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 성공을 꿈꿀 수 없는 시대, 평범함이 목표가 된 청년들ㅣ왜 9급 공무원인가?ㅣ다큐프라임 - 2017 시대탐구 청년│

  Рет қаралды 1,531,261

EBS Documentary

EBS Documentary

3 жыл бұрын

※ 이 영상은 2017년 3월 6일에 방송된 《다큐프라임 - 다큐프라임 - 2017 시대탐구 청년 3부 평범하고 싶다》의 일부입니다.
저성장, 불안과 예측할 수 없는 미래, 지금 청년들이 시작해야 하는 시대를 일컫는 말이다.
공무원 시험의 위상은 달라진 세상을 대변해 준다.
'안정적이니까...' 다들 공무원을 하고 싶어하는 거라 쉽게 생각했다. ​하지만 그것이 전부가 아니었다.
'패기가 없다', '편한 것만 하려고 한다' 라고 여겼다. 그런데 새벽부터 밤까지 공부에 매달리는 청년들을 보니 절박함이 먼저 느껴진다.
꼭 공무원이 되겠다는게 아니다. 그 정도의 일자리가 있다면 다들 그 일을 할 것이다.
큰 성공을 꿈꿀 수 없는 시대.
노력한 만큼 이룰 수 있는 삶, 미래를 계획할 수 있는 삶, 공정하고 공평한 대우.
저성장 시대에 평범함이 청년들의 목표가 되었다.
✔ 프로그램명: 다큐프라임 - 2017 시대탐구 청년 3부 평범하고 싶다
✔ 방송 일자: 2017.03.06

Пікірлер: 4 800
@TV_AIbb
@TV_AIbb 3 жыл бұрын
예전에 중학교 음악선생님이 열변을 토하며 니네들 평범하게 사는게 얼마나 어려운줄 아느냐고 했습니다. 어린 마음에 개소리 하나 싶었는데 살아보니 남들처럼 결혼하고 아이낳고 부모님 모시고 친구들 만나고 하는게 그냥 만들어지는게 아니란걸 깨달았습니다.
@user-pt9fz3dx4v
@user-pt9fz3dx4v 3 жыл бұрын
그 선생은 선생이 꿈이었을까 음악가가 꿈이었을까
@SS-hq1xz
@SS-hq1xz 3 жыл бұрын
@@jongkwonlee4564 정식임용이 되야만 저런 말을 할 수 있는 거임?
@user-nc5bg1ij5n
@user-nc5bg1ij5n 3 жыл бұрын
@@jongkwonlee4564 정식임용이든 아니든 평범하게 사는게 어렵다는건 알았겠죠..
@user-qj3wb9tp6e
@user-qj3wb9tp6e 3 жыл бұрын
평범하게 사는것도 힘들지만 특별하게 사는건 몇배로 더 힘듭니다. 인생 자체가 힘든건 당연한거고, 평범하게 힘든거보다 몇배 더 어려운 길을 가서 성공한 사람은 그에 따른 존경을 받는겁니다. 음악선생님은 그냥 본인이 적당히 타협하며 산걸 왜 학생들한테 울분을 토하는지 이해가 안가네요 ㅋㅋ
@user-ih8br6ro6o
@user-ih8br6ro6o 3 жыл бұрын
진짜.. 평범하게사는거 진짜 어려운겁니다 부모도 잘 만나야하고 건강해야하고 직장도 튼튼해야하고 괜찮은 사람과 결혼 할 수 있어야하고 아이도 잘 낳아야하고 결정적으로 운도 따라줘야하고,, 평범하게 살다가도 누구하나 아프면 와르르 무너지고 거기서 또 딛고 일어서야하고.. 사는게..
@HAEWING1234
@HAEWING1234 3 жыл бұрын
저 청년의 삶을 책임져줄 것도 아니면서 이래라 저래라 하지마세요.
@user-wx2mf2xr2m
@user-wx2mf2xr2m 3 жыл бұрын
너도 댓글로 이래라 저래라 하지마라 댓글러들 책임져줄거 아니면 빡대가리야
@HAEWING1234
@HAEWING1234 3 жыл бұрын
@@user-wx2mf2xr2m 저 청년의 삶이랑 너같은 무뇌충이 싸지르는 댓글이랑 무게 자체가 달라요 머리에 우동사리만 든 사람아^^
@user-wx2mf2xr2m
@user-wx2mf2xr2m 3 жыл бұрын
@@HAEWING1234 그게 니랑 뭔상관인데????
@sohwal89
@sohwal89 3 жыл бұрын
우리 모두 여기서 그만하는게 어떠셔요? 2021년을 사는 청년으로써 씁쓸한 영상이네요. ^^;;
@pnu7129
@pnu7129 3 жыл бұрын
@@user-wx2mf2xr2m 현석이 진짜 뒤지게 패야하는데
@user-ox3kr9cc6o
@user-ox3kr9cc6o 2 жыл бұрын
무려 4년전이다. 근데 지금의 현실도 다르지 않고 더 힘들다는게 현실이다. 대한민국은 청년들의 생각을 전혀 해주지 않고 있다. 청년들의 목소리를 직접 들으니까 더 와닿는다. 내가 청년이기도 하고 요즘 눈물이 매말랐나 싶었는데 청년들의 솔직한 목소리를 듣고나니 눈물이 핑돌았다. 내가 30대 청년이고 2030세대의 기분을 알거같기도 해서 그런가보다......
@kampange
@kampange 2 жыл бұрын
윤석열 뽑는 수준 보면 앞으로 더 고샹해 봐야 함. 여가부 폐지 공약처럼 청년들은 얕은 수에 선동하기 쉬워서 정치인들은 걍 비위만 맞춰주면 됨.
@user-mk7rt4bv9e
@user-mk7rt4bv9e 2 жыл бұрын
@@kampange 그 말 그대로 돌려받으시죠ㅋㅋㅋㅋ
@sunglee3935
@sunglee3935 2 жыл бұрын
@@user-mk7rt4bv9e 재벌들이 바정규직만 뽑고 하청은 착취하니까 90% 가 일하는 중소기업은 안가지 그런데도 재벌을 옹호하면서 지네가 재벌인줄 착각하는 20 30 일배들 삼성이 액정필름 부착하는 기계 만드는 회사 기술 뺏은거 못들어봤냐
@user-cj4wx3yd3x
@user-cj4wx3yd3x Жыл бұрын
@@kampange 이런 것들때문에 발전이 없지 그래 당신말이야ㅋㅋㅋ 누구때문이라고 편가르기만 쳐하기 바쁘고 지들은 잘못을 저질러도 우리편이니까ㅋㅋ 대선 후보가 전과4범인 개막장 후진국 국가 그럼에도 지지정당 확증편향에만 사로잡혀 맹목적으로 지지하지 대표적으로 LH사태는 뭐 윤석열때였냐 그럼에도 어영부영 넘어갔지 2030이 나라를 이끌어갈 주체들인데 아득바득 정치병 걸려서 그저 착취하고 뜯어먹고 지들 안위만 생각하지
@hlukhong
@hlukhong Жыл бұрын
공무원 다들 안한다는데요 이제는?
@rek8910
@rek8910 Жыл бұрын
근데 되고나서 느낀건데 가정 못이룰듯 봉급너무 적고 이번에 난방비가 월급 실수령 1/4나옴 그냥 나혼자 아쉬운소리 안하고 벌어먹고 살다가기엔 나쁘지않음
@ililililililililililili4066
@ililililililililililili4066 Жыл бұрын
배우자 공무원만나서 아이 1명만낳으면 ㄱㄴ
@justice8192
@justice8192 Жыл бұрын
아니 난방비가 40이상??? 거 실내온도 22도로 맞추세요
@jlog4216
@jlog4216 3 жыл бұрын
4년 전 다큐인데 왜 다르지가 않냐...왜 아직도 공감되고 있는지 ㅜㅜ
@user-wx5bb7cx4o
@user-wx5bb7cx4o 3 жыл бұрын
오히려 경쟁률이 더 쎄졌으니까요 ㅜㅜ
@venolf
@venolf 3 жыл бұрын
4년? 공무원 열풍분지 이제 어언 20년 되갑니다.
@user-nt5qu5og9j
@user-nt5qu5og9j 3 жыл бұрын
코로나때문에 저때보다 더 심해졌죠..
@user-hv4ym6mf7x
@user-hv4ym6mf7x 3 жыл бұрын
@@venolf 이십년이 넘었네요 아엠에프 이후에 직업의 안정성이 라는 측면에서 경쟁율이 더 높아졌지요 저도 아들이 공무원합니다
@user-kb9us7wv4f
@user-kb9us7wv4f 3 жыл бұрын
우리는 대재앙 암흑기에 살기 때문
@user-pb4vk6ln7t
@user-pb4vk6ln7t 3 жыл бұрын
물론 9급할거면 고려대 4년 그리고 그 비싼 등록금이 아까운게 맞긴 맞지... 그런데 저 청년들이 애초에 입학때부터 나는 9급 공무원 할거야! 하고 학교 학과를 선택했겠냐.. 결국 내몰린 결정이지
@bbeu3870
@bbeu3870 3 жыл бұрын
내몰린 결정이라는 표현 .. 적절하네요
@dandyl.938
@dandyl.938 3 жыл бұрын
저 고려대 나온 분이 합격하신 광주지방 교육행정직 올해 경쟁률은 104.5:1입니다.. 물론 모집인원 수 자체가 줄어든게 문제이지만 앞으로 다른 지역도 계속 줄어들 것을 생각하면 최소2~3년 내에 다른 지역 행정직군도 저정도 경쟁률로 올라갈 수 있습니다... 지금이야 임용사이클이라 많이 뽑을 수 있는 환경이라 임용이 많아서 다행인 것이지 이 사이클이 끝나면 남은 공시생들이 또 어디로 내몰리게 될지 모르겠네요.
