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세계 1위 부자들이 가진 의외의 공통점 '1가지' (김경일 교수)

  Рет қаралды 706,957

지식인사이드

지식인사이드

Күн бұрын

👇지식인사이드 네이버 카페 가입하기
cafe.naver.com/knowledgeins
👇지식인사이드에 출연을 원하신다면 여기를 눌러주세요
forms.gle/u4LxVcwFdhvkLH8m6
오늘은 김경일 교수님을 모시고
세계 1위 부자들이 가지고 있는 공통점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영상이 유익 했다면 구독!! 영상이 재밌으셨다면 좋아요 버튼을 눌러주세요!
#김경일 #지식인사이드 #성공법칙
김경일 교수님과 함께 알아본 일론머스크의 더 많은 얘기가 궁금하시다면?
product.kyobobook.co.kr/detai...
00:00 인트로
00:30 구독자 인사
00:33 심리학적으로 밝혀진 성공한 사람 공통점 ‘1가지’
03:37 세계 1위 부자, 일론머스크의 통화는 남들과 '이것'이 다르다
05:11 흙수저 출신 일론머스크가 자수성가한 이유
08:31 주 7일 일하는 일론머스크, 몰입의 비결은 바로 '이것'입니다
13:28 세상을 바꾸는 일론머스크의 유년시절은 '이것'이 달랐다
18:20 일론머스크의 천재성, 과연 타고났다고 생각하시나요?
제작 : 어썸엔터테인먼트
(주) awesomeentad.com/

Пікірлер: 432
@user-ml8je5bo9d
@user-ml8je5bo9d 7 ай бұрын
”세상에서 제일무서운 사람이 안바쁜 사람이다“ 공감 100% 하고 갑니당👍👍👍
@user-bm1ru4kw3f
@user-bm1ru4kw3f 7 ай бұрын
무식한 사람이 신념을 갖을 때….와 비슷하네요
@user-mu1yv3vw4n
@user-mu1yv3vw4n 7 ай бұрын
안바쁜사람들 : 남 사생활 관섭하고 물어뜯으려하고 다리잡고 느러지는사람. 고로 지 인생이 재미없고 ㅈ같으니 남 인생 참견하고 내려깍고 .. 악플러들 같은사람. 집착하는사람 남 잘되는꼴 못보는사람 등등
@lololi482
@lololi482 7 ай бұрын
!
@elijah7902
@elijah7902 7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지다가던 백수 인사드립니다 뜨끔하고 마져 지나갑니다 실례하겠습니다
@user-si2gl3up1u
@user-si2gl3up1u 6 ай бұрын
​@@elijah7902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rhosoojin191
@rhosoojin191 7 ай бұрын
결국 10대때 모범생만 인정받는 우리나라 학부 학벌주의 진짜 비논리적인 건데 사람들이 세뇌된 것처럼 지배를 당하고 있죠.. 소위 지잡대라는 데서 가르쳐봤지만 우리나라 젊은이들은 기본이 근면하고 아까운 인재들 진짜 많아요~ 10대때 딴 생각할 수도 있고~ 나중에 뒤늦게 학구열이 생길수도 있고~ 좀더 교육에 대해 오픈마인드 가진 사회가 되었음 합니다..
@With_ban
@With_ban 7 ай бұрын
동감합니다
@user-eh9ty3jl3c
@user-eh9ty3jl3c 7 ай бұрын
😅ㅔㅐㅑ
@user-qg2pc8ic3w
@user-qg2pc8ic3w 7 ай бұрын
동기부여가 돈 비교 학벌 이딴거니까 누가 좋아함. 그래서 난 사람들이랑 대화할 때 학과를 물어보지 학벌을 묻진않음. 기본적으로 그 학과를 원해서 갔거나 갔더라도 나중에 뭐라도 배워서 나오는 경우가 많고 관심사가 그쪽으로 많이 되어있을테니.
@user-gp7si4ut4f
@user-gp7si4ut4f 7 ай бұрын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LOvE-tc5gu
@LOvE-tc5gu 7 ай бұрын
유럽에사는데요. 상위 30퍼 안에 들어도 최고의 명문대 갈 수 있는 환경이거든요. 한국으로치면 지방대 가는 아이들이 여기 좋은 학교를 가는데 대학에가면 공부를 엄청 열심히합니다. 자신이 원한 공부를 스스로 찾아온이유도 있고 교수들이 잘 가르쳐요. 생각하는 힘을 기르죠. 한국은 엄청나게 똑똑한 아이들도 대학가서 양질의 교육을 받고 나오기가 힘든 환경 같아요. 너무 아까워요
@user-lk4mz3wi2m
@user-lk4mz3wi2m 7 ай бұрын
진짜 교육은 줄세우기가 아니라 세상을 알아가고 아이가 살아가는 법을 배우는 교육이 돼야한다.. 음악은 즐기는것이고, 문학 작품을 읽고 감명을 받는 것과 수학과 과학이 사회에 필요한 이유. 이런 과정을 거치면서 아이들이 자기 꿈을 찾아나가는게 아닐까 싶다..
@user-wo2pz9gc4k
@user-wo2pz9gc4k 6 ай бұрын
그렇다면 남이 줄을 세우든 말든 니 갈 길을 묵묵히 가면 된다.
@janes7627
@janes7627 5 ай бұрын
전문가가 아닌 삶을 살면 됩니다.
@user-bu4gf7ev2o
@user-bu4gf7ev2o Ай бұрын
판단과 조롱으로 들려요 다들 자신에게 당당한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전물류 일용직인데 포장이 적성에 맞더라구요 항상 박스 테트리스겜 같아서요 몸은 힘들긴한데 즐거움으로 극복해요
@keni3522
@keni3522 7 ай бұрын
일론이 주7일을 일할수 있는 비결은 자신의 일을 하기때문입니다. 누가 시켜서 하는 일이 아니라
@ytbmgoo
@ytbmgoo 7 ай бұрын
남이 시켜서 하는 일이라도 내 성장동력이라고 생각하면 내 일이 됩니다
@wisering
@wisering 7 ай бұрын
내 일도 남일 같이 하는 사람들 많아요. 일론이 대단한 겁니다
@owleyez
@owleyez 7 ай бұрын
직원도 해보고 대표도 해보세요. 생각과 관점이 달라지실겁니다.
