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 폐업률 90%, 살아남는 곳은 뭐가 다를까? f.김유진 『한국형 장사의 신』 작가 [심층 인터뷰]

  Рет қаралды 97,676

삼프로TV 3PROTV

삼프로TV 3PROTV

28 күн бұрын

'모두는 각자의 분야에서 자영업자'라는 말처럼 우리는 내가 하는 일에서의 주체성을 가지고 성공을 꿈꾸며 삽니다. 그러나 자영업자의 70%는 1년 내 폐업하고, 특히 카페를 창업한 90%는 가게를 연 지 1년 이내에 문을 닫는다는 통계가 있습니다. 모든 자영업자는 성공을 위해 달리는데 왜 이런 일이 일어날까요? 장사를 선택한 사람들이 각자의 분야에서 신이 되어 살아남길 바라는 김유진 대표가 2000여명의 제자를 키워내며 얻은 경험과 노하우를 실제 사례를 들어 설명합니다. 시청자 여러분 모두, 주의할 점과 꼭 알아야 할 점 등에 대해 경청해보는 시간 가져보시길 바랍니다.
📢 삼프로 앱에서 영상과 오디오를 한 번에!
- 삼프로 앱이 "확" 달라졌어요! 영상을 시청하다가 자유롭게 오디오로 들을 수 있어요.
- 삼프로TV, 언더스탠딩, 지구본 연구소, 위즈덤 칼리지(구.일프로TV), 압권 등 모든 3PRO 유니버스의 방송을 쉽고 빠르게 찾을 수 있어요.
- 지금 바로 3PRO 앱 또는 웹을 만나보세요!
👉🏻 3protv.page.link/S7cX
💎 각 분야 최고의 투자 마스터들과 함께 하는 '삼프로 멤버십'
- 오직 멤버십 회원들만을 위한 비밀 콘텐츠
- 품격있는 투자 소통이 이뤄지는 전용 커뮤니티 공간
- 투자에 진심인 분들과 함께 건강한 투자 습관을 만들어 보세요!
👉🏻 10일간 무료 체험하기 : bit.ly/3QmOuP7
❤️당부 말씀
- 삼프로TV는 시청자의 다양한 해석과 의견을 존중합니다. 또한, 콘텐츠에 대한 비판과 평가도 언제나 환영합니다.
- 하지만, 출연자에 대한 근거없는 비난, 욕설, 인신공격, 비하성 표현이 담긴 댓글은 안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삼프로TV가 건강한 소통의 장이 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늘 감사합니다^^
📢아래 프로그램은 3/4(월) 부터 [삼프로 머니]에 업로드 되고 있습니다.
👉삼프로 머니 바로가기 : / @3promoney
- 월스트리트 모닝브리핑 中 월가 뉴스레터
- 오프닝벨 라이브
- 클로징벨 라이브
- 박근형의 데일리 힌트
- 뉴스룸
📺 평일 라이브 프로그램 안내
[06:00-07:15] 월스트리트 모닝브리핑 (월가 뉴스레터, 글로벌 인터뷰)
[07:15-09:00] 오늘아침 라이브 (뉴스3, 마켓 인사이드, 인뎁스60)
[09:00-10:00] 오프닝벨 라이브
[10:00-11:00] 맞동산 (부동산)
[15:20-16:30] 클로징벨 라이브
[16:30-17:10] 뉴스룸
[17:10-18:00] 박근형의 데일리 힌트
[18:00-19:00] 퇴근길 라이브
[19:00-21:00] 언더스탠딩
🗂️ 영상에서 언급된 자료를 찾으시나요?
웹사이트 : apps.3protv.com/original/pds
모바일 앱 : 플레이스토어/앱스토어에서 "삼프로"를 검색하세요.
앱을 다운로드 받으셔서 [오리지널] - [신의자료] 로 들어가시면 됩니다.
🙋‍♂️3PRO 고객센터
- (전화) 02-2118-0707, 010-3898-2324
- (메일) edu.help@3protv.com
- (1:1 문의 게시판) apps.3protv.com/myqna/write
- 평일 09:00-18:00 운영됩니다.
- 주말에는 메일 혹은 3PRO 앱/웹에서 1:1 문의를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비즈니스 문의 채널 안내
- 광고/협업/유튜브 제작대행 문의 : (메일) ad@3protv.com, (전화) 010-2090-6748, (설문지 제출) url.kr/yi4rpg
- 전문가(연사) 섭외 및 기업교육 문의 : (메일) edu@3protv.com, (전화) 02-2118-0096, (웹사이트) zrr.kr/lRQq
- 언더스탠딩 문의 : (메일) gygesring@naver.com
- 삼프로TV IR 문의 : ir@3protv.com
📢사칭 주의
- 삼프로TV의 구성원과 삼프로TV 출연자는 문자메시지/카카오톡/전화/텔레그램 등을 통해 절대 개인적인 투자권유 및 리딩방, SNS 가입을 권유하지 않습니다.
- 만일 이러한 연락을 받으셨다면 모두 사기이므로, 링크를 클릭하지 마시고 피해가 없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Пікірлер: 177
@3protv
@3protv 27 күн бұрын
'모두는 각자의 분야에서 자영업자'라는 말처럼 우리는 내가 하는 일에서의 주체성을 가지고 성공을 꿈꾸며 삽니다. 그러나 자영업자의 70%는 1년 내 폐업하고, 특히 카페를 창업한 90%는 가게를 연 지 1년 이내에 문을 닫는다는 통계가 있습니다. 모든 자영업자는 성공을 위해 달리는데 왜 이런 일이 일어날까요? 장사를 선택한 사람들이 각자의 분야에서 신이 되어 살아남길 바라는 김유진 대표가 2000여명의 제자를 키워내며 얻은 경험과 노하우를 실제 사례를 들어 설명합니다. 시청자 여러분 모두, 주의할 점과 꼭 알아야 할 점 등에 대해 경청해보는 시간 가져보시길 바랍니다.
@user-zi9qv3wx9p
@user-zi9qv3wx9p 22 күн бұрын
차라리 쉽게 말해서 특허를 많이 내라 하시오! 그게 더 잘 알아 먹히겠소! 무슨 말을 그리도 돌려대는지 .. 당장 돈 벌어야 하는데 .. 무슨 특허낼 여유로운 생각이나 갖겠냐고요. 영업방식이나 영업철학 특허는 없습니다! 따라하면 그만인 것들 아닙니까. 물론 진실성에서 차이가 나겠지만 .. 일단 따라하는 것은 쉽답니다. 더 잘 할 수도 있고요. 이 짓하다 개성부족으로 공멸한 경우 허다하잖습니까. 개성 없어 공멸할 것이 무엇이냐 하면 도시입니다. 특히 한국의 대도시들입니다. 어느 도시에 가나 똑같아요. 개성이 그나마 남은 것은 지역 사투리 뿐이죠! 사투리 말고는 개성이 없죠. 그간 도시가 형성된 역사적 특성이나 차이들은 무시, 천대하고 도시의 편의성만 모방하려고 했기 때문이라고 봅니다.
