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에 '직구 금지'?? 기업 경쟁은 없애고 소비자는 손해보는 K-규제 끝판왕 근황 / 귀에빡종원 / 비디오머그

  Рет қаралды 197,532

VIDEOMUG

VIDEOMUG

26 күн бұрын

목요일 밤 갑작스럽고도 전격적으로 발표한 야심찬 '직구 금지' 정책.
여론이 뒤집어졌고 주말 내내 대한민국이 달아올랐습니다.
화들짝 놀라 대통령실까지 나서 사과하긴 했지만, 아직 그 어디에도 '철회한다'는 말은 없습니다.
6월부터 뭔가 하긴 한다는데, 도대체 뭘 한다는 건지 취재를 아무리 해도 불분명 한 상황.
6월에 벌어질 가능한 시나리오를 〈귀에 빡!종원〉에서 취재해 봤습니다.
#직구금지 #직구 #윤석열 #경제 #중국 #중국경제 #보복 #면세 #알리 #테무 #temu #ali #kc #빡종원 #귀에빡종원 #비디오머그
(취재·구성: 김종원 / 영상취재: 김태훈 / 편집: 김주형 / CG: 장지혜 권혜민 성재은 / 작가: 유진경 / 제작: 디지털뉴스제작부)
✔신뢰할 수 있는 재미, 비디오머그 VIDEOMUG
♨지금 뜨거운 이슈, 함께 토론하기(스프 구독) : premium.sbs.co.kr
▶비디오머그 채널 구독하기 : n.sbs.co.kr/mugTube
▶Homepage : videomug.co.kr
▶Facebook : / videomug
▶Twitter : / videomug_sbs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Пікірлер: 2 600
@user-sus7pe3uusju
@user-sus7pe3uusju 24 күн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철회한다고 안했음..........검토하고 계속 진행하겠다고 했음.. 혼동은 개뿔. 자기네들이 생각했던것보다 국민들이 멍청하지않아서 반발이 심한것같으니까 방심시키는것같음. 나중에 은근슬쩍 통과시키려고.
@user-mz3kk6fz9u
@user-mz3kk6fz9u 24 күн бұрын
근데 아무리 봐도 막는게 좋긴 해 보임. 명분도 국내인증을 안받은 물품에 대한 안정성 확보니까.
@user-hw8iz9si3f
@user-hw8iz9si3f 24 күн бұрын
​@@user-mz3kk6fz9u?? KC인증이 만능?? 인증받고도 매트리스 및 가습기 사태 인증이만능해결사임 ? 그리고 만약 그리된다면 중국도 개인직구 안되 해버리면 무슨 명목으로 막음 거기에 유럽 미국 제품도 직구 안되면 누구 손해임?
@toolbox950731
@toolbox950731 24 күн бұрын
@@user-mz3kk6fz9u 가습기살균제랑 노트7도 kc인증이였지
@palenopsisp7967
@palenopsisp7967 24 күн бұрын
@@user-mz3kk6fz9u그 인증이 잘되어있는거면 이렇게 반발이 심하지도 않았을 겁니다. 심지어 민영화 시켜놨는데요? 감리만 봐도 구멍숭숭인데 되겠어요?
@widb8evd8wg38dhsu
@widb8evd8wg38dhsu 24 күн бұрын
2찍 했으면 댓가 치러야지ㅋㅋㅋ
@soloracer7189
@soloracer7189 24 күн бұрын
민영화 시켰다고 하니 업체들 뒷돈받은 값을 해야해서 다시 하나 하나씩 시도할듯
@cch1763
@cch1763 24 күн бұрын
이 이상한 일을 누가 했을까? 이득을 보는 놈이 범인일텐데 시행령을 고쳐 영리 업체로 만들고 산자부 장관이 인증업체를 선정할수 있게 만들고 안전인증 범위를 정하는 것도 산자부 소속 기관 대통령이 산자부 장관을 임명하고 시행령 공표도 대통령이 하고 범인는 누구일까?
@parkjihun100
@parkjihun100 24 күн бұрын
영리화 해서 뒤에 해처먹을겁니다.
@ArkDanB
@ArkDanB 24 күн бұрын
Kc인증 민영 작업2년차
@user-vl2cy6jb9d
@user-vl2cy6jb9d 24 күн бұрын
현재 기준 KC 인증 기관은 비영리기업입니다. 이번 KC인증 사건은 이런저런 시행령으로 돈 빼먹을 작전을 짰는데 그게 망한거죠. 이번 KC인증 사태는 오래전부터 준비하던 작업입니다.
@yes25383
@yes25383 24 күн бұрын
KC 인증으로 해먹으려고 하다가.. 무리수 둔거지. 너무 국민을 바보로 아는거 아님?
@user-wk6qp5rh5m
@user-wk6qp5rh5m 24 күн бұрын
그리고 이미 일본은 이거 해봤다가 물가 폭등에, 지방도시는 힘들어져서 철회했다던데
@dimmorashuvant3784
@dimmorashuvant3784 24 күн бұрын
비디오 머그 세무조사 조심하라,,,그리고 난 비디오머그의 그 누구도 결코 자살하지 않는다고 믿는다!
@jakek3552
@jakek3552 24 күн бұрын
진짜 엉망인게 1. 5월 발표 6월 적용 2. 수출로 먹고 사는 곳에서 중국 뿐만 아니고 kc 없는 모든 제품이니 전세계를 등지는 법안 3. Kc는 민영화 됨 4. 죽어도 철회는 아님 5. 국무 조정실에서 발표했지만 대통령은 모름(
@reve6207
@reve6207 24 күн бұрын
진짜 5번은 개도 웃을 일
@lewo6093
@lewo6093 24 күн бұрын
직구품 있어야 돌아가는 중소기업들 다 문닫게 생긴거도 있음ㅋㅋ
@GAT-X102
@GAT-X102 24 күн бұрын
진짜 7ㅐ판 5분전 이네...
@user-qv7xj6sz6c
@user-qv7xj6sz6c 24 күн бұрын
석열이가 보고 안받았다는 건 저속에 불법이 있었다는 거고 빠져나가려고 바보라서 보고못받았다고 그짓말하는 선택한거임
@GAT-X102
@GAT-X102 24 күн бұрын
@@user-qv7xj6sz6c 그럼 탄핵행은 이미 확정
@dkshkanjdlfo
@dkshkanjdlfo 24 күн бұрын
제일 빡치는게 KC인증이죠. 사실 KC인증보다도 훨씬 기준이 빡빡한게 유럽의 CE 인증인데 이것도 불허하겠다는건 도대체 무슨 소리인지 이해가 안됨 그렇잖아도 KC인증 자체도 문제가 있어서 개선을 시켜야 한다는 말이 많은데 진짜 누구 대가리에서 나온 아이디어인지 진짜로 궁금함. 어떤새끼임 진짜.
@jsjs5832
@jsjs5832 24 күн бұрын
석열이가 민영화시켜서 뒷돈좀 받겠다잖냐~~ 이걸 왜이해하려해
@soulburster
@soulburster 24 күн бұрын
@@user-IlIlilil 상황파악 좀 제대로 해라. 사람들이 빡쳐하는건 이 정책이 자국민에게 실익이 없기 때문이다. 뭔 중국인 타령이야 ㅂㅅ도 아니고…
@darkngel012
@darkngel012 24 күн бұрын
상식과 정반대로 자꾸 할려고 하는건 당연 돈 문제 아니냐? ㅋㅋㅋㅋ 이것도 못 알아채면 투표하지 말아라. 진짜….
@user-gq6qr6fq4g
@user-gq6qr6fq4g 24 күн бұрын
유럽 막으려는 거니? 중국 막으려는 거지.. 머 당연한걸 이해를 못하는 거임?
@user-wi2bd5zn2z
@user-wi2bd5zn2z 24 күн бұрын
@@user-gq6qr6fq4g 얘는 진짜 이곳저곳 댓글 다 싸질러놨네 ㅋㅋㅋㅋ 중국제품이 문제라면 중국에 수입금지 한다고 해야지 경제보복 당할까봐 쫄아서 중국한테 먼저 정보준 정부와 정책을 옹호하네 ㅋㅋㅋ 니같은애들은 딱 그거지 지진이나도 빨갱이짓이라면서 빨갱이 욕하면서 보수당이 빨갱이짓하면 이 악물고 실드치는 정치병자들
@kahgoon570
@kahgoon570 24 күн бұрын
윤석열과 김거니는 당의 지지율이든, 국민의 여론이든 다 신경 안씀. 오로지 신경 쓰는건 사적 이익을 최대한 땡겨서 늙어 죽을때까지 쓸 돈을 긁어모으는게 최우선 목표일뿐. 국민의 안위따윈 개나줘버려
@PRIMITIAE_030
@PRIMITIAE_030 21 күн бұрын
이젠 하다하다 대통령이 보고 받지도 못한 내용으로 까이네 ㅋㅋㅋㅋ
@kahgoon570
@kahgoon570 21 күн бұрын
@@PRIMITIAE_030 진짜 보고도 못받았다고 하면 그게 바로 무능하다는겁니다 ㅋㅋ 이찍님아.. 어떻게 해외 직구 관련해서 보고를 한번도 못받았을까요? 저거 관련해서 회의도 한두번해서 나오는 정책이 아닐텐데요? 윤석열이 해병대 수사관련해서 극대노 했다는게 녹취록으로 나올정도로 간섭하기 좋아하는 사람인데 진짜 몰랐을까요?
@SeAn-jr6ht
@SeAn-jr6ht 20 күн бұрын
@@PRIMITIAE_030그럼 행정부 하는 일을 대통령이 모르는 게 말이 됨?