@user-cn9vf9bn5z
@user-cn9vf9bn5z 3 жыл бұрын
@@invisiblejeong2426 그렇지 않아서 9급 됐다는데요..?
@sm-ud8bj
@sm-ud8bj 3 жыл бұрын
@@user-yz8lx4gj1y 신기하네요 ㅋㅋ 보통은 공기업 ncs 준비하다가 안돼서 9급으로 돌리는데
@jinos
@jinos 3 жыл бұрын
내몰린결정인데 고졸도 9급 되는세상에 ㅋㅋㅋ 고대갔다고 부모가 떠벌리고 다녔을텐데 ㅋㅋㅋ 9급........
@user-lb3ih8nz6e
@user-lb3ih8nz6e 2 жыл бұрын
고려대 출신이 9급 공무원 시험을 왜 할수밖에 없는지 원론적이고 구조적인걸 다뤄줘아 한다. 문제 대안 제시 맨날 똑같은 말만 반복한다.
@user-mz7ek5bv3q
@user-mz7ek5bv3q 2 жыл бұрын
Sky 나와서 9급하다보면 현타 오지게 올텐데...제일문제가 꼰대문화보다 월마다 달어오는 급여 보는순간 멘탈터질듯
@GT-nc5ik
@GT-nc5ik 2 жыл бұрын
수시가 늘어나서 그럼
@orionbear1449
@orionbear1449 2 жыл бұрын
그러게여 근데 그거 알고하는거니 감수하겠져
@kj-ru5cu
@kj-ru5cu 2 жыл бұрын
스카이나와서 일하는데 전문대나와서 나보다 일찍 들어왔다는 이유로 직급높아서 꼰대짓하는거보면 열받을텐데..다른곳에서 상종도안했을 것들을 상대해야하고..휴~~
@user-xw1bq8so1f
@user-xw1bq8so1f 2 жыл бұрын
@ᄋᄋ ?? 그동한 한 노력이 있는데 지탓ㅇㅈㄹ
@Sunby_
@Sunby_ 2 жыл бұрын
@@kj-ru5cu 그런마인드로살면 자기는 상종안한다고 생각하지만 사실 왕따당하는삶입니다
@joblack5000
@joblack5000 3 жыл бұрын
마지막 한마디에 모든게 다 들어있네요 "이 사회가 계약을 좀 지켰으면 좋겠어요 " .... 노동법을 안지키고, 근로계약 안지키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무런 불이익이 없고, 중소기업, 하청업체 가면 목숨을 담보로 하고, 월급이 깎이고, 근무여건은 더 안좋아지고 ... 그러면서 공무원 한다고 뭐라뭐라하는 사람들 보면 .. 참 .. 진정한 세대 격차를 느낌 .
@user-gj5xz9on3d
@user-gj5xz9on3d 3 жыл бұрын
지킬수 없는 계약을 만들어 내는 사회일수도 있어요.
@joblack5000
@joblack5000 3 жыл бұрын
@@user-gj5xz9on3d 지킬 수 없는 계약을 왜 만들어요? -_-)? 했으면 지켜야하고, 지킬수 없는 계약은 할 필요가 없죠. 지킬 수 없는 계약같은건 왜만드는가요? 먹을 수 없는 음식 같은건데..
@predictionary
@predictionary 3 жыл бұрын
먹지 않으면 굶어 죽을거 같은데 먹을 수 있는지 없는지 모를 음식이 눈 앞에 있으면 살기 위해 먹을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죠
@joblack5000
@joblack5000 3 жыл бұрын
​ @\ 저는 그런 말장난 하는 상황 자체가 국민 기만이라고 생각해요. 어쩌다 계약을 못 지키는건 그럴 수 있죠. 상황이 어쩔 수 없으니까요. 그런데 한국에선 계약을 안지켜도 아무런 불이익이 없죠. 심지어 안 지키는게 이익이기까지 하죠. 그럼 그런 불이익에 대해서 나서서 싸워야 하는데. 다들 문제에 정면으로 맞서기 보다는 숨기 바쁘죠. 그러다보니 법은 더욱 더 현실과 멀어지고 있구요. 계약이 지켜지지 않는 사회가 만들어지고 있는게 결국 이 사회를 무너뜨리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걸 살기 위해서라는 이유를 들이대면서 다들 너무 당연히 생각하고 있는것 같아요.
@david-ji8tw
@david-ji8tw 3 жыл бұрын
중대재해 처벌법 비난하는 애들 조져야함
@user-hl5in6xj1c
@user-hl5in6xj1c 3 жыл бұрын
청년의 꿈이 포부가 아니라...생존이 되었다...
@user-xc9gm9lz4g
@user-xc9gm9lz4g 3 жыл бұрын
원래 그랬어요. 이런글이 존나 위험합니다 각자 달란트가 있어요 힘내야합니다
@user-xc9gm9lz4g
@user-xc9gm9lz4g 3 жыл бұрын
50대 청년이
@user-sf9db8vb8w
@user-sf9db8vb8w 3 жыл бұрын
@@user-xc9gm9lz4g 비율이 다르죠
@user-pv2dq4ho8g
@user-pv2dq4ho8g 3 жыл бұрын
? 난 우리나라 경제 먹을건데 언젠가는
@user-hl5in6xj1c
@user-hl5in6xj1c 3 жыл бұрын
@@user-pv2dq4ho8g 파이띵!
@ttyyii1816
@ttyyii1816 2 жыл бұрын
하...저렇게 똑똑한 사람들이ㅠㅠ
@bbbbh1256
@bbbbh1256 Жыл бұрын
현재 지방 일행 9급에 연고대 애들이 가끔씩 보임...다들 속으로 여기 왜 왔지 궁금해하지만 사정이 있겠거니함..
@droguistesiu8268
@droguistesiu8268 3 жыл бұрын
수능을 위해 12년 낭비 대학 다니며 4년간 방황 그리고 9급 공무원 준비 참 멋진 나라임
@user-es1xu1xf1m
@user-es1xu1xf1m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 자기가 선택한 거지 결국 그것도
@user-es1xu1xf1m
@user-es1xu1xf1m 3 жыл бұрын
@@user-qe8lp1my6d 네 다음 사회탓 남탓 ㅋㅋㅋ
@user-es1xu1xf1m
@user-es1xu1xf1m 3 жыл бұрын
@@osao8445 ㅋㅋㅋㅋ 이년 화났네
@user-es1xu1xf1m
@user-es1xu1xf1m 3 жыл бұрын
@@user-ij7xg9fw1h 응애
@user-wd9qk6vh8q
@user-wd9qk6vh8q 3 жыл бұрын
@@user-es1xu1xf1m 꾸미기게이야 ㅋㅋㅋㅋ
@ch-uf9ey
@ch-uf9ey 3 жыл бұрын
2017년 입니다 여러분,,, 2021년 코로나 시대... 지금은 더 시궁창 현실입니다 정말
@oooo-ie4vc
@oooo-ie4vc 3 жыл бұрын
한마디로 정의해줄게 ㅡ 헬파티조선🤣🤣🤣🤣
@user-bp7dm4mw9m
@user-bp7dm4mw9m 3 жыл бұрын
집값ㅜㅜ
@user-cm5ih3gf6o
@user-cm5ih3gf6o 3 жыл бұрын
@@vatin8180 베리나를 뛰어넘고 비호감 1 위 ㅋㅋㅋ
@hsaito7910
@hsaito7910 3 жыл бұрын
걍 다 나가 자살하면됨 금수저아닌이상 ㅋㅋ
@undonghaneunjigjang-in9463
@undonghaneunjigjang-in9463 3 жыл бұрын
ㅠㅠ
@user-fr1vl9gi7h
@user-fr1vl9gi7h 2 жыл бұрын
보는 내내 가슴이 먹먹하네요. 청년들 한마디 한마디가 가슴에 절절히 다가옵니다. 큰거 바라지 않고 먹고 싶은 거 먹고 옷 사고 싶은 거 사고, 영화 보고 싶은거 보고 그렇게 평범하고 기본적인 안정을 보장하는 삶이 평범한 것이 아닌것처럼 되버린 사회. 초중고 12년 그렇게 공부해서 대학가야만 한다는 틀을 만들어놓았으면 적어도 취업은 해서 기본생활은 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사회가 되어야하는데 암묵적인 계약을 지키지 않은 거네요.
@user-wt9iv5cc3h
@user-wt9iv5cc3h 2 жыл бұрын
군대가기전 고모부님이 하신말씀이 있다 . " 너희 엄마 아빠처럼 사는게 평범해보여도 그게 잘사는거고 그렇게 사는게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이제 한해 두해 넘어가면서 느낄거라고 " 나도 9급 합격자지만 세상에 쉬운일은 없고 모두의 가치관 또한 다르며 우리의 꿈은 높지만 현실의 벽은 더욱 더 높다 .