@Howmanybutle123
@Howmanybutle123 23 күн бұрын
사람마다 분석하는 시각은 다르겠지만, 청와옥의 성공요인은 1.잡내없이 깔끔한 맛 2.노포처럼 지저분하지 않고 가족끼리 갈수 있는 깔끔한 인테리어 3.줄세우기 마케팅 전략 3가지라고 봅니다. 발렛파킹은 아주 부수적인 요인이라 봅니다. 그리고 집요하게 생각하고 고민해야 한다는 말씀이 참 공감이 되네요. 다만, 대부분 자영업 하시는 분들이 매일 일에 치여 살다보니 머릿속을 재 정비하고 전략을 다시 짤수 있는 여유가 없어서 라고 생각합니다. 사람 구하기도 어렵고 알바생, 주방이모 관리하기도 힘들어 하시더라고요. 결국 사람 때문에 지치다 보니 그런 생각할 여유 조차 없게되죠.
@ottomayer5426
@ottomayer5426 22 күн бұрын
머릿고기 싫어해서 순대국 잘 안 먹긴 합니다만 청와옥 가보니까 고급스럽고 물을 헛개차로 주고, 후식 쥬스랑 유과 맛있게 나오더라고요.
@user-ee4xr6el7h
@user-ee4xr6el7h 12 күн бұрын
아 유퀴즈덕분에 성공한 마케팅의 힘인줄알았어요
@SrJkim
@SrJkim 21 күн бұрын
10년째 음식점 하는 오너쉐프로서 듣자니 맞는 말씀이 대부분이나 제자제자 하는것도 좀 허세스럽고, 결국 소비자의 관심을 끌만한 아이디어를 내라는 것인데, 돈벌고 싶으면서 그것도 안할거냐는 식의 거만한 태도가 약간 거슬릴때도 있었습니다. 너무 소비자 입장에서 사장에게 희생이나 손해를 감수하라는 말도 좀 섞여있는듯 하고.. 유익하면서도 뭔가 깨름직한 강의였습니다. 👏🏻
@user-et5ku4mk1s
@user-et5ku4mk1s 20 күн бұрын
소비자입장에서 사장에게 희생을 강요한다는말 공감되네요 골목식당이 크게한몫했다고봅니다 갑질소비자 양성방송들
@user-vh2ts7et4e
@user-vh2ts7et4e 20 күн бұрын
동의합니다.
@pop5770
@pop5770 19 күн бұрын
애초에 레드오션 시장인데 다른 사람과 특색이 없다면 창업하면 안되죠. 다른 곳과 별차이 없다면 소비자가 가야할 이유가 없는 거죠.
@user-tx3ih5by3d
@user-tx3ih5by3d 18 күн бұрын
창업 대출 가게 엔 필요없는 큰 가구들 쌓여있고 젊은여자 둘이서하는데 저렇게 하다가 권리금 열라받고 넘김 아님 신용불량자 만듬 귝가세금 충당 대한민국 이상한나라 자손 대대 세금충당
@remarkable_y
@remarkable_y 14 күн бұрын
맞아요. 모든 시장은 경쟁 구도입니다. 그렇다 보니 소비자의 눈은 정확합니다. 결국 내가 다른 매장보다 조금이라도 낫지 않으면 사람들이 우리 매장에 올 이유가 별로 없죠. 때문에 뒤쳐지지 않으려면 살아남을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하구요. 무조건 남들과 다른 차별화만이 살아남을 수 있는 방법이네요. 결국에는 고객 감동이 일어나지 않는다면 고객은 우리 매장에 올 이유가 없다..
@user-hh3fe2nq4i
@user-hh3fe2nq4i 25 күн бұрын
다른 식당은 못하는게 아니고 모든게 금액에 맞게 나가는 거예요 솥에서 직접 김솔솔 떠주는 집은 그 단가에 맞춰야 돼고 스탠공기밥은 그 단가에 어울리는거예요 모든 사람이 깔끔한 반찬에 좋은 식기에 솥밥 누룽지 까지 해서 비싼 가격에 늘 먹을수는 없는 거잖아요😊
@pop5770
@pop5770 19 күн бұрын
요즘같은 불경기에는 가격도 엄청난 차별화 요소이긴 하죠.
@PROKKIM
@PROKKIM 17 күн бұрын
맞음...근데 저분은 그렇게 잘알면서 강의같은거왜하시지... 장사해서 돈더벌수있을텐데
@dpcrpartners
@dpcrpartners 3 күн бұрын
저 사람은 사업을 하는거죠 강의사업
@PROKKIM
@PROKKIM 3 күн бұрын
@@dpcrpartners 강의를 사업이라하기엔... 안맞는거같아요
@PROKKIM
@PROKKIM 3 күн бұрын
@@dpcrpartners 강사들을 키워서 운영하면 사업이라 할순있어도
@user-op2un3zv1g
@user-op2un3zv1g 16 күн бұрын
김유진 대표의 책 장사하기 전 '장사의 신' 읽어보니 별 도움이 안되었던 기억이 나네요. 오랜 맛집 취재피디로서의 경험, 마케팅적인 접근 및 분석 인정합니다만, 정작 본인은 장사 안하잖아요. 차라리 직접 장사를 하며 직접 보여주며 승승장구하고 있는 '유정수' 대표를 한번 섭외해 보는건 어떨까요?
@hsyu5481
@hsyu5481 23 күн бұрын
좋은 팁을 주시는데, 삐딱하신 분들은 왜 그럴까요? 취할 건 취하고, 버릴 건 버리면 되는데..
@user-bi4zh7lc1c
@user-bi4zh7lc1c 4 күн бұрын
그러게요...