@nh_kim
@nh_kim 20 күн бұрын
​@@PRIMITIAE_030행정부 수장이란 새끼가 보고 못받았다 내잘못 아니다 이지랄 하는게 더 웃긴거 아니냐? 어디 뭐 작은 사안도 아닌데? ㅋㅋㅋㅋㅋ
@user-uu1ju5sv9g
@user-uu1ju5sv9g 20 күн бұрын
​@@PRIMITIAE_030 와우 그러면 또 천공사주받아서 대통령 허수아비돤거임? 탄핵이네 그럼
@user-ii6hy9ru2l
@user-ii6hy9ru2l 23 күн бұрын
웃긴게 지들 기준 안좋은 물질 나와서 폐기처분 하는건데 폐기 다 못한 것들은 소외계층 준다고함 이게 말이됨? 소외계층은 뭐 짬처리 하는 사람들임?할말하않 그리고 폐기 비용을 왜 당사자가 내야하는데 니들이 정한거면 니들이 책임져
@wolf-267
@wolf-267 24 күн бұрын
전면 철회하겠습니다 이 말 한마디면 끝나는데 국민들 상대로 윤대통령 직접사과는 아니다, 이정도로 논란될지도 몰랐다, 너희들이 이해못한거다 식으로 기싸움짓하고 있음 진짜 역대급 아님? 국민들 상대로 기싸움 거는건 난 처음 봤음
@seung-zz7bx
@seung-zz7bx 24 күн бұрын
의사들한테도 걸었잖애. 이제 국민들차례지 뭐😂
@lostbutter001
@lostbutter001 24 күн бұрын
항상 보수진영은 정부통제독선적이었음. 이번정부가 특히나 더 병크터뜨리는거고
@user-og5jq2ue7h
@user-og5jq2ue7h 23 күн бұрын
지금 죽어도 포기 못할정도로 뒷돈을 처먹었나봄
@thehorizon9269
@thehorizon9269 23 күн бұрын
​@@user-og5jq2ue7h가능성 있다 ㅋㅋㅋ
@ZensonHUANG-vi4pc
@ZensonHUANG-vi4pc 23 күн бұрын
2찍이 세상은 이렇게 살아야하는 거임... 몰랐던 거임? 굥정부세상이 아니라... 받아들이셈
@elislee1005
@elislee1005 24 күн бұрын
해외면세가격도 낮추겠다 했었음 150달러에서 더 밑으로 내리는거면 직구하지 말란 소리나 다름 없음. 다 같이 비싸게 사란 말이니 오해의 소지가 없음. 뭔 오해를 했단건지ㅋㅋㅋㅋㅋㅋ
@mansook8128
@mansook8128 24 күн бұрын
@@hder9 룬재앙 봇이세요?
@user-yy1kt6wt2l
@user-yy1kt6wt2l 24 күн бұрын
@@hder9 님은 술값 담배값 올리면 생계곤란 오세요? 기호품인데 그딴거 올린다고 왜 난리치시는지
@Hanson0687
@Hanson0687 24 күн бұрын
​@@hder9수입한 원래 가격을 몇 배나 비싸게 파니까 문제라서 직구가 급증한건 유통 구조 문제로 비롯됨...
@user-ng8wc7xx5e
@user-ng8wc7xx5e 24 күн бұрын
미국은 150만원이라는데.. 면세가.. 다른 해외 국가들도 다 최소 100만원이라고 합니다
@leonardchoi7903
@leonardchoi7903 22 күн бұрын
중국보다 규제가 심한 미친 민주주의 코스프레 국가임. 중국 700달러이상 즉 100만원임. 개인 해외직구 우리나라는 150달러 고작 20만원돈 ㅋㅋㅋ 미친규제의 나라지 이게
@Kikisuajwhhnmd12
@Kikisuajwhhnmd12 24 күн бұрын
단통법, 도서정가제, 통신사 담합, 기업들의 독과점, 정부와 기업과의 유착관계로 정책으로 밀어주기, 본인들끼리 경쟁은 최대한 피하면서 가격은 존내 올리고 해외 기업들어오면 온갖 정책 통과시켜서 죽이려고하는게 개웃기네 이걸 사회가 짊어져야함?
@user-il8ov9eu5j
@user-il8ov9eu5j 20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는 지금 대통령이 나서서 나라 망하라고 기도하고 굿하고 난리치는 수준임ㅋㅋㅋ 사람 한번 잘못 뽑으니까 무섭긴하네
@user-uu1ju5sv9g
@user-uu1ju5sv9g 20 күн бұрын
이런건 전부 국힘이 했음
@user-nk4rn6wj6j
@user-nk4rn6wj6j 24 күн бұрын
단통법때 그랬다. 통신사가 돈을 벌면 반드시 가격을 내릴겁니다. 국내 기업을 보호하는게 아니라 그냥 독점 대기업의 보호일 뿐 이잖아. 중소기업을 보호하는게 아니지.
@jjgg8640
@jjgg8640 22 күн бұрын
왜 중소기업 보호가 아님? 중국산 대부분은 우리 중소기업하고 겹치는데
@user-ts9qh6jk9x
@user-ts9qh6jk9x 21 күн бұрын
​​​@@jjgg8640그럼 중소기업들이 만드는 제품에 들어가는 부품과 공장에서 돌아가는 기계의 부품은 어디에서 가져올까요? 생각이라는걸 조금만 해보시면 아실듯
@jjgg8640
@jjgg8640 21 күн бұрын
@@user-ts9qh6jk9x 생각이라는걸 님이 너무 조금만 한것같아요. 그러한 부품들은 해외직구로 사는게 아닙니다. 정식 수입해서 쓰지요. 공부는 싫고 불만만 내뱉고 싶죠?
@Galaxyliner
@Galaxyliner 18 күн бұрын
그럼 왜 이전 정부땐 그걸 안때려잡았슴???
@Le_Le_Le
@Le_Le_Le 18 күн бұрын
@@jjgg8640 테무랑 알리 존나 신나있던데 그건 알고있음?
@Error_Error.
@Error_Error. 24 күн бұрын
핸드폰을 싸게 사? - 단통법 책을 싸게 사? - 도서정가제 물건을 싸게 사? - 직구 금지
@user-jc7nk7qq1f
@user-jc7nk7qq1f 24 күн бұрын
저도 이생각ㅋㅋㅋㅋ 국민들이 무언가 저렴하게 사게하는 꼴을 못보는 느낌이에여. 모두가 비싸게 사 이런 건가
@rnalsdn3591506
@rnalsdn3591506 23 күн бұрын
2023년 쇄국정책
@Ansanlady
@Ansanlady 23 күн бұрын
아ㅋㅋ세금 더 필요하다고ㅋㅋ
@user-bear03
@user-bear03 22 күн бұрын
물가를 잡으라고 아우성인데 국민을 때려잡고 물가는 더 올리는 개같은 정부
@user-uw8uy1oh5r
@user-uw8uy1oh5r 22 күн бұрын
아니 직접적으로 상품 가격을 고정하는 건 아니더라도 법과 규제로 상품 가격을 높게 고정하는 건 사실상 사회주의 계획경제를 모방하는 거 아님? 진짜 개 열불남;;
@Sinchang_p174
@Sinchang_p174 24 күн бұрын
해외 제품이 KC 인증 받은게 얼마나 있겠냐? 브리핑 23분동안 금지 차단 18번? 18 엿이나 먹으란거냐
@yadontthink
@yadontthink 24 күн бұрын
저 발표하는 새끼 잡아다가 광화문 광장에 묶어두고 공개쌍욕 형에 처하고 싶음 ㅋㅋ
@parkjihun100
@parkjihun100 24 күн бұрын
단두대가 시급합니다.
@user-pg3iw4tk5s
@user-pg3iw4tk5s 24 күн бұрын
ㅋㅋㅋ 웃기는건.... 알리 테무에서 이미 정부 발표 4일전... 지들이 먼저 KC인증 적극적으로 받것다 했음... ㅋㅋㅋ KC인증 민영화로 누군가 돈챙기는 짓 벌인거임 ㅋㅋㅋ
@hder9
@hder9 24 күн бұрын
@@user-pg3iw4tk5s KC인증이란건 직구하는 구매자 본인이 하는겁니다.... 광우ㅂ.뻥 국민들 수준 건재하노
@user-ok2yh8lj4s
@user-ok2yh8lj4s 23 күн бұрын
​@@user-pg3iw4tk5s 맞음
@user-rv9pk8jn9y
@user-rv9pk8jn9y 24 күн бұрын
애초에 직구가 왜 폭발적으로 늘어났는지 이거부터 봐야 한다고 생각함. 예전에는 물류를 아는 사람들만(소위 업자들) 싸게 떼다가 물건값 몇 배 넘게 올려서 팔았는데 이제는 원가가 뻔히 보이니 그렇지ㅡㅡ 사람들이 바보도 아니고 그걸 그 돈 주고 사겠음??? 직구 기다리는 기간이나 반품 등의 편리함으로 커버가 쳐지는 1.5배 정도의 가격이면 나도 그냥 지마켓에서 사겠다고요~~~
@silminililni
@silminililni 20 күн бұрын
알리바바의 인공지능만 성능이 좋아지는 결과만 낳겟죠 괜히 조단위로 한국에 투자하는게 아님 돈이 목적이 아닌것
@mosimosia
@mosimosia 23 күн бұрын
대통령이 모른다는건 자기들끼리 다 결정 해 놓고 실행후 보고만 한다는 얘기네요...여태 그랬다는 얘기고...앞으로도 변하지 않는한 그러겠다는 얘기네요...
@user-ef9hg1xt6e
@user-ef9hg1xt6e 24 күн бұрын
kc 인증으로 돈을 슈킹하겠다는 의지가 너무 강력해보임. 정부가 나서서 국민 돈 슈킹하겠다는게 이게 뭐하는건지 ㅋ
@user-sv4pv5xd5f
@user-sv4pv5xd5f 24 күн бұрын
​@@hder9 이런 지능이니 문제가 뭔지 모르고 현정부나 지지하지
@user--user
@user--user 24 күн бұрын
​@@hder9니는 니나라 돌아가면 그만이지만 우리는 여기서 살아야한다 부모여부 의심되는 댓글 그만 싸지르고 밖에 나가서 맑은 공기나 쐬라
@user-pb8bz1jd4w
@user-pb8bz1jd4w 24 күн бұрын
명박이의 헤쳐먹기 능력과 닭근혜의 지능, 문재앙의 정책능력을 모두 가진 정부 ㄷㄷ
@jjgg8640
@jjgg8640 22 күн бұрын
@@user-dh2wp7gm4c 없는 사실을 적지 말라는게 알바야? 무섭다 무서워. 광우뻥의 국민들 무섭다 ㄷㄷ
@DEUS_VULT_33333
@DEUS_VULT_33333 24 күн бұрын
철회한다고 한마디도 안했음 KC 인증 민영화는 이미 되었음 (업체 주가 ㅈㄴ오름) 6월 1일부터 금지 당장 시작함 (세관 공문 내려옴)
@porinuna0715
@porinuna0715 24 күн бұрын
벌써부터 통관 보류 걸린 사람 많대요
@user-fd4eu2rh5r
@user-fd4eu2rh5r 24 күн бұрын
주가 오른 종목이 뭐죠? 검색해도 안나옴
@B-lack-L-emon
@B-lack-L-emon 24 күн бұрын
Ls 일렉트로닉스​@@user-fd4eu2rh5r
@Minsung_song1
@Minsung_song1 24 күн бұрын
@@porinuna0715이건 그냥 오류라는 말도 있어요
@user-tu1je9he5g
@user-tu1je9he5g 22 күн бұрын
@@user-fd4eu2rh5r LS일렉트릭
@user-ht6tc9iw8x
@user-ht6tc9iw8x 24 күн бұрын
정부의 수준이 긴가민가했었지만 이번 직구논란을 통해서 명확해졌습니다. 덜떨어진 국가단체라고 자신있게 말할 수 있습니다. 수입통관절차에 대해서 알지도 못하는 부처에서 직구를 KC인증으로 규제한다? 한예로 수입신고서에 해당 물품명을 살짝달리하고 용도도 살짝달리하고 해서 보내주면 사실상 세관에서 못 잡습니다. 그리고 중국이 바보가 아닌이상 보복조치는 보복조치대로 받을테고 그후 아뿔사한들 이미 요단강 건넜을테구요 미국에서 유럽에서 일본에서 보복조치하면 이건 어쩌실겁니까? 그리고 KC인증여부가 필요한 곰인형이 있다고 가정을 해봅시다 이걸 판매처에서 구분지을까요? 쿠팡 알리같은 플랫폼업체에서? 국민이 셀프로? 이혼선은 누가 담당해주실건가요? 강원도지사의 레고랜드 사태로 인해 현재 건설사 PF문제가 눈덩이처럼 커졌듯이 이번건도 파장이 꽤 클것으로 보이네요
@NameNo-yc9kg
@NameNo-yc9kg 24 күн бұрын
1. 그렇군요....KC인증이 민간으로 넘어가면서 모종의 거래가 있었을수도 있을것 같네요.....특검으로 가야죠..... 2. 현정부는 자충수를 자꾸 두는군요.....장기를 둬보질 않아서 모르는 건가요?....상대 나라들이 가만히 있겠어요.......?! 진짜 한심해서 한숨만 나옵니다.
