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역사스페셜 - 금동관, 백제통치의 비밀을 풀다 / KBS 2011.5.19 방송

  Рет қаралды 190,594

KBS역사저널 그날

KBS역사저널 그날

3 жыл бұрын

- 고흥 길두리 금동관, 1,600년 만에 원형을 찾다
백제의 수도였던 한성에서 가장 먼 전라남도 고흥 길두리.
2006년 이곳에서는 세간의 이목을 끈 발굴이 있었다.
직경 34미터, 높이 5미터의 무덤에서 피장자의 위세를 짐작하게 하는 환두대도,금동신발,금동관이 줄줄이 발굴됐다.
특히 환두대도, 금동신발, 금동관이 세트로 다 갖춰져서 나오는 일은 매우 드물기 때문에 학계의 관심을 끌었다.
최고의 정치적 상징물이자 위세품의 꽃이었던 금동관은 그렇게 극적으로 세상 밖으로 나왔고 5년의 복원작업을 마치고 2011년 2월에 드디어 세상에 모습을 드러냈다.
1,600년이 지난 지금 금동관이 우리에게 전하는 역사적 진실은 무엇일까?
- 백제정치사를 규명할 블랙박스! 금동관
고흥 길두리를 비롯하여 익산 입점리, 나주 신촌리, 공주 수촌리(2점), 서산 부장리, 천안 용원리에서 발견된 7종의 백제 금동관. 넓은 지역에 걸쳐서 발견됐음에도 불구하고 놀랍게도 7점 모두 유사한 형태를 띠고 있다.
고깔모자 형태의 관에 양쪽 측면에 세워진 장식판, 정수리엔 꽃봉오리 모양의 수발 등 백제 특유의 독특한 자태를 보이고 있다. 역사의 기록에 많이 남지 않은 백제사, 더군다나 남은 유물이 거의 없는 현실에 금동관은 백제 정치사를 규명할 블랙박스로 주목되고 있다.
- 시대의 명품, 백제금동관
한강 유역에서 시작한 작은 나라 백제가 어떻게 중국과 한반도 남단 일본까지 아우르는 거대한 해상대국이 될 수 있었던 것일까?
금동관은 동판에 금을 입힌 것으로써 동판에 문양을 새겨 넣고 그것을 오려내어 섬세한 문양을 넣은 당시 최고의 예술품이다. 첨단 장비들이 없던 그 시대 정성과 함께 당시 최고의 기술을 필요로 했던 백제금동관.
고도의 제작기술 뿐 아니라 제작에 필요한 금이나 수은 그리고 한반도에서는 잘 자라지 않는 수종인 백화수피까지 쓰인 것으로 보아 희귀재료 통제권을 가지고 선진문물을 흡수했던 왕실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백제 왕실에서는 금동관을 지방 최고의 수장에게 보내 지방지배 체제를 바로 잡고 효율적으로 다스리는 용도로 사용했다. 백제는 어느 사서에도 통치의 기록이 없다.
그런 의미에서 백제금동관은 백제 통치 시스템의 미스터리를 풀 수 있는 열쇠다.
- 고대시대 ‘새’, 하늘과 지상의 메신저
7점의 금동관 중 무려 4점이 새 모양을 형상화하고 있다.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일까? 고대사회에서 새는 하늘과 땅을 이어주는 신성한 동물이었다. 수도 한성을 시작으로 문화를 꽃피운 백제는 한반도 남단의 끝 고흥까지 세력을
넓혔다. 백제가 정복한 마한 지역의 오랜 전통이었던 ‘새 숭배 사상’은 자연스럽게 북방의 문화와 융합되었고 백제 통치의 중심이던 금동관에 새를 화려하게 형상화시켰다.
- 백제, 해상교역을 통해 위기 극복을 꿈꾸다
삼국 중 해상교역이 가장 활발했던 백제. 금동관이 발견된 지역은 주변에 모두 하천이 발달되어 있다는 지리적 공통점이 있다. 백제는 해로(또는 수로)를 이용해 지방을 지배했고 바닷길을 통해 해외교역망도 확보했다. 일본 규수지역의 ‘에다후나야마고분’에서 출토된 백제 특유의 조금, 투조기술을 사용한 금동관은 이를 반증하고 있다. 그동안 신라금관에 비해 주목받지 못했던 백제금동관 안에는 백제인들의 혼과 지혜 그리고 백제를 강국으로 만들고자 했던 꿈이 담겨있었다.
신역사스페셜 68회 - 금동관, 백제통치의 비밀을 풀다 (2011.5.19.방송)
history.kbs.co.kr/

Пікірлер: 649
@user-bb9or2gl9l
@user-bb9or2gl9l 3 ай бұрын
역사다큐 많이 만들어주세요❤
@yosupyang2952
@yosupyang2952 3 жыл бұрын
백제 금동관 너무 아름다워요. 세공기술이 정교하고 섬세하여 자랑스러워요.
@SKYBLUE-oo2ld
@SKYBLUE-oo2ld 3 жыл бұрын
44ㄱ
@user-qh3hv3fv9w
@user-qh3hv3fv9w 3 жыл бұрын
@@user-qy6nw1cy7m ------------------먹금-------------------
@user-rf5ow1zq4c
@user-rf5ow1zq4c 3 жыл бұрын
@@ariellerusty8251저기요 고구려 백제 중국사라는놈은 옛날 매금대왕이라고 논리라곤 전혀 없는 개노답관종이니까 그럴렸니하세요 옛날에 역사저널 그날에서 ㅈㄴ나대다가 계정삭제 당하고도 또 저짓을 하면서 아직도 정신을 못차리고있네요 ㅉㅉㅉ 님이 이해해주세요 그냥 불쌍한환자니까 너그럽게 이해해주세요 병원에 가야되는데 안갔고 저렇고있네요 에휴
@user-rf5ow1zq4c
@user-rf5ow1zq4c 3 жыл бұрын
@@user-qy6nw1cy7m 응 자기소개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on5jf6mx8q
@user-on5jf6mx8q 3 жыл бұрын
@@user-qy6nw1cy7m 매금아 작작해라
@user-fw2hl5vc6n
@user-fw2hl5vc6n 2 жыл бұрын
한상권 아나운서의 목소리는 정말 최고다
@user-if5zb5rc1o
@user-if5zb5rc1o 2 жыл бұрын
봐도 봐도 봐도 질리지않고 볼때마다 신기방기한 금동관들 어후~~~
@eunkyochoi2238
@eunkyochoi2238 2 жыл бұрын
되게 애지중지 하네요. 넘나 감사하게도 🙏
@user-lr8jw1in9f
@user-lr8jw1in9f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xh9nt7ow9b
@user-xh9nt7ow9b 3 жыл бұрын
KBS 는 국영방송이라는 책임감을 가지고 이런 다큐를 더욱 많이 만들어 방송해야 합니다. 주말에 패널 여러명 나와서 웃고 떠드는 잡담의 역사놀이가 아닌 제대로된 우리의 역사 방송을 국민께 전달해야 합니다. 동북공정으로 무너져가는 우리의 역사와 선조들의 기상이 무너지고 없어지고 있습니다. 지금 현재의 사람들 말고도 우리의 후손들이 정확하고 올바른 역사를 알기를 바랍니다.