@wellife38
@wellife38 7 ай бұрын
정답인 거 같습니다
@kzp7625
@kzp7625 7 ай бұрын
마자요 나도 내가 좋아하는 전공에 일 선택해서 주7일 20년 일함 그때가 가장 행복했음
@seung-ahlee5955
@seung-ahlee5955 7 ай бұрын
어디 책에서 봤는지 기억이 나지 않으나, 아무리 불우한 환경이어도 멘토 한 명만 있으면 바르게 성장하여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다고 하는 걸 본 기억이 나네요. 물론 양육의 책임과 권한은 부모에게 있지만, 모든 부모는 완벽하지 않기에 필요시에 적절한 멘토 혹은 대화 가능한 어른과 매칭이 될 수 있는 사회 시스템이 있으면 좋겠습니다. 결국에는 시스템의 문제가 아니라 사람의 문제가 되겠지만요.
@user-um2bi2gq7k
@user-um2bi2gq7k 7 ай бұрын
회복탄력성 책 에서도 비슷한 내용이 나오던데 반갑네요 ㅋㅋ
@user-je8uc2wf9r
@user-je8uc2wf9r 6 ай бұрын
그아이만의 한사람 이라는 책도 있었어요
@emelmuziro
@emelmuziro 5 ай бұрын
그게 교사여야하는데 교사들 경험이 너무 좁고 얕은 게 문제예요
@jscho1269
@jscho1269 2 ай бұрын
전 그래서 도서관이 너무 좋은 것 같아요. 물론 어떤 누군가 배우고 존경할만한 진정한 어른을 만나는게 최고지만 그럴 확률이 거의 0.0001%라고 봐서요. 책으로 그 길을 열 수 있는 무궁무진한 기회가 존재하는 것 같아요
@user-ql1ig5lr2q
@user-ql1ig5lr2q 13 күн бұрын
@@emelmuziro그러네요
@soolsoolman
@soolsoolman 7 ай бұрын
그리 높지 않은 우호성 평균수준보다 약간 떨어지거나, 잘해야 평균인 수준. 우호성이란? 다른 사람들과 잘 지내려고 하는 욕구 우호성이 높다 -> 누구에게도 욕 먹지 않으려함. 싫은 소리 듣지 않으려고 함. 우호성 높은 사람 특 : 포용력 좋아 보이지만 자기한테 싫은 소리 하는 사람들 보면 격하게 반응함. 그래서 우호성이 높다는게 좋다는건 아니다. 근데 기업가 정신이 뛰어난 사람들(우리가 아는 CEO들)은 우호성이 그리 높지 않다. 근데 개방성은 정말 높다. 초 연결사회에서 누구와도 잘 지낸다는건 불가능하다. 머스크도 일하면서 오만 사람들 많이 만나겠지만, 그 후일담을 들어보면 사람들을 증요하지 않는다고 한다. 왜냐하면 증오 그 자체도 굉장히 큰 에너지라서. 일론 머스크가 자수성가한 이유 인간은 미래를 못본다. 인간은 나이가 들면서 미래가 변하지 않을거라 믿는다.(논문있음) ㄴ 왜 이렇게 생각할까? A. 잃을것이 많이 때문. 가진것들이 있기 때문. 그래서 일론이 자수성가한 이유 : 과거에는 물론 나이가 들었음에도 세상이 변할거라 굳게 믿고 있음. 일론은 스스로 부딪히고 깨지고 어린 사람들에게 배우는 자세가 되어있음. 누구나 그럴 수 있는거 아니냐 하겠지만 나이 들면 정말 쉽지 않음. 우리 일상의 고수들 공통적으로 학습기제가 좋다. 허나 엘리트 고등교육과 수준높은 시험에 통과했음에도 불구하고 발전이 없는 사람은 공통적으로 학습기제가 없다. 일론 몰입의 비결( 핏 유형의 사람) 모두가 일론같은 사람이 될 수 없음. 일론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는 일도 본인이 관심 없으면 단 1의 관심도 보이지 않고 그냥 넘겨버린다. 이런 사람들이 어릴 때 ADHD 판정을 받는다. 그런데 계속 돌고 돌면서 무관심 보이다가 나한테 맞는거 딱 발견하면 그때부터 시간이 가는걸 모른다. 두번째 유형(대부분의 우리같은 사람들)개발 유형의 사람 나한테 맞는 일이 완벽히 정해져 있는 게 아니라 어떤 일을 하면서 조금씩 바뀌가면서 거기서 자기의 가치를 발견하고 다시 성장하고 또 조금 바꾸면서 아 이거구나 하면서 점점 좁혀가는 방식 이런 유형은 약간의 방황과 미세조정이 계속 쌓여가는 방식이다. 물론 일론같은 사람의 인생보다 덜 드라마틱하겠지만, 당연히 존중받아야 한다. 이런 개발 유형은 직업에서 본인 직무를 조금씩 바뀌보는게 좋다. (만약 핏 유형이라면 투수하다가 보험영업 등으로 바꾸겠지만, 개발 유형은 투수라면 타자나 감독, 프론트로 바꿔보는 식) 일론이 핏 유형이라고 생각하는 이유는, 한 치의 일고의 말성임도 없이 갖다 버리고 새로 시작하기 때문. 그 성취의 정도나 훌륭함으로 봤을 때, 양쪽 다 차이가 없다. 결국 꾸역꾸역 가는 사람은 해낸다. 주 7일 일한다고 열광하지말고, 꾸역꾸역 끊기지 않고 꾸준히 해내는것에 초점을 맞추자. 일론은 정식적인 폭력을 주는 아버지(넌 못해, 니가할수있는건없어)를 피해 성장이 있는 미국, 캐나다를 갔다. 어릴 적 어려움이나 고난은 새로운 세상을 찾는 원동력이다.
