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미 풀버전]현명한 부모는 아이에게 이렇게 말합니다!!(조선미 교수)

  Рет қаралды 2,145,384

Solve all the curiosities of child education

Solve all the curiosities of child education

Жыл бұрын

부모 말을 듣지 않는 아이, 원인은 무엇일까요. 부모가 아이에게 전달할 수 있는 효과적 메시지 전략에 대해 조선미 아주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님께 들어봤습니다.
섭외 제보 및 문의 leo0521@naver.com
교육대기자TV 인스타그램 @daegizatv @bangjongim
#조선미 #훈육 #아이자존감

Пікірлер: 857
@daegizatv
@daegizatv Жыл бұрын
📢11월 4일에 열리는 '조선미,방종임의 부모를 위한 토크쇼' 👉신청하기: url.kr/mq8xil
@jungohkang6328
@jungohkang6328 Жыл бұрын
😊😊😊😊😊😊😊😊😊😊😊😊😊😊
@user-uj1fm5tq5n
@user-uj1fm5tq5n 11 ай бұрын
11111ㄱ🇦🇫🇦🇮🇦🇹
@user-um4jn3sr1w
@user-um4jn3sr1w 9 ай бұрын
ㅐㅔ
@user-ut5cm1qk3p
@user-ut5cm1qk3p 16 күн бұрын
ㅣ1​@@user-uj1fm5tq5n
@JM-tg7df
@JM-tg7df 8 ай бұрын
외동아이인데 어릴때부터 잘 경청해주되 절대 하면 안되는건 그냥 하면 안되는 거지 선택권 자체를 주지 않았어요 교사였고 학급운영하면서 공감과 경청해주는 것 못지않게 더 중요한게 일관된 선을 그어주고 그 선을 지키는 훈육이라 생각했거든요 학생들은 오히려 담임쌤의 그런 모습에서 더 안정감을 느끼더라고요 우리아이에게도 마찬가지 였습니다 예를 들어 다른 아이에게 피해를 준다거나 위험한 행동을 한다거나 매일 일정시간 공부에 집중한다거나 선생님 포함 어른들께 예의 없는 행동을 하는 부분 등은 타협의 여지 자체를 안줬습니다 장난감을 갖고 놀때도 자유롭게 갖고 놀되 정리는 무조건 본인 몫이고 정리가 안되면 며칠 못갖고 놀게 합니다 그리고 어릴때부터 못박아 뒀습니다 우리집의 중심은 네가 아니라 엄마와 아빠라고... 예를 들어 아이 아빠와 얘기중일 때 아이가 끼어들면 절대 들어주질 않아요 지금 우리가 먼저 얘기하는 중이니 기다려라고 합니다 니가 이 집안의 1순위가 아니며 그냥 가족 일원의 하나일 뿐이고 우리에게 너무나 소중한 딸이지만 네가 이 집에서 이 세상에서 가장 특별한 존재가 되길 바라지 말라고요 사람은 저 마다의 인격과 개성으로 공평하게 특별한 것이지 가장 특별한 건 없다 말했어요 청소년이 된 뒤로는 진로관련이든 친구문제든 학원선택이든 일단 다양한 선택지와 각각의 장단점을 알려줍니다 그러면서 제가 준 선택지와 정보 또한 불충분하거나 틀릴 수 있으니 일단 참고하고 너도 더 찾아보라한 후 선택은 네 몫이라 말합니다 반복적으로 잘못된 행동을 할 경우엔 일정횟수 경고 후 용돈에서 차감하고요 곧 고등학생이 되는 제 아이가 얼마전 교수님이 하신 말씀과 똑같은 말을 제게 하더라고요 엄만 공감을 잘해줘서 너무 좋다고 그런데 통제가 넘 분명해 다른 집과 달라 힘들기도 하다고요 그런데 그게 싫지만은 않아 그게 난 더 좋아라고 덧붙이더군요 요새는 공부 잘하는 친구들이나 인싸인 친구랑 있으면 자존감이 너무 낮아진대요 트렌드도 못따라가겠고 찐따취급 당할까 무섭다네요 전 아이에게 니 가치기준이 내면에 있으면 자존감이고 니 가치기준이 외부나 타인에 있으면 그건 자존심이라고 말해줬어요 자존심은 좀 상해도 되고 자존감도 낮아질 때가 있다고요 자존감은 네가 회피하고픈 것도 견디고 극복하면서 얻는거지 네가 좋은 감정만 느끼고 좋은 결과만 바란다면 얻기 힘들다 말해줬어요 제가 살아오면서 그렇게 느꼈거든요 늘 말해줘요 언제든 넌 좌절과 실패를 할 수 있고 그럴 권리가 충분히 있다고요 때로는 성공보다 더 값진 실패들도 있다고요 그 값진 실패가 네겐 큰 행운일수도 있단 걸 알라고요
@kyuuu858
@kyuuu858 5 ай бұрын
엄마될 준비 하고있는 30대 초반인데.. 이 집에서 가장 특별한 존재가 될 생각을 하지 말란 말씀에 왜 제가 다 마상을 입는 걸까요😂😭 출산과 육아 이전에 나 자신에 대한 공부와 기준 세우기부터 철저히 해야겠어요.. 별개로 남겨주신 내용에 모두 공감하고, 집에서 훈육이 되어야 학교에서도 교육이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ravelert6693
@ravelert6693 5 ай бұрын
@@kyuuu858특별함 교육을 받은 아이들이 소황제라는 사회문제, 사화에 나가서는 조금의 불편함도 못참는 인격으로 자라났습니다. 소중한것과 특별한건 달라요. 윗분 말에 구구절정 공감합니다.
@kyuuu858
@kyuuu858 5 ай бұрын
@@ravelert6693 오호.. 저도 내용은 구구절절 공감했습니다. 그저 감정적으로는 온전히 수용하기 어려웠을 뿐예요!ㅎㅎ 머리로 맞다고 생각하는 만큼 내 마음까지 따라주길 바랐던 내용이라서요! 남겨주신 댓글의 소중한것과 특별한 건 다르다는 말씀이 뜻밖의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해요.
