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이 빨대 vs 플라스틱 빨대! 당신의 선택은? 친환경 빨대란 무엇인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박새롬 박사)

  Рет қаралды 18,807

안될과학 Unrealscience

안될과학 Unrealscience

22 күн бұрын

종이 빨대와 플라스틱 빨대!
여러분은 어떤 빨대를 선호하시나요?
과연 환경을 위한 빨대는 어떤 빨대일까?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박새롬 박사님과 함께 알아봅니다!
◆ 2024 신상 굿즈 블록 피규어 키링 + 포스터 출시
모어사이언스 스토어에서 만나볼 수 있습니다!
smartstore.naver.com/morescience
#종이빨대 #친환경빨대 #플라스틱빨대 #한국건설연구원 #박새롬
◆ Thanks to
Editor: 조주현
Studio: 서울스트리밍스테이션
Guest: 한국건설연구원 박새롬 박사
◆ 안될과학-모어사이언스 스마트스토어 (과학굿즈)
smartstore.naver.com/morescience
◆ 안될과학 인스타그램
/ unreal.science
◆ 안될과학 커뮤니티
cafe.naver.com/unrealscience
◆ 안될과학 문의
E-MAIL : MoreScience2018@gmail.com

Пікірлер: 112
@Unrealscience
@Unrealscience 15 күн бұрын
종이 빨대와 플라스틱 빨대 2/2 kzfaq.info/get/bejne/i9thqNyLz7axo6c.html (2편) 종이 빨대와 플라스틱 빨대 1/2 kzfaq.info/get/bejne/eNukoJOWmM6XeZc.html (1편 - 본 영상)
@allenyoo57
@allenyoo57 20 күн бұрын
솔직히 말해서 지금의 플라스틱 빨대 규제같은 환경정책들은 한마디로 해서 보여주기식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이건 정부나 기업 뿐 아니라 환경단체도 동조하고 있다는 거지요. 영상에 나온 것처럼 쓰레기섬에 모인 쓰레기의 40프로가 폐그물이고 빨대류는 5%남짓이라고 하는데, 그게 의미하는 바는 플라스틱빨대를 50프로 감축해도 전체의 2.5% 감축에 불과하지만 폐그물을 절반으로 줄이면 젅체 쓰레기의 20%가 줄어드는 거지요. 그런데 지금까지 그물에 대해서 어떤 규제를 한다는 이야기는 들어본 적이 없습니다. 어선에서 그물을 바다에 버리면 처벌을 한다던가하는 이야기를 들어본 적이 없고, 플라스틱 그물 생산을 규제한다던지 하는건 전세계 어느 나라도 하지 않고 있지요. 이게 의미하는 바는 열심히 플라스틱 빨대 사용량을 절반으로 줄여도 폐그물이 10프로 늘어나면 전체적으론 더 늘어난다는 이야기가 됩니다. 이런 문제에 대한 지적도 안하고 정책 제안도 안하는 환경단체들도 결국은 보여주기식의 실적홍보에 급급하다고 비난받아도 할 말 없을겁니다.
@user-yu6pv1em7l
@user-yu6pv1em7l 19 күн бұрын
쓰레기섬의 5%가 빨대가 아니라 생활 쓰레기 중 프라스틱의 5%가 빨대이고 쓰레기섬에서 빨대류가 차지하는 비율은 극히 미미합니다. 영상 속에서도 나오지만 생활 쓰레기에서 제일 많이 차지하는건 담배필터이구요.
@user-ne1jp5zw3w
@user-ne1jp5zw3w 19 күн бұрын
어구나 폐그물을 버리는 사람은 드물고 문제는 배끼리 경쟁하다 그물이 끊어져 나가는게 그 양이 엄청나요. 폐그물 사가는 폐기업자도 있어서 버리는 경우는 많지 않을거에요. 비디속에 펼쳐진 그물이 최소한 몇백미터에서 몇천미터가 되는데 끊겨져버리는 경우 바다속에서 건져올릴수가 없고 그물끼리 걸리면 배가 움직일루 없게되니 어쩔수 없이 잘라야한다는 거죠. 어민입장에서 그물 새로 사려면 돈 많이 들어갈거에요. 이런 폐그물 안생기게 하는 유일한 방법은 인간문명이 근대화시기 이전으로 되돌아가는 수밖에 없고 어류섭취를 낚시로 잡은 어류만 가능하게 규제해야만 가능할듯...