@user-pu4by1ss6f
@user-pu4by1ss6f 7 ай бұрын
정리 고맙습니다^^
@faith5192
@faith5192 7 ай бұрын
똘망똘망한 분이 깔끔하게 정리하셨네요. 인정 👍
@user-hv1ms3ff2r
@user-hv1ms3ff2r 7 ай бұрын
9
@soolsoolman
@soolsoolman 7 ай бұрын
@@faith5192 감사합니다 ㅎㅎㅎ
@jkim752
@jkim752 5 ай бұрын
요약 감사합니다
@GodBlessYou34712
@GodBlessYou34712 7 ай бұрын
부정적이고 슬픈 방식으로 자신을 정당화해서는 안된다는 마지막 말씀에 크게 공감합니다.
@lyralyre5497
@lyralyre5497 7 ай бұрын
우연치 않게 봤는데 이 사회에 널리 퍼져야 할 꼭 필요한 담론이네요.
@user-ss432
@user-ss432 7 ай бұрын
"가장 무서운 사람은 한가한 사람들이다" 동감합니다. 이 글 쓰는 동안 아래 보니 같은 댓글을 다셨네요.
@user-xz9fd3uq4l
@user-xz9fd3uq4l 7 ай бұрын
너무나 유익한 강의 감사합니다 지치지 않는 몰입과 집중은 결국 나를 어떤식으로든 보상해주는거 맞습니다
@user-ch1np4yy3z
@user-ch1np4yy3z 7 ай бұрын
😊0
@sunhwahur4310
@sunhwahur4310 7 ай бұрын
일론 머스크 책 읽고 있는데 러시아가 적합한 가격에 로켓을 팔지 않아서 책으로 공부해서 본인이 직접 로켓 만들었다는 내용은 정말 인상적이었습니다. 머스크는 하루에 책을 2권씩 읽는다고하던데 그리고 책 읽지 않는 CEO는 없다던데 끊임없이 학습하는 태도가 결정적이지 않을까요?
@user-eu1tm9gy7r
@user-eu1tm9gy7r 7 ай бұрын
부모를 잘만나야 되는게 머스크가 아버지는 별로였지만 엄마가 대단한 분이었음 ㆍ엄마가 미인대회 우승자였고 이혼후 애들 셋을 키우면서 일하면서 공부했고 영양학 박사 학위를 받았음 ㆍ머스크는 엄마를 가장 존경한다고 했음 ㆍ
@july684916
@july684916 7 ай бұрын
댓글 동의합니다 머스크 아버지가 물리학 공학쪽 전문가아니였나요? 그 영향도 받은것같습니다
@Gorilla_dessert
@Gorilla_dessert 6 ай бұрын
나는 그런 부모를 못만났지만, 내 자식에게는 내가 좋은 영향을 주는 부모가 되기 위헤 노력해보려구요.. 그리고 일론머스크 아버지는 일론머스크에게 멍청하다는둥 항상 비난했다고 하네요..
@july684916
@july684916 6 ай бұрын
@@Gorilla_dessert 저도 같은 생각입니다 ! 부모복이 안좋아도 저 스스로 제 복을 살리고 스스로 좋은사람이 되어서 다른사람들에게 좋은영향을 끼치는 강하고 올바른 사람이 되면 될 일이지 부모복없다고 절망하거나 부모탓할 필요가 없는것같아요 사람 인생에는 복이 공평하게 주어져있습니다 머스크는 부모복이 없는대신 돈복과 사업복 회사복이 주어졌죠 ㅎㅎㅎ 그런 부모를 못만났지만, 내 자식에게는 내가 좋은 영향을 주는 부모가 되기 위헤 노력해보려는 고릴라님 마인드 너무 멋있습니다
@user-kp5be6um8s
@user-kp5be6um8s Ай бұрын
안성에서 소키우고 농사짓고 사는 농부로서 한말씀. 중요한것은 나의 의지와 운빨! "심무가애"
@deehee23
@deehee23 Ай бұрын
어제 봤던 영상에서 어떤 의사쌤이 어린시절 어머님과 단칸방에서 껴안고 잘 정도로 좁았는데 다리를 못 필 정도로 좁은 집에 순간 짜증을 내니 어머님께서 하신 말씀이 '너가 큰 사람이라 그래'... 가난은 부모의 사랑과 지혜를 이길 수 없음을 깨달았다
@Hooney300
@Hooney300 7 ай бұрын
다양성이 함께 존중받아야 하는데 하나의 관점만 정답만 강요하게 하는 문화를 변혁시켜야 된다는 말로 들리네요. 좋은 통찰 감사합니다.
@justinkim4224
@justinkim4224 7 ай бұрын
내가 누구인지 알아가는 과정이 인생인 것 같습니다. 방황하지 않고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강의 들을때마다 항상 감사한 마음입니다.
@hararead8509
@hararead8509 7 ай бұрын
좋은말씀 공감되는말씀 감사해요~^^
@user-ne9ezsiy3fl
@user-ne9ezsiy3fl 7 ай бұрын
본질은 내성적이든 외향적이든 모든 인간의 개성은 인정받아야 하고 다양함을 인정하고 인식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실패를 주저하지 말고 실패하고 방황할 시기도 겪어야 이것이 맞는 길인지 아닌지 알 수 있습니다. 인생에 정답은 없습니다.
@eunjungkim4804
@eunjungkim4804 7 ай бұрын
20만명 신생아들 1명 1명이 모두 본인 인생의 주인공이 되어야 한다는 말씀이 정말 공감되네요. 우리 아이둘이 모두 행복하게 자신의 꿈을 꾸고 이룰 수 있는 우리나라가 될 수 있도록 어른들이 노력해야겠습니다.
@Vericher
@Vericher 7 ай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raptista25
@raptista25 7 ай бұрын
꿈을 꾸게 하는 분위기가 정말 중요하고 일런이 미국으로 간 게 신의 한 수 같아요. 지금 같은 저 출산에 국가 인력도 귀한데 여전히 우리는 무한 경쟁, 남의 시선, 고정 관념, 주입식 틀에 갇힌 감옥 같은 학창 시절을 고수중이네요.;;
@modesteee
@modesteee 7 ай бұрын
엘리트 코스가 아닌 다른 코스로 아이들을 이끌만큼 멀쩡한 부모들의 수가 적다는 게 함정입니다. 부모들 사고 전환 교육이 시급합니다. 그걸 바꾸는게 아이들을 새로운 인간형으로 키워내는 일보다 100배는 어려운 상황입니다. 이미 부모들은 다 커버렸기 때문이죠. 자신들이 어떻게 자기를 바꿔야 하는지를 알지 못하거든요..자신들조차 공부 못하면 패배자로 인식하고 더 이상 자기 개발을 할 생각조차 하질 않죠. 진정한 패배자들이죠. 그래서 더 자기 자식에게 그 부분을 강조하며 살 수 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어쨌든 이 나라는 학벌 줄세우기때문에 소리없이 망해 온 나라입니다.