@changche9871
@changche9871 Жыл бұрын
할거없어서 공무원 공부 대충하면 붙여주던시절하고같나.. 그땐 공무원 공부못하는놈들이나할거없어서 하는거엿는데
@user-eg5ux6pk5i
@user-eg5ux6pk5i Жыл бұрын
@@changche9871 언제적 시절 얘기를 하는건지.. 80년대후반에도 공무원 경쟁률이 쟁쟁했음
@henry9900
@henry9900 Жыл бұрын
@@user-eg5ux6pk5i 영상에 나왔듯 부모님에게 우리땐 고졸들이나 지원했다고 똑같이 들었는데.. 부모님 취준할때 쯤이면 대충 80년대 후반~90년초 얘기겠네요
@user-mj1he4hr5f
@user-mj1he4hr5f Жыл бұрын
@@user-eg5ux6pk5i 뭔 소리지? 공무원 경쟁률은 IMF이후 90년대 중후반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거임
@user-ne9ul8dl9d
@user-ne9ul8dl9d Жыл бұрын
80년대후반이도 경쟁률이 쟁쟁했다니... 날조 그만하세요 그시절에는 대학만 나와도 기업골라갔고 공뭔은 쳐다도 안봤습니다
@KoreaLiveTrends
@KoreaLiveTrends 3 жыл бұрын
시대가 바뀌었고 이전 기성세대가 살아온 방식대로 살수가 없는 시대임. 즉 대학나와서 대기업 들어가서 정년하는 시대도 아니고, 저성장시대에 산업 흐름까지 바뀌었으니 기존 사고방식으로 삶을 바라보는 것 자체가 바보같은 것임. 직업과 시장은 본인이 만들수도 있는 것이기에. 본인에 대해서 또 어떤 사람으로 살아가고 싶은지 고민을 깊이 해야함
@user-bx6vq7ou2p
@user-bx6vq7ou2p 3 жыл бұрын
오히려 지금이 기회라고 생각하고 먼가 기발한 생각을 하긴개뿔 생각안듬
@usgto1225
@usgto1225 3 жыл бұрын
옳은 말씀이네요
@user-ii4ck1vj9z
@user-ii4ck1vj9z 3 жыл бұрын
근데 생각이란거, 나라는존재 존나 한순간이고 유동적인거같음. 나도 이런고민 몇년전부터 ㅈㄴ하고 나에대한 자아정체성을 확립한적 있었는데 환경이 바뀌고, 인간관계가 달라질때마다 그에따른 나란존재도 달라지더라고ㅋㅋ 그래서 이런 말도 좋고 중요하지만 너무 매몰되거나 압도당하지 않는것 또한 중요하다 생각함.
@yohane_PARHELION
@yohane_PARHELION 3 жыл бұрын
ㄹㅇ
@user-xc4ex2dq3b
@user-xc4ex2dq3b 3 жыл бұрын
홍익인간 아름다운 정신을 잃어버리고 방황하는 인류... 돼지같이 살더라도 배부른돼지가 좋아 쫓은 후손의 결과물이 처참하다. 사랑과 희생과 열정의 감동은 이제 찾지 못하다.
@user-dm3oc6eh9x
@user-dm3oc6eh9x 3 жыл бұрын
“일단 공무원”이 꿈인 사람은 없지만 정당하게 일하고 정당하게 대우받으며 안심하면서 사는건 모든 사람의 꿈이니까…
@hongjunkim1829
@hongjunkim1829 3 жыл бұрын
그쵸;; 꿈타령이 웃긴게 중소기업 회사원이 꿈인 사람은 잇음? 억지지 대기업 중견보다 공무원이 꿈인게 더 그럴싸하지 남의 회사에서 일하는것보다 나라 밑에서 일하는게 낫죠 꿈타령 패기타령은 말이 안됨 ㅋㅋ
@user-xb5wf2nd6d
@user-xb5wf2nd6d 3 жыл бұрын
40대 이상 꿀빨러들 개멍청하면서 대접 존나 좋아함
@sper1543
@sper1543 3 жыл бұрын
그치만 연금문제는 이제 다릅니다 공무원됬으니 은퇴하면 발 뻗고 잔다는 상상은 이제 못함 지금 2030세대는 나중에 연금못받을 지도 모름 받아도 굉장히 적게 받거나 허덕인다는 거지
@user-sl6yg5vr2e
@user-sl6yg5vr2e 3 жыл бұрын
공무원연금이 심하게 칼질되서 지금2030은 이득이 거의없음 그리고 박봉이라 공무원된다고 나아지는건 없음 그냥 짤릴위험이 없다뿐임
@goowabagoowaba5399
@goowabagoowaba5399 3 жыл бұрын
꼭 그런건 아닙니다.. 저는 사회복지공무원이 꿈이었고 이번에 합격해서 면접기다리는중이에요
@avzvgd2431
@avzvgd2431 2 жыл бұрын
고려대가 9급은 ㄹㅇ 아깝긴하지 근데 학벌 빼고 요즘 같은 시국에 9급 공무원이면 ㄹㅇ 이만한 직업도 없기 때문에 이해는감,,
@user-chanwon
@user-chanwon 2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지키기로 한 건 지킵시다 ♥
@user-uw5pd8xz2m
@user-uw5pd8xz2m 3 жыл бұрын
저도 사실 나름 좋은 대학과 기업을 다녔지만.. ㅋ 결국 공시생이 되었네요 ㅠㅠ 내몰린선택도 맞고 하고싶은것고 맞아요
@user-fi4nr7me1m
@user-fi4nr7me1m 3 жыл бұрын
자기만 좋으면 됩니다.. 남눈에 맞춰 인정받으려고. 하면. 삶이 피곤해지죠
@user-is2bj7jz2x
@user-is2bj7jz2x 3 жыл бұрын
그래서 헬조선인거죠. 자기만족에서 안끝나는 족속들임. 끊임없이 비교하는...
@user-gc2sx7xv9i
@user-gc2sx7xv9i 3 жыл бұрын
인간은 사회적인 동물이라 말은 그렇게 해도 남한테 인정 받아야 좋은겁니다
@pajim7576
@pajim7576 3 жыл бұрын
여기처럼 남의 시선에 목매는 나라가 어디있냐? 한국인종특의 체면문화는 영원할거임~ 시기질투는 덤이고~~^^ 회사어디다녀? 어디살어? 무슨아파트? 차는? ㅋㅋㅋㅋㅋㅋ 졸라 피곤함~~
@user-kc4yx2em9m
@user-kc4yx2em9m 3 жыл бұрын
@@pajim7576 제가 그래서 해외 이직 준비 중..거기선 내가 이방인이니까. 서성한 나와서 중소기업 다니는 거 남은 뭐라 안해도 저 스스로 자존감이 많이 낮아지더라구요...
@pajim7576
@pajim7576 3 жыл бұрын
@@user-kc4yx2em9m 좋은 기회 잡으시길 바랍니다! 서성한 나오셨으면 엘리트시고 중소기업 다니시는거 아깝죠! 화이팅입니다!
@snoopyboss94
@snoopyboss94 2 жыл бұрын
요즘 사무실에 고대 연대 서울대출신도 곧잘 있어요~ 자기가 어디 대학나왔는가 그것도 중요할 수 있지만 원하는 길로 가서 열심히 노력해서 보람과 성취감을 느끼면 무슨일이면 어때요?
@user-cv4jm2sz5k
@user-cv4jm2sz5k 2 жыл бұрын
이 분은 왤캐 알고리즘에 잘 떠 ? 다른 기기에서도 이 영상 맨날 추천해
@winterslee7924
@winterslee7924 3 жыл бұрын
유명한 짤 섬넬이라 도저히 클릭을 하지 않을 수 없었다
@user-hq9ne2vd8p
@user-hq9ne2vd8p 3 жыл бұрын
05:50 05:50 05:50 05:50 05:50 05:50 05:50 05:50 05:50 05:50 05:50 05:50 05:50 05:50 05:50 05:50 05:50 05:50 05:50 05:50 05:50 05:50 05:50 05:50 05:50 05:50 05:50 05:50 05:50 05:50 05:50 05:50 05:50 05:50 05:50 05:50 05:50 05:50 05:50 05:50 05:50 05:50 05:50 05:50 05:50 05:50 05:50 05:50
@user-ck6uc5ud1f
@user-ck6uc5ud1f 3 жыл бұрын
@@user-hq9ne2vd8p 👍
@jackkongnamu.
@jackkongnamu. 2 жыл бұрын
그래도 7급하지 ㅋㅋ
@juneyounglee1800
@juneyounglee1800 2 жыл бұрын
ㄹㅇ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xj6ec8cg1p
@user-xj6ec8cg1p 3 жыл бұрын
안정적인 삶 vs 도전적인 삶.. 사회가 어려울수록 답은 정해져 있는거 아닌가?
@J3rry_m3
@J3rry_m3 3 жыл бұрын
@sapiens code 근데 실패하면 리스크가큰게 함정
@J3rry_m3
@J3rry_m3 3 жыл бұрын
@sapiens code 도전하는것보단 적지
@asljcnaej
@asljcnaej 3 жыл бұрын
@@user-zr4su9ej4x 운동권 베이비부머2세대 4050이 조져놨지
@user-nf2ue8wl5n
@user-nf2ue8wl5n 3 жыл бұрын
@sapiens code 보장이 되니깐 도전이 생기는거지 지 입에 풀칠하는거부터 걱정되는데 뭔 도전임ㅋㅋ
@raon69
@raon69 2 жыл бұрын
@@user-nf2ue8wl5n 님 말이 정답이라 생각하며 살지는 마시길 늘 열린 마음으로 자신을 되돌아 보는게 좋음 누구나 기준이 다르고 누구나가 타인이 생각지 못한 길에서 성공할수 있는게 지구임
@1n762
@1n762 2 жыл бұрын
현실이 이런데...학부모들 많이보고 느꼈으면 좋겠네요 의대,약대등 갈거아니면 불이나게 시키지말라고 했으면 좋겠어요...