@woojee8533
@woojee8533 24 күн бұрын
요즘든 생각인데 언제부터인가 다들 자영업을 하면 대박나야하고 성공해야 하고 등등등 이렇게됨 자영업하고 500벌거면 왜하냐? 이럼 ㅎㅎㅎ 쉴거 못쉬고 오래 일해서 저렇게 벌면 안한다 부터 .... 다들 대박날생각만 함 예전에 보면 우리가족 먹여 살일생각 했지 뭔가 생각들이 잘못되어 감
@Kinmen3
@Kinmen3 21 күн бұрын
공감입니다 옆나라 일본만봐도 그냥 자기가 하고싶어서 이게 재밌어서 등등 자영업하면서 오래 꾸준히 좋은 품질을 내면서 운영하는데 우리나라는 그저 무조건 돈벌려고만 자영업에 뛰어듬
@hunsukpark2438
@hunsukpark2438 18 күн бұрын
모두 응용하고싶을정도로 소중한정보 너무 감사합니다
@padong
@padong 20 күн бұрын
먹기도 전에 맛있어야 된다. 의심을 안심으로 바꿔줘야 한다. 차별화 전략, 시그니처 메뉴를 만들어라. 감사합니다^^
@TV-he8lv
@TV-he8lv 21 күн бұрын
오늘 엄청난 인사이트 많이 받았습니다. 강의 직접 받고 싶습니다. 오늘 최고 강의에 감사합니다.
@user-ij2ky2ir7u
@user-ij2ky2ir7u 25 күн бұрын
백종원이 신뢰 받는 이유: 본인이 직접 해봤음
@user-wv1tm5vu5o
@user-wv1tm5vu5o 23 күн бұрын
다 문닫음ㅋㅋ
@user-wv1tm5vu5o
@user-wv1tm5vu5o 23 күн бұрын
울 동네 백종원집 다 문닫음ㅋ
@eumuh1426
@eumuh1426 22 күн бұрын
맛이없고, 청결하지다 않아요;;;;;;; 주인이 직접 매장 운영 안해서 그런가봐요
@user-ln7jy9es9g
@user-ln7jy9es9g 16 күн бұрын
백종원이 시키는대로 운영 안해서 망하는거지
@user-wv1tm5vu5o
@user-wv1tm5vu5o 16 күн бұрын
@@user-ln7jy9es9g 시키는대로 안할거알면서 왜자꾸 개나소나 창업시킴? 빨대 꽂는거임?ㅋㅋ
@yoyoc8559
@yoyoc8559 24 күн бұрын
처음에는 흥미롭게 보다가 ..문득 드는 생각이 소비자 눈높이를 까다롭게 하는 주체가 저런 김유진 작가? 무리인거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현실을 배려없이 더 까다롭게, qc와 감성까지 다, 본인은 깨어있는 손님인 것 처럼..트렌드를 따르지 않으면 도태되는 것처럼 곡해하는 저 특유의 말뽄새..모두 자영업세계를 어렵게 하는 요인들이네요. 손님들 눈 높아지게 하면서 본인은 컨설팅피를 더 취하게 되는 나선형 지옥계단..저는 자영업자는 아니지만 저 세계에 관심있어 보다 뒤가 싸한 느낌을 그대로 적습니다
@fungame9364
@fungame9364 22 күн бұрын
시장경쟁은 원래 그런거임. 고객이 원하는걸 못하면 도태되고 하면 중간은 가는거. 뭐가 싸함? 자신없으면 자영업하면 안되는거임. 경쟁하는데 현상유지할거라 생각하는거임?
@user-cj6qw1nu2x
@user-cj6qw1nu2x 21 күн бұрын
@@fungame9364 시장경쟁은 해보고 하는 말임?
@fungame9364
@fungame9364 21 күн бұрын
@@user-cj6qw1nu2x 안하는사람이 있음? 설마 장사만 시장경쟁이라고 생각하는거임? 고객들이 물건 사는건 공짜로 받아오는거임? 애초에 시장경쟁이 뭔지도 모르니깐 이런걸 물어보는거같은데 한번 알아보는게 어떰?
@fungame9364
@fungame9364 21 күн бұрын
@@user-cj6qw1nu2x 아 나 장사하기 힘드니깐 비싸게 팔게. 옆집이 더 싸네 그럼 이집 안가야지. 옆집이 더 서비스 좋네 친절하네. 눈높이가 까다롭다고? 그럼 더 친절해도 안되고 더 서비스가 좋아도 안되는거임? 더 싸도 안되고? 이런게 다 경쟁이다 ㅉㅉ 도태되면 가게문 닫아야지
@xaeha5926
@xaeha5926 20 күн бұрын
돈의 가치가 떨어질 수록 고객들은 동일 가격을 지불해도 더 많은걸 원하게 되어있습니다, 저 역시 자영업자 이지만 불경기 일 수록 더 트렌드를 신경쓰고 고객의 눈으로 보고자 합니다. 마음을 열고 보세요 뭐든.
@EDG04329r
@EDG04329r 20 күн бұрын
지금 언급 해주신 모든건 기본이죠. 그래도 경기에 맞물리면 모두 어려워요….. 저는 언급한 내용 80%이상 해당되는데 경기바닥엔 휘청이게 됩니다.
@user-tc2vd5rb8u
@user-tc2vd5rb8u 24 күн бұрын
김 원장 기자님~ 항상 응원 합니다😊
@user-zj8go7bu6y
@user-zj8go7bu6y 23 күн бұрын
좋은 정보감사 합니다 제주에서 최고가는 국수집이 되게습니다
@user-st7ge1jx4n
@user-st7ge1jx4n 19 күн бұрын
진행자의 익숙한 목소리 넘 좋ㅇ
@user-oj5gk4kk6f
@user-oj5gk4kk6f 23 күн бұрын
삼프로님 고생합니다 자영업자로 정말 보약같은 강의입니다 .한번더 김유진 대표님 모셔주세요
@user-op2un3zv1g
@user-op2un3zv1g 16 күн бұрын
김원장 기자님 잘못 알고 계신듯... 하워드 슐츠가 카푸치노 만들때 소리나게 해라한건 카푸치노나 라떼 만들적에 '치익~ 치익' 하고 소리나는건 (밀크 스티밍이라고함) 원래 나는거예요, 소리가 안나면 우유거품이 안만들어져요, 아마도 '소리를 더 크게 내라' 가 아닐까요?
@user-rz9tx1bx5f
@user-rz9tx1bx5f 22 күн бұрын
재구매가 핵심이다. 예쁘고 맛있어도 주기적으로 매년이든 매달이든 매주든 다시 안 오면 망함.
@user_Kevin1004
@user_Kevin1004 19 күн бұрын
잘들었습니다. 작가님^^
@pop5770
@pop5770 19 күн бұрын
현재 자영업은 주식으로 따지만 우하향시장입니다. 이런 우하향 시장에서 돈을 벌어야 하니 그저 그런 실력으로는 택도 없고 엄청난 탁월함이 필요하죠. 아니면 입지라도 탁월하던가요.
