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변에 사람들이 저절로 모여든다." 대화 잘하는 뇌과학적인 방법 (박문호 박사 3부)

  Рет қаралды 315,097

지식인사이드

지식인사이드

Күн бұрын

오늘은 박문호 박사님을 모시고
우리 속 안에 있는 감정을 알아차리는 법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영상이 유익 했다면 구독!! 영상이 재밌으셨다면 좋아요 버튼을 눌러주세요!
#박문호 #지식인사이드 #대화
00:00 인트로
00:17 구독자 인사
00:25 살아가면서 말을 줄여야 하는 뇌과학적인 이유
02:25 인간이 대화를 잘 하고 싶어하는 이유
04:23 우리의 인생을 지배하는 ‘감정’의 놀라운 실체
08:02 오직 인간만이 ‘감정’을 느낄 수 있는 이유
10:14 내가 지금 느끼는 감정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방법
-
👇지식인사이드에 출연을 원하신다면 여기를 눌러주세요
forms.gle/u4LxVcwFdhvkLH8m6
knowledgeinside7@gmail.com
👇 다양한 채널에서 지식인사이드의 지식을 얻고 싶다면 여기를 눌러주세요
인스타그램: / knowledgeins_kr
페이스북: knowledgeIns...
네이버 프리미엄 콘텐츠: contents.premium.naver.com/mo...
네이버 TV: tv.naver.com/purejboy2
틱톡: www.tiktok.com/@allstorieskr?...
네이버 카페: cafe.naver.com/knowledgeins

Пікірлер: 475
@user-ProjectMakeover
@user-ProjectMakeover 24 күн бұрын
제가 느낀 주변에 사람들이 저절로 모이는 사람은 말을 적게 하는 사람이 아니라 잘 공감하고, 남을 험담하지 않고, 말을 이쁘게 하는 사람이었습니다.
@user-go9zb8sj3l
@user-go9zb8sj3l 24 күн бұрын
중요한 게 빠졌네요. 그렇게 해도 별 탈이 없을 정도로 사회적 입지가 높은 사람.
@shinetwinkle2273
@shinetwinkle2273 23 күн бұрын
'언'의 중요성 • 말이 씨가 된다 • 가는말이 고아야 오는말이 곱다 +TMI ( = 긍정 확율이 높아진다 )
@user-jm1hf9ne8h
@user-jm1hf9ne8h 23 күн бұрын
말많이하다보면실수나오고 관심더받으려 거짓꾸미죠 설민석바요
@nostalgia4041
@nostalgia4041 23 күн бұрын
​@@user-go9zb8sj3l이게 왜 맞는지 모르겠네요 세상불공평 하단게 느껴져요
@MeloDami
@MeloDami 23 күн бұрын
😊
@SeongjangStory
@SeongjangStory 24 күн бұрын
그땐 몰랐지. 상대방이 나의 말을 좋아해서 들어주었다 생각하고 주저리 주저리 내 이야기만 했었지. 그 모든게 그 사람에겐 스트레스 였겠구나. 인생 이란게 다 잃고 나서야 정신을 차리게 되는구나
@bmlo2772
@bmlo2772 24 күн бұрын
그때 들어주느라 힘들었어 얼마나 스트레스 받았는지 내가 가족에게 화를 내고 있더라고 제발 그만 연락해줘 그냥 너도 잘 살길 바래 너의 삶은 모두 너꺼니까 너가 알아서 판단하고 화도 너꺼니까 너가 다스려 생각을 깊게 해보고 혼자 있는 시간을 갖고 너 자신을 알아가길 바래 잘살아 다시 연락하면 안되고 혹 길거리서 본다해도 모른척해줘 잘가
@TV-fv9mx
@TV-fv9mx 13 күн бұрын
마구 공감요!
@user-ti9ro9vh5c
@user-ti9ro9vh5c 10 күн бұрын
저는 자주 만나는 친구가 말이 너무 없어 어쩔 수 없이 제가 이런 저런 이야길 꺼내는 케이스였는데 그러다보니 괜히 쓸데없는 말들을 하게 되서 제가 스트레스 받았었던 기억이 있네요ㅠ 그 후에 저도 대화 주제를 끌어가려고 노력하는게 너무 지쳐서 만나도 먼저 나서서 말을 안해보니까 진짜 서로 침묵만 맴돌던….ㅋㅋㅋㅋㅋㅋㅋㅋㅋ
@hj89www
@hj89www 24 күн бұрын
지나고 보니 내 말을 들어주고 공감해주는건 대단한 정신노동 이더라구요 솔직하다는 핑계로 떠드는건 다른사람에게 노동을 강요하는 것이라는걸 오십이 되는 나이에야 깨달았습니다 말은 다른사람을 향해가는것 이라서 필요할 때만 하고 항상 조심해야 한다는 것을요
@Engelsprinzessin
@Engelsprinzessin 24 күн бұрын
서른인데 이미 깨닳아버림,, 지겨워 인간관계,,
@user-ot7qz8uz5h
@user-ot7qz8uz5h 24 күн бұрын
@@user-ow1fi1tc3f그나마 자기 이야기는 그렇다치죠. 다른 사람 뒷담화를 은근슬쩍 해대며 이간질에 자기 과시하며 윗사람에게도 시시콜콜하게 다 일러바치는 사람은 정말 힘듭니다. 지나가는 말도 바로바로 윗사람한테 들어가더군요...
@ekeks7090
@ekeks7090 24 күн бұрын
일방적으로 틀어 달라고 징징 거리는 사람들이 많아서 손 잘 칩니다
@antieking2822
@antieking2822 24 күн бұрын
걱정하지마세요 다른사람들도 이미 그렇게 당신의 뒤를 밟아가는중입니다.
@user-ej8cl9be2s
@user-ej8cl9be2s 24 күн бұрын
​@@user-ow1fi1tc3f힘들다고 하셔야지요. 피곤하니 쉬고싶다고.
@user-dl6ev4bc1d
@user-dl6ev4bc1d 24 күн бұрын
우리는 욱 ~하는 감정을 다스리는게 중요합니다. 감정이 일어나는 순간을 관망하고 케어 할수있는 훈련이 필요합니다.
@honeykris5113
@honeykris5113 24 күн бұрын
맞습니다. 어떤 순간에 감정적이 되지 않게 하려면 이게 꽤나 오랜 반복된 성찰과 훈련이 필요합니다. 저는 아이들을 가르치면서 두어 번의 시행착오 끝에 지금은 나름 감정을 잘 조절하고 다스리게 되었어요. 그런데 딱 하나 안 되는 대상이 있는데 엄마요. 엄마에겐 안 되네요. 가장 솔직하게 서로 감정이 부딪치는 대상이네요.
@user-wv1ku8dt9f
@user-wv1ku8dt9f 24 күн бұрын
특히 직장은 말을 줄이는게 좋다..
@mindsglee3320
@mindsglee3320 24 күн бұрын
" 개념이 없으면 당신의 세계는 사라진다 개념이 없으면 경험할 수가 없다 " 개념. 언어의 중요성을 알겠네요 박문호 박사님, 통찰력있는 말씀 잘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aamoomoo
@aamoomoo 24 күн бұрын
저도 말을 줄이려고여..일찍 애낳아서 20대후반에 30대 아들 어린이집친구애엄마들 사이에 껴서 아무생각없이 친구들한테 하듯이 그냥 솔직하게 이야기했더니 뒤에서 뒷담화 당하고 있더라구요.. 매일 아침마다 따라가서 밥먹고 카페가고 저녁에 우리집에서 술자리.. 집안일도 벅차고 머리아파서 초등들어가면서 이젠 안껴요.. 저혼자 빠져나갔다고 뒷담화당할것같지만 몇달이나 하겠어요? 그냥 맘편하게 혼자서 지내요.. 아들도 친구 알아서 잘 사귀더라구요.