@user-ze6yf6zx4g
@user-ze6yf6zx4g Жыл бұрын
이 때가 공무원 쏠림 끝물일 때..
@user-cf4hi9wy7f
@user-cf4hi9wy7f 3 жыл бұрын
요즘 젊은 청년 참으로 힘든시대에 살고있다 현재 60대는 청년 때 취업 할 곳이 많아 공무원 선호하지 않았고 모르는 문제 한두문제는 연필을 굴러 공 무원 합격하였던 시대에 비하면 오늘날 공시생과 취준생 너무 힘든 모습 볼 때 눈물이 난다 자녀세대가 더 살기 좋은시대가 되어야 하는데,,,, 마음이 아프다
@MNNIRW
@MNNIRW 3 жыл бұрын
근데 그거 앎? 그 세대들은 토요일도 일했고 노동시간 극악이었음. 온갖 복지,워라밸 다 포기하고 일만하면서 자식 여럿 키워낸거임. 요즘 주5 일하는 나도 새삼 놀람. 어떻게 주6일 일했지 싶음.
@user-wi1iy1pv9c
@user-wi1iy1pv9c 3 жыл бұрын
@@MNNIRW 그거암? 그렇게살면 집이라도 살수있었음 근데 지금은 불가능
@_ChrisEvans
@_ChrisEvans 3 жыл бұрын
@@MNNIRW 그거앎? 그시대에는 그렇게 일해도 회사에 충성하고 성실하게만 살면 월급받고 그돈으로 집사고 차사고했음. 근데 지금은? 이미 자본소득이 노동소득을 한참넘어선지 오래임. 죽기살기로 공부해서 좋은대학가고, 대기업들어가서 남들한테 가오도 좀 잡으면서 남부럽지 않은 연봉받으며 적금붓는데, 어라? 집값이 1억이올랐네? 몇달지났더니 2억이올랐네? 이러니 그시대만큼 회사에 충성할 이유가 없어지는거임. 차라리 덜받더라도 워라벨보장돼서 자유시간이나 좀 가지면서 내인생이라도 즐겨야지하는 사람이나오는거고, 돈번거 다써대는 욜로족이 나오는거임. 주6일일해서 서울에 집한채 보장해주면 지금도 주6일일할사람많음. 근데 그거앎? ㅈ소 연봉 imf때랑 지금이랑 얼만큼올랐는지 한번자료찾아보셈 ㅋㅋ 깜짝놀라실듯 ㅎ
@user-oe3gn8jp9i
@user-oe3gn8jp9i 3 жыл бұрын
@@_ChrisEvans 와 틀린말이없어서 놀랍다...;;;팩력배 인증
@cococo77777
@cococo77777 3 жыл бұрын
@@khansteve9363 갑자기 김돼지 얘기를 왜 하니. 옛날 노동환경 안좋았다고 얘기했던건데.
@user-km9xm1qg8k
@user-km9xm1qg8k 3 жыл бұрын
2017년때가 저따군데, 지금은 코로나 시대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trutht2727
@user-trutht2727 3 жыл бұрын
@@xpekd 0.6 이래
@sarah-sz1vl
@sarah-sz1vl 3 жыл бұрын
코로나로 죽는 사람보다 생활고로 자살하는 사람이 많을거라는....ㅜㅜ
@user-pb1yk2je2k
@user-pb1yk2je2k 3 жыл бұрын
한번도 경험하지 못한 나라다 진짜ㅋㅋㅋㅋㅋ
@MNNIRW
@MNNIRW 3 жыл бұрын
남성혐오가 만연한데 누가 연애하고 결혼합니까
@user-km9xm1qg8k
@user-km9xm1qg8k 3 жыл бұрын
@@MNNIRW 전 고아원 출신 무수저인데, 공무원합격하면 무수저라해도 같은 공무원 여성과 맞공무원정도면 결혼할만 합니다.
@bbdory99
@bbdory99 2 жыл бұрын
이걸 보면서 왜 이리 눈물이 나는지...젊은 친구들 보면 마음이 먹먹해 집니다...저런 엘리트들이 계층간 이동하기 어려워진 세상이 원망스럽습니다...
@google_Alphabet
@google_Alphabet 2 жыл бұрын
5000년 역사중 가장 계층이동이 쉬운 시대에 살고계십니다
@user-vz7fy3kr7t
@user-vz7fy3kr7t Жыл бұрын
진짜 한국사 줫도모르면서 이딴 헛소리 싸재끼는거 보면 본인에게 안부끄러움?
@user-yg1en6mo2s
@user-yg1en6mo2s Жыл бұрын
지금이 오히려 제일 힘들지 않나.. 사실상 카스트제돈데
@user-sg1dz5wo3q
@user-sg1dz5wo3q Жыл бұрын
계층이동이 쉽다는 건 올라는 것만큼 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는 거예요. 계층이동의 허용폭이 지금보다 넓다면 외려 세상은 더 혼란스러워지고 아비규환일 수도 있습니다.
@thevanguard1989
@thevanguard1989 2 жыл бұрын
나랑 같은 광역시 교행이네.. 들어온지 5년정도됐는데, 지나고보면 그냥 먼저들어와서 먼저 사회기반 자리잡고 행복하게 사는게 장땡.. 7급 이 문제고 9급이 문제고 이런게 아니라.. 일이 적성에 맞는지, 출근하는길에 죽고싶진 않은지 이런게 더 중요한거지, 7급인지 9급인지 10급인지는 의미가 없음.
@user-id7jn5qq1y
@user-id7jn5qq1y 3 жыл бұрын
4년지났습니다....여기는 더 헬 입니다...
@user-yx1bu8zw7d
@user-yx1bu8zw7d 2 жыл бұрын
너가 뽑은 대통령이다 악으로 깡으로 버텨라
@user-bh4xi3cw4x
@user-bh4xi3cw4x 2 жыл бұрын
@@user-yx1bu8zw7d 너 몇기야?
@user-jr1kp1fq1z
@user-jr1kp1fq1z 2 жыл бұрын
지금은 편의점알바도 경쟁률 치열하다던데 말다했지 ㅋㅋ
@un-kim.
@un-kim. 2 жыл бұрын
@@user-jr1kp1fq1z 2주지난 지금은 알바 못구해서 자영업자들이 난리났단다.
@un-kim.
@un-kim. 2 жыл бұрын
니들 자체가 헬이겠지.
@uouoz
@uouoz 3 жыл бұрын
그저 생존을 위한 길이잖아... 저게 왜 저들탓이야.. 저 심정 너무 와닿는다...
@atlantiscolors4491
@atlantiscolors4491 Жыл бұрын
어느 시대든 사람들이 원하는 평범함을 사회는 주지 않아,, 그 평범함을 얻기위해 힘든 일을 하는 사람들을 사회가 필요로 하기 때문에.
@ilwoongyoon6479
@ilwoongyoon6479 2 жыл бұрын
출연하신분들 모두 잘되셧기를...
@user-sn9tp4yl5s
@user-sn9tp4yl5s 3 жыл бұрын
그래도 여기서 인터뷰하는 신입공무원 다 26, 27살이던데 정말 빨리 합격한 케이스입니다.
@user-xb4nq6yt8t
@user-xb4nq6yt8t 3 жыл бұрын
만나이 기준이라 +1~2살 하시면 될 거 같네요. 그래도 늦은 편 아니죠.
@pajim7576
@pajim7576 3 жыл бұрын
반반 20대후반 vs 40대 임용
@Daul24
@Daul24 3 жыл бұрын
@@pajim7576 40대 임용이 뭔뜻임
@user-pd8mv9gl1i
@user-pd8mv9gl1i 3 жыл бұрын
@@Daul24 임용되는 나이대가 20대 후반 반, 40대 반 라는 말인 것 같네요
@user-gc2ld5sb3k
@user-gc2ld5sb3k 3 жыл бұрын
20대초반은 아예 없나요?
@CrayonPop2
@CrayonPop2 3 жыл бұрын
서울대 수석졸업하고 회사들어가면 듣는말이 "너 아니여도 할사람 많다" 가 튀어나오는 나라 아닌가?ㅋㅋ +그만싸워 얘들아 알람 짜증나니까 내 개인적인 생각을 적어봤자 답도없다
@user-ks8rx8qm1n
@user-ks8rx8qm1n 3 жыл бұрын
흠 서울대 수석이 되어보셨나요.
@user-lg5mq2po4d
@user-lg5mq2po4d 3 жыл бұрын
@@user-ks8rx8qm1n그냥 예시죠. 김앤장 같은 곳엔 그러지 않을까 싶네요.
