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 한장 꽂았다고 속도가 이렇게 빨라져도 되는거임?

  Рет қаралды 390,351

복구천재 꼬마신발

복구천재 꼬마신발

9 ай бұрын

새로 컴퓨터를 구입하시려는 분들중에 빠른 저장장치가 필요하신 분들, 특히 조금 오래된 컴퓨터를 사용하시면서 M.2 슬롯이 없어 SATA 방식의 SSD를 사용해 업그레이드 하셨던 분들이라면 한번 더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이런 확장 카드를 주목해 보세요. 가성비가 뛰어난 엄청난 속도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4슬롯을 모두 사용가능한 메인보드는 CMOS에서 옵션을 찾아보시거나 제조사 홈페이지에 문의하시는걸 추천해 드립니다. 수입대행사나 서비스센터에서는 모르시는 분들도 많으시더라고요. NVME 한개만 꽂으실때는 비어있는 PCI-E 슬롯만 있으면 바로 가능합니다.
#빠른저장매체 #NVME확장카드 #컴퓨터업그레이드
NVME 분할카드 판매자링크
s.click.aliexpress.com/e/_Dmy...

Пікірлер: 326
@jinho6572
@jinho6572 8 ай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user-hj7ie4tv2s
@user-hj7ie4tv2s 8 ай бұрын
신의손 너무 잘 봤습니다
@seokpyohong4531
@seokpyohong4531 8 ай бұрын
대박이네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데탑을 구성하는데.. 크게 고려해봐야겠습니다.. !!!
@oliveryangjung
@oliveryangjung 9 ай бұрын
저 바이오스 화면 진짜 오랫만이네요. 고전 감성돋네요
@user-fy4hp7ez4j
@user-fy4hp7ez4j 8 ай бұрын
좋은정보감사합니다
@Rb795nm
@Rb795nm 9 ай бұрын
아아;;; 어쩐지.... 이거 전에 사둔게 어딘가 있을텐데... 저는 1개만 보여서 보니까 설정을 해줘야 하는거였군요 ㅠㅠㅠ 메인보드가 지원할지 모르겠습니다...ㅠ_ㅠ 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jn1tl9dl6n
@user-jn1tl9dl6n 8 ай бұрын
게임용 보다는 큰 용량의 파일이나 영상 파일을 저장하고 옮기고 편집하는 등 작업용 pc에 어울리는 구성이겠네요.
@lkm6530
@lkm6530 9 ай бұрын
인텔은 ASUS 메인보드만 지원하는걸로 알고있습니다 ASUS에서도 하이퍼카드를 만들다보니 호환성을 생각해뒀더라구요
@roaming_bear
@roaming_bear 4 ай бұрын
와 이런 물건이 다 있네요😮😮 나중에 집에서 쓸 용도로 pc 맞추면 기억해놨다가 꼭 써야겠네요 와 속도 아름답다...
@YeesuJeju
@YeesuJeju 8 ай бұрын
참 좋은 영상이네요. 감사합니다.
@Little_Shoes
@Little_Shoes 8 ай бұрын
즐겁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sexmaster
@sexmaster 9 ай бұрын
전문 고해상도 영상 편집하시면서 시간이 돈이신분들이라면 이 제품 정말 좋아요. 단, 영상 영구 저장은 따로 NAS에 저장하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
@nextist98
@nextist98 9 ай бұрын
왠지 AV 업계에서 일하고 계실것 같은 아이디라 더욱 믿음이 가는 댓글이네요
@user-uu4zi9tu7w
@user-uu4zi9tu7w 9 ай бұрын
닉값
@turkeypark9221
@turkeypark9221 9 ай бұрын
ㅈㄴ신뢰가는 닉이네
@nighthaven5948
@nighthaven5948 9 ай бұрын
음! 딱 신뢰감.
@user-me8xz1rx6w
@user-me8xz1rx6w 9 ай бұрын
설마 그 전설의 아이시떼룻? ㅋㅋㅋ
@user-ck1jq2tf2n
@user-ck1jq2tf2n 9 ай бұрын
구형 컴에게 새생명을 주시내유~~~~ ^0^ 오늘 영상 감사 합니다..
@peterjeong5655
@peterjeong5655 9 ай бұрын
7세대 같이 nvme없는 보드에 연결하기 위해 4슬롯이 아닌 1슬롯도 있습니다
@playgame-xu1xs
@playgame-xu1xs 9 ай бұрын
역시 그곳의 물건.. 상당한 속도네요.
@user-ls2yj9yh9s
@user-ls2yj9yh9s 11 күн бұрын
큰파일 자주 쓰시는분들한테 좋은제품이군요
@taeseongjo4506
@taeseongjo4506 9 ай бұрын
이 카드는 구매 전에 고려해야 될게 우선 x16 슬롯에 꼽는 카드입니다. intel 계열에서 서버나 WS 계열 보드가 아닌 경우 대부분 기존 16 슬롯을 4lane씩 잘라서 4개로 분할해서 할당해주다 보니 비디오 카드 슬롯까지 x4 또는 x8 슬롯으로 작동하는 상황이 올 수 있죠. 다르게 보면 4개 슬롯 중 2개만 활성화 될 수 도 있어요. 그래서 실제로 ASUS 보드 설명에 보면 PCI x16 슬롯 3개 다 쓰면 x4, x4/x4 로 다운된다고 설명되어있죠. 보드하고 CPU하고 고민하고 잘 선택해서 쓰셔야 하는 카드입니다.
@yosephjin2756
@yosephjin2756 8 ай бұрын
정답 레인이라는 개념을 알아야됨.