@ChunSik262
@ChunSik262 24 күн бұрын
미국 트럼프 당선되면 아주 재밌어질듯
@user-ns8sc4dw1t
@user-ns8sc4dw1t 19 күн бұрын
​@@ChunSik262그러니까 아주 재미있겠어 껄껄껄
@reve6207
@reve6207 24 күн бұрын
이 정부는 정말 일처리를 개판으로 함. 이공계 R&D 예산 삭감 후 입틀막, 초등교사 97%가 반대하는 늘봄학교 강행, 의대증원+의료망국 패키지 질러놓고 지금 수습 안 되어 대학병원 파산직전, 직구 금지 질러놓고 앗 뜨거 하고 잠깐 물러서는 척. 대체 뭐하는 정부임?
@jakek3552
@jakek3552 24 күн бұрын
ㄹㅇ 대통령이 무슨 해외에서 한국 망하라고 보낸 스파이 같음 이게 어떻게 가능한 트롤짓이냐고
@giglman1170
@giglman1170 24 күн бұрын
먼가 정책이 이상하다 싶으면 정법세상을 찾아보면된다
@jakek3552
@jakek3552 24 күн бұрын
@@hder9 사저 옮길 때부터 예상 금액보다 훨씬 높았어서 ㅋㅋ
@Kallisuma
@Kallisuma 24 күн бұрын
네이버 라인도
@user-bl6vp9zo8z
@user-bl6vp9zo8z 24 күн бұрын
원래 정부가그래
@user-ir4xs6zr2d
@user-ir4xs6zr2d 24 күн бұрын
뭐 맨날 오해래! 왜 매번 국민들 너네가 오해한거라고 멍청이 취급하냐.
@Lasz885
@Lasz885 22 күн бұрын
5월25일날 광화문에서 시위한답니다
@user-lk6hs1fk3j
@user-lk6hs1fk3j 22 күн бұрын
바이든 날리면처럼 전국민 청력이상자로 만들어도 여당 지지를 많이 해주니 신경도 안쓰는거죠ㅋㅋ
@user-ri5dn7hj6l
@user-ri5dn7hj6l 23 күн бұрын
차키 망가져서 알아보다가 알리에 배송비 포함 7000원대에 파는거 네이버 국내 업자 30,000이상 받던데 이런거나 가격 조정이나 해주고 규제를 하던가 아주 그냥 막나가요
@freejisung
@freejisung 24 күн бұрын
내국인도 모르던 이런 정책을 알리 테무는 미리 알고 준비하게 만들다니 이거야말로 나라 팔아먹는 짓 아니냐
@user-kl2qr9pl4z
@user-kl2qr9pl4z 24 күн бұрын
굥산당 간첩새끼 잖아요. 뭘 새삼스럽게... ㅋㅋ
@user-br1cr6zh6s
@user-br1cr6zh6s 24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에서 단종 된 모든 부품을 전부 한국에서 생산해야 가능할 법안입니다... 현실적으로 불가능 하죠? 네 바로 이 법이 말도 안된다는 거죠
@user-ry8dv3hy8s
@user-ry8dv3hy8s 24 күн бұрын
구멍가게도 하나 못하는것들이 뭘 안다고! 임마 그냥 문 열어주면 국내 공장 문 닫고 경제적으로 중국의 속국이 된단다! 푼수야!
@user-vq4gp8bz3w
@user-vq4gp8bz3w 24 күн бұрын
일본에서 했다가 경제 개 ㅈ박살났음 물가 상승 개 ㅈ대고 병ㅇ신같은 정챡암
@user-mo7tl8ft7q
@user-mo7tl8ft7q 24 күн бұрын
사실상 금지나 마찬가지 아닌가요 ㅋㅋ 단종된 부품을 kc인증을 거쳐 고가에 구매할거면 그냥 새걸 사는게 나을 수도 있는데..
@after718
@after718 24 күн бұрын
​​@@hder9 사실상 금지입니다 인증못받은 물품들은 전부 못들어오는 거니 해외브랜드든 OEM제품이든 AS도 못받고 다 버려야 되는 상황이 오는거죠
@zs7974
@zs7974 24 күн бұрын
​​@@hder9 ㅇㅇ 은 뭔 문해력이 낮음? 인증 난이도에 따라 규제 정도가 결정이 되는데 뭔 자꾸 인증타령임
@user-tm8lv6ro3g
@user-tm8lv6ro3g 24 күн бұрын
그동안 정부에서 했던 행동들 자체가 신뢰가 없어지게끔 한거에요 매번 듣기 평가 독해 평가 시키면서 아 오해다 그거 아니다 너가 잘못 들은거다 이래놓고 대화 필요하면 대화도 안 하고 설명도 안하지만 뭐 하려고 하면 내 말대로 해 내가 옳고 너희는 악이야 신뢰는 자산입니다 뭔가 하려고 하는데 믿음을 못 얻는 거 얼마나 슬픈 일인지 없어본 적이 없는 사람은 모르는거겠죠
@ji-sunjeong547
@ji-sunjeong547 24 күн бұрын
다른데도 적었지만. 서버들도 문제가 생겨요.. 국내는 대기업이나 은행권도 90년대 장비 운영하는데도 많은데 사실상 부품이 없습니다. 그렇다고 부품을 구해 놔둬 봤자 많고 많은 부품들중 머가 언제 나갈지도 모르기 때문에 단품직구에 의존 하죠. 이중 많은 부품이 KC인증이 안되어 있거나, 되어 있어도 구분하기 귀찮아서 판매처에서 판매를 안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래서 저거 진행 되는 순간 부터... 사실상 파츠 구하긴 더 어려워 질거에요.
@O-ri
@O-ri 19 күн бұрын
부품은 전자기기도 아니고 그래서 딱히 문제될 건 없을지도
@ji-sunjeong547
@ji-sunjeong547 19 күн бұрын
@@O-ri 컴퓨터 부품이 전자기기가 아니면.. 그냥 전기로 돌아가면 다 전자기기입니다.
@O-ri
@O-ri 18 күн бұрын
@@ji-sunjeong547 아 저는 뭐 기어나 체인 벨트 이런 기계적 부품인 줄 알았습니다. 전자 부품은 빡세긴 하겠네요..
@user-gw8pr5sl9z
@user-gw8pr5sl9z 24 күн бұрын
아니 근데 그럼 해외에서 kc인증 안 받은 빤스 사서 입고 들어오면 공항에서 빤스 뺏어갈거냐고 공항에서 캐리어 물건 하나하나 다 검사할거냐고 뭐하자는거임 이게
@user-rh4ek6cn1e
@user-rh4ek6cn1e 24 күн бұрын
진짜로 미안했으면 기존 공지 완전 철회, 인증기관 영리화까지 철회해야죠
@user-dn9gz7fo4s
@user-dn9gz7fo4s 24 күн бұрын
믿으면안됩니다 19년도에도 갑자기 브리핑하더니 순식간에 발표하고 kc인증안받으면 불법이라고 졸속으로 통과된적있습니다 kc인증회사는 전부 고위공무원퇴직자들소유이고 정치인들 kc인증이 뭔지도 모를겁니다 뒤에서 조정하는누군가에 의해 따를뿐이지 고위공무원퇴직자들 하는짓이 이렇게 무섭습니다
@neoprix2894
@neoprix2894 24 күн бұрын
쓰레기나라 정말무섭네요
@sya2546
@sya2546 24 күн бұрын
솔직히 윤석렬대통령이 kc 인증에 대해 잘 알기나 할까? 주변에 윤석렬 눈과 귀를 흐리는 잘못된 정보를 보고하는 누군가들이 있는 것 아닌가 싶다. 자꾸 헛발질하는 것 보면
@sya2546
@sya2546 24 күн бұрын
아주 단순한 정보만 올리는 거 아닌가 싶다 뭐 kc인증이 중국 알리 테무가 우리나라 기업 점령하는거 막는거라고 좋은 거라고만 보고 한다든지 .뭐 제대로 된 정보가 보고 되는지 의문임
@sometimes7539
@sometimes7539 24 күн бұрын
@@sya2546대통령이 kc인증이 뭔지도 모르면 그냥 지나가는 고양이 한마리 데려다가 대통령 시키는게 낫지않을까요..?
@IKALUSE1
@IKALUSE1 23 күн бұрын
@@sometimes7539걍 대통령 대신 챗GPT쓰시죠
@TUSCARON
@TUSCARON 24 күн бұрын
진짜 찐따 하나 뽑아서 나라가 순식간에 개차반 됐네
@user-ki9dd9oc3c
@user-ki9dd9oc3c 21 күн бұрын
이번 정부가 무능의 끝을 달리는 중ㅋㅋㅋㅋ 박근혜는 재평가 시급하다ㅋㅋㅋ
@user-ke7wh5lk4l
@user-ke7wh5lk4l 24 күн бұрын
거기다 이 하려는 짓거리는 철저하게 중국에 유리한 정책입니다 중국이 우리를 때릴 구실을 주는 것도 맞지만 중국의 거대자본은 자기네 물품들의 KC인증을 할 여유가 있을 뿐 아니라 인증후 물품들을 대량으로 생산해 공급해가며 두고두고 국내에 팔아 이윤을 창출할 수 있는 여력이 있습니다 반면 미국, 일본, 유럽 등등에서 판매하는 주요한 다품종 소량 생산 물품 같은 경우는 한국에 품목별로 한국에 판매하는 양도 많지 않기 때문에 KC인증에 필요한 기간과 금액이 부담스러울 수 밖에 없습니다 이렇게 된다면 한국의 시장 자체가 견제 없이 중국에 먹히는 꼴이 될 겁니다
@owleyez
@owleyez 24 күн бұрын
@@hder9 5월 16일 직구금지법 첫발표전에 5월 13일 알리, 테무 KC 인증확대 하고 적극반영하겠다 뉴스가 있습니다. 겉으로는 중국산 규제지만 사실은 장기적으로 '중국산만' 직구 통과시켜주는 법이 될 겁니다.
