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29] 인조반정, 조선의 역사를 바꾸다. 최악으로 (26분 순삭ver.)

  Рет қаралды 902,023

황현필 한국사

황현필 한국사

3 жыл бұрын

태백광노가 되어주셔서 영화 《독립전쟁》 제작에 참여해주세요.
/ @hwang_history

Пікірлер: 1 700
@hwang_history
@hwang_history 9 ай бұрын
*황현필의 [조선사] 시리즈 몰아보기!* _하단 링크를 클릭하세요._ kzfaq.info/sun/PL0lEEgMCRI84hKeFExVPgvY0LL9ciO8gc
@user-sr7gi6ku8i
@user-sr7gi6ku8i 7 ай бұрын
옛날 조선시대 4대부는 정신병에 걸렸죠 옛날 궁예는 정신병걸린놈들의 머리통을 날렸죠 조선이 망한이유는 정신병걸린 4대부때문임 머리통을 다 날렸어야했어요 머리에마귀가 들어있다
@user-qs6rl2pq1i
@user-qs6rl2pq1i 6 ай бұрын
황선생님.근데 옛날부터 참 궁금햇던점이 잇엇는데 그당시 조선과 명이 같이 손잡고 후금을 없애버릴수는 없엇을가요?우리는 그 대가로 명한테 산해관이북지역을 달라고하던가 아니면 최소한 반반으로 나눠갓던가.명도 원숭환같은 명장이 잇엇는데~뭐 나중에 억울하게 죽이긴 햇지만
@user-hc1zc6et6k
@user-hc1zc6et6k 3 жыл бұрын
외로웠던 광해군! 정말 안타깝기 그지 없습니다. ㅜㅜ 황쌤 오늘도 감사드립니다😄👍
@zzrssab1254
@zzrssab1254 2 жыл бұрын
다른 가족들은 안외롭냐 영창대군.허균 가족은 웃으면서 살아야하냐
@user-pw4rv8gc1w
@user-pw4rv8gc1w 2 жыл бұрын
광해는 정말 시대를 앞서갔던 왕이었군요. 그가 참 얼마나 외로웠고 분통 터졌을지 마음이 아프네요. 지금정치도 광해같은 분이 있다면 자기들 이익만 생각하고 사대주의와 친일사상에 물든 정치인들도 있죠. 국민들이 현명하게 잘 판단해서 투표를꼭 잘하기를 빕니다.
@bueygsankim4632
@bueygsankim4632 Жыл бұрын
조선최악왕 인조
@user-qm2dq8tv1z
@user-qm2dq8tv1z 2 жыл бұрын
인조쿠테타 진짜 한탄스럽네요. 아까운 광해군. 조선의 한계인거죠. 황현필님의 광혜군을 향한 한탄이 절절히 느꺼지는 강의였어요. 감사합니다~~
@user-rc8cb5lz8j
@user-rc8cb5lz8j 3 жыл бұрын
이제라도 "광해군의묘"를 새로이 조성할 수 있었으면 합니다.
@hkchae4674
@hkchae4674 3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에서 그 누가 이렇게 명쾌하게 역사를 설명할 수 있단 말입니까....황현필 같은 분을 하늘이 내려줘서 감사합니다
@user-sh8mm6nw4h
@user-sh8mm6nw4h 2 жыл бұрын
이덕일씨 책도 읽어보세요 황현필 선생님과 사관이 거의 비슷합니다
@tjxpuck
@tjxpuck 3 жыл бұрын
능력자는 권력으로 무엇을 할지 생각하고, 무능력자는 권력을 얻기 위해(유지하기 위해) 무엇을 할지만 생각한다
@user-ng4xb4cs5g
@user-ng4xb4cs5g 2 жыл бұрын
중립외교가 요즘 우리나라에서도 절실하여 강의가 더 재미있습니다. 중국과 미국이 싸우고 있고 우리나라는 그 중간에서 어느 편도 들 수 없는 현실에서 이 강의가 주는 교훈이 크다고 생각됩니다. 우리나라 정치인들이 여야를 생각하지 말고 이 나라 국민만을 생각하고 정치를 해야 하는데 자기들의 밥그릇만 생각하고 정치를 하니 역사는 반복된다는 말이 맞는 것 같습니다.
@user-po6tr4yf2l
@user-po6tr4yf2l 3 жыл бұрын
선생님 강의를 들을때마다 느낍니다. 역사를 바로세워야하는 이유를! 현대를 살아가는 지금도 매일 팩트체크를 하며 뉴스를 읽어도 왜곡이 끊이지 않네요.
@user-jh4iv8lz1v
@user-jh4iv8lz1v 2 жыл бұрын
공유 합시다👍 kzfaq.info/get/bejne/btmId8t8nq-tpps.html kzfaq.infoQHTgM6QHK0Q?feature=share kzfaq.info2CmYJftKLh0?feature=share kzfaq.infoAcxdan1EmpI?feature=share kzfaq.infoHxNz-q3YosI?feature=share kzfaq.infocXbIfKg2B7E?feature=share kzfaq.info7yR3X8kXzKI?feature=share kzfaq.infoRyHq17Va3k4?feature=share kzfaq.info1zbhV3ukOvg?feature=share
@looloo4541
@looloo4541 3 жыл бұрын
인조... 인성도 개차반에 능력은 왕은커녕 이방도 못할 능력을 갖고 왕을 하니 나라가 그렇게 망해갔죠... 선조 인조는 정말 세상에 존재해서는 안 됐던 왕들이었던 것 같아요
@user-hj7hd5dm9u
@user-hj7hd5dm9u 3 жыл бұрын
난 개인적으로 선조보다 인조가 더 무능하다고 보네요 그 다음 세조 고종
@user-mx4rb2zj5f
@user-mx4rb2zj5f 3 жыл бұрын
@@user-hj7hd5dm9u 음... 세조는 무능하진 않았죠....
@bossamjocbar5296
@bossamjocbar5296 3 жыл бұрын
선조는 그나마 초기에 파격적인 인사배치로(이순신의 경우 소령에서 중장 5계급 특진)인한 임진왜란 당시 활약한 인물들을 요직에 배치한 점, 후기 왜란후 전란을 그나마 안정화시켰단 점에서 가산점이라도 있지 인조는...
@bossamjocbar5296
@bossamjocbar5296 3 жыл бұрын
@@user-mx4rb2zj5f 그치 세조는 무능이라기보단 권력욕 때문에 후세에 악습을 많이 남겨버렸지
@sssu6572
@sssu6572 3 жыл бұрын
선조인조는 욕먹는것은 마땅하나 다른 왕을 그자리에 앉히면 결과는 달라졌을까
@mylife33712
@mylife33712 3 жыл бұрын
쌤 오늘 방송 최고에요.. 멋진 방송들이 많지만 오늘 방송 최애로 남을거같아요. 요즘 쌤 방송 하나하나 다시 듣기하고 있습니다. 역사는 승자의 기록... 다시 듣기하면서 느끼는 바가 큽니다. 우리 쌤 정말 감사드리고 건강하세요. 쌤 존경하고 사랑합니당^^
@hoonhoon1502
@hoonhoon1502 3 жыл бұрын
손에 땀을 쥐게 하는 강의! 역사공부를 새로운 시각으로 보게 하는 강의!! 감사합니다
@user-di3hy8dl5m
@user-di3hy8dl5m 3 жыл бұрын
역사 국정 교과서는 수정이 되야함 강의 잘들었습니다. 건강 하세요!
