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기 3cm! 순도 99.99% 황금 유물이 나타났다! 보고도 믿을 수 없는 유물의 정체는?!(ENG SUB)

  Рет қаралды 1,305,792

국가유산채널(K-Heritage Channel)

국가유산채널(K-Heritage Channel)

Жыл бұрын

지난 6월 16일! 통일신라시대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유물이 공개됐다!
그리고 이는 많은 이를 놀라게 했는데...
동전보다 작은 3cm 크기의 작은 금박 유물.
그 안에는 머리카락보다 얇은 굵기로 정교하게 새겨진 문양들.
1,300년 전의 기술이라고는 믿기지 않는 정교함에 50년간 금속 공예를 하며 금박유물을 재현해 온 전문가 역시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인간의 솜씨라곤 믿기지 않는 금박 유물.
대체 이것의 정체는 무엇일까?
---------------------------------------
문화유산채널 공식 홈페이지 www.k-heritage.tv
문화유산채널 공식 블로그 blog.naver.com/k-heritagetv
문화유산채널 공식 인스타그램 / kheritagetv
문화유산채널 공식 페이스북 / k.heritage.tv
#금박유물 #화조도 #Gold_Leaf #초정밀 #금빛 #선각단화쌍조문금박 #신라 #경주 #문화유산채널

Пікірлер: 1 100
@user-eu2lr6qe1i
@user-eu2lr6qe1i Жыл бұрын
저게 실물이라고 생각되지 않는 놀라운 발견이네요. 정말 자랑스럽습니다.
@pepecurby1040
@pepecurby1040 Жыл бұрын
@@gibeomkim-hx4bd무슨말 하시는지 ㅎㅎ 원글 자세히 다시 읽어보세요
@user-vx6he1rc2i
@user-vx6he1rc2i 11 ай бұрын
당시 우주인이 내려와. 기술가르쳐주고. 비행접시 타고 갔다
@hanbaedal
@hanbaedal Жыл бұрын
이 훌륭한 유산을 홍보하고 이슈화해서 보고자하는 대중심리를 만들어내는 것도 중요한 작업입니다. 알리지 않으면 보고자하는 사람도 없습니다.
@gogo9909
@gogo9909 Жыл бұрын
그렇죠 또 중국 놈들이 저거 중국 기술이다 그러기전에
@user-cp1nb5im7x
@user-cp1nb5im7x Жыл бұрын
1500년전에 어떻게 이런기술을 가졌던것일까 진짜 경이롭습니다
@mathamour
@mathamour Жыл бұрын
1500년전 조상님이 UFO 외계인 과학자를 붙잡아서 배운 겁니다. 합리적 근거 --->> 조선시대에 UFO가 등장했다고? 조선시대 사람들이 전하는 그날의 진실은?(ENG SUB) - 문화유산채널 kzfaq.info/get/bejne/fs1hhr2Qt5vahqs.html
@user-me4nm8vp5n
@user-me4nm8vp5n Жыл бұрын
난 니가 왜 태어낫는지 경이롭다. 느그 어매 아배가 떡을 ㅈㄴ 쳣냐?
@user-mc2ue9vs5y
@user-mc2ue9vs5y Жыл бұрын
외계 기술임
@user-ux4mi2og4r
@user-ux4mi2og4r Жыл бұрын
전세계가 경악 ㄷㄷ
@user-yn8ej9jy2g
@user-yn8ej9jy2g Жыл бұрын
@KINGPIN 그건 그거고 분위기 처 읽어라
@djs1293
@djs1293 Жыл бұрын
이전부터 계속 흥미가 생겨 저번주에 찍으러 경주문화재 연구소에 갔습니다 왠만한 디카로는 그저 백원만한 금덩어리노 보이고 폰카(S22U)로 30배 줌을 해서야 겨우 무늬가 드러날 정도로 섬세한 작품입니다 이런 최신 유물을 볼수있어 좋은 전시이지만 일반인 관객을 위해 전시 유리 돋보기는 추가해 주셨으면 합니다
@user-qj8se3rm4j
@user-qj8se3rm4j 3 ай бұрын
만약에ᆢ 불교의왕국 신라에서 불심의뜻을ᆢ시공간을 초월해 전파하기위해 만들어진ᆢ색증시공 공즉시색ᆢ거시세계 인간의눈으론 알길없는 미시세계의진실ᆢ 보지못하면 마음도없는 공의세계ᆢ그러나 보고ᆢ마음이가면ᆢ 색의세계ᆢ인간의세계가펼처진다는 진리를 보여주기위한유물이아닐런지! 일체유심조! 원효의 가르침을 물질로서표현한것이라면 불교사의최고유물이 아닐수없다 깊은연구가필요하다
@specideal
@specideal Жыл бұрын
완전 소름 돋을정도로 굉장한 유물 같습니다. 대만박물관에서도 이정도급의 정밀한 유물은 본적이 없는 것 같아요. 신라를 금의 왕국이라고 했다던데 금을 좋아하고 많이 사용하고 금정련과 가공기술이 굉장했다고는 하지만 이 유물은 차원이 다르네요. 고지도를 보면 당, 백제, 고구려명칭은 없고 sila라는 명칭이 동아시아 여러곳에 고르게 표기가 되어있더군요. 고대에는 실라가 그만큼 유럽세계에 알려질 정도로 유명했었다는 반증이겠지요. 실제로 신라유물중에는 황금보검, 로만글라스, 동복이라는 유물을 보면 당시 신라 위세는 지금 우리가 초중고 때 대충 배우는 신라수준은 아니었을 것 같아요.
@haepark5434
@haepark5434 Жыл бұрын
신라금관도 있음 ☆☆☆
@user-jundiBamdun
@user-jundiBamdun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과거 한반도에 있는 신라는 동경이라 불리었고, 대륙 가운데 양자강 가까이 위치한 신라는 서경이라 불리었다고 들었습니다. 위치에 대한 근거는 일식현상을 기록한 사서에서 찾았다 보았습니다.
@mahakala2258
@mahakala2258 Жыл бұрын
@@user-jundiBamdun 그럼 왜 이렇게 축소된 것일까요? 선의로 물어봅니다.