@ultrababy2900
@ultrababy2900 24 күн бұрын
맞습니다, 현 심리상태를 이야기 하고 감정을 공유하고싶어 친해지는 방법인줄 알고, 솔직함이 이사람은 그래서 그렇구나가 되어버린 ^^ 나 자신과 친해지는 밥법이 우선입니다 , 실천이 어렵더라구요
@piter_park
@piter_park 24 күн бұрын
20대때 출산 헌명하시네요😊
@sophie-ex1jw
@sophie-ex1jw 24 күн бұрын
초1 학부모들 사적모임 한번 참석하고 이건 아니다 싶어 이후론 절대 참여 안합니다 제일 쓸데없는 모임입니다
@blue-xr4zu
@blue-xr4zu 24 күн бұрын
저 50대 후반인데, 요새도 그래요? 우리 막 아이들 어린이집 보내고 똑같은 문제로 동생이랑 고민했었는데. 거기 안 끼면 문제 있어뵈고, 끼면 종일 피곤하고. 여태도 그러네요.
@user-nn6ye1dc7o
@user-nn6ye1dc7o 24 күн бұрын
​@@piter_park 갑자기 20대 출산 칭찬 ㅋㅋㅋㅋㅋㅋㅋㅋ
@user-jh2wr8ls3m
@user-jh2wr8ls3m 24 күн бұрын
50대인데 말 단샤리(断捨離)를 시작했습니다.이유는 간단합니다.말이 일이라서요...하루에 길어서 3-4시간만 말을 하기로 정했습니다.말을 줄여야 기력과 체력을 보존하고 유지할 수 있다는 걸 깨달았습니다...
@SooLim-bs9ru
@SooLim-bs9ru 24 күн бұрын
3-4시간이나요? 너무 많아요. 수다쟁이신가봐요.
@user-jh2wr8ls3m
@user-jh2wr8ls3m 24 күн бұрын
@@SooLim-bs9ru 수다쟁이라...말을 많이 배우셔야겠네요😂저는 말로 벌어 먹는 사람이랍니다.말을 줄인다는 건 일을 줄인다는 뜻이기도 하고요...
@user-ke7og4gd1h
@user-ke7og4gd1h 24 күн бұрын
상담원 도 3~4. 시간 이면 지쳐서 나머지 생활이 힘들것 같은데요
@heel1684
@heel1684 24 күн бұрын
저 말하는 직업 10년이상 했는데 막판에 언어장애가 생기더라구요. 내가 말하는 나를 쳐다보고 감시하는 정신적 분열상태가 와서 말이 자연스럽게 안나왔어요. 연속으로 3시간정도 뱉고나면 온몸의 에너지가 다 빠져나가고 거의 녹초가되어 쓰러지다시피 했죠. 그래서 지금은 말줄이는 직업으로 바꿨고 다시 정상으로 돌아왔습니다. 말은 어미어마한 에너지의 발산입니다.
@user-ke7og4gd1h
@user-ke7og4gd1h 24 күн бұрын
저 말하는 직업 10년 넘게 했어요 지쳐서 말하기. 싫어서 사람 못만 나요
@eunjimoon2410
@eunjimoon2410 23 күн бұрын
말잘하는것에 대해 자주 말씀하시고 첫부분부터 이 말씀하셔서 주제가 혼동되네요 '우리 인간이 잘 살기(생존)위해서는 감정을 잘 다스려야하고 감정을 잘 다스리려면 감정의 상황을 개념화를 하라 그러면 예측이 되고 행동이 되고 삶이 유지가 된다' 이것이 주제인듯?
@juhonglee4842
@juhonglee4842 24 күн бұрын
말을 잘하려면 언어를 잘 다뤄야하고, 언어를 잘 다루는 것은 개념을 잘 다루는 것이고, 쌍방향 소통인 대화에서 서로의 개념이 통하려면 같은 정보를 공유한다는 감각을 주고 받아야 한다. 이게 즉, 공감이다. 여기서 핵심은 개념이다(많은 다른 요인과 영향이 있음). 개념은 감정은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언어를 잘 다루는 사람은 감정에 대한 이해도가 높을 수 밖에 없다. 반대로 말하면 감정을 다루는 연습은 언어로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이다. 이 과정에서 말을 잘 하게 되고, 인간관계는 따라온다?
@ilmare0402
@ilmare0402 21 күн бұрын
두 번 봤는데도 머리에서 정리가 잘 안됐는데 정리 감사해요!! 😍
@user-tv8ww6xv6v
@user-tv8ww6xv6v 14 күн бұрын
저도 이해안됐는데 이건가보네요 근데 말을 잘하려면 언어를 잘 다뤄야하고.. 부터가 안돼서 이 영상 보려고 들어온건데..ㅎㅎ..
@juhonglee4842
@juhonglee4842 14 күн бұрын
@@user-tv8ww6xv6v 개념과 언어, 감정이 가까우니 감정을 언어로 다루는 연습, 요즘 많이들 말하는 감정일기 쓰기로 자신을 알아가는 과정이 도움이 될 것 같아요
@user-cy4hp4fr5x
@user-cy4hp4fr5x 11 күн бұрын
말빨로 상대방의 감정을 터치하라는 말이군 이건 여자꼬실떄 하는 방법인데 ㅋㅋ
@leeks1025
@leeks1025 24 күн бұрын
깊이가 있는 내용이네요 다만 영상 썸네일의 내용이 영상내용하고 매치가 안되는것 같습니다
@user-kt3ww4qb4m
@user-kt3ww4qb4m 24 күн бұрын
그래서 말조심하고 말을 가려서 하고, 말하는데 사회적 개념을 가지고, 공감할 만한 대화를 신중하게 하라는 것.
@user-zv9pk6bj7n
@user-zv9pk6bj7n 23 күн бұрын
이해하기 힘든 내용을 아주 간명하게 알아 듣게 요약을 하신것 같습니다. 이말을 뭔 이리 이해하기 힘들게 하시는지...사회적 개념을 마추는게 너무 어려운 부분인것 같아요...
@user-kt3ww4qb4m
@user-kt3ww4qb4m 22 күн бұрын
@@user-zv9pk6bj7n ㅎㅎ 고맙습니다.
@user-mw5dv7lb9v
@user-mw5dv7lb9v 24 күн бұрын
보통 우리들은 속을 알수없는사람은 멀리합니다. 어느정도 감정 교류는 자신이 드러나게 되잖아요.
@user-vw7lz2lx5n
@user-vw7lz2lx5n 24 күн бұрын
​@AudenDuperree휴지로 패고 싶네ㅋㅋㅋㅋ
@dakagaya5643
@dakagaya5643 24 күн бұрын
난 속을 알수없는 사람은 재미없어 싫어한다 관계의 한계를 느끼기 때문이다
@user-yt3kr4ns8r
@user-yt3kr4ns8r 24 күн бұрын
말로 드러내지 않을 뿐 비언어적으로 다 드러남 그런데 지능이 낮은 사람들은 그런 부분들을 캐치해내지 못하고 속을 알 수 없다고 생각해버림
@user-mw5dv7lb9v
@user-mw5dv7lb9v 24 күн бұрын
열길 물속은 알아도 한길 사람속은 모른다라는 옛말도 있거니와 박완서 작가의 소설도 있어요.
@user-ej8cl9be2s
@user-ej8cl9be2s 24 күн бұрын
고맥락표현언어 에너지많이쓰고 피곤함.눈치없니 지능이낮니하며. 자기가 인간을 재단하는건 모르고 잘난척 비교하고. 잘난척=내면으로 모자람을 겉으로 감츠른 행위로보임
@aziktn
@aziktn 19 күн бұрын
아는 것을 나누는 것이 부끄러운 일이 되고, 오히려 무식하고 심지어 배울 생각이 없음이 부끄럽지 않고 당당해진 세상이 되어버림...