@user-vw3yz6fp3o
@user-vw3yz6fp3o 3 жыл бұрын
인조...지나간역사이나 백번도 넘게 안타까운 역사입니다.정말 순삭이네요 뼈아픈역사 하지만 외면하지않고 보며 같은 역사가 반복되지 않기를 ..선생님 감사해요
@user-km4uf6kc9v
@user-km4uf6kc9v 3 жыл бұрын
인조가 굴욕당한건 폐륜망나니 광해군이 무리한 궁궐 건축으로 재정이 완전 파탄나잇던 상태로 그 직후에 왕이 되서 그런거임 물론 이괄의난 영향도 좀 잇엇지만 근본적인 원인은 광해군이지 ㅋㅋㅋ희대의 쓰레기
@user-uo1lp1zb7w
@user-uo1lp1zb7w 3 жыл бұрын
@@user-km4uf6kc9v ; 궁궐 건축이 아니라도 부왕 선조대에 치룬 7년왜란으로 인한 경제적 피해 후유증으로 광해군이 아니라고 재정은 금방 복구되기가 어려울 뿐더러 그리고 광해군이 후금에 미움받지 않는 외교를 펼쳤는데 인조는 숭명배청이라는 후금에 미움 살만한 짓을 하는게 큰 원인이었음 광해군에게 근본적인 원인으로 돌리는건 인조측의 왜곡 변명 논리를 되풀이 하는 것이지요
@user-zu9ss2hv9r
@user-zu9ss2hv9r 3 жыл бұрын
@@user-km4uf6kc9v 임진왜란 이후 파탄이난 경제상황+ 이괄의 난으로 평안도 근방을 지키던 정예군 전멸+ 무리한 궁궐보수공사로 국가 재정 악화+ 외교정책의 변화로 후금에 위협받을 행동을 함+ 전쟁에 제대로 대비를 하지 못했던 인조의 조선 뭐 몇가지 요소만 들어도 이렇게나 많은데 어떻게 하나만으로 원인을 집는건지 궁금하네요? 너무 작은 관점만 가지고 있지않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user-lg6ge7qw1i
@user-lg6ge7qw1i 2 жыл бұрын
@@user-km4uf6kc9v 광해군이 쓰래기?
@myung1607
@myung1607 10 ай бұрын
전쟁을 막고 궁궐건축하는게 국익을 위함인데 언제까지 불탄 궁궐을 둔단 말인가 인조아니라 인종임 지가 뭔데 인조야
@user-xw2se1ny1s
@user-xw2se1ny1s 3 жыл бұрын
참 ㅜㅜ 광해군 하면 폭군으로만 배우고 알고 연산군과 동급으로만 생각하고 살아온 세월들~~ 어느 순간부터 선생님 강의를 들으며 참으로 편리하게 짜여진 단편적 견해에 의해 교육 받고 세뇌된 느낌입니다. 선생님의 강의는 입체적 사고를 갖게 해주십니다. 여러면을 보고 고려하고 판단의 기초로 삼게 해주십니다. 선생님 같은 진정한 역사학자가 계심에 감사드립니다. 있던 역사를 단순전달함이 아니고 민족에 대한 열정으로 흥분하시고 울고 웃으시며 혼을 담으심에 늘 존경하고 감사드립니다. 선생님 역사계의 보물이십니다~^-^
@JS-Jeong
@JS-Jeong 3 жыл бұрын
조금만 관심 있었으면 알 수 있었을 것을....... 이제라도 알았으니 다행이군요.
@msp6981
@msp6981 2 жыл бұрын
@@ohgwon7195 정변과 쿠데타는 역사적평가에 따라서 갈리는겁니다 5.16은 군사정변이라고 평가받죠 박정희전대통령이 유신헌법으로 독재를 하거나 여러 과오가있어도 이승만독재이후 혼란한 대한민국의 양적,질적성장을 이뤄낸것등 긍정적 평가또한 뒤따르기도하고 유신헌법이전까진 적법한절차를 통해 당선되었으니까요 하지만 12.12사태로 권력을 잡은 전두환은 긍정적평가가 1도없죠 이제 전두환도 죽고했으니 12.12사태는 쿠데타로 평가받겠죠
@richteisnert6827
@richteisnert6827 2 жыл бұрын
놀구있다 뭐? 최순실 같았던 인간 ?? 아직도 최서원 사기조리돌림질 쳐하는 저런 놈이 뭔 역사를 말한다고 비린내까스 풍기며 떠들어대구 또 그걸 빨아대는 이 빡대갈비린내들은 뭐냐 에구.... 이 대한민국 쓰레기국민수준들이라고야......
@suminhwang
@suminhwang 10 ай бұрын
신기하네요. 그래도 1960년 이후에 귝사 수업을 들었다면, 광해군을 폭군으로만 안 배웠을텐데요...그때도 이미 광해군에 대한 재정립이 어느정도 들어간 시점이라
@user-sj9bd1or2s
@user-sj9bd1or2s 3 жыл бұрын
역시 황선생 최고의 분석입니다 아주 국익과 국민 중심의 탁월한 이해속에서 멋진 강의입니다 60년 살아오면서 이런 강의 최초입니다
@user-pv5bl5oj6q
@user-pv5bl5oj6q 3 жыл бұрын
그나마 인조의 아들이었던 소현세자가 개혁적이고 상식적인 인물이었는데.. 의문의 죽음을.....
@user-mv3ef4uu7f
@user-mv3ef4uu7f 3 жыл бұрын
자기보다 잘난 아들을 질투하고 시기한거는 선조와 똑같았죠. 선조,인조는 조선의 역사를 최악으로 만든 임금.
@user-mu5mq2iw7k
@user-mu5mq2iw7k 3 жыл бұрын
티비가 없던 시절, 라디오 사극을 들으며 인조반정 거사 부분에서 '혹시 실패하지 않을까?, 들키지 않을까?' 하면서 마음을 졸이면서 들었던 기억이 있어요. 수십 년간 듣고 배웠던 우리 역사에 대해 다시 생각합니다. 늘 열강 탐독하고 있습니다.
@songwonan3121
@songwonan3121 3 жыл бұрын
@@user-fi6hm9ws1v 일베나 쳐ㅓ하세요
@user-bi3ne3fn2s
@user-bi3ne3fn2s 3 жыл бұрын
900 빙신 정신나간놈
@user-bj5ky5kl7t
@user-bj5ky5kl7t 3 жыл бұрын
@@user-fi6hm9ws1v 92프로 전국민이 투표했다고? 에라 짜슥아 니같은 모지리들이 박통을 욕하는 줄은 아느냐? 그리고 이 채널 보지마라 황현필도 좌파쪽이니깐! 꺼져~~
@ngt578
@ngt578 3 жыл бұрын
인조 이후부터 성리학이 본격적으로 교조화되고 그로 인해 성리학은 사람 잡아먹는 학문이 되어버렸죠...
@user-ip3yj9bk2c
@user-ip3yj9bk2c 3 жыл бұрын
원래부터 공허하고 무익한 학문이었던 것으로 알고 있사옵니다.