@Juda13
@Juda13 Жыл бұрын
@@mahakala2258 책보고님 검색해서 찾아 보시면 중국대륙내에 고대 한국지명이 엄청나게 존재 하더군요. 우리나라 역사가들이 아니라고 하지말고 연구를 해줬으면 좋을 것 같은 자료들이 많이 있습니다. 물론 다 믿을 수 없는 내용이지만 사실이 아닌것도 아니니 중국고지도에 나오는 우리지명들을 고증해주웠으면 하네요. 아 책보고에서 지명 축소는 조선시대나 일제 점령기에 계획적으로 그랬다는 책보고님 유튜브 중에 있는거 본거 같네요. 물론 고증이 필요한 부분입니다.
@user-jundiBamdun
@user-jundiBamdun Жыл бұрын
@@mahakala2258 제 얄팍한 상식으로 빌려말하자면, 고려 멸망 후 조선 건국 때 영토가 급격히 줄었다고 생각합니다. 조선 초, 만주 일대는 조선의 땅이였으나 일제의 만행으로 만주일대를 싸게 팔아 넘겼기에 영토가 한반도 내로 축소 되지 않았나 생각 합니다. 고려 이전의 역사서가 거의 남아있지 않는 이유도 조선은 명을 섬기는 나라였기에 그에 반하는 내용을 고의로 없애 버린 것 같습니다. 진나라 분서갱유, 태조 이방원의 분서, 마오쩌둥의 문화대혁명 등을 통해 찬란한 고대사를 기록 한 서적들이 불타 없어진 것 같아 통탄스럽습니다.
@user-ex4bj6jn4u
@user-ex4bj6jn4u Жыл бұрын
아름답기도 아름다운데 놀라운 기술력이 담긴 유물이어서 그런지 소름돋았어요
@hi_highc1226
@hi_highc1226 Жыл бұрын
와 순도 99.9.... 순금이네요 말 그대로!
@philosophy1
@philosophy1 Жыл бұрын
시대를 초월한 위대한 명작! 감탄하지 않을 수 없네요~
@koreanheritage
@koreanheritage Жыл бұрын
초정밀 금박유물~! 선조들의 멋진 지혜와 기술에 깜짝 놀라고 또 감사할 따름입니다! 앞으로도 멋진 우리 문화유산 많이 사랑해 주실거죠?
@esonotd
@esonotd Жыл бұрын
저정도 금이면 망가지기도 너무 쉬웠을 거 같은데 거기다가 그림까지 그려져 있으니 너무 대단하다 진짜로...
@user-gx6hx5sx5w
@user-gx6hx5sx5w Жыл бұрын
혹시 그 당시 외게인 잡아다 일 시키지 않아을까요 지금같은 현시대에도 그와 똑같은 복제품을 구현할수 없다니~!!
@user-of5cr3wc3n
@user-of5cr3wc3n Жыл бұрын
@@user-gx6hx5sx5w ㅋ 외계인이 왜 잡혀요? 지구에 올정도면 과학 문명이 지구보다 몇 천 몆 만년 앞 선 야 가능한데
@vulcanmj
@vulcanmj Жыл бұрын
@@user-gx6hx5sx5w s외계인이 선물로 주고 간겁니다. 그 당시 사람이 밥 대접 했거든요.
@user-fk2yc3jw8m
@user-fk2yc3jw8m Жыл бұрын
@@user-gx6hx5sx5w 과메기 한 접시 촵촵하고 잔돈이 없어서 내고 간 것일 수도...
@user-gq4lv8sp5k
@user-gq4lv8sp5k Жыл бұрын
​@@vulcanmj 제일 그럴듯한답😊😊😊
@koreahistorytravel
@koreahistorytravel Жыл бұрын
조상님들 금에는 진심이셨 ㄷ ㄷ ㄷ
@user-wo5bg4yb3b
@user-wo5bg4yb3b Жыл бұрын
이런 문화재들을 잘 보존했으면 좋겠어요!
@findthehiddenheart
@findthehiddenheart Жыл бұрын
와 아름답네요 진짜...💕 조상님들 너무 대단하십니다 인간은 어디까지 가능한걸까요
@koreanheritage
@koreanheritage Жыл бұрын
알면 알수록 그리고 보고 느끼면 느낄수록 대단하고 값진 선조들의 지혜와 유산들입니다~! 앞으로도 문화유산채널 구독을 통해 더 멋지고 값진 문화유산을 만나보시길 바랍니다 :)
@user-gp4ox4ym3g
@user-gp4ox4ym3g Жыл бұрын
유리 제품이 과거 교역을 통해 신라에 들어왔으니 유리제품중에 돋보기 역할하는 물건이 고대에도 있었다고 봐지네요.
@dri13829
@dri13829 Жыл бұрын
"화주"라고 정확한 실체는 불명 하지만 렌즈의 기능을 하는 수정 또는 유리 재질의 물건과 관련한 기록이 있음.
@user-qz1wo6cq3i
@user-qz1wo6cq3i Жыл бұрын
분황사 모전석탑에서 수정화주라고 랜즈모양으로 깎은 수정이 발견된 적이 있죠
@user-yp4zx9kj1j
@user-yp4zx9kj1j 4 ай бұрын
돋보기가 있다고 만들수있는 것이 아니랍니다
@seungtaelim4109
@seungtaelim4109 24 күн бұрын
유리제품이 당시에 있었으니 렌즈처럼 사용할수도 그런데 순도99.99라니 기가 막일뿐
@gentlemen4070
@gentlemen4070 Жыл бұрын
경주시를 다 파내면 상상을 초월할 유물들이 나오겠네요. 물론 오래전에 발굴된 유물 조차 아직도 복원이나 분류조차 안된 것이 많다고 합니다. 그 만큼 고고학 발굴은 오랜 시간과 비용이 드는 작업이라 그런 듯 합니다. 찬란한 우리의 위대한 문명이 세상에 드러나고 잘 보존 되었으면 합니다.
@user-kw4zm3cd4u
@user-kw4zm3cd4u Жыл бұрын
이거 어디서 읽었던 기억이 나는데... 신라 무덤이 돌무덤이 아니라 흙무덤이 많아서 그걸 파해치면 유물이 파손될 것을 우려해서 오랫동안 조사를 안 했다고 했던 것 같습니다.