@user-ow9vs6ws6j
@user-ow9vs6ws6j 4 ай бұрын
아들 둘 키우는데 많이 배웠습니다 좋은글잘봤습니다. 고민했던 간지러곳.긁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zc8xr9xd9n
@user-zc8xr9xd9n 4 ай бұрын
정말 잘 키우셨네요! 제가 원하는 방향과 어쩜이리 맞는지! 하고 싶던 말이 너무 잘 정리되어있어서 보는 내내 고개를 엄청 끄덕였어요❤❤ 정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bp7dm4mw9m
@user-bp7dm4mw9m 9 ай бұрын
초등교사인데 처음 발령 받았을 때 저도 대학생이었어서 초딩 대딩 구별을 못하고 자유를 많이 줬더랬죠. 개판이었어요. 애들이 행복했냐?아뇨 애들도 늘 울고 싸우고 힘들어 했죠. 그리고 점점 규칙을 만들고 제약을 만들고 돼 ,안돼,해, 하지마, 절대 안되는 것들을 만들어 줬죠. 아이들이 더 안정감을 느껴요. 아이들은 무한의 자유를 감당못해요. 아이들도 바운더리와 규칙 속에서 마음의 안정감을 느낀다는 것이 초등교사 15년하고 깨달은 결과입니다.
@user-breeze.
@user-breeze. Жыл бұрын
패스트푸드점에서 키오스크로 주문할때 7세 정도된아이는 본인이 직접하겠다하고 그러니자꾸오류가나고 뒷사람들은 계속기다리고 . 이상황에서 계속 아이요구 하나하나 들어주고. 뒷사람에대한 미안함에대한 언급은없고 끝까지 자기아이요구다들어주고 끝나더만요. 이렇게 요구사항 다들어줘야좋은엄마는 아닌데..
@hjlee4683
@hjlee4683 Жыл бұрын
교수님 말씀이 현실적인 육아에 제일 가까운듯 합니다. 아이를 무조건 존중해라, 선택권을 줘라가 아닌 잘 지시하고 끌어갈수 있는 방법을 제시해주셔서 너무 좋았어요. 다른 분들 강의를 보면 죄책감이 많이 들었는데 나도 좋은 엄마가 될수 있구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weeny0124
@weeny0124 Жыл бұрын
조선미 교수님의 특징이세요 :-) 너무나 명쾌하고 가장 현.실.적이에요
@user-ez1jt1lt2l
@user-ez1jt1lt2l Жыл бұрын
ㅇㅇ현실적이어서 좋습니다
@user-jq8xy8nc3w
@user-jq8xy8nc3w Жыл бұрын
저도 그래서 조선미 교수님 예전부터 좋아합니다. 많은 전문가 분들이 이상적인 얘기만 하십니다.
@toritori6205
@toritori6205 Жыл бұрын
저도 마음이 조금 편해졌어요 😊
@chadol85
@chadol85 11 ай бұрын
우리가 세상을 살면서 엄청난 선택의 순간을 맞을텐데 영유아성장기 아이들에게 선택권이 일찍 갖게 되는게 오히려 마이너스. 성장하면서 선택권을 미치도록 갖고자할 때 선택에 대한 책임감을 경험하면서 성년이 되고 비로소 정신적 독립. 실패하면서 찾아가는 평생의 여정
@user-ob7no7lu8s
@user-ob7no7lu8s 11 ай бұрын
교수님 말씀에 진심 동감입니다. 아이들이 왕으로 군림하는 요즈음 요상한 양육시대에 건강한 부모상을 제시하시네요. 감사합니다.
@ralra_la
@ralra_la Жыл бұрын
하도 무릎을 쳐서 관절염 올지경입니다!
@sooyeonb8001
@sooyeonb8001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cc9bm5pu6t
@user-cc9bm5pu6t Жыл бұрын
ㅋㅋㅋ
@user-rl6tq8wi2t
@user-rl6tq8wi2t Жыл бұрын
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
@ant.fam.playground
@ant.fam.playground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
@a.r.m.y_lk2
@a.r.m.y_lk2 Жыл бұрын
전 진작에 병원 다녀요 ㅋㅋㅋㅋㅋ
@user-zq8qj6lv3o
@user-zq8qj6lv3o Жыл бұрын
정말 중요한건 아이의 습관형성이란 말씀에 너무 공감합니다 자기주도성은 18세이전에 안된다는 말씀도요
@tv-sw1yw
@tv-sw1yw Жыл бұрын
지난번 하정훈 소아과 선생님 말씀과 비슷한 맥락인것 같습니다 부모로서 선을 그어주고 기준을 세워주는것.. 이런 강의 새겨듣고 내 품을 떠나기전에 현명한 엄마 노릇 하고 싶네요
@annakim6683
@annakim6683 Жыл бұрын
저도 똑같은 답변 쓰려고 했는데 저와 똑같은 생각을 하신 분이 또 계시군요 ㅎ
@user-yo7nr7gv5n
@user-yo7nr7gv5n Жыл бұрын
소아과랑 정신과랑 다른 분야 아닌가요?
@ipbber2002
@ipbber2002 Жыл бұрын
소아정신과 분야가 좀더 깊고 전문적이신거죠~
@user-ud3cm4sx2z
@user-ud3cm4sx2z Жыл бұрын
​@@user-yo7nr7gv5n ㅂ
@lunarena07
@lunarena07 Жыл бұрын
저도 같은 생각 헸습니다
@user-if7im7ct4x
@user-if7im7ct4x Жыл бұрын
진짜 딱 확신을 주네요. 미성년은 아직 스스로 주도학습 불가, 부모의 가이드가 성년이 될때까지의 역할이 맞네요. 좋은 습관이 형성되도록 끊임없이 지시하고 안내하고 옆에 있어주는 것!!
@user-ld1ve6xj4i
@user-ld1ve6xj4i Жыл бұрын
현직교사입니다. 필요한 것은 자율과 공감보다는 적절한 지시와 안내라는 핵심을 다시 한번 각골난망하게 됩니다. 부모님들이 그 부분에 대한 전제를 인정하는 사회가 돼야만 학교에서도 온힘을 다해 아이를 가르칠 수 있습니다. 아직은 그런 선생님은 친절하지 못한 교사. 아동학대 교사가 되는 사회니까요.