@user-bs6qz1iw3j
@user-bs6qz1iw3j 3 жыл бұрын
@@user-ip3yj9bk2c 고려말 당시로는 최고의 학문이었죠 ㅎㅎㅎ....다만 시대가 바뀌면 실용주의적으로 변화해야하는데 점차 고착화 교리화 된것이 문제
@user-ip3yj9bk2c
@user-ip3yj9bk2c 3 жыл бұрын
이수원님의 의견에 동의합니다. 제가 약간 과장법을 동원했사옵니다~
@deviark8797
@deviark8797 3 жыл бұрын
@@user-bs6qz1iw3j 원래 분당을 해서 싸우다 보면 극단주의 교조주의자들이 명분을 잡기가 쉬워집니다.......물론 실권을 잡는 것과는 별개의 문제이기는 한데...... 조선이라는 나라 자체가 명분싸움에서 이기면 왕도 어쩌지 못하는 신권국가라서 점차로 교조주의자들이 권력까지 휩쓸어 먹는게 되어가죠.....
@kephas7772
@kephas7772 3 жыл бұрын
그 성리학을 못 버리는 바람에 조선을 망하게 했죠... 조선말 의병 활동도 일반 평민들은 나라를 구하려 뛰어들었고, 양반 출신들은 성리학적 사고를 다시 수립하고자 뛰어들었다는 역사학자 말을 듣고 기겁했다는...조선을 세우는데 근간이 되었지만, 조선말에는 고려때처럼 새로운 사상과 학문이 나라를 바뀌게 했어야하는데 그게 안 된점은 조선의 한계로 보여집니다...이미 19세기 초에 청이 서구열강에 무릎을 꿇은게 알려졌으면 개혁을 서서히 진행했어야 하는데 그 후 100년을 허비한 셈이니깐요...영,정조의 개혁도 성리학적 사고를 바탕으로 하였기에 바꾸진 못했을거라 여겨집니다...
@freewindy77
@freewindy77 3 жыл бұрын
역사에 대한 관점을 새롭게 보는 계기가 됩니다 유익한 강의 감사합니다
@caprijk
@caprijk 3 жыл бұрын
어떻게 오랑캐와 손을 잡냐고 광해군을 몰아냈으면, 호란에서 졌을때 깔끔하게 죽지 그걸 절까지 하고 목숨을 구걸하는 구질구질함
@user-lr8zx7mb6q
@user-lr8zx7mb6q 3 жыл бұрын
구질구질함, 뻔뻔하고 후안무치한 것은 이땅의 기득권 수구보수꼴통들의 전통입니다. 부끄러움이 없어요. 세치 혓바닥과 재물욕만 갖고 사는 인종들. 나라와 백성을 지키지도 않고 자존심도 없고 법도 지키지 않으면서 기득권과 권력으로 백성을 수탈하는 자들.
@michaellee9005
@michaellee9005 3 жыл бұрын
맞아요 능력은 없고 쓰잘대 없이 자존심만 강함 인조는 조선의 최악의 왕 지 자식들도 다 죽여
@user-qq7se6xy1g
@user-qq7se6xy1g 3 жыл бұрын
지금의국민의힘이서인정권에후예들임
@rustykim3856
@rustykim3856 3 жыл бұрын
인조, 선조... 투탑
@user-fn6ho8jw5b
@user-fn6ho8jw5b 3 жыл бұрын
지금도 그렇지..,태극기부대는 미국을 형님나라로 모시자는 말. 625때 공산당으로부터 구해준 은혜의 나라. 권력있는자들 자기 권력 유지하는데만 관심있지, 국민들의 삶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하는 정치인이 몇명이나 될까? 지금도 인조시대와 다르지 않다. 민주당180석 가지고 하는짓 보소. 언론에 벌벌떨고 임명직 공무원 검인찰총장하나 제압못하는 등신들. 개새끼들이 안하는거지
@rnjswjdwls12
@rnjswjdwls12 3 жыл бұрын
인조때부터 이어온 서인 남인들이 현재 대한민국까지 이어지네요..ㅠㅠ 화폐는 정말 이해할수가 없습니다
@user-ny1oi6us4l
@user-ny1oi6us4l 3 жыл бұрын
화패 인물들 다 선조대 인물들이네요
@susjeobs9266
@susjeobs9266 3 жыл бұрын
지 잘난 맛에 산 이이따위가 왜 이렇게 고평가 되어있는지 모르것음 기자실기같은 개소리나 해대고 지잘난맛에 쓴 성학집요도 기가차고 ㅋㅋ 이게 다 교과서 만든놈들의 문제임
@rec9264
@rec9264 3 жыл бұрын
@@susjeobs9266 지금 한국을 돌리는 기득권의 사상의 뿌리가 어딘지 투명하게 알 수 있죠. 한국의 자주적이고 투쟁적인 여성성 유관순? 응, 어림없지 5만원권 이이 이황네 패거리 사대부 집안 신사임당~ 사대주의를 수호하는 양반과 사대부의 나라 에서 어딜.
@user-te3lu7sg3o
@user-te3lu7sg3o 2 жыл бұрын
저희조상 남인이라 ㅈㅅ합니다
@user-kl7ko8um1o
@user-kl7ko8um1o 2 жыл бұрын
노론들이 조선을 망해먹고, 그 노론들이 친일파가 되고, 그 친일파들이 청산되지 못하고 새누리 국힘당까지 내려온겁니다.
@SSLee-rs6uf
@SSLee-rs6uf Жыл бұрын
왕가의 흥미위주의 개인사에 치중하지 않고 공명한 자주적 시야의 역사관이 새롭네요. 속이 시원한 강의 입니다.👍
@miromtouristguide4290
@miromtouristguide4290 2 жыл бұрын
멋있는 황현필 선생님 ! 열정이 진하게 느껴지는 강의 정말 감사합니다.
@user-dc2ec1mg5t
@user-dc2ec1mg5t Жыл бұрын
초등 아이와 소현세자. 강빈 이야기 역사서 읽다가 지난 역사지만 안타깝고 인조의 행동을 보고 욱감정이 솟구치네요. 역사를 바로 알고싶어서 황쌤강의 들으러 왔습니다. 현실과 미래가보이고 다시 반복하고싶지 않다는 생각이 간절해지는 요즘입니다. 잘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freejs13
@freejs13 3 жыл бұрын
광해군은 다시 조명되어야합니다, 강의 잘들었읍니다,
@hermannnhesse3511
@hermannnhesse3511 3 жыл бұрын
광해군은 충분히 나쁜 왕 맞습니다. 괜히 군으로 남은 게 아닙니다.
@hermannnhesse3511
@hermannnhesse3511 3 жыл бұрын
@@user-tv1tb3ou3s 대중의 평가가 좋아진 이유는 국가를 버리고 명나라로 망명하려 했던 선조와 청나라에 무릎 꿇었던 인조의 사이에 있었기 때문이라 생각합니다. 한국 역사의 수치스런 부분인 삼전도의 굴욕을 ‘광해군의 중립외교라면 이런 치욕은 없지 않았을까?’라는 후대의 생각 때문에 생긴 일종의 자기 위안식의 수혜자 이상도 이하도 아니라 생각합니다. 실제로 중립외교는 당시 성리학자의 생각에서는 나오기힘든 주체적이고 진취적인 행보는 맞지만 전란 후 무리하고 지속적인 토목공사와 내치에 전혀 뜻이 없는 (자신의 토목공사를 지지해주는) 대북세력에 과대하게 힘을 실어주어 다른 정치 세력인 서,남인들과 갈등이 깊어지게 됐고 그 대북마저도 결국엔 분열했기에 반정은 정말 불보듯 당연히 왔을 사건입니다. 인조 선조가 잘 했다는 것이 아닙니다. 광해가 괜히 군으로 남은 게 아니라는 겁니다.