@user-qh3hv3fv9w
@user-qh3hv3fv9w 3 жыл бұрын
@@user-qy6nw1cy7m ------------------먹금-------------------
@user-ob3ep7vd3g
@user-ob3ep7vd3g 3 жыл бұрын
한 시간도 안되는 방송으로 어설프게 아는 것보다 아예 모르는 게 낫다고 생각해요 제대로 한다면 사학 관련 전문가를 양성하고 연구가 활발히 될 수 있도록 해서 비전문가도 여러 서적에서 다양한 담론을 접할 수 있도록 하는 게 훨씬 미래지향적인 방편이라고 생각해요
@OYT0724
@OYT0724 3 жыл бұрын
@@user-ob3ep7vd3g 그것도 좋지만, 아무런 말을 안하면 오히려 갖가지 짭 전문가들이 나서서 어설픈 연구내용 보이면서 그게 사실이라고 우기기 시작합니다. 대표적으로 환빠들이 있습니다.
@user-ob3ep7vd3g
@user-ob3ep7vd3g 3 жыл бұрын
@@OYT0724 / 그렇지만 2000년대 초반에 했던 역사스페셜부터 최근의 역사저널 그날의 면면을 보면 추정이 아닌 사실처럼 꾸며 내서 시청자들을 믿게끔 하더라고요 요즘엔 이런 프로그램도 필요에 의해 여러 부분을 꾸민 사극과 다를 게 뭔가 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그래서 이제는 과거와 다르게 불특정 다수가 누군가의 입맛대로 해석하고 해설하는 방송, 서적이 아닌 사서 원문이나 한글 해석된 글을 읽고 관련 전문가의 해설을 읽는 게 더 역사를 바르고 정확하게 아는 방법이라고 생각해요
@user-lt5af1eq3z
@user-lt5af1eq3z 3 жыл бұрын
백제에서 금동관을 일본에 전해준 것으로 확인됐다면서 왜 일본식 금동관이라고 표현하죠...?
@user-ep1gx8pk3s
@user-ep1gx8pk3s 2 жыл бұрын
가봐야지.
@user-jd6ig3lw8s
@user-jd6ig3lw8s Жыл бұрын
아름다운 백제 세상을 알게 됐어요
@user-oz8yd2xx5i
@user-oz8yd2xx5i 2 жыл бұрын
금동관과 금동신발이 발견된곳은 전부 백제의 다무로였네요 일본에서도 많이 발견되었지요 가야(혹은 왜?)백제 고구려 멸망후 많은 인구의 이동이 일본열도로 옮겼지요 그래서 일본의 인구가 한반도의인구보다 훨씬 많지않았나 생각되네요 우리가 철기문화를 일본에 전수하기는 개뿔 그 기술자 전체의이동이 있었던겁니다
@user-eq9du2nf9q
@user-eq9du2nf9q 3 жыл бұрын
42:33 참 기가막히게 잘 지었네.. 이 프로그램과 딱 맞아떨어지는 음악 !
@user-nz5ie7zj1w
@user-nz5ie7zj1w 3 жыл бұрын
좋아요!
@YUYU-dq5nn
@YUYU-dq5nn 2 жыл бұрын
백제의 기술은 정말 뛰어납니다. 금세공술도 그렇고 석탑을 다루는 기술도 삼국중 최고였습니다. 신라의 불국사 석탑들도 백제 석공들의 기술이라고 알려져있습니다.
@love-vd6lf
@love-vd6lf Жыл бұрын
저거 마한 영산강 세력이 만든거라 학설 뒤집어진지 오래에요 지금 정설은 마한 영산강 세력의 왕관임
@user-tb4rd2eo2v
@user-tb4rd2eo2v Жыл бұрын
@@love-vd6lf 거짓말 하지마세요. 모두 부여, 공주에서 발견된 금제장식과 모두 동일하다는 것이 학계 정설입니다. 개소리 하지 말아주세요.
@PrettyT-rex
@PrettyT-rex 11 ай бұрын
@@love-vd6lf 정설이라구요?? 관련 논문 몇개만 보여주시죠
@love-vd6lf
@love-vd6lf 11 ай бұрын
@@PrettyT-rex 제작기법과 금동관의 양식을 봤을 때 백제 지역에서 출토된 금동관과 크게 다른 토착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백제왕의 하사품이 아닌 영산강 유역에서 독자적으로 제작되었다는 최근의 주장들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검색 조금만 하면 나오는걸 귀찮게 ㅉ 댁이 찾아봐
@user-dz4ru6bj3f
@user-dz4ru6bj3f 2 жыл бұрын
나올법한 곳은 일제가 수탈해 갔거나 그 아랫 것들이 슬쩍해 먹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 아닐까요
@user-mf9xg2ti1r
@user-mf9xg2ti1r 2 жыл бұрын
일제시대 이전 1400여년 긴 세월동안 도굴됐을 가능성도 높겠지.
@bie100282
@bie100282 3 жыл бұрын
일본이 많이 도굴해갔으나 아직도 위대한 유물이 많이 남아있을정도로 많이 탄생시킨 백제가 대단하다!!!!!!
@ll-tg7xz
@ll-tg7xz 2 жыл бұрын
많이는 아니죠. 거의 없어요.
@bie100282
@bie100282 2 жыл бұрын
@@ll-tg7xz 도굴된거 치고는 많은거같습니다...
@ll-tg7xz
@ll-tg7xz 2 жыл бұрын
@@bie100282 "적다.많다"라는 문장 자체의 정의가 모호하기는 하지만 삼국시대를 기점으로 해서 조선시대까지의 역사 유물을 보자면 그중에서도 백제시대 유물이 매우 현저히 적은게 사실입니다.
@user-dq6py9nm7m
@user-dq6py9nm7m 2 ай бұрын
백제 유물은 뭔가 세련돼보여...😮😮
@johnathanha9340
@johnathanha9340 3 жыл бұрын
금동관은 백제의 권력에 대한 증거물이군요.