@user-k1i9t0t7
@user-k1i9t0t7 8 ай бұрын
pcie 대역폭을 주고 속도를 취한다
@hmenk7376
@hmenk7376 6 ай бұрын
혹시 TUF Gaming X570-PRO (Wi-Fi) STCOM 이 메인보드에 사용가능한지 알 수 있을까요ㅠㅠ?? 그래픽카드에 1슬롯주고 한개 슬롯이 남아서 해보려 하는데.. 안될수도 있는 기준이 잘 이해가 안가서요.. cpu는 5600x입니다..
@user-ft4zh7np9z
@user-ft4zh7np9z 5 ай бұрын
@@hmenk7376 스펙보니까 4배속 모드로 동작하네요 기준은 기본적으로 없고 그냥 스펙시트를 봐야하는데 일단 분명한건 16배속 두개는 불가능합니다. 왜냐면 일단 CPU에서 나오는게 AMD는 24레인 인텔은 20레인이여서요 이걸 그래픽카드 저장장치 입출력장치가 공유해야해요 물론 최상위 보드에선 보드 컨트롤러가 추가지원해주긴 합니다만 그래도 16레인 두개는 불가능한 구조에요 보통 그래도 8배속 8배속이 나오게 해주는데 말씀하신 보드는 와이파이랑 이더넷 스펙에 레인이 추가로 할당됐는지 두번쨰 pci e가 무조건 4배속으로 동작하는 구조네요 자체 컨트롤러가 달린 확장카드면 이제 4배속에서 속도만 포기하고 쓸 수 있는데 영상의 제품은 그냥 레인 직결이여서 4배속이면 1개만 동작하는 구조입니다. 아마 8배속 지원이라해도 두개 지원일거라 애매했을거같은데요 그냥 한개 꼽을 수 있는 카드도 있으니 그거 쓰셔도 됩니다...
@taeseongjo4506
@taeseongjo4506 5 ай бұрын
@@hmenk7376 사지마세요. 2번째 슬롯이 물리적으로 4배속 슬롯입니다. 그냥 1개만 활성화됩니다.
@dolphin91004
@dolphin91004 9 ай бұрын
이번에 영상올리셨군요 저도 이번에 듀얼로 1개사서 2개짜리로 m.2 1개꽂아 쓰고있어요 ㅎㅎ
@user-fy4hp7ez4j
@user-fy4hp7ez4j 8 ай бұрын
역시복구천재시군요
@n3n752
@n3n752 8 ай бұрын
예전에도 저런제품 있던거 같은데 가격이 많이 내려왔네요. 지금은 사용 안하지만 레이드 0 한 10년 사용했는데 고장난일이 없습니다. 대용량 파일 자주 옮기시는 분들께 오히려 ssd 수명 아낄수 있으니 추천드립니다. 그래도 중요한 파일은 항상 백업이 필수에요! 다만 게임이나 저용량 4k 이하 파일을 대량으로 다루시는 분들은 큰 다른점을 체감하지 못하실겁니다. 벤치마크 결과의 랜덤 4k 보시면 아실겁니다. 실사용에서는 (부팅속도나 게임 로딩시간)은 랜덤 4k 성능이 속도를 좌지우지합니다. 요즘은 자주 사용하지 않는 기술이라 개인용 pc 보드에서 항상 지원하지는 않기때문에 논리 RAID를 사용하셔야 할겁니다.
@doom9344
@doom9344 9 ай бұрын
알리에서 사놓고 아직 테스트 안했는데 테스트 영상감사합니다. 하지만 x4x4x4x4 기능 지원 보드가 있어야 하다니 ㄷㄷㄷ 망했네요. ㅋ
@user-wo8sk6en5q
@user-wo8sk6en5q 9 ай бұрын
예전 7세대 시피유를 사용하는 컴에서는 더욱더 유용한 제품 같습니다. 다만 시모스에서 pcie 16부분에서 4개로 분할이 가능해야 한다는 것이네요... 유용한 정보 감사합니다. 영상 잘보고 갑니다.
@Pro2-hf6oc
@Pro2-hf6oc 5 ай бұрын
구형 컴퓨터 업글시 보드가 지원한다면 확장카드 + nvme m.2는 최고죠.. 해당 메인보드에서 호환 가능한 최고성능 CPU 업글하고 nvme m.2 부팅용으로 설치하면 CPU 성능 많이 타는 게임이나 동영상 관련 작업 아니면 딱히 부족할게 없음.. 메인보드와 메모리를 마지막까지 쥐어짜는 좋은 업글..
@kess7897
@kess7897 9 ай бұрын
그래픽 장착 슬롯이 2개 이상인 보드에서 그래픽 카드와 함께 사용이 가능한지를 테스트해야 되지않을까요? 일반적인 그래픽 없는 환경에서는 이 확장카드의 사용이 필요 없을거고요.
@srich6567
@srich6567 13 күн бұрын
으아 컴터는 꾸준히 공부해야해서 머리가 아프네요 ~ 전 영상보고 3.0 m.2 512메가 4개로 해보겠습니다!
@cmscms39
@cmscms39 7 ай бұрын
Amd a8 기가바이트 메인보드 구형 컴인데. 사용가능 하겠죠.ㅎㅎ Nvme 첨 나왔을때 가격 넘사벽이었는데 역시 디지털 제품은 시간이 가격이 내려오거나 단종되는.. 오래된 컴이지만 멀티미디어용으로 사용 충분하길래 윈 11 설치후 잘사용 중입니다. 저제품은 구형컴에 써야 만족도가 높을듯요.
@jsjs5832
@jsjs5832 5 ай бұрын
이왕 말씀하신 램드라이브.테스트도해주시면안될까용
@tomixamputator
@tomixamputator 9 ай бұрын
인텔의경우 레인분할 대다수가 고급보드 주로 고급보드에 있습니다. 서버/워크스테이션 그리고 Z790등. 보드값만 100만을 호가합니다...