@allenyoo57
@allenyoo57 19 күн бұрын
@@user-ne1jp5zw3w 폐그물을 버리는 사람이 없다니 바닷가에 가 보시고 하는 말씀이세요? 바닷가에도 산더미처렴 버려져있습니다. 페기업자에게 맡기면 돈 주고 치우는겁니다. 돈을 받는게 아니라요.그래서 어선 들어오는 항구에 가보면 여기저기에 산더미처럼 쌓여 있습니다. 그래서 손상된 그물을 건져올리지 않고 그냥 그물즐을 끊어서 바다에 버려 버리는 경우가 흔한 일입니다. 참 순진한 말씀 하시네요. 한국의 연안이 폐그물로 인해 황폐화되고잇다는 보도들이 수두룩합니다. 최근에도 제주바다에서 어린 고래가 그물에 걸려 죽을번한거 간신히 구해줬다던거 하는 뉴스들 나오느거 다 버려진 그물입니다.
@user-pd4ey2nr6u
@user-pd4ey2nr6u 19 күн бұрын
그물 관리 안한다면 생선 안먹기 운동하는것도 도움이 되려나요
@test000
@test000 20 күн бұрын
개방형 실리콘 빨대요. 이게 세척하기도 쉽고 휴대하기도 편하고 좋더군요.
@javacoffee007
@javacoffee007 19 күн бұрын
종이빨대가 순수 100프로 종이가 아니고 안에는 비닐로 씌워져 있다던데 맞나요?? 맞다면 굳이 종이빨대를 쓸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는데 어차피 종이류로 분류도 못한다고 하던데
@user-yu6pv1em7l
@user-yu6pv1em7l 19 күн бұрын
거기다가 종이는 나무로 만드는데 그게 어떻게 친환경이 될까요? ㅎㅎ
@ckp1610
@ckp1610 19 күн бұрын
맞습니다. 그리고 접착제 성분도 있고 흰 종이 빨대는 표백제 성분도 있죠.
@user-sq7by1pz2p
@user-sq7by1pz2p 17 күн бұрын
그건 pe 성분이 아니라, 이론적으로는.이물질만 어니면 재활용 가능. 그러나 현실적으로 이물질이 안 묻기 어렵고, 크기가 작아서 재활용이 어렵긴 함.
@jainb
@jainb 20 күн бұрын
플라스틱을 태우면 1급 발암요인 다이옥신이 나오는데요 근데 타지 않도록 하는 상태에서 계속 열을 올려 찌게 되면 1300도 정도 .. 열분해 라는데요 그럼 다시 사용할수 있다는데요 그래서 당장은 친환경 제품을 사용하고 사용량도 줄여야겟지만 멀지 않아 순환구조가 완성된다면 플라스틱도 자원으로 가치가 있을겁니다 그동안만 좀 적게 사용하면 되겠죠
@jason_cha
@jason_cha 20 күн бұрын
플라스틱 빨대 자체는 문제가 아니라고 봅니다. 재활용만 잘 된다면요. 빨대는 크기가 작아서 쓰레기통에서 청소차를 거쳐 재활용 센터로 가는 긴 여정 도중에 누락이 되는 게 문제겠죠. 크기가 작은 게 문제니까 해결 방법 하나를 예를 들면, 일회용 컵 뚜껑을 빨대 일체형으로 만들면 어떨까 합니다. 아니면, 컵 뚜껑에 빨대를 꽂는 순간 분리가 아주 힘들게 만들어 버리면 어떨까 합니다. 캔 음료의 캔 뚜껑이 예전에는 분리형이었는데, 현재는 모두 일체형으로 만들고 있죠. 그것과 비슷한 원리라고 생각하시면 될 거 같네요.