@_Climbthesky_
@_Climbthesky_ Жыл бұрын
@@user-kw4zm3cd4u 그런 무덤들을 고분이라고 부르죠
@user-im7ub8lo6q
@user-im7ub8lo6q Жыл бұрын
외계인 우주선 나옵니다
@user-gq4lv8sp5k
@user-gq4lv8sp5k Жыл бұрын
​@@user-im7ub8lo6q 고고학에 외계인 많이나오네 😮
@hwane8837
@hwane8837 Жыл бұрын
이미 다 도굴됐을듯..
@user-mh3rl5fu9y
@user-mh3rl5fu9y Жыл бұрын
현대의 우리 국민들도 대단하지만, 고대 신라시대에도 이정도다..초정밀한 순금유물..자랑스럽다,
@user-ry6qo5sw5j
@user-ry6qo5sw5j Жыл бұрын
저 금박에 저그림을 그냥 그린다고 하면 불가능에 가까운데 큰그림을 먼저 그리고 아래에 동판을 대고 철필로 다시 그려서 구멍을 내고 그림이 그려진 동판아래에 볼록거울을 놓고 볼록거울아래에 그림을 그릴 얇은 금속판을 놓고 그위에 먹지로 대놓고 빛을 비추면 작은 사이즈로 첫번째 동판에 그려진 그림의 선을 따라 빛이 아래 먹지에 맺히면 그선을 따라 철필로 긁어서 만드는 방식을 반복하고 마지막 금박에는 철필이 아닌 대나무로 빛선따라 그으면 저게 가능하죠 그리고 영상상에는 그냥 금박자체라고 했지만 그게 아니라 결혼이나 정혼의 기념물(새두마리가 가운데 꽃을 사이에 두고 있는걸 보면 보통 백년가약을 상징함)로 여성에게 선물한 어떠한것에 부착되었을것이라 보이고 금박에 핀으로 고정한 자리가 없는걸 보면 나무로 된 머리빗이나 머리핀에 달려있었을것으로 생각되어짐...저런 초정밀한 세공을 할수있는 기술자에게 의뢰해서 받을 물건이면 아마 성골왕실이나 진골 상대등 집안의 물건
@user-pg5bx3cb3s
@user-pg5bx3cb3s Жыл бұрын
할말이 없는 놀라운 작품이네요,,,,,조상님 너무조중한 선물감사 합니다
@innijo6026
@innijo6026 Жыл бұрын
그당시 현미경같은 도구가 있었거나 돋보기 같은 도구가 존재 했을거라는걸 추측할수 있게 해주는 유물이네요
@mathamour
@mathamour Жыл бұрын
1500년전 조상님이 UFO 외계인 과학자를 붙잡아서 배운 겁니다. 합리적 근거 --->> 조선시대에 UFO가 등장했다고? 조선시대 사람들이 전하는 그날의 진실은?(ENG SUB) - 문화유산채널 kzfaq.info/get/bejne/fs1hhr2Qt5vahqs.html
@firelin5896
@firelin5896 Жыл бұрын
아무래도 그런듯 해요. 유리가 들어올시기이니 신라만의 돋보기가 있지 안았을까 생각도 해봄
@unknown-ir1xk
@unknown-ir1xk Жыл бұрын
현미경이 문제가아니라 저작은걸 그릴수있는 기술력이 궁금한거지 이사람아
@lionoosupa2081
@lionoosupa2081 Жыл бұрын
@@unknown-ir1xk 경주사람이 정밀한 손을 가졋고 그덕에 자동차 조선 해양플랜트 정밀도 2m/m 내 철구조물을 잘 만들지 한국내 토착인과 다른인종이다
@tg8379
@tg8379 Жыл бұрын
@@unknown-ir1xk 레이저로 파면 됨
@wutheringheights856
@wutheringheights856 Жыл бұрын
옛조상님들의 손재주는 정말 볼 때마다 감탄을 자아내게 만듭니다 현대 기술로도 쉽지 않은 것을 당시에 어떻게 제작했을까요? 그리고 정말 그 용도는 무엇이었을지 궁금합니다
@backupmailkim9682
@backupmailkim9682 Жыл бұрын
ㅎㅎ 산라인이 만든것이 아닙니다. 그당시 유리잔등등이 수입되었둣이 외국에서 들어온겁니다.
@mathamour
@mathamour Жыл бұрын
1500년전 조상님이 UFO 외계인 과학자를 붙잡아서 배운 겁니다. 합리적 근거 --->> 조선시대에 UFO가 등장했다고? 조선시대 사람들이 전하는 그날의 진실은?(ENG SUB) - 문화유산채널 kzfaq.info/get/bejne/fs1hhr2Qt5vahqs.html
@revival0326
@revival0326 Жыл бұрын
@@backupmailkim9682 또 중국 꺼라고 우기려고 '까보중' 수입되었다면 그 지역에서도(이란 등) 비슷한 물건들이 발견되어야 맞다
@Mincho-Root
@Mincho-Root Жыл бұрын
@@backupmailkim9682 수입이 됐다는 근거부터 말해야지. 근거도 없이 들어온겁니다 ㅇㅈㄹ
@user-lm8et4lp9s
@user-lm8et4lp9s Жыл бұрын
@@backupmailkim9682 네 다음 쨩꺠섀끼 들어오세요.
@koreailoveyou
@koreailoveyou Жыл бұрын
저 기술들이 계속적으로 이어져왔다면 얼마나 멋진 유물들이 남아 있었을까
@koreanheritage
@koreanheritage Жыл бұрын
와 상상하니 정말 어마어마했을 것 같은데요~~🤩
@user-hm4el5ii4q
@user-hm4el5ii4q Жыл бұрын
전쟁와 침략으로 다 훔쳐갔겠죠
@user-jc62a7v28
@user-jc62a7v28 11 ай бұрын
조선이 구멍 냄 ㅅㄱ
@user-ki7lq8xt2y
@user-ki7lq8xt2y 6 ай бұрын
초정밀 반도체로 이어짐..