@iruis
@iruis 8 ай бұрын
충분히 빠른 속도이긴한데 작업관리자의 성능탭에서 복사 대상 드라이브의 쓰기 속도를 펼쳐놓고 녹화했으면 좋았을거같습니다. 왜냐면 메모리에 파일이 캐시되어 탐색기에서는 파일 복사가 완료된거로 보여도 실제로는 계속 쓰고있기도 하기때문이고 작업관리자의 성능에서 볼 수 있는 디스크 성능이 실제로 디스크에서 읽고 쓰고있는 속도가 나오기때문입니다. (윈도우 10의 작업관리자는 보기-업데이트 속도-빠름, 윈도우 11은 설정-실시간 업데이트 속도-높음 선택하면 작업관리자의 업데이트 속도가 빨라집니다.) 제 생각으로는 6:21 여기에서는 단일 디스크에 약 40GB를 읽으면서 쓴것이고 6:48 여기에서는 네개의 디스크에 1/4씩 썼으니 세번 반복해도 디스크당 30GB 밖에 안되어 연속 4~5번은 D: -> D: 복사를 진행해야 C드라이브와 비슷한 결과를 예상할 수 있을거같습니다. (시스템 메모리가 64기가라면 54기가 파일이 한번 읽히면 상당량 메모리에 파일이 캐시되기때문에 디스크에서 읽는 용량은 확연히 줄어들어 비슷하지 않을 수 있겠지만 이것 또한 작업관리자의 성능탭의 디스크 성능에서 읽기/쓰기 그래프를 확인하여 실제 어느정도 읽고 쓰기가 발생했는지 봐야 차이를 더 알 수 있을거같습니다.)
@LazyWhiteFox
@LazyWhiteFox 9 ай бұрын
ssd 는 남고 나스,작업용도로 쓸꺼면 좋을꺼같은환경이라고 생각합니다
@somuatv
@somuatv 9 ай бұрын
추가슬롯카드를 asus hyper 같은 보다 완성도 있는거로 쓰고 skp41 같은 저발열 제품으로 했으면 더 잘나왔곘네요. 근데 그와중에서도 실사용에 큰 영향을 미치는 4k읽기는 그대로인게 함정
@bair4007
@bair4007 3 ай бұрын
랜덤 4k속도는 큰 변화가 없어서 대용량 파일 작업에서만 유효하겠네요 실사용에선 랜덤4k가 훨씬 중요하니
@onnya4753
@onnya4753 4 ай бұрын
운영체제용으로는 힘들겠네요. 대용량 작업하는 분들에게 좋겠네요.
@ludugma9689
@ludugma9689 9 ай бұрын
nvme 슬롯 2개 이상 되는 보드에 500기가 최저가 제품 nvme 장착해서 데이터 복사 하셔도 복사속도 2기가 보통 나와요. 레이드로 안 묶어도 됩니다. nvme 레이드로 묶으면 퍼포먼스는 좋아 보이는데 실제 체감하는 속도는 일반적일때랑 크게 차이는 없는것 같습니다. ssd sata 하고는 속도 차이가 크지만 이것도 막상 게임상에서는 차이를 느낄수 없을 정도 입니다. 동영상 렌더링 할 때는 차이가 조금 납니다.
@theseedor1898
@theseedor1898 9 ай бұрын
동영상 렌더링에 차이가 있으면 이상한겁니다.
@user-tn9yq5px8e
@user-tn9yq5px8e 5 ай бұрын
게임할때 왜 못느껴요 요즘 게임들은 실시간 로딩을 하는 게임들이 많이 나왔습니다 한국에서 배그나 뭐 그런 게임들 하면 당연히 못느끼겠지만 외국 AAA 게임들 보면 차이가 납니다 많이요 kzfaq.info/get/bejne/jLV0hrmH0LG2dGg.htmlsi=vb1SonL8KPFl8L1J
@user-lo9rp2vb3g
@user-lo9rp2vb3g 9 ай бұрын
4세대는 일부보드가 M 2 Nvme슬롯을 지원하면 사용가능. 그게 아니라면 역시 바이오스 개조해서 사용해야됨.
@user-gt4oi9sv2i
@user-gt4oi9sv2i Ай бұрын
엄청나네요
@chei-ga0_0blife4
@chei-ga0_0blife4 8 ай бұрын
너무좋다... 저렴하게 컴터 맞추려는데 옛날 자료부터 귀중한 자료는 버릴수 없어서 SSD만 늘어났는데 ㅜㅠ
@user-xp3mm3id8y
@user-xp3mm3id8y 8 ай бұрын
4개중에 한개만 고장나도 자료날라가요 그냥 재미로 점수놀이 하는거임
@user-tn9yq5px8e
@user-tn9yq5px8e 5 ай бұрын
@@user-xp3mm3id8y RAID 0 말고 그냥 개별 드라이버로 쓰던가 1로 미러링이던 혹은 다른 RAID 연결 방법이 있습니다 잘모르면 그냥 가만히 있는게..
@Jason_Pi
@Jason_Pi 2 ай бұрын
보통은 외장 그래픽 카드를 사용하니까, 메인보드 대역폭 이슈 때문에 이런 장비를 사용하기 어려운데, 혹시 eGPU를 써서 eGPU에 PCIe로 연결하고, 그걸 다시 데스크탑에 썬더볼트로 연결해서 사용 가능할까요?
@CsQ_RandomRepository
@CsQ_RandomRepository 9 ай бұрын
인텔 12/13세대 보드들은 칩셋 단계에서 PCIe Bifurcation이 x8x8로 제한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런 구성은 AMD 소비자 보드나, 인텔/AMD 서버/HEDT 보드에서 사용 가능하죠. 인텔 12/13세대 보드에서 NVMe SSD 4개 확장을 하고 싶다면, "PCIe switch chip"이라는 게 탑재되어서 PCIe 분할을 메인보드가 아니라 확장 카드에서 할 수 있는, 제대로 된 NVMe 확장 카드가 필요합니다. 이런 건 HighPoint, Broadcom, OWC, Sonnet, LinkReal, QNAP 같은 서버급 내지 Mac 호환성 등을 지원하는 제품이라 가장 저렴한 게 25~30만원 정도 합니다. 가장 저렴한 것도 대부분 PCIe 3.0 기준이라 4.0으로 올라가면 가격이 또 크게 뛰죠.
