 있는게 아니라 ㅋㅋㅋ
@upzerg
@upzerg 4 ай бұрын
@@accrris1224 중국인은 시진핑이 유튜브 못하게 막아놨는데 VPN 써서 꾸역꾸역 들어오네... 장하다
@upzerg
@upzerg 4 ай бұрын
@@user-rm7cy4wm2f 중국인은 시진핑이 유튜브 못하게 막아놨는데 VPN 써서 꾸역꾸역 들어오네... 장하다
@nochinesedream3320
@nochinesedream3320 5 ай бұрын
불행하게도 중국은 이제 희망도 없습니다. 더 이상 눈치볼 때가 아닙니다.
@user-xz5pp5ns1s
@user-xz5pp5ns1s 5 ай бұрын
좋은 지적 감사합니다. 그런데 휴대폰 부분에서는 좀 잘못알고 있네요 너무 단편적으로 보셨네오.
@user-yc8ub4nr1q
@user-yc8ub4nr1q 5 ай бұрын
전 세계적으로 경기는 어렵습니다....
@userganada
@userganada 5 ай бұрын
아닌데 ㅋㅋ 한국만 망하고있음
@user-kr4wn5bc9m
@user-kr4wn5bc9m 5 ай бұрын
귀에 쏙쏙 들어 옵니다. 감사합니다.^^;
@sarahj8994
@sarahj8994 5 ай бұрын
수출하는데 일단 운송비 물류비가 너무많이드는데 중국 경쟁력은 물류비에도 잇음 … 하 ㅠ ㅡ
@user-ri9mj2sf2d
@user-ri9mj2sf2d 3 ай бұрын
아주 와 닿는 말쓰 ㅁ 감사합니다.
@user-rl1wx1rb5f
@user-rl1wx1rb5f 5 ай бұрын
3년동안 부동산 규제해서 시진핑이가 개혁하나 했더니 2년전에 헝다그룹 부도날때 정리했으면 비구이위안까지 오지 않았다. 이걸 어떻게 해결하나. ㅋ 금액이 진짜 이젠 해결 방법이 없을듯. 계속 정부돈이 사라지는군.
@LUNA_Moon_MARS
@LUNA_Moon_MARS 5 ай бұрын
20:41 인정합니다 한국회사들은 대부분이 내수 시장을 위해 있는거 같습니다. 시장 파이를 넒게 보면 서로 싸울 일이 없을텐데 한국회사들은 자기들의 밥그릇을 챙기기 위해 또는 내수시장만을 생각하기 때문에 서로 싸우는 일이 많이 발생하는 것 같습니다
@Kevin7jo
@Kevin7jo 5 ай бұрын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Siwoo_Life
@Siwoo_Life 5 ай бұрын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seoul_louis9584
@seoul_louis9584 5 ай бұрын
갚지도 못할 막대한 돈을 빌려주고. 그렇게 얻은 돈으로 진행되는 사업권은 다 중국 기업들이 챙기고 중국인 노동자들 보내서 경제적 이득은 다 중국 기업과 중국인들이 챙기고. 그렇게 중국 돈으로 중국 기업이 중국인들 데리고 인프라 건설해주면 그 나라는 그 돈을 다 중국에게 다시 값아야 하고. 근데 값을 능력이 없으니 중국 경제에 종속되고 중국 자본들이 온 나라의 모든것들을 잠식해 나가고. 항구 같은 해상 요충지에는 중국 해군이 주둔할수 있게 만들고. 중국이 돈을 빌려준건 맞는데. 사실상 중국이 다른 나라 경제를 식민화 시키고 돈 다 뺐어가는 짓 1. 중국이 값지도 못할 막대한 돈을 빌려줌 2. 빌려준 돈으로 진행되는 사업의 사업권은 다 중국 기업이 가져감. (결국 중국에게 다시 돈이 되돌아 옴) 3. 현지인을 고용하는 것도 아님. 중국인들이 그 나라 가서 일함. 4. 중국 돈으로 중국 기업이 중국인을 데리고 인프라 건설해줌 5. 근데 그 나라는 중국에게 빌린 돈 값아야함 (중국 돈 빌렸으니깐) 6. 근데 능력이 없어서 돈을 못값음. 그래서 국가부도가 남. 7. 중국 자본이 나라를 점령하기 시작함. 나라의 모든 것들이 다 중국 통제에 들어감 8. 중국의 경제 식민지가 되고, 중국에게 인프라 운영권을 넘겨줌. (만약 그 나라가 돈을 갚는다면) 중국 정부는 돈 1푼도 안쓰면서 자국 기업들 돈 벌어주는 것이고. 만약 그 나라가 돈을 못갚는다면 그걸 계기로 중국이 그 나라 경제를 장악할 수 있음. 근데 현지인들은 중국이 깔아준 멋진 인프라가 있고 자국에 진출한 중국 기업들이 싼값으로 선진 재화를 가져다 주니깐 자기들이 경제 식민지가 된지도 모르면서 겁나 좋아함. 현지 정부는 포퓰리즘 펼친답시고 자기 치적 세울 목적으로 중국 자본 겁나 들여옴. 그 자본들은 다 중국으로 들어가면서 중국 경제성장과 산업에 이바지함. 결국 모든 이득은 중국이 가져감.
