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공무원의 고달픈 신참 생활 | 조선의 신고식, 허참례와 면신례

  Рет қаралды 189,421

교양만두

교양만두

4 ай бұрын

🥟교양만두 멤버십 가입하기 : / @smartmandoo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신참을 길들이기 위한
선배들의 시도는 끊임없이 이어져 왔는데요.
조선시대에도 새로 벼슬길에 오르는
신참들을 골탕먹이는 가혹함 끝판왕,
개빡센 신고식이 존재했습니다.
오늘의 교양만두는
'조선시대 신고식'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지식이 고플 만두하지?
B급 교양 채널 '교양만두'
이야기가 유익하셨다면, 좋아요와 구독하기 눌러주세요!
#조선시대 #한국사 #신고식 #교양만두 #면신례
일러스트│박도경
*참고 문헌
죽음의 향연, 조선시대 신입생환영회 / 경향신문 / 2012.02.29
조선의 신참례 “얼굴에 먹칠하고, 땅바닥에 구르게… 신참의 기 꺾으려” / 백세시대 / 2023.08.28
선조들의 엽기적인 신고식 면신례 / 여수신문 / 2017.02.16
옛날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17] - 고달픈 신참 생활 / 우체국과 사람들 / 2000.09

Пікірлер: 230
@user-ho3ib8kx1z
@user-ho3ib8kx1z 4 ай бұрын
어쩌다 딱히 좋지도 않은 풍습이 오늘날까지 살아남았는지... 대학이고 직장이고 신고식 문화는 빨리 없어져야함.
@javierbaek7175
@javierbaek7175 4 ай бұрын
신고식은 법적으로 금지시켜야 합니다. 아무리 오래 전부터 했더라도 잘못된 것을 인지하면 없어져야 한다.
@salm2000
@salm2000 4 ай бұрын
동의합니다. 만들어진 목적이 "괴롭히기"인데, 절대 좋은 게 아닙니다.
@monsoolee2716
@monsoolee2716 4 ай бұрын
@@salm2000 만드는게 맞지만 절대 않없어지는 관습
@user-zd2mm3cy2n
@user-zd2mm3cy2n 4 ай бұрын
면신례를 하다가 과음, 가학적 강요 등으로 사망하는 사건도 있었는데 사망한 피해자 중에는 그 포은 정몽주의 증손자도 있었다고 합니다.
@jin.24.
@jin.24. 4 ай бұрын
4:16 아니 유교적으로 교조화되서 망했다고 욕먹는 조선인데 정작 유교적 철학으로 상하관계와 예를 지키는게 필요한 상황에선 이따구로 글러먹게 행동하면 대체 어디에 의의를 둬야하냐고 ㅋㅋㅋ
@TheKoreanarcher00
@TheKoreanarcher00 4 ай бұрын
유교교리 안지킴 말만 사서오경해댔지 실제로 사서오경 다 읽은 사람 드물었음
@user-iw1cv3vm2e
@user-iw1cv3vm2e 4 ай бұрын
신고식은 어느나라, 어느시대나 있었고, 특히 엘리트 의식, 권력층일수록 세고 질기게 이어지는 모습을 보이죠
@user-vd4gt7kd8r
@user-vd4gt7kd8r 4 ай бұрын
프랑스 명문학교인 그랑제꼴도 200년넘게 저거랑 비슷한 비주타지라는 악습이 안없어지고있죠
@HBJR87
@HBJR87 4 ай бұрын
술은 악독한 난세적자요 역사속에 모든 간신 옆에는 술이 있었습니다 술은 굴묘편시를 1000번을 당해도 모자른 난신이니 온 지구의 적 입니다 한 번 물어봅시다 난신 중에 술을 가까이 안한 자가 누가 있는지
@aj-cf9me
@aj-cf9me 4 ай бұрын
요요:옛날이나 지금이나 똑같네...쯧쯧
@support_dogu
@support_dogu 4 ай бұрын
어허 빠른 시일내로 텍스트맨이나 김쌍손으로 정정하세요
@user-rd7hn7bk2h
@user-rd7hn7bk2h 4 ай бұрын
매일 구질구질한 체크남방만 입으면서 지가 무슨 패셔니스탄지 알아
@MOOB_624
@MOOB_624 4 ай бұрын
-요요- 텍스트맨 입니다
@smartmandoo
@smartmandoo 4 ай бұрын
아니 이렇게 예전 콘텐츠를 다 기억하다니!!!!