@taeseongjo4506
@taeseongjo4506 9 ай бұрын
이게 제대로 된 설명이죠. 리뷰하신분은 이 부분을 빼먹고 마치 4개 ssd를 다쓸거 처럼 설명하셨는데 실제로는 비디오카드 꼽은 상태에서는 2개만 활성화 될수도 한개만 활성화 될수도 있죠.
@youngjoomoon847
@youngjoomoon847 9 ай бұрын
인텔 보드는 안된다고 못을 박았는데 뭘 본건지?
@PLAN-R
@PLAN-R 8 ай бұрын
미니피씨에 지원되는 보드 있나요? 미니피씨로 나스로 활용해보고 싶은데
@CsQ_RandomRepository
@CsQ_RandomRepository 8 ай бұрын
@@PLAN-R AMD 소비자용 B650 또는 X670 보드면, 가장 저렴한 라인업을 제외하고 대체로 x4x4x4x4 PCIe 분기를 지원할 겁니다. 일단 미니ITX에서는 ASUS B650E-I와 X670E-I ROG STRIX, AsRock B650E PG-ITX가 가능한 것으로 검색되네요. MSI B650I 엣지나 Gigabyte B650I AORUS ULTRA는 확인이 필요합니다.
@Little_Shoes
@Little_Shoes 8 ай бұрын
www.asus.com/tw/support/FAQ/1037507 이렇게 해당 공식 사이트를 참고하는게 가장 정확하긴 합니다.ㅠ_ㅠ 지원되고 되고 안되고등의 기준을 정할수 없습니다.
@user-uv6fg2po1x
@user-uv6fg2po1x 8 ай бұрын
위에 영상과는 다소 차이가 있겠지만 질문 좀 드리겠습니다... 요즘컴퓨터 속도에 관심을 두고있다보니 좀더 빠른 속도를 생각하게 되는데요.. 집에 쓰지않는 스마트폰을 보조 cpu나 cpu연산능력을 공유하는 방법이 있을까 해서요.. 하드웨적 연결이든 소프트웨어 연결이든 방법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Little_Shoes
@Little_Shoes 8 ай бұрын
글쎄요 문의 주신 말씀으로는 특별히 좋은 아이디어가 떠오르진 않네요. 그만큼 스마트폰의 AP가 우리가 생각하는 만큼 호환성이 좋지 않다고 보셔도 될 듯 합니다.
@user-zk5mi4je1i
@user-zk5mi4je1i 8 ай бұрын
부족한 답변을 해드리자면, 그런 개념을 그리드 컴퓨팅이라고 하는데요. 같은 CPU 안의 멀티코어들도, 작업을 나누는 게 힘들어서 한동안 최적화가 별로였는데 별개의 컴퓨터를 네트워크로 연결한 경우는 더 효율이 떨어지겠죠. 그래픽카드 SLI도 비슷한 개념인데, 2개 카드를 연결했다고 성능이 2배가 되는게 아니라, 60% 정도 향상 되었던 걸로 알고 있습니다. 작업을 항상 똑같이 반으로 나눌 수는 없으니까요. 남는 스마트폰 활용은 1. CCTV 2. 차량용 내비게이션 3. 알람시계 4. IOT 허브 5. 유심 추가로 세컨폰 6. 보조모니터 연결해서 노트북으로 7. 웹캠 등으로 활용할 수 있겠네요.
@user-dc2er9gg4x
@user-dc2er9gg4x 8 ай бұрын
파일 옮기는거 말고 다른 테스트는요 보통 컴퓨터 사양에 관심있는 그룹 1. 게이머 (일반,프로) 2,. 프로그래머(코딩,CAD) 3. 작곡,편집자(인코딩)
@han002k
@han002k 7 ай бұрын
영상편집자나 하둡db같은거는 효과가 있는데 게임이나 코딩등에서는 효과가 없다고 보면 됩니다.
@Jhun97
@Jhun97 20 күн бұрын
4k 편집용으로 500gb물려서 2tb작업용 공간으로 활용하면 좋아보이네요. 근데 영상 편집용이면 인텔 내장그래픽 탑제 cpu에 엔비디아 gpu달아서 쓰는게 작업 효율 올라가는데 인텔 보드중에 그래픽 카드랑 같이 사용 가능한 보드가 있는지가 문제네요.
@user-bl8rt8gk7s
@user-bl8rt8gk7s 9 ай бұрын
쓰실 분은 좋겠네요
@user-kjy-secret
@user-kjy-secret 7 ай бұрын
예전에 웬디 랩터 74gb 하드 레이드로 묶어서 썼던 기억이 나네요 ㅋㅋ
@nashcat_R
@nashcat_R 8 ай бұрын
nvme 파이어쿠다 530 (쓰기 6000, 읽기 7300) 두개 쓰고 있는데 그 두개에서 서로 40기가짜리 파일 복사해보니 3기가까지 나오다가 후반부에 2중반으로 나오는거 보면 레이드로 저렇게 묶은거 보다 잘나오네요. 그래서 벤치에서야 잘나오지만 실사용에서는 그냥 nvme 4.0하나 쓰는거랑 별차이 없는듯. m.2 슬롯이 없고. 내장그래픽만 쓰는 보급형 시스템에서는 나름 유용할지 모르겠지만.. 그런 보급형 시스템에서 저런 고용량 전송이 필요할지..
@diabloage1227
@diabloage1227 9 ай бұрын
전 예전에 구입해서 2TB 4개 물려서 하드디스크 나스에서 SSD나스로 옮겼습니다.