@user-kt6vp3bk8q
@user-kt6vp3bk8q 20 күн бұрын
1인당 플라스틱 사용량 통계는 과거 1인당 전기사용량과 비숫하게 의도적 통계오류로 보임. 한국은 원유를 수입해서 나프타 과정을 통해서 많은 양의 플라스틱 원료를 생산하고 이를 수출하는 석유화학이 발전된 나라임. 섬유원료 플라스틱 원료 등을 상당량 수출하는데.. 이걸 도 생산량을 국민수로 나눠서 억지 선동하는듯.. 그리고 전자제품 자동차 등등 우리는 수출을 경제규모에 비해서 많이 하는 경제 구조로 해외 수출용 제품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양이 엄청나게 많음. 그걸 다 국민수로 나눠서 1인당 사용량이 높다고 무조건 선동하는것도 매우 조악한 선동임. 자원의 재활용 주기나 재활용성을 높일 생각을 해야지.. 플라스틱 빨대보다 어업에 의한 부수적으로 죽어나가는 해양생물 상어등이 수만배 많음.
@jason_cha
@jason_cha 20 күн бұрын
생산량과 소비량도 구분 못하고 있다고요? 그건 좀 이상한데요. 생산량으로 따졌으면 중국이 압도적인 1위가 되어야죠. 세계의 공장인데.. 반면 미국은 확 줄어야 하고요. 공장이 거의 없는 나라잖아요.
@user-kt6vp3bk8q
@user-kt6vp3bk8q 20 күн бұрын
@@jason_cha 중국 인구 15억으로 나누기 해보세요.. 마치 한국이 전력사용량 높다고 선동하는거랑 똑같습니다. 실제로 가정용 전력사용량은 한국이 일본보다도 낮은 나라입니다. 그러나 총 발전량을 가구수로 나눠서 한동안 우려먹었죠
@Chloe28901
@Chloe28901 20 күн бұрын
통계라고 가져 온 것이 논리 전개를 위해 필요한 부분만 의도적으로 뽑아온 느낌이에요
@allenyoo57
@allenyoo57 19 күн бұрын
늘 그렇지만 젤 약한 부분, 다시 말해서 젤 약한 일반 시민들에게 희생을 강요하는일이 한두가지가 아니지요. 여름에 전기부족사태도 사실은 기업이 쓰는 전기가 훨씬 많은데 서민들에게 전기 절약하라고 하고 기업들은 알아서 해 주세요 정도가 되지요. 전기요금도 산업용이 일반가정용보다 쌉니다. 그런데 전기요금은 가정용부터 올리지요. 환경운동도 마찬가지로 젤 약한 고리인 시민들의 죄의식을 자극해서 빨대사용제한이니 편의점 비닐봉투 못팔게 하는거, 그리고 젤 웃기는게 마트등에서 버리는 박스에 쇼핑한 물건 담아오는데, 박스를 붙일 테이프 제공 못하게 하는거 웃기는 일입니다. 정 비닐테이프가 문제면 종이포장테이프 사용해도 될텐데 무조건 금지하고, 그걸 그냥 그러려니 하고 수용하는 착한 국민들.. 생각해보면 참 웃기는 현상입니다.
@ryanpark7905
@ryanpark7905 Күн бұрын
아니 당연히 소비량을 국민 수로 나눈 거지 그걸 생산량이라고 지멋대로 해석하네
@boa20071
@boa20071 4 күн бұрын
재활용 기술로 플라스틱 비슷한 소재로 나오는 빨대가 좋은데 다시 종이로 돌아가는건 과학이 진일보 하지못한 현명한방법은 아닌듯
@user-qm4ro2ru5j
@user-qm4ro2ru5j 19 күн бұрын
파스타 빨대쓰면 좋을듯
@psw6870
@psw6870 20 күн бұрын
아이스크림 라테 먹는다고 종이빨대로 휘젓다가 중간부분 바로 찢어져서 빨대 새로 달라고 함.. 이게 맞는건가싶더라
@yt4argen4
@yt4argen4 20 күн бұрын
5퍼센트 밖에 안되는 빨대를 먼저 조지는거 보고있으면 선동이 얼마나 쉬운지 알게되는듯
@user-lz3fd1nj6q
@user-lz3fd1nj6q 20 күн бұрын
또 무도야.. 역시 없는게 없는 무도 -
@jinjan-qd9si
@jinjan-qd9si 19 күн бұрын
사실 별 문제 없지만, 국제사회의 발을 맞춰 가는거죠. 빨대뿐 아니라 이것저것 따라가야 무역 장벽도 낮아지고 인정도 받는 그런거죠.