@user-xc8tu8os3v
@user-xc8tu8os3v 11 ай бұрын
선생님 입장이 아닌, 아이 입장에서 지시와 안내여야겠지요. 학교는 선생님을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을 위해 존재하는 것입니다. 학부모들이 자율과 공감을 원하는 것은 아닙니다. 시간이 있으시면 법륜스님의 즉문즉설에서 교사편을 한번 찾아서 들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저도 두 아이의 엄마이고 학교 선생님을 무조건 지지하는 입장이지만 참 아닌 교사도 너무 많은 것이 현실입니다.
@jiyunkim6544
@jiyunkim6544 11 ай бұрын
저희 아이 담임선생님은 정말 멋진 분이세요. 아이들을 잘 공감해주시고, 똑똑하고 최고에요. 학기초에 아이들과 약속하기를 너희들이 뭔가 잘할때마다(?) 스티커를 주는데 그걸 몇개 모으면 아이들이 원하는 것을 무조건 들어주기로 했나봐요. 유난히 더운 올해 6월 낮기온이 34도를 육박하는 점심이후에, 아이들이 소원권으로 축구를 원해서 땡볕에 운동장에서 뛰더라구요. 원치않는 아이들은 안 해고 된다고 했지만, 혼자 쉬면 왕따를 당할까봐 뛰었다는 아이를 보며 든 생각은, 아이들이 올바른 판단을 하지 못할 때 선생님께서 해주시면 좋을텐데... 였어요. 학교에서는 선생님이 어른으로의 역할을 해주시길 기대했던 거죠^^ 지금도 너무 좋아하는 선생님이지만 그 부분은 좀 아쉬웠어요
@NAM-de7pb
@NAM-de7pb 11 ай бұрын
적절한 지시와 안내에 자율과 공감이 포함되어야 하죠. 병적인 자기애를 가진 아이들도 유순한기질의 학교생활 잘하는 아이들에게도 자율( 방치가 아닌 책임있는 공간에서의 ) 과 공감은 필요합니다. 사랑없는 가르침은 힘이 없습니다.
@Cneiwhaoa
@Cneiwhaoa 10 ай бұрын
@@jiyunkim6544 이 댓글보니 숨막히네요;;
@isleofview.
@isleofview. 10 ай бұрын
대댓글들을 보니 왜 교사들 명예퇴직율이 급상승 중인지 너무 이해가 가네요... ㅋㅋㅋ어휴,, 선생님도 그저 하나의 직업일 뿐입니다. 직업 윤리 내에서 벗어나지 않는 언행만으로도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ㅎㅎ 학교 선생에겐 소크라테스를 원하면서 본인은 월급 루팡을 꿈꾸는 그런 분들이 많아요...😂 다 똑같은 직업인일 뿐입니다. 뭘 더 바라지 마세요.
@user-pd6tt5sf7n
@user-pd6tt5sf7n Жыл бұрын
대부분의 부모강의를 듣고나면 더 노력해야한다는 생각에 죄인이 되는데.. 조선미 교수님의 강의는 정말 담백하고 현실적이네요.
@user-hz2lk1lp4s
@user-hz2lk1lp4s 11 ай бұрын
맞아요.. 저는 하나도 키우기 힘들겠다는 생각이들었는데 교수님 강의를 보니 저렇게 부모가 권위를 가지면 둘도 키우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user-ez7wp3xy3m
@user-ez7wp3xy3m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이영상은 요즘 부모들이 꼭 봐야된다고 생각합니다. 저도 아이를 키우고 요즘 부모들은 아이를 잘 키우기위해 육아공부도 많이하고 있지만, 대부분 유명한(?) 민주적인 육아법을 너~무 과하게 적용하는 부모들이 많더라구요. 처음부터 끝까지 말씀 하나하나가 너무 현실적이고 진정 아이를 위한것 같아요. 너무감사합니다
@user-ox3tw6do4c
@user-ox3tw6do4c Жыл бұрын
민주적으로 설득될때만 움직인 애들 중2병.. 모든 일에 왜?를 달고 이해되지않으면 남들에게 어떤 피해를 주든 말든 행동하지않음.
@verliebt_rvaeb
@verliebt_rvaeb Жыл бұрын
저는 20대 성인이지만 어쩌다 보게되었어요. 제가 원하던일을 하고파서 했고 계속 실패하고그랬는데, 부모님이 원하시지않는일이라 오히려 그럴줄 알았다고 핀잔만 주셨죠. 몇년이 지나도 잊히지 않고 비수가 되었습니다. 어릴적부터 실수와 실패를 겪지않게 하려하시고 모든걸 대신 해주셨어요. 원하시는 일을 하게끔 시키시기만 하고.. 그로인해 전 모든 자극에 취약하고 아무것도 못하는 어른이 되었고 뭐가 문제인지도 모른채 우울증에 시달리는 못난사람이 되었어요. 지금은 어떻게 살고는 있고 부모님이 참 감사하지만.. 가정교육은 정말 중요한것 같아요..
@daddyfriends
@daddyfriends 10 ай бұрын
아이들에게 선택권을 주는 것도 좋지만, 아직은 제대로 판단하고 선택하지 못하는 아이들에게 올바른 선택지를 주는 것도 부모의 역할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오늘도 많이 배우고 갑니다!
@kms5299
@kms5299 11 ай бұрын
교수님 말씀에 격하게 공감합니다. 자존감을 높힌다는 말이 얼마나 애들을 잘못되게 하는지 저도 많이 느끼고 있습니다... 특히 실연당하거나 거절 당했을때의 좌절과 실망감을 제대로 소화해 내지 못해 수많은 범죄가 일어나는 경우를 보면 더욱더 그런거 같습니다..
@godness5555
@godness5555 Жыл бұрын
민주적인 부모에 대해 비겁한것 같다는 말씀이 정말 공감됩니다. 이분 말씀하시는 스타일이 따뜻하게 느껴지지 않을수 있어서 양육에 위로받고 싶은 분들은 불편하실지 모르겠지만 괭장히 날카로워서 오히려 많은 도움이 됬어요♡
@user-ew5dw5pw3n
@user-ew5dw5pw3n Жыл бұрын
우연히 보게 됐는데 요즘 엄마들에게 일침을 가하는 모든 사람이 봤음 하는 영상이네요. 육아하면서 뭔가 답답했던 맘이 시원하게 해소가 됐어요.