@loveijb0718
@loveijb0718 9 ай бұрын
와진짜 빠르다
@user-gr4hv1rl4u
@user-gr4hv1rl4u 8 ай бұрын
내용 굳 ! 말 너무 빠름 . 초보 도 따라 갈 수 있게 더 천천히 친절히 한다면 구독자 폭발 할 듯
@user-db5fm8kd8b
@user-db5fm8kd8b Ай бұрын
반대임. 말 느리면 안됨. 0.75배로 시청하세요.
@sunghoonlee9601
@sunghoonlee9601 2 ай бұрын
영상용이면 그래픽 카드가 없어도 되나요? 편집하시는 분들 글픽카드 좋은거 쓰시던데
@HJK_PaPa_Diary
@HJK_PaPa_Diary 8 ай бұрын
처음 ssd나왔을때 ssd3개를 저런 식?으로 묶었는데 ssd읽기쓰기속도 가 3~4배 올라가더라구여;;근데 문제는 프리징ㅜㅜ 점점 느려지더군여 m.2나 nvme는 어떨지
@torinrobin
@torinrobin 8 ай бұрын
그 m.2 포트 없는 보드들은 부트로 잡지 못할때도 있더라구요 카드를 통해서 m.2 쓸때...
@LeRVelvet
@LeRVelvet 19 күн бұрын
처음 설치시 모든 SSD가 전부 설치되어있어야하나요? 하나 하나 추가 설치하는건 안되나요?
@sunung0110
@sunung0110 8 ай бұрын
참고로 메인보드에 m.2 단자가 없는 보드에 이러한 카드를 설치하면 운영체제용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이야기도 있더라구요... ㅋㅋㅋ 그러면 c드라이브는 sata로 하고 d 드라이브로 만들어서 쓰는게 최선이겠네요
@Little_Shoes
@Little_Shoes 8 ай бұрын
메인보드에서 지원여부 확인이 필요하며, 바이오스 업데이트로 사용이 가능한 경우도 있습니다. 어찌됐건 속도는 정말 빨라집니다.
@user-bn7mo1wx3j
@user-bn7mo1wx3j 8 ай бұрын
와 진짜 저에게 필요한 구성이네요 감사합니다!
@NeedtoknowNo
@NeedtoknowNo 6 ай бұрын
조금만 더 속도 내면 램드라이브와 거의 같아 집니다. ㅎㄷㄷ
@microkids1914
@microkids1914 6 ай бұрын
혹시 외장하드 도킹에 연결해놓은 HDD 2개를 스트라이프로 구성해서 사용할 수도 있나요?? 메인보드에 sata 포트가 부족해서 외장하드를 도킹에 넣고 쓰고 있는데, 하드 로딩속도를 좀 올리고 싶어서요, 가능한가요??
@Little_Shoes
@Little_Shoes 6 ай бұрын
네, 용량만 같다면 제가 구성한 방법으로 레이드 0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zeed6306
@zeed6306 9 ай бұрын
레이드로 복사 속도는 빨라지는데 게임ㅈ속도에는 영향이 없다는게 안타까운 일입니다. 게임 속도는 4k 읽고 쓰기 성능에ㅈ따라 빨라진다고 하네요 영상 에서 보셔도 4k속도는 차이가 없습니다.
@BOSS-gp5ny
@BOSS-gp5ny 8 ай бұрын
안녕 하세요 제가 이번에 그램 i7 을 구입했습니다 그런데 꼬마신발님의 영상을 보고 혹시 최신인 제 노트북에 님의 방식대로 구성을 만들어 2테라 2테라 방식으로 만들어 사용시 노트북도 2,4 까지는 아니더라도 1~2기가의 속도가 나오지 않을까 궁금해서 글을 올려봅니다.
@Little_Shoes
@Little_Shoes 8 ай бұрын
그램이라면, 아마 2개를 레이드로 구성하긴 어려울거예요. 단, nvme를 지원한다면 읽고쓰기 속도가 빠른 ssd 사용시 속도 향상은 어느정도 체험이 가능합니다. 대신 그램이 GEN4를 지원하는지 NVME를 지원하는지 확인은 필요합니다. 그램도 시리즈가 정말 많아서요.
@user-fo7yq9jt2g
@user-fo7yq9jt2g 2 ай бұрын
제가 컴맹이라;; ASROCK인데.. 6개월전쯤에 샀거든요..306인가;;603인가;;뭐 그랬던거 같은데;; 그쯤에 구매했었다면 4개 지원이 될려나요;;
@cprx
@cprx 8 ай бұрын
pci 분할기능이 메인보드에 없더라도.. nvme확장카드에 pci 분할기능이 자체 내장되어있는것을 사면 가능합니다.(메인보드가 기능이 없어도 가능). 단지 조금더 돈을 줘야 합니다. 대략 15만원임 최저가로.
@MrKimNeo
@MrKimNeo 8 ай бұрын
nvme 최대속도 확인하실려면 램디스크에서 nvme로 복사하는 방법이 최선일 겁니다.
@user-ft4zh7np9z
@user-ft4zh7np9z 5 ай бұрын
제대로 레이드 컨트롤러 달린게 아니어서 실사용 성능은 거의 동일할겁니다... 체감성능은 4K성능으로 결정되는데 적어도 ddr4달린 레이드 컨트롤러 써야 체감이 될텐데 100만원쯤 할겁니다. 차라리 pci e 5.0 지원 Nvme를 쓰는게 체감성능이 좋을 확률이크고 그게 쌉니다.. 아니면 Pci e SSD랑 실질적인 가격이 비슷하겠네요
@blowinghat7660
@blowinghat7660 9 ай бұрын
참고로, 구형 메인보드의 경우 PCIe 부팅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가 있으니 확인하세요. 즉, PCIe 슬롯에 장착한 ssd는 C: 드라이브가 될 수 없다는 뜻입니다.