@user-ks8rx8qm1n
@user-ks8rx8qm1n 3 жыл бұрын
@@user-lg5mq2po4d 네 당연히 아는데, 뭐 그 예시가 서울대 수석은 좀 많이 간 것 같아서요. 뭐 스카이라고 뭉뚱그리면 졸업생만 매년 몇천명이니 그럴 수 있겠는데, 서울대 수석은 너무 희소하지 않나요.. ㅋㅋ
@TV-ff8qj
@TV-ff8qj 3 жыл бұрын
서울대 수석이면 회사에서 모셔가지 븅신아 ㅋㅋ
@c.g.c1211
@c.g.c1211 3 жыл бұрын
@@TV-ff8qj 모셔가도 사회성 안되면 바로팽이야ㅋㅋ 수석이면 단줄아나ㅋㅋ 닉값하네
@user-td3mb3xd6o
@user-td3mb3xd6o 2 жыл бұрын
마지막 인터뷰 한 사람의 말이 극 공감되네요. 결국은 누구도 지키기 싫어하다 보니 모든것이 썩어버린 대한민국이라 생각합니다. 하.. 건강한 직장 어딨냐.. 이직하고 싶다
@user-up8sy9mr6n
@user-up8sy9mr6n 2 жыл бұрын
현실다큐네요 너무 공감됩니다
@user-vt6bi4zv4q
@user-vt6bi4zv4q 3 жыл бұрын
기업의 오너와 인사관리 담당자가 꼭 봐야할 영상. 초과근무 밥 먹듯이 시키고 아이가졌다고 퇴사종용하는 한국 기업 문화가 사라지지 않는다면 그들도 좋은 인재를 놓치게 될 것. 서로가 망하기 전에 이제라도 정신 좀 차렸으면 좋겠다.
@user-cy3xc6jj5j
@user-cy3xc6jj5j 3 жыл бұрын
개소리야 ㅋㅋㅋㅋㅋ 넌 저 패배자들이 인재로 보이냨ㅋㅋㅋㅋ
@user-vt6bi4zv4q
@user-vt6bi4zv4q 3 жыл бұрын
@@user-cy3xc6jj5j 루저는 너인 것 같은데?
@user-jk6xk5md8s
@user-jk6xk5md8s 2 жыл бұрын
@@user-cy3xc6jj5j ?서연고학생들이 패배자??????이건 무슨소리죠 ㅋㅋㅋㅋㅋㅋㅋ
@user-qd1dv7je6k
@user-qd1dv7je6k 2 жыл бұрын
인사관리 담당자가 왜보는데요 ㅋㅋㅋㅋ 노무관리 하는 직책도아닌데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조직생활 안해보신듯 ㅋㅋ 초과근무 누가 밥먹듯이 시켜요? 52시간모름? 못해요 하고싶어도 제발 더하고 돈더받고 싶은데 안된다구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정신차려야될건 노동계죠 ㅋㅋㅋㅋ 민노총.ㅋ
@user-vz7fy3kr7t
@user-vz7fy3kr7t Жыл бұрын
@@hdtut8895 주 52시간 일하면서 주 70시간 넘게 일하는 의사, 검사와 비슷한 급여를 받길 바라는 노동계랑은 아무런 대화를 하고싶지 않다
@austinjeong614
@austinjeong614 3 жыл бұрын
20대에겐 신의 직장이 맞다. 근데 들어와서보니 영상에서 나온대로 그 모지리 40대이상 고졸들이 꼴에 선배라고 온갖 갑질하고 신규직원들에 괴롭히는게 함정이다. 나도 안짤리지만 일안하는 꼰대들도 안짤리는게 공직생활.
@jsio299
@jsio299 3 жыл бұрын
그렇다고 섣부른 일반화는 하지 마십쇼 40대 이상 공무원 재직자들이 모두 꼰대이고 공부 안했던건 아니지 않습니까?
@woonnambj9356
@woonnambj9356 3 жыл бұрын
고시패스한사람들도 갑질당합니다.
@sdfdds11
@sdfdds11 3 жыл бұрын
이런 댓글에 고졸 언급도 꼰대에요
@user-io5ci9nh8i
@user-io5ci9nh8i 3 жыл бұрын
@@jsio299 거의대부분맞습니다
@user-dc4br6ob7e
@user-dc4br6ob7e 3 жыл бұрын
40대이상 고졸들이 40대이상 고졸들이 40대이상 고졸들이 40대이상 고졸들이 40대이상 고졸들이 40대이상 고졸들이 40대이상 고졸들이 40대이상 고졸들이 40대이상 고졸들이 글쓴아 너 자신부터 되돌아봐
@user-tr4wo6mr2n
@user-tr4wo6mr2n 2 жыл бұрын
내가 대학에 들어가던 80년대 초반에는 7급 공무원도 고리타분하고 저임금이라 인기가 없었는데 정말 격세지감을 느끼게 만드네요. 대학동창들 대부분이 여러군데 회사에 복수합격을 하였으며, 어느 직장을 다닐가? 고민하던 세월도 있었는데 너무 많이 변했어요 ㅠ.ㅠ
@Sophibian
@Sophibian 2 жыл бұрын
그런분이 닉이 진짜 진보인게 소름돋네요 설마 진짜 진보인가요?
@azc4925
@azc4925 2 жыл бұрын
꿀빨았지모야
@user-ud2dx7lf4b
@user-ud2dx7lf4b 2 жыл бұрын
@@Sophibian 진보가 원래 나쁜게 아닙니다 지금 사회의 진보는 지금 변화가 필요하지만 말이뵤
@user-gc2ld5sb3k
@user-gc2ld5sb3k 2 жыл бұрын
꿀빨아 부렀으
@animesong2011
@animesong2011 2 жыл бұрын
세상은 변화하고 점점 살기 좋아져야 하는게 맞는거죠~나이 들수록 진보적인 생각이 더 좋다고 봅니다~ 저희 아버지하고 비슷한 연배시네요 ㅎㅎ
@hoyou7124
@hoyou7124 2 жыл бұрын
SKY도 기간의 차이일뿐 9급공무원으로 합격하는건 요즘 진짜 어렵다고 하더군요. 재능이 있지만 그 재능을 높은곳에서 쓰지못한다는것도 안타까우면서도 현실적인 이유의 압박은 어쩔수없다고 생각하니 씁슬하군요.
@hel814
@hel814 Жыл бұрын
사실 주위 SKY 보니 7급이든 9급이든 다 일년 안에는 합격함. 타대생보다 더 똑똑하고 재능있고의 문제가 아니라 본인이 공부를 할 줄 알아서 구럼. 본인의 공부방법도 잇고......
@user01022
@user01022 3 жыл бұрын
깡촌 시골에도 연고대나와서 지방직 된사람 부려먹으려는놈들 보이던데 ㅋㅋ 그런놈들 특 40대 후반~퇴직직전 6,7급들 시대잘타서 공무원된놈들 반성해라 진짜 니밑에 있고싶어서 있는거아니다
@user-lb2oo1kq8r
@user-lb2oo1kq8r 3 жыл бұрын
상고졸해서 은행 프리패스 할거없음 공무원ㅋㅋ대학가서 데모질에 술쳐먹고도 대기업ㅋㅋ586개꿀세대
@ddammm8848
@ddammm8848 3 жыл бұрын
사람 차이지만 경험상 비율적으로 고졸 선배들이 쓰레기 노개념들이 많았음
@user-xw6sm9fb4j
@user-xw6sm9fb4j 3 жыл бұрын
연고대 9급은 자기가 그런취급받길 선택한거죠
@user-yi1qz3rd4u
@user-yi1qz3rd4u 3 жыл бұрын
그것도 못된심보지만 꼬우면 좋은데 갔어야지..
@XX-fm6xy
@XX-fm6xy 3 жыл бұрын
@@user-lb2oo1kq8r 개꿀세대라곤 하지만 위에 남아있는 부장들 보면 일 능력은 지림.
@user-gw7sb8ht5k
@user-gw7sb8ht5k 3 жыл бұрын
그렇지! 고등학교만 졸업해도 할 수 있는 일을 대학 졸업하고도 몇년씩 공부해서 해야하는 사회가, 이 사회가 문제! 이 사회가 약속만 잘 지켜도... 공감!
@user-yr4ez1mm2w
@user-yr4ez1mm2w 2 жыл бұрын
10대 때는, 미래의 내가 대단히 화려하고 멋지지는 않아도 그래도 나름 부모님 용돈도 좀 챙겨드리고, 취미생활도 여유있게 하고 저축도 척척 할 수 있을 줄 알았는데...그게 이렇게 힘든일이었다니 ㅜㅜ
@cp-sb6cp
@cp-sb6cp 2 жыл бұрын
좀 살아보니.. 공무원, 대기업... 자기 몸에 맞아야 계속 할 수있습니다. 몇년 하고 말일이 아니니 잘 생각하고 시작하시길... 그러나 시작했는데 아니다 싶으면 직업바꾸는것도 요즘 사람들의 장점... 옛날처럼 처음 직장 정년때 까지 해야 한다는 압력에서 자유로운점도 있지 않나요? 시대가 바뀌어도 세상은 살아남는자의 것입니다. 그 생존을 위해서 남모르는 피와 땀이 필요합니다. 남들처럼 하고싶은것 다~ 하고 살겠다는 마음은 존중하지만 시기를 잘 정하고 현명한 판단을 하시길....
@goodrichproject
@goodrichproject 2 жыл бұрын
세 아이를 키우는 엄마로써 생각이 많아지네요 ㅜㅜ 공감합니다.