@FureverBaby
@FureverBaby 13 күн бұрын
인스타그램에거 댓글 토론 하고 와서 이댓글을 보는데 정말 와닿네요.
@heaveninthesea4914
@heaveninthesea4914 13 күн бұрын
⁠​⁠@@FureverBaby SNS만 안 해도 살만합니다ㅎㅎ
@user-zq1ep5xh2r
@user-zq1ep5xh2r 19 күн бұрын
댓글들을 보면서 사람들이 참 고장나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 강의를 보고 구체적인방법이나 결론을 알려달라는 사람들이 많은것을보면 그냥 스스로 생각하려는 의지자체가 없어진 인간의 기능을 상실한 봇 같아요
@user-wf8rm6dj9z
@user-wf8rm6dj9z 23 күн бұрын
말이 많으면 실수하죠 ㅋㅋ 특히 직장에서 또 더 어린분들과 근무할때도 ㅠㅠ 입닫고 공감하고 내이야기를 들어줄사람은 신랑ㆍ친구 ㅋㅋ
@dustinyeon7027
@dustinyeon7027 24 күн бұрын
그래서ㅜ서로들 눈치만 보고사는거죠...다들 말줄이고 사는게 낫다는거 다덜 아니까... 그래서 다들 서로 만나도 외로움을 느끼는거지머. .
@user-jq8hg1vj8j
@user-jq8hg1vj8j 24 күн бұрын
통찰력이 어마어마하시네요. 진정한 박사님이신 것 같습니다.
@POWERMOVERBBOYGIL
@POWERMOVERBBOYGIL 24 күн бұрын
핵심 나를 컨트롤 할 수 있는 사람이 되자.
@leskoory
@leskoory 22 күн бұрын
넘나 오묘하고 폭이 넓어 저같은 돌머리는 2번 들어도 무슨 소리인가 합니다.
@georum9311
@georum9311 21 күн бұрын
저도 돌머리 같아요 ㅠㅠ
@leskoory
@leskoory 21 күн бұрын
@@georum9311 ㅋㅋ 난해하게 설명을 하는건 본인도 잘모른다라는 믿음이 있습니다.
@user-wu6ck3sf6o
@user-wu6ck3sf6o 19 күн бұрын
원래 깊은진리를 굉장히 쉬워요 말이 어려울수록 본인도 잘 모른다는 소리입니다 지식의 소리지 현자의 소리는 아니란 거죠~
@olivia-sn7uq
@olivia-sn7uq 19 күн бұрын
저도 못알아 듣겠네요. 정상이십니다. 절대 돌머리 아니십니다.
@user-kh4ku1sj1d
@user-kh4ku1sj1d 3 күн бұрын
아 빵터졌어요. 저도 돌머리인가 생각하고 있었어요
@ninanostudio8738
@ninanostudio8738 19 күн бұрын
역시 사람 상대하는것은 그 대상이 누구이건 엄청난 에너지가 필요한 거구나.
@ch69255
@ch69255 24 күн бұрын
중요한 포인트가 있어서 다 이해할때까지 여러번 듣겠습니다~~
@nirogreen0323
@nirogreen0323 24 күн бұрын
사물을 바라보는 시선속에서 개념이 바뀌니까 말과 행동에 변화가 왔어요. 말은 줄일수록 실수도 줄어드는걸 경험했어요. 선생님의 강의에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goldstacker9999
@goldstacker9999 18 күн бұрын
어떻게 개념을 바꿔서 감정을 변화시켰나요?
@Strawberry_jmt
@Strawberry_jmt 23 күн бұрын
박사님의 놀라온 통찰력에 감탄하고 많이 배우고 갑니다. 두고두고 볼 영상이네요. 왠만한 책 한권 읽는 것보다 생각하고 곱씹어볼 내용이 더 많이 담겨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jekleanhan3723
@jekleanhan3723 22 күн бұрын
최고의 아름다움은 균형입니다!! 감정중독에 빠져 말실수를 하는 사람이나 욕을 하는 사람들은 말을 줄여야 한다 그러나 그런 감정중독에 빠진 사람을 알아보며 감정조절이 가능한 이성적인 사람들은 조용해서는 안된다 오히려 말을 늘여야 한다 이성적이고 긍정적이고 지적인 말!로 감정에 빠진 이들을 건져내고 격려해주는 삶을 살아야 한다 *사람의 품성(=개념)은 (사회적)감정과 이성의 합*이다 올바른 품성(=개념)을 가지지 못한 사람은 (사회적)감정과 이성의 균형이 깨어져 있다 그들은세련되지못하다 균형이깨져 양극단으로 갈 경우 감정중독이나 이성중독에 빠진다 감정중독자들은 자신이 경험한 감정이 제일 중요해서 자기만 보인다 이런사람들은 다른 사람을 욕하거나 자기를 욕하거나 자기 자랑하거나 다른사람을 자랑한다 여러가지 부정적인 감정에 빠지는것이다 이성중독자들은 그들이 키운 이성의 힘이 최고라고 믿고 제일 가치있다고 여긴다 그들은 오만하거나 공감능력이 떨어진다
@user-kt3ww4qb4m
@user-kt3ww4qb4m 24 күн бұрын
" 그러면 그 여러 가지 개념 중에 어떤 개념이 중요하냐면.. 바로 사회적 개념을 갖고 있느냐..이 문제로 귀결되는 것. 우리는 그러면 능수능란하게 감정을 전개하는 이유가 뭐냐..언어를 써서 그런거에요. 결국 우리 개개인이 인생을 만족하게 마무리하느냐 성공하느냐 이 문제는 ...본인의 내면의 세계에 들어가면 본인의 감정이 만족스러우면 그야말로 최고죠. 그것으로 끝나는 것이잖아요 사실은..그런데 이 감정이라는 게 알고 봤더니 실체가 상당히 다른 데 있구나 하는 것을 발견한 거에요....감정은 예측하고 링크되어 있고 감정은 개념하고 목적하고 연결되어 있죠. 그런데 우리 몸은 내 내부에서 일어나는 것이잖아요. 내 내부에서 일어나는 것도 다 예측 해야 해요. 배가 고프면 내가 점심을 한 시간 후에 먹을 것인지...내부에서 올라 오는 모든 정보에 대한 현 상태의 측정 값..그것이 affective, 정동이고 쾌,불쾌인 것이에요. 우리가 구체적 감정은 뭐냐 하면 ..그 정동이 사회적 개념의 옷을 입으면 그게 바로 구체적 감정이 돼요. 다른 사람하고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행동을 해야 되잖아요. 행동하는 과정에서 개념이 출현하는 것이고, 행동에는 반드시 목적이 있고 목적에서 곧장 만들어지는 게 개념. 행동과 목적과 개념은 결코 분리될 수 없는 동일한 것. 타인 속에서 행동하는 과정에서 생긴 것...사회적 개념. 우리 몸의 목적은 살아 가는 것. 우리의 감정은 신체를 유지하기 위한 그 목적이 사회적 개념의 옷을 입을 때 만들어 지는 게 희노애락......" 본분 내용 중 일부
@VVIP69
@VVIP69 24 күн бұрын
다필요없고 회사에서만큼은 말을 안하는게 맞다
@fiorikim5702
@fiorikim5702 24 күн бұрын
확실 합니다. 말을 아낄수록 이미지가 좋아 집니다.