@salong9807
@salong9807 7 ай бұрын
부모들이 기본 소양이 없고 미신을 믿으며 끝까지 자식을 들어주거나 질문하거나 칭찬하지 않고 자기 불안감으로만 비난하기 때문이죠.자신한테 문제가 많은 사람들이 다 부모가 되어서 또 문제입니다. 기본적으로 사람 자격이 없는 사람들이 많아요.
@user-wx4hz4iv8h
@user-wx4hz4iv8h 7 ай бұрын
부모가 아이를 제대로 돌볼줄 모르는 것보단, 강요된 맞벌이 구조가 아이를 주양육자가 온전히 볼 수 없는 사회 구조적인 문제지요. 결국 학원에 또 학원으로 맞기는 수밖에 없으니까요.
@user-st4cu2ku3y
@user-st4cu2ku3y 7 ай бұрын
멀쩡한 부모에 무릎을 탁 치고갑니다
@user-xs5jt3gb8g
@user-xs5jt3gb8g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는....일부 특수한 직업이 아니라면 애낳고 나서 생존을 위해 맞벌이 or 남편에게 생존의탁 둘 중에 선택해야 하는데 둘 다 애한테 좋은 선택지가 아님. 그래서 어느쪽이든 건전한 사고를 유지하면서 제대로 양육이 불가능함...
@user-xs5jt3gb8g
@user-xs5jt3gb8g Ай бұрын
남편에게 생존의탁하면 애 본적도 없는 남편에게 평생 휘둘리면서 살고, 맞벌이하면 애 자체를 못보고...
@chauchau7611
@chauchau7611 7 ай бұрын
좋은 강의 고맙습니다
@jimankim3469
@jimankim3469 22 күн бұрын
우와!! 감탄하면서 들었습니다. 상당한 깨달음을 얻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iw2lh1ip8d
@user-iw2lh1ip8d 7 ай бұрын
좋은 컨텐츠에 감사드립니다.
@jjstylin3440
@jjstylin3440 7 ай бұрын
25년전 고딩시절 일입니다만、인문계 들어가서 갑자기 야자수업을 해야했을때 정말 적응도 안되고 오히려 공부에 흥미를 잃었죠. 맨날 야자튀고 집에 가고 그러다보니 다른 과목은 그래도 괜찮았는데 국영수 성적이 참 안 좋았어요. 학년이 올라가니 선생이란 인간들이 넌 인생이 글러먹었다, 루저다등 그러니 은따 왕따도 당하고ㅡ 정말 힘들었죠. 근데 그때도 생각한게 당연히 인문계는 기본적으로 공부 하는 애들을 가둬둔 곳인데 모두가 다 잘 할 수 없지 않는가?? 왜 나에게 낙오자라고 하지 전 그리 생각하고 납득도 안되었고 이게 과연 공부일까 의문이 들었죠. 그래서 저는 안했어요. 하라하니 더 하기 싫은~그리곤 수능을 그냥 보았죠. 진심 지금도 욕나오는게 고3때 담임. 그녀에겐 제 존재자체도 없었지만 수능 치고 원서에 도장을 안 찍어줘서 대학을 못 갈 뻔 했는데요. 국영수 못한다고 그들이 그렇게 루저라고 손가락질 한 나. 제 인생이 어찌 되었냐면ㅡ 일단 다른 선생님의 도움으로 원했던 공대로 진학도 잘 했지만 1학년제외하고 나머지 대학3년내내 장학금을 받으면서 공부하고 졸업하고 단기 유학도 장학금 받아 다녀왔고, 취업도 졸업후 바로 되었고 현재는 해외에서 잘만~~ 먹고 잘 ~~살고 있습니다. 결혼도 잘 했구요~~~ 일론처럼 성공한 인간은 못되어도 평범해도 행복하게 잘 지내고 있습니다 솔까 그들이 찬양한 친구들은 제가 기업을 다닐때 그들은 서비스업에서 종사하는 이도 있었고 공무원등 준비하다 망한애도 있었고, 어느날은 날 무시한 애의 접대를 받으면서 쇼핑을 즐기는 나를 발견했죠. 직업을 비하하는건 아니구요. 얼마나 모순적인가를 말하고 싶습니다. 선생들이 말하는 기준이라면 저는 인생바닥에 있어야 하고 그들이 찬양한 아이들은 다 전문직에 뭐라도 되어있어야죠. 고로 인간의 미래는 그것도 아이들의 미래는 그 누구도 모릅니다. 그러니 함부로 누군가의 인생을 조언한다는 무례함을 범해서는 안된다고 말하고 싶습니다. 제 친인척들은 다 엘리트인데도 소패 나르 성향이라 본인들 가족들과도 힘들어요. 스카이출신 아니라고 제 존재는 그들에게 없어요. 축하와 응원을 단 한번도 못 받았어요. 그런데 그들은요.남이 보기엔 성공한거 같은데 여전히 욕심만을 부리며 본인들이 다 옳다는 조건하에 남에게 민폐를 서슴치 않으면서도 남을 비하하고 자신을 힘들게 하고 있죠. 참 아이러니하지 않나요??? 한국 사회가 원하는 인재가 되어 살아가는데도, 답을 찾아야 하고 그 과정이 불행하고 끊임없이 무언가를 계속 해야한다는 것. 갠적으로는 히어로도 아니고 그저 평범한 인간이기에 저는 10년 단위로 목표를 세우고 정신건강 챙기며 꾸준히 하는 것을 선호해서 그리 사는데요. 그냥 나 스스로 성장했다는 느낌을 갖는것과 과거의 나와 비교해서 부끄럽지 않고 만족하면 되지 않나?? 뭐 그리 생각합니다. 남에게 민폐 끼치지 않고 의식주 부족함 없고 소소한 삶 속에서 즐거움을 매일 매일 갖는 삶. 이런 삶을 사는 소수가 다수가 되어 지탱이 되어도 건강한 사회가 되지 않을까 뭐 저는 그리 생각해요. 그래서 교수님의 "꾸역꾸역 꾸준히 하는 것 " 참 대공감합니다. 👍 여튼 가장 내 인생을 걱정하는 건 내 자신뿐이라는 것. 전 이걸 어릴적부터 철저히 배웠구요. 고로 조언과 영양가 없는 쓰레기를 잘 구분해서 듣는 지혜도 필요하기에 내 기준이 필요한 것과 함부로 누군가를 내 기준에 맞춰서 폄하하고 무례하게 굴어서는 안되는, 저 또한 이를 경계하며 나와 남을 잘 구분해서 객관화하려고 공부하며 노력중입니다 . 이게 잘 구분되어야 서로의 장단점도 잘 보이고, 이를 이용해 서로 기브앤테이크도 잘 되어 윈윈하는거 같아요. 그리고 갠적으로 바램은 대한민국 교육은 정말 한번은 진심 재검토를 해서 털고 갈건 털고 가야 건강한 사회가 되지 않을까 그렇습니다. 정말 한국의 얼마나 많은 인재들이 있는데 10대때부터 평가 받으며 피우지도 못하고 ~ 누군가 정한 길만이 답인냥 그걸 보며 자신을 잃어가는거 같아 뭐 저도 한때 그랬던 적도 있었기에.. 참 씁쓸합니다.