@soulburster
@soulburster 24 күн бұрын
@@hder9정치색에 물들어서 현실을 못보네. 미국은 역대 최고의 대중무역수지를 기록하는 중이고 중국발 저가공세를 통해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고 있음. 그둘은 지금 윈윈하고 있다고. 미국이 안보를 이유로 제제하는건 알리테무등의 유통업체가 아니고 틱톡같은 sns정보 기업이다.
@hder9
@hder9 24 күн бұрын
@@owleyez 이해를 잘못하네. 결국 중국산도 인증이라는 허들을 넘어야 한다는것. 이게 중요함.
@owleyez
@owleyez 24 күн бұрын
@@hder9 알리, 테무가 지금 조용하죠. KC인증 민간업체와 중국몰만 큰수익 먹으려는 걸로 봅니다. 시간 지나보면 결과 나올겁니다. 금투법도 결국엔 개인투자자는 손해고 사모펀드만 돈버는 거라봐요. 결국 최종 수익을 누가 챙기는지만 보면 된다고 봅니다.
@Secret-Agent007
@Secret-Agent007 24 күн бұрын
@@hder9애초에 중국은 은근 kc 인증 많이 받고 있음. 한국 물류 창고까지. 중국이외 해외 직구들이 타격이 큰거지. 또 중국 인증 안받은 물품들하고. 인증 뜨기더 전레 알리에서 kc인증 말을 먼저 꺼냄 ㅋㅋㅋㅋ
@UCyYVc3AxlZven_g7bWPX4Xw
@UCyYVc3AxlZven_g7bWPX4Xw 24 күн бұрын
남은 3년간 얼마나 많이 사고칠 작정인지 두렵다 ㄹㅇㅋㅋ
@cch1763
@cch1763 24 күн бұрын
윤xx: "나라 하나 망가트리는데 5년이면 충분해" 이러고 있을듯한데
@curemake
@curemake 24 күн бұрын
3년이 남았을까?
@doom9344
@doom9344 24 күн бұрын
이미 문죄앙 시절에 남녀로 갈라져, 집값 우주로 가고, 라인 지분 50% 매각 도와주고 끝났음 ㅋㅋㅋㅋㅋ
@user-in1rq4wf9m
@user-in1rq4wf9m 24 күн бұрын
아직 3년 남았어요??? 그런데 4년이 지난거같죠?? 시간참 더럽게 기네요..
@user-tk8wk6vh7k
@user-tk8wk6vh7k 24 күн бұрын
문재인이 최악인줄알았는데 더한게 있었네
@user-kl2qr9pl4z
@user-kl2qr9pl4z 24 күн бұрын
보나마나 곧 연예인 마약이나, 뜬금없는 열예설, 뭔가 눈 돌릴만한 다른 이슈로 스리슬쩍 통과 시킬거야.
@neonex5097
@neonex5097 24 күн бұрын
도대체 국민의 불신이 얼마나 극에 달했으면 예전같으면 그렇구나 하고 넘어갈 해명브리핑을 가지고 또 은근슬쩍 몰래 진행할거다 라는 의심을 갖게 만드니... 진짜 너네는 레전드다...
@nateriver7955
@nateriver7955 18 күн бұрын
진행 안할거라고 말한적이 없으니 당연히 진행하는거죠.
@user-zu4tc3vg6x
@user-zu4tc3vg6x 24 күн бұрын
건설사 파산, 부동산 가격 폭락 막느라고 금리 동결하고 외환평형기금까지 손대더니, 한-미금리차 때문에 원화절하가 계속되니 외환보유고를 털어 밑빠진 독에 물붓기처럼 쏟아붓다보니 슬슬 외화유출을 차단해야겠다는거지. 제일 먼저 불요불급한 해외직구 틀어막겠다는 것. 이미 한국은 IBRD와 IMF로부터 부동산과 자영업자 가계부채 문제로 여러차례 '국가신용등급 격하 및 줄파산 우려' 경고를 받았다. 여기에 이 기회에 나라 걱정은 1도 안하는 매국노 탐관오리 이권연합이 KC인증원을 민영화하여 해처먹으려는 수작. 거기에 세수 모자라니 중고거래에도 세금 매기려 수작중. 설령, 이 시행령을 그대로 실행한다고 해도, 구체적인 실행방안, 실행능력도 없는 무댓포 정책. 국격 말아먹은 잼버리 준비하던 것과 똑같다는 기시감이 든다. 하여간 헌정사상 역대급 무능하고 부패하고 무도한 정부.
@user-bs6qz1iw3j
@user-bs6qz1iw3j 24 күн бұрын
​@@hder9화이트리스크는 일본의 경제보복이였지. 매국노 샛희냐?
@sscha777
@sscha777 24 күн бұрын
날리면개돼지가 쉽게 정리한 글도 이해를 못하네. 지자식 팔아 먹어도 나랑은 상간없어 할듯
@seoulb4491
@seoulb4491 24 күн бұрын
​​@@hder9멍멍이 여기저기 댓글 싸대는거 보니 할 일 없는 날백수 같은데 나가서 알바라도 해서 느그엄니 주머니돈 이나 털어 먹지 말고 벌레의 삶을 청산 해라 제발
@BlackCat_3
@BlackCat_3 24 күн бұрын
@@hder9논점파악 전혀 안되시네.. 문재인 욕이 왜 여기서나와 ㅋㅋ 나도 문재인 싫지만 너의 뇌구조는 문제가 있어보임. 이분글이 이사건에대한 제대로된 문제의식, 합리적 의심, 팩트에 가까운 주장임
@user-fs2dt7lc6n
@user-fs2dt7lc6n 24 күн бұрын
전정부 타령 좀 작작하셈. 언제까지 전정부가 모든 걸 잘못했다 어쩌고 할거냐고. 윤석열 2년째 하는 중인데 윤석열이 뭘 잘했다고. 느라 말아먹고 있는데​@@hder9
@user-jc7ht2vs9x
@user-jc7ht2vs9x 24 күн бұрын
역대급 허접한 정부를 뽑아놓으니 나라 전체가 혼란이다. 진짜 이런적이 있었나? 탄핵 당했던 정부 마저도 이정도까진 아니였다. 안뽑은 나도 왜 이런일을 겪어야하는지 화가 남
@7721forvalue
@7721forvalue 24 күн бұрын
너가 뭘 겪었는데? 중국에서 덤핑해서 만든거 쓰면서 꿀 빨았나보네.
@HanRaGo
@HanRaGo 24 күн бұрын
​​@@hder9 아 그래서 미국산도 견제하구나. 중국 제품은 구데기인데 미국 제품은 성능도 품질도 끝내줄정도로 좋은데요???
@user-wj3uy8iw7h
@user-wj3uy8iw7h 24 күн бұрын
검사가 별 희한한 모든곳에 들어가 운영을하니. 엉망징창이 되지
@HanRaGo
@HanRaGo 24 күн бұрын
@@hder9 니가 중국산 견제 잘하고 있다면서 갑자기 뭔 뚱딴지 같은 소리하고 자빠졌냐. 중국산뿐만 아니라 KC 인증 안받은 해외 직구로 구매한 모든 물품들 다 포함이던데? 아 그래서 중국산만 아니라 미국이나 유럽산도 규제하거나 금지하거나 같이 한다 이거지? 그럼 다른 국가에서는 한국산만 규정할 명분 주는건데??? 너도 설마 이런게 좋은거임?
@HanRaGo
@HanRaGo 24 күн бұрын
@@hder9 애초에 니가 한말이다. 한입으로 두마디 하지는 마라.
@user-pc5rx9ip5o
@user-pc5rx9ip5o 22 күн бұрын
윤석열, 퇴임전에 한 밑천 챙기려고 하나??? 윤석열 요즘 좀 이상한 것 같다.. 퇴임후, 윤석열 조사를 철저히 해야 할 것 같다..
@user-cy4qf6ug3n
@user-cy4qf6ug3n 20 күн бұрын
KC인증비가 건당 1560만원이라는대 이걸 해외 업체가 할까요? 대기업 아니고서야 하지도 않을것이고 그마저도 정식수입이나 하지 개인직구는 하지도 않았던거를 구지 하게 하는건 KC인증이 민간기업으로 넘어가고 이러는건 당연히 의심 않할수 없는거 안닌가? 그리고 특정 물품을 거론하는것도 아니고 품목으로 정하면 관품목 싹다 막는건대 이건 사전에 조사도 재대로 안하고 긴급하게 했다는 반증이지
@user-wy9uv3ol7d
@user-wy9uv3ol7d 24 күн бұрын
처음에 금지라고 그렇게 확실하게 말을 했으면서 반발이 심하자 어물쩍 오해다라고 넘기는 건 국민을 기만하는거나 다름 없습니다.
@user-kr5ps8lm4g
@user-kr5ps8lm4g 24 күн бұрын
KC가 민영화 됐다고 2023년 기사있던데 이번 직구사태 핵심도 KC인증이 필수라는거 보니까 민영화랑 관련있나보죠? 업체 떼돈벌겠네요
@hder9
@hder9 23 күн бұрын
중국이 버는것보단 낫네요
@zartz1000
@zartz1000 23 күн бұрын
​@@hder9 진짜 개똥멍청이인가ㅋㅋㅋ 알리테무가 오히려 적극적으로 kc인증 협조한다는데, 중국이 더 돈버는 정책임
@kind-id4un
@kind-id4un 23 күн бұрын
@@hder9 뭔 헛소리야. 태무랑 알리는 지금 자율인증으로 전면 협조하겠다고 하는데. 중국은 오히려 돈을 범. 중국외의 해외 기업들이 진입을 안해버려서 중국이 시장잠식을 오지게 할거임. 그럼 중국이 인증한 비용 못뽑아가겠냐? 시장잠식도 성공했는데? 이게 아마존 같은데도 협조하겠다 이랬으면 니말대로 KC인증 업체가 돈버는 구조가 될 수도 있는데. 현 상황에서는 해외제품 중국에 시장 잠식 되는 구조야. 이대로 가면 끝끝내 중국이 시장 쳐먹고 뭐하겠냐? 중국꼴 나겠지.