@2019tndls
@2019tndls 4 ай бұрын
저도 죄다 기억합니다
@user-hj1jo5pv6v
@user-hj1jo5pv6v 4 ай бұрын
그리고 이런 신고식은 외부적으로 조직의 정통성을 인정받지 못할수록 더욱 더 간교하고 악랄해지는 경향성을 보인다고도 하지요.
@user-ox3qh2cy9o
@user-ox3qh2cy9o 4 ай бұрын
그래도 다행인게 점점 사라지고 있는 악습이라는거죠...물론 아직도 환영회라는 탈을 쓰고 말도안되는 행태를 강요하는곳도 종종 있지만,,,,국민 대다수가 신고식=부조리라는 인식이 자리잡혔으니깐요. 전 또 놀란게 "요즘 젊은 것들은 버르장머리가 없다" 라는 말이 거의 4000년전에도 있었다는게 신기하네요. 저때나 지금이나 여기나 저기나 사람사는건 다 비슷비슷한가 봅니다.
@user-ec5uh4tc4f
@user-ec5uh4tc4f 4 ай бұрын
성악설이 진리인거죠
@hansoo-
@hansoo- 3 ай бұрын
이집트 파피루스에도 써있었답니다 ㅎㅎ
@LEEkyouho
@LEEkyouho 4 ай бұрын
뭐 대놓고 매관매직 탐관오리 키우는 구조였네요. 지금도 다르지않는 것 같습니다. 시보떡 돌리는 걸로 블라인드 올라오고 고위공직자들 관계기관이나 기업으로 의전하는거보면 말이죠.
@2019tndls
@2019tndls 4 ай бұрын
옛날과 지금의 변화도 교양만두를 성장시키는 정만이들의 스승님!! 교양만두 채널~~❤
@salm2000
@salm2000 4 ай бұрын
동영상에서 나왔듯이, 목적부터가 "괴롭히기"인 저런 인습은 없어져야 합니다.
@humanplusscience4449
@humanplusscience4449 4 ай бұрын
프랑스 대학생들도 신고식이 있어서, 구타, 성희롱 등등이 만연했다고 함. 선배가 후배에게 신고식으로 망신을 주었는데, 나중에 후배는 대통령이 되고, 선배는 장관이 되어서 만났더라는...
@user-qv7dv8hx7s
@user-qv7dv8hx7s 4 ай бұрын
오늘도 좋은 영상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항상 응원합니다
@cococoa56
@cococoa56 4 ай бұрын
항상 재밌는 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건강하세요❤
@smartmandoo
@smartmandoo 4 ай бұрын
예쁜 댓글 감사해요
@hodu8587
@hodu8587 4 ай бұрын
오늘도 재미있는 영상덕에 저는 행복합니다😆
@sey-xm9vh
@sey-xm9vh 4 ай бұрын
좋은 정보 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nawoncham
@user-nawoncham 4 ай бұрын
괴롭힌거네... 저딴게 아직도 이어지고 있다는게 소름...
@user-tu6fr7si1c
@user-tu6fr7si1c 4 ай бұрын
잘보고 가겠습니다.