@ekkc0825
@ekkc0825 24 күн бұрын
맞습니다
@user-rb7sl6el4d
@user-rb7sl6el4d 24 күн бұрын
말안한다고 트집잡는 ㄴㄴ이있음 나르 그래서 내가 빡치기를 바라는 ·· ㅎ 그바램은절대 안이루어질것이다
@user-ub8qc6uc2f
@user-ub8qc6uc2f 24 күн бұрын
말안하니 뒷담화에 왕따ㅋㅋ으휴 그시간을 이겨내고 여왕벌 놀이하던 년은 퇴사해서 지금은 좀 괜찮아지고 사람들과도 그럭지럭 지내고 있지만 꼰대들은 여전함
@user-jh2wr8ls3m
@user-jh2wr8ls3m 24 күн бұрын
맞습니다.딱 필요한 말만 짧게 정확하게 따뜻하게 전달하는 사람이 제일 감사합니다❤
@JuyongJacobKim
@JuyongJacobKim 16 күн бұрын
청국장 맛집이라고 들어와서 봤더니, 한식부페 함밭집 먹고나온 느낌이네요~잘 먹었습니다.^^
@Iiiililllii
@Iiiililllii 3 күн бұрын
와 놀라운 인사이트 통찰력이세요 의미전달도 너무나 명료하고 잘됩니다 여러번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xo9mc4sk7u
@user-xo9mc4sk7u Күн бұрын
감탄만 나옵니다 엄청난 통찰력 이라는것이 이해가 100% 안됐는데도 알수있어요 여러번 반복시청해야할것 같아요
@Izumi18_
@Izumi18_ 24 күн бұрын
정말... 박문호 박사님영상은 10분도 1분같을만큼 재밌어요! 신기해요 박사님의 화법이 너무 재밌어요 뭔가 한마디 한마디 지날때마다 점점 흥미로워지는 느낌 ㅋㅋㅋ 무엇보다 자신의 일을 사랑하심이 느껴지시는 프로페셔널 존경합니다!!! 감정은 자연스레 느껴지고 올라오기보다 판단에 의해 생성된다 라고 이해하면 잘 이해한걸까요 엄청 신기하네요 개념 [가치관] 을 바꾸면 예측 [ 바라보는 시선 ] 이 바뀐다 이것도 맞는건강 좋은 말씀이네요
@bonytomas
@bonytomas 24 күн бұрын
인간은 혼자 살지 않는 하는 모든 희노애락은 원하든 원치않든 겪게 된다는 거네요. 어차피 그럴 거라면은 그희노애락을 받아 들이는 수밖에 없고 그걸 얼마나 본인이 컨트롤 할 수 있느냐로 귀결 되겠네요.말씀하신 개념 정의도 본인이 언어적 능력이 뛰어나고 생각을 정리 하는 힘이 있는 사람이라면 그 개념도 본인이 사회 생활을견딜 수 있을 정도로 합리화 하면서 살아갈 수 밖에 없다는 거네요. 그게 잘 안 되는 사람이 우울증에 걸리고 생활이 힘들다고 하는 거구요.이렇게 과학적으로 예를 들어서 설명해주니 완벽한 이해가 되요.
@user-ej8cl9be2s
@user-ej8cl9be2s 24 күн бұрын
소통과 공감능력은 유전+경험÷환경+인지적노력
@bonytomas
@bonytomas 22 күн бұрын
@@user-ej8cl9be2s결국 그 능력치가 현저하게 적은 유전자가 현대사회에서는 도태 되겠죠
@meyi3842
@meyi3842 24 күн бұрын
알맞게 말할 것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sx4ns5dy6v
@user-sx4ns5dy6v 22 күн бұрын
너무 안해도 그렇고 많아도 그렇고 균형이 중요한 거 같아요
@user-fy9qz1ew5w
@user-fy9qz1ew5w 24 күн бұрын
속을 알 수 없는 사람이 되라...머 인생 한 100번쯤 살면 그럴 수 있지...한번 사는 인생이다...가리고 감추고 까발리고 할것 없다...남한테 피해만 안준다고 전제 된다면 하고 싶은대로 하고 살아...😅
@Engelsprinzessin
@Engelsprinzessin 24 күн бұрын
근데이건너무유토피아적생각이고 당장 사회생활하다보면 사람이 짐승이고 미물인지라힘들죠,,ㅎ 말을줄이자아,,
@praying4hizkingdom
@praying4hizkingdom 24 күн бұрын
맘대로 살면.. 근데... 본인이 손해라서😅😂그래서 1번 인생 잘 살라구... 노력해야하는 거임
@derek-je9dp
@derek-je9dp 24 күн бұрын
​@@Engelsprinzessin이것도 맞죠.. 1을 보고 부풀려서 소문이 퍼지니
@user-vw7lz2lx5n
@user-vw7lz2lx5n 24 күн бұрын
​@@derek-je9dp딩동댕
@user-ej8cl9be2s
@user-ej8cl9be2s 24 күн бұрын
인간들과 부딪히기 싫은 이유. 속을보이지마라. 나는 처음엔 안보여도 표정. 숨은행동보면 어떤인간인지 보이는데 모르는척 하는편. 그리고 언행불일치가 잦으면 같이 안어울림. 에너지를 쓸필요가 없음.
@cre2478
@cre2478 24 күн бұрын
내감정을 일으킨 상황에 대한 개념을 바꾸면 감정을 바꿀 수 있다는 것 같습니다
@user-jx5se2zi7l
@user-jx5se2zi7l 24 күн бұрын
그 방법을 구체적으로 말씀해 주셨으면 좋았을 것 같아요
@seungjinkim5118
@seungjinkim5118 22 күн бұрын
구체적으로 마지막에 이야기해줬어요 ㅋㅋㅋㅋㅋㅋㅋ 개념을 바꾸면 예측이 바뀌고 행동/의미/내몸의 컨트롤이 바뀐다고요!!!😊
@user-jx5se2zi7l
@user-jx5se2zi7l 22 күн бұрын
@@seungjinkim5118 그건 알겠고요 구체 예시 들어 하면 좋겠다는 말입니다 ㅎ
@user-jx5se2zi7l
@user-jx5se2zi7l 22 күн бұрын
@@seungjinkim5118 ㅋㅋㅋㅋ 은 비웃음인가요? ㅋㅋ 거기까지 못알아먹는 사람도 있나요? 구체 예시를 들어 주면 더 좋겠다는 뜻이지 ㅋ
@goldstacker9999
@goldstacker9999 18 күн бұрын
​@@seungjinkim5118 그러니까 저는 지금 사기꾼에 당해서 짜증나는 상황인데 자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 상화의 개념을 바꿔 제 김정을 바꿀 수 있는지 말해봐요
@Takk2
@Takk2 13 күн бұрын
와 귀한 영상이네요 다음에 또보겠습니다
@EOD_CSP
@EOD_CSP 24 күн бұрын
자신을 버리면서,자신을 속여가며,자신을 힘들게하는 말을 하지말라는 것입니다. 그런 말들은 언젠가 자신에게 오고, 또 자신을 버리게하고 또 자신을 속이며,또 자신을 힘들게 하기 때문입니다. 말은 자신을 즐겁게 하게하고,자신을 지키려고하고,자신을 힘내게 하려는 말을 하라는 것입니다. 그것이 대화이고,경청이며,인간 또는 사회 관계라는 것입니다. 흔히 요즘은 다들 말을 막하면서 하지 않아도,안해도,하면 안되는 말들을 많이 하기 때문입니다. 그게 핵심입니다. ^^
@eunjimoon2410
@eunjimoon2410 24 күн бұрын
영상이랑 어떤 상관이 있죠?
@goldstacker9999
@goldstacker9999 18 күн бұрын
이생망같은?