@RozalieLee
@RozalieLee Жыл бұрын
아 속이 시원하네요..ㅜㅜ 다른 교육전문가들 말 듣다가 알겠으면서도 너무 비현실적이라 막막했는데요..너무 단호하게 자기주도 학습 미성년은 안된다고 하셔서 빵터졌어요!! ㅋㅋㅋ
@carajung1474
@carajung1474 10 ай бұрын
교수님 말씀이 맞습니다. 요즘 친구같은 부모 양육방식 택했던 사람들... 아이가 커보니 부모 우습게 알고 함부로 대합니다. 부모가 자녀와 싸우는게 일상이더라구요. 부모는 권위가 있어야하는것 같아요. 어렸을 때부터 부모로서 단호하게 훈육하는게 훨씬 더 인성교육에도 좋은 것 같습니다.
@beaky0523able
@beaky0523able Жыл бұрын
이 분이 제일 현실적인 조언을 해주신다 애들은 적절한 통제속에서 더 안정감을 느낀다고 합니다
@K-jass
@K-jass Жыл бұрын
친구같은 부모를 원하는 분들 중에 책임감을 아이에게 덜고 싶어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아이들이 부모가 책임감이 없다고 생각하고 본인이 스스로를 돌보아야 한다고 생각하며 자라게 되죠. 그러다보면 부모가 자신을 돌보고 있다는 것을 잊어버리게 됩니다. 그러니 대화가 점점 어려워지게 되죠. 아이가 스스로 독립하게 만들고 싶으면 아이들에게 제대로된 독립이 무엇인지 계획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방향으로 하셔야 해요… 그렇지 않으면 나중에 더 힘들어집니다…
@balletluv
@balletluv Жыл бұрын
맞아요 실제로 책임감의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user-ty4ok2gz6p
@user-ty4ok2gz6p Жыл бұрын
제 육아의 첫 멘토이자 최고의 멘토이십니다. EBS에서 뵙던 교수님 너무 반갑습니다. 첫 아이 키우면서 힘들 때 마다 선생님께 배우고 위로 받았습니다. 그때 아가가 이제 고2네요. 정말 너무 반갑고 감사하다고 말씀 드리고 싶네요. 지금 어린 아이 키우시는 부모님들 이분 강의 듣고 또 들어보세요 너무 좋습니다.
@on_mars
@on_mars Жыл бұрын
심플하네요.전문가들은 기다려라,참아라,인내해라 등등..무슨 상전모시듯 육아하겠금하고 그러다 폭발하면 탓은 다 부모고..죄책감 겁나 가지게 했는데 좀 덜어도 되겠습니다.
@user-hz6zo6kq3o
@user-hz6zo6kq3o Жыл бұрын
저도 그래요. 그간 죄책감을 가지고 살았어요.
@user-xt9jh1tj8n
@user-xt9jh1tj8n Жыл бұрын
요즘 어머니들 어린 아이한테 의사결정 맡기고 아이를 행복하게 키우고 있다고 생각하시는듯요...사춘기에 큰 코다칩니다. 교수님 말씀 듣고 송이 후련합니다
@jjj9626
@jjj9626 7 ай бұрын
그렇게 자라 버릇없는 아이들에게 큰코는 주변어른들이 다칩니다 ㅎㅎ 가정은 안다쳐요 오히려 감싸지
@user-de4nc7qp4r
@user-de4nc7qp4r Жыл бұрын
이 강의는 진짜 명강의라 말 할 수 있겠네요 초현실적이며 이해가 바로 되는 길잡이에요! 많이 반성하고 갑니다 조 선생님 늘 존경해요 항상 건강하시고 육아에 대해 많은 말씀 떨쳐주세요👍🏻👍🏻
@sk80849
@sk80849 Жыл бұрын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이 영상을 모든 부모님들께 보여드리고 싶네요... ^^
@daegizatv
@daegizatv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저도 많은 분들이 보시면 좋겠습니다^^
@lalaland6509
@lalaland6509 Жыл бұрын
17:32 ㅎㅎㅎ교사입니다222..빵 터졌어요 ㅎㅎㅎㅎㅎㅎ
@user-ph5ok7qp6n
@user-ph5ok7qp6n Жыл бұрын
육아 공부하러 들어왔다가~ 선생님들도 이런거 보시면서 공부 하시다니 ... 존경과 박수를~~♥
@user-uo3mb3rv5t
@user-uo3mb3rv5t Жыл бұрын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진심으로 공감합니다. 모든 부모님께 보여드리고 싶어요.
@user-nalnaebearyeodueo
@user-nalnaebearyeodueo 10 ай бұрын
ㅋㅋ 초등교사55555
@user-yf1dn7dr3z
@user-yf1dn7dr3z Жыл бұрын
엄마들도 이런강의 듣고 끄덕끄덕 이해는 하는데 행동으로 이어지기가 참 힘듦 ㅋㅋ
@linap1369
@linap1369 Жыл бұрын
풀버젼으로보니 더 집중할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조선미 교수님은 엄마들 죄책감 들지않게 현실적인 지도방법을 알려주셔서 항상 새겨듣고 노력하고있습니다 좋은영상 제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daegizatv
@daegizatv Жыл бұрын
도움되셨다니 기쁘네요. 감사합니다^^
@user-hq5ok7nl3o
@user-hq5ok7nl3o 11 ай бұрын
보육교사로 10년을 근무했는데 정말 교수님 말씀에 백퍼 공감합니다~ 아이에게 적절한 지시와 옳고 그름을 가르쳐야 합니다~ 무조건적인 허용과 공감은 아이의 인생을 망치는 지름길이며 부모에게만 귀여운 아이일뿐 다른 모든 사람들에겐 진상 그 자체일뿐입니다~~
@user-dp5sb3lr9m
@user-dp5sb3lr9m 8 ай бұрын
오냐오냐는 예전부터 나쁜육아법이라고 했거늘 ㅜㅜ왜 이런식으로 왔는지ㅜㅜ이러니 노키즈존이 생긴거라 생각됩니다ㅜㅜ
@bbobeom7002
@bbobeom7002 Жыл бұрын
지난 영상을 볼 땐 사실 교수님 말씀이 너무 차갑다고 생각했는데 풀버전을 보니 교수님 말씀이 더 와닿습니다! 아이의 감정, 자존감까지 너무 엄마가 다 해결해주려는 것 같다는 마음을 깨달았어요!