@user-tt7yz9vx5h
@user-tt7yz9vx5h 25 күн бұрын
좋은내용이네요 전 투자금에 딱 4.2배네요 다행ㅠㅠ 근데 다 듣다보니 결국 자본금이 중요한거 같습니다. 더 열심히 벌어서 확장하고 투자해야겠네요
@user-x1x2
@user-x1x2 18 күн бұрын
원장님 퇴사하기고 어떻게 지내시나 했나 궁금했는데 삼프로에거 뵙네요 ㅎㅎ 자주 올게요^^
@user-cu2hi2ny7f
@user-cu2hi2ny7f 25 күн бұрын
삼프로 항상 감사합니다 :) 덕분에 오늘도 1센치는 크는 느낌이에요!
@user-wi9vd2gq4d
@user-wi9vd2gq4d 24 күн бұрын
댓글이 왜이렇게 험악하죠? 사업하는 입장에서 너무 감명깊게 들었습니다. 물론 자영업 과잉도 맞고 이에 대한 정부의 규제나 지원이 필요한 것도 맞지만, 이미 현실인데 어쩌겠습니까. 세상이 문제라고 욕만 하고 있으면 뭐가 바뀔까요 발버둥이라도 치는거지...
@user-hh3fe2nq4i
@user-hh3fe2nq4i 25 күн бұрын
잘되는 집은 줄서는 데 니들은 왜 맨날 안된다고만 하고있어 한다면 우리 학교 다닐때 모든 교생이 전교 일등 왜 못했어 하는 질책과 같아요 직접 운영 경험 해보시는걸 추천해 드립니다😊
@younggun7002
@younggun7002 25 күн бұрын
맞는 말씀이긴 한데 일등이 되려고해야 평타는 친다는 이야기 아닐까요
@pop5770
@pop5770 19 күн бұрын
이게 일반직장인은 중간만 가도 평타치고 무난하게 직장다니며 무난하게 연봉을 얻어갈 수 있죠. 하지만, 자영업은 무난하게 평타치면 망하죠. 상위, 10~20%를 제외하고는 3년내에 80%이상이 망하니까요. 즉, 현실적으로 뛰어나지 않으면 결국 망하니, 이런저런 것들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는 거죠. 어쨋든 무한 경쟁에서 살아 남아야 하니까요.
@jacky715
@jacky715 22 күн бұрын
결론은 컨설팅 받거나 교육받으라는 건가??
@wonderk-pm7ej
@wonderk-pm7ej 5 күн бұрын
이 짧은 시간에..이런 꿀팁을 풀어주시다니..이 영상만 봐도 엄청난 시행착오를 줄일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냉정해 보이겠지만, 경쟁에서는 내 상황을 생각해주는 것이 아니라 소비자 입장에서 얻을 이익을 생각하며 브랜드를 찾는 것이고, 내가 소상공이든 뭐든, 대기업들과 경쟁해야 하는 것은 막을 수가 없으니까요.. 그렇다면 경쟁시장에서는 치열하게 내것을 찾아야 하는 이유를 짜내야하는 방법 밖에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김유진 대표님은 차별화에 대한 이야기를 중요하게 오랜시간 말씀하시는 거라 생각합니다.
@user-bi4zh7lc1c
@user-bi4zh7lc1c 4 күн бұрын
김원장님의 빛나는 진행이 정겹네요. 장황한 김대표의 의욕을 매끄럽ㅈ게 잘 끊어주셨어요. 메모하면서 2번 보았어요.
@user-cu7qu3tg4o
@user-cu7qu3tg4o 25 күн бұрын
은현장이 자꾸 떠오르면 안되는데....
@user-ot6qs8fs6q
@user-ot6qs8fs6q 21 күн бұрын
결론 요리사가 장사하는게 아니라 돈이 있는 사람이 장사해야하는 이상한 한국!! 오너쉐프가90%인 일본과 오너쉐프10%인 노홍철이 쉐프 써서 장사하는 한국!!! 맛있어서 맛집이 아닌 유명해야 맛집이 되는 한국의 수준 낮은 음식문화!!! 일본 유명 개인 케익가게 (500억 매출) 오너 쉐프에게 어떻게 이렇게 맛있는 케익을 만들 수 있었냐고? 쉐프왈 일본인은 케잌 수준이 세계 최고여서 거기에 맞춰서 만들다보니 500억매출의 맛있는 케익을 만들게 됐다고
@user-ul7rb2bl2s
@user-ul7rb2bl2s 23 күн бұрын
다른건 다 쓸대 없는 이야기고.... 생각하지 않을려고 한다....늘 생각해야된다....라는건 진짜 와닿는듯.....
@danielchoi5534
@danielchoi5534 21 күн бұрын
이 사회자분 특징이 게스트가 말을 할때 자꾸 말을 끊는데 그 부분 좀 자제해 주세요.
@joybell66
@joybell66 18 күн бұрын
정말 짜증나요 ㅠㅠ
@user-yi9wx2wb1t
@user-yi9wx2wb1t 22 күн бұрын
카페자체가매출이적어요,그래서한계가있어요
@donghwanshin7130
@donghwanshin7130 25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공부 잘했습니다. 계속 봐겠어요.
@user-gm6np8fc2w
@user-gm6np8fc2w 25 күн бұрын
크...근래들엇던것중 가장 유익햇습니다
@vinceremo5383
@vinceremo5383 24 күн бұрын
김원장 기자 품격이 다르네🎉
@user-of9zb1fm3n
@user-of9zb1fm3n 18 күн бұрын
자영업자들이 경쟁력 없이 잘못하고 있다고만 강조하고 있어, 안타깝군요. 백종원이고 스타벅스고, 요즘 매출 하락에 문 닫고 있습니다. 내수 경기 자체에 문제가 있는 겁니다.
@kanomora4950
@kanomora4950 15 күн бұрын
직원채용 말씀에 너무 크게 공감되어서요. 찐입니다.내 일을 도와줄 보조가 아닌 비젼을 제시할 수 있는 사장이여야하고, 관심과발전을 끈임없이 보여야되는게 사장이죠.직원이 영업의 반입니다
@user-cs2qm2fe1t
@user-cs2qm2fe1t 4 күн бұрын
경기도 이천 아미리 .. 🔥 강창구 진순대 (sk반도체) 건너편ㅋㅋ 할머니들이 하시는데 ..진짜 엄청깔꼼하고 육수도 찐하고 .., 몸보신하는것같아요~^^
@lidayemang
@lidayemang 26 күн бұрын
👍
@user-cm8zn4ko2x
@user-cm8zn4ko2x 25 күн бұрын
많이 배웁니다~
@kimnamju13
@kimnamju13 24 күн бұрын
목소리 손현주님 말씀 좔들었쑵니돠.