@JYKim-lu7tp
@JYKim-lu7tp Жыл бұрын
그림도 그림이지만 순도 99.99%가 1300년전에 가능했다는건 엄청난 기술인거임. 연금술이 어마어마 했다고 밖에...
@user-ks5ln2me7d
@user-ks5ln2me7d Жыл бұрын
그냥 자연스럽게 생긴거겟지
@user-tg4ww6ke8t
@user-tg4ww6ke8t Жыл бұрын
​@@user-ks5ln2me7d 자연에 우연이란 없는데 뭘 자연스럽게ㅋ
@elisha6455
@elisha6455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야금술이요 야금술 연금술은 납,구리를 금으로 바꾸는거구요
@ericblue8690
@ericblue8690 11 ай бұрын
제련술
@user-jc62a7v28
@user-jc62a7v28 11 ай бұрын
역시 신라
@DrWho44
@DrWho44 Жыл бұрын
와... 아름다운 유물이면서 엄청 미스테리 하네요.. 영어자막덕에 해외 친구 친지들과 공유할 수 있겠네요.
@mathamour
@mathamour Жыл бұрын
1500년전 조상님이 UFO 외계인 과학자를 붙잡아서 배운 겁니다. 합리적 근거 --->> 조선시대에 UFO가 등장했다고? 조선시대 사람들이 전하는 그날의 진실은?(ENG SUB) - 문화유산채널 kzfaq.info/get/bejne/fs1hhr2Qt5vahqs.html
@djh.j.k9865
@djh.j.k9865 3 ай бұрын
역시 조상님의 손재주 솜씨가 좋으니 후손들이 이렇게 잘 먹고 잘삽니다. 감사합니다 .편히 쉬소서
@user-qp4xh2ql1p
@user-qp4xh2ql1p Жыл бұрын
현대 현미경보고도 못따라할정도면 ...이건 거의 오파츠급이네..
@Happyhan
@Happyhan Жыл бұрын
이미 전설인데...신화지경에 이른 기술이라니 정말 대단하다!
@user-kp8sq3jd6z
@user-kp8sq3jd6z Жыл бұрын
여태까지 우리가 알고 있는 고대사 기술들을 너무 과소평가 한지 아닌지 다시한번 생각해 보아야 한다. 현재 우리 기술만의 시각으로 보기에는 이해 하질 못할 유물들이 쏟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언제까지 독불장군 식으로 현 기준으로 고대 유물들을 이해할껀가...유물학계 고고학계 미술학계 모두 반성을 해보아야 한다
@mathamour
@mathamour Жыл бұрын
1500년전 조상님이 UFO 외계인 과학자를 붙잡아서 배운 겁니다. 합리적 근거 --->> 조선시대에 UFO가 등장했다고? 조선시대 사람들이 전하는 그날의 진실은?(ENG SUB) - 문화유산채널 kzfaq.info/get/bejne/fs1hhr2Qt5vahqs.html
@Crouzel
@Crouzel Жыл бұрын
3만년 전 인류도 지금의 인류와 같은 지적능력, 같은 신체를 가지고 있었기에... 그들을 과소평가하는 건 중대한 실수이고 실책이죠
@BegaW
@BegaW Жыл бұрын
공감합니다. 지금은 오래 전 과거의 기술이나 능력 등에 비교해보면 사실은.. 새발의 피도 안될것 입니다.
@minejj685
@minejj685 3 ай бұрын
조선시대때 성리학이니 뭐니 하면서 기술을 천시하는 문화때문에 천년의 신라와, 오백년 고려사들이 싸그리 축소되고 부정되고 스스로 사대정책으로 중국밑에 고립시키며 오백년간 퇴보된듯. 쿠데타의 나라답게 과거 역사를 싸그리 입맛대로 바꾼 조선.
@sunnyan151
@sunnyan151 3 ай бұрын
@@minejj685 일제시대 때 민족혼과 문화말살 정책의 일환으로 단군 조차 신화로 만들고 전국 고분이란 고분은 모두 도굴해 버렸는데.. 그 당사자를 추앙하고 스승으로 모신 우리나라 식민사학계의 저의가 조선의 역사를 폄훼하는 일이기도 하지요. 문제 삼을 려면 조금 더 가까운 역사 부터 살펴 보시지요.
@hyj8159
@hyj8159 Жыл бұрын
너무 신기하다... 저걸 발견해낸것도 신기하다
@tinn5649
@tinn5649 Жыл бұрын
가끔 생각하는건데 몇몇 고대나 중세의 기술은 현대에 와선 도리어 퇴보했다는 생각이 들어요.
@user-bd8ry8gi1k
@user-bd8ry8gi1k 3 ай бұрын
꼴깝ㄴㄴ
@user-lz3gv1my1n
@user-lz3gv1my1n 22 күн бұрын
@@user-bd8ry8gi1k 고려청자 현대에도 똑같이 재현 못하잖아 맞는 말이지 뭘
@user-hx8do8oq7y
@user-hx8do8oq7y 13 күн бұрын
반도체 3나노
@user-of7ut7op6m
@user-of7ut7op6m Жыл бұрын
정말 대단하고 경이롭습니다 보존잘하고 후손들에게 길이길이 남겨 연구되게 하였으면 좋겠습니다
@eyo0103683
@eyo0103683 Жыл бұрын
다시 젊음으로 돌아간다면 꼭 고고학을 공부해보고 싶다~
@biankjg
@biankjg 3 ай бұрын
눈이 보이시면 아직 늦지 읺았어요 80부터 시작하시는 분들도 많아요
@wanseokkim7927
@wanseokkim7927 5 ай бұрын
백제금동향로도 정말 대단하죠. 지금봐도 정말 예술적인 경지가 높다고 봅니다. 세련됐구요. 이 금박작품도 시대를 뛰어넘네요.
@tomeformee
@tomeformee 2 ай бұрын
백제는 상대적으로 많이 뒤쳐져요..신라가 한반도 역사상으로도 미스테리할 만큼 고도로 발달했었죠
@bookstoremaster1023
@bookstoremaster1023 Жыл бұрын
돋보기로 보면서 만들면 쌉가능이라는 사람들이 있는데 모전석탑에서 나온 돋보기 자체도 불순물이 너무 많아서 잘 안보일 뿐더러 영상 보면 문양 선의 굵기가 아주 일정한데 저런 머리카락보다 얇은 침을 철제로 만들 기술이 있었다는 그 자체가 놀라울뿐임
@user-ub7wx1fg6d
@user-ub7wx1fg6d Жыл бұрын
우리가 알수없는 특수 기술이 있는데 발견하기가 쉽지 않을 듯 하네요.