@druminsect4424
@druminsect4424 4 ай бұрын
동서와 고금을 막론하고 안좋은 문화는 쉽게 없애기 어려운 것 같네요 :(
@ZZIT-mao
@ZZIT-mao 4 ай бұрын
ㅇㅇ 이개맞음 안좋은 정권인 1찍정권이 안사라지는것도 이거임
@Serpent7070
@Serpent7070 2 ай бұрын
​@@ZZIT-mao 프사+맞춤법 꼬라지+댓글 내용까지 안 거를 타선이 없네
@ZZIT-mao
@ZZIT-mao 2 ай бұрын
@@Serpent7070 팩폭맞고 ㅂㄷㅂㄷ하는개 웃기노 ㅋㅋㅋㅋㅋ
@luansen0
@luansen0 4 ай бұрын
그래.. 신고식도 문화고 전통이니 함부로 없애기 그렇다면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잘 대해주는 따뜻한 방향으로 바뀌면 되지 않을까? 악습은 없애고 전통은 이어가면 되는 건데.. 전통이란 것도 항상 똑같지 않았고 시대를 거치며 변화해왔으니까 아랫사람도 분명 알아야 할것이 윗사람들은 그런 부조리를 당해왔고 그래도 좋은 방향으로 변화를 주기위해 노력한 분들도 많다는 것이다 저런 악습의 발단이 어떻게 시작됐는지 정확히 아는 사람 아무도 없어 윗사람이 성격이 드러워 생긴건지 아랫사람이 사가지가 없어서 길들이기 차원에서 그런건지 누가 알까? 결론적으로 서로 잘 하려고 해야하고 그게 문화로 자리 잡아야 전통도 좋게 시작되는 거라고 생각한다 근데 그게 쉽진 않겠지 서로 저울질하는건 인간의 본능이라..
@user-ec5uh4tc4f
@user-ec5uh4tc4f 4 ай бұрын
성선설은 개구라고 성악설이 진리인거죠
@tteokdori
@tteokdori 4 ай бұрын
​@@user-ec5uh4tc4f 사실 성선설도 만들어진 이유가 인간은 본래 선한데 선하지 않은 인간은 인간이 아니라고 보는 이론임.
@2345pok
@2345pok 4 ай бұрын
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캬
@smartmandoo
@smartmandoo 4 ай бұрын
항상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he1uw8mu8j
@user-he1uw8mu8j 4 ай бұрын
목소리 넘 좋아요 내용도 재밌는건 물론
@user-ti7yb3kn4x
@user-ti7yb3kn4x Ай бұрын
목소리가 귀에 솔솔 귀엽고 중독성있네요 ㅠㅠㅋ 천사의 목소리신가요 ㅠ 어린이들에게 이야기 들려줘도 좋을같아요
@ddjjdndn
@ddjjdndn 4 ай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당 ❤❤❤하투❤❤
@smartmandoo
@smartmandoo 4 ай бұрын
하투🩷
@Honey_Black_Tea
@Honey_Black_Tea 4 ай бұрын
오늘도 재미있었습니다. 그나저나 신고식 하시는 군요. (끄적끄적)
@smartmandoo
@smartmandoo 4 ай бұрын
그..그게 아니구...
@user-pq3pn3bi5s
@user-pq3pn3bi5s 4 ай бұрын
오늘 목요일이네요 기다리던 교양만두 잘보고갈게요~ 😊
@smartmandoo
@smartmandoo 4 ай бұрын
감~~덩~~~~❤
@bullets2448
@bullets2448 4 ай бұрын
이런 악습이 아직 잔재하군요.... 이런거 보면 따라하지 말아야지 라는 생각이 드네요
@tteokdori
@tteokdori 4 ай бұрын
이놈의 악폐습이 없어지기 어려운 이유 : 사람들은 보복정신이 조금씩이라도 다 있어서 어떻게든 자기가 당했던 걸 돌려주고 싶어서임.