@user-vh2ts7et4e
@user-vh2ts7et4e 23 күн бұрын
이분 붕어빵이라도 팔아봄?
@RkEm-ty8vt
@RkEm-ty8vt 15 күн бұрын
관상보면...
@user-bi4zh7lc1c
@user-bi4zh7lc1c 4 күн бұрын
김유진대표의 돈주고 강연들은적 있는데 대단히 박식한 분입니다. 식당노하우는 옮겨주는 경험치도 중요합니다. 이분이 있어 행복해요. 붕어빵은 저도 팔아본적없어요ㅜㅜ
@user-ui2cc1iy6g
@user-ui2cc1iy6g 21 күн бұрын
이분이=제자라는 말을 정확히 이해를 하고 말을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user-lv4sr9gk5c
@user-lv4sr9gk5c 22 күн бұрын
이분 가게 차려서 줄세우면 인정할게요
@user-lj6vc3bg2h
@user-lj6vc3bg2h 18 күн бұрын
이분은 자기 장사하러 오셨네 ㅎ
@charon9251
@charon9251 22 күн бұрын
근데 본인은 직접 가게운영해보고 말하는거겠죠? ㅋㅋ
@user-op2un3zv1g
@user-op2un3zv1g 16 күн бұрын
아침 라디오에서 김원장 기자를 들을수 없어서 서운햇었는데, 티비에서 해외특파원으로 근무중이신걸 보았고 다시 돌아와서 반갑고 기쁩니다. "줏대" 있는 멘트와 핵심을 찌르는 질문,발언이 좋았거든요. 근데 돌아오신곳이 삼프로라... 많은 생각이 드네요. 삼프로 진짜 IPO 하려는 욕심인가... 싶은 생각이..
@tedtalk2
@tedtalk2 25 күн бұрын
직접해보지않은것은 신뢰가 안 감
@user-gf5iz3dg8d
@user-gf5iz3dg8d 22 күн бұрын
김유진대표님~반갑습니다 오늘강의~매너리즘에 빠져~불경기 탓만 하는 날~정신차리자 라고 말하게햇습니다 정신차리고 힘껏 뛰겠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zi9qv3wx9p
@user-zi9qv3wx9p 22 күн бұрын
11:30 차별화라 .. 그런 업종들에서 차별화는 곧 비용의 증가현상을 부르는데 .. 차별화했다손 치더라도 누구나 따라해 버리면 그만인 아무런 법적 제약이나 보호도 못 받는데 .. 자영업에서 차별화로 특허인정된 것 있습니까? 아닌데.. 이런 방송에서는 뭐 자영업자들 모두가 별다방이 되어야 한다는 식으로 몰아가고 있으니 .. 한심한 진행이네요.
@pop5770
@pop5770 19 күн бұрын
하지만 차별화가 되지 않는다면 시간이 지날 수록 망해가는 것은 명확하게 되죠. 살아남으려면, 모두가 별다방이 되는 정도로도 부족하고, 그 이상이 필요한 거죠. 별다방과 비슷하다면 뭐하러 개인까페 갈까요. 소비자도 그냥 별다방으로 가겠죠. 즉, 그정도 할 자신이 없다면 창업을 하면 안된다고 봅니다. 우리나라는 이미 자영업이 포화되어 있기 때문에 정말 특별하지 않으면 생존하기 어렵습니다. 즉, 일반 직장인은 보통만 되도 무리없이 살아갈 수 있지만, 자영업은 실질적으로 상위 10~20%의 능력이 있어야 살아남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몇년만에 다 폐업하는 거죠.
@user-bm6it1bh8j
@user-bm6it1bh8j 6 күн бұрын
구구절절 맞는 말씀입니다. 식당에 가서 밥만 맛있어도 만족도가 높지요. 갈수록 영혼이 없는 식당의 음식들…. 안타깝지요.
@nochinago2769
@nochinago2769 17 күн бұрын
솔직히 맞는말이긴함. 약간 귀찮은 수준의 조언들이면서 엄청 중요한거긴함..
@EPS_TOPIK_KOREA
@EPS_TOPIK_KOREA 20 күн бұрын
대부분 댓글이 해보지도 않고 말로만 말로는 나도 한강물 생수로 팔 수 있다 자기 전 인생이 걸린 문제인데 소규모 자영업자들도 대부분 생각하고 생각함 과연 뭐가 문제 일까 언급한 문제들을 해결할려면 비용이나 노동력이 들어가기 마련이고 거기에 대한 효과가 그 만큼 나올지 확실하지 않음
@bss4334
@bss4334 21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는 사람값을 싸게 치니까 서비스가격이 너무 낮음 그러니까 서비스직 임금도 낮고 그안에서 또 경쟁해야 하고 근데 수입물가는 높음 환율이 높으면 수출기업은 좋지만 식당 자영업은 아주 힘든 구조
@117aap
@117aap 17 күн бұрын
서비스가 쉬운 일이라서 값이 싼거에요
@bss4334
@bss4334 17 күн бұрын
@@117aap 시장에서 보상은 희소성이 결정합니다 식당 자영업이 쉬울까요? 그럼 왜 화이트칼라 직장인들이 퇴직하고 자영업하면ㅇ폐업율이 90프로 가까이 됩니까?
@117aap
@117aap 17 күн бұрын
@@bss4334 쉬운 만큼 경쟁자가 많은데, 우습게 보고 시작하니까 폐업률이 높은 거임. 지능이 낮아서 그래요
@bss4334
@bss4334 4 күн бұрын
@@117aap 본인이 서비스업이 쉽다고 전제를 하잖아요? 그럼 서비스업을 본인이 우습게 보는거죠? 본인말대로 서비스업을 우습게 보고 진출 한 사람들이 대부분 폐업합니다 그럼 서비스업이 쉬운일이아니다 라고 결론이 나야 정상적인 사고 구조 아님?