@ssongmz8863
@ssongmz8863 3 жыл бұрын
@@hermannnhesse3511 그런 이유들만으로 충분히 나쁘고 군으로 남아야 하는지 이해 할 수 없습니다. 결국 반정을 조절하지 못한건 국내정치, 정쟁을 잘 하지 못한건 사실겠지만, 과연 인조새끼의 반정이 없다면 금이 쳐들어 왔을까요? 인조새끼한테만 군이고 우리역사에는 군으로 남을 이유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중립외교 빼고 보더라도 대동법을 한정적이지만 최초로 시행한것도 광해입니다. 그게 과연 백성을 위하는 맘이 없는 폭군이 시행할수 있는 정책인지도 참... 답답하네요. 대규모 토목공사 뭐 잘못이라면 잘못일수도 있겠지만 어쨌든 왕권강화의 목적이라면 충분히 가능한 일이고 그게 백성들 착취하는 공사였다면 민란이 먼저 일어 났겠죠... 친명배금 정책 자체가 금이 쳐들어올 명분을 제공한건데 그게 광해의 폭정때문이라고 하는건 납득 할 수 없습니다. 제가 볼때는 군이라는 칭호는 인조 나부랭이에게 더 잘 어울립니다.
@vanheesoo98
@vanheesoo98 3 жыл бұрын
@@hermannnhesse3511 토목공사가 군으로 폐위될 만큼 충분히 나쁜점이라?? 금수보다 못한 연산군과 비견될 정도로? 광해를 폄하하는 건 집권 명분과 유지를 위한 정치세력의 농단에 불과합니다. 인조실록만 보지 말고 전후맥락을 제대로 살피시길
@hermannnhesse3511
@hermannnhesse3511 3 жыл бұрын
@@vanheesoo98 재정상태를 고려하지 않은 토목공사는 충분히 위험한 일입니다. 후대에 흥선군도 수많은 개혁과 반외세 정책으로 민심을 얻었지만 무리한 궁궐 중건으로 민심을 잃었고 이때 흥선군은 2개의 궁궐을 중건했습니다. 광해는 2배가 넘는 5개구요 , 그나마 흥선군은 몇 가지 개혁으로 민심을 잡아두었음에도 민초 자신들을 힘들게 하는 궁궐 증축을 달갑게 여길리가 없죠. 나라의 수입과 재정상태는 임난의 절반의 절반 정도 밖에 되지않는데 소요는 그대로다? 이게 다 어디서 나오겠습니까. 인조반정의 명분도 광해군 자신이 인조의 아버지의 집을 빼앗고 인조의 형제들을 죽이며 만든 (수 없는 서 남인의 숙청은 물론이고) 자업자득에 불과합니다. 의심병도 깊어 불필요한 옥사도 빈번했고 자신을 지켜줄 세력도 만들지 않았으니 반정은 정말 당연한 겁니다. 재정을 고려하지 않은 공사(민생 수탈)+전후 사회의 부조리+미미한 정치기반 이 셋이 한데 얽혀 쫓겨날 수밖에 없다 이 말입니다. 그
@non-qp1pt
@non-qp1pt 3 жыл бұрын
소현세자가 너무 안타까워요. 소현세자에게 왕을 물려 주었다면...
@QuadCortex
@QuadCortex 3 жыл бұрын
조선 후기 성리학의 종교화를 막을수 있는 마지막 기회가 소현세자였는데 그 소현세자와 며느리 아들들까지 싹다 인조가 죽임
@user-gr2bw6pw1c
@user-gr2bw6pw1c 2 жыл бұрын
소현세자가 정권을 잡았다면 서양과도 교류하고 실질적으로 국력을 강화할 수 있었을텐데
@jung4500
@jung4500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역사와 인물 제대로 배웁니다 황현필선생님 고맙습니다
@user-gj1ck9rz4o
@user-gj1ck9rz4o 3 жыл бұрын
와...최고최고....이렇게 많은 내용을 30분 내에 전달하시다니 강의력이 대단하십니다. 👍 거의 개론서 한권 독파....!!!!
@user-ls4le4xv8f
@user-ls4le4xv8f 3 жыл бұрын
주말에도 좋은 영향력 전파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조식과 서경덕을 몰라뵜습니다
@kdw.2208
@kdw.2208 3 жыл бұрын
왜 ? 조선시대 에는 북쪽사람은 관직을 안 줘서 홍경래난이 일어나지 않았습니까 서경덕 도 그랬군요
@user-pz9vf3bb4w
@user-pz9vf3bb4w 3 жыл бұрын
이괄의 난 실제 이괄이 이끌던 평안도 병력이 난으로 소멸되어 버리는 바람에 정묘호란 때 평안도를 방어할 병력은 녹아 없어졌다고 생각하면 됨. 반정 공신 밥그릇 싸움으로 인해 어처구니 없이 무고한 사람만 무수히 죽어나갔다.
@jinhan1172
@jinhan1172 3 жыл бұрын
글쵸. 이괄이 서울까지 탈환할정도로 그병력은 임진쟁때 갈고 닦은 강병이엿고 순왜인부대도 잇엇죠. 근데 반란이 길어지니 분렬되고 각계격파, 보복전에 다 죽엇죠. 병자호란때 그래서 당한거죠
@user-kg4uz1qd2j
@user-kg4uz1qd2j 3 жыл бұрын
이건인조가 씹새끼긴함
@user-ls7ck2oi6e
@user-ls7ck2oi6e 3 жыл бұрын
좋은 강의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
@user-xp9dl1wd8n
@user-xp9dl1wd8n Жыл бұрын
광해의 중립외교가 지금 절실히 필요합니다 예나지금이나 세도정치에 국민만 힘드네요 몇일전 윤대통령의 외교를 지켜보니 삼전도굴욕과 다름이 없습니다ㅜㅜ 지나간 교훈을 배우고 나아갈수있는 진정한 리더는 없는건지...
@riankal
@riankal 3 жыл бұрын
지금도 똑같다 기득권의 이익에 부합하지 않는 정책을 펴면 왕은 공격받는다. 주요일간지 부터 대학교수, 각계 기득권으로부터.
@cloud-ck6yk
@cloud-ck6yk 3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절대 동감입니다. 군주는 이럴때 얼마나 외로울지..ㅠ
@riankal
@riankal 3 жыл бұрын
니 인생앞가림은 잘 되가냐? ㅋㅋㅋㅋ 뭘 북한을 추앙해 ㅋㅋㅋㅋ 같은 민족 죽어라 후두려까는걸 최고 업적이라고 생각하는 니들 일베충들이 비정상인거지
@riankal
@riankal 3 жыл бұрын
중국 커지는데 끝까지 미국만 빨다가 중국한테 후두려 맞는 수구꼴통 보수색기들이 인조지 병 ㅅ나
@include7590
@include7590 3 жыл бұрын
@@compy2989 -찐-
@riankal
@riankal 3 жыл бұрын
@@compy2989 지금 보수를 자처하는 니들 같은 일베들은 아예 분단 고착화 거나 아예 깔아뭉개거나 둘중하나 하자는쪽인데 그걸 포용해? 포용하자는쪽이 속이 좁은거냐 느그 일베충들이 속이 좁은거냐? 니들이 히틀러고 나치인거야 ㅋㅋ 인권탄압에 핵문제를 내가 옹호하겠냐? 통일되면 김정은은 검찰 잡혀가서 수사받고 재판세우는게 맞는거라고 생각하는데? 야 전쟁을 할아버지 세대에서 했으면 그들 세대에서 끝냈어야 하는게 맞는거 아니냐? 지금 70년 지난 마당에 예전에 우리가 몇명 죽였네 쟤들이 몇명 죽였네 그거 계속 마음에 담아놓고 죽이네 살리네 하고 계속 살아가는게 개빡대가리짓 아니냐?