@user-gu5wy2bw4j
@user-gu5wy2bw4j 3 жыл бұрын
Pd님.. 자체 제작한 엔딩곡 풀버전 올려주세요.
@user-fv8fi4fz4v
@user-fv8fi4fz4v 3 жыл бұрын
정말 대단하네^^
@johnathanha9340
@johnathanha9340 3 жыл бұрын
마한지역의 철기문화가 백제에도 전달되었군요.
@adamko7213
@adamko7213 Жыл бұрын
마한의 금동관모을 보면서 그 금동관모과 똑같은 모양의 일본 사회 전통의례에서 그대로 나타나더라구요.. 야쓰구니 신사에서 참례객들 인도하는 전통의상입은 사람들 보면 쓴 모자 모양이 마한 금관 모양 그대로입니다. 색깡은 검정색이지만 모양은 아주 똑같습니다. 금관 모양은 모자에서도 같은 양식이었던거 같아요
@user-nb6xo3bj6s
@user-nb6xo3bj6s Жыл бұрын
백제의 찬란한 예술품은 최고입니다.
@user-ku8jy3pt5t
@user-ku8jy3pt5t Жыл бұрын
한성백제가 전남 고흥 나주까지 영향력을 행사 할수 있었을까?
@user-gv2rt8mh8c
@user-gv2rt8mh8c 2 жыл бұрын
일본식투구와 갑옷이 아니라 백제한성시기에서 백제황실이 일본지방세력수장에게 하사한 백제식이지. 왜 그게 일본식이냐?백제식이지. 일본 에다후나야마 고분에서 나온 백제금동관을 바탕으로 일본일부지역까지 통치했다고 봐야지.전방후원분과 22담로 지역은 모두 금동관이 나올 가능성이 높다.
@user-sm3nx2nw8s
@user-sm3nx2nw8s 19 күн бұрын
맞는 말입니다. 봉건국가로써 담로를 위한 금동관으로 보여집니다.
@johnathanha9340
@johnathanha9340 8 ай бұрын
백제의 금동관들은 백제의 문명적 발달과 함께 종교관과 신앙의 역시도 드러내줍니다.
@yesno9065
@yesno9065 3 жыл бұрын
저 금관은 아마도 22담로의 각 장들에게 하사 된 것이 아니었을까?
@user-qh3hv3fv9w
@user-qh3hv3fv9w 3 жыл бұрын
@@user-qy6nw1cy7m ------------------먹금-------------------
@djp2708
@djp2708 3 жыл бұрын
@@user-qy6nw1cy7m 미쳤냐 ? 조토 모르는게 줘 들은걸 짜집기 하고있네.니나라비하하니 기분좋냐? 역사는 과학이다. 제대로 공부해봐라.
@djp2708
@djp2708 3 жыл бұрын
@@user-qy6nw1cy7m 중국넘이네...
@jongyoum1537
@jongyoum1537 3 жыл бұрын
@@djp2708 글게 중국놈이네
@bobopia1
@bobopia1 2 жыл бұрын
@@user-qy6nw1cy7m 어우 알겠어요 좀 그만좀해요 온갖 댓글에 .... 자기 생각 의견 알고있는거 등등 적는건 나쁘지 않은데 좀 그만좀 어필해요 🤬
@user-qh3hv3fv9w
@user-qh3hv3fv9w 3 жыл бұрын
백제 금동관 신라 금관 고구려 금관 해서 스키타이양식의 시대별 변화 2020년 버전으로 제작해주세요 !!!!!! 한국을 대표하는 문화재 인데 홍보가 필요하다 !!!!!
@user-qh3hv3fv9w
@user-qh3hv3fv9w 3 жыл бұрын
@@user-qy6nw1cy7m ------------------먹금-------------------
@user-by3mm6jh3b
@user-by3mm6jh3b 2 жыл бұрын
이사람 도배 뭐때문엔 이런까
@user-zk5dq2xv7r
@user-zk5dq2xv7r 2 жыл бұрын
@@user-by3mm6jh3b한국 민족주의자때문에 도배하는듯...
@user-mp4fd2to4l
@user-mp4fd2to4l 3 жыл бұрын
4~5세기에 집중적으로 금관을 만들어 담로왕족들에게 보낸것은 당시 백제가 고구려나 한나라 등 외세에 경계심을 더 느끼고 단합의 의미를 새롭게하고ㅡ다스리고잇던 담로지역민들에게 대백제제국의 백성이라는 형태를 더 선명히 하려는 현명한 처사인것이다
@juokhan6
@juokhan6 2 жыл бұрын
금동관마다 있는 길쭉한 끝의 둥근 장식은 횃불을 대신하지 않았을까요? 그들은 사제(지배자)에게 금동관을 나누어 주고 비밀스런 그들의 특별한 의식에서 그들이 머리에 쓰고 불을 피운. 기름이나 밀랍같은 것으로 안을 채우고 불을 밝힌 흔적은 없었는지 다큐에는 안 나오네요. 아산에서 발견되었다는 새의 형상이라는 토기는 대만박물관에도 있다고 본 적 있는 것 같고, 그건 청동기유물이라고 봤는데 말이죠. 납작한 새 모습 토기는 칼장식에서도 본 것이네요.^^ 법흥왕이 이차돈 순교를 시키면서 불교를 공식종교로 선포하고 하늘에 제사지내는 집단을 제거한 정치적 행위도 이것과 연관있을 수 있겠네요.
@dong3965
@dong3965 3 жыл бұрын
일본에서 출토된 금동관도 결국 한성백제의 하사품이었다는거네 일본도 백제의 영향권 안에 있었다는게 점점 확실해지는듯.
@user-xk7bg3gs5z
@user-xk7bg3gs5z 3 жыл бұрын
한성배제보다 일본과 마한즉 헌재의전라도 계통의 마한왕으로보이네요
@user-tm7bq8nq5c
@user-tm7bq8nq5c 3 жыл бұрын
@@user-xk7bg3gs5z 저때는 이미 마한이 완전히 백제에 복속된 시기에요. 저때 마한은 그냥 백제의 지방세력에 불과함. 고로 저 금동관은 백제가 수여한 것 입니다.
@user-ur5lb2uw3j
@user-ur5lb2uw3j 2 жыл бұрын
맞아요 동감입니다
@love-vd6lf
@love-vd6lf Жыл бұрын
@@user-tm7bq8nq5c 아닌데요 그 학설 뒤집어진지 오랩니다 이 방송자체가 약 17년전임요 마한은 가야와 함께 존재했습니다 한성백제 시대가 아니라 웅진 백제 이후 점점 밀려나 일본으로 지배층이 이동했다는게 정설이고 사비 시대까지 마한 잔존 세력이 존재했다는게 정설입니다
@soosoosoo1234
@soosoosoo1234 11 ай бұрын
​@@love-vd6lf증거는??