@117aap
@117aap 4 күн бұрын
@@bss4334 여러 업종중에 서비스업은 쉬운편이 맞습니다. 폐업률이 높다는 게 어렵다는 증거가 되진 않습니다. 전문직, 기술직, 영업직, 생산직, 사무직, 서비스직 전문직, 기술직은 남들과 다른 능력이 필요한 거니 문턱이 높고, 그만큼 노력이 들어갔으니 서비스직보다 하기 어렵고, 가치를 높게 평가해야 맞음 자 여기서 문턱이 낮은편은 보통 '해당 업무를 수행하기 쉬운 편'이라고 말을 함 영업직, 생산직, 사무직, 서비스직임 그중에 영업직은 서비스를 겸하면서도 팔기 어려운 걸 팔아야 하고, 생산직은 몸을 갈아 넣은 희생과 돈을 맞바꿈, 사무직은 여러 프로그램을 다룰 줄 알아야 함 물론 세 직종 모두 한 회사에서 사람들과 비비며 살기에 대인능력도 필요함 근데 서비스직은? 세상에 정상인들이 대부분인데 소수 존재하는 진상들 좀 상대한다고 징징댄다고? 그리고 서비스업만 폐업하나? 여러 업종 사업자들 폐업률이 얼마나 많은데 그럼 다 어려운 꼴? 그중에서 꼭 나열해서 비교하면 서비스직은 하기 쉬운 편, 어렵지 않은 편, 누구나 하는 편, 그래서 경쟁이 많은 편, 그래서 돈이 안되는 편임 애초에 그런 생각이 많이 부족해서 논리에 오류를 많이 범할 정도라면 그 쉬운 서비스직 조차 당신에겐 어려울 것 같아 보이긴 하네요
@dexter8820
@dexter8820 26 күн бұрын
한국은 과잉 서비스가 문제다. 과잉 서비스도 비용이 발생한다. 소득의 양극화가 소비의 양극화를 초래했다. 한국인의 문제는 저가 카페에 가서도 스타벅스의 서비스를 원한다는거다. 비용을 적게 지불 했으면 그만큼의 편익만 가지고 가면 된다. 인건비가 비싸기 때문에 고용을 적게 하고 대기업을 제외하고서는 가족들만이 운영하는 식당, 카페, 편의점들이 늘어날것이다.
@pop5770
@pop5770 19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는 내가 VIP로서 몇백만원짜리 명품을 샀나 싶을 정도로 직원들이 정말 친절하긴하죠. 솔직히 그렇게까지 친절할 필요는 없을거 같은데 황송한 느낌이 들 정도니까요.
@user-wj9ut7ll8u
@user-wj9ut7ll8u 17 күн бұрын
예전에 아나운서 황정민씨가 하는 아침 방송에서. 아주 오랜됐죠?김원장 기자님이 뉴스 이야기인지 경제 이야기 인지 말씀해 주시고..들으면서 목소리가 참 정확하고 잘 들려진다 .생각 했었는데 30대. 미혼일때 아침에 운전 하면서 그 지루하고 차막히는 출근시간에 청취하며 보냈었는데..세월이 많이 흘렀네요.지금은 저도 중딩 키우는 50대 아줌마 다 되었네요. 유튜브에서 뵈니 반가워요
@user-yn6wl9pw7l
@user-yn6wl9pw7l 26 күн бұрын
저도 많은 생각끝에 개업을 준비중인데 너무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직원이행복한. 방문하는분들이 행복한 그런 철학이 숨쉬는 장소로 만들어가겠습니다
@RaonTech-pq8ch
@RaonTech-pq8ch 26 күн бұрын
풉, 복지단체를 만드세요😂 그냥 복지단체에 기부하시는건 더 좋겠네요😂
@user-dz5hu2ks2f
@user-dz5hu2ks2f 20 күн бұрын
대한민국. 모든자영업자들이 그렇게하면 다잘될까요? 사실은 자영업자 가 너무너무 많은겁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집에 오신손님이 어떻게 하면 행복할까 매일 질문하고 행동하면 ........ 요식업 모두가잘되는 방법은 따로있읍니다 의사들처럼 하면 다 ~잘될껍니다
@pop5770
@pop5770 19 күн бұрын
전형적인 레드오션이죠. 저렇게 영상에서 말하는 것처럼 하는 사람만 살아 남게 되고 나머지는 망하는 루트 타는 거죠. 원래 이 자연계는 원래부터 승자독식이고 패자는 모든걸 잃습니다. 자영업이 딱 이 자연계랑 비슷합니다. 인공계인 직장에서는 꼭 상위 10%가 아니더라도 연봉을 받아갈 수 있지만 본인 장사는 절대 그렇지 않죠.
@antoniokimus
@antoniokimus 22 күн бұрын
이래서 내가 돈내고 점치지 않는 이유. 이런종류의 "투자의 신! 내말만 들으면 월 억대수익 보장!" 이게 멍멍이 소리인 이유는, 그정도로 잘 찍는 사람은 바빠서 강연이나 책을 팔지 않는다는 소리. 그리고 그정도로 잘 찍으면 남들에게 가르쳐 주지 않으려 하는게 사람의 인지상정 입니다. 아니야! 장사는 다르잖아? 하시는분들 ㅋㅋㅋ 기본원리는 똑 같습니다.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듣는것은 이해하나 듣고 잊어버려도 크게 상관없다고 생각하세요.
@mmwjulia
@mmwjulia 17 күн бұрын
뉴욕에서 Retail F& B 포함 20년 경험자 입니다. 사업은 100% 종합예술 입니다. 차별화 집중, 마켓팅 기술 그런거 다 중요한데요 그집에 오늘 또 내가 가고 싶어야 하는거죠. 나머진 시대를 잘만나고 실력 + 운 입니다.
@user-qc8uq9ii3p
@user-qc8uq9ii3p 26 күн бұрын
아는 얘기인데 무릎을 탁 치는 내용. 메모하며 듣는중이에요.
@user-hd9se4gk5l
@user-hd9se4gk5l 20 күн бұрын
김원장 기자님이 10여년전에 여자아나운서와 하시는 경제방송을 즐겨들었어요 그때 비트코인에 대해 자세한 설명과 사야된다는 방송을 들었는데 재미는 있지만 돈도 없었고 어떻게 사야하는지도 모르고 주위에도 비트코인 아는사람이 없었어요 오랜만에 유튜브에서 기자님을 보니 그때의 기억이 떠오르면서 쓰라리네요 그때는 몇십만원이었을텐데... 몇달전 1개 억 돌파하길래 0.005개 샀어요 그때 샀으면 1개는 되었을까요? 좋은 방송 기대할게요 홧팅요
@user-yz8xk
@user-yz8xk 24 күн бұрын
카메라가 너무 흔들려서 멀미 나려고 함
@paper217scraps
@paper217scraps 25 күн бұрын
맛과노력 기본이고 부가적인 도움되는 말씀 많이 나왔네요. 차별화~!
@korean1dancer
@korean1dancer 18 күн бұрын
물론 사장님이 잘못하셔서 직원들이 많이 나갈수도 있지만, 미국 같은 경우는 요즘 대학생, 졸업생들이 너무나 책임감이 없습니다. 그것은 미국 전역에서 모든 직장에서 말하는 공통의견입니다. 아마 한국도 그런 영향이 있을 것이라 믿습니다.