@user-sx8gn6yn9n
@user-sx8gn6yn9n 3 жыл бұрын
학교에서 역사 그땐 국사였죠!! 정말 따분하고 재미가 없었는데 교수님의 말씀은 재미있고 역사를 다시 알아가는 느낌입니다 우리의 아이들도 올바른 역사를 배워서 미래에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user-oi6fg6sn5l
@user-oi6fg6sn5l 6 ай бұрын
시험위주의 교육이었다보니 재미를 찾기 힘듬.
@user-vx7yj1mb9w
@user-vx7yj1mb9w Жыл бұрын
에매모호하게 강의하는 강사들과 확실히 구분되는 강의이군! 역사는 소개하고 강의하는 직업군은, 각 역사사건에 대하여 객관적인 사실뿐만 아니라, 그사건에 대한 의미와 배경, 및 잘잘못을 집어쥐야 하는것이고, 이강의는 그런면에서 매우 확실하고 속 시원한 강의! 황선생님! 이런 강단있는 강의를 지속적으로 기다립니다.
@edk9064
@edk9064 3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잘 배우고 갑니다 선생님. 왜 제 고등학교 때 국사시간에는 이런 팩트를 알려줬던 선생님은 단 한분도 없었는지 아쉽습니다.
@GraphicmagiC
@GraphicmagiC 2 жыл бұрын
선생들도 잘 모르고 .. 엠비 그네시절엔 역사 자체를 안했지.. 바보만들려고
@masterfalling
@masterfalling 3 жыл бұрын
어릴따 국사 공부 잘못 한듯. 제대로 역사 지식 알 수 있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JKLEE-dc7lj
@JKLEE-dc7lj 3 жыл бұрын
선조-하성군 이연, 인조-능양군 이종 묘호주기도 아깝고 왕이라고 말하기도 부끄럽다ㅠ그러니 이름이나 군으로 불러요~
@user-ju4pl6vd3c
@user-ju4pl6vd3c 3 жыл бұрын
인조와 선조비교는 선조에게 굉장히 실례임 선조는 선대 3대가 싸질 러놓은걸 잘치우고 있었고 인재풀도 어마어마했음 이순신 파격승진도 선조가 한 것임 당시 유성룡도 반대할정도로 왜란전후복구도 잘했고 근데 책임감이 없고 속이 좁음 개인능력은 조선국왕 TOP5안에 들어감 그럼에도 정이 안가는 이유는 존나 이기적임 근데 인조는 ㅋ........진짜 무.능임
@user-vr5bd7jv1x
@user-vr5bd7jv1x 3 жыл бұрын
인조는 이미 왕인데 멀아니야
@dawn_dew
@dawn_dew 3 жыл бұрын
역사를 가장 역사답게 가르쳐주시는 황현필 선생님, 잘 배웠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db8lt8cp9e
@user-db8lt8cp9e 2 жыл бұрын
임진왜란 모두 보고 조선 보고 있습니다. 우리역사에 대해 새롭게 공부하고 새롭게 알아가고 있습니다.모두 황선생님 덕분입니다. 역사에 대해 지식이 차곡차곡 쌓아가고 있어 황선생님 감사합니다.
@ojw5129
@ojw5129 3 жыл бұрын
조선왕조 왕들 가운데 묘호박탈이 절실한 왕을 꼽자면 선조와 인조를 빼놓을 수 없다고 봅니다.
@tjxpuck
@tjxpuck 3 жыл бұрын
위기를 극복한 왕에게 부여하는 칭호가 조라는데.. 선조는 자기가 박해했던 이순신장군의 덕을 본 것이죠
@yoonee72
@yoonee72 3 жыл бұрын
수양개새끼 추가요
@user-tf8hu6cj8g
@user-tf8hu6cj8g 3 жыл бұрын
다른 내용이긴 한데 프사가 명왕성! 멋진 모습이네요 ㅎ
@ojw5129
@ojw5129 3 жыл бұрын
@@user-tf8hu6cj8g 제가 제일 좋아하는 행성이라서요~
@skim5788
@skim5788 3 жыл бұрын
세조 포함
@O2stBlue
@O2stBlue 3 жыл бұрын
인조반정이후 기록된 광해의 기록은, 지들이 인조의 업적을 내세울게 없으니, 광해를 까야 하는 방법 밖엔 없는거지요. 선생님 감사합니다..
@aast-hq2id
@aast-hq2id 3 жыл бұрын
마치 문재앙을 보는거 같군요
@songwonan3121
@songwonan3121 3 жыл бұрын
@@aast-hq2id 일베나 하시지요
@user-zn7ln5mz5g
@user-zn7ln5mz5g 3 жыл бұрын
격식을 갖추세요. 이런 말싸움은 절대로 안됨니다.
@deviark8797
@deviark8797 3 жыл бұрын
​@@user-zn7ln5mz5g 사람을 일베충으로 매도하는 놈을 상대할때도 격식이 필요하다고 봅니까??? 눈에는 눈으로 이에는 이로 갚아주는 것이야 말로 인간이 서로간의 관계에서 존중받을수 있는 가장 접근하기 쉬운 방법으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최초의 법률도 대부분 이런 내용이었고요......즉 이런 대응방식도 도리에 어긋나는 것이 아니라는 말입니다....
@user-hn4cz8gg5l
@user-hn4cz8gg5l 3 жыл бұрын
@@user-lp5hs3oy5z 언제는 있었니~~명박이 근혜~~~??
@buy4u00
@buy4u00 3 жыл бұрын
"인조반란"으로 정정해야 겠네요.
@cchocopie
@cchocopie 2 жыл бұрын
지금이 조선시대라면 역사 바로 집이 줄 수 있는데 그 시절은 김일성도 울고갈 이씨 독재정권이다 보니 지금와서 안 쓰러워 하는건 그냥 오지랖 메아리로 끝나네요 그냥 개개인이 광종 광헤임금 광종대왕 불러 주시먄 델 거 같아요
@user-wj9qj6yta15
@user-wj9qj6yta15 Жыл бұрын
반정이나 반란이나 비슷하지 않아? 뭐 그런데 광해군이나 인조나 참 별로야 중종 연상군도 별로인데
@kwonesteban257
@kwonesteban257 3 жыл бұрын
좋은 강의 잘 들었습니다. 속이 후련~합니다.
@user-oe7cu3vt8t
@user-oe7cu3vt8t 3 жыл бұрын
인조는 시작도 욕이요.....끝도 욕이고.... 순간ㅡㅡㅡㅡㅡ광해의 마지막이 어찌 되었는지 궁금해요. 소현세자의 슬픈 이야기도...