@allenyoo57
@allenyoo57 19 күн бұрын
국제사회에 발을 맞춰 간다는 것은 결국 선진국들이 그동안 싸질러놓은 똥을 후발국가들이 같이 치우고 있는 겁니다. 얼마전인가 영국의 한 앵커가 사업이야기를 환경엗 대한 영향을 확인했냐고 동유럽국가의 대통령에게 질문을 하니 이 분이 우리는 아직 경제가 어려워서 그런거 따질 겨를이 없다고 쏘아 붙였지요. 그리고 덧붙여서 일을 만든건 서유럽 국가들이니 먼저 나서서 해결해보라구요. 현재 국제사회에 발을 맞춰야 한다는 프레임이 잘못된 프레임이라는 것도 생각을 좀 해 보시기 바랍니다.
@kcyclarity
@kcyclarity 20 күн бұрын
모든 대체재는 비보트에서 구하십시오... 저렴하고 친환경적이고 좋습니다
@bluesalmon1018
@bluesalmon1018 20 күн бұрын
종이빨대 만들러 나무 캐기 vs 다쓰고 버릴때 환경 오염시키는 플라스틱 빨때
@nothinghave1094
@nothinghave1094 20 күн бұрын
환경 오염 없습니다 헛소문 ㄴㄴ
@bluesalmon1018
@bluesalmon1018 20 күн бұрын
​@@nothinghave1094 내 생각임 ㅇㅇ
@user-sy7io7go9b
@user-sy7io7go9b 20 күн бұрын
종이 빨대 껒어
@ksu0107
@ksu0107 15 күн бұрын
긴급과학으로 구독했는데 긴급과학은 어디로 사라진 것인가
@chuimi
@chuimi 20 күн бұрын
플라스틱이 친환경에 가격도 싸고 냄새도 안나지
@user-zg4le3jq1x
@user-zg4le3jq1x 20 күн бұрын
분해잘돼는 플라스틱 빨대가 잴 낳을듯
@user-tj4vz7gg8m
@user-tj4vz7gg8m 20 күн бұрын
미세프라스틱 오지게 같이먹을듯
@jinhyukchoi7388
@jinhyukchoi7388 20 күн бұрын
종이빨때 거지 같음 한10분 지나니깐 다 풀려버림 쌍욕나옴 심지어 커피 맛도 달라짐 종이 맛나옴
@user-cg6hk8tg9f
@user-cg6hk8tg9f 19 күн бұрын
40도 위스키를 빨대로....??? 맛이 변해....? 발명의 시작 점이 놀랍네요 숟가락을 입에 넣기 힘들어 하는 사람이 젓가락을 만들었다는 것만 같아요
@user-cz7xe1xg5d
@user-cz7xe1xg5d 20 күн бұрын
카프리썬 잘 안뚫리고 줄줄 샘
@ViktorLi0621
@ViktorLi0621 20 күн бұрын
저는 계속 플라스틱 쓸겁니다
@yoooco
@yoooco 20 күн бұрын
환경따져봐야 선거철 쓰다버린 현수막보고 걍포기. 기득권층 은 다씀
@luansen0
@luansen0 20 күн бұрын
플라스틱을 재활용하면 되죠 나는 빨대없이 그냥 마시는 걸 더 선호하지만.. 우리가 마트에서 뭘 사든 포장재가 항상 같이 오는데 빨대는 사소한 정도입니다 환경문제는 기업이 해결해야지 소비자는 어쩔 수 없이 그것을 살 수 밖에 없고 책임부담을 소비자가 지는건 부당하다고 봅니다 애초에 기업이 친환경으로 만들었으면 이런 문제가 생겼을까요? 미생물에 의해 분해가 쉽다는 건 위생적이지 못할 수 있다는 겁니다 친환경이 좋은건 맞는데 책임소재에 대해선 기업의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그렇다고 모든 것을 친환경으로 만들 수 없기도 하죠 컴퓨터, 모바일폰, 비행기, 자동차 등등 어쩔 수 없는 부분도 있기 때문에 친환경 보다 재활용에 초점을 둬야 합니다 핵폐기물과 의료폐기물 처리는 친환경일까요? 그래서 전기도 안쓰고 의료혜택을 포기해야 할 까요? 사회적환경에서 쓰레기를 줄이는 건 정부와 국회 그리고 기업이 해결해야 하는 문제고 소비자는 그들만큼 책임을 질 필요가 없습니다
@mini1735
@mini1735 20 күн бұрын
빨대 많이 쓰면 입가에 세로주름 생긴다고해서 안.....쓰고 있어요.ㅎㅎ 환경보다..주름...