@PARK_JH
@PARK_JH Жыл бұрын
제발 "얇다" 와 "가늘다" 좀 구분해서 씁시다. 두께를 나타내는 말은 두껍다, 반대말은 얇다.. 를 쓰지만 굵기를 나타내는 말은 굵다, 반대말은 가늘다. 이 두가지를 씁니다. 영상에서 선이 얇다..라고 말하는 것은 완전히 잘못된 표현입니다. 역사 고증만 신경쓰지 말고 언어에 대해서도 신경 좀 씁시다. 요즘 방송이고 뭐고 죄다 손목이 얇다 발목이 얇다.. 이런 말을 쓰는데. 전부 틀리게 쓴 예입니다. 손목이 가늘다, 발목이 가늘다라고 써야합니다. 선이 굵다라고 쓰지 선이 두껍다라고 쓰지 않는 것처럼 선이 가늘다..라고 써야합니다. 선이 얇다.. 라는 말은 틀린 표현입니다.
@user-qj2zi2qw2v
@user-qj2zi2qw2v Жыл бұрын
반도채 장인이 그 시대에 존재한거 같군요~반도채 강국이 가능한 이유를 설명하기에 적절한 유물입니다.
@user-ie3vu8hg7z
@user-ie3vu8hg7z Жыл бұрын
다뉴세문경을 제작하는 기술과 비교해본다면?
@user-ec5ps6dv9m
@user-ec5ps6dv9m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의 경우 그냥 저렇게 만드는게 가능한 눈좋고 솜씨좋은 장인이 있었다... 라는게 진실일거 같다.... 그 근거로는 저런 유물이 일단 저거 하나라는거.... 만약 저런 만드는 특별한 방법이나 기술이 존재 했다면 희귀하긴해도 어느정도 발견이 되야 할거 같은데 그렇지 않다는거... 때때로 진실은 어처구니없는 법이니까...
@IdeaTimeService
@IdeaTimeService Жыл бұрын
가까운 곳에서 자세히 봐야 알 정도의 문양이나 그 순도를 봤을때 제기의 테두리를 장식할 용도가 아니었을지... 제작방법은 아마도 원본문양이 따로 있고 그걸 따라서 움직이면 축소해서 움직일 수 있는 장치를 만들어 생산했을 거라 생각되네요...
@user-14883
@user-14883 5 ай бұрын
우리나라가 세계최고라니까. 문화, 예술, 건축 어느하나도 부족함이없다. 그냥 한국은 진리 그자체다
@Lironwill
@Lironwill Жыл бұрын
정말로 입이 딱벌어지네요. 신라예술품이 참 화려합니다.
@user-ju1gq6oe1s
@user-ju1gq6oe1s Жыл бұрын
세밀하고 똑똑한 만족이다. 이번유물은 신라시대 반도체 수준…
@user-sy7uu7rz9e
@user-sy7uu7rz9e Жыл бұрын
저 정도의 수공예품을 만들려면 수십명의 장인이 평생을 쏟아부어야 가능할 것 같은데... 야금 기술과 수예 기술에 관한 노하우가 엄청나게 많이 쌓여 있어야 가능할 듯 ㄷ ㄷ
@user-sx5wz9lx3m
@user-sx5wz9lx3m Жыл бұрын
와우 그저 놀랍고 놀랍네요!
@qhstlr77
@qhstlr77 Жыл бұрын
틀을 만들고 종이금을 올려서 열을 가해서 만들긴 힘든가요? 아님 크게 만들어서 직접 열을 가하지 않고 얇은 금박이 수축하면서 얄게 되는건 불가한가요? 토치가 없으니 고온에 구웠을까요. 금박이 적당한 열에 수축 가능하다면 가능할지도
@jabaworksix1741
@jabaworksix1741 Жыл бұрын
이런유물은 좀더 알려야하겠읍니다...정말 인간에 맨눈으로 가능한일은 아닐듯한데..
@maseola9091
@maseola9091 Жыл бұрын
와...진짜 기가막히게 잘만들었네.
@gangeshwangdo9492
@gangeshwangdo9492 Жыл бұрын
감은사지 금동 사리함 도 금공예의 끝판왕 한번 찾아보세요^^ 신라는 금공예기술은 당대 최고였던것 같다 요즘 최첨단 반도체 만드는 기술과 동급으로 봐야
@koreanheritage
@koreanheritage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문화유산을 사랑해주시는 구독자님의 따스한 마음이 전해지는 댓글이네요~
@doug-zk3ck
@doug-zk3ck Жыл бұрын
비슷한 유물들이 더 많이 발견되면 좋겠네요. 유물을 찾고 관리하시는 분들 존경합니다.
@gooddr.710
@gooddr.710 Жыл бұрын
그옛날 호랑이 담배피던 시절에도 3나노 기술이 있었다니 대단합니다 !
@user-jj3lx8wg8y
@user-jj3lx8wg8y Жыл бұрын
천재란 늘 존재 하는 법입니다. 이런 작업을 가능하게 만드는 천재가..
@user-kf9gy4di2n
@user-kf9gy4di2n 3 ай бұрын
천재도 어느시스템속에서나 가능한겁니다 그걸벗어나면 그건천재를넘어 초월적인 존재라고봐야겠죠 현시대에 공중부양(과학적으로 불가능한일 등등)한다고 천재라그러진않죠
@cutycjt7
@cutycjt7 Жыл бұрын
역시 신라의 수도가 금으로 치장되었다는게 허구가 아닐수도 있겠다 싶다
@good5402
@good5402 Жыл бұрын
금에 어떻게 세공을 했을까요? 위 화조도도 그렇고 다뉴세문경도 그렇게 옛날에 방법이 따로 있었지 않았나 싶네요
@user-qh5fo2tq2x
@user-qh5fo2tq2x Жыл бұрын
와 경이 롭단 말 밖에 안나오네요
@user-xk2og6of4k
@user-xk2og6of4k Жыл бұрын
이건 진짜 현미경같은 도구가 없었다면 인간의 눈으로는 그릴수가 없는거같다. 거기다 두께도 엄청 얇은 박지에다 새기는건데 그 옛날에도 돋보기와 같은 도구가 존재했다는게 아닐까? 지금의 현대 돋보기가 아니라 원시적이지만 그러한 물건이 있었다고 봐야할지도 모르겠구만.