@user-vp1hd9ks4c
@user-vp1hd9ks4c 17 күн бұрын
음....성장.버블기에 는 특화하고 나누고 세분화 하은 경향이 있죠. 이미 기존 강자가 있으니 좀 달리 보이고 싶은거고 시장이 마침좋아서 .바람타고 같이 상승합니다만...중요한건 기본이고 또 중요한건 시장환경입니다.상승바람이 하강바람이되면...기본을 제외한 모든건 사라집니다.마케팅이 중요하지만 전부가 아니죠.고객은 바보가 아닙니다.
@ksong5589
@ksong5589 20 күн бұрын
16:51 하... 말이 안나온다. 모닝아메리카노 런치아메리카노 같이 세분화해서 팔아서 성공하면 인정한다.
@brianlee569
@brianlee569 23 күн бұрын
10대들한테만 필요한 수건은 대체 어떤 수건일까?
@user-gq8gd2ib8h
@user-gq8gd2ib8h 19 күн бұрын
2500원 아아를 매장에서 먹다가 남았다고 일회용기에 다시 얼음추가해서 포장해달라고 하는사람 많아요 ㅠㅠ
@user-ov6rk6xo8m
@user-ov6rk6xo8m 16 күн бұрын
이건 매장 컵쓰기 강제하는 법이 문제인듯.. 서로 불편
@kniferepair3481
@kniferepair3481 25 күн бұрын
배달해보면 진짜 개판인 가게들 천지다. 비가 억수로 오는데 종이백으로 포장해주질 않나. 국물요리 포장용기가 녹아서 쪼그라들 정도로 저퀄리티 용기를 쓰는곳도 있고. 식당 내부는 더럽다 못해 토악질이 나올정도로 청소는 단 한번도 안하는곳이 많다. 그러면서 장사 안된다고 한숨쉰다.
@user-qk3le7io1s
@user-qk3le7io1s 18 күн бұрын
김원장 기자님 다시 뵙게 되어 기부니가 좋아졌습니다 좋은 정보 많이 부탁 드려요
@oyoungshin1236
@oyoungshin1236 24 күн бұрын
청와옥은 파킹 아니라도 메뉴넘 좋아요. 그런데 점심 피크타임이는 엄청 몰리죠
@user-sr7mk6vw7s
@user-sr7mk6vw7s 23 күн бұрын
몸을 갈아 넣으면 되지만 그게 서비스에 대한 댓가가 아니라 목숨에 대한 댓가라 한계가 있는거구 어차피 큰돈 부어 할수 있는 경우 제외하면 알고 못하는거지..대부분 컨설팅이라는게 되게 해주는게 아니라 될수 있는 경우만 하는거지.. 자영업 비율 엄청높고 물가 높고 인건비높고 이런 상황인데? 그런데 왜? 개업을 계속하나? 그건 선택의 여지가 없을만큼 몰려있는 상황이 문제인거다. 그러니 너무 숫자놀음으로 광고성 인터뷰 하는건 지양해야할듯..
@user-fx7si1pj9w
@user-fx7si1pj9w 20 күн бұрын
'' 생각하는걸 싫어한다 '' 이말이 완전 공감되여~ 요새 현대인들이, 도파민 중독에 빠져서, 순간순간의 욕구만 채워요~ 아이들 학생들도, 학습능력이 떨어지는 이유가, 생각하기를 싫어하고 안해요 ㅜ
@kyuss321
@kyuss321 5 сағат бұрын
자영업자건, 소비자건 참 어렵게 산다.
@user-ne5wl7dt4k
@user-ne5wl7dt4k 21 күн бұрын
카페가 망하는 이유 : 경쟁사가 스타벅스
@xaeha5926
@xaeha5926 20 күн бұрын
잘나가는 개인카페안가봄? ㅋㅋㅋ
@pop5770
@pop5770 19 күн бұрын
​@@xaeha5926 어떻게 보면 스타벅스는 주식으로 보자면 QQQ와 같죠. 일반 개인까페는 개별주와 같구요. 일반주식도 상위 10%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계속 하락을 하죠. 즉, 개인까페도 이런 이치라고 생각합니다.
@user-dq6do3ri4o
@user-dq6do3ri4o 22 күн бұрын
라이브때도 봤지만 다시 보러 왔습니다 정말 유익한 시간이였습니다 두 분 감사합니다!
@user-iq4xs6yh1k
@user-iq4xs6yh1k 19 күн бұрын
저런 말하는 김 유진 니가 한번 자영업 해보는건 어때? 그렇게 잘 알면 대한민국 돈은 다 쓸어가겠고만...ㅎㅎㅎ. 그래서 니보다는 차라리 백종원이가 훨씬 대단한거다...아가리파이터보다는...
@user-yo5ip9js4c
@user-yo5ip9js4c 17 күн бұрын
스타벅스는 공부하러가고 조명이 어두워서 가는건데 카페인때문에 가는거구나
@RaonTech-pq8ch
@RaonTech-pq8ch 26 күн бұрын
오호~ 의외네요, 저는 저분같은 마케팅요소는 배재하고 맛과 재료가 좋은곳중, 가까운곳 가는데, 저런 깊이없는 방법으론 투자비용 회수하기도 전에 손님 급속도로 떨어질것 같은데요😢 아! 책판매는 다른요소이긴 하겠네요, 그럴듯한 썰이긴 하니까요~🎉
@coolargentina
@coolargentina 17 күн бұрын
김원장 기자? 인터뷰 하는 사람 말투가 왜 저런가요 ㅋㅋ 어이없네
@user-zk2fi5hq7m
@user-zk2fi5hq7m 14 күн бұрын
장사는 몇번해보셨는지요 제자라니
@younggun7002
@younggun7002 25 күн бұрын
너는 장사도 안해보고 그렇게 이야기하냐시는 분들이 있는데, 장사잘되는 집 사장님이 이런 강의하겠음? 연구해보고 이렇게해야 수익이 날 수 있다. 이렇게 알려주는 사람이 있어야 자영업 맨땅에 헤딩안하지!!
@s.secret3927
@s.secret3927 13 күн бұрын
과연 그 사람들이 진짜 제자라 생각할까? ㅎㅎ
@gogo-rk1je
@gogo-rk1je 19 күн бұрын
진행자 건방진 태도 좀 고치든지 딴 일 알아보든지
@user-ub7yj2go7s
@user-ub7yj2go7s 23 күн бұрын
장사를 글로 배웠다는게 느껴진다!! 입만 살아서...