@user-ww6ek7fz9m
@user-ww6ek7fz9m Ай бұрын
👍👍👏👏🙏🙏🙏🙏😊😊
@Kyongshighlight
@Kyongshighlight 7 ай бұрын
김경일 교수님은 무조건 선추천 후감상 이죵~!!
@lee-vy4wx
@lee-vy4wx 7 ай бұрын
요절하는 아빠? 흥미롭네요ㆍ꿈을 주지 못하는 아빠 ㆍㆍㆍ생각이 많아지네요ㆍ
@canadawhistler1234
@canadawhistler1234 7 ай бұрын
김경일 교수님의 깊은 통찰에는 울림이 있어요. 늘 감사드립니다. 🙂
@user-nc2zk6wx6w
@user-nc2zk6wx6w 7 ай бұрын
호의적이다는것은 내가 아닌 남에게 나의 시간을 주는 행위인듯 함.
@parmenideskim9739
@parmenideskim9739 7 ай бұрын
학벌 카르텔이 큰 문제입니다. 학벌이 낮은 사람은 주눅이 들어 자기 능력을 펼치지 못 하고 학벌이 높은 사람은 거기에 안주해 발전을 안 합니다. 이 경향은 대학자체에도 아주 안 좋은 영향을 주는데 이런 분위기에서 교수로 임용되는 사람들은 한결같이 보수적이고 그냥 줄 사서고 소위 "원만 "한 사람들이라 노벨상은 절대 안 나오지요.
@user-vy9yn3li2m
@user-vy9yn3li2m 4 ай бұрын
노벨상이 아니라 정치적리더들의 경우 우리나라 고위공직자들이나 정치인들도 뛰어난 사람들이겠지만 국제적인 수준에서 보면 안목이 발전이 없고 과거에 머물러 있습니다...
@saybiron
@saybiron 7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jeehyunlee7272
@jeehyunlee7272 6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교수님^^ 내 인생에 더욱 더 집중해야겠어요~
@DrWho44
@DrWho44 Ай бұрын
말씀 하나하나 의미 있는 강의였습니다. 많은 분들 봤으면 좋겠어요. 감사합니다 교수님
@lesliejang4511
@lesliejang4511 7 ай бұрын
김경일 교수님의 말씀 감사드립니다. 교수님께 항상 많은 것을 배웁니다.
@user-kr5rj9je4j
@user-kr5rj9je4j 6 ай бұрын
교수님의 강연 늘 감명깊게 잘 듣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jahsoolee4619
@jahsoolee4619 7 ай бұрын
‘슬픈방식으로 자기를 정당화하는 거’ 이런 성향이 강한 사람들과 대화를 하고나면 엄청 기빨리는 느낌입니다. 그런데 혹시 나도 무의식적으로 그러지 않았나. ? 돌아보게 되네요.
@hemtoldaejang
@hemtoldaejang 7 ай бұрын
20만명 신생아에게 마음에 와닿는 말씀 감사드립니다! 뭉클하네요🥹 -5개월 아가 키우는 엄마올림 16:52
@user-rf9mv7du5s
@user-rf9mv7du5s 7 ай бұрын
우호성(Agreeableness) 개방성(Openness)
@user-rq2bc5xw8q
@user-rq2bc5xw8q 7 ай бұрын
많은 생각이 들게 하는 영상이네요. 내가 진정 좋아하는 것이 무엇인지, 몰입을 할 수 있는 대상을 찾는 것이 중요한것 같아요. 그러기 위해서는 새로운 경험을 많이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책을 많이 읽어야 할 것 같아요. 시간은 한정되어 있으니까요
@user-sc9hp4ff6f
@user-sc9hp4ff6f 7 ай бұрын
정말 감사합니다.
@user-nr9zo7pe3b
@user-nr9zo7pe3b 7 ай бұрын
유익한 강의에 감사드립니다.
@user-ye2tw7zn7n
@user-ye2tw7zn7n 7 ай бұрын
반갑습니다!! 김경일교수님~! 열성팬이에요 히히 4:50 다 공감되는 이야기네요 저는 남에게 관심이 없고 제가 좋아하는 분들한테만 관심이 있어요! 근데 우리회사에 현질부적응자들이 몇명 있는데 남한테 관심이 많더라구요 자기 할것도 제대로 못하는거 같던데....... ㅉㅉ 상종하고 싶지도 않습니다.
@owleyez
@owleyez 7 ай бұрын
고통스런 집중을 견뎌내야 결과를 내는거 같네요.(일하는 시간만 길게 가져가는건 효율이 없고요) 사무실 일할때 보면 머리 정말 아픈일은 보통은 다 회피하려 하죠. 마무지를 짓는 습관이 있는 사람도 드물고요.