@Love-Peace-Culture_KimGu.37
@Love-Peace-Culture_KimGu.37 3 жыл бұрын
역사는 반복되고, 현재와 이어져 있다.
@user-gl6ii2cx6f
@user-gl6ii2cx6f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국가시대 모든 예술 혼을 담은 백제양식. 유려하며 찬란하고 한치도 그 고유 문화적 한계에서 버서남이 없다. 그래서 내 껏으로 그 예술이 현대까지 문명을 전달한다. 백제는 문화라는 개념이 확실이 서 있다. 문화 정복이 아닌 흡수로서 베풀지 않으면 흡수도 없다하겠다
@user-yc9rq7ve9z
@user-yc9rq7ve9z 5 ай бұрын
백제 진짜 대단한 나라였네
@user-be1il1hr1y
@user-be1il1hr1y 3 жыл бұрын
새모양이 아니고 신비의새 봉황으로 판단됩니다.. 남쪽에 봉황이 잠들었단 말이 있으며 이새는 여러가지 신물들의 모습을 골고루 닮았다고 했어요 아마 백제는 중국뿐만아니라 다른 나라와도 교류를 많이했던 영향으로 그 상징으로 왕관에 무늬를 새겼을거라 생각해봅니다.... 신라하고 교류도 했는데 중국과 더 가까운 백제와는 교류가 없었겠나.
@user-mp4fd2to4l
@user-mp4fd2to4l 3 жыл бұрын
우리겨레 조이족이 숭상한 새는 숫탉으로 얘기들은거같아요 토기에나타난 발가락에 의해서 그런 얘가잇어요
@user-mp4fd2to4l
@user-mp4fd2to4l 3 жыл бұрын
중국한족보다 더 위대하고 걔네들이 백제의 정통성, 요서문화의 총체 ᆢ한자를 비롯한 ᆢ을 빼앗으려고 얼마나 기를쓴줄아세요? 그래서 신라를 정착시켜 같이 손잡그 결국 업애고만겁니다 김일제 유튜브참고하세요
@user-bb3br4uh9i
@user-bb3br4uh9i Жыл бұрын
공주의 금동관
@ysng-yz7xe
@ysng-yz7xe 3 жыл бұрын
백제는 정복한지역에 왕족을 수장으로 담로마다 배치한 것으로 금동관은 일본지역과 중국요서 지역과 한반도에서 22개가 출토되어야 한다
@user-gv2rt8mh8c
@user-gv2rt8mh8c 10 ай бұрын
이미 백제한성시기에 일본큐슈지역은 백제영토였다는 뜻.
@user-zq8ue8ri2z
@user-zq8ue8ri2z 3 жыл бұрын
그 금동관은 당시 한반도에 있던 왜인들 것이라고 EBS 다큐멘타리에서 방영한 적이 있는데 KBS에서는 백제에서 만든 것이라고 하네. 왕관과 함께 묘장제를 연구해 봐야 함
@manlee2660
@manlee2660 3 жыл бұрын
T
@bleee1
@bleee1 3 жыл бұрын
태양과 달이 개기일식을 하면 태양주위로 금성이 돌고 달은 떠나는데, 이 둘이 섹스를 하고 달은 떠나고 태양이 금성을 기른다고 고대인들이 생각해서 금관은 여자가 쓰고 은관은 남자가 씁니다. 동관은 금성을 상징하는데, 금성은 태양과 달의 아들 상징합니다. 그래서 금동관을 쓰는것은 내가 하늘의 아들로 천자이다. 라는 의미입니다. 이건 북방유목민족의 전통이고 사상임.
@user-zq8ue8ri2z
@user-zq8ue8ri2z 3 жыл бұрын
​@@bleee1 저의 댓글에 대해 반론을 펴는건가요? 그러면 적어도 전라남도 고흥 길두리에 대해서 EBS 다큐멘타리에서 어떤 방송을 했는지 알아보고 반론을 펴야하는 것이 예의가 아닌가요?
@bleee1
@bleee1 3 жыл бұрын
@@user-zq8ue8ri2z 인터넷에서 예의좀 찾지마
@silestengo2250
@silestengo2250 3 жыл бұрын
그 왜인들이 백제 근초과왕 후손..지방마한후손인들이죠. 그후손들이 남쪽으로 가야 임나지역으로 남하한거죠.
@mahanmojarradi7917
@mahanmojarradi7917 2 жыл бұрын
چرا میگین سیلا مگه شیلا نباید بگیم بلاخره کدوم شیلا یا سیلا؟
@user-ym1cr6kr6o
@user-ym1cr6kr6o Жыл бұрын
금 세공능력은 가야 신라가 뛰어났음. 가야 신라의 금동관이 아프가니스탄 에서도 발견됨.
@nature5120
@nature5120 3 жыл бұрын
왜의 도움을 받아 왕권을 갈아치운 쿠테타도 영상으로 만들어 주세요
@user-hq7gu1fv9w
@user-hq7gu1fv9w Ай бұрын
동경박물관에 있는 창녕에서 발굴된 가야 금동관과 비교해보세요(송시내의 "일본의 전방후원분에는 부여 가야의 유물이 가득하다" 유트버에서).
@user-ku8jy3pt5t
@user-ku8jy3pt5t Жыл бұрын
금동관은 마한연맹체의 단결을 의미한다
@Fingolfin.
@Fingolfin. 3 жыл бұрын
왕자들꺼 아니였을까
@bsy6110
@bsy6110 3 жыл бұрын
순금 인강 ?
@user-tm7bq8nq5c
@user-tm7bq8nq5c 3 жыл бұрын
'금동'관. 동에다가 순금을 씌운거임.
@dolgum826
@dolgum826 3 жыл бұрын
한반도란 명칭좀 안 쓰면 안되나?
@johnk2149
@johnk2149 3 жыл бұрын
왜반도
@kcjk7542
@kcjk7542 2 жыл бұрын
궁굼하면 죽어보면 다 안답니다 ㅎㅎㅎㅎ
@seokinsong3892
@seokinsong3892 3 жыл бұрын
22담로... 15개 남았네. (한 곳에서 두 개가 나오기도 했으니 그 이상일 수도 있고...) 근데, 이미 도굴돼 어디로 사라졌겠지...