@user-ec5uh4tc4f
@user-ec5uh4tc4f 4 ай бұрын
요즘애들이 싸가지가 없는 것이 아님 성악설이 진리인 것이고 갑질과 텃세가 만연했던 조직문화가 뿌리 깊었던 것임
@user-jz2dd5pv6e
@user-jz2dd5pv6e 4 ай бұрын
참고로 음서제는 조선시대에도 존재했어요 고려와 조선의 음서제 차이점은 음서로 인해 관직에 나갈 수 있는 사람 수 차이임 고려시대가 조선시대 보다 음서제 적용 대상자가 많았음
@samgukjilover
@samgukjilover 4 ай бұрын
5:42 ~ 5:50 정몽주가 자기 손자 왜때문에 죽었는지 아시면 뒷목잡으실 듯
@ktr1237
@ktr1237 4 ай бұрын
나중에 저 신고식을 당했던 신입들도 고참이 되면 신입으로 들어온 사람들에게 저런 신고식을 하면서 '라떼는 이거보다 심했어!'라고 했겠죠...? 이게 꼰대 보존의 법칙인가 뭐시긴가 하는 그건가
@monsoolee2716
@monsoolee2716 4 ай бұрын
정답입니다ㅋ 근데 한번 그습관 같은걸 바꿔줘야죠 머리가 열린 사람이 필요함
@user-vd4gt7kd8r
@user-vd4gt7kd8r 4 ай бұрын
한마디로 나만 당하기는 억울하니까 너도 한번 좆되보라는 심보인듯 이러니 악습이 없어지질 않는거고
@user-zp6gq6gv5r
@user-zp6gq6gv5r 2 ай бұрын
아리님 나래이션 좋아요❤
@soroga7284
@soroga7284 4 ай бұрын
후원자 크레딧에 의견 받아주시고 내용 ** 블라인드 처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jl6cm1vo6s
@user-jl6cm1vo6s 3 ай бұрын
교양 편집자:아놔.. 만두 킹받눼🙄
@user-ys5fo7pj5s
@user-ys5fo7pj5s 4 ай бұрын
옛날 다른 나라도 파보면 도찐개찐 흑역사 있으니 조선시대는 그러려니 하지만 요즘 공무원들 시보떡이랑 아랫사람이 윗사람 밥 사면서 대접해줘야 하는 문화 보면, 오히려 요즘이 더 문제인듯
@user-ui2lz1vw3h
@user-ui2lz1vw3h 4 ай бұрын
신고식은 서양에도 있을지 궁금하네요. 우리만 있는건지
@Five1209_Soul
@Five1209_Soul 4 ай бұрын
신고식 잘못했다간 장례식 치르겠네..
@jgl5733
@jgl5733 4 ай бұрын
세종대왕님도 하지 말라고 했는데 그들은 알음알음 몰래 했다고 하죠
@user-el4uo8qp3x
@user-el4uo8qp3x 4 ай бұрын
권문세족 낙하산 기를 꺾기 위해 면신레를 저렇게 했다? 솔직히 다 핑계일 뿐이라고 생각함.. 당시 내로라하는 권력자의 자식을 건드리고 무사하겠음? 마치 오늘날 재벌 자식들 입사했다고 갈굴 수 있겠냐와 똑같은 논리
@user-ke8jj9gg9t
@user-ke8jj9gg9t 4 ай бұрын
우와~옛날엔 왜저랬대 ㅋㅋ 하며 볼 수 있었다면 좋았을텐데 이게 몇백년을 이어가네..
@gayounglee4505
@gayounglee4505 4 ай бұрын
성균관 스캔들에서 성균관 들어온 신입 유생들에게 이런 저런 거 시킨 게 생각나요…
@cannonhitter37
@cannonhitter37 4 ай бұрын
옛날의 더러운것이 아직도 이어지다니 참 못된건 빠르게 습득한다니깐 ㅉㅉㅉ
@jungwookrlee
@jungwookrlee 4 ай бұрын
조선 최고의 성군이셨던 세종대왕은 이 악습에 대해서 어떻게 대항하셨는지 궁금하네요
@Jinsu.
@Jinsu. 4 ай бұрын
역사고 뭐고... 그냥 인간의 본성인거 같아서 무서워요 😂😂😂😂
@i_likekorea
@i_likekorea 4 ай бұрын
오 1분전
@user-xk5hm7um3x
@user-xk5hm7um3x 4 ай бұрын
진짜 해도해도 너무하네... 에이 젠장 나같으면 드러워서 때려치겠다.
@user-iw2rm2ef6b
@user-iw2rm2ef6b 4 ай бұрын
팬아트는 어디로 보내는건가용????
@smartmandoo
@smartmandoo 4 ай бұрын
bookplanet612@gmail.com 으로 보내주시면 됩니다 !