@narr5902
@narr5902 20 күн бұрын
빨대를 안만드는게 친환경 아닌가? 😂
@tinyfire153
@tinyfire153 19 күн бұрын
국제 환경단체의 큰손, 대주주, 최대 후원기업들이 해양 산업 및 어업 관련 회사들임. 그러니 환경단체들이 "폐 그물이 환경오염의 주범"이라는 말을 할 수가 없음. 그렇게 말하는 순간 후원 끊기고 환경단체 문 닫음. ㅋㅋㅋㅋㅋㅋㅋㅋ 환경단체도 뭔가 실적이 있어야하기 때문에 가장 만만하고 이슈몰이 할만한 '빨대' 붙들고 늘어지는 중임.
@user-jg3kd1vd1p
@user-jg3kd1vd1p 20 күн бұрын
사용량은 한국이 3위 이지만 바다에 버리는 플라스틱 쓰레기 대부분이 중국, 인도라고 하는데..이걸 누락한게 아쉽네요..
@Chloe28901
@Chloe28901 20 күн бұрын
누락한 것 아니에요.. 우리가 한국인이니 우리 보라고 그러겠죠 그러니 생산량 소비량을 절대 수치로 안 보여주고 1인당으로 보여주면서 생산이 더 많은 중국, 소비가 더 많은 미국보다 우리가 문제라는거죠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양이나 국가별 재활용 비율은 없는 거고 갠적으로 빨대 안 써도 괜찮을 것 같지만 그걸 저런식으로 국민들한테 떠 넘기는 방식이 너무 정겹네요 물,전기부터 시작해서 이번은 플라스틱일 뿐이고.. 과학채널에서 뭐 하는 짓인지 모르겠어요 친환경도 아닌 종이 빨대 하나 보여주고 플라스틱, 빨대에 대해서도 대충 검색해서 보여주는 수준이고
@inhoc1190
@inhoc1190 20 күн бұрын
환경파괴를 막기위해 발명한 플라스틱..
@leehyunkim270
@leehyunkim270 19 күн бұрын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의 70% 이상이 해양어업으로 발생한다는데 해당 쓰레기에서 비중이 높지도 않은 빨대 물고 늘어진다니 거기다 우리나라는 그래도 분리수거 나름 열심히 하는데 만만한게 시민들이라고 잘못을 전가해서 양심에 찔리게 하는 모습에 반발감이 생기네요 물론 되도록 안쓰는게 좋겠지만 이번편 몹시 실망입니다
@user-fb3iy7us7k
@user-fb3iy7us7k 20 күн бұрын
전세계에서 대한민국 사람들 만큼 분리수거 잘하는 나라 없어요 그리고 요금 물가 미쳐서 미친놈마냥 낭비 펑펑 하는 사람도 별로 없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분리수거 잘하고 일회용품도 적당히 잘 쓰고 있어요 그런데 어느 세력인지 모르겠지만 이런 환경관련 영상 나올때마다 사람들이 하루에 일회용품 몇톤이나 낭비하며 전기나 가스 가솔린등 펑펑 쓴다고 하며 욕하는 글이 많아요 님들 생각 보다 우리 대한민국 사람들 분리수거 잘하고 낭비도 안하며 살아요
@user-cd4bd6hu3u
@user-cd4bd6hu3u 20 күн бұрын
안마시는게 더 환경적! 인간이 사라지면 제일 환경적!
@user-ry1sx3cr6d
@user-ry1sx3cr6d 19 күн бұрын
수출로 먹고사는 나라인데 수출규제로 연결되니.....ㅠ
@user-ry1sx3cr6d
@user-ry1sx3cr6d 19 күн бұрын
담배!