@user-kt3ww4qb4m
@user-kt3ww4qb4m 24 күн бұрын
16분 길이의 영상에서 이 어려운 주제에 대해서 ...뭔 결론이 뭐냐니.. 그리고 박문호 박사가.. 누가 말을 하지 말라고 그러나..사람들이 보통 흔히 말하기를 ..말을 줄여라. 경청해라..라고 말들을 하는데 ... 그것을 더 파고 드는 연구가 없다. 그런데 그게 일리가 있고 그것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뇌과학자들이 연구한 것을 토대로 말해 보겠다. 이것이 여기 박문호 박사가 언급한 것임. //저도 깊이 있게 이해는 어렵지만..말 잘하고 타인을 잘 이해하고 사회생활 잘 하고 그런 센스 있는 인간이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감정이 중요하다. 감정 상태에 만족하면 그게 행복이라는 것. 그러면 감정이 뭐냐...본인 신체안에서 느끼는 affective(정동)에 사회적 개념이 포함될 때 감정이라는 것.인간은 반드시 목적 있는 행동을 하고 그것은 개념에 근거해서 한다. 자기가 살아가기 위한 신체반응이 사회적 개념이라는 옷을 입을 때 감정이라고 하고 그게...희노애락 등등등. ///돌아가서.. 왜 말을 잘 하려는 것인가? 그 목적이 무엇인가? 말을 잘했냐 못했냐는 그 중간에는 잘 알 수 없지만 끝나고 나서는 알 수가 있다. 내가 말하는 동안에 들어갔던 모든 감정의 총합을 평가해 보면 된다. 상대가 내가 말하고 싶은 목적을 다 따라오면 바로 그게 가장 최고의 커뮤니케이션이다. 그럴려면 내가 갖고 있는 개념이나 상대가 갖고 있는 개념을 동시에 공유해야 한다. 공유된 게 없으면 감정이 생기지 않는다. 감정은 본능적인게 아니라 구성되어지는 것이다. 그래서 혼자서 만들어 지는 것을 감정이라고 해서는 안된다. 다른 사람과 상호작용을 하는 과정에서 행동을 해야 하는데.. 그 과정에서 반드시 목적이 있어야 하고 개념이 있어야 한다. 목적과 개념은 분리될 수 없는 동일한 관계다. 시기심,질투심,왕따당하는 것, 우쭐대는 것 전부 다 타인 속에서 행동하는 과정에서 생겼다. 바로 사회적 감정,사회적 개념. // 우리 몸을 통해서 만들어진 개념 중에 가장 높이 있는 것..항상 작동하고 있는 것이 자아라는, 나라는 개념이다. 이게 개념에서 나온 것이다. 개념에서 예측이 나오고 여기서 또 세 가지를 만든다. 행동,의미,통제. 내 몸을 컨트롤하는 모든 정보가 개념화돼 있는 것을 감정이라고 했죠. 그 감정을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이 있냐? 있다. 바로 개념을 바꾸라는 것. 그러면 예측이 바뀌죠. 그러면 행동이 바뀌죠. 또 내 몸을 조절하는게 바뀌죠. 그러면 개념은 바로 뭐냐 하면 ...우리가 쓰는 언어입니다. 말이고 문자다.///그래서 말 잘하는 게 지난 약 3,000년 동안 계속되지만 지금도 진행중인 이유가 바로 개념의 세계이기 때문. 개념이 왜 중요하냐. 개념이 없으면 각자 각자의 세계는 사라지니까. 개념이 없으면 경험을 할 수 없고..개념이 없으면 우리에게 들어오는 모든 감각 입력은 잡음에 불과. 그래서 감정을 잘 다스린다는 ...감정에 관한 상황을 개념으로 바꿔 놓으라는 것. 그러면 바로 예측이 나오고 그 예측 하에서 우리의 행동과 의미와 나의 생명이 유지된다는 것. 내 몸을 컨트롤 하게 된다는 것.
@mreverything1844
@mreverything1844 24 күн бұрын
너무 똑똑하신 걸요~? 어떤 글이나 영상을 보고 체득하여 내것으로 만든 후 논리적으로 출력을 잘하는 사람들이 대체적으로 똑띡한 사람들이 많던데 총명 똑땍이 십니다~👍 학생때 공부 무지 잘 하셨을 듯!
@user-kt3ww4qb4m
@user-kt3ww4qb4m 24 күн бұрын
@@mreverything1844 과찬이십니다. 고맙습니다. ㅎㅎ
@guamch
@guamch 3 күн бұрын
감정을 개념화해라.☞ 감정에 끄달리지 않고 객관적으로 감정을 바라봄.
@derek-je9dp
@derek-je9dp 24 күн бұрын
적당히가 중요하죠. 말 원래 없는사람은 말 더 해야합니다 ㅠ
@blackpanther-dn6wk
@blackpanther-dn6wk 24 күн бұрын
필요한 말만 하면 됨.너무 말안하는 것도 상대방에 예의가 아니요 말이 많으면 더 문제요 입닫고 있다고 다 좋은 것은 아니요 네 아니요 좋다 아니가 얼굴 표정이 중요 하다 말너무 안하면 뒷통수 때려 주고 싶을때도 있다.
@user-km5vy6ps1v
@user-km5vy6ps1v 16 күн бұрын
"넌 대체 무슨 생각하는지 속을 알 수가 없어. 말좀해줘" 제 주변 지인이랑 연인들에게 들었던 말입니다.. 속이야기를 솔직하게 말하고 그 생각이 올바른 사람이 인기가많은거지. 말만 안한다고 인기많은거 아닙니다..
@user-hk7oh8db6z
@user-hk7oh8db6z 22 күн бұрын
추상적 개념일수 잇는 내용들을 , 어렵지 않게 잘 풀어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개념이 없다... 라는 말의 뜻을 정확히 느낄수 잇는 , 좋은 영상였습니다 한 인간에게 있어, 개념의 값이 , 행동, 말에 모두 묻어나며 , 나아가 감정이나 사회서 표현 하는것까지도 .... 곧 말을 잘하기 위함에서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거였다는 걸 , 내용 이해가 쏙쏙 잘 되었다습니다 ( 여기서 개념을 똑바로 세우기 위한 학습과 -경험은 , 어떻게 정립되는지까지... 도 궁금하네요 ) 박사님 영상 더 살펴보겠습니다
@kielee7831
@kielee7831 24 күн бұрын
말을 잘 한다는 것이 결코 녹녹치 않음을 확실하게 갈파해주셨네요. 허긴 대단한 위인들도 마눌에게는 허벌나게 깨졌다지요. 이런 저런 한계를 따져볼 때, 인생을 많이 산 소위 꼰대들이 생긴대로 그저 입에서 나오는 대로 내뱉고 숱한 실수를 개무시하며 고집스럽고 당당하게 사는 것도 일종의 대단한 지혜네요. 어쩔 수 없는 실수를 돌아본다는 것이 결코 이롭지 않음을 완전하게 터득한~ 게다가 크게 볼 때 나 개인의 말 말고도 사회적으로 피해가 막심한 사건들은 차고 넘치니까~
@ilililililililll
@ilililililililll 24 күн бұрын
오 마이 사이언스 ㅋ ㅋ ㅋ ㅋ ㅋ ㅋ ㅋ ㅋ ㅋ ㅋ ㅋ 진짜 중독된다 1시간 반복 없나
@user-eb7fp1zf4c
@user-eb7fp1zf4c 10 күн бұрын
와우 멋져요 말씀너무 잘하시네요~~어렵지만 과학적 접근이라...여러번 보고 외워서 실생활에 유용하게 적용시겨야겠습니다..