@hyun9138
@hyun9138 Жыл бұрын
확대 사진 보고 소름이 돋았어요 이걸 인간이 한거라고 믿기가 어렵겠네요 대단한 기술입니다
@user-dl5gc7nb1j
@user-dl5gc7nb1j Жыл бұрын
우리 조상님들 대단하십니다
@admiralyisoonshin4995
@admiralyisoonshin4995 Жыл бұрын
무려 1,300년전에 육안으로, 작은 도구를 사용하여 저런 초극세공 작품을 제작해냈다는 것 자체가 도저히 믿어지지가 않습니다. 우리 선조들의 공예 기술력은 정말 대단합니다.
@ego6929
@ego6929 Жыл бұрын
다뉴세문경은 3000년~4000년전에 만들었졌다고 하니 우리 조상님들의 세공기술이 고대부터 발달했음을 알수 있죠. 나전칠기만 해도 현대기술로도 따라올자가 없고 일본의 나전칠기들 대다수가 한국공예가의 작품임을 아는 분들이 별로 없지만 일본에서는 한국공예가의 작품일수록 더 비싸더군요.
@admiralyisoonshin4995
@admiralyisoonshin4995 Жыл бұрын
@@ego6929 격하게 공감합니다. 👍👍👍
@alog6688
@alog6688 Жыл бұрын
아니 현미경도 없었을텐데 진짜 어떻게 했냐... 대단하십니다 선조님!!
@user-kf9gy4di2n
@user-kf9gy4di2n 3 ай бұрын
시력이 탈인간급으로 특출나게 좋았을수도 거기다 장인이면 그능력으로 어떠한 특수한 발명품을 만들었고 그걸이용해서 일반적으로 불가능해보이는 작품탄생이 가능했을지도
@user-ju1cc4mo4n
@user-ju1cc4mo4n Жыл бұрын
와~ 정말 세상에 이런 일이~
@JustRandomWonderer
@JustRandomWonderer Жыл бұрын
분황사 모전석탑 출토 수정화주가 관련되어있지 않나 싶습니다...
@user-ri8ms4zt7k
@user-ri8ms4zt7k Жыл бұрын
그저 놀랍고 아름답네요
@user-ku7zt6he7i
@user-ku7zt6he7i Жыл бұрын
미친 추진력 - 공중정원 미친 힘 - 피라미드 미친 기술 - 신라 금박
@user-cl6rx1ok2m
@user-cl6rx1ok2m Ай бұрын
정말 놀랍고, 감탄스럽네요!!! 신비로운 금박유물에 많은분들이 관심을 가졌으면 좋겠습니다:) 비밀이 풀리는 날이 오길 바랍니다❤
@davidchang4559
@davidchang4559 Жыл бұрын
So great!!
@lionet1980
@lionet1980 Жыл бұрын
K-금공예 수준은 장난이 아니었군요 ㄷㄷㄷㄷㄷ
@user-lm8et4lp9s
@user-lm8et4lp9s Жыл бұрын
K 지겹다 섀꺄, 그만 처붙여라
@user-ll9zc6pr3c
@user-ll9zc6pr3c Жыл бұрын
고지도 보면 전부 corea로 되있죠 고려를 표기한것인데 일제강점기에 k로 바꾼듯 합니다
@user-so6gk4md8j
@user-so6gk4md8j Жыл бұрын
@@user-ll9zc6pr3c 그거 그냥 열등감 폭발한 멍청이가 만들어낸 낭설입니다. 만약 C로바꾸면 K팝은 C팝이되고 중국이 참 좋아하겠네요. 관광 정보를 제공하는 어느 홈페이지의 첫 화면에 나타난 영문 표기이다. 여기서 흥미로운 것은 'Corea'라는 국명 표기이다. 우리의 기본적인 상식에 비춰 본다면 문제가 있는 표기이다. 우리 나라 국명에 대한 우리의 공식적인 로마자 표기가 'Korea'이니 문제가 있는 건 확실하다. 그런데 그 관광사에서는 왜 'Corea'라고 썼을까? 관광사에서 의도했건 의도하지 않았건 역사 속에 그 답이 있다. 우리가 서양에 알려진 것은 언제일까? 모르긴 몰라도 고려 시대쯤일 것이다. 물론 그전에 서양 사람이 다녀갔을 수도 있지만, 서양에 알려진 우리의 국명이 'Corea'로 굳어졌다는 것은 고려를 기점으로 서양과의 교류가 시작되었음을 알려주는 증거다. 유럽의 여러 나라에서 아직도 우리 나라를 'Corea'로 적어 부르는 것은 이러한 역사적 사실과 관계가 있다. 그런데 왜 우리는 이미 굳어진 'Corea'로 쓰지 않고 'Korea'로 썼을까? 이는 영어식(독일어식) 표기 체계와 불어식 표기 체계의 차이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미국과의 관계가 긴밀해지면서 영어식 철자 체계에 근거한 로마자 표기가 일반화되었고, 이 와중에 'Corea'가 'Korea'로 된 것이다. 'Corea'에 얽힌 또 하나의 재미있는 이야기가 있다. 'Corea'가 'Korea'로 된 데는 일본의 입김이 작용했다는 것이다. 내용인 즉, 일제 시대에 일본이 자기 나라를 뜻하는 'Japan'보다 한국을 뜻하는 'Corea'가 알파벳 순서상 먼저 오는 꼴을 보지 못해, 한국의 국제적 표기를 'Korea'로 하도록 유도했다는 웃기는 이야기이다. 그러나 이 이야기가 웃기는 이야기로만 들리지 않는 것은 왜일까? 우리와 일본 사이에 남아 있는 감정의 앙금이 빚어낸 이야기이며, 서로에 대한 우월 의식과 피해 의식이 빚어낸 서글픈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KOREA일까, COREA일까? (우리말의 수수께끼, 2002. 4. 20., 박영준, 시정곤, 정주리, 최경봉)
@yol1
@yol1 Жыл бұрын
옛 문명이 지금보다 발전하지 않았을거라는 생각은 큰 착각일수도.