@user-vd4lz2id7b
@user-vd4lz2id7b 9 ай бұрын
3세대 Z77 보드 PCIE X16슬롯에 NVME 확장카드를 이용하여 윈도우 설치하여 잘 쓰고 있습니다. BIOS 에 NVME 드라이버 추가하면 부팅 가능합니다. 제가 그렇게 쓰고 있습니다.
@andmathanitopia8278
@andmathanitopia8278 9 ай бұрын
외국 사이트 뒤지면 diy로 개조방법 나옵니다. 유명보드들은 커스텀한 바이오스들도 많이 있습니다
@user-xz8bi7tj9h
@user-xz8bi7tj9h 2 ай бұрын
구형은 공식, 혹은 커펌으로 웬만하면 다 지원합니다. 저는 하스웰에서도 써 봤어요.
@joneseopyun8944
@joneseopyun8944 2 ай бұрын
안그래도 알리에서 16000원 정도 하는 pcie*16 4포트짜리 컨버터를 살까 말까 고민하면서 제 보드 msi z790 설명서 폼팩터까지 확인해보니 설명서상에는 pcie 3번이 pcie*16(4*4)라고 되어 있어서 지원 될것 처럼 보이는데 바이오스 들어가보면 설정하는게 전혀 안나와서 사야 되나 말아야 되나 고민중이네요
@nobodyknows-jm4fd
@nobodyknows-jm4fd 7 ай бұрын
제대로 쓰려면 그냥 이베이에서 컨트롤러 달린 Megaraid(broadcom) 따다가 NVME 변환으로 사용하는게 좋을지도요
@j_s_0623
@j_s_0623 8 ай бұрын
저건 진짜 옛날에 하드가 너무 느려서 여러 하드 묶어 쓰던 방식인데 이걸 ㅋㅋㅋㅋㅋ
@suninjang247
@suninjang247 21 күн бұрын
안정성도 떨어지는데다 4k 읽기/쓰기 속도차이가 없어서 대부분의 경우에 속도차이를 체감하기 어려울것 같네요
@user-gnvb0q3uVFN
@user-gnvb0q3uVFN Ай бұрын
메인보드가 받쳐주지 않으면 쓰다가 블루스크린 떠서 웬만한 사람은 해결 불가상태에 놓입니다 원인을 모르니... 램 브가 씨퓨 USB PCI 장치 다 문제가 일어나니 종잡지 못하죠.. 저런 카드가 저가에 장터에 나오거나 인기 없는 이유죠
@user-eq1bz2jd7g
@user-eq1bz2jd7g 9 ай бұрын
선댓글 후 감상
@tc3kyg752
@tc3kyg752 8 ай бұрын
컴은 8년됐지만 메인보드는 m.2 슬롯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대신 pcie 3.0과 2.0 각각 1개가 존재한데... 진짜 고민이네요... 현재 3.0은 그래픽카드로 사용중인데... 만약 m.2 사용시 그래픽카드 3.0은 포기해야할듯 하네요...
@centper689
@centper689 8 ай бұрын
계륵 제품... 그래픽카드를 포기할 컴퓨터가 사무실 컴터 아니면...
@parkhansu1824
@parkhansu1824 17 күн бұрын
우와아아아아앙~~~~ 낸드플레시 4개를 raid로 크~~~ 속도 미첬네요 우와~~~~ 어마어마합니다.
@yongyong8275
@yongyong8275 8 ай бұрын
궁금한게 하나 있어요.. CPU는 7900X이면.. 내장그래픽이 없는 CPU 아닌가여?? 근대.. pci 익스프레스 슬롯에.. 레이드카드를 꼽았는데.. 내장그래픽으로 화면이 뜨는데.. 어떤게 된건지 궁금합니다.
@1120jong
@1120jong 8 ай бұрын
7천번대 오면서 X 모델은 내장 그래픽이 기본으로 지원 됩니다. 인텔처럼 F 모델이 내장 그래픽 제거 된겁니다.
@user-zh5dd4fi2o
@user-zh5dd4fi2o 9 ай бұрын
제일 중요한 랜덤 4k읽기는 동일하니 실사용 큰차이 없을듯
@taewan23
@taewan23 9 ай бұрын
님말씀대로 일반용도에선 쓰는건 제대로 돈낭비임... raid1 으로 묶어서 서버에서 쓴다면 모를까.. 꼬마신발님 내공 매우뛰어나신데.. 일반인들에게 비효율적, 과소비 적인 내용은 올리지 말았음 좋겠음.
@user-zi5uu6so6u
@user-zi5uu6so6u 5 ай бұрын
ㅋㅋㅋㅋ 재미있네요. ㅋㅋ 잘봤습니다요
@Little_Shoes
@Little_Shoes 5 ай бұрын
재미있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hiy5041
@hiy5041 Ай бұрын
랜덤4k 속도를 보니 고용량 파일을 다루는 영상편집자나 혹은 다른 작업자들한테는 좋은 구성이나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사용자들은 체감이 없을듯 합니다. 실직적으로 일반 사용자는 랜덤4k가 더 중ㅇ합니다.
@MrTossboss
@MrTossboss 9 ай бұрын
미친 속도입니다.
@simzou4373
@simzou4373 5 ай бұрын
Good job
@DS2KB1
@DS2KB1 8 ай бұрын
ASUS PRIME H370M-PLUS 도 가능한가요 ? 바이오스 가보니 뭔 질 몰르겠네요
@artmouse74
@artmouse74 9 ай бұрын
외장 그래픽카드를 사용 안한다는 전제인가요?
@user-qk6uq9ly6o
@user-qk6uq9ly6o 8 ай бұрын
영상 잘 봤습니다 혹시 ssd 를 4개중에 다른 모델을 섞어써도 되나요?