@nameless4229
@nameless4229 24 күн бұрын
뇌과학의 종점에 이 동영상이 있다는것은 잘 알수있는 강의였습니다
@user-ie5gs5pw8m
@user-ie5gs5pw8m 24 күн бұрын
어려워서 제가 이해를 못하는데, 여러 번 반복해서 들어야 겠습니다 감사합니다
@wlsrmfjdnjrlffdj
@wlsrmfjdnjrlffdj 24 күн бұрын
저도 같은 걸 느꼈습니다 100중 10정도만 알아들었어요;; 계속 반복해서 들으려고요 너무 좋은 내용인 것 같아요 제가 부족해서 못 알아듣는 것 같아요 반복해서 보고 좋은 문구는 적어서 새기고 싶아요!!!
@user-ie3mr4vc8n
@user-ie3mr4vc8n 24 күн бұрын
본 영상이 내용이 산만하고 주제가 명확하지 않은 영상이라서 그렇습니다.
@user-zq8cu1yt4l
@user-zq8cu1yt4l 24 күн бұрын
​@@user-ie3mr4vc8n완전 동감요ㅋㅋ 이분 특징임
@user-ot7qz8uz5h
@user-ot7qz8uz5h 24 күн бұрын
개념과 감정은 조금 다른 문제 같아요. 연관은 있지만요. 개념은 지식. 감정은 무릎 신경 반사처럼 무조건 반사?! ..? ㅎㅎ
@changsoochung4246
@changsoochung4246 24 күн бұрын
맞아유^^ 어렵네유^^
@infinitedecision.risky.age88
@infinitedecision.risky.age88 17 күн бұрын
아는척 하는것은 더 공부하고 싶은 욕망을 부추겨 준다.
@user-ge4ml2rg2f
@user-ge4ml2rg2f 24 күн бұрын
와 끝까지봤는데 결론이 없다닝 그래도 객관적으로 보려는 시선은 너무 좋습니다 인생은 그래서 계속해아할 숙제인가봐요
@shortravel123
@shortravel123 24 күн бұрын
단순히 속을 알 수 없고 말수가 적다고 사람이 붙지는 않아요. 돈이든 능력이든 뭔가가 있어야 사람이 붙죠. 말이 많거나 경박해도 돈있거나 능력있으면 사람 붙어요 그리 큰 상관관계가 있어보이지도 않으나 이런걸로 “내가 말이 많아서 사람이 안붙나” 착각하시는 분이 없길.
@user-bk8iv2ps2y
@user-bk8iv2ps2y 15 сағат бұрын
대화는 결국 내 목적을 위한 행동인데 대화의 목적은 상대방에게 내 의도를 명확히 전달하는 것이다. 그런데 내 대화 속 내용이 상대방이 대화를 유지하려는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면 감정이 발생하지 않고 대화는 내 목적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즉, 대화를 잘하려면 상대방과 나의 개념을 일치시켜야 하고 의도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기술을 사용해야 한다. 상대방과 나의 개념을 일치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상대방을 잘 알기위한 노력이 먼저 필요할 것 같네요
@johnkwon400
@johnkwon400 24 күн бұрын
개념이 있어요 그리고 다른개념이 만나면 새로운 인사이트가 나오죠 근데 이 짧은 영상은 책몇십권의 인사이트가 함축되서 들어가 있습니다 그걸 박사님이라는 브레인 체계를 통해 듣게되죠 박사님이라 가능한것같기도 하네요
@user-vw6zt3oe2y
@user-vw6zt3oe2y 24 күн бұрын
교수님 말씀하신 이번 내용은 리사 펠드먼 배럿의 '감정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의 책 내용과 유사점이 많은 것 같습니다. 저도 이책 읽으면서 좀 어려웠는데 교수님 말씀 듣고 정리되는 것도 있는것 같구요.... 항상 좋은 말씀 해 주시는 것 도움 많이 받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TravelerC
@TravelerC 23 күн бұрын
쉽게 말해 지금 무슨 감정인지, 어떤 상황인지, 왜 그런 건지 등을 알고, 예측이 틀렸으면 감정을 바꾸려드는 게 아니라, 생각을 바꿔서 예측이 들어맞게 만들라는 말씀이신 것 같아요. 감정 조절을 하라고 하지만, 그 감정 자체는 몸의 반응일 뿐이라 그걸 조절하라는 건 말이 안되는 거고, 인지적인 접근을 하라는 것. 생각해보면 확실히 그래요. 일상에서 말하는 감정조절이란, 참거나 잊어버리라는 말이죠. 그리고 그건 사실 감정조절이 아니라, 감정억압이 되구요. 말씀하신 것처럼 조절되지 않은 감정은 해소될 때까지 계속 남아있구요. 개념을 잘 알고, 하고자 하는 말을 내가 원하는 대로 상대가 받아들일 수 있게 대화하는 것이 말을 잘하는 사람이겠죠. 여기에는 듣기와, 적절한 양의 말, 비언어적 표현 등도 포함되겠구요.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공부가 되었네요!
@seungjinkim5118
@seungjinkim5118 22 күн бұрын
님 댓글 덕에 이해가 더 쉽게 되었습니다.
@goldstacker9999
@goldstacker9999 18 күн бұрын
이게 불교죠
@goldstacker9999
@goldstacker9999 18 күн бұрын
👍
@haim7512
@haim7512 23 күн бұрын
인간도 동물과 같은 감정이 있으며 언어나 글자 자체가 추론적인 것이며 사회적 개념이 더해지면서 좋고 나쁘고 구분의 개념이 생겼고 시대나 지역에 따라서 같은것이 좋은것이 되기도 나쁜것이 되기도 했습니다. 감정은 본능적인 것이며 개념이 감정이 되기도 하고 감정이 개념이 되기도 합니다. 부정적인 상황을 벗어나기 위해서 과거의 기억을 이용한 추론으로 미래를 예측하려고 노력하고 있고요.
@user-wr8eh8qj6c
@user-wr8eh8qj6c 24 күн бұрын
말안하고 듣기만하고 입꾹닫고있는사람 사람들이 좋아안합니다 말도 서로주고받고 사는얘기하며 즐겁게 살아야지요
@kyungy.2177
@kyungy.2177 24 күн бұрын
박사님, 늘 잘보고있습니다. 대구 한번 와주십시요! 기다리겠습니다!!
@goldstacker9999
@goldstacker9999 18 күн бұрын
님이 오세요 어디서 오라가라야...
@user-jh1qi4fe3n
@user-jh1qi4fe3n 22 күн бұрын
말 잘하는 사람 센스 있는사람 감정이 살아 있는사람 공감 잘 표현 하는 사람 만나고 싶다.
@user-zd4uz3uf6l
@user-zd4uz3uf6l 8 күн бұрын
온전히 이해하기는 어러운 강의. 추상적이예요.
@SHHan-li8nz
@SHHan-li8nz 24 күн бұрын
제작진도 편집하다가 잘 이해 못하는듯 썸네일도 강의 내용과 어긋난 느낌 제작진도 솔직히 말해봐요.. 모르겠죠?ㅋㅋㅋㅋㅋㅋㅋㅋㅋ
@shiftpower3681
@shiftpower3681 24 күн бұрын
편집자도 이해를 못하니 제목도 엉뚱하게 뽑힘 ㅋㅋ
@user-hr2nh9zx6l
@user-hr2nh9zx6l 24 күн бұрын
속을알수 없는 사람은 꺼려짐
@user-cy4hp4fr5x
@user-cy4hp4fr5x 11 күн бұрын
박사님이 알아듣기 쉽게 말을 잘 못하는 건지.. 내가 멍청한 건지.. 아님 둘 다인지.. 책을 사서 읽어야겠따
@user-pe7sx9vq8f
@user-pe7sx9vq8f 24 күн бұрын
내아(我)에 빠져 있지 말라. 상대,타인의 아(我)도 독립적으로 존재하면서 내 앞에 앉아 있다. 서로의 아(我)가 조화로울 때 서로의 감정이 만족되면서 이상적 대화가 된다. 말은 내 아들, 딸과 같다. 정제되고 정제 된 말을 만든 후에 내 보내라. 연애할 때 부모님이 지식들에게 하는 말은 얼마나 정제시켜 내보내는 가. 연애편지를 쓸 때 얼마나 신중히 단서를 고르고 골라서 선택..수십번 읽어본 후 보내지 않는가. ㅡㅡㅡ 감사합니다,박사님.