@taeminlee8534
@taeminlee8534 22 күн бұрын
이미 범 주가 치솟음
@user-uf9ix4fu2h
@user-uf9ix4fu2h 22 күн бұрын
​​​@@hder9 아무것도 모르시네 ㅋㅋ 중국 알리 테무가 민간기업세워서 kc인증 직업 시행판매합니다 중국에 판거에요 오히려 알리테무는 이주전에 한국정부한테 미리 들었대요 협조요청 ㅋㅋ
@powereggplant
@powereggplant 24 күн бұрын
kc 인증부터 고쳐라. 민간으로 바꿨던거 다시 국가로 바꿔. 미국, 유럽 인증 교차인증 할 수있게 해놔! 지금 kc인증은 ㅈ같아!
@bohemianwandering
@bohemianwandering 24 күн бұрын
가습기 살균제도 KC인증 받았던 물건
@yeunlam_07
@yeunlam_07 14 күн бұрын
일단 하나 확실한건 이 직구 규제 적용하면 한국 떠나는 국민이 많아 질듯. 애당초 이 규제 적용하면 한미FTA 계약 위반인데
@dnejsjdjnd
@dnejsjdjnd 24 күн бұрын
아직도 임기가 3년이나 남았다는게 ㅈㄴ 암울함 임기 끝나는 날에는 이 나라 멸망하고 끝나는건가?
@Escarpey
@Escarpey 24 күн бұрын
진짜 일 드럽게 못함 이번 정부...잼버리. 엑스포..수해대비 행사관리 .다 엉망.
@user-fafafafa55
@user-fafafafa55 24 күн бұрын
못하는게 아니고 지들 계획대로하고있는거야
@polo-uf5yd
@polo-uf5yd 23 күн бұрын
잼버리는 문정부+여가부로 일텐데?
@siwodoui
@siwodoui 23 күн бұрын
​@@polo-uf5yd지방행정 문제도 있죠
@DzDd-ig4bv
@DzDd-ig4bv 23 күн бұрын
​@@polo-uf5yd 문 = 윤
@Zoa-pd7dk
@Zoa-pd7dk 23 күн бұрын
@@polo-uf5yd그건 윤두창 패거리가 퍼트리는 찌라시고 잼버리 측에서 윤정부 실정이라고 발표함 이미. 일베만 쳐보고 헛소리 하지마라 좀. 일베 주장이 맞은 게 없는데 그것만 믿냐 아무 근거도 없는 주장만 하고 ㅉㅉ
@kimsk79
@kimsk79 18 күн бұрын
KC 인증에서 전파인증이 최악임 ㅎㅎㅎ 어지간한 소규모 업체는 제품개발 의지 자체를 박살내버릴 정도임 ㅋ
@user-ue9qj9lb9q
@user-ue9qj9lb9q 10 күн бұрын
화력 부족한데 혹시 3차 직구 규제 반대 청원 영상 만들어 주실수 있나요? 변호사가 작성해서 이전것보다 효과가 좋습니다
@user-hd3bk8zn3e
@user-hd3bk8zn3e 24 күн бұрын
의대 증원 2000명 한다는 거랑 똑같네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일단 지르고 아몰랑 수 늘리면 됨, 바로 하는 거 아님, 구체적으로 물어보면 아무도 아는 것도 없고ㅋㅋㅋ 심지어 정부 수장인 대통령은 난 모르는 일!!! 이러고 있고 ㅋㅋㅋㅋㅋㅋㅋㅋ 으휴;;;
@user-yh7oh1un4z
@user-yh7oh1un4z 23 күн бұрын
의대 증원은 해야 하긴 했음 은근슬쩍 여기에 역지마셈
@xeres8560
@xeres8560 23 күн бұрын
@@user-yh7oh1un4z 왜 해야하는데? 거기에 대해선 한마디도 못하는 빡대가리ㅋㅋ
@hiarsins
@hiarsins 23 күн бұрын
​​@@user-yh7oh1un4z의대증원을 하되, 점진적으로 150여 명씩 늘려야 한다는 연구 결과는 있었지만 한번에 2000명을 늘려야 한다는 내용은 그 어떤 근거도, 뒷받침되는 자료도 없었음 그냥 대통령 지 좃대로 한거 맞음
@kfx3907
@kfx3907 23 күн бұрын
@@user-yh7oh1un4z근데 왜 2000명인지 대답은 못하고?
@jhlee5179
@jhlee5179 23 күн бұрын
초등학교도 5살 입학 밀어붙이다가 아뜨거 취소
@cavinkim3461
@cavinkim3461 24 күн бұрын
철회라고 하지않았고 마치 조만간 다시 시행할거같은 뉘앙스로 발표했는데 왜 방송사 신문사 기자들은 대부분 사실상 철회라는 말을 쓴건가요? 누군가 그 단어를 꼭 넣어달라고 지시라도 있었던 건가요??
@untitl6d
@untitl6d 23 күн бұрын
혼자 다르게 쓰면 꼬투리 잡아서 방통위 징계 먹습니다 요즘..
@user-js8qy7nt7m
@user-js8qy7nt7m 23 күн бұрын
@@untitl6d없는 말을 다같이 했다고 하고 있냐? 말같지도 않은 소리하네
@forgetnevernot
@forgetnevernot 22 күн бұрын
@@user-js8qy7nt7m 이게 현재 우리나라야 친구야
@Chicago_Ohare
@Chicago_Ohare 19 күн бұрын
우파는 개뿔 ㅋㅋㅋㅋㅋㅋ 공산주의 인줄
@jju9903
@jju9903 24 күн бұрын
“철회” 라는 단어를 안썼다는건 “철회” 안하겠다는거 아님? ㅋㅋㅋㅋ
@sangsoonkang76
@sangsoonkang76 24 күн бұрын
스스로 탄핵만 앞당기고 있음......잘 하고 있다...
@hder9
@hder9 24 күн бұрын
그야 뭐 뭐만하면 탄핵탄핵 하는 국민들이니. 그냥 대통령을 뽑지 마라
@user-rp3rv1dd9e
@user-rp3rv1dd9e 24 күн бұрын
마음같아선 나도 탄핵 하고 싶지만.. 뭐 잘못하면 바로 다 탄핵해버리면 무분별하게 남발하는 꼴이 되겠지. 무슨 반장 뽑고 교체하냐?
@seoulb4491
@seoulb4491 24 күн бұрын
​@@hder9우리 강아지 여기 와서도 꼬리치고 있네? 우쭈쭈쭈
@teamsky7672
@teamsky7672 24 күн бұрын
​​@@hder9이건 진짜 탄핵감이 될수 있을거라 보거든요. 헌법까지 위헌하면서 이딴걸 국민안전을 위한거다라고 포장하는건 김정은하는짓 따라가는거랑 뭐가 다릅니까
@user-vh8cx7bh7n
@user-vh8cx7bh7n 24 күн бұрын
​@@user-rp3rv1dd9e잘못도 한두번해야지ㅋㅋㅋㅋㅋㅋㅋㅋㅋ 가면쓰고 옹호하시는 2찍 수고많으십니다..
@user-hd8wb2jx1k
@user-hd8wb2jx1k 24 күн бұрын
이래놓고서 알리랑 테무한텐 사전에 규제사실 알려서 규제에 대응하게 만들어? 이거 단순히 뇌물 먹어서 이정도로 개판친게 아닌거 같은데?
@user-rq7vc8ky3o
@user-rq7vc8ky3o 24 күн бұрын
소송당할까봐 ㅋㅋㅋㅋㅋㅋ
@kaela1955
@kaela1955 23 күн бұрын
​@@user-rq7vc8ky3o근데 혹시나 모르죠 중국이 돈을 원하는 만큼 쓸어 담은후에 무역 보복으로 통수 칠수도 ㅎㅎ
@jennylovemexico
@jennylovemexico 23 күн бұрын
사실상철회-> 라는 워딩 자체가 웃김 철회면 철회지 자꾸 사실상 어쩌구 결국 철회는 무튼 아니라는거임 난 이렇게 농락하는게 더 열받음 장난하나? 이거는 해외직구 금지 맘대로 진행 한거 + 더해서 더 더 혼나야함😡 지금 이미 일본 직구사이트에 어린이 상품및 어쩌구 전부 직구 금지 되어있는데 사실상 철회가 아니라 진행중인거같음!!!
@chollang2
@chollang2 24 күн бұрын
유럽 미국 일본 등등 여러 국가의 안정 인증마크가 있어도 kc인증하나만 없으면 통관이 불가능한 폐쇄 정책입니다 ㅅㄱㅇ
@porinuna0715
@porinuna0715 24 күн бұрын
무역차별조치로 FTA위반 아니냐고요ㅋㅋㅋㅋㅋㅋ
@Sigma-Male017
@Sigma-Male017 24 күн бұрын
​@@porinuna0715그렇다고 대한민국이 세계1위 국가로서의 인증마크 라든지 아니면 KC인증 마크 자체가 전세계적으로 신뢰도가 1~2위를 다툴만큼 신용도가 있다든지 그냥 백번 양보해서 국가를 믿기에 폐쇄정책 피더라도 추후 KC인증마크 받은 상품중에 하자발생에 의한 사건/사고 등 잘못된 인증으로 인한 피해발생시 5억, 10억씩 배상 등 국가에서 책임지고 이후 인증기관에 구상권 청구등 법적으로 국민들 통제하는 권력을 휘두르는 만큼 국가가 권력만큼의 책임도 지겠다고 하면 비록, 소비자로서 선택의 권리가 박탈되어 일부 헌법적 권리가 소실되어도 받아들일수 있음 그것이 국가의 정책이고 내가 국가의 국민이라면 그러나, 공권력은 휘두를대로 휘두르면서 책임은 지지 않겠다? 뭔짓하는거임? 2찍 보수들아 니들 뭐하냐? 자유가 소중한거 아님? 소비자의 자유가 박탈되어 가고 있는데 도대체 뭐하냐?
@Kayoko0317
@Kayoko0317 24 күн бұрын
​@@hder9 MRA에 대해 알고 계십니까? 미국 일본 유럽연합은 자기네 인증마크가 없어도 MRA를 통해 직구가 가능합니다. 한국 KC인증 MRA는 캐나다만 되어있고 사실상 독립적인 인증인데 누가 이 작은 나라에 물건을 팔려고 한 제품에 수백만원 주면서 인증할까요?