@user-kc9tm6bh3g
@user-kc9tm6bh3g 2 жыл бұрын
세 명.. 대단하세요!! 파이팅입니다😊
@lllllllllll2163
@lllllllllll2163 2 жыл бұрын
조기 주식교육 코인교육 차트교육 ㄱㄱ
@user-fl7jj6cg4p
@user-fl7jj6cg4p 2 жыл бұрын
지금처럼 주식붐있기전에 대학때 주식동아리했었는데 부모가 투자가르쳐서 계좌에 억찍힌애들이 여럿있었음...ㅋㅋㅋ 애들 똑똑하게 가르쳐야함ㅋㅋㅋ
@user-nn2fe8hg5f
@user-nn2fe8hg5f 3 жыл бұрын
4년전 다큐인데 더 심해지면 심해졌지 상황이 좋아지지 않네요 ㅠㅠ
@diplopia6471
@diplopia6471 Жыл бұрын
작년에 이 영상을 보았고, 합격한 이들을 분명 축하해야 맞지만, 지금 이렇게 고학력자들이 공무원에 뛰어드는 걸 보니 참... 슬프다는 생각이 든다. 이런 사회가 과연 정상인가...
@Gazeuha
@Gazeuha 2 жыл бұрын
강신일님 목소리가 차분해서 집중이 잘되네요.
@Mr-jd1ib
@Mr-jd1ib 3 жыл бұрын
뭐야 17년?21년인데 달라진게 없고 오히려 공무원 더 박터지네ㅋㅋㅋㅋㅋㅋㅋㅋ
@user-zj3hf2ge6u
@user-zj3hf2ge6u 3 жыл бұрын
비정규직 정규직화 때문에 공겹도 빡세짐 ㅋㅋㅋ
@user-on4zy1jl3v
@user-on4zy1jl3v 2 жыл бұрын
훠훠훠 덕분에 더 헬조선됨
@johnpark9523
@johnpark9523 2 жыл бұрын
@@user-on4zy1jl3v 도리도리 역대급 지지율 유일하게 나라 정상은영
@LiLiCo-Narak
@LiLiCo-Narak 2 жыл бұрын
@@johnpark9523 ??? 나라가 정상이라고 보는거임?ㅋㅋㅋㅋㅋㅋㅋ 깨질대로 깨졌네
@ssyy6959
@ssyy6959 2 жыл бұрын
토로토 저샛긴 간첩이라 그럼
@user-id7jn5qq1y
@user-id7jn5qq1y 3 жыл бұрын
안정적적인것도 물론 이유지만 .... 제대로 된 회사를 가고싶다고 생각하니까 공무원이있는거죠....솔직히 우리나라가 큰기업 또는 중견아닌이상 오래 다니기가 힘듦...
@chardri8660
@chardri8660 3 жыл бұрын
한곳을 들어가서 정년까지 있으려는 생각이 욕심임. 조금 돌아간ㄷ생각하고 현쟁맞는 곳에서 경력을 쌓고 올라가야함
@crazyvedios4515
@crazyvedios4515 3 жыл бұрын
@@chardri8660 ㅇㄱㄹㅇ 한곳에 계속 소속되 있으려는 안일함은 무능함과 게으름만 낳을뿐
@Aim-iy2so
@Aim-iy2so 3 жыл бұрын
@@crazyvedios4515 하지만 직장 소속되어 있는 이유가 안정감 아닌가? 자신있으면, 경쟁하려면 오히려 사업을 하라고 말해주고 싶음. 직장이 주는 안정감 측면에서 공무원의 장점이긴 하지.
@anwdahw849
@anwdahw849 2 жыл бұрын
요즘 세상에 누군가 내 삶을 책임져주길 바라는것 자체가 시대적 망각이고 정신상태부터가 썩었음. 시팔 늘상 좋은 자리 가려고 눈에 불을 키고 기회를 찾고 계속 자기계발 할 생각은 안하고 ㅋㅋㅋㅋㅋ 한 곳에서 짱박혀서 목구멍 풀칠 하겠다는 말 들으면 진짜 한심 그 자체. 사회 전체가 병신들만 모여있는 생각 그 밖게 안듬 이런 생각이 대다수고 이런 댓글이 옹호 받는거 보면 ㅋㅋ 나는 시팔 ㅋ 한 곳에 있으라고 해도 안있는다 나 어디 다니냐고, 대기업 다닌다. 정작 대기업 다니고 대가리 깨어있는 사람들은 무슨 대기업 일찍 명퇴니 뭐니 하면서 걱정 안함. 애초에 기업은 지나가는 곳이지 내것하고 싶어하고 더 발전하고 싶어하지. 기업 백날 다녀야 경제적으로 자유롭지 못하다는 걸 아니
@jermy5849
@jermy5849 2 жыл бұрын
임원급 아니면 힘들죠 거기서부턴 실 충성경쟁이니
@user-xc2un5ct6q
@user-xc2un5ct6q 2 жыл бұрын
어렵다 정말 남들처럼 사는게 무슨말인지 몰랐는데 대학교 다녀보니 알겠더라,, 정말 열심히 살아야 번듯한 직장을 가질 수 있었다는 걸
@user-sl3js5by8h
@user-sl3js5by8h 2 жыл бұрын
공무원하려고 대학교가는사람이 거의없지 다만....대학다니면서 세상이 변하고 더 힘들어지니 선택을 하는거지 그나마 몇년을하든 공시해서 붙으면 다행이지만 그게아니면 그시간이....너무....
@jimmyk6952
@jimmyk6952 3 жыл бұрын
공무원 되고 나서 진상처리반 되고 그만두는 사람들도 엄청 많다는 사실도 올리는게 맞습니다
@irenechoi4474
@irenechoi4474 3 жыл бұрын
마지막에 다들 바라는 삶의 모습을 보면 대단한 삶이 아닌데,,, 그걸 어렵게 만드네요 대한민국이
@bts_bts781
@bts_bts781 2 жыл бұрын
기회는 평등하고 과정은 공정하며 결곽는 정의롭네요.
@user-ol3rn1vj6o
@user-ol3rn1vj6o 2 жыл бұрын
모든 공직 직군이 그렇진 않겠지만, 가슴펴고 합격하셨다가, ㅎㅎ 멘탈 약하신 분들은 그만 두는 경우도 태반이라 ㅎㅎ
@user-kq6sv6ni2k
@user-kq6sv6ni2k 3 жыл бұрын
학교에서 가르치는게 문제풀이밖에 없으니... 할수있는건 문제푸는 일이고 결국 시험봐서 합격해야함 하는 인생을 걷는 것 뿐..
@ESFP-hg8xs
@ESFP-hg8xs 2 жыл бұрын
와.....이거지
@user-fu3ho6kr4k
@user-fu3ho6kr4k 2 жыл бұрын
공감합니다....
@windtvkorea
@windtvkorea 3 жыл бұрын
저또한 어떻게든 성공을 꿈꿔보는 1인입니다. 현재 일하면서 주경야독을 하고 있지만, 주경야독으로 무언가를 이룰 수 있는 틈이 매우좁아서 힘든 실정입니다. 그래도 참고 버티고 버텨서 이뤄보겠습니다! 절대 자신을, 노력을 의심하지 마세요! 우리 끝까지 될때까지 노력해봅시다! 실패는 포기하는 사람이 얻는것입니다. 포기하지말고 Keep Going!
@sigmann66
@sigmann66 2 жыл бұрын
요새 젊은 분들 너무 힘드네요. 그리고 학벌보다는 점점 탤런트를 보는 새상으로 가는 것 같아요.
@user-yj2nb3mj3i
@user-yj2nb3mj3i 2 жыл бұрын
고려대를 가기 위해서 얼마나 많은 노력을 하셨을까요... 이상과 현실의 괴리는 너무나도 큰 것 같습니다 정말 본인이 하고 싶으신 일을 하지도 못하고 생존을 위해서 햐는거니까 현타가 많이 오셨을 것 같아요 4년전 영상인데 수능 끝난 고3으로써 남일 같지가 않습니다 저는 수포자인데다가 특별히 잘 하는 것도 없고 앞으로 하고 싶은 것도 없는데 정말 한치앞도 안보이는 인생이 너무 막막해 보입니다 지금은 4년전보다 더 만족하는 인생을 살고 계셨으면 좋겠네요 열심히 사시는데 정말 잘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LA_NY
@LA_NY 3 жыл бұрын
나는 사람들 의식이 바뀌어야 된다고 생각함. 한국 사람들은 나이에 연연을 너무 함. 27살이 엄청 늙었다고 생각하고 40되면 무슨 무조건 명퇴하는 분위기임… 사람이 살다 보면 출발이 늦을 수도 좋아하는 것을 늦게 찾을 수도 있는데 서른까지 직장 없고 돈 안 모아놓으면 인생 망한 것 같이 생각함…. 진짜 이제는 수명이 늘어서 60살에 퇴직하고도 뭐 하고 살지 심각하게 고민해야 하는 세상인데 좀 멀리 보고 각자 만족하는 삶을 살았으면 좋겠다는…다들 화이팅.
@user-bz3xz4bh2j
@user-bz3xz4bh2j 2 жыл бұрын
결혼하고 싶으니까 그렇지ㅋㅋㅋ 솔직히 결혼하고 애도 낳고 싶은데 돈이 없어서 못하는건데
@sally_8429
@sally_8429 2 жыл бұрын
@@user-bz3xz4bh2j 9급이라고 결혼하는건아닌데
@user-bz3xz4bh2j
@user-bz3xz4bh2j 2 жыл бұрын
@@sally_8429 9급 아니라고 결혼하는거도 아님 지금 상황에서는 안정성이 최대 우선 목표니까 그렇지
@user-bd9ut5if4g
@user-bd9ut5if4g 3 жыл бұрын
저렇게 들어가도 그만두는 사람들이 많다는 게 참..