@user-fh3pg9bi6t
@user-fh3pg9bi6t 24 күн бұрын
직업과 사회적 지위에따라 환경 문화 수준 나이 병력 외모 건강 자본등 여러가지 요인에 따라 다릅니다. 마치 노숙자가 옳은 말해도 절대 안듣는 것처럼.
@oklu_
@oklu_ 7 күн бұрын
어느 정도의 자기 오픈은 관계와 신뢰에 매우 좋음. 단 자기 얘기 '만' 하고 다른 사람 이야기를 듣는데는 시간과 에너지를 할애하지 않는 것이 문제인 것. 결국 균형의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user-sn6uk3eg3v
@user-sn6uk3eg3v 24 күн бұрын
마음의 창문이 활짝 열리는 느낌입니다~ 삶의 지혜 행복감/만족감/자존감이 올라가는 시간 감사드립니다 박사님 존경스러워요~ 기회되면 직접 뵙고 싶어요~^^
@bonytomas
@bonytomas 24 күн бұрын
그리고 마자요 우리 사회는 남이 자랑하는꼴을 못보는 사회가 되었어요. 사실 엄밀히 내가 잘될려면 남의 자랑을 듣고 그 정보를 공유해야만 나도 성장하는데 우리는 애초 그런 공유조차도 못받아들이는 시기와 질투의 세상이 되어 버렸어요 그건 왜냐면 어릴때부터 과도하 경쟁에 놓여버려서 내가 조금만 못하다고 느끼면 모든사람이 밟혀버릴수도 있다는 강박이 만들어낸 사회라고 봐요. 열린사고는 남들의 의견을 잘 받아들여야 더 커지는데 말이죠 그런면에서 박문호박사님의 남의자랑이 공유되어야 하고 그래서 더띄워줘야 그사람이 자신이 알아버린 중요한 지식을 남에게 쉽게 전파할수 있음도 알아야 한다는거에 동의합니다.조금만 자랑질 하면 여초는 나르라고 하고..나르시스트 정의가 잘못내려져서 큰일.우리나라는 자존감 나르시스트 다 정의가 잘못내려져서 고생하는나라..사실 이것도 개념이라는 범주에서 생각의 정리가 잘못내려지면 감정이 잘못정의내려지는거라고 봅니다.아무튼 남의자랑에 대한 관용이 필요한 사회 맞다고 봐요
@user-by9eb3xd9d
@user-by9eb3xd9d 23 күн бұрын
SNS에 자신의 하루하루를 자랑하는 사람들이 넘쳐나고 그 밑엔 찬양하듯 옹호하는 댓글들이 수두룩히 달리는게 진짜 현실아닌가요? 괜히 '시녀'라는 단어가 생긴게 아닌데?
@bonytomas
@bonytomas 22 күн бұрын
@@user-by9eb3xd9d 박문호 박사님이 말씀하신 자랑이 인스타에 사진 올려서 일상 자랑 한 걸 말하는 게 아닌데요. 박문호 박사님 동영상 들으신 건 맞아요.?그런 자랑 사진은 내가 배울 건 없어요.😪
@mid327076
@mid327076 24 күн бұрын
전 속을 알수없는 사람 멀리하는데여?? 차라리 자기 감정표현에 무례하지만 않다면 솔직한 사람들이 좋음
@derek-je9dp
@derek-je9dp 24 күн бұрын
저도용
@guamch
@guamch 3 күн бұрын
동물은 말을 못하기 때문에 감정의 종류가 한정되어 있죠. 사람은 말을 하기 때문에 자신의 운명을 원하는대로 바꿀 수도 있지만 그것은 자각능력이 뛰어난 사람이고 대부분은 자기가 말하는대로 살다가 끝나버리고 말죠. 내가 누구인지를 알려면 내가 늘상 하는 말을 적어 보면 알고 상대가 누구인지 알려면 그 사람이 늘상 하는 말을 보면 알아차리는데 그것은 객관적인 심리상태 즉, 집착하지 않아야 보고,듣고,느끼죠~
@Talk-iu6de
@Talk-iu6de 21 күн бұрын
경청이 중요하다는 건 많이 강조하는데 현실에서 어려운 이유는 비용 때문입니다. 그 비용이 바로 시간입니다. 나에게 중요하지 않은 것은 경청해서 시간 비용을 쓰기가 아깝죠. 사는 게 바쁘다 보니 많은 모든 만사에 시간을 들여 경청하기가 정말 어렵습니다. 나에게 중요한 것만 몰입해서 경청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이게 현실이죠. 100% 다 경청할 수가 없어요. 세상 모두에게 경청할 수가 없어요. 중요하지 않은 부수적인 쓸 때 없는 일에 집중하지 말고 내 앞길에 내 발전, 나의 가족, 나의 일에만 경청을 많이 해야 해요.
@goldstacker9999
@goldstacker9999 18 күн бұрын
어쩜 강박일 수도 있어요 효율적이고 생산적인걸 해야만 한다는..
@Talk-iu6de
@Talk-iu6de 13 күн бұрын
@@goldstacker9999 개인적인 성향의 측면에서는 일리있는 말씀이라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사회 기업에 소속되면 혹은 내가 사장이 되더라도 결국 가성비 있는 생산성을 추구해야 나의 가족과 나의 가치관을 추구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찾을 수 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스스로 돌아볼 때 어찌보면 이런 면에서 내로 남불인 것 같기도 합니다. 남의 이야기를 경청하는 것은 비생산적이라고 간주하고 나의 요구를 들어달라는 것은 로맨스고... 참 세상 모든 만사가 길장이단이 없는 것이 없는 것 같습니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위 영상은 좀 베풀고 살아라~ 라는 메세지를 전하는 것 같기도 합니다.
@user-kk5qn6dz1p
@user-kk5qn6dz1p 17 күн бұрын
1984가 생각나네요. 빅브라더가 체제유지를 위해 어휘를 계속 말살해 가던 과정. 단어를 없애서 생각자체를 하지 못하게 만드는… 배경지식이 다르면 개념이란 것도 각기 다르게 될텐데… 공감이라는 것도 쉽지 않고. 공감도 그저 공허한 울림인지…. 각자의 방식으로 서로를 이해하기 위한 노력일지. 더 잘 이해하기 위해 더 공부해야겠습니다.
@Peace351
@Peace351 21 күн бұрын
그동안 말 잘하는 방법에 관심이 있어서 관련 책들도 읽어보고, 그걸로 머리 아프게 고민도 해보고 했었는데… 이 영상 보고나니 괜한 짓을 했나 싶네요. 결국 말하는 동안 스트레스 안 받고, 그러면 되는 건데, 타인과 말하는 동안에도 책 속의 이론을 생각하고 있었으니… 참 바보 같은 짓을 했나 싶네요. 결국 모든 것은 감정이라는 걸, 박사님 덕분에 다시금 깨달았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하고, 꼭 오래오래 사셨으면 좋겠습니다.
@user-kn3yn6dd8i
@user-kn3yn6dd8i 24 күн бұрын
와우 !!! 끝내준다 !!!
@nalinchoi9365
@nalinchoi9365 Күн бұрын
박사님, 그렇다면 직관은 뭘까요? 바로 순간과 찰나에 개념은 모르겠어도 펼쳐지는 느낌은 뭘까요?