@user-mi8ln4pe3f
@user-mi8ln4pe3f Жыл бұрын
중국에서 백제땅으로 이주한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더 설득력이 있지 않은가 그 이주민들이 왕권을 침탈했다 백제 왕들은 중간에 많이 끊어지는 데,,,,
@PrettyT-rex
@PrettyT-rex 11 ай бұрын
그럼 고고학적 근거가 필요한데 그런게 없음
@user-hx9kt1yi1i
@user-hx9kt1yi1i 3 жыл бұрын
웬지 ... 저 금동관은 100개가 만들어 젔고 백제세력권의 지방수령에게 뿌려졌을꺼 같은데...
@user-dx6xq7tq8g
@user-dx6xq7tq8g 11 ай бұрын
같은데?는뭐에여 ㅋㅋㅋ
@user-oz8yd2xx5i
@user-oz8yd2xx5i 3 ай бұрын
다무로들!!!
@user-dq6py9nm7m
@user-dq6py9nm7m 2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 다 찾고 싶네요..😂
@user-be7ky5mj2c
@user-be7ky5mj2c 3 жыл бұрын
일본식투구???
@wh3022
@wh3022 3 жыл бұрын
근본적으로 3국시대는 중국동북, 한반도 ,그리고 서일본은 하나의 역사계통, 일본이 독자적으로 발전해나간것은 백제가 망한 7세기 후반부터, 그이전의 일본은 백제의 땅이였음,
@user-ur5lb2uw3j
@user-ur5lb2uw3j 2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동감합니다
@uncleMongs
@uncleMongs Жыл бұрын
한성백제 시대엔 마한땅 아님???
@user-bk3ez3ft3l
@user-bk3ez3ft3l 2 жыл бұрын
3524
@younghwanson5226
@younghwanson5226 Жыл бұрын
아름다운 천마총 천마도 그림을 기린 으로 보는 사람 있으니 그런 사람 마음 따를까봐 두렵도다
@love-vd6lf
@love-vd6lf Жыл бұрын
지금은 마한 잔존세력인 영산강 세력의 금동관이 정설입니다 백제 금동관 아님 20여년전 이야기 시대가 변했습니다
@hl3937
@hl3937 3 жыл бұрын
백제에서 일본으로 기술이 간거겠죠...그당시 일본은 금동관을 만들수있는 기술은 없었음...
@user-rf5ow1zq4c
@user-rf5ow1zq4c 3 жыл бұрын
@@user-qy6nw1cy7m 응 아냐 멍청아 m.blog.daum.net/2333ddd/8119099 일본인교수가 한말 잘봐라 그당시 일본은 환두대도를 만들 기술이 없었다고 나온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전부다 백제에게 수입해온것
@user-rf5ow1zq4c
@user-rf5ow1zq4c 3 жыл бұрын
@@user-qy6nw1cy7m 응 기술없었어 바보야 다이센고분? 무덤하나로 ㅈㄹ거리는데 철제기술력에서 고구려.백제.신라보다 뒤쳐진 나라가 일본이야 ㅋㅋㅋㅋㅋㅋ고작 무덤하나로 기술운운하지마라 매금아 ㅋㅋㅋㅋㅋㅋㅋㅋㅋ일본측뉴스 들먹이네 일본인교수얘기나 보고 말해 임마 ㅎㅎㅎㅎㅎ그렇니까 니가 무식하다는것야 알어 이한심아
@user-rf5ow1zq4c
@user-rf5ow1zq4c 3 жыл бұрын
@@user-qy6nw1cy7m 고유의유물 없다고 뇌피셜싸지르는 매금이 응 많어 자기혼자서 상상나래 펼치는 매금이 ㅋㅋㅋㅋㅋㅋㅋㅋ
@user-rf5ow1zq4c
@user-rf5ow1zq4c 3 жыл бұрын
@@user-qy6nw1cy7m www.baekje-heritage.or.kr/html/kr/bjheritage/bjheritage_010202.html 응 중국남조와 교류지 유물 좀 나왔다고 중국사?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미국땅에 한국유물나오면 미국도 한국사냐 무뇌충 매금아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rf5ow1zq4c
@user-rf5ow1zq4c 3 жыл бұрын
@@user-qy6nw1cy7m 교수랑 얘기해라 그럼 니가 말하는게 얼마나 거짓인지 알게될것다 매금아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hoseogyu7174
@hoseogyu7174 2 жыл бұрын
)
@bleee1
@bleee1 Жыл бұрын
금관은 여성(신라)이 쓰고 은관은 남자가 동관은 금성을 상징. 금성은 태양과 달의 자식으로 천자를 상징함. 동관을 쓴다는것은 내가 천자라는 뜻임
@user-qh3hv3fv9w
@user-qh3hv3fv9w 3 жыл бұрын
수은과 금가루를 이용해서... 거기다 증발까지 시키다닝... 현대기준으로도 존나 위험한 기술이넴...
@user-qh3hv3fv9w
@user-qh3hv3fv9w 3 жыл бұрын
@@user-qy6nw1cy7m ------------------먹금-------------------
@jamesdean3432
@jamesdean3432 3 жыл бұрын
@@user-qy6nw1cy7m 신박한 🐕‍🦺소리를 참 정성스럽게 써놓으셨네. 이게 조작이 아니라는 증거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jamesdean3432
@jamesdean3432 3 жыл бұрын
@@user-qy6nw1cy7m 하여튼 만화를 너무 많이 보면 이런 폐해가 발생한다고... 어쩌다 이렇게 되었소... 쯧쯧쯧
@jamesdean3432
@jamesdean3432 3 жыл бұрын
@@user-qy6nw1cy7m 네 다음 만화성애자
@user-rf5ow1zq4c
@user-rf5ow1zq4c 3 жыл бұрын
@@user-qy6nw1cy7m 뇌피셜=매금이 또 자기소개하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younghwanson5226
@younghwanson5226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 국조 을 비판하는 말을조심 하고 단군 자손 나라 를 인정 해야 한다 옛 중국 에 여러 나라 들이 찬법 하였다 그 후에 들이 대한민국 에 많다 신라역사 천마총 천마도 잘 봤음이다
@user-px4si1vy5m
@user-px4si1vy5m 3 жыл бұрын
일본과 중국에 백제땅이 있었다. 지역 왕자들이 보유 했다. 종발이 갯수는 지위를 말 하며 왕의 종발이 위에는 금새를 안장 했다. 종발이는 새의 둥지를 표현 했다.
@user-cr8vm1hm3g
@user-cr8vm1hm3g 10 ай бұрын
삼국사기 한성백제와 공주 수촌리 진왕백제는 전혀 다른 나라입니다 한성백제의 통치범위는 경기도까지만이고 그 이남은 공주 수촌리 진왕이 다스림니다
@uhmmaa3
@uhmmaa3 3 жыл бұрын
반도라는 말은 일제가 조선반도라 명명하며 좁은지역에 우리의 정신을 가두기위한 수법이었다.