@user-ru1ig3jz3i
@user-ru1ig3jz3i 2 жыл бұрын
저때도 치열했는데 지금은 몇배로 더 치열해짐.. 20대 너무 고달프다…
@Hwang_Chem_Engineering_Story
@Hwang_Chem_Engineering_Story 2 жыл бұрын
화학/화학공학과 전공 관련 강의 동영상이 제 KZfaq 채널에 많이 있어요. 공부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There are many lecture videos about chemistry/chemical engineering majors on my KZfaq channel. I hope it helps you a lot in studying.)^^...
@money_freedom
@money_freedom 3 жыл бұрын
9급 공무원이 되는것도 중요하고 대기업에 가는것도 중요하고 중소기업에 다니는것도 중요하지만 가장 중요한것은 얼마나 많은 금액을 버는가에 상관없이 버는 소득을 어떻게 굴리고 돈을 일하게 하는 방법을 깨달아가는게 중요한거 같습니다. 즉, 금융교육의 바탕이 얼마나 자리 잡아 있는지가 중요한거 같습니다.
@user-ce3ss9lk4g
@user-ce3ss9lk4g 2 жыл бұрын
이게 정답인듯..
@Keon0925
@Keon0925 2 жыл бұрын
천원에 오래 계시더니 통달하셨군요
@user-nm9ke6rg9u
@user-nm9ke6rg9u 2 жыл бұрын
@@Keon0925 ㅋㅋㅋㅋㅋ
@user-qd1dv7je6k
@user-qd1dv7je6k 2 жыл бұрын
욜로 한대자나요 ㅋㅋㅋㅋ 하루살이인생 ㅋㅋㅋ 평생 20대인줄 아나봄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google_Alphabet
@google_Alphabet 2 жыл бұрын
9급은 굴릴돈이 없습니다... 9급 합격한사람 대부분 첫월급 받고 현타옵니다. 편의점 알바하는거보다 적게줘요 공무원은 최저임금 대상이 아니다보니 최저시급보다 적게줍니다 ;;
@asda9452
@asda9452 2 жыл бұрын
그래 공무원이 되고 싶은게 아니라 안정적인 직업을 원했을 뿐..
@MusaStockBitcoinLab
@MusaStockBitcoinLab 2 жыл бұрын
서울대를 나와도 9급 공무원을 하는 시대.. 애들한테 있는돈 없는돈 부어서 억지로 공부시키고 좋은대학 보내는게 아무 의미가 없어진 시대.. 이제는 부모들이 자신에게 투자해서 잘살고 성인이 된 애들까지 케어해 줘야되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Hamji_
@Hamji_ 2 жыл бұрын
서울대를 나와서 9급공무원을 할정도면 얼마나 자기관리를 안한건지 ㅋㅋ..
@user-xl4uv2tx1i
@user-xl4uv2tx1i 2 жыл бұрын
@@Hamji_ 서울대ㅋㅋ 울회사도서울대많은데 첨입사시 대리급으로들어오더라. ㄱ 마들일은잘하더라.딱그기까지만.근디일은 다잘해.그마들뿐만아니라.긍께일잘하는거아무실데없더라 그외에다른게더있어야하는디.설대애들은 일만잘할뿐 그게다더라
@user-xl4uv2tx1i
@user-xl4uv2tx1i 2 жыл бұрын
나고졸인디 그마들보다일은디립게몬하는디 빅데이타로 엑셀구축해서그마들 내눈치보고일한다. 내가데이타안보내주거나하면
@Hamji_
@Hamji_ 2 жыл бұрын
@@user-xl4uv2tx1i 엑셀로 구축하는 데이터를 빅데이터라하면 도대체 회사가 어디길래..
@user-xl4uv2tx1i
@user-xl4uv2tx1i 2 жыл бұрын
@@Hamji_ 원래 외국업체에 수주줬는데 써보니나가리 그래서 그걸바탕으로 국내 서울대카이등애들기반러설계했는데 나가리 그동안 내가엑셀로 설계한거 지금쓰고있다.왜
@healingvibes8206
@healingvibes8206 Жыл бұрын
평범에 들지 못하는 대다수. 경쟁에서 이겨 평범한 편에 들어도 보장되지 않는 행복. 정말 행복하기 어려운 시대..
@ky1550
@ky1550 3 жыл бұрын
지금 청년들의 현실이 짧은 영상 속에 모두 담겨 있네요
@oxy-tocin
@oxy-tocin 3 жыл бұрын
CJ 다녔었지만 코로나 터지니 사람부터 해고하기 시작. 사장라인 아닌 고위직급들 해고당하고, 뜬금 사무실을 지방으로 옮김. 왕복 5~6시간 거리로. 충성도 테스트 겸 구조조정 하는거 보고 퇴사함. 하루라도 젊을때 공부해서 공기업 가려고 준비 중이다. 다들 경쟁자지만 응원하고 있음. 평범한 삶을 살기에는 이길밖에 없다는걸 알기에
@user-iz7ty3yw9w
@user-iz7ty3yw9w 2 жыл бұрын
ㅋㅋ 공무원 세계 안짤리뿐 ㅋㅋ
@user-is6et6rz9w
@user-is6et6rz9w 2 жыл бұрын
@@user-iz7ty3yw9w 그게 너무 크긴하지
@user-er1zf3bu2o
@user-er1zf3bu2o 2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전쟁터네요ㅠ 꼭 공사 들어가시길 응원합니다.
@user-lr4ii3vg1f
@user-lr4ii3vg1f 2 жыл бұрын
인생, 생각보다 깁니다. 어디서던 열심히 노력하면 또 다른 새로운 길이 보입니다
@user-uw3kh4yu4i
@user-uw3kh4yu4i 2 жыл бұрын
지금처럼 저성장 시대에 평범함이 청년들의 목표가 되었죠 영상 속 주인공처럼 자신이 선택한 일에 후회가 없으면 행복한 인생이라고 생각합니다. 남들 눈치 볼 필요 없이 말이죠.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EN-ym3iz
@EN-ym3iz 3 жыл бұрын
이거 본방으로 볼땐몰랏지 내가 공무원준비를 할줄,, 그리고 어제지방직까지 떨어져서 재시를 하게될줄,, 내년엔 붙고싶다
@dydrltk7027
@dydrltk7027 3 жыл бұрын
좋은 결과얻으시길
@Poison_L
@Poison_L 3 жыл бұрын
내년엔 과목에 대한 제도가 바뀔텐데 힘내세요..
@user-um3nl8lp3t
@user-um3nl8lp3t 2 жыл бұрын
화이팅
@marry0430
@marry0430 2 жыл бұрын
ㅎㅇㅌ!!
@user-ygrfufedftiiij5tf
@user-ygrfufedftiiij5tf Жыл бұрын
붙었음?
@msl9781
@msl9781 3 жыл бұрын
솔직히 청년들 공무원시험에 우르르 몰리는거보면 안타까운마음이 드는건 사실... 고대나오신분이 공무원시험본다고하면 읭?? 아깝다..이런마음들긴함..솔직히..
@user-gf5rp5ss1s
@user-gf5rp5ss1s 2 жыл бұрын
솔직히 서성한까지도 9급은 아까움. 7급이면 몰라도.
@gmvisck
@gmvisck 2 жыл бұрын
내 운명은 내가 결정하는게 아니고 현재 내가 속해 있는 상황이 내 운명을 결정한다..
@jsy5485
@jsy5485 2 жыл бұрын
평범하게 살고싶냐? 그럼 미친듯이 노력해라 고딩때 보던 골방환상곡에서 하던 말이 뼈에 사무칠 정도로 와닿는 시대다
@thekingoftheunderworld
@thekingoftheunderworld 2 жыл бұрын
창업 한다하면 주변에선 미쳤냐고 멸시하고, 실패하면 실패했다고 손가락질 하며 조리돌림하고. 핼조선 사회 분위기에 전반적으로 형성된 청년들의 도전을 움츠러들게 만드는 현실.
@user-nv2rl1ic5e
@user-nv2rl1ic5e 2 жыл бұрын
그 이유는 [성공만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한국🇰🇷문화가 원인일 듯 합니다.
@user-gf5rp5ss1s
@user-gf5rp5ss1s 2 жыл бұрын
창업해서 욕먹는것보다 돈까먹는게 더 무서움.
@syk7806
@syk7806 Жыл бұрын
주변에 의식안하면됨 자기탓임
@homelaboratory5513
@homelaboratory5513 3 жыл бұрын
공무원이 되려고 하는 사람이 많은 나라일수록...제대로된 기업이 없어서 발전이 없는 나라....비전이 있는 회사가 없는 나라....초등학교때부터 교육이 잘못된 것이..이사태를 만든 것 아닌가 생각되네요.맨 마지막분...이야기가....많은 분들이 공감하는 내용인 듯
@user-cg4rv1jn1p
@user-cg4rv1jn1p 2 жыл бұрын
아버지께서 건설쪽 대기업에서 일하시다가 은퇴하셨는데 어렸을 땐 왜 그렇게 공무원하라고 노래를 부르실까 생각했는데 취업할 나이가 되니까 왜 그러셨는지 이해가 갑니다
@user-is6et6rz9w
@user-is6et6rz9w 2 жыл бұрын
@John Doe 우리나라 중소기업은 대부분 그냥 개노답이고, 그런 대부분 ㅈ소기업에서 일하는건 경력도 아니고 그냥 시간낭비랑 다름없기에, 그런 비전도 없는 곳을 당연히 젊은 사람들은 안가려고 하죠
@hel814
@hel814 2 жыл бұрын
@@user-is6et6rz9w 레알 시간 낭비임. 중소기업에서의 어른들 간부들 보면 대기업이나 외국계 공무원같이 크고 제대로된 집단의 어른들이랑 비교하면 수준차이가 크게 남ㅠ
@user-ls1ko5lo3e
@user-ls1ko5lo3e 2 жыл бұрын
Home Laboratory 정말 공감합니다.