@jungdupont
@jungdupont 24 күн бұрын
백종원 같이 팩트로 성공한 사람이 아닌 이상 안 믿음
@sonixglobal
@sonixglobal 15 күн бұрын
출연자 말투가 재수없어요 삼프로 점점 안보게 되는군요
@user-hf8lv5bm6f
@user-hf8lv5bm6f 15 күн бұрын
동감. 지자랑하러나왓네
@user-3h7R-ykztkzd
@user-3h7R-ykztkzd 17 күн бұрын
그렇게 열심히 하면 성공합니다 그런데 개인은 없고 몸은 망가지고 가정은 파탄나요 매출은 늘고요ㅋㅋㅋ
@coolargentina
@coolargentina 17 күн бұрын
진행자 태도 왜 저 따구임 ㅋㅋ
@juju1073
@juju1073 25 күн бұрын
왤까..장사의 신이라는 타이틀을 쓰는분들은..와이리 다아는거 아는척하면서ㅜㅜㅜ ㅋㅋ 오만하게 말하지.. 저 글자에 마가꼈나.. 좋은말인데ㅋㅋㅋ 육체노동의 강도가 강해지면 사람이 뇌를 쓰는게 지침 그걸해!라고 해도 잘안됨 지금 잘된다고 말씀하시는 브랜드들보면 전부 사장님 젊고 (혹은 젊은 바지사장) 알바짱 많음.. 그리고 브랜딩 신기해서 갔다가 맛없음 안감. 그럼 이름만 다르게 해서 런칭하잖슴ㅜㅜ 소비자로서 킹받네 징짜 본질을 알려주시는 주제인데 어쩜 저렇게.. 베푸는듯한 말투와 내가 다 해냈다고 말할까.. 잘못이해했나 싶어서ㅜ 끝까지 다들어봤음. 한시간동안 한마디라도 얻어내는것이 있어야 했는데.. 후 아까븐 내시간..
@mountainfarm
@mountainfarm 23 күн бұрын
요즘 시대에 머리 안 쓰면 어느분야나 뒤쳐지게 되어있죠.. 어느분야든 경쟁자를 이기려면 공부는 필수입니다. 특히 자영업자는 경쟁자가 워낙 많으니..
@user-zs7gh4di3z
@user-zs7gh4di3z 23 күн бұрын
한시간동안 못 얻어낸걸 생각해봐요 내가 못 얻어 냈으면 빠르게 다른길 찾아보아요
@jun6781
@jun6781 21 күн бұрын
*신 짜 붙이고 나온거 보면 이해감.. ㅎㅎ 애초에 전문학문도 없는지라 혀쌔고 약삭빠르면 유명해지는듯. 그냥 보고 필요한부분 도움받으면 되실듯
@user-tj8hw1br6k
@user-tj8hw1br6k 22 күн бұрын
음식점에 음식이 맛이없다 ㅋㅋ
@user-bj4qb4mb7t
@user-bj4qb4mb7t 25 күн бұрын
이바구만 나발나발... 직접 그렇게 하세요. 본인이 오너쉐프매장 운영하면서 말해야지 운영안하고 교육만하는 사람이나 직접 일안하고 직원만 시키면서 말만하는 사람이 하는 말은 의미없음. 왜 본인은 말만하고 직접안함?풉
@sk14kim
@sk14kim 21 күн бұрын
난 이 사람 얘기 듣다보면 약간 약장사느낌. 말을 넘 잘해서 흠인 사람
@cammind76
@cammind76 26 күн бұрын
무슨 칼로리.... 영양가가 중요하지. 카페인은 무슨... 요즘 쓴커피는 질떨어진다는거 많이 아는데... 커피맛 얼마나 따지기 시작했는데...
@phm3203
@phm3203 26 күн бұрын
너가 중요하게 생각하는게 있는 남이 중요하게 생각하는게 있고 그렇게 하나하나의 특별함을 내가게에 내 메뉴에 내 음식에 넣어서 내 가게에 차별화를 만든다. 이 얘기임 시니컬한건 좋은데 맥락을 좀 하자 독서도 좀 열심히하고
@ranmanim
@ranmanim 25 күн бұрын
이런 유형이 제일 골 떄리는건, 저기는 생각하는 프레임 워크를 알려주고 있고 그 예시로 무언가를 채워 넣은거고, 머리 좋은 사람은 프레임워크에서 힌트를 얻어서 자기의 선택 기준을 마련하는데, 쿨찐병 걸린 애들은 나 아는건데? 예시 저거 아닌데? 능지 이슈
@xpfreepops97
@xpfreepops97 21 күн бұрын
방송에서는 영어 사용을 자제합시다. 우리 한국어가 소멸되고 망가집니다.
@sandpoint2609
@sandpoint2609 18 күн бұрын
해봤나?
@user-cr2lf5fh7s
@user-cr2lf5fh7s 26 күн бұрын
진행자분 역시 프로네. 기본적으로 목소리가 무척 좋음(신뢰감 가는 외모 신뢰감 가는 음색임). 삼프로 초반에 출연진에 비해 말씀이 너무 많다는 지적을 하는 댓글이 있었고 저 또한 그러한게 아닌가 느꼈는데 오늘은 출연진에 맞춰 적절한 수준의 발언들을 하신 거 같습니다. 듣기 편안하고 알찬 방송였습니다. 감사합니다.
@ranmanim
@ranmanim 25 күн бұрын
KBS 출신이 괜히 KBS 출신이 아님 쓸데 없는 말을 안함
@joybell66
@joybell66 18 күн бұрын
아니요. 너무 무미건조하고 차갑고, 남의 말을 마구 끊어서 듣는 사람이 화가 납니다.
@coolargentina
@coolargentina 17 күн бұрын
말투 너무 거슬려서 댓글 달러왔는데 무슨소리를 ㅋ 저게 진행자 말투입니까. 건방지게
The Worlds Most Powerfull Batteries !
00:48
Woody & Kleiny
Рет қаралды 28 МЛН
Watermelon Cat?! 🙀 #cat #cute #kitten
00:56
Stocat
Рет қаралды 22 МЛН
Cute Barbie Gadget 🥰 #gadgets
01:00
FLIP FLOP Hacks
Рет қаралды 42 МЛН
미국 모래 뭐가 다르길래? 중국 반도체가 쩔쩔매는 이유 (언더스탠딩 김상훈 기자)
28:17
아파트 재건축이 점점 어려워지는 이유들 (경험담)
13:54
삼성전자 위기론의 실체 f. KBS 서영민 기자 [심층인터뷰]
1:03:08
The Worlds Most Powerfull Batteries !
00:48
Woody & Kleiny
Рет қаралды 28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