@user-ye8oj6jh1o
@user-ye8oj6jh1o 24 күн бұрын
@@hder9 회사에서 외국에 정식 수출하는건 인증 받아야죠 그런데 개인이 직접 외국꺼 구매하는것도 인증 받으란건 선 넘은거죠 우리나라에 없는 제품 해외 여행가서 사오는데 인증품 아니라고 못가져오는 느낌 아닌가요? 물건 판매목적도 아니고 개인 소장인데 그것도 단속하는건 개인의 자유에 엄청난 침해라고 생각합니다 외국 어느 나라가 개인 직구를 인증으로 규제합니까
@user-gq6qr6fq4g
@user-gq6qr6fq4g 24 күн бұрын
응 한국의 안전인증 있어도 미국의 안전인증 못받으면 미국에 못가고 유럽인증 못받으면 유럽에 못가.. 당연히 각 나라에 뭘 팔려면 그나라 안전 인증을 받아야 하는 거야. 당연한 거 아니냐?
@user-fr7xx6dg3h
@user-fr7xx6dg3h 24 күн бұрын
시장경제 자유무역을 부정하는 보수정권 클라스.... 대단합니다
@user-dw5st2pf4b
@user-dw5st2pf4b 24 күн бұрын
보수호소같은데 ㅋㅋ
@scnwjzijfn2k8q7
@scnwjzijfn2k8q7 24 күн бұрын
원래 보수 아님 ㅋㅋ 충실한 좌파계열이었는데 이재명때문에 뽑힌거뿐
@user-bc3ug9tx7u
@user-bc3ug9tx7u 23 күн бұрын
줏대가 없음 걍ㅋㅋㅋㅋ
@footstep002
@footstep002 23 күн бұрын
diy 관련해서 각종 장비, 부품 직구 시장 규모도 꽤 있는걸로 아는데 그런쪽으로도 결국엔 제재가 걸리는 것 아닐런지... 구매를 하고자하는 소비자도 문제겠지만 그간 그런 장비들 유통해왔던 소규모 업자들 입장에서도 나름 비상일듯... 가만보면 각종 장비, 테크 리뷰어들도 현재 비상인 모양이더군요.
@user-hc9zg4uc4i
@user-hc9zg4uc4i 17 күн бұрын
관세청이 젤 불쌍함. 지금 직구한 물품들 역대급으로 통관 지연 중인데, 사람들 직구 막히기 전에 구매 러쉬 중인 듯... 게다가 정부랑 관세청은 제대로 된 기준도 안세운 것 같고, 노답이네요
@kh-uv4sh
@kh-uv4sh 24 күн бұрын
양평 고속도로때도 예타조사까지 다 마친 도로를 지들 땅근처로 휘어놓다가 걸렸는데... 사과는 커녕 뻔뻔하게 원희룡 앞세워서 끝까지 먹으려고 하던거 다들 기억할듯.ㅋㅋ 이번 직구KC인증사태도 영리화해서 돈벌이로 찜해놨기 때문에 쉽게 포기 못하고 이리저리 시간끌고 어떻게든 진행시키려고 할게 뻔함. 이거 하려고 산자부 장관까지 맞춰서 꽂아넣었을텐데 여기서 물러날리가.ㅋㅋㅋㅋ
@AIGOAIGU
@AIGOAIGU 24 күн бұрын
도대체 이 나라는 어쩌려고 이러는걸까요 전방위적으로 규제가 너무 늘어나고있습니다 스팀에선 성인이 성인게임을 플레이할수 없으며 세계 최고의 게임 플랫폼이 유일하게 운영중 철수한 국가이며 그나마 글로벌진출 성공한 플랫폼인 라인은 일본이 군침을 질질 흘리고있고 이젠 개인의 사적 직구마저 막겠다..미쳐가는것같습니다
@user-vy7pc8nz4
@user-vy7pc8nz4 23 күн бұрын
울나라 스팀에서 성인겜 못해요?
@bran767
@bran767 23 күн бұрын
​@@user-vy7pc8nz4네
@user-yc9ku9xs2r
@user-yc9ku9xs2r 23 күн бұрын
@@user-vy7pc8nz4 지역락 걸어서 상점페이지 접근조차 불가능합니다
@user-yo5jf7qh3j
@user-yo5jf7qh3j 23 күн бұрын
25일 경복궁 시위 있습니다. 곱게 말해서 안들으면 다시 화염병 만드는 국민 보는거야. 우리나라 우울증도 ㅈㅅ기도환자도 ㅈㄴ 많은데 까짓거 몸 못던질거같냐?
@user-vd9ns5oj4u
@user-vd9ns5oj4u 20 күн бұрын
국힘 마지막 대통령이였누 ㅋㅋ
@gtr9794
@gtr9794 24 күн бұрын
25일 토요일에 광화문에서 소비자 선택권 보장을 위한 직구금지 반대 시위가 있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TaeikJang_
@TaeikJang_ 23 күн бұрын
참여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모였으면 좋겠습니다.
@thehorizon9269
@thehorizon9269 23 күн бұрын
주변에 알려야겠네요..
@sukim5854
@sukim5854 24 күн бұрын
철회 안됐더라구요 이미 관세청에서 공문돌린상태고 6월1일부터 시행한다는 말이..
@sisuyi
@sisuyi 24 күн бұрын
왜 국제결혼도 kc인증 하지???
@user-kl2qr9pl4z
@user-kl2qr9pl4z 24 күн бұрын
자영업자 보호는 관심없고 kc인증 민영화로 시원하게 슈킹하겠다 이거죠.
@jjgg8640
@jjgg8640 22 күн бұрын
무슨 자영업자보호?
@user-pj5we70nj
@user-pj5we70nj 24 күн бұрын
“3년은 길다”라는 말이 진짜였네…. 아니 3개월도 길다
@whykorean
@whykorean 24 күн бұрын
그렇게 삼프로나 여러 방송에서 제정신이 아니라고 하는데 뽑은 사람이 어디에 누구일까? 대선때 스브스에서 그렇게 윤을 빨더니 다 어디갔을까?
@JaeK1004
@JaeK1004 24 күн бұрын
삼프로도 주식상장하겠다는 애들인데 ㅋㅋ 걔넨 좀 뺴자
@whykorean
@whykorean 24 күн бұрын
@@JaeK1004 삼프로가 어찌되었든 삼프로에 윤이 나온 그 영상은 진짜 레전드였음 왜 괜히 삼프로가 나라 구했다는 이야기가 나온거겠음? 진짜 답이 없는게 축구선수가 경기장에서 조기축구 수준을 보이고 있는데 그 선수를 mom으로 뽑고 주전 선발 시킨다는게 얼마나 비정상임
@Currry-br8ug
@Currry-br8ug 24 күн бұрын
@@whykorean조축 수준도 안되더라
@Dj-Park
@Dj-Park 24 күн бұрын
윤이 왜 당선이 됐겠냐? 문이 지지율 다 말아먹어서 된 거지. 농담 아니고 박근혜 탄핵 이후 우파세력이 망했는데, 그걸 문씨가 5년만에 좌파세력을 말아 드시면서 윤이 뽑힌 거다.
@user-mt7qy8jt7b
@user-mt7qy8jt7b 24 күн бұрын
ㄹㅇ 삼프로때 답이 나와있긴했었지.. 윤 뽑은놈이나 선거 아예 안한놈은 불평하지말아여함
@unis9578
@unis9578 18 күн бұрын
덕분에 단통법 폐지 법안 날라가는거 덮힘 직구금지도 문제지만 단통법 폐지 법안 날라가는것도 문제임
@user-vq5cd4mh5r
@user-vq5cd4mh5r 16 күн бұрын
파시스트와 공산주의를 욕하면서도 그 어떠한 나라들보다 철저하게 실행에 옮기는 한국 ㅋㅋㅋㅋ
@kcjung7363
@kcjung7363 24 күн бұрын
라인경영권 사태도 아직 진행중입니다..
@k.hatsune3382
@k.hatsune3382 24 күн бұрын
'자유'를 말했던 정권이 정작 자유가 뭔지 모름
@lionelmessi-kv7ye
@lionelmessi-kv7ye 23 күн бұрын
한국 보수세력이 하는 짓이 역사적으로 다 똑같음ㅋ
@kfx3907
@kfx3907 23 күн бұрын
한국 자칭 보수들의 현주소임. 뭐가 자유인지도 모르는거같음
@jeonghwanlim3144
@jeonghwanlim3144 23 күн бұрын
대대로 자본주의에서 자유라 함은 "지배계급이 마음껏 착취하거나 뜯어먹을 자유".
@Venceremos-ud7wi
@Venceremos-ud7wi 23 күн бұрын
아니요. 그것들은 진심으로 자유를 말했을 겁니다. 단지, 그것들이 추구하는 자유와 대다수 보통 사람들이 추구하는 자유가 서로 판이하게 다를 뿐이죠.
@user-df1ud2ce6l
@user-df1ud2ce6l 24 күн бұрын
두창이가 화물연대를 덮쳤을 때 나는 침묵했다. 나는 화물연대가 아니었기 때문이다. 두창이가 이공계 R & D 예산 삭감할 때 나는 침묵했다. 나는 이공계가 아니었기 때문이다. 두창이가 의료계를 덮쳤을 때 나는 침묵했다. 나는 의료계가 아니었기 때문이다. 두창이가 내 직구를 못하게 했을 때는 나를 위해 말해 줄 이들이 아무도 남아 있지 않았다.
@user-kl2qr9pl4z
@user-kl2qr9pl4z 24 күн бұрын
화물연대도 이공계도 의대도 다른 단체에게 관심 안 가져서 그 꼴 당했죠. 한국은 희한하게 없는 것들끼리 절대 안 뭉쳐요. 그러니 저 한 줌도 안되는 것들이 다 해 처먹고 자빠져 있죠.
@user-oj2bl4xv8k
@user-oj2bl4xv8k 19 күн бұрын
ㅈ소도 이딴식으로 운영안함
@1096not
@1096not 24 күн бұрын
전부 철회식의 제목이 올라오고 있는데 그나마 시원한 영상이네요 정말 갑자기 이 뭔 그지같은 상황인가요 판매용만이 아닌 개인 자가 직구 원천 금지라했다가 들끓으니까 언제 그랬냐는듯이 꼬리내리는척하고... 뒤로 소리없이 갑자기 할까봐 불안합니다 세관 직원들만 고생이네
@old_conscience
@old_conscience 24 күн бұрын
뽑을 때는 주인. 뽑은 뒤에는 노예. 그러니 잊지 말자... 이번 정권의 문제를...
@smithgeorge6858
@smithgeorge6858 24 күн бұрын
​@@hder9중국은 찬성하는데 왜 계속 헛소리 싸지름?
@hoho_ine
@hoho_ine 24 күн бұрын
​@@hder9선족이 새끼 여기저기 댓글다네
@user-ij2mw1rw2j
@user-ij2mw1rw2j 24 күн бұрын
@@hder9 중국은 kc받아서 한국에 때려박고 소량팔리는 유럽이나 미국같은곳은 굳이 kc안받고 안팔아야지 하면 한국은 중국산만 쓰게되는거임..