@eungyeongkwon705
@eungyeongkwon705 2 жыл бұрын
귀양가서 죽은걸로 알아요...ㅜㅜ
@user-dc5yu5mi2k
@user-dc5yu5mi2k 3 жыл бұрын
현필쌤 반갑습니다 오늘도 즐겁게 가봅니다
@user-zo8eu2ed4g
@user-zo8eu2ed4g Жыл бұрын
최고의 군주 광해군 영면 하소서 정말 고생많으셨습니다 ㅠㅠ
@beat7709
@beat7709 Жыл бұрын
훌륭하신 강의 잘들었습니다. 예전 학력고사 국사이후로 요즘 선생님 강의에 쭉 빠져 살고 있어요. 조금 쌀쌀해진 날씨에 건강 조심하세요. ㅎㅎ
@beginofsquare
@beginofsquare 3 жыл бұрын
선조보다 더 최악의 임금 인조 선조는 정말 최악이지만 머리는 좋아서 괜찮은 판단을 제법 많이함. 질투가 심해서 그렇지... 그에 반해 인조는 내기억에는 잘한 일이 아무것도 없음
@user-hh8jr2we7h
@user-hh8jr2we7h 3 жыл бұрын
잘한일 따지는거보다 못한일이 많아서
@user-it5xr5vw5v
@user-it5xr5vw5v 3 жыл бұрын
오랑캐 앞에서 맨땅에 헤딩한 유일한 군주 ㅎ
@pureangel1348
@pureangel1348 3 жыл бұрын
맞아요 ㅋ 인조보다는 그나마 선조가 조금은 낫다고 저도 생각해요^^ 선조시절 은근 유능한 신하가 곁에 많았던것도 아이러니하죠 ㅋ 류성룡과 이순신을 비롯해 이항복, 권율등등 말이죠 ㅋ
@user-dg6je2qn7i
@user-dg6je2qn7i 3 жыл бұрын
선조는 질투기 있는 성격인데 인조는 이건 “난 암군입니다”라고 인증하였죠
@xxmr.7821
@xxmr.7821 3 жыл бұрын
유능한 신하가 있는 것도 능력임
@kkomookim2535
@kkomookim2535 3 жыл бұрын
언제나 전쟁을 불사하거나 개전 결정 하는 부류는 전쟁 경험을 직접 하지 않음
@user-oz7kk2dc4r
@user-oz7kk2dc4r 3 жыл бұрын
님 말씀에 공감합니다.
@bongkonkim
@bongkonkim 3 жыл бұрын
열정적 강의 잘 들었습니다. 생각해 보니 제가 조선 역사를 대할 때 저를 슬프게 만든 장본인들중 하나가 선조 그리고 인조였네요...암울.
@user-tt8hd3hq1r
@user-tt8hd3hq1r 3 жыл бұрын
유튜브강의 듣고 처음으로 박수를 쳤어요 막연하게나마 내가 갇고있던 역사관을 확인하게되어 기분이 묘하네요 명강의 감사합니다
@song891223
@song891223 3 жыл бұрын
역사를 역사로 알려주시니 참 좋은채널같아요 가끔 정치색이 나타날꺼같으면 억누르는모습보면서 참 채널이 클린할수 밖에 없구나 느꼈어요 ㅋㅋㅋ 잘보고있습니다!!!
@MASTER-bv2xq
@MASTER-bv2xq 3 жыл бұрын
조선 역사에서 가장 안타까운 사건으로 성공한 쿠테타는 처벌하지 못한다는 현대의 이런 사고가 조선시대에 있었으니, 역사는 반복된다는 말이 틀린 말은 아님이 증명해주네요. 이제라도 광해에 대해 다시한번 인식하게 되는 좋은 내용 잘 봤습니다.
@user-gw1tn3os4b
@user-gw1tn3os4b 20 күн бұрын
역사에 대해 다시 알게됩니다 최고의 강의 황현필선생님 감사합니다
@user-gv9xt1kj6s
@user-gv9xt1kj6s 2 жыл бұрын
황현필선생님 감사합니다ᆢ 선생님강의을 들으면서 부터 돈을 볼때마다 인물을 변경하는 운동을 시작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user-ld8zb5ni3q
@user-ld8zb5ni3q 8 ай бұрын
광해군이 계속 왕이였다면 좀더 발전하고 일제시대는 없었을것
@user-cd4cr5tl6x
@user-cd4cr5tl6x 3 жыл бұрын
난 지금이 저때와 비슷하다고 본다. 중국이 하는 행태는 진짜 옆에 두고 싶지 않지만 오늘도 미국과 대척점에서 서서 한마디도 지지 않고 미국 외교관들과 말싸움 하는거 보고 상승하는 중국과 유지 혹은 하락하는 미국. 신냉전으로 갈 수 록 중국이나 미국이나 서로의 편에 서라고 한국을 압박할게 뻔한데. 적극적으로 한국이 강해질 수 있도록하는 전략이 중요한 시점이지 않나 전작권이나 미사일 제한이나 등등
@berryyellow1198
@berryyellow1198 3 жыл бұрын
근데 조선의 사대주의사상은 DNA에 각인되어서 오로지 미국에 붙어서라는 사람들 많음. 이럴때일수록 미국과 중국사이에서 발란스를 맞춰야함
@user-cd4cr5tl6x
@user-cd4cr5tl6x 3 жыл бұрын
미사일 제한이 풀렸다. 어쩌면 중국성장으로 인한 성공적 외교 결과가 아닐까.
@user-cd4cr5tl6x
@user-cd4cr5tl6x 10 ай бұрын
2년 되었네. 탈중국해서 경제 박살중이네.
@user-ix7kv4vp6p
@user-ix7kv4vp6p 3 жыл бұрын
조선의 역사가 ᆢ 절망으로 치닫게 되는 인조반정의 배경을 넘나 잘 이해했습니다^^ 안타깝네요 ᆢ 욕이 나옵니다 정묘호란 으로 우리백성이 당한고통이 얼마나 컸을까요 ᆢ 쿠테타로 물러난 광해가 더욱 안타까울뿐입니다 ㅠ
@user-zj7yd6xn6x
@user-zj7yd6xn6x 3 жыл бұрын
공감만땅!!!!!!!!!!!!!!!!!!!!!!! 필자의 생각과 같음..시원시원한 역사공부.....고맙습니다..........인조반정 이후 집권한 세력들이 아직도 한국의 기득권 지배층들임..
@user-kc1wi9go6i
@user-kc1wi9go6i 3 жыл бұрын
선조의 맹활약(?) 덕분에 암담함이 희석된 기분이 들었지만 역시 인조도 이름값 오지게 하네요ㄷㄷㄷㄷㄷ
@platophilo
@platophilo 3 жыл бұрын
선조는 선조라는 인물 자체가 형편없는 사람이었지만 인조의 경우는 좀 다르죠. 명과의 의리를 저버리고 오랑캐와 손을 잡으려는 광해를 용납할 수 없었던 게 그 당시 사대부와 백성의 일반적인 인식이었습니다. 인조반정을 인조 한 사람의 책임으로 돌릴 수 없는 이유입니다.