@dreamfreeker
@dreamfreeker Жыл бұрын
동감입니다 화성에 탐사선까지 보냈지만, 이집트 피라미드 어떻게 쌓아 올렸는지 밝혀 내질 못하고 있고... 황룡사 9층 목탑 복원도 못한.. 5000년 전, 2000년 전 조상들이 타임머신 타고 와서 우리를 보면 "니들 그동안 뭐했냐??"며 답답해할 수도 있을 것 같군요
@user-wv8yi5fq9o
@user-wv8yi5fq9o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
@user-fl9zh5nv6q
@user-fl9zh5nv6q Жыл бұрын
응 착각 아니야~
@user-yn3ki6pn6f
@user-yn3ki6pn6f Жыл бұрын
​@@dreamfreeker어떻게생긴지 모르니 같게 복원을 못하는거지 그깟9층탑 만드는 기술이 없을까봐ㅋㅋ
@user-sf9pz6fg3e
@user-sf9pz6fg3e Жыл бұрын
@@user-yn3ki6pn6f 그깟...^^ 저는 쇠붙이 2조각으로 물건을 자르는 미용가위를 만듭니다. 자동화 씨스템과 인공지능을 공부한 분들도 아직까지 날에 대한 알고리즘을 못 찿고있습니다. 세상에 일들을 너무 쉽게 보는것 같아 좀 아쉽네요.
@307signal
@307signal Жыл бұрын
우와 어마어마하네요
@rlarltmd1
@rlarltmd1 Жыл бұрын
와...후덜덜 이란 표현이 저절로 나오네.
@user-ev1fj6lu1j
@user-ev1fj6lu1j Жыл бұрын
경주로 발전했어야 했다.. 그러면 진짜 유물 대박이었겠다
@borntobe7134
@borntobe7134 Жыл бұрын
삼국시대 유물들이 얼마나 정교한데 더욱이 그 당시에는 시력도 좋았을 거라 생각됩니다. 현대의 몽골인 조차 시력이 5.0. 이니, 삼국시대 선조들 시력도 매우 좋았을 거라 생각됩니다. 그런면에서 정교한 작업도 가능했을 것이구요.
@user-km1xn4xm2g
@user-km1xn4xm2g Жыл бұрын
@urang-urang
@urang-urang Жыл бұрын
대박이네요 ㄷ ㄷ ㄷ ㄷ
@bigbear1845
@bigbear1845 Жыл бұрын
저걸 찾아서 붙인것도 대단하다
@user-ch1vk6lb5u
@user-ch1vk6lb5u Жыл бұрын
당시에 사용했을 수정같은걸로 보진 않았을까 짐작.왜냐하연 수정을 가공한 장식물이 있었고 분황사 모전석탑에서 돋보기가 발견된적 있음.수정화주
@user-qo6ev2rm3g
@user-qo6ev2rm3g Жыл бұрын
청동거울에도 저런 기술이 들어가있찌요.. 같은 정밀한 기술 같습니다.
@user-bd9iw9rf6r
@user-bd9iw9rf6r 4 ай бұрын
현대 기술로도 힘들다던데 . 우리 조상님들 진짜 대단하시다
@user-bb2zi5is1m
@user-bb2zi5is1m Жыл бұрын
정말 와 소리가 절로나네요
@user-qt5tx7ql1j
@user-qt5tx7ql1j Жыл бұрын
신라때에 유리구슬이 존재했으니 돋보기가 존재 했을 가능성은 충분한데 0.5mm 그을수있는 합금강으로된 뽀족한 금속은 어디서 구했는지가 의문이 드네요...
@drkess9427
@drkess9427 Жыл бұрын
어느 시대나 초능력자가 몇명은 살아가는듯 😸😸
@ssm167a11
@ssm167a11 Жыл бұрын
대단하신 조상님들!!!
@user-lc3uj7xd4e
@user-lc3uj7xd4e Жыл бұрын
불가사의한 역사유물 혹시 그때는 지금보다 문명이 더 발달하였으나 지각 변동으로 사라지고 흙속에 남아있던 것이 아닐까요. 지금의 지구의 문명도 대화산 폭팔이나 북극 빙하의 범람으로 사라졌다가 다시 문명사회가 왔을 때 지금 상황 또한 설명할 수 있을까요.
@user-vo8lf4on6l
@user-vo8lf4on6l Жыл бұрын
우와~~~~우리가 이런 이들의 후손들인거야! 앗싸~~~~무서울께 없고 못할것이 없을 자신감이 마구 솟구치는군!
@user-vh1wr8kv8c
@user-vh1wr8kv8c Жыл бұрын
이건 신의 작품이다
@user-gj3ih1el5t
@user-gj3ih1el5t Жыл бұрын
경이롭네요
@laura.2022
@laura.2022 Жыл бұрын
what great artists were in the past ! 🎨
@m855gt2
@m855gt2 Жыл бұрын
고구려 신라 백제 삼국시기의 찬란했던 유물과 문화재 대부분이 파괴되고 유실된것이 너무 안타깝고 아쉽다
@user-jc62a7v28
@user-jc62a7v28 11 ай бұрын
백제면 몰라도 신라는 무덤 도굴이 잘 안돼서 아직 많이 남아있음. 근데 발굴도 어려운게 문제. 그리고 고구려는 애초에 북한이라 ㅂㄱㄴ
@shinhwang885
@shinhwang885 3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역사를 돌아보면 이 정도 남아 있는 것도 다행임.