@nabamovie
@nabamovie 7 ай бұрын
저에게 가장 필요한 말이였어요. 감사드려요.
@hok1049
@hok1049 4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TV-pd4vd
@TV-pd4vd 7 ай бұрын
김경일 교수님의 통찰력에 감동받고 갑니다
@entjmom
@entjmom 7 ай бұрын
일론 머스크도 한국서 자랐으면 저 정도는 안됐을듯. 우리 나라 교육은 있던 창의성도 밟아 버리고 다 표준화 시키고, 사람이 좀 꼬이게끔 경쟁심을 갖게하는 교육을 하는 편이라....인재가 나오기가 어렵다. 스타트업 대표들, 창업자들도 거의 외국 유학 출신인 이유가 다 있음
@Yeeeeee27485
@Yeeeeee27485 7 ай бұрын
긩까 한국 태생 자체에 한계가 있다고봄 주양육자가 엄청나게 깨어있는 양육법을 쓰지 않는 이상 ..
@Missyun0049
@Missyun0049 7 ай бұрын
와~~ 김경일교수님이다~^^ 아침에 교수님 말씀 들을 수 있어서 좋네요..^^
@salong9807
@salong9807 7 ай бұрын
부모들이 기본 소양이 없고 미신을 믿으며 끝까지 자식을 들어주거나 질문하거나 자식의 생각을 긍정하거나 칭찬하지 않고 자기 불안감으로만 비난하기 때문이죠.자신한테 문제가 많은 사람들이 다 부모가 되어서 또 문제입니다. 자식에게 니가 옳다라고 해줘야 교육이 되는 건데 부모들은 늘 자기가 옳아서 문제인데 돌아보질 않죠. 기본적으로 사람 자격이 없는 사람들이 많아요. 일론처럼 그래도 뚫고 나가는 자식은 나갑니다, 그런 후손들이 되기를 기원하네요.
@shinms303
@shinms303 7 ай бұрын
너무 좋은 강의입니다
@user-oi5dz5ol9h
@user-oi5dz5ol9h 7 ай бұрын
안바쁜 조직에 있는데...종일 남욕하고 끌어내리는 것이 문화임....ㅠㅠ
@user-zv6th8ss9c
@user-zv6th8ss9c 7 ай бұрын
제게 너무나도 의미깊은 시간이었습니다 ❤
@Kgl6sp
@Kgl6sp 7 ай бұрын
저는 어떤유형인지 궁금합니다. 어릴때 그림에 물감의 색을 입힐때 시간이 훌쩍 지나가도 다른것 같았으면 집중못했을텐데 집중하고있더라구요. 저에게 맞는 일을 못찾은걸까요? 16:14 공감합니다 미국처럼 각자 좋아하는것 할수있는 환경이 중요하겠네요.
@user-om9iu1bn5e
@user-om9iu1bn5e 7 ай бұрын
미국이 기본적으로 기성세대가 눈이 틔여있어서 그럼. 기존 최강국 타이틀은 유지하면서 젊은 세대들의 의견을 듣고 더 성장하려고 함 미국이 앞으로 더 잘될수 밖에 없는 이유. 우리나란 지금처럼 가다간 영원히 선진국 뒤따라가는 노예국가로밖에 안남을듯.. 각성합시다들!!!
@festival__
@festival__ 7 ай бұрын
김경일 교수님 최고 ❤
@junghoshin6876
@junghoshin6876 7 ай бұрын
이런 내용을 20대에 알았으면 얼마나 좋았을까 싶네요. 감사합니다.
@1004solomon
@1004solomon 7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그러나 20대때는 이 말들이 머리에 들어오지 않겠죠?
@Kim-bills
@Kim-bills 6 ай бұрын
@@1004solomon지금 10대인데 이 말들이라는게 뭐죠? 뭔가 영상에 대한 메세지가 뭔지 모르겠네요 지혜를나눠주세요
@awal2519
@awal2519 Ай бұрын
@@Kim-bills 5달 전이라 이 댓글을 볼지는 모르겠고 제 말이 정답이 아닐테지만 한마디 해보자면 위 두 댓글들의 대화에서의 주제는 아마 이미 지나친 과거 경험들 중의 후회로부터 오는 것이 있어야 비로소 와닿고 체감이 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10대나 20대는 아직 체험하고 경험한 종류의 수도 적기에 후회 또한 적기에 '이 말'들이 머리에 들어오지 않겠죠? 라고 답한 것입니다 물론 예외는 있습니다, 어릴 나이에 이미 처절한 후회를 경험한 아이들에게도 와닿는 말이겠죠 그 아이들의 공통점은 이른 나이에 원하는 꿈 또는 무언가에 몰두하여 도전하였지만 이루진 못한 실패, 패배의 경험이 있는 아이들 입니다 또는 또래의 무리에게 어울리지 못한 따돌려진 아이들에게도 해당 되기도 합니다 대다수의 아이들은 그저 학교 생활의 과제, 수업에 쫒겨 주입식 교육에 따라 정해진 스케쥴에 따라 이미 정해진 길을 따라가기 바쁘죠 그러니 님이 10대이기에 모르는 것은 당연합니다, 만약 무언가에 있어 후회를 뼈저리 느낀 경험을 하였다면 이 영상을 잊지말고 다시 봐보세요 머리로가 아닌 감정으로 와닿는 것이기에
@user-fi1yf6jf7u
@user-fi1yf6jf7u 7 ай бұрын
습관이랄까 누군가에 좋은 습성은 부럽고, 결국 내것으로 만들고했었고 내 스스로 좋은 습관? 긍정적인 나구나? 했는데, 시간이 흐르면서 그 기분과 습관이 희미해져가구 있었는데, 갈구하는 사람이 찾는것처럼 김경일교수님 강의가 또 저를 움직이게 만드네여. 가까이, 측근이 그런 사람 있으면 좋겠다~했는데, 제 착각! 오늘 정답! 감사합니다~~^^
@estherkim8103
@estherkim8103 20 күн бұрын
김경일 교수님강의 넘 좋아요 ❤
@user-lc4wq4sb2j
@user-lc4wq4sb2j 7 ай бұрын
어떤 사회에 심리학자가 필요한 이유!