@user-gw6kv8vf7l
@user-gw6kv8vf7l 19 күн бұрын
최근 들었던 어떤 강의나 책보다 더 의미있는 말씀이었던 거 같아요
@eunyounglee-zy8qy
@eunyounglee-zy8qy 24 күн бұрын
잘보고가용. 😊😊😊
@olivia-sn7uq
@olivia-sn7uq 19 күн бұрын
감정에 타격을 받게 되고 그 횟수가 많아져서 감당이 안되면 우울증도 오는 것 같습니다. 남이 나를 공격하거나 부당하게 대하거나 비하하는 말을 할 때 절대 당하지 말고 싫다는 표현을 해야 건강하게 살아가게 되는 것 같아요. 상대가 나를 비하하거나 무시하거나 막말하고 이럴 때 나의 감정을 무엇인지 스스로 알지 못하고 뭔가 기분이 오묘하게 나쁘다가 집에 가면 내가 왜 그랬을까 이불킥 하게 되잖아요. 감정일기를 쓰라고 하네요. 어떤 말과 상황일 때 나으 감정은 무엇인지 스스로의 감정을 느껴지는대로 일기를 쓰다보면 나의 감정을 파악하게 되고 나와 좀 친해진다고 해요. 그럼 상대가 무시하거나 기분 나쁘게 하거나 할 때 내 감정을 어떤 식으로든 표출할 수 있다네요. 결국 나와 친해지고 스스로가 느끼는 바를 알게 될 때 비로소 건강하게 분노를 표현할 수 있게 되고 타인과 잘 소통하게 되구요.
@user-zc4tq2rp3s
@user-zc4tq2rp3s 11 күн бұрын
그래서 우리가 하는 모~~든 행동을 초 단위로 분해하는 훈련을 하셔야 된다는 거예요
@user-vr4yn4kl5z
@user-vr4yn4kl5z 23 күн бұрын
교수님, 정말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hae-kwonseo8973
@hae-kwonseo8973 23 күн бұрын
감정, 그 진실에 대해서 잘 배웠습니다. 참으로 위대한 가르침에 감사합니다!!!
@user-moon65
@user-moon65 15 күн бұрын
문호박사님 짱! 아이에게 박사님 말씀 듵려주고 싶어요. 반은 알아듣고 반은 못알아듣겠죠?ㅋㅋ
@user-gz2je6jd5n
@user-gz2je6jd5n 20 күн бұрын
와..... 나 이분이 하는 영상 다 너무 흥미롭고 잼있고~~완전 좋아요!!!
@yulbbang83
@yulbbang83 7 күн бұрын
나르같은 사람에게 사람이 모이는것같습니다.. 안친하면 완전 대면대면하다가, 자기가 필요하면 언제그랬냐는듯이 삭 붙을때, 그때 대부분의 사람이 넘어가더라구요..본인 언제 배신당할지모르고..
@user-nb1ti7sm8e
@user-nb1ti7sm8e 24 күн бұрын
너무 재밌어요
@user-zg9cq3he5h
@user-zg9cq3he5h 6 сағат бұрын
남의 말은 돈 받고 들어줘야해~나의해방일지 중^^
@mhahn8144
@mhahn8144 24 күн бұрын
행복했어요 덕분에❤❤
@haim7512
@haim7512 23 күн бұрын
동물도 감정을 가지고 있지... 인간은 그걸 상위 개념의 단계로 가져와서 분석할수있다는 것만 다름.
@scinmoon302
@scinmoon302 23 күн бұрын
리사 펠드먼 배럿의 책내용 요약해주신거 잘 들었습니다. 그런데 동물이 감정이 없다구요? 박사님께서 애정하시는 안토니오 다마지오도 동물 또한 감정과정이 전개된다고 그의 책에서 말하고 있지요(박사님께서 직접 감수하셨어요). 프란스 드 발의 책에서도 동물의 감정에 대해서 확인할 수 있구요. 다음에 안토니오 다마지오의 느낌에 관한 견해도 부탁드립니다. 박사님께서 위 영상에서 요약해주신 리사 펠드먼 배럿의 책내용과 안토니오 다마지오의 이론이 상충되는 부분이 있는데 박사님께서 그걸 어떻게 조화롭게 설명하실지 궁금하네요. 전 물론 다마지오의 신체표지(somatic marker= 느낌)가설을 지지합니다.
@user-re7hp5sl5s
@user-re7hp5sl5s 24 күн бұрын
박사님❤ 감사합니다❤❤❤
@Mimi-km3sx
@Mimi-km3sx 24 күн бұрын
말을 안했더니 자꾸 우울해지는데 어쩌나
@user-xh3nr6fu7i
@user-xh3nr6fu7i 22 күн бұрын
와~~ 명확한 강의 놀랍습니다^^❤❤❤
@user-jf8sr9fj3o
@user-jf8sr9fj3o 23 күн бұрын
썸네일과 내용이 다른 것 같아요. ㅠㅠ😂
@user-kq2wq7gk1q
@user-kq2wq7gk1q 10 күн бұрын
속알수없는사람은 곁에두기싫어요 그런사람은 결국외롭게 혼자지낼거같아요
@user-vz9qf8rn9q
@user-vz9qf8rn9q 23 күн бұрын
감정을 과학적으로 설명하니 너무 재밌네요. 오마이 사이언스!!! 잘못된 개념부터 바로잡아야겠어요. 우울과 과잉불안의 시기를 겪고있는데 잘못된 예측을 계속돌리다 보니 거기에 함몰되서인가봐요 ㅎㅎ 심지어는 예측을 안하고 걍 행동부터 나갈때도 많았는데.. 이제 감정조절 다시해봅니다!! 😅
@user-jr7he6dr9o
@user-jr7he6dr9o 23 күн бұрын
주제가 뭔지 모르겠어서 무슨말을 하는지 모르겠어여.
@sjlee7265
@sjlee7265 3 күн бұрын
동물들도 감정이 있어요. 그물에 걸린 동료를 구하려는 고래, 죽은 친구곁을 지키는 개, 고양이 등...
@user-fo1kx5df3y
@user-fo1kx5df3y 24 күн бұрын
대단하십니다. 그런데, 이해를 잘 못 하겠습니다ㅠ
@KM-zf1um
@KM-zf1um 23 күн бұрын
10번 시청하세요 반복이 중요합니다.
@user-fl4cj3gd3n
@user-fl4cj3gd3n 24 күн бұрын
와 명료한 설명 🎉
@bwlee7824
@bwlee7824 24 күн бұрын
차라리 좋은대화하는법을가르켜라. 서로 말하지않는다면 만날이유가없지
@Jay-rx1ky
@Jay-rx1ky 24 күн бұрын
공감. 차라리 경청이라고 하는게 낫지 않을까..
@user-pt7lx7zq5z
@user-pt7lx7zq5z 24 күн бұрын
저기서 말한 공통된 개념을 공유하는 대화가 좋은 대화라고 핵심을 짚어주신것같습니다
@user-eu4dr7ys4p
@user-eu4dr7ys4p 24 күн бұрын
이래라저래라하지마
@user-go9zb8sj3l
@user-go9zb8sj3l 24 күн бұрын
이 나라는 대화 내용을 받아들이는 거 자체도 굉장히 예민함
@seungjinkim5118
@seungjinkim5118 22 күн бұрын
이래라저래라 하질 않았는데 저리 해석하면 개념공유의 실패일까, 개인의 망상일까...
Китайка и Пчелка 10 серия😂😆
00:19
KITAYKA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How to bring sweets anywhere 😋🍰🍫
00:32
TooTool
Рет қаралды 26 МЛН
Always be kind to others- sharing is caring ❤️-show love to others #shorts
0:17
Ваше мнение ?
0:40
Илья 7in
Рет қаралды 9 МЛН
白天使为什么会被小丑赶出去?#天使 #小丑 #超人不会飞
0: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