@user-cw5px2cm2t
@user-cw5px2cm2t 19 күн бұрын
비닐 쪼가리에 종이 빨대는 솔직히 오바임 종이가 어케 비닐을 뚫어
@breadsic6517
@breadsic6517 11 күн бұрын
종이빨대 플라스틱빨대 굳이 선택해야함? 빨대 안쓰고 그냥 마시면 됨. 환경보호는 개뿔. 빨대는 원래 직접 마시지 못하는 아이와 환자 노인을 위한 발명이었음. 진짜 생각 깨어 있는 사람은 빨대를 안씀
@Won808
@Won808 20 күн бұрын
거북이 빨대는 주작이야기 나오지 않았나요?
@Hunkggygg
@Hunkggygg 19 күн бұрын
뭐야 이 개열받는 제목은
@coldprime1019
@coldprime1019 20 күн бұрын
난 두손을 쓰기 힘들거나, 병상에서 일어나기 힘들때 말곤 빨대를 쓸일이 없다, 끝,
@GGT30
@GGT30 20 күн бұрын
그....외국 특히 미국을 보면 우리가 종이냐 플라스틱이냐 플라스틱을 색깔별로 종류별로 씻어서 분리수거해야 하냐 마냐 하는 사이에 지구는 미국이 멸망시킬거 같던데요.....
@wpfhtl
@wpfhtl 20 күн бұрын
그래서 전 그런걸 보면서 깨달은게 한국은 지구를 위해서 재활용 하는 게 아니라 땅이 좁아서 처리하기 난감해서 하는 것 아닐까 하고 깨달았어요. 미국은 남는 땅에 그냥 갔다 버려도 될 정도로 안쓰는 공지가 너무너무너무너무 많음
@djWjfkrhwkdsksclsi
@djWjfkrhwkdsksclsi 20 күн бұрын
걍 들고 마셔. 뭘 자꾸 빨아 마시려고 그러냐.
@allenyoo57
@allenyoo57 20 күн бұрын
무한도전 정준하님의 안경빨대가 플라스틱 빨대의 탄생은 틀린 정보입니다. 이미 1960년대부터 병원에서 링거줄-빨대안경줄과 완전 동일한 재질을 잘라서 그걸 빨대로 사용했습니다. 그건 제가 입원해서 처음 사용해본게 1962년이니까 미국 병원에선 이미 그 전부터 사용했구요. 빨대안경 자체가 이런 유연한 병원 링거줄을 잘라 빨대로 사용하는 것을 보고 만든겁니다. 그러니 잘못된 정보는 수정하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chesek4010
@chesek4010 20 күн бұрын
안될과학도 결국 역사왜곡 국뽕채널이었나..
@user-je9sp1xh6z
@user-je9sp1xh6z 20 күн бұрын
저게 어그로인데 어케 수정하겠어요 ㅋㅋ
@tofuture
@tofuture 20 күн бұрын
좀 잘못 알아들으신거 같습니다.. 정준하님이 사용한것이 최초다 라는게 아니라 저런식으로 그당시에 있던 튜브형태의 제품을 빨대로 사용한것이 시초다 라는말을 한겁니다.. 그 튜브 형태의 제품중에는 링거튜브도 있을수 있겠죠.. 이후에 우리가 아는 PP로 만든 빨대로 만들어져 나온거구요.. 영상에서도 61년도를 이야기 했고 57님도 60년대를 말씀하셨으니 잘못된건 아닌거 같네요. 그 당시 관종이었던 에릭 립손이 튜브를 안경모양으로 빨대를 만들어 유명해졌다는거구요.. 그후에 개발자들이 빨대를 플라스틱으로 만들기 시작했다..라는 이야기인걸로 보입니다
@Dynamic_Mark
@Dynamic_Mark 20 күн бұрын
빨대안경이 플라스틱 빨대의 탄생이 아니라,,, 저런 탄성있는 튜브형태가 플라스틱 빨대의 탄생이라는거 아님???;;
@user-zm5hk9jv7p
@user-zm5hk9jv7p 20 күн бұрын
말귀를 못알아듣는 스타일인가??