@user-gw4rd6fw1t
@user-gw4rd6fw1t 5 ай бұрын
중국이 한 짓이 바로 악마짓거리죠
@suhyunkim3581
@suhyunkim3581 5 ай бұрын
점령해도 뜯어갈게 없어서 문제죠. 중국이 파키스탄에서 뭘 가져갈수있습니까
@suhyunkim3581
@suhyunkim3581 5 ай бұрын
중국은 그런 가난한 나라들에게 뭘 받을 수 없어요 주는것만 가능하지
@yongsuki
@yongsuki 5 ай бұрын
@@suhyunkim3581 받을게 있죠. 각종 잇권이죠.. 지하자원이나 항구 이용권같은거죠.. 이게 조선이나 청나라도 이런식으로 잇권 침탈 당하면서 경제 식민지화햇죠.
@reset21
@reset21 5 ай бұрын
@@suhyunkim3581주는것만 가능?ㅋㅋㅋㅋㅋㅋㅋㅋ 미국이 지켜내던 무역항로를 지들이 빼앗으려는 1차적 조치였던건데 뭔 중국이 아낌없이 주는 나무인것처럼 쌉소리 지껄이냐
@user-ix2po9ng7p
@user-ix2po9ng7p 5 ай бұрын
좋은 영상 정말 감사합니다
@K_Hooon
@K_Hooon 5 ай бұрын
간만에 뉴스다운, 정보전달에 집중한 뉴스였습니다 이대로만 해주세요. 다른 영상들처럼 한쪽으로 치우치지 마시고요.
@user-sn1cr6fk8u
@user-sn1cr6fk8u 5 ай бұрын
너무 잼난 수업❤❤
@user-gp1lc3vz8w
@user-gp1lc3vz8w 3 ай бұрын
훌륭한 교양이였습니다 교수님의 말씀 명심하겠습니다
@user-wd2wm6xv4j
@user-wd2wm6xv4j 5 ай бұрын
인터넷 해저 케이블망은 태평양을 건너 미국으로부터 오는 걸로 아는데 미국이 그걸 차단하면 중국도 마비되는거죠. 그래서 중공도 최근 우주 인터넷망을 만들려 하는것 같습니다.
@gobukie989
@gobukie989 5 ай бұрын
엄청나게 중요하고 유익한 내용이었습니다. SBS 굳
@neutral271
@neutral271 5 ай бұрын
핵심 쉽게 잘 짚어주시네요 감사합니다
@user-ez1tn3bh8p
@user-ez1tn3bh8p 5 ай бұрын
내용이 좋구먼.
@user-gf1gb5zw3e
@user-gf1gb5zw3e 5 ай бұрын
반대차선 앞차량 눈부시지말라고 끄고 신호받고 달리다가 꺼진거 이야기해줘서 알게되어서 이젠 눈부시더라도 오토로 그냥 켜고 다녀요
@user-ew9un9hj4o
@user-ew9un9hj4o 5 ай бұрын
교수님&스브스 감사합니다! 강의 잘 봤습니다!
@user-vm8kd8gu5c
@user-vm8kd8gu5c 4 ай бұрын
교수님 내용 유익하게 잘보왔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nw1vg5hs4i
@user-nw1vg5hs4i 5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잘 들었습니다
@user-td2if2gz2g
@user-td2if2gz2g 5 ай бұрын
하나하나 글로벌이 되어야 한다 맞는말이네요 경직된 사회가 많이 바뀌어야 하겠네요 MZ가 하는 일이 부작용도 있지만 필요한 일이네요
@userganada
@userganada 5 ай бұрын
미국이쇄국 정치하니깐 ㅋㅋ 전세계가 말듣는중
@user-mc3ve4bb1y
@user-mc3ve4bb1y 5 ай бұрын
대미 수출비중이 너무 높아지면서 제재 들어왔습니다. 일본은 잃어버린 20, 30년이 왔고, 한국도 과거 수출 잘된다고 좋아했더니 태클 들어왔었습니다. 미국 수출이 견제 받는 상황에서, 한국이 중국에 장비, 부품 팔고 중국이 미국에 완제품을 수출하여 미국 비중은 낮아지고, 중국 비중은 높아져서 좋았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이제 중국이 자급자족하면서, 한국은 다시 미국으로 직접 수출해야만 성장을 할 수 있는데, 선진국들의 대중국 견제를 한국이 잘 이용했으면 좋겠습니다.