@euyajupa
@euyajupa 7 ай бұрын
16:18 전 자녀가 없지만, 이 부분에서 교수님 말씀에 마음이 울리네요.
@user-md4cx8nr5r
@user-md4cx8nr5r 7 ай бұрын
우호성과 개방성의 차이, 정말 인사이트네요!
@user-cy6rw9nd7g
@user-cy6rw9nd7g 7 ай бұрын
엘론 머스크의 학습기제를 배워야 한다. 지속적으로 경험하고, 깨지고, 지속해야 한다. 개발유형의 인재들은 계속해서 조금씩 바꿔가며 Pivot 한다. 미세 조정. 하지만, 무언가를 거기까기 가는 사람은 끊기지 않고 그냥가는 사람이다. 어렸을 적에 핸디캡은 새로운 세상으로 나갈 수 있는 원동력이 된다.
@honsin.record
@honsin.record 7 ай бұрын
교수님 늘 감사합니다. 마음의 빚을 지고 있습니다❤
@anna-xm9wo
@anna-xm9wo 7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kyungoksindysong7332
@kyungoksindysong7332 7 ай бұрын
너무 공감됩니다 감사합니다 교수님
@Health_Attic
@Health_Attic 7 ай бұрын
꾸준한 몰입 이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abc123rz5sk
@abc123rz5sk 7 ай бұрын
성향은 타고남. 애지간해서는 변하기...쉽지않음.
@getthankyou8650
@getthankyou8650 7 ай бұрын
진짜 평상시 제 주변사람들에게 해 주고 싶고 나 자신에게도 잊지 않게 새겨둘 말 들을 콕 찝어 정리 해 주신것 같습니다. 전체 분량 잘 정리 메모 해서 제 얘기로 만들어야겠습니다.😅 감사해요 교수님~
@narumolhony1954
@narumolhony1954 6 ай бұрын
내가 생각하는 제일 무서운 사함들-“평범하게 사는게 가장 힘든일” 이라면서 평범하지 못한 다른 사람들의 다름을 병적으로 거부하는 사람들. 평균 평범의 편견에 흠뻑 빠진 한국사회가 힘든 이유.
@user-jz5eh8ty7q
@user-jz5eh8ty7q 7 ай бұрын
좋은 강의 잘 들었습니다 제가 들은 우호성이 낮은 것은 귀가 얕지 않다라고 느꼈어요 일론 머스크 같은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이 수준이 굉장히 낮은 것을 일찍부터 알았을 거고 대부분 틀린 이야기를 한다는 것도 알고 있으니 동의 하기가 어렵겠죠 속으로 비동의하지만 겉으로 타인에게 대놓고 비동의하는 말을 공격적이고 무시하는 내색을 보이지는 않을 겁니다 바보가 아니니까 ㅋㅋ
@user-ff7es7ws7i
@user-ff7es7ws7i 7 ай бұрын
ㅇㅇ 실제로 학생 때 Idiot 이라는 말을 많이 했다고함
@user-he7kz5tj6b
@user-he7kz5tj6b 7 ай бұрын
한국이었으면 이상한 애로 찍혀서 왕따당하고 매장당하기 딱 좋은 스타일이 일론 머스크였네. 한국에서는 기대하지 말아야 됨. 다들 너무 날이 서 있고, 다른 의견을 가지면 쟤는 분명히 어글로 끌려는 거야, 나를 해코지 하려는 거야, 내 권위를 무시하려는 거야 등등으로 조조, 사마의가 빙의해서 삼국지 정치 게임 하고 자빠져 있음.
@user-wk3zv5gk1z
@user-wk3zv5gk1z 7 ай бұрын
"가스라이팅"
@Snowflake_tv
@Snowflake_tv 7 ай бұрын
권위 하... 그놈의 권력... 힘의 도취...
@ujty207
@ujty207 7 ай бұрын
인정
@user-ln6kh1rk6k
@user-ln6kh1rk6k 7 ай бұрын
치킨만 제대로 안 발라먹어도 개 ㅈㄹ을 하는 게 한국임ㅋㅋㅋㅋㅋㅋ 남에대한 존중보다는 모든 것에대한 획일을 바람.
@user-om9iu1bn5e
@user-om9iu1bn5e 7 ай бұрын
앜ㅋㅋㅋㅋ 대박 맞음
@user-ub7ok2fl8k
@user-ub7ok2fl8k 27 күн бұрын
인간애가 느껴지는 교수님 강의는 감동!❤
@user-gz1ib8jn8f
@user-gz1ib8jn8f 7 ай бұрын
인생에서 선택과 집중이 중요
@user-vm5ii7pv6q
@user-vm5ii7pv6q 7 күн бұрын
맞는 말씀입니다 ㅎㅎ 저도 청년사업가로써 많은 성공하신 분들을 만나 뵈었지만 공통점이 많습니다 영상 잘 보고 갑니다!
@yangxiao7359
@yangxiao7359 7 ай бұрын
나이 먹으면서 정말 느껴요 삶에 대한 자세와 어떻게 살아가느냐가 정말 중요합니다. 앞으로는 이 키워드들이 더 내 인생을 좌지우지하게 만들겁니다. 다들 언론이나 뉴스에서 어릴적 유행했던 키워드들을 들고 '교육의 문제', '주입식의 문제' , '정답을 찾으려는 사회가 문제' 이런식으로 결론을 내버리는데 그것 또한 갇힌 생각이라 봅니다. 그냥 모든걸 가슴과 마음을 확 열고 받아 들여야 합니다. 사회가 변화하는것보다 내가 변화하는게 훨씬 빠릅니다. 모든걸 탓 하는건 내가 뭘 받아들이기 싫어하는 관성을 합리화 시키는 마법의 키워드에 불과하다고 생각합니다.
@doctorbaesh
@doctorbaesh 7 ай бұрын
교수님 강의듣다보면 성장하게됩니다🎉🎉 늘좋은정보감사합니다
@Kkwbia8588
@Kkwbia8588 7 ай бұрын
인사이트가 매분 이어지는 역대급강의다…
@Jeleetube
@Jeleetube 7 ай бұрын
[ 세계 부호들의 공통점] 그리 높지 않은 우호성~ 굉장히 높은 개방성~
@user-bn6xo7zz3j
@user-bn6xo7zz3j 7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yeongranyoon5599
@yeongranyoon5599 7 ай бұрын
'꾸역꾸역...' 이말이 저를 위로합니다!