@flowermari3363
@flowermari3363 Жыл бұрын
아이의 감정과 의사표현을 존중하고자 노력하다보니, 아이가 어느순간 '납득'이 되지 않으면 반감을 가지는 모습이 보이더라구요. 세상에는 이해가 안가더라도 그냥 무조건 하거나 혹은 하지 말아야 하는 일들이 있기에 그런걸 가르쳐야겠구나 하는 요즈음인데, 교수님 영상보며 많은 도움을 받습니다. 감사합니다. 그리고, 밖에서의 단편적인 부분만 보고 '저 집은 애를 잡네', 혹은 '부모가 물러터졌네' 라는식의 너무 섣부른 일반화는 서로가 조심하면 좋겠습니다. 또 모든 일에서 '내가 잘못 키워 우리애가 이런건가?'식의 지나친 죄책감을 가질 필요는 없듯이, '내가 잘 해서 우리 애가 잘큰거야' 식의 자만을 가질 필요 또한 없다고 생각하구요ㅡ 그저 어른된 부모 입장에서 아이들이 성장해나가는 과정(에서의 수 많은 시행착오들까지도)을 응원해주는 마음으로 믿고 기다려줄 수 있는 사회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저마다의 기준으로 잘한다 못한다 다른 부모의 육아를 비난하기보단 서로 격려하는 우리 부모들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saltstar3124
@saltstar3124 Жыл бұрын
와~ 조선미 교수님. 전 이 분을 왜 지금 알게된 걸까요? 그동안 아이들 존중하고, 설득과 설명으로 이끌어간다는 육아법들이 너무 이상적으로 느껴지고, 아이들에게 지시하는 제가 잘 하고 있는지 고민이 많이 되었거든요. 현실적이고 사이다 조언들이었습니다. 정말 공감가는 내용들이 많았어요~! 정확하게 이해하려고 몇 번 더 보려고 합니다.
@user-jb8dy1ow7m
@user-jb8dy1ow7m Жыл бұрын
왜 아이가 이해해야하죠??라는 교수님 말씀이... ㅋ 뼈맞고 가네요.ㅋㅋㅋㅋ🤣 남편을 대입하니 생각이 이해가 쉬워지네요 ㅋ👍
@user-qq7et2wj6q
@user-qq7et2wj6q Жыл бұрын
좌절을 참는 능력. 요즘들어 아이가 힘들어하는걸 보는데.. 아이가 견뎌내는 모습을 묵묵히 지켜봐줘야 겠단 생각이 드네요
@user-zb6zm9mx6e
@user-zb6zm9mx6e Жыл бұрын
정말 귀한 말씀입니다 제 생각도 아이는 어릴때 엄하게 훈육하고 클수록 풀어주는게 사춘기가 유난스럽지 않게 지나가는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초등때 독서, 일상생활 습관만 바르게 들여놓으면 정말 싸울일 크게 없어요 좀 더 일찍 깨달았으면 하고 엄청 후회하고 있어요 ㅜㅠ
@user-oc9hi6kh3x
@user-oc9hi6kh3x Жыл бұрын
사내아이만 둘 키우고 있는 직장맘 입니다..항상 큰아이에게 미안함이 가득 했는데 교수님 강의를 듣고 있으니 마음이 너무나 편안해 지네요..강의 잘 들었습니다
@ymk6063
@ymk6063 Жыл бұрын
와 강의 넘 좋네요.다른 육아전문가의 비현실적인 조언만듣다가 이분 내용들으니 현실적용 바로될듯.
@user-kg6rd8gk5l
@user-kg6rd8gk5l Жыл бұрын
저도 이 분의 담담한 어조도 좋고 내용도 훨씬 현실적이라 좋았어요
@user-yb8vc9qe7t
@user-yb8vc9qe7t Жыл бұрын
간결하고 명확한 지침, 꾸미지 않은 담백한 어조의 조선미 박사님 좋아해요!!! 이 영상을 많은 분들이 보시면 좋겠네요😊 대기자tv 늘 감사합니다!! ❤
@daegizatv
@daegizatv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저도 많은 분들이 보시면 좋겠네요^^
@user-yn4rj2tc8j
@user-yn4rj2tc8j Жыл бұрын
2
@user-kj3un6cl4t
@user-kj3un6cl4t 9 ай бұрын
미성년이 왜 미성년인지 자기주도성은 18세 전에는 안된다는 것 아이가 부모의 마음을, 상황을 이해해주길 바라는건 아니라는 것 많은 부모들이 헤매고 있는 양육 방식의 길잡이를 해주셨네요. 항상 좋은 말씀 찾아 듣고 있습니다.
@user-oc1fw6ti7w
@user-oc1fw6ti7w Жыл бұрын
저분 말씀 현실육아하면서 정말 느낌 왜?로 시작하는 질문은 반감만 갖음 차라리 힘빼고 숙제해~!가 제일 나음
@user-ge8nb6eb8s
@user-ge8nb6eb8s Жыл бұрын
2부 나오기전에 다시 한번 보고싶어 왔어요. 앞으로 우리아이들이 살아갈 세상이 건강하고 평화롭기 위해서 내 아이만 잘크는게 아니라 모든아이들이 같이 잘 자리기를 바랍니다. 양육하는 세상의 모든 부모들이 꼭 봤으면 하는 영상이에요 ^^
@user-gi1ym9xs2s
@user-gi1ym9xs2s Жыл бұрын
조선미님의 강의를 들으면 느끼는게 아이를 키우는게 물흐르듯키우라는건데 우리는언젠가부터 아이들을 너무 인위적으로 키우니 육아가 힘드는듯.. 그냥 물흐르듯 자연스레 키워야해요. 애를 십몇년키워보니 다 부질없고 애가 필요할때 다가가고 혼자있고싶어할때 공간을주면됩니다.