@user-iw2rm2ef6b
@user-iw2rm2ef6b 4 ай бұрын
@@smartmandoo감삼다
@bananoo1128
@bananoo1128 4 ай бұрын
일찍 옴 ㅋㅋ
@user-smkaha
@user-smkaha 3 ай бұрын
아리씨 화이팅 !!!!!! 예로부터 선임 이름 외우는건 500년전이나 지금이나 난 군대때도 그랬는데 .. 1000년전이나 500년 전이나 2000년 전이나 신세대는 욕먹음 ㅎㅎㅎ 군대에도 그런말에 있어요 우리때는 악습 없애자 해서 없앴는데 1년만 지나면 다시 원복이 된다 그래요 문화는 어디가나 사람이 만드는 거라서 그런것 같아요
@jeseongkwon2922
@jeseongkwon2922 4 ай бұрын
부조리를 원하시는 아리님...
@user-gn9mz1ly4l
@user-gn9mz1ly4l 4 ай бұрын
음서제가 지금으로 치면 가족이나 친척, 지인 빽으로 회사에 입사한 내정자들이죠
@Suggestions12
@Suggestions12 4 ай бұрын
군무원의 역사역할이야기해주세요 102트
@hansoo-
@hansoo- 3 ай бұрын
102트 ㄷㄷ
@ottohhhh
@ottohhhh 4 ай бұрын
어휴...본래의 목적을 상실한 악습이 오히려 끈질기게 이어져 오네요. 교사가 목표지만 좀 두렵습니다😢
@TOP.EUGENE
@TOP.EUGENE Ай бұрын
세계 어딜가나 있는걸 보면 상대방을 깔아뭉게서 우월감을 느끼고 싶은게 인간의 본능인가..
@user-ov5zm5rz3v
@user-ov5zm5rz3v 4 ай бұрын
우리나라에 면신례가 생겨난 이유가 고려시대 귀족자제들이 제대로 과거도 치르지 않고 오로지 가문의 위세에 의지해 음서로 관직을 얻어 환로에 들어오는 일이 잦았는데 이런 부류를 나이가 어리다고 "분홍방"이라 불렀습니다. 이 분홍방과 기존 관료들과의 마찰을 줄일셈으로 시작된게 면신례 입니다.
@user-km4um4qh5x
@user-km4um4qh5x 3 ай бұрын
근데 아리님 남자 아니였나요? 처음 목소리 나왔을때 남자 목소리가 났던걸로 기억했는데
@drkim7971
@drkim7971 4 ай бұрын
신고식이라는 문화를 군대에서 배웠던지라 일제 시대때 배워왔나 싶었는데 의외로 한국 전통(?) 문화군요.
@_HAMING_
@_HAMING_ 4 ай бұрын
하하하하핳하하 역시 조선 역사 배울때는 교양만두지 (왠지 책으로 보면 딱딱한 역사난 학문을 교양만두 채널이 부드럽게 풀어서 알려주는 친근한 느낌(?)
@alla-view
@alla-view 3 ай бұрын
이게 다 백성들의 안타까움 마져 져버리는 철면수심 탐관오리가 될수 있게 강하게 키운듯
@personnel1511
@personnel1511 Ай бұрын
신고식이란 악습이 없는 나라 찾기가 어려운만큼 왕들이 뿌리깊게 내려버린 악습을 뽑아내려하지말고 차라리 완화하는 방향으로 갔다면 가학성은 좀 낮아지지않았을까싶은 아쉬움..
@user-hd8wb2jx1k
@user-hd8wb2jx1k 4 ай бұрын
공자의 뜻과도, 주자의 뜻과도 메우 달라서 왕이고 대신들이도 근절시키려 했건만, 그게 근절하기 쉬운거면 전세계적으로 신고식이란 풍습이 진작에 사라졌겠지
@user-uq8ou2ii1t
@user-uq8ou2ii1t 4 ай бұрын
그래도 만두는 저정도로 팀들을 갈구진 않겠지요?😅
@user-fu2pi3bp3c
@user-fu2pi3bp3c 4 ай бұрын
몇년전인가? 어느 대학에서 신입생에게 술을 강요해서 죽은 경우도 있었죠 신고식은 차 한잔으로 끝!!!
@0.K.J.W.0
@0.K.J.W.0 4 ай бұрын
물론 저런게 사라지면 좋겠지만 솔직히 지금도 미국이나 유럽에서 조차 대학들어가면 여전히 저런 비슷한게 존재한다고 하더군요 우리나라 대학은 쫌 괜찮아 졌을려나?