@user-oz7kk2dc4r
@user-oz7kk2dc4r 3 жыл бұрын
모든 사건은 주도자가 대부분은 책임을 지는것입니다. 법적책임을 물을때도 반란수괴를 먼저 찾죠. 또, 성리학도 근본사상은 어리석은 백성은 일깨우고, 그들을 잘 이끌라는 것이지, 무슨 타국을 부모의 나라로 섬기고 백성이 타국으로부터 핍박받고, 양반들이 군림하기 위한 제도적장치로 악용하라고 한적 없습니다. 종교를 이용해먹는 인간이 추악하게 사용한것이죠. 인조 이 새끼는 거기다 개인적인 감정까지 갖고 쿠데타를 일으켰다고 볼 수 있는 이유들도 있죠. 마지막으로 성리학적 명분론이 그렇게 중요하면 병자호란때 싸우다 뒤져버려야지, 왜 목숨을 구걸합니까? 오랑캐에게 목숨은 구걸하느니 죽겠다 이게 맞는것 아닌가요? 어처구니없는 놈들인겁니다. 그냥 허울좋은 명분을 갖다붙인 거죠.
@JKLEE-dc7lj
@JKLEE-dc7lj 3 жыл бұрын
선조라고 하지마시고 하성군 이연이라고 부르세요~
@icyvo3593
@icyvo3593 3 жыл бұрын
@@platophilo 글쎄요. 당대의 일반적 인식의 한계가 있다고 하더라도 정묘호란을 겪고도 병자호란을 당하는간 군주의 능력이죠. 선조가 더 대비를 잘 했으면 하는 생각을 하지만 선조가 어떻게 했든 일본은 전쟁을 일으켰을 겁니다. 하지만 호란은 그렇지 않죠.
@ssamjanghannip
@ssamjanghannip 3 жыл бұрын
@@platophilo 근데 누가 명나라가 망할꺼라는 예사은 누르하치도 홍타이지도 못했음 영원성에서 영혼까지 털려서 아 그냥 만주만 먹자라고 생각했거든요 영원성 뚤어도 더 큰 요새인 산해관이 있거든요 그냥 인조는 공신보상을 이상하게 해서 북방군 날려먹은 죄가 가장큼 당시 명나라를 픽하는거는 당연한 이치고 실리를 챙기는 거였음 광해군때는 임진왜란이후 작살난 국가때문에 북방에 신경을 쓸수 없어서 어쩔수 없이 중립외교를 한거임
@user-oc5gq8sw1v
@user-oc5gq8sw1v 3 жыл бұрын
지금이라도~광해군을 조,종으로 승급시켜야됩니다. 인조반정은 정말로 있어서는 안될 치욕의 역사입니다.
@user-gv7ff1qy8f
@user-gv7ff1qy8f 3 жыл бұрын
복위를 하기는 하는게 맞는거 같은데 조 로 할것인가 종 으로 할것인 가가 좀 난해하네요
@p51mustang46
@p51mustang46 3 жыл бұрын
광해군을 인조로 하고 인조는 능양군으로 낮춰야 함 ㄹㅇ
@felicita8875
@felicita8875 2 жыл бұрын
광종으로 옹립해 능으로 복위하심이 ~~
@user-cg4qz3tl1r
@user-cg4qz3tl1r 3 жыл бұрын
강의 감사드립니다.
@mado_wi
@mado_wi 3 жыл бұрын
국제정세랑 같이 설명해주시니 귀에 쏙쏙들어오네요. 잘 듣고 있슴니다.
@user-hg1gq3jm6o
@user-hg1gq3jm6o 3 жыл бұрын
황현필선생님 언제 이황, 조식, 서경덕에 대해서도 강의해주세요. 수험 한국사 공부하면서 왜 이황이 조식보다 더 추앙받는지 이해가 안되었습니다. 이황이 아무리 성리학을 발전시켰다한들 백성들 삶에 어떻게 도움이 되었는지도 모르겠고 성리학이 지배하는 세상이 더 청렴했던 것도 아니었던 것 같고 서원을 짓고 양명학을 부정한 것은 역사에 한 획을 그엇을지는 몰라도 선한 영향력을 끼쳤는지는 모르겠습니다.
@user-mz9qb8cf3y
@user-mz9qb8cf3y 3 жыл бұрын
이번 강의 역시 감동적입니다. 감사합니다.^^
@user-sf7fr8ro4d
@user-sf7fr8ro4d 3 жыл бұрын
서남인들 사대기득권세력들 그저 지주머니 채우는일외엔 관심이 없는자들 지금도 그런자들이 그대로 있다는것.. 교수님의 강의가 시원합니다!
@user-gm6vh4si8n
@user-gm6vh4si8n 3 жыл бұрын
강의 대단히 감사드립니다!
@yune5597
@yune5597 10 ай бұрын
이제까지 본 광해군에 대한 역사 강연 중 가장 객관적이고 믿을만한 영상입니다 역시 황현필!!
@user-lj5pt4wh5s
@user-lj5pt4wh5s 3 жыл бұрын
오랜만에 감명 깊었습니다 이순신 장군님 역사부터 계속 듣고 있었지만 댓글을 잘안달았습니다 이순신 장군님 이후 역사관에 의구심이 많았으면 왜 광해군으로 되었는지 역사의 변화를 원하는 책임자의 중책이 무었인지 가르침을 받은 강의 였습니다. 물론 모든강의가 훌륭 하셨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vs8qo3ny3g
@user-vs8qo3ny3g 3 жыл бұрын
광해군이 진짜 너무나 아까운 왕임.
@Drunk-Baby
@Drunk-Baby 3 жыл бұрын
황선생님 역사관에 적극적으로 어그리합니다.👏👏👏
@user-fu3mo7kq5t
@user-fu3mo7kq5t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vi8lp9lp8q
@user-vi8lp9lp8q 3 жыл бұрын
어!! 첨알았다. 난 반정뜻이 "정치를 뒤집다"란 뜻인줄 알았는데. "바르게 되돌리다" 란 뜻이라니...
@changseokhan4628
@changseokhan4628 3 жыл бұрын
저도 그런줄..
@QuadCortex
@QuadCortex 3 жыл бұрын
저도요 ㅋ
@user-ej5kl2cv9t
@user-ej5kl2cv9t 3 жыл бұрын
무식인증합니다.저도요.ㅜ.ㅜ
@yeondu
@yeondu 2 жыл бұрын
좋은 역사 강의입니다
@user-pt1dt5ik8m
@user-pt1dt5ik8m 3 жыл бұрын
매주매주 강의 기다립니다~ 감사합니다~
@ecoecho6709
@ecoecho6709 3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좋은강의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youngjurainey5211
@youngjurainey5211 3 жыл бұрын
현재 와 비슷하네요. 대통령 이 시민들 위하여 일을 하려고 하면 거지 같은 언론 보수들은 하나만 알고 둘은 모르는 인간들 말을 따르는 민심, 역사가 또 거꾸로 갈려고 하네요. 저는 미국시민권자로 살지만. 한국을 사랑합니다. 한국이 번창 하기를 바라는데.. 이기적인 사람들 때문에 망 할까봐 걱정. 항상 황님 강의 즐겁게, 감사합니다.
@korea-gurye1
@korea-gurye1 2 ай бұрын
미군먼저 내보내는게
@richardlee6445
@richardlee6445 2 жыл бұрын
강의를 듣다보니 속이 다 후련하네요. 감사합니다.
@richardlee6445
@richardlee6445 2 жыл бұрын
황 선생님 덕에 역사를 바로 아는 눈을 뜨게 되었습니다.