@cbl7240
@cbl7240 Жыл бұрын
듣고 있으니 마음이 편해지네요. 고맙습니다
@habbit_parenting
@habbit_parenting Ай бұрын
아이에게 선을 그어주는 것, 너무 중요한 것 같아요. 저도 아이를 키울 때 선을 제대로 그어주지 못한 부분이 많이 후회되더라구요. 설명과 설득이 아니라 반복과 일관성을 통해 좋은 습관을 들여주는 것!!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user-zm2tj1ul8j
@user-zm2tj1ul8j Жыл бұрын
조선미선생님편 너무 좋아요 허를 자꾸 찔려서 반복해서 시청하면 공부합니다😆
@skyrubber
@skyrubber 9 ай бұрын
부모들 쿨병 치료사시네요. 교육은 백년 후 우리 사회를 만들고, 그 교육의 시작과 끝은 가정인데, 가정교육이 아이들 욕구가 제일인 것 같이 키우는 것 같아 걱정이었습니다. 좌절내구성, 결핍, 지시.. 속이 후련합니다
@lalalanolga
@lalalanolga Жыл бұрын
참 너무 현실적인 유아조언이네요.. 진짜 애한테 너무 잘할려고 하다가 오히려 망치는거 같기도 하네요.. 그냥 기본에만 충실해도 엄마역할 다한건데 엄마는 그 에너지 자신에게 집중하면 더 행복할수 있을텐데요
@lalajeje
@lalajeje Жыл бұрын
마지막 멘트가 압권이네요 저도 식세기며 반찬배달이며 내가 편하려고 했던 그 시간들을 마치 고통스럽게(?) 육아를 안 하면 안된다고 생각해서 괜히 짜증내고 화냈는데 편하려고 하는 거 그 시간 우리 즐겨요 죄책감 없이 ..
@Genesis1122
@Genesis1122 Жыл бұрын
정말 현실적이셔서 좋네요^^ 제가 항상 중요하게 여기는 것이 직면하는 거라고 생각했는데.. 저는 30대 후반인데 늘 자기문제를 기대려하는 또래들이 많다는 것을 경험했고 부담되더라구요.. 각자 자기가 선택하고 자기가 책임 지는것인데 말이죠.. 직면하기 보단 위로와 공감을 원하고 그게 안될때 공격하는 것을 보면서 폭력이라고 느꼈는데.. 어쩌면 혼자 직면하기 싫어하는 어른아이가 자녀에게 자신의 모습을 투영해서 기댈 수 있는 좋은 부모가 되주겠다고 스스로를 위한 겁쟁이는 아닌지.. 선생님, 진행자님 넘넘 감사드리구요♡ 건강하셔서 많은 어른아이들? 에게 도움 주실 수 있기를 기도 하겠습니다^-^ 모두가 건강한 사회를 위하여 아자아자~!!
@daegizatv
@daegizatv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함께 해주세요^^
@soc9942
@soc9942 Жыл бұрын
아이가 5살이고 보통 지시를 많이 해서 이렇게 키우는게 맞나 싶었는데… 많이 배웁니다
@user-yu7ew8uj1x
@user-yu7ew8uj1x Жыл бұрын
셋째아들을 키우면서ᆢ평등 자율 친구같은 엄마로 육아를 했더니 권위가 느껴지지 않는지 ㅠ 8세 벌써 고민이 더 깊어졌어요.그리고 듣게된 교수님 영상 정말 와닿고 현타오네요~~~감사합니다.현실적 해답을 찾은거 같아요.
@van-curve2852
@van-curve2852 Жыл бұрын
설득과 설명이 아이에게 독이 될줄은 상상도 못했네요. 18세 이전에는 대체로 자기 주도가 어렵다! 아이에게 떠넘기지말고 정확한 지시를 통해 올바른 습관 형성을 유도하겠습니다. 좋은 영상 너무 감사드립니다!!!
@therichrich4383
@therichrich4383 Жыл бұрын
박사님 너무 반갑습니다. 지금은 대학생이된 큰아이를 키울때 ebs부모의 열혈 시청자였습니다. 그중 조선미박사님 출연하시는날은 꼭챙겨보며 육아팁을 많이 얻었습니다. 그때도 남편소환해 역지사지로 생각해보라고 예를 자주 들어주셔서 이해가 쏙쏙됐었던 기억이나네요. 잘자란 아이를 보면서 박사님생각이 가끔났었는데 정말 하나도안변하셨네요^^ 박사님 건강하세요^^
@mjna_4305
@mjna_4305 Жыл бұрын
촌철살인같은 예리한 질문을 던져주시는 방종임님과 현실적인 조언 주신 조선미교수님께 너무 감사드립니다. 시간가는줄 모르고 들었습니다^^
@daegizatv
@daegizatv Жыл бұрын
과찬의 말씀 감사합니다^^ 도움되셨다니 저도 기쁩니다ㅎㅎ
@jjaeei
@jjaeei Жыл бұрын
제가 들었던 어떤 교육방법보다 현실적이고 명료합니다.. 제가 자랐던 환경도 생각해볼 수 있어서 좋았고, 부모가 된다면 교수님처럼 아이를 기르고 싶어요.
@user-wo5rv7iu2o
@user-wo5rv7iu2o Жыл бұрын
@Reflection8311
@Reflection8311 Жыл бұрын
16년전 첫째 낳고 뭘 어떻게 해야 할 지 모를때 60분부모에서 조선미 선생님을 만났습니다. 지금 첫째가 중3이 되었네요. 나의 삶의 첫 멘토셨던 조선미선생님 존경합니다. ^^
@user-ot4cb8ou3i
@user-ot4cb8ou3i Жыл бұрын
역시나 최고세요 맘이 편안해지는 강의 좋아요 부담감이 덜어지내요 자연스럽게 육아할수있을것같아요 교수님자주 초대해주세요
@userdrfsku
@userdrfsku Жыл бұрын
아이들에게도 육아를 하는 부모에게도 현실을 살아가라는 어른들에게도 무척 필요한 마음가짐에 대해 말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Savalnoodle6475
@Savalnoodle6475 Жыл бұрын
역시 교수님 언제나 명쾌한비유 쏙쏙 알아들어요. 고맙습니다
@user-hc3pb5gs9v
@user-hc3pb5gs9v 8 ай бұрын
교수님 말씀에는 부모의 권위가 무엇보다 중요하고 아이를 존중하되 뭐든지 스스로 할 수 있도록 습관화 시켜주는것 교수님 말씀을 듣고 나니 무조건 사랑하고 허용적인건 좋지 않다는걸 다시 한 번 느낍니다.
@user-xi5fo4ix8j
@user-xi5fo4ix8j Жыл бұрын
와 정말 마음에 와닿는 강의 였습니다. 아이한테 올인해서 키우지 못하는 워킹맘들에게도 한시름 덜어주시는 말씀해주신 것 같아요. 바로 책 주문 했습니다.