@leejy2434
@leejy2434 20 күн бұрын
주제가 플라스틱 빨대,종이 빨대인데 미세플라스틱 얘기가 90%네 ㅋㅋ 플라스틱 빨대 만드는 단가나 공정과정같은거를 종이빨대랑 비교하면서 말해줘야하는거 아닌가?뭘 선동하고 싶은건지는 잘알겠다
@user-ct6rl3xs5t
@user-ct6rl3xs5t 20 күн бұрын
지구를 사람으로 생각해보면 종이빨대 드실래요? 플라스틱빨대 드실래요?
@inhoc1190
@inhoc1190 20 күн бұрын
​@@user-ct6rl3xs5t 종이빨대를 써서 지구상의 나무를 싹 다 베어버려야겠네요!
@sym960123
@sym960123 19 күн бұрын
@@user-ct6rl3xs5t종이쓰면 나무 다 베어버리는건데 뭐 종이도 대체종이 쓸거에요?
@user-df5hp3sp8s
@user-df5hp3sp8s 18 күн бұрын
어민들 그물 실명제 만들고 새로 구입시 폐그물 동일무게 반납하게 만들어야됨
@user-me6gi2cz5p
@user-me6gi2cz5p 20 күн бұрын
그저 프레임에 선동당해 이꼴난거지ㅋㅋㅋㅋ
@user-kj3el4bj5m
@user-kj3el4bj5m 20 күн бұрын
그물이 더 문제😅
@user-bz9iy1te2k
@user-bz9iy1te2k 20 күн бұрын
2분전이다 전 환경을 위해 종이빨때요!!!!!!
@thekinghoona
@thekinghoona 20 күн бұрын
종이빨대도 결코 환경에 좋지못함 ㅋㅋㅋㅋ
@linesky4321
@linesky4321 20 күн бұрын
환경을 위해 종이빨대 쓰면 나무는 멀쩡하나? ㅋㅋㅋㅋ
@user-wt8gw8we6p
@user-wt8gw8we6p 20 күн бұрын
안썩는 빨대가 더 좋은건데 사람들 이상해졌어
@sym960123
@sym960123 19 күн бұрын
종이 ㅅㅂ 종이빨대 만들라고 계속 나무 베는거 좀
@user-kd3df4pj2c
@user-kd3df4pj2c 20 күн бұрын
종이 빨대 환경도 환경이지만 성능이 구데기라...
@meS2meS2
@meS2meS2 20 күн бұрын
빨대를 안씁니다
@user-yo5iy8ns2t
@user-yo5iy8ns2t 20 күн бұрын
뚜껑열고먹어
@1017YDS
@1017YDS 20 күн бұрын
빨대 불필요
@T-uz5ro
@T-uz5ro 19 күн бұрын
유느 ㅂ,ㅅ
@siwic2jwa
@siwic2jwa 17 күн бұрын
빨대 말고 그냥 쳐마시면 안될까요?
@user-xh1ts9lb3v
@user-xh1ts9lb3v 20 күн бұрын
빨대 사용 자체를 줄이던가, 그 정도는 플라스틱 빨대를 사용해라.
@user-nz7nd7qb4i
@user-nz7nd7qb4i 20 күн бұрын
비닐빨대든 종이빨대든 일반쓰래기라서 태우면 아무의미없습니다
@gggg-sp6ut
@gggg-sp6ut 20 күн бұрын
썸네일 너무 역겹네
@user-sd5xo2se6x
@user-sd5xo2se6x 20 күн бұрын
담배는 그냥 금지시켜야됨
@thai7957
@thai7957 20 күн бұрын
한번 뿐인 인생인데 좀 편하게 살면 안될까? 물론 환경이 중요한 건 맞지만, 요즘 너무 병적으로 강압하는 분위기가 불편하네...
@indoutube01
@indoutube01 20 күн бұрын
이미 기후위기의 마지노선을 넘었는데도? 위기의식을 못 느낌? 본인 살때만 멀쩡한 지구면 상관없다 이거지?
@thai7957
@thai7957 19 күн бұрын
@@indoutube01 나만 아니면 알빠노가 맞지 않나??