@user-eb8py4pf1u
@user-eb8py4pf1u 5 ай бұрын
고견을 듣고 시야가 넓어지고 있다는 생각입니다...감사합니다.
@user-wj2le5rz4w
@user-wj2le5rz4w 5 ай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gyunamchol6611
@gyunamchol6611 5 ай бұрын
타이완 점령시 주변3국은 중동의 지리적 국제수로 처럼 통행세 , 해로 관리세 (동북아시아를 넘어 동,서,남아시아 , 까지의 주요 국제 해로 차단 ? ) 청구되어 주변 3국의 물류비 상승으로 이어질듯
@user-vu8zz6li2s
@user-vu8zz6li2s 5 ай бұрын
건축자재 방염자재사용 의무화 시켜야
@ericshin7028
@ericshin7028 4 ай бұрын
눈앞을 보는것보다 그나마 전략적인것이 맞는것이 아닌가고 생각을 해봅니다 장사군이 아니라 멀리를 내다보는 대담성은 그래도 참고는 할만한것 같습니다
@user-ll8vr6qx1e
@user-ll8vr6qx1e 3 ай бұрын
교수님의 강의에 감사드리며 박수를 보냅니다
@vagabond7199
@vagabond7199 5 ай бұрын
김정호 교수님, 드디어 SBS에 진출을 하섰군요.
@JIAEOUNPARK-lo8ld
@JIAEOUNPARK-lo8ld 5 ай бұрын
역시 중국이 너무 커졌군. 원래 북경근처 조선보다 조금 크던 나라가 주변을 다 잡아먹고 중원을 다 잡아먹었으니, 주변 국가들의 근심거리가 되었네. 분수를 알게 관리해 줄 수 있는 힘이 필요한 것 같다. 그게 아니면 세계평화를 해치고 스스로도 자멸할 듯
@user-rm7cy4wm2f
@user-rm7cy4wm2f 4 ай бұрын
와. 니들쎄다 ㅋㅋ 중국에 미사일 한방 날려봐리 ㅋ
@runtingcai3227
@runtingcai3227 5 ай бұрын
중국에서 생산, 베트남에서 조립해서, 메이드인베트남을 달고 미국으로 들어가는 경우는 없을까요? 멕시코도 마찬가지고요. 예시로 든 나라들 모두 중국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 같네요. 대안을 마련해 두지 않고 무대뽀로 탈중국을 주장하는 너무 성급한 건 아닐까요? 탈중국을 눈치채지 못할 정도로 추진해야지, 굳이 탈중국을 외치는 건 우리 경제에 아무 도움이 안 되는 것 같습니다.
@user-we5ik5uj7m
@user-we5ik5uj7m 4 ай бұрын
일본의 경재거품은 그냥 애교 수준 이었던 듯.. 중국의 경재거품은 어마어마??
@user-jt8kr9bk9w
@user-jt8kr9bk9w 5 ай бұрын
와아 대만이 중국으로 넘어가는게 우리나라와 아무 상관없는게 아니였네요 ㄷㄷㄷ
@We_are_Koreans
@We_are_Koreans 5 ай бұрын
친중 밍주당한테 속고 있었나? 대만의 정세는 우리와 관련 있음.
@user-qq4qj1yq6t
@user-qq4qj1yq6t 5 ай бұрын
거기에 더해서, 만약 일본에 친중 정권이 들어선다? 한국은 그야말로 사방이 고립 되어서 끝임
@userganada
@userganada 5 ай бұрын
그래서남중국해에서 베트남 태국 등 아시아국이 중국과 연합훈련하는거죠 ㅋ 주권국가들끼리 모여서 ~
Make me the happiest man on earth... 🎁🥹
00:34
A4
Рет қаралды 4,7 МЛН
1 класс vs 11 класс (неаккуратность)
01:00
АСЛАНЯН: Китайский автопром - это обман россиян
7:57
Ходорковский LIVE
Рет қаралды 182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