@user-pe6iq2dt5x
@user-pe6iq2dt5x Жыл бұрын
아이에게 책 많이 읽어주면 책에서 간접체험하면서 옳고 나쁨을 스스로 알게 되면서 생각주머니가 성장하게 됩니다 잘못을 훈육하고 좋은 언행은 칭찬을 아끼지 않고 키우면 됩니다
@user-sweetierinarinarinarina
@user-sweetierinarinarinarina Жыл бұрын
@@user-pe6iq2dt5x 체험 교육이란게있는데요ㆍ책은 읽고싶어읽어야지 읽어주면 효과없고 수동적으로만들어 반발만불러옵니다ㆍ간접체험은안좋습니다ㆍ아직접체험이 지능발달 (말씀하신 생각주머니키우는거)과 인격 성숙하게한다고하여 외국엔 체험학교가많습니당
@sha_lala
@sha_lala Жыл бұрын
어머 조선미 교수님!! 직접 뵌 적은 없지만 제 육아멘토이십니다 조선미 교수님 영상 진짜 도움 많이 됐어요 오늘 이야기도 모든 부모님들이 보셔야 해요 조선미교수님 초대해주셔서 감사해요
@daegizatv
@daegizatv Жыл бұрын
도움되셨다니 기쁘네요. 감사합니다^^
@borawon1
@borawon1 Жыл бұрын
자신감과 자존감에 대해 제대로 배우고 갑니다.
@user-jn7dr9oi5h
@user-jn7dr9oi5h Жыл бұрын
풀버전 부탁드렸는데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역시 대기자 칭찬해💯💯
@daegizatv
@daegizatv Жыл бұрын
과찬의 말씀 감사합니다^^
@user-bo6bs8xx2e
@user-bo6bs8xx2e Жыл бұрын
정말 찐 찐 현실 육아 내용에 도움되는 교수님 강의 넘 잘 들었습니다 댓글 처음으로 남기네요 자존감 부분에서 큰 공감 얻었어요 요즘은 부족보다는 과잉에서 오는 것이 더욱 문제인거 같아요 적당한 사랑 관심 잘 새겨 듣겠습니다
@user-yt6ym8ot6m
@user-yt6ym8ot6m Жыл бұрын
듣고듣고또듣습니다.역시 조선미교수님이최고
@suej7018
@suej7018 Жыл бұрын
문제는 꼭 봐야 할 부모들은 이런 얘기에 전혀 관심이 없다는 거죠😂😂
@sjlee4634
@sjlee4634 Жыл бұрын
보고있는 중입니다^^
@user-oq5gc7wg9c
@user-oq5gc7wg9c Жыл бұрын
하나하나 정말 옳은 가르침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친구같은 부모가 좋은건줄 잘못 알고 있었네요
@sleeping_isfp
@sleeping_isfp Жыл бұрын
친구같은 부모가 되어야지 생각했는데 완전 정신이 번쩍 드는 영상이었어요 지시를 잘 하는 부모가 되어야겠어요
@oingcouture8019
@oingcouture8019 Жыл бұрын
와.. 정말 조선미 교수님. 존경합니다. 감사해요.😊
@vannertime
@vannertime Жыл бұрын
명강의!! 듣는 내내 머리속에 느낌표가 끓이지않았습니다.!!
@alliep_
@alliep_ Жыл бұрын
전 이런 부모님밑에서 자라진못햇지만 그럼에도 감사하고있어요. 저라도 제 자식에겐 교수님이 가르쳐주신 내용들 토대로 잘 키워볼게요 감사해요🙏
@annefamily
@annefamily Жыл бұрын
부모가 많이 배워야 하는거 같아요 좋은 말씀 너무 감사해요~~~
@user-bi4zf1ek1z
@user-bi4zf1ek1z Жыл бұрын
첫째때는 저도 처음이라 못했는데 둘째는 조선미 선생님 말씀대로 키우고있어요. 두아이의 차이가 많이 납니다. 시간이 지나버렸지만 첫째에게도 많이 노력하고있어요.
@user-en8pn3mu5b
@user-en8pn3mu5b Жыл бұрын
심리상담사로 현직에 있는 사람으로써 공감되지만, 다소 그렇지않은 부분도 있었습니다. 단 요즘 비뚤어진 자녀존중에 대해 바로잡아줄 수 있는 말씀이긴 합니다
@user-sq7le9yf8w
@user-sq7le9yf8w Жыл бұрын
혹시 어떤 부분이 그렇지 않은 부분일까요?? 궁금해요 다양한 의견을 들어보고 싶거든요 !!
@sweety080
@sweety080 Жыл бұрын
완전 공감이요.. 부모가 저렇게 키우면 아이는 사회에 나가서 혼란이 와요.. 어떤게 사회에서 용인되는 행동인지 모르거든요ㅠ 어떻게보면 무책임한 방임이죠..
@user-ix4dy7kx3v
@user-ix4dy7kx3v Жыл бұрын
늘 힘이 되는 교수님말씀~
@user-px3pj2rl8r
@user-px3pj2rl8r Жыл бұрын
모든 부모님들이 들어야할 좋은 인터뷰입니다. 반복해서 들어볼게요.
@new_an
@new_an Жыл бұрын
항상큰아이에게 일상에 지시가 많아서 아이에게 잘하는건가라는 의구심도들고 가끔 미안한마음도있었지만(사랑도많이표현함)그래도 떼쓰지않고 항상해야할일을 스스로 잘하는 아이덕분에 감사하는 느끼는엄마입니다 아이에게 항상 습관을 들이기위해 일관성을 유지하며 노력했는데 영상을 보고 힘을 더 얻고갑니다❤
@user-ti6yi2mh4m
@user-ti6yi2mh4m Жыл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늘 공부하고 반성하게 됩니다.