@Little_Shoes
@Little_Shoes 8 ай бұрын
이론적으론 용량만 같다면 다른 모델은 상관은 없습니다. 단지, 최적의 환경을 위해서는 맞춰주는게 좋긴 합니다.
@user-lo9rp2vb3g
@user-lo9rp2vb3g 9 ай бұрын
2,3,세대는 바이오스 개조해야 윈도우 설치해서 사용할수 있음
@user-kw1tp2fk2z
@user-kw1tp2fk2z 8 ай бұрын
대박
@AdultsRune
@AdultsRune 5 ай бұрын
SSD 레이드 묶어서 사용해 본 결과.. 실사용에서는 전혀 체감을 못느끼겠더라고요. 그래서 다시 원복했습니다. ^^; 특수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쓸모가 있을텐데 어떤 경우에 사용하는지 안내가 있었으면 좋았을 거 같네요.
@user-tn9yq5px8e
@user-tn9yq5px8e 5 ай бұрын
저렇게 raid 0으로 묶으면 그냥 여러 ssd나 하드 디스크를 하나로 모아주는 역할이죠 0으로 묶으면 속도가 n배로 오르기에 속도가 중요하면 쓰입니다 파일 복사하는 시간은 영향을 그대로 받지만 (영상에선 왜 안오르는지 모르겠지만 원랜 오릅니다) 4k랜덤 속도가 그대로라 윈도우 실생활에서는 느낄수 없습니다 raid는 방식이 많으며 1 같은경운 디스크에 파일을 옮길때 마다 각각의 ssd에 쓰게만들어 하나의 드라이브로 보이지만 ssd는 실제 똑같은 두개의 ssd로 저장을 해서 한쪽이 고장나도 한쪽이 살아있어 그런 보안적인 이유로 raid를 많이 씁니다 영상과 같은 raid 0 은 하나만 고장나도 저 4개 ssd안에 파일이 다 날아가는거라 전문적으론 안쓰고 백업쪽으로 많이 씁니다 검색해보시면 raid 종류에 따라 디스크를 어떻게 백업하며 관리하는지 한번 찾아보심 될거같습니다
@user-th5xk2mq3r
@user-th5xk2mq3r 8 ай бұрын
긍금한게 있는데 보통 인텔 cpu가 pcle 20레인까지만 지원하는데 nvme ssd하나당 4레인 차지라나까 4개면 16레인인데 그래픽카드까지 구동되면 레인수초과 해서 병목현상 생기지 않나요?
@Little_Shoes
@Little_Shoes 8 ай бұрын
레인 수 관련해서는 사실 메인보드마다 다릅니다. 따라서 해당 기능이 지원되는 보드라면 가급적 공식홈에 문의해보시는게 정확합니다.
@woosig
@woosig 9 ай бұрын
1:10 지금은 쓰지 않는 바이오스.........
@preserde
@preserde Ай бұрын
이 카드의 문제가... pci 분할 x4x4x4x4를 지원해야 합니다. 인텔은 대부분 2개까지만 되고, amd도 slot1은 지원하는데 slot2가 x8x8로 지원되어서 그래픽카드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a620으로 스토리지 서버 구현한다면 문제없는데, x670 정도사용하면서 그래픽카드를 안쓰겠다는건... 말이 안되서 사용이 아무래도 어렵죠. 사실 스레드리퍼 메인보드를 위한 카드라고 할 수 있습니다.
@taehoonchoi2785
@taehoonchoi2785 5 ай бұрын
이렇게 실제로 구연을 해놓으면 HDD에서 SSD으로 옴겼을때의 체감, SSD에서 m.2 nvme로 바꿨을때의 체감같이 게임할때 로딩같은때 느낌이 확 오나요?
@Little_Shoes
@Little_Shoes 5 ай бұрын
상황에 따라 다를거예요. 한개 사용할때와 비교해서 어떨땐 빠르고 어떨땐 비슷하게 느껴집니다
@MOONHOJO
@MOONHOJO 8 ай бұрын
가장 중요한 이야기를 안하신듯... 7세대 이전 모델에서 써 봤는데... 부팅디스크로는 쓸수 없어요..
@jj-ki2kr
@jj-ki2kr 8 ай бұрын
pcie 3.0 nvme 카드를 병렬연결로 하면 쿨링하지 않아도 될까요?? 그리고 1슬롯에 몇테라까지 지원되나요?
@Little_Shoes
@Little_Shoes 8 ай бұрын
1TB로 본거 같습니다(자세한건 판매자에게 문의해 봐야 할 듯 합니다.) 쿨러는 자체 포함되어 있었으나 온도는 낮출 수 있을 만큼 낮춰주는게 더 좋다고 생각 합니다.
@user-zp5ku8bi7l
@user-zp5ku8bi7l 8 ай бұрын
근데 저게 의미가 없는게 pci-e 4.0 1.4 버전 단일 속도나 별 차이가 없어요. 영상에 4개 raid 0 복사 속도가 2G 조금 넘는대 이건 벤치마크 속도의 1/10이 잖아요. pci-e 4.0 단일 SSD도 저 속도랑 비슷하거나 조금 낮을 뿐입니다. 8X8 bifurcation 해봤는데도 용량 확장 이외에는 속도는 그만큼 안 나오더라고요. 스로틀링이라고 칭하시는 뒷부분(램용량 다 소진해서 그렇죠)은 뭐 더 안 좋은 결과가 나오네요
@user-zq8oc1ue3l
@user-zq8oc1ue3l 7 ай бұрын
아무리 레인이좋아도 처리는 머리가 하기때문에 대용량 이동 시키는 대역폭늘린정도인거임 어차피
@laws4you
@laws4you 8 ай бұрын
터치스크린의 고장(어딘가 눌려있는거 처럼되거나 반응이 없을 때)에 대해 고치는 컨텐츠 제안합니다
@Little_Shoes
@Little_Shoes 8 ай бұрын
넵~!!좋은 제안 고민해 보겠습니다
@user-zx4go5ul8b
@user-zx4go5ul8b 8 ай бұрын
4k io 는 성능 향상이 없으므로 체감이 안됨.. 그냥 파일 복사만 3배 증가..