@uhmmaa3
@uhmmaa3 3 жыл бұрын
@@user-qy6nw1cy7m 우리가 원래 반도 국가니? ㅋㅋ 그러니 중국이 맘편히 요하문명을 덮어버리는거다.에라이
@uhmmaa3
@uhmmaa3 3 жыл бұрын
@@user-qy6nw1cy7m 일빠 안녕~~ 그렇게 좋아? ㅍ
@user-rf5ow1zq4c
@user-rf5ow1zq4c 3 жыл бұрын
@@user-qy6nw1cy7m 여기서도 또 🐕소리하네 매금이 이새기 일본무명하급장수들? 하지만 그이순신 한명한테 개털리고 이름모를 조선백성들한테 얻어터진게 일본장수들이지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 맞다 권율장군한테 몇번이나 박살난게 일본군이지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ㅋㅋㅋㅋㅋㅋㅋㅋㅋ 19세기에 일본놈들과 제데로 싸우지못했다? 웃기고있네 전국곳곳 의병들이 일어나 일본놈들과 곳곳에서 싸워다 그수가 80,000이상 ㅋㅋㅋ
@user-rf5ow1zq4c
@user-rf5ow1zq4c 3 жыл бұрын
@@user-qy6nw1cy7m m.yes24.com/goods/detail/13280430 이걸 잘 봐두도록 매금아 매우 충격적일것다 교과서가 말하지않는 임진왜란이야기 일본군사망자 임진왜란 때 조선을 침략하려고 준비한 일본군은 28만 6,840명이었고, 22만 4,774명의 참전 기록이 확실하다. 1593년 6월 20일 제2차 진주성전투 때 조선에 주둔하던 일본군은 12만 1,578명이다. 임진왜란 1년 2개월 동안 일본군은 최소한 출전자의 45.9%인 10만 3,196명, 최대한 출전자의 57.6%인 16만 5,262명이 사라졌다. 그리고 제2차 진주성전투를 치르고 임진왜란이 끝난 후 살아서 일본으로 돌아간 일본군은 10만이 채 되지 않는다. 이것은 무엇을 말하는가? 더구나나 이건 1924년에 일본군 합동참모본부가 만든 일본전사 조선역에서 나온 자료를 인용
@user-rf5ow1zq4c
@user-rf5ow1zq4c 3 жыл бұрын
@@user-qy6nw1cy7m 조선이 한게 없다? 역시 역사무뇌충다운 발상 ㅋㅋㅋㅋㅋㅋㅋ 명나라가 한게 뭐가 있는지 다 설명하도록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bv2og9st8t
@user-bv2og9st8t 4 ай бұрын
백제는 담로제도를 운영하였고 담로의 장은 왕족을 파견하여 다스렸으므로 금동관을 하사했을 것이다 22담로 일본어 잔재 (진을 칠 둔: 屯)을 다무로 라고 읽는다
@blackswan3969
@blackswan3969 Жыл бұрын
22담로에 제후를 봉할때 금동관도 함께 하사품으로 내린듯
@PrettyT-rex
@PrettyT-rex 11 ай бұрын
22담로에 제후? 제후?ㅋㅋㅋㅋㅋㅋ
@user-ku8jy3pt5t
@user-ku8jy3pt5t Жыл бұрын
금동관 발견지역은 마한 고대국가로 볼수있다 가야의 대외관계는 인정하면서도 54개나 되는 마한 연맹체는 무시하고 연구조차 하지않는가?
@dhc3583
@dhc3583 3 жыл бұрын
일본풍 X 가야식 O
@mikastar1433
@mikastar1433 3 жыл бұрын
@@user-qy6nw1cy7m 일베네 ㅋㅋㅋ
@user-rf5ow1zq4c
@user-rf5ow1zq4c 3 жыл бұрын
@@user-qy6nw1cy7m 넌 일베냐 매금아 일베면 일베에서 놀아라 ㅋㅋㅋㅋㅋ
@user-mp4fd2to4l
@user-mp4fd2to4l 3 жыл бұрын
당시 백제제국은 왕자라던가 왕족을 보내 요서와 중국 서남부 대만 홍콩 필리핀등 동남까지 다스린 대 제국인거도 역사학자인주제에 아직도모르다니 와 진짜ᆢ
@pogwon65
@pogwon65 Жыл бұрын
일본식 금동관이란 표현이 매우 거슬리는...... 식민사관 작가인지 ?
@younghwanson5226
@younghwanson5226 Жыл бұрын
한국 사람 들은 옛 부터 말이 조상 이라 전설은 그래서 말고기 안 먹는다고 하였다 그리고 고 개마대산 에 아사달 에 마실 이 궁실 뜻 도 되고 한국 땅은 말 마자 마을 이름이 많다 한국 말은 단군 나라 말 이다 몽고 말과 같을수 없다 생각 한다
@user-tg4ww6ke8t
@user-tg4ww6ke8t Жыл бұрын
용은 신하가 쓸게 아닌데? 자작나무에 용이면 제사장 즉 여자가 쓴거다
@user-js7fm8rx3r
@user-js7fm8rx3r 3 жыл бұрын
태수것이겠지
@user-it6jh8vv2e
@user-it6jh8vv2e 3 жыл бұрын
중국 남조는 왜 마한인가
@claudi634220
@claudi634220 3 жыл бұрын
대마도는 당시에 일본이 아니었을텐데? 당연한듯 일본이라고 하네??
@jamesdean3432
@jamesdean3432 3 жыл бұрын
@@user-qy6nw1cy7m 판타지 소설은 당신이 쓰고 있네. 역사 공부한거 맞아? 1세기에 왜라는 나라 자체가 없었고 원시인들만 득실거리던 때인데 뭐? 왜국전? 왜국이 1세기에 존재했다고??? 🤣 4세기가 되어서야 백제 근초고왕이 일본을 백제의 후국으로 다스리며 근대국가로 성장시켰고 5세기가 되어서야 겨우 삼국지 후한서가 집필되는데 뭔 말도 안되는🐕‍🦺억지를 부리고 있어.