@getthankyou8650
@getthankyou8650 7 ай бұрын
오 휴일에 만나는 반가운 분 경일교수님ㅋㅋ😁
@user-kh8qz2cg8s
@user-kh8qz2cg8s 2 ай бұрын
꼭 성취하기 위해서 전체 모든것을 아우르며 살아갈 이유는 없다는것 자신의 관심분야에 개방성을 보이며 집중하는것이 훨씬 현실성이 보이며 그현실성에 집중하는것이 한 개인의 성취에 더 가까이 갈수 있음에 공감. 주변에서도 많이 볼수있는것 같음
@user-ov5lx3jf6u
@user-ov5lx3jf6u Ай бұрын
너무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user-qj7wl6yk2s
@user-qj7wl6yk2s 6 ай бұрын
교수님 너무나도 지당하신 말씀 백퍼 공감하고 갑니다. 들을때마다 우리사회 전반에 걸친 문제들을 생각하고 개선해 나가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soulmakeup
@soulmakeup 6 ай бұрын
너무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user-ym6oq2td1l
@user-ym6oq2td1l 7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tj9sl3zm7h
@user-tj9sl3zm7h 15 күн бұрын
초반 3분에 정말 큰 울림 받고 갑니다. 정말 허를 찔린 기분이네요
@SelfCompassion1
@SelfCompassion1 Ай бұрын
이제야 교회 다녀요~~ 저만을 위한 영상같아요ㅋ 고마워요~
@user-ww8cp3kq6r
@user-ww8cp3kq6r 7 ай бұрын
정확한 통계를 모르니 제생각인데요 어린시절 운동으로 두각을 보인 분들은 성인이 되어서도 두각을 보이는 경우가 많은데 어릴때 영재라든가 어릴적부터 아이큐가 높다 하면 다그렇진 않지만 성인이 되어서는 므슨일 하는지 모르는 경우 또는 사람들의 기대만큼 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설명이 가능하시면 이유를 알고 싶네요~~~
@user-qi8sf3qk1w
@user-qi8sf3qk1w 7 ай бұрын
완전이해쏙쏙쏙~~
@user-bm1ru4kw3f
@user-bm1ru4kw3f 7 ай бұрын
무릎을 탁 치고 갑니다.
@user-em8zd1ox1g
@user-em8zd1ox1g 7 ай бұрын
이분 강의는 못참지
@Missyun0049
@Missyun0049 7 ай бұрын
저두요..
@minkuuu91
@minkuuu91 7 ай бұрын
ㅠㅠ 교수님~~ 마땅히 방황해봐야 하는것 맞죠? 위로받고갑니다
@sundamlee5218
@sundamlee5218 7 ай бұрын
좋은 가르침 입니다ᆢ아이가 좋아하는일 찾는데 더 집중하고 여유를 갖고 아이를 존중하고 기존의 학벌 강요 말아야겠다고 다짐합니다ᆢ
@artjisun1
@artjisun1 7 ай бұрын
일론머스크는 아스퍼거증후군이에요
@user-zp7pm8lh3j
@user-zp7pm8lh3j 4 ай бұрын
한국저출산 부모의재산이자식의 미래를 결정하는 한국교육.취업.사회시스템
@TV-qr2qk
@TV-qr2qk 6 ай бұрын
0:00 심리학적으로 밝혀진, 성공한 사람 공통점 '1가지' 5:11 흙수저 출신 일론머스크가 자수성가한 이유 8:28 주 7일 일하는 일론머스크-몰입의 비결은 바로 '이것'입니다 13:29 세상을 바꾸는 일론머스크의 유년시절은 '이것'이 달랐다 18:15 일론머스크의 천재성, 과연 타고났다고 생각하시나요?
@kjb995013
@kjb995013 6 ай бұрын
미움 받을 용기를 가지고. 자신의 신념을 지키며 ,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적이라도 의견을 수용하고 손잡을 수 있는 사람.
@SPEAR3377
@SPEAR3377 6 ай бұрын
교수님 강의를 들으니 머스크의 사고 체계가 어느 정도는 이해가 되네요. 감사합니다. 스페이스 엑스나, 화성 테라포밍 등 머스크의 동기가 훅 뇌리를 스치네요. 감사합니다.
@user-hw5k32hc
@user-hw5k32hc 6 ай бұрын
자기한테 관심 없는 걸 적으로 간주하는 사람들이 생각보다 있더군요 그냥 관심 없는 것도 좀 받아들여줬으면
@k-azime3384
@k-azime3384 7 ай бұрын
모든 아이들은 금동이들~🙏♥️🙏 이 영상과 함께 하신 모든 분들께 좋은 일들이 자꾸자꾸 일어납니다~🎶☘️😁🍀🎶
@user-vl8km3so7j
@user-vl8km3so7j 28 күн бұрын
일론머스크는 기술을 바꾸지만 김경일교수님은 사람을 바꿉니다 세상을 진화시키는 위대한 분들
Which one is the best? #katebrush #shorts
00:12
Kate Brush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Super gymnastics 😍🫣
00:15
Lexa_Merin
Рет қаралды 76 МЛН
Why You Should Always Help Others ❤️
00:40
Alan Chikin Chow
Рет қаралды 96 МЛН
몰래 질투하는 친구가 교묘하게 사용하는 말버릇 (김경일 교수)
16:36
놀면서 배우는 심리학
Рет қаралды 379 М.
Parents' Breakfast Rescue Mission for Laptops
0:28
123 GO! CHALLENGE
Рет қаралды 16 МЛН
The Twix ice cream will surprise your mouth! 🍨 #twix #shorts
0:20
Fi and Senya
Рет қаралды 8 МЛН
Tall guy live
0:19
DaniloWorkouts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Ваше мнение ?
0:40
Илья 7in
Рет қаралды 10 МЛН
Climbing to 18M Subscribers 🎉
0:32
Matt Larose
Рет қаралды 16 МЛН
🤪
0:17
Santi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
Нашли ЗОЛОТО в МЕШКЕ с РИСОМ 😱 #shorts
0:59
Лаборатория Разрушителя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