@geni8585
@geni8585 9 ай бұрын
상준이 형?!
@kck1002
@kck1002 9 ай бұрын
한가지 물어볼게 있는데요. 11번가에서 nvme 쿼드 컨버터를 검색을 하다보면 가격이 30만원대도 있던데요.... 싼건 3만원대부터 6만원대 그리고 20~30만원대 가 있더군요. 물어보고 싶은 말은 같은 쿼드 컨버터 인데도 가격이 천차만별이라 어느제품을 구입해야할지 고민중 입니다. pci 3.0 x16 도 있고 pci 3.0 x4도 있던데, 단자가 짧고 길고... 어느제품을 구입해야 하는지 혼돈이 가네요. 참고로 전 nvme 싱클 컨버터로 삼성 970 EVO를 PCI 3.0 x16 슬롯에 사용하고 있는데 . 1개 남은 슬롯에 쿼드 컨더터를 사용하여 업그레이드 하려고 합니다. 메인보드는 기가바이트 Z270X-Ultra Gaming 입니다.
@Little_Shoes
@Little_Shoes 8 ай бұрын
해당 제품을 직접 본게 아니라 스팩을 비교해 보진 못했지만 혹여 자체 펌웨어 내장으로 하드웨어 레이드 구성이 가능하진 않을까 싶네요. GEN5 가 출시된 시점에 PCI 4.0 X4에 발열을 잘 잡아주는 제품으로 구입하시길 권해드립니다. X16을 X4로 나눠줄려면 당연히 단자가 길게 나올 수 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가격대가 30~40만원대까지 올라간다면 애초에 메인보드에 M.2 단자가 3~4개씩 확보된 보드들도 꽤 있으니 확장 카드 없이 사용하는 방법도 추천드립니다.
@han002k
@han002k 7 ай бұрын
아마도 30만원짜리는 일반pc서도 사용가능하게 pie레인을 분기해주는 plx(이름 바뀜)사의 스위칭 칩이 있을껍니다.
@kck1002
@kck1002 6 ай бұрын
네~ 감사합니다.
@paparaphatv
@paparaphatv 2 ай бұрын
nvme ssd 구매 추천 가이드 영상도 올려주세요~
@Little_Shoes
@Little_Shoes 2 ай бұрын
구매 추천 가이드는 저보다는 리뷰쪽에 특화되신 분들이 더 적확하시지 않을까 생각 됩니다. 저는 사용하는 쪽 보다는 뜯는쪽이라서요.
@paparaphatv
@paparaphatv 2 ай бұрын
@@Little_Shoes ㅋㅋㅋ 그렇긴하죠~ 소통 감사합니다~~ 애플 맥북 스토리지 업그레이드 시켜주는 서비스같은것 우리나라에 꼬마신발님밖에 없을듯....애플 메모리류 너무 비싸요..중국에만 있는줄알았는데..그런 능력자가...우리 대한민국에 있으니 자랑스럽습니다~
@crucifix4216
@crucifix4216 9 ай бұрын
한개만 써도 읽기쓰기3기가나오는데 4개 레이드해도 벤치에서만 20기가 나오지 실제 복사는 3기가도 안나오네요
@HWK8403
@HWK8403 8 ай бұрын
1장고장나면 부팅안됨... 또는 에러 수정하면 용량 반은 못씀.... 20년 전에도 있던기술....
@jaewonjeong6088
@jaewonjeong6088 8 ай бұрын
nvme 쿨러도 파는데 그거까지 설치하면 쓰로틀링까지 막을 수 있겠네요.
@Little_Shoes
@Little_Shoes 8 ай бұрын
영상에서 소개한 제품이 방열팬 일체형이였고, 저 NVME확장카드 자체에 쿨러도 포함되어 쓰로틀링은 걱정이 없을듯 해 보였습니다.
@user-kb7ob4bi7i
@user-kb7ob4bi7i 8 ай бұрын
그래픽카드를 장착하고 다른칸에서도 사용가능한가요? 그런 메인보드가 있다면 하나만 추천부탁드립니다
@Little_Shoes
@Little_Shoes 8 ай бұрын
개인적으로는 확장 카드 사용없이 메인보드에서 m.2를 2~4개 장착 가능한 제품으로 찾아보시면 어떨까 생각 됩니다. 컴퓨존 같은 곳에서 m.2 수를 지정해서 검색하시면 어렵지 않게 찾아보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Smart Sigma Kid #funny #sigma #comedy
00:19
CRAZY GREAPA
Рет қаралды 21 МЛН
1 класс vs 11 класс  (игрушка)
00:30
БЕРТ
Рет қаралды 4,4 МЛН
Василиса наняла личного массажиста 😂 #shorts
00:22
Денис Кукояка
Рет қаралды 9 МЛН
왜 사람들은 디램리스를 싫어하는 걸까?
7:39
퀘이사존 QUASARZONE
Рет қаралды 133 М.
본체 없이 여기에 모니터만 있으면 컴퓨터 완성
12:14
Lid hologram 3d
0:32
LEDG
Рет қаралды 5 МЛН
iOS 18 vs Samsung, Xiaomi,Tecno, Android
0:54
AndroHack
Рет қаралды 78 М.
Мечта Каждого Геймера
0:59
ЖЕЛЕЗНЫЙ КОРОЛЬ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Хотела заскамить на Айфон!😱📱(@gertieinar)
0:21
Взрывная История
Рет қаралды 3,6 МЛН
Iphone or nokia
0:15
rishton vines😇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Ждёшь обновление IOS 18? #ios #ios18 #айоэс #apple #iphone #айфон
0: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