@user-qh3hv3fv9w
@user-qh3hv3fv9w 3 жыл бұрын
@@user-qy6nw1cy7m ------------------먹금-------------------
@user-rf5ow1zq4c
@user-rf5ow1zq4c 3 жыл бұрын
@@user-qy6nw1cy7m 아프는데 왜 글쓰냐 엉 안쓰면되지 이무뇌충아 ㅋㅋㅋ 그만큼 ㅂㄷㅂㄷㅂㄷㅂㄷ했다는 반증이겠지 ㅋㅋㅋㅋㅋㅋㅋㅋ홧병 걸리겠다 매금아 ㅋㅋㅋㅋㅋㅋ 머리 좀 식혀라 ㅎㅎㅎㅎㅎ 얼마나 사람들한테 관심받고 싶으면 그럴까 방구석에서 컴퓨터 두들기거나 먹고 놀고 이게 매금이 행동패턴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솔직히 말해봐 넌 백수지 히키코모리고 🤣🤣🤣🤣 밖에 안나가고 집에서 빈둥빈둥 놀고만 있지
@user-cc8ss4ds6d
@user-cc8ss4ds6d 3 жыл бұрын
@@user-rf5ow1zq4c 매금이임?
@user-cc8ss4ds6d
@user-cc8ss4ds6d 3 жыл бұрын
@@user-qy6nw1cy7m 매금이 맞음?
@VitorJKhan
@VitorJKhan 3 жыл бұрын
당시 백잔과 왜 가 연합했다라고 광개토왕비에 나오죠. 그들 이 사는 곳 전라남도 왜지역이죠. 즉 연합체로 서로 문화공유한 거죠. 왜에 념겨준 위세품이죠.
@user-qh3hv3fv9w
@user-qh3hv3fv9w 3 жыл бұрын
@@user-qy6nw1cy7m ------------------먹금-------------------
@user-ul7np2vv4j
@user-ul7np2vv4j 3 жыл бұрын
저걸 신고다니고 썼을까?
@yesno9065
@yesno9065 3 жыл бұрын
아마도 예장용이었겠죠
@user-wb3lw6gn4m
@user-wb3lw6gn4m 3 жыл бұрын
백제는 우리가 교과서에서 배웠던 그 이상의 나라인 것 같다.
@user-qh3hv3fv9w
@user-qh3hv3fv9w 3 жыл бұрын
@@user-qy6nw1cy7m ------------------먹금-------------------
@user-vw5kd4or6o
@user-vw5kd4or6o 3 жыл бұрын
@@user-qy6nw1cy7m 혹시 매금이니?
@user-rf5ow1zq4c
@user-rf5ow1zq4c 3 жыл бұрын
@@user-vw5kd4or6o 매금이예요 이자식 또 왔네요 자세히 살펴보니까 또 아이디 바꾸고 역사저널 그날에 왔어 또 ㅈㄹ하네요 또 신고 계정차단 당했어 정신차리게 만들어야겠네요 막 신고했어 계정차단시켜야할듯이요
@scap4437
@scap4437 3 жыл бұрын
@@user-vw5kd4or6o 저 인간 "대 신라후예 진흥 매금대왕"
@user-vw5kd4or6o
@user-vw5kd4or6o 3 жыл бұрын
@@user-qy6nw1cy7m 매금이냐고 물어봤는데 조선이야기는 왜해.... 이번아이디는 참신하네 저번아이디는 삭제당함?
@jac256
@jac256 2 жыл бұрын
소호금천씨 후손 백제는 중국에서 국가를 세웠던 나라
@kakalim8410
@kakalim8410 Жыл бұрын
한성백제왕은 금관을 쓰지 않으면서 지방 호족들에게 한성백제 왕보다 더 좋은 금관을 하사했다는 것이 영 설득력이 없어 보여요
@user-le6mj3se3t
@user-le6mj3se3t 4 ай бұрын
동양의 역사는 오수전의 발행과 관리를 누가 했는지가 핵심인듯 합니다. 동남아는 물론이고 일본 만주 대만등 대부분의 지역에서 고루 발견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는 650년 정도 사용되었다는 것 외에는 알려진 것이 없다고 합니다.
@Jeong-eun
@Jeong-eun 3 жыл бұрын
신라 가야는 도래인이라고 하고 백제 마한은 토종이면 중국이 백제와 가깝지 신라 가야와 가까운가 뭔가 말이 안되 앞뒤가 안맞아
@user-gu5hr5yw3f
@user-gu5hr5yw3f 3 жыл бұрын
그런거 다 중동지역 기술자들이 만든거 아녀요?
@Jeong-eun
@Jeong-eun 3 жыл бұрын
마한은 전라도까지 아니고 백제가 전라도 까지 지배한 시기는 그리 길지 않은데
@bleee1
@bleee1 3 жыл бұрын
태양과 달이 개기일식을 하면 태양주위로 금성이 돌고 달은 떠나는데, 이 둘이 섹스를 하고 달은 떠나고 태양이 금성을 기른다고 고대인들이 생각해서 금관은 여자가 쓰고 은관은 남자가 씁니다. 동관은 금성을 상징하는데, 금성은 태양과 달의 아들 상징합니다. 그래서 금동관을 쓰는것은 내가 하늘의 아들로 천자이다. 라는 의미입니다. 이건 북방유목민족의 전통이고 사상임.
@gehaoda5851
@gehaoda5851 3 жыл бұрын
실라는 금관 백제와 금동관이야 그러니 그 당시에는 실라가 잘 나가나
@bleee1
@bleee1 3 жыл бұрын
태양과 달이 개기일식을 하면 태양주위로 금성이 돌고 달은 떠나는데, 이 둘이 섹스를 하고 달은 떠나고 태양이 금성을 기른다고 고대인들이 생각해서 금관은 여자가 쓰고 은관은 남자가 씁니다. 동관은 금성을 상징하는데, 금성은 태양과 달의 아들 상징합니다. 그래서 금동관을 쓰는것은 내가 하늘의 아들로 천자이다. 라는 의미입니다. 이건 북방유목민족의 전통이고 사상임.