@user-hj1jo5pv6v
@user-hj1jo5pv6v 4 ай бұрын
CSI 시리즈 에피소드들 보면 대학 신고식하다가 사고로 사망한 사건을 소재로 한 것들이 꽤 있지요.
@user-vd4gt7kd8r
@user-vd4gt7kd8r 4 ай бұрын
비주타지
@MNMNM1111
@MNMNM1111 4 ай бұрын
오래된 풍습/관습 특: 악습. 사이코/소시오패스들만 저런 것 좋아하는 듯 함.
@user-gj6eq9tn9k
@user-gj6eq9tn9k 4 ай бұрын
음서로는 승진 상한선이 있어서 어차피 과거를 따로 봐야함
@sese8510
@sese8510 4 ай бұрын
교양만두 3년차에요
@hglove35
@hglove35 4 ай бұрын
조선시대 진짜 극한시대네 ㄷㄷ
@wildcatter4405
@wildcatter4405 4 ай бұрын
하... 끔찍하다...
@user-sf1bg8ki2w
@user-sf1bg8ki2w 3 ай бұрын
일제시대 유물 아니었던가요....
@jonin_cunren
@jonin_cunren 4 ай бұрын
우왕ㅋ면신례
@maestrok6520
@maestrok6520 4 ай бұрын
그래서 추추님은 언제 한 턱 쏘신답니까 ? ㅎㅎ
@realongs
@realongs 4 ай бұрын
신고식은 일본문화인줄 알았는데 😅 우리나라가 근본이었네용😅
@user-yt2ti8ej4v
@user-yt2ti8ej4v 4 ай бұрын
이거보니까 요요 생각나네....
@seolleim1698
@seolleim1698 4 ай бұрын
첫월급 타서 전직원에게 음료 하나씩 돌렸지
@selltone
@selltone 4 ай бұрын
나는 후배들한테 신고식을 당하기만 했는데...ㅠㅠ
@user-hz3kv3in2o
@user-hz3kv3in2o 4 ай бұрын
아니 대체 죄인은 왜??? ㄷㄷㄷㄷㄷㄷ
@user-on4fy2zl2o
@user-on4fy2zl2o 4 ай бұрын
참 못된 전통까지 물려받다니 역시 피는 못 속인단 말이 틀린 건 아니군
@j8663
@j8663 4 ай бұрын
안좋은건 지구에 인간들이 멸종 될때 까지 이어진다고 볼수있슴 그동안 그 신고식 전통이 없엘려고 별짓을 다 했지만 그게 안되니 전통 아닌 전통이 계속 전해져 내려오게 된것 그러고 보면 무오사화 라던가 갑자사화 같은 조선 정치권내에 서로 죽고 죽이는 피바람이 불었던데 혹시 이 신참례 때 당한 원한이 쌓이고 쌓여서 벌어진일이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이...
@user-gx2gc4rr9l
@user-gx2gc4rr9l 4 ай бұрын
근데 신고식 이유가 신입 길드이기인디 조선때는 권세가 자식들은 신고식안당함 ㅋㅋㅋ
@simpop1004
@simpop1004 4 ай бұрын
일잘하는데 저 악습 못버틴 사람들이 얼마나 많았을까 ㅉㅉ
@whgusckd11
@whgusckd11 4 ай бұрын
유교의 나라 대단하네ㅋㅋ
@icec33387
@icec33387 4 ай бұрын
동양이나 서양이나 옛날부터 저런게 있었다고 했는데 왜 저렇게까지 하는가 싶긴 하네요 지금 생각으로는 이해불가! 옛 전통이 악습이면 바꿔야지 그걸 전통이라고 옹호하는것도 별로
@Roscn-dn36
@Roscn-dn36 4 ай бұрын
한국 학생들이 미국으로 유학가서도 아직도 저런 짓들 합니다.
@user-ho6ni8oz1f
@user-ho6ni8oz1f 4 ай бұрын
명나라는 궁 입구에서 대놓고 몽둥이 찜질하는 신고식이 있었다던데
@user-dz5qy4fn7b
@user-dz5qy4fn7b 3 ай бұрын
참...