@casterization
@casterization 3 жыл бұрын
좋은 강의 고맙습니다. 망할 놈의 인조... 그리고 성리학에 매몰된 사림들...
@user-jy1ci1pc4d
@user-jy1ci1pc4d 3 жыл бұрын
광해군의 왕의 칭호를 찾아야 되는게 맞다고 봅니다
@user-hw4od3qy1n
@user-hw4od3qy1n 3 жыл бұрын
불가능 전주이씨애서도못함
@user-qz5sm3kr9b
@user-qz5sm3kr9b 3 жыл бұрын
광종
@user-of4wm9jv9q
@user-of4wm9jv9q 2 жыл бұрын
그럼 연산군은 연종..?
@user-ro9to3ds9t
@user-ro9to3ds9t Жыл бұрын
우리가 묘호를 붙이고 싶었도 못 붙임.
@user-ro9to3ds9t
@user-ro9to3ds9t Жыл бұрын
@@user-hw4od3qy1n ㄹㅇ
@shkim1956
@shkim1956 Жыл бұрын
드라마 삼총사가 3부작의 예정이었는데 1부로 끝나버린걸 내내 아쉬워 했는데 지금 또 아쉬운 생각이 더해집니다. 소현세자가 살아있었다면 역사가 좀 바뀌지않았을까 싶었거든요. 황현필선생님의 강의를 듣고나니 삼총사를 다시보기 할까싶습니다.
@soo-hyunhan3503
@soo-hyunhan3503 Жыл бұрын
고민많은 밤에 원칙과 애정이 많았던 광해군을 추억하며 위로를 얻습니다. 황선생님이 애국자 입니다
@user-rg1tn9vl9q
@user-rg1tn9vl9q 3 жыл бұрын
쌤 좋은 강의 항상 감사드려요
@user-ku9jm8ym9c
@user-ku9jm8ym9c 3 жыл бұрын
댓글달고 보고있어요~~!! 언제나 감사합니다~!
@user-rg4yz8pv7b
@user-rg4yz8pv7b 3 жыл бұрын
정말 잘 보고 들었습니다 . 늘 감사합니다.
@user-xp4zq3ix7x
@user-xp4zq3ix7x 3 жыл бұрын
강의 넘 넘 찐 ㅡ♡♡♡♡♡♡♡
@joongkoolee5639
@joongkoolee5639 3 жыл бұрын
그 당시 깨어 있던 사람은 오직 광해 한명이 었다니 한심하다...
@user-oz7kk2dc4r
@user-oz7kk2dc4r 3 жыл бұрын
갖다대는거 영상에 다 반박했는데, 먼 개소리를 함? 사화, 궁궐 이야기 다시 찾아서 보고 반박하시오.
@King_2333
@King_2333 3 жыл бұрын
@@Nanumi- 임진왜란때 불타고 훼손된 궁궐을 그럼 가만 놔둠?????????
@King_2333
@King_2333 3 жыл бұрын
@@Nanumi- 창덕궁이면 충분한데 인조는 왜 또 궁짓고있음? ㅋㅋㅋ 지도 궁 지어놓고 광해는 폭군이라는거 자체가 내로남불 시전한거 아닌거 싶은데 말이죠ㅋㅋㅋ 흥선대원군이 궁 지을 땐 여기저기서 백성들 지랄발광 난리났는데 흥선대원군 폭군이라는 사람 있음?? 광해때는 백성들이 지랄발광한적이 일단 없는데 또 그건 어케생각하심 있다고 우기실???
@King_2333
@King_2333 3 жыл бұрын
@@Nanumi- 아니 그니까 그걸 알고있으니까 얘기 꺼낸거아녀ㅋㅋ 난독있음?? 그래서 흥선이 폭군소리듣나??? 아니 좀 되도않는 아는척 안하면 안됨??? 글도 제대로 못읽고 눈에 쌍불만 켜고 시비걸고 비꼬려고만 하는 사람이니까 글도 제대로 못읽는거고 글을 제대로 안보니까 역사를 배우는게 가당키나 하겠나
@King_2333
@King_2333 3 жыл бұрын
@@Nanumi- 그리고 주술같은 소리 하고있는데 무슨 조선구마사 보고옴???
@user-qu2iq8tb5z
@user-qu2iq8tb5z 3 жыл бұрын
인조쿠데타 강의 잘 들었습니다. 광해군이 임진왜란 때 의병들에게 많은 힘을 실어줬다고 하셨었는데 혹시 이에 대해서 한번 다뤄주실 수 있을까요? 항상 잘 듣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tinyriot5897
@tinyriot5897 3 жыл бұрын
오늘 최고의 강의였습니다
@user-tc5sd3iz2g
@user-tc5sd3iz2g 2 жыл бұрын
찰떡같은 명강의 감사합니다~~^^
@user-mv2rl8hi9b
@user-mv2rl8hi9b 3 жыл бұрын
예전 중학교 다닐때 국사선생님이 생각나네요 지금 황선생님 처럼 인조 그리고 선조 욕 엄청하던게 황선생님 강의 들으면서 이제야 깨닫게 되네요. 광해는 백성들을 생각했는데 인조반정 무리들은 백성은 뒷전이고 그들의 권력 욕 때문에 백성들을 두번의 호란을 겪게하고ㅜㅜ.
@pbjj6367
@pbjj6367 3 жыл бұрын
멋진강의입니다!
@user-je4qg2gb5r
@user-je4qg2gb5r Жыл бұрын
최고의 역사강의 감사합니다.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드네요.
@user-kz4mv8kf6q
@user-kz4mv8kf6q 3 жыл бұрын
강의 멋있습니다
@JKLEE-dc7lj
@JKLEE-dc7lj 3 жыл бұрын
하성군 이연-정원군 이부-능양군 이종 진짜 이거보면 관상은 과학이고 엄청난 사이언스의 힘이 느껴지지 않습니까?콩심은데 콩나고 팥심은데 팥난다~
@koioiheda
@koioiheda 3 жыл бұрын
오늘도 파이팅!!😁😎😎😎😎
@user-db8pq2nx6f
@user-db8pq2nx6f 3 жыл бұрын
황선생님 전 역사를 무척 좋아합니다. 많이 깨닫고 있습니다.
[조선25] 선조 아들들 (개망나니,돌아이,연쇄살인마) 이야기
21:03
We Got Expelled From Scholl After This...
00:10
Jojo Sim
Рет қаралды 68 МЛН
Please be kind🙏
00:34
ISSEI / いっせい
Рет қаралды 176 МЛН
The joker's house has been invaded by a pseudo-human#joker #shorts
00:39
Untitled Joker
Рет қаралды 10 МЛН
[조선46] 정조의 죽음, 분명히...합리적 의심
22:01
황현필 한국사
Рет қаралды 702 М.
최진기의 '우리가 알아야 할 진짜 일본의 역사' (2018)
23:53
오마이스쿨
Рет қаралды 1,9 МЛН
[조선26] 광해군은 개혁군주인가? (34분 순삭ver.)
34:29
황현필 한국사
Рет қаралды 854 М.
둘의 원수지간은 종교만으로는 설명 안 돼 [인도 & 파키스탄]
35:54
B tv 이동진의 파이아키아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전국&후삼국8] 궁예는 영웅이다.┃황현필
36:10
황현필 한국사
Рет қаралды 670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