@user-ms9tb9cq2g
@user-ms9tb9cq2g 3 ай бұрын
온조대왕 27년 서기 9년 여름 4월에 마한이 멸망했는데 무슨 마한 호족들에게 금동관을 줍니까. 식민사학 정신 차리세요. 두 성[원산성(圓山城)과 금현성(錦峴城)]이 항복하였다. 그 백성들을 한산(漢山) 북쪽으로 옮기니, 마한이 드디어 멸망하였다. 삼국사기 백제본기 제1
@user-yy6ix6sm1y
@user-yy6ix6sm1y 3 жыл бұрын
환빠하고 유사사학자끼리 존나 싸우네 팝콘 갖고와서 봐라 개꿀잼이네 ㅋㅋㅋ
@user-yy6ix6sm1y
@user-yy6ix6sm1y 3 жыл бұрын
@King's way 환빠는 아니시군요 죄송합니다
@user-yy6ix6sm1y
@user-yy6ix6sm1y 3 жыл бұрын
@King's way 여기서 댓글로 싸우는게 한심해서 쓴 댓글입니다 여기서 댓글 달아서 뭐 합니까 ㅋㅋㅋ 어차피 우리가 배우는 역사는 사학자들이 논리와 자료를 바탕으로 쓴 논문에 효력이 있지 개인에 생각에서 역사를 생각하는게 한심해 보여서 하는 소리입니다
@user-yy6ix6sm1y
@user-yy6ix6sm1y 3 жыл бұрын
@King's way 그냥 무시하세요 그러면 알아서 조용해 지겠죠
@user-yy6ix6sm1y
@user-yy6ix6sm1y 3 жыл бұрын
@@user-qy6nw1cy7m 그럼 너가 사학자냐? ㅋㅋㅋㅋㅋ 매금아 너가 사학자야 ㅋㅋㅋ
@user-yy6ix6sm1y
@user-yy6ix6sm1y 3 жыл бұрын
@@user-qy6nw1cy7m 내가 무슨 고고학자아니면 학예사 교수냐 너가 교수 데려오든가 꼬우면 ㅋㅋㅋ
@user-mp4fd2to4l
@user-mp4fd2to4l 3 жыл бұрын
문화교류가 아니고 그 지역들이 다 같은나라로써 바다를 서로접해 물자교류를 원활히 하려는 현명한 전략인것이다 지방세력은 백제의 왕자들과 왕족들이었다 바보들
@Jeong-eun
@Jeong-eun 3 жыл бұрын
써봐라 나는 저게 머리가 안 들어갈거 같은데
@user-bi1kn5oo2w
@user-bi1kn5oo2w 3 жыл бұрын
일본초밥들 또 자기 우리한테 준가라 와사비들아
@user-ho7ni9wi6t
@user-ho7ni9wi6t 3 жыл бұрын
한국어 어렵죠?
@jjubbuModPack
@jjubbuModPack Жыл бұрын
아 뿌개져서 돈도 안되는거.........
@user-ip9yu7lp1q
@user-ip9yu7lp1q 3 жыл бұрын
개같은 세상.. 피 토하는 음악..ㅎㅁ
@sweetfan3250
@sweetfan3250 3 жыл бұрын
ㅋ ㅋㅋ
@seogsigi
@seogsigi 3 жыл бұрын
해동강국 백제여 부활하라
@user-qh3hv3fv9w
@user-qh3hv3fv9w 3 жыл бұрын
@@user-qy6nw1cy7m ------------------먹금-------------------
@user-ob3ep7vd3g
@user-ob3ep7vd3g 3 жыл бұрын
석식이님을 의자왕으로 임명하겠습니다
@wa8514
@wa8514 2 жыл бұрын
일본고분이 있을리 가있나?다 우리나라 에서 훔쳐간 것 으로 고분 에서 나왔 다고 역사.조작 한거이죠
@user-et4ir4rm9p
@user-et4ir4rm9p 3 жыл бұрын
백제면 백제지 한성백제는 왜 이름을 짖나~~
@user-wm1rf4pt3u
@user-wm1rf4pt3u 3 жыл бұрын
삼국시대는 천도 시기로 시대를 분류하니까
@user-wv3ph8ic4q
@user-wv3ph8ic4q 3 жыл бұрын
이런 영상들을 보면 가야사를 알고 싶어. 고대 한반도 남부쪽의 세력이 궁금해. 비류백제? 마한? 가야? 터무니없는 임나일본부는 집어치우고!
@user-wv3ph8ic4q
@user-wv3ph8ic4q 3 жыл бұрын
@@user-qy6nw1cy7m 그대는 왜 여기저기에 같은 댓글을 반복하나? 어떤 사명감을 갖고 그러는가?
@user-wv3ph8ic4q
@user-wv3ph8ic4q 3 жыл бұрын
@@user-qy6nw1cy7m 우리나라? 우리나라라고 하지 말고 한국인가? 일본인가? 중국인가? / 그대의 댓글을 보면 한민족은 중국사이고, 일본사인데. 그럼 한국사는 어디인가?
@user-wv3ph8ic4q
@user-wv3ph8ic4q 3 жыл бұрын
@@user-qy6nw1cy7m 그대의 역사인식으론 한국사가 없다는 말인가?
@user-wv3ph8ic4q
@user-wv3ph8ic4q 3 жыл бұрын
@@user-qy6nw1cy7m 임나일본부라는 게 일본이 고대에 경상도와 전라도를 2~3백년 지배했다는 건가?
@user-wv3ph8ic4q
@user-wv3ph8ic4q 3 жыл бұрын
@@user-qy6nw1cy7m 전라도 왜 세력이 나중 일본으로 건너가서 지배층이 된건가? 아니, 경상도 왜도 있지 않겠나! 진지하게 물어보네.
@user-mp4fd2to4l
@user-mp4fd2to4l 3 жыл бұрын
백제는 22담로가잇엇고현 중국 서남부가 다 백제엿다 그런데무슨 중국영향을받아? 거기가 백제엿는데?
@user-wj1nr5gp4m
@user-wj1nr5gp4m 3 жыл бұрын
중국의 영향을 받은나라는 유일하게 중국과 말이 통하는 신라였을것...
@Jeong-eun
@Jeong-eun 3 жыл бұрын
도굴하다 걸려서 도망갔나
@user-bj9lw6fy9c
@user-bj9lw6fy9c Ай бұрын
금동관 출토지역 : 백제 영토 + 규슈 에다후나야마 고분 고대사를 말하면서 현대의 국경선을 투영하는 것은 학문이 아니라 정치라고 봐야지. 나주 금동관은 백제 지배의 상징이고, 에다후나야마 금동관은 교역의 상징이라고 ? 억지부리지 말자. 그냥 전부 백제와 교역한 독립세력이라 하던가, 아니면 모두 백제 지배지역이라고 하던가 , 그게 논리적이지 않음?
A pack of chips with a surprise 🤣😍❤️ #demariki
00:14
Demariki
Рет қаралды 33 МЛН
Китайка и Пчелка 10 серия😂😆
00:19
KITAYKA
Рет қаралды 2 МЛН
KBS 역사스페셜 - 수수께끼의 나라 신라 1편 천마도 미스터리
57:37
KBS 역사스페셜 - 백제의 마지막 공주, 부여태비
55:34
KBS역사저널 그날
Рет қаралды 805 М.
KBS 역사추적 - 의자왕 항복의 충격 보고서! 예식진 묘지명
48:53
KBS역사저널 그날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