@user-pe9ib1is2w
@user-pe9ib1is2w 4 ай бұрын
부조리 악습은 일제시대 들어왔네 어쩌네가 개소리라는걸 알수있는 기록
@CandyEunbi
@CandyEunbi 4 ай бұрын
일재 잔재가 아니었구나
@user-bs2yf2cz5l
@user-bs2yf2cz5l 4 ай бұрын
선조들의 지혜에 감탄하고 갑니다
@user-wt5qr9qu1e
@user-wt5qr9qu1e 2 ай бұрын
,,,인사만잘해도 싸가지50%는 싸가지잇다로 먹고들어감. 근디? 요즘도 그런디
@user-hd8yf3xf7l
@user-hd8yf3xf7l 3 ай бұрын
뭐 안 좋은 거 있으면 일제강점기 때 일본한테 강제이식 당한 것처럼 이야기하는데 원래 저런 별로인 상태도 있었구낭
@user-yi6pc9qd4t
@user-yi6pc9qd4t 4 ай бұрын
지인중에 공무원에 합격한 사람이 시보 끝나고 떡 돌렷는데 선배들이 뒤에서 욕햇다함 요즘시대에 누가 떡을 먹냐고 ㅋㅋㅋ 근대 어이없던게 고작 2~3살차이고 얼마차이 안나는데도 온갖 유세랑 유세는 다 떠는거임 시보떡이나 신고식 같은거는 사라져야할 이 사회의 죄악이자 악습임 그리고 '나도 햇으니까 너도 당해봐'라는 ㅈ같은 마인드도 사라져야함
@kyungtackoh7422
@kyungtackoh7422 4 ай бұрын
안돌리면 안돌린다고 뭐라하고, 돌리니까 떡 안먹는다고 지랄하고, 되레 꼽줘서 자살까지 몰고간 사건도 있고... 참
@B.O.P.E-3234
@B.O.P.E-3234 4 ай бұрын
건설현장 에서는 상상도 못할일임
@user-ob7cn9kf1x
@user-ob7cn9kf1x 4 ай бұрын
신고식이라는게 없어 져야 할 문화가 아니라 바뀌어야 할 문화인 거임. 여하튼 신고식을 한다는 자체가 사회 문화에 사회적 동물인 인간들이 적응 해야 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특히 이번 중공 코로나 덕분에 많이 바뀐듯
@t34_85
@t34_85 3 ай бұрын
이런것도 사극에 나와야 하는데 너무 역사 좋은면만 배우려하는듯
@user-cg2dx3rf8b
@user-cg2dx3rf8b 4 ай бұрын
7~80년대에는 만연했지.
@agent_urus
@agent_urus 4 ай бұрын
0:05 '쓰인' 입니다
@user-sj7dw3zi6d
@user-sj7dw3zi6d 4 ай бұрын
무관, 잡과는??
@kim19101
@kim19101 4 ай бұрын
???:새끼 기열!!! 황룡새끼 마냥 감히 면신례를 거부하다니!!
@user-fj7of4jf2h
@user-fj7of4jf2h 4 ай бұрын
높곳에 있는 분들이 품격 없이 말딴에게 신고식이라는 이름으로 가옥행위하는거 진짜 오랑캐도 안 할 듯
@B.O.P.E-3234
@B.O.P.E-3234 4 ай бұрын
오랑캐는 저렇게 했다간 한 사람이 다음날 시체로 발견될거임
CAN YOU HELP ME? (ROAD TO 100 MLN!) #shorts
00:26
PANDA BOI
Рет қаралды 36 МЛН
Miracle Doctor Saves Blind Girl ❤️
00:59
Alan Chikin Chow
Рет қаралды 52 МЛН
히틀러를 지리게 만든 여자|독소전쟁 비하인드
8:51
내시는 어떻게 됐고, 어떤 삶을 살았을까?
8:08
사물궁이 잡학지식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Прояви гостеприимство🤣#фильм #сериал #кино
1:00
ДЖОХАН 2 | толық фильм
1:25:26
Жахан Утаргалиев
Рет қаралды 633 М.
Luck decides who wins 🍀😅#shorts #funny #viral
0:24
Uma NOOB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小丑和路飞竟然这样对天使。#天使 #小丑 #超人不会飞
0: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