@Chloe28901
@Chloe28901 20 күн бұрын
12:03 '아시겠지만 담배꽁초 다 버리잖아요 길거리에다가' 뜬금없이 흡연자는 다 길거리에 쓰레기를 버리는 사람이라는 논리 전개 영상의 주제가 플라스틱에 관한 친환경 논의인데 담배 필터는 길거리에 버리면 분해 안되고 쓰레기통에 버리면 분해가 되나요? 아니면 거리에 버려진 꽁초는 그대로 두고 다른 쓰레기만 치우나요? 흡연자 혐오도 과학적인가 보네요 은근슬쩍 혐오 메시지를 끼워 넣어서 과학으로 포장해 버리는데 안될과학 구독 후 최초로 싫어요 누르고 갑니다
@ckp1610
@ckp1610 19 күн бұрын
주제와는 벗어난 말인건 맞지만 99.9%의 흡연자가 길에다 담배꽁초를 버리는 것 또한 팩트.
@Chloe28901
@Chloe28901 19 күн бұрын
@@ckp1610 와 진짜요? 전국 돌면서 흡연자 관찰한다고 힘드셨겠다. 고생 많이 하셨네
@SamRyong2
@SamRyong2 19 күн бұрын
해당 분야의 연구자가 나와서 재활용 기술의 발전이나 분해가 잘 되는신소재, 기술적 지향점등 과학에 걸맞는 이야기가 나오면 좋은데 주제의 논의방식이 과학체널에서 다룰 일인가 싶은 프로파간다 전파 같네요 와중에 흡연자 혐오는 평소 여자분의 마인드셋인데 필터링되지 않고 무의식에 뱉어진 말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의도적인가를 따지면 개인마다 판단이 갈릴 수 있지만 의도했던 아니던 과학자로의 소양부족이고 어쨋든 초대받은 채널에 대한 예의가 없는거죠
@ckp1610
@ckp1610 18 күн бұрын
@@Chloe28901표본 조사 몰라요? 주위만 둘러봐도 다 아는 사실을 눈 가리고 모른척 한다고 사실이 사실이 아닌게 되진 않습니다. 당신 주변 당신 본인이 담배꽁초를 어디다 버리는지 말씀이나 해보시죠?
@Chloe28901
@Chloe28901 18 күн бұрын
@@ckp1610 표본 추출을 어떻게 했죠? 내가 본 사람? 아는사람? 주위사람? ㅋ 전부라고 하고 싶어서 99.9% 말한 것 같은데 오차도 없이 표본 조사를 가져다 붙여요? 유식한척 무식한 소릴 하는데 믿으란거죠? 거리에서 담배 피는 사람을 자주 보기도 힘들고 보인다고 버릴 때 까지 기다린 적도 없고 이동중이면 따라가서 관찰 한 적도 없고 누가 흡연자인지 아닌지 알 수도 없잖아요? 내가 안 보이는 곳에서, 볼 수 없는 곳에서 피우면? 표본조사 같은 소리 하려면 표집 설계 방식부터 말해봐요 어차피 헛소리겠지만 그리고 내가 비흡연자라면 순순히 믿어요? 흡연자 옹호 하니까 분명 흡연자일거다 욕해도 되고 비난해도 된다고 뇌에서 막 신호를 보내죠? 흡연자 혐오를 비판 한 거지만 그런 건 관심도 없잖아요 ?
종이 빨대는 과연 친환경적일까? 빨대 사용에 대한 우리의 노력!
19:31
ДЕНЬ РОЖДЕНИЯ БАБУШКИ #shorts
00:19
Паша Осадчий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
Bro be careful where you drop the ball  #learnfromkhaby  #comedy
00:19
Khaby. Lame
Рет қаралды 50 МЛН
How much charging is in your phone right now? 📱➡️ 🔋VS 🪫
0:11
Apple, как вас уделал Тюменский бренд CaseGuru? Конец удивил #caseguru #кейсгуру #наушники
0:54
CaseGuru / Наушники / Пылесосы / Смарт-часы /
Рет қаралды 4,6 МЛН
Цифровые песочные часы с AliExpress
0:45
#miniphone
0:18
Miniphone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Дени против умной колонки😁
0:40
Deni & Mani
Рет қаралды 10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