@user-sq9po8ek3w
@user-sq9po8ek3w Жыл бұрын
직장이던 가정이던 무책임한것과 자율성 을착각하는경우가많은듯
@user-lg5rg9mo3z
@user-lg5rg9mo3z Жыл бұрын
저희아이는 떼쓰지 않는데...마음에 드는것을 골라라하기보다는 선택을 여러가지 객관식으로 주는거죠. 미성년자라서 판단능력이 부족하다고 볼수도 있지만 그런 연습도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미성년자라도 선택할수 있는 권리와 자유는 있으니깐여.친구같은 엄마가 될수 없다는건 동감합니다. 그래도 휴식같은 엄마가 되고싶어요 언제든 쉴수있고 힐링이 되는 휴식처 같은곳이요^^
@user-ep9gy9et2g
@user-ep9gy9et2g Жыл бұрын
조선미 교수님 저희아이들 키울때 정말 도움많이 받았어요! 늦었지만 감사합니다
@user-pb8ku5di3h
@user-pb8ku5di3h Жыл бұрын
어느 순간부터 자존감이란 단어가 참 피로한 단어다 싶더라구요.. 참 옳은 말씀입니다~
@dbj639
@dbj639 9 ай бұрын
정말 현실적으로 도움이 아주 많이 되는 강의에요! 지금이라도 저의 잘못된 점을 깨닫게 되서 매우 다행이라 생각합니다!
@user-by4nn4gu6y
@user-by4nn4gu6y 9 ай бұрын
조선미 선생님 공감합니다. 진짜 훈육은 중요합니다. 그리고 엄마가 행복해야 아이도 행복하더라구요.
@user-en3zu7es6x
@user-en3zu7es6x Жыл бұрын
중ㅣ 중3 아이 둘을 키우다보니 교수님의 말씀이 가슴에 확 와닿네요..어렸을땐 육체적으로 힘들었는데 사춘기아이들 키우면서 어떻게 키워나가야하나 고민에 정신적인 스트레스가 너무 큽니다..요즘 육아서에 나오는 내용들은 현실적으로 좀 맞지않는다 생각하고 있는데 교수님의 말씀을 듣고 이거다!!싶어 큰 깨달음이 오네요~ 정말 감사합니다^^
@Savalnoodle6475
@Savalnoodle6475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교수님. 이영상 듣고 문제집 풀고 엄마한테 전화해를 해봤습니다. 방학이라 혼자있는시간이 많아서 오전에 문제집풀거리를 내두고 엄마퇴근전까지 하라는 약속을 매일하고 반만하고 혼나고 내일은할께를 반복하고 있었습니다. 제가 이영상 듣고 이거이거 하고 엄머한테 전화해 했는데 오전에 해야할일들이 모두 끝나더군요. 전화해 하면 안할줄 알았는데 그냥 하더군요. 일주일째 모든 할일이 점심전에 끝나고 오후에는 맘편히 놀아서 그런지 본인도 다했다고 뿌듯해합니다. 딱하나 바꿨는데 저는 물론이거니와 아이도 맨날 약속못지켰다고 잘못한 어린이다가 다했다고 오늘도 오전에 다할거라고 하네요. 교수님 정말 너무 감사해요. 우리아들이 달라졌어요 ^^ 고맙습니다♥♥♥
@payst78
@payst78 6 ай бұрын
진짜 교수님은 부모도 인간으로 존중받는 느낌이 들어요 다른분은 부모를내가 왜 화를 냈을까 왜 못참았을까 죄책감을 들게하는데 이분 진짜 간결하게 너무 갓스며듭니다 최고
@user-oh4yc3ds1f
@user-oh4yc3ds1f Жыл бұрын
제 마음속에 다녀가신것 같아요 ㅎㅎ 교수님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user-rh8hf9ye5g
@user-rh8hf9ye5g Жыл бұрын
진짜 명강의입니다. 속시원하고 가슴이 후련해지네요^^
@daegizatv
@daegizatv Жыл бұрын
도움되셨다니 기쁘네요. 감사합니다^^
@tv-oe3fy
@tv-oe3fy Жыл бұрын
항상 제가 아이를 키우면서 '이게 맞나?!' 싶은 부분에 있어서 정말 속시원한 답을 주시네요.😭 보통 부모는 민주적이고 친구같은 부모가 좋고 그런 부모가 되기 위해 노력하는데 그 맹점에 대한 정확한 지적이 참 인상깊습니다. 아이를 잘 키우기 위해선 권위적인 부모는 안되지만 귄위 있는 부모는 되어야겠다는 확신이 듭니다.
@user-qy4rj7co3j
@user-qy4rj7co3j Жыл бұрын
풀버전이 좋아요~^^
@sale43
@sale43 10 ай бұрын
누구라고 말하긴 그렇지만 유명 아동상담자의 개인적 감정에 빠져드는 표정까지 보면 연예인 같은 이미지가 묘한 느낌까지 전달 할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부모님 입장에선 조선미 아동심리 선생님의 모습과 설명이 가장 긍정적이고 현실적인 면에서 많은 도움이 됩니다.
@user-iw7uc9ui4x
@user-iw7uc9ui4x Жыл бұрын
맞아요 고2전에는 엄마보다 좋은 대학 갈거야 쉽게 말하더니 고2 되서여 엄마아빠가 어디대 나왔지? 하고 좀 존중해주는 눈빛으로^^
@healing80
@healing80 Жыл бұрын
조선민 선생님이 말씀하시는 방법 저희 부모님이 하시던 방법이였던거 같아요. 육아에 너무 에너지를 쏟지밀라고 하시는듯해요.
@user-ht2ir9hr1p
@user-ht2ir9hr1p Жыл бұрын
정말 고개를 끄덕이며 시청했어요~~ 반성하기도 하고 좋은 영상 감사드려요.
@daegizatv
@daegizatv Жыл бұрын
도움되셨다니 기쁘네요. 감사합니다^^
@Qazz723
@Qazz723 Жыл бұрын
너무 유용한 내용 잘 봤습니다. 책도 재밌게 봤는데 말씀도 참 잘하시네요
@seheemin7925
@seheemin7925 Жыл бұрын
정말 지금 상황에 꼭 필요한 영상이네요. 조선미교수님 말씀 처음 들었는데 정말 속시원한 말씀에 감동받았습니다. 좋은 콘텐츠 감사드립니다. ^^
@daegizatv
@daegizatv Жыл бұрын
도움되셨다니 기쁘네요. 감사합니다^^
Ну Лилит))) прода в онк: завидные котики
00:51
когда достали одноклассники!
00:49
БРУНО
Рет қаралды 4,1 МЛН
I Need Your Help..
00:33
Stokes Twins
Рет қаралды 161 МЛН
자기 주도성 이 영상 하나면 해결!
13:17
오은영의 버킷리스트
Рет қаралды 1,6 МЛН
Ну Лилит))) прода в онк: завидные котики
00: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