@user-gp3mh1ro7g
@user-gp3mh1ro7g 2 жыл бұрын
이런사람등이 문제지 교육이문제가아니라 기업이 문제고 젊은세대가 문제가아니아 늙은세대들이 잘못된걸 안고치니 그럴치
@user-jn4bt6hk5o
@user-jn4bt6hk5o 2 жыл бұрын
서울대 철학과 나와서 이번에 9급합격한 친구가 있어서 남일보는거 같지가않네요 그만큼 우리나라에 쉬운일 하나가 없다는 말이겠죠
@user-vg1zo4kq1r
@user-vg1zo4kq1r 2 жыл бұрын
세상이 슬프게 변화해가는구나 싶다ㆍ 젊은이들의 꿈과 희망이 곧 국가의 미래인 건데 청년들을 뭐라 하는게 아니지만 답답 해집니다ㆍ
@user-wk7iu4gc1i
@user-wk7iu4gc1i 3 жыл бұрын
청년들의 시대상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다큐네요. 좋은 콘텐츠 감사합니다
@user-nt5vl5eq9l
@user-nt5vl5eq9l 2 жыл бұрын
9급을 합격하고도 아버지께 죄송하다고 말할수있는 당신을 부러워 하는 사람도 많을거에요^^ 축하합니다
@user-ks8si7xb8m
@user-ks8si7xb8m 2 жыл бұрын
고려대가 9급이면 학벌낭비는 맞지
@user-nt5vl5eq9l
@user-nt5vl5eq9l 2 жыл бұрын
@@user-ks8si7xb8m 팩트를 떠나서 너무 그러지 말고 축하좀 해줘요
@user-cg4rv1jn1p
@user-cg4rv1jn1p 2 жыл бұрын
지금 쯤 8급 다셨을 텐데 요즘 시국이면 잘했다고 박수치고 좋아하고 있을거임 ㅋㅋㅋㅋㅋㅋ
@user-bb4vb9dk5y
@user-bb4vb9dk5y 2 жыл бұрын
@@user-cg4rv1jn1p ㄴㄴ 4년 5년정도면 요즘 7급답니다
@hollywood_man
@hollywood_man 2 жыл бұрын
@@user-bb4vb9dk5y 저분 어차피 다니면서 1년만에 7급 합격하심
@user-ss6wx2bx9f
@user-ss6wx2bx9f 2 жыл бұрын
공무원도 힘든 일들이 없지 않은데 그보다도 얼마나 사기업이 다니기 힘든지 알 수 있는........ 하지만 공무원도 얼마 못 하고 그만두는 사람들이 많은 걸 알게되어서.. 결국엔 그냥 자기가 하고 싶은, 적절한 수입을 그나마 얻을 수 있는 걸 하는 게 맞는 거 같더라구여... 그게 힘들지만... 이제는 안정적인 직장은 없다고 보는 게 맞고 계속 직장을 옮길 수도 있다는 걸 염두에 둬야할 것 같습니다
@7sgwt3ss6
@7sgwt3ss6 2 жыл бұрын
선배나 어른들이 후배들에게 이야기 하는건 경험을 통해서 얻은 교훈이어서 기쁘고 안따가워서 하는 말이다. 조금만 더 노력하여 더 나은곳에 도전했으면 하는~ 젊은이들은 아뉘 그게 쉽냐고 반문하지? 근데 시간이 지나다보면 안다. 한 등급을 오르기 위해선 많은시간과 노력이 든다고~
@MPlanNetworks
@MPlanNetworks 3 жыл бұрын
어떤 직업이든 삶이든 뭐든 다 본인결정임 누구는 여러번 실패 경험해보고 끝까지 가즈아 하는 사람도 있고 누구는 돈좀 적게 벌어도 괜찮으니 편한 직장 다니고 싶다는 사람도 있고 다 개인취향
@user-ye3op6rt9h
@user-ye3op6rt9h 3 жыл бұрын
우리 사회가 서로간의 합리적인 계약을 맺지 못하는건 맞는 말이다. 내가 매일 근로현장에 나가서 겪게 되는 인격적 취급, 사회적 대우, 경제적 대가, 시간적 이익, 육체적 안전, 업무적 효율성, 인간관계적 영역 등 모든 면에서 얼마나 불이익과 불합리가 많이 존재하는지...얼마나 이해할수 없는 불쾌한 진실들이 많이 내재되어 있는지 냉철하게 직감하고 처신해야 한다...
@CC-tf7mu
@CC-tf7mu 2 жыл бұрын
사실 고대 9급 공무원 이거 봤을 때.. 고대 나와서 뭐 어쨌는데. 잘 합격했네 이 생각이 먼저 들더라. 대학이 이전같지 않다는 거지.
@aprogenbiologic
@aprogenbiologic Жыл бұрын
9:14 누님 죄송합니다... 이름보고 빵터졌습니다.
@user-qp2ds4ey6l
@user-qp2ds4ey6l 3 жыл бұрын
현재 가장 공정하게 직원을 뽑는 제도는 공무원 시험인거 같다.
@user-trutht2727
@user-trutht2727 3 жыл бұрын
@터 렉 1급 공무원 박xx ㅋㅋㅋㅋㅋㅋ
@user-cm5ih3gf6o
@user-cm5ih3gf6o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박 ㅅㅁ
@user-ru7vs1gu7r
@user-ru7vs1gu7r 3 жыл бұрын
공정하네요 박성민씨
@gunpark4083
@gunpark4083 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 설마 학력 안보고 뽑는게 공정하다고 생각하는거? 언제부터 학력 안보는게 공정한 시험이었냐? ㅋㅋㅋㅋㅋㅋㅋㅋㅋ
@50000mAh
@50000mAh 2 жыл бұрын
저는 아니라고 보는데요,, 가장 무능한 시험제도 같아요, 차량 운전 잘하는거랑, 운전면허 필기시험하고 같나요??
@user-cr3th6bf2v
@user-cr3th6bf2v 2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학력 경력 이력 안보고 오직 실력으로 승부하는 유일한 시험이다 뜻있으면 도전하는게 맞지
@user-rn3gu2ip8i
@user-rn3gu2ip8i 2 жыл бұрын
정말 공감합니다.. 유일하게 실력으로 승부를 보죠
@user-rj1kb7cd3w
@user-rj1kb7cd3w Жыл бұрын
내말이..... 진짜 맞는 댓글이다 ....
@Gomang92
@Gomang92 2 жыл бұрын
공부는 진정성 있는 진심 결심에서 나옵니다. 다들 화이팅
@user-lp3fb9zd9u
@user-lp3fb9zd9u 2 жыл бұрын
큰 성공을 꿈꾸지 않는 시대겠죠. 큰 성공은 실패해도 재도전 가능한 몇몇 사람들에게 해당되는 말임. 청담 사는데 대학 친구들보면 이해가 됨
@user-hx1zs1ye6
@user-hx1zs1ye6 3 жыл бұрын
그 평범마저도 경쟁률이.. 의대, 약대, 경찰대같은 바로 직업으로 이어지는게 아니면 답이없는게 현실인듯
@shawnkim561
@shawnkim561 3 жыл бұрын
강남대에서 고대 편입한 모학생은 1급 공무원이 되었다고 합니다. 과정은 공정할 것이라고 말씀하신 분이 임명했다고 하더군요.
@usre951
@usre951 3 жыл бұрын
훠훠훠 재미있는 이슈같아요
@dermachtigstekonigimluftre4186
@dermachtigstekonigimluftre4186 3 жыл бұрын
훠훠훠 가짜뉴습뉘돠 코로 좌좡면을 드시고 쉽으신 가요? 쭵쭵쭵
@oneseason4378
@oneseason4378 3 жыл бұрын
슈카이보다 강남대가 먼져다
@user-by8ep1zj7o
@user-by8ep1zj7o 2 жыл бұрын
훠훠 과쫘뉴슈 뭠춰주쉐요 고려대 쉐종캠프입니돠 훠훠
@user-we8xd7jt3o
@user-we8xd7jt3o 2 жыл бұрын
서연고는 9급 드문 편. 연대 졸업했지만 동기 중에 9급 갔다가 1년 안 되서 퇴사하고 대기업감. 선배도 국립 교직원에서 대기업 가고. 연봉 차이 무시 못함. 물론 반대도 있는데 7급 이상, 로스쿨 빠짐. 공공기관 수시 채용으로 지원.
@JamesRyu74
@JamesRyu74 2 жыл бұрын
아직도 가야 할 길이 멀게 느껴지네요 평범하게 살기가 이렇게 힘든 나라
성공하고 싶다면, 인생이 바뀌고 싶다면ㅣ서정진 동기부여 연설
15:43
열정제작소 : 성공 마인드셋 동기부여
Рет қаралды 891 М.
Wait for the last one! 👀
00:28
Josh Horton
Рет қаралды 94 МЛН
small vs big hoop #tiktok
00:12
Анастасия Тарасова
Рет қаралды 16 МЛН
Smart Sigma Kid #funny #sigma #comedy
00:19
CRAZY GREAPA
Рет қаралды 21 МЛН
책 2만 권 보유자 이동진 : "자기계발서 조심하세요"
32:25
B tv 이동진의 파이아키아
Рет қаралды 257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