@rolypoly3605
@rolypoly3605 24 күн бұрын
​@@hder9ㅋㅋ 얘 댓글 알바임
@user-zg3cj3dz6w
@user-zg3cj3dz6w 22 күн бұрын
중국게임하다가 현질하면 직구인가요? 게임도 KC인증 받나요?
@user-lo7hg9yf1i
@user-lo7hg9yf1i 23 күн бұрын
어? 휴대폰을 싸게 사? 단통법 어? 책을 싸게 사? 도서정가제 어? 휴대폰 요금도 싸게 쓰네? 알뜰폰 규제 어? 이젠 모든 물건도 싸게 사려하네? 직구 규제 ㅇㅇ 걍 국민 좋게 사는 꼴 못보겠다는거임 국민이랑 기싸움 하는 나라는 우리 말곤 없을거임 ㅋㅋ
@user-wi2bd5zn2z
@user-wi2bd5zn2z 24 күн бұрын
너무 화가나서 20일에 브리핑 라이브로 다 들어봤는데 ㅋㅋㅋㅋㅋ 솔직히 옳니 그러니를 떠나서 뭘 하고 싶다고 말하는지도 제대로 파악 못한거같음;; 대놓고 우리 한탕 먹으려고라고 말할 순 없으니까 기자질문들 돌리고돌리고돌리고 계에에속 반복 + 국무차장 브리핑 내내 저희나라 그러는거 진짜 ㅋㅋㅋ 중학교때 배우는것도 모르는거야 아니면 진짜 저희나라취급인거야 ㅋㅋ
@user-gq6qr6fq4g
@user-gq6qr6fq4g 24 күн бұрын
미국이든 유럽이든 모든 나라는 각각 다른 안전규정이 있고 그거 통과 못한 제품은 그 나라에 파는 거 불가능합니다. 유럽이 제일 빡세고 그담은 미국. 그나마 한국은 약한 편인데 그것조차 아예 받지도 않고 그냥 팔고 있는데 중국업체들 직구앱인데 . ㅋ 중국 내수에 유통되는 제품들이 얼마나 위험한지 알면 진짜 이런말 못함... 중국 장남간 부품을 먹은 미국아이가 납중독으로 죽은 사건은 업계에서 일하는 사람이라면 다 알정도로 아주 유명하지.. 도자기 식기류나 유리컵 같은 건 납이 많이 들어갈수록 광택이 좋고 불량률이 적어짐.. 거기다 뜨거운 국이나 커피 부어서 매일 마시면 어떻게 되겠냐? ㅎ 중국에서 전기장판이 합선되어 불이 나는 게 정말 주변에서 아는 사람들이 한번은 겪었을 정도로 많음.. 도금된 제품에는 발암물질인 카드뮴이 다량 들어있고 알러지 일으키는 니켈을 사용하면 도금 표면이 매끈하게 나와서 중국업체들은 자기 내수 제품에는 왕창 넣어서 작업함.. 이런건 그런 분양에서 일을 한사람들은 다 알지만 그외는 다 모르겠지.. 정말 말하면 끝도 없음.. 그런 쓰레기 제품들이 지금 엄청나게 들어오고 있는 거임.. 반면 한국업체들은 한국에서 파는 제품들은 다 비용들여서 일일이 안전인증검사 받고 패스되어야만 팔수 있음. 당연히 질이 좋은 원자재가 더 비싸고 검사비용도 만만치 않음. 그러니 중국 직구 제품이 싼건 당연. 도대체 중국업체에는 왜 우리의 안정인증 규제를 적용 안하고 자유롭게 싸게 팔수 있게 혜택을 줘야 하나? 이런건 좀 알고나 댓글 좀 달아라.. 쩝..
@user-wi2bd5zn2z
@user-wi2bd5zn2z 24 күн бұрын
@@user-gq6qr6fq4g 니 옹졸한 정치성향부터 안보이게 하고 댓글 싸질러라 해외가 중국밖이 없냐? 전 세계 다 처막는게 문제라고 영상에서도 나오는데 중국타령하고있어 멍청하게
@user-wi2bd5zn2z
@user-wi2bd5zn2z 24 күн бұрын
​@@user-gq6qr6fq4g 니 옹졸한 정치성향과 멍청함부터 생각을 하고 댓글 싸질러라 진짜 해외가 중국밖이 없냐? 그리고 니가 말한 미국이나 유럽 기준으로 말하는건데 해외수출품에 대해선 자국의 인증규정을 도입하지 않는단다;; 정상적으로 수입수출을 하는 나라 대부분이 이 규정을 준수하고(자유무역), 아닌 나라가 북한같은 나라같지도 않은 나라가 있단다. 전 세계 기준으로 수입을 처막으니까 욕하는건데 중국트집잡고 개소리를 진짜 길게 써놨네
@user-wi2bd5zn2z
@user-wi2bd5zn2z 24 күн бұрын
@@user-gq6qr6fq4g 그리고 뭐 세계가 중국밖이 없냐? 전 세계 다 처막는다는데 뭔 중국이야기만 줄줄히하고있어 솔직히 정부도 대놓고 중국수출막는다고 하면 보복할까봐 쫄아서 중국한테 미리 정보준것도 팩트아냐? 아니 그 이전에 KC인증이 뭔지는 알고 지껄이냐? 가습기사건을 몰라? 생각하는 꼬라지가 누구보다 빨갱이짓 좋아하면서 빨갱이 욕하는 무식한 정치병자같네 그냥
@user-wi2bd5zn2z
@user-wi2bd5zn2z 24 күн бұрын
@@user-gq6qr6fq4g 이곳저곳 댓글 달아놓은거 진짜 가관인데 ㅋㅋ 솔직히 니같이 백날천날 빨갱이 욕하면서 정부가 빨갱이짓하는건 이 악물고 실드치는 니 정치성향이 제일 안타까움. 영상 내용도 안보고 댓글로 실드부터 치러오면서, 윤석열이 빨갱이짓하고있는데도 문재인 이재명탓이라고 할 니 정치성향이 제일 안타깝다고 ㅇㅇ 해외가 중국밖이 없냐? 중국이 문제라면 가장 강경하게 중국수입 막는다고 말해야지. 뭔 중국트집 잡고있어 전 세계 다 처막는다는데;; 버틸 내수시장도 없는데 중국수입 막겠다고 하면 경제보복할까봐 쫄리고 ㅋㅋ
@Pegasus-uo7rk
@Pegasus-uo7rk 24 күн бұрын
현 정부는 할 수 있는 게, 졸속이 아니면 대형 사고 뿐이라. 아무 것도 안 하는 게 최선으로 보임.
@user-gq6qr6fq4g
@user-gq6qr6fq4g 24 күн бұрын
미국이든 유럽이든 모든 나라는 각각 다른 안전규정이 있고 그거 통과 못한 제품은 그 나라에 파는 거 불가능합니다. 유럽이 제일 빡세고 그담은 미국. 그나마 한국은 약한 편인데 그것조차 아예 받지도 않고 그냥 팔고 있는데 중국업체들 직구앱인데 . ㅋ 중국 내수에 유통되는 제품들이 얼마나 위험한지 알면 진짜 이런말 못함... 중국 장남간 부품을 먹은 미국아이가 납중독으로 죽은 사건은 업계에서 일하는 사람이라면 다 알정도로 아주 유명하지.. 도자기 식기류나 유리컵 같은 건 납이 많이 들어갈수록 광택이 좋고 불량률이 적어짐.. 거기다 뜨거운 국이나 커피 부어서 매일 마시면 어떻게 되겠냐? ㅎ 중국에서 전기장판이 합선되어 불이 나는 게 정말 주변에서 아는 사람들이 한번은 겪었을 정도로 많음.. 도금된 제품에는 발암물질인 카드뮴이 다량 들어있고 알러지 일으키는 니켈을 사용하면 도금 표면이 매끈하게 나와서 중국업체들은 자기 내수 제품에는 왕창 넣어서 작업함.. 이런건 그런 분양에서 일을 한사람들은 다 알지만 그외는 다 모르겠지.. 정말 말하면 끝도 없음.. 그런 쓰레기 제품들이 지금 엄청나게 들어오고 있는 거임.. 반면 한국업체들은 한국에서 파는 제품들은 다 비용들여서 일일이 안전인증검사 받고 패스되어야만 팔수 있음. 당연히 질이 좋은 원자재가 더 비싸고 검사비용도 만만치 않음. 그러니 중국 직구 제품이 싼건 당연. 도대체 중국업체에는 왜 우리의 안정인증 규제를 적용 안하고 자유롭게 싸게 팔수 있게 혜택을 줘야 하나? 이런건 좀 알고나 댓글 좀 달아라.. 쩝..
@user-lg2uv4lg8j
@user-lg2uv4lg8j 24 күн бұрын
​@@user-gq6qr6fq4g 정작 말씀하신 중국업체 알리테무는 어디서 얻었는지 미리 인증받는다고 직구금지 발표 2일전에 언론배포했네요
@user-mc3ov1gc5f
@user-mc3ov1gc5f 24 күн бұрын
⁠@@user-gq6qr6fq4g 님말대로면 그럼 중국산 제품 막는다고 미국, 유럽산 제품 직구를 깡그리 막는건 그건 옳고요? 아이들 안전 관련은 솔직히 반대하는 사람들이 이상하죠 근데 그게 아니니까 이렇게 빈발들이 올라오는 거고 안전에 관해서 면밀하게 살펴보고 여러 가능성에 대한 대처방안을 강구하고 정책이 발표되어야하는데 지금 꼴은 누가봐도 그게 아니란 걸 알잖습니까 ”아 이거 위험해“ => “에이 몰라 그냥 다 금지” 이게 맞아요?
@user-nemo1015
@user-nemo1015 20 күн бұрын
지들 맘대로 결정하고 국민들한테 통보하는 행태가 민주주의 사회에서 말이 되는 상황인가요
@designdooscissors
@designdooscissors 24 күн бұрын
용산에 계신 그분만 당선 철회하면 이런일 안생긴다..😢😢
@user-sp1lb4pq8n
@user-sp1lb4pq8n 24 күн бұрын
나라가 엉망이구나 진짜 이렇게 계속가다가는 앞날이 위험하겠다 정부를 어떻게믿고 사냐
@user-xc5tm1xy1c
@user-xc5tm1xy1c 24 күн бұрын
​@@hder9너 뭐하는 넘이지?
@hoho_ine
@hoho_ine 24 күн бұрын
​@@hder9 중국 알리 테무는 쌍수들고 반기는데요? 이미 중국측은 kc인증에 대응하고 있고 미국과 일본, 유럽 소량 생산 품목 등 kc인증에 수백만원씩 대응할 여력이 없는 중소기업들만 막는 악법입니다.