@easeafe4re581
@easeafe4re581 Жыл бұрын
신라인들은 외계인이 아닐까요? 성덕대왕 신종도 재현이 불가능하고 그 종을 매다는 용뉴의 구멍크기에 들어가면서 무게를 지탱할 수 있는 철도 현대에도 만들지 못한다고 하네요 황룡사 9층 목탑도 재현이 불가능하고 석굴암도 재현안되니 신라시대에는 놀라운 기술이 너무도 많았던것 같습니다
@admiralyisoonshin4995
@admiralyisoonshin4995 Жыл бұрын
성덕대왕 신종은 정말 대단한 걸작입니다! 👍👍👍
@user-xo8yc6tn1h
@user-xo8yc6tn1h Жыл бұрын
고대설화에 외계인이나 최소 중앙아시아에서온 백인인종 혼혈설들이 진실인듯
@easeafe4re581
@easeafe4re581 Жыл бұрын
@@user-xo8yc6tn1h 백인들이 뭐가 대단하다고 저런 신기한 기술들을 가졌을 까요? 로마뺴면 죄다 좃밥들이었는데요
@user-gq4lv8sp5k
@user-gq4lv8sp5k Жыл бұрын
​@@user-xo8yc6tn1h 우리 외사촌 형제들도 백인 골격이보입니다. 김씨이고😊
@user-jc62a7v28
@user-jc62a7v28 11 ай бұрын
또 외게인 드립ㅋㅋ
@lsyruc3
@lsyruc3 Жыл бұрын
시력이 너무 좋았던건 아닐까 ㅇㅁㅇ 우와 ~~ 대단하다 ~~~~!!!!!
@user-kj9gs1lm7z
@user-kj9gs1lm7z Жыл бұрын
한마디로 경이롭다
@user-ln5ge2ke2g
@user-ln5ge2ke2g Жыл бұрын
천재들은 과거든 현재든 시대를 막라해 존재했다는...
@user-xe8ot7ip5g
@user-xe8ot7ip5g Жыл бұрын
가끔 우리는 과거 시대의 사람들을 현대의 사람에 비해 지능이 낮은 것으로 취급하는 경향이 있다고 봅니다. 우리가 현대의 기술로 과거를 제대로 밝혀내지 못했을뿐 그 시대에는 그런 기술이 존재 했고 만들었습니다. 피라미드도 과거 이집트인은 해 놓았고 우리는 그것을 어떻게 했는지를 잘 모를 뿐입니다. 말도 안되는 외계인설 같은...
@guitarssam
@guitarssam Жыл бұрын
지능이 낮다고 치부하는 것보다는 축적된 지식이 적다고 생각하는 편이고 그게 또 맞지요. 건축의 기능적인 면만 보자고 하면 피라미드보다 롯데타워가 압승 건축의 가치로 보자면 롯데타워보다는 피라미드가 압승이죠. 현재는 머리카락에도 모나리자를 그려낼 수 있는 기술력이 있지만 어떻게 과거에 그게 가능했을지 불가사의네요.
@vulcanmj
@vulcanmj Жыл бұрын
지금시대는 과학이 발달했을뿐이고 손기술은 저 시대가 훨씬 월등했을거라 생각되네요. 시대가 흘러 흘러 손기술이 배우는 사람도 적어지고 계승도 안되거나 돈벌이가 안되서 할려는 사람도 없고 자연스레 도태되어 진게 아닐까 생각 됩니다.
@user-yf4kz8bw5x
@user-yf4kz8bw5x 8 ай бұрын
현대인의 시력과 그시절 조상들의 시력은 차이가 있지 않을까?그때는 눈을 혹사하지 않아서 시력이 좋았을듯 합니다.
@josie8351
@josie8351 Жыл бұрын
모나리자 보다 더 위대한 유물. 널리 홍보할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jennybl7152
@jennybl7152 Жыл бұрын
진짜 멋지다 우리 조상님들 최고♡ ๑ᴖ◡ᴖ๑
@BGN_KR
@BGN_KR Жыл бұрын
대단하네요
@user-wg7im8bg5q
@user-wg7im8bg5q 9 ай бұрын
신비한 능력을갖은 천재가 게셨던거겠죠 👍
@romeoalfa1598
@romeoalfa1598 Жыл бұрын
여읔시 우리 조상님들은... ㄷㄷㄷ
@user-jq1im1vv9j
@user-jq1im1vv9j Жыл бұрын
다뉴세문경의 정교함과 연관이 있어 보이네요. 우리 조상님들의 뛰어난 지식과 기술에 다시 고개가 숙여 집니다.
@user-jq1im1vv9j
@user-jq1im1vv9j Жыл бұрын
참고로 다뉴세문경은 약 2000년전 고조선시대의 청동거울이라 하니....
@showtime9846
@showtime9846 Жыл бұрын
저 때 돋보기가 있었을까요? 대박이네요.
@user-ow1vd5gq8i
@user-ow1vd5gq8i Жыл бұрын
와,, 기가 막히네요,,,,,
2000000❤️⚽️#shorts #thankyou
00:20
あしざるFC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
New Gadgets! Bycycle 4.0 🚲 #shorts
00:14
BongBee Family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СНЕЖКИ ЛЕТОМ?? #shorts
00:30
Паша Осадчий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
Archaeological Discovery During Road Construction Project: Ornamented Sword from Gyerim-ro, Gyeongju
14:45
국가유산채널(K-Heritage Channel)
Рет қаралды 2,5 МЛН
주꾸미 덕에 찾은 고려시대 보물선이 있다?|크랩
5:45
[스브스와이드] 전국 방방곡곡 미스터리
20:47
스브스와이드
Рет қаралды 96 М.
[문화유산 알려줌 시즌2] 세상이 놀랐다! 역대급 발굴 유적 TOP 7
25:14
국가유산채널(K-Heritage Channel)
Рет қаралды 834 М.
Pohang Jungseong-ri monument, the oldest Silla Dynasty monument we met at the construction site
15:10
국가유산채널(K-Heritage Channel)
Рет қаралды 930 М.
A Taffy Seller Transforms Scrap Metal into National Treasure
15:15
국가유산채널(K-Heritage Channel)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Дени против умной колонки😁
0:40
Deni & Mani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Main filter..
0:15
CikoYt
Рет қаралды 4,9 МЛН
wireless switch without wires part 6
0:49
DailyTech
Рет қаралды 3,9 МЛН
Купил этот ваш VR.
37:21
Ремонтяш
Рет қаралды 226 М.