@hder9
@hder9 24 күн бұрын
@@hoho_ine ㅇㅇ 대응 한다는것 자체가 무언가 해야한다는거지. 중소기업은 어느나라 말하는거임? 이건 직구 말하는거예요. 해외중소기업 수백만원 들어가서 그래요? 마음이 천사시네
@user-hy7rh7cn1d
@user-hy7rh7cn1d 24 күн бұрын
@@hder9이건 중국산 규제가 아니라 중국산 돕는거라니까. 중국은 KC인증 받고 대량으로 마음껏 팔 수 있고 오히려 다른 나라는 소량 판매할 목적으로 KC인증을 받을리 없으니 차단당한다니까. 이해가 안됨?
@hder9
@hder9 24 күн бұрын
@@user-hy7rh7cn1d 어차피 정식수입은 인증을 받아야함. 직구도 인증을 받아야하는거고. 그리고 중국산하고 다른나라산이 경쟁관계다? 우주에서오심? 애초에 직구라는게 개인이 한두개 사는거임. 이건 중국산이 위협이지 그외 국가에서 오는건 위협도 아니야. 진짜 대한민국 국민들 중국산 사랑이 대단하네
@user-qz3mo9kb7d
@user-qz3mo9kb7d 24 күн бұрын
다이소 아기욕조가 KC인증받고 발암물질이 600배넘게 나왔었다죠? 라돈침대도있고 가습기 살균제 노트7까지 전적이 화려하다못해 대단함ㅋㅋㅋㅋㅋ
@jjgg8640
@jjgg8640 22 күн бұрын
중국산 견제목적
@sdl5154
@sdl5154 24 күн бұрын
불경기에 숨통 트일만한 일을 하라고 국민들 잘 살게 하라고 이러니 출산율 떨어지지
@user-qk2eu8zy6e
@user-qk2eu8zy6e 21 күн бұрын
의대증원도 같은 논리임 한번 당해보셔요
@kosumo7060
@kosumo7060 24 күн бұрын
한발은 커녕 1mm도 안 물러섰음.. 레알 미친 정부..
@slushark
@slushark 24 күн бұрын
세계표준인증은 공통 사용인데 유독 한국만,KC로 받아야 한다고 함. 갈라파고스 한국. 애플이 한국판매만 한달 이후 되는 이유.
@user-gq6qr6fq4g
@user-gq6qr6fq4g 24 күн бұрын
유언비어 퍼뜨리지 마세요. 세계공통인증같은 거 없습니다. 미국이든 유럽이든 모든 나라는 각각 다른 안전규정이 있고 그거 통과 못한 제품은 그 나라에 파는 거 불가능합니다. 유럽이 제일 빡세고 그담은 미국. 그나마 한국은 약한 편인데 그것조차 아예 받지도 않고 그냥 팔고 있는데 중국업체들 직구앱인데 . ㅋ 중국 내수에 유통되는 제품들이 얼마나 위험한지 알면 진짜 이런말 못함... 중국 장남간 부품을 먹은 미국아이가 납중독으로 죽은 사건은 업계에서 일하는 사람이라면 다 알정도로 아주 유명하지.. 도자기 식기류나 유리컵 같은 건 납이 많이 들어갈수록 광택이 좋고 불량률이 적어짐.. 거기다 뜨거운 국이나 커피 부어서 매일 마시면 어떻게 되겠냐? ㅎ 중국에서 전기장판이 합선되어 불이 나는 게 정말 주변에서 아는 사람들이 한번은 겪었을 정도로 많음.. 말하면 끝도 없음.. 그런것들 다 한국업체들은 한국에서 파는 제품들은 다 비용들여서 일일이 안전인증검사 받고 패스되어야만 팔수 있는데 도대체 중국업체에는 왜 적용 안하고 자유롭게 싸게 팔수 있게 혜택을 줘야 하나? 이런건 좀 알고나 댓글 좀 달아라.. 쩝..
@Berry_KB
@Berry_KB 24 күн бұрын
6월부터 시행아님 이미 시작했음 벌써부터 통관보류되거나 통관실패했다는 인증글이 쏟아지는 중임
@sang-cheolkim5149
@sang-cheolkim5149 24 күн бұрын
전형적인 국무조정실(물론 그 위에서 떨어진) 탁상행정....이군.. 이 정부(특히 용산) 하는 스타일이 그냥 무작정 머리로 상상해서 질러놓고....발뺌하기...아니면..바이든 날리면 시리즈..
@user-wn5il9vn2d
@user-wn5il9vn2d 24 күн бұрын
언론들 해당 이슈 자세히 알아보지도 않고 겉핥기 식으로 말만 나르면서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는데, 시원스레 정리해주셔서 좋네요! 파이팅입니다
@user-fc7es2jq2h
@user-fc7es2jq2h 24 күн бұрын
관세청 직원은 뭔죄냐 진짜 거의 울고있는거봐 지들은 저지르고 반응보고 고민만 살짝 하는 척 하면 된다 이거지
@user-mq3rw2lf6f
@user-mq3rw2lf6f 24 күн бұрын
관세청도 호감스택 맥스라서 좋게는 안보는데 일거리 폭발하면 불쌍하긴 하네요..
@kkjj2604
@kkjj2604 24 күн бұрын
아져씨들 골프채나 직구사지 생필품은 직구 안해봤을거고,, 기업들 힘들다 하고 유해물질 있다니까 이때다 싶어서 발표했구만
@user-wh6de9ph5m
@user-wh6de9ph5m 24 күн бұрын
나는 여야 따지지않고 정치하는행동보고 그때마다 여야 찍는데 이번에는 진짜 역대급 빌런이 나타난거같다.. 아무리 지금까지 못하는 대통령이 나왔어도 이정도는아니였는데.. 하나부터열까지 나열하기도힘들다..
@jsjs5832
@jsjs5832 24 күн бұрын
철외하는거아니면 6월에 예정대로 그냥 하는거임 이건 들고 일어나서 용산 밀고들어가야함
@user-dr4ok7fs8m
@user-dr4ok7fs8m 24 күн бұрын
해외 : 코리아가 해외직구를 금지한다고? 킴정은 코리아 말하는거지?
@user-gq6qr6fq4g
@user-gq6qr6fq4g 24 күн бұрын
미국이든 유럽이든 모든 나라는 각각 다른 안전규정이 있고 그거 통과 못한 제품은 그 나라에 파는 거 불가능합니다. 유럽이 제일 빡세고 그담은 미국. 그나마 한국은 약한 편인데 그것조차 아예 받지도 않고 그냥 팔고 있는데 중국업체들 직구앱인데 . ㅋ 중국 내수에 유통되는 제품들이 얼마나 위험한지 알면 진짜 이런말 못함... 중국 장남간 부품을 먹은 미국아이가 납중독으로 죽은 사건은 업계에서 일하는 사람이라면 다 알정도로 아주 유명하지.. 도자기 식기류나 유리컵 같은 건 납이 많이 들어갈수록 광택이 좋고 불량률이 적어짐.. 거기다 뜨거운 국이나 커피 부어서 매일 마시면 어떻게 되겠냐? ㅎ 중국에서 전기장판이 합선되어 불이 나는 게 정말 주변에서 아는 사람들이 한번은 겪었을 정도로 많음.. 도금된 제품에는 발암물질인 카드뮴이 다량 들어있고 알러지 일으키는 니켈을 사용하면 도금 표면이 매끈하게 나와서 중국업체들은 자기 내수 제품에는 왕창 넣어서 작업함.. 이런건 그런 분양에서 일을 한사람들은 다 알지만 그외는 다 모르겠지.. 정말 말하면 끝도 없음.. 그런 쓰레기 제품들이 지금 엄청나게 들어오고 있는 거임.. 반면 한국업체들은 한국에서 파는 제품들은 다 비용들여서 일일이 안전인증검사 받고 패스되어야만 팔수 있음. 당연히 질이 좋은 원자재가 더 비싸고 검사비용도 만만치 않음. 그러니 중국 직구 제품이 싼건 당연. 도대체 중국업체에는 왜 우리의 안정인증 규제를 적용 안하고 자유롭게 싸게 팔수 있게 혜택을 줘야 하나? 이런건 좀 알고나 댓글 좀 달아라.. 쩝..
@user-eh2ur2gc6u
@user-eh2ur2gc6u 24 күн бұрын
@@user-gq6qr6fq4g 죄송하지만 만약 이 정책이 통과되면 중국산뿐만 아니라 미국산과 유럽산과 일본산도 직구 못하게 되는 건데요. 그리고 KC 인증받은 제품들은 전혀 믿을 게 못됐다는 게 이미 여러 번 증명되었고요. 자칫 잘못하다간 국제적 비난과 제재와 무역 분쟁으로까지 번질 수 있다는 겁니다. 유통업체들을 조질 생각을 해야지 왜 중국산뿐만 아니라 미국산과 유럽산과 일본산도 직구를 못하게 무조건 다 규제를 때리는 건지 이해가 안 갑니다. 국제적 비난과 제재를 받고 무역 분쟁으로까지 번져야 그제야 정신 차리고 전면 철회시키지 않을까 싶어요. 게다가 kc 인증받은 제품들 대다수가 중국산이라서 오히려 이 정책이 사실상 국내 시장을 중국에 완전히 먹히게 하고 중국산 제품들만 직구가 허용되게 할 수 있고요. 알리랑 테무가 이번 해외 직구 규제에 동의한 걸 보면 이미 답이 나왔잖아요? 지네들에게 오히려 유리한 정책이니까 반대하지 않았던 거죠.
@Brother_Do
@Brother_Do 23 күн бұрын
​@@user-gq6qr6fq4g 일일히 안전검사 받고(휴대폰을 터트리고 가습기 살균제로 사람을 죽이며)
@Brother_Do
@Brother_Do 23 күн бұрын
​@@user-gq6qr6fq4g 중국업체들 저격이다(정작 알리 테무는 즉각 협의함)
@manen0
@manen0 18 күн бұрын
이거는 쇼핑 셧다운제 아닌교...
@hirzd
@hirzd 24 күн бұрын
내수 기업 지원 할꺼면 자국기업에 한정해서 kc인증을 100만원 이상 받고 반년 이상 걸릴게 아니고 10만원 이하로 만들고 3개월 이하로 해줘야지
@ravenk7140
@ravenk7140 24 күн бұрын
그러니 아직 방심해서는 안됩니다
WHY THROW CHIPS IN THE TRASH?🤪
00:18
JULI_PROETO
Рет қаралды 9 МЛН
Заметили?
00:11
Double Bubble
Рет қаралды 3,6 МЛН
В ДЕТСТВЕ СТРОИШЬ ДОМ ПОД СТОЛОМ
00:17
SIDELNIKOVVV
Рет қаралды 3,8 МЛН
Is it Cake or Fake ? 🍰
00:53
A4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WHY THROW CHIPS IN THE TRASH?🤪
00:18
JULI_PROETO
Рет қаралды 9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